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4163A - 원형 자판 배열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 Google Patents

원형 자판 배열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4163A
KR20100014163A KR1020090070321A KR20090070321A KR20100014163A KR 20100014163 A KR20100014163 A KR 20100014163A KR 1020090070321 A KR1020090070321 A KR 1020090070321A KR 20090070321 A KR20090070321 A KR 20090070321A KR 20100014163 A KR20100014163 A KR 201000141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input
characters
derived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0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의진
Original Assignee
오의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의진 filed Critical 오의진
Publication of KR20100014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41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38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limited linear or angular displacement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from a neutral position, e.g. isotonic or isometric joysti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4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witches operable in different dire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8Sliders, in which the moving part moves in a pla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a pointing device, e.g. roller key, track ball, rocker switch or joysti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methods for entering alphabetical characters, e.g. multi-tap or dictionary disambigu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원형 자판 배열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는, 베이스상의 소정 위치에 마련된 입력반경 내에 정의되는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배치된 복수의 제1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1방향입력과, 입력부 자체에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2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2방향입력이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가능하게 마련되는, 상기 입력부; 상기 제1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제1감지부; 상기 제2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제2감지부;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1문자가 배열되고, 상기 제2방향지시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2문자가 배열되며, 상기 제1방향입력 또는 상기 제2방향입력이 수행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방향입력에 할당된 상기 제1문자 또는 상기 제2방향입력에 할당된 상기 제2문자로부터 파생되는 파생문자가 표시되는 문자표시부; 및 상기 제1방향입력이 감지된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상기 제1문자, 상기 제2방향입력이 감지된 상기 제2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상기 제2문자, 또는 상기 제1방향입력과 상기 제2방향입력의 연속 수행에 의해 할당된 상기 파생문자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디스플레이되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방향입력, 선택입력, 방향지시위치, 문자표시부, 감지부, 파생문자

Description

원형 자판 배열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CHARACTER INPUT DEVICE USING CIRCULAR KEY ARRANGEMENT}
본 발명은 원형 자판 배열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제1방향입력과 제2방향입력 또는 제1방향입력과 제2방향입력과 선택입력 각각 또는 연속 입력에 의해 할당되는 문자를 원형의 자판 형태로 배열하여 하나의 입력부에서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문자입력이 수행되게 함으로써, 최소한의 입력공간에서 문자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는 원형 자판 배열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소프트웨어와 반도체기술 및 정보처리기술의 발달로 정보기기가 점점 소형화되는 추세이며, 이에 비례하여 각종 정보기기에 있어서의 문자입력 또한 그 중요도가 날로 커지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정보기기에서 각종 문자나 명령어 입력에 많은 문제점이 드러나고 있다.
예컨대, PC(Personal Computer) 또는 노트북(NoteBook)에 사용되는 키보드와 같은 입력장치는 크기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어 이들 정보기기를 소형화하는데 어려 움이 따른다.
또한, PDA(Personal Data Assistant)에서 사용하는 터치스크린 방식이나 휴대폰에서 사용하는 키패드 방식은 입력속도가 느리고 잘못 입력되는 경우가 많아 불편한 점이 있다.
전술한 PC, 노트북, PDA 또는 휴대폰 등의 정보기기에서 더욱 빠른 속도로 문자, 숫자 또는 기호 등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1회의 입력동작에 1개의 음소(문자)가 입력되는 소위 1동작 1음소입력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러한 1동작 1음소입력이 한글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24개 이상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버튼이나 입력 키가 정보기기에 배열될 필요가 있다.
입력의 대상이 되는 언어가 영어나 일본어 또는 기타 외국어인 경우에는 한글의 경우보다 더 많은 버튼이나 입력키를 증설해야할지도 모른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에서 점점 데스크탑 PC의 성능을 구현해 냄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에서도 문자입력 외에도 각종 명령키(엔터, 스페이스, 쉬프트키 등), 기호 등 키보드 자판의 모든 입력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하는 상황에 이르고 있다.
그러나 각종 정보기기에서 사용하는 종래의 입력장치는 각각의 입력키에 문자를 할당하고 손가락으로 두드리거나 눌러서 입력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입력키의 배열할 공간이 상대적으로 좁은 휴대폰과 같은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에는 손가락 크기의 입력키를 24개 이상 배열하는 것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것이 지금까지 키보드가 소형화되기 어려운 이유였다.
특히, 휴대폰의 경우에는 보통 12개의 버튼으로 24자 이상의 한글 문자를 모 두 입력하다 보니 1개의 버튼에 다수개의 문자를 중복 배열하는 것이 불가피하다.
따라서, 하나의 문자(음소)를 입력하기 위해 두 번, 세 번 반복하여 입력하는 반복입력현상이 자주 발생하게 되므로, 그만큼 입력시간이 길어지고, 오타가 많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입력방법 자체가 매우 복잡해져 익숙해지는 데에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한글문자 입력의 경우 '천지인'과 같이 소정의 문자를 조합하여 입력하는 문자입력방식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방법의 경우, 기본이 되는 문자를 조합하여 원하는 문자를 생성하므로 문자를 할당하기 위한 입력버튼의 수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원하는 문자가 조합될 때까지 입력버튼을 반복하여 눌러야 하므로 그만큼 입력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전술한 입력장치의 경우에는 손가락을 모드전환기능이 할당된 소정의 입력키로 이동 및 선택하여 모드전환을 수행한 후에 해당 문자가 할당된 입력키로 다시 이동하여 상기 문자를 입력하거나, 소정 입력키를 여러번 반복하여 입력함으로써 선택위치를 변경하여 모드전환을 수행한 후에 다시 해당 문자가 할당된 입력키를 선택함으로써 원하는 문자를 입력해야 했다.
따라서, 원하는 문자를 입력하기까지 입력동작이 많고 복잡할 뿐 아니라 그만큼 입력속도도 저하되고, 입력정확성도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방향입력과 제2방향입력 및 제1방향입력과 제2방향입력과 선택입력이 각각 또는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새로운 입력부를 마련함으로써, 문자 등의 입력을 위해 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하면서도 원하는 모든 문자를 최소한의 입력동작으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입력하는 동시에, 데스크탑 PC에서 사용되는 키보드 자판의 모든 입력기능과 마우스의 입력기능을 휴대용 단말기에서도 빠르고, 편리하게 수행해 낼 수 있는 원형 자판 배열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특히 한벌의 문자입력장치에 한글 자모 또는 영어의 알파벳 또는 중국어 한어병음 자모 또는 일본어 히라가나 등의 외국어 문자를 원형의 자판 형태로 배열함으로써 제1방향입력, 제2방향입력, 선택입력 또는 이들의 조합입력을 통해 최소한의 입력동작으로 한글은 물론 영어, 일본어, 중국어 등의 외국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는 원형 자판 배열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문자의 배열 방식은 기타 다른 외국어 문자에도 적용할 수 있고, 언어모드 변환에 의해 다른 문자로 변환한 상태에서 신속하고 정확하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원형 자판 배열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원형 자판 배열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베이스상의 소정 위치에 마련된 입력반경 내에 정의 되는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배치된 복수의 제1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1방향입력과, 입력부 자체에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2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2방향입력이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가능하게 마련되는, 상기 입력부; 상기 제1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제1감지부; 상기 제2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제2감지부;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1문자가 배열되고, 상기 제2방향지시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2문자가 배열되며, 상기 제1방향입력 또는 상기 제2방향입력이 수행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방향입력에 할당된 상기 제1문자 또는 상기 제2방향입력에 할당된 상기 제2문자로부터 파생되는 파생문자가 표시되는 문자표시부; 및 상기 제1방향입력이 감지된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상기 제1문자, 상기 제2방향입력이 감지된 상기 제2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상기 제2문자, 또는 상기 제1방향입력과 상기 제2방향입력의 연속 수행에 의해 할당된 상기 파생문자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디스플레이되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베이스상의 소정 위치에 마련된 입력반경 내에 정의되는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배치된 복수의 제1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1방향입력과, 입력부 자체에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2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2방향입력, 및 상기 기준위치에 제공되는 중앙입력키를 선택하는 선택입력이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가능하게 마련되는, 상기 입력부; 상기 제1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제1감지부; 상기 제2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제2감지부; 상기 선택입력을 감 지하는 제3감지부;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1문자가 배열되고, 상기 제2방향지시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2문자가 배열되며, 상기 제1방향입력 또는 상기 제2방향입력이 수행되면 상기 제1방향입력에 할당된 상기 제1문자 또는 상기 제2방향입력에 할당된 상기 제2문자로부터 파생되는 파생문자가 표시되는 문자표시부; 및 상기 제1방향입력이 감지된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상기 제1문자, 상기 제2방향입력이 감지된 상기 제2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상기 제2문자, 또는 상기 제1방향입력과 제2방향입력의 순차적인 수행에 할당된 상기 파생문자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디스플레이되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문자 또는 상기 제2문자가 선택된 후 상기 선택입력이 수행되는 경우에 상기 제1문자 또는 상기 제2문자를 입력처리하고, 상기 제1문자 또는 상기 제2문자가 선택된 후 표시되는 파생문자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상기 파생문자를 입력 처리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소정의 입력반경 내에서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배치된 복수의 제1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1방향입력과, 상기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2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2방향입력, 및 선택키를 구비하고 상기 선택키를 선택하는 선택입력이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가능하게 마련되는 입력부; 상기 제1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제1감지부; 상기 제2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제2감지부; 상기 선택입력을 감지하는 제3감지부;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1문자 및 상기 제1문자로부터 파생되는 파생문자가 배열되고, 상기 제2방향지시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2문자 및 상기 제2문자로부터 파생되는 파생문자가 배열되는 문자표시부; 및 상기 제1방향입력이 감지된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상기 제1문자, 상기 제2방향입력이 감지된 상기 제2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상기 제2문자, 또는 상기 제1방향입력 또는 상기 제2방향입력이 수행된 후 상기 선택입력이 수행됨에 따라 상기 제1문자 또는 상기 제2문자로부터 파생되는 상기 파생문자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디스플레이되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전술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원형 자판 배열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에 의하면, 문자입력에 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하면서도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각 문자를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제1방향입력과 제2방향입력 또는 제1방향입력과 제2방향입력과 선택입력을 각각 또는 연속 수행하여 최소한의 입력동작으로 모든 문자를 신속하게 입력할 수 있는 문자입력이 가능하다.
즉, 휴대용 단말기와 같은 소형 장치에서도 입력 인터페이스가 키보드처럼 신속한 입력이 가능해지므로, 한글자모 24자나 영어 알파벳 26자뿐만 아니라, 일본어 히라가나 46자, 중국어 한어병음자모 25자 등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입력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어 제품을 소형화, 슬림화할 수 있으므로 PDA, 노트북,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 등 각종 휴대용 전자기기에의 적용이 가능하 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원형 자판 배열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의 구성 및 실시예를 각 입력동작별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문자입력장치의 구성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10)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100)에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10)와, 문자입력장치(10)에서 입력되는 문자 및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20)을 구비하고, 기능키(31)와 상하이동키(33)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본 발명의 구현예를 나타내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10)가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단말기에만 장착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10)는, 문자(숫자나 기호 포함)의 기재, 마우스의 이동, 캐릭터의 작동, 기능의 선택 등이 필요한 단말기에는 모두 적용 가능하다.
상기 문자입력장치(10)의 입력부(11)는 베이스(40)에 마련된 입력반경(41) 내에 장착된다. 그리고 입력부(11)는 방사상 복수의 제1방향지시위치들(M1, M2, ...) 중 하나로 이동하는 제1방향입력(M)과, 상기 입력부(11) 자체에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2방향지시위치들(P1, P2, ...)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2방향입력(P)이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가능하게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1방향입력(M) 및 제2방향입력(P)과 선택키(19)를 누름에 의한 선택입력(C)(또는 중앙입력이라 한다)이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가능하게 제공된다.
이때 제1방향입력 및 제2방향입력을 위하여 이동한 입력부(11)는 탄성부재(13)(도 3 참조)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입력부(11)에 의한 제1방향입력(M)과 제2방향입력(P)이나 선택입력(C)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감지부(16)와 제2감지부(17)나 제3감지부(19a)에 의해 각각 감지될 수 있다.
그리고 제1감지부(16)와 제2감지부(17), 제3감지부(19a)에 의해 각각 제1방향입력과 제2방향입력, 선택입력이 감지되면, 해당 입력에 할당된 문자가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메모리부(미도시)로부터 추출되어 디스플레이부(20)에 표시된다.
이때 제어부는 제1방향입력과 제2방향입력 및 제1방향입력과 제2방향입력과 선택입력이 각각 또는 연속적으로 수행된 경우를 각각 구분하여 그 방향입력에 할당된 문자를 입력 처리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제1방향입력에 의해 입력 가능한 제1방향지시위치(M1, M2, ...)에 할당된 문자를 제1문자라 하고, 제2방향입력에 의해 입력 가능한 제2방향지시위치(P1, P2, ...)에 할당된 문자를 제2문자라 하며, 제1방향입력과 제2방향입력 또는 이들과 선택입력의 순차 수행에 할당된 문자를 파생문자라고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문자, 제2문자 및 파생문자가 복수의 제1방향지시위치 및 제2방향지시위치와 대응되는 관계를 나타내기 위하여 문자표시부(18)를 구비한다. 상기 문자표시부(18)는 디스플레이부(20)에 표시되거나, 문자입력장치(10) 상에 표시될 수도 있다. 이때 문자표시부(18)가 디스플레이부(20)에 표시되는 경우는, 문자표시부(18)에 표시된 문자의 변경 및 재배치가 용이하여 사용자의 문자입력 편의성 및 확장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문자표시부(18)가 문자입력장치(10) 상에 표시되는 경우는, 문자표시부(18)에 표시된 문자의 변경 및 재배치가 용이하지 않으므로, 문자입력장치(10)에서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의 개수가 적을 때나, 특정 문자로부터 확장되는 문자들에 규칙성이 있을 때에 사용될 수 있다.
또는 문자표시부(18)가 문자입력장치(10) 상에 표시되되, 디스플레이부(20)에도 표시되어, 입력하는 문자가 확장되거나 변경되어 문자표시부(18) 상의 문자의 변경 및 재배치가 필요한 경우는 디스플레이부(20)에 표시된 문자표시부(18)를 참고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에서 문자를 입력하는 구체적인 구성 및 실시예에 대해 살펴본다.
제1방향입력(M)
본 명세서에서 제1방향입력(M)이라 함은, 입력부(11)가 기준위치(S)로부터 기준위치(S)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배치된 복수의 제1방향지시위치(M1, M2, ...)들 중 어느 하나로 이동되며 각 제1방향지시위치(M1, M2, ...)에 할당된 문자를 입력하는 것으로 한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입력부(11) 및 베이스(40)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베이스(40)에 마련된 입력반경(41)의 일측에는 기준위치(S, 도 1a 및 도 1b 참조)가 마련되어 있으며, 기준위치(S)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복수의 제1방향지시위치(M1, M2, ...)들이 이격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베이스(40)에는 각 제1방향지시위치(M1, M2, ...)에 대응하여 입력부(11)의 이동을 감지하는 제1감지부(16)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입력부(11)가 기준위치(S)로부터 소정의 제1방향지시위치(M1, M2, ...)를 향하여 이동하면, 입력부(11)의 이동이 감지된 제1감지부(16)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제어부에서 해당 제1방향지시위치(M1, M2, ...)에 할당된 제1문자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입력한다.
제1감지부(16)는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압력센서, 광센서 또는 접촉센서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입력반경(41) 전체에 마련된 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트랙포인터 방식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방향지시위치(M1, M2, ...)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수로 마련될 수 있는 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8개 (M1 ~ M8)로 마련될 수도 있고, 4개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6개 또는 12개로도 마련될 수도 있다.
제1방향입력(M)은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입력부(11)가 기준위치(S)에 위치한 상태(도 3의 (a)참조)로부터 소정의 제1방향지시위치를 향하여 슬라이딩(또는 수평이동, 도 3의 (b)참조)되며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 또는 수평이동이라 함은 베이스(40)의 바닥면에 대한 엄밀한 수평에 한정되는 것이 아닌, 기준위치(S)로부터 제1방향지시위치(M1, M2, ...)를 향한 가능한 모든 각도 및 방향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입력부(11)와 베이스(40) 사이에는, 제1방향입력이 수행된 후에 상기 입력부(11)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탄성부재(13)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체화된 입력부(11)를 마련하는 대신에 손가락의 이동을 감지하는 감지부(예를 들어, 터치패드나 터치스크린)를 구비하여 제1방향입력(M)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베이스(40)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1)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4)가 더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부(14)는 입력부(11)가 이동할 때 사용자가 의도하는 정확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함으로써, 제1방향입력(M)시 간섭이 발생하지 않고 정확한 입력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가이드부(14)는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베이스(40)에 기준위치(S)로부터 각 제1방향지시위치(M1, M2, ...)를 향하여 소정 형상의 홈으로 형성된 직선가이드로 마련될 수 있다.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제1방향지시위치(M1, M2, ...)에 대응하는 오목한 홈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입력부(11)는 상기 가이드부(14)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됨으로써,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방향입력(M)을 수행할 때, 사용자가 입력부(11)를 부정확한 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가이드부(14)를 따라 소정의 제1방향지시위치(M1, M2, ...)로 이동하게끔 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부(14)는 다양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탄성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제1방향입력(M)은 입력부(11)의 이동거리의 차이 또는 이동가압의 세기에 따라 2단 이상의 다단입력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입력부(11)는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다각형판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도 5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제1방향지시위치(M1, M2, ...) 방향으로 측면이 돌출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는,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제2방향지시위치(P1, P2,..)를 가질 때에는 십자형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입력부(11) 상부면에는 각 제2방향지시위치(P1, P2,..)에 대응하여 버튼 형상의 돌기부(15)가 형성될 수 있다.
제2방향입력(P)
본 명세서에서 제2방향입력(P)이라 함은, 입력부(11) 자체에 방사상으로 이격배치되는 복수의 제2방향지시위치(P1, P2,..)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해당 제2방향지시위치(P1, P2,..)에 할당된 제2문자를 입력하는 것으로 한다.
즉, 제1방향입력(M)은 입력부(11)의 외부에 배치된 제1방향지시위치(M1, M2, ...)를 향하여 입력부(11) 전체가 이동하면서 수행되는 반면, 제2방향입력(P)은 입력부(11) 자체에 배치된 제2방향지시위치(P1, P2,..)를 선택하는 것으로, 입력부(11) 전체의 수평이동(또는 슬라이딩)이 수행되지 않는다.
제2방향입력(P)은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1)가 제2방향지시위치(P1, P2,..)들 중 어느 하나를 향하여 기울어짐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입력부(11)와 베이스(40)의 하부에는 입력부(11)를 초기의 수평상태로부터 임의의 방사방향으로 기울임이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11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제2방향입력(P)은 도 1a 및 도 1b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1)에 각 제2방향지시위치(P1, P2,..)에 대응하여 마련된 누름부(12)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누름부(12)는 입력부(11)에 각 제2방향지시위치(P1, P2,..)들을 독립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모든 형태(입력부(11) 자체의 기울임을 제외함)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입력부(11)에 각 제2방향지시위치(P1, P2,..)에 대응하여 각각 별도로 마련된 누름버튼이나 누름스위치일 수도 있으며, 입력부(11) 상단 또는 내부에 각 제2방향지시위치(P1, P2,..)에 대응하여 제2감지부(17)만이 마련된 누름위치일 수도 있다.
제2감지부(17)는 제2방향입력(P)이 수행되는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방향입력(P)이 입력부(11)의 기울임에 의해 수행될 때에는 입력부(11)의 하부 연부에 입력부(11)의 기울임에 따라 베이스(40)에 순차적으로 접촉하는 단차를 마련하고, 상기 단차 또는 베이스(40)에 입력부(11)와 베이스(40)의 접촉을 감지하는 접촉센서로 마련되거나 입력부(11)의 기울임을 감지하는 광센서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는, 제2방향입력(P)이 입력부(11)에 마련된 각 누름부(12)에 의해서 수행되는 경우에는 각 누름부(12)의 하부에 마련된 접촉센서, 누름스위치 또는 압력센 서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제2방향입력(P)은 2단 이상의 다단입력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1)의 기울임정도 또는 누름부(12)의 누름세기 또는 누름거리의 차이에 따라 다단입력을 각각 구분하여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제1방향지시위치(M1, M2, ...) 및 제2방향지시위치(P1, P2,..)는 다양한 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4방향 내지 12방향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방향지시위치(M1, M2, ...) 및 제2방향지시위치(P1, P2,..)는 8개 이하는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이는 사람의 손가락으로 조작할 수 있는 입력방향의 수가 8개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각 방향지시위치들 사이의 간격이 좁아져 입력정확도가 저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제1방향지시위치(M1, M2, ...)와 제2방향지시위치(P1, P2,..)는 서로 동일한 수로 마련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수로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제1방향입력과 제2방향입력을 연속적으로 수행하여 제1문자, 제2문자 또는 파생문자 이외에 다른 문자, 숫자나 기호를 입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제1방향입력과 제2방향입력의 연속적인 입력에 대해 특별한 문자가 할당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방향입력을 수행한 상태에서 기준위치로 복귀하지 않고 바로 제2방향입력을 수행함으로써 한번의 동작으로 2개 이상의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즉, 도 4의 (a)에 도시된 입력부에 대해 1시 방향으로 제1방향입력을 수행하고(도 4의 (b)), 바로 6시 방향으로 제2방향입력을 수행하면(도 4의 (c)), 제1방향입력에 할당된 제1문자와 제2방향에 할당된 제2문자가 연속하여 입력된다. 예를 들면, 도 18에서 한글 자판의 경우에는, 'ㄴ'과 'ㅜ'가 연속 입력되어 '누'를 한번에 입력할 수 있고, 도 26에서 영문 자판의 경우에는, 'B'와 'C'가 한번에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이상과 같은 제1방향입력과 제2방향입력은 도 1a 및 도 1b,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문자입력장치에 의해서 구현되는 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방사상 복수의 위치에 제1방향지시위치와 제2방향지시위치가 배열되고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의 각각에 대해 제1방향입력을 수행할 수 있고 제2방향지시위치의 각각에 대해 제2방향입력을 수행할 수만 있다면, 문자입력장치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제1방향입력(M)과 제2방향입력(P)을 통한 문자입력 실시예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10)에 있어서, 전술한 제1방향입력(M) 및 제2방향입력(P)을 통한 문자입력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문자표시부>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문자표시부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문자표시부(18)에는 제1방향입력(M), 제2방향입력(P)과 제1방향입력 및 제2방향입력을 함께 수행하는 경우에 입력될 수 있는 문자가 배열된다. 즉,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방향지시위치(M1, M2, ...)와 제2방향지시위치(P1, P2, ...)가 방사상 각각 8개로 마련되는 경우에,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문자표시부(18)에는 각 지시위치 방향별로 2열로 배열되어 제2열에는 제1방향지시위치(M1, M2, ...)에 할당된 제1문자가 표시되고, 제1열에는 제2방향지시위치(P1, P2, ...)에 할당된 제2문자가 표시된다. 또는 상기와 반대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1문자와 제2문자는, 특정 언어에서 사용되는 기본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글에서는 자음 'ㄱ, ㄴ, …'과 모음 'ㅏ, ㅑ, …'가 될 수 있고, 영어에서는 알파벳 'a, b, c, …'가 될 수 있고, 일본어에서는 히라가나인 'あ, い, う, え, お, か, …'가 될 수 있고 중국어에서는 로마자로 표기되는 한어병음자모들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문자와 제2문자는 상기 기본음을 제1방향지시위치와 제2방향지시위치의 개수에 따라 임의로 배열하거나, 또는 제1문자는 전제자를 할당하고 제2문자는 전제자 이외의 독립자와 기능키를 할당할 수 있다.
여기서 '전제자'란 그 전제자에 대해 파생되는 문자를 갖는 문자이거나 다수의 문자들을 대표할 수 있는 문자로서, 예를 들면, 한글에서는 'ㄱ'이 'ㅋ'과 'ㄲ'으로 파생될 수 있으므로 'ㄱ'을 전제자로 보고, 일본어에서는 'あ, い, う, え, お'는 'あ'를 대표문자라 할 수 있으므로 'あ'를 전제자로 본다.
한편, '독립자'란 상기 전제자에 관련시키기 곤란한 문자로서, 전제자로부터 파생되지도 않고 전제자에 속한다고 볼 수도 없는 문자를 말한다. 예를 들면, 한글에서는 'ㄹ'을 들 수 있고, 일본어에서는 'や, ゆ, よ, わ, を, ん'을 들 수 있다.
또한 '기능키'란 변환키(T), 취소키(Del), 스페이스키(Space), 엔터키(Enter) 등 특정 언어의 입력시에 자주 사용되는 기능에 관련된 키를 의미한다.
이러한 문자표시부(18)는, 디스플레이부(20)에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련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문자표시부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1)와 베이스(40)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도 7의 (a), 도 10, 도 18 및 및 도 26의 문자표시부에는 일본어의 히라가나, 한글 자모, 영문 알파벳을 기초로 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한편, 상기 문자표시부(18)에는 상기 제1문자, 제2문자 이외에 파생문자도 배열될 수 있다. 이때 파생문자에 규칙성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파생문자나 상기 파생문자를 나타낼 수 있는 문자가 문자표시부(18)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본어에서는 전제자에 대한 파생문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i, u, e, o'로만 표시되더라도 해당 전제자에 대한 파생문자를 파악할 수 있다.
또는, 파생문자는 항상 문자표시부(18)에 표시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제1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제1방향입력이나 제2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제2방향입력이 수행된 경우에만 문자표시부(18)에 배열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에서 제1문자로 전제자를 할당하고, 제1문자 중 1시 방향의 'か'를 입력하기 위한 제1방향입력이 수행되는 경우에 상기 입력된 제1문자(か)에서 파생되는 파생문자인 'き, く, け, こ'가 문자표시부(18)에 나타난다. 이때 상 기 파생문자는 제1문자가 표시되어 있던 문자표시부(18)의 제2열에 나타날 수도 있고,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문자가 표시되어 있던 문자표시부(18)의 제1열에 나타날 수도 있다.
아울러, 파생문자는 그 개수에 따라 표시되는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본어에서, 전제자 'か'에 대한 파생문자 'き, く, け, こ'가 4개인 경우에는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상하좌우 방향에 배치될 수도 있고, 대각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파생문자는 시계방향으로 'き, く, け, こ' 순서로 배열될 수도 있고, 반시계방향으로 배열될 수도 있으며, 랜덤하게 배열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는, 이상과 같은 제1방향입력(M), 제2방향입력(P) 및 연속입력을 통해 문자를 입력하는 구체적인 예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일본어의 히라가나를 기초로 하여 설명하지만, 한글과 영어의 알파벳, 중국어의 병음 등에도 활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일본어를 예로 한 제1방향입력 중심의 문자입력>
'제1방향입력 중심의 문자입력'이란, 제1방향입력으로 입력되는 제1문자에 전제자가 할당되고, 제1방향입력을 수행한 상태에서, 선택된 제1문자로부터 파생되는 파생문자 중 어느 하나의 파생문자가 위치되는 방향으로 제2방향입력을 수행하여 상기 파생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경우를 의미한다. 이때 제2방향입력에는 독립자와 기능키가 할당되고, 제2방향입력만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독립자와 기능키를 입력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M1, M2, ...)에는 일본어 히라가나의 기본음 중 'あ, か, さ, た, な, は, ま, ら'가 전제자로서 제1문자로 배열되고, 상기 제2방향지시위치(P1, P2, ...)에는 일본어 히라가나의 기본음 중 'や, ゆ, よ, わ, を, ん'가 독립자로서, 그리고 선택키("/°) 및 변환키(T)가 기능키로서 제2문자로 배열된다.
여기서 선택키("/°)는 현재 입력된 문자에 대한 탁음과 반탁음 여부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즉, 현재 입력된 문자가 'は'인 경우에 선택키에 대한 제2방향입력을 수행하면, 'は'는 탁음인 'ば'로 변경되고, 재차 선택키에 대한 제2방향입력을 수행하면, 'は'는 반탁음인 'ぱ'로 변경된다.
또한 상기 변환키(T)는 히라가나와 가타카나의 모드변환이나 현재 입력된 문자의 한자변환에 사용된다. 예를 들면, 현재 입력된 문자가 'か'인 경우에 변환키에 대한 제2방향입력을 수행하면, 'か'는 가타가나인 'カ'로 변경된다.
한편, 선택키와 변환키를 각각 배열하는 대신에, 선택키를 분화하여 탁음-선택키와 반탁음-선택키를 배열하고, 변환키는 별도 외부에 배치되어 있는 기능키(31) 또는 상하이동키(33)나, 또는 본 입력장치를 방향키로 하여 대체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파생문자는, 제1문자인 'あ'에 대해서는 'い, う, え, お'이고, 제1문자인 'か'에 대해서는 'き, く, け, こ'이며, 제1문자인 'さ'에 대해서는 ' し, す, せ, そ'이고, 제1문자인 'た'에 대해서는 'ち, つ, て, と'이며, 제1문자인 'な'에 대해서는 'に, ぬ, ね, の'이고, 제1문자인 'は'에 대해서는 'ひ, ふ, へ, ほ'이며, 제1문자인 'ま'에 대해서는 'み, む, め, も'이고, 제1문자인 'ら'에 대해서는 'り, る, れ, ろ'이다.
이상과 같이 배열되는 제1문자와 제2문자가 도 7의 (a)에 도시된 문자표시부(18)에 표시된다. 이때 제1문자가 문자표시부(18)의 제2열에 배치되고, 제2문자는 문자표시부(18)의 제1열에 배치된다.
이때 제1문자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제1문자에 대응하는 제1방향지시위치(M1, M2, ...)로 제1방향입력(M)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제1문자 중 1시 방향에 배치된 'か'에 대해 제1방향입력(M2)을 수행한다. 이때 제1방향입력(M2)을 수행하고(도 4의 (b)) 입력부(11)를 원위치로 복귀하면 상기 'か'가 입력 처리된다.
그런데 상기 제1방향입력(M2)을 수행한 상태, 즉 입력부(11)가 1시 방향으로 이동하면,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표시부(18)에는 상기 'か'에 대한 파생문자인 'き, く, け, こ'가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상하좌우 방향에 배치된다. 이때 'け'를 입력하기 위하여 6시 방향으로 제2방향입력(M2P5, 도 8 참조)을 수행하면(도 4의 (c)), 'か'가 아닌 'け'가 입력 처리된다.
여기서, 도 8에서의 제2방향입력이 M2P1, M2P3, M2P5, M2P7과 표시된 것은, 상 기 제2방향입력은 제2방향입력(P)이 개별적으로 수행된 것이 아니라, 1시 방향으로의 제1방향입력(M)이 수행된 상태에서 이루어진 것을 나타내기 위함이다. 그리고 만일 12시 방향으로 제1방향입력(M1)을 수행한 상태에서 제2방향입력(P)을 수행하면, 이때의 제2방향입력은 M1P1, M1P3, M1P5, M1P7로 나타내어질 것이다.
또한 파생문자의 개수가 늘어나거나 감소되는 경우에는, 그에 따라 도 8에서와 같은 제2방향입력의 개수가 조정될 것이다. 예를 들면, 파생문자의 개수가 8개로 늘어나고, 12시 방향으로 제1방향입력을 수행한 상태에서 파생문자의 입력을 위하여 제2방향입력을 수행한다면, 이때의 제2방향입력은 M1P1, M1P2, M1P3, M1P4, M1P5, M1P6, M1P7, M1P8과 같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12시 방향으로 제1방향입력을 한 상태에서 파생문자가 문자표시부에 배열된 예가 도 7의 (c)에 도시되어 있고, 9시 방향으로 제1방향입력을 한 상태에서 파생문자가 문자표시부에 배열된 예가 도 7의 (d)에 도시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방식으로 일본어의 8개의 전제자와 그에 따른 파생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독립자는 제2문자로서 제2방향지시위치(P1, P2, ...)에 할당되고 문자표시부(18)의 제1열에 표시되어 있다(도 7의 (a) 참조). 따라서 독립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독립자가 할당된 제2방향지시위치(P1, P2, ...)로 제2방향입력을 수행함으로써 해당 독립자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 독립자가 제2문자로서 개별적으로 제2방향지시위치(P1, P2, ...)에 할당되어 있지만, 상기 독립자도 전제자와 마찬가지로 파생형식으로 입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문자표시부(18)가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에, 12시 방향으로 제2방향입력을 수행하여 'や'를 선택하면,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표시부(18)에는 'や' 이외의 독립자(이러한 독립자는 파생문자로 분류할 수도 있다)가 배열될 수 있다. 이때 'や'를 선택한 상태에서 입력을 종료하면 그대로 'や'가 입력 처리되고, 'や'를 선택한 상태에서 다른 독립자가 할당된 위치로 제1방향입력을 수행하면 그 독립자가 입력 처리된다.
이와 같이 독립자도 파생형태로 입력하면 제2방향입력에는 다른 문자나 기능키를 할당할 수 있으므로, 입력 가능한 문자의 개수가 증가될 수 있고 다양한 기능키를 활용하여 문자 입력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즉,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탁음과 반탁음으로 변환을 위한 변환키("/°), 입력된 문자를 한자로 변환하는 변환키(漢), 문자입력장치를 마우스로 사용하기 위한 변환키(Mouse), 문자입력장치를 통해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변환키(Num), 그 외에 취소 또는 삭제(Del), 칸 띄우기(Space), 엔터(Enter)를 위한 기능키가 배열될 수 있다.
이때 예를 들면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변환키(Num)을 선택하면, 문자표시부에는 숫자, 사칙연산기호, 최초의 문자표시부로 복귀하기 위한 변경키 등이 배열될 수 있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표시부(18)가 별도로 마련되는 것이 아니라, 입력부(11)와 베이스(40) 상에 기재되는 경우도 상기와 동일한 방식으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즉, 베이스(40) 상의 제1방향지시위치(M1, M2, ...)에는 제1문자가 배열되고, 입력부(11) 상의 제2방향지시위치(P1, P2, ...)에는 제2문자가 배열된다.
이러한 문자표시부(18)에서는 제1방향입력(M)을 수행한 상태에서 파생문자를 표시할 수 있는 별도의 구성을 마련할 수도 있지만, 상기 파생문자에 일정한 규칙이 있는 경우에는 제1문자 및 제2문자와 병기하여 활용할 수 있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본어의 전제자는 'i, u, e, o'와 대응하여 파생문자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제2문자에 상기 'i, u, e, o'가 병기되어 파생문자를 대신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일본어를 예로 한 제2방향입력 중심의 문자입력>
'제2방향입력 중심의 문자입력'이란, 제2방향입력(P)으로 입력되는 제2문자에 전제자가 할당되고, 제2방향입력을 수행한 상태에서, 선택된 제2문자로부터 파생되는 파생문자가 문자표시부(18)에 배열되어 해당 파생문자가 위치되는 방향으로 제1방향입력을 수행하여 파생문자를 입력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이때 제1방향입력(P)에는 독립자와 기능키가 할당되고, 제1방향입력만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독립자와 기능키를 입력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2방향지시위치(P1, P2, ...)에는 일본어 히라 가나의 기본음 중 'あ, か, さ, た, な, は, ま, ら'가 전제자로서 제2문자로 배열되고,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M1, M2, ...)에는 일본어 히라가나의 기본음 중 'や, ゆ, よ, わ, を, ん'가 독립자로서, 그리고 선택키("/°) 및 변환키(T)가 기능키로서 제1문자로 배열된다.
여기서 선택키와 변환키는 '제1방향입력 중심의 문자입력'의 경우와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파생문자는, 제2문자인 'あ'에 대해서는 'い, う, え, お'이고, 제2문자인 'か'에 대해서는 'き, く, け, こ'이며, 제2문자인 'さ'에 대해서는 'し, す, せ, そ'이고, 제2문자인 'た'에 대해서는 'ち, つ, て, と'이며, 제2문자인 'な'에 대해서는 'に, ぬ, ね, の'이고, 제2문자인 'は'에 대해서는 'ひ, ふ, へ, ほ'이며, 제2문자인 'ま'에 대해서는 'み, む, め, も'이고, 제2문자인 'ら'에 대해서는 'り, る, れ, ろ'이다.
이상과 같이 배열되는 제1문자와 제2문자가 도 11의 (a)에 도시된 문자표시부(18)에 표시된다. 이때 제2문자는 문자표시부(18)의 제1열에 배치되고, 제1문자는 문자표시부(18)의 제2열에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문자 중 'さ'에 대해 제2방향입력을 수행한다. 이때 제2방향입력을 수행하고 입력부(11)를 원위치로 복귀하면 상기 'さ'가 입력 처리된다.
그런데 상기 제2방향입력을 수행한 상태, 즉 입력부(11)가 3시 방향으로 이 동한 경우에는,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표시부(18)에 상기 'さ'에 대한 파생문자인 'し, す, せ, そ'가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상하좌우 방향에 배치된다. 이때 'そ'를 입력하기 위하여 9시 방향으로 제1방향입력(P3M7)을 수행하면(도 12 참조) 'さ'가 아닌 'そ'가 입력 처리된다. 여기서도, 도 12에서의 제1방향입력이 P3M1, P3M3, P3M5, P3M7과 표시된 것은, 상기 제1방향입력은 제1방향입력이 개별적으로 수행된 것이 아니라, 3시 방향으로의 제2방향입력(P)이 수행된 상태에서 이루어진 것을 나타내기 위함이다.
이상과 같은 방식으로 일본어의 8개의 전제자와 그에 따른 파생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이 외의 다른 변형 형태들은 상기에서 언급한 "제1방향입력 중심의 문자입력"에서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기타 배열의 문자입력>
'기타 배열의 문자입력'이란, 제1방향지시위치 8개소와 제2방향지시위치 8개소 중에서 8개소를 선택하여 그 선택된 8개소에 전제자를 할당하고, 나머지 8개소에는 독립자와 기능키를 할당하여 입력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이때 전제자에 대한 파생문자의 입력은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다.
상기에서 선택된 8개소는 제1방향지시위치에서 6개소, 제2방향지시위치에서 2개소로 될 수 있고, 제1방향지시위치에서 5개소, 제2방향지시위치에서 3개소로 될 수 있으며, 제1방향지시위치에서 4개소, 제2방향지시위치에서 4개소로 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방향지시위치 4개소(M1, M3, M5, M7)와 제2방향지시위치 4개소(P1, P3, P5, P7)를 전제자로 할당하는 경우에는, 문자표시부(18)가 도 13과 같이 표시될 수 있다. 즉, 전제자인 'あ, か, さ, た'는 제1문자로서 문자표시부(18)의 제2열에 배치되고, 전제자인 'な, は, ま, ら'는 제2문자로서 문자표시부(18)의 제1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제자를 제외한 나머지 제1문자와 제2문자로는 독립자와 기능키가 할당되어 제1방향지시위치의 나머지 4개소(M2, M4, M6, M8)와 제2방향지시위치의 나머지 4개소(P2, P4, P6, P8)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문자에 대한 파생문자의 입력은, 도 1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문자가 위치한 제1방향지시위치(M1, M3, M5, M7)로 제1방향입력(M)을 수행한 상태에서 파생문자가 배치된 제2방향지시위치(P1, P3, P5, P7)로 제2방향입력(P)을 수행하여 입력한다. 이때 제1방향입력을 수행한 상태에서 입력을 종료하지 않으면 문자표시부(18)에는 파생문자가 배열되므로, 상기 배열된 파생문자 중에서 의도하는 파생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제2방향지시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하여 제2방향입력(M1P1, M1P3, M1P5, M1P7, …)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2문자에 대한 파생문자의 입력은, 도 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문자가 위치한 제2방향지시위치(P1, P3, P5, P7)로 제2방향입력(P)을 수행한 상태에서 파생문자가 배치된 제1방향지시위치(M1, M3, M5, M7)로 제1방향입력(M)을 수행하여 입력한다. 이때 제2방향입력을 수행한 상태에서 입력을 종료하지 않으면 문자표시부(18)에는 파생문자가 배열되므로, 상기 배열된 파생문자 중에서 의도하는 파생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제1방향지시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도, 도 14의 (a)에서의 제2방향입력이 M1P1, M1P3, M1P5, M1P7, …로 표시되고, 도 14의 (b)에서의 제1방향입력이 P1M1, P1M3, P1M5, P1M7, …로 표시된 것은, 상기 각 방향입력은 그 방향입력이 개별적으로 수행된 것이 아니라, 다른 방향입력이 수행된 상태에서 이루어진 것을 나타내기 위함이다.
한편, 독립자와 기능키에 대한 입력은 앞의 예들과 동일하게 각 독립자와 기능키가 할당된 제1문자나 제2문자에 대해 제1방향입력(M)이나 제2방향입력(P)을 개별적으로 수행하여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독립자에 대한 파생형태의 변환은 당연히 적용 가능하다.
한편, 제1방향지시위치를 8개소로 마련하고 제2방향지시위치를 4개소로 마련하여 각 지시위치에서 4개의 파생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각 지시위치에는 총 12개의 전제자가 각각 할당되고, 각 전제자에 대해 파생문자는 4개씩 입력가능하므로, 총 60개의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또는, 제1방향지시위치를 7개소로 마련하고 제2방향지시위치를 4개소로 마련하여 각 지시위치에서 4개의 파생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각 지시위치에는 총 11개의 전제자가 각각 할당되고, 각 전제자에 대해 파생문자는 4개씩 입력가능하므로, 총 55개의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제1방향지시위치의 개수와 제2방향지시위치의 개수를 입력할 전제자의 개수에 따라 설정하고 각 전제자에 따라 파생문자를 할당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전제자별로 파생문자가 다를 수도 있으므로, 각 전제자에 할당된 파생문자의 개수는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설명한 제1방향지시위치의 개수와 제2방향지시위치의 개수는 서로 반대로 설정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다음으로, 문자입력장치에 선택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선택입력을 활용한 자판 배열과 그를 통한 문자입력에 대해 설명한다.
선택입력(C)
본 명세서에서 선택입력(C)이라 함은, 제1방향입력(M) 또는 제2방향입력(P)과 별도로 선택키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때 선택키는 입력부(11)의 중앙에 마련된 중앙입력키(19)일 수도 있고, 제1방행지시위치와 제2방향지시위치의 외곽, 즉 베이스(40)에 마련된 별도키(예를 들면, 도 1a 및 도 1b에서와 같은 기능키(31) 또는 상하이동키(33))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선택입력은 상기 중앙입력키 또는 별도키를 선택하거나, 입력부(11) 자체가 상하로 승강하면서 수행될 수도 있다.
선택입력(C)은 예를 들어, 도 1b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1) 의 중앙에 선택가능한 중앙입력키(19)와, 중앙입력키(19)의 선택을 감지하는 제3감지부(19a)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는, 선택입력(C)은 입력부(11) 전체가 베이스(40)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입력부(11) 또는 베이스(40) 중 어느 하나에서 입력부(11)의 상하 이동을 감지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전술한 두 가지 형태의 선택입력(C)은 어느 하나만 마련될 수도 있으나, 동시에 마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선택입력(C)은 중앙입력키(19)의 누름거리 또는 누름세기나, 입력부(11) 자체의 승강거리에 따라 2단 이상의 다단입력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중앙입력키(19)로의 접근 또는 접촉을 감지함으로써 중앙입력키(19)에 중복할당된 다른 문자를 입력하는 터치입력이 수행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방향입력(M)과 제2방향입력(P) 및 선택입력(C)을 통한 문자입력 실시예
상기 선택입력(C)을 제1방향입력(M) 및 제2방향입력(P)과 함께 사용하여 문자표시부에서 문자를 입력하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문자표시부>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문자표시부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문자표시부(18)에는 제1방향입력(M), 제2방향입력(P), 제1방향입력 또는 제2방향입력과 선택입력(C)을 함께 수행하는 경우에 입력될 수 있는 문자가 배 열된다. 즉,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방향지시위치(M1, M2, ...)와 제2방향지시위치(P1, P2, ...)가 방사상 각각 8개로 마련되는 경우에,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문자표시부(18)에는 각 지시위치 방향별로 2열로 배열되어 제1열에는 제1방향지시위치(M1, M2, ...)에 할당된 제1문자와 상기 제1문자로부터 파생되는 파생문자가 표시되고, 제2열에는 제2방향지시위치(P1, P2, ...)에 할당된 제2문자와 상기 제2문자로부터 파생되는 파생문자가 표시된다. 또는 상기와 반대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1문자와 제2문자는, 특정 언어에서 사용되는 기본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글에서는 자음 'ㄱ, ㄴ, …'과 모음 'ㅏ, ㅑ, …'가 될 수 있고, 영어에서는 알파벳 'a, b, c, …'가 될 수 있고, 일본어에서는 히라가나인 'あ, い, う, え, お, か, …'가 될 수 있고, 중국어에서는 로마자로 표기하는 한어병음자모들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문자와 제2문자는 상기 기본음을 제1방향지시위치와 제2방향지시위치의 개수에 따라 임의로 배열하거나, 또는 제1문자 및 제2문자에는 전제자와 기능키가 할당될 수 있다.
여기서 '전제자'란 그 전제자에 대해 파생되는 문자를 갖는 문자이거나 다수의 문자들을 대표할 수 있는 문자로서, 예를 들면, 한글에서는 'ㄱ'이 'ㅋ'과 'ㄲ'으로 파생될 수 있으므로 'ㄱ'을 전제자로 보고, 일본어에서는 'あ, い, う, え, お'는 'あ'를 대표문자라 할 수 있으므로 'あ'를 전제자로 본다.
또한 '기능키'란 스페이스키(SP; Space), 엔터키(EN; Enter), 삭제키(BS; BackSpace) 등 특정 언어의 입력시에 자주 사용되는 기능에 관련된 키를 의미한다.
이러한 문자표시부(18)는, 디스플레이부(20)에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련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문자표시부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1)와 베이스(40)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8 및 도 19의 문자표시부에는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기초로 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한편, 상기 문자표시부(18)에는 상기 제1문자, 제2문자 이외에 파생문자도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파생문자는 항상 문자표시부(18)에 표시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제1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제1방향입력이나 제2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제2방향입력이 수행된 경우에만 문자표시부(18)에 배열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제자인 제1문자 및 제2문자와 그로부터 파생되는 파생문자가 동시에 문자표시부에 배열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문자표시부에는 전제자로부터 파생되는 파생문자가 하나 이상 배열될 수 있다. 이때 전제자에 대한 파생문자가 2개 이상 배열되는 경우, 파생문자 중에서 의도하는 파생문자는 선택입력(C)을 연속으로 수행하여 입력 처리할 수도 있다. 또는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파생문자를 선택입력(C)으로 입력하고, 선택입력을 연속으로 수행하면 전제자와 파생문자가 교대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게 하는 경우에는, 2개 이상의 파생문자를 입력하기 위하여 별도키(미도시)를 사용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는, 이상과 같은 제1방향입력(M), 제2방향입력(P) 및 선택입력(C)을 통해 문자를 입력하는 구체적인 예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한글 의 자음과 모음, 및 영어의 알파벳을 기초로 하여 설명하지만, 일본어의 히라가나나 중국어의 병음자모 등에도 활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일본어 입력에 대한 실시예>
도 1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표시부는 도 17의 (b)에 도시된 문자표시부와 유사하게 2열로 배치되되, 중앙 위치에 선택입력(C)이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는 원형의 칸이 마련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가 장착된 단말기에서 별도키(미도시)에 대한 입력이 선택입력(C)과 동일한 역할을 하게 하는 경우에는, 상기 별도키에 대한 입력시에도 상기 원형의 칸에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일본어의 히라가나를 예로 들 경우, 제1열에는 제2방향지시위치(P1, P2, ...)에 할당된 제2문자로 일본어 히라가나의 전제자가 배열되고, 제2열에는 제1방향지시위치(M1, M2, ...)에 할당된 제1문자로 독립자와 기능키가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중앙의 칸은 선택입력(C)에 대응되는 것으로, 선택입력(C)을 수행하면, 중앙의 칸에 선택입력 수행여부가 표시되면서 문자표시부가 도 1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된다. 즉, 탁음과 반탁음으로 변환을 위한 변환키("/°), 가타카나로의 변환을 위한 변환키(「カ」), 엔터키(Enter), 펑션키(F-key), 한자로의 변환키(漢), 기호 입력을 위한 변환키(Sym), 문자입력장치를 마우스로 사용하기 위한 마우스 변환키(Mouse),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 변환키(Num) 등이 문자표시부에 표시된다. 이때 표시되는 문자표시부는 선택입력이 종료되어도(즉, 중앙입력키(19)에서 손가락을 떼어내도) 그대로 유지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 15의 (b)와 같이 표시된 문자표시부에서 원하는 변환키를 선택한 후 원하는 기능, 변환 또는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15의 (b)에 표시된 문자표시부에서 다시 도 15의 (a)에 도시된 문자표시부로 복귀하기 위해서는 재차 선택입력(C)을 수행한다.
또한 도 15의 (a)에 표시된 문자표시부에서의 문자입력은 앞서 설명된 실시예들과 거의 동일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전제자를 선택한 상태로 일단 입력을 종료하면(입력부(11)에서 손가락을 떼어내면), 그 전제자가 바로 입력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전제자에 대한 파생문자가 문자표시부에 표시된 상태로 대기한다. 이때 선택입력(C)을 수행하면 바로 상기 전제자가 입력처리되고, 만일 파생문자를 선택하려면 파생문자를 수행하기 위한 방향입력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파생문자를 입력처리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에 다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또는 전제자를 입력하기 위하여 선택입력 대신에 해당 전제자에 대한 방향입력을 재차 수행하여 입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6의 (a)에는 제2열에 독립자를 대표하는 문자로 'や'가 제1문자로 표시되어 있고, 제2열의 다른 부분에는 한자 변환키(漢), 마우스 변환키(Mouse), 스페이스바(Space), 엔터키(Enter), 백스페이스키(BS), 숫자 변환키(Num), 탁음/반탁음 변환키("/°)가 배열된다. 이러한 기능키는 기능의 실행, 문자의 변환 또는 추가적인 데이터의 입력에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정 언어의 입력에 필요한 기능키로 재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제2열의 'や'를 제1방향입력(M)을 통해 선택하면, 도 16의 (a)에 도시 된 문자표시부는 도 16의 (b)와 같이 변경되어, 상기 'や' 이외의 독립자가 제1열에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선택입력(C)을 수행하면 도 16의 (b)에서의 중앙의 칸에 선택입력 수행여부가 표시되면서 'や'가 입력처리된다. 만일 'ん'을 입력하고자 한다면, 도 16의 (b)에서 3시 방향으로 제2방향입력(P)을 수행하여 'ん'를 선택하여 상기 'ん'을 입력 처리한다.
또한 제1열에 배열된 전제자에 대해 입력하기 위해서는, 특정 전제자에 대해 제2방향입력(P)을 수행한다. 그러면 문자표시부에는 상기 전제자에 대한 파생문자가 배열된다. 이때 선택입력(C)을 바로 수행하면 상기 전제자가 입력 처리되고, 파생문자를 입력하고자 하면, 파생문자를 방향입력으로 선택한다.
예를 들면, 도 16의 (a)에서 제1열의 'あ'를 제2방향입력(P)으로 선택하면, 문자표시부는 도 16의 (c)와 같이 변경된다. 즉, 문자표시부의 제2열에 'あ'의 파생문자인 'い, う, え, お'가 배열된다. 이때 바로 선택입력(C)을 수행하면 중앙의 칸에 선택입력 수행여부가 표시되면서 'あ'가 입력 처리된다.
그런데 만일 'え'를 입력하고자 한다면, 6시 방향으로 제1방향입력(M)을 수행하여 'え'를 선택하여 'え'를 입력 처리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특정 전제자를 선택하면, 문자표시부에는 상기 특정 전제자와 이에 대응하는 파생문자가 동일 열에 함께 표시될 수도 있다. 즉, 파생문자가 4개라면, 상기 4개의 파생문자와 전제자가 같은 열에 배열되어 상기 열에 대한 방향입력을 통하여 4개의 파생문자와 전제자 중에 하나를 선택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선택입력(C)에 의해 문자표시부의 전환과 선택된 문자의 결정이 수행된다. 따라서 제1방향입력(M)과 제2방향입력(P)을 연속 수행하여 문자를 바로 입력하는 경우보다는 선택입력(C)에 의한 경우가 문자입력에 소요되는 동작수는 증가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에 익숙치 않은 사람이나 순발력이 떨어지는 어른이나 어린이들에게는 이 방식이 보다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별도키가 마련되는 경우에는, 중앙입력키 대신에, 또는 중앙입력키와 함께 문자표시부의 전환 및 선택된 문자의 결정을 하는데 상기 별도키가 사용될 수도 있다.
<한글 입력에 대한 실시예>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문자표시부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1방향입력으로 입력될 수 있는 제1방향지시위치에는 'ㄱ, ㄴ, ㄷ, ㄹ, ㅂ, ㅇ, ㅈ'과 기능키인 SP(Space)가 제1문자로서 문자표시부의 제1열에 배열될 수 있다. 이때 'ㄱ, ㄴ, ㄷ, ㄹ, ㅂ, ㅇ, ㅈ'은 전제자로서, 각 전제자가 배열된 제1열의 각 칸에는 상기 전제자로부터 파생되는 파생문자가 동시에 배열된다. 즉, 제1문자에 배열된 전제자에 대한 파생문자인 'ㅋ, ㅁ, ㅌ, ㅅ, ㅍ, ㅎ, ㅊ'이 'ㄱ, ㅋ', 'ㄴ, ㅁ', 'ㄷ, ㅌ', 'ㄹ, ㅅ', 'ㅂ, ㅍ', 'ㅇ, ㅎ', 'ㅈ, ㅊ'와 같이 제1열에 배열된다. 또한 기능키인 SP(Space)에 대해서는 파생문자 형태로 다른 기능키인 EN(Enter)이 배열된다.
한편, 제2방향입력으로 입력될 수 있는 제2방향지시위치에는 'ㅏ, ㅓ, ㅗ, ㅜ, ㅐ, ㅔ, ㅣ'와 기능키인 BS(BackSpace)가 제2문자로서 문자표시부의 제2열에 배열될 수 있다. 이때 'ㅏ, ㅓ, ㅗ, ㅜ, ㅐ, ㅔ, ㅣ'는 전제자로서, 각 전제자가 배열된 제2열의 각 칸에는 상기 전제자로부터 파생되는 파생문자가 동시에 배열된다. 즉, 제2문자에 배열된 전제자에 대한 파생문자인 'ㅑ, ㅕ, ㅛ, ㅠ, ㅒ, ㅖ, ㅡ'가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ㅐ, ㅒ', 'ㅔ, ㅖ', 'ㅣ, ㅡ'와 같이 제2열에 배열된다. 이때 상기 'ㅣ'와 'ㅡ'의 관계에서는 'ㅡ'가 전제자로 되어 제2문자로서 배열될 수도 있고, 'ㅣ'와 'ㅡ'가 함께 제2문자로서 배열될 수도 있다.
그리고 문자표시부에는 중앙 위치에 선택입력(C)이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는 원형의 칸이 마련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가 장착된 단말기에서 별도키에 대한 입력으로 선택입력(C)이 수행되는 경우에는, 상기 별도키에 대한 입력시에도 상기 원형의 칸에 그 입력 여부가 표시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문자표시부에서 제1열에 배열된 제1문자를 입력하려면, 상기 제1문자가 위치한 제1방향지시위치(M1, M2, ...)로 제1방향입력(M)을 수행한다. 그러면 디스플레이부(20)에 해당 제1문자가 입력 처리된다.
그리고 상기 제1문자로부터 파생되는 파생문자를 입력하려면, 상기 제1문자가 위치한 제1방향지시위치(M1, M2, ...)로 제1방향입력(M)을 수행하고, 선택입력(C)을 수행한다. 즉, 제1방향입력(M)과 선택입력(C)을 순차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문자표시부(18) 상에서 제1문자와 나란히 배열된 파생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한편, 문자표시부에서 제2열에 배열된 제2문자를 입력하려면, 상기 제2문자가 위치한 제2방향지시위치(P1, P2, ...)로 제2방향입력(P)을 수행한다. 그러면 디스플레이부(20)에 해당 제2문자가 입력 처리된다.
또한 상기 제2문자로부터 파생되는 파생문자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해당 제2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제2방향입력(P)을 수행하고, 선택입력(C)을 수행한다.
아울러, 상기 제1문자 또는 제2문자에 대한 파생문자를 선택한 상태에서 상기 파생문자를 제1문자 또는 제2문자로 변경하기 위해서는, 재차 선택입력(C)을 수행한다. 그러면 파생문자로 변경되기 이전의 제1문자 또는 제2문자로 상기 파생문자가 변경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 선택입력(C)을 다시 수행하면, 변경되어 현재 입력되어 있는 제1문자 또는 제2문자는, 다시 제1문자 또는 제2문자의 파생문자로 변경된다.
또는 상기 제1문자 또는 제2문자에 대한 파생문자를 선택한 상태에서 상기 파생문자를 제1문자 또는 제2문자로 변경하기 위해서는, 상기 방법과는 달리 'BS'에 대해 방향입력을 하여 파생문자를 삭제한 후, 다시 제1문자와 제2문자를 입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파생문자를 선택한 상태에서 재차 선택입력을 수행하면, 제1문자 또는 제2문자에 대한 다른 파생문자(예를 들면, 'ㄱ'에 대해서는 'ㄲ', 'ㄷ'에 대해서는 'ㄸ', 등)가 입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배열되는 문자표시부를 통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경우를 도 20 내지 도 24에 도시된 예로 설명한다. 여기서 도 20 내지 도 24에는 문자표시부(18)의 하단에 현재 문자표시부에서 입력 처리되는 문자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20)가 도시되어 있지만, 상기 디스플레이부(20)는 문자가 입력 처리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실제로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부(20)가 사용되는 것으로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글인 "특허"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먼저 ⅰ) 'ㅌ'를 입력하기 위하여 제1열에 3시 방향에 배열된 제1문자를 3시 방향으로의 제1방향입력(M)으로 선택하고(도 20에서 ①), 선택입력을 수행한다(도 20에서 ②). 그러면 제1문자인 'ㄷ'이 입력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ㄷ'의 파생문자인 'ㅌ'이 입력 처리된다. ⅱ) 계속하여 'ㅡ'를 입력하기 위하여 제2열의 5시 방향에 배열된 제2문자인 'ㅣ'를 선택하는 제2방향입력(P)을 수행한다(도 21에서 ①). 이때에도 'ㅡ'는 전제자가 아니라 파생문자이므로, 선택입력(C)을 수행하여 전제자인 'ㅣ'가 아닌 파생문자인 'ㅡ'가 입력되도록 한다(도 21에서 ②). ⅲ) 그리고 'ㄱ'을 입력하기 위하여 제1열의 12시 방향에 배열된 제1문자를 12시 방향으로의 제1방향입력(M)으로 입력 처리한다(도 22에서 ①). 이로써 '특'자가 완성된다.
다음으로 ⅳ) 'ㅎ'을 입력하기 위하여 제1열의 9시 방향에 배열된 제1문자를 9시 방향으로의 제1방향입력(M)으로 선택하고(도 23의 ①), 선택입력(C)을 수행한다(도 23의 ②). 그러면 제1문자인 'ㅇ'이 입력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ㅇ'의 파생문자인 'ㅎ'이 입력 처리된다. 그리고 ⅴ) 'ㅓ'를 입력하기 위하여 제2열의 9시 방향에 배열된 제2문자를 9시 방향으로의 제2방향입력(P)으로 입력 처리한다(도 24의 ①). 이로써, "특허"라는 단어가 완성된다.
한편, 상기 ⅱ)에서,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가 'ㅡ'가 아니라 'ㅣ'라고 할 경우, 5시 방향으로 제2방향입력(P)을 수행한 상태에서 선택입력(C)을 수행하여 'ㅡ'가 입력된 상태이므로, 이를 시정하기 위하여 제2열에 배열된 'BS'를 7시 방향으로의 제2방향입력(P)으로 선택할 수 있다(도 25의 (a)). 이렇게 되면, 입력 처리된 'ㅡ'는 삭제되므로 재차 'ㅣ'를 입력하기 위한 방향입력을 수행하여 'ㅣ'를 입력 처리할 수 있다(도 25의 (b)).
또는 현재 'ㅡ'가 입력 처리된 상태에서 선택입력을 다시 수행하면, 입력 처리된 'ㅡ'는 'ㅣ'로 바로 변환되므로 손쉽게 잘못된 입력을 수정할 수 있다(도 25의 (c)). 참고로 이 상태에서 다시 선택입력을 수행하면 현재 입력 처리된 'ㅣ'는 'ㅡ'로 변환된다.
<영어의 알파벳 입력에 대한 실시예>
영어의 알파벳을 입력하기 위한 문자표시부(18)는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1방향입력(M)으로 입력될 수 있는 제1방향지시위치(M1, M2, ...)에는 'A, B, E, I, G, O'와 기능키인 SP(Space)와 EN(Enter)가 제1문자로서 문자표시부의 제1열에 배열될 수 있다. 이때 'A, B, E, I, G, O'는 전제자로서, 각 전제자가 배열된 제1열의 각 칸에는 상기 전제자로부터 파생되는 파생문자가 동시에 배열된다. 즉, 제1문자에 배열된 전제자에 대한 파생문자인 'H, D, F, L, Q, U'가 'A, H', 'B, D', 'E, F', 'I, L', 'G, Q', 'O, U'와 같이 제1열에 배열된다.
한편, 제2방향입력(P)으로 입력될 수 있는 제2방향지시위치(P1, P2, ...)에 는 'M, P, T, V, C, J, X'와 기능키인 BS(BackSpace)가 제2문자로서 문자표시부(18)의 제2열에 배열될 수 있다. 이때 'M, P, T, V, C, J, X'는 전제자로서, 각 전제자가 배열된 제2열의 각 칸에는 상기 전제자로부터 파생되는 파생문자가 동시에 배열된다. 즉, 제2문자에 배열된 전제자에 대한 파생문자인 'N, R, Y, W, S, K, Z'가 'M, N', 'P, R', 'T, Y', 'V, W', 'C, S', 'J, K', 'X, Z'와 같이 제2열에 배열된다.
이때 제1문자와 제2문자로 배열된 전제자와, 제1문자와 제2문자로부터 파생되는 파생문자는 알파벳의 모양에 따라 2문자씩 짝을 지은 것일 뿐, 상기 전제자와 파생문자가 상기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알파벳 26자를 발음에 따라 짝을 지을 수도 있고, 임의적으로 짝을 짓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알파벳 26자를 2개씩 짝을 짓지 않고 3개 또는 4개씩 짝을 짓고, 그 중 대표할 수 있는 문자를 전제자로 두고, 나머지를 파생문자로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문자표시부(18)에는 중앙 위치에 선택입력(C)이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는 원형의 칸이 마련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가 장착된 단말기에서 별도키에 대한 입력으로 선택입력(C)이 수행되는 경우에는, 상기 별도키에 대한 입력시에도 상기 원형의 칸에 그 입력 여부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자표시부에 대한 문자의 입력은 한글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배열되는 문자표시부(18)를 통하여 영단어를 입력하는 경우를 도 27 내지 도 30에 도시된 예로 설명한다. 즉, 영단어인 "APPLE"를 입력하는 경우에 는, 먼저 ⅰ) 'A'를 입력하기 위하여 제1열에 12시 방향에 배열된 제1문자를 12시 방향으로의 제1방향입력(M)으로 입력 처리한다(도 27의 ①). ⅱ) 계속하여 'P'를 입력하기 위하여 제2열의 1시 방향에 배열된 제2문자를 1시 방향으로의 제2방향입력(P)을 수행한다(도 27의 ①). ⅲ) 그리고 다음 문자인 'P'를 입력하기 위하여 다시 제2열의 1시 방향에 배열된 제2문자를 1시 방향으로의 제2방향입력(P)으로 입력 처리한다(도 29의 ①).
다음으로 ⅳ) 'L'을 입력하기 위하여 먼저 제1열의 5시 방향에 배열된 제1문자를 5시 방향으로의 제1방향입력(M)을 수행한다(도 30의 ①). 이 상태에서 선택입력(C)을 수행하면 'I'에 대한 파생문자인 'L'을 입력 처리할 수 있다(도 30의 ②).
그리고 ⅴ) 'E'를 입력하기 위하여 제1열의 3시 방향에 배열된 제1문자를 3시 방향으로의 제1방향입력(M)으로 입력 처리한다(도 31의 ①). 이로써, "APPLE"라는 단어가 완성된다.
한편, 상기 ⅳ)에서,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가 'L'이 아니라 'I'라고 할 경우, 5시 방향으로 제1방향입력(M)을 수행한 상태에서 선택입력(C)을 수행하여 'L'이 입력된 상태이므로, 이를 시정하기 위하여 제2열에 배열된 'BS'를 7시 방향으로의 제2방향입력(P)으로 선택할 수 있다(도 32의 (a)). 이렇게 되면, 입력 처리된 'L'은 삭제되므로 재차 'I'를 입력하기 위한 방향입력을 수행하여 'I'를 입력 처리할 수 있다(도 32의 (b)).
또는 현재 'L'이 입력 처리된 상태에서 선택입력(C)을 다시 수행하면, 입력 처리된 'L'은 'I'로 바로 변환되므로 손쉽게 잘못된 입력을 수정할 수 있다(도 32 의 (c)). 참고로 이 상태에서 다시 선택입력을 수행하면 현재 입력 처리된 'I'는 'L'로 변환된다.
이상과 같은 일어나 한글이나 영문의 자판 배열은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한글의 경우에, 제1열에 자음을 배치하고, 제2열에 모음을 배치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제1열에 모음을 배치하고, 제2열에 자음을 배치할 수 있고, 제1열과 제2열에 자음과 모음을 편의대로 배치할 수도 있다.
또한 선택입력을 모드변경용으로 활용하여 선택입력을 통해 도 19의 한글 문자표시부를 도 26의 영문 문자표시부로 변경하여 해당하는 문자를 입력할 수도 있고, 한글이나 영문 이외에 일본어나 중국어를 위한 문자표시부로 변경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아울러, 숫자나 기호를 입력하기 위한 문자표시부로 변경될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마우스 모드로 변경하여 방향이동, 좌우측 버튼, 스크롤버튼을 문자표시부에 표시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가 마우스로 사용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문자표시부가 한벌로 마련된 것이 예시되어 있지만,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 등이 많은 경우에는, 2개의 입력부가 마련되고 각 입력부에 대해 문자표시부가 마련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가 장착된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들의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단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입력부에서 제1방향입력과 제2방향입력의 각 입력동작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부에서 제1방향입력과 제2방향입력의 각 입력동작을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부 및 가이드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1방향입력 및 제2방향입력과 문자표시부의 대응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표시부에서의 자판 배열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파생문자를 입력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자판 배열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문자표시부가 입력부와 베이스에 표시된 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표시부에서 자판 배열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파생문자를 입력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표시부에서 자판 배열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파생문자를 입력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문자표시부에서 자판 배열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에서 선택입력과 함께 제1방향입력 및 제2방향입력과 문자표시부의 대응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문자표시부가 입력부와 베이스에 표시된 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표시부에서의 한글 자판 배열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20 내지 도 25는 한글을 입력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표시부에서 영문 자판 배열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27 내지 도 32는 영문을 입력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문자입력장치 11 : 입력부
12 : 누름부 13 : 탄성부재
14 : 가이드부 15 : 돌기부
*16 : 제1감지부 17 : 제2감지부
18 : 문자표시부 19 : 중앙입력키
20 : 디스플레이부 31 : 기능키
33 : 상하이동키 40 : 베이스
100 :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

Claims (30)

  1. 베이스상의 소정 위치에 마련된 입력반경 내에 정의되는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배치된 복수의 제1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1방향입력과, 입력부 자체에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2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2방향입력이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가능하게 마련되는, 상기 입력부;
    상기 제1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제1감지부;
    상기 제2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제2감지부;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1문자가 배열되고, 상기 제2방향지시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2문자가 배열되며, 상기 제1방향입력 또는 상기 제2방향입력이 수행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방향입력에 할당된 상기 제1문자 또는 상기 제2방향입력에 할당된 상기 제2문자로부터 파생되는 파생문자가 표시되는 문자표시부; 및
    상기 제1방향입력이 감지된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상기 제1문자, 상기 제2방향입력이 감지된 상기 제2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상기 제2문자, 또는 상기 제1방향입력과 상기 제2방향입력의 연속 수행에 의해 할당된 상기 파생문자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디스플레이되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자판 배열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 및 상기 제2방향지시위치는 상기 기준위치로부터 방사상 4개 내지 12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자판 배열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에는 일본어 히라가나의 기본음 중 전제자인 'あ, か, さ, た, な, は, ま, ら'가 제1문자로 배열되고,
    상기 제2방향지시위치에는 일본어 히라가나의 기본음 중 독립자인 'や, ゆ, よ, わ, を, ん'과 선택키 및 변환키가 제2문자로 배열되며,
    상기 파생문자는, 제1문자인 'あ'에 대해서는 'い, う, え, お'이고, 제1문자인 'か'에 대해서는 'き, く, け, こ'이며, 제1문자인 'さ'에 대해서는 'し, す, せ, そ'이고, 제1문자인 'た'에 대해서는 'ち, つ, て, と'이며, 제1문자인 'な'에 대해서는 'に, ぬ, ね, の'이고, 제1문자인 'は'에 대해서는 'ひ, ふ, へ, ほ'이며, 제1문자인 'ま'에 대해서는 'み, む, め, も'이고, 제1문자인 'ら'에 대해서는 'り, る, れ, 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자판 배열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방향지시위치에는 일본어 히라가나의 기본음 중 전제자인 'あ, か, さ, た, な, は, ま, ら'가 제2문자로 배열되고,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에는 일본어 히라가나의 기본음 중 독립자인 'や, ゆ, よ, わ, を, ん'과 선택키 및 변환키가 제1문자로 배열되며,
    상기 파생문자는, 제2문자인 'あ'에 대해서는 'い, う, え, お'이고, 제2문자인 'か'에 대해서는 'き, く, け, こ'이며, 제2문자인 'さ'에 대해서는 'し, す, せ, そ'이고, 제2문자인 'た'에 대해서는 'ち, つ, て, と'이며, 제2문자인 'な'에 대해서는 'に, ぬ, ね, の'이고, 제2문자인 'は'에 대해서는 'ひ, ふ, へ, ほ'이며, 제2문자인 'ま'에 대해서는 'み, む, め, も'이고, 제2문자인 'ら'에 대해서는 'り, る, れ, 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자판 배열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된 제1방향지시위치와 제2방향지시위치 중 일부 개소에는 일본어 히라가나의 기본음 중 전제자인 'あ, か, さ, た, な, は, ま, ら'가 제1문자와 제2문자로 배열되고,
    상기 일부 개소 이외의 나머지 제1방향지시위치와 제2방향지시위치에는 일본어 히라가나의 기본음 중 독립자인 'や, ゆ, よ, わ, を, ん'과 선택키 및 변환키가 제1문자와 제2문자로 배열되며,
    상기 파생문자는, 'あ'에 대해서는 'い, う, え, お'이고, 'か'에 대해서는 'き, く, け, こ'이며, 'さ'에 대해서는 'し, す, せ, そ'이고, 'た'에 대해서는 'ち, つ, て, と'이며, 'な'에 대해서는 'に, ぬ, ね, の'이고, 'は'에 대해서는 'ひ, ふ, へ, ほ'이며, 'ま'에 대해서는 'み, む, め, も'이고, 'ら'에 대해서는 ' り, る, れ, 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자판 배열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입력과 상기 제2방향입력 중 하나의 방향입력에 의해 특정 전제자에 대응하는 제1문자 또는 제2문자가 선택되면, 상기 파생문자는 상기 문자표시부 상의 상하좌우 정방향 또는 대각방향에 각각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파생문자가 표시된 어느 한 방향으로의 다른 하나의 방향입력에 의해 입력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자판 배열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된 제1방향지시위치와 제2방향지시위치 중 일부 개소에는 일본어 히라가나의 기본음 중 전제자인 'あ, か, さ, た, な, は, ま, ら'가 제1문자와 제2문자로 배열되고,
    상기 일부 개소 이외의 나머지 제1방향지시위치와 제2방향지시위치에는 일본어 히라가나의 기본음 중 독립자인 'や, ゆ, よ, わ, を, ん' 중 하나 이상과 선택키와 변환키를 포함한 기능키가 제1문자와 제2문자로 배열되며,
    상기 파생문자는, 'あ'에 대해서는 'い, う, え, お'이고, 'か'에 대해서는 'き, く, け, こ'이며, 'さ'에 대해서는 'し, す, せ, そ'이고, 'た'에 대해서는 'ち, つ, て, と'이며, 'な'에 대해서는 'に, ぬ, ね, の'이고, 'は'에 대해서는 'ひ, ふ, へ, ほ'이며, 'ま'에 대해서는 'み, む, め, も'이고, 'ら'에 대해서는 ' り, る, れ, 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자판 배열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표시부에 표시된 독립자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하여 상기 제1방향입력과 상기 제2방향입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입력을 수행하면, 상기 표시된 독립자 이외의 다른 독립자가 상기 문자표시부에 표시됨과 아울러, 상기 다른 독립자가 표시된 어느 한 방향으로의 다른 하나의 방향입력에 의해 입력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자판 배열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9. 제3항 내지 제5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키에 대한 상기 방향입력에 의해서 현재 입력된 문자에 대한 탁음 또는 반탁음 여부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자판 배열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10. 제3항 내지 제5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키에 대한 상기 방향입력에 의해 히라가나와 가타카나 간의 모드변환 또는 현재 입력된 문자의 한자변환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자판 배열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11. 베이스상의 소정 위치에 마련된 입력반경 내에 정의되는 기준위치로부터 상 기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배치된 복수의 제1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1방향입력과, 입력부 자체에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2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2방향입력, 및 상기 기준위치에 제공되는 중앙입력키를 선택하는 선택입력이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가능하게 마련되는, 상기 입력부;
    상기 제1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제1감지부;
    상기 제2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제2감지부;
    상기 선택입력을 감지하는 제3감지부;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1문자가 배열되고, 상기 제2방향지시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2문자가 배열되며, 상기 제1방향입력 또는 상기 제2방향입력이 수행되면 상기 제1방향입력에 할당된 상기 제1문자 또는 상기 제2방향입력에 할당된 상기 제2문자로부터 파생되는 파생문자가 표시되는 문자표시부; 및
    상기 제1방향입력이 감지된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상기 제1문자, 상기 제2방향입력이 감지된 상기 제2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상기 제2문자, 또는 상기 제1방향입력과 제2방향입력의 순차적인 수행에 할당된 상기 파생문자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디스플레이되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문자 또는 상기 제2문자가 선택된 후 상기 선택입력이 수행되는 경우에 상기 제1문자 또는 상기 제2문자를 입력처리하고, 상기 제1문자 또는 상기 제2문자가 선택된 후 표시되는 파생문자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상기 파생문자를 입력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자판 배열을 이용한 문자입력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 및 제2방향지시위치는, 상기 기준위치로부터 방사상 4개 내지 12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자판 배열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에는 일본어 히라가나의 기본음 중 전제자인 'あ, か, さ, た, な, は, ま, ら'가 제1문자로 배열되고,
    상기 제2방향지시위치에는 일본어 히라가나의 기본음 중 독립자인 'や, ゆ, よ, わ, を, ん'과 선택키 및 변환키가 제2문자로 배열되며,
    상기 파생문자는, 제1문자인 'あ'에 대해서는 'い, う, え, お'이고, 제1문자인 'か'에 대해서는 'き, く, け, こ'이며, 제1문자인 'さ'에 대해서는 'し, す, せ, そ'이고, 제1문자인 'た'에 대해서는 'ち, つ, て, と'이며, 제1문자인 'な'에 대해서는 'に, ぬ, ね, の'이고, 제1문자인 'は'에 대해서는 'ひ, ふ, へ, ほ'이며, 제1문자인 'ま'에 대해서는 'み, む, め, も'이고, 제1문자인 'ら'에 대해서는 'り, る, れ, 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자판 배열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방향지시위치에는 일본어 히라가나의 기본음 중 전제자인 'あ, か, さ, た, な, は, ま, ら'가 제2문자로 배열되고,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에는 일본어 히라가나의 기본음 중 독립자인 'や, ゆ, よ, わ, を, ん'과 선택키 및 변환키가 제1문자로 배열되며,
    상기 파생문자는, 제2문자인 'あ'에 대해서는 'い, う, え, お'이고, 제2문자인 'か'에 대해서는 'き, く, け, こ'이며, 제2문자인 'さ'에 대해서는 'し, す, せ, そ'이고, 제2문자인 'た'에 대해서는 'ち, つ, て, と'이며, 제2문자인 'な'에 대해서는 'に, ぬ, ね, の'이고, 제2문자인 'は'에 대해서는 'ひ, ふ, へ, ほ'이며, 제2문자인 'ま'에 대해서는 'み, む, め, も'이고, 제2문자인 'ら'에 대해서는 'り, る, れ, 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자판 배열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된 제1방향지시위치와 제2방향지시위치 중 일부 개소에는 일본어 히라가나의 기본음 중 전제자인 'あ, か, さ, た, な, は, ま, ら'가 제1문자와 제2문자로 배열되고,
    상기 일부 개소 이외의 나머지 제1방향지시위치와 제2방향지시위치에는 일본어 히라가나의 기본음 중 독립자인 'や, ゆ, よ, わ, を, ん'과 선택키 및 변환키가 제1문자와 제2문자로 배열되며,
    상기 파생문자는, 'あ'에 대해서는 'い, う, え, お'이고, 'か'에 대해서는 'き, く, け, こ'이며, 'さ'에 대해서는 'し, す, せ, そ'이고, 'た'에 대해서는 ' ち, つ, て, と'이며, 'な'에 대해서는 'に, ぬ, ね, の'이고, 'は'에 대해서는 'ひ, ふ, へ, ほ'이며, 'ま'에 대해서는 'み, む, め, も'이고, 'ら'에 대해서는 'り, る, れ, 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자판 배열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입력과 제2방향입력 중 하나의 방향입력에 의해 특정 전제자에 대응하는 제1문자 또는 제2문자가 선택되면, 상기 파생문자는 상기 문자표시부 상의 상하좌우 정방향 또는 대각방향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특정 전제자를 입력하기 위하여 선택입력을 수행하거나 상기 특정 전제자에 대해 다른 하나의 방향입력을 수행하며,
    상기 파생문자를 입력하기 위하여 상기 파생문자가 표시된 어느 한 방향으로의 다른 하나의 방향입력을 수행하여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자판 배열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된 제1방향지시위치와 제2방향지시위치 중 일부 개소에는 일본어 히라가나의 기본음 중 전제자인 'あ, か, さ, た, な, は, ま, ら'가 제1문자와 제2문자로 배열되고,
    상기 일부 개소 이외의 나머지 제1방향지시위치와 제2방향지시위치에는 일본어 히라가나의 기본음 중 독립자인 'や, ゆ, よ, わ, を, ん' 중 하나 이상과 선택 키와 변환키를 포함한 기능키가 제1문자와 제2문자로 배열되며,
    상기 파생문자는, 'あ'에 대해서는 'い, う, え, お'이고, 'か'에 대해서는 'き, く, け, こ'이며, 'さ'에 대해서는 'し, す, せ, そ'이고, 'た'에 대해서는 'ち, つ, て, と'이며, 'な'에 대해서는 'に, ぬ, ね, の'이고, 'は'에 대해서는 'ひ, ふ, へ, ほ'이며, 'ま'에 대해서는 'み, む, め, も'이고, 'ら'에 대해서는 'り, る, れ, 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자판 배열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표시부에 표시된 독립자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하여 제1방향입력과 제2방향입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입력을 수행하면, 상기 표시된 독립자 이외의 다른 독립자가 상기 문자표시부에 표시되고, 상기 다른 독립자가 표시된 어느 한 방향으로의 다른 하나의 방향입력에 의해 입력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자판 배열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19. 제13항 내지 제15항 또는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입력과 제2방향입력 중 하나의 방향입력에 의해 특정 전제자에 대응하는 제1문자 또는 제2문자가 선택되면, 상기 특정 전제자와 그에 대한 파생문자가 상기 문자표시부 상에 표시되고,
    상기 특정 전제자를 입력하기 위하여 선택입력을 수행하거나 상기 특정 전제자에 대해 다른 하나의 방향입력을 수행하며,
    상기 파생문자를 입력하기 위하여 상기 파생문자가 표시된 어느 한 방향으로의 다른 하나의 방향입력을 수행하여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자판 배열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표시부에는, 개별적으로 수행된 선택입력에 의해 복수개의 기능키가 배치되고, 상기 기능키에 대한 제1방향입력 또는 제2방향입력을 수행하면, 상기 제어부는, 그에 대응하는 기능의 실행, 문자의 변환 또는 추가적인 데이터의 입력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자판 배열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21. 소정의 입력반경 내에서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배치된 복수의 제1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1방향입력과, 상기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2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2방향입력, 및 선택키를 구비하고 상기 선택키를 선택하는 선택입력이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가능하게 마련되는 입력부;
    상기 제1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제1감지부;
    상기 제2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제2감지부;
    상기 선택입력을 감지하는 제3감지부;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1문자 및 상기 제1문자로부터 파생되는 파생문자가 배열되고, 상기 제2방향지시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2문자 및 상기 제2문자로부터 파생되는 파생문자가 배열되는 문자표시부; 및
    상기 제1방향입력이 감지된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상기 제1문자, 상기 제2방향입력이 감지된 상기 제2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상기 제2문자, 또는 상기 제1방향입력 또는 상기 제2방향입력이 수행된 후 상기 선택입력이 수행됨에 따라 상기 제1문자 또는 상기 제2문자로부터 파생되는 상기 파생문자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디스플레이되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자판 배열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키는 상기 입력부의 상기 기준위치에 마련되거나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 및 제2방향지시위치의 외곽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자판 배열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 및 제2방향지시위치는,상기 기준위치로부터 방사상 4개 내지 12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자판 배열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에는 한글 자음 중 'ㄱ, ㄴ, ㄷ, ㄹ, ㅂ, ㅈ' 및 기능 키가 제1문자로 배열되고,
    상기 제2방향지시위치에는 한글 모음 중 'ㅏ, ㅓ, ㅗ, ㅜ, ㅣ, ㅐ, ㅔ' 및 기능키가 제2문자로 배열되며,
    상기 파생문자는, 제1문자인 'ㄱ'에 대해서는 'ㅋ'이고, 제1문자인 'ㄴ'에 대해서는 'ㅁ'이며, 제1문자인 'ㄷ'에 대해서는 'ㅌ'이고, 제1문자인 'ㄹ'에 대해서는 'ㅅ'이며, 제1문자인 'ㅂ'에 대해서는 'ㅍ'이고, 제1문자인 'ㅈ'에 대해서는 'ㅊ'이며, 제2문자인 'ㅏ'에 대해서는 'ㅑ'이고, 제2문자인 'ㅓ'에 대해서는 'ㅕ'이며, 제2문자인 'ㅗ'에 대해서는 'ㅛ'이고, 제2문자인 'ㅜ'에 대해서는 'ㅠ'이며, 제2문자인 'ㅣ'에 대해서는 'ㅡ'이고, 제2문자인 'ㅐ'에 대해서는 'ㅒ'이며, 제2문자인 'ㅔ'에 대해서는 'ㅖ'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자판 배열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방향지시위치에는 한글 자음 중 'ㄱ, ㄴ, ㄷ, ㄹ, ㅂ, ㅈ' 및 기능키가 제2문자로 배열되고,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에는 한글 모음 중 'ㅏ, ㅓ, ㅗ, ㅜ, ㅣ, ㅐ, ㅔ' 및 기능키가 제1문자로 배열되며,
    상기 파생문자는, 제2문자인 'ㄱ'에 대해서는 'ㅋ'이고, 제2문자인 'ㄴ'에 대해서는 'ㅁ'이며, 제2문자인 'ㄷ'에 대해서는 'ㅌ'이고, 제2문자인 'ㄹ'에 대해서는 'ㅅ'이며, 제2문자인 'ㅂ'에 대해서는 'ㅍ'이고, 제2문자인 'ㅈ'에 대해서는 'ㅊ'이며, 제1문자인 'ㅏ'에 대해서는 'ㅑ'이고, 제1문자인 'ㅓ'에 대해서는 'ㅕ'이며, 제1문자인 'ㅗ'에 대해서는 'ㅛ'이고, 제1문자인 'ㅜ'에 대해서는 'ㅠ'이며, 제1문자인 'ㅣ'에 대해서는 'ㅡ'이고, 제1문자인 'ㅐ'에 대해서는 'ㅒ'이며, 제1문자인 'ㅔ'에 대해서는 'ㅖ'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자판 배열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된 제1방향지시위치와 제2방향지시위치 중 일부 개소에는 한글 자음의 'ㄱ, ㄴ, ㄷ, ㄹ, ㅂ, ㅈ' 및 기능키가 제1문자와 제2문자로 배열되고,
    상기 일부 개소 이외의 나머지 제1방향지시위치와 제2방향지시위치에는 한글 모음의 'ㅏ, ㅓ, ㅗ, ㅜ, ㅣ, ㅐ, ㅔ' 및 기능키가 제1문자와 제2문자로 배열되며,
    상기 파생문자는, 'ㄱ'에 대해서는 'ㅋ'이고, 'ㄴ'에 대해서는 'ㅁ'이며, 'ㄷ'에 대해서는 'ㅌ'이고, 'ㄹ'에 대해서는 'ㅅ'이며, 'ㅂ'에 대해서는 'ㅍ'이고, 'ㅈ'에 대해서는 'ㅊ'이며, 'ㅏ'에 대해서는 'ㅑ'이고, 'ㅓ'에 대해서는 'ㅕ'이며, 'ㅗ'에 대해서는 'ㅛ'이고, 'ㅜ'에 대해서는 'ㅠ'이며, 'ㅣ'에 대해서는 'ㅡ'이고, 'ㅐ'에 대해서는 'ㅒ'이며, 'ㅔ'에 대해서는 'ㅖ'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자판 배열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27. 제23항에 있어서,
    영어 알파벳을 2문자씩 짝을 지어 그중 하나의 문자들을 제1문자와 제2문자 로서 제1방향지시위치와 제2방향지시위치에 할당하여 상기 문자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영어 알파벳에서 나머지 문자들은 짝을 이루는 제1문자 또는 제2문자의 파생문자로서 상기 문자표시부에 표시하며,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와 제2방향지시위치에서 알파벳이 할당되지 않은 방향지시위치에는 기능키를 할당하여 상기 문자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자판 배열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28. 제24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입력과 제2방향입력 중 하나의 방향입력을 수행하면, 상기 제1방향입력 또는 상기 제2방향입력에 대응하는 제1문자 또는 제2문자가 입력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자판 배열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입력과 제2방향입력 중 하나의 방향입력을 수행하고 상기 선택입력을 수행하면, 상기 제1방향입력 또는 상기 제2방향입력에 대응하는 제1문자 또는 제2문자로부터 파생되는 파생문자가 입력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자판 배열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입력과 제2방향입력 중 하나의 방향입력을 수행하고 상기 선택 입력을 수행하여 파생문자를 입력 처리한 상태에서, 1회의 선택입력을 수행하면 상기 제1방향입력 또는 상기 제2방향입력에 대응하는 제1문자 또는 제2문자가 입력 처리되고, 2회의 선택입력을 추가로 수행하면 상기 제1문자 또는 상기 제2문자로부터 파생되는 파생문자가 재 차 입력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자판 배열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KR1020090070321A 2008-07-31 2009-07-31 원형 자판 배열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KR2010001416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5249 2008-07-31
KR20080075249 2008-07-31
KR20080075825 2008-08-01
KR1020080075825 2008-08-01
KR20080079137 2008-08-12
KR1020080079137 2008-08-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4163A true KR20100014163A (ko) 2010-02-10

Family

ID=41610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0321A KR20100014163A (ko) 2008-07-31 2009-07-31 원형 자판 배열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1529597A (ko)
KR (1) KR20100014163A (ko)
WO (1) WO2010013973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7689B1 (ko) * 2010-04-30 2012-06-12 김성림 문자표시장치의 문자 입력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0266A (ko) * 2006-07-26 2008-01-30 오의진 문자입력장치
KR100835337B1 (ko) * 2006-07-26 2008-06-04 오의진 문자입력장치 및 그 방법
WO2008066366A1 (en) * 2006-12-01 2008-06-05 Eui-Jin Oh Data input device
KR20080070110A (ko) * 2007-01-25 2008-07-30 오의진 문자입력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7689B1 (ko) * 2010-04-30 2012-06-12 김성림 문자표시장치의 문자 입력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529597A (ja) 2011-12-08
WO2010013973A3 (ko) 2010-06-10
WO2010013973A2 (ko) 2010-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09355B2 (ja) 文字入力装置
JP4940303B2 (ja) データ入力装置
KR100478020B1 (ko) 화면표시식키이입력장치
US828125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numerals for communication terminal
WO2009048240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 numerals for communication terminal
US20100265201A1 (en) Data input device
KR101077790B1 (ko) 데이터 입력장치
KR20080010267A (ko) 문자입력장치
KR100599210B1 (ko) 데이타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입력방법
KR20080095811A (ko) 문자입력장치
JP2010518530A (ja) 文字入力装置
CN102422621A (zh) 字母输入的方法与装置
KR20100014163A (ko) 원형 자판 배열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KR101136367B1 (ko) 입력장치 및 문자입력방법
JP2010520548A (ja) 文字入力装置
KR20080070110A (ko) 문자입력장치
KR200351906Y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키보드
US20110052296A1 (en) Keyboard
KR20090112197A (ko) 문자입력장치
KR20130025306A (ko) 데이터 입력장치
KR100852020B1 (ko) 문자입력방법
KR20080076200A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KR20080075669A (ko) 문자입력장치
KR20210091979A (ko) 공용모음버튼이 포함된 모바일장치용 한글 문자판과 이를 이용한 모음 입력 방법
KR20080076860A (ko) 데이터 입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