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5901B1 - 영상매체 재생기능을 갖는 모바일 전자기기 및 그 재생방법 - Google Patents

영상매체 재생기능을 갖는 모바일 전자기기 및 그 재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5901B1
KR100555901B1 KR1020030010154A KR20030010154A KR100555901B1 KR 100555901 B1 KR100555901 B1 KR 100555901B1 KR 1020030010154 A KR1020030010154 A KR 1020030010154A KR 20030010154 A KR20030010154 A KR 20030010154A KR 100555901 B1 KR100555901 B1 KR 100555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ignal
mobile
main body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0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4759A (ko
Inventor
차동일
권주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10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5901B1/ko
Priority to US10/777,673 priority patent/US7257830B2/en
Priority to JP2004040458A priority patent/JP2004254315A/ja
Publication of KR20040074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4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5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5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6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combined with other apparatus having a different main fun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4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reading from or writing on a non-volatile solid state storage medium, e.g. DVD, CD-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2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 H04N21/4325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by playing back content from the storage medi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or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IEEE 1394 or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or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IEEE 1394 or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communicating with other users, e.g. cha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84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 H04N5/85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on discs or drums

Abstract

DVD등과 같은 영상매체 재생기능을 갖는 모바일 전자기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거치부를 구비하는 모바일 전자기기에 있어서, 거치부와 결합시 거치부로부터 입력되는 A/V신호 및 모바일제어신호에 근거하여 A/V신호를 청각 및 시각화하고, 거치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거치부제어신호를 출력하며 거치부와 분리시 독립적인 모바일전자기기로서 동작하는 본체부, 및 본체부와 결합하여, 본체부로부터 출력되는 거치부제어신호에 근거하여 A/V저장매체로부터 재생한 A/V신호 및 본체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모바일제어신호를 본체부로 출력하는 거치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모바일전자기기는 거치부와 분리시에는 독립적인 모바일전자기기로서 동작하고, 거치부와 결합시에는 DVD 재생장치로 동작한다.
모바일, 거치부, DVD, 재생장치

Description

영상매체 재생기능을 갖는 모바일 전자기기 및 그 재생방법{Mobile apparatus having function for palying multi-media and method there 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매체 재생기능을 갖는 모바일 전자기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구성도,
도 2는 도 1의 거치부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도시한 블럭구성도,
도 3은 도 1의 본체부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도시한 블럭구성도,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매체 재생기능을 갖는 모바일 전자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본체부 110 : 모바일부
120 : 거치부인터페이스부 200 : 거치부
210 : 본체인터페이스부 220 : A/V저장매체재생부
본 발명은 영상매체 재생기능을 갖는 모바일 전자기기 및 재생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착탈식 거치부를 구비하는 모바일전자기기에 있어서 거 치부와 분리시에는 독립적인 모바일전자기기로서 동작하고, 거치부와 결합시에는 DVD등과 같은 멀티미디어를 재생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모바일전자기기 및 그 재생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함께 여러가지 다양한 기능의 모바일전자기기가 출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모바일전자기기는 휴대의 용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로서, 그 크기 및 무게에 제한이 있어 기능에 한계를 갖고 있다. 즉, 인터넷접속이나 각종 응용프로그램을 재생하기에는 적당하나, DVD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재생기능을 구비하기에는 여러가지 제한을 갖고 있다. 그리고, 종래의 모바일전자기기는 일반적으로 착탈식 거치부를 구비하는데 거치부의 일반적인 기능은 모바일기기 본체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기능 및 모바일전자기기 본체와 외부 기기와의 데이터통신을 가능하게 해주는 인터페이스기능 등이 주 기능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거치부의 기본적인 기능 이외에 멀티미디어 저장매체를 재생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하여 본체와 결합시에 DVD등과 같은 동영상저장매체를 재생할 수 있는 모바일전자기기 및 재생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전자기기는, 외부기기와 도킹 가능한 본체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도킹된 외부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소정의 거치부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소정의 A/V저장매체에 저장된 A/V신호 데이터를 재생하는 거치부, 및, 상기 본체 인터페이스부와 도킹 가능한 거치부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며, 상기 거치부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본체 인터페이스부가 도킹되면, 상기 거치부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거치부제어신호를 상기 거치부로 출력한 후, 상기 A/V저장매체로부터 재생되는 A/V신호를 청각 및 시각화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본체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거치부인터페이스부가 도킹 해제되면, 독립적인 모바일 기기로써 동작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거치부는, 상기 A/V저장매체로부터 상기 A/V신호를 재생하여 출력하는 디스크재생부, 상기 디스크재생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A/V신호를 입력받아 복호화하여 상기 본체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본체부로 출력하는 A/V디코딩부, 키입력신호를 인가하는 A/V키입력부, 상기 A/V신호를 일시 저장하였다가 출력하는 A/V메모리, 및, 상기 A/V키입력부로부터 인가되는 키입력신호 및 상기 본체부로부터 입력되는 거치부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디스크재생부, 상기 A/V디코딩부 및 상기 A/V메모리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본체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소정의 모바일제어신호를 상기 본체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본체부로 출력하는 A/V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인터페이스부는, 상기 A/V디코딩부로부터 출력되는 복호화된 아날로그 A/V신호를 A/D변환하여 디지털 A/V신호를 출력하는 A/D컨버터, 및 상기 거치부인터페이스부와 도킹된 상태에서, 상기 디지털 A/V신호 및 상기 모바일제어신호를 상기 본체부로 출력하며, 상기 본체부로부터 출력되는 거치부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A/V제어부로 출력하는 A/V커넥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부의 거치부인터페이스부는, 상기 거치부와의 도킹여부를 감지하여 도킹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거치부도킹감지부, 및, 상기 거치부와 도킹된 경우, 상기 거치부 및 상기 본체부 상호간에 입출력되는 신호를 접속하는 모바일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부는, 키입력신호를 인가하는 모바일키입력부, 상기 거치부인터페이스부로부터 입력되는 도킹감지신호, 모바일제어신호 및 상기 모바일키입력부로부터 인가되는 키입력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모바일부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고, 상기 거치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거치부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모바일제어부, 상기 모바일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기저장되어 있는 영상데이터, 각종 응용프로그램 및 상기 A/V신호재생용 응용프로그램을 상기 모바일제어부로 업로드하는 모바일메모리, 상기 모바일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거치부인터페이스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A/V신호 및 상기 모바일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영상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스위칭하여 출력하는 신호먹스부, 상기 신호먹스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및 상기 모바일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A/V신호 중 VIDEO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구동신호를 출력하는 표시구동부, 상기 표시구동부로부터 출력되는 표시구동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VIDEO신호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신호먹스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및 상기 모바일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A/V신호 중 AUDIO신호를 청각화 하기 위한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제어부, 및, 상기 오디오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AUDIO신호를 청각화하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바일제어부는, 상기 본체부가 상기 거치부와 결합시에, 상기 모바일키입력부로부터 인가되는 키입력신호를 상기 거치부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거치부로 인가하여, 상기 본체부 및 상기 거치부가 상기 모바일키입력부로부터 인가되는 키입력신호에 근거하여 동작 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바일제어부는, 상기 본체부가 슬립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거치부와 도킹된 경우, 상기 거치부인터페이스부로부터 상기 도킹감지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본체부의 동작모드를 활성모드로 변경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A/V제어부는 상기 모바일제어부와 UART 통신포트를 통하여 상기 거치부제어신호 및 상기 모바일제어신호를 상호 입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A/V저장매체는 DVD가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전자기기의 영상매체 재생방법은, (1)소정의 A/V저장매체에 저장된 A/V신호 데이터를 재생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거치부에 상기 모바일전자기기가 도킹되는 단계, (2) 상기 모바일전자기기 및 상기 거치부 중 하나를 통해서 소정의 재생키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거치부에서 상기 A/V신호를 재생하여 상기 모바일전자기기로 출력하는 단계, 및, (3) 상기 모바일전자기기가 상기 거치부로부터 입력되는 A/V신호를 청각 및 시각화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바일전자기기는 상기 거치부로부터 입력되는 A/V신호 및 상기 모바일전자기기가 기 저장하고 있는 영상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재생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거치부 및 상기 모바일전자기기는 UART 통신포트를 통하여, 상호간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상호 입출력 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매체 재생기능을 갖는 모바일 전자기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는 거치부(200)와 착탈할 수 있고, 거치부(200)와 결합시 거치부(200)로부터 입력되는 A/V신호 및 모바일제어신호에 근거하여 A/V신호를 청각 및 시각화하여 재생한다. 그리고, 본체부(100)는 거치부(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거치부제어신호를 거치부(200)로 출력하며 거치부(200)와 분리시엔 독립적인 종래의 모바일전자기기로서 동작한다.
거치부(200)는 본체부(100)와 결합시에, 본체부(100)로부터 출력되는 거치부제어신호에 근거하여 A/V저장매체로부터 A/V신호를 재생한다. 그리고, 거치부(200)는 본체부(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모바일제어신호를 본체부(100)로 출력한다.
도 2를 참조하여 거치부(200)의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거치부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도시한 블럭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부(200)는 A/V저장매체재생부(220) 및 본체인터페이스부(210)를 구비한다. A/V저장매체재생부(220)는 본체부(100)로부터 입력되는 거치부제어신호에 근거하여 A/V저장매체로부터 A/V신호를 재생하여 본체인터페이스부(210)로 출력한다. 그리고, A/V저장매체재생부(220)는 본체부(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모바일제어신호를 본체인터페이스부(210)로 출력한다.
한편, 본체인터페이스부(210)는 본체부(100)와 결합시에 A/V저장매체재생부(220)로부터 출력되는 A/V신호 및 모바일제어신호를 입력받아 본체부(100)로 출력하고, 본체부(100)로부터 입력되는 거치부제어신호를 입력받아 A/V저장매체재생부(220)로 출력하여 본체부(100) 및 A/V저장매체재생부(220) 사이의 입출력되는 신호를 상호 접속한다.
A/V저장매체재생부(220)는 디스크재생부(221), A/V디코딩부(225), A/V키입력부(222), A/V메모리(224), 및 A/V제어부(223)를 구비한다.
디스크재생부(221)는 A/V저장매체로부터 A/V신호를 재생하여 A/V제어부(223)로 출력한다. 이 때, A/V저장매체는 DVD 인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A/V키입력부(222)는 키입력신호를 A/V제어부(223)로 인가한다.
A/V제어부(223)는 A/V키입력부(222)로부터 인가되는 키입력신호 및 본체부(100)로부터 입력되는 거치부제어신호에 근거하여 디스크재생부(221)로부터 입력되는 A/V신호를 A/V디코딩부(225)로 출력한다. 그리고, A/V제어부(223)는 본체부(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모바일제어신호를 본체인터페이스부(210)로 출 력한다.
한편, A/V메모리(224)는 A/V제어부(223)의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디스크재생부(221)로부터 재생된 A/V신호를 일시적으로 저장하였다가 A/V제어부(223)로 출력한다.
그리고, A/V디코딩부(225)는 A/V제어부(223)의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A/V제어부(223)로부터 입력되는 A/V신호를 복호화하여 본체인터페이스부(210)로 출력한다.
본체인터페이스부는 A/D컨버터(211), 및 A/V커넥터(214)를 구비한다.
A/D컨버터(211)는 A/V제어부(223)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A/V디코딩부(225)로부터 입력되는 복호화된 아날로그 A/V신호를 A/D변환하여 A/V커넥터(214)로 출력한다.
그리고, A/V커넥터(214)는 본체부(100) 및 A/V저장매체재생부(220) 상호간에 입출력되는 신호를 접속한다. 즉, A/V커넥터(214)는 본체부(100)와 결합시에 A/D컨버터(211)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A/V신호를 입력받아 본체부(100)로 출력하고, A/V제어부(223)로부터 출력되는 모바일제어신호를 입력받아 본체부(100)로 출력하며, 본체부(100)로부터 입력되는 거치부제어신호를 입력받아 A/V제어부(223)로 출력한다.
본체부(100)의 동작을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본체부(1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도시한 블럭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는 크게 모바일부(110) 및 거치대인터페이스부(120)로 나뉘어 진다.
거치대인터페이스부(120)는 거치부(200)와 결합시에 거치부(200)와의 도킹여부를 감지하여 도킹감지신호를 모바일부(110)로 출력하고, 거치부(200)로부터 입력되는 A/V신호 및 모바일제어신호, 그리고 거치부(200)로 출력되는 거치부제어신호를 상호 접속한다.
모바일부(110)는 거치대인터페이스부(120)로부터 입력되는 도킹감지신호 및 모바일제어신호에 근거하여 A/V신호를 청각 및 시각화하고, 거치부(200)를 제어하기 위한 거치부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거치대인터페이스부(120)는 거치부도킹감지부(122) 및 모바일커넥터(121)를 구비한다.
거치부도킹감지부(122)는 거치부(200)와의 결합시에 거치부(200)와의 도킹여부를 감지한 도킹감지신호를 모바일부(110)로 출력한다.
그리고, 모바일커넥터(121)는 거치부(200)와 결합시에 거치부(200) 및 모바일부(110) 상호간에 입출력되는 신호를 접속한다.
한편, 모바일부(110)는 모바일키입력부(119), 모바일제어부(111), 모바일메모리(112), 신호먹스부(113), 표시구동부(114), 표시부(118), 오디오제어부(116), 및 스피커(117)를 구비한다.
모바일키입력부(119)는 키입력신호를 모바일제어부(111)로 인가한다.
모바일제어부(111)는 거치부인터페이스부(120)로부터 입력되는 도킹감지신호, 모바일제어신호 및 모바일키입력부(119)로부터 인가되는 키입력신호에 근거하여 모바일부(11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그리고, 모바일제어부(111)는 거치부(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거치부제어신호를 모바일커넥터(121)로 출력한다.
한편, 모바일메모리(112)는 모바일제어부(111)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기저장되어 있는 영상데이터나 각종 응용프로그램 및 A/V신호재생용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를 모바일제어부(111)로 출력한다.
모바일제어부(111)는 모바일메모리(112)로부터 영상데이터가 입력시 이를 신호먹스부(113)로 출력한다.
그리고, 신호먹스부(113)는 모바일제어부(111)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모바일커넥터(121)로부터 출력되는 A/V신호 및 모바일제어부(111)로부터 출력되는 영상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스위칭하여 표시구동부(114) 및 오디오제어부(116)로 출력한다. 이 때, 모바일제어부(111)는 모바일키입력부(119)로부터 인가되는 키입력신호에 따라 거치부(200)의 A/V저장매체를 재생하는 모드일 경우 신호먹스부(113)가 모바일커넥터(121)로부터 출력되는 A/V신호를 선택하여 스위칭하도록 신호먹스부(113)를 제어한다. 그리고, 모바일제어부(111)는 모바일키입력부(119)로부터 인가되는 키입력신호에 따라 모바일메모리(112)의 영상데이터를 재생하는 모드일 경우 신호먹스부(113)가 모바일제어부(111)로부터 출력되는 A/V신호를 선택하여 스위칭하도록 신호먹스부(113)를 제어한다.
한편, 표시구동부(114)는 모바일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신호먹스부(113)로부터 출력되는 VIDEO신호를 표시부(118)에 표시하기 위하여 표시부(118)를 구동한다.
그리고, 표시부(118)는 표시구동부(114)로부터 출력되는 표시구동신호에 근거하여 VIDEO신호를 표시한다.
오디오제어부(116)는 모바일제어부(111)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신호먹스부(113)로부터 입력되는 AUDIO신호를 청각화 하기 위하여 스피커(117)를 구동하기 위한 음성신호를 스피커(117)로 출력한다.
그리고, 모바일제어부(111)는 모바일커넥터(121)가 A/V커넥터(214)와 결합시에, 모바일키입력부(119)로부터 인가되는 키입력신호를 모바일커넥터(121)를 통하여 A/V제어부(223)로 인가한다.
따라서, A/V제어부(223)는 모바일키입력부(119)로부터 인가되는 키입력신호 및 A/V키입력부(222)로부터 인가되는 키입력신호에 근거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제어부(111)는 모바일제어부(111)가 슬립모드일 때, 본체부(100)가 거치부(200)와 도킹시 거치부도킹감지부(122)로부터 입력되는 도킹감지신호에 근거하여 본체부(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동작모드를 활성모드로 제어한다.
그리고, A/V제어부(223)는 모바일제어부(111)와 UART 통신포트를 통하여 거치부제어신호 및 모바일제어신호를 상호 입출력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전자기기의 영상매체 재생방법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매체 재생기능을 갖는 모바일 전자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본체부(100)의 거치부도킹감지부(122)는 거치부(200)와의 결합여부를 판별하여 도킹감지신호를 모바일제어부(111)로 출력한다(단계 400). 모바일제어부(111)는 결합여부의 판별결과 미결합시 단계 400을 반복수행하고, 결합시 본체부(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동작모드를 슬립모드에서 활성모드로 변경하고, 필요시 본체부(100)의 동작을 초기화한다(단계 410).
본체부(100)와 거치부(200)의 결합상태에서, A/V제어부(223)는 A/V제어부(223)로 재생키신호가 인가되는지 여부를 판별하여(단계 420) 재생키신호가 인가되지 않으면 단계 420을 반복수행하고, 재생키신호 인가시, 다음 단계를 수행한다.
즉, 거치부(200)는 DVD등과 같은 A/V저장매체로부터 A/V신호를 독출 및 복호화하여 본체부(100)로 출력한다(단계 430).
이후, 본체부(100)는 거치부(200)로부터 입력되는 A/V신호를 청각 및 시각화한다(단계 440).
단계 440에서, 본체부(100)는 거치부(200)로부터 입력되는 A/V신호 및 본체부(100)의 모바일메모리(112)가 기저장하고 있는 영상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재생한다.
단계 430에서 거치부(200)는 본체부(100)와 결합시에, 본체부(100)로부터 인가되는 키입력신호 및 거치부(200)로부터 인가되는 키입력신호에 근거하여 동작한다.
그리고, 거치부(200) 및 본체부(100)는 UART 통신포트를 통하여 상호간의 동 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상호 입출력한다.
이상에서는 거치부 및 거치부와 결합할 수 있는 전용 모바일기기에 국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DVD재생기능을 구비한 거치부는 거치부와 결합할 수 없는 다른 일반적인 모바일기기 상에 표준통신규격 및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A/V신호를 재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매체 재생기능을 갖는 모바일 전자기기 및 재생방법에 의하면, 거치부와 분리시에는 일반적인 모바일전자기기로서 동작하고, 거치부와 결합시에는 DVD등과 같은 동영상저장매체를 재생할 수 있어 모바일 전자기기의 기능을 다중화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15)

  1. 외부기기와 도킹 가능한 본체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도킹된 외부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소정의 거치부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소정의 A/V저장매체에 저장된 A/V신호 데이터를 재생하는 거치부; 및,
    상기 본체 인터페이스부와 도킹 가능한 거치부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며, 상기 거치부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본체 인터페이스부가 도킹되면, 상기 거치부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거치부제어신호를 상기 거치부로 출력한 후, 상기 A/V저장매체로부터 재생되는 A/V신호를 청각 및 시각화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거치부인터페이스부가 도킹 해제되면, 독립적인 모바일 기기로써 동작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전자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A/V저장매체로부터 상기 A/V신호를 재생하여 출력하는 디스크재생부;
    상기 디스크재생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A/V신호를 입력받아 복호화하여 상기 본체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본체부로 출력하는 A/V디코딩부;
    키입력신호를 인가하는 A/V키입력부;
    상기 A/V신호를 일시 저장하였다가 출력하는 A/V메모리; 및
    상기 A/V키입력부로부터 인가되는 키입력신호 및 상기 본체부로부터 입력되는 거치부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디스크재생부, 상기 A/V디코딩부 및 상기 A/V메모리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본체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소정의 모바일제어신호를 상기 본체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본체부로 출력하는 A/V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매체 재생기능을 갖는 모바일 전자기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인터페이스부는,
    상기 A/V디코딩부로부터 출력되는 복호화된 아날로그 A/V신호를 A/D변환하여 디지털 A/V신호를 출력하는 A/D컨버터; 및
    상기 거치부인터페이스부와 도킹된 상태에서, 상기 디지털 A/V신호 및 상기 모바일제어신호를 상기 본체부로 출력하며, 상기 본체부로부터 출력되는 거치부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A/V제어부로 출력하는 A/V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매체 재생기능을 갖는 모바일 전자기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거치부인터페이스부는,
    상기 거치부와의 도킹여부를 감지하여 도킹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거치부도킹감지부; 및
    상기 거치부와 도킹된 경우, 상기 거치부 및 상기 본체부 상호간에 입출력되는 신호를 접속하는 모바일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매체 재생기능을 갖는 모바일 전자기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키입력신호를 인가하는 모바일키입력부;
    상기 거치부인터페이스부로부터 입력되는 도킹감지신호, 모바일제어신호 및 상기 모바일키입력부로부터 인가되는 키입력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모바일부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고, 상기 거치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거치부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모바일제어부;
    상기 모바일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기저장되어 있는 영상데이터, 각종 응용프로그램 및 상기 A/V신호재생용 응용프로그램을 상기 모바일제어부로 업로드하는 모바일메모리;
    상기 모바일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거치부인터페이스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A/V신호 및 상기 모바일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영상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스위칭하여 출력하는 신호먹스부;
    상기 신호먹스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및 상기 모바일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A/V신호 중 VIDEO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구동신호를 출력하는 표시구동부;
    상기 표시구동부로부터 출력되는 표시구동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VIDEO신호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신호먹스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및 상기 모바일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A/V신호 중 AUDIO신호를 청각화 하기 위한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제어부; 및
    상기 오디오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AUDIO신호를 청각화하는 스피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매체 재생기능을 갖는 모바일 전자기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제어부는
    상기 본체부가 상기 거치부와 결합시에, 상기 모바일키입력부로부터 인가되는 키입력신호를 상기 거치부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거치부로 인가하여, 상기 본체부 및 상기 거치부가 상기 모바일키입력부로부터 인가되는 키입력신호에 근거하여 동작 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매체 재생기능을 갖는 모바일 전자기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제어부는
    상기 본체부가 슬립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거치부와 도킹된 경우, 상기 거치부인터페이스부로부터 상기 도킹감지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본체부의 동작모드를 활성모드로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매체 재생기능을 갖는 모바일 전자기기.
  8. 제2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A/V제어부는 상기 모바일제어부와 UART 통신포트를 통하여 상기 거치부제어신호 및 상기 모바일제어신호를 상호 입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매체 재생기능을 갖는 모바일 전자기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V저장매체는
    DVD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매체 재생기능을 갖는 모바일 전자기기.
  10. 모바일전자기기의 영상매체 재생방법에 있어서,
    (1)소정의 A/V저장매체에 저장된 A/V신호 데이터를 재생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거치부에 상기 모바일전자기기가 도킹되는 단계;
    (2) 상기 모바일전자기기 및 상기 거치부 중 하나를 통해서 소정의 재생키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거치부에서 상기 A/V신호를 재생하여 상기 모바일전자기기로 출력하는 단계; 및
    (3) 상기 모바일전자기기가 상기 거치부로부터 입력되는 A/V신호를 청각 및 시각화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전자기기의 영상매체 재생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전자기기는 상기 거치부로부터 입력되는 A/V신호 및 상기 모바일전자기기가 기 저장하고 있는 영상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전자기기의 영상매체 재생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 및 상기 모바일전자기기는 UART 통신포트를 통하여, 상호간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상호 입출력 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전자기기의 영상매체 재생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030010154A 2003-02-18 2003-02-18 영상매체 재생기능을 갖는 모바일 전자기기 및 그 재생방법 KR100555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0154A KR100555901B1 (ko) 2003-02-18 2003-02-18 영상매체 재생기능을 갖는 모바일 전자기기 및 그 재생방법
US10/777,673 US7257830B2 (en) 2003-02-18 2004-02-13 Mobile electronic apparatus capable of functioning as image reproduction medium and reproduction method thereof
JP2004040458A JP2004254315A (ja) 2003-02-18 2004-02-17 携帯用電子機器の映像再生装置及び映像再生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0154A KR100555901B1 (ko) 2003-02-18 2003-02-18 영상매체 재생기능을 갖는 모바일 전자기기 및 그 재생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4759A KR20040074759A (ko) 2004-08-26
KR100555901B1 true KR100555901B1 (ko) 2006-03-03

Family

ID=32844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0154A KR100555901B1 (ko) 2003-02-18 2003-02-18 영상매체 재생기능을 갖는 모바일 전자기기 및 그 재생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257830B2 (ko)
JP (1) JP2004254315A (ko)
KR (1) KR1005559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1585B1 (ko) 2005-11-25 2014-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A/v 시스템과 휴대형 기기 간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장치및 방법
US20110019107A1 (en) * 2009-07-24 2011-01-27 VIZIO In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auxiliary use of internal speakers
KR101554599B1 (ko) 2011-06-30 2015-09-21 주식회사 케이티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 연결되는 휴대 단말 및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WO2013002547A2 (ko) * 2011-06-30 2013-01-03 주식회사 케이티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되는 휴대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KR101485156B1 (ko) * 2011-11-07 2015-01-23 주식회사 케이티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되는 휴대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KR101474927B1 (ko) 2011-12-22 2014-12-31 주식회사 케이티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로의 영상 송출 방법 및 그 단말
KR101522399B1 (ko) 2011-12-23 2015-05-22 주식회사 케이티 휴대 단말에서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로의 화면 표출 방법 및 그 휴대 단말
KR101546407B1 (ko) 2011-12-23 2015-08-24 주식회사 케이티 어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504655B1 (ko) 2011-12-26 2015-03-23 주식회사 케이티 어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522397B1 (ko) 2011-12-26 2015-05-22 주식회사 케이티 복수의 외부 장치와 연결될 수 있는 휴대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80978B1 (en) * 1997-10-06 2002-04-30 Dvdo, Inc. Digital video system and methods for providing same
JP2001523024A (ja) 1997-11-12 2001-11-20 アイオメガ コーポレイション データを記憶するためのデジタル機器用データダウンロード装置
CN1128542C (zh) 1998-04-03 2003-11-19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便携式视听系统
KR100694414B1 (ko) 1999-12-30 2007-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US6594721B1 (en) * 2000-02-29 2003-07-1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urprise hot bay swapping of IDE/ATAPI devices
KR200221378Y1 (ko) 2000-10-14 2001-04-16 송정석 핸드폰 충전거치대
US6965403B2 (en) 2000-10-16 2005-11-15 Canon Kabushiki Kaisha External storage device for image pickup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image pickup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7050124B2 (en) * 2002-11-05 2006-05-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video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4759A (ko) 2004-08-26
JP2004254315A (ja) 2004-09-09
US20040160193A1 (en) 2004-08-19
US7257830B2 (en) 2007-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35389A (ko) 오디오 콤팩트 디스크 구동 기능을 갖는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0555901B1 (ko) 영상매체 재생기능을 갖는 모바일 전자기기 및 그 재생방법
EP1596581A2 (en) A display device with data reading means
KR200294574Y1 (ko) 휴대용 시디 플레이어와 버너
KR20080091674A (ko)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541732B1 (ko) 컴퓨터 시스템
KR100708197B1 (ko) 플렉시블 스크린을 이용한 오디오/비디오 재생 장치
KR100739727B1 (ko) 착탈식 비디오 유니트를 갖는 휴대용 av 재생장치
JP2011085988A (ja) 電子機器
KR100284748B1 (ko) 보조저장장치용오디오기록/재생장치
JP2001100683A (ja) 画像電子pop装置
KR200302225Y1 (ko) 오디오/비디오 재생기능을 구비한 외장형 저장장치
KR20030052680A (ko) 멀티미디어 기능을 갖는 키보드
KR100544734B1 (ko) 네비게이션과 음성매체 동시 구현 장치
KR100692220B1 (ko) 컴퓨터시스템
KR200259745Y1 (ko) 휴대용 이미지 저장 및 재생장치
KR100703659B1 (ko) 휴대용 오디오 플레이어의 배터리 절약 제어 장치 및 그제어 방법
KR100672930B1 (ko)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를 구비한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및 그것의 전원관리 방법
KR20020026633A (ko) 디브이디 플레이어 기능과 컴퓨터 기능이 결합된 시스템
KR100308246B1 (ko) 분리가능한 카세트 테입형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재생팩 및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재생 시스템
KR200434647Y1 (ko) 유에스비 호스트를 지원하는 스피커 시스템
JP2000023054A (ja) 優先表示機能付き映像再生表示装置
JP2008217561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データ再生装置
KR20030084428A (ko) 디지털 오디오 장치 및 이 장치의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KR20060125351A (ko) 휴대용 영상 재생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