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4556A - 휴대용 키보드 - Google Patents

휴대용 키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4556A
KR20200074556A KR1020180163081A KR20180163081A KR20200074556A KR 20200074556 A KR20200074556 A KR 20200074556A KR 1020180163081 A KR1020180163081 A KR 1020180163081A KR 20180163081 A KR20180163081 A KR 20180163081A KR 20200074556 A KR20200074556 A KR 202000745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s
key
character
portable keyboard
nume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3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재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키보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키보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키보플
Priority to KR1020180163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74556A/ko
Publication of KR20200074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45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6Arrangements for ergonomically adjusting the disposition of keys of a keybo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08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of a keyboard, e.g. pivoting le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8Programmabl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H02J7/02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키보드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키보드는 사용자의 오른손 손가락으로 타격 또는 터치되는 문자키들 또는 특수문자키들 중 적어도 10개의 키는 숫자키로 전환될 수 있어 전체적으로 키의 개수를 콤팩트하게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단말기 거치기능과 이동단말기 충전기능이 포함한다. 복수의 기능키가 배열된 기능키부, 기능키부의 하측에 QWERTY 배열의 문자키와 특수문자키가 3열로 배열이 된 문자키부, 문자키부의 하측에 스페이스와 변환키를 포함하여 배열되는 변환키부를 갖는 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용 키보드에 있어서, 문자키부를 구성하는 문자키들 또는 특수문자키들과 변환키부를 구성하는 키들 중에서 사용자의 오른손 손가락에 의해 타격 또는 터치가 되는 적어도 10개의 키는 숫자키로 변환 가능하게 설정되는 문자/숫자 전환키; 사용자의 왼손 손가락에 의해 가려지는 기능키부 상에 배열 설치되어 인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및 감지센서에 의해 인체가 감지되면 문자/숫자 전환키가 숫자키로 작동하도록 하는 숫자 입력모드 전환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키보드{PORTABLE KEYBOARD}
본 발명은 휴대용 키보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오른손 손가락으로 타격 또는 터치되는 문자키들 또는 특수문자키들 중 적어도 10개의 키는 숫자키로 전환될 수 있어 전체적으로 키의 개수를 콤팩트하게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단말기 거치기능과 이동단말기 충전기능이 포함된 휴대용 키보드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및 통신 기술의 발달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등 이동단말기들의 성능이 향상되고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면서 보다 효과적이고 빠른 정보 입력 수단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동단말기들은 소형화 또는 경량화를 위해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와 입력 수단을 겸하는 일정 크기의 터치스크린을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에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된 키패드를 통해 문자나 숫자 등 정보를 입력하게 된다. 그 러나 이러한 방식의 정보 입력은 데스크탑 컴퓨터나 노트북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물리적 키보드 입력 장치에 비해 문자 입력 속도가 많이 떨어지고 장시간 사용할 시 손목과 눈의 피로도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동단말기용 키보드들이 다양하게 생산되는데 데스크탑 컴퓨터의 QWERTY 배열과 규격을 그대로 사용한 키보드는 부피가 커 휴대성이 떨어지고, 작은 사이즈로 제작하여 휴대성을 높인 키보드는 타이핑 시 왼손과 오른손의 간격이 좁아 불편한 문제점이 있으며, 터치패드가 있는 키보드는 본체에서 일정 구역을 터치패드가 넓게 차지함으로 인하여 부피가 커져 휴대성이 떨어지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외부 특히 이동 중인 차량이나 지하철에 앉아서 이동단말기에 타이핑을 하려면 무릎에 이동단말기와 휴대용 키보드를 모두 거치하여야 하나 두 제품을 무릎에 안전하게 거치할 수 없어 언제 어디서나 이동단말기에 문자 등을 입력하는 휴대용 키보드 본연의 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동단말기의 장시간 사용을 위해 필요한 휴대용 배터리도 별도로 휴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스마트폰이나 테블릿 PC 등과 같은 이동단말기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키보드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 1204151호(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장치),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 1511778호(컴퓨터용 숫자키 패드를 이용한 비연동 숫자입력 및 문자입력방법 및 장치),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1522631호(스마트폰용 무선 자판 장치)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선행기술들은 키의 숫자를 줄이는 경우, 숫자나 각종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키를 여러 번 조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숫자 키나 문자 키를 각각 구성하는 경우 키보드의 크기가 커져 보관 및 휴대가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04151호(2012. 11. 22.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11778호(2015. 04. 13.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22631호(2015. 05. 26. 공고)
이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오른손 손가락으로 타격 또는 터치되는 문자키들 또는 특수문자키들 중 적어도 10개의 키는 숫자키로 전환될 수 있어 전체적으로 키의 개수를 줄일 수 있도록 한 휴대용 키보드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문자/숫자 전환키의 사용시에는 숫자키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의도를 인식할 수 있는 감지센서의 감지 또는 반드시 자음부터 입력하는 한글 입력모드에서 최초 또는 spacebar(공백) 이후 첫 입력이 한글모음 문자키이면 숫자가 먼저 입력되도록 하여 쉽고 빠른 숫자 입력이 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키보드 상부를 덮는 커버를 이동단말기의 거치대로 사용함은 물론 커버에 내장된 무선충전 코일이 이동단말기의 배터리를 무선충전 할 수 있어 별도의 거치대나 휴대용 배터리의 휴대 없이 외부에서 편안하게 이동단말기에 장시간 타이핑을 할 수 있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더불어 키보드 본체 측면으로 얇고 긴 터치패드를 구비하여 전체 부피를 줄여 휴대성을 높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키보드는 복수의 기능키가 배열된 기능키부, 기능키부의 하측에 QWERTY 배열의 문자키와 특수문자키가 3열로 배열이 된 문자키부, 문자키부의 하측에 스페이스와 변환키를 포함하여 배열되는 변환키부를 갖는 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용 키보드에 있어서, 문자키부를 구성하는 문자키들 또는 특수문자키들과 변환키부를 구성하는 키들 중에서 사용자의 오른손 손가락에 의해 타격 또는 터치가 되는 적어도 10개의 키는 숫자키로 변환 가능하게 설정되는 문자/숫자 전환키; 사용자의 왼손 손가락에 의해 가려지는 기능키부 상에 배열 설치되어 인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및 감지센서에 의해 인체가 감지되면 문자/숫자 전환키가 숫자키로 작동하도록 하는 숫자 입력모드 전환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키보드에서 문자/숫자 전환키는 한글 입력모드시 한글의 모음을 입력하는 한글모음 문자키들을 포함하여, 한글 입력모드에서 한글모음 문자키가 먼저 타격 또는 터치되면 숫자 입력모드 전환수단은 문자/숫자 전환키가 숫자키로 사용되도록 작동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키보드에서 본체의 상부측에는 본체를 덮는 커버가 설치되고, 커버의 외측면 상에는 본체에 대하여 커버가 경사지게 세워지게 하는 스탠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키보드에서 커버의 내측에는 커버에 거치되는 단말기에 무선충전이 가능하게 하는 무선충전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키보드에서 본체 상에는 감지센서에서 인체가 감지되어 문자/숫자 변환키가 숫자키로 동작하는 상태임을 표시하는 표시부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키보드에서 본체의 좌측과 정면의 테두리 상에는 각각 전후방향이동 터치패드 및 좌우방향이동 터치패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키보드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발명에 따른 휴대용 키보드는 사용자의 오른손 손가락으로 타격 또는 터치하는 문자키들 또는 특수문자키들 중 적어도 10개의 키는 문자/숫자 전환키로 사용이 되도록 구성이 됨으로써 키배열이 콤팩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발명에 따른 휴대용 키보드는 키보드 본체를 덮는 커버에는 이동단말기 거치기능과 이동단말기 충전기능을 있게 됨으로써 별도의 거치수단 또는 별도의 충전수단을 휴대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이 발명에 따른 휴대용 키보드는 본체의 오른쪽 측면과 정면측면의 테두리 상에 커서를 작동시키는 터치패드가 각각 얇고 길게 구비되어 있어 좁은 공간에서 커서작동을 쉽게 할 수 있음으로 인해 키보드 부피를 줄여 휴대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1은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키보드의 구성도.
도2는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키보드의 요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3은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키보드의 사시도.
도4 및 도5는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키보드의 사용상태 측면도.
도5는 이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키보드의 구성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키보드의 구성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실시 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 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키보드(100)는 도1 내지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10)와 커버(150)가 상호 결합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체(100)에는 복수의 키가 전체적으로 5열로 배열이 될 수 있다. 전체 5열로 구성되는 키들의 배열에 대하여 부연하면, 도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복수의 기능키가 배열된 기능키부(112), 기능키부(112)의 하측에 QWERTY 배열의 문자키와 특수문자키가 3열로 배열이 된 문자키부(114), 문자키부(114)의 하측에 스페이스와 변환키를 포함하는 변환키부(116)가 배열 설치된다.
도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전술한 문자키부(114)를 구성하는 문자키들 또는 특수문자키들과 변환키부(116)를 구성하는 키들 중에서 사용자의 오른손 손가락에 의해 타격 또는 터치가 되는 적어도 10개의 키는 숫자키로 변환이 가능한 문자/숫자 전환키(120)로 구성된다. 즉, 문자/숫자 전환키(120)를 구성하는 적어도 10개의 문자키 또는 특수문자키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서 알파벳 입력모드, 한글 입력모드 또는 숫자 입력모드로 사용될 수 있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도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알파벳 입력모드, 한글 입력모드 또는 숫자 입력모드에 해당하는 문자 또는 숫자가 키의 표면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문자/숫자 전환키(120)가 사용자의 의도에 의해서 숫자 입력모드로 작동하도록 하기 위해서 도1 및 도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기능키부(112)가 배열되는 도중에는 감지센서(130)가 설치된다. 감지센서(130)는 사용자가 이 발명에 따른 휴대용 키보드(100)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왼손을 올리는 등 근접시켰을 때에 이를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즉, 감지센서(130)에서 사용자의 왼손 등이 감지되면, 문자/숫자 전환키(120)는 숫자 입력모드에서 작동이 되도록 설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 발명에 따른 휴대용 키보드(100)가 사용되는 과정에서 감지센서(130)에서 사용자의 왼손 등이 감지되면, 문자/숫자 전환키(120)들이 숫자 입력모드에서 동작하도록 하는 숫자 입력모드 전환수단(미도시)이 제어부에 포함되어 구성된다.
또한, 전술한 숫자 입력모드 전환수단은 감지센서(130)에서 사용자의 인체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이지만,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서 한글 입력모드에서 한글모음 문자키가 먼저 타격 또는 터치가 되면 전술한 문자/숫자 전환키(120)들은 숫자 입력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설정이 될 수 있다. 즉, 한글자음이 먼저 타격 또는 터치된 후 한글모음이 타격 또는 터치되어야 하는 한글이 완성이 되는 점을 반영하여, 사용자가 더욱 빠르게 문자/숫자 전환키(120)를 전환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즉,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자키부(114)는 일반적인 데스크탑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키보드의 배열과 같이 문자키들과 특수문자키들의 배열이 이루어지되, 한글 입력모드를 기준으로‘ㅕ, ㅑ, ㅐ, ㅓ, ㅏ, ㅣ, ㅜ, ㅡ, ,(쉼표), .(마침표)’의 입력시에 사용되는 위 9개의 키들의 표면에는 각각 '7, 8, 9, 4, 5, 6, 1, 2, 3'의 숫자가 더 표시된다. 또한, 변환키부(116)를 구성하는 스페이스 바의 바로 옆에는 숫자 '0'이 다른 특수문자와 함께 표시된다.
한편, 전술한 10개의 문자/숫자 전환키(120) 이외에도 문자/숫자 전환키(120)와 함께 사용될 필요가 있는 특수문자 또는 특수부호인 ‘^, *, +, ;, $, “%’등은 각각 한글 입력모드를 기준으로 ‘ㅅ, ㅛ, ㅔ, =, ㅎ, ㅗ, :, ㅠ, ㅜ’의 입력을 위한 키에 병기하여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문자/숫자 전환키(120)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방향키를 둘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왼손 등으로 감지센서(130)를 가리거나 근접시켜 숫자 입력모드 전환수단이 동작되도록 한 상태에서, 문자 입력시 숫자를 사용하여 입력하도록 된 일본어, 중국어 등의 한자권 국가의 언어 입력과정에서 타이핑 시간을 대폭 줄 일 수 있게 된다.
전술한 감지센서(130)는 광센서로 형성될 수 있으나 타이핑 중 실수로 광센서를 가릴 우려가 있어 터치센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왼손 손가락으로 자연스럽게 터치할 수 있도록 왼손을 펼쳤을 시 닿을 수 있는 일정거리 내에 있게 하기 위해 기능키부(112)에 배열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숫자 키의 고정 입력모드로의 전환은 기능키부(112)에 마련된 'Num lk'키를 입력 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각 키의 표면에는 키 입력 상태(normal, shift, touch sensor 및 fn)에서 입력되는 문자, 숫자, 기호 또는 특정 기능을 나타내는 아이콘이 표기 될 수 있다. 여기서 키 표면의 한정된 공간에 모든 키 입력 상태의 문자, 숫자, 기호 또는 특정 기능을 나타내는 아이콘이 표기되는 경우 가독성이 좋지 못하므로 ‘F3, F4, F6, F7, F8, F9, F10, (, ), - Ins’의 표기는 기능키부(112) 상부 표면에 각각 될 수 있으며,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파란색이나 하얀색 등 눈에 잘 띄는 특정 색상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그리고 감지센서(130)가 동작되는 경우 이를 나타내는 LED 표시등과 같은 별도의 표시부(132)가 본체(110) 상부에 포함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변환키부(116)에 있는 ‘FN’키는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전체 1열부터 5열까지의 키 배열부에서 각 키 표면 오른쪽 상단에 중복 표기된 숫자, 기호, 특정 기능을 하는 아이콘 키들을 혼용하여 입력할 수 있다.
상술한 숫자 및 기호 입력 방법은 데스크탑 컴퓨터 키보드는 물론 노트북 키보드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커버(150)는 도3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상부에 복수의 힌지부(152)를 매개로 결합이 되며, 커버(150)의 외측면 상에는 본체(110)에 대하여 커버(150)가 경사진 상태로 세워질 수 있도록 하는 스탠드(170)가 설치된다. 커버(150)의 외측면 상에는 스탠드(170)에 대응하는 형태의 스탠드 조립홈(160)이 홈의 형태로 형성이 되고, 스탠드(170)의 양쪽 끝단이 각각 스탠드 조립홈(160) 내에 조립된다.
전술한 스탠드(170)는 도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커버(150)가 일정 각도로 고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는 휴대폰 등의 이동단말기를 커버(150)의 내측면 상에 거치한 상태에서 휴대용 키보드(100)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커버(150)에 대한 스탠드(170)의 회전각도(a)는 55~70도 범위 내에서 설정될 수 있다. 커버(150)에 대한 스탠드(170)의 회전각도(a)는 63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동단말기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돌기(172)가 본체(110)에 돌출 형성된다.
도5는 전술한 스탠드(170)가 커버(150)에 형성된 스탠드 조립홈(160)에 수용된 상태에서 커버(150)를 본체(110)에 대하여 수평이 되게 펼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키보드(100)는 본체(100)에 대하여 180도로 펼친 상태에서 무릅이나 테이블 등에 올려놓은 상태로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커버(150)의 내측에는 무선충전기능의 지원을 위해 코일을 포함하는 무선충전수단(180)이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키보드(100)에서 커버(150)의 내부측에 이동단말기 배터리의 무선충전을 지원하는 무선충전수단(180)이 내장되어 있어 커버(150)에 이동단말기를 거치하여 사용하는 과정에서 이동단말기의 배터리에는 무선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커버(150)의 측면에는 무선충전 기능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커넥터(182)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키보드(100)에서는 본체(110)의 오른쪽 측면과 정면의 테두리 상에는 각각 일반적인 노트북 컴퓨터에서 커서를 움직이기 위한 전후방향이동 터치패드(140)와 좌우방향이동 터치패드(142)가 더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체(110) 오른쪽 상부에는 이동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터치할 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터치펜을 세워 보관할 수 있는 터치펜 홀(19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들과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 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100 : 휴대용 키보드 110 : 본체
112 : 기능키부 114 : 문자키부
116 : 변환키부 120 : 문자/숫자 전환키
130 : 감지센서 140 : 전후방향이동 터치패드
142 : 좌우방향이동 터치패드 150 : 커버
160 : 스탠드 조립홈 170 : 스탠드
180 : 무선충전수단 190 : 터치펜 홀

Claims (6)

  1. 복수의 기능키가 배열된 기능키부, 상기 기능키부의 하측에 QWERTY 배열의 문자키와 특수문자키가 3열로 배열이 된 문자키부, 상기 문자키부의 하측에 스페이스와 변환키를 포함하여 배열되는 변환키부를 갖는 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용 키보드에 있어서,
    상기 문자키부를 구성하는 문자키들 또는 특수문자키들과 상기 변환키부를 구성하는 키들 중에서 사용자의 오른손 손가락에 의해 타격 또는 터치가 되는 적어도 10개의 키는 숫자키로 변환 가능하게 설정되는 문자/숫자 전환키;
    사용자의 왼손 손가락에 의해 가려지는 상기 기능키부 상에 배열 설치되어 인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및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인체가 감지되면 상기 문자/숫자 전환키가 숫자키로 작동하도록 하는 숫자 입력모드 전환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키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숫자 전환키는 한글 입력모드시 한글의 모음을 입력하는 한글모음 문자키들을 포함하여, 한글 입력모드에서 상기 한글모음 문자키가 먼저 타격 또는 터치되면 상기 숫자 입력모드 전환수단은 상기 문자/숫자 전환키가 숫자키로 사용되도록 작동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키보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부측에는 상기 본체를 덮는 커버가 설치되고, 상기 커버의 외측면 상에는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기 커버가 경사지게 세워지게 하는 스탠드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키보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내측에는 상기 커버에 거치되는 단말기에 무선충전이 가능하게 하는 무선충전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키보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상에는 상기 감지센서에서 인체가 감지되어 상기 문자/숫자 변환키가 숫자키로 동작하는 상태임을 표시하는 표시부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키보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좌측과 정면의 테두리 상에는 각각 전후방향이동 터치패드 및 좌우방향이동 터치패드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키보드.
KR1020180163081A 2018-12-17 2018-12-17 휴대용 키보드 KR202000745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3081A KR20200074556A (ko) 2018-12-17 2018-12-17 휴대용 키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3081A KR20200074556A (ko) 2018-12-17 2018-12-17 휴대용 키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4556A true KR20200074556A (ko) 2020-06-25

Family

ID=71400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3081A KR20200074556A (ko) 2018-12-17 2018-12-17 휴대용 키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74556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4151B1 (ko) 2012-08-02 2012-11-22 장호수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장치
KR101511778B1 (ko) 2008-02-01 2015-04-13 김민겸 컴퓨터용 숫자키패드를 이용한 비연동 숫자입력 및 문자입력 방법 및 그 장치
KR101522631B1 (ko) 2013-09-30 2015-05-26 이재영 스마트폰용 무선 자판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1778B1 (ko) 2008-02-01 2015-04-13 김민겸 컴퓨터용 숫자키패드를 이용한 비연동 숫자입력 및 문자입력 방법 및 그 장치
KR101204151B1 (ko) 2012-08-02 2012-11-22 장호수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장치
KR101522631B1 (ko) 2013-09-30 2015-05-26 이재영 스마트폰용 무선 자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03220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a character in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CN102177485A (zh) 数据输入系统
EP2404230A1 (en) Improved text input
KR20100012047A (ko) 일체화된 키패드 시스템
KR101343896B1 (ko) 휴대용 컴퓨터
WO2012143929A1 (en) Ergonomic motion detection for receiving character input to electronic devices
CA2629352A1 (en) Character inputting device
WO2010018579A2 (en) Improved data entry system
CN105630327A (zh) 便携式电子设备和控制可选元素的显示的方法
CN101501756A (zh) 用于遥控器、移动电话或pda的手持拇指盲打ascii/unicode键盘
US20130194190A1 (en) Device for typing and inputting symbols into portable communication means
KR20050048758A (ko) 터치스크린 또는 터치패드의 가상 버튼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20080095811A (ko) 문자입력장치
KR20200074556A (ko) 휴대용 키보드
CN101566906A (zh) 与外部显示装置连结的电子装置
US20080259036A1 (en) Ergonomic keys
KR20120064739A (ko) 지능형 휴대형 키보드 입력 장치
JP3071751B2 (ja) キー入力装置
KR20110048754A (ko) 터치스크린 패널을 이용한 정보입력방법
KR20190091690A (ko) 휴대용 키보드
KR101145537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 디바이스
KR20040034205A (ko) 센서를 이용한 휴대형 단말기의 문자입력 장치
KR101255801B1 (ko) 한글 입력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그것의 키패드 표시 방법
KR20180075029A (ko) 한글의 모음과 자음 사용빈도에 따른 전자통신기기의 문자입력방식
CA2579474C (en) Keypad and handheld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