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5385Y1 -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5385Y1
KR200365385Y1 KR20-2004-0020530U KR20040020530U KR200365385Y1 KR 200365385 Y1 KR200365385 Y1 KR 200365385Y1 KR 20040020530 U KR20040020530 U KR 20040020530U KR 200365385 Y1 KR200365385 Y1 KR 2003653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horizontal
coupler
vertical
coupl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05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복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205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53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53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538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22Foldable in two directions, i.e. using a two degree of freedom hi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와 기능키를 전면에 구비하고, 상부 일측 끝단에는 일정부분이 절개되어 제 1수평힌지 결합부를 구비한 본체와; 일면에는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액정화면이 구비되고, 하부 중앙에는 제 1수직힌지 결합부가 형성된 폴더와; 상기 본체의 제 1수평힌지 결합부에 회동 가능하게 안착되도록 몸체의 하단 일측에는 상기 제 1수평힌지 결합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 2수평힌지 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폴더의 제 1수직힌지 결합부가 회동 가능하게 안착되도록 몸체의 전면 양측 끝단에는 제 2수직힌지 결합부가 구비된 힌지모듈과; 상기 제 1수직힌지 결합부와 제 2수직힌지 결합부 사이에 설치되어 제 1수직힌지 결합부와 제 2수직힌지 결합부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수직힌지 및; 상기 제 1수평힌지 결합부와 제 2수평힌지 결합부 사이에 설치되어 제 1수평힌지 결합부와 제 2수평힌지 결합부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수평힌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폴더가 수직방향은 물론, 수평방향으로까지 개폐가 가능하게 됨은 물론, 수평방향으로의 잦은 여닫음에 따라 발생되는 취약성을 보완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고안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본체에 결합되는 폴더를 수직방향은 물론, 수평방향까지 개폐를 가능하도록 하여 다양한 멀티미디어의 기능을 보다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힘입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이 점차 확대되어 문자 메시지 및 각종 정보 전송은 물론이고, 인터넷 접속도 가능하며 화상통화나 화상정보의 전송도 가능하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급이 널리 일반화 되고,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상용화됨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와 관련된 소비자들의 요구도 더욱 다양화 되어 가고 있음은 물론, 그 형태에 있어서도 매우 다양한 종류의 단말기들이 등장하고 있다.
그 중에서 크기도 작고 무게도 가벼워 휴대하기 간편하며, 타 기종에 비해 큰 액정화면으로 많은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힌지를 매개로 하여 수직방향으로만 개폐가 가능하고, 액정화면 또한 세로방향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이용하기에는 많은 불편함이 따르게 된다. 즉, 소프트웨어에서 와이드 뷰(Wide View)를 지원한다고 하더라도 단말기를 옆으로 위치시킨뒤, 화면을 보아야하는 구조적인 단점이 있으며, 옆으로 위치시킨다 하더라도 안정적인 화면위치가 불가능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345396호에서와 같이 본체로부터 폴더가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개폐되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개폐 가능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는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가 수직방향으로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b는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가 수평방향으로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가 수평방향으로 개방되기 위한 힌지부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의 도시와 같이 종래의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개폐 가능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본체(20)와, 폴더(30) 및, 상기 본체(20)의 상면에 마련되는 힌지결합용 판부재(52)와 상기 판부재(52)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판부재(52)를 매개로 상기 폴더(30)를 수평방향으로 개폐 가능하게 하는 제 1힌지부(54)와 상기 판부재(52)의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폴더(30)를 수직방향으로 개폐 가능하게 하는 제 2힌지부(56)로 구성되는 힌지장치(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본체(20)로부터 폴더(30)를 수직방향은 물론 수평방향으로 개폐시키기 위한 힌지결합용 판부재(52)가 단지 본체(20)의 상부에 얻혀져 돌출되는 상태로 위치하고, 또한 제 1힌지부(54)에만 의존하여 본체(20)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수직방향이나 수평방향으로 폴더(30)의 잦은 여닫음에 따라 본체(20)로부터 들뜸 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 1힌지부(54)에 응력이 집중하게 되어 결국 구조적으로 내구성 악화 및 신뢰성확보 측면에서 아주 취약하다는 결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개폐 가능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가 지닌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독립적으로 구성되는 힌지모듈에 의해 본체로부터 폴더가 수직방향으로 개폐되는 것은 물론, 수평방향으로의 개폐까지 가능하게 하여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기능을 보다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본체와 힌지모듈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수평힌지에 다수의 고정편을 형성하고, 본체와 힌지모듈에는 상기 고정편을 포함하는 수평힌지가 삽입 가능한 홈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본체와, 힌지모듈에 결합되는 수평힌지에 대한 견고한 결합에 의해 종래의 취약점을 개선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본체의 후면에 카메라 모듈을 장착하여 타인의 촬영은 물론, 자기 자신의 모습까지 용이하게 촬영 가능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a은 종래의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개폐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가 수직으로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b는 종래의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개폐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가 수평방향으로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가 수평방향으로 개방되기 위한 힌지부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가 닫힌 상태의 전면 및 후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되는 수평힌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보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모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7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가 수직방향으로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가 수평방향으로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가 양방향으로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면중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A - 이동통신 단말기 100 - 본체
115 - 단턱부 120 - 제 1수평힌지 결합부
130 - 카메라 모듈 140 - 플래시
200 - 폴더 220 - 제 1수직힌지 결합부
222a - 인출공 300 - 힌지모듈
310 - 몸체 320 - 제 2수직힌지 결합부
330 - 제 2수평힌지 결합부 120a,330a - 케이블 인출로
400 - 수직힌지 410 - 제 1수직힌지 결합구
420 - 제 2수직힌지 결합구 500 - 수평힌지
510 - 제 1수평힌지 결합구 520 - 제 2수평힌지 결합구
이러한 본 고안은 본체로부터 폴더가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개폐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와 기능키를 전면에 구비하고, 상부 일측 끝단에는 일정부분이 절개되어 제 1수평힌지 결합부를 구비한본체; 일면에는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액정화면이 구비되고, 하부 중앙에는 제 1수직힌지 결합부가 형성된 폴더; 상기 본체의 제 1수평힌지 결합부에 회동 가능하게 안착되도록 몸체의 하단 일측에는 상기 제 1수평힌지 결합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 2수평힌지 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폴더의 제 1수직힌지 결합부가 회동 가능하게 안착되도록 몸체의 전면 양측 끝단에는 제 2수직힌지 결합부가 구비된 힌지모듈; 상기 제 1수직힌지 결합부와 제 2수직힌지 결합부 사이에 설치되어 제 1수직힌지 결합부와 제 2수직힌지 결합부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수직힌지 및; 상기 제 1수평힌지 결합부와 제 2수평힌지 결합부 사이에 설치되어 제 1수평힌지 결합부와 제 2수평힌지 결합부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수평힌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가 닫힌 상태의 전면 및 후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되는 수평힌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보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모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의 도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A)는 크게 본체(100)와, 폴더(200)와, 상기 본체(100)로부터 폴더(200)가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개폐 가능하게 하기 위한 힌지모듈(300)과, 상기 힌지모듈(300)과 폴더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수직힌지(400) 및, 상기 힌지모듈(300)과 본체(100)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수평힌지(500)로 구성된다.
본체(100)는 일면에 신호발생 및 정보입력을 위한 다수의 키패드(111)와 기능키(112)를 전면에 구비하고, 하단 중앙에는 음성을 입력하는 송화부(113)가 구비되며, 후면에는 단말기의 전원공급을 위한 배터리(114)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의 상단 전면측으로는 본체(100)의 두께에서 일정 깊이로 단턱부(115)가 형성되고, 일측 끝단에는 일정부분이 절개되어 제 1수평힌지 결합부(120)를 구비한다.
상기 제 1수평힌지 결합부(120)는 후술될 수평힌지(500)의 제 1수평힌지 결합구(510)가 결합되기 위한 홈 형태로, 내부에는 본체(100)의 내부와 연통되는 케이블 인출로(120a)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한편, 상기 본체(100)의 후면 상단 중앙에는 외부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130)이 장착되며, 그 인접 위치로는 야간이나, 어두운 장소에서도 촬영이 가능하도록 플래시(140)가 장착될 수 있다.
폴더(200)는 본체(100)와 대략 비슷한 형태를 유지하며, 일면에는 서브 액정화면(211)이 구비되고, 단말기가 접혀진 상태에서 본체(100)와 맞닿는 폴더(200)의 배면에는 메인 액정화면(212)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메인 액정화면(212)의 상단 중앙부분과, 하단 중앙 부분에는 동일한 형태와 크기를 갖는 한조의 수화부(213)(213')가 구비된다. 즉, 메인 액정화면(212)을 와이드 화면으로 보기 위하여 폴더(200)를 수평방향으로 개방 하였을때, 메인 액정화면(212)의 양측에 수화부(213)(213')가 배치되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멀티미디어 기능의 이용시, 스테레오 사운드의 입체 음향을 느끼며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폴더(200)의 하부 중앙에는 일정부분 하측으로 돌출된 제 1수직힌지 결합부(220)가 구비된다. 상기 제 1수직힌지 결합부(220)는 선단이 만곡된 호형면을 이루고 일측에는 제 1힌지홈(221)이 구비되며, 타측으로는 상기 제 1힌지홈(221)과 동일한 중심축을 갖으며 폴더(200)의 회전축 역할을 하는 더미힌지(22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더미힌지(222)는 내부에 폴더(200)의 내부와 연통된 인출공(222a)을 구비하여 폴더(200) 내부의 케이블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본체(100)와 폴더(200)를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힌지모듈(300)이 독립적으로 구성된다.
힌지모듈(300)은 본체(100)의 폭과 동일한 길이를 갖으며, 본체(100)의 단턱부(115) 내에 수납 가능한 두께의 판체형으로 형성되는 몸체(310)와, 상기 몸체(310)의 전면 양측 끝단에 구비되는 한조의 제 2수직힌지 결합부(320) 및, 상기 몸체(310)의 일측 끝단에 구비되는 제 2수평힌지 결합부(330)로 구분된다.
상기 제 2수직힌지 결합부(320)는 폴더(200)의 제 1수직힌지 결합부(220)가 결합되도록 몸체(310)의 양측 끝단에 서로 대향 형성되는 한조의힌지너클(321)(321')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힌지너클(321)(321')의 내부에는 상기 제 1수직힌지 결합부(220)의 제 1힌지홈(221)과, 더미힌지(222)에 대응되는 부분에 각각 제 2힌지홈(321a)과, 삽입공(321a')이 구비된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폴더(200)에 더미힌지(222)가 형성되고 힌지모듈(300)에 삽입공(321a')이 구비된 상태를 도시하였지만, 이와 반대로 폴더(200)에 삽입공이 구비되고, 힌지모듈에는 더미힌지가 형성되어도 무방함을 밝혀둔다.
상기 제 2수평힌지 결합부(330)는 후술될 수평힌지(500)의 제 2수평힌지 결합구(520)가 결합되기 위한 홈 형태로, 내부에는 폴더(200)의 더미힌지(222)에 구비되어 있는 인출공(222a)과 연결되도록 케이블 인출로(330a)가 구비되어 제 2수평힌지 결합부(330)를 형성한다.
한편, 폴더(200)의 제 1수직힌지 결합부(220)와, 힌지모듈(300)의 제 2수직힌지 결합부(320)가 서로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 1수직힌지 결합부(220)와, 제 2수직힌지 결합부(320) 사이에는 수직힌지(400)가 장착된다.
수직힌지(400)는, 제 1수직힌지 결합부(220)에 구비된 제 1힌지홈(221)에 삽입 가능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 1수직힌지 결합구(410)와, 제 2수직힌지 결합부(320)에 구비되어 있는 제 2힌지홈(321a)에 삽입 가능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 2수직힌지 결합구(420)로 구성되고, 상기 제 1수직힌지 결합구(410)와, 제 2수직힌지 결합구(420)가 동일한 회전축으로 각개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회동되면서 폴더(200)를 개방하거나 닫히게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체(100)의 제 1수평힌지 결합부(120)와, 힌지모듈(300)의 제 2수평힌지 결합부(330)가 서로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 1수평힌지 결합부(120)와, 제 2수평힌지 결합부(330) 사이에는 수평힌지(500)가 장착된다.
수평힌지(500)는, 전술한 수직힌지(400)와 같이 동일한 회전축으로 각개 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본체(100)의 제 1수평힌지 결합부(120)에 삽입되는 제 1수평힌지 결합구(510)와, 상기 힌지모듈(300)의 제 2수평힌지 결합부(330)에 삽입되는 제 2수평힌지 결합구(520) 및, 상기 제 1수평힌지 결합구(510)와, 제 2수평힌지 결합구(520) 사이에 개재되어 제 1수평힌지 결합구(510)와, 제 2수평힌지 결합구(520)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5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 1수평힌지 결합구(510)는 원통형의 제 1몸체(511)와, 상기 제 1몸체(511)의 외주면 임의 위치에 형성되며, 일정 부분 외부로 연장된 한조의 제 1고정편(512)으로 이루어지고, 제 2수평힌지 결합구(520)는 상기 제 1수평힌지 결합구(510)의 제 1몸체(511)보다 큰 직경 갖고, 상기 제 1수평힌지 결합구(510)의 제 1몸체(511)에 끼워지는 원통형의 제 2몸체(521)와, 상기 제 2몸체(521)의 외주면 임의 위치에 형성되며, 일정 부분 외부로 연장된 한조의 제 2고정편(522)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 1몸체(511)와, 제 2몸체(521)의 내부는 힌지모듈(300)의 케이블 인출로(330a)를 통하여 인출되는 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는 통로를 확보하기 위하여 관통된다.
또한, 상기 제 1수평힌지 결합부(510)와, 제 2수평힌지 결합부(520)의 외주면에 구비되어있는 제 1고정편(512)과 제 2고정편(522)은, 제 1수평힌지 결합구(510)의 제 1몸체(511)와, 제 2수평힌지 결합구(520)의 제 2몸체(521)가 제 1수평힌지 결합부(120)와, 제 2수평힌지 결합부(330) 내에 삽입되었을 때, 제 1수평힌지 결합부(120)와, 제 2수평힌지 결합부(330) 내에서 임의 회동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수평힌지(500)에 물리적인 힘이 작용했을 경우, 가해지는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외주면에 한조의 제 1고정편(512)과, 제2고정편(522)을 구비함으로써, 본체(100)와 힌지모듈(300)에 대한 수평힌지(500)의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 있게 되며, 이러한 제 1고정편(512)과, 제 2고정편(522)은 일정 형태를 특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체(100)와 힌지모듈(300)에 구비된 제 1수평힌지 결합부(120)와, 제 2수평힌지 결합부(330)의 형태에 따라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제 1고정편(512)과, 제 2고정편(522)이 구비된 제 1수평힌지 결합구(510)와, 제 2수평힌지 결합구(520)가 본체(100)와 힌지모듈(300)의 제 1수평힌지 결합부(120)와, 제 2수평힌지 결합부(330)에 각각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제 1수평힌지 결합부(120)와, 제 2수평힌지 결합부(330)에는 각각 제 1고정편(512)과 제 2고정편(522)에 대응되는 형태의 홈이 구비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수직힌지 결합부(220)와, 제 2수직힌지 결합부(320)를 연결하는 수직힌지(400)와, 제 1수평힌지 결합부(120)와 제 2수평힌지 결합부(330)를 연결하는 수평힌지(500)는 그 형태와 구성은 다르지만,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회동되면서 폴더(200)를 개방하거나 닫히게 하는 것으로, 이러한 방식의 수직힌지(400)와, 수평힌지(500)는 일정 주기의 각도를 갖고 고정되는 클릭힌지 방식이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다양한 각도로 설정할 수 있는 프리스톱(Free-Stop)힌지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클릭힌지 방식과, 프리스톱힌지 방식은 이미 종래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내부 구조 및 동작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본체(100)에 힌지모듈(300)을 통하여 결합되는 폴더(200)는 수직방향으로의 개폐는 물론, 수평방향으로까지의 개폐가 가능하게 되며, 폴더(200)의 내부에서 인출되는 케이블은 폴더(200)의 더미힌지(222)에 구비되어 있는 인출공(222a)과, 본체(100)와 힌지모듈(300)의 제 1수평힌지 결합부(120)와, 제 2수평힌지 결합부(330)에 구비되어 있는 케이블 인출로(120a)(330a) 및, 수평힌지(500)의 내부를 통로로 하여 본체(100)와 결합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가 수직방향으로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가 수평방향으로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먼저, 사용자가 전화통화를 하기 위해서는 도 6의 도시와 같이 폴더(200)를 수직방향으로 개방하여 메인 액정화면(212)의 정보를 확인한다. 이때, 메인 액정화면(212)은 세로방향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키패드(111)와 송,수화부(113),(213)가 노출된 상태에서 키패드를 이용하여 신호를 입력할 수 있고, 송,수화부(113),(213)를 통하여 전화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도 7의 도시와 같이 폴더(200)가 본체(100)에 닫힌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개방한다.
이와 같이 폴더(200)를 본체(100)로 부터 수평방향으로 개방하게 되면, 메인 액정화면(212)은 가로 방향인 와이드 화면으로 배치되고, 상기 액정화면(212)의 상,하단 중앙에 각각 위치하던 한조의 수화부(213)(213')는 메인 액정화면(212)의 양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와이드 화면으로 배치된 액정화면(212)을 안정적인 구도로 바라보면서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가 양방향으로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A)는 상대방은 물론, 자기 자신의 모습까지 간편하게 촬영할 수 있다.
즉, 카메라 모듈(130)이 본체(100)의 후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대방이나, 기타 주변 사물을 촬영할 때에는 폴더(200)를 개방하여 메인 액정화면(212)을 바라보면서 촬영하게 되고, 자기 자신의 모습을 촬영하고자 할 경우에는 폴더(200)가 수직 방향이나, 수평방향으로 개방된 상태에 관계없이 폴더(200)를 양쪽(수직, 수평)방향으로 개방하게 되면, 본체(100)의 후면에 구비되어 있는 카메라 모듈(130)과 폴더(200)의 전면에 배치되어 있는 메인 액정화면(212)의 출력방향이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메인 액정화면(212)을 바라보면서 자기 자신의 모습을 촬영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하면, 독립적으로 구성되는 힌지모듈에 의해 폴더가 수직방향은 물론, 수평방향으로까지 개폐가 가능하게 되어 동영상, 전자수첩 등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의 이용시 와이드 화면으로 이용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폴더를 양방향으로 개방하였을 때 카메라 모듈과 액정화면의 출력방향이 동일하게 배치되어 본인 자신의 모습까지 촬영이 가능하게 됨은 물론, 수평힌지에 구비된 다수의 고정편에 의해 본체와 힌지모듈에 대한 수평힌지의 결합력이 한층 강화되는 등의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1)

  1. 본체로부터 폴더가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개폐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와 기능키를 전면에 구비하고, 상부 일측 끝단에는 일정부분이 절개되어 제 1수평힌지 결합부를 구비한 본체;
    일면에는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액정화면이 구비되고, 하부 중앙에는 제 1수직힌지 결합부가 형성된 폴더;
    상기 본체의 제 1수평힌지 결합부에 회동 가능하게 안착되도록 몸체의 하단 일측에는 상기 제 1수평힌지 결합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 2수평힌지 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폴더의 제 1수직힌지 결합부가 회동 가능하게 안착되도록 몸체의 전면 양측 끝단에는 제 2수직힌지 결합부가 구비된 힌지모듈;
    상기 제 1수직힌지 결합부와 제 2수직힌지 결합부 사이에 설치되어 제 1수직힌지 결합부와 제 2수직힌지 결합부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수직힌지 및;
    상기 제 1수평힌지 결합부와 제 2수평힌지 결합부 사이에 설치되어 제 1수평힌지 결합부와 제 2수평힌지 결합부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수평힌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힌지는,
    폴더의 제 1수직힌지 결합부에 구비된 제 1힌지홈에 삽입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제 1수직힌지 결합구와, 힌지모듈의 제 2수직힌지 결합부에 구비되어 있는 제 2힌지홈에 삽입 가능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 2수직힌지 결합구로 구성되고, 상기 제 1수직힌지 결합구와 제 2수직힌지 결합구가 동일한 회전축으로 각개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며, 일정 주기의 각도를 갖고 고정되는 클릭힌지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힌지는,
    폴더의 제 1수직힌지 결합부에 구비된 제 1힌지홈에 삽입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제 1수직힌지 결합구와, 힌지모듈의 제 2수직힌지 결합부에 구비되어 있는 제 2힌지홈에 삽입 가능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 2수직힌지 결합구로 구성되고, 상기 제 1수직힌지 결합구와 제 2수직힌지 결합구가 동일한 회전축으로 각개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다양한 각도로 설정할 수 있는 프리스톱(Free-Stop)힌지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힌지는,
    본체의 제 1수평힌지 결합부에 삽입 가능한 형태로 내부가 관통된 원통형의 제 1몸체와, 상기 제 1몸체의 외주면 임의 위치에서 일정부분 외부로 연장된 한조의 제 1고정편으로 이루어지는 제 1수평힌지 결합구와;
    상기 제 1수평힌지 결합구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힌지모듈의 제 2수평힌지 결합부에 삽입 가능한 형태로 내부가 관통된 원통형의 제 2몸체와, 상기 제 2몸체의 외주면 임의 위치에서 일정부분 외부로 연장된 한조의 제 1고정편고정편고정편는 제 2수평힌지 결합구 및;
    상기 제 1수평힌지 결합구와 제 2수평힌지 결합구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힌지는,
    제 1수평힌지 결합구와 제 2수평힌지 결합구가 동일한 회전축으로 각개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며, 일정 주기의 각도를 갖고 고정되는 클릭힌지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힌지는,
    제 1수평힌지 결합구와 제 2수평힌지 결합구가 동일한 회전축으로 각개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다양한 각도로 설정할 수 있는 프리스톱(Free-Stop)힌지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7. 제 1항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제 1수평힌지 결합부에는 본체 내부와 연통된 케이블인출로를 포함하며, 표면에는 상기 제 1수평힌지 결합구가 삽입 가능한 홈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힌지모듈의 제 2수평힌지 결합부는 힌지모듈 내부와 연통된 케이블 인출로를 포함하며, 표면에는 상기 제 2수평힌지 결합구가 삽입 가능한 홈 형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8. 제 1항에 있어서,
    본체의 상단 전면에는 힌지모듈의 몸체가 수납되는 단턱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후면 상단 중앙에는 외부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의 인접위치로는 야간이나 어두운 곳에서도 촬영이 가능하도록 플래시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더의 상단 중앙과 하단 중앙에는 동일한 형태와 크기를 갖는 한조의 수화부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2004-0020530U 2004-07-19 2004-07-19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3653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0530U KR200365385Y1 (ko) 2004-07-19 2004-07-19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0530U KR200365385Y1 (ko) 2004-07-19 2004-07-19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5385Y1 true KR200365385Y1 (ko) 2004-10-22

Family

ID=49439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0530U KR200365385Y1 (ko) 2004-07-19 2004-07-19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538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4965B1 (ko) 폴더가 닫힌 상태에서 카메라 렌즈 개방수단을 구비한휴대용 통신장치
US7386282B2 (en)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KR100651410B1 (ko) 2-웨이 폴더형 단말기
KR100672513B1 (ko) 바 타입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의 작동 방법
EP1501261A2 (en) Dual-speaker folder type portable terminal
KR200365385Y1 (ko)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90755B1 (ko) 직선형 에프피씨비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575935B1 (ko) 이축 회전방식 휴대용 단말기
KR100764406B1 (ko) 동화상 통신용 단말기
KR20080023898A (ko) 멀티미디어용 이동 통신 단말기
JP2003283618A (ja) カメラ付き携帯情報端末装置
KR200365384Y1 (ko)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0494653B1 (ko) 중앙 회전식 이동 통신 단말기
KR20060014567A (ko)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058434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팝 업 타입 스피커/마이크 장치
KR100592182B1 (ko) 360도 회전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39507B1 (ko) 더블 폴더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474037B1 (ko) 회전형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폰
KR100819277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
KR100464633B1 (ko) 경사형 폴더 휴대폰
KR100442659B1 (ko) 스테레오 사운드를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0536395B1 (ko) 카메라가 구비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0564018B1 (ko) 카메라가 장착된 슬라이드형 휴대폰
KR20060007297A (ko)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376790Y1 (ko) 상하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