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5061B1 - 스마트폰의 한글입력버튼 배치구조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의 한글입력버튼 배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5061B1
KR101445061B1 KR1020120153297A KR20120153297A KR101445061B1 KR 101445061 B1 KR101445061 B1 KR 101445061B1 KR 1020120153297 A KR1020120153297 A KR 1020120153297A KR 20120153297 A KR20120153297 A KR 20120153297A KR 101445061 B1 KR101445061 B1 KR 1014450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quot
input
row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3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3485A (ko
Inventor
송혁진
Original Assignee
송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혁진 filed Critical 송혁진
Priority to KR1020120153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5061B1/ko
Publication of KR20140083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34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5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50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의 문자입력창에 한글을 입력할 때 자음과 모음에 의한 한글입력버튼 배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키 어레이(array)를 주요한 자모음만 3*6 행렬 구조로 구획한 18개의 입력 버튼 중에서, 한글 자음을 쿼티 2벌식 자판의 배치와 유사하게 배치하되 “ㅎ”만 부득이하게 제2행 제5열이 아닌 제1행 제6열에 배치한 것으로, 제1행의 제1열의 좌로부터 “ㅂ”, “ㅈ”, “ㄷ”, “ㄱ”, “ㅅ”, “ㅎ”를; 제2행의 제1열의 좌로부터 “ㅁ”, “ㄴ”, “ㅇ”, “ㄹ”를; 제3행의 제1열의 좌로부터 “ㅋ”, “ㅌ”, “ㅊ”, “ㅍ”를 포함하는 14개의 기본자음버튼(100)을 배치하며, 제2행의 제5열의 좌로부터 “·”, “ㅣ”를; 제3행의 제5열의 좌로부터 “ㅡ”, “‥”를 포함하는 4개의 기본모음버튼(200)을 배치한 스마트폰의 한글 입력장치로서, 터치(touching) 제스처와 드래그(draging)를 이용하되,한번 터치하거나 한번 터치 후 손을 떼지 않고 인접한 상(上), 하(下), 좌(佐), 우(右), 좌상(左上), 좌하(左下), 우상(右上) 7개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모음은 천(·), 지(ㅡ), 인(ㅣ) 3가지 버튼에 “‥” 버튼 1개를 추가하고, 제2행 제6열의 중앙 “ㅣ” 아래쪽의 “ㅣ”를 추가해 모음 입력을 할 때 처음 터치후 드래그(draging)방식으로 조합 입력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마트폰의 한글입력버튼 배치구조{the hangul input button layout structure for smartphone}
본 발명은 스마트폰의 문자입력창에 한글을 입력할 때 자음과 모음에 의한 한글입력버튼 배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 곧 스마트폰의 한글 문자입력방식은 자음과 모음으로서, 초성 중성 종성의 규칙적인 역할을 하여 모아쓰기를 하고 있는 실정이다.
휴대전화 문자판의 모음의 설계에 한국어의 "모음 특성"에 대해 알아보면 모음은 표기에 있어서, 매우 규칙적 형태만 허용되도록 발전 되었다.
영어에서는 aa가 있으나 한국어는 ㅏㅏ, ㅜㅏ 와 같은 조합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입력방식에서 모음은 연접회피나 변환의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
문자판의 모음은 자모순서, 입력순서와 빈도가 중요하다. 입력의 순서는 사전의 순서와 다르다. 사전은 ㅏㅑㅓㅕㅗㅛㅜㅠㅡㅣ 순이지만, 빈도는 ㅏㅣㅡㅓㅗㅜㅕㅛㅑㅠ 순이며, ㅏ,ㅣ,ㅡ의 순으로 이들이 약 50%를 차지하며, 모음의입력순차(sequence)는 ㅗ/ㅜ+ㅏ/ㅓ+ㅣ의 순, 예를 들어 ㅐ=ㅏ+ㅣ, ㅘ=ㅗ+ㅏ,ㅙ=ㅗ+ㅏ+ㅣ, ㅚ=ㅗ+ㅣ이 다른 순차보다 많다. 표준 한글 자판의 모음 위치는 이점이 반영되었다.
휴대전화자판에서는 인위적인 배치로 효율을 높일 수 있으나, 자모순서 배열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면에서 더 유리한 측면도 있다.
다음은 휴대전화 한글 문자판의 설계에 있어서, '자음의 특성'으로는 자음은 모든 모델들이 19자를 사용한다. 자음의 빈도는 ㅇㄴㄱㄹㅅㄷㅈㅎㅁㅂㅆㅊㅌㅍㄲㄸㅋㅉㅃ순이지만, 실제로는 빈도만 아니라 평음-격음-경음의 자음 체계를 고려하고 있다. 현대 한국어는 초성에서 쌍자음 외의 겹자음, 예컨대 'ㅄ'과 같은 것이 사용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자모교대형 외에는 받침과 초성 사이의 음절마침 신호를 꼬박꼬박 넣을 필요가 없다.자모의 빈도 뿐 아니라, 자모 간의 연접율도 중요한 특성이다.
상기와 같은 자음과 모음의 특성에 따라,휴대전화에서의 문자배열은 1) 자음모음 분리형 2) 자음모음 교대형 3) 자음모음혼재형이 있다.
1)자음모음 분리형
자음만 있는 키, 모음만 있는 키로 구성된 유형이다. 자모의 고유위치는 예컨대 1번키에 {ㄱㅋㄲ}이라면,ㄱ=1번키 1째층(레이어), ㅋ=1번키 2째층과 같이 정해진다. 다른 예로 3번키에 {ㅏㅓㅑㅕ} 등으로 할당하는 방식이다.
삼성, 엘지, 팬텍 등 실용되는 대부분의 입력방식이 이에 해당한다. 삼성의 천지인 모델은 이 유형의 특이한 경우이다. 모음 대신 모음의 획인 천(.) 지(ㅡ) 인(ㅣ)을 배열하는 방식이다.
2)자음모음 교대형
한 키에 자음과 모음을 같이 병렬된 유형이다. 자모의 고유 위치가 정해진 것이 아니고 타건의 교대 입력에 따라 자음이기도 하고 모음이기도 한다. 예컨대 1번 키에 할당이 {ㄱ,ㅏ}을 할당한다면 ㄱ이 꼭 1번키의 1째층이라고 할 수 없고, 그저 1번키가 ㄱ이 되기도 하고 ㅏ가 되기도 한다. 한돌코드가 이에 해당한다.
3)자음모음 혼재형
한 키에 자음 모음이 섞인 키가 있는 유형이다. 자음 모음이 섞여 있어도 자모의 고유 위치는 정해져 있다. 예컨대 1번 키의 할당이 {ㄱ ㅏ}이라면 ㄱ은 첫째 층, ㅏ는 2째 층이다. 현재 실용되는 것은 보이지 않으며, 소위 3벌식의 설계에 나타나는 편이다.
4)초성활용형
맥슨전자에서 사용하였던 무선전화 자판 이밖에 다른 관점의 초성활용형이 있다. 초성활용형은 10개의 숫자키에 자음 중심으로 할당한다. 대개'ㄱㄴㄷㄹㅁㅂㅅㅇㅈㅎ'을 기본으로 배열하고 다른 자음은 그 다음 층으로 할당한다. 과거 체신부전화기 규격집(1988.11)으로 정해진 배열을 맥슨전자의 무선전화에 적용된 예가 있다.
김민겸 한글은 초성활용형에 해당하지만 ㅎ을 모음용으로 겸하고, *,#을 모음용 및 자음변환용으로 겸하는 방식이다.
자음모음 교대형은 초성활용모드로 변환할 수 있다. 개인들이 초성활용 운동을 벌리기도 하는데, ㅎ대신 ㅊ을 기본으로 배열하였다. 그러나 일부 학자들은 과거 체신부 전화기 규격을 따르되, 다만 0번 키에 심리학적인 정합성을 위해 ㅇ을 배열해야 하고 따라서 ㅇ과 ㅎ의 위치만 바꾸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초성 10자의 빈도 순서는 자음의 특성에서 보듯 ㅇㄴㄱㄹㅅㄷㅈㅎㅁㅂ이다.
다음은 휴대전화 문자 입력 방식의 분류에 다음과 같다.
1)제자리타 방식( multi - tap )
한 키의 여러 층에 할당된 자모를 제자리에서 연속으로 눌러 구현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ㄱㅋㄲ}이면 ㄱ은 1회, ㅋ은 제자리에서 2회, ㄲ은 제자리에서 3회이다. 4회째는 다시 ㄱ으로 순환된다.
가장 일반적인 입력방식으로 국제적으로 제자리타 방식이 일반이다. 이 경우 할당한 '자모'끼리(한국어의 경우 '국가'처럼 받침-초성 간에서만 발생한다) 연접시 의도하지 않는 글자로 바뀌는 현상이 발생하므로 연접현상 회피를 위한 구분자(delimitor) 신호를 넣는 것은 필수적이다. 구분은 12키 밖의 방향키를 사용하여 커서 이동하기도 하고, 12키 내의 키 하나를, 예컨대 #이나 *를 기능키로 사용할 수도 있다.
2)변환 방식
한 키에 할당된 자모의 1째의 것만 그 키로 입력하고 2째층부터는 변환키를 눌러서 구현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1={ㄱㅋㄲ}이면 ㄱ은 1번키로, ㅋ은 ㄱ+*키와 같은 예이다. 따라서 변환용 기능키 1개는 필수이다.'가획' 또는 '쌍자음' 기능키는 이 방식의 특별한 예이다.
3)교대 방식
배열의 자음모음교대형에 해당되며 예컨대 1={ㄱㅏ}이라면 처음 타건은 ㄱ, 그다음 타건은 ㅏ, 그다음 타건은 받침 ㄱ이다. 이 방식은 변환방식이 필수로 포함되는데, 예를 들어 ㅋ을 입력하기 위해서 ㄱ+변환키,ㅐ를 입력하기 위해서 ㅏ+변환키처럼 하는 식이다. 모음 다음에 받침이 오는 경우와 다음 초성이 오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 방식은 항상 음절 완성 후 마침의 신호를 입력해야 한다. 즉 '마침키'를 눌러서, 다음 음절로 커서 이동을 해야 한다. 예를 들어 '우리=ㅇ+ㅜ+마침키+ㄹ+ㅣ'와 같다. 따라서 '변환키', '마침키'의 기능키 2개가 필수이다.
4)단어입력 방식
예측(predictive)방식이라고도 부른다. 제자리타 방식의 연접현상이나 변환 방식의 키 이동이 늘어나는 것을 피할 수 있는 방식이다. 단어입력 방식은 해당 글자가 속하는 키를 한 번만 눌러 주면 단어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단어를 바탕으로 현재 들어온 키 입력에 맞는 단어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1={ㄱㅋㄲ}, 2={ㅗㅜ},3={ㅣ]로 배열하였다면, 12를 치면 '코'를 출력한다. '고, 구, 쿠, 꼬, 꾸'보다 '코'가 가장 가능성이 높은 단어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121을 치면 '코'와 관계없이 '국', 1213을 치면 '국'과 관계없이 '고기'를 출력한다. 그 숫자열에 해당하는 단어가 여럿일 경우 변환키를 눌러 원하는 단어가 나올 때까지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1213=고기/구기/쿠키/... 와 같이 빈도가 높은 것부터 나타난다. 하지만 현재 입력하고 있는 단어 문자열이 수시로 바뀌기 때문에 인식과 구현이 불일치하여 헷갈리게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 단어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해야 되고, 데이터베이스에 없는 고유명사라든지, 속어(예,~하셈), 축약어(예, 문방위), 단어를 붙여쓰는 경우(예, '없는문자등의') 등은 원하는 문자가 없으므로 각각의 자모를 입력해야 하는 일이 불편이 수반된다.
한편 초,중,종성의 자모들을 사용하는 것보다 초성들 만을 사용한 단어입력방식(예를 들어 ㅇㄹ=우리/오리...,ㄱㄱ=국가/국기/곶감...)이 더 적중율이 더 높다는 주장도 있다.
휴대폰 제조사별 입력방식은 이상의 입력방식에서 단 1가지만 사용하지 않고 섞여 있기도 한다. 엘지 모델의 경우, 자음은 변환방식, 모음은 제자리타 및 변환방식을 사용한다.
참고로, 훈민정음 제자원리와 휴대전화 문자입력방식을 알아보면, 훈민정음의 제자원리는 모음의 경우 천지인, 자음의 경우 조음기관의 모양에 따른 아설순치후 5 글자에 가획원리로 구성되며 오행설과도 결부된다. 삼성이나 엘지는 제자 원리를 부분적으로 적용하였다. 그러나 빈도 균형과 인간공학적 미세동작을 고려하지 않고 제자원리를 적용하는 것은 과학적 공학적 설계가 아니라는 주장이 다수이다.
예컨대 'ㅅ ㅈ ㅊ ㅆ ㅉ' 을 한 키에 할당하는 것은 깊이가 너무 크다는 주장이 있다.
휴대전화 문자입력방식으로 알려진 성능지표는 정량지표와 정성지표 그리고 실험지표가 있을 수 있다. 성능지표는 이해관계자에 따라 논란이 많은 것이 사실이다. 제자리타 1회와 이동타 1회의 비중 차이, 운지거리의 차이, 음절마침 등 부가키 횟수의 반영 여부에 따라 평가 결과의 차이를 보여준다. 현재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의 기술위원회에서 표준화를 추진하기 위해 성능지표를 개발하고 있고, 한편 실험지표는 단위시간당 입력 글자수와 학습률이 대표적이다.
현재 국내의 휴대전화는 제조사에 따라 여러 가지 문자 입력 방식이 존재하였다. 그 결과로 휴대전화를 바꿀 때 사용자들은 불편을 겪고 있는 실정이었다. 하지만 2011년 피처 폰은 삼성전자의 천지인으로 통일하였다.
국내 휴대전화 제조사중 대표적인 문자입력방식으로 천지인 방식에는 기본적으로 아래 표 1과 같은 키패드가 자리 잡고 있다.
1 l 2 、 3 ㅡ
4ㄱㅋ 5ㄴㄹ 6ㄷㅌ
7ㅂㅍ 8ㅅㅎ 9ㅈㅊ
* 0ㅇㅁ # @
4를 한 번 누르면 ㄱ이 나오고, 한 번 더 누르면 ㅋ이 나오고, 한 번 더 누르면 ㄲ이 나오고, 다시 한 번 더 누르면 ㄱ으로 되돌아가는 식이다. 모음의 경우 ㅣ, ㆍ, ㅡ 셋으로 조합해서 입력하는데, 예를 들어 ㅏ는 ㅣ+ㆍ(12), ㅠ는 ㅡ+ㆍ+ㆍ(322)와 같이 입력한다.모음을 세 키로 처리해서 편리하긴 하지만 평균적으로 모음의 입력 타수가 많이 늘어나고,단어방식(Phoneword)의 기억술(mnemonic)을 활용할 수 없다. 예를 들어 '국'=ㄱ+ㅜ+ㄱ에서 ㅜ에 해당하는 번호가 없다.
자음이 한 키에 중복돼 있어 '국가'를 입력하기 위해 4324412를 연달아 입력하면 '구카', '국가'를 입력하려면'국(4324)' 입력 뒤 2초를 기다려야 하거나 메뉴 버튼중 오른쪽 이동 버튼을 추가로 눌러야 하는 단점이 있다.
다음은 나랏글 입력방식으로는 아래 표2와 같은 키패드가 자리 잡고 있다.
1 ㄱ 2 ㄴ 3ㅏㅓ
4 ㄹ 5 ㅁ 6ㅗㅜ
7 ㅅ 8 ㅇ 9 ㅣ
*가획 0 ㅡ #쌍자음
5를 한 번 누르면 ㅁ이 나오고, 가획(*) 키를 누르면 ㅂ이 나오고, 다시 가획 키를 누르면 ㅍ이 나오고, 다시 가획 키를 누르면 ㅁ으로 되돌아가는 식이다.
ㅂ에서 쌍자음(#) 키를 누르면 ㅃ이 나오고, 다시 쌍자음 키를 누르면 ㅂ으로 되돌아간다. 모음의 경우 ㅑ는 ㅏ(3)+가획(*), ㅓ는 ㅏ+ㅏ와 같은 방식으로 입력할 수 있다.천지인과는 달리 자음+자음 조합이 없어 문자 입력 시 혼동이 오지 않는 장점이 있다. 한편 운지거리가 많은 단점이 있다. 연접현상이 없는 대신, 운지거리가 많은 것은 변환타법의 공통현상이다. 또 기능키가 2개 사용되어 여분이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 팬택계열의 SKY 한글 II 기본적으로 아래 표3과 같은 키패드가 자리잡고 있다.
1ㄱㅋ 2ㅣㅡ 3ㅏㅑ
4ㄷㅌ 5ㄴㄹ 6ㅓㅕ
7ㅁㅅ 8ㅂㅍ 9ㅗㅛ
*ㅈㅊ 0ㅇㅎ #ㅜㅠ
자음, 모음 모두 제자리타법으로서, 한 번 누를 경우 그 키에 적혀 있는 첫 번째 자모가, 두 번 누를 경우 그 키에 적혀 있는 두 번째 자모가 나온다. ㄱ(1)을 한 번 누르면 ㄱ이 나오고 두 번 누르면 ㅋ이 나오고,다시 한 번 더 누르면 ㄲ이 나온다. *표와 #표 모두 자모를 할당하여, 단어방식의 활용이 제한적이고, 여분의키가 없다.
또, 모토로라의 연속누르기 방식의 키패드는 다음 표 4와 같다.
1ㄱㅋ 2ㄴㅁ 3ㅏㅓ
4ㄷㅌ 5 ㄹ 6ㅗㅜ
7ㅂㅍ 8 ㅅ 9ㅣㅡ
*ㅈㅊ 0ㅇㅎ #가획
제자리타법과 변환타법 두 가지 다 쓰인다. 자음의 경우 ㄱ(1), ㄷ(4), ㅂ(7), ㅅ(8), ㅈ(*)을 한 번 누르면 ㄱ, ㄷ,ㅂ,ㅅ,ㅈ이, 두 번 연달아 누르면 ㄲ, ㄸ, ㅃ, ㅆ, ㅉ이 입력된다. ㄱ, ㄷ, ㅂ, ㅇ(0), ㅈ 뒤에 #을 누르면 ㅋ, ㅌ, ㅍ,ㅎ, ㅊ이 입력된다. 모음의 경우 한 번 누르면 ㅏ, 두 번 누르면 ㅓ가 된다. ㅑ, ㅕ 등의 모음은 ㅏ+#,ㅏㅓ+#으로 입력한다. 단어방식의 활용이 제한적이고, 여분의 키가 없다.
다음으로 VK모바일 승리한글의 키패드는 다음 표5와 같다.
1ㄱㄴ 2 ㅣ
4ㄷㅌ 5 ㅡ 6 l
7ㅁㅂ 8ㅅㅇ 9ㅈㅊ
*ㅋㅌ 0ㅍㅎ #쌍자음
3과 6은 각각 짧은 가로획(-), 짧은 세로획(ı)으로, ㅣ(2), ㅡ(5)와 조합해 다른 모음들을 만들어 낸다. 천지인의ㆍ와 비슷한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ㅣ(2)+-(3)=ㅏ, ı(6)+ı(6)+ㅡ(5)=ㅛ와 같다. 단어방식의 활용이 제한적이고, 여분의 키가 없다.
다음으로 윈도7의 한돌코드에 따른 키패드입력방식은 다음 표 6과 같다.
ㄲ 1 ㄱ ㅜ ㅋ 2 ㄴ ㅕ ㄸ 3
ㄷ ㅏ
ㅊ 4
ㄹ ㅠ
ㅌ 5
ㅁ ㅗ
ㅃ 6
ㅂ ㅑ
ㅆ 7
ㅅ ㅡ
ㅍ 8
ㅇ ㅛ
ㅉ 9
ㅈ ㅓ
*
글자끝
0
ㅎ l
#
shaft
한글 자모음 출현의 규칙성 원리를 이용하여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 문자 입력 방식이다. 즉, 초성에는 자음만 오고 중성에는 모음만 오는 한글원리를 이용하여 1번 버튼을 한 번 누르면 'ㄱ'이 입력되고 뒤이어 1번 버튼을 또 누르면 버튼에 배치된 'ㅜ'모음이 조합되어 '구'라는 문자가 구현되고 이 상태에서 또 1번 버튼을 누르면 '국'이라는 문자가 구현된다.
한돌코드의 입력규칙은 아래와 같이 3가지이다.
' * ' 버튼 : 글자끝(한글자 마침)
' # ' 버튼 : Shift Key ( # 1 은 'ㄲ') 와 복모음 합성기능 ( ㅗ # ㅏ 는 'ㅘ')
위의 입력규칙에 따라 버튼에 표기되는 한글자모를 순차적으로 누르면 된다.
몇가지 입력문자의 실제버튼입력 보기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한글 : 0 3 2 * 1 7 4, 형제 : 0 2 8 * 9 9 # 0, 코드 : # 2 5 * 3 7
한돌코드는 한글사용빈도의 80%를 차지하는 기본자음 10개와 기본모음 10개가 1번의 버튼으로 처리되므로 다른 입력방식에 비해서 입력횟수가 적다.
또, 김민겸한글 입력방식의 기본적인 키패드입력방식은 아래 표 7과 같다.
1 ㄱ 2 ㄴ 3 ㄷ
4 ㄹ 5 ㅁ 6 ㅂ
7 ㅅ 8 ㅇ 9 ㅈ
* ㅡ 0 、 # l
자음모음 분리형으로 [0]버튼에만 자음모음혼재형이 부분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또한 동시에 상기 1988년 국가표준(참고. 맥슨전자 생산 전화기 자판)[2]을 수용하는 '초성활용형'이기도 하다. 버튼누름에 의한 입력방식은 다음의 3가지 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한글기본 1] ㅋ=ㄱㅡㅡ, ㄲ=ㄱㅣㅣ, ㅎ=ㆍㅡㅡ or ㅇㅡㅡ
[한글기본 2] 가 = ㄱㆍ
[한글기본 3] 은 '3+타 입력방법'으로써, [ㄱ]버튼 연속 누름 : ㄱ → ㄱㄱ (or ㄲ)→ ㅋ → ㄲ
다음은 온한글 입력방식으로 아래 표 8를 참조하면,
1 l 2 、 3 ㅡ
4 ㄱ 5 ∼ 6 ㄴ
7 ㅅ 8 ㅇ 9 ㄹ
* _ 0 ㅁ # l
모음은 천지인에 해당되는 ㅣ, ㆍ, ㅡ 버튼을 조합하여 입력한다. 자음은 기본 자음 ㄱ ㄴ ㄹ ㅁ ㅅ ㅇ버튼에 ~첨획버튼을 입력하여 파생자음을 생성하며(예:ㅋ:ㄱ~, ㄷ:ㄴ~, ㅌ:ㄴ~~,ㅂ:ㅁ~, ㅍ:ㅁ~~, ㅈ:ㅅ~, ㅊ:ㅅ~~,ㅎ:ㅇ~), 쌍자음은 해당 문자를 두번 입력(예:ㄲ:ㄱㄱ, ㄸ: ㄷㄷ, ㅃ:ㅂㅂ, ㅆ: ㅅㅅ, ㅉ:ㅈㅈ)한다.
이는 키패드의 구성이 단순하고 천지인방식과 첨획방식을 채택하여 한글의 창제원리를 적용한 방식이다.
[위키백과사전] 휴대전화문자입력방식
상기와 같은 휴대폰에서의 한글문자 입력방식은 다양한 방식으로 채택되고 있는 실정으로, 문자입력에 관해서도 국내서만 400여 가지가 넘는 선행기술이 있으며, 관련 분쟁이 있어 왔으며, 각 제조사별로 익숙한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 상태로서,그 결과로 휴대전화를 바꿀 때마다 사용자들은 불편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원 터치와 원 드래그 이외에 2회 이상 터치하거나 2회 이상 드래그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불편을 해소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키 어레이를 주요한 자모음만 3*6 행렬 구조로 배치하고, 한글의 초성(19개), 중성(모음, 21개), 종성(27개)을 터치(touching) 제스처와 미끄러지기(draging, 이하 “드래그”라 함)를 이용하되 한번 터치하거나 한번 터치 후 손을 떼지 않고 인접한 상(上), 하(下), 좌(佐), 우(右), 좌상(左上), 좌하(左下), 우상(右上) 7개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하도록 하고자 하는 것으로, 그 배치구조는 한글 자음을 쿼티 2벌식 자판의 배치와 유사하게 배치하되 “ㅎ”만 부득이하게 제2행 제5열이 아닌 제1행 제6열에 배치하고, 모음은 천(·), 지(ㅡ), 인(ㅣ) 3가지 버튼에 “‥” 버튼 1개를 추가하고, 제2행 제6열의 중앙 “ㅣ” 아래쪽의 “ㅣ”를 추가함으로써 총 4개의 모음 입력 버튼으로 배치한 스마트폰의 한글입력버튼 배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그 입력방법은 다음과 같이 제공된다.
자음 중 ㄱ, ㄴ, ㄷ, ㄹ, ㅁ, ㅍ,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14개는 원 터치로 입력하고, 자음 중 ㄲ, ㄸ, ㅃ, ㅆ, ㅉ 5개는 하(下) 방향으로 원 드래그하여 입력하고, 자음 중 ㄳ, ㄵ, ㄶ, ㄺ, ㄻ, ㄼ, ㄽ, ㄾ, ㄿ, ㅀ, ㅄ 11개는 겹받침 중 첫 닿소리를 먼저 터치한 후, 겹받침 중 두 번째 닿소리가 위치한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하도록 한다.
한편, 모음은 제2행 제5열 “·”, 제2행 제6열 “ㅣ”, 제3행 제5열 “ㅡ”, 제3행 제6열의 “‥” 4개의 버튼은 모음 입력을 할 때 처음 터치를 시작하는 부분이며, 제2행 제6열의 중앙 “ㅣ” 아래쪽에 추가된 “ㅣ”는 “ㅔ”, “ㅖ”, “ㅞ” 3개의 모음을 입력하는 기능을 부여하도록 하는 스마트폰의 한글 자음과 모음의 입력버튼배치구조를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스마트폰의 한글입력버튼 배치구조에 따르면 원 터치와 원 드래그 이외에 2회 이상 터치하거나 2회 이상 드래그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불편을 해소하도록 한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3*6행열 방식의 기본자음 및 기본모음입력버튼의 배치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본자음 1행 1열 부터 5열 버튼터치시 해당 기본자음의 곁닿소리입력버튼이 활성되는 문자입력버튼배치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본자음 1행 1열;4열, 2행 2열;4열 버튼지연터치시 해당기본자음과 조합되는 확장자음입력버튼이 활성되는 문자입력버튼배치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본자음 및 기본모음입력버튼위치에 할당한 참조번호배치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구성을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3*6행열 방식의 기본자음 및 기본모음입력버튼의 배치도를 참조한다.
사용자 터치 또는 드래그에 따라 한글을 조합하고, 완성하는 스마트폰의 한글 입력장치에 있어서,
3행 6열로 구획한 18개의 입력 버튼 중에서, 제1행의 제1열의 좌로부터 “ㅂ”, “ㅈ”, “ㄷ”, “ㄱ”, “ㅅ”, “ㅎ”를; 제2행의 제1열의 좌로부터 “ㅁ”, “ㄴ”, “ㅇ”, “ㄹ”를; 제3행의 제1열의 좌로부터 “ㅋ”, “ㅌ”, “ㅊ”, “ㅍ”를 포함하는 14개의 기본자음버튼(100)을 배치하며,
제2행의 제5열의 좌로부터 “·”, “ㅣ”를; 제3행의 제5열의 좌로부터 “ㅡ”, “‥”를 포함하는 4개의 기본모음버튼(200)을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곁닿소리의 입력을 위한 버튼으로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기본자음 1행 1열부터 5열 버튼터치시 해당 기본자음의 곁닿소리입력버튼(300)이 활성되는 문자입력버튼배치도를 참조한다.
3행 6열로 배치되는 한글 입력버튼배치 구획중 제1행 제1열부터 제5열까지 배치된 기본자음버튼 중 “ㅂ”, “ㅈ”, “ㄷ”, “ㄱ”, “ㅅ”의 각각의 버튼 하단에 겹닿소리입력버튼(300)으로“ㅃ”, “ㅉ”, “ㄸ”, “ㄲ”, “ㅆ”이 활성 배치되며, 2행 6열에 배치된 기본모음버튼 “ㅣ”하단에 확장모음입력버튼(201)로 짭은 “ㅣ”이 활성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본자음 1행 1열;4열에 해당하는 기본자음 “ㅂ”, “ㅈ”, “ㄷ”, “ㄱ”, “ㅅ”과, 2행 2열에 해당하는 기본자음 "ㄴ"과 4열에 해당하는 기본자음 "ㄹ" 버튼지연터치시 해당기본자음과 조합되는 확장자음입력버튼(400)이 활성되는 문자입력버튼배치도를 참조하면 다음과 같다.
3행 6열로 배치되는 한글 입력버튼배치 구획중 확장자음입력버튼(400)으로 제1행 제1열의 기본자음버튼 “ㅂ”를 터치하고 있으면 오른쪽에 “ㅅ”이, 제1행 제4열의 기본자음버튼 “ㄱ” 을 터치하고 있으면 오른쪽에 “ㅅ”이, 제2행 제2열의 기본자음버튼 “ㄴ”를 터치하고 있으면 위쪽에 “ㅈ”과 오른쪽에 “ㅎ”이, 제2행 제4열의 기본자음버튼 “ㄹ”를 터치하고 있으면 좌상쪽부터 아래쪽까지 “ㅂ”, “ㄱ”, “ㅅ”, “ㅁ”, “ㅎ”, “ㅌ”, “ㅍ”이 각각 활성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확장자음버튼은 제1행 제1열의 기본자음버튼 “ㅂ”,제1행 제4열의 기본자음버튼 “ㄱ”,제2행 제2열의 기본자음버튼 “ㄴ”,제2행 제4열의 기본자음버튼 “ㄹ”을 각각 클릭한 상태에서 손을 떼지 않고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는 겹닿소리와 겹받침을 표현한 것들이며, 이들은 “기본 자음 버튼”을 클릭하고 있으면 확장된 형태의 확장자음압력버튼(400)이 생성되며 “기본 자음 버튼”을 클릭한 상태에서 “확장 자음 버튼”을 드래그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배치되는 스마트폰의 한글 입력장치에 따라 3행 6열로 구획한 18개의 자음과 모음입력 버튼 중 1행 1열에서 6열, 2행 1열에서 4열, 3행 1열에서 4열까지 배치한 한글 자음입력방법에 있어서 한글입력방법은 다음과 같다.
“ㄱ”은, “ㄱ” 버튼을 터치하여 입력하고,“ㄲ”은, “ㄱ” 버튼을 터치 후, 손을 떼지 않고 “ㄹ” 버튼이 있는 하(下)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하고,“ㄳ”은, “ㄱ” 버튼을 터치 후, 손을 떼지 않고 “ㅅ” 버튼이 있는 우(右)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한다.
“ㄴ”은, “ㄴ” 버튼을 터치하여 입력하고,“ㄵ”은, “ㄴ” 버튼을 터치 후, 손을 떼지 않고 “ㅈ” 버튼이 있는 상(上)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하고,“ㄶ”은, “ㄴ” 버튼을 터치 후, 손을 떼지 않고 “ㅇ” 버튼이 있는 우(右)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한다.
“ㄷ”은, “ㄷ” 버튼을 터치하여 입력하고,“ㄸ”은, “ㄷ” 버튼을 터치 후, 손을 떼지 않고 “ㅇ” 버튼이 있는 하(下)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한다.
“ㄹ”은, “ㄹ” 버튼을 터치하여 입력하고, "ㄺ"은, “ㄹ” 버튼을 터치 후, 손을 떼지 않고 “ㄱ” 버튼이 있는 상(上)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하고,"ㄻ"은, “ㄹ” 버튼을 터치 후, 손을 떼지 않고 “ㅇ” 버튼이 있는 좌(左)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하고,“ㄼ“은, “ㄹ” 버튼을 터치 후, 손을 떼지 않고 “ㄷ” 버튼이 있는 좌상(左上)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하고,“ㄽ“은, “ㄹ” 버튼을 터치 후, 손을 떼지 않고 “ㅅ” 버튼이 있는 우상(右上)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하고,“ㄾ“은, “ㄹ” 버튼을 터치 후, 손을 떼지 않고 “ㅊ” 버튼이 있는 좌하(左下)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하고,“ㄿ“은, “ㄹ” 버튼을 터치 후, 손을 떼지 않고 “ㅍ” 버튼이 있는 하(左下)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하고,“ㅀ“은, “ㄹ” 버튼을 터치 후, 손을 떼지 않고 “.” 버튼이 있는 우(右)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한다.
“ㅁ”은, “ㅁ” 버튼을 터치하여 입력하고,“ㅂ”은, “ㅂ” 버튼을 터치하여 입력하고,“ㅃ”은, “ㅂ” 버튼을 터치 후, 손을 떼지 않고 “ㅁ” 버튼이 있는 하(下)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하고,“ㅄ“은, “ㅂ” 버튼을 터치 후, 손을 떼지 않고 “ㅈ” 버튼이 있는 우(右)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한다.
“ㅅ”은, “ㅅ” 버튼을 터치하여 입력하고,“ㅆ”은, “ㅅ” 버튼을 터치 후, 손을 떼지 않고 “·” 버튼이 있는 하(下)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한다.
“ㅇ”은, “ㅇ” 버튼을 터치하여 입력하고,“ㅈ”은, “ㅈ” 버튼을 터치하여 입력하고,“ㅉ”은, “ㅈ” 버튼을 터치 후, 손을 떼지 않고 “ㄴ” 버튼이 있는 하(下)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하고,“ㅊ”은, “ㅊ” 버튼을 터치하여 입력하고,“ㅋ”은, “ㅋ” 버튼을 터치하여 입력하고,“ㅌ”은, “ㅌ” 버튼을 터치하여 입력하고,“ㅍ”은, “ㅍ” 버튼을 터치하여 입력하고,“ㅎ”은, “ㅎ” 버튼을 터치하여 입력하는 것이다.
한편, 기본모음입력버튼(200)과 확장모음입력버튼(201)을 이용한 터치와 드래그 입력에 의한 한글 모음 입력방법으로 도 4에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기본자음 및 기본모음입력버튼위치에 할당한 참조번호배치도를 통해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여기에서 모음의 설명 순서는 단모음에서 이중모음의 순서이다.
3행 6열로 구획한 18개의 자음과 모음입력 버튼 중 2행 5열과 6열, 3행 5열과 6열에 할당한 참조번호 11,12,17,18의 터치와 드래그 입력에 의한 한글 모음 입력방법에 있어서,
“ㅡ”는, “17” 버튼을 터치하여 입력하고,“ㅓ”는, “11” 버튼을 터치 후, 손을 떼지 않고 “12” 버튼이 있는 우(右)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하고,“ㅏ”는, “12” 버튼을 터치 후, 손을 떼지 않고 “11” 버튼이 있는 좌(左)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하고,“ㅜ”는, “17” 버튼을 터치 후, 손을 떼지 않고 “11” 버튼이 있는 상(上)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하고,“ㅗ”는, “11” 버튼을 터치 후, 손을 떼지 않고 “17” 버튼이 있는 하(下)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하고,“ㅣ”는, “12” 버튼을 터치하여 입력하고, “ㅔ”는, “11” 버튼을 터치 후, 손을 떼지 않고 “12” 버튼이 있는 우(右) 방향으로 드래그하고, 연속하여 “18” 버튼이 있는 하(下)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하고,“ㅐ”는, “12” 버튼을 터치 후, 손을 떼지 않고 “11” 버튼이 있는 좌(左) 방향으로 드래그하고, 연속하여 “12” 버튼이 있는 우(右)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하고,“ㅟ”는, “17” 버튼을 터치 후, 손을 떼지 않고 “11” 버튼이 있는 상(上) 방향으로 드래그하고, 연속하여 “12” 버튼이 있는 우(右)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하고,“ㅚ”는, “11” 버튼을 터치 후, 손을 떼지 않고 “17” 버튼이 있는 하(下) 방향으로 드래그하고, 연속하여 “12” 버튼이 있는 우상(右上)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하고,“ㅢ”는, “17” 버튼을 터치 후, 손을 떼지 않고 “12” 버튼이 있는 우상(右上)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하고,“ㅕ”는, “18” 버튼을 터치 후, 손을 떼지 않고 “12” 버튼이 있는 상(上)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하고,“ㅑ”는, “12” 버튼을 터치 후, 손을 떼지 않고 “18” 버튼이 있는 하(下)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하고,“ㅠ”는, “17” 버튼을 터치 후, 손을 떼지 않고 “18” 버튼이 있는 우(右)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하고,“ㅛ”는, “18” 버튼을 터치 후, 손을 떼지 않고 “17” 버튼이 있는 좌(左)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하고,“ㅖ”는, “18” 버튼을 터치 후, 손을 떼지 않고 “12” 버튼이 있는 상(上) 방향으로 드래그하고, 연속하여 “18” 버튼이 있는 하(下)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하고,“ㅒ”는, “12” 버튼을 터치 후, 손을 떼지 않고 “18” 버튼이 있는 하(下) 방향으로 드래그하고, 연속하여 “12” 버튼이 있는 상(上)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하고,“ㅝ”는, “17” 버튼을 터치 후, 손을 떼지 않고 “18” 버튼이 있는 우(右) 방향으로 드래그하고, 연속하여 “12” 버튼이 있는 상(上)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하고,“ㅞ”는, “17” 버튼을 터치 후, 손을 떼지 않고 “18” 버튼이 있는 우(右) 방향으로 드래그하고, 연속하여 “12” 버튼이 있는 상(上) 방향으로 드래그하고, 연속하여 “18” 버튼이 있는 하(下)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하고,“ㅘ”는, “11” 버튼을 터치 후, 손을 떼지 않고 “17” 버튼이 있는 하(下) 방향으로 드래그하고, 연속하여 “12” 버튼이 있는 우상(右上) 방향으로 드래그하고, 연속하여 “11” 버튼이 있는 좌(左)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하고,“ㅙ”는, “11” 버튼을 터치 후, 손을 떼지 않고 “17” 버튼이 있는 하(下) 방향으로 드래그하고, 연속하여 “12” 버튼이 있는 우상(右上) 방향으로 드래그하고, 연속하여 “11” 버튼이 있는 좌(左) 방향으로 드래그하고, 연속하여 “12” 버튼이 있는 우(右)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하는 것이다.
100:기본자음버튼 200:기본모음버튼
201:확장모음입력버튼 300:곁닫소리입력버튼
400:확장자음입력버튼

Claims (5)

  1. 사용자 터치 또는 드래그에 따라 한글을 조합하고, 완성하는 스마트폰의 한글 한글입력버튼 배치구조에 있어서,
    3행 6열로 구획한 18개의 입력 버튼 중에서, 제1행의 제1열의 좌로부터 “ㅂ”, “ㅈ”, “ㄷ”, “ㄱ”, “ㅅ”, “ㅎ”를; 제2행의 제1열의 좌로부터 “ㅁ”, “ㄴ”, “ㅇ”, “ㄹ”를; 제3행의 제1열의 좌로부터 “ㅋ”, “ㅌ”, “ㅊ”, “ㅍ”를 포함하는 14개의 기본자음버튼(100)을 배치하되, 상기 기본자음버튼 중 “ㅂ”, “ㅈ”, “ㄷ”, “ㄱ”, “ㅅ”을 지연 터치시 각각의 버튼 하단에 겹닿소리입력버튼(300)으로“ㅃ”, “ㅉ”, “ㄸ”, “ㄲ”, “ㅆ”이 활성 배치되며, 상기 기본자음버튼 “ㅂ”를 지연터치하고 있으면 오른쪽에 “ㅅ”이; 기본자음버튼 “ㄱ” 을 지연터치하고 있으면 오른쪽에 “ㅅ”이; 기본자음버튼 “ㄴ”를 지연터치하고 있으면 위쪽에 “ㅈ”과 오른쪽에 “ㅎ”이; 기본자음버튼 “ㄹ”를 지연터치하고 있으면 좌상쪽부터 아래쪽까지 “ㅂ”, “ㄱ”, “ㅅ”, “ㅁ”, “ㅎ”, “ㅌ”, “ㅍ”과 같은 확장자음입력버튼(400)이 각각 추가로 활성 배치되며,
    제2행의 제5열의 좌로부터 “·”, “ㅣ”를; 제3행의 제5열의 좌로부터 “ㅡ”, “‥”를 포함하는 4개의 기본모음버튼(200)을 배치하되, 상기 기본모음 “ㅣ”은 지연터치시 확장모음입력버튼(201)로 짭은 “ㅣ”을 활성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의 한글입력버튼 배치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20153297A 2012-12-26 2012-12-26 스마트폰의 한글입력버튼 배치구조 KR1014450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3297A KR101445061B1 (ko) 2012-12-26 2012-12-26 스마트폰의 한글입력버튼 배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3297A KR101445061B1 (ko) 2012-12-26 2012-12-26 스마트폰의 한글입력버튼 배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3485A KR20140083485A (ko) 2014-07-04
KR101445061B1 true KR101445061B1 (ko) 2014-10-01

Family

ID=51733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3297A KR101445061B1 (ko) 2012-12-26 2012-12-26 스마트폰의 한글입력버튼 배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506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9443A (ko) * 2001-12-15 2003-06-25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단말기에서 한글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100045617A (ko) * 2008-10-24 2010-05-04 박대엽 멀티 터치 인식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KR20110080682A (ko) * 2010-01-06 2011-07-13 은익수 터치스크린 화면용 한글 문자 입력 방법
KR20120055171A (ko) * 2010-11-23 2012-05-31 권지원 터치스크린에서의 한글입력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9443A (ko) * 2001-12-15 2003-06-25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단말기에서 한글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100045617A (ko) * 2008-10-24 2010-05-04 박대엽 멀티 터치 인식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KR20110080682A (ko) * 2010-01-06 2011-07-13 은익수 터치스크린 화면용 한글 문자 입력 방법
KR20120055171A (ko) * 2010-11-23 2012-05-31 권지원 터치스크린에서의 한글입력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3485A (ko) 2014-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2083753A1 (zh) 新型键位布局的键盘及其应用于电子设备的输入方法
JP6379215B2 (ja) コンピュータの漢字入力装置および漢字入力方法
CN110096162B (zh) 新型键位布局的键盘及应用于电子设备的多拼输入法
KR101242210B1 (ko) 성조 선택 기능을 갖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중국어 입력 방법
KR20210058291A (ko) 쉬운 일문용 로마자 배열을 갖는 일문 입력 시스템 및 방법
CN103488426A (zh) 一种基于触摸屏的虚拟键盘及输入法
CN103257715A (zh) 一种汉语拼音键盘及基于该键盘的输入法
CN105260124B (zh) 六按键汉字及英文触摸屏滑行输入方法
KR101216840B1 (ko) 일본어 자판 및 일본어 입력 시스템
JP5882497B2 (ja) 小型日本語キーボード及び方法
KR101445061B1 (ko) 스마트폰의 한글입력버튼 배치구조
EP1875620B1 (en) Hangeul input keypad and methods using the same
CN103197768A (zh) 一种形意文字输入法及输入键盘
KR101249329B1 (ko) 키조합 방식의 자판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CN105404402A (zh) 一种适用于触摸屏的汉字输入法
KR20080024571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아랍어 및 이란어 문자 입력 방법
KR20120080474A (ko) 선긋기방식으로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
KR100627964B1 (ko) 문자 입력을 위한 크로스 다이얼 키패드
CN101957662B (zh) 带有汉字元素的计算机和手机汉字输入键盘及输入方法
RU2344564C2 (ru) Раскладки знаков, способы ввода и устройство ввода
JP6924752B2 (ja) 端末機のタッチスクリーンを用いた漢字と数字の入力キーボード及びその入力方法
KR101927972B1 (ko) 전자 기기의 한글 입력 시스템
KR100596478B1 (ko) 알파벳 모음 중심의 키보드
CN105786206A (zh) 一声一韵两下与符号快速输入法
KR20070081314A (ko) 중국어 한어병음 입력 키패드 배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