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5155B1 - 도킹 디바이스와 연결되는 휴대 단말 및 웹페이지 출력 방법 - Google Patents

도킹 디바이스와 연결되는 휴대 단말 및 웹페이지 출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5155B1
KR101485155B1 KR20110138498A KR20110138498A KR101485155B1 KR 101485155 B1 KR101485155 B1 KR 101485155B1 KR 20110138498 A KR20110138498 A KR 20110138498A KR 20110138498 A KR20110138498 A KR 20110138498A KR 101485155 B1 KR101485155 B1 KR 101485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king
docking device
screen size
setting value
mob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0138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1146A (ko
Inventor
이정욱
강신혁
강유진
김병태
박경식
정재훈
차재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20110138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5155B1/ko
Publication of KR20130071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11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5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5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7Browsing optimisation, e.g. caching or content distil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31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a single graphics control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도킹 디바이스와 연결되는 휴대 단말 및 웹페이지 출력 방법이 개시된다. 웹페이지 출력 방법은 도킹 디바이스와의 도킹 연결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도킹 디바이스의 착탈 이벤트가 발생하면, 도킹 연결 상태 또는 도킹 분리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도킹 연결 상태 또는 도킹 분리 상태에 따라 휴대 단말에 탑재된 브라우저의 파라미터 중 HTTP 헤더 내의 유저 에이전트(User Agent)의 설정값을 모바일 또는 데스크탑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도킹 디바이스와 연결되는 휴대 단말 및 웹페이지 출력 방법{Mobile terminal for connection with docking device, and Method for outputting web page thereof}
본 발명은 휴대 단말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 단말과 도킹 디바이스의 도킹 연결에 따른 웹페이지 출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및 무선통신 기술이 점차적으로 발달함에 따라, 휴대 단말은 기본적인 전화통화 기능 외에도 카메라, MP3, 인터넷, 게임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적인 기능을 구비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휴대 단말의 사용이 더욱 활성화되었다. 그리고, 최근에는 이와 같은 기능들이 더욱 강화된 스마트폰이 보급되기 시작하였으며, 이에 발맞추어 스마트폰에서 이용될 수 있는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들도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휴대 단말은 휴대성 및 이동성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단말의 크기에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으며, 이에 따라 화면의 크기, 해상도, 스피커 성능 등도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기술의 경우, 휴대 단말에 저장된 데이터, 음원 파일, 컨텐츠 등을 보다 좋은 사용 환경에서 활용하기 위하여 휴대 단말을 노트북이나 컴퓨터 등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치(일명, 도킹 스테이션)가 개발되었으며, 이에 따라 노트북이나 컴퓨터 등에서 휴대 단말에 저장된 데이터, 음원 파일, 컨텐츠 등을 보다 큰 화면과 좋은 성능의 스피커로 출력하여 이용해 왔다.
이때, 휴대 단말은 웹페이지를 출력하는 경우, 웹서버로부터 모바일용 웹페이지를 제공받아 출력하므로, 보다 큰 화면을 제공하는 도킹 디바이스에서 웹페이지가 출력되면 해상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발명의 배경기술로는 휴대폰용 도킹장치에 관한 특허문헌이 있으며, 사용자가 휴대폰의 음성 통화기능, 문자 전송기능, 영상 처리기능, 인터넷 검색기능 및 그 밖의 PC 기능들을 보다 빠르게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휴대폰용 도킹장치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KR 0313581 B1 2001. 10. 22 도면 1
본 발명은 휴대 단말과 도킹 디바이스의 도킹 연결 여부 및 도킹 연결 시 도킹 디바이스의 화면 크기에 따른 웹페이지를 출력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도킹 디바이스와 도킹 연결되는 휴대 단말에서의 웹페이지 출력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웹페이지 출력 방법은 상기 도킹 디바이스와의 도킹 연결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도킹 디바이스의 착탈 이벤트가 발생하면, 도킹 연결 상태 또는 도킹 분리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도킹 연결 상태 또는 상기 도킹 분리 상태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에 탑재된 브라우저의 파라미터 중 HTTP 헤더 내의 유저 에이전트(User Agent)의 설정값을 모바일 또는 데스크탑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도킹 디바이스와 도킹 연결되는 휴대 단말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은 상기 도킹 디바이스와 도킹 연결되는 도킹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도킹 디바이스와의 도킹 연결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도킹 디바이스의 착탈 이벤트의 발생을 감지하면, 도킹 연결 상태 또는 도킹 분리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도킹 연결 상태 또는 상기 도킹 분리 상태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에 탑재된 브라우저의 파라미터 중 HTTP 헤더 내의 유저 에이전트(User Agent)의 설정값을 모바일 또는 데스크탑으로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휴대 단말과 도킹 디바이스의 도킹 연결 여부 및 도킹 연결 시 도킹 디바이스의 화면 크기에 따른 웹페이지를 출력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좋은 해상도의 웹페이지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도킹 디바이스와 연결되는 휴대 단말의 블록 구성도의 일 예.
도 2는 도킹 디바이스의 블록 구성도의 일 예.
도 3은 도 2의 도킹 디바이스의 외관 사시도의 일 예.
도 4는 도킹 인터페이스부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
도 5는 도킹 디바이스와 연결되는 휴대 단말이 웹페이지를 출력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휴대 단말은,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 번호에 상관없이 동일한 수단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도킹 디바이스와 연결되는 휴대 단말의 블록 구성도의 일 예이다. 그리고, 도 4는 도킹 인터페이스부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의 블록 구성도를 중심으로 도 4를 참조하여 도킹 디바이스와 연결되는 휴대 단말의 일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도킹 디바이스(200)와 결합하는 휴대 단말(100)은, 무선 통신부(110), A/V 입력 장치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35), 영상 처리부(140), 내부 저장 장치부(150), 외부 저장 장치부(155), 영상 출력 장치(160), 오디오 출력 장치(165), 도킹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부(190)를 포함한다. 전원부(190)는 단말 충전을 위한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1의 구성요소들 중 일부 구성요소는 반드시 본 발명의 구현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구성요소에 해당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또한, 실시예에 따라 휴대 단말(100)은 이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휴대 단말(100)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휴대 단말(100)과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휴대 단말(100)과 다른 단말과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휴대 단말(100)은 이동 통신 단말일 수 있으며, 이 경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의 종류에 따라 무선 통신부(10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방송 수신 모듈, GPS 수신 모듈 등과 같은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휴대 단말(100)이 휴대폰, 스마트폰 등과 같이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 결합되는 휴대 단말은 반드시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필요는 없으며, 유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단말이거나 또는 통신 기능이 지원되지 않는 단말이어도 무방하다.
A/V 입력 장치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및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와 마이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로서, 그 구현 방식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 입력 장치 또는/및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과 같은 터치 입력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135)는 가속도 센서, 근접 센서, 접촉 센서 등과 같은 각종 센서를 포함함으로써, 휴대 단말(100)의 부가 기능/동작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영상 처리부(140)는 영상 신호 또는 데이터에 대한 변환/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영상 처리부(140)는 휴대 단말(100)과 도킹 디바이스(200) 간이 도킹 결합되었을 때, 도킹 디바이스(200)로 전송될 영상 데이터에 대한 영상 처리, 신호 변환 처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내부 저장 장치부(150) 및 외부 저장 장치부(155)는 휴대 단말(100)의 데이터 저장 장소로 이용되며, 이때 내부 저장 장치부(150)는 RAM, SDRAM, 플래시 메모리 등으로 구현될 수 있고, 외부 저장 장치부(155)는 SD 카드, USB 메모리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도킹 결합된 상태의 도킹 디바이스(200)도 외부 저장 장치부(155)로서 기능할 수 있다.
영상 출력 장치(160)는 액정 패널, AMOLED 등으로 구현될 수 있고, 오디오 출력 장치(165)는 스피커, 리시버, 버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킹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100)과 도킹 디바이스(200) 간의 물리적 도킹 결합이 이루어진 경우, 휴대 단말(100)로부터 도킹 디바이스(200)로의 영상 데이터 출력, 오디오 신호 출력, 그리고, 휴대 단말(100)과 도킹 디바이스(200) 상호 간의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킹 인터페이스부(17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입출력 인터페이스(172), 오디오 입출력 인터페이스(174), 데이터 입출력 인터페이스(17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인터페이스들 보다 적거나 더 많은 인터페이스들이 포함될 수도 있다. 일 예로, 도킹 인터페이스부(170)는 설계에 따라 오디오 입출력 인터페이스(174)는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다른 예로, 도킹 인터페이스부(170)는 도킹 디바이스(200)와 도킹 결합된 상태에서 그 도킹 디바이스(200) 측으로부터 휴대 단말(100)로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통로로서 기능하는 전원 입력 단자(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도킹 인터페이스부(170)는 설계 방식에 따라 추가적인 인터페이스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도킹 인터페이스부(170)에 대한 구체적 구성 예가 도 4를 통해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킹 인터페이스부(170)는, 도킹 디바이스(200)와의 도킹 결합시, 영상/오디오 입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표준,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로 USB(Universal Serial Bus) 표준이 이용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도킹 인터페이스부(170)에는, HDMI 및 USB를 지원하기 위한 커넥터가 각각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도 4는 일 예에 불과하며 이외에도 다양한 인터페이스 구성이 가능할 것임은 물론이며, HDMI 및 USB 이외의 다른 영상/오디오 입출력 인터페이스 방식, 데이터 입출력 인터페이스 방식이 이용될 수 있음도 물론이다.
또한, 휴대 단말(100)에 구비된 도킹 인터페이스부(170)를 통해, HDMI 또는 USB 단자를 가지고 있는 전자기기 또는 가전제품과 연결함으로써, 휴대 단말(100)의 영상/오디오를 전자기기 또는 가전제품의 영상 출력 장치 및 오디오 출력 장치를 통해서 출력할 수 있다. 즉, 후술할 도킹 디바이스(200)와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지 않은 일반 전자기기(예를 들어, TV, 모니터) 등에도 도킹 인터페이스부(170)의 HDMI 또는 USB 단자를 통해서 휴대 단말(100)의 화면 등을 해당 전자기기로 송출할 수도 있게 된다.
제어부(180)는 휴대 단말(100)의 각 구성요소들 그리고 휴대 단말(100)의 전반적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도킹 디바이스(200)와의 도킹 결합에 따른 휴대 단말(100)의 동작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도킹 에이전트(18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도킹 에이전트(182)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80)는 휴대 단말과(100)과 도킹 디바이스(200)의 도킹 연결 여부 및 도킹 연결 시 도킹 디바이스의 화면 크기에 따라 모바일용 또는 데스크탑용 웹페이지가 출력되도록 브라우저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도킹 연결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도킹 디바이스(200)와 도킹 연결 시 도킹 디바이스(200)의 화면 크기를 획득하여 화면 크기에 따라 브라우저의 파라미터의 설정을 변경하여 해당 웹페이지가 출력되도록 브라우저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웹페이지 출력 방법은 구현하기에 따라 제어부(180)에 포함된 도킹 에이전트(182), 별도로 구현된 도킹 디바이스 연결 관리자 또는 브라우저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하, 도킹 디바이스(200)와 도킹 결합되는 휴대 단말(100)에서의 웹페이지 출력 방법의 예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도 5의 설명에 앞서, 그 이해를 돕기 위해 먼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도킹 디바이스(200)의 일 예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도 2는 도킹 디바이스의 블록 구성도의 일 예이고, 도 3은 도 2의 도킹 디바이스의 외관 사시도의 일 예이다.
다만, 앞서도 부연 설명한 바이지만, 웹페이지 출력 방법을 적용함에 있어서, 휴대 단말(100)과 도킹 연결되는 외부 디바이스는 반드시 후술할 도킹 디바이스(200)와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을 필요는 없다. 즉, 후술할 도킹 디바이스(200)와 같은 구성을 갖지 않는 일반 전자기기(예를 들어, TV, 모니터) 등의 경우에도, 소프트웨어 설치 방법이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여기서, 도 3은 도킹 디바이스에 대한 다양한 외관 구현 디자인 중 일 예를 예시한 것이며, 이에 의해 도킹 디바이스(200)가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하, 도 2 및 도 3의 경우를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도킹 디바이스(200)는, 영상 출력 장치(210), 오디오 출력 장치(220), 터치 입력 장치(230), 키 패드 입력 장치(235), 신호 처리부(240), 도킹 인터페이스부(250), 저장 장치부(260), 도킹 관리부(270) 및 전원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출력 장치(210), 오디오 출력 장치(220), 터치 입력 장치(230), 키 패드 입력 장치(235), 저장 장치부(260), 전원부(280)는 앞서 설명한 휴대 단말(100)에서와 동일 유사한 구성요소인 바, 그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도킹 인터페이스부(250) 및 도킹 관리부(270)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킹 인터페이스부(250)는, 휴대 단말(100)의 도킹 인터페이스부(170)와 물리적으로 도킹 결합됨으로써, 휴대 단말(100)과 도킹 디바이스(200) 간의 도킹 연결 관계를 형성시키기 위한 커넥터(connector) 부분이다. 따라서, 도킹 인터페이스부(250)는, 휴대 단말(100)의 도킹 인터페이스부(170)와 페어(pair) 관계에 있을 수 있고, 이 경우 휴대 단말(100)의 도킹 인터페이스부(170)와 동일한 인터페이스 구성(앞선 도 4 참조)을 가질 수 있다.
즉, 도킹 인터페이스부(250)는, 도킹 결합시, 휴대 단말(10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영상 입출력 인터페이스(252),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기위한 오디오 입출력 인터페이스(254), 휴대 단말(100)과의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25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킹 인터페이스부(250)는 이외에도 휴대 단말(100)과의 물리적 도킹 결합을 감지하는 도킹 감지부(미도시), 휴대 단말(100) 측으로 전원을 공급해주기 위한 통로로서 기능하는 전원 출력부(또는 단자, 미도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킹 인터페이스부(2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킹 디바이스(200) 본체 내에 휴대 단말(100)이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된 단말 삽입부(251) 내의 특정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도킹 디바이스(200)와 휴대 단말(100) 간의 도킹 결합은, 그 두 장치의 도킹 인터페이스부(170 및 250) 간이 서로 물리적 결합(또는 접촉)되도록, 도킹 디바이스(200)의 단말 삽입부(251)에 휴대 단말(100)을 삽입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도 3의 경우는, 휴대 단말(100)이 단말 삽입부(251)에 완전히 삽입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단말 삽입부(251)의 디자인에 따라 휴대 단말(100)의 일 부위(여기에는 도킹 인터페이스(170)는 포함되어야 함)만이 삽입되는 형태로 물리적 도킹 결합이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3에서는 바 타입의 패드 형상을 갖는 도킹 디바이스(200)를 예시하였지만, 도킹 디바이스(200)는 매우 다양한 디자인(예를 들어, 패드 타입이 아닌 노트북 타입, 바 타입이 아닌 슬라이드 타입 등)을 가질 수 있음도 물론이다.
도킹 관리부(270)는, 휴대 단말(100)과 도킹 디바이스(200) 간의 도킹 결합시, 도킹 디바이스(2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도킹 관리부(270)는, 연결 설정부(272),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274), 입력 이벤트 처리부(27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설정부(272)는, 휴대 단말(100)과의 도킹 결합이 최초 감지됨에 따라 도킹 디바이스(200)의 전원 상태를 활성화(예를 들어, 대기 전원 상태에서 파워 온 상태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연결 설정부(272)는, 그 도킹 결합 상태에서, 휴대 단말(100)과의 호스트-디바이스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킹 디바이스(200)는, 상기 도킹 결합 상태에서, 휴대 단말(100)에서의 사용자 작업 환경(영상 및 오디오 출력 환경/ 데이터 입출력 환경 등)과 동일한 작업 환경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도킹 결합 상태에서, 휴대 단말(100)의 화면 영상은 도킹 디바이스(200)의 화면으로 출력된다. 이를 위해, 도킹 관리부(270)는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274)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274)은, 도킹 결합이 최초 감지된 경우, 상기 도킹 관리부(270)의 제어에 따라 영상 출력 장치(210)의 화면 출력을 턴 온시키고, 휴대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도킹 결합 시점의 휴대 단말(100)의 화면 영상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영상 출력 장치(21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도킹 결합 상태에서, 도킹 디바이스(200)의 입력 장치(도 4의 도면부호 230 및 235 참조)로부터 입력 이벤트(예를 들어, 터치 입력 이벤트 등)를 수신한 경우, 입력 이벤트 처리부(276)는, 그 수신된 입력 이벤트에 상응하여 휴대 단말(100)의 동작을 제어하는데 이용되는 이벤트 신호를 생성 및 휴대 단말(10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킹 디바이스(200)는 스탠드 얼론(stand-alone) 상태에서는 아무런 동작을 하지 않는(즉, 사용자에게 유용한 어떠한 동작/기능 실행을 할 수 없는) 일종의 더미(dummy) 디바이스일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도킹 디바이스(200)에는 가능한 최소한의 기능(즉, 디스플레이 제어, 터치 입력 제어 등) 및 최소한의 하드웨어 구성만 탑재할 수 있어, 사용자 입장에서는 기존의 태블릿 PC/패드/노트북 제품과 동일한 작업 환경이 구현되면서도 그보다 저가의 제품을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을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도킹 디바이스(200)는, 자체 OS(여기서, 자체 OS란 스탠드 얼론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OS를 말함)를 탑재함으로써,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도 있는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100)과 분리 동작시는 전자 액자나 동영상/MP3 플레이어로, 도킹 결합 동작시는 휴대 단말의 기능으로까지 확대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먼저 설명한 형태(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없는 형태)에 비해 하드웨어 스펙이 고사양을 요구하게 될 것임은 물론이다.
이제까지, 도킹 결합되는 두 개의 장치로서, 휴대 단말(100) 및 도킹 디바이스(200)에 대해 설명하였는 바, 이하에서는 도킹 디바이스(200)와 도킹 결합되는 휴대 단말(100)에서의 웹페이지 출력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특히, 이제까지는, 휴대 단말(100)과 도킹 디바이스(200)가 도킹 연결되는 방식으로서 도킹 인터페이스 간의 물리적 결합에 의하는 경우를 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서 "도킹 연결"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각 디바이스에 구비된 도킹 인터페이스 간의 물리적 직접 결합 방식 이외에도, 중간의 매개 장치(Hub)를 이용한 도킹 연결, 특정 연결 케이블(예를 들어, HDMI 케이블)을 이용한 도킹 연결의 방식도 가능함을 명확히 해둔다.
도 5는 도킹 디바이스와 연결되는 휴대 단말이 웹페이지를 출력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웹페이지 출력 방법은 휴대 단말(100)의 제어부(18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으나, 구현하기에 따라 휴대 단말(100)에 포함되는 구성부(예를 들어, 도킹 에이전트(182), 별도로 구현된 도킹 디바이스 관리자, 브라우저 등)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휴대 단말(100)을 웹페이지 출력 방법의 수행 주체로 설명한다.
S510 단계에서, 휴대 단말(100)은 도킹 디바이스(200)와의 도킹 연결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100)과 도킹 디바이스(200)는 도킹 연결 상태에서 도킹 분리 상태로 전환되거나, 도킹 분리 상태에서 도킹 연결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S520 단계에서, 휴대 단말(100)은 도킹 연결 상태의 모니터링에 따라 도킹 디바이스(200)의 착탈 이벤트 발생 여부를 감지한다.
S530 단계에서, 휴대 단말(100)은 도킹 디바이스(200)와 도킹 분리 상태에서 도킹 연결 상태로 전환된 경우, 도킹 디바이스(200)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를 수신한다. 즉, 휴대 단말(100)에 탑재된 도킹 에이전트(182)는 도킹 디바이스(200)와의 도킹 연결을 감지하고, 도킹 디바이스(200)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도킹 연결 여부의 감지는 다음과 같은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일 예로, 도킹 에이전트(182)는, HDMI 인터페이스의 HOT PLUG DETECT 단자(도 4 참조)를 통한 H/W적인 HPD 신호의 수신에 따라 외부 디바이스와의 도킹 연결을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킹 에이전트(182)는 외부 디바이스와의 도킹 연결에 따라 USB net, ADB(Android Debug Bridge)를 통한 그 외부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통해서 도킹 연결을 감지할 수도 있다. 즉, 도킹 에이전트(182)는 상술한 바와 같은 H/W적인 방식 또는 특정 통신 방식 등을 통해, 휴대 단말과 외부 디바이스와의 도킹 연결시 소정의 도킹 감지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외부 디바이스와의 도킹 연결을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도킹 에이전트(182)는, 휴대 단말(100)의 디스플레이의 화면 출력이 턴 오프(turn off)되거나 또는 휴대 단말(100)이 슬립 모드(sleep mode)로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도킹 에이전트(182)는, 도킹 연결된 경우에는, 휴대 단말(100)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서는 영상이 출력되지 않고, 도킹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서만 영상이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 경로를 제어(전환)할 수 있다.
이 후, 도킹 에이전트(182)는 도킹 연결된 도킹 디바이스(200)로부터 그 도킹 디바이스에 탑재(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도킹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장치 규격을 식별할 수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는, 화면 해상도 및 화면 크기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EDID(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는, 제조사 이름, 제품 유형, EDID 버전, 화면 크기, 휘도, 화소, 해상도 등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는데, 도킹 에이전트(182)는 이러한 EDID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도킹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물론, 도킹 디바이스(200)가 도 2에서와 같은 구성을 갖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EDID 정보에 의하지 않더라도, 도킹 디바이스(200)와의 통신을 통해서 화면 해상도 및 화면 크기 정보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를 직접 획득할 수도 있다.
S540 단계에서, 휴대 단말(100)은 획득된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에서 도킹 디바이스(200)의 화면 크기 정보를 확인하여, 도킹 디바이스(200)의 화면 크기가 미리 설정된 임계 화면 크기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를 통해, 휴대 단말(100)은 데스크탑용 웹페이지 또는 모바일용 웸페이지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할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100)은 도킹 디바이스(200)의 화면 크기가 7인치 이하인 경우 또는 도킹 디바이스(200)와 도킹 연결 상태에서 도킹 분리 상태로 전환된 경우, 모바일용 웹페이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도킹 디바이스(200)와 도킹 연결 상태에서, 도킹 디바이스(200)의 화면 크기가 7인치를 초과하는 경우, 데스크탑용 웹페이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550 단계에서, 휴대 단말(100)은 도킹 디바이스(200)의 화면 크기가 미리 설정된 임계 화면 크기를 초과하는 경우, 브라우저의 파라미터 중 HTTP 헤더 내의 유저 에이전트(User Agent)의 설정값을 데스크탑으로 설정한다.
S560 단계에서, 휴대 단말(100)은 도킹 디바이스(200)의 화면 크기가 미리 설정된 임계 화면 크기 이하이거나, 또는 도킹 디바이스(200)와 도킹 연결 상태에서 도킹 분리 상태로 전환된 경우, 브라우저의 파라미터 중 HTTP 헤더 내의 유저 에이전트의 설정값을 모바일로 설정한다.
S570 단계에서, 휴대 단말(100)은 S550 단계 또는 S560 단계에서 설정된 유저 에이전트의 설정값에 따라 브라우저가 HTTP 헤더를 구성하도록 제어한다.
즉, 브라우저는 구동 시, 유저 에이전트의 설정값의 변동에 따라 HTTP 헤더를 구성하여 웹서버로 전송하고, 웹서버로부터 유저 에이전트의 설정값에 따른 웹페이지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100)은 도킹 디바이스와의 도킹 연결 여부 또는 도킹 연결 시 도킹 디바이스의 화면 크기에 따라 모바일용 또는 데스크탑용 웹페이지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0)

  1. 도킹 디바이스와 도킹 연결되는 휴대 단말에서의 웹페이지 출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도킹 디바이스와의 도킹 연결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도킹 디바이스의 착탈 이벤트가 발생하면, 도킹 연결 상태 또는 도킹 분리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도킹 연결 상태 또는 상기 도킹 분리 상태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에 탑재된 브라우저의 파라미터 중 HTTP 헤더 내의 유저 에이전트(User Agent)의 설정값을 모바일 또는 데스크탑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설정값을 모바일 또는 데스크탑으로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도킹 디바이스와 도킹 분리 상태에서 도킹 연결 상태로 전환된 경우, 상기 도킹 디바이스의 화면 크기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를 상기 도킹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화면 크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도킹 디바이스의 화면 크기가 미리 설정된 임계 화면 크기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도킹 디바이스의 화면 크기가 상기 임계 화면 크기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설정값을 데스크탑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도킹 디바이스의 화면 크기가 상기 임계 화면 크기 이하인 경우, 상기 설정값을 모바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페이지 출력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우저가 설정된 상기 유저 에이전트의 설정값에 따라 HTTP 헤더를 구성하여 웹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브라우저가 상기 웹서버로부터 상기 설정값에 따른 웹페이지를 제공받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웹페이지 출력 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값을 모바일 또는 데스크탑으로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도킹 디바이스와 도킹 연결 상태에서 도킹 분리 상태로 전환된 경우, 상기 설정값을 모바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페이지 출력 방법.
  6. 도킹 디바이스와 도킹 연결되는 휴대 단말에 있어서,
    상기 도킹 디바이스와 도킹 연결되는 도킹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도킹 디바이스와의 도킹 연결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도킹 디바이스의 착탈 이벤트의 발생을 감지하면, 도킹 연결 상태 또는 도킹 분리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도킹 연결 상태 또는 상기 도킹 분리 상태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에 탑재된 브라우저의 파라미터 중 HTTP 헤더 내의 유저 에이전트(User Agent)의 설정값을 모바일 또는 데스크탑으로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킹 디바이스와 도킹 분리 상태에서 도킹 연결 상태로 전환된 경우, 상기 도킹 디바이스의 화면 크기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를 상기 도킹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도킹 디바이스의 화면 크기가 미리 설정된 임계 화면 크기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설정값을 데스크탑으로 설정하고, 상기 도킹 디바이스의 화면 크기가 상기 임계 화면 크기 이하인 경우, 상기 설정값을 모바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우저는 상기 설정값에 따라 HTTP 헤더를 구성하여 웹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웹서버로부터 상기 설정값에 따른 웹페이지를 제공받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8. 삭제
  9. 삭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킹 디바이스와 도킹 연결 상태에서 도킹 분리 상태로 전환된 경우, 상기 설정값을 모바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KR20110138498A 2011-12-20 2011-12-20 도킹 디바이스와 연결되는 휴대 단말 및 웹페이지 출력 방법 KR101485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138498A KR101485155B1 (ko) 2011-12-20 2011-12-20 도킹 디바이스와 연결되는 휴대 단말 및 웹페이지 출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138498A KR101485155B1 (ko) 2011-12-20 2011-12-20 도킹 디바이스와 연결되는 휴대 단말 및 웹페이지 출력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1146A KR20130071146A (ko) 2013-06-28
KR101485155B1 true KR101485155B1 (ko) 2015-01-23

Family

ID=48865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0138498A KR101485155B1 (ko) 2011-12-20 2011-12-20 도킹 디바이스와 연결되는 휴대 단말 및 웹페이지 출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51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92628B2 (en) 2014-10-14 2018-02-13 Logitech Europe S.A.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5653A (ko) * 2003-10-14 2005-04-19 삼성전자주식회사 도킹 스테이션의 도킹 해제 장치 및 방법
US20050146741A1 (en) * 2003-12-29 2005-07-07 Collier Dan L.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the internet using a portable device by way of an internet-accessible printer
JP2006092394A (ja) * 2004-09-27 2006-04-06 Seiko Epson Corp レイアウト決定装置、レイアウト決定方法、レイアウト決定プログラム、印刷制御装置、印刷制御方法および印刷制御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5653A (ko) * 2003-10-14 2005-04-19 삼성전자주식회사 도킹 스테이션의 도킹 해제 장치 및 방법
US20050146741A1 (en) * 2003-12-29 2005-07-07 Collier Dan L.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the internet using a portable device by way of an internet-accessible printer
JP2006092394A (ja) * 2004-09-27 2006-04-06 Seiko Epson Corp レイアウト決定装置、レイアウト決定方法、レイアウト決定プログラム、印刷制御装置、印刷制御方法および印刷制御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1146A (ko) 2013-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4599B1 (ko)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 연결되는 휴대 단말 및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KR101522399B1 (ko) 휴대 단말에서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로의 화면 표출 방법 및 그 휴대 단말
KR101474927B1 (ko)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로의 영상 송출 방법 및 그 단말
EP3016377B1 (en) Display apparatus, controlling method and display system
KR20130024615A (ko) 외부 디바이스와 결합하는 휴대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US9542338B2 (en) Controlling applications according to connection state and execution condition
WO2020200005A1 (zh) 连接器、电子设备、数据传输方法及装置
KR101277657B1 (ko) 외부 디바이스와 이에 도킹되는 휴대 단말 사이의 입력 이벤트 처리 방법
US20220132250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CN110134216B (zh) 一种电源控制装置、方法及终端设备
CN108448177B (zh) 一种充电方法及终端
KR101630812B1 (ko) 단말 가이드와 결합되는 휴대 단말 및 자동 환경 설정 방법
KR20140008568A (ko) 영상 출력 방법 및 장치
WO2021143669A1 (zh) 一种获取配置信息的方法及电子设备
US20230378767A1 (en) Charging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charger
KR101485149B1 (ko) 외부 디바이스와 결합하는 휴대 단말 및 그 구동 방법
KR101485155B1 (ko) 도킹 디바이스와 연결되는 휴대 단말 및 웹페이지 출력 방법
KR20130003645A (ko) 외부 디바이스와 이에 도킹되는 휴대 단말 사이의 연결 수립 방법
US20220416557A1 (en) Electronic device
KR101522401B1 (ko)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 연결되는 휴대 단말 및 화면 변경 방법
KR20130071092A (ko) 휴대 단말과 연결되는 도킹 디바이스 및 소프트웨어 설치 방법
KR20140045966A (ko)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 연결되는 휴대 단말 및 화면 변경 방법
CN108377291B (zh) 一种基于耳机接口的通信方法及移动终端、存储介质
KR102349363B1 (ko) 영상처리시스템, 영상표시장치, 전자장치, 절전형 인터페이스장치 및 영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CN114598770B (zh) 耳机、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