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2332B1 - 단말용 영문 입력장치 - Google Patents

단말용 영문 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2332B1
KR100562332B1 KR1020050043980A KR20050043980A KR100562332B1 KR 100562332 B1 KR100562332 B1 KR 100562332B1 KR 1020050043980 A KR1020050043980 A KR 1020050043980A KR 20050043980 A KR20050043980 A KR 20050043980A KR 100562332 B1 KR100562332 B1 KR 1005623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consonant
keys
displaying
selection op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3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현욱
Original Assignee
전성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환 filed Critical 전성환
Priority to KR1020050043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23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2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23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열로 배치된 복수개의 키(100)에 의해 구성되고, 키의 선택동작에 의해 알파벳이 입력되며, 각 키는 복수의 알파벳을 입력할 수 있고, 복수의 알파벳은 상기 각 키의 연속적인 선택동작의 횟수에 의해 선택되어 표시되는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3열 중 좌측열(110)에는 A,E,I,O,U를 표시하는 모음키가 배치되고, 중앙열(120)과 우측열(130)에는 A,E,I,O,U 이외의 알파벳을 표시하는 자음키가 배치된 구조를 제시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단말용 영문 입력장치를 제공한다.
단말, 영문, 입력, 키

Description

단말용 영문 입력장치{INPUT APPARATUS OF ENGLISH}
도 1은 종래의 휴대용 단말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단말용 입력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단말용 영문 입력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3은 제1실시예의 평면도.
도 4는 제2실시예의 평면도.
도 5는 제3실시예의 평면도.
도 6은 제4실시예의 평면도.
도 7은 제5실시예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복수개의 키 110 : 좌측열
120 : 중앙열 130 : 우측열
본 발명은 단말용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휴대폰 등의 단말기에 영문을 보다 편의롭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폰, PDA 등의 개인용 단말기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입력장치를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열로 배치된 복수개의 키(100)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키의 선택동작에 의해 문자가 입력되는 구성을 취하고 있다.
또한, 각 키는 복수의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그 복수의 문자는 각 키의 연속적인 선택동작의 횟수에 의해 선택되어 표시되는 구성을 취한다.
예컨대 하나의 키가 'ㄱㅂㅇ'의 3가지 문자를 표시하는 구조인 경우, 1회 선택동작(누름)시 'ㄱ'이 표시되고, 연속적인 2회의 선택동작시 'ㅂ'이 표시되며, 연속적인 3회의 선택동작시 'ㅇ'이 표시되는 구조인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휴대폰의 사용이 일반화되어 있고, 문자메시지 서비스의 사용도 상용화되어 있으므로, 단말용 한글 입력장치에 관한 고안은 상당히 진보되어 있는 상태이지만, 영어권 국가의 경우 아직까지 문자메시지 서비스의 사용이 그다지 활성화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므로, 단말용 영문 입력장치에 대한 고안은 상대적으로 진보되어 있지 않은 상태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장차 영어권 국가의 경우에도 문자메시지와 같이 문자의 입력과 관련된 서비스의 사용이 상용화될 것으로 예측되므로, 이를 대비하여 일반적으로 사 용될 수 있는 단말용 영문 입력장치에 관한 고안이 절실히 필요한 현실이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단말용 영문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3열로 배치된 복수개의 키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키의 선택동작에 의해 알파벳이 입력되며, 상기 각 키는 복수의 알파벳을 입력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알파벳은 상기 각 키의 연속적인 선택동작의 횟수에 의해 선택되어 표시되는 단말용 영문 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3열 중 좌측열에는 A,E,I,O,U를 표시하는 모음키가 배치되고, 상기 3열 중 중앙열과 우측열에는 상기 A,E,I,O,U 이외의 알파벳을 표시하는 자음키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용 영문 입력장치를 제시한다.
상기 좌측열에는 E,A를 표시하는 모음키가 각각 구분되어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모음키의 연속적인 선택동작 중 첫번째 선택동작에 의해 상기 E,A 문자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좌측열에는 상기 E를 표시하는 모음키가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A를 표시하는 모음키가 하측에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좌측열에는 I,O를 표시하는 모음키가 각각 구분되어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모음키의 연속적인 선택동작 중 두번째 선택동작에 의해 상기 I,O 문자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좌측열에는 E,I를 표시하는 모음키, A,O,U를 표시하는 모음키가 각각 구분되어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좌측열에는 shift 키가 배치되고, 상기 shift 키의 선택동작 후, 상기 자음키 또는 모음키의 선택동작시 알파벳 대문자 또는 소문자로의 변경된 표시가 입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shift 키의 선택동작 후, 상기 자음키 또는 모음키의 1회의 선택동작 이후에는, 상기 자음키 또는 모음키의 선택동작시 상기 shift 키의 선택동작 전의 알파벳 대문자 또는 소문자의 표시가 입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shift 키는 상기 모음키의 하측에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앙열과 우측열에는 S,T,R,C,P,D,N을 표시하는 자음키가 각각 구분되어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자음키의 연속적인 선택동작 중 첫번째 선택동작에 의해 상기 S,T,R,C,P,D,N 문자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앙열과 우측열에는 L,M,B,H,G,F,W를 표시하는 자음키가 각각 구분되어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자음키의 연속적인 선택동작 중 두번째 선택동작에 의해 상기 L,M,B,H,G,F,W 문자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앙열과 우측열에는 Y,K,V,J,X,Z,Q를 표시하는 자음키가 각각 구분되어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자음키의 연속적인 선택동작 중 세번째 선택동작에 의해 상기 Y,K,V,J,X,Z,Q 문자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앙열과 우측열에는 S,G,V를 표시하는 자음키, R,W,Q를 표시하는 자음키, N,B,Z를 표시하는 자음키, T,F,J를 표시하는 자음키, P,L,X를 표시하는 자음키, C,H,K를 표시하는 자음키, D,M,Y를 표시하는 자음키가 구분되어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앙열에는 S,G,V를 표시하는 자음키, R,W,Q를 표시하는 자음키, N,B,Z를 표시하는 자음키, T,F,J를 표시하는 자음키가 구분되어 배치되고, 상기 우측열에는 P,L,X를 표시하는 자음키, C,H,K를 표시하는 자음키, D,M,Y를 표시하는 자음키가 구분되어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앙열에는 상기 자음키가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상기 S,G,V를 표시하는 자음키, 상기 R,W,Q를 표시하는 자음키, 상기 N,B,Z를 표시하는 자음키, 상기 T,F,J를 표시하는 자음키의 순서로 배열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우측열에는 상기 자음키가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상기 P,L,X를 표시하는 자음키, 상기 C,H,K를 표시하는 자음키, 상기 D,M,Y를 표시하는 자음키의 순서로 배열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단말용 영문 입력장치는 기본적으로, 3열로 배치된 복수개의 키(100)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키의 선택동작에 의해 알파벳이 입력되며, 상기 각 키는 복수의 알파벳을 입력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알파벳은 상기 각 키의 연속적인 선택동작의 횟수에 의해 선택되어 표시되는 구성을 취한다는 점에서 종래의 구조와 동일하다.
그러나, 상기 3열 중 좌측열(110)에는 A,E,I,O,U를 표시하는 모음키가 배치되고, 상기 3열 중 중앙열(120)과 우측열(130)에는 상기 A,E,I,O,U 이외의 알파벳을 표시하는 자음키가 배치된다는 점에서 특징을 갖는다.
즉, 영어 단어의 일반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모음키에 해당하는 알파벳과 상기 자음키에 해당하는 알파벳이 반복적으로 배치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좌측열(110)에는 모음키를 배치하고, 중앙열(120) 및 우측열(130)에는 자음키를 배치함으로써, 왼손과 오른손이 번갈아가면서 입력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여, 동작의 효율성을 도모한 것이다.
여기서, '단말'이란, 휴대폰, PDA, 컴퓨터 등의 단말기를 통칭하는 개념이고, '선택동작'이란 키를 누르는 동작, 터치 패드에 터치하는 동작, 스타일러스펜에 의한 선택동작 등과 같이 키를 선택하는 모든 동작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하, 모음키의 구체적인 구성에 관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영문 모음 출현 빈도(%)
E 11.1607
A 8.4966
I 7.5488
O 7.1635
U 3.6308
상기 표 1은 영어 단어에 모음이 출현하는 빈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영어사전을 출간하는 옥스포드(oxpord)사의 보고서에 근거한 것이다.
(http://askoxford.com/asktheexperts/faq/aboutwords/frequency?)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키가 복수의 알파벳을 입력할 수 있고, 그 복수의 알파벳은 각 키의 연속적인 선택동작의 횟수에 의해 선택되어 표시되는 구성을 취하는 경우, 상기 모음키의 연속적인 선택동작 중 첫번째 선택동작에 의해 자주 사용되는 문자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따라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현 빈도가 가장 높은 문자인 E,A를 표시하는 모음키를 각각 구분하여 배치하고, 모음키의 연속적인 선택동작 중 첫번째 선택동작에 의해 E,A 문자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자주 사용되는 문자가 열 중에서 상측에 배치되는 것이 효율적이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측열(110)에는 E를 표시하는 모음키가 상측에 배치되고, A를 표시하는 모음키가 하측에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E,A 다음으로 출현 빈도가 많은 문자인 I,O의 경우, 모음키의 연속적인 선택동작 중 두번째 선택동작에 의해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즉, 상기 좌측열(110)에는 I,O를 표시하는 모음키가 각각 구분되어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모음키의 연속적인 선택동작 중 두번째 선택동작에 의해 상기 I,O 문자가 표시되는 구성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입력키의 선택동작이 일부 키에 집중되는 경우, 그 해당되는 키의 파손 가능성이 다른 키에 비해 높게 되므로, 효율적인 구조라 할 수 없다.
따라서, 모음키의 연속적인 선택동작 중 첫번째 선택동작에 의해 표시되는 E,A 문자와, 두번째 선택동작에 표시되는 I,O 문자와, 세번째 선택동작에 의해 표시되는 U 문자는 그 출현 빈도를 감안하여, 2개의 입력키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E,I를 표시하는 모음키, A,O,U를 표시하는 모음키로 각각 구분하여 배치하는 것이 효율적인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취하는 경우, 표 1에 나타난 출현 빈도에 근거하여 각 모음키의 빈도를 각각 계산하면, E,I를 표시하는 모음키가 18.70%, A,O,U를 표시하는 모음키가 19.29%이므로, 2개의 입력키에 대한 선택동작이 고르게 분포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자음키의 구체적인 구성에 관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자음키는 중앙열(120) 및 우측열(130)에 배치되는데, 자음키의 경우도 상기 모음키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알파벳의 출현 빈도를 감안하여 입력키를 효율적으로 배열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그 출현 빈도를 조사하였다.
또한, 자음의 경우 특히 단어의 최초문자로서 출현하는 빈도를 고려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인 구조를 이루는데 도움이 될 것이므로, 이에 관한 조사도 별도로 실시하였다.
영문 자음 출현 빈도(%) G 2.4705
R 7.5809 B 2.072
T 6.9509 F 1.8121
N 6.6544 Y 1.7779
S 5.7351 W 1.2899
L 5.4893 K 1.1016
C 4.5388 V 1.0074
D 3.3844 X 0.2902
P 3.1671 Z 0.2722
M 3.0129 J 0.1965
H 3.0034 Q 0.1962
상기 표 2는 영어 단어에 자음이 출현하는 빈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상기 모음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영어사전을 출간하는 옥스포드(oxpord)사의 보고서에 근거한 것이다.
영문 최초 출현 빈도 (page수)
A 69 N 35
B 93 O 31
C 152 P 126
D 81 Q 5
E 53 R 79
F 76 S 185
G 57 T 84
H 63 U 19
I 46 V 19
J 14 W 48
K 15 X 0
L 62 Y 4
M 84 Z 2
상기 표 3은 영어 단어의 최초문자로서 알파벳이 출현하는 빈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영어사전(longman 출판사의 Dictionary of English Language and Culture)의 해당 페이지수를 조사한 것이다.
최초 출현 빈도 순위 영문
1 S 14 E
2 C 15 W
3 P 16 I
4 B 17 N
5 M,T 18 O
6 19 U,V
7 D 20
8 R 21 K
9 F 22 J
10 A 23 Q
11 H 24 Y
12 L 25 Z
13 G 26 X
상기 표 4는 표 3에 근거하여, 영어 단어의 최초문자로서 출현하는 빈도가 높은 순서에 따라, 알파벳을 배열한 것이다.
종합 순위 영문 자음 11 H
1 S 12 G
2 T 13 F
3 R 14 W
4 C 15 Y
5 P 16 K
6 D 17 V
7 N 18 J
8 L 19 X
9 M 20 Z
10 B 21 Q
상기 표 5는 표 2(단어에 영문 자음이 출현하는 총 빈도의 순위)와 표 5(단에 최초문자로서 영문 자음이 출현하는 빈도의 순위)를 종합하여 새로이 순위를 부여한 것이다.
자음의 경우 단어에 출현하는 총 빈도 뿐만아니라, 단어의 최초문자로서 출현하는 빈도가 높은 경우를 고려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인 구조를 이루기 위하여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상기 표 5의 종합순위를 부여하는 기준은 영문 자음의 총 출현 빈도와 최초 출현 빈도를 1 : 0.61308의 비율로 고려한 것이다.
상기 비율은 인간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주는 이상적인 비율이라 할 수 있는 이른바 황금비율에 근거한 것이다.
따라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열(120)과 우측열(130)에는 상기 21개의 자음 중 1위 내지 7위의 순위가 부여된 S,T,R,C,P,D,N을 표시하는 자음키가 각각 구분되어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자음키의 연속적인 선택동작 중 첫번째 선택동작에 의해 상기 S,T,R,C,P,D,N 문자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이유에 근거하여, 상기 8위 내지 14위의 순위가 부여된 L,M,B,H,G,F,W를 표시하는 자음키가 각각 구분되어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자음키의 연속적인 선택동작 중 두번째 선택동작에 의해 상기 L,M,B,H,G,F,W 문자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15위 내지 21위의 순위가 부여된 Y,K,V,J,X,Z,Q를 표시하는 자음키가 각각 구분되어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자음키의 연속적인 선택동작 중 세번째 선택동작에 의해 상기 Y,K,V,J,X,Z,Q 문자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즉, 자음키로서 7개의 입력키를 배정함에 있어서, 그 자음키의 연속적인 선택동작 중 첫번째 선택동작에 의해서는 S,T,R,C,P,D,N 문자(가군)가 표시되도록 하고, 두번째 선택동작에 의해서는 L,M,B,H,G,F,W 문자(나군)가 표시되도록 하며, 세번째 선택동작에 의해서는 Y,K,V,J,X,Z,Q 문자(다군)가 표시되도록 조합하여 상기 7개의 입력키를 구성하는 경우, 영문 단어 중 자음의 총 출현 빈도와 최초 출현 빈도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이상적인 구조를 얻게 되는 것이다.
한편, 입력키의 선택동작이 일부 키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키의 파손 가능성이 골고루 분포된 효율적인 구조를 얻기 위해서는, 상기 3그룹의 문자의 총 출현 빈도를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룹순위 가군 출현빈도 (%) 나군 출현빈도 (%) 다군 출현빈도 (%) 출현 빈도의 합(%)
1 S 5.7351 G 2.4705 V 1.0074 9.21
2 R 7.5809 W 1.2899 Q 0.1962 9.06
3 N 6.6544 B 2.072 Z 0.2722 8.99
4 T 6.9509 F 1.8121 J 0.1965 8.95
5 P 3.1671 L 5.4893 X 0.2902 8.94
6 C 4.5388 H 3.0034 K 1.1016 8.64
7 D 3.3844 M 3.0129 Y 1.7779 8.17
상기 표 6은 표 5에 나타난 종합순위에 근거하여 영문 자음을 가, 나, 다의 3개 군으로 구분하고, 표 3에 나타난 출현 빈도를 근거로 하여 각 군에서 선택된 3개의 자음의 출현 빈도의 합이 비교적 고르게 나타나도록 7개의 그룹으로 조합한 후, 그 출현 빈도의 합의 순위에 따라 다시 각 그룹의 순위를 배정한 것이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열(120)과 우측열(130)에 S,G,V를 표시하는 자음키(1그룹), R,W,Q를 표시하는 자음키(2그룹), N,B,Z를 표시하는 자음키(3그룹), T,F,J를 표시하는 자음키(4그룹), P,L,X를 표시하는 자음키(5그룹), C,H,K를 표시하는 자음키(6그룹), D,M,Y를 표시하는 자음키(7그룹)가 구분되어 배치되도록, 상기 7개의 그룹에 의해 7개의 자음 입력키를 구성하는 경우, 각 입력키의 사용 빈도가 고르게 분포되므로, 파손 가능성 또한 골고루 분포된 효율적인 구조를 얻게 되는 것이다.
또한, 자주 사용되는 문자가 중앙열(120)에 배치되는 것이 우측열(130)에 배치되는 경우에 비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중앙열(120)에는 상위 4그룹인 S,G,V를 표시하는 자음키, R,W,Q를 표시하는 자음키, N,B,Z를 표시하는 자음키, T,F,J를 표시하는 자음키를 구분하여 배치하고, 우측열(130)에는 하위 3그룹인 P,L,X를 표시하는 자음키, C,H,K를 표시하는 자음키, D,M,Y를 표시하는 자음키를 구분하여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자주 사용되는 문자가 상측에 배치되는 것이 효율적이므로, 중앙열(120)에는 상기 그룹순위에 따라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S,G,V를 표시하는 자음키, R,W,Q를 표시하는 자음키, N,B,Z를 표시하는 자음키, T,F,J를 표시하는 자음키의 순서로 배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측열(130)의 경우에도 상기 그룹순위에 따라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P,L,X를 표시하는 자음키, C,H,K를 표시하는 자음키, D,M,Y를 표시하는 자음키의 순서로 배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shift 키에 관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휴대용 단말의 경우, shift 키와 다른 입력키를 동시에 선택하는 동작이 곤란하므로, 일단 shift 키를 선택한 상태에서 다음 동작에 의해 다른 입력키를 선택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shift 키의 선택동작 후, 자음키 또는 모음키의 선택동작시 알파벳 대문자는 소문자로, 소문자는 대문자로의 변경된 표시가 입력되도록 함으로써, 대문자, 소문자의 선택적 입력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나아가, 영문의 경우에는 대문자가 최초에 위치하고, 그 이후에는 다수의 소문자가 배치되므로, shift 키의 선택동작 후, 자음키 또는 모음키의 1회의 선택동작 이후에는, 자음키 또는 모음키의 선택동작시 shift 키의 선택동작 전의 알파벳 대문자 또는 소문자의 표시가 입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소문자의 입력 중, shift 키를 1회 선택하고 문자키를 1회 선택하면 대문자가 입력되고, 다시 shift 키를 선택할 필요없이 곧바로 문자키를 선택하면 소문자가 입력되는 것이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열(120) 및 우측열(130)에 배치된 7그룹의 자음키와의 균형을 감안할 때, shift 키는 2그룹의 모음키가 배치된 좌측열(110)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반 유저에게 익숙한 일반적인 컴퓨터의 자판배열과 유사한 구성을 취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점과 그 사용 빈도를 고려할 때, 모음키의 하측에 배치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단말용 영문 입력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3열로 배치된 복수개의 키(100)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키의 선택동작에 의해 알파벳이 입력되며, 상기 각 키는 복수의 알파벳을 입력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알파벳은 상기 각 키의 연속적인 선택동작의 횟수에 의해 선택되어 표시되는 단말용 영문 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3열 중 좌측열(110)에는 E,I를 표시하는 모음키, A,O,U를 표시하는 모음키가 각각 구분되어 배치되고, 상기 3열 중 중앙열(120)과 우측열(130)에는 상기 A,E,I,O,U 이외의 알파벳을 표시하는 자음키가 배치되며,
    상기 모음키의 연속적인 선택동작 중 첫번째 선택동작에 의해 상기 E,A 문자가 표시되고, 상기 모음키의 연속적인 선택동작 중 두번째 선택동작에 의해 상기 I,O 문자가 표시되며, 상기 모음키의 연속적인 선택동작 중 세번째 선택동작에 의해 상기 U 문자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용 영문 입력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3열로 배치된 복수개의 키(100)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키의 선택동작에 의해 알파벳이 입력되며, 상기 각 키는 복수의 알파벳을 입력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알파벳은 상기 각 키의 연속적인 선택동작의 횟수에 의해 선택되어 표시되는 단말용 영문 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3열 중 좌측열(110)에는 A,E,I,O,U를 표시하는 모음키가 배치되고,
    상기 3열 중 중앙열(120)과 우측열(130)에는 S,G,V를 표시하는 자음키, R,W,Q를 표시하는 자음키, N,B,Z를 표시하는 자음키, T,F,J를 표시하는 자음키, P,L,X를 표시하는 자음키, C,H,K를 표시하는 자음키, D,M,Y를 표시하는 자음키가 구분되어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자음키의 연속적인 선택동작 중 첫번째 선택동작에 의해 상기 S,T,R,C,P,D,N 문자가 표시되고,
    상기 자음키의 연속적인 선택동작 중 두번째 선택동작에 의해 상기 L,M,B,H,G,F,W 문자가 표시되며,
    상기 자음키의 연속적인 선택동작 중 세번째 선택동작에 의해 상기 Y,K,V,J,X,Z,Q 문자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용 영문 입력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열(120)에는 S,G,V를 표시하는 자음키, R,W,Q를 표시하는 자음키, N,B,Z를 표시하는 자음키, T,F,J를 표시하는 자음키가 구분되어 배치되고, 상기 우측열(130)에는 P,L,X를 표시하는 자음키, C,H,K를 표시하는 자음키, D,M,Y를 표시하는 자음키가 구분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용 영문 입력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열(120)에는 상기 자음키가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상기 S,G,V를 표시하는 자음키, 상기 R,W,Q를 표시하는 자음키, 상기 N,B,Z를 표시하는 자음키, 상기 T,F,J를 표시하는 자음키의 순서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용 영문 입력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열(130)에는 상기 자음키가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상기 P,L,X를 표시하는 자음키, 상기 C,H,K를 표시하는 자음키, 상기 D,M,Y를 표시하는 자음키의 순서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용 영문 입력장치.
KR1020050043980A 2005-05-25 2005-05-25 단말용 영문 입력장치 KR1005623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3980A KR100562332B1 (ko) 2005-05-25 2005-05-25 단말용 영문 입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3980A KR100562332B1 (ko) 2005-05-25 2005-05-25 단말용 영문 입력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7462A Division KR100626680B1 (ko) 2005-10-17 2005-10-17 단말용 영문 입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2332B1 true KR100562332B1 (ko) 2006-03-20

Family

ID=37179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3980A KR100562332B1 (ko) 2005-05-25 2005-05-25 단말용 영문 입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2332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239346A1 (en) Modified-QWERTY Letter Layout for Rapid Data Entry
KR100626680B1 (ko) 단말용 영문 입력장치
JP2009522625A (ja) コンピュータおよび携帯電話の入力方法
KR100580146B1 (ko) 문자입력버튼을 갖는 전자기기의 문자입력방법
KR100562332B1 (ko) 단말용 영문 입력장치
KR20070083444A (ko) 한글 입력방법 및 한글 키보드
KR100340789B1 (ko) 문자입력을 위한 키패드 배열 구조
KR101249329B1 (ko) 키조합 방식의 자판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00659379B1 (ko) 휴대 단말기의 자판 및 그 배열 방법
KR100637745B1 (ko) 한글 키패드
JP3110695B2 (ja) キー入力装置
KR10037333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한글문자 입력 방법
KR100875334B1 (ko) 영문 입력을 위한 키패드
KR101850674B1 (ko)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영어입력 자판 및 입력방법
KR101001085B1 (ko) 휴대폰 자판 영어 알파벳 자모 배열
KR20010091356A (ko) 휴대전화기의 효율적인 한글입력장치 및 방법
KR100851471B1 (ko) 문자 입력을 위한 키패드
KR20080023068A (ko) 영문자 입력을 위한 문자 입력 장치
KR20020035698A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문자입력 키패드 및 그 문자 입력 방법
KR101927972B1 (ko) 전자 기기의 한글 입력 시스템
KR20020012823A (ko) 1개의 문자전환 버튼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20020070658A (ko) 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키패드
KR20030004230A (ko) 자모 분리 할당을 통한 문자 입력 장치
KR101141774B1 (ko) 문자입력부가 구비된 휴대장치
KR20030061772A (ko) 다수의 문자조합 버튼을 동시에 사용한 문자 입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