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4633B1 - 경사형 폴더 휴대폰 - Google Patents

경사형 폴더 휴대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4633B1
KR100464633B1 KR10-2002-0011718A KR20020011718A KR100464633B1 KR 100464633 B1 KR100464633 B1 KR 100464633B1 KR 20020011718 A KR20020011718 A KR 20020011718A KR 100464633 B1 KR100464633 B1 KR 100464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over
diagonal
hinge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1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5144A (ko
Inventor
우중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지털웨이
우중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지털웨이, 우중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지털웨이
Priority to KR10-2002-0011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4633B1/ko
Publication of KR20020025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51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4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46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사형 폴더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서, 전면에 숫자 또는 문자 또는 조작 메뉴얼의 신호를 선택적으로 입력시킬 수 있도록 다수개의 신호입력버튼을 가진 키패드부와, 사용자의 통화음을 상대방에게 송신하는 송신부가 마련된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전면 대각선에 대응되는 상측 모서리측에 힌지 결합되며, 전면에 통화정보 또는 문자 메세지 또는 소정 화상을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전면에 대응되는 크기로 마련된 디스플레이부와, 상대방의 통화음을 수신하는 수신부가 마련된 커버; 및 상기 커버를 본체의 전면 대각선 방향을 따라 회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전면 대각선 상에 대응하는 상측 모서리측에 마련된 힌지부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경사형 폴더 휴대폰 {Foldering cellular-phone of oblique type}
본 발명은 경사형 폴더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커버를 펼친 경우 그 커버의 전면에 마련된 디스플레이부를 세로 방향의 길이 보다 가로 방향의 길이가 긴 종횡비로 노출시킬 수 있도록 커버를 본체의 대각선 방향으로 경사지게 회동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 경사형 폴더 휴대폰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휴대폰은 정보통신 산업의 발전에 따른 이동통신 사용인구의 증가와 더불어 그 증가 추세가 날로 급등하여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현대인이라면 필수품이 되다시피 하였다. 이와 같은 휴대폰의 종류로는 크게 플립형 휴대폰과, 폴더형 휴대폰으로 구분된다.
이중, 폴더형 휴대폰은 그 크기가 작고 무게가 가벼워 휴대성이 용이하기 때문에, 이동통신 시장에서 가장 인기 있는 기종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이동통신 업계에서는 초슬립화 및 초경량화를 위해 다각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폴더형 휴대폰은, 본체와, 본체의 상단에 마련된 힌지부를 중심으로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개폐되는 커버를 구비한다. 그리고, 커버를 들어 올려 펼쳤을 때 외부로 노출되는 본체의 전면에는, 숫자나 문자 등을 입력시키기 위한 키패드부가 마련되며, 커버의 전면에는 날짜 및 시간 등의 기본 정보나 문자 메시지 등을 표시하기 위한 액정 디스플레이부가 마련된다. 이러한 휴대폰을 단순히 소지하거나 보관하고자 할 때에는 커버를 닫아서, 전체적인 외관 크기를 소형화시켜 두고, 통화시 또는 무선 통신망 접속시에는 키패드부 및 디스플레이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커버를 열어서 사용하게 된다. 또한, 커버의 전면에는 상대방의 통화음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가 마련되고, 본체의 전면에는 사용자의 음성을 상대방에게송신하기 위한 송신부가 마련된다.
그런데, 종래의 폴더형 휴대폰은, 디스플레이부가 가로 방향의 길이가 세로 방향의 길이 보다 작게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정보를 검색하거나 이메일을 송,수신할 경우 또는 상대자의 화상을 보며 통신을 하는 경우, 웹 페이지, 텍스트 정보, 동영상, 게임 화면 또는 통신 화상 등을 디스플레이시키는데 공간적 제약이 따른다. 또한, 종래에 따른 폴더형 휴대폰은, 커버의 전면 상측에 수신부가 마련되고 수신부와 대응되도록 본체의 전면 하측에 송신부가 각각 마련되어 있으므로, 통화를 하기 위해서 송신부를 입에 근접시키고 수신부를 귀에 접촉시키는 경우, 신체 조건에 따라 휴대폰을 이동시켜 송신부를 입에 최대한 가까이 근접시킨 상태에서 통화를 하게 되는데, 이런 경우 수신부가 귀에서 떨어지게 되어 원활한 통화를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착상된 것으로,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정보를 검색하거나 문자 메세지를 송,수신하고자 커버를 펼쳤을 때 세로 방향의 길이 보다 가로 방향의 길이가 긴 종횡비로 디스플레이부를 노출시켜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크기를 더 넓게 확보할 수 있고, 신체 구조에 대응하여 원활한 통화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커버를 본체의 대각선 방향으로 경사지게 회동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 경사형 폴더 휴대폰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경사형 폴더 휴대폰의 구성에 있어서, 커버가 본체의 전면을 덮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경사형 폴더 휴대폰의 구성에 있어서, 커버가 본체로부터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개략적인 평면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본체 11... 키패드부
12... 신호입력버튼 13... 송신부
30... 커버 31... 디스플레이부
33... 수신부 50... 힌지부재
51... 힌지 결합부 53... 힌지 장공부
54... 회동 지지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면에 숫자 또는 문자 또는 조작 메뉴얼의 신호를 선택적으로 입력시킬 수 있도록 다수개의 신호입력버튼을 가진 키패드부와, 사용자의 통화음을 상대방에게 송신하는 송신부가 마련된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전면 대각선에 대응되는 상측 모서리에 힌지 결합되며, 전면에 통화정보 또는 문자 메세지 또는 소정 화상을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전면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진 디스플레이부와, 상대방의 통화음을 수신하는 수신부가 마련된 커버; 및 상기 커버를 본체의 전면 대각선 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상측 모서리에 마련된 힌지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경사형 폴더 휴대폰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재는: 상기 본체의 전면 대각선에 대응되는 상측 모서리에 그 대각선과 수직되는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된 한 쌍의 힌지 결합부; 상기 각각의 힌지 결합부 사이에 위치되어 그 힌지 결합부와 서로 일직선을 이룰 수 있도록 본체의 상측 모서리에 대응되는 커버의 모서리측에 형성된 힌지 장공부; 및 상기 커버의 개폐시 그 커버에 소정 탄성력을 선택적으로 제공하여 커버의 회동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힌지 장공부를 관통하여 각각의 힌지 결합부에 결합된 회동 지지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경사형 폴더 휴대폰에 있어서, 상기 커버를 펼쳤을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세로 방향의 길이 보다 가로 방향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큰 종횡비로 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경사형 폴더 휴대폰에 있어서, 상기 커버를 펼쳤을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가로 길이에 대한 세로 길이의 종횡비가 4:3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경사형 폴더 휴대폰에 있어서, 상기 커버를 펼쳤을 때, 상기 커버는 본체의 대각선 상을 따라 펼쳐지면서 본체의 길이 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세로 방향의 길이 보다 가로 방향의 길이가 긴 종횡비로 디스플레이부를 노출시킬 수 있도록 커버를 본체의 대각선 방향으로 경사지게 회동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므로, 디스플레이부의 공간적 제한이 없어, 디스플레이부에 구현되는 화상을 다양하고 실감나게 제공할 수 있으며, 커버가 펼쳐졌을 때 본체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되게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통화를 하기 위해 커버에 마련된 수신부를 귀에 접촉시키면 본체에 마련된 송신부가 자연스럽게 입에 근접되는 바, 신체 조건에 따라 휴대폰을 이동시키지 않고도 원활한 통화가 가능한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경사형 폴더 휴대폰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경사형 폴더 휴대폰의 구성에 있어서, 커버가 본체의 전면을 덮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경사형 폴더 휴대폰의 구성에 있어서, 커버가 본체로부터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경사형 폴더 휴대폰(100)은 커버(30)를 펼쳤을 때, 액정 화면인 디스플레이부(31)를 세로 방향의 길이 보다 가로 방향의길이가 상대적으로 큰 종횡비로 노출시킬 수 있도록 커버(30)를 본체(10)의 전면 대각선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회동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이를 위한 상기 경사형 폴더 휴대폰(100)은, 전면에 다수의 신호 입력 버튼(12)을 가진 키패드부(11)가 마련된 본체(10)와, 본체(10)의 전면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그 본체(1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전면에 본체 (10)의 키패드부(11)에 대응되는 크기로 마련된 디스플레이부(31)를 가진 커버(30)와, 커버(30)를 본체(10)의 전면 대각선 방향을 따라 회동시켜 가로 방향의 길이가 세로 방향의 길이 보다 상대적으로 긴 종횡비로 디스플레이부(31)를 노출시킬 수 있도록 본체(10)의 전면 대각선 상에 대응하는 본체(10)의 상측 모서리에 마련된 힌지부재(50)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10)는 세로 방향의 길이가 가로 방향의 길이 보다 상대적으로 긴 직사각 형상을 취한다.
상기 본체(10)의 전면에 마련된 키패드부(11)의 신호 입력 버튼(12)들은, 사용자의 푸쉬 동작에 의해 통화하고자 하는 상대방의 전화 번호를 입력시키거나, 이메일과 같은 문자 메세지를 입력시키거나, 휴대폰 단말기의 기능 조작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한 정보검색 등의 조작 메뉴얼 신호를 선택적으로 입력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본체(10)의 전면 하측에는 사용자의 통화음을 상대방에게 송신하기 위한 공지의 송신부(13)가 마련된다.
상기 본체(10)의 배면에는 본체(10) 내부의 소정 회로에 전원을 인가시키기위한 배터리(미도시)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커버(30)는 본체(10)와 대응되는 형상, 즉 세로 방향의 길이가 가로 방향의 길이 보다 상대적으로 긴 직사각 형상을 취한다.
상기 커버(30)는, 커버(30)의 전면이 최초 본체(10)의 전면에 포개어진 상태에서 커버(30)를 펼치는 경우, 상기 힌지부재(50)에 의해 본체(10)의 전면 대각선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회동될 수 있도록 본체(10)의 대각선 상에 대응하는 본체 (10)의 상측 모서리에 상기 힌지부재(50)에 의해 힌지 결합된다.
상기 커버(30)의 전면에는 날짜 및 시간 등의 기본 정보, 문자 메세지, 또는 인터넷 검색에 따른 웹 페이지 또는 텍스트 정보, 동영상, 화상 통신 화면 또는 게임 화면 등을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도록 본체(10)의 키패드부(11)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진 액정 디스플레이부(31)가 마련된다.
또한, 커버(30)의 전면을 본체(10)의 전면에 포갠 경우, 상기 본체(10)의 송신부(13)에 대응되는 커버(30)의 전면에는 상대방과의 통화음을 수신할 수 있는 공지의 수신부(33)가 마련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1)는, 일반적인 액정 화면으로서, 커버(30)를 본체(10)의 전면의 대각선을 따라 경사지게 회동시키면서 펼친 경우, 가로 방향의 길이가 세로 방향의 길이 보다 상대적으로 긴 종횡비, 바람직하게는 가로 길이에 대한 세로 길이의 종횡비가 4:3으로 이루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커버(30)를 본체(10)로부터 펼쳤을 때, 상기 커버(30)는 본체(10)의 전면 대각선 상을 따라 펼쳐지면서 본체(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직각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힌지부재(50)는 커버(30)를 본체(10)의 전면 대각선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회동시킬 수 있도록 그 본체(10)의 전면 대각선에 대응되는 상측 모서리, 바람직하게는 우측 모서리에 그 대각선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힌지부재(50)는 본체(10)의 전면 대각선에 대응되는 상측 모서리에 그 대각선과 수직되는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된 한 쌍의 힌지 결합부(51)와, 각각의 힌지 결합부(51) 사이에 위치되어 그 힌지 결합부(51)와 서로 일직선을 이룰 수 있도록 본체(10)의 상측 모서리에 대응되는 커버(30)의 모서리측에 형성된 힌지 장공부(53)와, 커버(30)의 회동을 지지할 수 있도록 힌지 장공부(53)를 관통하여 각각의 힌지 결합부(51)에 결합된 바아 형상의 회동 지지부(54)를 구비한다.
상기 힌지 결합부(51)는 회동 지지부(54)의 양단이 각각 결합되는 결합공(미도시)이 형성되며, 각각의 상기 힌지 결합부(51) 중 어느 하나에는 착신 생태, 발신 상태, 휴대폰의 전원 공급 여부를 사용자에게 인식시키기 위한 통상의 발광램프가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힌지 장공부(53)는 회동 지지부(54)가 삽입 가능한 장공을 가지며, 각각의 힌지 결합부(51) 사이의 공간에 형합 가능한 크기를 가진다.
상기 회동 지지부(54)는, 커버(30)를 본체(10)에 대해 회동시킬 수 있도록 힌지핀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힌지 장공부(53)의 장공을 관통하여 힌지 결합부 (51)에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며, 커버(30)가 회동될 때 그 커버(30)에 소정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통상의 구조를 가진다.
참고로, 커버(30)와 본체(10)와의 전기 배선은 본체(10)의 내부로부터 힌지 결합부(51)의 사이를 경유하여 힌지 장공부(53)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에 따른 폴더형 휴대폰과 마찬가지로 각종 신호를 송수신하는 데에는 별문제가 없음을 밝혀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경사형 폴더 휴대폰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폰(100)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커버(30)의 전면과 본체(10)의 전면은 서로 겹쳐진 상태가 된다. 즉, 상기 본체(10)는 커버(30)에 대하여 수평(0°)을 이룬 상태가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화를 하거나,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정보를 검색하거나, 본체(10)의 전면에 마련된 키패드부(11)를 조작하여 문자 메세지를 전송하거나 또는 수신된 문자 메세지를 확인하기 위해 커버(30)를 본체(10)로부터 펼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커버(30)를 상측으로 들어 올린다.
이어서, 상기 커버(30)는, 힌지 장공부(53)가 회동 지지부(54)에 의해 본체(10)의 상측 모서리측에 형성된 힌지 결합부(51)에 힌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회동 지지부(54)에 의해 제공되는 소정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본체(10) 전면의 대각선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펼쳐진다. 이 때, 상기 커버(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에 "a"로 표시된 본체(10)의 대각선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펼쳐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30)는 본체(10)의 대각선 상을 따라 펼쳐지면서 본체(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펼쳐진 상태가 되며, 커버(30)의 전면측 디스플레이부(31: 도 2)는 세로 방향의 길이 보다 가로 방향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큰 종횡비로써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에 의해 커버(30)가 본체(10)의 전면 대각선 방향으로 경사지게 펼쳐지면서 본체(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직각되게 위치되고, 디스플레이부(31)를 가로 방향으로 길게 노출시킬 수 있으므로, 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정보를 검색하는 경우 또는 이메일 또는 문자 메세지를 송,수신하는 경우, 인터넷 웹 페이지 표시 및 텍스트 정보, 동영상, 그래픽, 또는 그림 등은 디스플레이부(31)를 통해 다양하고 실감나게 제공된다. 또한, 와이드한 디스플레이부(31)의 노출로 인해 차후 IMT 2000이 상용화될 때, 보다 실감나는 화상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되며, 그 디스플레이부(31)에 터치 스크린 기능을 추가적으로 채용시킬 수도 있다.
아울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폰(100)은, 커버(30)가 펼쳐졌을 때, 그 커버(30)가 본체(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되게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통화를 하기 위해 휴대폰을 잡고 커버(30)에 마련된 수신부(33)를 귀에 접촉시키면 본체(10)에 마련된 송신부(13)가 자연스럽게 입에 근접된다. 따라서, 각기 다른 신체 조건에 대처할 수 있어 종래와 같이 휴대폰을 이동시키지 않고도 원활한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의 사용이 완료되면, 커버(30)를 본체(10)의 전면 대각선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커버(30)는 본체(10)의대각선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회동됨과 동시에, 회동 지지부(54)로부터 제공되는 소정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본체(10)의 전면을 폐쇄시키게 된다(도 1 참조).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경사형 폴더 휴대폰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커버를 펼쳐 전면을 노출시켰을 때, 세로 방향의 길이 보다 가로 방향의 길이가 긴 종횡비로 디스플레이부를 노출시킴과 동시에 커버를 본체의 길이 방향에 대해 직각되게 배치시킬 수 있도록 커버를 본체의 대각선 방향으로 경사지게 회동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므로, 디스플레이부의 공간적 제한이 없어, 디스플레이부에 구현되는 화상을 다양하고 실감나게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커버가 펼쳐졌을 때, 본체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되게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통화를 하기 위해 커버에 마련된 수신부를 귀에 접촉시키면 본체에 마련된 송신부가 자연스럽게 입에 근접되는 바, 신체 조건에 따라 휴대폰을 이동시키지 않고도 원활한 통화가 가능하다.

Claims (5)

  1. 전면에 숫자 또는 문자 또는 조작 메뉴얼의 신호를 선택적으로 입력시킬 수 있도록 다수개의 신호입력버튼을 가진 키패드부와, 사용자의 통화음을 상대방에게 송신하는 송신부가 마련된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전면 대각선에 대응되는 상측 모서리에 힌지 결합되며, 전면에 통화정보 또는 문자 메세지 또는 소정 화상을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전면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진 디스플레이부와, 상대방의 통화음을 수신하는 수신부가 마련된 커버; 및
    상기 커버를 본체의 전면 대각선 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상측 모서리에 마련된 힌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를 펼쳤을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세로 방향의 길이 보다 가로 방향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큰 종횡비로 노출되며, 상기 커버는 본체의 대각선 상을 따라 펼쳐지면서 본체의 길이 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형 폴더 휴대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재는:
    상기 본체의 전면 대각선에 대응되는 상측 모서리에 그 대각선과 수직되는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된 한 쌍의 힌지 결합부;
    상기 각각의 힌지 결합부 사이에 위치되어 그 힌지 결합부와 서로 일직선을 이룰 수 있도록 본체의 상측 모서리에 대응되는 커버의 모서리측에 형성된 힌지 장공부; 및
    상기 커버의 개폐시 그 커버에 소정 탄성력을 선택적으로 제공하여 커버의 회동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힌지 장공부를 관통하여 각각의 힌지 결합부에 결합된 회동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형 폴더 휴대폰.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를 펼쳤을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가로 길이에 대한 세로 길이의 종횡비가 4:3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형 폴더 휴대폰.
  5. 삭제
KR10-2002-0011718A 2002-03-05 2002-03-05 경사형 폴더 휴대폰 KR1004646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1718A KR100464633B1 (ko) 2002-03-05 2002-03-05 경사형 폴더 휴대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1718A KR100464633B1 (ko) 2002-03-05 2002-03-05 경사형 폴더 휴대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5144A KR20020025144A (ko) 2002-04-03
KR100464633B1 true KR100464633B1 (ko) 2005-01-03

Family

ID=19719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1718A KR100464633B1 (ko) 2002-03-05 2002-03-05 경사형 폴더 휴대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463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4945Y1 (ko) * 2000-10-05 2001-02-15 세원 텔레콤주식회사 회전 개방식 휴대폰
KR20010028987A (ko) * 1999-09-28 2001-04-06 윤종용 폴더형 휴대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8987A (ko) * 1999-09-28 2001-04-06 윤종용 폴더형 휴대폰
KR200214945Y1 (ko) * 2000-10-05 2001-02-15 세원 텔레콤주식회사 회전 개방식 휴대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5144A (ko) 2002-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28655B2 (ja) 携帯情報端末の機能と携帯電話の機能とを一体にした携帯用ディジタル端末機
JP4049977B2 (ja) 通信端末装置、および通信端末装置に用いられるレンズアダプタ
JP4715208B2 (ja) 携帯電話機
JP4456677B2 (ja) 携帯型情報端末装置
EP1610530A1 (en) Dual-axis rotation folder-type portable apparatus
EP1667409A1 (en) Foldable phone with slidable housing to protect display and camera
KR100754605B1 (ko) 폴딩형 키패드를 구비한 게임 겸용 휴대 통신 단말기
KR100575746B1 (ko) 폴더형 휴대 단말기
KR100800827B1 (ko) 플립 업 타입 이동 통신 단말기
JP2001339497A (ja) 携帯端末機筐体構造
KR100464633B1 (ko) 경사형 폴더 휴대폰
JP2002218030A (ja) 折り畳み式携帯端末機
JP3811401B2 (ja) 携帯端末
JP2002232533A (ja) 折畳型携帯情報端未装置及びその情報表示方法
CN100429909C (zh) 折叠式移动电话
JP3735234B2 (ja) 折り畳み式携帯電話機
JP2001298517A (ja) 拡大表示部を有する携帯電話機
KR100639507B1 (ko) 더블 폴더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494653B1 (ko) 중앙 회전식 이동 통신 단말기
KR200365385Y1 (ko)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0592182B1 (ko) 360도 회전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321575Y1 (ko) 단말기 케이스 외측에 스피커가 구비된 무선통신 단말기
KR100400552B1 (ko) 넓은 엘시디 창을 가지는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
KR100447882B1 (ko) 상폴더에 이중 액정화면을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200314197Y1 (ko) 와이드 스크린 폴더형 휴대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