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5156B1 -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되는 휴대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되는 휴대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5156B1
KR101485156B1 KR20110115326A KR20110115326A KR101485156B1 KR 101485156 B1 KR101485156 B1 KR 101485156B1 KR 20110115326 A KR20110115326 A KR 20110115326A KR 20110115326 A KR20110115326 A KR 20110115326A KR 101485156 B1 KR101485156 B1 KR 101485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device
sub
portable terminal
docking
interlock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0115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0136A (ko
Inventor
이정욱
차재욱
강유진
정재훈
강신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20110115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5156B1/ko
Priority to PCT/KR2012/005068 priority patent/WO2013002547A2/ko
Priority to US13/540,112 priority patent/US8949494B2/en
Publication of KR20130050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01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5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5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Abstract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되는 휴대단말 및 그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디바이스와 연동되는 휴대 단말로서,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포함된 제1 서브 디바이스에 상응하는 제2 서브 디바이스 및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 연동된 경우에는 상기 휴대 단말에서 발생한 소정의 제어 명령을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로 전달하고, 상기 휴대 단말과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연동 해제된 경우에는 상기 소정의 제어 명령을 상기 제2 서브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되는 휴대 단말 및 그 제어 방법{Mobile terminal docking with external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되는 휴대 단말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및 무선 통신 기술이 점차적으로 발달함에 따라, 휴대 단말은 기본적인 전화통화 기능 외에도 카메라, MP3, 인터넷, 게임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적인 기능을 구비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휴대 단말의 사용이 더욱 활성화되었다. 그리고, 최근에는 이와 같은 기능들이 더욱 강화된 스마트폰이 보급되기 시작하였으며, 이에 발맞추어 스마트폰에서 이용될 수 있는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들도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휴대 단말은 휴대성 및 이동성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단말의 크기에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으며, 이에 따라 화면의 크기, 해상도, 스피커 성능 등도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 기술의 경우, 휴대 단말에 저장된 데이터, 음원 파일, 컨텐츠 등을 보다 좋은 사용 환경에서 활용하기 위하여 휴대 단말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노트북이나 컴퓨터 등의 형태를 가지는 외부 디바이스(일명, 도킹스테이션)가 개발되었으며, 이러한 외부 디바이스에서 휴대 단말에 저장된 데이터, 음원 파일, 컨텐츠 등을 보다 큰 화면과 좋은 성능의 스피커로 출력하여 이용해왔다.
휴대 단말과 외부 디바이스 간에 단순히 물리적인 도킹 연결이 이루어진 것만으로는 휴대 단말이 외부 디바이스에 포함된 각종 장치를 이용할 수 없으며, 이를 위하여 디바이스에 대한 명령 제어 경로를 도킹 연결 시와 도킹 연결 해제 시 달리 해주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휴대 단말과 외부 디바이스가 도킹 연결된 경우 휴대 단말이 외부 디바이스에 포함된 각종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휴대 단말 및 그 휴대 단말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외부 디바이스와 연동되는 휴대 단말로서,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포함된 제1 서브 디바이스에 상응하는 제2 서브 디바이스 및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 연동된 경우에는 상기 휴대 단말에서 발생한 소정의 제어 명령을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로 전달하고, 상기 휴대 단말과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연동 해제된 경우에는 상기 소정의 제어 명령을 상기 제2 서브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외부 디바이스와 연동되는 휴대 단말로서,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포함된 제1 서브 디바이스에 상응하는 제2 서브 디바이스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 연동된 경우에는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로부터 전달되는 제1 이벤트를 처리하고, 상기 휴대 단말과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연동 해제된 경우에는 상기 제1 이벤트에 상응하고 상기 제2 서브 디바이스로부터 전달되는 제2 이벤트를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휴대 단말과 상기 외부 디바이스는 도킹 연결의 방식으로 연동하며, 상기 휴대 단말은 도킹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부를 통한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의 도킹 연결을 감지하는 연동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휴대 단말과 상기 외부 디바이스는 무선 연결의 방식으로 연동하며, 상기 휴대 단말은 무선 통신부 및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한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의 연동을 감지하는 연동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의 제어 명령을 연동된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도킹 에이전트부 및 상기 휴대 단말과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연동된 경우에는 상기 소정의 제어 명령을 상기 도킹 에이전트부로 전달하고,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 연동 해제된 경우에는 상기 소정의 제어 명령을 상기 제2 서브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제어 루트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도킹 에이전트부는 상기 휴대 단말을 구동하는 OS의 어플리케이션 계층에 탑재되고, 상기 제어루트 관리부는 상기 OS의 커널 계층에 탑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 단말을 구동하는 OS의 커널 계층에 탑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의 연동을 감지하는 연동 감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의 연동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의 상태가 상기 제2 서브 디바이스의 상태로 변경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상기 제2 서브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의 도킹 연결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2 서브 디바이스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외부 디바이스와 연동되며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포함된 제1 서브 디바이스에 상응하는 제2 서브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 연동된 경우에는 상기 휴대 단말에서 발생한 소정의 제어 명령을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 단말과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연동 해제된 경우에는 상기 소정의 제어 명령을 상기 제2 서브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을 제어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외부 디바이스와 연동되며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포함된 제1 서브 디바이스에 상응하는 제2 서브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 연동된 경우에는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로부터 전달되는 제1 이벤트를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 단말과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연동 해제된 경우에는 상기 제1 이벤트에 상응하고 상기 제2 서브 디바이스로부터 전달되는 제2 이벤트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을 제어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휴대 단말과 상기 외부 디바이스는 도킹 연결의 방식으로 연동하며, 상기 휴대 단말은 도킹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휴대 단말을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부를 통한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의 도킹 연결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의 도킹 연결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의 상태가 상기 제2 서브 디바이스의 상태로 변경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상기 제2 서브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휴대 단말을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의 도킹 연결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2 서브 디바이스를 비활성화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휴대 단말과 상기 외부 디바이스는 무선 연결의 방식으로 연동하며, 상기 휴대 단말은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휴대 단말을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한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의 연동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의 연동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의 상태가 상기 제2 서브 디바이스의 상태로 변경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상기 제2 서브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휴대 단말을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의 연동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2 서브 디바이스를 비활성화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휴대 단말이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 연결된 경우 상기 휴대 단말에서 발생한 소정의 제어 명령을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포함된 서브 디바이스로 전달하고, 상기 휴대 단말과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도킹 해제된 경우에는 상기 소정의 제어 명령을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포함된 서브 디바이스와 상응하는 상기 휴대 단말의 서브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휴대 단말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 연결된 경우에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포함된 서브 디바이스로부터 전달되는 이벤트를 처리하고, 상기 휴대 단말과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도킹 해제된 경우에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포함된 서브 디바이스와 상응하고 상기 휴대 단말에 포함된 서브 디바이스로부터 전달되는 이벤트를 처리하는 휴대 단말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블록 구성도의 일 예.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과 도킹 연결되는 외부 디바이스의 블록 구성도의 일 예.
도 3은 도 2의 도킹 디바이스의 외관 사시도의 일 예
도 4는 서브 디바이스 식별 정보 테이블의 일 예.
도 5는 도킹 인터페이스부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과 외부 디바이스가 도킹 연결되는 경우 연결 수립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과 외부 디바이스가 도킹 연결이 해제 되는 경우 수행되는 일련의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9는 도킹 연결 해제 시 제어 경로를 도시한 블록 구성도.
도 10은 도킹 연결 시 제어 경로를 도시한 블록 구성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데이터가 ‘전송’ 또는 ‘전달’ 되거나 ‘송신’ 또는 ‘수신’되는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는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직접 전송되거나 송신 또는 수신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거나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단말은 또한, 시스템, 장치, 가입자 유닛, 가입자 스테이션, 모바일, 이동 단말기, 원격 스테이션, 원격 단말기, 액세스 단말기, 사용자 단말기, 단말기, 통신 장치, 사용자 에이전트, 사용자 장치 또는 사용자 장비(UE)로 불릴 수도 있다. 무선 단말은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휴대 전화, 위성 전화, 무선 전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전화, WLL(Wireless Local Loop) 스테이션, 무선 접속 기능을 갖는 핸드헬드 장치,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또는 다른 무선 모뎀에 연결된 프로세싱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외부 기기는 노트북 컴퓨터, 타블렛(Tablet) PC,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패드, 스크린 및 키패드를 구비한 패드일 수 있으며, 기타 휴대 기기를 도킹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장치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외부 기기와 서로 연동될 수 있는 휴대 단말에 관한 것으로서, 연동의 방식은 유, 무선을 가리지 않는다. 즉, 일 실시예에서, 휴대 단말과 외부 기기는 서로 도킹 연결의 방식으로 연동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단말과 외부 기기는 서로 도킹 연결하기 위한 도킹 인터페이스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과 외부 기기는 서로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음으로써 연동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휴대 단말과 외부 기기는 상기 무선 통신에 적합한 무선 통신 장치를 구비하고 있어야 할 것이며, 앞선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이 구비해야 하는 도킹 인터페이스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이 외부 기기와 연동되는 방식에는 제한이 없으나, 이하에서는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휴대 단말 및 외부 기기가 도킹 연결의 방식으로 연동되는 실시예에 대해 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의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블록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5는 도킹 인터페이스부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의 블록 구성도를 중심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휴대 단말의 일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외부 디바이스와 결합하는 휴대 단말(100)은, 무선 통신부(110), A/V 입력 장치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영상 처리부(140), 내부 저장 장치부(150), 외부 저장 장치부(155), 영상 출력 장치(160), 오디오 출력 장치(165), 도킹 인터페이스부(180), 제어부(190), 연동 감지부(199) 및 전원부(105)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105)는 단말 충전을 위한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1의 구성요소들 중 일부 구성요소는 반드시 본 발명의 구현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구성요소에 해당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또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100)은 이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휴대 단말(100)과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휴대 단말(100)과 다른 단말과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할 때 상기 휴대 단말(100)은 이동 통신 단말일 수 있으며, 이 경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의 종류에 따라 무선 통신부(10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방송 수신 모듈, GPS 수신 모듈 등과 같은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휴대 단말(100)이 휴대폰, 스마트폰 등과 같이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라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 결합되는 휴대 단말은 반드시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필요는 없으며, 유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단말이거나 또는 통신 기능이 지원되지 않는 단말이어도 무방하다.
A/V 입력 장치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및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와 마이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로서, 그 구현 방식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 입력 장치(134) 또는/및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과 같은 터치 입력 장치(13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140)는 가속도 센서(142), 조도 센서(144)를 비롯하여, 자이로 센서, 근접 센서, 접촉 센서 등과 같은 각종 센서를 포함함으로써, 휴대 단말(100)의 부가 기능/동작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내부 저장 장치부(150) 및 외부 저장 장치부(155)는 휴대 단말(100)의 데이터 저장 장소로 이용되며, 이때 내부 저장 장치부(150)는 RAM, SDRAM, 플래시 메모리 등으로 구현될 수 있고, 외부 저장 장치부(155)는 SD 카드, USB 메모리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를 때, 도킹 결합된 상태의 외부 디바이스(200)도 외부 저장 장치부(155)로서 기능할 수 있다.
영상 출력 장치(160)는 액정 패널, AMOLED 등으로 구현될 수 있고, 오디오 출력 장치(165)는 스피커, 리시버, 버저 등이 포함될 수 있다.백라이트 장치(270)는 디스플레이에서가독성을 높이기 위해서 디스플레이 뒤에서 빛을 발산하는 발광체로서 냉음극 형광램프(CCFL), 외부전극 형광램프(EEFL), 발광다이오드(LED), 평판형 형광램프(FFL)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킹 인터페이스부(180)는 휴대 단말(100)과 외부 디바이스(200) 간의 물리적 도킹 결합이 이루어진 경우, 휴대 단말(100)로부터 외부 디바이스(200)로의 영상 데이터 출력, 오디오 신호 출력, 그리고 휴대 단말(100)과 외부 디바이스(200) 상호 간의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킹 인터페이스부(18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입출력 인터페이스(182), 오디오 입출력 인터페이스(184), 데이터 입출력 인터페이스(18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인터페이스들 보다 적거나 더 많은 인터페이스들이 포함될 수도 있다. 일 예로, 도킹 인터페이스부(180)는 설계에 따라 오디오 입출력 인터페이스(184)는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다른 예로, 도킹 인터페이스부(180)는 외부 디바이스(200)와 도킹 결합된 상태에서 그 외부 디바이스(200) 측으로부터 휴대 단말(100)로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통로로서 기능하는 전원 입력 단자(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도킹 인터페이스부(180)는 설계 방식에 따라 추가적인 인터페이스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부(180)에 대한 구체적 구성 예가 도 5를 통해 도시되어 있다.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부(180)는, 외부 디바이스(200)와의 도킹 결합시, 영상/오디오 입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표준,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로 USB(Universal Serial Bus) 표준이 이용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도킹 인터페이스부(180)에는, HDMI 및 USB를 지원하기 위한 커넥터가 각각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도 5는 일 예에 불과하며 이외에도 다양한 인터페이스 구성이 가능할 것임은 물론이며, HDMI 및 USB 이외의 다른 영상/오디오 입출력 인터페이스 방식, 데이터 입출력 인터페이스 방식이 이용될 수 있음도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100)에 구비된 도킹 인터페이스부(180)를 통해, HDMI 또는 USB 단자를 가지고 있는 전자기기 또는 가전제품과 연결함으로써, 휴대 단말(100)의 영상/오디오를 위 전자기기 또는 가전제품의 영상 출력 장치 및 오디오 출력 장치를 통해서 출력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후술할 외부 디바이스(200)와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지 않은 일반 전자기기(예를 들어, TV, 모니터) 등에도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부(180)의 HDMI 또는 USB 단자를 통해서 휴대 단말(100)의 화면 등을 해당 전자기기로 송출할 수도 있게 된다.
연동 감지부(199)는 도킹 인터페이스부(180)를 통한 상기 외부 디바이스(200)와의 도킹 연결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휴대 단말(100)과 외부 디바이스(200)가 물리적으로 도킹 연결이 되면, 휴대 단말(100)은 외부 디바이스(200)에 소정의 제1 전기적 신호를 보내어 외부 디바이스(200)로 하여금 물리적으로 도킹 연결이 이루어졌음을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도킹 인터페이스부(180)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터페이스로 구성되는 실시 예의 경우에는, 특히 상기 제1 전기적 신호는 HDMI 5V Power 핀을 통해 외부 디바이스(200)에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휴대 단말(100)이 전원이 켜져 있는 상태에서는 항상 HDMI 5V Power 핀에 전원을 공급되도록 구현된 경우에 특히 유용할 수 있다. 왜냐하면, HDMI 5V Power 핀으로부터 파워가 더 이상 공급되지 않음을 외부 디바이스(200)가 감지한 경우에는 물리적 도킹 연결이 해제 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후, 외부 디바이스(200)는 휴대 단말(100)로 하여금 물리적으로 도킹 연결이 이루어졌음을 감지하도록 할 수 있도록 소정의 제2 전기적 신호를 휴대 단말(1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연동 감지부(199)는 상기 소정의 제2 전기적 신호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100)과 외부 디바이스 간의 도킹 연결을 감지할 수 있다. 도킹 인터페이스부(180)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터페이스로 구성되는 실시 예의 경우에는, 특히 상기 제2 전기적 신호는 전술한 제1 전기적 신호와 유사한 이유로 HDMI Hot Plug Detect(HPD)핀을 통해 휴대 단말(100)로 전송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예에서, 휴대 단말(100)과 외부 디바이스(200)는 물리적 도킹 연결 대신, 서로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연동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휴대 단말(100) 및 외부 디바이스(200)는 전술한 도킹 인터페이스를 대신할 연동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이 연동 인터페이스는 WIFI나 블루투스로 구현될 수도 있고, 무선 HDMI인터페이스나 무선 USB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무선 통신을 통해 연동되는 실시예에서, 연동 감지부(199)는 휴대 단말(100)과 외부 디바이스(200)간에 무선 커넥션이 성립되었는지 여부를 가지고 연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휴대 단말(100)의 각 구성요소들 그리고 휴대 단말(100)의 전반적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90)는 외부 디바이스(200)와의 도킹 결합에 따른 휴대 단말(100)의 동작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9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디바이스(본 명세서에서는 외부 디바이스(200)를 예시함)와의 도킹 연결 시 휴대 단말(100)를 구성하는 각종 장치(이하에서는 ‘서브 디바이스’라고 하며, 도 1에 도시된 터치 입력 장치(132), 키패드 입력 장치(134), 조도 센서(142), 가속도 센서(144), 백라이트 장치(170) 등을 서브 디바이스의 예시로 들 수 있음) 대신 이에 상응하는 외부 디바이스에 포함된 서브 디바이스를 제어하도록 서브 디바이스의 명령 및/또는 이벤트의 제어 경로를 변경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어부(190)는 휴대 단말(100)이 외부 디바이스(200)와 도킹 연결된 경우에는 휴대 단말(100)에서 발생 소정의 제어 명령을 외부 디바이스(200)에 포함된 서브 디바이스로 전달하고, 휴대 단말(100)과 외부 디바이스(200)가 도킹 해제된 경우에는 상기 소정의 제어 명령을 외부 디바이스(200)에 포함된 상기 서브 디바이스에 상응하는 휴대 단말(100)의 서브 디바이스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휴대 단말(100)이 외부 디바이스(200)와 도킹 연결된 경우에는 외부 디바이스(200)에 포함된 서브 디바이스로부터 전달되는 이벤트를 처리하고, 휴대 단말(100)과 외부 디바이스(200)가 도킹 해제된 경우에는 외부 디바이스(200)에 포함된 서브 디바이스에 상응하는 휴대 단말(100)의 서브 디바이스로부터 전달되는 이벤트를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제어 명령은 서브 디바이스를 온/오프하는 명령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서브 디바이스가 LCD 장치인 경우에는 LCD 장치에 대한 제어 명령은 온/오프 명령일 수 있다. 상기 소정의 제어 명령은 서브 디바이스의 상태 값을 읽어오는 명령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서브 디바이스가 조도 센서인 경우에는 상기 소정의 제어 명령은 조도 센서가 감지한 값을 읽어오는 명령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정의 제어 명령은 서브 디바이스에 상태 값을 설정하는 명령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브 디바이스가 백라이트 장치인 경우에는 상기 소정의 제어 명령은 백라이트의 밝기 값을 설정하는 명령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90)는 상기 소정의 제어 명령을 도킹 인터페이스부(180)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200)로 전달하는 도킹 에이전트부() 및 휴대 단말(100)이 외부 디바이스(200)와 도킹 연결된 경우에는 상기 소정의 제어 명령을 도킹 에이전트(192)로 전달하고, 휴대 단말(100)과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도킹 해제된 경우에는 상기 소정의 제어 명령을 휴대 단말에 포함된 서브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제어 루트 관리부(19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추후 도9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영상 처리부(196)는 영상 신호 또는 데이터에 대한 변환/처리를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영상 처리부(196)는 휴대 단말(100)과 외부 디바이스(200) 간이 도킹 결합되었을 때, 외부 디바이스(200)로 전송될 영상 데이터에 대한 영상 처리, 신호 변환 처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의 설명]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 수립 방법이 실행될 수 있는 외부 디바이스의 블록 구성도의 일 예이고, 도 3은 도 2의 외부 디바이스의 외관 사시도의 일 예이다. 여기서, 도 3은 외부 디바이스에 대한 다양한 외관 구현 디자인 중 일 예를 예시한 것이며, 이에 의해 외부 디바이스가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하, 도 2 및 도 3의 경우를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외부 디바이스(200)는, 영상 출력 장치(260), 오디오 출력 장치(265), 백라이트 장치(270), 터치 입력 장치(232)나 키 패드 입력 장치(234)와 같은 사용자 입력 장치(230), 조도 센서(242)나 가속도 센서(244) 기타 각종 센서를 포함하는 센싱부(240), 저장 장치부(260), 도킹 인터페이스부(250), 전원부(205) 및 도킹 관리부(292)와 부팅부(294)를 포함하는 제어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디바이스(200)에 포함된 각종 장치(즉, 서브 디바이스) 중 일부는 휴대 단말(100)의 서브 디바이스와 상응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외부 디바이스(200)의 서브 디바이스와 휴대 단말(100)의 서브 디바이스가 서로 상응한다라고 함은 양자에 같은 제어 명령을 내린 경우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거나, 특정 상황에서 동일한 이벤트(혹은 이벤트 시그널, I/O시그널)를 생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휴대 단말(100)과 외부 디바이스(200)를 예로 들면, 휴대 단말(100)의 백라이트 장치(170) 및 외부 디바이스(200)의 백라이트 장치(270)는 모두 턴 온(turn on)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로 빛을 발산하고, 턴 오프(turn off) 명령에 따라 빛 발산을 중지하므로 이들은 서로 상응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100)의 조도 센서(142)와 외부 디바이스(200)의 조도 센서(142)는 모두 턴 온 명령에 의해 감지 기능을 수행하며, 조도 감지 결과 값을 생성하므로 이들 역시 상응할 수 있다. 기타 휴대 단말(100)의 가속도 센서(144), 터치 입력 장치(132), 키패드 입력 장치(134), 외부 저장 장치(155), 영상 출력 장치(160), 오디오 출력 장치(165)는 각각 외부 디바이스(200)의 가속도 센서(244), 터치 입력 장치(232), 키패드 입력 장치(234), 저장 장치부(250), 영상 출력 장치(260), 오디오 출력 장치(265)와 서로 상응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서로 상응하는 서브 디바이스 간에 동일한 용어를 사용하였으나(예를 들어, 도 1의 조도 센서(142)와 도 2의 조도 센서(242) 또는 도 1의 오디오 출력 장치(165)와 도 2의 오디오 출력 장치(265)), 서로 상응한다는 의미가 용어에 구애되는 것은 아니다. 휴대 단말(100)과 외부 디바이스(200)의 서브 디바이스가 서로 상응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휴대 단말(100)과 외부 디바이스(200)는 공통된 규약에 따라 서브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100)이 포함하고 있는 서브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의 테이블(101) 및 외부 디바이스(200)가 포함하고 있는 서브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의 테이블(102)의 일 예를 도시한 그림이다. 도4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100)과 외부 디바이스(200)는 서로 상응하는 마이크(식별 정보 값: 2), 조도센서(식별 정보 값: 4), 가속도 센서(식별 정보 값: 5), 터치 스크린(식별 정보 값: 7), 백라이트 장치(식별 정보 값: 10), 내부 저장 장치(식별 정보 값: 11)를 가진다. 휴대 단말(100)과 외부 디바이스(200)는 각 서브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값을 비교함으로써 서로 어떤 서브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있는지, 그 중 어떤 서브 디바이스가 서로 상응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휴대 단말(100)과 외부 디바이스가 서로 도킹 연결된 경우, 휴대 단말(100)의 일부 서브 디바이스는 상응하는 외부 디바이스의 서브 디바이스로 대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킹 연결이 되지 않은 경우에는 휴대 단말(100)의 조도 센서가 동작하여 조도를 감지하지만, 도킹 연결이 된 경우에는 휴대 단말(100)의 조도 센서 대신 외부 디바이스의 조도 센서가 조도를 감지하여, 감지한 조도 값을 휴대 단말(100)에 알려주게 된다. 휴대 단말(100)의 서브 디바이스가 외부 디바이스의 서브 디바이스로 교체되는 방법에 관하여는 추후 도9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외부 디바이스(200)가 휴대 단말(100)에 포함된 서브 디바이스에 상응하는 서브 디바이스를 모두 포함할 필요는 없다(그 역도 마찬가지임). 도 4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휴대 단말이 포함하고 있는 무선통신 장치(식별 정보 값: 1), 카메라(식별 정보 값: 3), 키패드 장치(식별 정보 값: 6)가 외부 단말에는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이 외부 디바이스(200)와 도킹 연결된 경우에도 이러한 서브 디바이스들은 도킹 연결되지 않은 경우와 마찬가지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휴대 단말(100)은 도킹 연결 여부와 무관하게 휴대 단말에 구비된 무선통신 장치를 통하여 통신을 수행하며, 휴대 단말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진/동영상 촬영을 할 수 있다.
이하, 도킹 인터페이스부(280) 및 제어부(290)를 설명한다.
먼저, 도킹 인터페이스부(280)는, 휴대 단말(100)의 도킹 인터페이스부(180)와 물리적으로 도킹 결합됨으로써, 휴대 단말(100)과 외부 디바이스(200) 간의 도킹 연결 관계를 형성시키기 위한 커넥터(connector) 부분이다. 따라서, 도킹 인터페이스부(280)는, 휴대 단말(100)의 도킹 인터페이스부(180)와 페어(pair) 관계에 있을 수 있고, 이 경우 휴대 단말(100)의 도킹 인터페이스부(180)와 동일한 인터페이스 구성(앞선 도 5 참조)을 가질 수 있다.
즉, 도킹 인터페이스부(280)는, 도킹 결합시, 휴대 단말(10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영상 입출력 인터페이스(282),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기위한 오디오 입출력 인터페이스(284), 휴대 단말(100)과의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28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킹 인터페이스부(280)는 이외에도 휴대 단말(100)과의 물리적 도킹 결합을 감지하는 연동 감지부(미도시), 휴대 단말(100) 측으로 전원을 공급해주기 위한 통로로서 기능하는 전원 출력부(또는 단자, 미도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를 때, 도킹 인터페이스부(2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디바이스(200) 본체 내에 휴대 단말(100)이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된 단말 삽입부(281) 내의 특정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를 때, 외부 디바이스(200)와 휴대 단말(100) 간의 도킹 결합은, 그 두 장치의 도킹 인터페이스부(180 및 280) 간이 서로 물리적 결합(또는 접촉)되도록, 외부 디바이스(200)의 단말 삽입부(281)에 휴대 단말(100)을 삽입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도 3의 경우는, 휴대 단말(100)이 단말 삽입부(281)에 완전히 삽입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단말 삽입부(251)의 디자인에 따라 휴대 단말(100)의 일 부위(여기에는 도킹 인터페이스(180)는 포함되어야 함)만이 삽입되는 형태로 물리적 도킹 결합이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3에서는 슬라이드 타입의 패드 형상을 갖는 외부 디바이스(200)를 예시하였지만, 외부 디바이스(200)는 매우 다양한 디자인(예를 들어, 패드 타입이 아닌 노트북 타입, 슬라이드 타입이 아닌 바 타입 등)을 가질 수 있음도 물론이다.
제어부(290)는 외부 디바이스(200)의 각 구성요소들 그리고 외부 디바이스(200)의 전반적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어부(290)는 휴대 단말(100)과의 도킹 결합에 따른 외부 디바이스(100)의 동작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도킹 관리부(29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도킹 관리부(194)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해당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도킹 관리부(292)는, 그 도킹 결합 상태에서, 휴대 단말(100)과의 호스트-디바이스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디바이스(200)는, 상기 도킹 결합 상태에서, 휴대 단말(100)에서의 사용자 작업 환경(영상 및 오디오 출력 환경/ 데이터 입출력 환경 등)과 동일한 작업 환경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즉, 도킹 결합 상태에서, 휴대 단말(100)의 화면 영상은 외부 디바이스(200)의 화면으로 출력된다. 이를 위해, 도킹 관리부(292)는, 도킹 결합이 최초 감지된 경우, 영상 출력 장치(260)의 화면 출력을 턴 온시키고, 휴대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도킹 결합 시점의 휴대 단말(100)의 화면 영상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영상 출력 장치(26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도킹 관리부(292)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수립 과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서브 디바이스의 정보 또는 각종 메시지를 휴대 단말(100)의 도킹 에이전트(192)로 송신하거나 도킹 에이전트(192)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도킹 결합 상태에서, 외부 디바이스(200)의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 이벤트(예를 들어, 터치 입력 이벤트 등)를 수신한 경우, 도킹 관리부(292)는, 그 수신된 입력 이벤트에 상응하여 휴대 단말(100)의 동작을 제어하는데 이용되는 이벤트 신호를 생성 및 휴대 단말(10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90)에 포함된 부팅부(294)는 휴대 단말(100)과의 도킹 결합이 최초 감지됨에 따라 외부 디바이스(200)의 전원 상태를 활성화(예를 들어, 대기 전원 상태에서 파워 온 상태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외부 디바이스(200)를 자동 부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부 디바이스(200)는 스탠드얼론(standalone) 상태에서는 아무런 동작을 하지 않는(즉, 사용자에게 유용한 어떠한 동작/기능 실행을 할 수 없는) 일종의 더미(dummy) 디바이스일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외부 디바이스(200)에는 가능한 최소한의 기능(즉, 디스플레이 제어, 터치 입력 제어 등) 및 최소한의 하드웨어 구성만 탑재할 수 있어, 사용자 입장에서는 기존의 태블릿 PC/패드/노트북 제품과 동일한 작업 환경이 구현되면서도 그보다 저가의 제품을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을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외부 디바이스(200)는, 자체 OS(여기서, 자체 OS란 스탠드 얼론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OS를 말함)를 탑재함으로써,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도 있는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100)과 분리 동작 시는 전자 액자나 동영상/MP3 플레이어로, 도킹 결합 동작 시는 휴대 단말의 기능으로까지 확대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먼저 설명한 형태(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없는 형태)에 비해 하드웨어 스펙이 고사양을 요구하게 될 것임은 물론이다.
이제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킹 결합되는 두 개의 장치로서, 휴대 단말(100) 및 외부 디바이스(200)에 대해 설명하였다. 특히, 이제까지는, 휴대 단말과 외부 디바이스(즉, 외부 디바이스)가 도킹 연결되는 방식으로서 도킹 인터페이스 간의 물리적 결합에 의하는 예를 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서 “도킹 연결”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각 디바이스에 구비된 도킹 인터페이스 간의 물리적 직접 결합 방식 이외에도, 중간의 매개 장치(Hub)를 이용한 도킹 연결, 특정 연결 케이블(예를 들어, HDMI 케이블)을 이용한 도킹 연결의 방식도 가능함을 명확히 해둔다.
한편, 휴대 단말(100)과 외부 디바이스(200)가 물리적으로 도킹 결합된 경우에는 도킹 연결을 수립하는 일련의 과정이 수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킹 연결 시 수행되는 일련의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및 도 7은 휴대 단말(100)과 외부 디바이스(200)가 물리적으로 도킹 결합한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연결 수립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및 도 7의 설명]
일 실시예에서, 휴대 단말(100)과 외부 디바이스(200)는 연결 수립 과정과 관련된 소정의 상태(state)를 가질 수 있고, 특정 실시예에서는 휴대 단말(100)의 도킹 에이전트(192)와 외부 디바이스의 도킹 관리부(292)가 상기 소정의 상태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먼저 도 6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100)과 외부 디바이스가 도킹 연결이 되어있지 않은 경우, 휴대 단말(100)과 외부 디바이스는 ‘연결 해제’ 상태에 있을 수 있다(S100, S105).
휴대 단말(100)과 외부 디바이스가 물리적을 도킹 연결이 되면, 휴대 단말(100)은 외부 디바이스(200)에 소정의 제1 전기적 신호를 보내어 외부 디바이스(200)로 하여금 물리적으로 도킹 연결이 이루어졌음을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S110). 도킹 인터페이스부(180)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터페이스로 구성되는 실시 예의 경우에는, 특히 상기 제1 전기적 신호는 HDMI 5V Power 핀을 통해 외부 디바이스(200)에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휴대 단말(100)이 전원이 켜져 있는 상태에서는 항상 HDMI 5V Power 핀에 전원을 공급되도록 구현된 경우에 특히 유용할 수 있다. 왜냐하면, HDMI 5V Power 핀으로부터 파워가 더 이상 공급되지 않음을 외부 디바이스(200)가 감지한 경우에는 물리적 도킹 연결이 해제 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후, 외부 디바이스(200)는 소정의 제2 전기적 신호를 휴대 단말(100)에 전송하여, 휴대 단말(100)로 하여금 물리적으로 도킹 연결이 이루어졌음을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S115). 도킹 인터페이스부(180)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터페이스로 구성되는 실시 예의 경우에는, 특히 상기 제2 전기적 신호는 전술한 제1 전기적 신호와 유사한 이유로 HDMI Hot Plug Detect(HPD)핀을 통해 휴대 단말(100)로 전송될 수 있다.
만약 외부 디바이스의 전원이 오프인 상태라면, 외부 디바이스는 상기 제1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자동 부팅될 수 있다(S120, S130). 일 실시예에서, HDMI 5V Power 핀으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이를 외부 디바이스(200)의 전원 스위치 회로로 인가하여 전원을 온 시킴으로써 부팅 과정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특정 실시예에서는, 휴대 단말(100)과 외부 디바이스(200)간에 USB를 통하여 서로 데이터 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USB D+, D-를 연결하는 단계가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수립 방법에 포함될 수 있다 (S140).
이후, 외부 디바이스(200)는 상태를 ‘연결 중’으로 천이하고(S150), 남은 연결 수립과정을 계속 수행하도록 연결 수립을 시작 메시지를 휴대 단말(100)에 전송할 수 있다(160). 휴대 단말(100)도 상태를 ‘연결 중’으로 천이하고(S155), 연결 수립을 시작 메시지에 대한 응답(Ack)을 보내고(165) 남은 연결 수립 과정을 계속 진행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과정 이후의 연결 수립 과정을 도시하고 있는 흐름도이다. 계속해서 도 7을 참조하면, 외부 디바이스(200)는 휴대 단말(100)이 자신이 포함하고 있는 서브 디바이스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소정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170). 상기 소정의 정보는 외부 디바이스(200)에 포함된 각각의 서브 디바이스에 대한 구체적 정보 목록일 수 있고, 도 4에 도시된 식별번호 201의 테이블과 유사한 형태의 정보일 수도 있다. 한편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소정의 정보는, 도4에 도시된 바와 달리, 외부 디바이스(200) 자체의 식별 정보일 수도 있다. 이 경우, 휴대 단말은 자신과 호환되는(즉, 올바르게 도킹 연결될 수 있는) 각종 외부 디바이스 및 그 외부 디바이스에 포함된 서브 디바이스의 정보를 저장하는 테이블(예를 들면, 데이터 베이스)을 포함할 수 있고, 전달 받은 외부 디바이스(200)의 식별 정보로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여 그 외부 디바이스(200)가 포함하고 있는 서브 디바이스의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이후 휴대 단말(100)은 획득한 외부 디바이스(200)의 서브 디바이스 정보를 이용하여, 외부 디바이스(200)가 포함하고 있는 서브 디바이스의 목록을 획득하고, 상기 목록에 포함된 서브 디바이스 중에서, 도킹 연결 시 휴대 단말이 자신에 포함된 디바이스 대신 사용하고자 하는 외부 디바이스(200)의 서브 디바이스(이하, 제1 서브 디바이스’라고 함)들에 대한정보(예를 들면, 제1 서브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값의 목록)를 외부 디바이스(200)로 전송할 수 있다(S180).
이후 외부 디바이스(200)는 연결 수립 종료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S190).
휴대 단말(100)은 제1 서브 디바이스에 상응하는 휴대 단말의 서브 디바이스(이하, ‘제2 서브 디바이스’라고 함)에 대한 정보, 특히 제2 서브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S200), 이를 외부 디바이스(200)로 전송할 수 있다(S205). 그러면 외부 디바이스(200)는 수신한 제2 서브 디바이스의 정보를 제1 서브 디바이스에 반영하여 외부 디바이스(200)의 제1 서브 디바이스의 상태를 휴대 단말(100)의 제2 서브 디바이스의 상태와 동일하도록 변경할 수 있다(S210). 예를 들어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가 외부 디바이스(200)에 포함된 오디오 출력 장치이고, 제2 서브 디바이스가 이에 상응하는 휴대 단말(100)의 오디오 출력 장치이며, 도킹 전 휴대 단말의 오디오 출력 장치가 오프(off)되어 있거나 혹은 볼륨이 1단계로 되어 있다면, 도킹 연결이 된 후, 휴대 단말(100)의 오디오 출력 장치를 대신할 외부 디바이스(200)의 오디오 출력 장치의 상태가 휴대 단말의 오디오 출력 장치의 상태와 마찬가지로 오프(off) 혹은 1단계의 볼륨으로 설정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휴대 단말은 도킹 전과 도킹 후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사용자는 도킹 후 외부 디바이스를 재설정하여야 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은 도킹 전 상기 제2 서브 디바이스가 수행하던 기능을, 도킹 후에는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가 수행하도록 서브 디바이스 제어경로를 재구성한다(S220). 서브 디바이스의 제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브 디바이스로부터 이벤트(이벤트 시그널, I/O시그널이라고도 함)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이벤트를 처리하기 위한 제어(이하 ‘이벤트 제어’라고 함)와 서브 디바이스가 특정 기능을 수행하게 하도록 명령을 내리는 제어(이하 ‘명령 제어’라고 함)로 구분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을 통해 키 입력을 한 경우 키 입력 이벤트에 상응하는 이벤트 핸들러(혹은 시그널 핸들러라고도 함)가 호출되어 이벤트를 처리하는 것을 이벤트 제어의 일 예로 들 수 있으며, 백라이트를 온/오프시키기 위하여 명령을 내리거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하여 밝기 값 조정 명령을 내리는 것을 명령 제어의 일 예로 들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킹 전에는 휴대 단말(100)의 제2 서브 디바이스에 의해 소정의 제2 이벤트가 발생하지만, 도킹 후에는 제2 이벤트 대신 외부 디바이스의 제1 서브 디바이스에 의해 제2 이벤트에 상응하는 제1 이벤트가 발생할 것이다. 따라서, 휴대 단말(100)은 도킹 연결 후에는 제2 이벤트를 처리하는 대신 제1 이벤트를 처리할 수 있도록 이벤트 제어 경로를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킹 전에는 휴대 단말(100)이 사용자의 입력 또는 휴대 단말(100)의 운용 상 필요에 의하여 제2 디바이스에 소정의 제어 명령을 내려야 하지만, 도킹 후에는 제1 디바이스 대신 제2 디바이스에 상기 제어 명령을 내리도록 명령 제어 경로를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
한편, 제어 경로의 재구성은 실시예에 따라 도킹 연결 시 실시간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휴대 단말(100)에 포함된 제2 서브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경로 및 외부 디바이스(200)에 포함된 제1 서브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경로를 모두 미리 가지고 있되, 도킹 연결 여부를 판단하여 적절한 제어 경로로 제어 명령을 전달하거나 이벤트를 수신하는 휴대 단말도 있을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는 추후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후, 휴대 단말(100)은 제2 서브 디바이스를 일시 중지(suspend)시키거나 제2 서브 디바이스를 전원 오프(power off)함으로써 제2 서브 디바이스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S230).
이후, 휴대 단말(100)은 연결 수립 과정을 모두 수행하였음을 알리기 위하여 연결 수립 종료 메시지 응답(Ack)를 외부 디바이스(200)에 전송하고(S195), 상태를 ‘연결’ 상태로 천이할 수 있다(S250).
외부 디바이스(200)도 자신의 상태를 ‘연결’ 상태로 천이 할 수 있으며(S255), 휴대 단말로부터 입력되고 있던 HDMI 신호를 화면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도록 HDMI 디스플레이 시작 명령을 HDMI 모듈에 전송할 수도 있다(S240).
지금까지 휴대 단말(100)과 외부 디바이스(200)간에 물리적인 도킹 연결이 일어난 경우의 연결 수립 방법을 설명하는 바, 이하에서는 도 8를 참조하여, 도킹 연결이 해제된 경우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도 8 의 설명]
도 8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100)과 외부 디바이스(200)간에 연결이 수립된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양자의 상태가 모두 ‘연결’ 상태일 수 있다(S300, S340). 이후 휴대 단말(100)과 외부 디바이스(200)간의 물리적 연결이 해제되면, 다음의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은, 실시예에 따라서, 물리적 연결 해제로 인해 발생하는 HPD 해제 신호, USB Reset 신호 또는 HDMI 5V Power 해제 신호 등을 감지함으로써 물리적 연결의 해제를 감지할 수 있다(S310). 그러면, 휴대 단말(100)은 도킹 연결 시 제1 서브 디바이스를 제어하도록 서브 디바이스 제어 경로가 변경된 경우라면, 이를 다시 제2 서브 디바이스를 제어하도록 원상 복구한다(S320).
한편, 연결 수립 시 제2 서브 디바이스가 비활성화 된 경우, 휴대 단말은 제2 서브 디바이스를 활성화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외부 디바이스(200)는 도킹 연결 시에 HDMI 5V Power 핀으로부터 공급되던 신호가 더 이상 공급되지 않음을 감지함으로써 물리적 연결의 해제를 감지할 수 있다(S350). 그러면 외부 디바이스(200)는 USB VBUS를 리셋하고(S360), USB D+, D-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S370).
이후, 휴대 단말(100)과 외부 디바이스(200)는 자신의 상태를 ‘연결 해제’ 상태로 천이할 수 있다(S330, S380).
지금까지 도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기술한 과정의 각 단계가 모두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일부 단계는 본 발명의 구현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구성요소에 해당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100) 또는 외부 디바이스(200)가 자신의 상태를 천이하는 단계는 설명이나 구현의 용이함을 위한 것이므로 반드시 필요한 단계는 아니며, 연결 수립 시작/종료 메시지나 연결 수립 시작/종료 메시지 응답을 전송하는 것도 그러하다.
도 9는 도킹 연결 수립 전의 제어 경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10은 도킹 연결 수립 후의 제어 경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 및 도 10에서 파선으로 표시한 화살표는 서브 디바이스에서 발생하여 전달되는 이벤트 제어의 경로를 나타내며, 실선으로 표시한 화살표는 사용자 입력 또는 휴대 단말의 운용상 필요에 의하여 App에서 서브 디바이스로 향하는 명령 제어의 경로를 나타낸다.
먼저 도 9를 참조하면, 도킹 연결 수립 전의 제어 명령은 어플리케이션(App) 계층에서 시작하여, 프레임워크(framework) 계층, HAL(Hardware Abstraction Layer, 하드웨어 추상화 계층), 제어 루트 관리부(194)를 거쳐 제2 서브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드라이버로 전달되며, 제2 서브 디바이스에서 이벤트가 발생하면 커널의 디바이스 드라이버, 제어 루트 관리부(194), HAL, 프레임워크 계층을 통하여 어플리케이션 계층으로 전달된다. 통상의 휴대 단말에서는 제어 루트 관리부(194)를 거치지 않고 커널 디바이스 드라이버와 HAL 간에 제어 명령/이벤트 신호가 오고 갈 것이지만,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100)의 경우에는 제어 명령이 전달되어야 하는 서브 디바이스가 도킹 전과 후에 따라 물리적으로 달라지게 되므로 휴대 단말(100)과 외부 디바이스(200)가 도킹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제어 명령 전달 루트를 관리하는 제어 루트 관리부(194)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휴대 단말(100)과 외부 디바이스 간에 도킹 연결이 수립된 경우에는 어플리케이션 계층, 프레임워크 계층 HAL을 거쳐 제어 루트 관리부(194)로 전달된 제어 명령은 제2 서브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드라이버가 아닌 외부 디바이스에 포함된 제1 서브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드라이버에 전달되도록 또는 제1 서브 디바이스에서 발생한 이벤트 신호가 제어 루트 관리부(194)로 전달되어, HAL 프레임워크 계층을 거쳐 어플리케이션 계층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이벤트 신호를 처리한다.
일 실시예에서는, 이벤트 신호나 제어 명령이 휴대 단말(100)의 도킹 에이전트(192)와 외부 디바이스(200)의 도킹 관리부(292)를 통해 전달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제어 경로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경될 수 있다. 즉, 도킹 연결이 수립된 경우, 제어 루트 관리부(194)는 제2 서브 디바이스로 전달되어야 할 제어 명령을 제1 서브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드라이버로 보내기 위하여 외부 디바이스(200)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도킹 에이전트(192)로 전달한다. 한편, 제1 서브 디바이스에 서 생성된 이벤트 신호는 도킹 관리부(292)를 거쳐 도킹 에이전트(192)로 전달되며, 도킹 에이전트(192)는 제1 서브 디바이스로부터 이벤트가 발생했음을 제어 루트 관리부(194)에 알려줄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도킹 에이전트(192)가 제어 루트 관리부(194)로부터 제어 명령을 전달 받기 위하여 소정의 모듈(혹은 함수)을 등록하고 제어 루트 관리부(194)는 상기 소정의 모듈을 호출함으로써 제어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휴대 단말의 초기화 시에 제2 서브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커널 드라이버의 모듈 및 이에 상응하는 도킹 에이전트(192)의 모듈이 제어 루트 관리부(194)에 등록되며, 제어 루트 관리부(194)는 도킹 연결 여부에 따라 호출할 모듈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특정 실시예에서, 도킹 에이전트(192)는 제어 루트 관리부(194)에 구현된 소정의 모듈(혹은 함수)을 호출하여 이벤트의 발생을 제어 루트 관리부(194)에 알려줄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제어 루트 관리부(194)는 도킹 연결 여부에 따라 커널 드라이브로부터 오는 이벤트와 도킹 에이전트(192)로부터 오는 이벤트 중 어느 이벤트를 처리할 지 결정하여, 이벤트를 처리하기 위한 핸들러에 해당 이벤트를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핸들러는 제어 루트 관리부(194) 내에서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 루트 관리부가 위치한 계층과는 별도의 계층에 구현될 수도 있다.
도 9 및 도 10에서는, 제어 루트 관리부(194)가 커널 계층에, 도킹 에이전트(192)가 어플리케이션 계층에 탑재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어 루트 관리부(194)가 HAL에 탑재될 수도 있고, 도킹 에이전트(192)가 프레임워크 계층, HAL 또는 커널 계층에 탑재될 수도 있다. 외부 단말의 도킹 관리부(292)도 도 9 및 도 10과 달리 프레임워크 계층 또는 HAL에 탑재될 수도 있다.
한편, 도 9 및 도 10은 제어 명령/이벤트의 전달에 관여하는 구성 요소를 제어 루트 관리부(194) 및 도킹 에이전트(192)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으나 양자는 제어부(190) 내에서 하나의 구성 요소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제어부(190)는 커널 계층에 탑재될 수도 있다. 제어 명령/이벤트의 전달에 관여하는 구성 요소를 모두 커널 계층에 탑재할 지 또는 구성요소를 나누어 다른 계층에 탑재할 지는 호환성과 처리 속도 중 어느 것을 우선하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제어 명령/이벤트의 전달에 관여하는 구성 요소를 모두 커널 계층에 탑재하는 경우에는 제어 명령/이벤트의 전달 경로가 짧아지게 되므로 처리 속도 면에서 유리할 것이다. 한편, 제어 명령/이벤트의 전달에 관여하는 구성 요소를 나누어 각각을 다른 계층에 배치 하는 경우(특히, 어플리케이션 계층과 커널 계층에 각각 배치하는 경우)에는 개발의 용이성 및 호환성의 측면에서 유리한 점이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5)

  1. 외부 디바이스와 연동되는 휴대 단말로서,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포함된 복수의 제1 서브 디바이스 각각에 대응하여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거나 동일한 이벤트를 생성하는 복수의 제2 서브 디바이스; 및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 연동된 경우에는 상기 휴대 단말에서 발생한 상기 복수의 제2 서브 디바이스중 하나의 제2 서브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명령을 상기 제2 서브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서브 디바이스로 전달하여 상기 제2 서브 디바이스를 대신하여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가 상기 제어 명령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고, 상기 휴대 단말과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연동 해제된 경우에는 상기 제어 명령을 상기 제2 서브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 연동된 경우에는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로부터 전달되는 제1 이벤트를 처리하고, 상기 휴대 단말과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연동 해제된 경우에는 상기 제1 이벤트에 대응하고 상기 제2 서브 디바이스로부터 전달되는 제2 이벤트를 또한 처리하는 휴대 단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과 상기 외부 디바이스는 도킹 연결의 방식으로 연동하며,
    상기 휴대 단말은,
    도킹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부를 통한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의 도킹 연결을 감지하는 연동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과 상기 외부 디바이스는 무선 연결의 방식으로 연동하며,
    상기 휴대 단말은,
    무선 통신부; 및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한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의 연동을 감지하는 연동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제2 서브 디바이스중 하나의 제2 서비스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명령을 연동된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도킹 에이전트부; 및
    상기 휴대 단말과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연동된 경우에는 상기 제어 명령을 상기 도킹 에이전트부로 전달하고,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 연동 해제된 경우에는 상기 제어 명령을 상기 제2 서브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제어 루트 관리부
    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 에이전트부는 상기 휴대 단말을 구동하는 OS의 어플리케이션 계층에 탑재되고, 상기 제어루트 관리부는 상기 OS의 커널 계층에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 단말을 구동하는 OS의 커널 계층에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의 연동을 감지하는 연동 감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의 연동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의 상태가 상기 제2 서브 디바이스의 상태로 변경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상기 제2 서브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전달하는 휴대 단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의 연동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2 서브 디바이스를 비활성화 하는 휴대 단말.
  10. 외부 디바이스와 연동되며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포함된 복수의 제1 서브 디바이스 각각에 대응하여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거나 동일한 이벤트를 생성하는 복수의 제2 서브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 연동된 경우에는 상기 휴대 단말에서 발생한 상기 복수의 제2 서브 디바이스중 하나의 제2 서브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명령을 상기 제2 서브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서브 디바이스로 전달하여 상기 제2 서브 디바이스를 대신하여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가 상기 제어 명령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 단말과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연동 해제된 경우에는 상기 제어 명령을 상기 제2 서브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을 제어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 연동된 경우에는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로부터 전달되는 제1 이벤트를 상기 휴대단말에서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 단말과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연동 해제된 경우에는 상기 제1 이벤트에 대응하고 상기 제2 서브 디바이스로부터 전달되는 제2 이벤트를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을 제어하는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과 상기 외부 디바이스는 도킹 연결의 방식으로 연동하며,
    상기 휴대 단말은 도킹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휴대 단말을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부를 통한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의 도킹 연결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의 도킹 연결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의 상태가 상기 제2 서브 디바이스의 상태로 변경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상기 제2 서브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을 제어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의 도킹 연결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2 서브 디바이스를 비활성화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을 제어하는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과 상기 외부 디바이스는 무선 연결의 방식으로 연동하며,
    상기 휴대 단말은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휴대 단말을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한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의 연동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의 연동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의 상태가 상기 제2 서브 디바이스의 상태로 변경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상기 제2 서브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을 제어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의 연동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2 서브 디바이스를 비활성화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을 제어하는 방법.
KR20110115326A 2011-06-30 2011-11-07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되는 휴대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KR101485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115326A KR101485156B1 (ko) 2011-11-07 2011-11-07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되는 휴대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PCT/KR2012/005068 WO2013002547A2 (ko) 2011-06-30 2012-06-27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되는 휴대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US13/540,112 US8949494B2 (en) 2011-06-30 2012-07-02 User equipment connectable to an external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115326A KR101485156B1 (ko) 2011-11-07 2011-11-07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되는 휴대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0136A KR20130050136A (ko) 2013-05-15
KR101485156B1 true KR101485156B1 (ko) 2015-01-23

Family

ID=48660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0115326A KR101485156B1 (ko) 2011-06-30 2011-11-07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되는 휴대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51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06726A1 (ko) * 2014-07-07 2016-01-14 삼성전자주식회사 응용프로그램을 공유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1714881B1 (ko) * 2015-07-10 2017-03-09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확장 음성 인식 서비스를 제공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및 도킹 스테이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4759A (ko) * 2003-02-18 2004-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매체 재생기능을 갖는 모바일 전자기기 및 그 재생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4759A (ko) * 2003-02-18 2004-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매체 재생기능을 갖는 모바일 전자기기 및 그 재생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0136A (ko) 2013-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0768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igh speed charging using various charging schemes
US20130050122A1 (en) Controlling user equipment as touch pad for external device connected thereto
KR20130073262A (ko) 휴대 단말에서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로의 화면 표출 방법 및 그 휴대 단말
US20130007301A1 (en) User equipment connectable to an external device
EP2504766A2 (en) Configurable connector for system-level communication
KR20080109043A (ko) 범용직렬버스 연결
US11176078B2 (en) Communication method using input/output interface, and apparatus therefor
US8959267B2 (en) Controlling an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user equipment
KR101504654B1 (ko) 외부 디바이스와 이에 도킹되는 휴대 단말 사이의 연결 수립 방법
KR101277657B1 (ko) 외부 디바이스와 이에 도킹되는 휴대 단말 사이의 입력 이벤트 처리 방법
KR101485156B1 (ko)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되는 휴대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111828A (ko) 다중 운영체제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과 도킹 스테이션, 및 그 구동 방법
KR20130074827A (ko) 단말 가이드와 결합되는 휴대 단말 및 자동 환경 설정 방법
US11775040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receiving power from external electronic device
EP362942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impedance of terminal included in connector
AU2009266567B2 (en) Terminal apparatus using a peripheral apparatus of another terminal via the control of one terminal, and interface method thereof
KR101485154B1 (ko) 외부 디바이스와 이에 도킹되는 휴대 단말의 웨이크 업 모드 전환 방법
JP5060979B2 (ja) 携帯情報装置およびそのモード切替方法
KR101485149B1 (ko) 외부 디바이스와 결합하는 휴대 단말 및 그 구동 방법
KR101522401B1 (ko)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 연결되는 휴대 단말 및 화면 변경 방법
KR101485153B1 (ko) 외부 디바이스와 이에 도킹되는 휴대 단말의 웨이크 업 모드 전환 방법
KR101262539B1 (ko) Usb 단말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WO2018086288A1 (zh) 屏幕安装方法、设备主体和屏幕
WO2022170861A1 (zh) 电子设备的数据传输方法、电子设备及接口电路
KR20130071092A (ko) 휴대 단말과 연결되는 도킹 디바이스 및 소프트웨어 설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