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4240A - 화면용 한글자판의 키배열 방법 및 한글자판의 디스플레이방법 - Google Patents

화면용 한글자판의 키배열 방법 및 한글자판의 디스플레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4240A
KR20020074240A KR1020010013988A KR20010013988A KR20020074240A KR 20020074240 A KR20020074240 A KR 20020074240A KR 1020010013988 A KR1020010013988 A KR 1020010013988A KR 20010013988 A KR20010013988 A KR 20010013988A KR 20020074240 A KR20020074240 A KR 200200742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board
hangul
consonant
vowel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3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드림티브이
이정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드림티브이, 이정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드림티브이
Priority to KR1020010013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74240A/ko
Publication of KR20020074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4240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면용 한글자판의 키배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된 자음자판과 모음자판을 하나의 자판에 통합하여 배치한 자모 통합형 한글자판(103), 자음자판과 모음자판을 각각 분리하여 배치한 자모 분리형 한글자판(205) 및 글자를 음소 단위(초성/중성/종성)로 분리하여 배치한 음소 분리형 한글자판(307)을 화면에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별 글쇠를 찾아가는데 불필요한 이동 횟수 및 입력 횟수를 줄일 수 있고, 통합된 조작장치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쉽고 간편하게, 또한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한글을 입력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면용 한글자판의 키배열 방법 및 한글자판의 디스플레이 방법{METHOD OF ARRANGING KEYS OF KOREAN KEYBOARD FOR THE SCREEN AND METHOD OF DISPLAYING THE KOREAN KEYBOARD}
본 발명은 화면용 한글자판의 키배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간단한 입력 장치를 사용하여 화면에 표시된 한글자판에 기초하여 한글을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화면용 한글자판의 키배열 방법 및 한글자판의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예로, 텔레비젼은 이제 일방적으로 방송을 전달하는 매체에서 벗어나 인터넷으로 정보를 검색하고 EPG(Electronic Program Guide)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다양한 행동을 취할 수 있는 창으로 변모하고 있다. 이에 따라 매체간 인터랙션의 기본적인 방법인 문자 입력에 있어서 보다 간편하고 빠르게 한글을 입력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한글입력방식으로는 QWERTY KEYBOARD(일반키보드) 방식과 전화기 입력방식이 있다. 전화기 입력방식은 전화기나 리모트 콘트롤러의 숫자판을 이용한 한글입력방식이다. 전화기 입력 방식에 있어서, 사용자가 전자식 전화기의 키패드와 같이 제한된 수의 키버튼을 구비한 축소형 한글 자판부를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지원하고자 하는 언어의 자모를 전자식 전화기의 키패드 상에 효과적으로 중복배치하거나 사용자가 기능키 조작에 의해 원하는 한글 자모를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은 기술적인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한글 입력 체계가 개발되어 왔다. 예를 들어, 다양한 한글 입력 체계 중, 현재 PCS폰 등에서 쓰이고 있는 코드표상의 X 좌표식, XY 좌표식, 및 연속 푸쉬 한글 입력 방식들은 별도의 모드 변환 버튼(일례로, LG 사이언(상표명))과 좌우 화살표 키버튼(→,←) 등의 기능 버튼들을 별도로 구비해야 하며, 키버튼의 조작 횟수가 상대적으로 많고, 자판의 좌표를 판독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종래의 키배열 구조가 아무리 정연한 규칙성을 갖는다 하더라도 하나의 키버튼에 복수의 자모를 배정할 경우 이를 숙지하는데 많은 노력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키조작의 숙달에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키 버튼을 푸쉬하는 횟수에 있어서도 불필요한 중복성을 가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쉽고 간편하며, 불필요한 입력 및 개별 글쇠를 찾아가는 이동 횟수를 줄일 수 있는 화면용 한글자판의 키배열 방법 및 한글자판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모 통합형 자판의 자판 배치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모 분리형 자판의 자판 배치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음소 분리형 자판의 자판 배치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라 한글의 내림차순으로 배열된 음소 분리형 한글자판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자판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장치의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키배열 방법에 따른 자모 분리형 한글자판을 사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키배열 방법에 따른 음소 분리형 한글자판을 사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키배열 방법에 따라 화면용 한글자판을 동작시키기 위한 개략적인 제어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자판의 각 글자간 배치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1 : 초성자판의 디폴트 커서
303 : 중성자판의 디폴트 커서
305 : 종성자판의 디폴트 커서
307 : 음소 분리형 한글자판
801 : 키 입력부
803 : 제어부
805 : 디스플레이(또는 화면)
화면용 한글자판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기준 중 하나는 한글의 창제 원리로서, 한글은 발성 기관의 모양을 본떠서 각각의 음소를 추상적인 기호로 만들어 소리값을 지정했다는 학설이 가장 유력하다. 왜냐하면, 화면용 한글자판은 여타의 감각보다도 시각적인 면에서의 사용성이 월등해야 하고, 최소한의 신체 노동을 기본 전제로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그러한 원리를 전제로 하고 한글의 기본 창제 원리에 의거하여 글자의 모양과 소리의 특성을 살려 각 글자간 시각적·청각적 인접성을 고려하여 자판을 배치하는 한글자판의 키배열 방법을 제공한다. 도 9(a-d)는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세 가지 한글자판에 사용되는 기본 자판(초성/중성/종성)을 구성하고 있는 글자들이 상술한 시각적·청각적 인접성에 의거하여 배치되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9(a) 및 도 9(b)는 상술한 기본 자판 중 초성 자판에 해당되는 것으로, 여기에서는 이를 가로축(도 9(a))과 세로축(도 9(b))으로 분리하여 설명할 것이다. 우선, 가로축을 살펴보면 사용빈도수가 높은 홑글자, 특히 여린소리(ㄱ, ㄷ, ㅂ, ㅈ, ㅅ)를 중심 라인에 배치하되, 배치 순서는 (ㅈ)과 (ㅅ)을 제외하고는 일반적인 한글의 정렬 순서를 따른다. 일반적인 한글의 정렬 순서에서는, 세로축의 경우 파열음(ㅋ, ㄱ, ㄲ, ㅌ, ㄷ, ㄸ, ㅍ, ㅂ, ㅃ), 마찰음(ㅎ, ㅅ, ㅆ), 차찰음(ㅊ, ㅈ, ㅉ), 비음(ㅁ, ㅇ, ㄴ), 유음(ㄹ)으로 구성되어, 본 발명의 자판 배열 구조와 단지 마찰음과 차찰음의 순서만 바뀌게 된다. 그러나, 이 경우 가로축에서볼 때는 거센소리(ㅋ, ㅌ, ㅍ)와 (ㅊ)의 사이에 마찰음(ㅎ)이 중간에 삽입되는 형태가 되어 발성 형태가 동일한 음소를 인접하여 배치하는데 있어서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은 (ㅈ)과 (ㅅ)의 순서를 뒤바꿈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성 자판의 가로축은 여린소리를 포함하고 있는 행을 기준으로 했을 때 상측 라인은 여린소리에서 가로 획이 하나씩 추가된 거센소리(ㅋ, ㅌ, ㅍ, ㅊ)로 구성되었으며, 하측 라인은 여린소리가 하나씩 추가된 된소리(ㄲ, ㄸ, ㅃ, ㅉ, ㅆ)로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여린소리의 위치를 기준으로 거센소리, 된소리의 위치를 쉽게 예상할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초성자판의 세로축은 가로축을 기준으로 하고, 각각의 음소를 발성 형태에 따라, 파열음(ㅋ, ㄱ, ㄲ, ㅌ, ㄷ, ㄸ, ㅍ, ㅂ, ㅃ), 차찰음(ㅊ, ㅈ, ㅉ), 마찰음(ㅎ, ㅅ, ㅆ)으로 분리하였다. 마지막으로 비음(ㅁ, ㅇ, ㄴ)과 유음(ㄹ)이 추가되어 있다.
도 9의 (c)는 상술한 기본 자판 중 중성 자판을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중성을 배치하는 경우에도, 우선 사용 빈도수가 높은 홑글자를 한글의 정렬 순서에 따라 중심 라인에 배치하고, 이를 기준으로 상측 라인에는 중심에 배치된 음소에서 획이 하나씩 추가된 음소를 배치함으로써, 각각을 하나의 쌍(예를 들어, (ㅑ, ㅏ), (ㅕ, ㅓ))으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ㅡ)와 (ㅣ)는 독립적이다. 반면, 하측 라인에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진행되면서 획이 하나씩 추가되어 시선의 이동에 따라 다음 글자를 쉽게 예상할 수 있도록 음소를 배치하였다.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ㅚ, ㅘ, ㅙ), (ㅟ, ㅝ, ㅞ)를 각각 하나의 쌍으로 볼 수 있으며, (ㅢ)는 독립적이다.
마지막으로, 도 9(d)는 상술한 기본 자판 중 종성 자판에 해당되는 것이다. 종성의 경우에 있어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음소의 형태가 유사한 것끼리 인접하게 배치하여 하나의 군(예를 들어, (ㄱ)군-ㅋ, ㄱ, ㄲ, ㄺ)을 이루도록 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자판을 시각적·청각적 인접성에 따라 배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다음 글자를 예상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화면용 한글자판의 키배열 방법을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세가지 한글자판(103, 205, 307)은 상술한 바와 같은 시각적·청각적 인접성을 고려하여 구성된 기본 자판을 사용하여 각각의 자판(103, 205, 307)을 구성하였으며, 이는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된다. 각각의 한글자판은 디폴트(default) 커서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모 통합형 한글자판의 디폴트 커서는 최초에는 자판의 중심에 위치하고 그 이후에는 최종 선택된 음소의 다음에 위치하도록 제어된다. 나머지 각각의 한글자판의 디폴트 커서는 항상 중심에 놓이도록 자동적으로 제어되어 커서의 이동은 매번 동일한 곳에서 시작된다. 한글을 홑글자와 겹글자로 구분할 때, 일반적으로 사용 빈도 수가 높은 것은 홑글자이므로 자주 사용되는 글자들을 디폴트 커서가 위치한 중심선에 위치시킴으로써 주변부로 이동하는 거리를 최대한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폴트 커서가 위치한 중심으로부터 목적하는 글자를 보다 빠르고 용이하게 찾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한글자판 중 자판이 분리된 경우의 키배열 구조는 하나의 음소가 입력되고 나면 자동적으로 다음 자판으로(자음→모음, 또는 초성→중성→종성)이동하도록 제어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한글자판에 포함되는 각각의 자판은 사용자가 다음 글자를 쉽게 예상할 수 있도록, 한글의 정렬순서(가-나-다…)에 따라 가로로 배열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한글자판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네개의 방향 키(◀, ▶, ▲, ▼)(501, 503, 506, 507)와 선택(Select) 키(509)를 포함하여 그들 방향키만으로도 글자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며, 조작의 간편성을 높이기 위하여, 자음/모음 입력 자판의 전환이나 초성/종성 입력 자판의 전환 시에 사용될 토글(toggle) 키(511)를 더 포함하고 있다.
결국, 입력장치의 조작 부위를 단순화시킴으로써 사용자는 학습의 필요 없이, 또한 조작 장치를 거의 지각하지 않고도 한글을 쉽게 입력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화면용 한글자판의 키배열 방법에 따른 화면용 한글자판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블록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블록도는 본 발명의 화면 표시용 한글자판의 키배열 방법을 채용하는 컴퓨터 또는 그와 유사한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 입력부(80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글자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 장치를 포함하고, 제어부(803)는 키 입력부(801)로부터의 키 입력시 본 발명에 따른 한글자판의 키배열 구조에 대한 모든 동작을 제어하여디스플레이(또는 화면)(805)를 통해 원하는 글자를 출력한다.
도 1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에 따른 화면용 한글자판의 키배열 방법에 대한 일련의 절차(또는 프로그램)는 제어부(803)내 저장매체(도시되지 않음)에 사전에 저장되며, 본 발명의 키배열 방법은 그러한 본 발명의 절차(또는 프로그램)에 기초하는 제어부(803)에 의해 수행된다.
또한, 후술하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실시예에 따른 각 한글자판에 대응하는 데이터 세트는 제어부(803)와 연결된 저장매체(도시되지 않음)에 사전 저장되며, 각각의 저장된 데이터 세트는 상기 제어부(803)에 의해 제어하에 판독되어 화면(805)상에 디스플레이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키배열 방법을 예시하는 자모 통합형 한글자판(103)의 자판 배치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모 통합형 한글자판(103)은 자음과 모음의 기본 음소를 하나의 자판에 통합하여 상단에는 자음을, 하단에는 모음을 배치하고 있다.
본 발명의 자모 통합형 한글자판(103)은 33쇠의 글쇠를 가지며 최대 이동 거리는 10칸이다.
또한, 자음을 발성 형태에 따라, 예를 들어, 여린소리(ㄱ, ㄷ, ㅂ, ㅅ, ㅈ), 거센소리(ㅋ, ㅌ, ㅍ, ㅊ), 된소리(ㄲ, ㄸ, ㅃ, ㅆ, ㅉ), 마찰음(ㅅ, ㅆ, ㅎ), 차찰음(ㅈ, ㅊ, ㅉ), 비음(ㅁ, ㅇ, ㄴ), 유음(ㄹ)으로 분류했을 때, 사용빈도수가 높은 여린소리/비음을 자모 통합형 한글자판(103)의 디폴트 커서(101)가 위치하는 중심선 상에 넣어서 이동거리를 최대한 줄인다.
이러한 자모 통합형 한글자판(103)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서와 같은 이동키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장치 상에 제공되는 4방향 버튼(501, 503, 505, 507)과 원하는 글자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키(509)에 의해 작동되도록 구현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키배열 방법의 자모 통합형 한글자판(103)은 하나의 자판에 자음과 모음이 통합 배치되며, 제어부(803)의 제어에 의해 화면(805)상에 제공됨으로써 이동거리를 최소화하고 사용자의 시야 범위내에 들어와 입력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2는 자음과 모음을 따로 분리하여 배치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키배열 방법의 자모 분리형 한글자판(205)의 자판 배치도이다. 이와 같이 배열함으로써,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키배열 방법의 자모 통합형 한글자판(103)에 비해 이동 거리가 짧아서 타수가 줄어들어 입력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모 분리형 한글자판(205)의 자음자판(205a)은 자모 통합형 한글자판(103)의 배열과 같이, 사용빈도수가 높은 여린소리/비음을 디폴트 커서(101)가 위치하는 중심선 상에 넣어서 이동거리를 최대한 줄이도록 하였으며, 자모 통합형 한글 자판(103)과는 달리 거센소리 단과 된소리 단의 순서를 바꿈으로서 바판의 상단부에 글쇠가 없어 자판의 안정감을 해치는 문제점을 해소하였다. 한편, 모음자판(205b)은 자모 통합형 한글 자판(103)을 구성하고 있는 모음에 모음의 모든 겹글자를 포함한 것으로 변형·개량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모 분리형 한글자판(205)의 자음자판은 19쇠, 모음자판은 21쇠의 글쇠를 가지며, 자/모 자판 모두의 최대 이동 거리는 4칸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모 분리형 한글자판(205)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서(201, 203)와 같은 이동키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장치로써 4방향 버튼(501, 503, 505, 507)과 원하는 글자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키(509)와 같은 기본적인 조작 키외에, 받침용 겹글자를 입력할 때에 다시 자음자판을 선택하기 위하여 필요한 토글 키(511)를 포함한 키입력부(801)에서의 키입력시 제어부(803)의 제어하에 상기 저장된 데이터 세트들이 판독되어 화면(805)상에 디스플레이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2실시예에 따른 자모 형식의 한글자판(103, 205)이 겹글자를 표현할 때 일일이 다시 자음과 모음을 선택해 주어야 하는 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표현 가능한 한글 낱말의 구성을 분석하여 한글의 최소 요소를 소리값 단위로 파악하는 방식을 사용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키배열 방법의 음소 분리형 한글자판(307)의 자판 배치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음소 분리형 한글자판(307)은 초성/중성/종성의 세 가지 자판(307a, 307b, 307c)으로 구성되었다. 여기서, 초성 자판(307a)은 자모형 자판(103, 205)의 자음에 해당되고, 중성 자판(307b)은 모음에 해당되며, 종성 자판(307c)은 한글 낱말의 받침에 해당되는 것으로, 초성 자판을 구성하는 자음 중에서 ㄸ, ㅃ, ㅉ를 제외하고, 받침에 이용되는 모든 겹글자를 포함하고 있다. 각각은 19쇠, 21쇠, 및 27쇠의 글쇠를 가지고 있으며, 최대 이동 거리는 초성과 중성이 4칸이며 종성은 5칸이다.
본 발명의 제1 및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3실시예에 따른 음소 분리형 한글자판(307)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서(301, 303, 305)와 같은 이동키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버튼으로 4방향 버튼(501, 503, 505, 507)과 원하는 글자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키(509)이외에, 초성/종성 자판의 변환을 위하여 필요한 토글 키(511)에 의해 작동되도록 구현된다.
본 발명의 제1, 제2 및 제3실시예의 키배열 방법에서 사용된 조작장치로는 토글키의 기능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키를 포함한다면 통상의 리모트 콘트롤러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세 가지 한글자판(103, 205, 307)을 이용하여 동일한 문장을 입력하는 방법과 각각의 특성을 설명한다.
예를 들어, 입력문장을 "괜찮은 영화 없을까"라고 가정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키배열 방법에 따른 제1실시예의 자모 통합형 한글자판(103)을 사용하여 상술한 문장을 입력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자모 통합형 한글자판(103)이 제어부(803)의 제어하에 화면(805)에 디스플레이되면, 사용자는 중앙의 디폴트 커서(101)에서 목적하는 글자를 찾아 키 입력부(801)의 방향키(501, 503, 505, 507)의 조작으로 디스플레이된 자판 상에서 원하는 음소가 위치된 부분으로 커서를 이동시킨다. 그리고 키 입력부(801)의 선택키(509)를 이용하여 원하는 글자를 선택하면 음소가 입력된다. 그리고, 일단 한 글쇠를 선택한 후에는 계속해서 방향키로 이동하게 되므로, 디폴트 커서의 위치가 항상 고정적이지는 않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자모 통합형 한글자판(103)을 사용하면 문장은 각각의 음소('ㄱ ㅗ ㅐ ㄴ ㅊ ㅏ ㄴ ㅎ ㅇ ㅡ ㄴ ㅇ ㅕ ㅇ ㅎ ㅗ ㅏ ㅇ ㅓ ㅂ ㅅ ㅇ ㅡ ㄹ ㄲ ㅏ')로 분리되어 입력되며, 총 입력 횟수는 26 타이다. 그리고, 중앙의 디폴트 커서(101)에서 원하는 글자의 위치까지 이동하는 이동 횟수는 예를 들어, 디폴트 커서 (101)에서 좌로 3이동하여 (ㄱ)을 선택하고나서, 다시 (ㄱ)에서부터 시작하여 아래로 1, 우로 2로 모두 3만큼 이동하여 (ㅗ)을 선택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모든 글자의 최소 이동 거리는 '3 3 3 2 4 5 7 3 2 2 3 1 6 6 2 4 2 6 5 2 2 1 2 4 7 3'으로 총 이동 횟수는 90 타이다. 그러므로, 입력 회수 및 이동 횟수의 전체 타수는 116타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키배열 방법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모 분리형 한글자판(205)을 사용하여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다른 자모 분리형 한글자판을 이용한 한글입력방법은 제어부(803)에 연결된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으며 제어부(803)의 제어하에 수행된다.
상술하면, 우선 자음(초성)입력을 위한 자음자판(205a)이 제어부(803)의 제어하에 화면에 디스플레이된다(601). 사용자가 원하는 자음을 키입력부(801)의 방향키(501, 503, 505, 507)와 선택키(509)를 사용하여 선택하면 자음(초성)의 입력과정이 완료된다(603). 다음, 한글의 모음(중성) 입력을 위하여 모음자판(205b)을 화면(805)에 디스플레이 한다(605). 이때, 모음 입력이 필요하다면 상기 제 605단계에서 디스플레이된 모음자판(205b) 상에서 원하는 모음의 위치로 방향키(501, 503, 505, 507)를 이용하여 커서를 이동시킨다. 그리고 키 입력부(801) 상의 선택키(509)를 이용하여 원하는 모음을 선택하면 모음(중성)의 입력과정이 완료된다(609). 그러나, 한글의 겹받침을 입력할 경우와 같이, 연속해서 자음을 입력해야 하는 경우에는(607) 다시 제 601 단계로 귀환해서 다음 입력을 위한 과정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자모 분리형 한글자판(205)을 사용하면 문장은 다음과 같이 분리되어 ("ㄱ ㅙ ㄴ ㅊ ㅏ ㄴ ㅎ ㅇ ㅡ ㄴ ㅇ ㅕ ㅇ ㅎ ㅘ ㅇ ㅓ ㅂ ㅅ ㅇ ㅡ ㄹ ㄲ ㅏ")로 입력되며, 이 경우의 총 입력 횟수는 24 타이다. 그리고, 중앙의 디폴트 커서(201)에서 원하는 글자의 위치까지 이동하는 이동 횟수는, 예를 들어, 글자 "찮"을 입력한다고 가정하면, 디폴트 커서 (201)에서 위로 1만큼 이동하여 (ㅊ)을 선택하면, 모음자판(205b)으로 전환되고 다시 디폴트 커서 (203)에서 좌로 3만큼 이동하여 (ㅏ)를 선택하면 다시 자음자판(205a)으로 전환된다. 상술한 방식으로 겹받침 중의 하나인 (ㄴ)을 입력하고 나면 제어부(803)의 제어하에 자동적으로 모음자판(205b)으로 전환되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상술한 바있는 토글 키(511)를 사용하여 다시 자음자판(205a)으로 전환시킨 후 (ㅎ)을 선택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모든 글자의 최소 이동 거리는 '3 2 3 1 3 3 2 2 1 3 2 3 2 2 3 2 2 1 1 2 1 4 4 3'으로 총 이동 횟수는 55 타이다. 그리고, 자/모 자판의 전환을 위해 토글 키를 8회 사용한다. 따라서, 입력 횟수, 이동 횟수 및 변환 횟수의 전체 타수는 87타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음소 분리형 한글자판(307)을 사용하여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음소 분리형 한글자판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은 제어부(803)에 접속된 저장매체에 사전저장되어 있으며 제어부(803)의 제어에 의해 수행된다.
우선, 초성(자음) 입력을 위한 초성자판(307a)이 화면(805)에 디스플레이된다(701). 사용자는 키 입력부(801)의 방향키(501, 503, 505, 507)의 조작으로 디스플레이된 초성자판(307a) 상에서 원하는 초성이 위치된 부분으로 커서(301)를 이동시킨다. 그리고 조작장치의 선택키(509)를 이용해서, 원하는 자음을 선택하면 초성의 입력과정이 완료된다(703). 그 다음, 한글의 중성(모음) 입력을 위하여 한글의 중성으로 구성된 중성자판(307b)이 자동적으로 화면(805)에 디스플레이된다(705). 제 705단계에서 디스플레이된 중성자판(307b) 상에서 원하는 중성의 위치로 리모콘의 방향키(501, 503, 505, 507)를 이용하여 커서(303)를 이동시킨다. 그리고, 키 입력부(801) 상의 선택키(509)를 이용하여 원하는 중성을 선택하면 중성의 입력과정이 완료된다(707). 그 다음에, 종성(자음) 입력을 위하여 다시 종성으로 구성된 종성자판(307c)이 디스플레이된다(709). 그러나, 한글의 종성 입력이 필요없는 경우에는 제 701단계로 귀환해서 다음 음소의 입력을 위한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그리고, 한글의 종성 입력이 필요한 경우(711), 제 709 단계에서 디스플레이된 종성자판(307c) 상에서 원하는 자음의 위치로 조작장치의 방향키(501, 503, 505, 507)를 이용하여 커서(305)를 이동시킨다. 그리고 조작장치 상의 선택키(509)를 이용하여 원하는 종성을 선택하면 종성의 입력과정이완료된다(713).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음소 분리형 한글자판(307)을 사용하면 문장은 다음과 같이 분리되어 ('ㄱ ㅙ ㄴ ㅊ ㅏ ㄶ ㅇ ㅡ ㄴ ㅇ ㅕ ㅇ ㅎ ㅘ ㅇ ㅓ ㅄ ㅇ ㅡ ㄹ ㄲ ㅏ')로 입력되며, 총 입력 횟수는 22 타이다. 그리고, 초성-중성-종성이 모두 있는 글자는 자동적으로 전환되는 자판을 사용하여 차례로 입력하지만, 예를 들어, 종성이 없는 글자 "화"를 입력하고나서 다음 글자를 입력해야 한다고 가정하면, 우선, 디스플레이된 초성 자판 상의 디폴트 커서(301)에서 우로 1, 위로 1만큼 이동하여 (ㅎ)을 선택하면, 자동적으로 중성 자판(307b)으로 전환되고 다시 디폴트 커서(303)에서 좌로 2, 아래로 1만큼 이동하여 (ㅘ)를 선택하면 종성 자판(307c)으로 전환된다. 종성의 입력이 필요없으므로 자판(307c)을 토글 키(511)를 사용하여 다시 초성 자판(307a)으로 전환시킨 다음 글자를 입력하는 단계를 반복한다. 상술한 방법으로 모든 글자의 최소 이동 거리는 '3 2 3 1 3 4 2 1 3 2 3 2 2 3 2 2 3 2 1 4 4 3'으로 총 이동 횟수는 55타이다. 그리고, 초성/종성 자판의 전환을 위해 토글 키는 1회 사용된다. 따라서, 입력 횟수, 이동 횟수 및 변환 횟수의 전체 타수는 78타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면용 한글자판의 키배열 방법에 따른 세 가지 한글자판(103, 205, 307)을 사용하여 한글 문장 "괜찮은 영화 없을까"을 입력한 결과에 따른 조작성을 비교해보면 표 1과 같다.
입 력 이 동 변 환 총 합
자모 통합형 26 90 0 116
자모 분리형 24 55 8 87
음소 분리형 22 55 1 78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모 통합형 한글자판(103)은 한눈에 모든 글쇠를 볼 수 있지만 입력 횟수가 비교적 많고 이동 거리가 길어서 사용 시간이 길고 리듬이 흐트러진다.
반면에, 본 발명의 키배열 방법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모 분리형 한글자판(205)은 이동 거리의 문제를 획기적으로 단축하여 사용 시간을 줄일 수 있지만, 초성과 종성의 구분이 없고 복모음과 복자음과 같은 겹글자를 매번 일일이 입력해 주어야 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자모 변환 키의 입력 횟수가 늘어난다.
본 발명의 키배열 방법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음소 분리형 한글자판(307)은 입력 횟수가 획기적으로 단축되었고 이동 거리는 자모 분리형 한글자판(205)과 거의 동일하다. 하지만 음소에 따라 차례로 자판이 변화되기 때문에 받침이 없는 글자가 있을 경우에만 변환 키가 필요하게 되어 입력 횟수는 가장 적다.
상기 실시예들은 단지 예로서 설명된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고서 당 분야에 숙련된 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또는 대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별 글쇠를 찾아가는데 불필요한 이동 횟수 및 입력 횟수를 줄일 수 있고, 통합된 조작장치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조작 장치를 지각하지 않고도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된 한글자판에 기초하여 보다 쉽고 간편하며, 빠르고정확하게 한글을 입력할 수 있다.

Claims (23)

  1. 화면용 한글자판의 키배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한글자판의 상단에는 한글의 자음을 하단에는 상기 한글의 모음을 통합 배치하되,
    상기 한글자판의 중심에 디폴트 커서가 위치되며,
    상기 한글자판은 상기 한글의 정렬순서에 따라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용 한글자판의 키배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폴트 커서의 위치는 하나의 음소가 입력되고 난 뒤에는 사용자에 의해 다음에 입력될 음소의 위치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용 한글자판의 키배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폴트 커서가 포함되어 있는 중심선에는 상기 한글의 자음이 구성되고,
    상기 중심선에는 발성형태에 따라, 사용빈도수가 높은 여린소리와 비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한글을 홑글자와 겹글자로 구분함에 따라 사용빈도수가 높은 홑글자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용 한글자판의 키배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글자판은 33쇠의 글쇠를 가지며, 최대 이동 거리는 10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용 한글자판의 키배열 방법.
  5. 화면용 한글자판의 키배열 방법에 있어서,
    한글의 자음으로 구성된 자음자판과 상기 한글의 모음으로 구성된 모음자판을 각각 분리하여 배치하되,
    상기 각각의 자음 및 모음 자판에는 디폴트 커서가 위치되며,
    상기 두 자판중 현재 화면에 표시되는 자판은 상기 한글의 하나의 음소가 입력되고 나면 다음 자판으로 자동적으로 전환되며,
    상기 두 자판은 상기 한글의 정렬순서에 따라 각각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용 한글자판의 키배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 자판은 일반적인 자음(ㄱ~ㅎ)과 상기 자음 중 일부의 된소리에 해당되는 자음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용 한글자판의 키배열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자판은 일반적인 모음(ㅏ~ㅣ)과 모든 겹글자를 더 포함하고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용 한글자판의 키배열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폴트 커서의 위치는 상기 자음 또는 모음 자판이 디스플레이될때마다 항상 상기 자판의 중앙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용 한글자판의 키배열 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자판의 상기 디폴트 커서가 포함되어 있는 중심선에는 상기 한글의 자음이 발성형태에 따라, 사용빈도수가 높은 여린소리와 비음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용 한글자판의 키배열 방법.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자판의 상기 디폴트 커서가 포함되어 있는 중심선에는 상기 한글을 홑글자와 겹글자로 구분함에따라, 사용빈도수가 높은 홑글자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용 한글자판의 키배열 방법.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한글자판 중 상기 자음자판은 19쇠, 상기 모음자판은 21쇠의 글쇠를 가지며, 최대 이동 거리는 모두 4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용 한글자판의 키배열방법.
  12. 화면용 한글자판의 키배열 방법에 있어서,
    한글의 초성으로 구성된 초성자판, 상기 한글의 중성으로 구성된 중성자판 및 상기 한글의 종성으로 구분된 종성자판을 각각 분리하여 배치하되,
    상기 초성, 중성 및 종성자판에는 디폴트 커서가 각각 위치되며,
    상기 세 자판중 현재 화면에 표시되는 자판은 하나의 음소가 입력되고 나면 다음 자판으로 자동적으로 전환되며,
    상기 세 자판은 상기 한글의 정렬순서에 따라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용 한글자판의 키배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초성자판은 일반적인 자음(ㄱ~ㅎ)과 상기 자음의 된소리에 해당되는 자음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용 한글자판의 키배열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중성자판은 일반적인 모음(ㅏ~ㅣ)과, 모든 겹글자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용 한글자판의 키배열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종성자판은 상기 초성자판 중 ㄸ, ㅃ, ㅉ를 제외한 자음과, 받침에 이용되는 겹글자 11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용 한글자판의 키배열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한글자판의 디폴트 커서의 위치는 상기 초성, 중성 또는 종성 자판이 전환될때마다 항상 상기 자판의 중앙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용 한글 자판의 키배열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초성자판의 디폴트 커서가 포함되어 있는 중심선에는 상기 한글의 자음이 발성형태에 따라, 사용빈도수가 높은 여린소리와 비음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용 한글자판의 키배열 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중성자판 및 종성자판의 디폴트 커서가 포함되어 있는 중심선에는 상기 한글이 홑글자와 겹글자로 구분됨에 따라, 사용빈도수가 높은 홑글자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용 한글자판의 키배열 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한글자판에서 상기 초성자판은 19쇠, 상기 중성자판은 21쇠, 및 상기 종성자판은 27쇠의 글쇠를 가지고, 최대 이동 거리는 상기 초성자판과 상기 중성자판이 4칸이며, 상기 종성자판은 5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용 한글자판의 키배열 방법.
  20. 한글자판의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사전 결정된 한글자판 상의 한글의 음소에 대응하는 데이터 세트를 저장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저장된 데이터 세트를 판독하여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사전 결정된 한글자판은 상기 한글의 정렬 순서에 따라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자판의 디스플레이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결정된 한글자판은 상기 한글자판의 상단에는 한글의 자음을 하단에는 상기 한글의 모음을 통합 배치하되,
    상기 한글자판의 중심에 디폴트 커서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자판의 디스플레이 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결정된 한글자판은 한글의 자음으로 구성된 자음자판과 상기 한글의 모음으로 구성된 모음자판을 각각 분리하여 배치하되,
    상기 각각의 자음 및 모음 자판에는 디폴트 커서가 위치되며,
    상기 두 자판중 현재 화면에 표시되는 자판은 상기 한글의 하나의 음소가 입력되고 나면 다음 자판으로 자동적으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자판의 디스플레이 방법.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결정된 한글자판은 한글의 초성으로 구성된 초성자판, 상기 한글의 중성으로 구성된 중성자판 및 상기 한글의 종성으로 구분된 종성자판을 각각 분리하여 배치하되,
    상기 초성, 중성 및 종성자판에는 디폴트 커서가 각각 위치되며,
    상기 세 자판중 현재 화면에 표시되는 자판은 하나의 음소가 입력되고 나면 다음 자판으로 자동적으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자판의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010013988A 2001-03-19 2001-03-19 화면용 한글자판의 키배열 방법 및 한글자판의 디스플레이방법 KR200200742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3988A KR20020074240A (ko) 2001-03-19 2001-03-19 화면용 한글자판의 키배열 방법 및 한글자판의 디스플레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3988A KR20020074240A (ko) 2001-03-19 2001-03-19 화면용 한글자판의 키배열 방법 및 한글자판의 디스플레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4240A true KR20020074240A (ko) 2002-09-30

Family

ID=27697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3988A KR20020074240A (ko) 2001-03-19 2001-03-19 화면용 한글자판의 키배열 방법 및 한글자판의 디스플레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7424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1848A (ko) * 2003-06-26 2005-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소프트웨어 키보드에서의 문자 입력방법
KR100762944B1 (ko) * 2007-02-24 2007-10-04 홍성찬 화면자판 편집기와 편집방법
WO2008111797A1 (en) * 2007-03-12 2008-09-1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allocating characters and input device using the same
WO2023033496A1 (ko) * 2021-08-30 2023-03-09 삼성전자(주)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1848A (ko) * 2003-06-26 2005-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소프트웨어 키보드에서의 문자 입력방법
KR100762944B1 (ko) * 2007-02-24 2007-10-04 홍성찬 화면자판 편집기와 편집방법
WO2008111797A1 (en) * 2007-03-12 2008-09-1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allocating characters and input device using the same
US8446369B2 (en) 2007-03-12 2013-05-2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allocating characters and input device using the same
WO2023033496A1 (ko) * 2021-08-30 2023-03-09 삼성전자(주)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16551B2 (en) Method for quickly inputting correlative word
JP5199459B2 (ja) ユーザの入力をリアルタイムで予測するマンマシンインターフェース
KR100913849B1 (ko) 문자 입력 장치
KR101791929B1 (ko) 다개국어 문자 입력장치
CN102934417A (zh) 多语言键输入装置及其方法
KR100602400B1 (ko)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CN102893588A (zh) 9键中文输入方法
JP2008059568A (ja) 数字キーを用いる文字入力装置及び文字入力方法
JP3344992B2 (ja) 携帯文字入力装置
KR20020074240A (ko) 화면용 한글자판의 키배열 방법 및 한글자판의 디스플레이방법
KR100365284B1 (ko)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KR20090084775A (ko) 문자열 예측 입력방법 및 그 방법이 구현되는 전자장치
JP4133523B2 (ja) キャラクター入力装置
KR100679421B1 (ko) 한글 입력용 키패드 및 이를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KR100388301B1 (ko) 정음 한글/알파벳 입력장치
KR100762944B1 (ko) 화면자판 편집기와 편집방법
KR100332389B1 (ko) 축소형 한글 자판을 이용한 특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JP3109642U (ja) 携帯韓国語入力装置
JP2649139B2 (ja) ローマ字入力用のキーボード
KR101804069B1 (ko) 범아랍어용 문자입력장치
JPH11259201A (ja) 日本語入力用の仮想文字板
KR200221583Y1 (ko) 리모콘입력방식 한글자판 및 키배열방법
KR20100014163A (ko) 원형 자판 배열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KR20050053916A (ko) 방향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JP2002229721A (ja) 日本語の音節表記に基づく簡易型文字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