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2745A -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로의 영상 송출 방법 및 그 단말 - Google Patents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로의 영상 송출 방법 및 그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2745A
KR20130072745A KR1020110140296A KR20110140296A KR20130072745A KR 20130072745 A KR20130072745 A KR 20130072745A KR 1020110140296 A KR1020110140296 A KR 1020110140296A KR 20110140296 A KR20110140296 A KR 20110140296A KR 20130072745 A KR20130072745 A KR 201300727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splay device
external display
sourc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0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4927B1 (ko
Inventor
이정욱
강유진
이승우
차재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10140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4927B1/ko
Priority to US13/726,384 priority patent/US9766785B2/en
Publication of KR20130072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27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4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49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129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splay device, e.g. CRT or LCD monit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30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mobile telephon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 H04N21/2662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the video stream, e.g.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of the video stream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1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1/32106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separate from the image data, e.g. in a different computer f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1/00Still video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37Topological details of the connection
    • H04N2201/0039Connection via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37Topological details of the connection
    • H04N2201/0041Point to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48Type of connection
    • H04N2201/0049By wire, cable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48Type of connection
    • H04N2201/0055By radi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48Type of connection
    • H04N2201/0058Docking-station, cradle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4Digital still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9Image display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98User interven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placing documents, responding to an alar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04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 user, sender, addressee, machine or electronic recording medi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74Storage or retrieval of prestored additional information
    • H04N2201/3276Storage or retrieval of prestored additional information of a customised additional information profile, e.g. a profile specific to a user 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소스 단말에서 소스 단말과 연결되는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로의 영상 송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소스 단말에서,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와의 연결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로 송출될 영상 소스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소스 단말에서, 상기 확인된 영상 소스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영상 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로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송출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로의 영상 송출 방법 및 그 단말{METHOD FOR OUTPUTTING IMAGE DATA FROM TERMINAL TO DISPLAY DEVICE AND TERMINAL THEREOF}
본 발명은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로의 영상 송출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이 구현된 단말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의하면, 사용자의 단말이 프로젝터 또는 TV 등과 같은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와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케이블 등을 통해서 연결이 이루어지는 경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표출되는 화면 영상 자체가 아무런 제한 없이 그대로 미러링(mirroring)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기술에 의하면, 위와 같이 연결된 상태에서는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출되는 모든 내용이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로 그대로 송출되므로, 외부인 또는 다른 참석자들에게 보여주기에 적절하지 않은 화면 부분(예를 들어, 실시간 수신되어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통해 표출되는 SNS 메시지 팝업 등)까지도 모두에게 공유되게(보여지게) 되는 등 개인 프라이버시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조작자(즉, 사용자)에 의한 단말의 조작에 따라 그때 그때 보여지는 전환 화면들 모두가 그대로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의 화면을 통해 보여지므로, 그 화면을 함께 보는 사람들에게도 불편함을 주는 요소가 되었다. 일 예로, 사용자 단말과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가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을 조작하면, 그 조작될 때마다 변경되는 화면들이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의 화면을 통해서도 계속적으로 화면 전환되어 표시되므로 회의 참석자들의 시청감/집중력 저하의 문제를 발생시키곤 하였다.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의 표출 화면 중에서 사용자가 타방과 공유하고자 의도한 화면만을 선택적으로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로 영상 송출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한 단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소스 단말에서 소스 단말과 연결되는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로의 영상 송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와의 연결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로 송출될 영상 소스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소스 단말에서, 상기 확인된 영상 소스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영상 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로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송출 방법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로 송출될 영상 소스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소스 단말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로 송출될 영상 소스로 이용될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와의 연결이 감지됨에 따라 또는 상기 소스 단말에서의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로 송출될 영상 소스의 선택을 위한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생성하여 상기 소스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표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로 송출될 영상 소스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소스 단말에서, 상기 연결 감지된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가 기등록된 기기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기등록 기기인 경우, 상기 소스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표출되는 화면 영상 자체를 상기 영상 소스로 결정하는 단계; 및
미등록 기기인 경우, 상기 소스 단말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상기 소스 단말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화면 영상을 상기 영상 소스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미등록 기기인 경우로서, 상기 영상 소스로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화면 영상이 선택된 경우,
상기 확인된 영상 소스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영상 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로 송출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소스인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화면 영상 중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현재 선택된 또는 가장 최근에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화면 영상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로 송출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확인된 영상 소스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영상 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로 송출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의 화면 규격에 상응하여, 상기 영상 소스에 관한 DPI(Dot Per Inch) 변경, 해상도 변경 및 화면 오리엔테이션 방향 변경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한 결과에 따른 영상 데이터를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로 송출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로 송출될 영상 소스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로의 송출이 금지된 영상 소스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확인된 영상 소스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영상 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로 송출하는 단계는, 상기 소스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표출되는 화면 영상 중에서 상기 송출 금지된 영상 소스를 제외한 소스의 영상 데이터를 송출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로의 영상 송출을 제어하는 단말로서,
영상 출력 인터페이스; 및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와의 연결이 감지되면,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로 송출될 영상 소스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영상 소스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영상 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로 송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와의 연결이 감지됨에 따라 또는 상기 단말에서의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로 송출될 영상 소스의 선택을 위한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생성하여 상기 소스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표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화면 영상을 상기 영상 소스로서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 감지된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가 기등록된 기기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기등록 기기인 경우 상기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표출되는 화면 영상 자체를 상기 영상 소스로 결정하고, 미등록 기기인 경우 상기 단말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상기 단말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화면 영상을 상기 영상 소스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미등록 기기인 경우로서, 상기 영상 소스로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화면 영상이 선택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소스인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화면 영상 중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현재 선택된 또는 가장 최근에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화면 영상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로 송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의 화면 규격에 상응하여, 상기 영상 소스에 관한 DPI(Dot Per Inch) 변경, 해상도 변경 및 화면 오리엔테이션 방향 변경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고, 수행 결과에 따른 영상 데이터를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로 송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로의 송출이 금지된 영상 소스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로 송출될 영상 소스를 확인하고, 상기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표출되는 화면 영상 중에서 상기 송출 금지된 영상 소스를 제외한 소스의 영상 데이터를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로 송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의 표출 화면 중에서 사용자가 타방과 공유하고자 의도한 화면만을 선택적으로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로 영상 송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영상만을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로 송출함으로써, 개인 프라이버시 보호가 강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의 화면을 함께 공유하는 회의 참석자 또는 시청자들의 시청감을 보다 개선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블록도.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을 소스 단말로 하여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와 연결되는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휴대 단말과 도킹 디바이스가 결합된 상태에서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와 연결되는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의 도킹 디바이스에 관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도킹 디바이스에 관한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
도 6은 휴대 단말과 도킹 디바이스가 도킹 결합되었을 때의 휴대 단말과 도킹 디바이스 간 호스트-디바이스 연결 설정에 따른 구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와의 연결에 따른 소스 단말에서의 영상 송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는 일 구성요소로부터 다른 구성요소로 특정 데이터를 "송출한다", "전송한다" 등으로 언급된 경우에도 위와 동일하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소스 단말로는,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장치, 노트북, 태블릿PC 등과 같은 이동 단말(또는 휴대 단말)은 물론 데스크탑 PC 등과 같은 고정 단말도 여기에 포함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소스 단말은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와의 관계에서 영상 데이터를 제공하는 소스로서 역할하는 모든 전자기기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및 집중을 위해, 소스 단말은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PC 등과 같은 휴대 단말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도킹 디바이스는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형상을 갖는 것으로 예시하여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도킹 디바이스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태블릿 PC 형상을 가질 수도 있고, 이외에도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의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100)은, 무선 통신부(110), A/V 입력 장치부(120), 터치 패널(132)을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35), 영상 처리부(140), 내부 저장 장치부(150), 외부 저장 장치부(155), 영상 출력 장치(160), 오디오 출력 장치(165), 디스플레이 제어기(164), 터치 패널 제어기(166), 도킹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부(190)를 포함한다.
다만 도 1의 구성요소들 중 일부 구성요소는 반드시 본 발명의 구현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구성요소에 해당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또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100)은 이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휴대 단말(100)과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휴대 단말(100)과 다른 단말과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무선 통신부(110)는 단말 구현에 따라 이동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방송 수신 모듈, GPS 수신 모듈 등과 같은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휴대 단말(100)이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라 반드시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필요는 없으며, 유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단말이거나 또는 통신 기능이 지원되지 않는 단말이어도 무방하다.
A/V 입력 장치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및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와 마이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로서, 그 구현 방식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 입력 장치 또는/및 터치 스크린과 같은 터치 패널(13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135)는 가속도 센서, 근접 센서, 접촉 센서 등과 같은 각종 센서를 포함함으로써, 휴대 단말(100)의 부가 기능/동작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영상 처리부(140)는 영상 신호 또는 데이터에 대한 변환/처리를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에에서, 영상 처리부(140)는 휴대 단말(100)과 도킹 디바이스(200) 간이 도킹 결합되었을 때 그리고 휴대 단말(100)과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10) 간이 연결되었을 때,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그 연결 기기로 송출될 영상 데이터에 대한 영상 처리, 신호 변환 처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내부 저장 장치부(150) 및 외부 저장 장치부(155)는 휴대 단말(100)의 데이터 저장 장소로 이용되며, 이때 내부 저장 장치부(150)는 RAM, SDRAM, 플래시 메모리 등으로 구현될 수 있고, 외부 저장 장치부(155)는 SD 카드, USB 메모리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영상 출력 장치(160)는 액정 패널, AMOLED 등으로 구현될 수 있고, 오디오 출력 장치(162)는 스피커, 리시버, 버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킹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100)과 도킹 디바이스(200) 간의 물리적 도킹 결합이 이루어진 경우(도 3 및 도 6 참조), 휴대 단말(100)로부터 도킹 디바이스(200)로의 영상 데이터 출력, 오디오 신호 출력, 그리고 휴대 단말(100)과 도킹 디바이스(200) 상호 간의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킹 인터페이스부(17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입출력 인터페이스(172), 오디오 입출력 인터페이스(174), 데이터 입출력 인터페이스(17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킹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100)과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10) 간의 연결이 이루어진 경우(도 2, 도 3, 도 7 참조), 휴대 단말(100)로부터 직접(도 2 참조) 또는 도킹 디바이스(200)를 경유하여(도 3 참조)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10)로 특정 영상 데이터를 송출하는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인터페이스들 보다 적거나 더 많은 인터페이스들이 포함될 수도 있다. 일 예로, 도킹 인터페이스부(170)는 도킹 디바이스(200) 또는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10)와 연결된 상태에서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통로로서 기능하는 전원 입력 단자(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도킹 인터페이스부(170)는 설계 방식에 따라 추가적인 인터페이스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그리고 도킹 인터페이스부(170)는, 영상/오디오 입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표준,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로 USB(Universal Serial Bus) 표준이 이용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이외에도 다양한 인터페이스 구성이 가능할 것임은 물론이며, HDMI 및 USB 이외의 다른 영상/오디오 입출력 인터페이스 방식, 데이터 입출력 인터페이스 방식이 이용될 수 있음도 물론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100)에 구비된 도킹 인터페이스부(170)를 통해, HDMI 또는 USB 단자를 가지고 있는 전자기기 또는 가전제품과 연결함으로써, 휴대 단말(100)의 영상/오디오를 위 전자기기 또는 가전제품의 영상 출력 장치 및 오디오 출력 장치를 통해서 출력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후술할 도킹 디바이스(200)와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지 않은 일반 전자기기(예를 들어, TV, 모니터) 등에도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부(170)의 HDMI 또는 USB 단자를 통해서 휴대 단말(100)의 화면 등을 해당 전자기기로 송출할 수도 있게 된다.
제어부(180)는 휴대 단말(100)의 각 구성요소들 그리고 휴대 단말(100)의 전반적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어부(180)는 도킹 디바이스(200)와의 도킹 결합에 따른 휴대 단말(100)의 동작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도킹 에이전트(18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도킹 에이전트(182)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할 때, 제어부(180)는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10)와 연결된 경우, 특정 영상 데이터의 송출과 관련된 기능 전반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 도 7을 통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의 설명]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을 소스 단말로 하여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와 연결되는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휴대 단말과 도킹 디바이스가 결합된 상태에서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와 연결되는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영상 소스 장치로서 휴대 단말(100)이 이용되고,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10)로서 TV가 예시되고 있다. 도 2에서 휴대 단말(100)은 휴대폰 또는 스마트폰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노트북, 태블릿 PC 등 특별한 제한은 없다. 또한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10)도 PC, 프로젝터 등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또 다른 휴대 단말일 수도 있다. 이는 도 3에서도 동일하다.
휴대 단말(100)과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10) 간은 영상 또는/및 오디오 입출력 케이블 장치 등을 통해서 유선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휴대 단말(100)에 구비된 영상/오디오 입출력 인터페이스(172, 174)와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의 영상/오디오 입출력 인터페이스(미도시) 간이 상기 케이블 장치(미도시)를 통해서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물론 상호간 영상 입출력 인터페이스만이 유선 연결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휴대 단말(100)과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10) 간은 연결(도 2의 도면부호 50 참조, 도 3의 도면부호 50도 동일)은 무선 연결 방식에 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WiFi, WiFi Direct, 무선 HDMI 등이 무선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100)은 영상 소스 장치로서 역할을 하고, 휴대 단말(100)로부터 특정 영상 소스에 관한 데이터가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10)로 송출됨으로써,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10)의 화면을 통해 표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100)과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10)는 도킹 디바이스(200)를 허브(HUB)로 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예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라 도 4 ~ 도 6을 통해 후술할 도킹 디바이스(200)를 경유하여 영상 소스 장치인 휴대 단말(100)이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10)와 연결되는 경우를 가정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도킹 디바이스(200)는 영상 전달의 매개체가 되는 허브로서 역할을 수행함과 아울러, 휴대 단말(100)을 대체하는 영상 출력 기능(도 3 및 도 5의 영상 출력 장치(210) 참조)과 입력 장치(도 3 및 도 5의 키 패드 입력 장치(230) 참조)로서의 기능도 수행하게 된다.
다만, 연결 방식에 따라, 도 3의 예에서와는 달리, 영상 소스 장치인 휴대 단말(100)은 단순히 영상 전달의 매개체로서의 허브 기능만을 수행하는 도킹 스테이션, 크래들 등을 경유하여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10)와 연결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핵심 특징인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로의 영상 송출 방법을 도 7을 통해 설명하기에 앞서, 도 3과 같은 케이스(즉, 본 발명의 특정 예인 도킹 디바이스와 결합된 상태)에서의 휴대 단말-도킹 디바이스 간 상호 동작에 관하여 도 4 ~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후술할 설명을 통해서도 이해할 수 있을 것이지만, 만일 도 3의 케이스인 경우에는, 휴대 단말(100)의 화면 영상은 후술할 도 6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도킹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미러링(mirroring)될 수 있으며, 대신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10)로는 후술할 도 7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그 화면 영상 중 일부(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영상)만이 송출되어 화면 표출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도 2와 같이 휴대 단말(100)과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10)가 직접 연결되는 케이스, 그리고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지 않는 일반적인 도킹 스테이션/크래들 등을 통해 연결되는 케이스 등에 있어서는 바로 후술할 도 7에 따라 영상 송출될 것이다.
[도 4, 도 5, 도 6의 설명]
도 4는 도 3의 도킹 디바이스에 관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도킹 디바이스에 관한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도킹 디바이스(200)는, 영상 출력 장치(210), 오디오 출력 장치(220), 키 패드 입력 장치(230), 신호 처리부(240), 도킹 인터페이스부(250), 저장 장치부(260), 도킹 관리부(270) 및 전원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4는 도킹 디바이스에 대한 다양한 외관 구현 디자인 중 일 예를 예시한 것이며, 이에 의해 도킹 디바이스가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도킹 디바이스는 태블릿 PC 형상과 유사한 외관을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도킹 디바이스에는 사용자 입력 장치로서 키 패드 입력 장치 대신 터치 스크린이 채용될 수 있다.
도 5에서, 영상 출력 장치(210), 오디오 출력 장치(220), 키 패드 입력 장치(230), 저장 장치부(260), 전원부(280)는 앞서 설명한 휴대 단말(100)에서와 동일 유사한 구성요소인 바, 그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도킹 인터페이스부(250) 및 도킹 관리부(270)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킹 인터페이스부(250)는, 휴대 단말(100)의 도킹 인터페이스부(170)와 물리적으로 도킹 결합됨으로써, 휴대 단말(100)과 도킹 디바이스(200) 간의 도킹 연결 관계를 형성시키기 위한 커넥터(connector) 부분이다. 따라서, 도킹 인터페이스부(250)는, 휴대 단말(100)의 도킹 인터페이스부(170)와 페어(pair) 관계에 있을 수 있고, 이 경우 휴대 단말(100)의 도킹 인터페이스부(170)와 동일한 인터페이스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즉, 도킹 인터페이스부(250)는, 도킹 결합시, 휴대 단말(10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영상 입출력 인터페이스(252),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기위한 오디오 입출력 인터페이스(254), 휴대 단말(100)과의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256)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를 때, 도킹 인터페이스부(2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킹 디바이스(200) 본체 내에 휴대 단말(100)이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된 단말 삽입부(251) 내의 특정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를 때, 도킹 디바이스(200)와 휴대 단말(100) 간의 도킹 결합은, 그 두 장치의 도킹 인터페이스부(170 및 250) 간이 서로 물리적 결합(또는 접촉)되도록, 도킹 디바이스(200)의 단말 삽입부(251)에 휴대 단말(100)을 삽입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도 3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100)이 단말 삽입부(251)를 통해서 일부 삽입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단말 삽입부(251)의 디자인에 따라 휴대 단말(100)이 완전히 삽입되는 형태로 물리적 도킹 결합이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는, 휴대 단말과 외부 디바이스(즉, 도킹 디바이스)가 도킹 연결되는 방식으로서 도킹 인터페이스 간의 물리적 결합에 의하는 경우를 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서 "도킹 연결"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각 디바이스에 구비된 도킹 인터페이스 간의 물리적 직접 결합 방식 이외에도, 중간의 매개 장치(Hub)를 이용한 도킹 연결, 특정 연결 케이블(예를 들어, HDMI 케이블)을 이용한 도킹 연결의 방식도 가능함을 명확히 해둔다.
도킹 관리부(270)는, 휴대 단말(100)과 도킹 디바이스(200) 간의 도킹 결합시, 도킹 디바이스(2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도킹 관리부(270)는, 일 실시예에 의할 때, 연결 설정부(272),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274), 입력 이벤트 처리부(27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설정부(272)는, 휴대 단말(100)과의 도킹 결합이 최초 감지됨에 따라 도킹 디바이스(200)의 전원 상태를 활성화(예를 들어, 대기 전원 상태에서 파워 온 상태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연결 설정부(272)는, 그 도킹 결합 상태에서, 휴대 단말(100)과의 호스트-디바이스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킹 디바이스(200)는, 상기 도킹 결합 상태에서, 휴대 단말(100)에서의 사용자 작업 환경(영상 및 오디오 출력 환경/ 데이터 입출력 환경 등)과 동일한 작업 환경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도킹 결합 상태에서, 휴대 단말(100)의 화면 영상은 도킹 디바이스(200)의 화면으로 출력된다. 이를 위해, 도킹 관리부(270)는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274)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274)은, 도킹 결합이 최초 감지된 경우, 상기 도킹 관리부(270)의 제어에 따라 영상 출력 장치(210)의 화면 출력을 턴 온시키고, 휴대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도킹 결합 시점의 휴대 단말(100)의 화면 영상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영상 출력 장치(21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도킹 결합 상태에서, 도킹 디바이스(200)의 입력 장치(도5의 도면부호 230 참조)로부터 입력 이벤트를 수신한 경우, 입력 이벤트 처리부(276)는, 그 수신된 입력 이벤트에 상응하여 휴대 단말(100)의 동작을 제어하는데 이용되는 이벤트 신호를 생성 및 휴대 단말(10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킹 디바이스(200)는 스탠드 얼론(stand alone) 상태에서는 아무런 동작을 하지 않는(즉, 사용자에게 유용한 어떠한 동작/기능 실행을 할 수 없는) 일종의 더미(dummy) 디바이스일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도킹 디바이스(200)에는 가능한 최소한의 기능(즉, 디스플레이 제어, 터치 입력 제어 등) 및 최소한의 하드웨어 구성만 탑재할 수 있어, 사용자 입장에서는 기존의 노트북 제품과 동일한 작업 환경이 구현되면서도 그보다 저가의 제품을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을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도킹 디바이스(200)는, 자체 OS(여기서, 자체 OS란 스탠드 얼론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OS를 말함)를 탑재함으로써,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도 있는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100)과 분리 동작시는 전자 액자나 동영상/MP3 플레이어로, 도킹 결합 동작시는 휴대 단말의 기능으로까지 확대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먼저 설명한 형태(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없는 형태)에 비해 하드웨어 스펙이 고사양을 요구하게 될 것임은 물론이다.
이제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킹 결합되는 두 개의 장치로서, 휴대 단말(100) 및 도킹 디바이스(200)에 대해 설명하였는 바, 이하에서는 휴대 단말과 도킹 디바이스 간의 도킹 연결 상태에서의 동작에 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휴대 단말과 도킹 디바이스가 도킹 결합되었을 때의 휴대 단말과 도킹 디바이스 간 호스트-디바이스 연결 설정에 따른 구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단계 S110에서, 휴대 단말(100)의 도킹 인터페이스부(170)와 도킹 디바이스(200)의 도킹 인터페이스부(250)의 물리적 도킹 결합에 따라 도킹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단계 S120에서, 제어부(180)는 휴대 단말(100)의 동작 모드를 도킹 연결 모드로 전환시킨다. 여기서, 도킹 연결 모드는, 휴대 단말(100)이 스탠드 얼론으로 동작할 때와 대비되는 개념으로, 도킹 디바이스(200)와의 도킹 결합 상태에서의 단말 동작 모드를 지칭한다.
도킹 연결 모드로 전환되면, 단계 S130에서, 제어부(180)는 도킹 디바이스(200)와의 호스트-디바이스 연결 설정을 수행한다. 이러한 호스트-디바이스 연결 설정은 도킹 디바이스(200)를 통해서 휴대 단말(100)의 사용자 작업 환경과 동일 또는 유사한 작업 환경을 제공해주기 위한 것이다. 호스트-디바이스 연결 설정에서, 휴대 단말(100)과 도킹 디바이스(200) 중 어느 쪽이 호스트(host)로서 동작하는지는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킹 디바이스(200)가 노트북 타입의 기기이고, 휴대 단말(100)이 노트북의 마우스 또는 터치 패드처럼 활용되는 경우, 그 마우스 또는 터치 패드로서의 활용되는 상황에서는, 휴대 단말(100)이 호스트로서 동작할 수 있다. 다만, 도킹 디바이스(200)의 종류에 따라 또는 도킹 상태에서의 동작 상황에 따라, 도킹 디바이스(200)가 호스트로서 동작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킹 연결 모드로 전환되면, 단계 S140에서, 제어부(180)는 도킹 디바이스(200)의 영상 출력 장치(210)의 해상도 정보를 획득하고, 단계 S150에서, 휴대 단말(100)의 화면 영상 데이터를 도킹 디바이스(200)로 전송하기 전에 해상도 변경이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도킹 디바이스(200)의 해상도 정보는, 상기 호스트-디바이스 연결 설정된 이후 도킹 디바이스(200)로부터 읽어들여 획득한 것일 수도 있고, 미리 도킹 결합 가능한 디바이스들에 대한 디바이스 정보(즉, 상술한 도킹 정보)를 저장해두고 있다가 실제 도킹된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찾아낼 수도 있다.
단계 S150의 판단 결과에 따라, 해상도 변경이 필요한 경우에는, 단계 S160에서, 제어부(180)는 해당 도킹 결합 시점의 휴대 단말(100)의 화면 영상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영상 처리부(140)를 통해 해상도 변경 처리한 후 도킹 디바이스(200)로 전송한다. 이와 달리, 해상도 변경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단계 S155에서와 같이 해당 도킹 결합 시점의 휴대 단말(100)의 화면 영상에 관한 영상 데이터 자체를 해상도 변경 없이 도킹 디바이스(2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해상도 변경이 불 필요한 경우란, 일반적으로, 원 영상 데이터의 해상도가 도킹 디바이스(200)의 영상 해상도와 동일하거나 호환 가능한 정도에 해당할 수 있다. 다만 여기서, 호환 가능한 정도인 경우를 해상도 변경이 필요한 경우로 볼 것인지 아니면 불필요한 경우로 볼 것인지는 단말 디자인에 따라 상이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이상에서는 도킹된 디바이스 간 해상도가 불일치하는 경우, 휴대 단말(100) 측에서 해상도 변경 처리를 하여 도킹 디바이스(200)로 전송하는 경우를 중심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반대일 수도 있다. 즉, 도킹된 디바이스 간 해상도 불일치의 경우, 휴대 단말(100)은 원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고, 이를 받은 도킹 디바이스(200)가 해당 영상 데이터의 해상도 변경을 수행하게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술한 단계 S150 및 S155에서는, 도킹된 디바이스 간 해상도 불일치의 경우만을 가정하여 설명하였지만, 양자 간 해상도 자체는 일치하더라도 각 디바이스가 갖는 화면 사이즈가 다른 경우에는 영상의 DPI(dot per inch)를 변경해줄 필요도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경우에도, 영상의 DPI 변경은, 휴대 단말(100) 측의 영상 처리부(140)에 의해 처리되어 도킹 디바이스(200)로 전송될 수도 있고, 도킹 디바이스(200)는 DPI 변경 전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도킹 디바이스(200) 측의 신호 처리부(240)가 이러한 DPI 변경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해상도 변경 또는/및 DPI 변경 등과 같은 영상 데이터 처리를 통해서 도킹 디바이스(200)의 영상 출력 장치(210)에 최적화된 화면 영상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때, 도킹 디바이스(200)의 영상 출력 장치(210)에 최적화된 화면 영상을 구현하기 위해, 상술한 DPI 변경 등과 함께 아래 설명과 같은 화면 출력 방향(즉, 화면 오리엔테이션 방향)의 변경도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핸드폰, 스마트폰의 경우는 세로 길이 방향이 화면 출력의 기본 방향일 수 있고, 노트북이나 태블릿 PC(일명 스마트패드)의 경우는 가로 길이 방향이 화면 출력의 기본 방향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도킹 에이전트(182)가, 도킹 디바이스의 화면 해상도 정보 또는 화면 사이즈 정보, 단말 식별 정보(제품 정보) 등에 기초하여, 도킹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출력 기본 방향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도킹 디바이스(200)의 화면 출력 기본 방향이 휴대 단말(100)의 현재 화면 출력 방향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180)는 도킹 디바이스(200)의 화면 출력 기본 방향으로의 갱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DPI 값의 갱신은 물론, 화면 출력 기본 방향의 갱신도 함께 한 후, 각 애플리케이션들이 화면 출력 기본 방향의 변경 내용도 고려하여 화면 레이아웃을 재구성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도킹 결합 당시의 단말 화면 영상에 관한 데이터가 상기 도킹 디바이스(200)로 전송되면, 도킹 디바이스(200)의 도킹 관리부(270)는 수신된 화면 영상 데이터가 영상 출력 장치(210)를 통해서 디스플레이되도록 도킹 디바이스(200)의 동작을 제어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 단말(100)과 도킹 디바이스(200)가 도킹 결합된 상태에서, 도킹 디바이스(200)의 화면에 출력된 영상을 통해서, 휴대 단말(100)에서와 동일 또는 유사한 작업 환경을 경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킹 디바이스(200)를 통해 출력된 화면 영상에 근거하여, 사용자가 도킹 디바이스(200)의 키 패드 입력 장치(230) 등을 이용한 입력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여기서, 상기 동일 유사한 작업 환경이란, 도킹 디바이스(200)가 스탠드 얼론 상태에서 독립 동작할 수 없는 더미 디바이스인 경우를 가정하여, 더미 디바이스임에도 휴대 단말(100)에서 생성되어 도킹 디바이스(200)로 전송되는 화면 영상에 의해 마치 독립적인 동작을 수행하는 것과 같은 작업 환경이 구현되게 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도킹 디바이스(200)로 전송되는 화면 구성은, 반드시 단말 화면 구성과 동일한 화면 구성을 가질 필요가 없으며, 도킹 디바이스(200)의 종류에 따라 적합한 화면 구성을 갖도록 재구성되거나 또는 별개 디자인된 것일 수 있다.
상술한 과정은 휴대 단말(100)과 도킹 디바이스(200) 간 도킹 연결 상태가 끊어지기 전까지 반복 수행될 수 있다. 즉, 도킹 디바이스(200)와의 물리적 도킹 결합이 끊어지면(즉, 디바이스 간 분리가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수신된 도킹 해제 신호에 따라 휴대 단말(100)의 도킹 연결 모드를 해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상기 도킹 연결 모드의 해제에 앞서(물론, 설계 구현에 따라 해제 이후일 수도 있음), 도킹 디바이스(200)와의 도킹 연결을 통해 수행되던 작업의 최종 상태를 휴대 단말의 저장 장치에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전과 동일한 도킹 디바이스(200)와 도킹 연결이 다시 이루어지는 경우, 이전에 중단되었던 작업이 그 도킹 디바이스(200)를 통해서 다시 속행될 수 있도록, 이전의 호스트-디바이스 연결 상태를 복구하고, 상기 최종 상태의 작업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도킹 디바이스(200)로 전송해줄 수도 있다.
[도 7의 설명]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와의 연결에 따른 소스 단말에서의 영상 송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영상 소스 장치로서 앞서 설명한 도 1 ~ 3에 따른 휴대 단말(100)이 이용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다만 영상 소스 장치는 이외에도 다양할 수 있음은 앞서도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단계 S210에서, 휴대 단말(100)은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10)와의 연결이 감지한다. 이때,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10)와의 연결을 감지하는 방법으로는 아래와 같은 다양한 방식들이 적용될 수 있다. 먼저, 앞선 도 2에서와 같이 휴대 단말(100)과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10)과 유선 연결 방식에 따라 직접 연결되는 케이스를 가정하면, 연결부(도 1 또는 도 2의 도킹 인터페이스(170) 참조)의 핀 접속을 감지함으로써 상호간의 연결을 감지할 수 있다. 직접 연결의 케이스로서 무선 연결 방식인 경우는 상호간의 Request/Response 메시지 교환을 통해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앞선 도 3에서와 같은 허브 장치를 통한 간접 연결 케이스인 경우에는, 1차적으로 허브 장치와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10) 간의 앞서 설명한 방식의 연결이 감지된 후, 이러한 감지 결과가 휴대 단말(100)로 전달됨으로써 상호간 연결이 감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호간 연결이 감지되면, 휴대 단말(100)의 제어부(180)는 그 연결된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10)로 송출될 영상 소스를 확인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러한 영상 소스 확인 과정은 다음과 같은 순서에 의할 수 있다. 이를 도 7의 단계 S220 ~ 단계 S25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단계들의 구체적 수행 주체는 휴대 단말(100)의 제어부(180)일 수 있으나, 이하 간략히 휴대 단말(100)로 명명하기로 한다.
상호간 연결이 감지된 이후, 단계 S220에서, 휴대 단말(100)은 그 연결된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10)가 기등록 기기인지 아니면 미등록 기기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기등록 기기인 경우, 단계 S235에 따라, 휴대 단말(100)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표출되는 화면 영상 자체를 영상 소스로 결정하여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로 송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등록 기기란, 휴대 단말(100)의 화면 영상 전체를 외부 화면 상에 표출되더라도 무방한 것으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디스플레이 기기를 지칭한다. 물론, 기등록 기기는, 경우에 따라서 사용자에 의한 선택과 무관하게 정의(지정)되어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도킹 디바이스(200)가 그 예일 수 있다. 즉, 상술한 도킹 디바이스(200)의 경우는, 휴대 단말(100)의 디스플레이 화면 사이즈의 제약, 입력 장치의 사이즈 제약 및 불편 등의 문제를 해소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제작된 더미 디바이스(dummy device)인 바, 해당 목적에 따라 도킹 디바이스(200)로는 휴대 단말(100)의 화면을 통해 표출되는 모든 영상이 송출 및 표출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휴대 단말(100)에는 도킹 디바이스(200)의 식별 정보가 기등록 되도록 하고, 휴대 단말(100)과 연결된 장치가 도킹 디바이스(200)인 경우에는 휴대 단말(100)의 화면 영상 자체가 아무런 제한 없이 송출 및 표출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및 집중을 위해, 기기 등록은 사용자 선택에 의하는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이때, 기기 등록은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기기와의 연결이 감지되면, 휴대 단말(100)은 연결 감지된 외부 기기를 "영상 송출 무제한 기기"로 등록할 지를 선택받기 위한 GUI를 생성하여 휴대 단말(100)의 화면 상에(경우에 따라서는 해당 GUI 화면을 외부 기기로 송출하여 그 외부 기기의 화면 상에, 이하 다른 예에서도 이와 같음) 표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 송출 무제한 기기"로 등록되는 경우 앞서 설명한 단계 S235에 따라 단말 화면 영상을 무제한으로 외부 기기로 송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예시에 따른 기기 등록 방법과 유사한 방식으로, 사용자 선택에 따라 기존에 "영상 송출 무제한 기기"로 등록되어 있던 기기를 등록 해제시킬 수도 있을 것임은 물론이다.
위와 달리, 단계 S220의 확인 결과, 미등록 기기인 경우라면, 단계 S230, 단계 S240, 단계 S250에 따라 송출될 영상 소스를 확인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미등록 기기인 경우, 단계 S230에서, 휴대 단말(100)은 연결된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10)로 송출될 영상 소스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기 위한 GUI를 생성하여 휴대 단말(100)의 화면 상에 표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그GUI를 통해 특정 영상 소스를 선택할 수 있다. 단계 S240에 따라 이러한 사용자 선택이 수신되면, 휴대 단말(100)은 단계 S250에서 사용자 선택에 근거하여 영상 소스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소스란, 휴대 단말(100)의 화면을 통해 표출된 영상들 중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10)로 송출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선택된(또는 지정된) 영상을 의미한다.
일 예로, 영상 소스 선택을 위한 GUI 화면에는 휴대 단말(10)에서 구동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들이 표출될 수 있고, 그러한 리스트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이 영상 소스로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GUI 화면에는 휴대 단말(10)의 화면을 통해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화면들에 관한 리스트가 표출될 수 있고, 이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상이 영상 소스로 결정될 수 있다.
이상의 예시들은 사용자가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10)로 송출될 영상 소스를 포지티브(positive) 방식으로 선택하는 예들이나, 이와 반대로 네거티브(negative) 방식으로 선택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소스 선택을 위한 GUI 화면을 통해 표출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들 또는 실행 중인 어플 화면 영상 리스트 중 외부로 송출되지 말아야 할 송출 금지 어플 또는 실행 화면을 선택하는 방식이 이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송출 금지로 선택된 어플 또는 실행 화면 이외의 영상(들)이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10)로 송출될 영상 소스로 결정될 것이다. 이러한 네거티브 방식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NS 어플, 이메일 어플 등과 같이 개인 영역의 데이터들이 담길 가능성이 큰 어플리케이션 또는 그 실행 화면의 경우를 송출 금지로 선택하게 되면, 향후 휴대 단말(100)의 화면으로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따른 메시지가 푸시(팝업)되더라도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10)로는 해당 팝업창과 관련된 영상이 송출되지 않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네거티브 방식은 휴대 단말(100)의 화면을 통해 표출될 영상의 대부분을 그대로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10)로 송출하고자 하나, 개인 프라이버시 문제의 소지가 있는 영상만을 외부 송출 차단하기 위한 경우에 유용하다.
포지티브 방식은 반대로 다음과 같은 경우에 유용하다. 즉, 휴대 단말(100)에 저장된 특정 파일에 관한 화면, 또는 특정 어플리케이션 화면만을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10)를 통해 상대방과 공유하고자 하는 경우(즉, 그 외 모든 화면은 공유하지 않고자 하는 경우)에 유용할 수 있다. 일 예로, 회의에 참석한 사용자가 회의와 관련된 파일의 실행 결과 화면만을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10)를 통해 다른 회의 참석자와 공유하고자 하는 경우가 그것이다. 특히, 이와 같은 포지티브 방식에 의할 때는 또한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즉, 종래 기술의 경우, 외부의 TV 또는 프로젝터와 사용자 단말이 HDMI 케이블 등을 통해 연결되는 경우 단말 화면이 그대로 외부 기기로 화면 미러링된다. 따라서 만일 공유하고자 하는 파일이 특정 디렉토리 내의 특정 폴더에 위치한 경우라면, 해당 폴더까지 접근하는 과정의 모든 화면들이 외부 기기의 화면을 통해서 회의 동석자들에게 계속 미러링되어 보여지므로 시청감을 저하시킬 수 있는 문제가 발생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10)와의 연결 시점에 바로 휴대 단말(100)의 화면을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10)로 미러링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 송출용 영상 소스에 관한 확인 과정(단계 S240 및 S250 참조)을 거쳐 확인된 영상 소스의 영상 데이터만을 외부로 송출(단계 S260 참조)하기 때문에, 상술한 시청감 저하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휴대 단말(100)의 화면을 통해서는 어떠한 화면 전환이 계속 이루어지더라도, 상기 포지티브 방식에 의해 선택된 영상 소스의 영상 데이터만이 외부로 송출되므로,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10)를 보는 시청자들에게는 그 선택된 영상 소스의 영상 데이터만이 보여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10)와의 연결이 감지된 이후에,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10)로 송출될 영상 소스를 선택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외부 송출용 영상 소스는 사용자 선택에 의해 사전에 지정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는 주로 상술한 네거티브 방식의 경우에 적용이 편리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에 따라, 외부 송출용 영상 소스가 확인되면, 단계 S260에서, 휴대 단말(100)은 그 영상 소스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10)로 송출한다. 이때, 휴대 단말(100)은, 앞선 도 6의 하단 설명에서와 같이, 그 연결된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10)의 화면 규격 등에 상응하여, 영상 소스의 화면에 관한 DPI 변경, 해상도 변경, 화면 오리엔테이션 방향 변경 등을 수행하고 그 수행 결과를 외부로 송출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외부 송출용 영상 소스로서 복수개의 영상 소스가 선정된 경우도 있을 수 있는데, 이 경우 휴대 단말(100)은 복수의 영상 소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현재 선택된 또는 가장 최근에 선택된 영상 소스의 영상 데이터를 외부로 송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에서 두 개의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문서 편집 어플, 일정 확인 어플) 또는 두 개의 파일(회의자료 파일 2개)을 실행시킨 상태에서, 이 두 가지 모두를 외부 송출용 영상 소스로 선택한 경우라면, 그 둘 중 현재 사용자가 선택한 영상 소스를 외부로 송출할 수 있다. 물론 그 둘 중 다른 영상 소스를 사용자가 다시 선택한 경우는 외부 송출 영상 소스를 변경하여 변경된 영상 소스의 영상 데이터를 외부로 송출할 것이다.
이상에서는 도 7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송출 방법은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도 7에서는 외부 기기의 연결이 감지된 이후, 기등록 기기/미등록 기기의 확인 과정을 거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이는 생략되어도 무방하다. 생략되는 경우는 외부 기기의 연결이 감지될 때마다 영상 소스 선택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기등록 기기/미등록 기기의 구분과 다른 구분이 적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송출 무제한 기기"와 "영상 송출 제한 기기"의 등록을 통해, 영상 송출 제한 기기가 연결 감지된 경우에는 그 제한 기기에 상응하여 기등록된 제한 사항(ex. 외부 송출용 영상 소스 또는 외부 송출 금지 영상 소스 등에 과한 제한)에 근거하여 영상 송출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이상에서는, 외부 기기의 연결이 감지되면, 휴대 단말(100)이 자동으로 영상 소스 선택을 위한 GUI를 생성 표출하는 것과 같이 설명하였지만, 영상 소스 선택을 위한 GUI의 생성 및 표출은 사용자의 선택이 있을 때에만 수행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상기 GUI 생성 및 표출을 위한 "아이콘"이 휴대 단말(100)의 화면 하단 트레이에 표시되고, 사용자가 해당 아이콘을 클릭한 경우에만 해당 GUI 화면이 팝업 표출됨으로써 영상 소스 선택을 위한 환경이 구현되는 경우가 바로 그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4)

  1. 소스 단말에서 소스 단말과 연결되는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로의 영상 송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소스 단말에서,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와의 연결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로 송출될 영상 소스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소스 단말에서, 상기 확인된 영상 소스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영상 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로 송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 송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로 송출될 영상 소스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소스 단말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로 송출될 영상 소스로 이용될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 송출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와의 연결이 감지됨에 따라 또는 상기 소스 단말에서의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로 송출될 영상 소스의 선택을 위한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생성하여 상기 소스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표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영상 송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로 송출될 영상 소스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소스 단말에서, 상기 연결 감지된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가 기등록된 기기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기등록 기기인 경우, 상기 소스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표출되는 화면 영상 자체를 상기 영상 소스로 결정하는 단계; 및
    미등록 기기인 경우, 상기 소스 단말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상기 소스 단말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화면 영상을 상기 영상 소스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 송출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미등록 기기인 경우로서, 상기 영상 소스로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화면 영상이 선택된 경우,
    상기 확인된 영상 소스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영상 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로 송출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소스인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화면 영상 중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현재 선택된 또는 가장 최근에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화면 영상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송출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된 영상 소스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영상 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로 송출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의 화면 규격에 상응하여, 상기 영상 소스에 관한 DPI(Dot Per Inch) 변경, 해상도 변경 및 화면 오리엔테이션 방향 변경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한 결과에 따른 영상 데이터를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송출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로 송출될 영상 소스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로의 송출이 금지된 영상 소스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확인된 영상 소스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영상 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로 송출하는 단계는, 상기 소스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표출되는 화면 영상 중에서 상기 송출 금지된 영상 소스를 제외한 소스의 영상 데이터를 송출하는 단계인, 영상 송출 방법.
  8.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로의 영상 송출을 제어하는 단말로서,
    영상 출력 인터페이스; 및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와의 연결이 감지되면,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로 송출될 영상 소스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영상 소스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영상 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로 송출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단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와의 연결이 감지됨에 따라 또는 상기 단말에서의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로 송출될 영상 소스의 선택을 위한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생성하여 상기 소스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표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화면 영상을 상기 영상 소스로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 감지된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가 기등록된 기기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기등록 기기인 경우 상기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표출되는 화면 영상 자체를 상기 영상 소스로 결정하고, 미등록 기기인 경우 상기 단말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상기 단말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화면 영상을 상기 영상 소스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2. 제11항에 있어서,
    미등록 기기인 경우로서, 상기 영상 소스로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화면 영상이 선택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소스인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화면 영상 중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현재 선택된 또는 가장 최근에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화면 영상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의 화면 규격에 상응하여, 상기 영상 소스에 관한 DPI(Dot Per Inch) 변경, 해상도 변경 및 화면 오리엔테이션 방향 변경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고, 수행 결과에 따른 영상 데이터를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로의 송출이 금지된 영상 소스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로 송출될 영상 소스를 확인하고, 상기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표출되는 화면 영상 중에서 상기 송출 금지된 영상 소스를 제외한 소스의 영상 데이터를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KR1020110140296A 2011-12-22 2011-12-22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로의 영상 송출 방법 및 그 단말 KR101474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0296A KR101474927B1 (ko) 2011-12-22 2011-12-22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로의 영상 송출 방법 및 그 단말
US13/726,384 US9766785B2 (en) 2011-12-22 2012-12-24 Selectively tranferring image data from user equipment to external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0296A KR101474927B1 (ko) 2011-12-22 2011-12-22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로의 영상 송출 방법 및 그 단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2745A true KR20130072745A (ko) 2013-07-02
KR101474927B1 KR101474927B1 (ko) 2014-12-31

Family

ID=48655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0296A KR101474927B1 (ko) 2011-12-22 2011-12-22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로의 영상 송출 방법 및 그 단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766785B2 (ko)
KR (1) KR1014749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5226B1 (ko) * 2015-05-13 2016-11-10 (주) 비앤디 사용자 단말과 차량 단말 간 미러링을 위한 인터페이스 및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33811A (zh) * 2013-07-22 2015-02-04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显示方法及电子设备
KR102148001B1 (ko) * 2013-10-17 2020-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CN104580112B (zh) * 2013-10-25 2018-07-13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业务认证方法、系统及服务器
US10503459B2 (en) 2014-10-10 2019-12-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sharing scree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2358548B1 (ko) 2014-10-15 2022-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를 이용한 화면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2295686B1 (ko) * 2015-04-15 2021-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전자 장치와 하이브리드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80004565A (ko) * 2016-07-04 2018-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시스템,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
US10877713B2 (en) 2016-11-02 2020-12-2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ntrolling display of content using an external display device
CN108259813B (zh) * 2018-01-30 2020-07-28 上海赛连信息科技有限公司 多功能传屏装置、系统及方法
CN108845758A (zh) * 2018-08-02 2018-11-20 瑞声科技(南京)有限公司 一种确定工作模式的方法、触控装置及可读存储介质
KR102604202B1 (ko) * 2019-05-28 2023-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3396386B (zh) * 2019-11-29 2024-08-13 高创(苏州)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CN112562600B (zh) * 2020-12-01 2021-12-03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CN115373558A (zh) * 2021-05-18 2022-11-22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投屏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0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17763B2 (ja) 1993-11-05 2002-08-26 富士通株式会社 プログラム起動方法およびその処理装置
JP2951572B2 (ja) 1994-09-12 1999-09-20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画像データ変換方法及びシステム
US5835733A (en) 1994-12-22 1998-11-1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single DMA controller to perform DMA operations for devices on multiple buses in docking stations, notebook and desktop computer system
US7831930B2 (en) 2001-11-20 2010-11-09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a user interface for a remote control application
JP2000163361A (ja) 1998-11-27 2000-06-16 Toshiba Corp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および環境設定方法
US6286066B1 (en) 1998-12-15 2001-09-04 Dell U.S.A., L.P. Hot-plug interface for detecting adapter card insertion and removal
US6401157B1 (en) 1999-04-30 2002-06-04 Compaq Information Technologies Group, L.P. Hot-pluggable component detection logic
US6516367B1 (en) 1999-06-24 2003-02-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bus device configuration changes
US6697892B1 (en) 1999-07-08 2004-02-24 Intel Corporation Port expansion system
US6535947B1 (en) 2000-05-30 2003-03-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logically segmenting devices on a universal serial bus
US6804740B1 (en) 2000-09-27 2004-10-12 Dell Products L.P. Docking station for use with a portable computer system
US7890741B2 (en) 2000-12-01 2011-02-15 O2Micro International Limited Low power digital audio decoding/playing system for computing devices
US7076536B2 (en) 2000-12-21 2006-07-11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to access software pertinent to an electronic peripheral device at an address based on a peripheral device identifier
US7165109B2 (en) 2001-01-12 2007-01-16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to access software pertinent to an electronic peripheral device based on an address stored in a peripheral device
US20020121548A1 (en) 2001-03-05 2002-09-05 Ho-Lung Lu Hand held client system with an external storage meduim
US7228366B2 (en) 2001-06-29 2007-06-05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stic removal and reclamation of work items from an expansion bus schedule
KR100474724B1 (ko) 2001-08-04 2005-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장치 및 그 장치에 외부디스플레이기기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방법
TW514786B (en) 2001-09-28 2002-12-21 Su Fang Yu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system for driver in intelligent peripherals
KR200290286Y1 (ko) 2002-03-16 2002-09-26 김정한 노트북 형태의 개인 휴대 단말기용 도킹 스테이션
JP2003316563A (ja) 2002-04-22 2003-11-07 Pioneer Electronic Corp 情報端末、情報端末の制御方法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US7266779B2 (en) 2002-04-22 2007-09-04 Microsoft Corporation Application sharing security
US7209124B2 (en) 2002-08-08 2007-04-2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ultiple-position docking station for a tablet personal computer
US20060036788A1 (en) 2002-09-24 2006-02-16 Monster Cable Products, Inc. HDMI cable interface
US6862724B1 (en) 2002-09-25 2005-03-01 Altera Corporation Reconfigurable programmable logic system with peripheral identification data
KR100487618B1 (ko) 2002-12-11 2005-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교환 휴대폰
KR100555901B1 (ko) 2003-02-18 200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매체 재생기능을 갖는 모바일 전자기기 및 그 재생방법
JP4420647B2 (ja) 2003-04-15 2010-02-24 シャープ株式会社 制御システム
US7117388B2 (en) 2003-04-28 2006-10-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ynamic, Non-invasive detection of hot-pluggable problem components and re-active re-allocation of system resources from problem components
US20040218036A1 (en) * 2003-04-29 2004-11-04 Boss Scott D.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ublic and private information
US7533408B1 (en) 2003-06-13 2009-05-12 Michael Arnouse Portable computing system, apparatus and method
KR100793208B1 (ko) 2003-08-04 2008-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컴퓨터에서의 화면 모드 제어방법
US7158154B2 (en) 2003-06-18 2007-01-0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mode in portable computer
US20040266425A1 (en) 2003-06-24 2004-12-30 Sbc, Inc. Wireless wide area network charger and cradle
US7312764B2 (en) * 2003-09-26 2007-12-25 The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s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s on mixed monitor displays
US20050185364A1 (en) 2004-01-05 2005-08-25 Jory Bell Docking station for mobile computing device
WO2005088602A1 (ja) 2004-03-10 2005-09-2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画像伝送システムおよび画像伝送方法
JP2005284657A (ja) 2004-03-29 2005-10-13 Denso It Laboratory Inc 携帯情報端末
KR20050096578A (ko) 2004-03-31 2005-10-06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휴대폰의 터치스크린을 컴퓨터의 외부입력기기로 활용하는방법
JP3817249B2 (ja) 2004-04-28 2006-09-0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機、及び、通信制御方法
KR20060018083A (ko) 2004-08-23 2006-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도킹 시스템을 이용한 휴대용 컴퓨터의 그래픽 확장장치및 방법
JP2006094367A (ja) 2004-09-27 2006-04-06 Nec Corp サラウンドスピーカ・ドッキングシステム、及びそれに接続する携帯端末装置とそのサラウンド音楽再生方法
EP1672471A1 (en) 2004-12-14 2006-06-21 Thomson Multimedia Broadband Belgium Content playback device with touch screen
US7450084B2 (en) * 2004-12-17 2008-11-11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omputer monitor configurations
US7200702B2 (en) 2005-02-18 2007-04-03 Microsoft Corporation Mobile device expansion system
KR101119320B1 (ko) 2005-04-29 2012-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저장 장치의 펌웨어 업데이트 장치 및 방법
US7386868B2 (en) 2005-07-14 2008-06-10 Quantum Corporation External desktop dock for a cartridge-based data storage unit
US7884836B2 (en) 2005-08-30 2011-02-08 Ati Technologies Ulc Notifying a graphics subsystem of a physical change at a display device
US20070077965A1 (en) 2005-10-05 2007-04-05 Patrick Fox Portable docking station for cell phone
US7685322B2 (en) 2006-02-28 2010-03-23 Microsoft Corporation Port number emulation for wireless USB connections
JP4914252B2 (ja) 2006-03-23 2012-04-1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表示画面送信方法、制御プログラム
US20070245398A1 (en) 2006-04-12 2007-10-18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Universal parental control
CN101507268A (zh) 2006-09-06 2009-08-12 诺基亚公司 具有增强型视频显示接口的移动终端设备、外挂装置和外部显示设备
US7952748B2 (en) 2006-10-24 2011-05-3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isplay device output adjustment system and method
US20080152305A1 (en) 2006-12-21 2008-06-26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Portable Media Content Storage and Rendering Device
JP2008158342A (ja) * 2006-12-25 2008-07-10 Canon Software Inc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8384710B2 (en) 2007-06-07 2013-02-26 Igt Displaying and using 3D graphics on multiple displays provided for gaming environments
US9092638B2 (en) 2007-08-16 2015-07-28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docking applications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TW200919453A (en) 2007-10-31 2009-05-01 Asustek Comp Inc External storage module and shock absorption element thereof
US20090163139A1 (en) 2007-12-19 2009-06-25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Mobile Media Presentation Docking Station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090030B2 (en) 2008-01-04 2012-01-03 Silicon Image, Inc.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generating and facilitating mobile 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CN101965556A (zh) * 2008-01-07 2011-02-02 智能技术Ulc公司 在多监视器计算机系统中启动选择的应用的方法和采用该方法的多监视器计算机系统
KR20080027813A (ko) 2008-03-10 2008-03-28 (주)씨에스랩글로벌 다자간 전자회의 화면공유에서의 공유 윈도우 처리 방법
US20100064248A1 (en) 2008-09-09 2010-03-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window and display apparatus thereof
US20100060572A1 (en) * 2008-09-11 2010-03-11 Ely Tsern Display device for interfacing with a handheld computer device that dynamically generates a different user environment for the display device
KR101548958B1 (ko) 2008-09-18 2015-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터치스크린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00039592A (ko) * 2008-10-08 2010-04-1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와 시스템 및 방법
US20100153501A1 (en) 2008-12-15 2010-06-17 Jan Gabriel Business process information system
US20100251243A1 (en) 2009-03-27 2010-09-30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the execution of applications at a portable computing device and a portable computing device docking station
KR20100108885A (ko) 2009-03-31 2010-10-08 신성환 컴퓨터와 핸드폰 간 영상통화에서의 마우스 지시 포인터를 이용한 원격 애프터서비스 방법
JP4834123B2 (ja) 2009-04-17 2011-12-14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ドッキング装置
KR20100128630A (ko) 2009-05-28 2010-12-08 주식회사 케이티 휴대용 기기의 입력 수단으로 사용되는 이동 단말 및 그 이동 단말을 이용한 입력 방법
KR101649162B1 (ko) 2009-06-11 2016-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US9762961B2 (en) 2009-08-10 2017-09-12 Steelseries Aps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parental control
US8214545B2 (en) 2009-08-12 2012-07-03 Streaming Networks (Pvt) Ltd. Multi-functional USB apparatus with auto-configuration and USB battery cap
JP5604827B2 (ja) 2009-08-21 2014-10-15 ソニー株式会社 送信装置、受信装置、プログラム、及び通信システム
KR101092295B1 (ko) * 2009-09-18 2011-12-13 (주)옴니텔 자녀를 보호하기 위한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632879B1 (ko) * 2009-10-07 2016-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8281366B1 (en) 2009-10-14 2012-10-02 Symantec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guardian proximity to control computing activities of children
US20110099507A1 (en) * 2009-10-28 2011-04-28 Google Inc. Displaying a collection of interactive elements that trigger actions directed to an item
KR101500008B1 (ko) 2009-11-25 2015-03-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핸드셋 유닛과 외부기기 간의 연동 시스템
US8487888B2 (en) 2009-12-04 2013-07-16 Microsoft Corporation Multi-modal interaction on multi-touch display
JP5471453B2 (ja) 2010-01-05 2014-04-16 船井電機株式会社 携帯情報処理装置
KR101690786B1 (ko) 2010-02-12 2016-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태스킹 수행 장치 및 방법
KR20110111857A (ko) 2010-04-05 2011-10-12 주식회사 케이엠알아이 도킹 스테이션과 결합하는 휴대 단말 및 그 구동 방법
KR20110115489A (ko) 2010-04-15 2011-10-21 주식회사 케이엠알아이 차량용 도킹 스테이션과 휴대 단말, 및 그 구동 방법
KR101695810B1 (ko) 2010-05-07 2017-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5671838B2 (ja) 2010-05-21 2015-02-18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送信装置、データ受信装置、データ送信方法およびデータ受信方法
KR101660742B1 (ko) 2010-05-31 2016-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5545645B2 (ja) 2010-06-10 2014-07-09 アルパイン株式会社 複数機器画像表示制御システム
US20120011451A1 (en) * 2010-07-08 2012-01-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lective screen sharing
US20120050183A1 (en) * 2010-08-27 2012-03-01 Google Inc. Switching display modes based on connection state
JP4818454B1 (ja) 2010-08-27 2011-11-16 株式会社東芝 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KR101017866B1 (ko) 2010-09-08 2011-03-04 주식회사 텔레칩스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휴대단말기 제어 방법
US9024866B2 (en) 2010-09-14 2015-05-05 Crestron Electronics Inc. Control system for augmenting a portable touch screen device
KR20100009920U (ko) 2010-09-20 2010-10-08 박상현 스마트폰을 본체로 사용하는 스마트폰 탈착식 휴대용 터치스크린 단말기
WO2012046890A1 (ko) 2010-10-06 2012-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8984072B2 (en) 2010-11-09 2015-03-17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ecommendations to a user in a viewing social network
US9143359B2 (en) 2010-12-17 2015-09-22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Mobile phone docking station for VoIP
US8879420B2 (en) 2010-12-17 2014-11-04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Mobile phone docking station VPNs
US8369893B2 (en) 2010-12-31 2013-02-05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system for adapting mobile device to accommodate external display
US8504853B2 (en) 2011-05-18 2013-08-06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able detection and power negotiation
US9220066B2 (en) 2011-06-20 2015-12-22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Bundling data transfers and employing tail optimization protocol to manage cellular radio resource utilization
US9013366B2 (en) 2011-08-04 2015-04-2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isplay environment for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US8964979B2 (en) 2011-10-07 2015-02-24 Silicon Image, Inc. Identification and handling of data streams using coded preambles
US20130104149A1 (en) 2011-10-25 2013-04-25 Handong Lnc Co., Ltd. Selective data processing method between docked terminals and selective data processing system us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5226B1 (ko) * 2015-05-13 2016-11-10 (주) 비앤디 사용자 단말과 차량 단말 간 미러링을 위한 인터페이스 및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766785B2 (en) 2017-09-19
KR101474927B1 (ko) 2014-12-31
US20130167040A1 (en) 2013-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72745A (ko)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로의 영상 송출 방법 및 그 단말
US984361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through sub device that is connectable with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2155688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KR101522399B1 (ko) 휴대 단말에서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로의 화면 표출 방법 및 그 휴대 단말
EP2464082B1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249413B1 (ko) 이미지 공유 방법 및 전자 디바이스
EP339701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10296284B2 (en) Audio processing device and audio processing method
US9542338B2 (en) Controlling applications according to connection state and execution condition
TWI688866B (zh) 一種資料共用系統及方法
US20160313967A1 (en) Method of Interacting Frames between Multiple Electronic Devices and Electronic System Thereof
KR20130024615A (ko) 외부 디바이스와 결합하는 휴대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CN113874828A (zh) 用于通过外部电子装置提供屏幕共享服务的电子装置、方法和计算机可读介质
CN104423922A (zh) 图像显示装置和数据传送方法
KR20150048029A (ko) 콘텐츠와 관련된 디스플레이 속성을 공유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2017513416A (ja) データ伝送方法、装置、設備、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9514306B2 (en) Restricting operation results from being transferred to coupled external device
EP2899986B1 (en) Display apparatus, mobile apparatus, system and setting controlling method for connection thereof
US8738941B2 (en) Computer integral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ing a tablet personal computer and a computer host
KR20130074827A (ko) 단말 가이드와 결합되는 휴대 단말 및 자동 환경 설정 방법
KR101514044B1 (ko)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 연결되는 휴대 단말, 및 홈 스크린 설정 및 전환 방법
KR20120106480A (ko) 외부 디바이스와 결합하는 휴대 단말 및 그 구동 방법
US11003469B2 (en) Controlling a user interface
KR20150121688A (ko) 외부 디바이스와 결합하는 휴대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