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5334B1 - 영문 입력을 위한 키패드 - Google Patents

영문 입력을 위한 키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5334B1
KR100875334B1 KR1020070004616A KR20070004616A KR100875334B1 KR 100875334 B1 KR100875334 B1 KR 100875334B1 KR 1020070004616 A KR1020070004616 A KR 1020070004616A KR 20070004616 A KR20070004616 A KR 20070004616A KR 100875334 B1 KR100875334 B1 KR 100875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s
primary
row
auxiliary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4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7425A (ko
Inventor
박찬용
Original Assignee
박찬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찬용 filed Critical 박찬용
Priority to KR1020070004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5334B1/ko
Publication of KR20070017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74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5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5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6Arrangements for ergonomically adjusting the disposition of keys of a keybo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자 입력을 위한 키패드로써, 4행 3열로 배열된 제1 내지 제12 기본키의 둘레에 보조키들을 추가로 구비하고 이들을 이용하여 한글의 자음 및 모음을 입력하거나 영문을 입력함으로써, 하나의 키마다 하나의 음소를 배치하여 문자 입력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한글 입력 시 앞글자의 종성과 다음 글자의 초성의 충돌을 피할 수 있으며 영문 입력 시 한번의 클릭으로 한글자를 입력할 있어 입력 속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자주 쓰이는 연이은 자모음(Multi-letter Combination, Digraph 또는 Trigraph)을 모음에 인접 배열시켜서 자모 위치를 쉽게 연상하고 순리적으로 조합함으로서, 빠르고 정확하게 문자 메시지 작성하는데 효율을 높였다.
본 발명은, 문자입력을 위한 크로스 다이얼 키패드( 특 10-06279640000)와 PCT 출원본(PCT/KR2005/002829)의 개량 버전이면서 선 출원 (문자입력을 위한 키패드10-2007-0001228)의 추가 청구 출원서로, 생명공학적인 디자인(Ergonomic Design)을 배려한 문자 입력 개발품이면서 사용자 친화적(User Friendly)입니다.
키패드, 영문

Description

영문 입력을 위한 키패드{Key pad for English text input}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의 영어 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a, 도 2b 그리고 도2c 는 본 발명의 키패드를 이용한 영문 Alphabet 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3은 키패드에서 키 사이의 거리를 설명하기 위한 운지 거리 산출 표준 도면이다.
본 발명은 문자 입력을 위한 키패드로써, 영문자를 보다 더 편하게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문자를 입력하여 표시하는 장치로는 대표적으로 컴퓨터 또는 타자기, 최근 들어 전자수첩, 리모콘, 컴퓨터 게임,PDA, 휴대폰 등을 들 수 있다. 그 러나 상기 컴퓨터, 타자기, 전자수첩의 경우 문자를 입력하려면 문자의 자소에 대응하는 다수의 키들이 구비되어야 하고, 이들 키의 각각에는 특정 형태의 코드를 부여하여 이들의 조합에 의해서 문자를 형성하여 표시하게 된다.
이와 같이 문자를 입력하여 표시하는 장치는 다수의 키가 배열된 키보드를 필수적으로 구비하여야 하고, 문자(한글 또는 영문자)를 소망하는 형태로 원활하게 입력 표시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한글 24자, 영문 26자에 해당하는 문자키, 특정키를 구비하여야 하므로 다수의 키에 의하여 소형화가 어렵고, 휴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에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소형의 문자 입력 장치 즉 전자수첩, 리모콘, 컴퓨터게임, PDA, 전자계산기, 이동무선통신단말기(휴대폰)의 경우, 부가서비스 기능에 문자입력의 필요성이 날로 증대되어 문자 입력에도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 문자 입력이 부가서비스로 이용되는 장치들은 대부분이 소형이므로, 그에 따른 키패드도 소형이기 때문에 한정된 키패드 내에서 알파벳 총 26개 자,모음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키버튼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자소가 중복 배열되게 된다. Computer Keyboard 배열부터 분석해 본다.
영어 표준자판 QWERTY 배열이 135년간 사용되고 있는 배경을 다음의 영문자료로 재조명해 본다.
By Mikael Krogerus ( a member of the NZZ-Folio editorial team)
The way the keys are arranged on the keyboard has a strange history. Because the keys of the first typewriters were prone to jamming, in 1873 Christopher Sholes arranged the letters on the keyboard in such a way that quick typing was impossible.
He placed commonly combined letters far apart, and in a malicious slight on right-handers put E, A and T, the three most common letters in the English language, on the left-hand side. The upper row of characters, which began with QWERTY(slightly different on German keyboards: QWERTZ), gave the keyboard its name. The really astonishing thing is that even though the reason for this deliberately un-ergonomic layout is long since history, Qwerty lives on in the age of computers.
The reason why no improvement has been made to an idea that began as a brilliant invention but now makes no sense at all can be explained in terms of the "lock-in" principle.
이상의 논설이 지적하듯이 타자기를 빨리 칠 때, 활자 뭉치가 서로 엉켜서 고장 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알파벳을 배열할 때 자주 쓰는 글자는 구석에 더듬거리는 왼쪽 새끼손가락으로 치도록 배열하거나, 사용 빈도가 아주 작은 J를 가장 날렵하고 빠른 오른손 인지(Index Finger)에 배열함으로서, 비합리적이고 신체 리듬에 역행하며 생명 공학적으로 비친화적이기 때문에 현재의 IT World 입장으로서는 QWERTY배열은 시작부터 단추가 잘못 끼워진 발명품이 됐다. 지금 영어권은 BlackBerry사를 선두로 인류에 친숙한 4x3 Matrix 12키 휴대폰 자판 대신 불편 한 발명품 26키 QWERTY 배열을 휴대폰에 탑재하고 있는 현실이다.
The original rotary dial phone used a circular dial with three letters assigned to each of the numerals two through nine, omitting the letters "Q" and "Z."
The conventional cell phone layout assigned four letters to the numbers seven and nine to incorporate the previously missing letters "Q" and "Z." Unfortunately, "Q"shares the number seven with three highly used letters, "P," "R," and "S." Indeed, imputing the highly used letter "S"requires pressing the number seven keypad a total of four times. Likewise, "Z" shares the number nine with the letters "W," "X," and "Y." Again, to imput the letter "Z," one must press the number nine keypad four times.
윗 글에서 옛날 다이얼 전화기 8개 키에 배열된 알파벳을 그대로 휴대폰 8개 키에 옮기면서 휴대폰 영어 문자입력이 왜 시작 단추부터 잘못 끼워진 사연을 살펴보고자 한다. 다이얼 전화기에 Q와 Z가 없었다가 휴대폰에서 7번 키와 8번 키에다 환원 배열시키느라 1키에 4자음이 뭉쳐 있게 된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이 제시하는 키패드는 4행 3열로 배열된 제1 내지 제12 기본키의 둘레에 보조키들을 추가로 구비하고 이들을 이용하여 영문을 입력함으로써, 하나의 키마다 하나의 음소를 배치하여 문자 입력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영 문 입력 시 한번의 클릭으로 한글자를 입력할 있어 입력 속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자주 쓰이는 연이은 자모음(Multi-letter combination, Digraph 또는 Trigraph)을 모음에 인접 배열시켜서 자모 위치를 쉽게 연상하고 순리적으로 조합 하므로서, 빠르고 정확하게 문자 메시지 작성하는데 효율을 높였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는 4행 3열로 배열된 기본키들, 및 기본키들의 양측에 배열된 제1 보조키들을 포함하며, 'A', 'E', 'I', 'O', 'U' 및 'Y'가 기본키들에 'T'자 형태 또는 뒤집힌 'T'자 형태로 배열된다.
상기에서, 'O', 'I', 'E' 및 'A'가 3열에 위치한 키에 의해 입력되고, 1행 2열에 위치한 키에 의해 'Y'가 입력되고, 1행 4열에 위치한 키에 의해 'U'가 입력될 수 있다. 이들 키들을 제외한 기본키들 및 제1 보조키들 중에 1행에 위치하는 키들에 의해 'B' 및 'D'가 각각 입력되고, 기본키들 및 제1 보조키들 중에 2행에 위치하는 키들에 의해 'P', 'S', 'N' 및 'G'가 각각 입력되고, 기본키들 및 제1 보조키들 중에 3행에 위치하는 키들에 의해 'W', 'T', 'R' 및 'M'이 각각 입력되고, 기본키들 및 제1 보조키들 중에 4행에 위치하는 키들에 의해 'C', 'H' 'L' 및 'K'가 각각 입력된다. 또한, 기본키들 중 1행 2열에 위치하는 키의 길게 누룸 횟수에 따라 'V', 'X' 및 'Z'가 각각 입력되고, 기본키들 중 1행 4열에 위치하는 키의 길게 누룸 횟수에 따라 'F', 'J' 및 'Q'가 각각 입력된다.
'O', 'I', 'E' 및 'A'가 3열에 위치한 키에 의해 입력되고, 4행 2열에 위치 한 키에 의해 'Y'가 입력되고, 4행 4열에 위치한 키에 의해 'U'가 입력될 수 있다. 이들 키들을 제외한 기본키들 및 제1 보조키들 중에 1행에 위치하는 키들에 의해 'P', 'S' 'L' 및 'K'가 각각 입력되고, 기본키들 및 제1 보조키들 중에 2행에 위치하는 키들에 의해 'W', 'T', 'R' 및 'M'이 각각 입력되고, 기본키들 및 제1 보조키들 중에 3행에 위치하는 키들에 의해 'C', 'H', 'N' 및 'D'가 각각 입력되고, 기본키들 및 제1 보조키들 중에 4행에 위치하는 키들에 의해 'B' 및 'G'가 각각 입력된다. 또한, 기본키들 중 4행 2열에 위치하는 키의 길게 누룸 횟수에 따라 'V', 'X' 및 'Z'가 각각 입력되고, 기본키들 중 4행 4열에 위치하는 키의 길게 누룸 횟수에 따라 'F', 'J' 및 'Q'가 각각 입력된다.
한편, 기본키들의 상측 또는 하측에 제2 보조키들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보조키들에 의해 'V', 'X', 'Z', 'K'. 'J' 및 'Q'가 입력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보조키들 중 2열에 위치하는 제2 보조키의 누름 횟수에 따라 'V', 'X' 및 'Z'가 각각 입력되고, 3열에 위치하는 제2 보조키에 의해 'K'가 입력되고, 4열에 위치하는 제2 보조키의 누름 횟수에 따라 'J' 및 'Q'가 입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는 4행 3열로 배열된 제1 내지 제12 기본키, 및 기본키들의 양측 주변과 상측 또는 하측 중 어느 한쪽의 주변에 배열된 제1 내지 제13 보조키를 포함하며,
기본키들 및 보조키들 중 중앙의 십자가 영역에 위치하는 키들에 의해 'O', 'I', 'E', 'A' 및 'U'가 각각 입력되고, 기본키들 및 보조키들 중에 1행에 위치하는 키들에 의해 'W', 'S', 'H', 'D' 및 'G'가 각각 입력되고, 기본키들 및 보조키 들 중에 2행에 위치하는 키들에 의해 'C', 'T', 'N' 및 'M'이 각각 입력되고, 기본키들 및 보조키들 중에 3행에 위치하는 키들에 의해 'F' 및 'Y'가 각각 입력되고, 기본키들 및 보조키들 중에 4행에 위치하는 키들에 의해 'P', 'R', 'L' 및 'B'가 각각 입력되고, 기본키들 및 보조키들 중에 5행에 위치하는 키들의 누름 횟수에 의해 'V', 'X', 'Z', 'K'. 'J' 및 'Q'가 각각 입력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는 본원의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의 영어 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는 12개의 기본키들(제1 내지 제12 기본키)과 기본키들의 둘레에 배치된 13개의 보조키들(제1 내지 제13 보조키)을 포함한다. 여기서, 기본키들 중 제1 내지 제10 기본키는 1부터 9 및 0번을 입력하기 위한 번호 입력키로 사용되고, 제11 기본키는 * 입력키로 사용되며, 제12 기본키는 # 입력키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12개의 기본키는 4행 3열로 배치된다. 한편, 기본키들의 상측 및 하측 중 어느 한측과 양측에 배치된다. 이 하, 보조키들이 기본키들의 양측과 하측에 배치되는 경우를 예로써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키배열은 하측에 배치된 보조키들이 상측에 배치되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에 도시된 키패드는 보조키들의 일부가 기본키들의 하측에 배치된다. 즉, 제1 내지 제13 보조키는 기본키들의 양측과 하측에 배치된다. 이 경우, 1행 5열에 배치된 보조키를 제1 보조키라 하고, 제1 보조키를 시작으로 시계방향으로 나머지 보조키들이 제2 내지 제13 보조키가 된다. 구체적으로, 기본키들의 우측에는 제1 내지 제5 보조키가 배치되고, 기본키들의 하측에는 제6 내지 제8 보조키가 배치되며, 기본키들의 좌측에는 제9 내지 제13 보조키가 배치된다.
상기의 구조로 이루어진 키패드에서 기본키들의 일부에 의해 영어 모음이 입력되고, 기본키들의 나머지와 보조키들에 의해 영어 자음이 입력된다. 예를 들어, 모음은 다음과 같이 입력할 수 있다.
도 2a, 도 2b 그리고 도 2c는 본 발명의 키패드를 이용한 영문 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기본키들 및 보조키들 중에 2행 내지 4행에 위치하는 키들 중 어느 한 행에 위치하는 키들이 모음에 해당하는 'O', 'I', 'E', 'A' 'Y' 및'U'를 입력하는데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빈도가 높은 단어들을 중앙에 집중 배치시켜 입력을 위해 손가락의 동선(이하, '운지 거리'라 함)을 최소화한다. 운지 거리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다시, 글자의 사용빈도와 운지 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는 영문 배치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 음과 같다.
기본키들 및 보조키들로 이루어진 5행 5열의 배열에서 영문의 모음에 해당하는 'O', 'I', 'E', 'A' 및 'U'를 중앙에 십자가 형태로 배치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2행 3열에 'O'를 배치하고, 3행 2열 내지 3행 3열에 'I', 'E' 및 'A'를 배치하고, 4행 3열에 'U'를 배치할 수 있다. 상기에서 'O', 'I', 'E', 'A' 및 'U'의 배치는 십자가 영역 내에서 변경 가능하다. 영문의 자음은 다음과 같이 배치할 수 있다.
기본키들 및 보조키들 중에 1행에 위치하는 키들에 의해 'W', 'S', 'H', 'D' 및 'G'가 각각 입력되고, 기본키들 및 보조키들 중에 2행에 위치하는 키들에 의해 'C', 'T', 'O', 'N' 및 'M'이 각각 입력되고, 기본키들 및 보조키들 중에 3행에 위치하는 키들에 의해 'F', 'I', 'E', 'A' 및 'Y'가 각각 입력되고, 기본키들 및 보조키들 중에 4행에 위치하는 키들에 의해 'P','R', 'U', 'L', 및 'B'가 각각 입력되고, 기본키들 및 보조키들 중에 5행에 위치하는 키들에 의해 'V', 'X', 'Z', 'K'. 'J' 및 'Q'가 각각 입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모음에 해당하는 'Y'는 'A'와 인접해서 배치되는 것이 영자 입력에 효과적이다.
한편, 5행의 보조키에 의해 입력되는 'V', 'X', 'Z', 'K', 'J' 및 'Q'를 3행에 위치하는 기본키로 입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V', 'X' 및 'Z'는 3행에 위치하며 모음을 입력하는데 사용되는 기본키들 중에서 일측에 위치하는 기본키(예를 들어, 3행 2열에 위치하는 기본키)를 이용하여 입력하고, 'K', 'J' 및 'Q'는 타측에 위치하는 기본키(예를 들어, 3행 4열에 위치하는 기본키)를 이용하여 입력할 수 도 있다. 이때, 3행 2열에 위치하는 기본키는 'I'를 입력하는데 사용되므로, 'V', 'X' 및 'Z'는 3행 2열에 위치하는 기본키를 길게 누르는 방식으로 입력한다. 구체적으로, 3행 2열에 위치하는 기본키를 길게 한번 누르면 'V'가 입력되고, 길게 두 번 누르면 'X'가 입력되며, 길게 세 번 누르면 'Z' 입력되도록 한다. 또한, 3행 4열에 위치하는 기본키는 'A'를 입력하는데 사용되므로, 'K', 'J' 및 'Q'는 3행 4열에 위치하는 기본키를 길게 누르는 방식으로 입력한다. 구체적으로, 3행 4열에 위치하는 기본키를 길게 한번 누르면 'K'가 입력되고, 길게 두 번 누르면 'J'가 입력되며, 길게 세 번 누르면 'Q' 입력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V', 'X', 'Z', 'K', 'J' 및 'Q'를 3행에 위치하는 기본키로 입력할 경우, 도 2a의 5행에 위치하는 제5 내지 제9 보조키는 사용하지 않는다. 즉, 4행 5열로 이루어진 20개의 기본키 및 보조키만으로도 영문 입력이 가능해진다.
상기의 키 배열을 살펴보면, 사용 빈도가 높은 모음을 중앙에 십자가 형태로 배치하되, 그 주위에 자음을 배열 할 때도 사용 빈도수뿐만 아니라 알파벳의 연속성과 생명공학적인 생체리듬을 고려하여 배열함으로써, 외우기 쉽고 운지 거리가 짧아져 보다 빠르게 영문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 빈도가 5%가 넘는 키들이 모두 중앙에 배치되며, 모음에 해당하는 알파벳은 주로 중앙에 위치하는 행(바람직하게는, 3행)에 모두 배치됨으로써, 외우기 쉽고 운지 거리가 짧아져 보다 빠르게 영문을 입력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기본키들 및 보조키들로 이루어진 5행 5열의 배열에서 영 문의 모음과 반모음에 해당하는 'O', 'I', 'E', 'A' 'U' 및 'Y'를 중앙에 'T'형태로 배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3열에 'O', 'I', 'E' 및 'A'를 배치하고, 1행 2열에 'Y'를 배치하고, 1행 4열에 'U'를 배치한다. 마찬가지로, 'O', 'I', 'E', 'A' 'U' 및 'Y'의 배치는 ' T'자 형태의 영역 내에서 변경 가능하다.
한편, 모음 입력에 사용되지 않은 키들을 이용하여 자음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본키들 및 보조키들 중에 1행에 위치하는 키들에 의해 'B' 및 'D'가 각각 입력되고, 기본키들 및 보조키들 중에 2행에 위치하는 키들에 의해 'P', 'S', 'N' 및 'G'가 각각 입력되고, 기본키들 및 보조키들 중에 3행에 위치하는 키들에 의해 'W', 'T', 'R' 및 'M'이 각각 입력되고, 기본키들 및 보조키들 중에 4행에 위치하는 키들에 의해 'C', 'H' 'L' 및 'K'가 각각 입력되고, 기본키들 및 보조키들 중에 5행에 위치하는 키들에 의해 'V', 'X', 'Z', 'F'. 'J' 및 'Q'가 각각 입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b에 도시된 키패드의 음소키값은 아래의 표 1과 같다.
음소 입력키 음소코드 음소 입력키 음소코드
A 10기본 1 N 6기본 14
B 13보조 2 O 2기본 15
C 10보조 3 P 12보조 16
D 1보조 4 Q 6보조, 6보조 17
E 8기본 5 R 9기본 18
F 7보조 6 S 4기본 19
G 2보조 7 T 7기본 20
H 11기본 8 U 3기본 21
I 5기본 9 V 8보조 22
J 6보조 10 W 11보조 23
K 4보조 11 X 8보조, 8보조 24
L 12기본 12 Y 1기본 25
M 3 보조 13 Z 8보조,8보조, 8보조 26
한편, 5행의 보조키에 의해 입력되는 'V', 'X', 'Z', 'F', 'J' 및 'Q'를 1행에 위치하는 기본키로 입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V', 'X' 및 'Z'는 1행에 위치하며 모음을 입력하는데 사용되는 기본키들 중에서 일측에 위치하는 기본키(예를 들어, 1행 2열에 위치하는 기본키)를 이용하여 입력하고, 'F'. 'J' 및 'Q'는 타측에 위치하는 기본키(예를 들어, 1행 4열에 위치하는 기본키)를 이용하여 입력할 수도 있다. 이때, 1행 2열에 위치하는 기본키는 'Y'를 입력하는데 사용되므로, 'V', 'X' 및 'Z'는 1행 2열에 위치하는 기본키를 길게 누르는 방식으로 입력한다. 구체적으로, 1행 2열에 위치하는 기본키를 길게 한번 누르면 'V'가 입력되고, 길게 두 번 누르면 'X'가 입력되며, 길게 세 번 누르면 'Z' 입력되도록 한다. 또한, 1행 4열에 위치하는 기본키는 'U'를 입력하는데 사용되므로, 'F', 'J' 및 'Q'는 1행 4열에 위치하는 기본키를 길게 누르는 방식으로 입력한다. 구체적으로, 1행 4열에 위치하는 기본키를 길게 한번 누르면 'F'가 입력되고, 길게 두 번 누르면 'J'가 입력되며, 길게 세 번 누르면 'Q' 입력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V', 'X', 'Z', 'F', 'J' 및 'Q'를 1행에 위치하는 기본키로 입력할 경우, 도 2b의 5행에 위치하는 제5 내지 제9 보조키는 사용하지 않는다. 즉, 4행 5열로 이루어진 20개의 기본키 및 보조키만으로도 영문 입력이 가능해진다.
상기의 키 배열에서도 모음, 반모음에 해당하는 알파벳은, 중앙에 'T'자 형태로 배치하되, 사용 빈도가 5%가 넘는 키들을 모두 중앙에 배치하고 그 주위에 자음을 배열 할 때도 사용 빈도수뿐만 아니라 연이은 알파벳(Digraph, Trigraph)의 연속성과 생명공학적인 생체리듬을 고려해서 배열함으로써, 외우기 쉽고 운지 거리가 짧아져 보다 빠르게 영문을 입력할 수 있다.
도 2c를 참조하면, 기본키들 및 보조키들로 이루어진 5행 5열의 배열에서 영문의 모음과 반모음에 해당하는 'A', 'E', 'I', 'O', 'U' 및 'Y'를 중앙에 뒤집힌 'T'형태로 배치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3열에 'A', 'E', 'I', 'O', 및 'U'를 배치하고, 4행 2열에 'Y'를 배치하고, 4행 4열에 'U'를 배치한다. 마찬가지로, 'O', 'I', 'E', 'A' 'U' 및 'Y'의 배치는 뒤집힌 'T'자 형태의 영역 내에서 변경 가능하다.
한편, 모음 입력에 사용되지 않은 키들을 이용하여 자음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본키들 및 보조키들 중에 1행에 위치하는 키들에 의해 'P', 'S' 'L' 및 'K'가 각각 입력되고, 기본키들 및 보조키들 중에 2행에 위치하는 키들에 의해 'W', 'T', 'R' 및 'M'이 각각 입력되고, 기본키들 및 보조키들 중에 3행에 위치하는 키들에 의해 'C', 'H', 'N' 및 'D'가 각각 입력되고, 기본키들 및 보조키들 중에 4행에 위치하는 키들에 의해 'B' 및 'G'가 각각 입력되고, 기본키들 및 보조키들 중에 5행에 위치하는 키들에 의해 'V', 'X', 'Z', 'F'. 'J' 및 'Q'가 각각 입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c에 도시된 키패드의 음소키값은 아래의 표 2와 같다.
음소 입력키 음소코드 음소 입력키 음소코드
A 2기본 1 N 9기본 14
B 13보조 2 O 10기본 15
C 11보조 3 P 13보조 16
D 3보조 4 Q 6보조, 6보조 17
E 5기본 5 R 6기본 18
F 7보조 6 S 1기본 19
G 4보조 7 T 4기본 20
H 7기본 8 U 12기본 21
I 8기본 9 V 8보조I 22
J 6보조 10 W 12보조 23
K 1보조 11 X 8보조, 8보조 24
L 3기본 12 Y 11기본 25
M 2보조 13 Z 8보조,8보조, 8보조, 26
한편, 5행의 보조키에 의해 입력되는 'V', 'X', 'Z', 'F', 'J' 및 'Q'를 4행에 위치하는 기본키로 입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V', 'X' 및 'Z'는 4행에 위치하며 모음을 입력하는데 사용되는 기본키들 중에서 일측에 위치하는 기본키(예를 들어, 4행 2열에 위치하는 기본키)를 이용하여 입력하고, 'F'. 'J' 및 'Q'는 타측에 위치하는 기본키(예를 들어, 4행 4열에 위치하는 기본키)를 이용하여 입력할 수도 있다. 이때, 4행 2열에 위치하는 기본키는 'Y'를 입력하는데 사용되므로, 'V', 'X' 및 'Z'는 4행 2열에 위치하는 기본키를 길게 누르는 방식으로 입력한다. 구체적으로, 4행 2열에 위치하는 기본키를 길게 한번 누르면 'V'가 입력되고, 길게 두 번 누르면 'X'가 입력되며, 길게 세 번 누르면 'Z' 입력되도록 한다. 또한, 4행 4열에 위치하는 기본키는 'U'를 입력하는데 사용되므로, 'F', 'J' 및 'Q'는 4행 4열에 위치하는 기본키를 길게 누르는 방식으로 입력한다. 구체적으로, 4행 4열에 위치하는 기본키를 길게 한번 누르면 'F'가 입력되고, 길게 두 번 누르면 'J'가 입력되며, 길게 세 번 누르면 'Q' 입력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V', 'X', 'Z', 'F', 'J' 및 'Q'를 4행에 위치하는 기본키로 입력할 경우, 도 2c의 5행에 위치하는 제5 내지 제9 보조키는 사용하지 않는다. 즉, 4행 5열로 이루어진 20개의 기본키 및 보조키만으로도 영문 입력이 가능해진다.
상기의 키 배열에서도 모음, 반모음에 해당하는 알파벳은, 중앙에 '역 T'자 형태로 배치하되, 사용 빈도가 5%가 넘는 키들을 모두 중앙에 배치하고 그 주위에 자음을 배열 할 때도 사용 빈도수뿐만 아니라 연이은 알파벳(Digraph, Trigraph)의 연속성과 생명공학적인 생체리듬을 고려해서 배열함으로써, 외우기 쉽고 운지 거리가 짧아져서 동시치기가 수월해서, QWERTY 보다 빠르게 영문을 입력할 수 있다.
특히 단수 글자나, 복수 글자를 동시치는 과정에서 소리가 발생 하도록 해서 정화도를 높인다. 동시치기 때 단어가 창출 될 때는 빈도수에 따라 입력이 결정 된다.
도 3은 키패드에서 키 사이의 거리를 설명하기 위한 운지거리 산출 표준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1행 1열의 제1 기본키를 기준으로 양측이나 상하측에 인접한 키와의 거리를 1로 설정하면, 대각선으로 인접한 키들과의 거리는 피타고라스의 정리에 따라 값이 정해진다. 그 결과에 따라, 몇 가지 단어를 예로써 종래의 QWERTY의 운지 거리와 본 발명의 운지 거리를 비교하면 다음의 표 3과 같다.
단어 QWERTY 방식 본 발명의 키패드 +% / -%
the
Figure 112007004250754-pat00001
+
Figure 112007004250754-pat00002
=4.57
1+
Figure 112007004250754-pat00003
=2.41
90%
and
Figure 112007004250754-pat00004
+
Figure 112007004250754-pat00005
=10.20
Figure 112007004250754-pat00006
+1 = 3.24
215%
of
Figure 112007004250754-pat00007
=5.10
1 410%
to 4
Figure 112007004250754-pat00008
79%
in
Figure 112007004250754-pat00009
=2.24
1 124%
is
Figure 112007004250754-pat00010
=6.08
Figure 112007004250754-pat00011
=2.24
171%
for
Figure 112007004250754-pat00012
+5=10.10
1 +
Figure 112007004250754-pat00013
= 3.24
212%
that
Figure 112007004250754-pat00014
+ 5 +
Figure 112007004250754-pat00015
1 +
Figure 112007004250754-pat00016
+
Figure 112007004250754-pat00017
127%
has 5 + 1 =6 1 +
Figure 112007004250754-pat00018
= 3.24
86%
be
Figure 112007004250754-pat00019
= 2.53
Figure 112007004250754-pat00020
27%
it 3
Figure 112007004250754-pat00021
+113%
by 2 1 +100%
was
Figure 112007004250754-pat00022
+ 1
Figure 112007004250754-pat00023
+ 1
-34%
as 1 1 0
he
Figure 112007004250754-pat00024
=3.16
Figure 112007004250754-pat00025
124%
with 6+3 +
Figure 112007004250754-pat00026
Figure 112007004250754-pat00027
+
Figure 112007004250754-pat00028
+1
145%
on
Figure 112007004250754-pat00029
Figure 112007004250754-pat00030
100%
his
Figure 112007004250754-pat00031
+
Figure 112007004250754-pat00032
Figure 112007004250754-pat00033
+ 1
157%
at
Figure 112007004250754-pat00034
=4.12
Figure 112007004250754-pat00035
191%
which
Figure 112007004250754-pat00036
+
Figure 112007004250754-pat00037
+
Figure 112007004250754-pat00038
+
Figure 112007004250754-pat00039
Figure 112007004250754-pat00040
+1+2+1
142%
but
Figure 112007004250754-pat00041
+ 2
3+
Figure 112007004250754-pat00042
-37%
from 1 + 5 +
Figure 112007004250754-pat00043
Figure 112007004250754-pat00044
+
Figure 112007004250754-pat00045
+
Figure 112007004250754-pat00046
= 8.23
0%
this
Figure 112007004250754-pat00047
+
Figure 112007004250754-pat00048
+
Figure 112007004250754-pat00049
1+1 +
Figure 112007004250754-pat00050
=4.24
130%
will 6 +
Figure 112007004250754-pat00051
Figure 112007004250754-pat00052
+
Figure 112007004250754-pat00053
66%
have 5 +
Figure 112007004250754-pat00054
+
Figure 112007004250754-pat00055
Figure 112007004250754-pat00056
+
Figure 112007004250754-pat00057
+
Figure 112007004250754-pat00058
26%
are
Figure 112007004250754-pat00059
+ 1
Figure 112007004250754-pat00060
+1
+73%
상기의 표 3에서와 같이, 영어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26 단어를 비교해 보더라도 본 발명의 키패드를 이용하는 경우 종래의 QWERTY 방식에서 단어를 입력할 때보다 운지 거리가 크게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QWERTY vs. YOU T PAD(본원 발명 '역 T'형)
운지거리가 같은 단어: as ( 1 번)
QWERTY의 운지거리가 짧은 단어: was 와 but( 2 번)
YOU T PAD(본원 발명)의 운지거리가 짧은 단어 : 나머지 23 단어( 23 번)
전체 평균적으로 QWERTY가 본원발명 보다 한 글자마다 112.84%(약 1배 이상) 더 멀리 움직여서 알파벳을 입력하느라고 시간이 1배 이상 더 소요되고 생체리듬을 거스리는 동선 때문에 오타 날 확률이 크다는 것을 위의 통계가 입증 하고 있다.
상기에서 서술한 본 발명의 키패드는 직관직타를 최대 활용한 배열, 사용빈도와 운지 거리를 감안한 배열, 좌우에 균형감 있는 문자 배열, 연상법을 원용하여 자/모 인지를 쉽게 하고, 학습 효과가 빠르고 문자 입력이 편리한 배열로, 입력 규칙이 간단하고 동일 계열별(Cluster)로 배열함으로써, 자/모음이 빠르게 연상되어 문자입력이 빠르고, 정확하며 그리고 간편하게 입력할 수 있다. 특히 기존 휴대폰 4X3 Matrix를 그대로 유지해 User Friendly 영 문자자판으로 새로 탄생했다. 뿐만 아니라 다음과 같은 특장점이 있다.
영어입력의 경우 자음과 모음역할을 동시에 하는 'Y'와 'A'를 연이어 배열한 후 자주 쓰이는 연이은 자모음(Multi-letter combination, Digraph 또는 Trigraph)을 모음 주위에 인접 배열시켜서 자모 위치를 쉽게 연상시켜서 쓰기에 편하다.
본 발명의 키패드로 영문을 입력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인류에게 친숙한 4x3 Matrix Keypad 주위에 둘레키를 형성한 모형이어서 알파벳 위치를 기억하기가 쉽다.
둘째: 모음을 그룹(Cluster)으로 배열하고 연이은 자음(Multi-letter combination)을 배열해서 모음 위치를 기억, 연상하기 쉽고 모음 조합 효율성이 높다.
셋째: 사용 빈도와 글자고리(Digraph, Trigraph)를 감안한 알파벳 배열이어서 글자 조합 규칙이 순리적이고 문자입력이 빠르고 편하다.
넷째: 직관직타 입력을 최대 활용 했다.
다섯째: 동시치기 입력을 활용하여 빠르고 편하다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4행 3열로 배열된 기본키들; 및
    상기 기본키들의 양측에 배열된 보조키들을 포함하며,
    'O', 'I', 'E' 및 'A'가 중앙열에 위치한 기본키들에 의해 입력되고,
    1행 2열에 위치한 기본키에 의해 상기 'Y'가 입력되고,
    1행 4열에 위치한 기본키에 의해 'U'가 입력되고,
    상기 기본키들 및 상기 보조키들 중에 1행에 위치하는 키들에 의해 'B' 및 'D'가 각각 입력되고,
    상기 기본키들 및 상기 보조키들 중에 2행에 위치하는 키들에 의해 'P', 'S', 'N' 및 'G'가 각각 입력되고,
    상기 기본키들 및 상기 보조키들 중에 3행에 위치하는 키들에 의해 'W', 'T', 'R' 및 'M'이 각각 입력되고,
    상기 기본키들 및 상기 보조키들 중에 4행에 위치하는 키들에 의해 'C', 'H' 'L' 및 'K'가 각각 입력되고,
    상기 기본키들 중 1행 2열에 위치하는 키의 길게 누룸 횟수에 따라 'V', 'X' 및 'Z'가 각각 입력되고, 상기 기본키들 중 1행 4열에 위치하는 키의 길게 누룸 횟수에 따라 'F', 'J' 및 'Q'가 각각 입력되는 키패드.
  5. 삭제
  6. 삭제
  7. 4행 3열로 배열된 기본키들; 및
    상기 기본키들의 양측에 배열된 보조키들을 포함하며,
    'O', 'I', 'E' 및 'A'가 중앙열에 위치한 기본키들에 의해 입력되고,
    4행 2열에 위치한 기본키에 의해 상기 'Y'가 입력되고,
    4행 4열에 위치한 기본키에 의해 'U'가 입력되고,
    상기 기본키들 및 상기 보조키들 중에 1행에 위치하는 키들에 의해 'P', 'S' 'L' 및 'K'가 각각 입력되고,
    상기 기본키들 및 상기 보조키들 중에 2행에 위치하는 키들에 의해 'W', 'T', 'R' 및 'M'이 각각 입력되고,
    상기 기본키들 및 상기 보조키들 중에 3행에 위치하는 키들에 의해 'C', 'H', 'N' 및 'D'가 각각 입력되고,
    상기 기본키들 및 상기 보조키들 중에 4행에 위치하는 키들에 의해 'B' 및 'G'가 각각 입력되고,
    상기 기본키들 중 4행 2열에 위치하는 키의 길게 누룸 횟수에 따라 'V', 'X' 및 'Z'가 각각 입력되고, 상기 기본키들 중 4행 4열에 위치하는 키의 길게 누룸 횟수에 따라 'F', 'J' 및 'Q'가 각각 입력되는 키패드.
  8. 삭제
  9. 삭제
  10. 4행 3열로 배열된 기본키들; 및
    상기 기본키들의 양측에 배열된 제1 보조키들을 포함하며,
    'A', 'E', 'I', 'O', 'U' 및 'Y'가 6개의 인접하는 상기 기본키들에 'T'자 형태 또는 뒤집힌 'T'자 형태로 배열되고, 이 중 네 개의 모음이 상기 6개의 기본키들 중 중앙열에 배열된 4개의 기본키들에 의해 각각 입력되도록 배열되며,
    상기 기본키들의 상측 또는 하측에 제2 보조키들이 추가로 구비되고, 상기 제2 보조키들에 의해 'V', 'X', 'Z', 'F', 'J' 및 'Q'가 입력되며,
    상기 제2 보조키들 중 2열에 위치하는 제2 보조키의 누름 횟수에 따라 상기 'V', 상기 'X' 및 상기 'Z'가 각각 입력되고, 3열에 위치하는 제2 보조키에 의해 상기 'F'가 입력되고, 4열에 위치하는 제2 보조키의 누름 횟수에 따라 상기 'J' 및 상기 'Q'가 입력되는 키패드.
  11. 4행 3열로 배열된 제1 내지 제12 기본키; 및
    상기 기본키들의 양측 주변과 상측 또는 하측 중 어느 한쪽의 주변에 배열된 제1 내지 제13 보조키를 포함하며,
    상기 기본키들 및 상기 보조키들 중 중앙의 십자가 영역에 위치하는 5개의 키들에 의해 모음에 해당하는 'O', 'I', 'E', 'A' 및 'U'만이 각각 입력되고,
    상기 기본키들 및 상기 보조키들 중에 1행에 위치하는 키들에 의해 'W', 'S', 'H', 'D' 및 'G'가 각각 입력되고,
    상기 기본키들 및 상기 보조키들 중에 2행에 위치하는 키들에 의해 'C', 'T', 'N' 및 'M'이 각각 입력되고,
    상기 기본키들 및 상기 보조키들 중에 3행에 위치하는 키들에 의해 상기 'F' 및 'Y'가 각각 입력되고,
    상기 기본키들 및 상기 보조키들 중에 4행에 위치하는 키들에 의해 'P', 'R', 'L' 및 'B'가 각각 입력되고,
    상기 기본키들 및 상기 보조키들 중에 5행에 위치하는 키들의 누름 횟수에 의해 'V', 'X', 'Z', 'K'. 'J' 및 'Q'가 각각 입력되는 키패드.
KR1020070004616A 2007-01-16 2007-01-16 영문 입력을 위한 키패드 KR1008753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4616A KR100875334B1 (ko) 2007-01-16 2007-01-16 영문 입력을 위한 키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4616A KR100875334B1 (ko) 2007-01-16 2007-01-16 영문 입력을 위한 키패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7425A KR20070017425A (ko) 2007-02-09
KR100875334B1 true KR100875334B1 (ko) 2008-12-22

Family

ID=43651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4616A KR100875334B1 (ko) 2007-01-16 2007-01-16 영문 입력을 위한 키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533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7425A (ko) 2007-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56258B1 (en) Keypad
US7658562B2 (en) Modified-QWERTY letter layout for rapid data entry
JP4800307B2 (ja) ハンドヘルド・コンピュータ装置のためのキーボード
CN101021763A (zh) 一种触摸屏幕上软键盘布局快速输入方法
KR100855448B1 (ko) 영자 입력을 위한 키패드
US920777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ositioning keys in limited key space of handheld mobile wireless devices
KR100950157B1 (ko) 문자 입력을 위한 키패드
KR101043857B1 (ko) 팝업, 슬라이드 및 멀티탭을 응용한 다국어 문자입력 키패드
KR100874010B1 (ko) 자모 할당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입력 장치
KR100875334B1 (ko) 영문 입력을 위한 키패드
KR100851471B1 (ko) 문자 입력을 위한 키패드
KR100470698B1 (ko)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
KR100609287B1 (ko) 5행3열 플러스 키패드의 자/모음 배열과정과 그 한글 코드 발생 장치 및 방법
KR101850674B1 (ko)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영어입력 자판 및 입력방법
KR20150129345A (ko) 터치식 문자판을 지닌 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활용면적을 최대화시킨 다국어 문자입력 문자판 및 문자 배치방법
KR100626680B1 (ko) 단말용 영문 입력장치
JP3110695B2 (ja) キー入力装置
JP5016087B2 (ja) キーボード
KR100664651B1 (ko) 키패드 장치
JP4922990B2 (ja) キー入力装置
KR100562332B1 (ko) 단말용 영문 입력장치
KR100577675B1 (ko) 한글 키패드
US20200150779A1 (en) Keyboard
KR20080023068A (ko) 영문자 입력을 위한 문자 입력 장치
KR20160142226A (ko)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영어입력 자판 및 입력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B701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