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1771B1 - 모바일 단말기용 일체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기용 일체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1771B1
KR101691771B1 KR1020160081321A KR20160081321A KR101691771B1 KR 101691771 B1 KR101691771 B1 KR 101691771B1 KR 1020160081321 A KR1020160081321 A KR 1020160081321A KR 20160081321 A KR20160081321 A KR 20160081321A KR 101691771 B1 KR101691771 B1 KR 1016917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terminal
display
module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1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승우
신덕하
Original Assignee
장승우
신덕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승우, 신덕하 filed Critical 장승우
Priority to KR1020160081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17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1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1771B1/ko
Priority to PCT/KR2017/002576 priority patent/WO2018004109A1/ko
Priority to US15/478,756 priority patent/US20180004477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4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detachable, e.g. for remote u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integrated loudspeak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2Use of DVI or HDMI protocol in interfaces along the display data pipelin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6Use of wireless transmission of display inform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22Detection of presence or absence of input display information or of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a corresponding information sou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일체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수용되는 수용부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멀티미디어 송수신 단자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는 도킹부로 구성되는 단말 연결모듈;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보유한 디스플레이장치보다 큰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도킹부에서 입력받은 상기 영상 데이터를 리사이징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제공하는 리사이징모듈을 포함하는 컨트롤러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이 상기 단말 연결모듈의 측면에서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바일 단말기용 일체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Single Unit Display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용 일체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일체형 디스플레이장치에 모바일 단말기를 장착하여 더 큰 크기의 디스플레이장치로 화면을 표시할 수 있고, 전력공급이 어려운 외부에서도 오랫동안 멀티미디어 정보 등의 시청이 가능한 모바일 단말기용 일체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단말기(휴대폰, PDA, 스마트폰 등)는 점차 화면이 커지고 있는 추세이기는 하나, 7인치 이상의 태블릿과 비교하자면 화면이 작아 눈의 피로를 야기한다. 다만, 이러한 필요성으로 인해 태블릿을 구매하기에는 모바일 단말기와 중복되는 포지션 때문에 선뜻 비용을 지불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와 태블릿이 지원하는 무선통신 데이터 요금제의 경우, 별도로 가입하게 된다면 요금을 두 배 지불해야하며, 최근 대안으로 등장한 모회선을 기준으로 데이터를 나눠쓰는 요금제를 사용하더라도 태블릿의 특성 상 모바일 단말기보다 많은 양의 데이터를 사용하게 되어 금세 사용량 제한에 걸려 무선인터넷을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등 제약이 많다.
또한, 태블릿의 경우 모바일 단말기의 시장과 비교하면 아직 크게 활성화되지는 못한 시장이기 때문에 지문인식이나 홍채인식 등의 고급 보안수단은 대부분 모바일 단말기에 집중되어있어 보안상 문제도 가지고 있다. 추가적으로, 소프트웨어면에서도 두 가지의 제품을 이용하는 경우 이중계정을 운용해야 하므로 데이터가 두 군데로 나눠져 위치하기 때문에 이를 관리하거나 상호 이동시키는 경우 불편함을 야기한다. 여기에 보편적인 모바일 단말기는 배터리의 제약으로 사용시간이 짧다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모바일 단말기의 보조 디스플레이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한국 등록특허 10-1542455 ‘모바일 스마트폰 도킹시스템’은 도킹 시스템에 스마트폰을 장착하여 스마트폰과 외부 모니터에 각각 독립적인 다중 디스플레이를 하고, 아울러 외부 출력 장치 사용이 가능하지만 전력 공급이 어려운 외부에서도 오랫동안 멀티미디어 정보 등의 시청이 가능한 모바일 스마트폰 도킹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즉, 상면에 상측부에 일정한 폭으로 길게 연결되어 있는 홈을 통해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가 형성되고, 상기 스마트폰에서 출력되는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입력받아 외부 모니터에 출력하는 스마트폰 도킹시스템과 상기 스마트폰 도킹시스템 및 외부 모니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팩 디바이스로 구성되는 모바일 스마트폰 도킹 시스템으로서, 상기 스마트폰 도킹시스템은, 프린터와 기타 외부장치(멀티허브, 외장하드/외장메모리 등)가 연결되는 USB포트와 MSD카드가 장착되는 TF포트 및 SD카드가 장착되는 SD포트로 이루어진 외부 메모리부; 스마트폰 도킹시스템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동작표시부; mUSB 또는 USB를 통해 스마트폰과 연결되는 스마트폰연결부; USB를 통해 마우스와 연결되는 마우스연결부; USB를 통해 키보드와 연결되는 키보드연결부; 오디오 입/출력부; VGA 영상 데이터용 VGA 포트부; HDMI 포트 또는 DVI 포트를 통해 외부 모니터와 연결되는 HDMI/DVI 포트부; 및 상기 스마트폰연결부와 HDMI/DVI 포트와 키보드연결부와 마우스연결부와 오디오 입/출력부에 필요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제1, 2전원입력부;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연동하도록 인식시키는 페어링버튼(195)으로 구성되고, 상기 배터리팩 디바이스는, 배터리 잔여량을 표시하는 배터리 표시부; 전원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전원표시부; 배터리팩을 충전하거나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제3, 4전원입력부; 제1 USB 포트를 통해 스마트폰도킹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는 도킹시스템 전원공급부; 제2 USB 포트를 통해 모니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모니터 전원공급부; 제 3, 4, 5 USB 포트를 통해 외부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외부 전원공급부; 모니터로부터 터치신호가 전달될 수 있는 터치신호 입력포트로 구성되되, 상기 스마트폰 도킹시스템과 배터리팩 디바이스는 착탈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스마트폰 도킹시스템에 상기 외부 제1전원부 또는 제2전원부에서 전력 공급될 경우 배터리팩에 의한 전력공급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한 모바일 스마트폰 도킹 시스템은 별도의 출력장치를 따로 보유하고, 해당 출력장치로 모바일 스마트폰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기 때문에 별도의 출력장치가 메인이 되고, 도킹 시스템은 일종의 보조 장치의 역할만을 하여 휴대성이 매우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한국 등록특허 제 10-1484045호 ‘스마트폰용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킹스테이션에 스마트폰을 장착하여 스마트폰과 외부 모니터에 각각 독립적인 다중 디스플레이함과 아울러 외부 모니터로부터의 입력을 받을 수 있도록 한 스마트폰용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근거리 통신부와 복수의 프레임 버퍼 드라이버가 구비된 스마트폰; 상기 스마트폰을 도킹시켜 스마트폰으로부터 입력되는 복수의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도킹 스테이션; 상기 도킹 스테이션으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하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터치 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상기 스마트폰으로 제공하는 외부 모니터;로 구성되며, 상기 도킹 스테이션은, 영상 데이터의 입력 및 출력을 위한 각각의 MHL 단자;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입력되는 MHL 영상 데이터를 HDMI 또는 VGA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영상변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상기한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도킹 스테이션이 디스플레이 장치와 별개로 구성되는 것이기 때문에, 이를 휴대용으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치명적인 문제점을 극복함으로써 모바일 단말기와 연동된 휴대용 대형 디스플레이장치로 모바일 단말기에 표시되는 정보를 동시에 출력할 수 있고, 휴대성을 높인 구성을 통해 사용자가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일체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매우 절실하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모바일 단말기에 저장되거나 표시중인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별도의 대형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모바일 단말기를 연결한 채로도 모바일 단말기를 쉽게 제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휴대성을 보장함은 물론, 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거치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사운드 출력장치를 포함하여 기존 모바일 단말기의 미흡한 음성 출력을 보조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일체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수용되는 수용부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멀티미디어 송수신 단자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는 도킹부로 구성되는 단말 연결모듈;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보유한 디스플레이장치보다 큰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도킹부에서 입력받은 상기 영상 데이터를 리사이징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제공하는 리사이징모듈을 포함하는 컨트롤러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이 상기 단말 연결모듈의 측면에서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외부를 감싸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가 상기 단말 연결모듈의 측면에 결합되는 형태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이 상기 단말 연결모듈의 측면에서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단말 연결모듈에는, 별도의 멀티미디어 송수신 단자를 통해 외부 단말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외부입력부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터치식 디스플레이로 구성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영상 데이터가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제공되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창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제공모듈과, 사용자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입력된 터치신호를 통해 상기 제어창에 표시된 제어를 수행하는 동작제어모듈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상기 수용부의 전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작버튼이 위치하고, 상기 조작버튼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측면에 위치하는 물리적 스위치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수용부의 내측에서 상기 물리적 스위치와 마주보는 위치로부터 상기 조작버튼까지 연장된 푸싱바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용부 및 상기 커버부의 후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로지르는 형태로 함입 형성된 가이드홈과, 상기 가이드홈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수용부 및 상기 커버부를 평행한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축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고정축에 대응되도록 라운딩지게 함입 형성되어, 상기 고정축이 상기 가이드홈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상기 고정축의 측면 일측에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지지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축의 길이는 상기 커버부의 길이와 대응되고, 상기 고정축을 상기 가이드홈에 끼움 결합한 상태에서 좌우로 이동시켜 상기 수용부 및 상기 커버부의 평행상태 고정 여부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용부의 후면과 일 측면의 경계부위에는, 후면의 내측 방향을 따라 함입 형성된 고정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축의 일 단부에는, 상기 고정홈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표면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된 고정돌기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고정홈에는, 상기 수용부의 정면까지 관통된 복수개의 관통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도킹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입력받는 음성입력파트와, 상기 음성입력파트로부터 상기 가이드홈의 표면 일 측까지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홈의 표면으로 노출된 음성전송단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축의 일 측면에는, 상기 음성전송단자와 접촉하여 상기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음성수신단자가 더 포함되고,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음성 데이터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일체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1) 모바일 단말기를 연결하여 보다 큰 화면에서 표시될 수 있도록 도킹부와 대형화면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
2) 모바일 단말기가 위치하는 단말 연결모듈의 외부에 별도의 물리키를 장착하여 모바일 단말기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된 경우에도 조작이 용이하도록 하며,
3)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을 가로지르는 가이드홈을 형성하여 고정축을 끼움 결합시킴으로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펼쳐진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4) 고정축에 복수개의 스피커를 추가로 장착하여 음향효과를 향상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기용 일체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기본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모바일 단말기용 일체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후방에서 바라본 투영도.
도 3은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에 지지수단을 장착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고정축에 스피커를 부착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기용 일체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기본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의 (a), (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일체형 디스플레이장치는 모바일 단말기(400)가 수용되는 수용부(120)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400)와 멀티미디어 송수신 단자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모바일 단말기(400)에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는 도킹부(110)로 구성되는 단말 연결모듈(100);과, 상기 모바일 단말기(400)가 보유한 디스플레이장치보다 큰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210)와, 상기 도킹부(110)에서 입력받은 상기 영상 데이터를 리사이징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210)로 제공하는 리사이징모듈(231)을 포함하는 컨트롤러(230)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모듈(2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러한 디스플레이모듈(200)이 단말 연결모듈(100)의 측면에서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격적인 구성 설명 이전에 앞서, 본 설명에서 계속해서 사용하게 될 방향에 대한 설정을 미리 짚고 넘어가자면, 도 1을 기준으로 할 때, 디스플레이부(210)가 위치하는 방향을 전면, 배터리(220)가 탑재된 방향을 후면, 디스플레이모듈(200)을 기준으로 단말 연결모듈(100)이 위치하는 방향 및 그 반대 방향을 측면, 지면과 맞닿는 방향을 하면, 하면의 반대 방향으로서, 단말 연결모듈(100)의 커버(300)가 위치하는 방향을 상면으로 칭한다.
먼저, 단말 연결모듈(100)은 모바일 단말기(400)를 일체형 디스플레이장치에 연결하여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기(400)가 수용되는 수용부(120)와 모바일 단말기(400)와 멀티미디어 송수신 단자를 통해 연결되어 모바일 단말기(400)에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는 도킹부(110)로 구성된다.
모바일 단말기(400)는 휴대폰, 스마트폰, PDA 등의 멀티미디어 저장공간을 포함하며 멀티미디어의 재생이 가능한 기기를 의미한다. 이러한 모바일 단말기(400)에는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외부 기기와 송수신 할 수 있도록 멀티미디어 송수신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송수신단자의 예를 들면, VGA(Video Graphics Array) 단자를 활용하는 VGA포트, DVI(Digital Video/Visual Interactive) 단자를 활용하는 DVI포트,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를 활용하는 HDMI포트, USB(Universal Serial Bus) 단자를 활용하는 MHL(Mobile High Definition Link)포트 등이 사용되며, 특히 최근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스마트폰의 연결방식인 MHL포트를 사용하는 방법이 가장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도킹부(110)의 구성도 대응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수용부(120)는 모바일 단말기(400)가 놓여져 보관될 수 있는 것이며, 휴대가 가능한 외관을 형성함과 동시에 모바일 단말기(400)를 보호해야하므로 무게가 가벼우면서도 내구성을 보장할 수 있는 합성수지나 실리콘, TPU 등의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외관의 형태는 이후 설명하게 될 디스플레이장치가 포함된 커버부(240)의 측면에 부착되어야 하므로, 바람직하게는 도 1(a)와 같은 육면체 형상 또는 도 1(b)와 같은 모서리가 둥글게 라운드 처리된 형상으로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또, 내부에는 모바일 단말기(400)가 용이하게 보관될 수 있도록 모바일 단말기(400)의 외관과 동일한 형태로 함입한 보관공간을 형성하거나, 충분한 보관공간을 형성하되, 모바일 단말기(400)가 보관되고 남은 공간을 메울 수 있도록 별도의 필링부재를 포함하는 방법, 탄성 샤프트 등의 가변 고정수단을 사용하여 고정시키는 방법 등이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외에도 수용부(120)는 모바일 단말기(400)가 수용된 이후에도 모바일 단말기(400)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터치신호를 입력하여 모바일 단말기(400)를 제어할 수 있도록 적어도 전면이자 모바일 단말기(400)의 디스플레이장치가 향해있는 방면은 투명 재질로 형성되어야 하며, 수용부(120)에 수용된 상태로도 터치신호가 입력될 수 있도록 전면을 되도록 얇은 막이나 판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 추가적으로 모바일 단말기(400)가 상면으로부터 투입될 수 있도록 상면을 개방시키거나, 개방된 상면을 필요에 따라 폐쇄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커버(3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모듈(200)은 모바일 단말기(400)가 보유한 디스플레이장치보다 큰 디스플레이장치를 보유하는 것으로서, 앞선 단말 연결모듈(100)에 연결된 모바일 단말기(400)를 통해 입력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모듈(200)이 보유한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하도록 하는 것이다. 디스플레이모듈(200)에는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210)와, 도킹부(110)에서 입력받은 영상 데이터를 리사이징하여 디스플레이부(210)로 제공하는 리사이징모듈(231)을 포함하는 컨트롤러(230)로 구성된다.
디스플레이장치는 LCD, LED, IPS, AMOLED 등의 휴대용 영상기기에 사용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의미하며, 디스플레이모듈(200)에 부착되는 디스플레이장치는 모바일 단말기(400)가 보유한 디스플레이장치보다 큰 사이즈를 가져야하고, 따라서 일반적으로 태블릿이나 넷북 등에 사용되는 7인치 이상의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킹부(110)에서 입력받은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210)로 제공하는 컨트롤러(230)가 포함된다. 특히, 컨트롤러(230)의 기본적인 기능으로서, 모바일 단말기(400)가 보유한 디스플레이장치와 디스플레이부(210)에 위치한 디스플레이장치의 해상도 차이를 제어하기 위해,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210)로 제공하기 이전에 리사이징하는 작업을 수행하도록 리사이징모듈(231)을 포함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이 외에도 색감의 차이를 보정하거나 영상 데이터의 출력 방향을 회전시키는 등 일반적으로 별도 디스플레이로 출력하는 데 사용되는 다양한 기능을 추가적으로 부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 디스플레이부(21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20)(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 때 배터리(220)의 경우 보통 3000mAh 급 이상의 판형 Li-ion 또는 판형 Li-polymer 배터리(220)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이러한 배터리(220)는 디스플레이부(210)로의 전원공급을 원활히 할 수 있고 보관이 용이한 디스플레이부(210)의 후면에 위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배터리(220)는 디스플레이부(210) 뿐만 아니라 다른 모든 부로의 전원공급도 가능하다. 즉, 도킹부(110)에도 배터리(2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연결된 모바일 단말기(400)를 충전시킬 수도 있으며 후술할 외부입력부(500)에도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구성이 디스플레이모듈(200)의 일반적인 구성이며, 본 발명에서는 단말 연결모듈(100)의 측면에 이러한 디스플레이모듈(200)이 직접 결합되어 일체형 구성을 형성하기도 하지만, 추가적으로 디스플레이부(210)의 외부를 감싸는 커버부(240)를 더 포함하여 커버부(240)가 단말 연결모듈(100)의 측면에 부착되는 형태로 일체형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모듈(200)과 단말 연결모듈(100)을 결합에 있어 전후 방향으로 회동하는 힌지를 매개로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힌지를 통해 전후방향으로 회동하거나, 자바라나 회동축과 같이 회동될 수 있는 연결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결합방식은 디스플레이모듈(200)과 단말 연결모듈(100)을 전후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400)를 연결한 단말 연결모듈(100)을 측면에 위치시키거나 디스플레이모듈(200)의 후방으로 넘기는 등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결합의 고정을 위해 결합부위에 슬롯과 돌기 형태의 걸림수단을 형성하는 등 공지의 다양한 잠금방법이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기본 구성을 통해 단말 연결모듈(100)에 모바일 단말기(400)를 결합시켜 모바일 단말기(400)에 저장된 혹은 재생중인 영상 데이터를 수신해 디스플레이모듈(200)에 위치한 디스플레이부(210)를 통해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태블릿과는 달리 별도의 고급 중앙처리장치가 없더라도 대형 화면으로 영상을 감상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2는 모바일 단말기용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후방에서 바라본 투영도이다.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단말 연결모듈(100)에는 별도의 멀티미디어 송수신 단자를 통해 외부 단말로부터 영상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외부입력부(500)를 더 포함하여 구설될 수 있다. 이 멀티미디어 송수신 단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VGA포트, HDMI포트, DVI포트, USB포트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단말 연결모듈(100)에 위치하는 도킹부(110)를 통하지 않더라도 이 별도의 멀티미디어 송수신 단자를 통해 외부 단말(컴퓨터, TV, 스마트TV, 모니터, 셋탑박스 등)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외부입력부(500)를 더 포함한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외부입력부(500)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400)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방법 이외에도 다른 외부 단말을 연결하여 디스플레이부(210)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외부입력부(500)는 별도의 연장선 등을 통해 일체형 디스플레이장치의 다른 위치(예를 들어 수용부(120)의 일 측 또는 커버부(240)의 일 측 등)에도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이러한 디스플레이부(210)는 터치식 디스플레이로 구성되고, 컨트롤러(230)는 영상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부(210)로 제공되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창을 디스플레이부(210)에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제공모듈(232)과, 사용자로부터 디스플레이부(210)에 입력된 터치신호를 통해 제어창에 표시된 제어를 수행하는 동작제어모듈(23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210)를 터치식 디스플레이로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터치입력을 통해 일체형 디스플레이장치에 직접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컨트롤러(230)는 이러한 명령을 더욱 쉽게 입력할 수 있도록 제어창을 디스플레이부(210)에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제공모듈(232)과,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210)에 입력된 터치신호를 통해 제어창에 표시된 제어를 수행하는 동작제어모듈(23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어플리케이션제공모듈(232)에서는 터치식 디스플레이에 표시되어 터치 입력을 통해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한 제어창을 디스플레이부(210)에 표시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동작제어모듈(233)에서는 터치식 디스플레이를 보면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터치신호를 파악하여, 해당 터치신호가 수신된 위치와 이동한 방향, 거리 등을 판단하고 그에 대응되는 제어를 수행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수용부(120)의 전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작버튼(130)이 위치하며, 조작버튼(130)은 모바일 단말기(400)의 측면에 위치하는 물리적 스위치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수용부(120)의 내측에서 물리적 스위치와 마주보는 위치로부터 조작버튼(130)까지 연장된 푸싱바(131)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일반적으로 모바일 단말기(400)의 측면에는 전원버튼, 음량조절버튼 등의 다양한 물리적 스위치(기능키)를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모바일 단말기(400)가 도킹부(110)에 연결되어 수용부(120)에 놓여지게 되면, 사용자는 이러한 기능키를 누르기가 매우 까다로워지는데, 이러한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물리적 기능키가 위치하는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되 수용부(120)를 가로질러 수용부(120)의 전면까지 연장된 푸싱바(131)가 형성되는 것이며, 수용부(120)의 전면에는 이러한 푸싱바(131)를 쉽게 제어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작버튼(130)이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이 조작버튼(130)을 사용자가 누르거나 밀게 되면, 푸싱바(131)가 이에 연동하여 눌리거나 밀리게 되어 물리적 스위치를 직접 누르게 된다. 그러므로 푸싱바(131)의 경우 힘의 방향을 변환할 수 있는 베벨기어가 중간에 이음부로 구성되거나 푸싱바(131) 자체를 특정한 각도로 꺾어 힘의 방향을 바꿀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손가락 등을 수용부(120)의 사이공간에 억지로 비집고 넣어 누르는 수고를 하지 않더라도 수용부(120)의 전면에 위치한 조작버튼(130)을 조작하여 물리적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조작버튼(130)는 별도의 연장선 등을 통해 일체형 디스플레이장치의 다른 위치(예를 들어 수용부(120)의 일 측 또는 커버부(240)의 일 측 등)에도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은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에 지지수단을 장착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앞선 설명에서 모바일 단말기(400)용 일체형 디스플레이장치는 단말 연결모듈(100)과 디스플레이모듈(200)의 두 가지 모듈로 구성되되, 두 모듈은 서로 결합되며, 그 결합부는 단순 결합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힌지나 회동축, 자바라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고 하였다. 물론 디스플레이부(210)가 이 장치의 메인인 만큼 모바일 단말기(400)가 위치하는 단말 연결모듈(100)은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210)에 제공하도록 제어한 이후부터는 단말 연결모듈(100)이 어디에 위치하고 있던 간에 큰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서는 디스플레이부(210)에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도중에도 모바일 단말기(400)를 조작하거나 제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웹서핑과 같은 작업에 있어서 단순히 웹서핑을 큰 화면으로 즐기고자 하는 경우가 그 예인데, 이 경우에는 항시 단말 연결모듈(100)이 디스플레이모듈(200)과 평행한 상태로 결합되어 있는 편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단말 연결모듈(100)과 디스플레이모듈(200)이 평행한 상태로 결합된 것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고정수단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수용부(120) 및 커버부(240)의 후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로지르는 형태로 함입 형성된 가이드홈(260)과, 가이드홈(260)에 끼움 결합되어 수용부(120) 및 커버부(240)를 평행한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축(27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가이드홈(260)은 수용부(120)와 커버부(240)를 일렬로 펼쳐놓았을 때, 그 후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가로지르는 형태로 함입 형성한 것이다. 가이드홈(260)이 형성되는 높이는 어떠한 높이라도 크게 문제는 없지만 후술할 지지축(271)의 형성을 위해서는 적어도 하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가이드홈(260)에는 수용부(120) 및 커버부(240)를 평행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축(270)을 끼움 결합한다. 즉, 과거 여닫이문을 잠글 때 사용한 잠금바와 같이, 가이드홈(260)을 따라 고정축(270)을 끼워 결합시킴으로써 수용부(120)와 커버부(240)를 평행하게 펼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고정축(270)은 다음과 같이 변형될 수 있다. 첫 번째로써 고정축(270)은 가이드홈(260)에 회동 가능하도록 삽입되고, 고정축(270)의 측면 일 측에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지지축(271)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그것이다.
우선, 고정축(270)이 가이드홈(260)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이를 위해 고정축(270)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야 할 것이며, 가이드홈(260) 또한 이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또, 고정축(270)의 측면 일 측에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지지축(271)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게 되는데, 이 지지축(271)은 독서대 또는 이젤 등에서 후면을 받치도록 하는 지지대 역할을 한다. 고정축(270)은 가이드홈(260)에 끼움 결합되어 회동될 수 있는데, 이 때 고정축(270)에 지지축(271)이 더 형성되는 것이다. 즉, 가이드홈(260)의 양 측벽 높이를 달리함으로써 지지축(271)의 회동범위를 제어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지지축(271)을 지지대 역할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정축(270)을 가이드홈(260)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지지축(271)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를 위해 수용부(120)와 커버부(240)의 후면 중 지지축(271)의 위치에 지지축(271)과 대응되는 형태로 함입부를 형성하여 필요에 따라 고정축(270)을 회동시켜 지지축(271)을 이 함입부에 넣은 상태로 위치시켜 걸리적거리지 않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두 번째로써, 고정축(270)의 길이는 커버부(240)의 길이와 대응되고, 고정축(270)을 가이드홈(260)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좌우로 이동시켜 수용부(120) 및 커버부(240)의 평행상태 고정 여부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고정축(270)의 최대 길이를 커버부(240)의 길이와 대응되도록 한다면, 고정축(270)을 가이드홈(260)으로부터 제거하지 않더라도 가이드홈(260)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좌우로 이동시켜 수용부(120) 및 커버부(240)의 평행상태 고정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도면을 중심으로 설명하자면 가이드홈(260)에서 고정축(270)을 좌측으로 최대한 밀어 이동된 경우에는 고정축(270)이 수용부(120)의 이동을 간섭하지 못하므로 기존의 고정축(270)이 없던 형태와 같이 회동될 수 있으나, 고정축(270)을 우측으로 최대한 밀어 이동된 경우에는 고정축(270)이 수용부(120)의 이동을 간섭하여 수용부(120)와 커버부(240)의 평행상태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는 고정축에 스피커를 부착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고정축(270) 및 가이드홈(260)의 다른 실시예로서, 고정축(270)을 고정/지지수단의 기능 뿐만 아니라 회동고정 및 스피커(274)의 기능을 더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앞선 구성에서는 음성 데이터는 모바일 단말을 통해 출력되도록 하였으나, 모바일 단말의 스피커(274) 출력으로는 다양한 채널의 구분이 힘들고, 통화를 목적으로 만들어진 스피커(274)인 만큼 음량이 매우 크거나 매우 작은 음성 데이터가 출력될 때 소리가 뭉개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다. 이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고정축(270)을 스피커(274)로 사용할 수 있는 고정돌기(272)를 형성한 것이다.
먼저, 고정돌기(272)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수용부(120)의 후면과 일 측면의 경계부위에는 후면의 내측 방향을 따라 일정 깊이로 함입 형성된 고정홈(261)을 더 포함하고, 고정축(270)의 일 단부에는 고정홈(261)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표면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된 고정돌기(272)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가이드홈(260) 중 수용부(120)의 후면과 일 측면의 경계부위이자, 가이드홈(260)의 단부에는 일정 길이와 일정 깊이로 함입 형성된 고정홈(261)이 형성된다. 또 고정축(270)에는 이 고정홈(261)과 대응되는 위치인 단부에서 표면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된 고정돌기(272)가 더 형성된다. 즉, 이 고정홈(261) 및 고정돌기(272)의 크기나 형태는 별도의 제한은 없으나, 고정축(270)이 가이드홈(260)에서 회동될 수 있으면서도 고정돌기(272)가 고정홈(261)에 끼워진 상태로 충분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원통형태와 유사한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고정홈(261)에는 수용부(120)의 정면까지 관통된 복수개의 관통홈(262)이 더 형성되고, 도킹부(110)는, 모바일 단말기(400)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입력받는 음성입력파트(111)와, 음성입력파트(111)로부터 가이드홈(260)의 표면 일 측까지 연장되어 가이드홈(260)의 표면으로 노출된 음성전송단자(112)를 더 포함하며, 고정축(270)의 일 측면에는, 음성전송단자(112)와 접촉하여 음성데이터를 수신하는 음성수신단자(273)가 더 포함되고, 고정돌기(272)에는 음성데이터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스피커(27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우선, 고정홈(261)에는 수용부(120)의 후면으로부터 정면까지 관통된 복수개의 관통홈(262)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관통홈(262)은 고정돌기(272)에 구비된 스피커(274)에서 출력되는 음성을 좀 더 잘 전달할 수 있도록 통로를 형성한 것이다.
다음으로 도킹부(110)에는 모바일 단말기(400)에 저장되어있거나 현재 재생중인 음성 데이터를 입력받는 음성입력파트(111)와, 음성입력파트(111)로부터 가이드홈(260)의 표면 일 측까지 연장되어 가이드홈(260)의 표면으로 노출된 음성전송단자(112)를 더 포함한다. 즉, 음성입력파트(111)에서 음성 데이터를 입력받고, 이 입력된 음성 데이터를 음성전송단자(112)를 통해 가이드홈(260)의 표면 일측 까지 전송하는 것이다. 따라서, 음성전송단자(112)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일종의 통신선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된다.
고정축(270)에는 일 측면에 음성전송단자(112)와 접촉하여 음성데이터를 수신하는 음성수신단자(273)가 더 포함되며, 고정축(270)의 단부에 형성된 고정돌기(272)에는 음성 데이터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스피커(274)가 구비된다. 즉, 음성전송단자(112)와 음성수신단자(273)가 접촉되는 경우 모바일 단말기(400)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고정축(270)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고정축(270)의 단부에 형성된 고정돌기(272)에는 음성 데이터를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음성으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스피커(274)가 구비되므로, 최종적으로 음성 데이터를 스피커(274)에서 음성으로 출력하게 되며, 앞서 관통홈(262)을 통해 수용부(120)의 정면으로 음성을 효율적으로 전달하게 됨으로써 기존에 문제가 되었던 음성의 전달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더 나아가 모바일 단말기(400)보다 출력 및 크기가 큰 스피커(274)를 채용하게 되므로, 실감나는 음향 채널의 적용과 음질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태블릿과 비교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모바일 단말기(400)에 저장되거나 모바일 단말기(400)에서 표시중인 영상을 대형 스크린을 통해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일체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00: 단말 연결모듈 110: 도킹부
111: 음성입력파트 112: 음성전송단자
120: 수용부 130: 조작버튼
131: 푸싱바 200: 디스플레이모듈
210: 디스플레이부 220: 배터리
230: 컨트롤러 231: 리사이징모듈
232: 어플리케이션제공모듈 233: 동작제어모듈
240: 커버부 260: 가이드홈
261: 고정홈 262: 관통홈
270: 고정축 271: 지지축
272: 고정돌기 273: 음성수신단자
274: 스피커 300: 커버
400: 모바일 단말기 500: 외부입력부

Claims (10)

  1. 모바일 단말기용 일체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로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수용되는 수용부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멀티미디어 송수신 단자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는 도킹부로 구성되는 단말 연결모듈;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보유한 디스플레이장치보다 큰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도킹부에서 입력받은 상기 영상 데이터를 리사이징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제공하는 리사이징모듈을 포함하는 컨트롤러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이 상기 단말 연결모듈의 측면에 일체형으로 결합되되,
    상기 수용부의 전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작버튼이 위치하고,
    상기 조작버튼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측면에 위치하는 물리적 스위치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수용부의 내측에서 상기 물리적 스위치와 마주보는 위치로부터 상기 조작버튼까지 연장되되, 특정한 각도로 꺾어 힘의 방향을 바꿀 수 있도록 형성된 푸싱바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일체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외부를 감싸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 및 상기 커버부의 후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로지르는 형태로 함입 형성된 가이드홈과,
    상기 가이드홈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수용부 및 상기 커버부를 평행한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일체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연결모듈에는,
    별도의 멀티미디어 송수신 단자를 통해 외부 단말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외부입력부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일체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터치식 디스플레이로 구성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영상 데이터가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제공되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창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제공모듈과, 사용자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입력된 터치신호를 통해 상기 제어창에 표시된 제어를 수행하는 동작제어모듈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일체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고정축에 대응되도록 라운딩지게 함입 형성되어,
    상기 고정축이 상기 가이드홈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상기 고정축의 측면 일측에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지지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일체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의 길이는 상기 커버부의 길이와 대응되고,
    상기 고정축을 상기 가이드홈에 끼움 결합한 상태에서 좌우로 이동시켜 상기 수용부 및 상기 커버부의 평행상태 고정 여부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일체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후면과 일 측면의 경계부위에는,
    후면의 내측 방향을 따라 함입 형성된 고정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축의 일 단부에는,
    상기 고정홈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표면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된 고정돌기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일체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에는,
    상기 수용부의 정면까지 관통된 복수개의 관통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도킹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입력받는 음성입력파트와,
    상기 음성입력파트로부터 상기 가이드홈의 표면 일 측까지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홈의 표면으로 노출된 음성전송단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축의 일 측면에는,
    상기 음성전송단자와 접촉하여 상기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음성수신단자가 더 포함되고,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음성 데이터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일체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9. 삭제
  10. 삭제
KR1020160081321A 2016-06-29 2016-06-29 모바일 단말기용 일체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KR101691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1321A KR101691771B1 (ko) 2016-06-29 2016-06-29 모바일 단말기용 일체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PCT/KR2017/002576 WO2018004109A1 (ko) 2016-06-29 2017-03-10 모바일 단말기용 일체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US15/478,756 US20180004477A1 (en) 2016-06-29 2017-04-04 Integrated display device for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1321A KR101691771B1 (ko) 2016-06-29 2016-06-29 모바일 단말기용 일체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1771B1 true KR101691771B1 (ko) 2016-12-30

Family

ID=57737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1321A KR101691771B1 (ko) 2016-06-29 2016-06-29 모바일 단말기용 일체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80004477A1 (ko)
KR (1) KR101691771B1 (ko)
WO (1) WO20180041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33813B1 (en) * 2021-07-21 2022-12-20 Rockwell Collins, Inc. Touchscreen display panel gripping mechanism and bezel
US11856289B1 (en) * 2023-06-12 2023-12-26 Yes Yes Media Limited Portable media capture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6361A (ko) * 2006-11-22 2008-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통신 장치의 거치 구조
KR200454809Y1 (ko) * 2011-02-10 2011-07-28 정준엽 휴대 단말기 결합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20037638A (ko) * 2010-10-12 2012-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크래들 및 그 제어방법
KR20150127476A (ko) * 2014-05-07 2015-11-17 김봉기 휴대용 단말기 화면공유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10675B2 (en) * 2007-03-14 2013-12-17 Power2B, Inc. Interactive devices
KR101564030B1 (ko) * 2014-09-26 2015-10-29 김용운 입출력장치를 분담하는 앱을 탑재한 스마트 기기 탑재시스템 및 분담 제어방법
US9753489B2 (en) * 2015-04-16 2017-09-05 General Enchantment LLC Physical electronic bulletin board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6361A (ko) * 2006-11-22 2008-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통신 장치의 거치 구조
KR20120037638A (ko) * 2010-10-12 2012-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크래들 및 그 제어방법
KR200454809Y1 (ko) * 2011-02-10 2011-07-28 정준엽 휴대 단말기 결합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127476A (ko) * 2014-05-07 2015-11-17 김봉기 휴대용 단말기 화면공유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04109A1 (ko) 2018-01-04
US20180004477A1 (en) 2018-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480190B (zh) 柔性显示装置
US9572272B2 (en) Foldable display apparatus
US10001806B2 (en) Computing device with two or more display panels
US6859219B1 (en) Method and apparatus having multiple display devices
US8670022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EP2482165B1 (en) Tablet electronic device
KR20180018941A (ko) 슬라이딩 디스플레이 장치
JP2019502141A (ja) デュアルスクリーン端末、画面表示方法及び装置
US8789953B2 (en) Video delivery system using tablet computer and detachable micro projectors
KR20200047253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US20170220190A1 (en) Visual interface system
CN105373217A (zh) 多屏显示装置
KR20200061275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691771B1 (ko) 모바일 단말기용 일체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CN101165627A (zh) 具有辅助显示装置的计算机
US20140078160A1 (en) Display-controlling method and display device
US9818331B2 (en) Image flipping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KR101659025B1 (ko) 휴대 전자기기
KR102037928B1 (ko) 이동 단말기
US20150092326A1 (en) Detachable screen accessory
CN103228117B (zh) 一种移动设备后盖、移动设备保护壳及移动设备
WO2012063789A1 (ja) 表示装置、当該表示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20140008568A (ko) 영상 출력 방법 및 장치
KR102639610B1 (ko) 이동 단말기, 이동 단말기를 구비한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KR101984089B1 (ko)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