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1690A - 휴대용 키보드 - Google Patents

휴대용 키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1690A
KR20190091690A KR1020180010545A KR20180010545A KR20190091690A KR 20190091690 A KR20190091690 A KR 20190091690A KR 1020180010545 A KR1020180010545 A KR 1020180010545A KR 20180010545 A KR20180010545 A KR 20180010545A KR 20190091690 A KR20190091690 A KR 201900916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board
cover
portable
key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0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재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키보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키보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키보플
Priority to KR1020180010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91690A/ko
Publication of KR20190091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16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6Arrangements for ergonomically adjusting the disposition of keys of a keybo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Arrangements integrating additional peripherals in a keyboard, e.g. card or barcode reader, optical scann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21Arrangements for reducing keyboard size for transport or storage, e.g. foldable keyboards, keyboards with collapsible ke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8Programmabl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Abstract

본 발명은 롤러가 구비된 휴대용 키보드에 관한 것으로 복수개의 키가 5열로 배열되며, 상측에는 키보드를 덮을 수 있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비된 휴대용 키보드에 있어서, 상부 1열 내지 4열의 한글 자음 키 배열부와 모음 키 배열부 사이에 중앙 공백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모음 키 배열부는 본체의 키 배열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된 센서에 의해 숫자의 입력으로 전환되도록 숫자키가 중복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키보드의 모음 키 배열부는 한글 입력 모드에서 타이핑의 최초에 모음 또는 공백(스페이스바)을 입력하거나 타이핑 중 공백(스페이스바) 또는 기호를 입력 후 모음 키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숫자 입력 모드로 전환되며, 이후 자음을 입력하면 모음 키 배열부가 한글 입력 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중앙 공백 영역의 하부에는 한글 'ㅠ' 입력 키가 2개 배열되고, 상기 커버는 본체의 상부에 복수개의 힌지로 결합되며, 커버의 내측면에는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이 유,무선으로 미러링(mirroring)되어 표시되도록 스크린 장치가 더 구비되고, 커버의 외측면에는 중앙 또는 좌,우에 거치대가 형성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힌지는 상기 커버의 일측에서 돌출되며 커버의 개방 각도에 따라서 상기 본체의 상단에 토출되어 휴대용 단말기가 거치되도록 소정 각도의 안착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중앙 공백 영역에는 전원키, 스페이스바, shift 키 또는 트랙 패드(track pad) 중 어느 하나가 더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상부에는 휴대용 단말기가 거치되는 거치 수단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복수의 키들이 배열되는 키 영역에서 중앙 부분의 키들을 제거한 중앙 공백 영역으로 인해 최적의 타이핑을 위한 왼손과 오른손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어 안정적인 타이핑 자세가 가능하고 신체적인 피로의 최소화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자음 키 배열부에 숫자 키와 기호 키 등을 중복 배열시켜 전환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숫자를 감소시켜 키보드의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숫자의 입력이 매우 간편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키 영역에 배열되는 키의 숫자가 감소되므로 종래와 같이 키의 사이즈를 감소시켜 촘촘하게 배열할 필요가 없어 오타가 발생할 가능성을 최소화하고 쾌적한 타이핑 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키보드 본체를 덮는 케이스에 거치대 및 본체에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하는 거치장치를 통해 언제 어디서나 키보드를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키보드 {PORTABLE KEYBOARD}
본 발명은 휴대용 키보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키보드 본체에 키보드 상부를 덮을 수 있는 케이스를 구비하여 휴대성이 높음은 물론 5열로 배열된 키들의 모음 키 배열부에 숫자 키를 중복 배치하고 본체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센서를 구비하여 센서에 의해 숫자 키로 전환되거나 최초 모음 키 및 공백 입력시 모음 키가 숫자 키로 자동 전환되어 숫자의 입력이 매우 간편한 휴대용 키보드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및 통신 기술의 발달로 스마트폰이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태블릿 컴퓨터 등 이동 단말기들의 성능이 향상되고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면서 보다 효과적이고 빠른 정보 입력 수단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동 단말기들은 소형화 또는 경량화를 위해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와 입력수단을 겸하는 일정 크기의 터치스크린을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에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된 키패드를 통해 문자나 숫자 등 정보를 입력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정보 입력은 일반적인 데스크탑 컴퓨터나 노트북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키보드 입력 장치에 비해 문자 입력 속도가 많이 떨어지고 장시간 사용하거나 많은 문자를 입력하기에는 불편함이 큰 문제가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다양한 휴대용 단말기용 키보드가 생산되는데 PC의 QWERTY배열을 그대로 사용하여 휴대성이 떨어지거나 휴대성을 강조하여 작은 사이즈로 제작하여 왼손과 오른손의 간격이 좁아 타이핑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키보드와 별도로 휴대용 단말기에 거치대를 부착하여 사용함으로써 이동시 무릎 등에 올려놓고 타이핑 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였으며, 언제 어디서나 휴대용 단말기에 문자 등을 입력하는 본연의 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2-0008365호(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에서는 키보드와 디스플레이장치를 함께 휴대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를 제안하였으나, 휴대성을 위해 키들을 작고 촘촘하게 배열함으로써 사용자는 어깨를 움츠린 자세로 타이핑을 하게 되어 이 또한 장시간 사용 시 어깨의 통증 등 신체적인 피로를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PC 키보드와 같은 키들의 배열로 숫자입력이 불편한 문제점 또한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5열로 배열된 키보드 본체의 자음 키 배열부와 모음 키 배열부 사이에 중앙 공백 영역을 구비하여 왼손과 오른손의 간격을 둘 수 있도록 하여 타이핑이 편함은 물론 휴대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키보드 본체의 상부를 덮는 케이스와 케이스의 거치대 및 본체의 거치 수단을 통해 다양한 크기의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하여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키보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더불어 모음 키 배열부에 숫자키가 중복되도록 배열하고 본체의 센서 또는 최초 모음 키 또는 공백(스페이스바)를 타이핑 하여 자동으로 숫자 키 입력 모드로 전환하여 숫자의 입력이 매우 간편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용 키보드는, 복수개의 키가 5열로 배열되며, 상측에는 키보드를 덮을 수 있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비된 휴대용 키보드에 있어서, 상부 1열 내지 4열의 한글 자음 키 배열부와 모음 키 배열부 사이에 중앙 공백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모음 키 배열부는 본체의 키 배열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된 센서에 의해 숫자의 입력으로 전환되도록 숫자키가 중복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키보드의 모음 키 배열부는 한글 입력 모드에서 타이핑의 최초에 모음 또는 공백(스페이스바)을 입력하거나 타이핑 중 공백(스페이스바) 또는 기호를 입력 후 모음 키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숫자 입력 모드로 전환되며, 이후 자음을 입력하면 모음 키 배열부가 한글 입력 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중앙 공백 영역의 하부에는 한글 'ㅠ' 입력 키가 2개 배열되고, 상기 커버는 본체의 상부에 복수개의 힌지로 결합되며, 커버의 내측면에는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이 유,무선으로 미러링(mirroring)되어 표시되도록 스크린 장치가 더 구비되고, 커버의 외측면에는 중앙 또는 좌,우에 거치대가 형성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힌지는 상기 커버의 일측에서 돌출되며 커버의 개방 각도에 따라서 상기 본체의 상단에 토출되어 휴대용 단말기가 거치되도록 소정 각도의 안착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키들이 배열되는 키 영역에서 중앙 부분의 키들을 제거한 중앙 공백 영역으로 인해 최적의 타이핑을 위한 왼손과 오른손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어 안정적인 타이핑 자세가 가능하고 신체적인 피로의 최소화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모음 키 배열부에 숫자 키와 기호 키 등을 중복 배열시켜 전환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숫자를 감소시켜 키보드의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숫자의 입력이 매우 간편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키 영역에 배열되는 키의 숫자가 감소되므로 종래와 같이 키의 사이즈를 감소시켜 촘촘하게 배열할 필요가 없어 오타가 발생할 가능성을 최소화하고 쾌적한 타이핑 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키보드 본체를 덮는 케이스에 거치대 및 본체에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하는 거치장치를 통해 언제 어디서나 키보드를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키보드의 닫힌 상태와 열린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키보드의 요부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키보드의 개방된 상태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키보드 중 모음 키 배열부의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키보드의의 다른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롤러가 구비된 휴대용 키보드(이하, '키보드'라함)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실시 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1)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키가 5열로 배열되며, 상측에는 키보드(1)를 덮을 수 있는 커버(10)를 포함하여 구비된 휴대용 키보드에 있어서, 상부 1열 내지 4열의 한글 자음 키 배열부(21)와 모음 키 배열부(22) 사이에 중앙 공백 영역(23)이 형성되고, 상기 모음 키 배열부(22)는 본체(20)의 키 배열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된 센서(24)에 의해 숫자의 입력으로 전환되도록 숫자키가 중복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일반적인 PC의 기계식 키보드에 비해 작은 사이즈로 형성되는 본 발명의 키보드(1)는 통상 한글의 자음이 배열되는 키보드(1) 왼쪽의 한글 자음 키 배열부(21)와 한글의 모음 및 기호가 배열되는 키보드(1) 오른쪽의 한글 모음 키 배열부(22) 사이에 오른손과 왼손의 간격을 벌려 타이핑 할 수 있도록 중앙 공백 영역(23)이 형성된다.
따라서, 장시간 타이핑에도 손목과 어깨 등의 피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기계식 키보드의 상측과 오른쪽에 중복 배치된 숫자키를 상기 모음 키 배열부(22)에 중복되게 배치하여 오른손으로 숫자를 매우 간편하게 입력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키보드(1)의 모음 키 배열부(22)는 한글 입력 모드에서 타이핑의 최초에 모음 또는 공백(스페이스바)을 입력하거나 타이핑 중 공백(스페이스바) 또는 기호를 입력 후 모음 키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숫자 입력 모드로 전환되며, 이후 자음을 입력하면 모음 키 배열부(22)가 한글 입력 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모음 키 배열부(22)의 "ㅛ, ㅕ, ㅑ, ㅐ, ㅔ, ㅗ, ㅓ, ㅏ, ㅣ, ㅠ, ㅜ, ㅡ" 는 일반적 키보드와 같이 배열되며, 상기 모음 키 중 "ㅕ, ㅑ, ㅐ, ㅓ, ㅏ, ㅣ, ㅜ, ㅡ, ,(쉼표)" 키에는 각각 '7, 8, 9, 4, 5, 6, 1, 2, 3'이 배열되고 통상 가장 많이 사용하는 숫자 '0'을 스페이스바 오른쪽 키에 중복 배열한다.
또한, 상기 모음 키 배열부(22)에 중복 배치된 숫자 키는 모음 중 "ㅕ, ㅑ, ㅐ, ㅓ, ㅏ, ㅣ, ㅜ, ㅡ, ,(쉼표)" 키에 각각 "7, 8, 9, 4, 5, 6, 1, 2, 3"이 중복 배치되고 스페이스바의 오른쪽 키에 "0"이 중복 배치되며, "7, 4, 1", "3, 5, 2, 0" 및 "9, 6, 3"은 각각 세로 방향으로 일직선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일반적인 키보드의 오른쪽에 배열된 숫자키와 같이 세로 방향의 일직선상에 배열되는 "7, 4, 1", "3, 5, 2, 0" 및 "9, 6, 3"를 각각 일직선상에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통상 사선방향으로 배열되는 키보드의 문자 입력 키에서 숫자의 가시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오른손으로 센서(24)를 터치한 후 왼손으로 숫자 키를 간편하게 입력하는 숫자 키의 배열은 특히 문자 입력시 숫자 입력이 필수적인 일본어, 중국어 등 한자를 입력할 경우 타이핑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모음 키 배열부(22) 중 숫자 키가 중복 배열되는 상기 모음 키를 제외한 모음에는 각종 기호 키가 중복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숫자 키 배열은 기계식 키보드의 오른쪽에 별도로 배열된 숫자 배열과 같아 사용자가 오른손으로 보다 용이하게 숫자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모음 키 배열부(22)의 숫자를 입력하기 위해서 상기 센서(24)를 왼손으로 터치하게 되면 숫자 키 입력 모드로 전환되고 오른손으로 모음 키 배열부(22)의 숫자 키를 간편하게 입력하다.
물론, 상기 센서(24)는 광센서로 형성될 수 있으나 타이핑 중 실수로 광센서를 가릴 우려가 있어 터치센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왼손의 손가락으로 자연스럽게 터치할 수 있도록 키배열부에서 소정 간격 이격된 본체(20)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숫자 키 입력 모드의 전환은 별도의 'fn'키를 입력 후 사용할 수 있으며, 최초 타이핑 시 한글 모음을 입력하는 경우는 거의 없어 상술한 바와 같이 한글 입력 모드에서 최초 모음 또는 공백(스페이스바)을 입력하거나 타이핑 중 공백(스페이스바) 또는 기호를 입력 후 모음 키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숫자 입력 모드로 전환되어 간편하게 숫자를 입력할 수 있으며, 자음을 입력하면 다시 한글을 입력할 수 있는 원상태로 자동 복원되게 된다.
이와 더불어 각 키의 표면에는 키 입력 상태(normal, shift, touch sensor 및 fn)에서 입력되는 문자, 숫자, 기호 또는 특정 기능을 나타내는 아이콘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키 표면의 한정된 공간에 모든 키 입력 상태의 문자, 숫자, 기호 또는 특정 기능을 나타내는 아이콘 등이 표시되는 경우 가독성이 좋지 못하므로 일부의 키 입력 상태, 예를 들어 센서(24)에 해당하는 아이콘 등은 키의 표면이 아닌 키의 상부와 같은 키 주변에 표시될 수 있으며,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노랑색이나 주황색 등 눈에 잘 띄는 특정 색상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그리고 센서가 동작되는 경우 이를 나타내는 LED 표시등과 같은 별도의 표시 수단이 본체(20)에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숫자 입력 방법은 기계식 키보드는 물론 노트북 키보드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일반적인 키보드에 적용될 경우 상기 중앙 공백 영역(23) 없이 모음 키 배열부(22)에 숫자키를 상술한 바와 같이 중복 배열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중앙 공백 영역(23)의 하부에는 한글 'ㅠ' 입력 키가 2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일반 규격의 키보드 및 노트북에 적용될 경우 중앙 공백 영역(23)의 하부에 한글 'ㅠ' 입력 키가 비교적 길게 하나로 배열될 수 있다.
즉, 도 4와 같이 영어 'B'와 'N' 또는 한글 'ㅠ'와 'ㅜ'를 표시하는 키는 사용자에 따라서 왼손으로 타이핑을 하거나 오른손으로 타이핑을 하게 되는데, 'B' 또는 'ㅠ' 키는 오른손으로 타이핑을 하는 경우 왼손으로 타이핑을 하는 경우보다 하나의 키 만큼 거리가 있어 손가락을 더 벌려야 하고, 'N' 또는 'ㅜ' 키는 왼손으로 타이핑을 하는 경우 오른손으로 타이핑을 하는 경우보다 하나의 키 만큼 거리가 있어 손가락을 더 벌려야 한다. 참고로 특정 키를 타이핑 하기 위해 손가락을 더 벌려야 한다는 것은, 반복되는 타이핑 동작에서 손가락에 큰 부담을 주게 된다.
따라서 중앙 공백 영역(23)의 하단에 'B' 또는 'ㅠ'를 표시하는 키를 더 배열하거나 'N' 또는 'ㅜ'를 표시하는 키를 하나 더 배열하여 왼손 또는 오른손 어느 손으로 타이핑을 하더라도 종래의 방식과 달리 손가락을 더 벌릴 필요가 없어 반복되는 타이핑 시 손가락에 가해지는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1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20)의 상부에 복수개의 힌지(12)로 결합되며, 커버(10)의 내측면에는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이 유,무선으로 미러링(mirroring)되어 표시되도록 스크린 장치(13)가 더 구비되고, 커버(10)의 외측면에는 중앙 또는 좌,우에 거치대(14)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거치대(14)는 상기 커버(10)에서 일체로 소정 간격 회동되는 거치대로 구비될 수 있으며, 탈부착이 가능한 별도의 거치대(14)를 구비하여 커버(10)의 각도를 조절하거나 커버(10)를 본체(20)와 같은 각도로 평면상에 위치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책상 등에 거치대(14)를 이용하여 커버(10)를 소정 각도 기울인 상태로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하여 타이핑 하고, 거치대(14)를 펴지 않거나 별도의 거치대(14)를 부착하지 않고 무릎 등에 자연스럽게 펼쳐 사용할 수 있어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타이핑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10)의 내부에는 금속판(11)이 내장되고, 상기 거치대(14)에는 상기 금속판(11)과 대응되어 탈부착될 수 있도록 일측면에 자석(14a)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커버(10)는 플라스틱 재질로 상기 금속판(11)이 내장되도록 사출 성형되고 상기 거치대(14)는 일측에 상기 금속판(11)과 대응되어 간편하게 탈부착되도록 자석(14a)이 접착제 등에 의해 부착된다.
이때, 상기 거치대(14)는 휴대용 단말기의 뒷면에 접착식으로 부착되고 손가락을 끼워 파지할 수 있는 일반적인 거치대는 물론 부착판에서 회동되는 어떠한 거치대든 사용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힌지(12)는 상기 커버(10)의 일측에서 돌출되며 커버(10)의 개방 각도에 따라서 상기 본체(20)의 상단에 토출되어 휴대용 단말기가 거치되도록 소정 각도의 안착부(12a)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안착부(12a)에는 태블릿 PC와 같은 비교적 큰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10)의 내측면 일측에는 노트북의 커버를 열고 닫는 동작으로 전원을 on/off 하는 방법 중 하나인 마그네틱 센서 방법과 같이 마그네틱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10)의 내측면에 도 6과 같이 휴대용 단말기와 유선 또는 블루투스 등의 무선 방식으로 미러링되어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스크린 장치(13)를 구비하여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하지 않고도 보다 편리하게 타이핑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5와 같이 상시 센서(24)는 스페이스바 하부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타이핑 자세에서 오른손의 이동을 더욱 줄여 터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숫자를 보다 빠르고 용이하게 타이핑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중앙 공백 영역(23)에는 전원키, 스페이스바, shift 키 또는 트랙 패드(track pad) 중 어느 하나가 더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키보드 배열을 기계식 키보드와 같이 비교적 큰 사이즈로 적용할 경우 상기 중앙 공백 영역(23)이 보다 넓어져 전원키 등 자주 사용하는 키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본체(20)의 상부에는 단말기가 거치되는 거치 수단(25)이 형성된다. 즉, 상기 거치 수단(25)은 휴대용 단말기를 커버(10)의 내측에 거치한 상태로 휴대용 단말기의 하부를 지지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본체(20)의 상부에는 결합홈(26)이 형성되고, 상기 거치 수단(25)은 상기 결합홈(26)에 축결합되어 회동되는 회동부(25a)와 상기 회동부(25a)에서 일체로 형성되어 휴대용 단말기의 하부를 지지하는 판상의 지지부(25b)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25b)의 중앙부에서 손가락을 넣어 거치 수단(25)의 회동이 용이하도록 파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25b)는 상기 회동부(25a)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동부(25b)와 함께 회동할시 수직으로 세워지게 되면 상기 결합홈(26)의 양측에 지지부(15b)의 양측이 밀착되어 더 이상 회동되지 않도록 하여 휴대용 단말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거치 수단(25)은 상술한 바와 같이 판상의 지지부(25b)가 휴대용 단말기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수직으로 회동될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의 하부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홈이 형성된 거치 수단(25)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센서(24)는 터치센서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20)의 상부에는 상기 센서(24)의 동작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등(27)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센서(24)는 광센서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타이핑 중 광센서를 가려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터치센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들과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1: 키보드 10: 커버
12: 힌지 13: 스크린 장치
14: 거치대 20: 본체
21: 자음 키 배열부 22: 모음 키 배열부
23: 중앙 공백 영역 24: 센서
25: 거치수단 26: 결합홈
27: 표시등

Claims (10)

  1. 복수개의 키가 5열로 배열되며, 상측에는 키보드(1)를 덮을 수 있는 커버(10)를 포함하여 구비된 휴대용 키보드에 있어서,
    상부 1열 내지 4열의 한글 자음 키 배열부(21)와 모음 키 배열부(22) 사이에 중앙 공백 영역(23)이 형성되고, 상기 모음 키 배열부(22)는 본체(20)의 키 배열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된 센서(24)에 의해 숫자의 입력으로 전환되도록 숫자키가 중복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키보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1)의 모음 키 배열부(22)는 한글 입력 모드에서 타이핑의 최초에 모음 또는 공백(스페이스바)을 입력하거나 타이핑 중 공백(스페이스바) 또는 기호를 입력 후 모음 키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숫자 입력 모드로 전환되며, 이후 자음을 입력하면 모음 키 배열부(22)가 한글 입력 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키보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공백 영역(23)의 하부에는 한글 'ㅠ' 입력 키가 2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키보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 키 배열부(22)에 중복 배치된 숫자 키는 모음 중 "ㅕ, ㅑ, ㅐ, ㅓ, ㅏ, ㅣ, ㅜ, ㅡ, ,(쉼표)" 키에 각각 "7, 8, 9, 4, 5, 6, 1, 2, 3"이 중복 배치되고 스페이스바의 오른쪽 키에 "0"이 중복 배치되며, "7, 4, 1", "3, 5, 2, 0" 및 "9, 6, 3"은 각각 세로 방향으로 일직선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키보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0)는 본체(20)의 상부에 복수개의 힌지(12)로 결합되며, 커버(10)의 내측면에는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이 유,무선으로 미러링(mirroring)되어 표시되도록 스크린 장치(13)가 더 구비되고, 커버(10)의 외측면에는 중앙 또는 좌,우에 거치대(1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키보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0)의 내부에는 금속판(11)이 내장되고, 상기 거치대(14)에는 상기 금속판(11)과 대응되어 탈부착될 수 있도록 일측면에 자석(14a)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키보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12)는 상기 커버(10)의 일측에서 돌출되며 커버(10)의 개방 각도에 따라서 상기 본체(20)의 상단에 토출되어 휴대용 단말기가 거치되도록 소정 각도의 안착부(12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키보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0)의 상부에는 휴대용 단말기가 거치되는 거치 수단(2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키보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0)의 상부에는 결합홈(26)이 형성되고, 상기 거치 수단(25)은 상기 결합홈(26)에 축결합되어 회동되는 회동부(25a)와 상기 회동부(25a)에서 일체로 형성되어 휴대용 단말기의 하부를 지지하는 판상의 지지부(25b)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키보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24)는 터치센서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20)의 상부에는 상기 센서(24)의 동작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등(27)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키보드.
KR1020180010545A 2018-01-29 2018-01-29 휴대용 키보드 KR201900916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545A KR20190091690A (ko) 2018-01-29 2018-01-29 휴대용 키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545A KR20190091690A (ko) 2018-01-29 2018-01-29 휴대용 키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1690A true KR20190091690A (ko) 2019-08-07

Family

ID=67621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0545A KR20190091690A (ko) 2018-01-29 2018-01-29 휴대용 키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9169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30199B2 (en) Compact universal keyboard
US8164570B2 (en) Condensed keyboard for electronic devices
US6789967B1 (en) Distal chording keyboard
US6757157B2 (en) Folding electronic device
US20050091431A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US20050125570A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AU2012214119B2 (en) Keypad
KR20030090633A (ko) 키보드 비사용 터치 타이핑용 시스템 및 방법
KR101343896B1 (ko) 휴대용 컴퓨터
US20130194190A1 (en) Device for typing and inputting symbols into portable communication means
JP2003258977A (ja) 携帯電話器
KR100855448B1 (ko) 영자 입력을 위한 키패드
KR20120003327U (ko) 한 손 자판
CN101083674A (zh) 一种将手机和电脑集成在一起的方法
JP4410916B2 (ja) キー入力装置および携帯電話機
KR20190091690A (ko) 휴대용 키보드
KR20200074556A (ko) 휴대용 키보드
CN211207296U (zh) 适于单手进行输入的单手键盘
JP3590747B2 (ja) キー入力装置
JPH06138976A (ja) 情報処理装置
US20200150779A1 (en) Keyboard
JP3201735U (ja) キー入力装置
BRMU9001559U2 (pt) teclado para um dispositivo eletrÈnico de mão
EP2407857A2 (en) The method of data inputting into digital devices, stationary and mobile and the keyboard for data inputting into digital devices, stationary and mobile
JPH0195313A (ja) 情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