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2831B1 - 전자 장치, 외부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외부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2831B1
KR101952831B1 KR1020120139239A KR20120139239A KR101952831B1 KR 101952831 B1 KR101952831 B1 KR 101952831B1 KR 1020120139239 A KR1020120139239 A KR 1020120139239A KR 20120139239 A KR20120139239 A KR 20120139239A KR 101952831 B1 KR101952831 B1 KR 101952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external device
operation mode
unit
cabl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9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1180A (ko
Inventor
구자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9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2831B1/ko
Priority to US14/079,800 priority patent/US9640137B2/en
Priority to EP13194514.9A priority patent/EP2738641B1/en
Priority to CN201810122447.4A priority patent/CN108196628B/zh
Priority to CN201310636842.1A priority patent/CN103853994B/zh
Priority to CN201810214047.6A priority patent/CN108491030B/zh
Publication of KR20140071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1180A/ko
Priority to US15/496,537 priority patent/US9898798B2/en
Priority to US15/862,124 priority patent/US10181174B2/en
Priority to US16/209,388 priority patent/US1044585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2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2831B1/ko
Priority to US16/564,782 priority patent/US10650485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1/20Processor architectures; Processor configuration, e.g. pipeli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0Bus structure
    • G06F13/4063Device-to-bus coupling
    • G06F13/4068Electrical coupling
    • G06F13/4081Live connection to bus, e.g. hot-plugg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0Bus structure
    • G06F13/4063Device-to-bus coupling
    • G06F13/409Mechanical coupl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9Arrangements for locking plugged peripheral connect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4Display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Power Sour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본 전자 장치는, 외부 장치와의 물리적 연결을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락킹부, 및, 외부 장치와의 연결 상태에 따라,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가 외부 장치의 그래픽 처리 장치를 이용하는 동작 모드인 경우에, 외부 장치와의 연결이 고정되도록 락킹부를 제어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외부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ELECTRONIC APPARATUS, EXTERNA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자 장치, 외부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 장치가 외부 장치의 그래픽 기능을 이용하는 경우에 전자 장치와 외부 장치 간의 물리적 단락을 방지할 수 있는 전자 장치, 외부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인용 컴퓨터에서 그래픽 처리부(GPU)는 CPU 또는 메인 칩셋과 동일한 패키지에 포함되거나(iGPU, intergrated Graphics Processing Unit), 별도의 패키지(dGPU, Discrete Graphics Processing Unit) 형태로 메인 보드에 실장되거나 별도의 모듈 형태로 설계되어 시스템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iGPU 및 iGPU를 결합하여 이용하거나, dGPU 및 dGPU를 결합하여 고성능의 그래픽 처리 능력을 제공할 수 있었다.
더욱이 최근에는 멀티미디어, 게임 등 고성능 GPU의 처리능력이 요구되는 어플리케이션 및 컨텐츠가 증가하고 있는데, 노트북 피시(PC)와 같이 이동성이 강조되는 시스템에서는 소모전력 및 발열 등의 문제로 고성능 GPU의 구비가 어려운 점이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비교적 소모전력이 낮은 iGPU를 시스템 내부에 구현하고, 고성능의 dGPU를 주 시스템에 장·탈착 가능한 도킹 장치에 구현하여, 필요에 따라 도킹 장치의 GPU를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이 도입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시스템의 경우, 노트북 피시와 도킹 장치가 갑자기 분리되는 치명적인 오류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구체적으로, 도킹 장치의 GPU를 이용하여 노트북 피시가 구동중인 경우에 도킹 장치와 노트북 피시를 연결하는 케이블 커넥터가 빠지는 경우에 노트북 피시에서는 시스템 페일(fail)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 장치가 외부 장치의 그래픽 기능을 이용하는 경우에 전자 장치와 외부 장치 간의 물리적 단락을 방지할 수 있는 전자 장치, 외부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전자 장치는, 상기 외부 장치와의 물리적 연결을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락킹부, 및, 상기 외부 장치와의 연결 상태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가 상기 외부 장치의 그래픽 처리 장치를 이용하는 동작 모드인 경우에, 상기 외부 장치와의 연결이 고정되도록 상기 락킹부를 제어한다.
이 경우, 본 전자 장치는, 상기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는 그래픽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가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그래픽 처리부만을 이용하여 그래픽 처리하는 제1 동작 모드로 동작하도록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외부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그래픽 처리부 및 상기 외부 장치의 그래픽 처리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그래픽 처리하는 제2 동작 모드로 동작하도록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전자 장치는, 상기 외부 장치와의 연결 해제 명령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연결 해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를 상기 전자 장치 내의 그래픽 처리부만을 이용하는 동작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가 상기 전자 장치 내의 그래픽 처리부만을 이용하는 동작 모드로 전환하면, 상기 외부 장치와의 연결이 분리되도록 상기 락킹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통하여 상기 연결 해제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를 분리하기 위한 물리 버튼을 통하여 상기 연결 해제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본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 간을 인터페이싱하는 소켓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는 케이블 커넥터를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소켓부와 상기 케이블 커넥터의 커넥터를 분리하기 위한 물리 버튼을 통하여 상기 연결 해제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는 기설정된 홈을 구비하는 케이블 커넥터를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케이블 커넥터와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자 장치와 케이블 커넥터 간을 인터페이싱하는 소켓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락킹부의 이동 부재는 상기 홈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케이블 커넥터의 커넥터는, 상기 소켓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단자 및 상기 복수의 단자가 구비되는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홈은 상기 기판의 일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케이블 커넥터의 커넥터는, 상기 소켓부와 상기 케이블 커넥터의 커넥터를 분리하기 위한 물리 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물리 버튼은 상기 복수의 단자 중 적어도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자 장치에 연결 해제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버튼은, 상기 복수의 단자 중 HPD(hot plug detect) 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전자 장치는, 상기 외부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상기 외부 장치와의 분리 가능 여부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통하여 상기 분리 가능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락킹부의 이동 부재의 위치에 따라 발광하는 발광 소자를 이용하여 상기 분리 가능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 간을 인터페이싱하는 소켓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켓부는, 상기 외부 장치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소켓부는, HDMI 및 썬더볼트(thunderbolt)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통하여 상기 외부 장치와 인터페이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그래픽 처리부는, CPU 또는 메인보드 칩에 구비되는 iGPU(integrated Graphics Processing Unit)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와의 물리적 연결을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락킹부, 상기 전자 장치의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는 그래픽 처리부, 및,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가 상기 그래픽 처리부의 기능을 이용하는 동작 모드인 경우에, 상기 전자 장치와의 연결이 고정되도록 상기 락킹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는 기설정된 크기의 홈을 구비하는 케이블 커넥터를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외부 장치는, 상기 케이블 커넥터의 커넥터와 상기 외부 장치 간을 인터페이싱하는 소켓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락킹부의 이동 부재는 상기 홈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장치와 연결 가능한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와의 분리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를 상기 외부장치의 기능을 이용하지 않는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가 전환되면, 이동 가능한 이동 부재를 이동하여 상기 외부 장치와의 물리적 연결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장치의 블록도,
도 4 및 도 5는 도 2의 소켓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소켓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6의 LED 표시부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락킹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외부 장치와의 연결 상태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도 2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서 표시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와 외부 장치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제3 실시 에에 따른 전자 장치와 외부 장치의 예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1000)은 전자 장치(100) 및 외부 장치(300)를 포함한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구동 명령을 입력받고, 입력받은 구동 명령에 따른 작업을 수행한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외부 장치(300)와 케이블 커넥터(400)를 통하여 연결되거나,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자 장치(100)는 노트북, 태블릿 PC, 휴대폰, 스마트폰, PMP, MP3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외부 장치(300)와 연결되지 않으면, 자체적으로 가지고 있는 그래픽 처리장치(GPU)를 이용하여 동작하는 제1 동작 모드로 동작하고, 외부 장치(300)와 연결되면, 외부 장치(300)에 구비된 그래픽 처리 장치(GPU)를 이용하여 동작할 수 있는 제2 동작 모드로 동작한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외부 장치(300)와 전기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락킹부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전자 장치(100)의 구체적인 동작 및 구성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외부 장치(300)는 전자 장치(100)의 기능을 확장해 주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외부 장치(300)는 자체적으로 동작하지 못하며, 전자 장치(100)가 장착되는 경우에 동작하는 도킹 장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 장치(300)는 그래픽 처리 장치(310)를 구비하여, 전자 장치(100)의 그래픽 처리 성능을 확장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장치(300)는 전자 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을 확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표시 장치(20)를 통하여 표시 기능을 확장하거나, 내부에 구비된 키보드 또는 터치 패드 등을 이용하여 입력 기능을 확장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장치(300)는 전자 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장치(300)는 전자 장치(100)의 저장 공간을 확장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외부 장치(300)가 자체적으로 동작할 수 없는 도킹 장치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나, 구현시에 외부 장치(300)는 자체적으로도 동작할 수 있는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1000)은 전자 장치(100)가 외부 장치(300)의 그래픽 기능을 이용하는 경우에, 락킹부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와 외부 장치 간의 물리적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을 설명함에 있어서,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300)가 케이블 커넥터(400)를 통하여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예에 대해서는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0), 그래픽 처리부(12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 저장부(140), 제어부(150) 및 소켓부(20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는 외부 장치와 연결 가능한 노트북, 태블릿, MP3, PMP 등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외부 장치는 도킹 장치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동작 모드를 갖는다. 여기서, 복수의 동작 모드는 전자 장치(100) 내부에 구비된 그래픽 처리부(120)만으로 그래픽을 처리하는 제1 동작 모드 및 외부 장치(300)에 구비된 그래픽 처리부(310)를 이용하여 그래픽을 처리할 수 있는 제2 동작 모드를 포함한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그래픽 처리 기능을 이용 여부에 따라 동작 모드를 구분하였지만, 이와 같은 동작 모드는 외부 장치의 기능을 이용하지 않는 제1 동작 모드 및 외부 장치의 기능을 이용하는 제2 동작 모드로 정의될 수도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전자 장치(100)를 외부 장치(미도시)에 연결하기 위해 형성되고,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및 인터넷망을 통해 외부 장치에 접속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무선 통신(예를 들어, GSM, UMTS, LTE, WiBRO 등의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서 접속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소켓부(200)를 통하여 외부 장치(3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가 외부 장치(300)와 연결되면,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외부 장치(300)의 그래픽 처리부(310)에서 처리될 그래픽 처리 명령을 전송하고, 그 처리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외부 장치(300)로부터 사용자 제어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으며, 외부 장치(300)에 표시될 이미지(또는 동영상)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외부 장치(300)를 통하여 외부 장치 또는 인터넷 망에 연결할 수 있다.
소켓부(200)는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300) 간을 인터페이싱 한다. 구체적으로, 소켓부(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커넥터(400)를 통하여 외부 장치와 연결될 수 있으며,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접적으로 외부 장치의 소켓부(200)와 연결될 수도 있다.
그리고 소켓부(200)는 이동 가능한 이동 부재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와의 물리적 연결을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락킹부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외부 장치(300)와 전자 장치(100)가 케이블 커넥터를 통하여 연결되면, 케이블 커넥터와 전자 장치 간의 물리적 연결을 선택적으로 고정하고, 외부 장치(300)와 전자 장치(100)가 직접 연결되면, 두 장치의 물리적 연결을 선택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구체적인 소켓부(200)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래픽 처리부(120)는 그래픽 처리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그래픽 처리부(120)는 그래픽에 관련된 연산을 처리하며,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제1 동작 모드인 경우, 독자적으로 동작한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제2 동작 모드인 경우, 외부 장치(300)의 그래픽 처리부(310)와 함께 그래픽에 관련된 연산을 분산하여 처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그래픽 처리부(120)는 독자적으로 패키징 되는 dGPU로 구현될 수 있으며, CPU 또는 메인 보드 칩에 구비되는 iGPU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구현시에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그래픽 처리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iGPU, dGPU를 구비할 수 있으며, 외부 장치(300)에 연결되는 경우, 1개의 iGPU 및 2개의 dGPU로 그래픽에 관련된 연산을 처리할 수도 있다.
그리고 그래픽 처리부(120)는 외부 장치(300)가 연결된 상태에서는, 즉,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제2 동작 모드인 경우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그래픽 처리 요구에 기초하여, 자체적으로 그래픽 처리를 수행할 것인지, 외부 장치(300)에 연결된 그래픽 처리부와 함께 그래픽 처리를 수행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높은 그래픽 성능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외부 장치(300)에 연결되어 있더라도, 그래픽 처리부(120)는 자체적으로 그래픽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높은 그래픽 성능이 필요한 게임과 같은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면, 그래픽 처리부(120)는 자신과 외부 장치의 그래픽 처리부가 함께 래픽 처리를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하거나, 외부 장치의 그래픽 처리부만이 해당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처리된 그래픽이 외부 장치(300)에 연결된 표시 장치에서 표시되는 경우, 그래픽 처리부(120)는 해당 그래픽 처리가 외부 장치(300)의 그래픽 처리부에서만 처리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는 전자 장치(100)에서 지원하는 각종 기능을 사용자가 설정 또는 선택할 수 있는 다수의 기능키를 구비하며, 전자 장치(100)에서 제공하는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는 터치 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이 동시에 구현되는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는 특정의 버튼 등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는 전자 장치(100)에서 제공하는 각종 정보를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하여 외부 장치(300)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가 외부 장치(300)와 연결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는 전자 장치(100)에서 표시될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이 외부 장치(300) 또는 외부 장치(300)에 연결된 표시 장치(20)에 표시될 수 있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는 전자 장치(100)가 외부 장치(300)에 연결되면, 외부 장치(300)에 연결되었음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는 외부 장치(300)와의 연결을 해제하겠다는 연결 해제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결 해제 명령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통하여 선택받을 수 있으며, 별도의 버튼을 통하여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는 외부 장치와의 분리 가능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연결 해제 명령 이후에, 전자 장치(100)가 외부 장치(300)와 분리 가능한 상태가 되면, 즉,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제2 동작 모드에서 제1 동작 모드로 전환되면, 분리할 수 있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표시 동작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통하여 표시될 수 있으며, 별도의 발광 소자를 통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별도의 발광 소자를 이용하는 예에 대해서는 도 7 및 8을 통하여 후술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이용하는 예에 대해서는 10을 통하여 후술한다.
저장부(140)는 전자 장치(100)의 구동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40)는 전자 장치(100)의 구동시 필요한 각종 명령어의 집합인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그램은 특정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응용프로그램뿐만 아니라 응용프로그램을 구동시키기 위한 운영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저장부(140)는 전자 장치(100) 내의 저장매체 및 외부 저장 매체, 예를 들어, USB 메모리를 포함한 Removable Disk, 네트워크를 통한 웹서버(Web serv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전자 장치(100) 내의 각 구성에 대한 제어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외부 장치의 장착 여부에 따라 동작 모드를 결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전자 장치(100)가 외부 장치에 장착되면,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제2 동작 모드로 결정하고, 전자 장치(100)가 외부 장치에 장착되지 않았으면,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제1 동작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외부 장치(300)가 연결되면, 외부 장치 내의 각 구성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에 따라 락킹부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제1 동작 모드인 경우에 기설정된 제1 위치에 락킹부의 이동 부재가 위치하도록 제어하고,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제2 동작 모드인 경우에 기설정된 제2 위치에 락킹부의 이동 부재가 위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제1 위치는 케이블 커넥터의 커넥터 또는 외부 장치(300)의 소켓부가 소켓부로 이동함에 있어서, 방해가 되지 않는 이동 부재의 위치이고, 제2 위치는 케이블 커넥터의 커넥터 또는 외부 장치(300)의 소켓부가 이동되지 않도록, 케이블 커넥터의 커넥터의 홈 또는 외부 장치의 특정 홈의 위치이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제2 동작 모드인 경우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연결 해제 명령을 입력받으면,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제1 동작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전환이 완료되면, 제어부(150)는 외부 장치 또는 케이블 커넥터와의 연결이 분리되도록 락킹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외부 장치의 그래픽 처리 장치를 이용하는 제2 동작 모드로 동작시에 락킹부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와 외부 장치 간의 물리적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자 장치와 외부 장치 간의 물리적 단락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바, 외부 장치의 그래픽 처리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 의도하지 않은 갑작스러운 dGPU의 탈착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PC 시스템의 안전한 사용을 가능토록 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전자 장치(100)가 외부 장치(300)의 그래픽 처리 기능을 이용하는 경우에만,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전환하고, 락킹부를 제어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외부 장치(300)의 그래픽 처리 기능뿐만 아니라,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예를 들어, 키보드 기능, 표시 기능) 또는 저장 기능 등 다른 기능을 이용 중에는 외부 장치가 분리가 되지 않도록 락킹부를 제어하고, 다른 기능을 이용하지 않은 상태가 되면, 외부 장치가 분리 가능하도록 락킹부를 제어하는 형태로도 구현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장치(300)는 그래픽 처리부(310), 제어부(320) 및 소켓부(200)를 포함하는 도킹 장치이다. 여기서 외부 장치(300)는 전자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확장할 수 있는 장치로,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의 그래픽 기능, 입력 기능 또는 출력 기능을 확장할 수 있다.
소켓부(200)는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300) 간을 인터페이싱 한다. 구체적으로, 소켓부(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커넥터(400)를 통하여 전자 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접적으로 전자 장치의 소켓부(200)와 연결될 수도 있다.
그리고 소켓부(200)는 이동 가능한 이동 부재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와의 물리적 연결을 고정하는 락킹부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외부 장치(300)와 전자 장치(100)가 케이블 커넥터를 통하여 연결되면, 케이블 커넥터와 전자 장치 간의 물리적 연결을 선택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구체적인 소켓부(200)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도 3에서는 외부 장치(300)와 전자 장치(100)가 직접 연결되면, 외부 장치(300)의 소켓부(200)가 물리적인 고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외부 장치(300)의 소켓부(200) 및 전자 장치(100)의 소켓부(200) 중 하나의 장치에서 이와 같은 연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래픽 처리부(310)는 전자 장치(100)의 그래픽 처리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그래픽 처리부(120)는 외부 장치(300)가 전자 장치(100)에 연결되고, 전자 장치(100)가 제2 동작 모드로 동작하면, 전자 장치(100) 내의 그래픽 처리부(310)와 함께 전자 장치(100)의 그래픽과 관련된 연산을 분산하여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320)는 외부 장치(300) 내의 각 구성에 대한 제어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20)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에 따라 락킹부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320)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제1 동작 모드인 경우에 기설정된 제1 위치에 락킹부의 이동 부재가 위치하도록 제어하고,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제2 동작 모드인 경우에 기설정된 제2 위치에 락킹부의 이동 부재가 위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제1 위치는 케이블 커넥터의 커넥터 또는 외부 장치(300)의 소켓부가 전자 장치(100)의 소켓부로 이동함에 있어서, 방해가 되지 않는 이동 부재의 위치이고, 제2 위치는 케이블 커넥터의 커넥터 또는 외부 장치(300)의 소켓부가 이동되지 않도록, 케이블 커넥터의 커넥터의 홈 또는 외부 장치의 특정 홈의 위치이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장치(300)는 외부 장치의 그래픽 처리 장치를 이용하는 제2 동작 모드로 동작시에 락킹부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와 외부 장치 간의 물리적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자 장치와 외부 장치 간의 물리적 단락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바, 외부 장치의 그래픽 처리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 의도하지 않은 갑작스러운 dGPU의 탈착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PC 시스템의 안전한 사용을 가능토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3을 설명함에 있어서, 외부 장치(300)가 소켓부 및 케이블 커넥터를 통하여, 전자 장치(100)와 연결된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 외부 장치(300)는 케이블 커넥터가 장착된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즉, 도 3의 케이블 커넥터 및 외부 장치는 하나의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도 3을 설명함에 있어서, 외부 장치(300)가 전자 장치의 그래픽 처리 성능만을 확장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외부 장치(300)는 전자 장치의 네트워크 접속 기능(예를 들어, 외부 장치에 LAN이 연결된 경우), 저장 기능(예를 들어, 외부 장치에 추가적인 HDD 또는 SDD가 구비된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등)의 기능을 확장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는 도 2의 소켓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4는 케이블 커넥터의 커넥터와 소켓부가 연결되기 전의 도면이고, 도 5는 케이블 커넥터의 커넥터와 소켓부가 연결된 경우의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소켓부(200)는 수용부(210) 및 락킹부(220)로 구성된다.
수용부(210)는 케이블 커넥터의 커넥터(410)를 통하여 외부 장치(300)와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수용부(210)는 복수의 단자를 포함하고, 케이블 커넥터의 커넥터의 복수의 단자와 일 대 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복수의 단자의 핀 배치는 HDMI 또는 썬더볼트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복수의 단자 중 하나의 단자(230)는 케이블 커넥터의 커넥터를 분리하기 위한 물리 버튼(4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 커넥터의 커넥터가 수용부(210)에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케이블 커넥터의 커넥터의 물리 버튼(440)을 누르면, 물리 버튼의 눌림에 의하여, 물리 버튼에 연결된 케이블 커넥터의 커넥터의 일 단자는 접지되고, 그에 연결된 수용부(210)의 일 단자(230) 역시 접지된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가 케이블 커넥터를 전자 장치(100)에서 분리하고자 하는 연결 해제 명령을 입력한 것으로 판단하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의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물리 버튼에 연결된 일 단자는 HPD 핀일 수 있다. 이와 같이 HPD 핀에 상기 물리 버튼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전자 장치(100)뿐만 아니라, 외부 장치(300) 측에서도 연결 해제 명령이 입력된 것을 간접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락킹부(220)는 전기 신호(ext GPU ON#)에 의하여 이동 가능한 이동 부재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와의 물리적 연결을 고정한다. 구체적으로, 락킹부(220)는 수용부(210)의 일 측에 배치되며(보다 구체적으로는 케이블 커넥터(400)의 커넥터(410)의 기설정된 홈(430)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제1 동작 모드인 경우에는 이동 부재를 락킹부(220) 내부에 위치하였다가, 케이블 커넥터(400)의 커넥터가 연결되어,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제2 동작 모드로 전환되면, 이동 부재를 기설정된 홈 방향(430)으로 이동하여, 케이블 커넥터(400)의 커넥터(410)가 전자 장치(100)와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제2 동작 모드인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연결 해제 명령을 입력받아,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제1 동작 모드로 전환되면, 락킹부(220)는 이동 가능한 부재를 락킹부(220) 내부로 이동시켜, 케이블 커넥터(400)의 커넥터(410)가 분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케이블 커넥터(400)는 케이블(420), 케이블(420) 양단에 위치하는 커넥터(410) 및 버튼(430)을 포함한다.
케이블(420)은 피복 내에 일 이상의 신호 선이 형성된다. 케이블 커넥터(400)가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300) 사이에 연결되는 경우, 케이블(420) 내에 있는 일 이상의 신호 선을 통해 두 장치 사이에서 전기적 신호 및 전원이 전달된다.
커넥터(410)는 케이블(420) 양단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커넥터(410)는 기판을 포함하며, 기판의 일 면 또는 양 면에 복수의 단자가 형성되며, 복수의 단자의 일 단은 케이블(420)의 신호 선과 연결되고, 타 단은 수용부(210)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이러한 커넥터(410)의 형상은 수용부(210)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커넥터(410)의 기판은 기설정된 크기의 홈(430)이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홈은 상술한 락킹부(220)의 이동 부재와 결합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기설정된 크기의 홈이 기판의 측면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구현시에 이와 같은 홈은 기판의 중앙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술한 락킹부(220)는 상술한 수용부(210)의 하부 또는 상부에 배치되고, 이동 부재가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하여, 커넥터(410)를 고정할 수 있다.
버튼(430)은 사용자가 케이블 커넥터(400)를 전자 장치(100)에서 분리할 때, 누르는 영역이다. 이와 같은 버튼(430)은 전기적 스위치를 포함하며, 이와 같은 전기적 스위치는 커넥터(410)의 복수의 단자 중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버튼(430)을 누른 경우에 복수의 단자 중 하나는 접지되고, 해당 단자에 연결된 수용부(210)의 단자 역시 접지되어, 사용자가 해당 버튼을 눌렀음을 전자 장치(100)에 통지할 수 있다.
그리고 케이블 커넥터(400)는 버튼(430)에 의하여 이격되는 물리적인 걸쇠를 구비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설명함에 있어서, 소켓부(200) 내에 락킹부(220)가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 락킹부(220)는 소켓부(220) 외부의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케이블(420) 양단에 커넥터(410)가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구현시에 케이블(420)의 일 단에만 커넥터(410)가 형성되고, 케이블(420)의 타 단은 커넥터(410) 없이 외부 장치(300)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도 6 및 도 7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소켓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2 실시 예에 따른 소켓부(200)는 수용부(210), 락킹부(220) 및 표시부(240)로 구성된다. 수용부(210) 및 락킹부(220)의 동작은 도 4 및 도 5와 동일하게 동작하는바, 추가 설명은 생략한다.
표시부(240)는 외부 장치(300)와의 분리 가능 여부를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표시부(240)는 직렬로 배치되는 저항(241) 및 발광소자(242)로 구성된다. 그리고 표시부(24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킹부(220)를 구동하는 구동 신호(Ext GPU On#)에 의해 동작하게 된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락킹부(220)의 구동 신호에 의하여 표시부가 동작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별도의 신호 라인을 이용하여 동작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락킹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락킹부(220)의 이동 부재는 좌·우(도면상에서는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케이블 커넥터가 분리되어 있는 경우, 락킹부(220)의 이동 부재는 하부 영역, 즉 락킹부(220) 구성 상에 배치하게 되어, 케이블 커넥터는 수용부(200)에 장착될 수 있다.
이후에 케이블 커넥터(400)의 커넥터(410)가 수용부(210)에 장착되면, 락킹부(220)의 이동 부재는 케이블 커넥터(400)의 커넥터(410)의 홈 영역으로 이동 가능하다. 이와 같이 커넥터의 홈 영역에 이동 부재가 위치하게 되면, 사용자가 케이블 커넥터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이동 부재에 의하여 케이블 커넥터는 분리되지 않는다.
한편, 도 8을 설명함에 있어서, 하나의 락킹부(220)가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두 개의 락킹부(220)가 수용부(210)의 양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9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락킹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외부 장치와 전자 장치는 분리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① 외부 장치와 전자 장치가 케이블 커넥터로 연결되면, ②전자 장치(100)는 동작 모드를 제1 동작 모드로 제2 동작 모드로 전환한다. 그리고 이에 따라, ③락킹부(220)는 이동 부재를 이동하여, 외부 장치와 전자 장치를 고정한다. 이와 같은 락킹부(220)의 제어 동작에 의하여, 표시부(240)는 분리할 수 없음을 알리는 LED를 표시한다.
이후에 ④ 사용자로부터 연결 해제 명령을 입력받으면,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통하여 장치 분리 명령을 입력받거나, 케이블 커넥터의 버튼을 사용자가 누르면, 전자 장치(100)는 동작 모드를 제2 동작 모드에서 제1 동작 모드로 전환한다. ⑤이와 같은 전환 동작에 의하여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제1 동작 모드로 전환되면, 락킹부(220)는 이동 부재를 이동하여, 외부 장치와 전자 장치의 고정을 해제하고, 표시부(240)는 분리가 가능함을 알리기 위하여, LED의 표시 동작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분리 가능함을 LED의 오프 상태로 표시하였으나, 구현시에는 분리 가능한 상태를 LED의 온 상태로 표시하고, 분리 불가능한 상태를 LED의 오프 상태로 표시할 수도 있다.
이동 부재가 이동하여, 외부 장치와 전자 장치의 고정이 해제되면, ⑥사용자는 케이블 커넥터와 전자 장치(100)를 분리할 수 있으며, ⑦ 케이블 커넥터의 분리에 의하여 외부 장치(300) 역시 오프 상태로 진입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케이블 커넥터의 분리에 의하여 외부 장치가 오프 상태로 진입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상술한 연결 해제 명령을 입력받는 버튼은 HPD 핀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HPD 핀의 신호를 이용하여, 케이블 커넥터의 분리 전에 미리 오프될 수도 있다.
도 10은 도 2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서 표시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를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은 물리버튼을 통하여 연결 해제 명령을 입력받은 경우에, 사용자로부터 외부 장치의 연결 해제를 진행할 것인지를 확인받는다. 이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통하여 사용자 확인을 받으면,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제2 동작 모드에서 제1 동작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도 10a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통하여 사용자 확인을 받은 이후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은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전환 중임을 표시한다.
도 10c를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은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전환되고, 락킹부의 동작이 해제되어 분리 가능한 상태임을 표시한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케이블에 구비된 물리 버튼을 통하여 연결 해제 명령이 입력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통하여 연결 해제 명령이 맞는지를 확인받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구현시에는 이와 같은 동작을 생략될 수 있다. 또한, 구현시에는 케이블에 구비된 물리 버튼이 아닌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통하여 연결 해제 명령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도 11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와 외부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2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의 하부에 외부 장치(300')와 연결되기 위한 소켓부(200)를 구비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소켓부(200)는 케이블 커넥터가 아닌 직접 외부 장치(300')의 소켓부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제2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앞서 설명한 전자 장치(100)와 소켓부(220)의 위치만 상이할 뿐 다른 동작은 동일한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락킹부(220)가 외부 장치(300')상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구현시에 락킹부(220)는 전자 장치(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는 외부 장치와 전자 장치(100)의 분리를 위한 분리 버튼(340)이 외부 장치가 외부 장치(300') 상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구현시에 이와 같은 분리 버튼(340)은 전자 장치(100')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2는 제3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와 외부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3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의 하단에 외부 장치(300")와 연결되기 위한 소켓부(200)를 구비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소켓부(200)는 케이블 커넥터가 아닌 직접 외부 장치(300')의 소켓부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3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별도의 키보드 입력부가 구비되는 않는 태블릿 장치 또는 슬레이트 PC일 수 있다.
그리고 제3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장치(300")는 키보드, 터치 패드 등을 구비한 장치일 수 있다.
제3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앞서 설명한 전자 장치(100)와 소켓부(200)의 위치만 상이할 뿐 다른 동작은 동일한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외부 장치와 전자 장치는 연결되어 있는 상태이고, 이동 가능한 이동 부재에 의하여 외부 장치와 전자 장치는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이다. 여기서 외부 장치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킹 장치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외부 장치와의 분리 명령을 입력받는다(S1310).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통하여, 분리 명령을 입력받거나, 별도의 물리 버튼을 통하여 분리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외부 장치와 전자 장치가 케이블 커넥터로 연결되는 경우, 이와 같은 물리 버튼은 케이블 커넥터의 커넥터를 전자 장치와 분리하기 위한 버튼 상에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외부 장치와 전자 장치가 직접 연결되는 경우, 이와 같은 물리 버튼은 외부 장치와 전자 장치를 물리적으로 분리하기 위한 버튼 상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후에,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를 제2 동작 모드에서 제1 동작 모드로 전환한다(S1320). 구체적으로, 분리 명령을 입력받으면,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전자 장치(100) 내의 기능만을 이용하는 제1 동작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기서 기능은 그래픽 처리 기능일 수 있다.
이후에,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제1 동작 모드로 전환되면, 상술한 이동 부재를 이동하여, 외부 장치와 전자 장치의 물리적 연결을 분리할 수 있다(S1330).
이상과 같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방법은 외부 장치의 그래픽 처리 장치를 이용하는 제2 동작 모드로 동작시에 락킹부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와 외부 장치 간의 물리적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3과 같은 제어 방법은 도 2 의 구성을 가지는 전자 장치상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그 밖의 구성을 가지는 전자 장치상에서도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3과 같은 제어 방법은 도 3의 구성을 가지는 외부 장치상에서도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제어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실행가능한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 있고, 상기 프로그램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전자 장치 110: 통신 인터페이스부
120: 그래픽 처리부 13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40: 저장부 150: 제어부
200: 소켓부 300: 외부 장치
400: 케이블 커넥터

Claims (21)

  1. 외부 장치와 연결 가능한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와의 물리적 연결을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락킹부; 및
    상기 외부 장치와의 연결 상태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장치와 연결된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가 상기 외부 장치의 그래픽 처리 장치를 이용하는 동작 모드인 경우에, 상기 외부 장치와의 연결을 고정하도록 상기 락킹부를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는 그래픽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가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그래픽 처리부만을 이용하여 그래픽 처리하는 제1 동작 모드로 동작하도록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외부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그래픽 처리부 및 상기 외부 장치의 그래픽 처리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그래픽 처리하는 제2 동작 모드로 동작하도록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와의 연결 해제 명령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연결 해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를 상기 전자 장치 내의 그래픽 처리부만을 이용하는 동작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가 상기 전자 장치 내의 그래픽 처리부만을 이용하는 동작 모드로 전환하면, 상기 외부 장치와의 연결이 분리되도록 상기 락킹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통하여 상기 연결 해제 명령을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를 분리하기 위한 물리 버튼을 통하여 상기 연결 해제 명령을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 간을 인터페이싱하는 소켓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는 케이블 커넥터를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소켓부와 상기 케이블 커넥터의 커넥터를 분리하기 위한 물리 버튼을 통하여 상기 연결 해제 명령을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는 기설정된 홈을 구비하는 케이블 커넥터를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케이블 커넥터와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자 장치와 케이블 커넥터 간을 인터페이싱하는 소켓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락킹부의 이동 부재는 상기 홈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커넥터의 커넥터는, 상기 소켓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단자 및 상기 복수의 단자가 구비되는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홈은 상기 기판의 일 측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커넥터의 커넥터는,
    상기 소켓부와 상기 케이블 커넥터의 커넥터를 분리하기 위한 물리 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물리 버튼은 상기 복수의 단자 중 적어도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자 장치에 연결 해제 명령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상기 복수의 단자 중 HPD(hot plug detect) 단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상기 외부 장치와의 분리 가능 여부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통하여 상기 분리 가능 여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락킹부의 이동 부재의 위치에 따라 발광하는 발광 소자를 이용하여 상기 분리 가능 여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 간을 인터페이싱하는 소켓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켓부는, 상기 외부 장치와 직접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는,
    HDMI 및 썬더볼트(thunderbolt)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통하여 상기 외부 장치와 인터페이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처리부는, CPU 또는 메인보드 칩에 구비되는 iGPU(integrated Graphics Processing Uni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9. 전자 장치와 연결 가능한 외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와의 물리적 연결을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락킹부;
    상기 전자 장치의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는 그래픽 처리부; 및
    상기 외부 장치와 연결된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가 상기 그래픽 처리부의 기능을 이용하는 동작 모드인 경우에, 상기 전자 장치와의 연결을 고정하도록 상기 락킹부를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외부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는 기설정된 크기의 홈을 구비하는 케이블 커넥터를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외부 장치는, 상기 케이블 커넥터의 커넥터와 상기 외부 장치 간을 인터페이싱하는 소켓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락킹부의 이동 부재는 상기 홈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장치.
  21. 외부 장치와 연결 가능하며, 상기 외부 장치와의 물리적 연결을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락킹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외부 장치와 연결된 경우, 상기 락킹부를 전자적으로 제어하여 상기 외부 장치와의 연결을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장치와 연결된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가 상기 외부 장치의 디지털 처리 장치를 이용하는 동작 모드인 경우, 상기 연결을 고정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락킹부를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KR1020120139239A 2012-12-03 2012-12-03 전자 장치, 외부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952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9239A KR101952831B1 (ko) 2012-12-03 2012-12-03 전자 장치, 외부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US14/079,800 US9640137B2 (en) 2012-12-03 2013-11-14 Electronic apparatus, external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13194514.9A EP2738641B1 (en) 2012-12-03 2013-11-26 Electronic apparatus, external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201310636842.1A CN103853994B (zh) 2012-12-03 2013-12-02 电子设备、外部设备及其控制方法
CN201810122447.4A CN108196628B (zh) 2012-12-03 2013-12-02 电子系统
CN201810214047.6A CN108491030B (zh) 2012-12-03 2013-12-02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US15/496,537 US9898798B2 (en) 2012-12-03 2017-04-25 Electronic apparatus, external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5/862,124 US10181174B2 (en) 2012-12-03 2018-01-04 Electronic apparatus, external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6/209,388 US10445853B2 (en) 2012-12-03 2018-12-04 Electronic apparatus, external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6/564,782 US10650485B2 (en) 2012-12-03 2019-09-09 Electronic apparatus, external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9239A KR101952831B1 (ko) 2012-12-03 2012-12-03 전자 장치, 외부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1180A KR20140071180A (ko) 2014-06-11
KR101952831B1 true KR101952831B1 (ko) 2019-02-28

Family

ID=49683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9239A KR101952831B1 (ko) 2012-12-03 2012-12-03 전자 장치, 외부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5) US9640137B2 (ko)
EP (1) EP2738641B1 (ko)
KR (1) KR101952831B1 (ko)
CN (3) CN10819662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7897B1 (ko) 2015-06-04 2021-10-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테스트 보드 및 그의 구동방법
CN110832469A (zh) * 2017-06-21 2020-02-21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硬件组件检测
JP6617388B1 (ja) * 2018-06-21 2019-12-11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情報処理装置、映像表示装置、および映像表示システム
US11341279B2 (en) 2019-07-29 2022-05-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nagement of securable computing resources
US11210427B2 (en) 2019-07-29 2021-12-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nagement of securable computing resources
US11669602B2 (en) 2019-07-29 2023-06-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nagement of securable computing resources
US10916889B1 (en) 2019-07-29 2021-02-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nagement of securable computing resources
US11531787B2 (en) 2019-07-29 2022-12-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nagement of securable computing resources
US11341278B2 (en) 2019-07-29 2022-05-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nagement of securable computing resources
EP4038510A4 (en) * 2019-09-30 2023-06-2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ISPLAYS WITH EXPANSION SLOT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37327A1 (en) * 2004-04-23 2005-10-27 Nvidia Corporation Point-to-point bus bridging without a bridge controller
US20070018956A1 (en) * 2005-07-25 2007-01-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comput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070271404A1 (en) * 2006-05-16 2007-11-22 Sun Microsystems, Inc. Realtime multithreaded hot-plug control
US20110227830A1 (en) * 2010-03-22 2011-09-22 Dukkyu Chun Method and apparatus for safe disconnection of external devices from a computer
US20120064758A1 (en) * 2010-09-09 2012-03-15 Grice Michael E HDMI Plug and Cable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13596A (en) 1993-01-05 1994-05-17 Dell Usa Lp Motorized portable computer/expansion chassis docking system
US5625829A (en) 1994-03-25 1997-04-29 Advanced Micro Devices, Inc. Dockable computer system capable of symmetric multi-processing operations
US5664118A (en) 1994-03-28 1997-09-02 Kabushiki Kaisha Toshiba Computer system having detachable expansion unit
US5737541A (en) 1994-03-30 1998-04-07 Sanyo Electric Co., Ltd. Box for functional expansion of a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US6493782B1 (en) * 1996-01-16 2002-12-1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for performing hot docking of a portable computer into a docking station
US6587909B1 (en) * 1996-06-05 2003-07-0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nstallation and removal of components of a computer
US6047343A (en) * 1996-06-05 2000-04-04 Compaq Computer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insertion and removal of a memory module using standard connectors
US6098132A (en) * 1996-06-05 2000-08-01 Compaq Computer Corporation Installation and removal of components of a computer
KR100455649B1 (ko) 1997-03-10 2004-12-29 삼성전자주식회사 주변장치의착탈잠금제어장치및그방법
US6102284A (en) 1997-04-23 2000-08-15 Lxe Inc. Cradle for holding a device
JP3852162B2 (ja) 1997-06-30 2006-11-29 ソニー株式会社 携帯型の電子機器用の据置装置及びその据置装置におけるロック解除方法
US6366458B1 (en) * 1997-06-30 2002-04-02 Sony Corporation Docking unit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locking method of docking unit
JPH11345043A (ja) 1998-06-03 1999-12-14 Toshiba Corp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およびロック制御方法
US6745330B1 (en) * 1999-06-22 2004-06-01 Hewlett-Packard Company, L.P. Computer system having peripheral device look
JP2003022844A (ja) 2001-07-05 2003-01-24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組電池の容量推定方法および劣化診断装置
JP2003228445A (ja) 2002-02-04 2003-08-15 Sony Corp 携帯情報端末、並びにロック制御システム
JP4100993B2 (ja) * 2002-08-09 2008-06-11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
KR20040042923A (ko) * 2002-11-14 2004-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컴퓨터에서의 보조 디바이스 구동 제어방법
KR100503479B1 (ko) 2003-01-24 2005-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단말기의 크레들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단말기고정방법
JP3718777B2 (ja) 2003-03-07 2005-11-24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ドッキング・ステーション
JP3846460B2 (ja) 2003-07-09 2006-11-15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装置及び電子機器の保護方法
US20060282604A1 (en) * 2005-05-27 2006-12-14 Ati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graphics data using multiple processing circuits
JP2007025060A (ja) 2005-07-13 2007-02-01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映像信号出力制御方法
JP5076317B2 (ja) * 2005-12-27 2012-11-21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TW200737002A (en) * 2006-03-30 2007-10-01 Xgi Technology Inc Method for realizing dynamic removing of graphic display device on computer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8199155B2 (en) * 2006-11-22 2012-06-12 Nvidia Corporatio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aving power in a multi-graphics processor environment
KR101329307B1 (ko) * 2007-01-25 2013-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Usb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JP5042313B2 (ja) 2007-08-28 2012-10-0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ロック解除方法
US7982742B2 (en) * 2007-09-06 2011-07-19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 for an information handling system having an external graphics processor system for operating multiple monitors
JP4724187B2 (ja) 2008-01-22 2011-07-13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無線接続される外部記憶装置に対するアクセス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
US8319782B2 (en) 2008-07-08 2012-11-27 Dell Products, Lp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scalable parallel graphics rendering capability for information handling systems
KR101014235B1 (ko) 2008-08-05 2011-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도킹 스테이션을 지원하는 휴대용 기기의 도킹 장치 및방법
US8717371B1 (en) * 2008-12-01 2014-05-06 Nvidia Corporation Transitioning between operational modes in a hybrid graphics system
US9201593B2 (en) 2009-03-27 2015-12-0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displays at a portable computing device and a portable computing device docking station
US8542240B2 (en) * 2009-03-31 2013-09-24 Intel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having switchable graphics processors
JP2011141707A (ja) * 2010-01-07 2011-07-21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30024615A (ko) * 2011-08-31 2013-03-08 주식회사 케이티 외부 디바이스와 결합하는 휴대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37327A1 (en) * 2004-04-23 2005-10-27 Nvidia Corporation Point-to-point bus bridging without a bridge controller
US20070018956A1 (en) * 2005-07-25 2007-01-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comput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070271404A1 (en) * 2006-05-16 2007-11-22 Sun Microsystems, Inc. Realtime multithreaded hot-plug control
US20110227830A1 (en) * 2010-03-22 2011-09-22 Dukkyu Chun Method and apparatus for safe disconnection of external devices from a computer
US20120064758A1 (en) * 2010-09-09 2012-03-15 Grice Michael E HDMI Plug and Cable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108609A1 (en) 2019-04-11
CN108491030B (zh) 2019-09-03
KR20140071180A (ko) 2014-06-11
EP2738641A2 (en) 2014-06-04
CN108196628B (zh) 2019-08-09
US20190392549A1 (en) 2019-12-26
US10650485B2 (en) 2020-05-12
CN103853994A (zh) 2014-06-11
EP2738641A3 (en) 2014-09-17
EP2738641B1 (en) 2016-08-03
US20140152674A1 (en) 2014-06-05
CN108491030A (zh) 2018-09-04
US20170228852A1 (en) 2017-08-10
CN103853994B (zh) 2018-08-10
US9898798B2 (en) 2018-02-20
US20180130173A1 (en) 2018-05-10
US9640137B2 (en) 2017-05-02
US10445853B2 (en) 2019-10-15
CN108196628A (zh) 2018-06-22
US10181174B2 (en) 201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2831B1 (ko) 전자 장치, 외부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US8904056B2 (en) Multi-host wireless input device
KR101522399B1 (ko) 휴대 단말에서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로의 화면 표출 방법 및 그 휴대 단말
TWI824706B (zh) 遊戲控制器、行動遊戲裝置及操作遊戲控制器的方法
US20140240252A1 (en) Electronic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20140146085A1 (en) Electronic Equipment, Program, And Control Method
JP6140006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出力制御方法
US20130205059A1 (en) Motherboard comprising expansion connector
TWM482862U (zh) 擴充裝置
US8897705B2 (en) Data transmitting system and data transmitting method
JP5907550B2 (ja) Usb機器およびusb機器の制御方法
US20110099315A1 (en) Multimedia system
US20150169039A1 (en) Electronic Apparatus, Method and Storage Medium
JP2008059165A (ja) 可搬性記憶装置
US20120036294A1 (en) Computer integrated display integrated display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US20140347279A1 (en) Keyboard device with switchable connection path and its switching method
US868901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for switching between two graphics chips safely and easily in accordance with use purpose
KR20120106480A (ko) 외부 디바이스와 결합하는 휴대 단말 및 그 구동 방법
JP2018185664A (ja) 制御システム、電子機器および制御方法
KR101936129B1 (ko) 망 분리 개인용 컴퓨터
JP3134079U (ja) 永久電力供給バスを具えた電器設備
JP2006155024A (ja) ハブ機能制御装置
US20180032118A1 (en) Control method, extension device, and recording medium
KR20140106353A (ko) 전자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CN103257675A (zh) 终端设备及其双图形处理单元的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