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6927A - 스마트폰용 무선 자판 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용 무선 자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6927A
KR20150036927A KR20130115965A KR20130115965A KR20150036927A KR 20150036927 A KR20150036927 A KR 20150036927A KR 20130115965 A KR20130115965 A KR 20130115965A KR 20130115965 A KR20130115965 A KR 20130115965A KR 20150036927 A KR20150036927 A KR 201500369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keyboard
module
key
smart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5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2631B1 (ko
Inventor
이재영
김남훈
Original Assignee
이재영
김남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영, 김남훈 filed Critical 이재영
Priority to KR1020130115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2631B1/ko
Publication of KR20150036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69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2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2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1Cordless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8Packaging or power distribution
    • G06F1/189Power distribu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용 무선 자판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케이스와; 케이스의 표면에 한글과 영문 및 숫자 등의 입력을 위한 범용자판 입력부와, 스마트폰의 특수기능 수행을 위한 키입력을 위한 스마트폰용 특수기능 입력부를 포함하는 자판모듈과; 상기 스마트폰과의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자판모듈을 통해 입력되는 키입력정보를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과; 상기 자판모듈의 키입력에 따라 키입력정보를 발생하여 상기 무선통신모듈로 출력하는 제어모듈과; 상기 자판모듈과 제어모듈의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모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판모듈이 PC와 같은 컴퓨터의 범용 키보드의 버튼순서와 동일한 자판배열을 가지는 범용자판 입력부를 구비하여 문서 편집 등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의 특수기능 수행을 위한 키입력을 위한 스마트폰용 특수기능 입력부를 포함하고 있어 스마트폰의 특수 기능도 간편하게 설정 및 수행할 수 있어 그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Description

스마트폰용 무선 자판 장치 {Wireless keyboard system for mobile phone}
본 발명은 스마트폰용 무선 자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의 터치스크린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작은 크기의 자판 화면으로 인한 사용상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폰용 무선 자판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또는 핸드폰으로 불리는 이동통신단말기가 대중화됨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는 사람에게 없어서는 안 되는 필수요소가 되었다. 따라서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들이 등장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이동통신망뿐만 아니라 무선인터넷망에 접속할 수 있고, 운영체제 상에서 다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을 구동할 수 있는 스마트폰(Smartphone)이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는 추세여서 더 다양하고 편리한 서비스들뿐만 아니라 스마트폰을 통해 이용하고 구매할 수 있는 더 다양하고 많은 디지털 콘텐츠 및 실물 상품 콘텐츠들이 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러한 것들을 통해 제공된 서비스들도 지속적으로 개발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에 따라 스마트폰을 통한 다양한 정보의 검색 및 문서 편집 등을 위한 키입력은 더욱 늘어나고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은 화면의 크기가 작아 가상자판 출력시 자판의 크기가 작아지며, 문자입력에 기능이 집중되어 다양한 입력기능을 제공하기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물론, 이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공개특허 제10-2012-0064739호가 제안된 바 있다. 이는 지능형 휴대형 키보드 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휴대형 컴퓨터 키보드 장치로서,상기 키보드 전면과 후면에 각각 구성된 자판 배열, 상기 후면의 자판과 결합하여 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하기 위한 터치센서 및 터치센서 제어기, 상기 후면의 자판 형상 및 손가락 접촉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자판의 누름 상태를 인지하여 해당 코드로 변환하고 변환된 코드를 호스트 컴퓨터로 전송하고, 후면의 자판의 형상과 손가락 접촉 상태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며, 상기 키보드 내의 자원들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호스트 컴퓨터와의 통신을 위한 유선 혹은 무선 송수신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상기 지능형 휴대형 키보드 입력 장치는 통상의 PC나 노트북 컴퓨터에 적용되는 범용 키보드의 기능을 그대로 재연한 것으로 이는 스마트폰에 설치 및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의 활용을 보다 용이하게 실행시키는 데에는 여전히 어려움이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지능형 휴대형 키보드 입력 장치는 키보드 자판 사이에 디스플레이 및 터치 패드가 구비되는 구조여서 휴대형 정보통신 단말기중에 스마트폰과 같은 소형 단말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사이즈가 커서 휴대가 불편한 문제점도 있다.
참고문헌 1: 공개특허 제10-2012-0064739호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PC와 같은 컴퓨터의 범용 키보드의 버튼순서와 동일한 자판배열을 가지므로 스마트폰으로의 문자입력이 용이하면서도 스마트폰의 사용에 적합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폰용 무선 자판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문서 작업이나 편집 등을 수행시 스마트폰내장형 키보드가 액정에 표시되지 않아 시야각을 최대한 넓혀주어 문서 작업을 보다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폰용 무선 자판 장치를 제공하는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일정거리 이내에서의 통신이 가능해 스마트폰의 충전중에도 간편하게 통화를 수행할 수 있고,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기 등의 제어에도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폰용 무선 자판 장치를 제공하는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케이스와; 케이스의 표면에 한글과 영문 및 숫자 등의 입력을 위한 범용자판 입력부와, 스마트폰의 특수기능 수행을 위한 키입력을 위한 스마트폰용 특수기능 입력부를 포함하는 자판모듈과; 상기 스마트폰과의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자판모듈을 통해 입력되는 키입력정보를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과; 상기 자판모듈의 키입력에 따라 키입력정보를 발생하여 상기 무선통신모듈로 출력하는 제어모듈과; 상기 자판모듈과 제어모듈의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모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무선 자판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는 어댑터 또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원선이 연결되는 전원잭 연결부와, 이어폰을 연결가능한 이어폰잭 연결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전원공급모듈은 상기 전원잭 연결부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충전하는 배터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전원잭 연결부에 공급되는 전원은 어댑터를 통해 공급되거나 또는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원공급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판모듈은 터치 스크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자판모듈의 범용자판 입력부는 범용 키보드와 동일한 한글과 영문 및 숫자 배치로 이루어지는 문자 및 숫자키와, 상기 문자 및 숫자키의 상측에 구비되는 기능키(F1~F12)와, 범용 특수키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폰용 특수기능 입력부는 스마트폰 전용의 Home Key와 Menu Key 및 Back key, 상기 기능키(F1~F12)의 설정을 위한 기능선택키(FUNCTION Key), 마우스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PAD, 음성통화를 위한 통화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스마트폰과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블루투스모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와 스마트폰은 커버에 설치되되, 상기 커버에는 스마트폰을 세울수 있도록 고정홈이 형성된 고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의 케이스 후면에는 스마트폰 고정구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와 대응되게 커버 일측에 지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홈은 가로 방향의 가로홈과 가로홈의 중심부에 형성된 중심홀과 가로홈의 좌측단부에 형성된 좌측홀과 상기 좌측홀에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원호홈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판모듈이 PC와 같은 컴퓨터의 범용 키보드의 버튼순서와 동일한 자판배열을 가지는 범용자판 입력부를 구비하여 문서 편집 등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의 특수기능 수행을 위한 키입력을 위한 스마트폰용 특수기능 입력부를 포함하고 있어 스마트폰의 특수 기능도 간편하게 설정 및 수행할 수 있어 그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자판모듈이 스마트폰에 직접적으로 디스플레이되지 않아 스마트폰의 시야각을 최대한 넓혀주어 문서 작업 및 편집 등을 좀더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블루투스모듈을 통해 스마트폰과 일정거리 이내에서의 통신이 가능해 스마트폰의 충전중에도 간편하게 스마트폰용 무선 자판 장치를 이용해 통화를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간단한 응용 어플들만의 설치만으로도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기 등의 제어에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무선 자판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무선 자판 장치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무선 자판 장치의 자판 모듈의 상세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무선 자판 장치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무선 자판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무선 자판 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무선 자판 장치(100)는 스마트폰(200)과 무선으로 연결하여 사용 가능한 것으로, 한글 및 영문 자판의 위치를 일반 범용 키보드의 자판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자판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무선 자판 장치(100)는 스마트폰(200) 뿐만 아니라 테블릿 PC 등에도 블루투스 등을 통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200)에서 스마트폰용 무선 자판 장치(100)의 인식 및 스마트폰(200)으로 전송되는 키입력정보의 입력 및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상기 스마트폰(200)에는 상기 스마트폰용 무선 자판 장치(100)의 구동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되어야 함은 당연하며, 그와 같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원격지의 서버에서 다운로드 받거나 또는 내장된 프로그램을 이용함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무선 자판 장치(100)는 케이스(110)와; 그 케이스(110)의 표면에 범용 키보드와 동일한 한글과 영문 및 숫자 등의 입력을 위한 범용자판 입력부(122)와, 스마트폰(200)의 특수기능 수행을 위한 키입력을 위한 스마트폰용 특수기능 입력부(124)를 포함하는 자판모듈(120)과; 상기 스마트폰(200)과의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자판모듈(120)을 통해 입력되는 키입력정보를 상기 스마트폰(200)으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130)과; 상기 자판모듈(120)의 키입력에 따라 키입력정보를 발생하여 상기 무선통신모듈(130)로 출력하는 제어모듈(140)과; 상기 자판모듈(120)과 제어모듈(140)의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모듈(150)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각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상기 케이스(110)의 일측에는 어댑터 또는 스마트폰(20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원선(161)이 연결되는 전원잭 연결부(160)와, 이어폰(300)을 연결가능한 이어폰잭 연결부(162)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에는 상기 전원공급모듈(150)이 구비된다. 상기 전원공급모듈(150)은 상기 전원잭 연결부(160)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충전하는 배터리(152)로 구성된다.
따라서, 전원잭 연결부(160)를 통해 배터리(152)의 전원 충전이 완료되면 전원선을 전원잭 연결부(160)에서 분리 제거한 후 스마트폰용 무선 자판 장치(100)를 휴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원잭 연결부(160)에 공급되는 전원은 어댑터(미도시됨)를 통해 공급되거나, 또는 상기 스마트폰(200)으로부터 전원공급을 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110)의 표면에는 스마트폰(200)의 키입력을 위한 자판모듈(120)이 구비된다. 상기 자판모듈(120)은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은 형태의 키입력버튼 순서의 배열이 가능하도록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된다. 이 경우 터치펜(121)을 통한 신호입력이 가능한 것으로, 정전식 또는 감압식 신호입력이 모두 가능한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자판모듈(120)은 범용 키보드와 동일한 한글과 영문 및 숫자 등의 입력을 위한 범용자판 입력부(122)와, 스마트폰(200)의 특수기능 수행을 위한 키입력을 위한 스마트폰용 특수기능 입력부(124)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범용자판 입력부(122)는 범용 키보드와 동일한 한글과 영문 및 숫자 배치로 이루어지는 문자 및 숫자키(122a)와, 상기 문자 및 숫자키(122a)의 상측에 구비되는 기능키(F1~F12)(122b)와, Ctrl, Alt, Shift, Enter, TAB 등의 범용 특수키(122c)를 포함하며, 이들 키의 배열은 범용 키보드의 배치 순서와 동일하게 구성한다.
이 경우 상기 기능키(F1~F12)는 각 기능키마다 스마트폰(200)의 특정한 기능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정하여 보다 용이하게 스마트폰(200)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마트폰용 특수기능 입력부(124)는 스마트폰(200)에서는 화면이 작아 사용하지 못하던, Home Key(124a), Menu Key(124b), Back key(124c), 상기 기능키(F1~F12)의 설정을 위한 기능선택키(FUNCTION Key)(124d), 마우스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PAD(124e), 음성통화를 위한 통화키(124f), 전원의 투입 및 차단을 위한 전원키(124g)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보다 용이하게 스마트폰(200)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 같은 구성에 의하면 스마트폰(200)과 TV를 연동하여 영화나 동영상 등을 감상할 경우 스마트폰(200)의 슬립 기능을 활성화함으로써, 영화나 동영상에 보다 집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200)에 의해 낭비되는 전기를 절약할 수 있고, 마우스의 기능을 하는 PAD(124e)를 구비하여 다양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무선통신모듈(130)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무선 자판 장치(100)와 스마트폰(200) 사이에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블루투스모듈로 구성된다. 이 같은 무선통신모듈(130)을 통한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해 상기 블루투스모듈과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모듈이 통상적으로 내장되는 스마트폰(200)으로 키입력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폰(200)으로부터 음성신호를 전송받아 이어폰잭 연결부(162)에 연결된 이어폰으로 출력하게 된다. 물론 이와 같은 키입력정보 및 음성신호의 입출력 제어는 제어모듈(140)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모듈(140)은 내장메모리를 구비하는 마이컴으로 구성하거나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메모리를 이용하여 구성함도 가능하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무선 자판 장치의 다양한 사용 예를 설명한다.
먼저, 범용자판 입력부(122)의 기능키(F1~F12)는 스마트폰(200)에 설치되는 특정 어플(app) 또는 인터넷 페이지 바로가기를 즉각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200)에서 현재 네이버 메인페이지가 실행중인 경우 네이버 메인 페이지를 바로가기 항목에 추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네이버 메인페이지가 열린후 "스마트폰용 특수기능 입력부(124)의 기능선택키(FUNCTION Key)(124d)" + "범용자판 입력부(122)의 기능키(F1)"을 누르면 기능키(F1)는 네이버 메인화면으로의 바로가기 키가 설정된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예를 들어 카카오톡을 추가로 저장하는 경우에는 기능선택키(FUNCTION Key)(124d)+ 기능키(F2)을 누르면 기능키(F2)는 카카오톡 페이지로 설정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F1(네이버), F2(카카오톡), F3(특정게임), F4(페이스북) 등 총 12개의 바로가기 기능(F1~~F12) 까지 지정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폰용 특수기능 입력부(124)는 Home Key(124a), Menu Key(124b), Back key(124c)를 더 포함하는데, 상기 Home Key(124a)는 일반적인 스마트폰 HOME키 버튼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Menu Key(124b)는 일반적인 스마트폰(200)의 MENU키 버튼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Back key(124c)는 일반적인 스마트폰(200)의 BACK키 버튼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상기 스마트폰용 특수기능 입력부(124)의 통화키(124f)를 사용해 원격지의 화자와의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무선 자판 장치(100)가 블루투스모듈이 내장되고, 이어폰잭 연결부(162)에 연결된 이어폰(또는 이어마이크)을 구비함으로써 가능하다.
즉, 스마트폰(200)과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무선 자판 장치(100)를 분리하여 스마트폰(200)은 충전을 시키더라도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무선 자판 장치(100)가 스마트폰(200)과 근거리(예를 들어 10m 이내의 거리)에서는 이어폰잭 연결부(162)에 이어폰(300)을 연결하여 음성통화의 송수신이 가능하다.
물론, 스마트폰(200)과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무선 자판 장치(100)를 연결하여 스마트폰용 무선 자판 장치(100)가 충전중인 경우에도 문서작업등 웹서핑시 전화가 오면 이어폰잭 연결부(162)에 이어폰(300)을 연결하여 음성통화가 가능하며 그와 동시에 별도의 문서작업도 그대로 수행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스마트폰(200) 상에서 문서작업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본 발명의 스마트폰용 무선 자판 장치(100)는 문서 작업 및 편집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즉, 스마트폰(200)만을 사용하는 경우 스마트폰내장형 키보드가 액정의 2/3를 차지하여 작업할 시 시야각이 좁고 어디까지 작업이 수행되었는지 가늠하기 힘들지만,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무선 자판 장치(100)를 이용한 문서 작업 및 편집시에는 스마트폰(200)의 액정에는 자판이 디스플레이되지 않아 화면 전체를 사용함으로써 문서 작업을 보다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스마트폰용 무선 자판 장치(100)는 착탈식의 보조 배터리를 더 구비하여 스마트폰(200)과 본 발명의 스마트폰용 무선 자판 장치(100)의 전원공급용 배터리(152)의 충전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보조배터리를 이용하여 스마트폰(200)과 본 발명의 스마트폰용 무선 자판 장치(100)에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문서작업이나 스마트폰(200) 활용시 데이터의 저장 및 문서 편집시 배터리 방전으로 인한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 경우 보조 배터리와의 연결은 안드로이드폰에서 공통으로 사용되는 마이크로 5핀 연결잭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스마트폰용 무선 자판 장치(100)는 전용 커버(101)에 넣어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스마트폰(200)을 함께 보관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가로, 세로로 스마트폰을 회전시켜 사용 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스마트폰(200)의 회전방식은 가로 또는 세로방향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게임 어플 중 가로 전용 게임과 세로 전용 게임을 가로사용과 세로사용시 편리함을 극대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 및 도 5의 (a) 내지 (c)에서와 같이, 스마트폰(200)을 세워서 가로로 설치할 수도 있고, 세로로 설치할 수도 있다.
여기서, 스마트폰(200)을 세운 상태로 가로로 설치할 경우에는 커버(101)의 일측에 케이스(110)가 설치되고, 타측에는 스마트폰(200)이 설치되게 되는데, 커버(101)의 중간 부분, 즉 케이스(110)가 설치된 후부에 스마트폰 고정부(103)를 형성하여 스마트폰 고정부(103)의 고정홈(103a)에 스마트폰(200)을 세워서 고정되게 함으로써, 스마트폰(200)의 사용이 보다 편리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200)의 케이스 후면에는 스마트폰(200)을 가로, 세로로 설치가 용이하도록 고정구(210)를 부착하고, 스마트폰(200)이 고정되는 커버(101)에는 고정구(210)가 지지되는 지지홈(105)을 형성하여 스마트폰(200)이 가로, 세로로 방향을 바꾸더라도 커버(101)에 안정되게 지지 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지지홈(105)은 커버(101)에 일측에 직접 형성할 수도 있지만 내측케이스(101b)를 별도로 형성함으로써 외관이 미려하게 되고, 스마트폰(200)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커버(101)는 탄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스마트폰(200)을 회전 시 케이스(100)에 걸리지 않게 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홈(105)은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 가로홈(105c)과 가로홈(105c)의 중심부에 형성된 중심홀(105d)과, 가로홈(105c)의 좌측 단부에 형성된 좌측홀(105b)과 좌측홀(105b)에서 원호형으로 형성되는 원호홈(105a)으로 형성되는데, 스마트폰(200)의 케이스 후면에 부착되는 고정구(210)의 고정판(212)에 형성된 지지돌기(214)가 상기 좌측홀(105b)과 중심홀(105d)을 통해 끼워져 상기 가로홈(105c)과 원호홈(105a) 구간을 이동하면서 스마트폰(200)을 가로, 세로 방향으로 설치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커바(101)의 절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커버의 일부분에 절첩부(101a)를 형성한다.
그리고, 스마트폰(200)은 TV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멀티기기와 블루투스 방식으로 연결이 가능하며,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무선 자판 장치(100)를 이용하여 자유로운 조작이 가능한 것으로, 예를 들어 동영상의 실행, 정지, 빨리보기, 뒤로감기, 볼륨 조절 등을 조절할 수 있는 리모콘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다른 멀티기기와 연결하더라도 스마트폰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무선 자판 장치(100)를 이용한 음성통화 역시 가능하다. 이 경우 다른 기기와 연결시 다른 멀티기기(400) 사용을 위한 전용 어플을 이용하여 스마트폰(200)은 화면이 꺼져있더라도 슬립모드로 작동되어 스마트폰(200)의 배터리 전력소모를 최소화하고, 멀티기기와 호환함으로 스마트폰 화면 터치를 줄일 수 있어, 스마트폰(200)의 배터리 전력의 손실없이 사용이 가능하며 이는 스마트폰의 고장원인 중 발생빈도가 큰 발열을 원천 차단할 수 있다.
아울러, 스마트폰용 무선 자판 장치(100)에 구비된 스마트폰용 특수기능 입력부(124)의 PAD(124e)를 이용하여 스마트폰 화면 잠금 패턴 또는 번호 해지를 가능하게 한다. 물론, 문서 작업 편집을 스마트폰의 화전 전체를 사용함으로써 편리함은 물론, 문서작업을 컴퓨터와 노트북에서의 입력방식과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고, TV와 스마트폰이 연결된 상태로 문서작업 및 편집을 수행할 수 있어 별도의 PC 등이 필요없어 경제적인 장점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스마트폰용 무선 자판 장치 110: 케이스
120: 자판모듈 122: 범용자판 입력부
124: 스마트폰용 특수기능 입력부 130: 무선통신모듈
140: 제어모듈 150: 전원공급모듈
152: 배터리 160: 전원잭 연결부
162: 이어폰잭 연결부 200: 스마트폰
300: 이어폰 400: 멀티기기

Claims (10)

  1. 케이스와; 케이스의 표면에 한글과 영문 및 숫자 등의 입력을 위한 범용자판 입력부와, 스마트폰의 특수기능 수행을 위한 키입력을 위한 스마트폰용 특수기능 입력부를 포함하는 자판모듈과; 상기 스마트폰과의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자판모듈을 통해 입력되는 키입력정보를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과; 상기 자판모듈의 키입력에 따라 키입력정보를 발생하여 상기 무선통신모듈로 출력하는 제어모듈과; 상기 자판모듈과 제어모듈의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모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무선 자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는 어댑터 또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원선이 연결되는 전원잭 연결부와, 이어폰을 연결가능한 이어폰잭 연결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무선 자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모듈은 상기 전원잭 연결부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충전하는 배터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무선 자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잭 연결부에 공급되는 전원은 어댑터를 통해 공급되거나 또는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원공급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무선 자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판모듈은 터치 스크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무선 자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판모듈의 범용자판 입력부는 범용 키보드와 동일한 한글과 영문 및 숫자 배치로 이루어지는 문자 및 숫자키와, 상기 문자 및 숫자키의 상측에 구비되는 기능키(F1~F12)와, 범용 특수키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폰용 특수기능 입력부는 스마트폰 전용의 Home Key와 Menu Key 및 Back key, 상기 기능키(F1~F12)의 설정을 위한 기능선택키(FUNCTION Key), 마우스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PAD, 음성통화를 위한 통화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무선 자판.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스마트폰과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블루투스모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무선 자판.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와 스마트폰은 커버에 설치되되, 상기 커버에는 스마트폰을 세울수 있도록 고정홈이 형성된 고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무선 자판.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의 케이스 후면에는 스마트폰 고정구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와 대응되게 커버 일측에 지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무선 자판.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홈은 가로 방향의 가로홈과 가로홈의 중심부에 형성된 중심홀과 가로홈의 좌측단부에 형성된 좌측홀과 상기 좌측홀에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원호홈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무선 자판.

KR1020130115965A 2013-09-30 2013-09-30 스마트폰용 무선 자판 장치 KR101522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5965A KR101522631B1 (ko) 2013-09-30 2013-09-30 스마트폰용 무선 자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5965A KR101522631B1 (ko) 2013-09-30 2013-09-30 스마트폰용 무선 자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6927A true KR20150036927A (ko) 2015-04-08
KR101522631B1 KR101522631B1 (ko) 2015-05-26

Family

ID=53033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5965A KR101522631B1 (ko) 2013-09-30 2013-09-30 스마트폰용 무선 자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26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5235A (ko) 2019-06-21 2020-12-30 장건호 시각장애인을 위한 스마트폰 키패드 케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4556A (ko) 2018-12-17 2020-06-25 주식회사 키보플 휴대용 키보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581B1 (ko) * 2006-11-15 2008-1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파우치 키보드를 이용한 키입력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863714B1 (ko) * 2007-01-29 2008-10-16 전동현 다기능 복합 키보드
KR20120002185U (ko) * 2010-09-16 2012-03-26 김현종 거치대 기능을 갖는 태블릿 컴퓨터 보호케이스
KR20130013972A (ko) * 2011-07-29 2013-02-06 심재훈 태블릿 컴퓨터 키보드 내장형 케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5235A (ko) 2019-06-21 2020-12-30 장건호 시각장애인을 위한 스마트폰 키패드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2631B1 (ko) 2015-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83039U (ja) ポータブルコンピュータ装置のためのアクセサリ
TWI397302B (zh) 可攜式電子裝置與行動通訊裝置的組合
US8619004B2 (en) Mobile terminal using touch scree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080674B1 (ko)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usb 장치 및 그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CN105378603B (zh) 便携式键盘和扬声器组件
US20210160355A1 (en) Mobile terminal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KR20150004714A (ko)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2043150B1 (ko) 이동 단말기
KR20210113880A (ko) 이동 단말기, 이동 단말기를 구비한 전자 장치, 그리고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24789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통신 시스템
KR20210025967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 구비한 전자장치
CN112369005A (zh) 移动终端及具备移动终端的电子装置
CN111837378A (zh) 移动终端及具有移动终端的电子设备
US20220291829A1 (en) Mobile terminal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mobile terminal
KR101522631B1 (ko) 스마트폰용 무선 자판 장치
KR20160097035A (ko) 이동 단말기
US20160165026A1 (en) Remote Controller Utilized with Charging Dock for Controlling Mobile Device
KR2016014756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20220334715A1 (en) Mobile terminal,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KR20140118532A (ko) 이동단말기 분실 방지 시스템
KR102639610B1 (ko) 이동 단말기, 이동 단말기를 구비한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JP6361764B2 (ja) 端末装置、端末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107840B2 (ja) 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2047702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076510B1 (ko)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