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0742B1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0742B1
KR101660742B1 KR1020100050881A KR20100050881A KR101660742B1 KR 101660742 B1 KR101660742 B1 KR 101660742B1 KR 1020100050881 A KR1020100050881 A KR 1020100050881A KR 20100050881 A KR20100050881 A KR 20100050881A KR 101660742 B1 KR101660742 B1 KR 101660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display device
display data
mobile terminal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0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1439A (ko
Inventor
이우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0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0742B1/ko
Priority to US13/088,899 priority patent/US8996999B2/en
Publication of KR20110131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14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0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0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50Monitoring users, programs or devices to maintain the integrity of platforms, e.g. of processors, firmware or operating systems
    • G06F21/52Monitoring users, programs or devices to maintain the integrity of platforms, e.g. of processors, firmware or operating systems during program execution, e.g. stack integrity ; Preventing unwanted data erasure; Buffer overflow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2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03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21/50, monitoring users, programs or devices to maintain the integrity of platforms
    • G06F2221/032Protect output to user by software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외부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영상을 표시함에 있어 표시될 영상의 공유 제한 속성이 고려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 외부와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데이터 경로를 구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표시될 수 있도록 상기 데이터 경로를 통하여 상기 적어도 일부의 데이터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상기 특정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데이터 각각에 공유 제한을 지시하는 비밀 속성이 설정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전송 여부를 결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외부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최근 서로 연결되어 상호간에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전자제품들이 개발되고 있으며,이를 위한 표준화 역시 진행되고 있다. 그에 따라 이동 단말기에서 외부 영상표시장치를 통하여 영상을 표시함에 있어 보다 효율적이고 편리한 방법이 요구되고 있으며, 특히 영상 공유 과정에서 민감한 정보를 보호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영상을 편리하게 공유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영상을 공유함에 있어서 공유되는 정보의 속성을 고려하여 선별적으로 영상을 공유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 외부와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데이터 경로를 구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표시될 수 있도록 상기 데이터 경로를 통하여 상기 적어도 일부의 데이터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상기 특정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데이터 각각에 공유 제한을 지시하는 비밀 속성이 설정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전송 여부를 결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통신부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 중 특정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데이터 경로를 구축하는 단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에 공유 제한을 지시하는 비밀 속성이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데이터 경로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외부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하여 편리하게 영상을 공유할 수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외부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하여 영상을 공유함에 있어 데이터의 속성이 고려되어 사용자는 편리하게 데이터의 공유 여부를 실시간으로, 또는 미리 선택할 수 있어 사용자의 프라이버시가 보호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는 디지털 기기들간의 연결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서 정보의 속성을 고려한 외부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한 정보 공유 방법의 절차 흐름도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별로 비밀 속성의 단계를 설정하는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데이터에 비밀 속성이 부여되는 과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서 공유 데이터 리스트가 재구성되는 모습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밀 속성의 데이터의 공유가 제한되는 모습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밀 속성의 데이터의 공유가 제한되는 모습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일부 필드에 입력되는 값의 공유를 제한하는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햅틱 모듈(154) 및 프로젝터 모듈(155)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프로젝터 모듈(155)은, 이동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이미지 프로젝트(project)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제어부(18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과 동일하거나 적어도 일부가 다른 영상을 외부 스크린 또는 벽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젝터 모듈(155)은, 영상을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빛(일 예로서, 레이저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미도시), 광원에 의해 발생한 빛을 이용하여 외부로 출력할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영상 생성 수단 (미도시), 및 영상을 일정 초점 거리에서 외부로 확대 출력하기 위한 렌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터 모듈(155)은, 렌즈 또는 모듈 전체를 기계적으로 움직여 영상 투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젝터 모듈(155)은 디스플레이 수단의 소자 종류에 따라 CRT(Cathode Ray Tube) 모듈,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및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모듈 등으로 나뉠 수 있다. 특히, DLP 모듈은, 광원에서 발생한 빛이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칩에 반사됨으로써 생성된 영상을 확대 투사하는 방식으로 프로젝터 모듈(151)의 소형화에 유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프로젝터 모듈(155)은, 이동 단말기(100)의 측면, 정면 또는 배면에 길이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프로젝터 모듈(155)은, 필요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의 어느 위치에라도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메시지, 오디오,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데이터들 각각에 대한 사용 빈도(예를 들면, 각 전화번호, 각 메시지, 각 멀티미디어에 대한 사용빈도)도 함께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1)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조작 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16)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116)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패드(135)의 서로 연관된 작동 방식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의 정면도이다.
디스플레이부(151)에는 다양한 종류의 시각 정보들이 표시될 수 있다. 이들 정보들은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등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상기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들 중 적어도 하나는 일정한 배열을 이루어 표시됨으로써 키패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키패드는 소위 '가상 키패드'(virtual keypad)라 불릴 수 있다.
도 3은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통해 가상 키패드에 가해진 터치를 입력받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체 영역으로 작동되거나, 복수의 영역들로 나뉘어져 작동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복수의 영역들은 서로 연관되게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의 상부와 하부에는 출력창(151a)과 입력창(151b)이 각각 표시된다. 출력창(151a)과 입력창(151b)은 각각 정보의 출력 또는 입력을 위해 할당되는 영역이다. 입력창(151b)에는 전화 번호 등의 입력을 위한 숫자가 표시된 가상 키패드(151c)가 출력된다. 가상 키패드(151c)가 터치되면, 터치된 가상 키패드에 대응되는 숫자 등이 출력창(151a)에 표시된다. 제1조작 유닛(131)이 조작되면 출력창(151a)에 표시된 전화번호에 대한 호 연결이 시도된다.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는 스크롤(scroll)에 의해 터치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를 스크롤 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개체, 예를 들어 아이콘 등에 위치한 커서 또는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 나아가, 손가락을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 상에서 이동시키는 경우, 손가락이 움직이는 경로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편집함에 유용할 것이다.
디스플레이부(151)(터치 스크린) 및 터치 패드(135)가 일정 시간 범위 내에서 함께 터치되는 경우에 대응하여, 단말기의 일 기능이 실행될 수도 있다. 함께 터치되는 경우로는, 사용자가 엄지 및 검지를 이용하여 단말기 바디를 집는(clamping)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일 기능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에 대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등이 있을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 언급되는 이동 단말기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고 가정한다. 또한, 보통 디스플레이부(151)에 상에서 특정 오브젝트를 가리키거나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화살표 또는 손가락 형태의 그래픽은 포인터(pointer) 또는 커서(cursor)로 호칭된다. 그러나, 포인터의 경우 터치 조작 등을 위한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펜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혼용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이 둘을 명확히 구분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그래픽을 커서라 칭하고,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펜과 같이 터치, 근접터치, 제스쳐(gesture)를 수행할 수 있는 물리적 수단을 포인터라 칭한다.
흔히 어플리케이션이라 함은 별도로 설치/실행되는 소프트웨어의 개념으로 사용되나,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어플리케이션은 특정 기능이 실행됨에 있어 소정 영역에서 시각적으로 정보를 표시하는 모든 대상을 지시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180)는 동시에 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으며,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은 디스플레이부(151) 상에서 화면 분할되어 동시에 또는 어느 하나만 전체화면으로 표시되거나,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다른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가리는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상술한 어플리케이션을 둘 이상 동시에 실행하고 제어하는 멀티태스킹(multi-tasking)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한 영상 표시
최근 이동 단말기의 프로세서, 즉, 제어부(180)의 비약적 성능 향상에 따라 고도의 연산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무선 통신부(110)의 성능 향상으로 다양한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한 고속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로 인하여 이동 단말기와 다른 이동 단말기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다른 디지털 기기 간의 데이터 공유, 특히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콘텐츠의 공유가 가능하게 되었다. 물론, 여기서 각 기기들간의 데이터 공유는 무선 뿐만아니라 유선을 통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디지털 기기간의 컨텐츠 교환을 위한 상호호환 기술에 대하여 현재 국제적으로 표준화 작업이 진행되고 있으며, 그 중 하나로 디지털 생활망 연합(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을 들 수 있다. 이러한 DLNA 표준에서는 다양한 디지털 기기간의 상호 데이터 교환 방법을 위한 다양한 조건과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연결 방법, 규격 등은 상기 DLNA 표준 문서를 통하여 보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한 통신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Wi-Fi, 블루투스, IEEE1394, USB, 적외선 통신 등)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콘텐츠가 서버에서 렌더러로 전달되는 형태는 콘텐츠의 소스(source)를 그대로 전달하여 재생시키는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고, 콘텐츠가 표시되는 영상을 특정 주기로 샘플링하여 스틸컷의 스크린샷을 전송하는 방법이나 소정 프레임의 실시간 동영상 스트리밍 형태가 될 수도 있다. 또한, 콘텐츠 공유를 위한 별도의 공유 어플리케이션이 서버와 렌더러에 각각 설치되고, 이를 통하여 공유 어플리케이션에서 정의된 형태로 데이터 교환이 수행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는 디지털 기기들간의 연결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컴퓨터(410) 및 텔레비전(430)과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상호간의 콘텐츠/데이터 교환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기기가 콘텐츠를 나머지 기기에 공급하는 콘텐츠 서버의 역할을 수행하고, 나머지 기기가 이를 수신하여 해당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형태(renderer)로 콘텐츠 공유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어느 하나의 기기가 콘텐츠 서버의 역할을 수행하는 기기를 제어(controller)하고, 나머지 기기는 콘텐츠 표시 기능만을 수행하는 형태가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410)가 콘텐츠 서버가 되고, 이동 단말기(100)가 컴퓨터(410)를 제어하여 컴퓨터의 특정 콘텐츠가 텔레비전(430)을 통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기기들간의 연결은 콘텐트 서버가 제어 기능을 겸할 수도 있고, 콘텐츠의 디스플레이를 담당하는 렌더러(renderer)가 제어기능을 함께 수행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기기간의 연결은 도 4의 (b)와 같이 디지털 카메라(450) 및 디지털 캠코더(470)를 더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이동 단말기를 포함하는 디지털 기기들간의 연결을 통한 이동 단말기의 컨텐츠 및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공유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는 외부 기기(이하, "외부 디스플레이장치"라 칭함)에 표시함에 있어 표시되는 정보의 속성이 고려되는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외부 디스플레이장치란 상술한 DLNA를 포함하는 디지털 기기간의 데이터 공유를 위한 수단/방법을 통하여 유무선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연결되어 자신이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소정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모든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정보의 속성을 고려한다"함은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또는 공유의지 등과 관련하여 공유의 제한이 요구되는 파일에 부여된 설정 값이 있거나, 사용자 입력부를 통한 입력 값 중에서 신용카드 번호나 접속 비밀번호와 같은 공개가 곤란한 값에 대해서는 공유를 제한하거나 시각적으로 다른 형태로 대체함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공유가 제한되는 속성은 이하 편의상 "비밀 속성"으로 칭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서 정보의 속성을 고려한 외부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한 정보 공유 방법의 절차 흐름도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소정 메뉴 조작에 따른 데이터 공유 기능이 선택됨에 따라 무선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주변의 연결 가능한 외부 디스플레이장치를 탐색하고, 그 중 어느 하나가 미리 설정된 정보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연결될 외부 디스플레이장치로 결정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어부(180)는 무선통신부(110)를 제어하여 결정된 외부 디스플레이장치와의 데이터 전송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S501).
이때,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공유할 데이터가 리스트 형태로 미리 제공될 수 있다. 만일, 공유할 데이터가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해당 파일의 썸네일이 추가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소정의 메뉴 조작을 통하여 데이터 속성에 따라 공유될 데이터의 리스트를 재구성할 수 있다(S502).
즉, 초기에 표시되는 공유 데이터 리스트에는 데이터 속성에 관계 없이 공유될 데이터 또는 파일 전체가 표시되고, 여기서 사용자가 데이터 속성에 따른 공유 제한을 설정하는 경우 특정 속성값(예를 들어, 비밀 속성이나 암호가 걸려있는 파일)을 갖는 데이터를 제외한 나머지 데이터들만이 공유될 데이터 리스트로 재구성될 수 있다.
리스트의 재구성이 수행되는 경우에는 재구성된 공유될 데이터의 리스트대로 외부 디스플레이장치에 해당 데이터가 표시될 수 있도록 설정된 데이터 경로를 통하여 공유될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S503).
공유될 데이터의 리스트의 재구성 또는 데이터 리스트의 표시 자체가 수행되지 않는 경우에는 바로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의 데이터 공유가 시작될 수 있다(S504).
이때, 데이터가 공유되는 형태는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화면이 소정 주기로 캡쳐되어 전송되는 이미지 정보가 되거나, 소정 프레임의 동영상으로 스트리밍 될 수도 있으며, 공유할 데이터가 파일로 존재하는 경우에는 파일 자체를 전송하여 연결된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재생되는 형태가 될 수도 있다.
데이터의 공유가 시작된 후, 공유될 데이터가 이동 단말기로부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순차적으로 전송될 수 있는데, 현재 공유되고 있는 데이터의 다음에 공유될 데이터에 비밀 속성이 부여된 경우가 있을 수 있다(S505).
이러한 경우 다음에 공유될 데이터에 비밀 속성이 부여됨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소정의 시각효과가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될 수 있다(S506).
이때,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 상에는 비밀 속성 알림을 위한 시각효과와 함께 공유 여부에 대하여 사용자의 의사를 묻는 메뉴가 추가로 표시될 수 있다(S507).
사용자가 비밀 속성이 부여된 데이터의 공유를 선택한 경우 제어부(180)는 해당 데이터를 외부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하여 표시되도록 해당 데이터를 외부 디스플레이장치와 공유할 수 있다(S508).
반대로, 사용자가 비밀 속성이 부여된 데이터의 공유를 거부한 경우 제어부(180)는 비밀 속성이 없는 데이터가 선택될 때까지 일시적으로 외부 디스플레이장치와의 연결을 해제하거나 비밀 속성 데이터를 대체하기 위한 미리 설정된 이미지가 외부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S509).
상술한 데이터 공유 과정에서는 무선통신부(110)를 이용한 무선 데이터 공유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인터페이스부(170) 등을 통한 유선 데이터 공유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비밀 속성은 복수의 단계로 구분될 수 있으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별로 별도로 각 단계에 대한 허용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이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별로 비밀 속성의 단계를 설정하는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먼저 도 6의 (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 상에 사용자가 데이터 공유 기능을 선택함에 따른 탐색 결과가 나타나 있다. 보다 상세히는,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에 대응되는 아이콘(610) 주변에 연결 가능한 외부 디스플레이장치들 각각에 대응되는 아이콘들(620)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설정 메뉴 버튼(630)을 선택하는 경우 도 6의 (b)와 같이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별로 비밀 속성의 단계를 설정하는 메뉴(640)가 표시되고, 사용자는 이를 이용하여 각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별로 서로다른 비밀 속성 단계를 부여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사용자가 일일이 데이터별로 공유 여부를 설정할 필요없이 데이터 각각에 설정된 비밀 속성 단계에 따라 자동으로 공유 여부가 제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데이터별로 비밀 속성이 설정되는 형태를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데이터에 비밀 속성이 부여되는 과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7에서는 그림 파일의 비밀 속성을 설정하는 상황을 가정한다.
먼저 도 7의 (a)를 참조하면, 파일관리자 어플리케이션이나 그림파일 뷰어 어플리케이션이 실행중일 때,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한 소정의 메뉴 조작으로 현재 표시되는 그림 파일에 관련된 메뉴 상자(710)가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파일 속성 메뉴(715)를 선택하는 경우 도 7의 (b)와 같이 비밀 속성(private)의 설정 여부(720) 및 비밀 속성 설정시 그 단계(730)를 선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의 S502 단계가 수행되는 구체적인 예를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서 공유 데이터 리스트가 재구성되는 모습의 일례를 나타낸다.
먼저 도 8의 (a)를 참조하면, 파일 탐색기 또는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그림 파일과 동영상 파일이 썸네일 형태(810)로 표시되어 있다. 이때, 각 파일에 비밀 속성이 설정된 경우, 이를 나타내는 자물쇠 아이콘(820)이 해당 파일의 썸네일에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비밀 속성이 설정된 데이터를 제외하도록 공유 데이터 리스트의 재구성을 선택하면 도 8의 (b)와 같이 비밀 속성이 설정되지 않는 데이터들만을 포함하는 리스트가 구성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재구성된 리스트를 이용하여 비밀 속성이 설정된 데이터가 노출될 염려없이 편리하게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공유를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현재 표시되는 데이터 다음에 공유될 데이터에 비밀 속성이 설정된 경우를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밀 속성의 데이터의 공유가 제한되는 모습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9에서는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그림파일 뷰어를 통하여 표시되는 영상을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공유하는 경우 비밀 속성의 파일을 별도의 안내나 선택없이 공유에서 제외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먼저 도 9의 (a)를 참조하면, 현재 표시되는 그림(910)에는 비밀 속성이 부여되지 않았으나, 그 다음에 공유될 그림(920)에 보호속성(930)이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다음 그림(920)을 보기 위하여 터치스크린(151) 상에서 손가락으로 플리킹 터치를 수행하는 경우(또는 그에 준하는 기능이 부여된 키버튼이 조작되는 경우), 도 9의 (b)와 같이 터치스크린 상에서는 비밀 속성이 부여된 그림(920)이 표시될 수 있다.
그러나, 비밀 속성이 부여된 파일은 공유가 제한되므로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950) 상에서는 도 9의 (c)와 같이 비밀 속성이 부여된 그림의 이전 그림이 그대로 표시될 수 있다. 또는, 비밀 속성이 부여된 그림의 영상 대신, 도 9의 (d)와 같이 비밀 속성이 부여된 데이터임을 나타내는 기 설정된 영상이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950)에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밀 속성의 데이터의 공유가 제한되는 모습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다.
도 10에서는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그림파일 뷰어를 통하여 표시되는 영상을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공유하는 경우 비밀 속성의 파일의 공유 여부를 사용자에게 선택받는 경우를 설명한다.
먼저 도 10의 (a)를 참조하면, 현재 표시되는 그림(1010) 다음에 공유될 순서에 위치하는 그림(1020)에 비밀 속성(1030)이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다음 그림(1020)을 보기 위하여 터치스크린(151) 상에서 손가락으로 플리킹 터치를 수행하는 경우(또는 그에 준하는 기능이 부여된 키버튼이 조작되는 경우), 도 9의 (b)와 같이 터치스크린에 다음에 공유될 데이터에 비밀 속성이 설정됨을 알림과 함께 해당 데이터를 공유할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확인받는 메뉴창(1050)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공유할 것을 선택(1060)하는 경우에는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1080)에 비밀 속성이 설정된 그림이 공유되어 표시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공유하지 않을 것을 선택(1070)하는 경우에는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1080)에는 이전 그림이 그대로 표시될 수 있다. 물론, 사용자가 공유를 거부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외부 디스플레이장치에 마지막으로 공유된 그림을 표시되도록하는 대신 일시적으로 외부 디스플레이장치와 연결을 해제하거나 대체영상이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비밀 속성이 설정됨을 알림과 함께 해당 데이터를 공유할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확인받는 메뉴창이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동안 외부 디스플레이부에는 동일한 확인창이 표시될 수도 있고, 마지막으로 공유된 데이터가 표시되거나, 대체영상이 표시될 수도 있다.
제 2 실시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비밀 속성이 설정된 영상 전체의 공유를 제한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일부 필드에만 공유 제한이 필요한 경우 해당 입력값의 표시를 제한하거나 변경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일부 필드에 입력되는 값의 공유를 제한하는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1에서는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실행되는 웹브라우저의 영상을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공유하는 경우 비밀 속성이 부여되어야 할 필드에 입력되는 정보의 노출을 제한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먼저 도 11의 (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웹브라우저를 실행시켜 웹쇼핑을 하던 중, 원하는 물품을 구매하기 위하여 결제 버튼(1110)을 선택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웹 브라우저에는 결제 정보를 입력받는 웹 페이지가 표시되고,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하여 결제 페이지에서 신용카드 번호, 계좌번호 또는 비밀 번호를 입력하는 필드에 해당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입력해야할 민감한 정보들이 외부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공유되어 노출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로부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1130)로 공유되는 영상 중, 신용카드 번호 또는 비밀 번호와 같이 공유가 제한되어야할 필드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도 11의 (b)와 같이 해당 필드를 포함하는 영상 자체를 공유하지 않고 다른 영상(1140)으로 대체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도 11의 (c)와 같이 해당 필드(1150)에 입력되는 정보를 다른 형태로 변형시켜 외부 디스플레이장치에 공유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술한 일부 필드에 입력되거나 표시되는 값만을 변형시키거나 공유를 제한하기 위해서는 제어부(180)가 비밀 속성이 부여되어야할 필드를 판단할 기준이 요구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사용자가 제한되어야할 특정 페이지 주소나 입력 필드를 미리 설정해 두거나, 웹브라우저의 주소에 특정 코드나 문자열이 포함되는 경우 자동으로 공유가 제한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포인터를 이용한 터치 동작은, 네비게이션 키 또는 이에 상응하는 키버튼을 통하여 조작되는 커서(cursor)를 이용한 명령 입력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5)

  1. 디스플레이부;
    외부와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통신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 중 특정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데이터 경로를 구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특정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표시될 수 있도록 상기 데이터 경로를 통하여 상기 적어도 일부의 데이터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상기 특정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데이터 각각에 공유 제한을 지시하는 비밀 속성이 설정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전송 여부를 결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 1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한 소정의 명령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제 1 리스트에서 비밀 속성이 설정된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제외한 제 2 리스트를 생성하여 상기 제 2 리스트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데이터만을 상기 특정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달될 다음 디스플레이 데이터에 비밀 속성이 설정된 경우, 상기 다음 전달될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전송하는 대신 상기 다음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대체하기 위한 기 설정된 영상이 상기 특정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달될 다음 디스플레이 데이터에 비밀 속성이 설정된 경우, 상기 특정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기 다음 전달될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전송하는 대신 마지막으로 상기 특정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데이터가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달될 다음 디스플레이 데이터에 비밀 속성이 설정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상기 다음 전달될 디스플레이 데이터에 비밀 속성이 설정됨을 나타내는 소정의 시각효과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 5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다음 전달될 디스플레이 데이터의 전송을 수락하는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다음 전달될 디스플레이 데이터가 상기 특정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다음 전달될 디스플레이 데이터의 전송을 제한하는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다음 전달될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전송하는 대신 상기 다음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대체하기 위한 기 설정된 영상이 상기 특정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다음 전달될 디스플레이 데이터의 전송을 제한하는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기 다음 전달될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전송하는 대신 마지막으로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데이터가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시각효과는 상기 비밀 속성이 설정됨을 나타내는 알림창이고,
    상기 알림창은,
    상기 다음 전달될 디스플레이 데이터의 전송 여부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무선으로 외부와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 및
    유선으로 외부와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는,
    특정 필드에 포함되는 텍스트, 정지 영상 데이터 및 동영상 스트리밍 데이터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에 비밀 속성이 설정된 경우, 상기 비밀 속성이 설정된 디스플레이 데이터에 소정의 시각효과가 부여되어 상기 특정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통신부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 중 특정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데이터 경로를 구축하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에 공유 제한을 지시하는 비밀 속성이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데이터 경로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에 비밀 속성이 설정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비밀 속성의 설정을 나타내는 소정의 시각효과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시각효과는 상기 비밀 속성이 설정된 디스플레이 데이터의 전송 여부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메뉴를 통하여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KR1020100050881A 2010-05-31 2010-05-31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60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0881A KR101660742B1 (ko) 2010-05-31 2010-05-31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3/088,899 US8996999B2 (en) 2010-05-31 2011-04-18 Mobile terminal determining whether to transmit display data according to privacy property,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0881A KR101660742B1 (ko) 2010-05-31 2010-05-31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1439A KR20110131439A (ko) 2011-12-07
KR101660742B1 true KR101660742B1 (ko) 2016-09-28

Family

ID=45023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0881A KR101660742B1 (ko) 2010-05-31 2010-05-31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996999B2 (ko)
KR (1) KR1016607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86253B1 (en) * 2009-11-23 2012-10-09 Trend Micro Incorporated Data leakage prevention for resource limited device
US9342280B2 (en) * 2011-05-27 2016-05-17 Microsoft Technology Licesning, LLC Travel log for manipulation of content
WO2013002547A2 (ko) 2011-06-30 2013-01-03 주식회사 케이티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되는 휴대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KR101554599B1 (ko) 2011-06-30 2015-09-21 주식회사 케이티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 연결되는 휴대 단말 및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KR101474927B1 (ko) 2011-12-22 2014-12-31 주식회사 케이티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로의 영상 송출 방법 및 그 단말
KR101546407B1 (ko) 2011-12-23 2015-08-24 주식회사 케이티 어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522399B1 (ko) 2011-12-23 2015-05-22 주식회사 케이티 휴대 단말에서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로의 화면 표출 방법 및 그 휴대 단말
KR101522397B1 (ko) 2011-12-26 2015-05-22 주식회사 케이티 복수의 외부 장치와 연결될 수 있는 휴대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KR101504655B1 (ko) * 2011-12-26 2015-03-23 주식회사 케이티 어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방법 및 장치
US9507512B1 (en) * 2012-04-25 2016-11-29 Amazon Technologies, Inc. Using gestures to deliver content to predefined destinations
EP2909777B1 (en) * 2012-10-19 2018-03-07 McAfee, LLC Data loss prevention for mobile computing devices
CN103838481B (zh) * 2012-11-27 2017-09-29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数据处理方法和电子设备
US20140181691A1 (en) * 2012-12-20 2014-06-26 Rajesh Poornachandran Sharing of selected content for data collection
CN103914272B (zh) * 2013-01-07 2018-06-05 Lg电子株式会社 家用电器和移动设备
USD742398S1 (en) * 2013-04-24 2015-1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 user interface
CN104333811A (zh) * 2013-07-22 2015-02-04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显示方法及电子设备
USD778310S1 (en) 2013-08-09 2017-02-07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39870S1 (en) 2013-08-09 2015-09-29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71111S1 (en) 2013-08-30 2016-11-08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JP6275852B2 (ja) * 2013-12-17 2018-02-07 ノキア テクノロジーズ オーユー 情報転送するためのリアルタイム・フィードバックを提供する装置および方法
US20150245199A1 (en) * 2014-02-26 2015-08-27 Jared Blitzstein Privacy restricted photo gallery navigation for mobile devices
KR20160006417A (ko) * 2014-07-09 2016-0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0560479B2 (en) * 2014-07-11 2020-02-11 mindHIVE Inc. Communication with component-based privacy
US9699291B2 (en) * 2014-08-25 2017-07-0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honepad
GB2532038B (en) * 2014-11-06 2018-08-29 Displaylink Uk Ltd System for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US9727741B2 (en) 2014-11-11 2017-08-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fidential content display in flexible display devices
US10417447B2 (en) * 2015-06-15 2019-09-17 Arris Enterprises Llc Selective display of private user information
EP3110161B1 (en) * 2015-06-23 2019-10-09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ontrolling access to concurrently captured images
KR102542122B1 (ko) * 2016-04-01 2023-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US20170351855A1 (en) * 2016-06-03 2017-12-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dentifying sensitive information in a communication based on network communications history
US11076261B1 (en) * 2016-09-16 2021-07-27 Apple Inc. Location systems for electronic device communications
KR102317619B1 (ko) * 2016-09-23 2021-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10754976B2 (en) 2017-02-24 2020-08-2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nfiguring image as private within storage container
US10678116B1 (en) * 2017-11-09 2020-06-09 Facebook Technologies, Llc Active multi-color PBP elements
US20210314768A1 (en) * 2020-04-01 2021-10-07 Google Llc Bluetooth multipoint algorithm and private notification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38531A (ja) * 2005-06-03 2006-12-14 Ricoh Co Ltd 画面共有サーバ装置、画面共有方法、画面共有サーバ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10055153A (ja) * 2008-08-26 2010-03-11 Fujitsu Ltd 秘密情報の非表示化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93790A1 (en) * 2000-03-28 2003-05-15 Logan James D. Audio and video program recording, editing and playback systems using metadata
US6011857A (en) * 1997-08-07 2000-01-04 Eastman Kodak Company Detecting copy restrictive documents
US6460074B1 (en) * 2000-02-10 2002-10-01 Martin E. Fishkin Electronic mail system
US20030028610A1 (en) * 2001-08-03 2003-02-06 Pearson Christopher Joel Peer-to-peer file sharing system and method using user datagram protocol
US7080124B1 (en) * 2001-08-21 2006-07-18 Amazon Technologies, Inc. Digital media resource messaging
US7068309B2 (en) * 2001-10-09 2006-06-27 Microsoft Corp. Image exchange with image annotation
US7024630B2 (en) * 2002-01-16 2006-04-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managing browser display
US7360160B2 (en) * 2002-06-20 2008-04-15 At&T Intellectual Property,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ubstitute content in place of blocked content
WO2004015628A2 (en) * 2002-08-12 2004-02-19 Walker Digital, Llc Digital picture frame and method for editing related applications
US20040128302A1 (en) * 2002-12-31 2004-07-01 Schirmer Andrew 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privacy in common-item discovery system
WO2004093415A1 (ja) * 2003-04-15 2004-10-28 Fujitsu Limited 電子装置
JP4345353B2 (ja) * 2003-05-20 2009-10-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コミュニケーション端末装置
US20060008256A1 (en) * 2003-10-01 2006-01-12 Khedouri Robert K Audio visual player apparatus and system and method of content distribution using the same
US20050278333A1 (en) * 2004-05-26 2005-12-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privacy preferences
US20060004697A1 (en) * 2004-06-09 2006-01-05 Lipsky Scott E Method and system for restricting the display of images
US20050289127A1 (en) * 2004-06-25 2005-12-29 Dominic Giampaolo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data
US20060212455A1 (en) * 2005-03-15 2006-09-21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organizing image files based upon workflow
KR100703315B1 (ko) * 2005-04-06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블루투스 통신에서 파일전송 장치 및 방법
US20070180100A1 (en) * 2006-01-31 2007-08-02 Microsoft Corporation Realtime Approval Control
US8516393B2 (en) * 2006-12-18 2013-08-20 Robert Pedersen, II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presenting images in a multiple display environment
US20080215996A1 (en) * 2007-02-22 2008-09-04 Chad Farrell Media, Llc Website/Web Client System for Presenting Multi-Dimensional Content
US8949977B2 (en) * 2007-12-21 2015-02-03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Look ahead of links/alter links
US20090204580A1 (en) * 2008-02-12 2009-08-13 Joseph Socrates Seamon Selectively obscuring the presentation of restricted data items
US8356337B2 (en) * 2008-02-26 2013-01-1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Electronic permission slips for controlling access to multimedia content
US20100318571A1 (en) * 2009-06-16 2010-12-16 Leah Pearlman Selective Content Accessibility in a Social Network
US20110004922A1 (en) * 2009-07-01 2011-01-06 Microsoft Corporation User Specified Privacy Settings
CN102104766A (zh) * 2009-12-18 2011-06-22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视频通话中的隐私保护系统及方法
US9124651B2 (en) * 2010-03-30 2015-09-0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ntrolling media consumption privacy setting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38531A (ja) * 2005-06-03 2006-12-14 Ricoh Co Ltd 画面共有サーバ装置、画面共有方法、画面共有サーバ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10055153A (ja) * 2008-08-26 2010-03-11 Fujitsu Ltd 秘密情報の非表示化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996999B2 (en) 2015-03-31
KR20110131439A (ko) 2011-12-07
US20110296308A1 (en) 2011-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0742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952682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91978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9581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80665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9581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2085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2924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를 통한 정보 전송방법
KR10187814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92729B1 (ko) 이동 단말기, 및 외부 객체에 대한 메시지 생성 및 획득 방법
KR2013011697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68246A (ko) 이동 단말기 및 디바이스 제어방법
KR10188227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980702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40108858A (ko) Nfc 태그를 이용한 액세스 포인트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638907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콘텐츠 제어 방법
KR20140118061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08061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871711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737837B1 (ko) 이동 단말기 및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방법
KR10170184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26994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방법
KR101371062B1 (ko) 통합 히스토리 관리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40133160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882265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