KR100690755B1 - 직선형 에프피씨비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직선형 에프피씨비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0755B1
KR100690755B1 KR1020040115614A KR20040115614A KR100690755B1 KR 100690755 B1 KR100690755 B1 KR 100690755B1 KR 1020040115614 A KR1020040115614 A KR 1020040115614A KR 20040115614 A KR20040115614 A KR 20040115614A KR 100690755 B1 KR100690755 B1 KR 100690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folder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5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6984A (ko
Inventor
손성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15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0755B1/ko
Priority to CNB2005100806343A priority patent/CN100536492C/zh
Publication of KR20060076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69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0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0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7Bendability or stretchability details
    • H05K1/028Bending or folding regions of flexible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부에 구비된 피씨비와 본체부에 구비된 메인 피씨비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직선형 피씨비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전기적 신호를 처리하는 피씨비와, 상기 피씨비에 상기 전기적 신호를 제공하는 복수의 칩이 실장된 메인 피씨비와, 상기 피씨비와 상기 메인 피씨비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직선 형상으로 구비된 에프피씨비와, 상기 피씨비가 장착되고 그 길이방향 일측 단부에 돌출 마련되며 상기 에프피씨비가 통과될 수 있는 제1 홀이 구비된 결합부를 포함하는 폴더부와, 상기 메인 피씨비가 장착되고 그 길이방향 일측 단부의 전면에 상기 에프피씨비가 통과될 수 있는 제2 홀이 구비되며 상기 제2 홀의 양측에 상기 결합부와 힌지결합되는 힌지결합장치가 마련된 힌지부를 포함하는 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에프피씨비는 상기 제1 홀과 상기 제2 홀을 통과함으로써 상기 피씨비와 상기 메인 피씨비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형 에프피씨비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이동통신 단말기, 피씨비, 직선형 에프피씨비, 더미힌지, 통로부, 수용홈, 힌지부, 고정부

Description

직선형 에프피씨비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STRAIGHT LINE STYLE FPCB}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종래의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상태 및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에프피씨비가 구비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부가 개폐됨에 따라 종래의 에프피씨비가 회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선형 에프피씨비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직선형 에프피씨비가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직선형 에프피씨비가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직선형 에프피씨비가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직선형 에프피씨비가 구비되 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직선형 에프피씨비가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직선형 에프피씨비가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직선형 에프피씨비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동통신 단말기 200 : 본체부
201 : 제2 홀 202 : 메인 피씨비
210 : 데이터 입력부 220 : 마이크부
230 : 제1 수용홈 300 : 폴더부
301 : 제1 홀 302 : 피씨비
310 : 화상표시부 320 : 제2 수용홈
500 : 힌지부 501 : 힌지결합장치
510 : 결합부 520 : 더미힌지
600 : 에프피씨비 610 : 제1 컨넥터
620 : 제2 컨넥터 700 : 직선형 에프피씨비
710 : 제1 컨넥터 720 : 제2 컨넥터
800 : 통로부 801 : 제3 홀
810 : 몸체부 820 : 결합돌기
830 : 고정부 831 : 제4 홀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부에 구비된 피씨비와 본체부에 구비된 메인 피씨비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직선형 피씨비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특정인과의 음성통화가 가능한 무선 통신장치로서, 특정 이동통신 단말기를 호출하기 위하여 수신자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유번호가 포함된 호출메시지를 기지국 호출채널을 통하여 송출한 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응답이 오는 경우에 송신자와 수신자 사이에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형태는 바(Bar)형태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부터 플립형, 폴더형의 이동통신 단말기까지 개발되었고 근래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커버부가 슬라이딩 이동되어 개폐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가 개발되어 출시되고 있으나, 전술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형태 중 최근까지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하, 전술한 종래의 에프피씨비가 구비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종래의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상태 및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메인엘씨디(Main-Liquid Crystal Display; Main-LCD) 모듈(310) 및 서브엘씨디(Sub-Liquid Crystal Display; Sub-LCD) 모듈(미도시)과 같은 화상표시장치가 마련된 폴더부(300)와 다이얼링키 및 각종 기능키를 포함하는 키패드부(210)가 마련된 본체부(200)가 힌지결합부(500)에 의하여 결합되어 그 외관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본체부(200)에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연산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메인 칩셋(미도시)(Main Chipset)이 구비되는데, 상기 칩셋(미도시)은 상기 본체부(200)에 구비되는 메인 피씨비(Main Printed Circuit Board; Main PCB)(201)에 실장된다.
그리고 상기 칩셋(미도시)이 실장된 메인 피씨비(201)는 상기 본체부(200)를 구성하는 전면커버(미도시)와 후면커버(미도시) 사이에 구비된 고정부(미도시)에 나사(미도시) 등과 같은 고정수단에 의하여 결합됨으로써 고정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폴더부(300)에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상태를 출력하거나 각종 기능을 표현하는 엘씨디 모듈(310, 도 1참조)과 같은 화상표시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칩셋(미도시)이 설치되는데, 상기 칩셋(미도시)은 상기 폴더부(300)에 구비되는 피씨비(301)상에 실장되고, 상기 피씨비(301)는 상기 폴더부(300)를 구성하는 전면커버(미도시)와 후면커버(미 도시) 사이에 고정된 고정부(미도시)와 나사(미도시) 등과 같은 고정수단에 의하여 결합됨으로써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200)에 구비되는 메인 피씨비(201)와 상기 폴더부(300)에 구비되는 피씨비(301)에는 상기 각각의 피씨비(201, 301)에 실장된 상기 각각의 칩셋(미도시)에서 출력되거나 상기 각각의 칩셋(미도시)으로 입력되는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신호 연결장치인 에프피씨비(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600)가 상기 각각의 피씨비(201, 301)상에 마련된 제1 및 제2 컨넥터(610, 620)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전술한 에프피씨비가 구비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조를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종래의 에프피씨비가 구비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부가 개폐됨에 따라 종래의 에프피씨비가 회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200)와 폴더부(200)가 힌지결합시키는 힌지결합장치(501)가 구비된 힌지부(500)가 마련되어 있어 상기 폴더부(300)를 상기 본체부(200)에 대하여 힌지결합시킴과 동시에 상기 폴더부(200)가 상기 본체부(200)에 대하여 회동하여 개폐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있다.
또한 상기 힌지부(500)에는 상기 본체부(200)의 메인 피씨비(201)와 폴더부(300)의 피씨비(301)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상기 에프피씨비(600)의 연결통로로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에프피씨비(600)가 통과할 수 있는 더미힌지(520)가 구비되 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장착되는 종래의 에프피씨비(600)는 상기 메인 피씨비(201)와 피씨비(301)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힌지부(500)에 구비된 더미힌지(520)를 통과할 수밖에 없음으로 인하여 상기 에프피씨비(600)의 일부가 굽은 곡선의 형태(601, 602, 603)로 형성된다.
그로 인해 상기 더미힌지(520)를 통과하는 에프피시비(600)의 형태로 인해 상기 힌지결합장치(501)와 상기 에프피씨비(600)가 통과할 수 있는 연결통로가 별도로 마련되어야 함으로써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전체적인 구조상 공간적인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에프피씨비(600)를 구성하며 상기 곡선의 형태(601, 602, 603)를 이루고 있는 부분에 있어서, 특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더미힌지(520)내부에 삽입되는 부분(603)이 상기 폴더부(200)가 상기 본체부(200)에 대하여 회동하여 개폐됨에 따라 내부응력을 받게 되고 그로 인해 파손의 우려가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부와 본체부에 구비된 피씨비와 메인 피씨비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에프피씨비가 직선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폴더부가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회동하여 개폐됨에 있어 상기 에프피씨비에 가해지는 내부응력과 휨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직선형 피씨비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기적 신호를 처리하는 피씨비와, 상기 피씨비에 상기 전기적 신호를 제공하는 복수의 칩이 실장된 메인 피씨비와, 상기 피씨비와 상기 메인 피씨비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직선 형상으로 구비된 에프피씨비와, 상기 피씨비가 장착되고 그 길이방향 일측 단부에 돌출 마련되며 상기 에프피씨비가 통과될 수 있는 제1 홀이 구비된 결합부를 포함하는 폴더부와, 상기 메인 피씨비가 장착되고 그 길이방향 일측 단부의 전면에 상기 에프피씨비가 통과될 수 있는 제2 홀이 구비되며 상기 제2 홀의 양측에 상기 결합부와 힌지결합되는 힌지결합장치가 마련된 힌지부를 포함하는 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에프피씨비는 상기 제1 홀과 상기 제2 홀을 통과함으로써 상기 피씨비와 상기 메인 피씨비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형 에프피씨비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부와 본체부에 구비된 피씨비와 메인 피씨비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에프피씨비가 직선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폴더부가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회동하여 개폐됨에 있어 상기 에프피씨비에 가해지는 내부응력과 휨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직선형 에프피씨비 및 상기 직선형 에프피씨비가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선형 에프피씨비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선형 에프피씨비(700)는 상기 피씨비(302, 도 6참조)와 상기 메인 피씨비(202, 도 6참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직선 형상으로 구비된다.
즉,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선형 에프피씨비(700)는 상기 메인 피씨비(202, 도 6참조)에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된 제1 컨넥터(710)와 상기 피씨비(302, 도 6참조)에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된 제2 컨넥터(72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 컨넥터(710)와 제2 컨넥터(7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부분(701)이 직선형상으로 구비된다.
여기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선형 에프피씨비(700)가 구비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이동통신 단말기(100, 도 5참조)를 도 5내지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직선형 에프피씨비(700)가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직선형 에프피씨비(700)가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직 직선형 에프피씨비(700)가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직선형 에프피씨비(700)가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기적 신호를 처리하는 피씨비(302)와, 상기 피씨비(302)에 상기 전기적 신호를 제공하는 복수의 칩(미도시)이 실장된 메인 피씨비(302)와, 상기 피씨비(302)와 상기 메인 피씨비(30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직선 형상으로 구비된 직선형 에프피씨비(700)와, 상기 피씨비(302)가 장착되고 그 길이방향 일측 단부에 돌출 마련되며 상기 직선형 에프피씨비(700)가 통과될 수 있는 제1 홀(301)이 구비된 결합부(510)를 포함하는 폴더부(30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직선형 에프피씨비(700)가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메인 피씨비(302)가 장착되고 그 길이방향 일측 단부의 전면에 상기 직선형 에프피씨비(700)가 통과될 수 있는 제2 홀(201)이 구비되며 상기 제2 홀(201)의 양측에 상기 결합부(510)와 힌지결합되는 힌지결합장치(501)가 마련된 힌지부(500)를 포함하는 본체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직선형 에프피씨비(700)는 상기 제1 홀(301)과 상기 제2 홀(201)을 통과함으로써 상기 피씨비(302)와 상기 메인 피씨비(302)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200)에는 상기 제2 홀(201)이 포함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폴더부(300)가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결합부(510)의 일부가 수용되는 제1 수용홈(230)이 구비되며, 상기 제1 홀(301)이 상기 폴더부(300)가 상기 본체부(200)에 대하여 회동되는 각도만큼 더 개방되어 구비되거나, 상기 제2 홀(201)이 상기 폴더부(300)가 상기 본체부(200)에 대하여 회동되는 각도만큼 더 개방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직선형 에프피씨비가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직선형 에프피씨비가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직선형 에프피씨비가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시 한 평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직선형 에프피씨비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선형 에프피씨비(700)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전기적 신호를 처리하는 피씨비(302)와, 상기 피씨비(302)에 상기 전기적 신호를 제공하는 복수의 칩(미도시)이 실장된 메인 피씨비(302)와, 상기 피씨비(302)와 상기 메인 피씨비(30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직선 형상으로 구비된 직선형 에프피씨비(70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선형 에프피씨비(700)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에는 상기 피씨비(302)가 장착되고 그 길이방향 일측 단부의 측면 중앙에 상기 직선형 에프피씨비(700)가 통과될 수 있는 제1 홀(301) 및 상기 제1 홀(301)의 양측에 구비된 결합부(510)를 포함하는 폴더부(300)와, 상기 메인 피씨비(302)가 장착되고 그 길이방향 일측 단부의 전면 중앙에 상기 직선형 에프피씨비(700)가 통과될 수 있는 제2 홀(201) 및 상기 제2 홀(201)의 양측에 상기 결합부(510)와 힌지결합되는 힌지결합장치(501)가 마련된 힌지부(510)를 포함하는 본체부(200)가 구비된다.
전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선형 에프피씨비(700)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에는 상기 결합부(510) 사이에 삽입되며 상기 직선형 에프피씨비(700)가 통과될 수 있는 제3 홀(801)이 형성된 에프피씨비 통로부(800)를 포함하며, 상기 직선형 에프피씨비(700)는 상기 제1 홀(301)과 제2 홀(201) 및 제3 홀(801)을 통과함으로써 상기 피씨비(302)와 상기 메인 피씨비(302)를 연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서 상기 에프피씨비 통로부(800)는, 상기 각 결합부(510)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몸체부(810)와, 상기 각 결합부(510)에 마련된 결합홈(511)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810)의 길이방향 양측 각 일면에 구비된 결합돌기(820) 및 상기 결합부(510)가 상기 힌지부(510)와 결합됨으로 인해 상기 몸체부(810)가 상기 제1 홀(301) 및 상기 제2 홀(201)과 대면되는 위치에 상기 몸체부(810)를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제3 홀(801)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3 홀(801)의 일측에는 상기 제3 홀(801)과 연결되는 제4 홀(831)이 형성된 고정부(830)가 구비되는데, 상기 고정부(830)는 상기 제1 홀(301)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810)가 상기 폴더부(300)에 대하여 회동하지 않도록 고정시키거나, 상기 제2 홀(201)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810)가 상기 본체부(200)에 대하여 회동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선형 에프피씨비(700)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폴더부(300)에 상기 제1 홀(301)이 포함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폴더부(300)가 상기 본체부(20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에프피씨비 통로부(800)의 일부가 수용되는 제2 수용홈(330)이 구비되거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구비되는 본체부(200)에 상기 제2 홀(201)이 포함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폴더부(300)가 상기 본체부(20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에프피씨비 통로부(800)의 일부가 수용되는 제3 수용홈(230)이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가지는 상기 제3 홀은, 상기 폴더부(300)가 상기 본체부(200)에 대하여 회동되는 각도만큼 더 개방되어 구비됨으로 인해 상기 폴더부(300)가 상기 본체부(200)에 대하여 회동함으로 인해 개폐될 때 상기 직선형 에프피씨비(700)가 상기 제1 홀(301)과 제2 홀(201) 및 제3 홀(801)을 통과함으로써 상기 피씨비(302)와 상기 메인 피씨비(302)를 연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직선형 에프피씨비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부와 본체부에 구비된 피씨비와 메인 피씨비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에프피씨비가 직선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폴더부가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회동하여 개폐됨에 있어 상기 에프피씨비에 가해지는 내부응력과 휨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전기적 신호를 처리하는 피씨비가 장착되는 폴더부와;
    상기 피씨비에 상기 전기적 신호를 제공하는 복수의 칩이 실장된 메인 피씨비가 장착되는 본체부와;
    상기 폴더부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에 돌출되게 구성되는 결합부와;
    상기 폴더부가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회동되는 각도만큼 더 개방되게 결합부에 형성되는 제1 홀과;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의 전면에 돌출되게 구성되며, 상기 결합부와 힌지결합되는 힌지결합장치가 구비되는 힌지부와;
    상기 결합부의 일부가 수용 가능하도록 상기 힌지부 사이에 구비되며, 제2 홀이 형성되는 수용홈과;
    상기 제1 홀과 상기 제2 홀을 통과하여 상기 피씨비와 상기 메인 피씨비를 전기적으로 연결가능하게 구성되는 직선 형상의 에프피씨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형 에프피씨비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홀은 상기 폴더부가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회동되는 각도만큼 더 개방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형 에프피씨비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5. 전기적 신호를 처리하는 피씨비가 장착되는 폴더부와;
    상기 피씨비에 상기 전기적 신호를 제공하는 복수의 칩이 실장된 메인 피씨비가 장착되는 본체부와;
    상기 폴더부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에 돌출되게 구성되며, 제1 홀이 형성되는 결합부와;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의 전면에 제2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홀의 양측에 돌출되게 구성되며, 상기 결합부와 힌지결합되는 힌지결합장치가 구비되는 힌지부와;
    상기 각 결합부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각 결합부에 마련된 결합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 양측 각 일면에 구비된 결합돌기와; 상기 제1 홀 및 제2 홀이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는 제3 홀과; 제1 홀 또는 제2 홀에 삽입되어 몸체부가 폴더부 또는 본체부에 대하여 회동하지 않도록 상기 제3 홀의 일측 위치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3 홀과 연결되도록 제4 홀이 구비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결합부 사이에 결합되는 에프피씨비 통로부와;
    상기 제1 홀과 제2 홀 및 제3 홀과 제4 홀을 통과하여 상기 피씨비와 상기 메인 피씨비를 전기적으로 연결가능하게 구성되는 직선 형상의 에프피씨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형 에프피씨비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폴더부는 상기 에프피씨비 통로부의 일부가 수용되는 제2 수용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형 에프피씨비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에프피씨비 통로부의 일부가 수용되는 제3 수용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형 에프피씨비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1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홀은 상기 폴더부가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회동되는 각도만큼 더 개방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형 에프피씨비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40115614A 2004-12-29 2004-12-29 직선형 에프피씨비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907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5614A KR100690755B1 (ko) 2004-12-29 2004-12-29 직선형 에프피씨비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CNB2005100806343A CN100536492C (zh) 2004-12-29 2005-07-04 一种具有直线型软性印刷电路板的移动通信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5614A KR100690755B1 (ko) 2004-12-29 2004-12-29 직선형 에프피씨비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6984A KR20060076984A (ko) 2006-07-05
KR100690755B1 true KR100690755B1 (ko) 2007-03-09

Family

ID=36818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5614A KR100690755B1 (ko) 2004-12-29 2004-12-29 직선형 에프피씨비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90755B1 (ko)
CN (1) CN100536492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682B1 (ko) * 2006-08-22 2013-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KR100861255B1 (ko) * 2007-06-19 2008-10-01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분할형 연결단자를 구비한 연성회로기판을 포함한휴대단말기
CN101722761B (zh) * 2008-10-23 2011-09-28 深圳市雄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本式证件的制作方法及设备
CN208523102U (zh) * 2018-07-18 2019-02-19 深圳光峰科技股份有限公司 柔性电路板固定装置以及电子装置
CN110337181B (zh) * 2019-08-14 2020-05-08 万诺电子(苏州)有限公司 一种电路板生产工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9419A (ko) * 2003-10-25 2005-04-29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평행한 두 개의 힌지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9419A (ko) * 2003-10-25 2005-04-29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평행한 두 개의 힌지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50039419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6984A (ko) 2006-07-05
CN100536492C (zh) 2009-09-02
CN1798175A (zh) 2006-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3536B1 (ko) 전자기기의 연성회로
KR100800677B1 (ko) 휴대 단말기의 다축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연결 부재
US20080125191A1 (en) Transformable Communication Device
US7734314B2 (en) Slim type portable terminal
JP2006344950A5 (ko)
KR20070118307A (ko) 다기능 전자 기기
KR100745572B1 (ko) 일체형 피씨비 모듈
KR100690755B1 (ko) 직선형 에프피씨비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72513B1 (ko) 바 타입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의 작동 방법
KR10109865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장치
KR100677301B1 (ko) 휴대용 단말기
KR100652687B1 (ko) 신호 연결장치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1051523B1 (ko)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결합장치
KR200174762Y1 (ko) 휴대폰의 카메라 렌즈 장착장치
KR100651496B1 (ko) 전자기기의 연성 회로
KR101153511B1 (ko) 호환 가능한 분리형 카메라 및 그에 따른 칩셋을 갖는이동통신 단말기
KR101139783B1 (ko) 착탈 가능한 폴더부를 갖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369496Y1 (ko) 휴대 단말기의 연성회로 고정 장치
KR100819277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
KR200321575Y1 (ko) 단말기 케이스 외측에 스피커가 구비된 무선통신 단말기
KR100810259B1 (ko) 힌지 암에 키패드를 구비하는 폴더형 단말기
KR100359075B1 (ko) 휴대 전화기의 통전장치
KR200365385Y1 (ko)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20063411A (ko) 폴더형 단말기에서 보드의 연결 장치
KR20060097183A (ko) 힌지부가 구비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fpcb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