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4202B1 -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4202B1
KR102604202B1 KR1020190062765A KR20190062765A KR102604202B1 KR 102604202 B1 KR102604202 B1 KR 102604202B1 KR 1020190062765 A KR1020190062765 A KR 1020190062765A KR 20190062765 A KR20190062765 A KR 20190062765A KR 102604202 B1 KR102604202 B1 KR 1026042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display device
external device
detected
content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2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6761A (ko
Inventor
최준식
권진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62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4202B1/ko
Priority to US16/580,394 priority patent/US10996910B2/en
Priority to EP19930403.1A priority patent/EP3864854B1/en
Priority to PCT/KR2019/012451 priority patent/WO2020241973A1/en
Priority to CN201910939894.3A priority patent/CN112019913B/zh
Publication of KR20200136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6761A/ko
Priority to US17/222,129 priority patent/US1144268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4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4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2Synchronisation between the display unit and other units, e.g. other display units, video-disc play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2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d protocol, e.g. IEEE 139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7Rights management associated to the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3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user identification, e.g. by entering a PIN or passwor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5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using a list of items to be played back in a given order, e.g. playli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2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messages, e.g. warnings, remind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8/00Arrangements for display data securit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2Networking asp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장치는, 제1외부장치의 제1사용자에 의해 공유가 지정된 제1컨텐트그룹, 제1사용자에 의해 공유 차단이 지정된 제2컨텐트그룹, 제2외부장치의 제2사용자에 의해 공유가 지정된 제3컨텐트그룹, 제2사용자에 의해 공유 차단이 지정된 제4컨텐트그룹에 관한 리스트를 저장한다. 디스플레이장치는, 통신회로를 통해 제1외부장치가 감지되고 제2외부장치가 감지되지 않는 것에 기초하여, 제1컨텐트그룹 및 상기 제2컨텐트그룹이 포함된 컨텐트 리스트를 표시하고; 통신회로를 통해 제1외부장치가 감지되지 않고 제2외부장치가 감지되는 것에 기초하여, 제3컨텐트그룹 및 제4컨텐트그룹이 포함된 컨텐트 리스트를 표시하고; 통신회로를 통해 제1외부장치 및 제2외부장치가 함께 감지되는 것에 기초하여, 제1컨텐트그룹 및 제3컨텐트그룹이 포함된 컨텐트 리스트를 표시하고, 제2컨텐트그룹 및 제4컨텐트그룹의 컨텐트 리스트가 표시되지 않도록 처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컨텐트를 획득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는 컨텐트영상을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획득한 여러 컨텐트에 대한 억세스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정의 정보를 특정 프로세스에 따라서 연산 및 처리하기 위해, 연산을 위한 CPU, 칩셋, 메모리 등의 전자부품들을 기본적으로 포함하는 전자장치는, 처리 대상이 되는 정보 또는 사용 용도가 무엇인지에 따라서 다양한 종류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장치에는 범용의 정보를 처리하는 PC나 서버 등의 정보처리장치, 영상데이터를 처리하는 영상처리장치, 오디오를 처리하는 오디오장치, 가정 내 잡무를 수행하는 생활가전 등이 있다. 영상처리장치는 처리된 영상데이터를 자체 구비한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상에 영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전자장치는 사용 방식에 따라서, 한 장소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형태와, 사용자가 휴대 가능한 모바일의 형태가 있다.
일반 가정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한 장소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형태의 대표적인 예시로서 TV가 있다. TV와 같은 디스플레이장치는 설치 형태 및 기타 여러 요인들에 의해, 가정 내의 다양한 전자장치들을 포함하는 시스템 내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담당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TV는 AP 또는 라우터를 통해 광역 네트워크에 접속됨으로써 클라우드, 서버와 통신이 가능하며, 한편으로는 일대 일의 다이렉트 통신을 통해 가정 내 근거리 네트워크에 접속됨으로써 가정 내의 여러 전자장치와도 통신이 가능하다. TV는 이와 같은 다양한 통신 경로를 통해서 여러 종류의 컨텐트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한 컨텐트에 기반한 컨텐트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특히, 스마트폰, 태블릿 등과 같은 모바일 환경의 기기의 발전에 따라서 많은 사용자들이 개인화된 모바일기기를 휴대하고 있는 바, TV 및 모바일기기 사이의 연계 동작의 필요성도 증가하고 있다.
TV 및 모바일기기 사이의 연계 동작의 예시를 들면, 모바일기기에 저장된 컨텐트가 무선으로 TV에 전송되고, TV가 모바일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컨텐트의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가 가능하다. 통상적인 TV는 가로길이가 세로길이보다 긴 랜드스케이프(landscape) 방식의 화면을 가지도록 설치되며, 랜드스케이프 방식에 따르는 방송영상을 최소화된 마진(margin)으로 표시할 수 있다.
그런데, 모바일기기는 사용자가 손쉽게 파지 형태를 바꿀 수 있도록 소형화되어 있으므로, 모바일기기를 위한 컨텐트 중에는 세로길이가 가로길이보다 긴 포트레이트(Portrait) 방식에 따르는 것들도 있다. 만일 포트레이트 방식에 따른 컨텐트를 랜드스케이프 방식의 화면을 가진 TV가 표시하게 되면, 컨텐트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인 마진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나게 된다.
또한, TV는 통상적으로 가정 내 사용자들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것에 비해, 모바일기기는 각 사용자가 독자적으로 사용한다. TV는 모바일기기로부터 수신한 컨텐트를 자체적으로 저장하거나 또는 클라우드에 저장함으로써, 차후에도 해당 컨텐트에 억세스할 수 있다. 그런데, 해당 컨텐트가 특정 사용자의 개인적인 컨텐트인 경우에도, TV를 통해 타 사용자에게 공개될 수 있다. 따라서, 통상적인 TV는 개별 사용자에게 속하는 컨텐트를 타 사용자로부터 보호하지 못할 수 있다.
한편, TV를 복수의 사용자가 공용으로 사용하는 환경에서는 개별 사용자 계정의 로그인을 통해 각 사용자의 컨텐트를 보호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사용자 계정 확인을 통한 컨텐트의 제공방법은, 사용자가 계정 정보를 기억하고 입력하는 것이 불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부와, 제1외부장치 또는 제2외부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마련된 통신회로와, 상기 제1외부장치의 제1사용자에 의해 공유가 지정된 제1컨텐트그룹, 상기 제1사용자에 의해 공유 차단이 지정된 제2컨텐트그룹, 상기 제2외부장치의 제2사용자에 의해 공유가 지정된 제3컨텐트그룹, 상기 제2사용자에 의해 공유 차단이 지정된 제4컨텐트그룹에 관한 리스트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통신회로를 통해 상기 제1외부장치가 감지되고 상기 제2외부장치가 감지되지 않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컨텐트그룹 및 상기 제2컨텐트그룹이 포함된 컨텐트 리스트를 표시하고, 상기 통신회로를 통해 상기 제1외부장치가 감지되지 않고 상기 제2외부장치가 감지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3컨텐트그룹 및 상기 제4컨텐트그룹이 포함된 컨텐트 리스트를 표시하고, 상기 통신회로를 통해 상기 제1외부장치 및 상기 제2외부장치가 함께 감지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컨텐트그룹 및 상기 제3컨텐트그룹이 포함된 컨텐트 리스트를 표시하고, 상기 제2컨텐트그룹 및 상기 제4컨텐트그룹의 컨텐트 리스트는 표시되지 않도록 처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통신회로는 기 설정된 거리 범위 이내에 위치하는 상기 제1외부장치 또는 상기 제2외부장치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상기 제1외부장치 또는 상기 제2외부장치와 일대 일 무선통신을 위한 접속을 수행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회로는 IEEE 802.15 표준을 따를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컨텐트 리스트의 요청 지시에 응답하여 상기 지시에 따른 컨텐트의 지정 상태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리스트에서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컨텐트그룹 및 상기 제4컨텐트그룹의 컨텐트 리스트가 표시되지 않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마련된 소정 기능의 활성화 지시에 응답하여 상기 통신회로를 통해 상기 제1외부장치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식별하며, 상기 제1외부장치가 감지되지 않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기능의 활성화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피봇 회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일 컨텐트의 속성에 대응하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기능을 식별하고, 상기 컨텐트의 영상을 표시할 때에 상기 식별된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컨텐트그룹 및 상기 제2컨텐트그룹 각각의 컨텐트는 상기 제1외부장치로부터 획득되며, 상기 제3컨텐트그룹 및 상기 제4컨텐트그룹 각각의 컨텐트는 상기 제2외부장치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은, 제1외부장치의 제1사용자에 의해 공유가 지정된 제1컨텐트그룹, 상기 제1사용자에 의해 공유 차단이 지정된 제2컨텐트그룹, 제2외부장치의 제2사용자에 의해 공유가 지정된 제3컨텐트그룹, 상기 제2사용자에 의해 공유 차단이 지정된 제4컨텐트그룹에 관한 리스트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통신회로를 통해 상기 제1외부장치가 감지되고 상기 제2외부장치가 감지되지 않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컨텐트그룹 및 상기 제2컨텐트그룹이 포함된 컨텐트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통신회로를 통해 상기 제1외부장치가 감지되지 않고 상기 제2외부장치가 감지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3컨텐트그룹 및 상기 제4컨텐트그룹이 포함된 컨텐트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통신회로를 통해 상기 제1외부장치 및 상기 제2외부장치가 함께 감지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컨텐트그룹 및 상기 제3컨텐트그룹이 포함된 컨텐트 리스트를 표시하고, 상기 제2컨텐트그룹 및 상기 제4컨텐트그룹의 컨텐트 리스트는 표시되지 않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디스플레이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모바일기기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은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4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5는 디스플레이장치가 획득한 식별정보 및 모바일기기의 식별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에 관한 예시도이다.
도 6은 컨텐트 허용 또는 차단 상황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8은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9는 복수의 모바일기기와 관련하여 컨텐트 허용 또는 차단 상황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0은 복수의 모바일기기와 관련하여 컨텐트 허용 또는 차단 상황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1은 화면의 회전 지시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상호 배타적인 구성이 아니며, 하나의 장치 내에서 복수 개의 실시예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실시예의 조합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함에 있어서 임의로 선택되어 적용될 수 있다.
만일, 실시예에서 제1구성요소, 제2구성요소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가 있다면, 이러한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며,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바, 이들 구성요소는 용어에 의해 그 의미가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해당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적용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복수의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at least one)"라는 표현이 나오는 경우에, 본 표현은 복수의 구성요소 전체 뿐만 아니라, 복수의 구성요소 중 나머지를 배제한 각 하나 혹은 이들의 조합 모두를 지칭한다.
도 1은 디스플레이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10)는 소정의 컨텐트를 처리하는 프로세서 및 처리된 컨텐트의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화면을 가지는 제반 장치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장치(110)는 디스플레이장치(110)는 소정의 설치면 상에 설치되는 스탠드(120)를 가지며, 스탠드(12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스탠드(120)는 디스플레이장치(110)의 후방에 접속된 모터(121)를 가지며, 모터(121)의 구동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110)를 회전시킨다. 여기서, 모터(121)는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따라서 그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모터(121)에 전달되는 제어신호는, 스탠드(120)에 마련된 컨트롤러로부터 생성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장치(110)로부터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어신호의 생성 지시는, 스탠드(120) 또는 디스플레이장치(110)에 구비된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전달될 수 있다.
또는, 설계 방식에 따라서는 디스플레이장치에서 화면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패널만이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외한, 프로세서를 비롯한 구성이 본체를 형성하고, 이 본체에 대해 디스플레이 패널이 회전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디스플레이장치(110)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화면의 중앙영역을 중심으로 피봇(pivot)하도록 마련된다. 디스플레이장치(110)는 적어도 P 위치 및 L 위치 사이를 회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10)는 P 위치에 있을 때 세로길이가 가로길이보다 긴 포트레이트 모드가 되며, L 위치에 있을 때 가로길이가 세로길이보다 긴 랜드스케이프 모드가 된다.
디스플레이장치(110)에 표시되는 영상 또는 UI가 포트레이트 방식 및 랜드스케이프 방식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할 수 있다. 물론, 디스플레이장치(110)는 포트레이트 모드에서 랜드스케이프 방식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고, 반대로 랜드스케이프 모드에서 포트레이트 방식의 영상을 표시할 수는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가로길이 및 세로길이의 비율에 있어서, 화면의 경우와 영상의 경우가 맞지 않게 된다. 즉, 이러한 경우에 디스플레이장치(110)의 화면 상에서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인 마진이 상대적으로 커진다. 또한, UI 또는 영상 중에는 랜드스케이프 방식 또는 포트레이트 방식에 맞게 설계된 경우도 존재한다. 따라서, 포트레이트 모드 시에 포트레이트 방식의 영상이 표시되고, 랜드스케이프 모드 시에 랜드스케이프 방식의 영상이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디스플레이장치(110)는 모바일기기(130)와 같은 하나 이상의 외부장치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다. 디스플레이장치(110)는 광역 네트워크 및 근거리 네트워크에 모두 접속이 가능한데, 예를 들면 AP(Access Point)를 통해 와이파이 통신 기반으로 모바일기기(130)와 통신하거나, BLE(Bluetooth Low Energy) 기반으로 모바일기기(130)와 다이렉트로 통신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110)는 AP를 통해 서버 또는 클라우드와 접속이 가능하다.
이러한 통신경로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110)는 모바일기기(130) 또는 서버로부터 소정의 컨텐트를 수신할 수 있다. 모바일기기(130)가 AP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장치(110)는 모바일기기(130)로부터 광역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트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모바일기기(130)가 서버 또는 클라우드의 소정 사용자 계정에 컨텐트를 저장하고, 해당 사용자 계정에 로그인한 디스플레이장치(110)가 서버 또는 클라우드로부터 해당 컨텐트를 수신할 수도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장치(110)는 모바일기기(130)와 다이렉트로 컨텐트를 수신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10)는 이와 같이 수신되는 컨텐트를 처리하여 컨텐트영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장치(110)가 가정 또는 단체 내의 TV와 같이 여러 사용자들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기기인 경우, 디스플레이장치(110)는 단지 하나의 사용자의 모바일기기(130)뿐만 아니라,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모바일기기(130)로부터 각기 컨텐트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10)는 각 모바일기기(130)로부터 획득한 컨텐트를 처리하여 컨텐트영상을 표시함에 있어서, 모든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제한없이 컨텐트를 재생시킬 수도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장치(110)는 일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특정 컨텐트가 타 사용자에게 제공되지 않도록 컨텐트의 재생을 선택적으로 제한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동작은 공용 기기로서의 디스플레이장치(110)가 다양한 컨텐트에 억세스할 수 있는 환경 하에서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측면 또는 컨텐트의 보안 측면에서 중요할 수 있다. 이에 관한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컨텐트라는 용어는 어느 하나의 종류로 한정되지 않으며, 디스플레이장치(110)가 처리함으로써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데이터가 컨텐트로 간주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컨텐트는 동영상, 사진, 그림, 오디오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파일, 문서 데이터, 라이브러리 데이터 등과 같이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실행되는 데이터 단위일 수 있다. 또는, 컨텐트는 게임 프로그램, 미디어 재생 프로그램, 특정한 라이브러리 데이터 또는 프로그램 코드의 실행 프로그램 등과 같은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또는, 컨텐트는 스트리밍 서버로부터 스트리밍되는 멀티미디어 스트림이거나, 복수의 방송채널을 포함하는 방송신호일 수 있다. 또는, 컨텐트는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웹 서비스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컨텐트의 범위는 다양하다.
도 2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모바일기기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210)는 통신부(211)와, 신호입출력부(214)와, 디스플레이부(215)와, 사용자입력부(216)와, 저장부(217)와, 프로세서(218)를 포함한다. 모바일기기(220)은 모바일통신부(221)와, 모바일디스플레이부(224)와, 모바일사용자입력부(225)와, 모바일저장부(226)와, 모바일프로세서(227)를 포함한다.
이하, 디스플레이장치(210)의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통신부(211)는 다양한 종류의 유선 및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통신모듈, 통신칩 등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양방향 통신회로이다. 통신부(211)는 복수의 무선통신규격을 지원하며, 각 무선통신규격에 기반한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회로, 통신칩 또는 통신모듈을 포함한다.
통신부(211)는 일대 일 근거리 통신을 위한 제1통신회로(212)와, 광역 네트워크에 기반한 통신을 수행하는 제2통신회로(213)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제1통신회로(212)의 통신규격은 IEEE 802.15 표준을 따르는 블루투스 또는 BLE이고, 제2통신회로(213)의 통신규격은 IEEE 802.11 표준을 따르는 무선랜(wirelss LAN) 통신 또는 와이파이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통신회로(212)는 BLE 통신을 수행하는 BLE모듈(212)을 포함한다. 제2통신회로(213)는 와이파이 통신을 수행하는 와이파이모듈(213)을 포함한다. 와이파이모듈(213)은 AP(230)를 통해 광역 네트워크에 접속됨으로써, 모바일기기(220) 또는 서버와 통신이 가능하다. 다만, 이와 같은 제1통신회로(212) 및 제2통신회로(213)의 구현 방식은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구현 방식에 다양한 통신규격이 적용될 수 있다.
신호입출력부(214)는 셋탑박스 또는 광학미디어 재생장치와 같은 외부장치와 일대일 또는 일대다 방식으로 유선 접속됨으로써, 해당 외부장치에 대해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또는 데이터를 출력한다. 신호입출력부(214)는 예를 들면, HDMI 포트, DisplayPort, USB 포트 등과 같이, 기 설정된 전송규격에 따른 커넥터 또는 포트 등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215)는 화면 상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액정 방식과 같은 수광 구조 또는 OLED 방식과 같은 자발광 구조로 마련된다. 디스플레이부(215)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에 따라서 부가적인 구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패널이 액정 방식이라면, 디스플레이부(215)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과,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유닛과,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액정을 구동시키는 패널구동기판을 포함한다.
사용자입력부(216)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마련된 다양한 종류의 입력 인터페이스 관련 회로를 포함한다. 사용자입력부(216)는 디스플레이장치(210)의 종류에 따라서 여러 가지 형태의 구성이 가능하며,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210)의 기계적 또는 전자적 버튼부, 디스플레이장치(210)와 분리된 리모트 컨트롤러, 터치패드, 디스플레이부(215)에 설치된 터치스크린 등이 있다.
저장부(217)는 프로세서(218)에 의해 억세스되며, 프로세서(218)의 제어에 따라서 데이터의 독취, 기록, 수정, 삭제, 갱신 등의 동작이 수행된다. 저장부(217)는 전원의 제공 유무와 무관하게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HDD(Hard-Disc Drive), SSD(Solid-State Drive), ROM(Read Only Memory)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와, 처리를 위한 데이터가 로딩되는 버퍼(buffer),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등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한다.
프로세서(218)는 인쇄회로기판 상에 장착되는 CPU, 칩셋, 버퍼, 회로 등으로 구현되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설계 방식에 따라서는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218)는 영상처리를 위해 디멀티플렉서, 디코더, 스케일러, 오디오 DSP(Digital Signal Processor), 앰프 등의 다양한 프로세스에 대응하는 모듈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이러한 모듈들 중 일부 또는 전체가 SOC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멀티플렉서, 디코더, 스케일러 등 영상처리와 관련된 모듈이 영상처리 SOC로 구현되고, 오디오 DSP는 SOC와 별도의 칩셋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한 가지 설계방식의 예시로서, 스탠드의 모터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200)가 회전하도록 마련된 경우, 프로세서(218)는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모터에 인가하도록 모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도 있다.
이하, 모바일기기(220)의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모바일통신부(221)는 다양한 종류의 유선 및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통신모듈, 통신칩 등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양방향 통신회로이다. 모바일통신부(221)는 BLE 기반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모바일BLE모듈(222)과, 와이파이 기반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모바일와이파이모듈(223)을 포함한다.
모바일디스플레이부(224)는 모바일프로세서(227)에 의해 처리되는 영상신호를 영상으로 표시한다.
모바일사용자입력부(225)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마련된 다양한 종류의 입력 인터페이스 관련 회로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모바일사용자입력부(225)는 모바일기기(220)에 마련된 물리적 버튼, 모바일디스플레이부(224)에 마련된 터치스크린 구조 등을 포함한다.
모바일저장부(226)는 모바일프로세서(227)에 의해 데이터의 독취, 기록, 수정, 삭제, 갱신 등의 동작이 수행된다. 모바일저장부(226)는 플래시메모리, HDD, SSD, 버퍼, 램 등의 다양한 비휘발성 메모리 및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한다.
모바일프로세서(227)는 인쇄회로기판 상에 장착되는 CPU, 칩셋, 버퍼, 회로 등으로 구현되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설계 방식에 따라서는 SOC로 구현될 수도 있다. 모바일프로세서(227)는 모바일기기(220)에서 운영체제 및 다양한 종류의 앱을 실행시킬 수 있다. 모바일프로세서(227)는 모바일저장부(226)에 저장된 컨텐트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장치(21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프로세서(227)는 컨텐트를 재생시키는 한편 해당 컨텐트를 디스플레이장치(210)에 전송함으로써, 동일한 컨텐트가 디스플레이장치(210) 및 모바일기기(220)에서 함께 재생되는 미러링 동작을 구현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조 하에서, 디스플레이장치(210)의 프로세서(218)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도 3은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동작은 디스플레이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된다.
31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제1모바일기기에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다.
32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접속된 제1모바일기기로부터 컨텐트를 획득한다. 디스플레이장치는 모바일기기 이외에도, 자체 내장된 저장부, 서버 또는 클라우드 등으로부터 컨텐트를 획득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모바일기기로부터 컨텐트를 획득하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하며, 그 이외의 경우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33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접속된 제1모바일기기의 식별정보를 획득한다. 제1모바일기기의 식별정보는 그 형식이 한정되지 않으며, 단지 디스플레이장치가 여러 모바일기기 또는 여러 컨텐트 중에서 원하는 대상을 식별 가능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식별정보의 구현 예시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34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소정 모바일기기의 통신 접속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식별한다. 여기서, 감지되는 통신 접속 방식은, BLE와 같은 근거리 일대일 통신규격에 따른 통신 접속이다. 모바일기기의 통신 접속이 감지되지 않으면, 디스플레이장치는 370 단계로 이행한다.
모바일기기의 통신 접속이 감지되면, 35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접속이 감지된 모바일기기가 제1모바일기기인지 여부를 식별한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는 접속이 감지된 모바일기기의 식별정보를, 앞서 330 단계에서 획득하여 저장되어 있는 제1모바일기기의 식별정보와 비교함으로써, 본 식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접속이 감지된 모바일기기가 제1모바일기기로 식별되면, 36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제1모바일기기에 대응하는 컨텐트, 즉 앞서 320 단계에서 제1모바일기기로부터 획득한 컨텐트의 재생을 허용한다. 즉,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장치는 사용자로부터 본 컨텐트의 재생 지시가 입력되면, 해당 컨텐트가 재생되도록 처리한다. 여기서, 컨텐트의 경우에도 해당 컨텐트의 식별을 위한 식별정보가 사용될 수 있는 바, 이에 관한 설명은 후술한다.
반면에 접속이 감지된 모바일기기가 제1모바일기기가 아닌 제2모바일기기로 식별되면, 37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제1모바일기기에 대응하는 컨텐트의 재생을 차단한다. 즉,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장치는 사용자로부터 본 컨텐트의 재생 지시가 입력되면, 해당 컨텐트가 재생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동작은 디스플레이장치가 컨텐트의 재생 지시를 수신한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장치는 제1모바일기기가 감지되면 대응 컨텐트를 처리하여 컨텐트영상을 표시한다. 반면, 디스플레이장치는 제1모바일기기가 감지되지 않으면 대응 컨텐트의 컨텐트영상을 표시하지 않거나 또는 컨텐트영상의 표시를 차단한다.
이러한 방법에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 근처에 있지 않은 경우, 즉 제1모바일기기가 디스플레이장치 근처에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제1모바일기기로부터 획득한 컨텐트의 재생을 차단한다. 이로써, 디스플레이장치는 제1모바일기기의 사용자가 부재중일 때 타 사용자가 이러한 컨텐트를 시청하는 것을 차단한다. 결과적으로, 디스플레이장치는 컨텐트의 부적절한 공개 또는 유출을 방지하고, 컨텐트의 보안을 향상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장치가 제1모바일기기로부터 획득한 컨텐트를 제1모바일기기에 대응하는 컨텐트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제1모바일기기에 대응하는 컨텐트가 반드시 제1모바일기기로부터 획득한 컨텐트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모바일기기가 아닌 서버 등과 같은 별도의 장치로부터 획득한 컨텐트에 대해서도, 디스플레이장치는 식별정보에 따라서 해당 컨텐트가 제1모바일기기에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이하, 이러한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4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동작은 디스플레이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된다.
41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컨텐트를 획득한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예를 들면 서버 등의 외부장치로부터 컨텐트를 획득할 수 있다.
42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해당 컨텐트의 식별정보를 획득한다. 컨텐트의 식별정보는 컨텐트의 메타데이터에 포함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장치가 해당 컨텐트에 임의로 지정할 수 있다.
43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해당 컨텐트에 대응하는 모바일기기의 식별정보를 획득한다. 디스플레이장치가 예를 들어 특정 사용자 계정을 통해 컨텐트를 획득한 경우, 해당 사용자 계정에 사전 등록된 모바일기기의 식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에 관한 설명은 후술한다.
44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소정 모바일기기의 통신 접속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식별한다. 모바일기기의 통신 접속이 감지되지 않으면, 디스플레이장치는 470 단계로 이행한다.
모바일기기의 통신 접속이 감지되면, 45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접속이 감지된 모바일기기가 사전 지정된 모바일기기, 예를 들면 제1모바일기기인지 여부를 식별한다.
접속이 감지된 모바일기기가 제1모바일기기인 것으로 식별되면, 46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제1모바일기기에 대응하는 컨텐트, 즉 앞서 410 단계에서 획득한 컨텐트의 재생 요청 시에 해당 컨텐트의 재생을 허용한다.
반면에 접속이 감지된 모바일기기가 제1모바일기기가 아닌 별개의 제2모바일기기인 것으로 식별되면, 47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제1모바일기기에 대응하는 컨텐트의 재생 요청 시에 해당 컨텐트의 재생을 차단한다.
컨텐트의 식별정보 및 모바일기기의 식별정보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한 구분이 가능한 범위 내라면 다양한 설계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식별정보의 예시에 관해 설명한다.
도 5는 디스플레이장치가 획득한 식별정보 및 모바일기기의 식별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에 관한 예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510)는 모바일기기(520) 또는 서버(530)와 통신이 가능하다. 디스플레이장치(510)는 모바일기기(520)와 통신 접속 시에, 모바일기기(520)로부터 해당 모바일기기(520)의 식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모바일기기(520)의 식별정보는, 모바일기기(520)의 레지스터 또는 ROM에 기록된 모바일기기(520)의 고유한 기기 ID이거나, 또는 모바일기기(520)에 의해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서 생성된 기기 ID일 수 있다. 이러한 기기 ID는 예를 들면 모바일기기(520)의 사용자 계정, 모바일기기(520)의 기기 특성에 관한 기기 정보(예를 들면, 모바일기기의 모델명, MAC 주소 등) 등의 조합일 수 있다.
또는, 모바일기기(520)로부터 식별정보를 획득하지 않더라도, 디스플레이장치(510)는 모바일기기(520)와 통신 접속을 위한 페어링이 수행되면 모바일기기(520)에 대해 임의로 기기 ID를 부여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장치(510)는 모바일기기(520)로부터 획득한 기기 정보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서 기기 ID를 생성할 수도 있다.
즉, 디스플레이장치(510)는 모바일기기(520)로부터 직접 식별정보를 획득하거나, 모바일기기(520)로부터 획득한 기기 정보에 기초하여 식별정보를 생성하거나, 또는 페어링된 모바일기기(520)에 대해 임의로 식별정보를 부여할 수 있다. 이로써, 디스플레이장치(510)는 통신 접속된 모바일기기(520)의 식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510)가 모바일기기(520)에 임의로 식별정보를 부여하는 동작을, 편의상 인증을 한다고 지칭한다. 이 때, 디스플레이장치(510)는 감지되는 모든 모바일기기(520)에 제한없이 인증을 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장치(510)는 사전 등록된 모델, 종류, 또는 제조사의 모바일기기(520)만을 인증할 수도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장치(510)는 감지 이력이 소정 회수 이상인 모바일기기(520)만을 인증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장치(510)는 식별 가능한 모바일기기(520)로부터 컨텐트를 수신하면, 해당 컨텐트에 모바일기기(520)에 대응하는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컨텐트의 식별정보는, 컨텐트의 메타데이터로부터 획득되거나, 컨텐트의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디스플레이장치(510)에 의해 생성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장치(510)에 의해 임의로 부여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장치(510)는 이와 같이 획득한 모바일기기(520)의 식별정보 및 이에 대응하는 컨텐트의 식별정보를 DB(511)에 기록한다. 이로써, 디스플레이장치(510)는 차후 컨텐트에 대한 재생 요청이 수신되면, DB(511)의 검색을 통해 해당 컨텐트에 대응하는 모바일기기(520)가 무엇인지 식별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장치(510)는 모바일기기(520)가 아닌 별도의 장치, 예를 들면 서버(530)로부터 컨텐트를 획득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장치(510)가 소정의 사용자 계정 하에 저장된 컨텐트를 획득할 경우, 디스플레이장치(510)는 사용자 계정 및 이에 대응하는 모바일기기(520)의 식별정보가 기록된 DB(512)를 검색함으로써, 컨텐트를 획득한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모바일기기(520)의 식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디스플레이장치(510)는 컨텐트의 식별정보 및 모바일기기(520)의 식별정보를 획득하여 DB(511)에 기록할 수 있다.
이하, 동작에 따른 각 상황 별로 디스플레이장치(510)의 화면 상태에 관해 설명한다.
도 6은 컨텐트 허용 또는 차단 상황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컨텐트에 대한 재생 지시를 수신하면, 지시하는 컨텐트를 획득한다. 본 컨텐트는 정상적으로 재생되면, 화면(620)과 같이 컨텐트영상이 표시된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컨텐트 재생 지시를 수신하였을 때, 컨텐트에 대응하는 모바일기기(610)가 통신 접속 가능하도록 감지되는지 여부를 식별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장치가 BLE 기반으로 모바일기기(610)와 통신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경우, 대략적으로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십여 미터 이내에 모바일기기(610)가 위치하면 통신이 가능하다. 디스플레이장치는 모바일기기(610)가 통신 가능 범위에 있는 것으로 감지되면 페어링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모바일기기(610)와 BLE 기반 통신을 수행하도록 접속된다.
만일 시점 T1 시 컨텐트에 대응하는 모바일기기(610)가 감지되지 않으면, 디스플레이장치는 획득한 컨텐트의 재생을 차단한다. 컨텐트 재생을 차단하고, 디스플레이장치는 컨텐트 재생이 차단되었거나 또는 컨텐트에 대한 억세스가 제한되어 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가진 영상(630)을 표시한다. 영상(630)의 표시 방법은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는 바, 디스플레이장치는 컨텐트영상의 한 화면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메시지를 팝업시켜 표시할 수 있고, 화면 상에 메시지만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장치는 컨텐트 재생 지시를 수신하였을 때 또는 시점 T1에서 컨텐트 재생이 차단되어 있을 때, 새로 모바일기기(610)를 감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는 감지된 모바일기기(610)와의 통신 접속을 수행하면서 모바일기기(610)의 식별정보를 획득하고, 감지된 모바일기기(610)가 컨텐트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식별한다. 감지된 모바일기기(610)가 컨텐트에 대응하지 않는다고 식별되면, 디스플레이장치는 시점 T1에서와 같이 컨텐트 재생을 차단한다.
반면에, 감지된 모바일기기(610)가 컨텐트에 대응한다고 식별되면, 디스플레이장치는 시점 T2에서 컨텐트 재생을 허용하고, 컨텐트를 처리함으로써 컨텐트영상(640)을 화면에 표시한다.
한편, 앞선 실시예에서는 컨텐트에 대응하는 모바일기기가 감지되는지 여부에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가 컨텐트의 재생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디스플레이장치가 모바일기기의 감지 여부에 대응하여 제한하는 것은 단순히 컨텐트만이 아닐 수도 있으며, 장치의 기능도 가능하다. 이하, 디스플레이장치가 모바일기기의 감지 여부에 대응하여, 지시된 기능을 선택적으로 변경하는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7은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동작은 디스플레이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된다.
71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장치 기능의 활성화 지시를 수신한다. 장치 기능은,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의 회전, 외부포트의 활성화, 외부장치와의 접속, 음성인식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장치의 기능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는 화면의 회전을 지시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72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지시받은 장치 기능에 대응하는 모바일기기의 식별정보를 획득한다. 이로써, 디스플레이장치는 해당 모바일기기가 감지될 경우에, 해당 모바일기기를 식별할 수 있다.
73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소정의 모바일기기의 통신 접속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식별한다. 모바일기기의 통신 접속이 감지되지 않으면, 디스플레이장치는 760 단계로 이행한다.
모바일기기의 통신 접속이 감지되면, 74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감지된 모바일기기가, 활성화시키고자 하는 장치 기능에 대응하는 기기인지 여부를 식별한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가 디폴트 상태인 포트레이트 모드에서 랜드스케이프 모드로 이행하도록 하는 지시를 수신했을 때, 특정 모바일기기가 감지된 경우에만 가능하도록 사전에 지정될 수 있다.
감지된 모바일기기가 해당 장치 기능에 대응하는 기기이면, 75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장치 기능을 활성화시킨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는 지시에 따라서 포트레이트 모드에서 랜드스케이프 모드로 이행하도록 화면을 회전시킬 수 있다.
반면, 감지된 모바일기기가 해당 장치 기능에 대응하는 기기가 아니면, 76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장치 기능의 활성화를 차단시킨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는 화면을 회전시키지 않고, 현재 상태로 화면을 유지한다. 추가적으로 디스플레이장치는 지시받은 장치 기능의 활성화가 차단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화면 상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이로써, 디스플레이장치는 모바일기기의 감지 여부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장치 기능의 활성화를 제한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의 회전은 컨텐트의 속성과 연관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컨텐트가 랜드스케이프 방식의 영상이라면, 디스플레이장치는 포트레이트 모드에 있다고 하더라도 랜드스케이프 모드로 이행하는 것이 보다 컨텐트영상을 크게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컨텐트가 모바일기기에서 표시하기 위해 포트레이트 방식으로 제작된 UI라면, 디스플레이장치는 포트레이트 모드로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모바일기기에서 표시되는 화면 및 디스플레이장치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동기화시켜 표시하는 모바일 미러링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장치는 컨텐트의 속성에 대응하여 포트레이트 모드 및 랜드스케이프 모드 사이를 이행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컨텐트 재생 지시에 따라서 해당 컨텐트의 재생 동작 및 이와 관련된 장치의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동작이 함께 수행되는 경우도 고려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8은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동작은 디스플레이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된다.
81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컨텐트 재생 지시를 수신한다.
82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해당 컨텐트의 식별정보 및 속성정보를 획득한다. 컨텐트의 속성정보는 컨텐트의 특성에 따라서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는 정보이며, 컨텐트의 메타데이터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트가 영상이면, 속성정보는 영상의 종횡비(aspect ratio), 해상도, 크기, 초당프레임, 영상포맷 등 다양한 영상속성을 포함한다.
83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획득한 컨텐트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모바일기기의 식별정보를 식별한다.
84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획득한 컨텐트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장치 기능을 식별한다.
85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소정 모바일기기의 통신 접속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식별한다. 통신 접속이 가능한 모바일기기가 감지되지 않는다고 식별되면, 디스플레이장치는 880 단계로 이행한다.
모바일기기가 감지되면, 86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감지된 모바일기기가 해당 컨텐트에 대응하는 기기인지 여부를 식별한다.
감지된 모바일기기가 재생하고자 하는 컨텐트에 대응하도록 지정된 기기로 식별되면, 87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컨텐트를 재생시키고, 식별된 속성 정보에 대응하는 장치 기능을 활성화시킨다.
반면, 감지된 모바일기기가 컨텐트에 대응하도록 지정된 기기가 아니라고 식별되면, 88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컨텐트의 재생 및 대응하는 장치 기능의 활성화를 차단시킨다.
예를 들면, 컨텐트가 영상이고, 컨텐트의 속성이 랜드스케이프 방식이고, 컨텐트의 속성정보에 대응하는 장치 기능이 랜드스케이프 모드라고 가정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장치는 감지된 모바일기기가 컨텐트에 대응하는 기기로 식별되면, 컨텐트를 재생시키는 한편 랜드스케이프 모드로 이행한다. 반면, 디스플레이장치는 감지된 모바일기기가 컨텐트에 대응하는 기기가 아니라고 식별되면, 컨텐트의 재생을 차단하고 랜드스케이프 모드로의 이행 또한 차단한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는 컨텐트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모바일기기가 감지 여부에 대응하여 해당 컨텐트의 재생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것과 함께, 해당 컨텐트의 속성정보에 대응하는 장치 기능의 활성화 또한 선택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다.
한편, 앞선 실시예들에서는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해 하나의 모바일기기가 감지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해 둘 이상의, 즉 복수의 모바일기기가 감지되는 경우도 가능하며, 모바일기기의 감지 상태에 따라서 컨텐트의 재생을 선택적으로 차단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이러한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9는 복수의 모바일기기와 관련하여 컨텐트 허용 또는 차단 상황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는 두 가지의 컨텐트, 컨텐트 A 및 컨텐트 B를 획득한다. 컨텐트 A는 소정의 제1모바일기기(910)에 대응하게 지정되며, 컨텐트 B는 소정의 제2모바일기기(920)에 대응하게 지정된다.
시점 T1에서 디스플레이장치에 제1모바일기기(910) 및 제2모바일기기(920)가 모두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 제1모바일기기(910)에 대응하는 컨텐트 A 및 제2모바일기기(920)에 대응하는 컨텐트 B 모두 재생이 차단된다. 만일 시점 T1에 사용자로부터 컨텐트 A의 재생 지시가 입력되면, 디스플레이장치는 컨텐트 A의 재생을 차단하고, 대신 컨텐트 A의 재생 차단을 알리는 메시지 또는 UI를 포함하는 화면(930)을 표시한다. 컨텐트 B의 재생 지시가 입력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장치는 컨텐트 B의 재생을 차단하고, 대신 컨텐트 B의 재생 차단을 알리는 메시지 또는 UI를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제1모바일기기(910)가 감지되고 제2모바일기기(920)가 감지되지 않는 시점 T2에서 컨텐트 A의 재생 지시가 입력되면, 디스플레이장치는 컨텐트 A를 재생하여 컨텐트 A의 영상(940)을 표시한다.
제1모바일기기(910)가 감지되고 제2모바일기기(920)가 감지되지 않는 시점 T3에서 컨텐트 B의 재생 지시가 입력되면, 디스플레이장치는 컨텐트 B의 재생을 차단한다. 만일 시점 T2부터 컨텐트 A의 영상을 계속 표시하고 있는 동안이라면, 디스플레이장치는 컨텐트 A의 영상을 계속 표시하되, 추가적으로 컨텐트 B의 재생 차단을 알리는 메시지 또는 UI를 포함하는 화면(950)을 표시한다.
제1모바일기기(910)이 감지되지 않고 제2모바일기기(920)가 감지되는 시점 T4에서 컨텐트 B의 재생 지시가 입력되면, 디스플레이장치는 컨텐트 B를 재생하여 컨텐트 B의 영상(960)을 표시한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는 복수의 컨텐트 중에서 감지되는 모바일기기(910, 920)에 대응하는 컨텐트의 재생을 허용하고, 감지되지 않는 모바일기기(910, 920)에 대응하는 컨텐트의 재생은 차단한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는 모든 모바일기기(910, 920)가 감지되는 동안에는, 복수의 컨텐트의 재생을 모두 허용한다. 예를 들어 시점 T5에서 컨텐트 A 및 컨텐트 B를 함께 재생하는 지시가 수신되고, 제1모바일기기(910) 및 제2모바일기기(920)가 함께 감지되면, 디스플레이장치는 컨텐트 A 및 컨텐트 B를 포함하는 영상(970)을 표시한다.
한편, 설계 방식에 따라서는, 복수의 모바일기기(910, 920)가 함께 감지되는 동안에 디스플레이장치가 오히려 특정 컨텐트의 재생을 차단하는 동작도 가능하다. 이하, 이러한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10은 복수의 모바일기기와 관련하여 컨텐트 허용 또는 차단 상황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는 소정 컨텐트를 획득하고, 해당 컨텐트의 재생 지시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어떠한 모바일기기(1010, 1020)도 감지되지 않은 시점 T1에서 컨텐트 A 및 컨텐트 B의 재생 지시를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제1모바일기기(1010)가 감지되지 않은 것으로 식별하면, 컨텐트 A 및 컨텐트 B의 재생을 모두 차단하고, 차단 상태를 알리는 화면(1030)을 표시한다. 여기서 컨텐트 A 및 컨텐트 B는 모두 제1모바일기기(1010)에 대응하게 지정된 컨텐트이다.
제1모바일기기(1010)가 감지되고 제2모바일기기(1020)가 감지되지 않는 동안의 시점 T2에서 컨텐트 A 및 컨텐트 B의 재생 지시를 수신하면, 디스플레이장치는 제1모바일기기(1010)에 대응하게 지정된 컨텐트 A 및 컨텐트 B의 재생을 허용하고, 컨텐트 A의 재생에 따른 컨텐트영상(1041) 및 컨텐트 B의 재생에 따른 컨텐트영상(1042)를 포함하는 화면(1040)을 표시한다.
그런데, 디스플레이장치는 제1모바일기기(1010) 및 제2모바일기기(1020)가 함께 감지되는 동안의 시점 T3에서 컨텐트 A 및 컨텐트 B의 재생 지시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트 B는 컨텐트 A에 비해 사전에 지정된 보안 레벨이 높거나, 또는 컨텐트 B는 컨텐트 A와 달리 컨텐트 보안에 관한 추가적인 설정이 지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장치는 상대적으로 보안 레벨이 낮거나 또는 추가적인 설정이 지정되지 않은 컨텐트 A에 대해서는, 재생을 허용하고 컨텐트 A의 컨텐트영상(1051)을 표시한다. 그러나, 디스플레이장치는 상대적으로 보안 레벨이 높거나 또는 추가적인 설정이 지정된 컨텐트 B에 대해서는, 비록 컨텐트 B에 대응하는 제1모바일기기(1010)가 감지되더라도 별도의 제2모바일기기(1020)가 함께 감지되기 때문에, 컨텐트 B의 재생을 차단하고, 차단 상태를 알리는 화면(1052)을 표시한다. 결과적으로, 디스플레이장치는 컨텐트 A의 재생에 따른 컨텐트영상(1051) 및 컨텐트 B의 차단을 알리는 화면(1052)을 포함하는 화면(1050)을 표시한다.
앞선 도 9의 실시예의 경우에는 제1모바일기기 및 제2모바일기기가 함께 감지되면, 디스플레이장치는 제1모바일기기에 대응하는 컨텐트의 재생 및 제2모바일기기에 대응하는 컨텐트의 재생을 모두 허용하였다. 이 경우는, 보안정책상 각 컨텐트에 부여된 보안 레벨이 상대적으로 크게 높지 않을 때 적용될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특정 컨텐트에 대해, 디스플레이장치는 제1모바일기기(1010)만 감지되면 해당 컨텐트의 재생을 허용하지만, 제1모바일기기(1010) 및 제2모바일기기(1020)가 함께 감지되면 해당 컨텐트의 재생을 차단한다. 이는, 컨텐트의 보안 레벨이 상대적으로 매우 높을 때 적용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장치 또는 모바일기기를 통해 소정 컨텐트에, 컨텐트의 식별정보 중 하나로서 상기한 설정을 적용할 수 있다. 즉, 컨텐트의 식별정보는 상기한 두 실시예 중에서 어느 것을 적용할 것인가에 관한 지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장치는 컨텐트 B에 대응하는 제1모바일기기(1010)만이 감지되는 경우에 한해서 컨텐트 B의 재생을 허용하고, 제1모바일기기(1010) 및 제2모바일기기(1020)가 함께 감지되는 경우에는 어떠한 모바일기기(1010, 1020)도 감지되지 않는 경우와 동일하게 컨텐트 B의 재생을 차단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상황에 적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가 가정 내 TV인 경우에, 사용자는 자신이 소유한 제1모바일기기(1010)의 컨텐트 B를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시청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컨텐트 B는 프라이버시 또는 보안 측면에서 가족에게 보이고 싶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장치는 가정 내에 사용자 이외의 가족 구성원이 있다고 식별되면(즉, 제2모바일기기(1020)가 감지되면), 컨텐트 B의 재생을 차단시킴으로써 의도치 않은 컨텐트 B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모바일기기(1010) 및 제2모바일기기(1020)는 각기 하나의 기기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각기 복수의 기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1모바일기기(1010)는 하나의 사용자 계정을 가짐으로써 동일 사용자에게 속한 기기들이며, 제2모바일기기(1020)는 그 이외의 사용자 계정을 가진 기기들일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장치는 제1모바일기기(1010) 이외에 감지되는 모든 모바일기기를 제2모바일기기(1020)로 간주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는 공통된 무선통신규격 기반의 통신 가능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모바일기기를 감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가 아파트에 설치된 TV인 경우에, 통신 가능 범위 내에는 사용자의 가족 이외에도 사용자와 무관한 사람의 모바일기기가 있을 수도 있다. 이러한 사람의 모바일기기까지 일일이 감지하여 판단하는 것은 무의미하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사전에 등록된 모바일기기의 리스트 또는 DB에 기초하여, 감지된 모바일기기가 등록된 기기인지 여부를 먼저 식별한다. 리스트는 사전에 사용자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 또는 모바일기기를 통해 입력되어 디스플레이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는 감지된 모바일기기가 등록된 기기가 아니라고 식별되면, 해당 모바일기기를 무시하고 추가적인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반면, 디스플레이장치는 감지된 모바일기기가 등록된 기기로 식별되면, 그 이후에 해당 모바일기기가 제1모바일기기(1010)인지 또는 제2모바일기기(1020)인지 여부를 식별한다.
이로써, 디스플레이장치는 관심이 있는 모바일기기만을 대상으로 식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장치는 컨텐트들을 포함하는 컨텐트그룹들에 관한 리스트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리스트는, 제1모바일기기(1010)의 제1사용자에 의해 공유를 허용하도록 지정된 제1컨텐트그룹과, 제1사용자에 의해 공유를 차단하도록 지정된 제2컨텐트그룹과, 제2모바일기기(1020)의 제2사용자에 의해 공유를 허용하도록 지정된 제3컨텐트그룹과, 제2사용자에 의해 공유를 차단하도록 지정된 제4컨텐트그룹 각각에 관해 지정한다. 여기서, 공유 허용은 디스플레이장치에서의 재생 허용 또는 컨텐트 영상의 표시 허용을 나타낸다. 공유 차단은 디스플레이장치에서의 재생 차단 또는 컨텐트 영상의 표시 차단을 나타낸다.
본 리스트에 따르면, 제1컨텐트그룹 또는 제3컨텐트그룹의 컨텐트는 제1사용자 및 제2사용자 모두에게 공유가 허용된다. 제2컨텐트그룹의 컨텐트는 제1사용자에게는 공유가 허용되지만, 제2사용자에게는 공유가 차단된다. 제4컨텐트그룹의 컨텐트는 제2사용자에게는 공유가 허용되지만, 제1사용자에게는 공유가 차단된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예를 들어 소정의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컨텐트에 관한 컨텐트 리스트의 표시 지시를 수신하면, 기 저장된 상기한 리스트에 기반하여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제1모바일기기(1010)가 감지되고 제2모바일기기(1020)가 감지되지 않으면, 디스플레이장치는 제1컨텐트그룹 및 제2컨텐트그룹이 포함된 컨텐트 리스트를 표시한다. 반면, 제2모바일기기(1020)가 감지되지 않으므로, 본 컨텐트 리스트에는 제4컨텐트그룹이 포함되지 않는다.
제1모바일기기(1010)가 감지되지 않고 제2모바일기기(1020)가 감지되면, 디스플레이장치는 제3컨텐트그룹 및 제4컨텐트그룹이 포함된 컨텐트 리스트를 표시한다. 반면, 제1모바일기기(1010)가 감지되지 않으므로, 본 컨텐트 리스트에는 제2컨텐트그룹이 포함되지 않는다.
한편, 제1모바일기기(1010) 및 제2모바일기기(1020)가 함께 감지되는 경우를 고려한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장치는 공유가 허용된 제1컨텐트그룹 및 제3컨텐트그룹이 포함된 컨텐트 리스트를 표시한다. 그런데, 제1모바일기기(1010) 및 제2모바일기기(1020)가 함께 감지된다는 것은, 제1사용자 및 제2사용자가 함께 디스플레이장치를 보고 있는 상황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1사용자가 제4컨텐트그룹의 컨텐트를 볼 수 있거나 제2사용자가 제2컨텐트그룹의 컨텐트를 볼 수 있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디스플레이장치는 제2컨텐트그룹 및 제4컨텐트그룹의 컨텐트 리스트가 표시되지 않도록 한다. 또는, 디스플레이장치는 표시되는 제1컨텐트그룹 및 제3컨텐트그룹이 포함된 컨텐트 리스트에, 제2컨텐트그룹 및 제4컨텐트그룹이 포함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표시된 컨텐트 리스트에서 어느 한 컨텐트가 선택되면, 디스플레이장치는 해당 컨텐트의 영상을 표시한다.
한편,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의 회전과 관련하여, 화면의 회전을 제한하는 구성을 고려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11은 화면의 회전 지시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110)는 화면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며,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따라서 포트레이트 모드 및 랜드스케이프 모드 사이를 이행할 수 있다. 화면의 회전은, 디스플레이장치(1110)의 스탠드에 구비된 모터의 구동에 의해 수행된다.
디스플레이장치(1110)는 사용자로부터 화면 회전의 지시가 입력되면, 모터를 구동시켜 디스플레이부를 회전시키기 이전에, 디스플레이부의 회전 경로 상에 디스플레이부의 회전을 간섭하는 대상(1130)에 있는지 여부를 식별한다. 디스플레이장치(1110)는 본 대상(1130)을 감지하는 별도의 센서를 구비할 수도 있고, IoT 환경 하에서 본 대상(1130)을 감지할 수 있는 외부장치로부터 감지 결과를 획득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110)는 디스플레이부의 회전을 간섭하는 대상(1130)이 없다고 식별되면, 모터를 구동시켜 디스플레이부를 회전시킴으로써 화면을 회전시킨다.
반면, 디스플레이장치(1110)는 디스플레이부의 회전을 간섭하는 대상(1130)이 있다고 식별되면, 모터를 구동시키지 않고, 화면을 회전시킬 수 없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사용자의 모바일기기(1120)에 전송한다. 물론, 디스플레이장치(1110)가 화면 상에 이러한 메시지를 표시할 수도 있지만, 사용자가 화면 상의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다면 대상(1130) 또한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시나리오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1110)를 직접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 적용된다.
이로써, 디스플레이장치(1110)는 화면의 회전에 간섭이 예상되는 경우에, 이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상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장치의 동작은, 해당 장치에 탑재된 인공지능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인공지능은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다양한 제반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인공지능 시스템은 인간 수준 내지는 인간 수준에 버금가는 지능을 구현하는 컴퓨터 시스템으로서, 기계, 장치 또는 시스템이 자율적으로 학습하고 판단하며, 사용 경험의 누적에 기반하여 인식률 및 판단 정확도가 향상되는 시스템이다. 인공지능 기술은 입력되는 데이터들의 특징을 스스로 분류하고 학습하는 알고리즘을 이용한 기계학습(deep-running) 기술 및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인간의 두뇌의 인지, 판단 등의 기능을 모사하는 요소 기술들로 구성된다.
요소 기술들은, 예를 들면 인간의 언어와 문자를 인식하는 언어적 이해 기술, 사물을 인간의 시각처럼 인식하는 시각적 이해 기술, 정보를 판단하여 논리적으로 추론하고 예측하는 추론 및 예측 기술, 인간의 경험 정보를 지식 데이터로 처리하는 지식 표현 기술, 차량의 자율 주행이나 로봇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동작 제어 기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언어적인 이해는 인간의 언어 또는 문자를 인식하고 응용 처리하는 기술로서, 자연어의 처리, 기계 번역, 대화 시스템, 질의 응답, 음성 인식 및 합성 등을 포함한다.
추론 예측은 정보를 판단하여 논리적으로 예측하는 기술로서, 지식 및 확률 기반 추론, 최적화 예측, 선호 기반 계획, 추천 등을 포함한다.
지식 표현은 인간의 경험 정보를 지식 데이터로 자동화 처리하는 기술로서, 데이터의 생성 및 분류와 같은 지식 구축, 데이터의 활용과 같은 지식 관리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 단말 내에 포함될 수 있는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저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210 : 디스플레이장치
211 : 통신부
215 : 디스플레이부
218 : 프로세서
220 : 모바일장치

Claims (18)

  1.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와,
    제1외부장치 또는 제2외부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마련된 통신회로와,
    상기 제1외부장치의 제1사용자에 의해 공유가 지정된 제1컨텐트그룹, 상기 제1사용자에 의해 공유 차단이 지정된 제2컨텐트그룹, 상기 제2외부장치의 제2사용자에 의해 공유가 지정된 제3컨텐트그룹, 상기 제2사용자에 의해 공유 차단이 지정된 제4컨텐트그룹에 관한 리스트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통신회로를 통해 상기 제1외부장치가 감지되고 상기 제2외부장치가 감지되지 않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컨텐트그룹 및 상기 제2컨텐트그룹이 포함된 컨텐트 리스트를 표시하고,
    상기 통신회로를 통해 상기 제1외부장치가 감지되지 않고 상기 제2외부장치가 감지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3컨텐트그룹 및 상기 제4컨텐트그룹이 포함된 컨텐트 리스트를 표시하고,
    상기 통신회로를 통해 상기 제1외부장치 및 상기 제2외부장치가 함께 감지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컨텐트그룹 및 상기 제3컨텐트그룹이 포함된 컨텐트 리스트를 표시하고, 상기 제2컨텐트그룹 및 상기 제4컨텐트그룹의 컨텐트 리스트는 표시되지 않도록 처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회로는 기 설정된 거리 범위 이내에 위치하는 상기 제1외부장치 또는 상기 제2외부장치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상기 제1외부장치 또는 상기 제2외부장치와 일대 일 무선통신을 위한 접속을 수행하게 마련된 디스플레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회로는 IEEE 802.15 표준을 따르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컨텐트 리스트의 요청 지시에 응답하여 상기 지시에 따른 컨텐트의 지정 상태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리스트에서 검색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컨텐트그룹 및 상기 제4컨텐트그룹의 컨텐트 리스트가 표시되지 않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처리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마련된 소정 기능의 활성화 지시에 응답하여 상기 통신회로를 통해 상기 제1외부장치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식별하며, 상기 제1외부장치가 감지되지 않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기능의 활성화를 차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피봇 회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일 컨텐트의 속성에 대응하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기능을 식별하고, 상기 컨텐트의 영상을 표시할 때에 상기 식별된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디스플레이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컨텐트그룹 및 상기 제2컨텐트그룹 각각의 컨텐트는 상기 제1외부장치로부터 획득되며, 상기 제3컨텐트그룹 및 상기 제4컨텐트그룹 각각의 컨텐트는 상기 제2외부장치로부터 획득되는 디스플레이장치.
  10.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제1외부장치의 제1사용자에 의해 공유가 지정된 제1컨텐트그룹, 상기 제1사용자에 의해 공유 차단이 지정된 제2컨텐트그룹, 제2외부장치의 제2사용자에 의해 공유가 지정된 제3컨텐트그룹, 상기 제2사용자에 의해 공유 차단이 지정된 제4컨텐트그룹에 관한 리스트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통신회로를 통해 상기 제1외부장치가 감지되고 상기 제2외부장치가 감지되지 않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컨텐트그룹 및 상기 제2컨텐트그룹이 포함된 컨텐트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통신회로를 통해 상기 제1외부장치가 감지되지 않고 상기 제2외부장치가 감지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3컨텐트그룹 및 상기 제4컨텐트그룹이 포함된 컨텐트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통신회로를 통해 상기 제1외부장치 및 상기 제2외부장치가 함께 감지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컨텐트그룹 및 상기 제3컨텐트그룹이 포함된 컨텐트 리스트를 표시하고, 상기 제2컨텐트그룹 및 상기 제4컨텐트그룹의 컨텐트 리스트는 표시되지 않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회로는 기 설정된 거리 범위 이내에 위치하는 상기 제1외부장치 또는 상기 제2외부장치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상기 제1외부장치 또는 상기 제2외부장치와 일대 일 무선통신을 위한 접속을 수행하게 마련된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회로는 IEEE 802.15 표준을 따르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컨텐트 리스트의 요청 지시에 응답하여 상기 지시에 따른 컨텐트의 지정 상태를 상기 저장된 상기 리스트에서 검색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컨텐트그룹 및 상기 제4컨텐트그룹의 컨텐트 리스트가 표시되지 않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마련된 소정 기능의 활성화 지시에 응답하여 상기 통신회로를 통해 상기 제1외부장치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식별하며, 상기 제1외부장치가 감지되지 않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기능의 활성화를 차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디스플레이부의 피봇 회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일 컨텐트의 속성에 대응하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기능을 식별하고, 상기 컨텐트의 영상을 표시할 때에 상기 식별된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컨텐트그룹 및 상기 제2컨텐트그룹 각각의 컨텐트는 상기 제1외부장치로부터 획득되며, 상기 제3컨텐트그룹 및 상기 제4컨텐트그룹 각각의 컨텐트는 상기 제2외부장치로부터 획득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90062765A 2019-05-28 2019-05-28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604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765A KR102604202B1 (ko) 2019-05-28 2019-05-28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6/580,394 US10996910B2 (en) 2019-05-28 2019-09-24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19930403.1A EP3864854B1 (en) 2019-05-28 2019-09-25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PCT/KR2019/012451 WO2020241973A1 (en) 2019-05-28 2019-09-25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1910939894.3A CN112019913B (zh) 2019-05-28 2019-09-30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US17/222,129 US11442683B2 (en) 2019-05-28 2021-04-05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765A KR102604202B1 (ko) 2019-05-28 2019-05-28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6761A KR20200136761A (ko) 2020-12-08
KR102604202B1 true KR102604202B1 (ko) 2023-11-21

Family

ID=73506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2765A KR102604202B1 (ko) 2019-05-28 2019-05-28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0996910B2 (ko)
EP (1) EP3864854B1 (ko)
KR (1) KR102604202B1 (ko)
CN (1) CN112019913B (ko)
WO (1) WO20202419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01242A (zh) * 2021-10-15 2022-01-07 三星电子(中国)研发中心 旋转设备的多媒体文件播放方法和装置
US11985385B1 (en) * 2023-02-09 2024-05-14 Roku, Inc. Dynamic control of media-content presentation based on user presence and/or user profi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06833A1 (en) * 2013-10-11 2015-04-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s thereof
US20190124394A1 (en) * 2013-03-14 2019-04-25 Google Llc Tv mode change in accordance with number of viewers present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37142B2 (ja) 2004-09-29 2009-09-30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コンテンツ共有方法及びコンテンツ管理装置
US9014546B2 (en) * 2009-09-23 2015-04-21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detecting users within detection regions of media devices
KR101702949B1 (ko) * 2010-04-21 2017-0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KR101784184B1 (ko) 2011-02-16 2017-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아이피티비에서 개인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756779B1 (ko) 2011-03-17 2017-07-14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오프라인 기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23609B1 (ko) * 2011-09-26 2019-1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컨텐트 공유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장치
KR101474927B1 (ko) * 2011-12-22 2014-12-31 주식회사 케이티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로의 영상 송출 방법 및 그 단말
US9591346B2 (en) * 2012-05-14 2017-03-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tent delivery system with content sharing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20140012505A (ko) * 2012-07-20 2014-0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텐트를 공유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US9288387B1 (en) * 2012-09-11 2016-03-15 Amazon Technologies, Inc. Content display controls based on environmental factors
KR20140038799A (ko) * 2012-09-21 2014-03-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서버 및 그 동작방법
JP2014232228A (ja) * 2013-05-29 2014-12-11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102269481B1 (ko) * 2014-10-17 2021-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 간에 화면 공유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디바이스
US9641593B2 (en) 2015-03-31 2017-05-02 Dell Products, Lp Content sharing and storage of a plurality of remotely connected computing devices in physical or virtualized space
KR20170097980A (ko) * 2016-02-19 2017-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컨텐트 그룹 공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0140434B2 (en) 2016-05-03 2018-11-2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Group-based external sharing of electronic data
KR20190009607A (ko) * 2017-07-19 2019-01-29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유한회사 클라우드 서버 및 클라우드 서버에서 컨텐트를 렌더링하는 방법
KR102424280B1 (ko) 2018-01-25 2022-07-25 삼성전자주식회사 코드 설정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WO2019212575A1 (en) * 2018-04-30 2019-11-07 Ramzi Khalil Maalouf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optimizing viewing experience on an intelligent terminal
US10775838B2 (en) * 2019-01-11 2020-09-15 Disney Enterprises, Inc. Mounted displays that autorotate to match content on displa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124394A1 (en) * 2013-03-14 2019-04-25 Google Llc Tv mode change in accordance with number of viewers present
US20150106833A1 (en) * 2013-10-11 2015-04-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s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442683B2 (en) 2022-09-13
EP3864854A1 (en) 2021-08-18
CN112019913B (zh) 2023-02-24
US20200379703A1 (en) 2020-12-03
WO2020241973A1 (en) 2020-12-03
KR20200136761A (ko) 2020-12-08
US20210224015A1 (en) 2021-07-22
CN112019913A (zh) 2020-12-01
EP3864854A4 (en) 2022-01-05
EP3864854B1 (en) 2024-05-22
US10996910B2 (en) 2021-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97643B2 (en) Electronic device for identifying peripheral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10739737B2 (en) Environment customization
CN107113544B (zh) 用于物联网设备的3d映射的方法、系统及介质
KR102668429B1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071576B1 (ko) 콘텐트 재생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CN105191327A (zh) 用于显示多面体图形用户界面的显示装置和显示方法
KR20160083903A (ko) 생체 인식 신원, 피드백 및 사용자 상호 작용 상태의 관련 디스플레이
CN107409131B (zh) 用于无缝数据流送体验的技术
KR102604202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40380183A1 (en)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JP2011142392A (ja) 携帯情報処理装置
KR20150093013A (ko) 사용자 단말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7113467A (zh) 用户终端装置、系统及其控制方法
US2023042165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supplementary parameters of electronic content
CN106464976B (zh) 显示设备、用户终端设备、服务器及其控制方法
US2021027401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supplementary parameters of electronic content
US20140282683A1 (en) Computing system with device interaction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20160078442A1 (en) User id with integrated device setup parameters
KR20210047112A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1034206A (zh) 显示装置及其提供内容的方法
KR20230032492A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CA3237995A1 (en) Systems, methods, and media for controlling shared extended reality presentations
KR20210076415A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7859126A (zh) 智能设备的扩展现实控制
JP2017157081A (ja) 携帯型情報端末、表示方法、表示プログラム及びその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