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4010B1 - 자모 할당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자모 할당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입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4010B1
KR100874010B1 KR1020070024052A KR20070024052A KR100874010B1 KR 100874010 B1 KR100874010 B1 KR 100874010B1 KR 1020070024052 A KR1020070024052 A KR 1020070024052A KR 20070024052 A KR20070024052 A KR 20070024052A KR 100874010 B1 KR100874010 B1 KR 100874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igned
consonant
row
column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4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3458A (ko
Inventor
안지환
조승권
전병천
국광호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024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4010B1/ko
Priority to US12/530,744 priority patent/US8446369B2/en
Priority to EP08723438A priority patent/EP2126668A4/en
Priority to PCT/KR2008/001401 priority patent/WO2008111797A1/en
Publication of KR20080083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34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4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4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9Special purpos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Abstract

자모를 자판을 할당할 때, 복수의 자음을 구강 내의 발음 위치에 따라 복수의 그룹으로 그룹화한 후, 각 그룹을 3행 10열의 자판에서 대응하는 열에 할당한다. 그리고 복수의 모음을 구강 내의 발음 위치에 따라 대응하는 열에 할당한다. 이때, 발음 위치가 입술에 가까운 자음 및 모음을 3행 10열의 가운데 영역에 할당하고, 발음 위치가 목청에 가까운 자음 및 모음을 3행 10열의 외곽 영역에 할당한다. 그리고 자음과 모음을 사용 빈도에 따라 3행 10열의 대응하는 행에 할당한다.
자판, 자음, 모음, 발음 위치, 사용 빈도

Description

자모 할당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입력 장치{METHOD OF ALLOCATING ALPHABET AND INPUT DEVICE USING THE SAME}
도 1 내지 도 3은 각각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의 한글 자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각각 본 발명의 제4 및 제5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의 영자 자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14는 각각 본 발명의 제6 내지 제14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의 한영 자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자모 할당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글, 영자 또는 한영 자모를 입력 장치의 자판에 할당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한글 두벌식 자판은 자음은 왼손, 모음은 오른손에 배치한다는 것 외에는 한글 고유의 특성이나 인체 공학적인 특성이 고려되지 않아서, 한글 자판에 할당된 한글 자모의 위치를 외우기가 어렵고 한글 자모를 입력하는 속도 역시 한계를 가지고 있다.
영자 자판의 경우 미국 표준에서는 쿼티(Qwerty)와 드보락(Dvorak) 자판이 표준이나 국내에서는 쿼티 자판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쿼티 자판의 경우 타자기에서 쓰이던 자판으로 타자기에서 글쇠가 엉키지 않도록 연속적으로 눌러지는 글쇠를 멀리 배치한 것으로 입력 속도가 떨어질 수 밖에 없는 자판이다.
일반적으로 한글과 영자는 하나의 자판에서 모드를 바꾸어 각각을 입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두벌식 한글 자판과 쿼티 영자 자판이 하나의 자판에 표시되고 있다. 하지만, 두벌식과 쿼티는 어느 것도 서로를 고려하여 만들어진 자판이 아닐뿐더러 최소한의 연관성도 가지지 않아, 한글 자판에 익숙한 사람이더라도 영자를 입력하고자 하면 영자 자판의 배열을 새롭게 익혀야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자모의 배열을 외우기 쉽고 자모의 입력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자모를 할당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한글, 영자 또는 한영 자모가 구강 내에서의 발음 위치를 고려하여 자판에 할당된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3행 10열 영역을 포함하는 자판에 자모를 할당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할당 방법은, 복수의 자음 중 적어도 일부를 구강 내의 발음 위치에 따라 복수의 자음 그룹으로 그룹화하는 단계, 각 자음 그룹을 상기 3행 10열 영역의 제1 영역 중 대응하는 열에 할당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3행 10열 영역의 제2 영역에 복수의 모음을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3행 10열 영역의 왼쪽 영역과 오른쪽 영역 중 하나의 영역이며, 상기 제2 영역은 나머지 하나의 영역이다.
이때, 상기 각 자음 그룹이 상기 제1 영역의 검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새끼 손가락에 대응하는 위치 순으로 할당될 수 있으며, 상기 검지에 대응하는 위치에 할당되는 자음 그룹이 상기 새끼 손가락에 대응하는 위치에 할당되는 자음 그룹보다 상기 발음 위치가 입술에 가까울 수 있다.
상기 할당 방법은, 상기 각 자음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자음을 사용 빈도에 따라 대응하는 행에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자음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자음 중 사용 빈도가 가장 높은 자음이 상기 3행 10열 영역 중 두 번째 행에 할당되고, 상기 복수의 자음 중 두 번째로 높은 사용 빈도를 가지는 자음을 상기 3행 10열 영역 중 첫 번째 행에 할당되고, 상기 복수의 자음 중 나머지 자음을 상기 3행 10열 영역 중 세 번째 행에 할당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자음 그룹을 그룹화할 때, 동일한 열에서 연속되어서 입력되는 빈도가 낮도록 상기 복수의 자음 그룹을 그룹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한글 자모 및 영자 자모를 3행 10열 영역을 포함하는 자판에 할당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할당 방법은, 상기 3행 10열 영역의 제1 영역에 복수의 영자 자음을 할당하는 단계, 상기 3행 10열 영역의 제2 영역에 복수의 영자 모음을 할당하는 단계, 복수의 한글 자음을 각각 음가가 유사한 영 자 자음이 할당된 열과 동일한 열에 할당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3행 10열 영역 중 상기 복수의 한글 자음이 할당된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복수의 한글 모음을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복수의 영자 자음 중 'X'와 'Q'를 제외한 영자 자음들은 구강 내의 발음 위치에 따라 복수의 자음 그룹으로 그룹화되고, 각 자음 그룹이 상기 자판의 3행 10열 영역 중 대응하는 열에 할당되고, 상기 각 자음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영자 자음이 사용 빈도에 따라 대응하는 행에 할당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한글 자음이 각각 음가가 유사한 영자 자음이 할당된 위치에 할당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자모를 4행 3열 영역을 포함하는 소형 자판에 할당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할당 방법은, 복수의 영자 자음 중 적어도 일부를 구강 내의 발음 위치에 따라 복수의 자음 그룹으로 그룹화하는 단계, 그리고 동일한 자음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영자 자음을 상기 자판의 4행 3열 영역 중 동일한 위치에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할당 방법은, 복수의 한글 자음을 각각 음가가 유사한 영자 자음이 할당된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3행 10열 영역을 가지는 자판을 포함하는 입력 장치가 제공된다. 이 입력 장치는, 복수의 자음이 각각 할당되어 있는 복수의 제1 글쇠, 그리고 복수의 모음이 각각 할당되어 있는 복수의 제2 글쇠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제1 글쇠는 상기 3행 10열 영역의 왼쪽 영역과 오른쪽 영역 중 하나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제2 글쇠는 다른 하나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자음 중 적어도 일부는 구강 내의 발음 위치에 따라 복수의 자음 그룹으로 그룹화되어 있으며, 상기 3행 10열 영역에서 동일한 열에 위치하는 제1 글쇠들에 할당되어 있는 자음들은 동일한 자음 그룹에 속한다.
이때, 각 자음 그룹에서 사용 빈도가 가장 높은 자음이 상기 3행 10열 영역 중 두 번째 행에 위치하는 제1 글쇠에 할당되고, 두 번째로 높은 사용 빈도를 가지는 자음이 첫 번째 행에 위치하는 제1 글쇠에 할당되며, 나머지 자음이 세 번째 행에 위치하는 제1 글쇠에 할당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3행 10열 영역을 포함하는 자판은, 복수의 영자 자음이 각각 할당되어 있는 복수의 제1 글쇠, 그리고 복수의 영자 모음이 각각 할당되어 있는 복수의 제2 글쇠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제1 글쇠는 상기 3행 10열 영역의 왼쪽 영역과 오른쪽 영역 중 하나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제2 글쇠는 다른 하나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3행 10열 영역에서 복수의 한글 자음이 음가가 유사한 영자 자음이 할당된 열에 위치하는 제1 글쇠들에 각각 할당되어 있으며, 복수의 한글 모음이 상기 복수의 제1 글쇠 중에서 상기 복수의 한글 자음이 할당된 제1 글쇠를 제외한 제1 글쇠와 상기 복수의 제2 글쇠에 각각 할당되어 있다.
이때, 각 한글 자음이 음가가 유사한 영자 자음이 할당된 제1 글쇠에 할당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4행 3열 영역을 포함하는 자판이 제공된 다. 이 자판은, 복수의 영자 자음이 할당되어 있는 복수의 제1 글쇠, 그리고 복수의 영자 모음이 할당되어 있는 복수의 제2 글쇠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영자 자음 중 적어도 일부는 구강 내의 발음 위치에 따라 복수의 자음 그룹으로 그룹화되어 있으며, 동일한 제1 글쇠에 할당되어 있는 영자 자음들은 동일한 자음 그룹에 속한다.
이때, 복수의 한글 자음이 각각 상기 복수의 제1 글쇠 중에서 음가가 유사한 영자 자음이 할당된 제1 글쇠에 할당되어 있으며, 복수의 한글 모음이 상기 복수의 제1 글쇠 중에서 상기 복수의 한글 자음이 할당된 제1 글쇠를 제외한 나머지 제1 글쇠와 상기 복수의 제2 글쇠에 할당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3행 10열 영역을 포함하는 자판에 자모 및 문장 부호를 할당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할당 방법은, 상기 3행 10열 영역에 형성되는 30개의 글쇠 중 26개의 글쇠에 복수의 자음과 복수의 모음을 할당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3행 10열 영역 중 나머지 4개의 글쇠에 '!', ''', '?', '"', ',', ';', '.', ':'을 포함하는 복수의 문장 부호를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 '.', '!' 및 '?'의 문장 부호는 'SHIFT' 키를 사용하지 않는 형태로 할당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 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자모 할당 방법, 영자 자모 할당 방법 및 한영 자모 할당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입력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자모 할당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입력 장치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서는 한글 자모가 입력 장치의 자판 중에서 3행 10열의 영역에 할당되며, 3행 10열 영역은 30개의 글쇠가 3개의 행과 10개의 열에 배열되어서 형성되는 영역이다.
도 1 내지 도 3은 각각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의 한글 자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반적인 두벌식 자판의 경우 한글은 모두 19개의 자음과 14개의 모음으로 이루어져 있다. 두벌식 자판의 쌍자음은 모두 5개(ㅃ, ㄸ, ㅌ, ㅌ, ㄲ)이며 해당 자음과 'SHIFT' 키를 조합하여 입력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중 모음 중 'ㅒ'와 'ㅖ'는 각각 'ㅐ'와 'ㅔ' 키와 'SHIFT' 키를 조합하여 입력하도록 되어 있어서, 자판 할당시 고려해야 할 글쇠는 실제로 자음 글쇠 14개와 모음 글쇠 12개이다.
표 1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라 한글 자판에 할당되어야 할 한글 자음 글쇠 14개의 구강 내에서의 발음 위치에 따른 분류 및 사용 빈도에 따른 빈도 순위를 나타낸 표이다. 표 1에서 왼쪽으로 갈수록 발음 위치가 입술에 가까우며, 오른쪽으로 갈수록 발음 위치가 목청에 가깝다. 그리고 괄호 안의 숫자가 높을수록 빈도 순위가 낮다.
발음 위치 입술 ◀ ▶ 목청
자음 ㅁ(9) ㅂ/ㅃ(10) ㅍ(14) ㄴ(2) ㄹ(4) ㅅ/ㅆ(5) ㄷ/ㄸ(6) ㅌ(13) ㅈ/ㅉ(7) ㅊ(12) ㅇ(1) ㄱ(3) ㄲ/ㅋ(16) ㅎ(8)
표 2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라 한글 자판에 할당되어야 할 한글 모음 글쇠 12개의 구강 내에서의 발음 위치에 따른 분류 및 사용 빈도에 따른 빈도 순위를 나타낸 표이다. 표 2에서 왼쪽으로 갈수록 발음 위치가 입술에 가까우며, 오른쪽으로 갈수록 발음 위치가 목청에 가깝다. 그리고 괄호 안의 숫자가 높을수록 빈도 순위가 낮고, 아래로 갈수록 발음 위치가 낮다.
발음 위치 입술 ◀ ▶ 목청 발음 위치
모음 ㅣ(2) ㅔ/ㅖ(9) ㅐ/ㅒ(7) ㅓ(5) ㅏ(1) ㅡ(3) ㅜ(6) ㅠ(12) ㅗ(4) ㅛ(10) ㅕ(8) ㅑ(11) 높음 낮음
표 1 및 표 2에 나타낸 것처럼, 모음 및 자음은 발음 위치에 따라 분류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자판에서는 모음과 자음 글쇠를 구강 내에서 발음되는 위치 및/또는 사용 빈도에 따라 배치한다.
도 1 내지 도 3을 보면,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자판의 3행 10열 영역에는 표 1 및 표 2에 나타낸 자음 글쇠 14개와 모음 글쇠 12개가 할당되어 있으며, 3행 10열 영역 중에서 자음 글쇠수와 모음 글쇠수의 합에 해당하는 26개 글쇠를 제외한 나머지 4개의 글쇠에는 부호가 할당될 수 있다. 이때, 자음 글쇠와 모음 글쇠는 발음 위치에 따라 한글 자판에 할당되는 열이 결정되고, 사용 빈도에 따라 한글 자판에 할당되는 행이 결정된다.
한글 자판에서 자음 글쇠가 대체적으로 왼쪽 영역에 위치하고 모음 글쇠가 대체적으로 오른쪽 영역에 위치한다. 3행 10열 영역에서 자음 글쇠가 첫 번째 열부터 다섯 번째 열까지 위치하고 모음 글쇠가 여섯 번째 열부터 열 번째 열까지 위치한다. 그리고 발음 위치가 입술에 가까운 자음과 모음이 손가락 중에서 검지와 중지에 대응하는 글쇠(즉, 3행 10열 영역의 가운데 영역)에 할당된다. 즉, 발음 위치가 입술에 가까운 자음이 대체적으로 왼쪽 영역의 오른쪽 열에 위치한 글쇠에 할당되고 목청에 가까운 자음이 대체적으로 왼쪽 영역의 왼쪽 열에 위치한 글쇠에 할당된다. 그리고 발음 위치가 입술에 가까운 모음이 대체적으로 오른쪽 영역의 왼쪽 열에 위치한 글쇠에 할당되고, 발음 위치가 목청에 가까운 모음이 대체적으로 오른쪽 영역의 오른쪽 열에 위치한 글쇠에 할당된다.
또한, 동일한 열에 위치한 글쇠에서, 사용 빈도가 높은 자모가 가운데 행(두 번째 행)에 위치한 글쇠에 할당되고, 그 다음 사용 빈도를 가지는 자모가 위쪽 행(첫 번째 행)에 위치한 글쇠에 할당되고, 사용 빈도가 가장 낮은 자모가 아래쪽 행(세 번째 행)에 위치한 글쇠에 할당된다.
자음이 할당된 위치를 살펴보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한글 자음이 5개의 그룹으로 그룹화되고, 각 그룹이 첫 번째부터 다섯 번째 열 중에서 대응하는 열에 할당된다.
구체적으로, 발음 위치가 입술에 가장 가까운 'ㅁ', 'ㅂ/ㅃ' 및 'ㅍ'의 제1 그룹이 다섯 번째 열의 글쇠에 할당되고, 제1 그룹에서 'ㅁ'이 가장 빈도가 높으므로 가운데인 두 번째 행에 할당된다. 그리고 그 다음으로 높은 빈도를 가지는 'ㅂ/ㅃ'이 위쪽인 첫 번째 행에 할당되고, 가장 낮은 빈도를 가지는 'ㅍ'이 아래쪽인 세 번째 행의 글쇠에 할당된다.
그 다음으로 발음 위치가 입술에 가까운 'ㄴ', 'ㄹ', 'ㅅ/ㅆ', 'ㄷ/ㄸ' 및 'ㅌ'이 네 번째 및 세 번째 열의 글쇠에 할당된다. 이때, 'ㄴ', 'ㄹ', 'ㅅ/ㅆ', 'ㄷ/ㄸ' 및 'ㅌ'은 발음 위치가 실질적으로 유사하지만, 하나의 열에는 최대 세 개의 자음이 할당될 수 있으므로, 음가가 유사하여 연속되어 사용될 가능성이 낮은 'ㄴ', 'ㄷ/ㄸ' 및 'ㅌ'을 제2 그룹에 할당하고, 'ㄹ' 및 'ㅅ/ㅆ'을 제3 그룹에 할당한다. 제2 그룹이 네 번째 열의 글쇠에 할당되고, 제3 그룹이 세 번째 열의 글쇠에 할당된다. 그리고 제2 및 제3 그룹에서 'ㄴ' 및 'ㄹ'이 사용 빈도가 높으므로 두 번째 행에 할당된다. 그 다음으로 높은 빈도를 가지는 'ㅅ/ㅆ' 및 'ㄷ/ㄸ'이 첫 번째 행에 할당되고, 가장 낮은 빈도를 가지는 'ㅌ'이 세 번째 행의 네 번째 열에 할당된다.
다음으로, 발음 위치가 목청에 가까운 'ㅈ/ㅉ', 'ㅊ', 'ㅇ', 'ㄱ/ㄲ', 'ㅋ' 및 'ㅎ'이 두 번째 및 첫 번째 열의 글쇠에 할당된다. 이때, 동일한 발음 위치를 가지는 'ㅈ/ㅉ' 및 'ㅊ'이 제4 그룹에 할당된다. 'ㅇ', 'ㄱ/ㄲ' 및 'ㅋ'은 동일한 발음 위치를 가지지만, 제4 그룹에 2개의 자음만이 할당되어 있으므로 'ㅇ', 'ㄱ/ㄲ' 및 'ㅋ' 중 하나의 자음이 제4 그룹에 할당된다. 이때, 'ㄱ/ㄲ'과 'ㅋ'이 음가가 유사하여 연속되어 사용될 가능성이 낮으므로, 'ㄱ/ㄲ'과 'ㅋ'이 동일한 그룹(제5 그룹)에 할당된다. 따라서 'ㅇ'이 제4 그룹에 할당되고, 나머지 'ㅎ'이 제5 그룹에 할당된다. 제4 및 제5 그룹은 각각 두 번째 열 및 첫 번째 열에 할당된다. 그리고 제4 및 제5 그룹에서 사용 빈도가 가장 높은 'ㅇ' 및 'ㄱ/ㄲ'이 두 번째 행에 할당되며, 다음으로 사용 빈도가 높은 'ㅈ/ㅉ' 및 'ㅎ'이 첫 번째 행에 할당되고, 사용 빈도가 낮은 'ㅊ' 및 'ㅋ'이 세 번째 행에 할당된다.
이와 같이 해서,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라 자음이 발음 위치와 사용 빈도에 따라 한글 자판의 왼쪽 영역(즉, 왼손 영역)에 위치한 글쇠에 할당될 수 있다.
다음, 모음 중에서 가장 빈도가 낮은 'ㅠ'가 자음이 위치한 영역 중에서 빈 자리인 세 번째 열(즉, 제3 그룹이 할당된 열)의 세 번째 행의 글쇠에 할당되고, 가장 사용 빈도가 높은 'ㅣ', 'ㅏ', 'ㅡ' 및 'ㅗ'가 두 번째 행의 글쇠에 할당된다. 이때, 'ㅣ', 'ㅏ', 'ㅡ' 및 'ㅗ' 순으로 발음 위치가 입술에 가까우므로, 'ㅣ', 'ㅏ', 'ㅡ' 및 'ㅗ'가 각각 일곱 번째, 여덟 번째, 아홉 번째 및 열 번째 열의 글쇠에 할당된다.
다시 도 1을 보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사용 빈도가 낮은 이중 모음인 'ㅑ', 'ㅕ' 및 'ㅛ'을 각각 'ㅏ', 'ㅓ' 및 'ㅗ'와 동일한 열에 할당하고, 4개의 부호를 세 번째 행에 할당한다. 그리고 발음 위치가 입술에 가까운 'ㅔ/ㅖ', 'ㅐ/ㅒ' 및 'ㅓ'가 한글 자판의 왼쪽 영역인 여섯 번째 및 일곱 번째 열에 할당된다. 이때, 사용 빈도가 높은 'ㅓ'가 여섯 번째 열의 두 번째 행에 할당되고, 'ㅔ/ㅖ' 및 'ㅐ/ㅒ'가 첫 번째 행의 여섯 번째 및 일곱 번째 열에 할당된다. 또한, 'ㅜ'가 이중 모음이 없는 'ㅡ'가 할당되어 있는 아홉 번째 열의 첫 번째 행에 할당된다.
도 2를 보면, 이중 모음인 'ㅑ', 'ㅕ' 및 'ㅛ'의 사용 빈도가 낮으므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이들 이중 모음을 아래쪽 행인 세 번째 행에 할당하고, 4개의 부호를 오른손의 약지와 새끼 손가락에 대응하는 위치에 할당한다. 따라서 제1 실시예와 달리, 'ㅜ'가 첫 번째 행의 여덟 번째 열에 할당되고, 'ㅕ', 'ㅑ' 및 'ㅛ'가 세 번째 행의 여섯 번째 열부터 여덟 번째 열에 할당된다. 이때, 'ㅕ', 'ㅑ' 및 'ㅛ'의 위치는 서로 바뀔 수도 있다.
도 3을 보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는 이중 모음인 'ㅑ', 'ㅕ' 및 'ㅛ'을 모음 영역 중에서 첫 번째 열(즉, 여섯 번째 열)에 할당하고, 4개의 부호를 세 번째 행에 할당한다. 따라서 제1 실시예와 달리 'ㅛ', 'ㅕ' 및 'ㅑ'가 여섯 번째 열의 첫 번째 행부터 세 번째 행까지 할당되며, 이들의 위치는 서로 바뀔 수도 있다. 그리고 'ㅏ'가 위치한 여덟 번째 열의 첫 번째 행에 'ㅏ'와 발음 위치가 유사한 'ㅓ'가 할당되고, 'ㅗ'가 위치한 열 번째 열의 첫 번째 행에 'ㅗ'와 발음 위치가 유사한 'ㅜ'가 할당된다. 그리고 'ㅔ/ㅖ'와 'ㅐ/ㅒ'가 각각 여섯 번째 및 아홉 번째 열에 할당된다.
다음, 본 발명의 제4 및 제5 실시예에 따른 영자 자모 할당 방법에 대해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4 및 제5 실시예에서는 영자 자모가 입력 장치의 자판 중에서 3행 10열의 영역에 할당된다.
도 4 및 도 5는 각각 본 발명의 제4 및 제5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의 영자 자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쿼티(QWERTY) 자판의 경우 영자는 모두 21개의 자음과 5개의 모음으로 이루어져 있다. 영자 알파벳 대문자의 경우 해당 영자 알파벳의 소문자 글쇠와 'SHIFT' 키를 조합하여 입력하도록 되어 있으며, 반대로 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영자의 경우, 한글과 달리 하나의 영자 자모가 모든 단어에서 항상 같은 특정 음소로 발음되지는 않으나, 영문(英文)에서 하나의 영자 자모가 가장 높은 빈도로 표현되는 음소를 그 영자 자모의 대표 음소로 보고 표 3과 같이 발음 위치에 따라 분류가 가능하다. 표 3은 본 발명의 제4 및 제5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의 영자 자판에 할당되어야 할 영자 자음 21개의 해당 알파벳의 대표 음소의 구강 내에서의 발음 위치에 따른 분류 및 사용 빈도에 따른 순위를 나타낸 표이다. 표 3에서 왼쪽으로 갈수록 발음 위치가 입술에 가까우며, 오른쪽으로 갈수록 발음 위치가 목청에 가깝다. 그리고 괄호 안의 숫자가 높을수록 빈도 순위가 낮다.
발음 위치 입술 ◀ ▶ 목청
자음 P(8) M(9) B(12) F(13) V(17) R(1) T(2) N(3) S(4) L(5) D(7) Z(19) J(20) C(6) G(11) Y(14) K(16) H(10) W(15)
표 3에서 'Q' 및 'X'는 발음 위치가 특정되어 있지 않은데, 이는 'Q' 및 'X'에 대해서 대표 음소를 특정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4 및 제5 실시예에서 'Q'와 'X'는 임의로 할당된다. 그리고 'Y'와 'W'는 반모음으로 간주하여 모음이 할당되는 영역에 할당된다.
표 4는 본 발명의 제4 및 제5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의 영자 자판에 할당되어야 할 영자 모음 5개에 대한 대표 음소의 구강 내에서의 발음 위치에 따른 분류 및 사용 빈도에 따른 순위를 나타낸 표이다. 표 2에서 왼쪽으로 갈수록 발음 위치가 입술에 가까우며, 오른쪽으로 갈수록 발음 위치가 목청에 가깝다. 그리고 괄호 안의 숫자가 높을수록 빈도 순위가 낮고, 아래로 갈수록 발음 위치가 낮다.
발음 위치 입술 ◀ ▶ 목청 발음 위치
모음 I(3) E(1) U(5) O(4) A(2) 높음 낮음
표 3 및 표 4에 나타낸 것처럼, 모음 및 자음은 발음 위치에 따라 분류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제4 및 제5 실시예에 따른 영자 자판에서는 모음과 자음 글쇠를 구강 내에서 발음되는 위치 및/또는 사용 빈도에 따라 배치한다.
도 4 및 도 5를 보면, 본 발명의 제4 및 제5 실시예에 따른 영자 자판의 3행 10열 영역에는 표 3 및 표 4에 나타낸 자음 글쇠 21개와 모음 글쇠 5개가 할당되어 있으며, 3행 10열 영역 중에서 26개의 글쇠를 제외한 나머지 4개의 글쇠에는 부호가 할당될 수 있다. 이때, 제1 내지 제3 실시예와 유사하게 자음 글쇠와 모음 글쇠가 발음 위치에 따라 영자 자판에 위치하는 열이 결정되고, 사용 빈도에 따라 영자 자판에 위치하는 행이 결정된다.
구체적으로 모음이 할당된 위치를 살펴보면,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I', 'E', 'A', 'U' 및 'O'가 영자 자판의 오른 쪽 영역의 가운데 행, 즉 여섯 번째 열부터 열 번째 열의 두 번째 행에 위치한 글쇠에 할당된다. 이때, 발음 위치가 입술에 가까운 'I' 및 'E'가 각각 여섯 번째 및 일곱 번째 열에 할당되고, 발음 위치가 목청에 가까운 'A', 'U' 및 'O'가 각각 여덟 번째부터 열 번째 열에 할당된다. 이때, 'I'와 'E' 사이의 위치 및 'A', 'U' 및 'O' 사이의 위치는 서로 바뀔 수도 있다.
다음, 자음에서는 발음 위치가 입술에 가장 가까운 'P', 'M' 및 'B'의 제1 그룹이 다섯 번째 열의 글쇠에 할당되고, 제1 그룹에서 'P'가 가장 빈도가 높으므로 가운데인 두 번째 행에 할당된다. 그리고 그 다음으로 높은 빈도를 가지는 'M'이 위쪽인 첫 번째 행에 할당되고, 가장 낮은 빈도를 가지는 'B'가 아래쪽인 세 번째 행의 글쇠에 할당된다.
그 다음으로 발음 위치가 입술에 가까운 'F' 및 'V'는 제2 그룹에 할당되는데, 2개의 자음이 하나의 그룹을 형성하고 각각의 사용 빈도수가 낮으므로 이미 두 번째 행에 'I'가 할당되어 있는 열인 여섯 번째 열에 제2 그룹을 할당한다. 제2 그룹에서 'F'가 'V'에 비해 빈도수가 높으므로 'F'를 여섯 번째 열의 첫 번째 행에, 'V'를 그 세 번째 행에 할당한다.
그 다음으로 발음 위치가 입술에 가까운 'R', 'T', 'N', 'S', 'L', 'D' 및 'Z'가 세 번째 및 네 번째 열의 전체 행에 위치한 글쇠와 두 번째 열 중 하나의 행에 위치한 글쇠에 할당된다. 이때, 발음이 유사하여서 연속되어 사용될 가능성이 낮은 'T'와 'D'가 동일한 그룹(제3 그룹)에, 마찬가지로 'S'와 'Z'가 동일한 그룹(제4 그룹)에 할당된다. 그리고 동일한 열에 위치한 글쇠에는 동일한 손가락이 사용되므로, 각 손가락이 담당하는 글쇠의 사용 빈도가 유사하게 글쇠가 할당된다. 구체적으로, 'R', 'T', 'N', 'S', 'L', 'D' 및 'Z' 그룹보다 발음 위치가 입술에서 먼 그룹의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낮으므로, 사용 빈도가 가장 높은 'R'이 두 번째 열의 두 번째 행에 할당된다. 그리고 'L'이 'T' 또는 'D'와 연속되어 사용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L'은 'T' 및 'D'와는 달리 'S' 및 'Z'와 함께 제4 그룹에 할당되고, 'N'이 제3 그룹에 할당된다. 따라서, 제3 그룹과 제4 그룹 중 하나가 세 번째 열에 할당되고, 나머지 그룹이 네 번째 열에 할당된다. 이때, 'S'와 'P'가 연속되어 사용되는 경우가 많고 'P'에는 검지가 할당되므로, 'S'가 검지 이외의 손가락에 대응되는 열에 할당될 수 있다. 즉, 제4 그룹이 세 번째 열에 할당되고, 제3 그룹이 네 번째 열에 할당될 수 있다.
다음, 발음 위치가 입술에서 가장 먼 'J', 'C', 'G', 'K' 및 'H'가 첫 번째 및 두 번째 열에 할당된다. 이때, 발음 위치가 입술에서 가까운 'J'가 'R'과 동일한 제5 그룹에 할당되고, 발음 위치가 입술에서 가장 먼 'H'가 제6 그룹에 할당된다. 그리고 발음이 상대적으로 유사한 'G'와 'K'를 동일한 그룹에 할당하기 위해서 'G와 'K'를 제6 그룹에 할당하고, 'C'를 제5 그룹에 할당한다. 따라서 제5 그룹이 두 번째 열에 할당되고, 제6 그룹이 첫 번째 열에 할당된다. 이때, 제5 그룹에서 'C'가 'J'보다 사용 빈도가 높으므로 첫 번째 행에 할당되고 'J'가 세 번째 행에 할당된다. 그리고 제6 그룹에서 사용 빈도가 가장 높은 'H'가 두 번째 행에 할당되고, 'G'와 'K'가 각각 첫 번째 및 세 번째 행에 할당된다.
이와 같이 해서, 모음 및 발음을 정할 수 있는 자음이 영자 자판에 할당될 수 있다.
다음, 도 4를 보면, 제4 실시예에서는 발음이 정해지지 않은 'Q'와 'X' 및 반 모음인 'Y'와 'W'가 모음 영역 중 첫 번째 행에 할당되고, 문자가 세 번째 행에 할당된다. 이때, 도 4에는 'X', 'Y', 'W' 및 'Q'가 각각 첫 번째 행의 일곱 번째, 여덟 번째, 아홉 번째 및 열 번째 행에 할당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들의 위치는 서로 바뀔 수도 있다.
그리고 도 5를 보면, 제5 실시예에서는 발음이 정해지지 않은 'Q'와 'X' 및 반 모음인 'Y'와 'W'가 모음 영역에서 서로 다른 행에 할당된다. 이때, 'Y'와 'W'의 사용 빈도가 'Q'와 'X'의 사용 빈도보다 높으므로, 'Y'와 'W'가 일곱 번째 및 여덟 번째 열의 첫 번째 행에 할당되고, 'X'와 'Q'가 일곱 번째 및 여덟 번째 열의 세 번째 행에 할당된다. 그리고 'Y'와 'W'의 위치는 서로 바뀔 수 있으며, 'X'와 'Q'의 위치도 서로 바뀔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5 실시예에 따르면, 발음 위치가 같은 자모가 같은 열에 할당되고 같은 열에 할당되는 자모는 입력 빈도수를 고려하여 배치된다. 발음시 같은 위치의 소리가 연속되는 경우는 극히 드물기 때문에,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5 실시예처럼 같은 위치의 소리가 같은 열에 할당되면 자판 입력시 같은 손가락이 연속해서 사용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5 실시예에 따른 한글 또는 영자 자판의 3행 10열 영역에 부호를 할당하는 실시예에 대해서 다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보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부호들 중에서 사용 빈도가 높은 ',/;', './:', '!/'" 및 '?/"'의 문장 부호가 3행 10열 영역에 할당된다. 이때, 이중에서 사용 빈도가 높은 ',', '.', '!' 및 '?'이 'SHIFT' 키를 사용 안 하는 형태로 할당되고, 사용 빈도가 낮은 ';', ':', ''" 및 '"'이 'SHIFT' 키를 사용하는 형태로 할당된다. 그리고 기능이 상대적으로 유사한 ','가 ';'가 동일한 글쇠에 할당되고, '.'와 ':'가 동일한 글쇠에 할당될 수 있다.
도 1, 도 3 및 도 4를 보면, 본 발명의 제1, 제3 및 제4 실시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 '?/"', ',/;' 및 './:'의 문장 부호가 각각 세 번째 행의 일곱 번째, 여덟 번째, 아홉 번째 및 열 번째 열에 위치한 글쇠에 할당된다. 이때, 이들의 위치는 서로 바뀔 수도 있다.
그리고 도 2 및 도 5를 보면, 본 발명의 제2 및 제5 실시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사용 빈도가 높은 ',/;' 및 './:'이 아홉 번째 및 열 번째 열의 첫 번째 행에 위치한 글쇠에 할당되고, 사용 빈도가 낮은 '!/'" 및 '?/"'이 아홉 번째 및 열 번째 열의 세 번째 행에 위치한 글쇠에 할당된다. 이때, ',/;' 및 './:'의 위치는 서로 바뀔 수 있으며, '!/'" 및 '?/"'의 위치도 서로 바뀔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5 실시예에 따른 한글 또는 영자 자판에 숫자를 할당하는 실시예에 대해서 다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보면,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5 실시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한글 또는 영자 자판에서 3행 10열 영역 위의 영역(이하, "숫자 행 영역"이라 함)에 위치한 글쇠에 0부터 9까지의 숫자가 할당된다. 구체적으로, 0부터 9까지 숫자에서 홀수로 이루어진 그룹과 짝수로 이루어진 그룹 중 하나의 그룹이 숫자 행 영역의 첫 번째부터 다섯 번째 열에 할당되고, 나머지 그룹이 숫자 행 영역의 여섯 번째부터 열 번째 열에 할당된다. 도 1 내지 도 5에서는 짝수로 이루어진 그룹이 첫 번째부터 다섯 번째 열에 할당되고, 홀수로 이루어진 그룹이 여섯 번째부터 열 번째 열에 할당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이와 같이 하면, 연속되는 숫자를 입력하는 경우에 양손을 번갈아 가면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숫자 입력을 빠르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 내지 도 5에서는 가운데 영역에서 바깥 쪽 영역 방향으로 숫자가 증가하는 형태로 숫자 글쇠가 숫자 행 영역에 할당된다. 구체적으로, 0, 8, 6, 4, 2, 1, 3, 5, 7 및 9의 순으로 첫 번째부터 열 번째 열에 각각 할당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한글 또는 영자 자모, 숫자, 문장 부호 이외의 부호가 표준 자판과 유사하게 할당된다. 다만, 문장 부호가 3행 10열 영역에 할당되어서 표준 자판에서 3행 10열 영역에 있었던 부호는 표준 자판과는 다른 형태로 할당된다.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 '#', '$', '%', '^', '&' 및 '*'은 표준 자판과 동일하게 2, 3, 4, 5, 6, 7 및 8이 할당된 글쇠에 할당된다. 그리고 '('와 ')'를 사용하는 경우에 '('이 왼쪽에 위치하고 ')'이 오른쪽에 위치하므로, '('은 9와 0이 할당된 글쇠 중에서 왼쪽 글쇠에 할당되고, ')'은 오른쪽 글쇠에 할당된다. 도 1 내지 도 5를 보면, '('이 0이 할당된 글쇠에 할당되고, ')'이 9가 할당된 글쇠에 할당된다.
다음, '~/`', '-', '=/+', '\/|', '[/{' 및 ']/}'는 표준 자판과 동일한 위치에 할당될 수 있다. 그리고 표준 자판에서 3행 10열 영역에 할당되었던 '<'와 '>' 중에서 '<'는 1이 할당된 글쇠에 할당되고, '>'는 '<'와 연속되어 사용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와 동일한 열, 즉 '-'이 할당된 글쇠에 할당된다. 또한, 표준 자판에서 3행 10열 영역에 할당되었던 '/'는 표준 자판에서 '"/''이 할당되었던 글쇠, 즉 3행 10열 영역의 두 번째 행의 열 번째 열에서 행 방향으로 인접한 글쇠에 할당되고, 표준 자판에서 '-'와 동일한 글쇠에 할당되었던 '_'는 '/'와 동일한 글쇠에 할당된다.
다음, 본 발명의 제6 내지 제8 실시예에 따른 한영 자모 할당 방법에 대해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8에서는 한영 자모가 한영 자판 중에서 3행 10열의 영역에 할당된다.
도 6 내지 도 8은 각각 본 발명의 제6 내지 제8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의 한영 자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보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한영 자모 할당 방법은 도 1의 한글 자모 할당 방법에 따라 한글 자모를 3행 10열 영역에 할당하고, 도 4의 영자 자모 할당 방법에 따라 영자 자모를 3행 10열 영역에 할당한다.
도 7을 보면,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한영 자모 할당 방법은 도 2의 한글 자모 할당 방법에 따라 한글 자모를 3행 10열 영역에 할당하고, 도 5의 영자 자모 할당 방법에 따라 영자 자모를 3행 10열 영역에 할당한다.
도 8을 보면,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한영 자모 할당 방법은 도 3의 한글 자모 할당 방법에 따라 한글 자모를 3행 10열 영역에 할당하고, 도 4의 영자 자모 할당 방법에 따라 영자 자모를 3행 10열 영역에 할당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6 내지 제8 실시예에 따르면, 한글 자모 및 영자 자모가 발음 위치와 입력 빈도수에 따라 배치되므로, 자판 입력시 같은 손가락이 연속해서 사용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것처럼, 제6 내지 제8 실시예에서 'N', 'T' 및 'D'의 제3 그룹을 네 번째 열에 할당하고, 'L', 'S' 및 'Z'의 제4 그룹을 세 번째 열에 할당하면, 음가가 유사한 한글 자음과 영자 자음이 동일한 열에 할당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동일한 열에 비슷한 음가의 한글 및 영자 자음이 위치하므로, 한글과 영자 중 하나의 자음만 기억하면 다른 자음이 놓인 열을 추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음가가 유사한 한글 및 영자 자음이 동일한 열에 할당될 수는 있지만,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것처럼 동일한 글쇠에 할당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글쇠에 할당되는 한글 자음과 영자 자음의 음가가 비슷하도록 한영 자모를 할당하는 실시예에 대해서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 내지 도 11은 각각 본 발명의 제9 내지 제11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의 한영 자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한영 자모 할당 방법은 도 6에 도시된 제6 실시예에 따른 한영 자모 할당 방법에 따라 한영 자모가 할당된 한영 자판에서 한글 자음과 영자 자음의 발음이 다른 경우를 영자 자음을 기초로 한글 자음을 조정한다. 즉, 도 6을 보면, 동일한 글쇠에 할당된 'G'와 'ㅎ' 사이의 음가, 'L'과 'ㅅ' 사이의 음가, 'N'과 'ㄷ' 사이의 음가, 'M'와 'ㅂ' 사이의 음가, 'H'와 'ㄱ' 사이의 음가, 'S'와 'ㄹ' 사이의 음가, 'T'와 'ㄴ' 사이의 음가, 'P'와 'ㅁ' 사이의 음가가 전혀 다르므로, 'ㅎ', 'ㅅ', 'ㄷ', 'ㅂ', 'ㄱ', 'ㄹ', 'ㄴ' 및 'ㅁ'의 위치가 조정된다.
구체적으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한영 자모 할당 방법은 'ㅎ'를 'H'와 동일한 글쇠에, 'ㅅ'를 'S'와 동일한 글쇠에, 'ㄷ'를 'T'와 동일한 글쇠에, 'ㅂ'를 'P'와 동일한 글쇠에, 'ㄱ'을 'G'와 동일한 글쇠에, 'ㄹ'을 'L'과 동일한 글쇠에, 'ㄴ'을 'N'과 동일한 글쇠에, 'ㅁ'을 'M'과 동일한 글쇠에 할당한다.
마찬가지로,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0 및 제11 실시예에 따른 한영 자모 할당 방법은 각각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제7 및 제8 실시예에 따른 한영 자모 할당 방법에 따라 한영 자모가 할당된 한영 자판에서 도 9와 같이 영자 자음을 기초로 한글 자음을 조정한다.
이상,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도 6 내지 도 8의 자판에 대하여 각각 영자 자음을 기준으로 음가가 유사하도록 한글 자음의 위치가 조정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도 6 내지 도 8의 자판에 대하여 한글 자음을 기준으로 영자 자음의 위치를 조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한글 자음을 기준으로 영자 자음의 위치가 조정된 자판에서 영문을 입력하는 경우가, 영자 자음을 기준으로 하여 한글 자음의 위치가 조정된 자판에서 영문을 입력하는 경우보다 영자 입력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그렇지만, 전세계 대부분의 국가에서 로마자 자판을 채택하고 있는 점을 고려할 때, 영자 자음 기준으로 한글 자음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9 내지 제11 실시예에 따르면, 발음이 유사한 한글 자음과 영자 자음이 동일한 글쇠에 할당되므로, 사용자가 한글 자음과 영자 자음의 위치 중에서 하나만 기억하면 다른 것의 위치를 추측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11 실시예에서는 3행 10열 영역을 가지는 한글 자판, 영자 자판 및 한영 자판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아래에서는 한영 자모를 4행 3열의 소형 자판에 할당하는 방법에 대해서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2 내지 도 14는 각각 본 발명의 제12 내지 제14 실시예에 따른 한영 자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2 내지 제14 실시예에서는 한영 자모가 소형 자판에 할당된다.
도 12를 보면,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따른 한영 자모 할당 방법은 도 9에 도시한 제9 실시예에 따라 할당된 한영 자판에서 동일한 열에 할당되는 한영 자모를 소형 자판에서 동일한 글쇠에 할당된다.
도 12에서는 도 9의 다섯 번째 열이 소형 자판에서 1이 할당된 글쇠에, 네 번째 열이 4가 할당된 글쇠에, 세 번째 열이 7이 할당된 글쇠에, 여섯 번째 열이 2가 할당된 글쇠에, 일곱 번째 열이 5가 할당된 글쇠에, 두 번째 열이 8이 할당된 글쇠에, 첫 번째 열이 0이 할당된 글쇠에, 여덟 번째 열이 3이 할당된 글쇠에, 아홉 번째 열이 6이 할당된 글쇠에, 열 번째 열이 9가 할당된 글쇠에 할당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그리고 '*'와 '#'이 각각 소형 자판 중 네 번째 행의 첫 번째 열과 네 번째 행의 세 번째 열에 할당된다.
다만, 도 13에 도시한 제13 실시예와 같이 한글의 경우 이중 모음을 그룹화하여 같은 글쇠에 할당하거나, 도 14에 도시한 제14 실시예와 같이 단모음과 유사한 이중 모음이 같은 자판에 배치되도록 이중 모음의 위치를 변경하여 입력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ㅒ' 및 'ㅖ'와 같은 모음은 사용 빈도가 낮고 각각 'ㅑ'+'ㅣ' 및 'ㅕ'+'ㅣ'로 조합이 가능하므로 글쇠 할당시 제외할 수 있다.
그리고 미국 등의 영어권 나라에서는 전화 번호와 같은 숫자를 표기할 때 숫자를 외우는 불편을 없게 하기 위해서 4행 3열 자판에 숫자와 영자 자모를 대응시켜서 표기하는 개인 전용 번호(personalized number, PN) 표현 방법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표 5와 같이 숫자와 영자 자모가 대응된 경우에, 800-KEY-BOARD로 표현된 전화 번호는 800-539-26273을 의미한다.
영자 자모 숫자
0
1
A B C 2
D E F 3
G H I 4
J K L 5
M N O 6
P Q R S 7
T U V 8
W X Y Z 9
아래에서는 이러한 개인 전용 번호 표현 방법을 지원하는 제15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가 통신 단말기에 사용되는 경우에, 입력 장치는 보통의 영문 입력 모드와 개인 전용 번호 입력 모드를 제공한다. 입력 장치가 개인 전용 번호 입력 모드를 전환된 경우에, 사용자가 개인 전용 번호로 표시된 문자를 입력 장치에 입력하면, 입력된 문자가 기존에 사용되는 개인 전영 번호 표현 방식의 번호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이때,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문자 입력 방식으로 입력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따른 4행 3열 자판을 이용하면, 표 6과 같이, 사용자가 '0'이 위치한 글쇠를 한번 누르면 'H'가 입력되고, 두 번 누르면 'J'가 입력되고, 세 번 누르면 'K'가 입력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0'이 위치한 글쇠를 짧게 세 번 누르고, '5'가 위치한 글쇠를 짧게 한번 누르고, '3'이 위치한 글쇠를 짧게 두 번 누르면, "KEY"가 입력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단말기의 통화 버튼을 누르면, "KEY"는 개인 전용 번호의 실제 번호인 "053"으로 변환된다.
K E Y
1 0번 글쇠를 첫번째로 짧게 한번 누름(H) 5번 글쇠를 짧게 한번 누름(E) 3번 글쇠를 첫번째로 짧게 한번 누름(A)
2 0번 글쇠를 두번째로 짧게 한번 누름(J) 3번 글쇠를 두번째로 짧게 한번 누름(Y)
3 0번 글쇠를 세번째로 짧게 한번 누름(K)
다음, 표 7 내지 표 14를 참조하여, 도 6에 도시한 한영 자판으로 한글 및 영문을 입력하는 경우와 기존의 2벌식 한글 자판과 쿼티 영문 자판으로 한글 및 영문을 입력하는 경우에 따른 효과를 비교하고, 도 12에 도시한 소형 자판으로 한글 및 영문을 입력하는 경우와 기존의 소형 자판으로 한글 및 영문을 입력하는 경우에 따른 효과를 비교한다.
측정 항목 연속되는 문자의 왼손/오른손 교차 사용 분포
측정 대상 한글 입력 영문 입력 한글 입력 영문 입력
기존 도 6 기존 도 6 기존 도 12 기존 도 12
측정치 68% 68% 47% 56% 54% 78% 46% 63%
표 7에서 알 수 있듯이 기존 자판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판에서 연속되는 문자의 왼손/오른손 교차 사용 분포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높게 나타난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문자 입력시 왼손/오른손을 교차하면서 입력할 경우, 입력 효율이 높고 입력에 따르는 피로를 양손이 나누어 부담할 수 있다.
측정 항목 자판 가운데 행 사용 분포
측정 대상 한글 입력 영문 입력 한글 입력 영문 입력
기존 도 6 기존 도 6 기존 도 12 기존 도 12
측정치 52% 61% 28% 52% 19% 29% 30% 30%
표 8을 보면, 기존 자판에 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판에서의 가운데 행의 사용 분포가 높게 나타난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운지법의 기본 위치인 가운데 행에서 입력하는 빈도가 높을수록 문자 입력이 편리하다.
측정 항목 연속되는 문자 입력시 상위 행과 하위 행 간의 이동 분포
측정 대상 한글 입력 영문 입력
기존 도 6 기존 도 6
측정치 0.3% 0.1% 5.4% 1.5%
표 9에서 알 수 있듯이, 기존 자판에 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판에서, 연속되는 문자를 입력할 때 상위 행과 하위 행 간의 이동 분포가 낮게 나타난다. 문자를 입력함에 있어서 운지법의 기본 위치인 가운데 행을 기준으로 상위 행이나 하위 행으로 이동하는 분포가 높을 경우 문자 입력이 불편하여 입력 효율이 떨어지게 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연속되는 문자가 상위 행과 하위 행간의 이동 분포가 낮게 나타난다.
측정 항목 4행 3열 소형 자판에서 연속되는 문자 입력시 같은 글쇠 사용 분포
측정 대상 한글 입력 영문 입력
기존 도 12 기존 도 12
측정치 2% 3% 8% 5%
소형 자판에서 연속되는 문자 입력시 같은 글쇠의 사용 분포가 낮을수록 문자 입력시 문자간 구별에 필요한 추가적인 글쇠 입력이나 소요 시간이 적어 유리하다. 표 10을 보면, 영문 입력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판에서 연속되는 문자 입력시 같은 글쇠 사용 분포가 낮게 나타나나, 한글 입력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판보다 기존 자판이 약간 낮게 나타난다. 이것은 기존 자판의 모음 입력 방식이 'ㅡ'와 'ㅣ' 이외의 모음 입력은 'ㅡ', 'ㅣ', 또는 '??'를 조합하여 입력되는 방식이므로, 모음 입력시 동일한 글쇠의 사용률이 낮아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모음 입력시 글쇠 입력 빈도수를 높여서 입력 효율을 낮추는 원인이기도 하다.
측정 항목 4행 3열 소형 자판에서의 한 문자 입력시 글쇠 누름 횟수
측정 대상 한글 입력 영문 입력
기존 도 12 기존 도 12
측정치 한번 누름 55% 67% 40% 73%
두번 누름 38% 27% 25% 20%
세번 누름 7% 6% 25% 6%
소형 자판의 동일한 글쇠에서 첫 번째 배열된 문자는 한번 눌러서 입력되고, 두 번째 배열된 문자는 2번 눌러서 입력되고, 세 번째 배열된 문자는 3번 눌러서 입력되는 경우에, 3번 누름 횟수보다 2번 누름 횟수가 많을수록, 2번 누름 횟수보다 한번 누름 횟수가 많을수록 문자 입력에 소요되는 글쇠 누름 횟수가 줄어들어 입력 효율이 높아진다. 표 11을 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판이 기존 자판보다 3번 및 2번 누르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적으면서 한번 누르는 비율이 훨씬 높아 입력 효율이 높아진다.
측정 항목 4행 3열 소형 자판에서의 전체 문장 입력시 전체 글쇠 누름 횟수
측정 대상 한글 입력 영문 입력
기존 도 12 기존 도 12
측정치 92.1% 70.2%
표 12는 소형 자판의 동일한 글쇠에서 첫 번째 배열된 문자는 한번 눌러서 입력되고, 두 번째 배열된 문자는 2번 눌러서 입력되고, 세 번째 배열된 문자는 3번 눌러서 입력되는 경우에, 기존 자판에서 전체 글쇠를 누르는 횟수에 대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판에서 전체 글쇠를 누르는 횟수의 비율을 측정한 값이다. 주어진 문장을 입력하는데 필요한 글쇠 누름 횟수가 작을수록 문장 입력에 요구되는 손의 부담과 소요 시간이 줄어들어 효율이 높아지게 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판이 기존 자판보다 전체 문장 입력시 전체 글쇠 누름 횟수가 작아서 입력 효율이 높아진다.
측정 항목 정규 자판에서의 양손 손가락의 사용 분포의 차이 (스페이스 바 사용율 제외)
측정 대상 한글 입력 영문 입력
기존 도 6 기존 도 6
측정치 20% 16% 17% 20% (가)최다 사용 손가락의 사용 빈도
1% 5% 1% 5% (나)최저 사용 손가락의 사용 빈도
20 3.2 17 4 (가) / (나)
정규 자판에서 문자 입력 부담을 양손 손가락이 골고루 나누어 부담하면서 입력하는 것이 입력 효율면에서 유리한데, 표 13을 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판이 기존 자판보다 최저 사용 손가락 사용 빈도에 대한 최다 사용 손가락 사용 빈도의 비가 훨씬 낮아서 입력 효율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측정 항목 정규 자판에서 연속되는 문자가 서로 다른 행에 위치하는 분포
측정 대상 한글 입력 영문 입력
기존 도 6 기존 도 6
측정치 2.3% 1.8% 8.3% 6.3%
연속되는 문자를 입력함에 있어서 연속되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하여 계속 자판의 다른 행을 오가면서 입력해야 할 경우 입력 효율이 떨어지게 되는데, 표 14를 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판에서는 연속되는 문자가 서로 다른 행에 위치하는 분포가 낮아 입력 효율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문자 자판을 처음 접하는 사용자나 숙련된 사용자에게 문자 입력을 용이하게 하여 보다 빠른 문자 입력과 문자 입력 오류 빈도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발음 위치를 고려한 문자 배치로 연속되는 문자 입력에서 왼손과 오른손을 교대로 사용할 확률이 높고, 같은 손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다른 손가락을 사용할 확률이 높으며, 상위 열과 하위 열 간의 이동 확률이 낮아 문자 입력의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자모 글쇠를 구강 내의 발음 위치를 기반으로 할당하기 때문에, 문자 입력시 왼손과 오른손의 교대 사용 빈도와 같은 손의 손가락의 교대 사용 빈도를 높여서 글자 입력의 편리성을 증대시키고 글자 입력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한글 사용 모드와 영자 사용 모드를 오고 가면서 사용하더라도 언어가 달라도 발음 위치가 같은 문자는 많은 경우에 같은 글쇠를 사용하게 되어 보다 효율적인 문자 입력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한글 또는 영자 두 개 중의 어느 한쪽 자판만 익히면 자판이 발음에 기반하여 배치되어 있으므로 다른 한쪽 자판을 손쉽게 익힐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4행 3열 소형 자판 사용시도 3행 10열 자판과 같은 방식으로 입력할 수 있어서, 다양한 자판간에 동질성을 유지할 수 있다.

Claims (33)

  1. 3행 10열 영역을 포함하는 자판에 자모를 할당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자음 중 적어도 일부를 구강 내의 발음 위치에 따라 복수의 자음 그룹으로 그룹화하는 단계,
    각 자음 그룹을 상기 3행 10열 영역의 제1 영역 중 대응하는 열에 할당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3행 10열 영역의 제2 영역에 복수의 모음을 할당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3행 10열 영역의 왼쪽 영역과 오른쪽 영역 중 하나의 영역이며, 상기 제2 영역은 나머지 하나의 영역이며,
    상기 각 자음 그룹의 상기 발음 위치에 의해 상기 각 자음 그룹이 할당되는 열이 결정되는 할당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하는 열에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각 자음 그룹을 상기 제1 영역의 검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새끼 손가락에 대응하는 위치 순으로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검지에 대응하는 위치에 할당되는 자음 그룹이 상기 새끼 손가락에 대응하는 위치에 할당되는 자음 그룹보다 상기 발음 위치가 입술에 가까운 할당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자음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자음을 사용 빈도에 따라 대응하는 행에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할당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 자음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자음 중 사용 빈도가 가장 높은 자음을 상기 3행 10열 영역 중 두 번째 행에 할당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자음 중 두 번째로 높은 사용 빈도를 가지는 자음을 상기 3행 10열 영역 중 첫 번째 행에 할당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복수의 자음 중 나머지 자음을 상기 3행 10열 영역 중 세 번째 행에 할당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할당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화하는 단계는, 동일한 열에서 연속되어서 입력되는 빈도가 낮도록 상기 복수의 자음 그룹을 그룹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할당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ㄲ', 'ㄸ', 'ㅃ', 'ㅆ' 및 'ㅉ'을 각각 'ㄱ', 'ㄷ', 'ㅂ', 'ㅅ' 및 'ㅈ'와 동일한 위치에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자음 그룹은, 'ㅂ', 'ㅁ' 및 'ㅍ'의 제1 자음 그룹, 'ㄷ', 'ㄴ' 및 'ㅌ'의 제2 자음 그룹, 'ㅅ' 및 'ㄹ'의 제3 자음 그룹, 'ㅈ', 'ㅇ' 및 'ㅊ'의 제4 자음 그룹, 그리고 'ㅎ', 'ㄱ' 및 'ㅋ'의 제5 자음 그룹을 포함하는 할당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음을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모음 중 'ㅠ'를 상기 제3 자음 그룹이 할당되는 열에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할당 방법.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음을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모음 중 단모음에서 사용 빈도가 높은 'ㅣ', 'ㅏ', 'ㅡ' 및 'ㅗ'를 상기 3행 10열 영역의 두 번째 행에 할당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ㅣ', 'ㅏ', 'ㅡ' 및 'ㅗ'를 구강 내의 발음 위치에 따라 대응하는 열에 각각 할당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할당 방법.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자음 그룹은, 'F' 및 'V'의 제1 자음 그룹, 'P', 'M' 및 'B'의 제2 자음 그룹, 'T', 'N' 및 'D'의 제3 자음 그룹, 'S', 'L' 및 'Z'의 제4 자음 그 룹, 'R', 'C' 및 'J'의 제5 자음 그룹, 그리고 'H', 'G' 및 'K'의 제6 자음 그룹을 포함하는 할당 방법.
  10.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음을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모음 중 'I', 'E', 'A', 'U' 및 'O'를 상기 3행 10열 영역 중 두 번째 행에 할당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I', 'E', 'A', 'U' 및 'O'를 구강 내에서 발음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3행 10열 영역 중 대응하는 열에 할당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할당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X', 'Y', 'W' 및 'Q'를 상기 3행 10열 영역 중에서 상기 'I', 'E', 'A', 'U' 및 'O'가 할당된 열 중 적어도 일부 열에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할당 방법.
  12. 한글 자모 및 영자 자모를 3행 10열 영역을 포함하는 자판에 할당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3행 10열 영역의 제1 영역에 복수의 영자 자음을 할당하는 단계,
    상기 3행 10열 영역의 제2 영역에 복수의 영자 모음을 할당하는 단계,
    복수의 한글 자음을 각각 음가가 유사한 영자 자음이 할당된 열과 동일한 열에 할당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3행 10열 영역 중 상기 복수의 한글 자음이 할당된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복수의 한글 모음을 할당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영자 자음을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영자 자음 중 적어도 일부를 구강 내의 발음 위치에 따라 복수의 자음 그룹으로 그룹화하는 단계, 그리고
    각 자음 그룹을 상기 제1 영역 중 대응하는 열에 할당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각 자음 그룹의 상기 발음 위치에 의해 상기 각 자음 그룹이 할당되는 열이 결정되는 할당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자 자음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복수의 영자 자음 중 'X'와 'Q'를 제외한 영자 자음이고,
    상기 복수의 영자 자음을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각 자음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영자 자음을 사용 빈도에 따라 대응하는 행에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3행 10열 영역의 왼쪽 영역과 오른쪽 영역 중 하나의 영역이며, 상기 제2 영역은 나머지 하나의 영역인 할당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동일한 열에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한글 자음을 각각 음가가 유사한 영자 자음이 할당된 위치에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할당 방법.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자음 그룹은, 'F' 및 'V'의 제1 자음 그룹, 'P', 'M' 및 'B'의 제2 자음 그룹, 'T', 'N' 및 'D'의 제3 자음 그룹, 'S', 'L' 및 'Z'의 제4 자음 그룹, 'R', 'C' 및 'J'의 제5 자음 그룹, 그리고 'H', 'G' 및 'K'의 제6 자음 그룹을 포함하며,
    상기 동일한 열에 할당하는 단계는,
    'ㅂ', 'ㅁ' 및 'ㅍ'을 상기 제2 자음 그룹과 동일한 열에 할당하는 단계,
    'ㄷ', 'ㄴ' 및 'ㅌ'을 상기 제3 자음 그룹과 동일한 열에 할당하는 단계,
    'ㅅ' 및 'ㄹ'을 상기 제4 자음 그룹과 동일한 열에 할당하는 단계,
    'ㅇ', 'ㅈ' 및 'ㅊ'을 상기 제5 자음 그룹과 동일한 열에 할당하는 단계, 그리고
    'ㅎ', 'ㄱ' 및 'ㅋ'을 상기 제6 자음 그룹과 동일한 열에 할당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할당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ㅂ'과 'P', 'ㅁ'과 'M', 'ㅍ'과 'B', 'ㄷ'과 'T', 'ㄴ'과 'N', 'ㅌ'과 'D', 'ㅅ'과 'S', 'ㄹ'과 'L', 'ㅇ'과 'R', 'ㅈ'과 'C', 'ㅊ'과 'J', 'ㅎ'과 'H', 'ㄱ'과 'G', 'ㅋ'과 'K'이 각각 동일한 위치에 할당되는 할당 방법.
  17. 자모를 4행 3열 영역을 포함하는 소형 자판에 할당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영자 자음 중 적어도 일부를 구강 내의 발음 위치에 따라 복수의 자음 그룹으로 그룹화하는 단계,
    동일한 자음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영자 자음을 상기 4행 3열 영역 중 동일한 위치에 할당하는 단계,
    복수의 한글 자음을 각각 음가가 유사한 영자 자음이 할당된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할당하는 단계, 그리고
    복수의 한글 모음을 상기 4행 3열 영역에서 상기 복수의 한글 자음이 할당된 위치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할당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4행 3열 영역은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영역에는 상기 복수의 한글 자음만이 할당되고, 상기 제2 영역에는 상기 복수의 한글 모음만이 할당되는 할당 방법.
  18. 삭제
  19. 삭제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자음 그룹은, 'F' 및 'V'의 제1 자음 그룹, 'P', 'M' 및 'B'의 제2 자음 그룹, 'T', 'N' 및 'D'의 제3 자음 그룹, 'S', 'L' 및 'Z'의 제4 자음 그룹, 'R', 'C' 및 'J'의 제5 자음 그룹, 그리고 'H', 'G' 및 'K'의 제6 자음 그룹을 포함하며,
    'ㅂ', 'ㅁ' 및 'ㅍ'과 상기 제2 자음 그룹, 'ㄷ', 'ㄴ' 및 'ㅌ'과 상기 제3 자음 그룹, 'ㅅ' 및 'ㄹ'과 상기 제4 자음 그룹, 'ㅇ', 'ㅈ' 및 'ㅊ'과 상기 제5 자음 그룹, 'ㅎ', 'ㄱ' 및 'ㅋ'과 상기 제6 자음 그룹이 각각 동일한 위치에 할당되는 할당 방법.
  21. 제17항에 있어서,
    'I'와 'E' 중 하나의 영자 모음, 'A', 'U' 및 'O'를 각각 상기 4행 3열 영역 중 상기 복수의 자음 그룹이 할당된 위치를 제외한 나머지 위치에 할당하는 단계, 그리고
    'X', 'Q', 'Y' 및 'W'를 상기 나머지 위치에 각각 할당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I'와 'E' 중 다른 하나의 영자 모음이 상기 복수의 자음 그룹 중 하나의 자음 그룹이 할당된 위치에 할당되고, 'I', 'E', 'A', 'U' 및 'O'는 서로 다른 위치에 할당되는 할당 방법.
  22. 3행 10열 영역을 가지는 자판을 포함하는 입력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자음이 각각 할당되어 있으며, 상기 3행 10열 영역 중 제1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제1 글쇠, 그리고
    복수의 모음이 각각 할당되어 있으며, 상기 3행 10열 영역 중 제2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제2 글쇠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3행 10열 영역의 왼쪽 영역과 오른쪽 영역 중 하나의 영역이고, 상기 제2 영역은 다른 하나의 영역이며,
    상기 복수의 자음 중 적어도 일부는 구강 내의 발음 위치에 따라 복수의 자음 그룹으로 그룹화되어 있으며,
    상기 3행 10열 영역에서 동일한 열에 위치하는 제1 글쇠들에 할당되어 있는 자음들은 동일한 자음 그룹에 속하며,
    상기 각 자음 그룹의 상기 발음 위치에 의해 상기 각 자음 그룹이 할당되는 열이 결정되는 입력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각 자음 그룹에서 사용 빈도가 가장 높은 자음이 상기 3행 10열 영역 중 두 번째 행에 위치하는 제1 글쇠에 할당되고, 두 번째로 높은 사용 빈도를 가지는 자음이 첫 번째 행에 위치하는 제1 글쇠에 할당되며, 나머지 자음이 세 번째 행에 위치하는 제1 글쇠에 할당되는 입력 장치.
  24.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자음 그룹은, 'ㅂ', 'ㅁ' 및 'ㅍ'의 제1 자음 그룹, 'ㄷ', 'ㄴ' 및 'ㅌ'의 제2 자음 그룹, 'ㅅ' 및 'ㄹ'의 제3 자음 그룹, 'ㅈ', 'ㅇ' 및 'ㅊ'의 제4 자음 그룹, 그리고 'ㅎ', 'ㄱ' 및 'ㅋ'의 제5 자음 그룹을 포함하며,
    'ㅣ', 'ㅏ', 'ㅡ' 및 'ㅗ'가 상기 복수의 제2 글쇠 중에서 두 번째 행에 위 치하는 제2 글쇠들에 할당되어 있는 입력 장치.
  25.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자음 그룹은, 'F' 및 'V'의 제1 자음 그룹, 'P', 'M' 및 'B'의 제2 자음 그룹, 'T', 'N' 및 'D'의 제3 자음 그룹, 'S', 'L' 및 'Z'의 제4 자음 그룹, 'R', 'C' 및 'J'의 제5 자음 그룹, 그리고 'H', 'G' 및 'K'의 제6 자음 그룹을 포함하며,
    'I', 'E', 'A', 'U' 및 'O'가 상기 복수의 제2 글쇠 중에서 두 번째 행에 위치하는 제2 글쇠들에 할당되어 있는 입력 장치.
  26. 3행 10열 영역을 가지는 자판을 포함하는 입력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영자 자음이 각각 할당되어 있으며, 상기 3행 10열 영역 중 제1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제1 글쇠, 그리고
    복수의 영자 모음이 각각 할당되어 있으며, 상기 3행 10열 영역 중 제2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제2 글쇠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3행 10열 영역의 왼쪽 영역과 오른쪽 영역 중 하나의 영역이고, 상기 제2 영역은 다른 하나의 영역이며,
    상기 3행 10열 영역에서 복수의 한글 자음이 음가가 유사한 영자 자음이 할당된 열에 위치하는 제1 글쇠들에 각각 할당되어 있으며,
    복수의 한글 모음이 상기 복수의 제1 글쇠 중에서 상기 복수의 한글 자음이 할당된 제1 글쇠를 제외한 제1 글쇠와 상기 복수의 제2 글쇠에 각각 할당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영자 자음 중 적어도 일부가 구강 내의 발음 위치에 따라 복수의 자음 그룹으로 그룹화되고, 각 자음 그룹이 상기 제1 영역 중 대응하는 열에 할당되며,
    상기 각 자음 그룹의 상기 발음 위치에 의해 상기 각 자음 그룹이 할당되는 열이 결정되는 입력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각 한글 자음이 음가가 유사한 영자 자음이 할당된 제1 글쇠에 할당되어 있는 입력 장치.
  28. 4행 3열 영역을 가지는 소형 자판을 포함하는 입력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영자 자음이 할당되어 있는 복수의 제1 글쇠, 그리고
    복수의 영자 모음이 할당되어 있는 복수의 제2 글쇠
    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영자 자음 중 적어도 일부는 구강 내의 발음 위치에 따라 복수의 자음 그룹으로 그룹화되어 있으며,
    동일한 제1 글쇠에 할당되어 있는 영자 자음들은 동일한 자음 그룹에 속하며,
    복수의 한글 자음이 각각 상기 복수의 제1 글쇠 중에서 음가가 유사한 영자 자음이 할당된 제1 글쇠에만 할당되어 있으며,
    복수의 한글 모음이 상기 복수의 제1 글쇠 중에서 상기 복수의 한글 자음이 할당된 제1 글쇠를 제외한 나머지 제1 글쇠와 상기 복수의 제2 글쇠에만 할당되어 있는 입력 장치.
  29. 삭제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글쇠와 상기 복수의 제2 글쇠에는 0부터 9까지 숫자가 각각 할당되어 있으며,
    영자 자음 또는 영자 모음이 입력된 경우에 상기 영자 자음 또는 영자 모음을 동일한 제1 또는 제2 글쇠에 할당되어 있는 개인 전용 번호로 변환하는 모드를 제공하는 입력 장치.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KR1020070024052A 2007-03-12 2007-03-12 자모 할당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입력 장치 KR100874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4052A KR100874010B1 (ko) 2007-03-12 2007-03-12 자모 할당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입력 장치
US12/530,744 US8446369B2 (en) 2007-03-12 2008-03-12 Method for allocating characters and input device using the same
EP08723438A EP2126668A4 (en) 2007-03-12 2008-03-12 CHARACTER ASSIGNMENT METHOD, AND INPUT DEVICE USING THE SAME
PCT/KR2008/001401 WO2008111797A1 (en) 2007-03-12 2008-03-12 Method for allocating characters and input devic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4052A KR100874010B1 (ko) 2007-03-12 2007-03-12 자모 할당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입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3458A KR20080083458A (ko) 2008-09-18
KR100874010B1 true KR100874010B1 (ko) 2008-12-17

Family

ID=39759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4052A KR100874010B1 (ko) 2007-03-12 2007-03-12 자모 할당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입력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446369B2 (ko)
EP (1) EP2126668A4 (ko)
KR (1) KR100874010B1 (ko)
WO (1) WO20081117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31256A1 (en) * 2009-05-13 2010-11-18 Rajesh Mehra A keyboard for linguistic scripts
JP5282699B2 (ja) * 2009-08-14 2013-09-04 富士通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文字変換装置、文字変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2158170A1 (en) * 2011-05-18 2012-11-22 King Saud University Ergonomic keyboard
KR101791929B1 (ko) * 2016-09-23 2017-10-31 (주)신성이노테크 다개국어 문자 입력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5216A (ja) 1993-04-06 1994-10-21 Koji Ishii キーボード
KR19990024219U (ko) 1997-12-08 1999-07-05 오성택 발음기호식 배열 영문 키보드
US6015342A (en) 1998-06-03 2000-01-18 Carrier Corporation Louver apparatus for air conditioning unit
KR20010036374A (ko) 1999-10-08 2001-05-07 유춘열 문자 자동 인식/수동 입력 키보드와 키 구조
US6462678B1 (en) * 2000-03-24 2002-10-08 Matthew Y. Ahn Phonetic Korean Hangul keyboard system
KR20020074240A (ko) 2001-03-19 2002-09-30 주식회사 드림티브이 화면용 한글자판의 키배열 방법 및 한글자판의 디스플레이방법
KR100769595B1 (ko) 2001-06-07 2007-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자모 배치구조
US7414616B2 (en) * 2002-01-03 2008-08-19 Mahesh Jayachandra User-friendly Brahmi-derived Hindi keyboard
EP1586191A4 (en) * 2003-01-22 2009-03-11 Min-Kyum Kim APPARATUS AND METHOD FOR ENTERING ALPHABETICAL CHARACTERS
US6830396B2 (en) * 2003-03-31 2004-12-14 Francis N. Kurriss Keyboard configuration system
EP1875620B1 (en) * 2005-04-25 2012-03-28 Sony Computer Entertainment Korea, Inc Hangeul input keypad and methods using the same
KR100679421B1 (ko) 2005-04-25 2007-02-07 주식회사 소니컴퓨터 엔터테인먼트 코리아 한글 입력용 키패드 및 이를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KR100675127B1 (ko) 2005-05-30 2007-01-30 임재연 컴퓨터의 쉬운 한글 키보드 자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10015A1 (en) 2010-05-06
EP2126668A4 (en) 2013-03-27
EP2126668A1 (en) 2009-12-02
WO2008111797A1 (en) 2008-09-18
KR20080083458A (ko) 2008-09-18
US8446369B2 (en) 2013-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56258B1 (en) Keypad
US20020135499A1 (en) Keypad layout for alphabetic symbol input
US6275216B1 (en) Keyboard for inputting character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JPH08211987A (ja) 曖昧さの解決論理を備えたキーボード
JPH10247128A (ja) キー入力装置
CN100478852C (zh) 数字键盘英汉输入方法
KR100874010B1 (ko) 자모 할당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입력 장치
CN104699402B (zh) 基于触摸屏的滑行输入装置及方法
AU760904B2 (en) Speed typing apparatus and method
CN103488426A (zh) 一种基于触摸屏的虚拟键盘及输入法
Tojo et al. BubbleFlick: Investigating effective interface for Japanese text entry on smartwatches
CN101071337B (zh) 一种拼音字母、数字的汉字输入法及键盘和屏幕的显示方法
CN103677302A (zh) 手机中文快捷拼音输入的方法
EP1875620B1 (en) Hangeul input keypad and methods using the same
KR20130069391A (ko) 소형 일문키보드 및 방법
JPH09128134A (ja) 画面タッチ式入力装置
KR101001085B1 (ko) 휴대폰 자판 영어 알파벳 자모 배열
KR101850674B1 (ko)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영어입력 자판 및 입력방법
KR100875334B1 (ko) 영문 입력을 위한 키패드
JP3130693B2 (ja) パソコン用日本語混合文入力装置
CN106406558B (zh) 数字键实现双拼、五笔字根输入和配套键盘
CN105759985A (zh) 一种基于双拼的汉字输入方法及装置
Kim Optimized Layout of a Medium-Type Model for Korean Soft Keyboards in Smart Phones
KR101445061B1 (ko) 스마트폰의 한글입력버튼 배치구조
KR20030004230A (ko) 자모 분리 할당을 통한 문자 입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