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1523B1 -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결합장치 - Google Patents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1523B1
KR101051523B1 KR1020040101294A KR20040101294A KR101051523B1 KR 101051523 B1 KR101051523 B1 KR 101051523B1 KR 1020040101294 A KR1020040101294 A KR 1020040101294A KR 20040101294 A KR20040101294 A KR 20040101294A KR 101051523 B1 KR101051523 B1 KR 1010515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housing
fold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1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2449A (ko
Inventor
박민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1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1523B1/ko
Publication of KR20060062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24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1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15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수의 칩이 실장된 인쇄회로기판이 구비된 본체부와 화상표시장치 모듈이 구비된 폴더부를 힌지결합시킴과 동시에 상기 폴더부에 구비된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메인부에 구비된 인쇄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에프피씨비(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가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 힌지결합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조적인 개선 및 디자인상의 차별화를 꾀할 수 있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화상표시장치 모듈이 구비된 폴더부와 복수의 칩이 구비된 본체부를 결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결합장치에 있어서,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하여 회동되는 제2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을 상시 상호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은 그 내부에 상기 본체부와 상기 폴더부 사이의 전기적 신호를 연결하는 전기신호 연결장치가 통과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결합장치를 제공한다.
이동통신 단말기, 칩, FPCB, 힌지결합장치, 릴 스프링, 잠금장치

Description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결합장치{HINGE EQUIPMENT FOR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종래의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상태 및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힌지결합장치가 장착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힌지결합장치가 장착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부와 본체부간의 전기적 신호가 전달되는 구조를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4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결합장치가 장착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결합장치가 장착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힌지결합장치를 확대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 및 B-B'부분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결합장치가 장착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결합장치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잠금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8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동통신 단말기 200 : 본체부
201 : 피씨비 300 : 폴더부
301 : 피씨비 310 : 서브 엘씨디
400 : 배터리 410 : 잠금장치
500 : 힌지부 510 : 힌지
520 : 더미힌지 600 : 에프피씨비
610 : 제1 컨넥터 620 : 제2 컨넥터
700 : 힌지결합장치 710 : 제1 하우징
720 : 제2 하우징 730 : 탄성부재
731 : 릴 스프링 고정단 740 : 커버
800 : 잠금장치 810 : 제1 잠금장치
820 : 제2 잠금장치 C : 홀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수의 칩이 실장된 인쇄회로기판이 구비된 본체부와 화상표시장치 모듈이 구비된 폴더부를 힌지결합시킴과 동시에 상기 폴더부에 구비된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메인부에 구비된 인쇄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에프피씨비(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가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 힌지결합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조적인 개선 및 디자인상의 차별화를 꾀할 수 있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특정인과의 음성통화가 가능한 무선 통신장치로서, 특정 이동통신 단말기를 호출하기 위하여 수신자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유번호가 포함된 호출메시지를 기지국 호출채널을 통하여 송출한 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응답이 오는 경우에 송신자와 수신자 사이에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근래에 들어 그 기능에 있어서 많은 변화와 발전을 거듭해 왔는데, 단순히 전화의 송, 수신만이 가능했었던 초기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부터 게임 및 VOD(Video On Demand), 전자사전, MP3 플레이어, 사진촬영 등에 이르는 최신 기능의 구현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이르고 있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형태에 있어서는 바(Bar)형태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부터 플립형, 폴더형의 이동통신 단말기까지 개발되었고 근래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커버부가 슬라이딩 이동되어 개폐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가 개발되어 출시되고 있으나, 근래에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전술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종래의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상태 및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힌지결합장치가 장착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종래의 힌지결합장치가 장착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부와 본체부간의 전기적 신호가 전달되는 구조를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서브엘씨디(Sub-Liquid Crystal Display; Sub-LCD) 모듈(310) 및 메인엘씨디(Main-Liquid Crystal Display; Main-LCD) 모듈(미도시)과 같은 화상표시장치가 마련된 폴더부(300)와 다이얼링키 및 각종 기능키를 포함하는 키패드부(미도시)가 마련된 본체부(200)가 힌지결합부(500)에 의하여 결합되어 그 외관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본체부(200)에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연산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메인 칩셋(미도시)(Main Chipset)이 구비되는데, 상기 칩셋(미도시)은 상기 본체부(200)에 구비되는 피씨비(Printed Circuit Board; PCB)(201)에 실장된다.
그리고 상기 칩셋(미도시)이 실장된 피씨비(201)는 상기 본체부(200)를 구성하는 전면커버(미도시)와 후면커버(미도시) 사이에 구비된 고정부(미도시)에 나사(미도시) 등과 같은 고정수단에 의하여 결합됨으로써 고정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폴더부(300)에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상태를 출력하거나 각종 기능을 표현하는 엘씨디 모듈(310, 도 1참조)과 같은 화상표시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칩셋(미도시)이 설치되는데, 상기 칩셋(미도시)은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피씨비(301)상에 실장되고, 상기 피씨비(301)는 상기 폴더부(300)를 구성하는 전면커버(미도시)와 후면커버(미도시) 사이에 고정된 고정부(미도시)와 나사(미도시) 등과 같은 고정수단에 의하여 결합됨으로써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200)에 구비되는 피씨비(201)와 상기 폴더부(300)에 구비되는 피씨비(301)에는 상기 각각의 피씨비(201, 301)에 실장된 상기 각각의 칩셋(미도시)에서 출력되거나 상기 각각의 칩셋(미도시)으로 입력되는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신호 연결장치인 에프피씨비(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600)가 상기 각각의 피씨비(201, 301)상에 마련된 제1 및 제2 컨넥터(610, 620)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종래의 힌지연결부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200)와 폴더부(200)가 결합되는 부분의 일측에 상기 본체부(200)와 폴더부(30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힌지(500)를 장착하여 상기 폴더부(300)를 상기 본체부(200)에 대하여 열거나 닫을 때 사용성 및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200)와 폴더부(200)가 결합되는 부분의 타측에는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200)의 피씨비(201)와 폴더부(300)의 피씨 비(301)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상기 에프피씨비(600)의 연결통로로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에프피씨비(600)가 통과할 수 있는 더미힌지(520)를 장착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되는 종래의 힌지연결부는 상기 힌지연결부의 일측에 힌지(510)가 구비되고, 타측에 상기 더미힌지(520)가 구비되어 상기 에프피씨비(600)가 통과할 수 있는 연결통로로 사용하고 나머지 일측에 힌지결합장치(51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힌지(510)와 상기 에프피씨비(600)가 통과할 수 있는 연결통로가 별도로 마련됨으로 인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전체적인 구조상 공간적인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힌지(510)와 더미힌지(520)가 별도로 구비됨으로 인해 별도의 카메라 모듈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장착함에 있어 상기 비효율적인 공간배치로 인해 상기 별도의 부품을 장착함에 있어 효율적인 공간 활용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힌지결합장치(510)와 더미힌지(520)가 동시에 장착됨으로 인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힌지연결부의 추가적인 구성부품의 추가로 인하여 상기 힌지연결부의 구조변경이 필요할 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체적 디자인 변경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부와 폴더부를 힌지결합시킴과 동시에 상기 본체부 와 폴더부에 구비된 복수의 칩이 실장된 인쇄회로기판과 화상표시장치 등과 같은 기능부간의 전기적 신호를 연결하는 에프피씨비가 함께 통과할 수 있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결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힌지결합장치가 제공함으로 인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부의 크기가 간단해지고 여유 공간의 확보가 용이해짐으로 인해 상기 여유 공간에 별도의 카메라 모듈 또는 별도의 화상표시장치 등과 같은 별도의 추가구성부품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고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형적 디자인 변경이 용이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결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화상표시장치 모듈이 구비된 폴더부와 복수의 칩이 구비된 본체부를 결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결합장치에 있어서,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하여 회동되는 제2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을 상시 상호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은 그 내부에 상기 본체부와 상기 폴더부 사이의 전기적 신호를 연결하는 전기신호 연결장치가 통과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결합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부와 폴더부를 힌지결합시킴과 동시에 상기 본체부와 폴더부에 구비된 복수의 칩이 실장된 인쇄회로기판과 화상표시장치 등과 같은 기능부간의 전기적 신호를 연결하는 에프피씨비 가 함께 통과할 수 있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결합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힌지결합장치가 제공함으로 인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부의 크기가 간단해지고 여유 공간의 확보가 용이해짐으로 인해 상기 여유 공간에 별도의 카메라 모듈 또는 별도의 화상표시장치 등과 같은 별도의 추가구성부품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고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형적 디자인 변경이 용이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결합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결합장치가 장착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결합장치가 장착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결합장치(400)가 장착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별도로 구비되었던 힌지(510, 도 2참조)와 더미힌지(520, 도 2참조)를 하나의 모듈로 제공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100, 도 2참조)의 폴더부(300, 도 2참조)를 상기 본체부(200, 도 2참조)에 대하여 열거나 닫을 때 사용성 및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결합장치(400)가 장착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 도 2참조)의 본체부(200, 도 2참조) 에 구비된 피씨비(201, 도 2참조)와 폴더부(300, 도 2참조)에 구비된 피씨비(301, 도 2참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에프피씨비(600, 도 2참조)의 연결통로인 홀(C, 도 5참조)이 포함되어 형성된 구조를 제공한다.
여기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결합장치(400)가 장착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 5를 참조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도 4의 힌지결합장치를 확대도시한 평면도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결합장치(400)는 제1 하우징(710)과, 상기 제1 하우징(710)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제1 하우징(710)에 대하여 회동되는 제2 하우징(72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710, 720)의 내부에는 이동통신 단말기(100, 도 2참조)의 본체부(200, 도 2참조)와 폴더부(300, 도 2참조) 사이의 전기적 신호를 연결하는 전기신호 연결장치인 에프피씨비(600, 도 4참조)가 통과될 수 있는 홀(C)이 형성된다.
또한 전술한 제1 하우징(710)과 상기 제2 하우징(720)이 결합된 공간에는 상기 제1 하우징(710)과 상기 제2 하우징(720)을 상시 상호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73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730)는 상시 상기 제1 하우징(710)과 상기 제2 하우징(720)을 상호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 도 2참조)의 본체부(200, 도 2참조)와 폴더부(300, 도 2참조)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전술한 상기 탄성부재가 구비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결합장치(700)를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도 5의 A-A' 및 B-B'부분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결합장치는 그 내부에 홀(C)이 형성된 제1 하우징(710)에 역시 그 내부에 홀(C)이 형성된 제2 하우징(720)이 삽입되어 있고, 상기 제1 하우징(710)과 제2 하우징(720) 사이에는 제1 하우징(710)과 제2 하우징(720)을 상시 상호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73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탄성부재(730)는 그 일단이 상기 제1 하우징(710)에 마련된 결합부(731)에 의해 결합되고, 그 타단이 상기 제2 하우징(720)에 마련된 결합홈(721)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하우징(710)과 제2 하우징(720)을 상시 상호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구비된 탄성부재(730)는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감길 때 탄성력을 저장했다가 상기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풀릴 때 상기 저장되었던 탄성력을 방출하는 릴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결합장치에는 상기 제1 하우징(710)과 제2 하우징(720)을 상시 상호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종류의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결합장치에는 상기 구비된 탄성부재(730)가 상기 제1 하우징(710)과 제2 하우징(72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제1 하우징 (710)과 제2 하우징(720)의 측면부를 막을 수 있는 부재가 마련되는데, 상기 부재는, 상기 제1 하우징(710)과 제2 하우징(720)에 구비된 홀(C)의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의 홀(C)이 마련되는 커버(740)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결합장치가 장착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결합장치(700)는 상기 제1 하우징(710, 도 5참조)이 이동통신 단말기(100, 도 2참조)의 본체부(200)에 결합되고, 상기 제2 하우징(710, 도 5참조)이 폴더부(300)에 결합되어, 제1 하우징(710, 도 5참조)과 제2 하우징(710, 도 5참조)사이에 구비된 탄성부재(730, 도 5참조)의 탄성력으로 인해 상기 본체부(200)와 상기 폴더부(300)가 상시 개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결합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200)와 상기 폴더부(300)가 상시 개방될 수 있는 방향으로만 그 탄성력만을 제공하므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사용하지 않을 시 상기 상시 개방된 본체부(200)와 상기 폴더부(300)가 닫혀 있게 하기 위하여 별도의 잠금장치(800)가 제공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결합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상기 잠금장치(800)는 상기 탄성부재(730)에서 제공되는 탄성력으로 인해 상기 폴더부(300)와 상기 본체부(200)가 개방되지 않도록 상기 본체부(200)와 상기 폴더부(300)를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잠금장치(800)를 도 8 및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결합장치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잠금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8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잠금장치(800)는 상기 본체부(200)에 구비되는 제1 잠금장치(810)와 상기 폴더부(300)에 구비되는 제2 잠금장치(820)로 구분되며, 상기 제1 잠금장치(810)는 상기 본체부(200)에 구비되며 고리형상의 래치(811)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잠금장치(820)는 상기 폴더부(300)에 구비되며 상기 래치(811)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래치 홈(820)으로 구성된 제2 잠금장치(8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잠금장치(810)로서 고리형상의 래치(811)가 상기 본체부(200)에 구비되고, 래치 홈(820)이 상기 폴더부(300)에 구비된다고 하였으나, 그와는 반대로 상기 폴더부(300)에 고리형상의 래치(811)가 구비되고, 래치 홈(820)이 상기 본체부(200)에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810)는 상기 래치(811)가 상기 래치 홈(820)에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결합장치에 구비된 탄성부재(730)에서 제공되는 탄성력으로 인해 상기 폴더부(300)와 상기 본체부(200)가 개방되지 않도록 상기 본체부(200)와 상기 폴더부(300)를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 도 7참조)를 사용할 때에는 상기 래치(811)에 구비된 스위치(812)를 누름으로 인해 상기 래치(811)가 상기 래치 홈(820)에서 빠져나와 상기 결합되어 있던 상기 본체부(200)와 상기 폴더부가 분리되고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결합장치에 구비된 탄성부재(730)에서 제공되는 탄성력으로 인해 상기 폴더부(300)와 상기 본체부(200)가 개방된다.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잠금장치(800)는 상기 본체부(200)에 구비되는 소정의 극성을 가지는 제1 자석(810)과, 상기 폴더부(300)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자석(810)과 극성을 달리하는 제2 자석(820)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810)는 제1 자석(810)과, 상기 폴더부(300)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자석(810)과 극성을 달리하는 제2 자석(820)의 상호 다른 극성으로 인해 상기 본체부(200)와 상기 폴더부가 고정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결합장치에 구비된 탄성부재(730)에서 제공되는 탄성력으로 인해 상기 폴더부(300)와 상기 본체부(200)가 개방되지 않도록 상기 본체부(200)와 상기 폴더부(300)를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 도 7참조)를 사용할 때에는 상기 제1 자석(810)과 극성을 달리하는 제2 자석(820)을 사용자가 임의로 분리함으로 인해 상기 본체부(200)와 상기 폴더부가 분리되고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결합장치에 구비된 탄성부재(730)에서 제공되는 탄성력으로 인해 상기 폴더부(300)와 상기 본체부(200)가 개방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결합장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부와 폴더부를 힌지결합시킴과 동시에 상기 본체부와 폴더부에 구비된 복수의 칩이 실장된 인쇄회로기판과 화상표시장치 등과 같은 기능부간의 전기적 신호를 연결하는 에프피씨비가 함께 통과할 수 있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결합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힌지결합장치가 제공함으로 인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부의 크기가 간단해지고 여유 공간의 확보가 용이해짐으로 인해 상기 여유 공간에 별도의 카메라 모듈 또는 별도의 화상표시장치 등과 같은 별도의 추가구성부품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고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형적 디자인 변경이 용이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결합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화상표시장치 모듈이 구비된 폴더부와 복수의 칩이 구비된 본체부를 결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결합장치에 있어서,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하여 회동되는 제2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을 상시 상호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은 그 내부에 상기 본체부와 상기 폴더부 사이의 전기적 신호를 연결하는 전기신호 연결장치가 통과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결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그 일단이 상기 제1 하우징에 결합되고, 그 타단이 상기 제2 하우징에 결합되는 릴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결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의 일 측면에는 상기 탄성부재가 이탈되지 못하도록 상기 홀의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의 홀이 마련된 커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결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폴더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결합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및 상기 폴더부에는 상기 탄성부재에서 제공되는 상기 회전력으로 인해 상기 폴더부와 상기 본체부가 개방되지 않도록 상기 본체부와 상기 폴더부를 결합시키는 잠금장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결합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며 고리형상의 래치로 구성된 제1 잠금장치와, 상기 폴더부에 구비되며 상기 래치가 삽입, 고정될 수 있는 래치 홈으로 구성된 제2 잠금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결합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폴더부에 구비되며 고리형상의 래치로 구성된 제2 잠금장치와,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며 상기 래치가 삽입, 고정될 수 있는 래치 홈으로 구성된 제1 잠금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결합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며 소정의 극성을 가지는 제1 자석으로 구성된 제1 잠금장치와, 상기 폴더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자석과 극성을 달리하는 제2 자석으로 구성된 제2 잠금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결합장치.
  9. 화상표시장치 모듈이 구비된 폴더부;
    복수의 칩이 구비된 본체부; 및
    상기 폴더부 및 본체부를 결합하며,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힌지결합장치를 포함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40101294A 2004-12-03 2004-12-03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결합장치 KR1010515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1294A KR101051523B1 (ko) 2004-12-03 2004-12-03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결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1294A KR101051523B1 (ko) 2004-12-03 2004-12-03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결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2449A KR20060062449A (ko) 2006-06-12
KR101051523B1 true KR101051523B1 (ko) 2011-07-22

Family

ID=37158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1294A KR101051523B1 (ko) 2004-12-03 2004-12-03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결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152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3059A (ja) * 1997-07-30 1999-02-26 Canon Inc 電子機器
JP2004178852A (ja) * 2002-11-25 2004-06-24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ヒンジコネクタ及び機器のヒンジ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3059A (ja) * 1997-07-30 1999-02-26 Canon Inc 電子機器
JP2004178852A (ja) * 2002-11-25 2004-06-24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ヒンジコネクタ及び機器のヒンジ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2449A (ko) 2006-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8618B1 (ko) 복합 개폐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78082B1 (ko) 폴더 타입 휴대폰에서 메인 보드와 엘씨디 모듈간의연결장치
KR100703466B1 (ko) 슬림형 휴대 단말기
KR20060102723A (ko) 다방향으로 촬영되는 카메라 렌즈 모듈을 구비한 휴대단말기
KR100741285B1 (ko) 이동통신 단말기
JP4566181B2 (ja) 折り畳み式ヒンジ装置及び折り畳み式ヒンジ装置を用いた個人携帯端末
KR10074436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인쇄회로기판
KR101051523B1 (ko)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결합장치
KR100690755B1 (ko) 직선형 에프피씨비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724919B1 (ko) 휴대용 단말기
KR10109865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장치
KR100652687B1 (ko) 신호 연결장치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365797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단말기
KR100747457B1 (ko) 슬라이드 및 스윙 개폐장치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070105107A (ko) 손목 착용 타입 휴대용 단말기
KR101153511B1 (ko) 호환 가능한 분리형 카메라 및 그에 따른 칩셋을 갖는이동통신 단말기
JP4239441B2 (ja) 電子機器
KR20020078373A (ko) 삼중 폴더형 단말기
KR200369496Y1 (ko) 휴대 단말기의 연성회로 고정 장치
KR100819277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
KR20060134752A (ko) 복합개폐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89535B1 (ko) 멀티미디어용 휴대 통신 장치
KR100651538B1 (ko) 휴대용 단말기
KR100651496B1 (ko) 전자기기의 연성 회로
KR101139783B1 (ko) 착탈 가능한 폴더부를 갖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