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4615A - 외부 디바이스와 결합하는 휴대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외부 디바이스와 결합하는 휴대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4615A
KR20130024615A KR1020110088169A KR20110088169A KR20130024615A KR 20130024615 A KR20130024615 A KR 20130024615A KR 1020110088169 A KR1020110088169 A KR 1020110088169A KR 20110088169 A KR20110088169 A KR 20110088169A KR 20130024615 A KR20130024615 A KR 201300246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king
external device
portable terminal
screen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8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유진
강신혁
이정욱
정재훈
차재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10088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24615A/ko
Priority to US13/598,741 priority patent/US20130050122A1/en
Publication of KR20130024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46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27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input arrangement with other functional units of a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Abstract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 결합될 수 있는 휴대 단말에 있어서, 도킹 인터페이스부; 터치 패널;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의 물리적 도킹 결합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터치 패널 상에서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터치 입력에 상응하는 좌표 정보에 따라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포인터(pointer)가 표시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터치 입력에 상응하여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대한 화면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외부 디바이스와 결합하는 휴대 단말 및 그 제어 방법{Mobile Terminal for connection with external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휴대 단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외부 디바이스와 물리적 도킹 결합된 상태에서 외부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될 포인터를 제어할 수 있는 휴대 단말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및 무선통신 기술이 점차적으로 발달함에 따라, 휴대 단말은 기본적인 전화통화 기능 외에도 카메라, MP3, 인터넷, 게임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적인 기능을 구비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휴대 단말의 사용이 더욱 활성화되었다. 그리고, 최근에는 이와 같은 기능들이 더욱 강화된 스마트폰이 보급되기 시작하였으며, 이에 발맞추어 스마트폰에서 이용될 수 있는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들도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휴대 단말은 휴대성 및 이동성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단말의 크기에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으며, 이에 따라 화면의 크기, 해상도, 스피커 성능 등도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기술의 경우, 휴대 단말에 저장된 데이터, 음원 파일, 컨텐츠 등을 보다 좋은 사용 환경에서 활용하기 위하여 휴대 단말을 노트북이나 컴퓨터 등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치(일명, 도킹 스테이션)가 개발되었으며, 이에 따라 노트북이나 컴퓨터 등에서 휴대 단말에 저장된 데이터, 음원 파일, 컨텐츠 등을 보다 큰 화면과 좋은 성능의 스피커로 출력하여 이용해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은 노트북이나 컴퓨터 등에 내장된 자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되면서 휴대 단말에 저장된 데이터, 음원 파일, 컨텐츠 등을 읽어 와서 출력하는 방식이며, 따라서 휴대 단말은 단순한 외부 저장 장치로서의 역할만 하였다.
본 발명은 휴대 단말을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 연결하여 사용할 때 최적의 사용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휴대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과 외부 디바이스가 도킹 연결된 상태에서 외부 디바이스의 터치 패드 혹은 마우스처럼 사용할 수 있는 휴대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 결합될 수 있는 휴대 단말에 있어서,
도킹 인터페이스부;
터치 패널;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의 물리적 도킹 결합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터치 패널 상에서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터치 입력에 상응하는 좌표 정보에 따라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포인터(pointer)가 표시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터치 입력에 상응하여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대한 화면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 결합된 휴대 단말을 이용한 포인터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휴대 단말에 구비된 도킹 인터페이스를 통한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의 도킹 연결이 이루어지는 단계;
(b) 상기 휴대 단말에 구비된 터치 패널 상에서의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및
(c) 상기 도킹 연결 상태에서, 상기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터치 입력에 상응하는 좌표 정보에 따라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포인터(pointer)가 표시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터치 입력에 상응하여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대한 화면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을 이용한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휴대 단말을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 연결하여 사용할 때 최적의 사용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휴대 단말과 외부 디바이스가 도킹 연결된 상태에서 휴대 단말을 외부 디바이스의 터치 패드 혹은 마우스처럼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블록 구성도의 일 예.
도 2는 도킹 인터페이스부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
도 3은 도킹 디바이스의 블록 구성도의 일 예.
도 4는 도 3의 도킹 디바이스로서 노트북 타입의 외관 사시도의 일 예.
도 5는 도 4의 외관 사시도의 도킹 디바이스를 상면에서 바라 본 평면도.
도 6은 도 4의 노트북 타입의 도킹 디바이스에 휴대 단말을 도킹하였을 때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킹 디바이스와 도킹 결합되는 휴대 단말에서의 포인터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8 및 도 9는 도킹 디바이스와 결합하는 휴대 단말에 적용 가능한, 도킹 결합시의 휴대 단말의 구동례를 설명하는 순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휴대 단말은,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도킹 디바이스는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형상을 갖는 것으로 예시하여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도킹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포함하는 제1 하우징과, 키 패드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전자 디바이스가 여기에 해당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킹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포함하는 제1 디바이스(독립적인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음)와, 키 패드 입력 장치 또는 이를 포함하는 제2 디바이스가 직접 결합 또는 유선 연결된 전자 디바이스일 수도 있지만, 상기 제1/제2 디바이스가 무선 연결(예를 들어, 블루투스 키보드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의 연결)된 형태로 구현된 것이어도 무방함은 물론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의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블록 구성도의 일 예이다. 그리고 도 2는 도킹 인터페이스부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의 블록 구성도를 중심으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일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킹 디바이스와 결합하는 휴대 단말(100)은, 무선 통신부(110), A/V 입력 장치부(120), 터치 패널(132)을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35), 영상 처리부(140), 내부 저장 장치부(150), 외부 저장 장치부(155), 영상 출력 장치(160), 오디오 출력 장치(165), 디스플레이 제어기(164), 터치 패널 제어기(166), 도킹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부(190)를 포함한다. 전원부(190)는 단말 충전을 위한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1의 구성요소들 중 일부 구성요소는 반드시 본 발명의 구현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구성요소에 해당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또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100)은 이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휴대 단말(100)과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휴대 단말(100)과 다른 단말과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할 때 상기 휴대 단말(100)은 이동 통신 단말일 수 있으며, 이 경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의 종류에 따라 무선 통신부(10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방송 수신 모듈, GPS 수신 모듈 등과 같은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휴대 단말(100)이 휴대폰, 스마트폰 등과 같이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라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 결합되는 휴대 단말은 반드시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필요는 없으며, 유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단말이거나 또는 통신 기능이 지원되지 않는 단말이어도 무방하다.
A/V 입력 장치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및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와 마이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로서, 그 구현 방식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 입력 장치 또는/및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과 같은 터치 입력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휴대 단말(100)은 풀터치 방식의 스마트폰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는, 몇 개의 하드 키 버튼(예를 들어, 홀드 키, 음량 조정 버튼 등)과,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스크린은, 일반적으로, LCD 또는 (AM)OLED 디스플레이(즉, 영상 출력 장치(160) 참조)와, 그 상면의 터치 패널(132)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35)는 가속도 센서, 근접 센서, 접촉 센서 등과 같은 각종 센서를 포함함으로써, 휴대 단말(100)의 부가 기능/동작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영상 처리부(140)는 영상 신호 또는 데이터에 대한 변환/처리를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에에서, 영상 처리부(140)는 휴대 단말(100)과 도킹 디바이스(200) 간이 도킹 결합되었을 때, 도킹 디바이스(200)로 전송될 영상 데이터에 대한 영상 처리, 신호 변환 처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내부 저장 장치부(150) 및 외부 저장 장치부(155)는 휴대 단말(100)의 데이터 저장 장소로 이용되며, 이때 내부 저장 장치부(150)는 RAM, SDRAM, 플래시 메모리 등으로 구현될 수 있고, 외부 저장 장치부(155)는 SD 카드, USB 메모리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를 때, 도킹 결합된 상태의 도킹 디바이스(200)도 외부 저장 장치부(155)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를 때, 상기 내부 저장 장치부(150) 및 외부 저장 장치부(155)에는 다음과 같은 데이터들이 저장될 수 있다.
영상 출력 장치(160)는 액정 패널, AMOLED 등으로 구현될 수 있고, 오디오 출력 장치(162)는 스피커, 리시버, 버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킹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100)과 도킹 디바이스(200) 간의 물리적 도킹 결합이 이루어진 경우, 휴대 단말(100)로부터 도킹 디바이스(200)로의 영상 데이터 출력, 오디오 신호 출력, 그리고 휴대 단말(100)과 도킹 디바이스(200) 상호 간의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킹 인터페이스부(17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입출력 인터페이스(172), 오디오 입출력 인터페이스(174), 데이터 입출력 인터페이스(17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인터페이스들 보다 적거나 더 많은 인터페이스들이 포함될 수도 있다. 일 예로, 도킹 인터페이스부(170)는 설계에 따라 오디오 입출력 인터페이스(174)는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다른 예로, 도킹 인터페이스부(170)는 도킹 디바이스(200)와 도킹 결합된 상태에서 그 도킹 디바이스(200) 측으로부터 휴대 단말(100)로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통로로서 기능하는 전원 입력 단자(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도킹 인터페이스부(170)는 설계 방식에 따라 추가적인 인터페이스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부(170)에 대한 구체적 구성 예가 도 2를 통해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부(170)는, 도킹 디바이스(200)와의 도킹 결합시, 영상/오디오 입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표준,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로 USB(Universal Serial Bus) 표준이 이용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도킹 인터페이스부(170)에는, HDMI 및 USB를 지원하기 위한 커넥터가 각각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도 2는 일 예에 불과하며 이외에도 다양한 인터페이스 구성이 가능할 것임은 물론이며, HDMI 및 USB 이외의 다른 영상/오디오 입출력 인터페이스 방식, 데이터 입출력 인터페이스 방식이 이용될 수 있음도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100)에 구비된 도킹 인터페이스부(170)를 통해, HDMI 또는 USB 단자를 가지고 있는 전자기기 또는 가전제품과 연결함으로써, 휴대 단말(100)의 영상/오디오를 위 전자기기 또는 가전제품의 영상 출력 장치 및 오디오 출력 장치를 통해서 출력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후술할 도킹 디바이스(200)와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지 않은 일반 전자기기(예를 들어, TV, 모니터) 등에도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부(170)의 HDMI 또는 USB 단자를 통해서 휴대 단말(100)의 화면 등을 해당 전자기기로 송출할 수도 있게 된다.
제어부(180)는 휴대 단말(100)의 각 구성요소들 그리고 휴대 단말(100)의 전반적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어부(180)는 도킹 디바이스(200)와의 도킹 결합에 따른 휴대 단말(100)의 동작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도킹 에이전트(18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도킹 에이전트(182)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 제어기(164), 터치 패널 제어기(166)로 소정의 제어 신호를 전달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기(164), 상기 터치 패널 제어기(166)를 통해서 앞서 설명한 영상 출력 장치(160) 및 터치 패널(132)의 온/오프 동작 또는/및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도킹 디바이스(200)와의 도킹 결합이 이루어진 경우, 휴대 단말(100)을 이용한 포인터 제어 방법의 실시예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에 앞서, 그 이해를 돕기 위해 먼저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도킹 디바이스(200)의 일 예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6의 설명]
도 3 도킹 디바이스의 블록 구성도의 일 예이다.
또한, 도 4는 도 3의 도킹 디바이스로서 노트북 타입의 외관 사시도의 일 예이고, 도 5는 도 4의 외관 사시도의 도킹 디바이스를 상면에서 바라 본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노트북 타입의 도킹 디바이스에 휴대 단말을 도킹하였을 때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여기서, 도 4는 도킹 디바이스에 대한 다양한 외관 구현 디자인 중 일 예를 예시한 것이며, 이에 의해 도킹 디바이스가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도킹 디바이스(200)는, 영상 출력 장치(210), 오디오 출력 장치(220), 키 패드 입력 장치(230), 신호 처리부(240), 도킹 인터페이스부(250), 저장 장치부(260), 도킹 관리부(270) 및 전원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출력 장치(210), 오디오 출력 장치(220), 키 패드 입력 장치(230), 저장 장치부(260), 전원부(280)는 앞서 설명한 휴대 단말(100)에서와 동일 유사한 구성요소인 바, 그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도킹 인터페이스부(250) 및 도킹 관리부(270)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킹 인터페이스부(250)는, 휴대 단말(100)의 도킹 인터페이스부(170)와 물리적으로 도킹 결합됨으로써, 휴대 단말(100)과 도킹 디바이스(200) 간의 도킹 연결 관계를 형성시키기 위한 커넥터(connector) 부분이다. 따라서, 도킹 인터페이스부(250)는, 휴대 단말(100)의 도킹 인터페이스부(170)와 페어(pair) 관계에 있을 수 있고, 이 경우 휴대 단말(100)의 도킹 인터페이스부(170)와 동일한 인터페이스 구성(앞선 도 2 참조)을 가질 수 있다.
즉, 도킹 인터페이스부(250)는, 도킹 결합시, 휴대 단말(10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영상 입출력 인터페이스(252),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기위한 오디오 입출력 인터페이스(254), 휴대 단말(100)과의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25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킹 인터페이스부(250)는 이외에도 휴대 단말(100)과의 물리적 도킹 결합을 감지하는 도킹 감지부(미도시), 휴대 단말(100) 측으로 전원을 공급해주기 위한 통로로서 기능하는 전원 출력부(또는 단자, 미도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를 때, 도킹 인터페이스부(25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킹 디바이스(200) 본체 내에 휴대 단말(100)이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된 단말 삽입부(251) 내의 특정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를 때, 도킹 디바이스(200)와 휴대 단말(100) 간의 도킹 결합은, 그 두 장치의 도킹 인터페이스부(170 및 250) 간이 서로 물리적 결합(또는 접촉)되도록, 도킹 디바이스(200)의 단말 삽입부(251)에 휴대 단말(100)을 삽입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도 6의 경우는, 휴대 단말(100)이 단말 삽입부(251)를 통해서 일부 삽입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단말 삽입부(251)의 디자인에 따라 휴대 단말(100)이 완전히 삽입되는 형태로 물리적 도킹 결합이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킹 관리부(270)는, 휴대 단말(100)과 도킹 디바이스(200) 간의 도킹 결합시, 도킹 디바이스(2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도킹 관리부(270)는, 일 실시예에 의할 때, 연결 설정부(272),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274), 입력 이벤트 처리부(27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설정부(272)는, 휴대 단말(100)과의 도킹 결합이 최초 감지됨에 따라 도킹 디바이스(200)의 전원 상태를 활성화(예를 들어, 대기 전원 상태에서 파워 온 상태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연결 설정부(272)는, 그 도킹 결합 상태에서, 휴대 단말(100)과의 호스트-디바이스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킹 디바이스(200)는, 상기 도킹 결합 상태에서, 휴대 단말(100)에서의 사용자 작업 환경(영상 및 오디오 출력 환경/ 데이터 입출력 환경 등)과 동일한 작업 환경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도킹 결합 상태에서, 휴대 단말(100)의 화면 영상은 도킹 디바이스(200)의 화면으로 출력된다. 이를 위해, 도킹 관리부(270)는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274)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274)은, 도킹 결합이 최초 감지된 경우, 상기 도킹 관리부(270)의 제어에 따라 영상 출력 장치(210)의 화면 출력을 턴 온시키고, 휴대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도킹 결합 시점의 휴대 단말(100)의 화면 영상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영상 출력 장치(21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도킹 결합 상태에서, 도킹 디바이스(200)의 입력 장치(도 3의 도면부호 230 참조)로부터 입력 이벤트(예를 들어, 터치 입력 이벤트 등)를 수신한 경우, 입력 이벤트 처리부(276)는, 그 수신된 입력 이벤트에 상응하여 휴대 단말(100)의 동작을 제어하는데 이용되는 이벤트 신호를 생성 및 휴대 단말(10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킹 디바이스(200)는 스탠드 얼론(stand alone) 상태에서는 아무런 동작을 하지 않는(즉, 사용자에게 유용한 어떠한 동작/기능 실행을 할 수 없는) 일종의 더미(dummy) 디바이스일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도킹 디바이스(200)에는 가능한 최소한의 기능(즉, 디스플레이 제어, 터치 입력 제어 등) 및 최소한의 하드웨어 구성만 탑재할 수 있어, 사용자 입장에서는 기존의 노트북 제품과 동일한 작업 환경이 구현되면서도 그보다 저가의 제품을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을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도킹 디바이스(200)는, 자체 OS(여기서, 자체 OS란 스탠드 얼론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OS를 말함)를 탑재함으로써,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도 있는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100)과 분리 동작시는 전자 액자나 동영상/MP3 플레이어로, 도킹 결합 동작시는 휴대 단말의 기능으로까지 확대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먼저 설명한 형태(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없는 형태)에 비해 하드웨어 스펙이 고사양을 요구하게 될 것임은 물론이다.
이제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킹 결합되는 두 개의 장치로서, 휴대 단말(100) 및 도킹 디바이스(200)에 대해 설명하였는 바, 이하에서는 휴대 단말과 도킹 디바이스 간의 도킹 연결 상태에서, 휴대 단말을 이용한 포인터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특히, 이제까지는, 휴대 단말과 외부 디바이스(즉, 도킹 디바이스)가 도킹 연결되는 방식으로서 도킹 인터페이스 간의 물리적 결합에 의하는 경우를 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서 "도킹 연결"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각 디바이스에 구비된 도킹 인터페이스 간의 물리적 직접 결합 방식 이외에도, 중간의 매개 장치(Hub)를 이용한 도킹 연결, 특정 연결 케이블(예를 들어, HDMI 케이블)을 이용한 도킹 연결의 방식도 가능함을 명확히 해둔다.
[도 7의 설명]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킹 디바이스와 도킹 결합되는 휴대 단말에서의 포인터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도 7의 순서도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휴대 단말(100)의 터치 패널(132)은, 도 6에서와 같이, 휴대 단말(100)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면에 위치하여, 상기 휴대 단말(100)의 디스플레이 화면이 터치 스크린으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구비된 것으로 가정한다. 다만 여기서, 상기 터치 패널(132)은 정전식 또는 정압식 등 그 방식에 제한이 없으며, 경우에 따라, 디스플레이 하면에 위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휴대 단말(100)의 디스플레이 화면 자체를 노트북의 터치 패널 또는 마우스처럼 활용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상기 터치 패널(132)이 디스플레이 화면 상면 또는 하면에 위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즉, 터치 패널(132)은 도킹 디바이스(200)와의 도킹 결합된 그 결합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하는데 무리가 없는 위치라면 휴대 단말(100)의 어느 위치에 탑재되어도 무방하다 할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계 S710을 통해, 도 6에서와 같이, 휴대 단말(100)과 도킹 디바이스(200) 간에 도킹 인터페이스를 통한 도킹 연결이 이루어지면, 단계 S720에서, 휴대 단말(100)의 제어부(180)는 휴대 단말(100)의 동작 모드를 포인팅 디바이스 동작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여기서, 포인팅 디바이스 동작 모드란, 휴대 단말(100)이 마치 노트북의 터치 패드 혹은 마우스와 같은 포인팅 디바이스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동작 모드를 의미한다.
이러한 포인팅 디바이스 동작 모드로의 전환은, 다음과 같은 방식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포인팅 디바이스 동작 모드로의 전환은, 앞선 단계 S710에서의 도킹 연결이 감지됨에 따라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킹 연결이 감지되는 경우 휴대 단말(100)의 제어부(180)는 휴대 단말(100)의 동작 모드를 즉시(자동으로) 포인팅 디바이스 동작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예로, 도킹 연결이 감지된 이후 사용자에 의한 특정 입력(예를 들어, 휴대 단말(100)에 구비된 특정 키-여기서, 특정 키는 스마트폰의 경우에는 홈 키, 홀드 키 등일 수 있음-를 누르는 입력 동작)에 따라 비로소 포인팅 디바이스 동작 모드로 전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휴대 단말(100)의 제어부(180)는 도킹 연결된 이후, 사용자로부터의 위와 같은 키 입력이 존재하는 경우, 이를 사용자가 휴대 단말(100)을 포인팅 디바이스로 활용하기 위한 의도로 보고 이때 비로소 포인팅 디바이스 동작 모드로 전환시킬 수도 있다.
포인팅 디바이스 동작 모드로 전환된 경우, 휴대 단말(100)의 제어부(180)는, 단계 S730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 제어기(164)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의 출력(즉, 영상 출력 장치(160)의 출력)을 턴 오프(turn off)시키되, 터치 패널 제어기(166)를 제어하여 터치 패널(132)의 출력은 턴 온(turn on)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여기서, 터치 패널(132)의 출력을 턴 온(turn on)되도록 제어한다는 것은, 만일 도킹 연결 상태에서 터치 패널(132)의 출력이 이미 턴 온 상태였던 경우에는 그 턴 온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는 것까지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포인팅 디바이스 동작 모드로의 전환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도킹 연결된 상태에서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 동작 모드가 해제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구현 방식에 따라, 사용자가 포인팅 디바이스 동작 모드로의 진입 또는 해제를 선택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포인팅 디바이스 동작 모드가 해제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터치 패널(132)의 출력 또한 턴 오프(turn off)되도록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또한, 이상에서는, 포인팅 디바이스 동작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화면 출력은 턴 오프(turn off)시키는 것을 예시하고 있지만, 반드시 이와 같을 필요는 없으며, 구현 방식에 따라 턴 오프(turn off)시키지 않아도 무방함을 물론이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 단계 S740에서, 휴대 단말(100)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즉, 터치 패널(132) 상)에서의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180)는, 단계 S750에서, 그 터치 입력에 상응하는 터치 좌표 정보에 따라 상기 도킹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포인터(pointer)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좌표 정보에 상응하는 위치에 포인터를 표시한 화면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화면 영상을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함으로써, 도킹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포인터가 표시된 화면 영상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물론, 이외에도 제어부(180)는, 휴대 단말(100)의 도킹 인터페이스부(170) 중 데이터 입출력 인터페이스(176)을 통해서 상기 터치 좌표 정보를 상기 도킹 디바이스(200)로 전송하는 방식으로, 그 터치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포인터가 도킹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터치 좌표 정보는, 터치 패널(132) 상의 절대 좌표 정보일수도 있고, 그 절대 좌표에 기초하여 변환한 상대 좌표일 수도 있다. 여기서, 상대 좌표란, 상기 도킹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 화면 영상 중에서 상기 포인터(pointer)를 표시하여야 하는 위치에 관한 좌표 정보일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단말 설정의 변경(선택)을 통해서, 위 절대 좌표 및 상대 좌표 중 어느 하나를 선택 사용할 수 있다.
이 중 절대 좌표를 직접 이용할 수 있는 경우로는 다음과 같은 터치 입력의 예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입력 행위 중 플릭킹 동작에 따라 화면의 페이지 넘김 기능, 멀티 터치를 통한 이미지 확대/축소 기능 등과 같은 화면 제어 동작의 경우에는, 상대 좌표로의 변환을 하지 않더라도 터치 패널(130) 상에 입력된 터치의 절대 좌표만을 가지고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사용예에서는, 그 좌표 정보에 상응하는 위치에 포인터(pointer)를 반드시 표시하지 않더라도 해당 화면 제어 동작의 구현에 문제없을 것이다. 즉, 본 명세서에서는 주로 화면 상에 포인터 표시를 병행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위와 같은 사용예의 경우는 본 발명에서 포인터 표시는 필수적인 구성이라고 볼 수 없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당 포인터를 화면 영상 내의 어느 위치에 초기 위치시킬지는 임의적 사항에 해당한다. 즉, 절대 좌표에 기초하여 그 절대 좌표에 따른 위치에 포인터를 표시할 것인지, 혹은 상대 좌표에 기초하여 표시할 것인지 등은 단말 설계 상의 옵션 또는 사용자의 선택 사항일 뿐이다. 왜냐하면, 최초 터치 입력이 발생하는 위치(즉, 절대 좌표 또는 상대 좌표)와 무관하게 화면 영상 내의 특정 위치에 포인터가 표시되기만 하면, 그 이후에는 그 최초 표시 위치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터치 입력 위치의 변화(즉, 변위)에 상응하는 만큼 포인터를 해당 방향/속도로 이동시키면 되기 때문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포인터가 표시된 이후 단계 S760에서와 같이, 터치 패널(132) 상에서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에 위치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즉, 좌표 정보의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단계 S770에서, 그 터치 입력의 위치 변화(즉, 좌표 변화)에 상응하여 도킹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표시되는 포인터의 표시 위치를 변화시키게 된다. 즉, 이러한 방식에 따라 휴대 단말(100)의 터치 패널(132) 상의 터치 입력 위치의 변화가 도킹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서 포인터의 위치 변화로 반영되게 되며, 이에 상응하여 포인터 표시 위치의 이동 궤적이 변화하게 되는 것이다.
[도 8 및 도9의 설명]
도 8 및 도 9는, 특히, 도킹 결합 시점으로부터 도킹 해제될 때까지의 휴대 단말의 구동 방식을, 도킹 디바이스(200)에서의 영상 출력 및 입력 이벤트 발생의 경우를 중심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의 단계 S810에서, 휴대 단말(100)의 도킹 인터페이스부(170)와 도킹 디바이스(200)의 도킹 인터페이스부(250)의 물리적 도킹 결합에 따라 도킹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단계 S820에서, 제어부(180)는 휴대 단말(100)의 동작 모드를 도킹 연결 모드로 전환시킨다. 여기서, 도킹 연결 모드는, 휴대 단말(100)이 스탠드 얼론으로 동작할 때와 대비되는 개념으로, 도킹 디바이스(200)와의 도킹 결합 상태에서의 단말 동작 모드를 지칭한다. 이러한 도킹 연결 모드는, 앞서 도 7을 통해 설명한 본 명세서에서의 포인팅 디바이스 동작 모드로의 전환을 포함하는 보다 넓은 개념일 수 있다.
도킹 연결 모드로 전환되면, 단계 S830에서, 제어부(180)는 도킹 디바이스(200)와의 호스트-디바이스 연결 설정을 수행한다. 이러한 호스트-디바이스 연결 설정은 앞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도킹 디바이스(200)를 통해서 휴대 단말(100)의 사용자 작업 환경과 동일 또는 유사한 작업 환경을 제공해주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호스트-디바이스 연결 설정에서, 휴대 단말(100)과 도킹 디바이스(200) 중 어느 쪽이 호스트(host)로서 동작하는지는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도킹 디바이스(200)가 노트북 타입의 기기이고, 휴대 단말(100)이 노트북의 마우스 또는 터치 패드처럼 활용되는 경우, 그 마우스 또는 터치 패드로서의 활용되는 상황에서는, 휴대 단말(100)이 호스트로서 동작할 수 있다. 다만, 도킹 디바이스(200)의 종류에 따라 또는 도킹 상태에서의 동작 상황에 따라, 도킹 디바이스(200)가 호스트로서 동작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킹 연결 모드로 전환되면, 단계 S840에서, 제어부(180)는 도킹 디바이스(200)의 영상 출력 장치(210)의 해상도 정보를 획득하고, 단계 S850에서, 휴대 단말(100)의 화면 영상 데이터를 도킹 디바이스(200)로 전송하기 전에 해상도 변경이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도킹 디바이스(200)의 해상도 정보는, 상기 호스트-디바이스 연결 설정된 이후 도킹 디바이스(200)로부터 읽어들여 획득한 것일 수도 있고, 미리 도킹 결합 가능한 디바이스들에 대한 디바이스 정보(즉, 상술한 도킹 정보)를 저장해두고 있다가 실제 도킹된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찾아낼 수도 있다.
단계 S850의 판단 결과에 따라, 해상도 변경이 필요한 경우에는, 단계 S860에서, 제어부(180)는 해당 도킹 결합 시점의 휴대 단말(100)의 화면 영상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영상 처리부(140)를 통해 해상도 변경 처리한 후 도킹 디바이스(200)로 전송한다. 이와 달리, 해상도 변경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단계 S855에서와 같이 해당 도킹 결합 시점의 휴대 단말(100)의 화면 영상에 관한 영상 데이터 자체를 해상도 변경 없이 도킹 디바이스(2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해상도 변경이 불 필요한 경우란, 일반적으로, 원 영상 데이터의 해상도가 도킹 디바이스(200)의 영상 해상도와 동일하거나 호환 가능한 정도에 해당할 수 있다. 다만 여기서, 호환 가능한 정도인 경우를 해상도 변경이 필요한 경우로 볼 것인지 아니면 불필요한 경우로 볼 것인지는 단말 디자인에 따라 상이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이상에서는 도킹된 디바이스 간 해상도가 불일치하는 경우, 휴대 단말(100) 측에서 해상도 변경 처리를 하여 도킹 디바이스(200)로 전송하는 경우를 중심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반대일 수도 있다. 즉, 도킹된 디바이스 간 해상도 불일치의 경우, 휴대 단말(100)은 원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고, 이를 받은 도킹 디바이스(200)가 해당 영상 데이터의 해상도 변경을 수행하게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술한 단계 S850 및 S855에서는, 도킹된 디바이스 간 해상도 불일치의 경우만을 가정하여 설명하였지만, 양자 간 해상도 자체는 일치하더라도 각 디바이스가 갖는 화면 사이즈가 다른 경우에는 영상의 DPI(dot per inch)를 변경해줄 필요도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경우에도, 영상의 DPI 변경은, 휴대 단말(100) 측의 영상 처리부(140)에 의해 처리되어 도킹 디바이스(200)로 전송될 수도 있고, 도킹 디바이스(200)는 DPI 변경 전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도킹 디바이스(200) 측의 신호 처리부(240)가 이러한 DPI 변경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해상도 변경 또는/및 DPI 변경 등과 같은 영상 데이터 처리를 통해서 도킹 디바이스(200)의 영상 출력 장치(210)에 최적화된 화면 영상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때, 도킹 디바이스(200)의 영상 출력 장치(210)에 최적화된 화면 영상을 구현하기 위해, 상술한 DPI 변경 등과 함께 아래 설명과 같은 화면 출력 방향의 변경도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핸드폰, 스마트폰의 경우는 세로 길이 방향이 화면 출력의 기본 방향일 수 있고, 노트북이나 태블릿 PC(일명 스마트패드)의 경우는 가로 길이 방향이 화면 출력의 기본 방향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도킹 에이전트(182)가, 도킹 디바이스의 화면 해상도 정보 또는 화면 사이즈 정보, 단말 식별 정보(제품 정보) 등에 기초하여, 도킹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출력 기본 방향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도킹 디바이스(200)의 화면 출력 기본 방향이 휴대 단말(100)의 현재 화면 출력 방향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180)는 도킹 디바이스(200)의 화면 출력 기본 방향으로의 갱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DPI 값의 갱신은 물론, 화면 출력 기본 방향의 갱신도 함께 한 후, 각 애플리케이션들이 화면 출력 기본 방향의 변경 내용도 고려하여 화면 레이아웃을 재구성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도킹 결합 당시의 단말 화면 영상에 관한 데이터가 상기 도킹 디바이스(200)로 전송되면, 도킹 디바이스(200)의 도킹 관리부(270)는 수신된 화면 영상 데이터가 영상 출력 장치(210)를 통해서 디스플레이되도록 도킹 디바이스(200)의 동작을 제어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 단말(100)과 도킹 디바이스(200)가 도킹 결합된 상태에서, 도킹 디바이스(200)의 화면에 출력된 영상을 통해서, 휴대 단말(100)에서와 동일 또는 유사한 작업 환경을 경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킹 디바이스(200)를 통해 출력된 화면 영상에 근거하여, 사용자가 도킹 디바이스(200)의 키 패드 입력 장치(230) 등을 이용한 입력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여기서, 상기 동일 유사한 작업 환경이란, 도킹 디바이스(200)가 스탠드 얼론 상태에서 독립 동작할 수 없는 더미 디바이스인 경우를 가정하여, 더미 디바이스임에도 휴대 단말(100)에서 생성되어 도킹 디바이스(200)로 전송되는 화면 영상에 의해 마치 독립적인 동작을 수행하는 것과 같은 작업 환경이 구현되게 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도킹 디바이스(200)로 전송되는 화면 구성은, 반드시 단말 화면 구성과 동일한 화면 구성을 가질 필요가 없으며, 도킹 디바이스(200)의 종류에 따라 적합한 화면 구성을 갖도록 재구성되거나 또는 별개 디자인된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도킹 디바이스(200)의 입력 이벤트 처리부(276)는, 키 패드 입력 장치(230) 등을 통한 입력 조작에 의해 발생된 입력 이벤트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입력 이벤트에 상응하는 호스트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이에 따라, 도 9의 단계 S910에서, 휴대 단말(100)이 도킹 디바이스(200)로부터 상기 호스트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단계 S920에서, 제어부(180)는 그 호스트 제어 신호에 상응하는 휴대 단말의 동작 제어를 실행한다. 그리고 단계 S930에서, 그 호스트 제어 신호에 상응하는 휴대 단말의 동작 제어의 실행 결과에 따른 결과 화면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도킹 디바이스(200)로 전송한다.
이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하면, 사용자가 도킹 디바이스(200)의 화면에 표시된 특정 어플(이는 실제로는 휴대 단말(100)에 탑재된 어플이며, 도킹 디바이스(200)의 화면 상에서 볼 수 있도록 영상 표시되는 것을 의미함)을 실행시키고자 하는 의도로 도킹 디바이스(200)의 터치 입력 장치(230)를 이용하여 더블 클릭하는 것과 같은 동작을 하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그 더블 클릭 동작을 인식한 도킹 디바이스(200)는 그 입력 이벤트를 해석하고, 이에 대한 호스트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휴대 단말(100)로 전송함으로써, 휴대 단말(100)로부터 해당 어플이 사용자의 선택(더블 클릭) 동작에 따라 실행되었을 때의 결과 화면을 수신받아 출력할 수 있음이 그 예이다.
물론 이상에서는 도킹 디바이스(200)가 입력 이벤트를 해석하여 그에 따른 호스트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과 같이 설명하였지만, 이와 다른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즉, 앞선 단계 S910 ~ S930에서는, 도킹 디바이스(200)의 키 패드 입력 장치(230)를 통해 입력된 입력 이벤트(즉, 키 입력)가 발생하였을 때, 그 도킹 디바이스(200) 측이 호스트(host)로서 기능하고 휴대 단말(100) 측이 클라이언트(client)로서 기능하는 경우의 구현 방식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반대일 수도 있다. 즉, 앞서 도 7을 통해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 단말(100)이 도킹 디바이스(200)의 마우스 또는 터치 패드로서 활용되는 경우의 동작과 관련하여서는, 그 휴대 단말(100)이 호스트로서 동작하는 것임을 이미 설명한 바이다.
상술한 과정은 휴대 단말(100)과 도킹 디바이스(200) 간 도킹 연결 상태가 끊어지기 전까지 반복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940에서, 상기 도킹 디바이스(200)와의 물리적 도킹 결합이 끊어지면(즉, 디바이스 간 분리가 감지되면), 단계 S950에서, 제어부(180)는 수신된 도킹 해제 신호에 따라 휴대 단말(100)의 도킹 연결 모드를 해제한다. 도킹 연결 모드가 해제되면, 휴대 단말(100)은 다시 스탠드 얼론 상태의 동작 모드로 구동된다. 즉, 도킹 연결 모드가 해제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도킹 디바이스(200)를 통해 수행되던 작업이 휴대 단말(100)을 통해서도 연속적으로 수행(구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휴대 단말(100)과 도킹 디바이스(200) 간의 물리적 착탈(즉, 도킹 연결 및 해제)과 관계 없이, 연속성 있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도킹 연결 모드의 해제는, 앞서 도 7에서 설명한 포인팅 디바이스 동작 모드의 해제 과정을 포함하는 보다 넓은 개념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상기 도킹 연결 모드의 해제에 앞서(물론, 설계 구현에 따라 해제 이후일 수도 있음), 도킹 디바이스(200)와의 도킹 연결을 통해 수행되던 작업의 최종 상태를 휴대 단말의 저장 장치에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전과 동일한 도킹 디바이스(200)와 도킹 연결이 다시 이루어지는 경우, 이전에 중단되었던 작업이 그 도킹 디바이스(200)를 통해서 다시 속행될 수 있도록, 이전의 호스트-디바이스 연결 상태를 복구하고, 상기 최종 상태의 작업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도킹 디바이스(200)로 전송해줄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5)

  1.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 결합될 수 있는 휴대 단말에 있어서,
    도킹 인터페이스부;
    터치 패널;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의 물리적 도킹 결합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터치 패널 상에서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터치 입력에 상응하는 좌표 정보에 따라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포인터(pointer)가 표시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터치 입력에 상응하여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대한 화면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널 상에서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좌표 정보에 상응하는 위치에 포인터를 표시한 화면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화면 영상을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널 상에서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좌표 정보를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포인터가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의 물리적 도킹 결합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 단말의 동작 모드를 포인팅 디바이스 동작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화면 출력 동작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기; 및 상기 터치 패널의 동작을 제어하는 터치 패널 제어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 동작 모드로의 전환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휴대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 출력 동작은 턴 오프(turn off)되고 상기 터치 패널의 동작은 턴 온(turn on)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기 및 상기 터치 패널 제어기를 제어함에 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패널 상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의 위치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터치 입력의 위치 변화에 상응하여, 상기 포인터의 표시 위치의 이동 궤적이 변화된 화면 영상을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영상 출력 장치를 통해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영상을 통해 상기 휴대 단말의 화면 영상에서의 사용자 작업 환경과 동일 또는 유사한 작업 환경이 구현될 수 있도록,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부를 통해서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의 호스트-디바이스 연결 설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호스트-디바이스 연결 설정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휴대 단말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호스트 제어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수신된 호스트 제어 신호에 상응하는 상기 휴대 단말의 동작이 실행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상기 동작 제어에 따른 결과 화면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화면 출력 기본 방향이 상기 휴대 단말의 현재 화면 출력 방향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의 시스템 환경 설정 정보 중 현재 설정된 화면 출력 방향을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화면 출력 기본 방향으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10.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 결합된 휴대 단말을 이용한 포인터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휴대 단말에 구비된 도킹 인터페이스를 통한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의 도킹 연결이 이루어지는 단계;
    (b) 상기 휴대 단말에 구비된 터치 패널 상에서의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및
    (c) 상기 도킹 연결 상태에서, 상기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터치 입력에 상응하는 좌표 정보에 따라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포인터(pointer)가 표시되도록 하거나 또는 또는 상기 터치 입력에 상응하여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대한 화면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을 이용한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좌표 정보에 상응하는 위치에 포인터를 표시한 화면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c2) 상기 생성된 화면 영상을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을 이용한 제어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3) 상기 좌표 정보를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및
    (c4) 상기 포인터가 상기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외부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표시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을 이용한 제어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d)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의 물리적 도킹 결합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휴대 단말의 동작 모드를 포인팅 디바이스 동작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을 이용한 제어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e) 상기 터치 패널 상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의 위치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터치 입력의 위치 변화에 상응하여, 상기 포인터의 표시 위치의 이동 궤적이 변화된 화면 영상을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을 이용한 제어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f)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화면 출력 기본 방향이 상기 휴대 단말의 현재 화면 출력 방향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의 시스템 환경 설정 정보 중 현재 설정된 화면 출력 방향을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화면 출력 기본 방향으로 갱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을 이용한 제어 방법.
KR1020110088169A 2011-08-31 2011-08-31 외부 디바이스와 결합하는 휴대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02461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169A KR20130024615A (ko) 2011-08-31 2011-08-31 외부 디바이스와 결합하는 휴대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US13/598,741 US20130050122A1 (en) 2011-08-31 2012-08-30 Controlling user equipment as touch pad for external device connected theret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169A KR20130024615A (ko) 2011-08-31 2011-08-31 외부 디바이스와 결합하는 휴대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1024A Division KR20150121688A (ko) 2015-10-07 2015-10-07 외부 디바이스와 결합하는 휴대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4615A true KR20130024615A (ko) 2013-03-08

Family

ID=47742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8169A KR20130024615A (ko) 2011-08-31 2011-08-31 외부 디바이스와 결합하는 휴대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30050122A1 (ko)
KR (1) KR2013002461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78592A1 (ko) * 2013-05-01 2014-11-06 엘지전자(주) 무선 도킹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60044272A (ko) * 2014-10-15 2016-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를 이용한 화면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220050460A (ko) * 2020-10-16 2022-04-25 현의섭 영역분할 및 이원구동의 착탈식 인터페이스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컴퓨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17754B2 (en) 2011-08-05 2016-08-16 P4tents1, LLC User interface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20140136407A1 (en) * 2012-11-14 2014-05-15 Mitchell P. HAZAM System and Method for Conducting Financial Transactions
US20140139431A1 (en) * 2012-11-21 2014-05-22 Htc Corporation Method for displaying images of touch control device on external display device
KR101952831B1 (ko) * 2012-12-03 2019-0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외부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WO2016076820A1 (en) * 2014-11-10 2016-05-19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Touch pad adjustment
US20170371515A1 (en) 2014-11-19 2017-12-28 Honda Motor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bsolute and zone coordinate mapping with graphic animations
US9727231B2 (en) 2014-11-19 2017-08-08 Honda Motor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bsolute coordinate and zone mapping between a touchpad and a display screen
US10318070B2 (en) * 2017-02-15 2019-06-1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Touch detector with a code debugger
CN109753171A (zh) * 2017-11-03 2019-05-14 深圳市鸿合创新信息技术有限责任公司 一种镜像显示模式下触控坐标的校正方法
WO2020091795A1 (en) 2018-11-01 2020-05-0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ultifunction display port
CN115396520A (zh) * 2021-05-19 2022-11-25 华为技术有限公司 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4908B1 (ko) * 2004-03-10 2011-11-17 파나소닉 주식회사 화상전송 시스템 및 화상전송 방법
EP1672471A1 (en) * 2004-12-14 2006-06-21 Thomson Multimedia Broadband Belgium Content playback device with touch screen
US8963796B2 (en) * 2008-01-07 2015-02-24 Smart Technologies Ulc Method of launching a selected application in a multi-monitor computer system and multi-monitor computer system employing the same
US20100064228A1 (en) * 2008-09-11 2010-03-11 Ely Tsern Expandable system architecture comprising a handheld computer device that dynamically generates different user environments with secondary devices with displays of various form factors
US8487888B2 (en) * 2009-12-04 2013-07-16 Microsoft Corporation Multi-modal interaction on multi-touch display
JP4818454B1 (ja) * 2010-08-27 2011-11-16 株式会社東芝 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US8369893B2 (en) * 2010-12-31 2013-02-05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system for adapting mobile device to accommodate external display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78592A1 (ko) * 2013-05-01 2014-11-06 엘지전자(주) 무선 도킹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0194478B2 (en) 2013-05-01 2019-01-2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wireless docking service
KR20160044272A (ko) * 2014-10-15 2016-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를 이용한 화면 처리 방법 및 장치
US11353707B2 (en) 2014-10-15 2022-06-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screen using device
US11914153B2 (en) 2014-10-15 2024-0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screen using device
KR20220050460A (ko) * 2020-10-16 2022-04-25 현의섭 영역분할 및 이원구동의 착탈식 인터페이스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컴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050122A1 (en) 2013-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24615A (ko) 외부 디바이스와 결합하는 휴대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US11715439B2 (en) Dynamically controlling display mode of external device coupled to user equipment
US984361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through sub device that is connectable with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11353968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providing display coordinates on an external display device
US20120299846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operation support method
KR20130072745A (ko)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로의 영상 송출 방법 및 그 단말
US9542338B2 (en) Controlling applications according to connection state and execution condition
KR101554599B1 (ko)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 연결되는 휴대 단말 및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US20140240252A1 (en) Electronic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R20190043015A (ko)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
JP2010165289A (ja) 携帯電話機
CN102122195A (zh) 多功能一体机
KR20130074827A (ko) 단말 가이드와 결합되는 휴대 단말 및 자동 환경 설정 방법
KR101514044B1 (ko)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 연결되는 휴대 단말, 및 홈 스크린 설정 및 전환 방법
KR101485149B1 (ko) 외부 디바이스와 결합하는 휴대 단말 및 그 구동 방법
KR20140008568A (ko) 영상 출력 방법 및 장치
US20130165179A1 (en) Wireless terminal device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KR101522401B1 (ko)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 연결되는 휴대 단말 및 화면 변경 방법
KR20150121688A (ko) 외부 디바이스와 결합하는 휴대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45966A (ko)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 연결되는 휴대 단말 및 화면 변경 방법
KR20120106482A (ko) 휴대 단말과 결합하는 도킹 디바이스 및 그 구동 방법
KR20150036927A (ko) 스마트폰용 무선 자판 장치
US11112831B1 (en) System and method for touch interaction on a multi-display device
KR101485155B1 (ko) 도킹 디바이스와 연결되는 휴대 단말 및 웹페이지 출력 방법
KR20120122882A (ko)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 연결되는 휴대 단말 및 화면 변경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