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5448B1 - 영자 입력을 위한 키패드 - Google Patents

영자 입력을 위한 키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5448B1
KR100855448B1 KR1020070022387A KR20070022387A KR100855448B1 KR 100855448 B1 KR100855448 B1 KR 100855448B1 KR 1020070022387 A KR1020070022387 A KR 1020070022387A KR 20070022387 A KR20070022387 A KR 20070022387A KR 100855448 B1 KR100855448 B1 KR 100855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keys
primary
auxiliary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2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용
Original Assignee
박찬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찬용 filed Critical 박찬용
Priority to KR1020070022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54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5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5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6Arrangements for ergonomically adjusting the disposition of keys of a keybo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자 입력을 위한 키패드에 관한 것으로, 중앙에 하나의 기본키를 중심으로 주변에 8개의 기본키가 원형으로 배치되고, 이들 기본키들의 주변에 확장된 원형으로 16개의 보조키를 추가로 배치된다. 이러한 키패드 중 하나의 키에만 두개의 영자를 배치하고 나머지 키들에는 영자를 각각 하나씩만 배치함으로써 영자를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모음(A, E, I, O, U)을 십자가, T자, I자 또는 ㅡ자 형태로 배치하고, 반모음(Y)을 모음과 인접한 키에 배치함으로써, 영자 배열을 쉽게 익히고 편리하게 영자를 입력할 수 있다.
영자, 키패드, 기본키, 보조키, 25키

Description

영자 입력을 위한 키패드{Key pad for English text inpu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의 영어 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키패드를 이용한 영문 입력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영자 배치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키패드를 이용한 영문 입력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영자 배치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키패드를 이용한 영문 입력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영자 배치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키패드를 이용한 영문 입력의 제4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영자 배치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를 이용한 영자 입력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영자 입력을 위한 키패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영문자를 보다 더 편하게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문자를 입력하여 표시하는 장치로는 대표적으로 컴퓨터 또는 타자기, 최근 들어 전자수첩, 리모콘, 컴퓨터 게임,PDA, 휴대폰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컴퓨터, 타자기, 전자수첩의 경우 문자를 입력하려면 문자의 자소에 대응하는 다수의 키들이 구비되어야 하고, 이들 키의 각각에는 특정 형태의 코드를 부여하여 이들의 조합에 의해서 문자를 형성하여 표시하게 된다.
이와 같이 문자를 입력하여 표시하는 장치는 다수의 키가 배열된 키보드를 필수적으로 구비하여야 하고, 문자(한글 또는 영문자)를 소망하는 형태로 원활하게 입력 표시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영문 26자에 해당하는 문자키, 특정키를 구비하여야 하므로 다수의 키에 의하여 소형화가 어렵고, 휴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에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소형의 문자 입력 장치 즉 전자수첩, 리모콘, 컴퓨터게임, PDA, 전자계산기, 이동무선통신단말기(휴대폰)의 경우, 부가서비스 기능에 문자입력의 필요성이 날로 증대되어 문자 입력에도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 문자 입력이 부가서비스로 이용되는 장치들은 대부분이 소형이므로, 그에 따른 키패드도 소형이기 때문에 한정된 키패드 내에서 알파벳 총 26개 자,모음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키버튼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자소가 중복 배열되게 된다. Computer Keyboard 배열부터 분석해 본다.
영어 표준자판 QWERTY 배열이 135년간 사용되고 있는 배경을 다음의 영문자료로 재조명해 본다.
By Mikael Krogerus ( a member of the NZZ-Folio editorial team)
The way the keys are arranged on the keyboard has a strange history. Because the keys of the first typewriters were prone to jamming, in 1873 Christopher Sholes arranged the letters on the keyboard in such a way that quick typing was impossible.
He placed commonly combined letters far apart, and in a malicious slight on right-handers put E, A and T, the three most common letters in the English language, on the left-hand side. The upper row of characters, which began with QWERTY(slightly different on German keyboards: QWERTZ), gave the keyboard its name. The really astonishing thing is that even though the reason for this deliberately un-ergonomic layout is long since history, Qwerty lives on in the age of computers.
The reason why no improvement has been made to an idea that began as a brilliant invention but now makes no sense at all can be explained in terms of the "lock-in" principle.
이상의 논설이 지적하듯이 타자기를 빨리 칠 때, 활자 뭉치가 서로 엉켜서 고장 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알파벳을 배열할 때 자주 쓰는 글자는 구석에 더듬거리는 왼쪽 새끼손가락으로 치도록 배열하거나, 사용 빈도가 아주 작은 J를 가장 날렵하고 빠른 오른손 인지(Index Finger)에 배열함으로서, 비합리적이고 신체 리듬에 역행하며 생명 공학적으로 비친화적이기 때문에 현재의 IT World 입장으로서는 QWERTY배열은 시작부터 단추가 잘못 끼워진 발명품이 됐다. 지금 영어권은 BlackBerry사를 선두로 인류에 친숙한 4x3 Matrix 12키 휴대폰 자판 대신 불편한 발명품 26키 QWERTY 배열을 휴대폰에 탑재하고 있는 현실이다.
The original rotary dial phone used a circular dial with three letters assigned to each of the numerals two through nine, omitting the letters "Q" and "Z."
The conventional cell phone layout assigned four letters to the numbers seven and nine to incorporate the previously missing letters "Q" and "Z." Unfortunately, "Q"shares the number seven with three highly used letters, "P," "R," and "S." Indeed, imputing the highly used letter "S"requires pressing the number seven keypad a total of four times. Likewise, "Z" shares the number nine with the letters "W," "X," and "Y." Again, to imput the letter "Z," one must press the number nine keypad four times.
윗 글에서 옛날 다이얼 전화기 8개 키에 배열된 알파벳을 그대로 휴대폰 8개 키에 옮기면서 휴대폰 영어 문자입력이 왜 시작 단추부터 잘못 끼워진 사연을 살펴보고자 한다. 다이얼 전화기에 Q와 Z가 없었다가 휴대폰에서 7번 키와 8번 키 에다 환원 배열시키느라 1키에 4자음이 뭉쳐 있게 된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이 제시하는 영자 입력을 위한 키패드는 중앙에 하나의 기본키를 중심으로 주변에 8개의 기본키가 원형으로 배치되고, 이들 기본키들의 주변에 확장된 원형으로 16개의 보조키를 추가로 배치된다. 이러한 키패드 중 하나의 키에만 두개의 영자를 배치하고 나머지 키들에는 영자를 각각 하나씩만 배치함으로써 영자를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모음(A, E, I, O, U)을 십자가, T자, I자 또는 ㅡ자 형태로 배치하고, 반모음(Y)을 모음과 인접한 키에 배치함으로써, 영자 배열을 쉽게 익히고 편리하게 영자를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자 입력을 위한 키패드는 3행 3열로 배치된 제1 내지 제9 기본키, 및 기본키들 둘레에 배치된 제1 내지 제16 보조키를 포함하며, 모음에 해당하는 'A', 'E', 'I', 'O' 및 'U'가 기본키들 중 일부에 십자가 형태로 배치되는 키패드.
상기에 있어서, 'I'가 1행 2열의 제2 기본키에 배치되고, 'A'가 2행 1열의 제4 기본키에 배치되고, 'E'가 2행 2열의 제5 기본키에 배치되고, 'O'가 2행 3열의 제6 기본키에 배치되고, 'U'가 3행 2열의 제8 기본키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자 입력을 위한 키패드는 3행 3열로 배치된 제1 내지 제9 기본키, 및 기본키들 둘레에 배치된 제1 내지 제16 보조키를 포함하며, 모음에 해당하는 'A', 'E', 'I', 'O' 및 'U'와 'Y'가 기본키들 및 보조키들 중 일부에 'T'자 형태 또는 뒤집힌 T자 형태로 배치된다.
상기에서, 'A'가 1행 2열의 제2 기본키에 배치되고, 'E'가 2행 2열의 제5 기본키에 배치되고, 'I'가 3행 2열의 제8 기본키에 배치되고, 'O'가 제2 기본키 상측의 제1 보조키에 배치되고, 'Y' 및 'U'가 제1 보조키 양측의 제2 및 제16 보조키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또한, 'I'가 1행 2열의 제2 기본키에 배치되고, 'E'가 2행 2열의 제5 기본키에 배치되고, 'A'가 3행 2열의 제8 기본키에 배치되고, 'O'가 제8 기본키 하측의 제9 보조키에 배치되고, 'Y' 및 'U'가 제9 보조키 양측의 제8 및 제10 보조키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자 입력을 위한 키패드는 3행 3열로 배치된 제1 내지 제9 기본키, 및 기본키들 둘레에 배치된 제1 내지 제16 보조키를 포함하며, 모음에 해당하는 'A', 'E', 'I', 'O' 및 'U'가 기본키들 및 보조키들 중 일부에 열방향 또는 행방향으로 연속해서 배치된다.
상기에서, 'I'가 1행 2열의 제2 기본키에 배치되고, 'E'가 2행 2열의 제5 기본키에 배치되고, 'A'가 3행 2열의 제8 기본키에 배치되고, 'O'가 제2 기본키 상측의 제1 보조키에 배치되고, 'U'가 제8 기본키 하측의 제9 보조키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A'가 2행 1열의 제4 기본키에 배치되고, 'E'가 2행 2열의 제5 기본키에 배치되고, 'O'가 2행 3열의 제6 기본키에 배치되고, 'I'가 제4 기본키 좌측의 제13 보조키에 배치되고, 'U'가 제6 기본키 우측의 제5 보조키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들에서, 모음이 배치된 기본키들 중 하나의 기본키에 하나의 자음이 중복 배치되고, 모음이 배치되지 않은 나머지 기본키들 및 보조키들에 나머지 자음이 배치된다. 이때, 제5 기본키에 자음이 중복 배치될 수 있으며, 제5 기본키에 'Q'가 중복 배치될 수 있다.
중복 배치된 자음은 제5 기본키가 세 번 또는 네 번 연속 눌러짐에 따라 대문자 또는 소문자가 구분되어 입력되거나, 제5 기본키가 세 번 연속 눌러지거나 세 번째에 길게 눌러짐에 따라 대문자 또는 소문자가 구분되어 입력된다.
모음이 배치된 기본키들 중 어느 하나의 기본키와 인접하는 기본키 또는 보조키에 'Y'가 배치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는 본원의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의 영어 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는 9개의 기본키들(제1 내지 제9 기본키; B1 내지 B9)과 기본키들의 둘레에 배치된 16개의 보조키들(제1 내 지 제16 보조키; A1 내지 A16)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내지 제9 기본키들(B1 내지 B9)은 3행 3열로 배치되며, 중앙에 제5 기본키(B5)가 배치되면서 제5 기본키(B5)를 중심으로 나머지 기본키들(B1 내지 B4, B6 내지 B9)이 제5 기본키(B5) 주변의 원형 내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1 내지 제16 보조키들(A1 내지 A16)은 원형으로 배치된 기본키들(B1 내지 B9)의 둘레에 확장된 원형 형태로 배치된다. 예를 들어, 12시(제2 기본키 상단)에 제1 보조키(A1)가 배치되고, 시계 방향으로 제2 내지 제16 보조키(A2 내지 A16)가 키본키들(B1 내지 B9) 주변에 원형으로 배치된다.
상기의 배치에 따르면, 제8 내지 제10 보조키(A8 내지 A10)가 제7 내지 제9 기본키(B7 내지 B9)의 하단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1 내지 제9 기본키(B1 내지 B9)와, 제8 내지 제10 보조키(A8 내지 A10)가 숫자 입력키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9 기본키(B1 내지 B9)로 1부터 9를 입력하고, 제8 내지 제10 보조키(A8 내지 A10)로 숫자 0과, * 및 # 입력키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의 배열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키패드에 영문을 배열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키패드를 이용한 영문 입력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영자 배치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영문은 26개의 문자로 이루어지며, 26개의 영문자에는 5개의 모음(A, E, I, O 및 U)과 한 개의 반모음(Y)이 포함된다. 이 중에서, 모음은 사용빈도가 높기 때문에 모음을 배열하는 방법이 중요하다. 본 발명은 사용빈도가 높은 5개의 모음을 전체 키들 중 중앙에 위치하는 기본키들의 일부에 십자가 형태로 배열한다. 예를 들어, 제2 기본키(B2), 제4 내지 제6 기본키(B4 내지 B6) 및 제8 기본키(B8)를 이용하여 5개의 모음(A, E, I, O 및 U)을 입력할 수 있도록 모음을 배열한다. 그리고, 반모음(Y)은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기본키들 중 어느 하나와 인접하는 기본키 또는 보조키를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술하는 다른 실시예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제2 기본키(B2)에 'I'를 배치하고, 제4 내지 제6 기본키(B4 내지 B6)에 'A', 'E' 및 'O'를 각각 배치하고, 제8 기본키(B8)에 'U'를 배치할 수 있다. 상기에서 'O', 'I', 'E', 'A' 및 'U'의 배치는 십자가 영역 내에서 변경 가능하다. 그리고,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기본키들 중 어느 하나의 입력키와 인접하는 입력키에 반모음(Y)을 배치할 수 있으며, 도 2에서는 'A'를 입력하는 제4 기본키(B4)와 인접한 제13 보조키(A13)에 반모음(Y)을 배치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모음과 반모음을 입력하는데 사용되지 않는 나머지 기본키들과 보조키들에 자음을 배치한다. 영문은 26자이며, 입력키는 모두 25개이므로, 하나의 키에는 두개의 문자가 배치되어야 한다. 자음 중에서 사용 빈도가 낮은 문자들 중 하나(예를 들어, Q)를 다른 문자와 중복되도록 배치한다. 이때, 사용빈도가 낮은 문자는 입력키들 중 중앙에 위치하는 제5 기본키(B5)에 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빈도가 낮은 문자(예를 들어, Q)는 모음(예를 들어, E)과 중복 배치된다. 이로 인해, 제5 기본키(B5)는 'E' 및 'Q'를 입력하는 경우에 모두 사용되는데, 기본적으로 'E'를 입력하는데 사용된다. 이때, 제5 기본키(B5)가 세 번 연속 눌러지면 'q'가 입력되 고 네 번 연속 눌러지면 대문자 'Q'가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제5 기본키(B5)가 세 번 연속 눌러지면 'q'가 입력되고, 세 번째에 길게 눌러지면 대문자 'Q'가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대소문자의 입력은 편의에 따라 반대로 설정할 수도 있다.
나머지 자음들은 모음과 반모음을 입력하는데 사용되지 않는 나머지 기본키들과 보조키들에 배치되는데,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기본키(B1)에는 'T'를 배치하고, 제3 기본키(B3)에는 'N'를 배치하고, 제7 기본키(B7)에는 'R'를 배치하고, 제9 기본키(B9)에는 'L'를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보조키들 중에서 제1 보조키(A1)에는 'H'를 배치하고, 제2 보조키(A2)에는 'C'를 배치하고, 제3 보조키(A3)에는 'D'를 배치하고, 제4 보조키(A4)에는 'G'를 배치하고, 제5 보조키(A5)에는 'M'를 배치하고, 제6 보조키(A6)에는 'P'를 배치하고, 제7 보조키(A7)에는 'K'를 배치하고, 제8 보조키(A8)에는 'J'를 배치하고, 제9 보조키(A9)에는 'Z'를 배치하고, 제10 보조키(A10)에는 'X'를 배치하고, 제11 보조키(A11)에는 'V'를 배치하고, 제12 보조키(A12)에는 'B'를 배치하고, 제14 보조키(A14)에는 'S'를 배치하고, 제15 보조키(A15)에는 'F'를 배치하고, 제16 보조키(A16)에는 'W'를 배치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서술된 자음 배열은 모음과 반모음을 입력하는데 사용되지 않는 나머지 기본키들과 보조키들에 변경되어 배치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각각의 키들은 한번 눌러지면 대문자를 표시하고 두 번 연속 눌러지면 소문자를 표시하거나 그 반대로 대문자와 소문자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키들은 한번 눌러지면 대문자를 표시하고 길게 한번 눌러지면 소문자를 표시하거나 그 반대로 대문자와 소문자를 표시할 수 있다. 예외적으로, 모음과 자음이 동시에 배치되는 제5 기본키(B5)는 상기에서 서술한 방법으로 모음과 자음을 구분하여 입력한다.
상기의 키 배열을 살펴보면, 사용 빈도가 높은 모음을 중앙에 십자가 형태로 배치할 뿐만 아니라, 그 외의 자음들을 각각 하나의 입력키에 하나씩 배치함으로써 사용빈도가 낮은 자음 하나만을 제외한 모든 자음을 한번의 키입력만으로 입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자음 배치에 있어서도, 사용 빈도수뿐만 아니라 알파벳의 연속성과 생명공학적인 생체리듬을 고려하여 배열함으로써, 외우기 쉽고 운지 거리가 짧아져 보다 빠르게 영문을 입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키패드를 이용한 영문 입력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영자 배치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키패드를 이용한 영문 입력의 제2 실시예에서는 사용빈도가 높은 5개의 모음(A, E, I, O 및 U) 및 반모음(Y)을 전체 키들의 중앙에 위치하는 기본키들을 이용하여 T자 형태로 배열한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보조키(A1 및 A2)와, 제16 보조키(A16)와, 제2, 제5 및 제8 기본키(B2, B5 및 B8)를 이용하여 5개의 모음(A, E, I, O 및 U) 및 반모음(Y)을 입력할 수 있도록 모음을 배열한다. 여기서, 반모음(Y)은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키들 중 어느 하나와 인접하는 키를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 T'자 형태의 영역 내에서 모음과 함께 배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제16 보조키(A16)에 반모음(Y)을 배치하고, 제1 보조키(A1)에 'O'를 배치하고, 제2 보조키(A2)에 'U'를 배치하고, 제2 기본키(B2)에 'A'를 배치하고, 제5 기본키(B6)에 'E'를 배치하고, 제8 기본키(B8)에 'I'를 배치할 수 있다. 상기에서 'O', 'I', 'E', 'A', 'U' 및 'Y'의 배치는 T자 형태의 영역 내에서 변경 가능하다.
모음과 반모음을 입력하는데 사용되지 않는 나머지 기본키들과 보조키들에 자음을 배치한다. 이때,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자음 중에서 사용 빈도가 낮은 문자들 중 하나(예를 들어, Q)를 다른 문자와 중복되도록 배치한다. 사용빈도가 낮은 문자는 입력키들 중 중앙에 위치하는 제5 기본키(B5)에 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빈도가 낮은 문자(예를 들어, Q)는 모음(예를 들어, E)과 중복 배치된다. 이때, 제5 기본키(B5)가 세 번 연속 눌러지면 'q'가 입력되고 네 번 연속 눌러지면 대문자 'Q'가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제5 기본키(B5)가 세 번 연속 눌러지면 'q'가 입력되고, 세 번째에 길게 눌러지면 대문자 'Q'가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대소문자의 입력은 편의에 따라 반대로 설정할 수도 있다.
나머지 자음들은 모음과 반모음을 입력하는데 사용되지 않는 나머지 기본키들과 보조키들에 배치되는데,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기본키(B1)에는 'H'를 배치하고, 제3 기본키(B3)에는 'N'를 배치하고, 제4 기본키(B4)에는 'T'를 배치하고, 제6 기본키(B6)에는 'R'를 배치하고, 제7 기본키(B7)에는 'S'를 배치하고, 제9 기본키(B9)에는 'L'를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보조키들 중에서 제3 보조키(A3)에는 'G'를 배치하고, 제4 보조키(A4)에는 'D'를 배치하고, 제5 보조키(A5)에는 'M'를 배치하고, 제6 보조키(A6)에는 'K'를 배치하고, 제7 보조키(A7)에는 'J'를 배치하고, 제8 보조키(A8)에는 'Z'를 배치하고, 제9 보조키(A9)에는 'X'를 배치하고, 제10 보조키(A10)에는 'V'를 배치하고, 제11 보조키(A11)에는 'B'를 배치하고, 제12 보조키(A12)에는 'P'를 배치하고, 제13 보조키(A13)에는 'C'를 배치하고, 제14 보조키(A14)에는 'W'를 배치하고, 제15 보조키(A15)에는 'F'를 배치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서술된 자음 배열은 모음과 반모음을 입력하는데 사용되지 않는 나머지 기본키들과 보조키들에 변경되어 배치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에서는 모음과 반모음이 T자 형태의 영역에 배치되었으나, 뒤집힌 T자 형태의 영역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6, 제1 및 제2 보조키(A16, A1 및 A2)에 배치된 모음 및 반모음 배치를 제8 내지 제10 보조키(A8 내지 A10)에 배치된 자음과 바꾸어 배치하면 된다. 또한, 90도 또는 270도 회전한 T자 형으로 배치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키패드를 이용한 영문 입력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키패드를 이용한 영문 입력의 제3 실시예에서는 사용빈도가 높은 5개의 모음(A, E, I, O 및 U)을 중앙의 열방향에 위치하는 키들에 각각 배치한다. 예를 들어, 제1 보조키(A1)에 'O'를 배치하고, 제2 기본키(B2)에 'I'를 배치하고, 제5 기본키(B5)에 'E'를 배치하고, 제8 기본키(B)에 'A'를 배치하고, 제9 보조키(A1)에 'U'를 배치한다. 한편, 반모음(Y)은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키들 중 어느 하나와 인접하는 키를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16 보조키(A16)에 'Y'를 배치할 수 있다.
상기에서 모음의 배치는 중앙의 열방향에 위치하는 키들에 변경하여 배치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모음과 반모음을 입력하는데 사용되지 않는 나머지 기본키들과 보조키들에 자음을 배치한다. 이때,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자음 중에서 사용 빈도가 낮은 문자들 중 하나(예를 들어, Q)를 다른 문자와 중복되도록 배치한다. 사용빈도가 낮은 문자는 입력키들 중 중앙에 위치하는 제5 기본키(B5)에 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빈도가 낮은 문자(예를 들어, Q)는 모음(예를 들어, E)과 중복 배치되며, 제5 기본키(B5)를 이용한 'Q'의 입력은 도 2 또는 도 3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입력할 수 있다.
나머지 자음들은 모음과 반모음을 입력하는데 사용되지 않는 나머지 기본키들과 보조키들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영자 배치도에서 제2 보조키(A2)에 배치된 'U'를 제9 보조키(A9)에 배치된 'X'와 바꿀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키패드를 이용한 영문 입력의 제4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영자 배치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키패드를 이용한 영문 입력의 제4 실시예에서는 사용빈도가 높은 5개의 모음(A, E, I, O 및 U)을 중앙의 행방향에 위치하는 키들에 각각 배치한다. 예를 들어, 제13 보조키(A13)에 'I'를 배치하고, 제4 기본키(B4)에 'A'를 배치하고, 제5 기본키(B5)에 'E'를 배치하고, 제6 기본키(B6)에 'O'를 배치하고, 제5 보조키(A5)에 'U'를 배치한다. 한편, 반모음(Y)은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키들 중 어느 하나와 인접하는 키를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2 기본키(B2)에 'Y'를 배치할 수 있다.
상기에서 모음의 배치는 중앙의 행방향에 위치하는 키들 내에서 변경하여 배치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모음과 반모음을 입력하는데 사용되지 않는 나머지 기본키들과 보조키들에 자음을 배치한다. 이때,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자음 중에서 사용 빈도가 낮은 문자들 중 하나(예를 들어, Q)를 다른 문자와 중복되도록 배치한다. 사용빈도가 낮은 문자는 입력키들 중 중앙에 위치하는 제5 기본키(B5)에 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빈도가 낮은 문자(예를 들어, Q)는 모음(예를 들어, E)과 중복 배치되며, 제5 기본키(B5)를 이용한 'Q'의 입력은 도 2 또는 도 3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입력할 수 있다.
나머지 자음들은 모음과 반모음을 입력하는데 사용되지 않는 나머지 기본키들과 보조키들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영자 배치도에서 제2 기본키(B2)에 배치된 ' I'를 제13 보조키(A13)에 배치된 'Y'와 바꾸고, 제8 기본키(B8)에 배치된 'U'를 제5 보조키(A5)에 배치된 'M'과 바꿀 수도 있다.
상기에서 서술된 자음 배열은 모음과 반모음을 입력하는데 사용되지 않는 나 머지 기본키들과 보조키들 내에서 변경되어 배치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를 이용한 영자 입력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2 내지 도 5 중 어느 하나에 도시된 키입력부(101)에서 기본키 또는 보조키의 입력에 의해 발생된 신호에 따라 주연산부(102)는 메모리부(103)에 저장되어 있는 영자를 디스플레이부(104)에 표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중앙에 하나의 기본키를 중심으로 주변에 8개의 기본키가 원형으로 배치되고, 이들 기본키들의 주변에 확장된 원형으로 16개의 보조키를 추가로 배치된다. 이러한 키패드 중 하나의 키에만 두개의 영자를 배치하고 나머지 키들에는 영자를 각각 하나씩만 배치함으로써 영자를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모음(A, E, I, O, U)을 십자가, T자, I자 또는 ㅡ자 형태로 배치하고, 반모음(Y)을 모음과 인접한 키에 배치함으로써, 영자 배열을 쉽게 익히고 편리하게 영자를 입력할 수 있다.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3행 3열로 배치된 제1 내지 제9 기본키; 및
    상기 기본키들 둘레에 배치된 제1 내지 제16 보조키를 포함하며,
    모음에 해당하는 'A', 'E', 'I', 'O', 'U' 및 'Y' 중 3개가 상기 기본키들 중 일부에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나머지 3개가 상기 보조키들 중 일부에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T'자 형태 또는 뒤집힌 'T'자 형태로 배치되는 키패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A'가 1행 2열의 제2 기본키에 배치되고,
    상기 'E'가 2행 2열의 제5 기본키에 배치되고,
    상기 'I'가 3행 2열의 제8 기본키에 배치되고,
    상기 'O'가 상기 제2 기본키 상측의 제1 보조키에 배치되고,
    상기 'Y' 및 'U'가 상기 제1 보조키 양측의 제2 및 제16 보조키에 각각 배치되는 키패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A'가 1행 2열의 제2 기본키에 배치되고,
    상기 'E'가 2행 2열의 제5 기본키에 배치되고,
    상기 'I'가 3행 2열의 제8 기본키에 배치되고,
    상기 'O'가 상기 제8 기본키 하측의 제9 보조키에 배치되고,
    상기 'Y' 및 'U'가 상기 제9 보조키 양측의 제8 및 제10 보조키에 각각 배치되는 키패드.
  6. 3행 3열로 배치된 제1 내지 제9 기본키; 및
    상기 기본키들 둘레에 배치된 제1 내지 제16 보조키를 포함하며,
    모음에 해당하는 'A', 'E', 'I', 'O' 및 'U'가 동일한 행 또는 동일한 열에 배치된 상기 기본키들 및 상기 보조키들에 연속해서 배치되고, 'Y'가 상기 모음들 중 중앙이 위치한 모음과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키패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I'가 1행 2열의 제2 기본키에 배치되고,
    상기 'E'가 2행 2열의 제5 기본키에 배치되고,
    상기 'A'가 3행 2열의 제8 기본키에 배치되고,
    상기 'O'가 상기 제2 기본키 상측의 제1 보조키에 배치되고,
    상기 'U'가 상기 제8 기본키 하측의 제9 보조키에 배치되는 키패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A'가 2행 1열의 제4 기본키에 배치되고,
    상기 'E'가 2행 2열의 제5 기본키에 배치되고,
    상기 'O'가 2행 3열의 제6 기본키에 배치되고,
    상기 'I'가 상기 제4 기본키 좌측의 제13 보조키에 배치되고,
    상기 'U'가 상기 제6 기본키 우측의 제5 보조키에 배치되는 키패드.
  9. 제 3 항 또는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이 배치된 기본키들 중 하나의 기본키에 하나의 자음이 중복 배치되고, 상기 모음이 배치되지 않은 나머지 기본키들 및 보조키들에 나머지 자음이 배치되는 키패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5 기본키에 자음이 중복 배치되는 키패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5 기본키에 'Q'가 중복 배치되는 키패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중복 배치된 자음은 상기 제5 기본키가 세 번 또는 네 번 연속 눌러짐에 따라 대문자 또는 소문자가 구분되어 입력되거나, 상기 제5 기본키가 세 번 연속 눌러지거나 세 번째에 길게 눌러짐에 따라 대문자 또는 소문자가 구분되어 입력 되는 키패드.
  13. 삭제
KR1020070022387A 2007-03-07 2007-03-07 영자 입력을 위한 키패드 KR1008554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2387A KR100855448B1 (ko) 2007-03-07 2007-03-07 영자 입력을 위한 키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2387A KR100855448B1 (ko) 2007-03-07 2007-03-07 영자 입력을 위한 키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5448B1 true KR100855448B1 (ko) 2008-09-01

Family

ID=40022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2387A KR100855448B1 (ko) 2007-03-07 2007-03-07 영자 입력을 위한 키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544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26695A2 (en) * 2010-03-31 2011-10-13 Byung Kon Min Clock face keyboard
WO2012050545A1 (en) * 2010-10-13 2012-04-19 Weller Jeffrey C Text entry device with radial keypad layout
US8319669B2 (en) 2009-04-22 2012-11-27 Jeffrey C Weller Text entry device with radial keypad layout
US8717200B2 (en) 2009-04-22 2014-05-06 Jeffrey C Weller Text entry device with radial keypad layout
WO2018056571A1 (ko) * 2016-09-20 2018-03-29 박제상 사용자별 커스텀 키보드 매핑이 가능한 블루투스 IoT 키보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4523A (ko) 2004-09-14 2006-03-17 연용현 키패드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장치
KR20060037994A (ko) 2004-10-29 2006-05-03 박찬용 5행3열 플러스 키패드의 자/모음 배열과정과 그 한글 코드 발생 장치 및 방법
KR20060059586A (ko) * 2004-11-29 2006-06-02 박찬용 크로스 다이얼 키패드의 자/모음 배열과정과 그 한글 코드 발생 장치 및 방법
KR20060085024A (ko) 2005-01-21 2006-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키패드의 키배열 구조
KR20070017422A (ko) * 2007-01-05 2007-02-09 박찬용 문자 입력을 위한 키패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4523A (ko) 2004-09-14 2006-03-17 연용현 키패드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장치
KR20060037994A (ko) 2004-10-29 2006-05-03 박찬용 5행3열 플러스 키패드의 자/모음 배열과정과 그 한글 코드 발생 장치 및 방법
KR20060059586A (ko) * 2004-11-29 2006-06-02 박찬용 크로스 다이얼 키패드의 자/모음 배열과정과 그 한글 코드 발생 장치 및 방법
KR20060085024A (ko) 2005-01-21 2006-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키패드의 키배열 구조
KR20070017422A (ko) * 2007-01-05 2007-02-09 박찬용 문자 입력을 위한 키패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59885B2 (en) 2005-10-15 2013-06-11 Byung Kon Min Clock face keyboard
US8319669B2 (en) 2009-04-22 2012-11-27 Jeffrey C Weller Text entry device with radial keypad layout
US8717200B2 (en) 2009-04-22 2014-05-06 Jeffrey C Weller Text entry device with radial keypad layout
WO2011126695A2 (en) * 2010-03-31 2011-10-13 Byung Kon Min Clock face keyboard
WO2011126695A3 (en) * 2010-03-31 2011-12-29 Byung Kon Min Clock face keyboard
WO2012050545A1 (en) * 2010-10-13 2012-04-19 Weller Jeffrey C Text entry device with radial keypad layout
WO2018056571A1 (ko) * 2016-09-20 2018-03-29 박제상 사용자별 커스텀 키보드 매핑이 가능한 블루투스 IoT 키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89967B1 (en) Distal chording keyboard
US6356258B1 (en) Keypad
US6657560B1 (en) Rounded keypad
US6822852B2 (en) Handheld devices
US6142687A (en) One handed sequential alpha numerical keyboard
KR100855448B1 (ko) 영자 입력을 위한 키패드
US20100052951A1 (en) Nine sensor data entry keyboard and control means
KR20120003327U (ko) 한 손 자판
KR101043857B1 (ko) 팝업, 슬라이드 및 멀티탭을 응용한 다국어 문자입력 키패드
US5924803A (en) Data input device using combined numeric inputs to encode characters
KR100950157B1 (ko) 문자 입력을 위한 키패드
KR100586319B1 (ko) 키패드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장치
JPH07200120A (ja) 隣接文字表示キーボード
KR100851471B1 (ko) 문자 입력을 위한 키패드
KR100875334B1 (ko) 영문 입력을 위한 키패드
KR100609287B1 (ko) 5행3열 플러스 키패드의 자/모음 배열과정과 그 한글 코드 발생 장치 및 방법
KR20190066161A (ko) 16키 한글 골라 쓰기 자판
KR101483170B1 (ko) 간편 영문 입력 키패드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JP5016087B2 (ja) キーボード
KR20030053971A (ko)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
US20200150779A1 (en) Keyboard
KR101850674B1 (ko)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영어입력 자판 및 입력방법
US7534060B2 (en) Keypad and handheld electronic device
KR100655552B1 (ko) 문자 패턴을 이용한 단말기의 문자 입력방법
KR10041136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메트릭스 및 이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