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8568A - 영상 출력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 출력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8568A
KR20140008568A KR1020120073869A KR20120073869A KR20140008568A KR 20140008568 A KR20140008568 A KR 20140008568A KR 1020120073869 A KR1020120073869 A KR 1020120073869A KR 20120073869 A KR20120073869 A KR 20120073869A KR 20140008568 A KR20140008568 A KR 201400085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display device
external display
docking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3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욱
강유진
차재욱
김병태
박경식
안지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20073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8568A/ko
Publication of KR20140008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85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2Use of DVI or HDMI protocol in interfaces along the display data pipeline

Abstract

영상 출력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외부 표시 장치는 영상 출력부,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방송 수신부, 휴대 단말과 연결되는 도킹 인터페이스부 및 휴대 단말과 연결되면, 도킹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휴대 단말의 화면에 대한 영상 신호를 수신하고, 방송 신호의 수신에 따른 방송 화면과 휴대 단말의 화면을 주화면과 보조화면으로 구성하고, 주화면 및 보조화면을 영상 출력부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도킹 관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영상 출력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본 발명은 휴대 단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 단말이 외부 표시 장치와 연결되었을 때의 화면 미러링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이동통신 단말기, 디지털 카메라, 게임 폰과 같은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한 휴대 전자기기는 게임, 동영상 또는 방송 재생 등의 다양한 기능이 구비되고 있다. 그러나, 휴대 전자기기의 휴대 편의상 작은 화면이 구비될 수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비록, 두 개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구비된 듀얼 스크린(duel screen) 기능을 갖는 휴대 전자기기가 제공되고 있으나, 이는 두 개의 화면만을 제공하는 이점만이 있을 뿐, 큰 화면을 제공할 수 는 없으며, 더욱이 두 개의 화면을 구비함에 따라 많은 공간을 차지하고, 휴대 전자기기의 부피도 커질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발명의 배경기술로는 휴대폰용 도킹장치에 관한 특허문헌이 있으며, 사용자가 휴대폰의 음성 통화기능, 문자 전송기능, 영상 처리기능, 인터넷 검색기능 및 그 밖의 PC 기능들을 보다 빠르게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휴대폰용 도킹장치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KR 0313581 B1 2001. 10. 22 도면 1
본 발명은 휴대 단말과 외부 표시 장치의 연결에 따라 외부 표시 장치에 방송 화면과 휴대 단말의 화면을 함께 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휴대 단말과 연결되는 외부 표시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 표시 장치는 영상 출력부,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방송 수신부, 상기 휴대 단말과 연결되는 도킹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휴대 단말과 연결되면,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휴대 단말의 화면에 대한 영상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방송 신호의 수신에 따른 방송 화면과 상기 휴대 단말의 화면을 주화면과 보조화면으로 구성하고, 상기 주화면 및 상기 보조화면을 상기 영상 출력부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도킹 관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외부 표시 장치와 연결되는 휴대 단말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은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방송 수신부, 상기 외부 표시 장치와 연결되는 도킹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외부 표시 장치와 연결되면, 상기 방송 신호의 수신에 따른 방송 화면과 상기 휴대 단말의 화면을 주화면과 보조화면으로 구성하고, 상기 주화면 및 상기 보조화면을 상기 외부 표시 장치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휴대 단말과 연결되는 외부 표시 장치에서 영상을 출력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출력 방법은 방송 수신부를 통해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과 연결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상기 휴대 단말의 화면에 대한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방송 신호의 수신에 따른 방송 화면과 상기 휴대 단말의 화면을 주화면과 보조화면으로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주화면 및 상기 보조화면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외부 표시 장치와 연결되는 휴대 단말에서 영상을 출력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출력 방법은 상기 외부 표시 장치와 연결되는 단계, 방송 수신부를 구동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방송 신호의 수신에 따른 방송 화면과 상기 휴대 단말의 화면을 주화면과 보조화면으로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주화면 및 상기 보조화면을 상기 외부 표시 장치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휴대 단말과 외부 표시 장치의 연결에 따라 외부 표시 장치에 방송 화면과 휴대 단말의 화면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도 1은 도킹 디바이스와 연결되는 휴대 단말의 블록 구성도의 일 예.
도 2는 도킹 디바이스의 블록 구성도의 일 예.
도 3은 도 2의 도킹 디바이스의 외관 사시도의 일 예.
도 4는 도킹 인터페이스부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
도 5는 휴대 단말과 외부 표시 장치의 도킹 연결을 예시한 도면.
도 6은 외부 표시 장치에서의 영상 출력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7은 휴대 단말에서의 영상 출력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휴대 단말은,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 번호에 상관없이 동일한 수단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도킹 디바이스와 연결되는 휴대 단말의 블록 구성도의 일 예이다. 그리고, 도 4는 도킹 인터페이스부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의 블록 구성도를 중심으로 도 4를 참조하여 도킹 디바이스와 연결되는 휴대 단말의 일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도킹 디바이스(200)와 결합하는 휴대 단말(100)은, 무선 통신부(110), A/V 입력 장치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35), 영상 처리부(140), 내부 저장 장치부(150), 외부 저장 장치부(155), 영상 출력 장치(160), 오디오 출력 장치(165), 도킹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부(190)를 포함한다. 전원부(190)는 단말 충전을 위한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1의 구성요소들 중 일부 구성요소는 반드시 본 발명의 구현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구성요소에 해당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또한, 실시예에 따라 휴대 단말(100)은 이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휴대 단말(100)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휴대 단말(100)과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휴대 단말(100)과 다른 단말과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휴대 단말(100)은 이동 통신 단말일 수 있으며, 이 경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의 종류에 따라 무선 통신부(10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방송 수신 모듈, GPS 수신 모듈 등과 같은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휴대 단말(100)이 휴대폰, 스마트폰 등과 같이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 결합되는 휴대 단말은 반드시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필요는 없으며, 유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단말이거나 또는 통신 기능이 지원되지 않는 단말이어도 무방하다.
A/V 입력 장치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및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와 마이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로서, 그 구현 방식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 입력 장치 또는/및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과 같은 터치 입력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135)는 가속도 센서, 근접 센서, 접촉 센서 등과 같은 각종 센서를 포함함으로써, 휴대 단말(100)의 부가 기능/동작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영상 처리부(140)는 영상 신호 또는 데이터에 대한 변환/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영상 처리부(140)는 휴대 단말(100)과 도킹 디바이스(200) 간이 도킹 결합되었을 때, 도킹 디바이스(200)로 전송될 영상 데이터에 대한 영상 처리, 신호 변환 처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내부 저장 장치부(150) 및 외부 저장 장치부(155)는 휴대 단말(100)의 데이터 저장 장소로 이용되며, 이때 내부 저장 장치부(150)는 RAM, SDRAM, 플래시 메모리 등으로 구현될 수 있고, 외부 저장 장치부(155)는 SD 카드, USB 메모리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도킹 결합된 상태의 도킹 디바이스(200)도 외부 저장 장치부(155)로서 기능할 수 있다.
영상 출력 장치(160)는 액정 패널, AMOLED 등으로 구현될 수 있고, 오디오 출력 장치(165)는 스피커, 리시버, 버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킹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100)과 도킹 디바이스(200) 간의 물리적 도킹 결합이 이루어진 경우, 휴대 단말(100)로부터 도킹 디바이스(200)로의 영상 데이터 출력, 오디오 신호 출력, 그리고, 휴대 단말(100)과 도킹 디바이스(200) 상호 간의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킹 인터페이스부(17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입출력 인터페이스(172), 오디오 입출력 인터페이스(174), 데이터 입출력 인터페이스(17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인터페이스들 보다 적거나 더 많은 인터페이스들이 포함될 수도 있다. 일 예로, 도킹 인터페이스부(170)는 설계에 따라 오디오 입출력 인터페이스(174)는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다른 예로, 도킹 인터페이스부(170)는 도킹 디바이스(200)와 도킹 결합된 상태에서 그 도킹 디바이스(200) 측으로부터 휴대 단말(100)로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통로로서 기능하는 전원 입력 단자(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도킹 인터페이스부(170)는 설계 방식에 따라 추가적인 인터페이스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도킹 인터페이스부(170)에 대한 구체적 구성 예가 도 4를 통해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킹 인터페이스부(170)는, 도킹 디바이스(200)와의 도킹 결합시, 영상/오디오 입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표준,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로 USB(Universal Serial Bus) 표준이 이용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도킹 인터페이스부(170)에는, HDMI 및 USB를 지원하기 위한 커넥터가 각각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도 4는 일 예에 불과하며 이외에도 다양한 인터페이스 구성이 가능할 것임은 물론이며, HDMI 및 USB 이외의 다른 영상/오디오 입출력 인터페이스 방식, 데이터 입출력 인터페이스 방식이 이용될 수 있음도 물론이다.
또한, 휴대 단말(100)에 구비된 도킹 인터페이스부(170)를 통해, HDMI 또는 USB 단자를 가지고 있는 전자기기 또는 가전제품과 연결함으로써, 휴대 단말(100)의 영상/오디오를 전자기기 또는 가전제품의 영상 출력 장치 및 오디오 출력 장치를 통해서 출력할 수 있다. 즉, 후술할 도킹 디바이스(200)와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지 않은 일반 전자기기(예를 들어, TV, 모니터) 등에도 도킹 인터페이스부(170)의 HDMI 또는 USB 단자를 통해서 휴대 단말(100)의 화면 등을 해당 전자기기로 송출할 수도 있게 된다.
제어부(180)는 휴대 단말(100)의 각 구성요소들 그리고 휴대 단말(100)의 전반적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도킹 디바이스(200)와의 도킹 결합에 따른 휴대 단말(100)의 동작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도킹 에이전트(18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도킹 에이전트(182)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80)는 휴대 단말(100)과 도킹 디바이스(200)의 도킹 연결에 따라 휴대 단말(100)의 화면을 도킹 디바이스(200)의 화면에 미러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킹 디바이스(200)가 TV와 같은 방송 수신 기능을 포함하는 외부 표시 장치라고 가정하면, 제어부(180)는 외부 표시 장치와의 연결에 따라 방송 화면과 휴대 단말(100)의 화면을 주화면 및 보조화면으로 구성하여 외부 표시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방송 화면은 DMB 수신 모듈과 같은 방송 수신 모듈을 통해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영상 출력 방법은 구현하기에 따라 제어부(180)에 포함된 도킹 에이전트(182)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하, 도킹 디바이스(200)와 도킹 결합되는 휴대 단말(100)에서의 영상 출력 방법의 예를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도 5 내지 도 7의 설명에 앞서, 그 이해를 돕기 위해 먼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도킹 디바이스(200)의 일 예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도 2는 도킹 디바이스의 블록 구성도의 일 예이고, 도 3은 도 2의 도킹 디바이스의 외관 사시도의 일 예이다.
다만, 앞서도 부연 설명한 바이지만, 영상 출력 방법을 적용함에 있어서, 휴대 단말(100)과 도킹 연결되는 외부 디바이스는 반드시 후술할 도킹 디바이스(200)와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을 필요는 없다. 즉, 후술할 도킹 디바이스(200)와 같은 구성을 갖지 않는 일반 전자기기(예를 들어, TV, 모니터) 등의 경우에도, 소프트웨어 설치 방법이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여기서, 도 3은 도킹 디바이스에 대한 다양한 외관 구현 디자인 중 일 예를 예시한 것이며, 이에 의해 도킹 디바이스(200)가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하, 도 2 및 도 3의 경우를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도킹 디바이스(200)는, 영상 출력 장치(210), 오디오 출력 장치(220), 터치 입력 장치(230), 키 패드 입력 장치(235), 신호 처리부(240), 도킹 인터페이스부(250), 저장 장치부(260), 도킹 관리부(270) 및 전원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출력 장치(210), 오디오 출력 장치(220), 터치 입력 장치(230), 키 패드 입력 장치(235), 저장 장치부(260), 전원부(280)는 앞서 설명한 휴대 단말(100)에서와 동일 유사한 구성요소인 바, 그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도킹 인터페이스부(250) 및 도킹 관리부(270)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킹 인터페이스부(250)는, 휴대 단말(100)의 도킹 인터페이스부(170)와 물리적으로 도킹 결합됨으로써, 휴대 단말(100)과 도킹 디바이스(200) 간의 도킹 연결 관계를 형성시키기 위한 커넥터(connector) 부분이다. 따라서, 도킹 인터페이스부(250)는, 휴대 단말(100)의 도킹 인터페이스부(170)와 페어(pair) 관계에 있을 수 있고, 이 경우 휴대 단말(100)의 도킹 인터페이스부(170)와 동일한 인터페이스 구성(앞선 도 4 참조)을 가질 수 있다.
즉, 도킹 인터페이스부(250)는, 도킹 결합시, 휴대 단말(10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영상 입출력 인터페이스(252),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기위한 오디오 입출력 인터페이스(254), 휴대 단말(100)과의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25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킹 인터페이스부(250)는 이외에도 휴대 단말(100)과의 물리적 도킹 결합을 감지하는 도킹 감지부(미도시), 휴대 단말(100) 측으로 전원을 공급해주기 위한 통로로서 기능하는 전원 출력부(또는 단자, 미도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킹 인터페이스부(2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킹 디바이스(200) 본체 내에 휴대 단말(100)이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된 단말 삽입부(251) 내의 특정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도킹 디바이스(200)와 휴대 단말(100) 간의 도킹 결합은, 그 두 장치의 도킹 인터페이스부(170 및 250) 간이 서로 물리적 결합(또는 접촉)되도록, 도킹 디바이스(200)의 단말 삽입부(251)에 휴대 단말(100)을 삽입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도 3의 경우는, 휴대 단말(100)이 단말 삽입부(251)에 완전히 삽입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단말 삽입부(251)의 디자인에 따라 휴대 단말(100)의 일 부위(여기에는 도킹 인터페이스(170)는 포함되어야 함)만이 삽입되는 형태로 물리적 도킹 결합이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3에서는 바 타입의 패드 형상을 갖는 도킹 디바이스(200)를 예시하였지만, 도킹 디바이스(200)는 매우 다양한 디자인(예를 들어, 패드 타입이 아닌 노트북 타입, 바 타입이 아닌 슬라이드 타입 등)을 가질 수 있음도 물론이다.
도킹 관리부(270)는, 휴대 단말(100)과 도킹 디바이스(200) 간의 도킹 결합시, 도킹 디바이스(2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도킹 관리부(270)는, 연결 설정부(272),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274), 입력 이벤트 처리부(27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설정부(272)는, 휴대 단말(100)과의 도킹 결합이 최초 감지됨에 따라 도킹 디바이스(200)의 전원 상태를 활성화(예를 들어, 대기 전원 상태에서 파워 온 상태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연결 설정부(272)는, 그 도킹 결합 상태에서, 휴대 단말(100)과의 호스트-디바이스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킹 디바이스(200)는, 상기 도킹 결합 상태에서, 휴대 단말(100)에서의 사용자 작업 환경(영상 및 오디오 출력 환경/ 데이터 입출력 환경 등)과 동일한 작업 환경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도킹 결합 상태에서, 휴대 단말(100)의 화면 영상은 도킹 디바이스(200)의 화면으로 출력된다. 이를 위해, 도킹 관리부(270)는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274)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274)은, 도킹 결합이 최초 감지된 경우, 상기 도킹 관리부(270)의 제어에 따라 영상 출력 장치(210)의 화면 출력을 턴 온시키고, 휴대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도킹 결합 시점의 휴대 단말(100)의 화면 영상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영상 출력 장치(21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도킹 결합 상태에서, 도킹 디바이스(200)의 입력 장치(도 4의 도면부호 230 및 235 참조)로부터 입력 이벤트(예를 들어, 터치 입력 이벤트 등)를 수신한 경우, 입력 이벤트 처리부(276)는, 그 수신된 입력 이벤트에 상응하여 휴대 단말(100)의 동작을 제어하는데 이용되는 이벤트 신호를 생성 및 휴대 단말(10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킹 디바이스(200)는 스탠드 얼론(stand-alone) 상태에서는 아무런 동작을 하지 않는(즉, 사용자에게 유용한 어떠한 동작/기능 실행을 할 수 없는) 일종의 더미(dummy) 디바이스일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도킹 디바이스(200)에는 가능한 최소한의 기능(즉, 디스플레이 제어, 터치 입력 제어 등) 및 최소한의 하드웨어 구성만 탑재할 수 있어, 사용자 입장에서는 기존의 태블릿 PC/패드/노트북 제품과 동일한 작업 환경이 구현되면서도 그보다 저가의 제품을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을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도킹 디바이스(200)는, 자체 OS(여기서, 자체 OS란 스탠드 얼론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OS를 말함)를 탑재함으로써,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도 있는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100)과 분리 동작시는 전자 액자나 동영상/MP3 플레이어로, 도킹 결합 동작시는 휴대 단말의 기능으로까지 확대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먼저 설명한 형태(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없는 형태)에 비해 하드웨어 스펙이 고사양을 요구하게 될 것임은 물론이다.
이제까지, 도킹 결합되는 두 개의 장치로서, 휴대 단말(100) 및 도킹 디바이스(200)에 대해 설명하였는 바, 이하에서는 도킹 디바이스(200)와 도킹 결합되는 휴대 단말(100)에서의 영상 출력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특히, 이제까지는, 휴대 단말(100)과 도킹 디바이스(200)가 도킹 연결되는 방식으로서 도킹 인터페이스 간의 물리적 결합에 의하는 경우를 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서 "도킹 연결"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각 디바이스에 구비된 도킹 인터페이스 간의 물리적 직접 결합 방식 이외에도, 중간의 매개 장치(Hub)를 이용한 도킹 연결, 특정 연결 케이블(예를 들어, HDMI 케이블)을 이용한 도킹 연결의 방식도 가능함을 명확히 해둔다.
도 5는 휴대 단말과 외부 표시 장치의 도킹 연결을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자, 도킹 디바이스(200)를 TV와 같이 방송 수신 기능을 구비한 외부 표시 장치(200)로 통칭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100)과 외부 표시 장치(200)는 영상 또는 오디오 전송을 위한 연결 케이블(300)(예를 들어, HDMI 케이블)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케이블(300)의 양단에는 각각 휴대 단말(100)과 외부 표시 장치(200)에 접속되는 커넥터가 구비될 수 있다. 특히,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100)이 거치되는 단말 거치대(310)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100)과 외부 표시 장치(200)는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단말 거치대(310)는 휴대 단말(100)의 영상 또는 오디오 접속 단자와 연결되는 커넥터를 구비하고, 한편으로는 연결 케이블(300)과 바로 접속되거나, 연결 케이블(300)의 커넥터와 연결되는 접속 단자를 구비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표시 장치(200)는 복수의 화면을 출력한다. 즉, 외부 표시 장치(200)는 휴대 단말(100)과의 연결에 따라 주화면(10) 및 보조화면(20)을 출력한다. 여기서, 주화면(10)은 외부 표시 장치(200)의 화면의 전체 영역이 되고, 보조화면(20)은 외부 표시 장치(200)의 화면의 미리 설정된 일부 영역이 될 수 있다.
주화면(10) 및 보조화면(20)은 방송 화면과 휴대 단말(100)의 화면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화면(10)은 방송 화면이 출력되고, 보조화면(20)은 휴대 단말(100)의 화면이 출력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따라 방송 화면과 휴대 단말(100)의 화면은 주화면(10) 및 보조화면(20)으로 상호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표시 장치(200)는 PIP(Picture In Picture) 기능을 구비한 TV로, 방송을 수신하여 방송화면을 출력하고, 휴대 단말(100)과의 연결에 따라 휴대 단말(100)로부터 휴대 단말(100)의 화면에 대한 영상 신호를 수신하여 휴대 단말(100)의 화면을 보조화면(20)(즉, PIP 화면)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100)은 DMB 수신 모듈과 같은 방송 수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은 외부 표시 장치(200)와의 연결에 따라 방송 수신 모듈을 통해 방송을 수신하고, 방송 화면과 휴대 단말(100)의 화면을 주화면 및 보조화면으로 구성하여 외부 표시 장치(200)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표시 장치(200)는 휴대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영상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PIP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표시 장치(200)는 주화면으로 방송 화면을 출력하고, 보조화면으로 휴대 단말(100)의 화면을 출력하다가, 사용자의 입력(예를 들어, 주화면과 보조화면에 대한 화면 스위칭 명령)에 따라 주화면으로 휴대 단말(100)의 화면을 출력하고, 보조화면으로 방송 화면을 출력함으로써, 주화면과 보조화면 사이에 스위칭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주화면을 통해 드라마를 시청하고 보조화면으로 휴대 단말(100)에 저장된 사진이나 메시지 등을 보다가, 사용자가 휴대 단말(100)에 저장된 영화의 시청을 원하여 영화를 재생한 경우, 영화가 출력되는 휴대 단말(100)의 화면은 주화면으로 출력되고, 방송 화면은 보조화면으로 출력될 수 있다.
도 6은 외부 표시 장치에서의 영상 출력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S610 단계에서, 외부 표시 장치(200)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화면에 출력한다. 여기서, 수신된 방송 화면은 주화면(10)이 될 수 있다.
S620 단계에서, 외부 표시 장치(200)는 휴대 단말(100)과의 연결에 따라 연결을 감지한다. 예를 들어, 외부 표시 장치(200)와 휴대 단말(100)은 HDMI 케이블과 같은 영상 및 오디오 신호 전송을 위한 케이블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S630 단계에서, 외부 표시 장치(200)는 휴대 단말(100)로부터 휴대 단말(100)의 화면에 대한 영상 신호를 수신한다.
S640 단계에서, 외부 표시 장치(200)는 PIP 기능을 이용하여 방송 화면을 주화면(10)으로, 휴대 단말(100)의 화면을 PIP 화면 즉, 보조화면(20)으로 출력한다. 여기서, 외부 표시 장치(200)는 미리 설정된 값 또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방송 화면과 휴대 단말(100)의 화면을 각각 주화면(10)과 보조화면(20)으로, 또는 각각 보조화면(20)과 주화면(10)으로 출력하며, 상호 변경될 수 있다.
도 7은 휴대 단말에서의 영상 출력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S710 단계에서, 휴대 단말(100)은 외부 표시 장치(200)와의 연결에 따라 연결을 감지한다.
S720 단계에서, 휴대 단말(100)은 외부 표시 장치(200)와의 연결에 따라 방송 수신 모듈을 구동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S730 단계에서, 휴대 단말(100)은 방송 화면과 휴대 단말(100)의 화면을 주화면(10) 및 보조화면(20)으로 구성한다. 여기서, 휴대 단말(100)은 외부 표시 장치(200)의 PIP 기능과 같이, 외부 표시 장치(200)에 주화면(10)과 PIP 화면이 동시에 출력되도록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S740 단계에서, 휴대 단말(100)은 주화면(10) 및 보조화면(20)으로 구성된 화면에 대한 영상 신호를 외부 표시 장치(200)로 전송한다. 외부 표시 장치(200)는 휴대 단말(100)로부터 영상 신호를 수신하여 주화면(10) 및 보조화면(20)을 출력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9)

  1. 휴대 단말과 연결되는 외부 표시 장치에 있어서,
    영상 출력부;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방송 수신부;
    상기 휴대 단말과 연결되는 도킹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휴대 단말과 연결되면,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휴대 단말의 화면에 대한 영상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방송 신호의 수신에 따른 방송 화면과 상기 휴대 단말의 화면을 주화면과 보조화면으로 구성하고, 상기 주화면 및 상기 보조화면을 상기 영상 출력부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도킹 관리부를 포함하는 외부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화면은 외부 표시 장치 화면의 전체 영역이 되고, 상기 보조화면은 상기 외부 표시 장치 화면의 미리 설정된 일부 영역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표시 장치는 PIP(Picture In Picture)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보조화면은 PIP 화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과 상기 외부 표시 장치는 영상 또는 오디오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영상 또는 오디오 전송을 위한 연결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표시 장치.
  5. 외부 표시 장치와 연결되는 휴대 단말에 있어서,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방송 수신부;
    상기 외부 표시 장치와 연결되는 도킹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외부 표시 장치와 연결되면, 상기 방송 신호의 수신에 따른 방송 화면과 상기 휴대 단말의 화면을 주화면과 보조화면으로 구성하고, 상기 주화면 및 상기 보조화면을 상기 외부 표시 장치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주화면은 외부 표시 장치 화면의 전체 영역이 되고, 상기 보조화면은 상기 외부 표시 장치 화면의 미리 설정된 일부 영역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과 상기 외부 표시 장치는 영상 또는 오디오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영상 또는 오디오 전송을 위한 연결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8. 휴대 단말과 연결되는 외부 표시 장치에서 영상을 출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방송 수신부를 통해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과 연결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상기 휴대 단말의 화면에 대한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방송 신호의 수신에 따른 방송 화면과 상기 휴대 단말의 화면을 주화면과 보조화면으로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주화면 및 상기 보조화면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출력 방법.
  9. 외부 표시 장치와 연결되는 휴대 단말에서 영상을 출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부 표시 장치와 연결되는 단계;
    방송 수신부를 구동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방송 신호의 수신에 따른 방송 화면과 상기 휴대 단말의 화면을 주화면과 보조화면으로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주화면 및 상기 보조화면을 상기 외부 표시 장치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출력 방법.
KR1020120073869A 2012-07-06 2012-07-06 영상 출력 방법 및 장치 KR201400085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3869A KR20140008568A (ko) 2012-07-06 2012-07-06 영상 출력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3869A KR20140008568A (ko) 2012-07-06 2012-07-06 영상 출력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8568A true KR20140008568A (ko) 2014-01-22

Family

ID=50142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3869A KR20140008568A (ko) 2012-07-06 2012-07-06 영상 출력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856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15695A1 (ko) * 2014-01-28 2015-08-06 주식회사 모브릭 휴대 단말기의 영상 전송 장치 및 방법
KR20160021994A (ko) 2014-08-19 2016-0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제공장치
WO2017131248A1 (ko) * 2016-01-27 2017-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7142151A1 (en) * 2016-02-15 2017-08-24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15695A1 (ko) * 2014-01-28 2015-08-06 주식회사 모브릭 휴대 단말기의 영상 전송 장치 및 방법
KR20160021994A (ko) 2014-08-19 2016-0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제공장치
WO2017131248A1 (ko) * 2016-01-27 2017-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0764528B2 (en) 2016-01-27 2020-09-0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7142151A1 (en) * 2016-02-15 2017-08-24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9749575B1 (en) 2016-02-15 2017-08-29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4599B1 (ko)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 연결되는 휴대 단말 및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US20140379952A1 (en) Tablet electronic device
US20130016483A1 (en) Adapter modul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130024615A (ko) 외부 디바이스와 결합하는 휴대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US2013000986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acing between external device and mobile device
CN103106891A (zh) 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
US20140092304A1 (en) Tv and wireless electronic device combination system
EP2391056A2 (en) Media player device and method for wake-up thereof
KR20140008568A (ko) 영상 출력 방법 및 장치
CN102857628A (zh) 一种多屏幕显示的设备
KR101277657B1 (ko) 외부 디바이스와 이에 도킹되는 휴대 단말 사이의 입력 이벤트 처리 방법
CN103517144A (zh) 一种多屏互动适配器及显示设备
EP3399364A1 (en) Head-mounted display device and head-mounted display system
KR101485149B1 (ko) 외부 디바이스와 결합하는 휴대 단말 및 그 구동 방법
KR20130003645A (ko) 외부 디바이스와 이에 도킹되는 휴대 단말 사이의 연결 수립 방법
US9075575B2 (en) Multimedia device having detachable controller functioning as remote control while detached
CN102693612A (zh) 手持装置的远端控制装置及方法
CN104656775A (zh) 一种移动终端
CN103874236A (zh) 具有可扩展功能的无线通信数据卡及无线通信终端
KR102302994B1 (ko)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
TWI621950B (zh) 電子裝置群連接系統及方法
KR101485155B1 (ko) 도킹 디바이스와 연결되는 휴대 단말 및 웹페이지 출력 방법
KR102639610B1 (ko) 이동 단말기, 이동 단말기를 구비한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KR101542455B1 (ko) 모바일 스마트폰 도킹시스템
KR101522401B1 (ko)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 연결되는 휴대 단말 및 화면 변경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