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7790B1 - 데이터 입력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 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7790B1
KR101077790B1 KR1020100076335A KR20100076335A KR101077790B1 KR 101077790 B1 KR101077790 B1 KR 101077790B1 KR 1020100076335 A KR1020100076335 A KR 1020100076335A KR 20100076335 A KR20100076335 A KR 20100076335A KR 101077790 B1 KR101077790 B1 KR 101077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direction input
data
combination
reference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6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1148A (ko
Inventor
오의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 코스모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 코스모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 코스모스
Publication of KR20100091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11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7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77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4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witches operable in different dire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하나의 입력부에서 중심위치 기준으로 방사상 일정 범위 이격된 입력반경 내에서 복수개의 방향 지시위치와 입력수단, 센서를 포함하는 다수의 감지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2개 이상의 방향입력을 연속적으로 수행하여 데이터를 입력시키는 데이터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의할 경우, 입력 공간이 좁은 휴대용 전자기기 입력부에서 기준위치로부터 방사상 방향으로 제1 내지 제6방향입력에 해당하는 무브먼트에 따라서 복수개의 무브먼트 조합을 순차적으로 행함으로써 입력 공간을 최소화 하면서도 원하는 문자를 일련의 입력 동작으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는 데이터 입력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데이터 입력장치 {Data Input Device}
본 발명은 데이터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용 전자기기의 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에서 구현되며, 하나의 입력부에서 중심위치 기준으로 방사상 일정 범위 이격된 입력반경 내에서 복수개의 방향지시위치와 방향입력이 수행되고, 센서를 포함하는 다수의 감지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2개 이상의 방향입력을 연속적으로 수행하여 데이터를 입력시키는 데이터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소프트웨어와 반도체 및 정보처리 기술의 발달로 휴대용 정보기기가 점점 소형화되는 추세이며, 이에 비례하여 각종 기기의 문자입력 방법 및 구성 또한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그런데, PC 또는 노트북에 사용되는 키보드와 같은 입력 장치는 휴대용 기기의 소형화에 매치시킬 수 없고, PDA에서 사용하는 터치스크린 방식이나 휴대폰에서 사용되는 키패드 방식은 입력속도가 느리고 오입력 사례가 많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정보기기에서 더욱 빠른 속도로 문자, 기호, 숫자 등을 입력하기 위하여는 1회의 입력 동작에 1개의 음소(문자)가 입력되는 1동작 1음소 입력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1동작 1음소 입력이 한글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24개 이상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버튼이나 입력키가 정보기기에 배열될 필요가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의 PC화에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에서도 문자입력 외에 각종 명령키를 손쉽게 입력할 수 있어야 하는데, 기존 정보기기에서는 각각의 입력키에 문자를 할당하고 손가락으로 두드리거나 눌러서 입력하는 방식으로, 입력키 배열 공간이 상대적으로 적은 휴대폰과 같은 개인 휴대용 단말기에는 손가락 크기의 입력키를 24개 이상 배열하는 것이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휴대폰의 경우에는 보통 12개 버튼으로 24자 이상의 한글 문자를 모두 입력하다보니 1개의 버튼에 다수개 문자를 중복 배열하는 것이 불가피하다. 따라서 하나의 문자(음소)를 입력하기 위하여 두 번 또는 세 번 반복하여 입력하는 반복 입력현상이 자주 발생하게 되므로, 그 만큼 입력 시간이 길어지고 오타가 많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한글 입력의 경우 '천지인'과 같이 소정 문자를 조합하여 입력하는 문자입력 방식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의 경우 기본이 되는 문자를 조합하여 원하는 문자를 생성하므로 문자를 할당하기 위한 입력 버튼의 수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원하는 문자가 조합될 때까지 입력버튼을 반복하여 눌러야 하므로 그만큼 입력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말아서 휴대할 수 있는 키보드나, 키보드 자판의 이미지를 바닥에 영사하고 그 위에서 손가락으로 키보드를 입력하는 것과 같은 동작을 취하면 손가락 위치를 감지하여 입력이 이루어지는 가상레이져 키보드 등의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류의 입력장치는 항상 휴대하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바닥에 놓인 상태에서만 입력이 가능하므로 이동 중에 손으로 들고 입력할 필요가 있는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에는 적용하기가 부적합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입력 공간이 좁은 휴대용 전자기기 입력부에서 기준위치로부터 방사상 방향으로 제1 내지 제6방향입력에 해당하는 무브먼트에 따라서 복수개의 무브먼트 조합을 순차적으로 행함으로써 입력 공간을 최소화 하면서도 원하는 문자를 일련의 입력 동작으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는 데이터 입력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방사상 방향으로 다수개 방향입력을 조합하여 3차원 그래픽 및 지도 작업 등 응용 가능한 다양한 분야로의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의 데이터 입력장치는, 입력 영역을 포함하는 입력부로서, 상기 입력 영역에서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 이격 배치된 복수의 제1 방향 지시 위치 중 어느 하나가 눌려지는 제1 방향입력, 상기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 이격 배치된 복수의 제2 방향 지시 위치 중 어느 하나로 가압되어 이동되는 제2 방향입력, 상기 입력 영역에 손가락이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 영역에서 상기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 이격 배치된 복수의 제3 방향 지시 위치들 중 어느 하나가 눌러지는 제3 방향입력, 상기 입력 영역에 손가락이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 이격 배치된 복수의 제4 방향 지시 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향해 기울어지는 제4 방향입력 중 하나 이상의 입력이 수행되는, 상기 입력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입력부; 상기 입력 영역 내에서의 손가락의 접촉 및 무브먼트 동작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데이터 리스트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입력부에서 인지된 상기 방향입력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의 데이터 리스트로부터 추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입력 영역에 손가락이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제2 방향 지시 위치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제5 방향입력, 및 상기 입력 영역에서 상기 기준 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 이격 배치된 상기 제4 방향 지시 위치를 향하여 가압의 정도를 증가시키는 제6 방향입력을 추가로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입력 공간이 좁은 휴대용 전자기기 입력부에서 기준위치로부터 방사상 방향으로 제1 내지 제6방향입력에 해당하는 무브먼트에 따라서 복수개의 무브먼트 조합을 순차적으로 행함으로써 입력 공간을 최소화 하면서도 원하는 문자를 일련의 입력 동작으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방사상 방향으로 다수개 방향입력을 조합하여 3차원 그래픽 및 지도 작업 등 응용 가능한 다양한 분야로의 활용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내지 제4 방향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2개의 방향입력에 대한 조합을 도시한 조합 예시도,
도 4는 2개의 방향입력의 조합에 따른 문자입력을 설명하는 예시도,
도 5는 3개의 방향입력에 대한 조합을 도시한 조합 예시도,
도 6은 전방향에 대한 입력의 확장 예시도,
도 7은 4개의 방향입력에 대한 조합 및 자판표시부 확장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8은 예측단어 활성화를 통한 문자 입력방법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내지 제4 방향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2개의 방향입력에 대한 조합을 도시한 조합 예시도이고, 도 4는 2개의 방향입력의 조합에 따른 문자입력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며, 도 5는 3개의 방향입력에 대한 조합을 도시한 조합 예시도이고, 도 6은 전방향에 대한 입력의 확장 예시도이며, 도 7은 4개의 방향입력에 대한 조합 및 자판표시부 확장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8은 예측단어 활성화를 통한 문자 입력방법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장치(10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일정 범위의 입력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입력영역 내에서 손가락의 접촉 및 다수의 무브먼트 동작에 따라서 설정된 데이터를 입력시키는 자판을 포함하는 입력부(200)와; 상기 접촉 및 무브먼트 동작에 대응하여 데이터를 생성시키기 위하여 데이터 리스트를 저장하는 메모리부(400)와; 상기 메모리부(400)로부터 할당되어 있는 위치의 데이터를 입력부(200)에서의 입력 신호에 따라서 데이터 리스트에서 추출하기 위한 제어부(300); 및 상기 추출된 데이터를 외부로 표출시키는 디스플레이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부(200)는 사용자의 손가락 동작이 가능한 소정 공간 영역인 입력영역부(210)와 상기 입력영역부(210)에 대응하여 실장되는 터치센서부(220)로 구성한다. 여기서 입력영역부(210)는 휴대 단말기에서 LCD 윈도우, 터치스크린, 터치패드 등 다양한 공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센서부(220)는 사용자의 접촉 및 터치 동작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압력센서, 광학센서, 열센서, 자기센서, 촉각센서 등 기타 응용 가능한 모든 타입의 센서 채용이 가능하며, 감지하는 방법은 커패시티브 터치 감지 기술, 레지스티브 터치 감지 기술, 초음파성 표면과 터치감지 기술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아울러, 필요에 따라서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따른 이동 경로에 따라서 기준위치를 변경하며 스크린 상에 생성되는 자판표시부(2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부(400)에서는 휴대 단말기 동작에 필요한 다수 프로그램(예컨데, 터치판별 프로그램, 모드변환 프로그램 등) 및 데이터 리스트 등을 저장한다.
상기 제어부(300)는 접촉판별부(310)와 모드변환부(320) 및 데이터인식부(330)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데이터 입력 과정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이 경우 상기 접촉판별부(310)는 상기 터치센서부(220)로부터 인지된 신호에 따라서 데이터 입력 준비를 하고, 상기 모드변환부(320)는 신호를 문자, 숫자, 기호 등 인식 가능한 데이터로 모드 변환하게 하고, 상기 데이터 인식부(330)에서 모드 변환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시키기 위한 준비 과정을 마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메모리부(400)와 제어부(300)는 상호 데이터를 포함한 다양한 정보 및 프로그램을 구동하게 하며, 상기 과정을 거친 데이터는 사용자가 인식 가능하게 화면에 표출된다.
이하, 상기한 구성을 갖는 입력장치(100)에서 터치 방식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 방법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 방식 데이터 입력 방법에 있어서 터치 동작은 기본적으로 6가지 방식을 사용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터치 방식 데이터 입력은 제1 내지 제6 방향입력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그 각각의 방향입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방향입력은 일정 범위의 입력반경 내에서 기준위치(P)로부터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된 복수의 제1 방향 지시위치(m1)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누르는 것이다(도 2의 (a) 참조). 다시 말해, 제1방향입력은 손가락으로 제1방향지시위치를 각각 누르는 것을 의미한다.
제2 방향입력은 상기 기준위치(P)를 중심으로 방사상 이격 배치된 복수의 제2 방향 지시위치(m2)들 중 어느 하나로 가압하며 이동하는 것이다(도 2의 (b) 참조). 이때 가압은 수평방향으로 이루어지며, 제2 방향입력은 이러한 가압과 함께 제2 방향 지시위치 중 어느 하나로 이동이 수반된다.
제3 방향입력은 손가락을 입력영역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기준위치(P)를 중심으로 방사상 이격 배치된 복수의 제3 방향 지시위치(m3)들 중 어느 하나를 누르는 것이다(도 2의 (c) 참조). 이러한 제3 방향입력이 제1 방향입력과 다른 점은, 제1방향입력은 각 제1 방향지시위치를 각각 누르는 방식으로 수행되지만, 제3 방향입력은 손가락을 입력영역에 접촉한 상태에서 제3 방향지시위치 중 어느 하나를 누르는 방식으로 수행된다는 점이다. 이때 제3방향입력에서 어느 제3방향지시위치를 누르는 지에 대한 파악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손가락의 접촉면적 또는 위치를 기준으로 파악하는 방식, 손가락의 최초 접촉 면적 상태에서 접촉면적 또는 위치가 소정의 방향지시위치로 변화하는 것을 파악하는 방식, 또는 손가락의 접촉면적 내에 누름 위치(제3방향지시위치)가 정해져 있어 그 누름 위치를 누름에 의해 입력방향을 파악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제4방향입력은 손가락을 입력영역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기준위치(P)를 중심으로 방사상 이격 배치된 복수의 제4 방향 지시위치(m4)들 중 어느 하나로 기울이는 것이다(도 2의 (d) 참조). 이때 제4방향입력이 어느 제4방향지시위치로 수행되는지 여부는 다양한 방법에 의해 파악될 수 있다. 즉, 손가락의 접촉면적 또는 위치를 기준으로 기울임 방향위치를 파악하거나, 손가락이 최초의 접촉면적 상태에서 접촉면적 또는 위치가 소정의 방향지시위치로 변화하거나, 또는 손가락의 접촉면적 내에 기울임 위치(제4방향지시위치)가 정해져 있어 그 기울임 위치로 기울임에 의해 입력방향을 파악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5 방향입력은 상기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 이격 배치된 복수의 제2방향지시위치로 이동하되, 입력영역에 손가락이 접촉한 상태에서 손가락의 위치가 제2방향지시위치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아울러, 제6방향입력은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 이격 배치된 복수의 제4방향지시위치로 대각선 방향(기울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제6방향입력은 제4방향지시위치를 향하여 가압의 정도를 점차로 증가시키는 형태의 입력을 의미한다.
여기에서는 기준위치(P)로부터 방사상 4방향으로 설정하였지만 반드시 4방향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준위치(P)로부터 2방향 내지 8방향으로 설정이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각 방향입력은 각 방향입력에 의한 동작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부(240)를 통하여 기설정된 데이터를 표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감지부는 압력센서, 촉각센서, 정전용량센서 등 일반적인 접촉센서로 구성될 수 있는데, 감지방식 및 소재에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에서 제1방향지시위치(m1)는 상기 제1방향입력에 의한 누름 동작이 실행될 수 있는 방사상 입력영역에서의 입력 지점을 의미한다.
제2방향지시위치(m2)는 상기 제2방향입력에 의한 가압이동 또는 제5방향입력에 의한 접촉이동 동작이 실행될 수 있는 방사상 입력영역에서의 입력 지점을 의미한다.
제3방향지시위치(m3)는 상기 제3방향입력에 의한 접촉누름입력 동작이 실행될 수 있는 방사상 입력영역에서의 입력 지점을 의미한다.
제4방향지시위치(m4)는 상기 제4방향입력에 의한 접촉기울임 또는 제6방향입력에 의한 가압기울임 동작이 실행될 수 있는 방사상 입력영역에서의 입력 지점을 의미한다.
이때, 방사상 이격된 입력영역에 있어서 방사상 4방향이면 제1 내지 제4방향 지시위치(m1 내지 m4)는 각각 4개로 구성되며, 방사상 6방향 또는 8방향이면 각각 6개 또는 8개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상기 설명된 제1 내지 제4방향입력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다양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 실시예1 : 2개의 방향입력의 조합 )
상기 제1 내지 제6방향입력 중 선택된 두 가지 방향입력의 조합은 15가지로 될 수 있다. 즉, 상기 15가지 조합을 상세히 언급하면, 제1방향입력과 제2방향입력의 조합, 제1방향입력과 제3방향입력의 조합, 제1방향입력과 제4방향입력의 조합, 제1방향입력과 제5방향입력의 조합, 제1방향입력과 제6방향입력의 조합, 제2방향입력과 제3방향입력의 조합, 제2방향입력과 제4방향입력의 조합, 제2방향입력과 제5방향입력의 조합, 제2방향입력과 제6방향입력의 조합, 제3방향입력과 제4방향입력의 조합, 제3방향입력과 제5방향입력의 조합, 제3방향입력과 제6방향입력의 조합, 제4방향입력과 제5방향입력의 조합, 제4방향입력과 제6방향입력의 조합, 제5방향입력과 제6방향입력의 조합이다.
그리고 이 중 몇가지 조합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3에는, 제1방향입력에 따른 제1방향지시위치 중 어느 하나를 누르는 동작 후 제2방향입력에 따른 가압하여 이동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도 3의 (a) 참조), 제2방향입력에 따른 가압하여 이동하는 동작을 수행한 후 제3방향입력에 따른 접촉누름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도 3의 (b) 참조), 제2방향입력에 따른 가압하여 이동하는 동작을 수행한 후 제4방향입력에 따른 접촉기울임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도 3의 (c) 참조), 제1방향입력에 따른 제1방향지시위치 중 어느 하나를 누르는 동작 후 제3방향입력에 따른 접촉누름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도 3의 (d) 참조), 제1방향입력에 따른 누르는 동작 후 제4방향입력에 따른 접촉기울임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도 3의 (e) 참조), 제3방향입력에 따른 접촉누름 동작 후 제4방향입력에 따른 접촉기울임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도 3의 (f) 참조)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조합은 이 외에도 9가지가 더 있을 수 있으며, 손가락 동작이나 접촉영역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한 방법과 유사한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를 바탕으로 그 기술 영역 내의 모든 내용을 커버함은 자명하다. 이 경우, 상기 방향입력은 순차적으로 일어나지만 입력영역 내에서 입력 동작을 변경하여 연속적으로 입력할 수도 있으며, 입력영역의 확장을 통하여 연속적으로 입력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기준위치가 정해져 있지 않고, 손가락을 입력영역에 위치하는 지점을 기준위치로 하여 각 방향입력의 방향위치가 파악될 수도 있다. 이때 각 방향입력을 수행하면 기준위치가 각 방향입력을 따라 이동하여 입력이 종료된 시점 또는 새로 시작되는 시점을 기준으로 방향위치를 파악하므로, 연속적인 입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2: 2개의 방향입력에 대한 조합의 확장)
이 경우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실시되는 2개의 방향입력에 대한 조합에서 입력영역을 확장하는 것으로, 이 경우에는 기준위치(P)에서 방사상 방향으로의 특정 방향입력에 따른 손가락의 이동 위치가 다시 기준위치가 되면서 다시 방향입력 중 하나를 방사상 방향으로 확대하여 실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방향입력은 총 6가지로 이루어지므로, 2개의 방향입력의 조합에 의해서는 36가지의 경우의 수가 발생하게 된다.
(실시예 3: 2개의 방향입력에 대한 조합에서 자판표시부 형성)
도 4에서와 같이 먼저 제2방향입력에 따른 가압이동을 하면 자판표시부가 따라가게 되는데, 이는 표시 영역의 확장으로 일련의 연속 데이터 입력 동작의 수행을 수월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1동작으로 2음소 입력이 보다 용이해 진다.
예를 들면, 도 4에서 B를 연속적으로 입력하기 위해서는 12시 방향으로 가압 이동(제2방향입력)을 하고, 이어서 이동된 위치를 기준위치로 하여 다시 12시 방향 가압이동(제2방향입력)을 하면 입력이 완료된다. 이때 다시 C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3시 방향으로 가압이동(제2방향입력)을 수행하면 된다. 도 4에서는 이러한 손가락 움직임 궤적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각 방향입력이 수행되는 방향으로 자판표시부가 따라가게 할 수 있다. 또는 특정 방향입력이 종료된 시점 또는 새로 시작되는 시점에 다시 자판표시부가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판표시부에 표시되는 각 방향입력에 의해 입력가능한 데이터를 파악하여 연속적으로 방향입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예시도면에서와 같이 제1방향입력과 제2방향입력에 의해 입력가능한 데이터가 표시된 자판표시부가 제1방향입력 또는 제2방향입력을 기준으로 모두 형성되어 제1방향입력 또는 제2방향입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 경우 외에도 (제1방향입력, 제3방향입력) 또는 (제2방향입력, 제4방향입력), (제2방향입력, 제5방향입력) 등의 조합으로 구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 경우, 각 방향입력은 순차적으로 일어나지만 입력영역 내에서 입력 동작을 변경하여 연속적으로 입력할 수도 있으며, 입력영역의 확장을 통하여 연속적으로 입력할 수도 있을 것이다.
(실시예 4: 터치 동작의 확장 : 한 동작이 실시되고 다른 동작이 연속적으로 되는 실시)
도 5는 제1 내지 제4방향입력 중 3가지 방향입력을 사용하여 데이터 입력할 수 있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이 경우는 특정 방향입력 후 다시 그 방향입력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복수개의 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제1 내지 제6방향입력 동작을 실행하여 제1 움직임을 마친 후, 다른 방향지시위치들 중 또 다른 하나를 선택하여 제1 내지 제6방향입력 동작을 실행하여 제2 움직임을 마치며, 같은 방법으로 이후 입력 동작을 수행하게 할 수 있는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
즉,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방향입력→제2방향입력→제3방향입력, 제2방향입력→제3방향입력→제1방향입력, 제3방향입력→제1방향입력→제2방향입력과 같이 다양한 조합을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도 5의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를 입력할 수도 있다.
이때, 입력 경로를 따라 입력되는 방식의 경우의 수에 대응되는 자판표시부가 형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입력시 손가락의 방향으로 기준위치가 변경되기 때문에 입력 데이터 확장 과정에서 방사상 입력 범위 지름을 기준으로 반지름 거리만큼의 영역 확장이 일어나므로 상대적으로 입력 공간을 줄일 수 있게 되어, 소형화되는 휴대용 전자기기에서의 데이터 입력이 용이하다.
또한, 상기 방향입력은 순차적으로 일어나지만 입력영역 내에서 입력 동작을 변경하여 연속적으로 입력할 수도 있으며, 입력영역의 확장을 통하여 연속적으로 입력할 수도 있을 것이다.
(실시예 5: 터치 동작의 확장 :입력 방향의 확장)
도 6에서와 같이, 기준위치로부터 제1 내지 제6방향입력을 적용하여 연속적으로 데이터 입력시 생기는 경우의 수는 매우 다양하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 입장에서는 원하는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입력하는 작업이 더욱 용이하게 된다.
(실시예 6: 터치 동작의 확장 - 다단 입력)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방향입력에 따른 경우의 수의 확장은 가능하지만, 자판 확장은 제한이 있다. 이에 따라서, 자판 확장 실시예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방사상 4방향, 즉 제1 내지 제4방향지시위치가 각각의 방향에서 하나씩 설정되는 경우에는, 상기 방향지시위치에 대응하는 4가지 입력 방식에 따라 자판이 배열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 입력 가능한 음소는 16음소로 제한되므로, 입력 방향을 방사상 6방향 또는 8방향으로 확장하게 되면 24음소 또는 32음소로 확장이 가능하므로 영문 또는 국문 텍스트 입력이 가능해지게 된다.
또한, 다단 입력 방법의 실시예로써, 이동 거리의 변화, 누름 압력의 차이 등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입력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기존 입력 방식에서 12개 혹은 16개의 문자판에서 24개 혹은 32개의 문자판으로 확장이 가능하다. 이 경우, 전체를 다단으로 할 수도 있지만 3개의 동작 조합시 3개의 동작 중 어느 하나(이동 또는 누름)를 수행한 후 각 방향당 4개로 만들어 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 필요에 따라서 방사 배열의 확장 또는 입력 방식의 차이 등의 방법을 적용하게 되면 사용자 입력시 필요한 음소 또는 기호 확보가 가능해진다.
또는 입력 자판을 양벌(2개)로 구비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한글이나 영문으로 별개의 자판표시부를 형성하게 하여 텍스트 입력이 가능할 것이다.
(실시예 7: 예측단어 활성화를 통한 입력)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로써 자판을 이용한 예측단어 활성화를 통하여 편리하게 사용자가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기준위치(P)로부터 상방향 이동하면 기설정된 자판의 D가 입력되고, 이를 기준위치로 하여 방사상 방향으로 각각 2개 내지 4개의 단어가 배열되게 하면 8개 내지 16개 단어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단어는 빈도수가 높은 단어를 중심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는 방사상 방향으로 각각 3개가 배열되는 경우를 설명하고 있다. 즉 제2방향지시위치 중 12시 방향을 선택하여 제2방향입력인 가압이동을 수행하게 하여 알파벳 D를 선택(①)하게 하면 D로 시작하는 단어가 방사상 4방향으로 영어 단어가 자판표시부에 형성되게 된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가 제1 내지 제3방향입력 중 어느 하나를 더 진행하게 되면, 즉 도 8에서 12시 방향으로 제1방향입력인 누름입력 동작을 수행(②)하면 영단어 DO를 선택하게 된다. DO와 같은 동사 선택의 경우에는 진행형, 과거형, 비교형 등의 선택이 가능하도록 하고, 명사의 경우에는 유의어 또는 동의어 등을 추가로 선택할 수 있는 선택 단어의 확장 과정도 가능할 것이다. 즉, 상기 ② 입력동작 수행 후, 12시 방향으로 제2방향입력인 가압이동 동작을 수행(③)하면 DON'T를 선택할 수 있고, 12시 방향으로 제1방향입력인 누름동작 수행(③) 시에는 DOES 입력이 가능할 것이다.
이 경우에는 사용자가 미리 사용 빈도수가 높은 단어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예시하지는 않았지만 영문 알파벳이 아닌 한글 텍스트 입력시에도 유사하게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실시예 8: 3차원 그래픽 또는 매핑(mapping) 작업으로의 확장)
상기한 복수개의 방향지시위치들과 복수개의 방향입력을 활용하면 문자와 같은 데이터 입력작업 뿐만이 아니라 3차원 그래픽 또는 이를 이용한 지도작성 또는 게임시 게임지시 버튼으로의 활용 등 다양한 응용 작업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 9: 마우스 포인터 또는 캐릭터 이동에 적용)
만일 터치패드와 같은 입력영역에 기준위치가 정해져 있는 경우, 접촉 누름에 따른 제3방향입력과 가압이동에 따른 제2방향입력으로 데이터를 입력하면서, 접촉이동에 따른 제5방향입력은 마우스의 포인터 이동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감지부는 제5방향입력을 감지하면 제5방향입력에 의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대신에 제5방향입력이 수행되는 방향을 마우스의 이동방향으로서 파악한다. 이때 제5방향입력을 수행하는 중에 좌측 또는 우측으로 접촉누름에 의한 제3방향입력을 수행하면, 마우스의 좌버튼 또는 우버튼이 선택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기준위치가 정해져 있지 않은 경우에도, 상기와 유사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기준위치가 정해져 있지 않아 입력영역의 임의의 지점에서 데이터 입력을 수행하다가 제5방향입력을 통해 마우스의 포인터 이동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5방향입력을 통해서는 캐릭터의 이동이나 드래그 동작 등도 수행 가능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동작은 촉각센서 등으로 이루어지는 터치패드에서도 수행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는 제3방향입력, 제2방향입력 및 제5방향입력으로 마우스 포인터 이동, 캐릭터 이동 및 드래드 등을 수행하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다른 방향입력을 활용하여 상기와 같은 동작이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보다 쉽게 설명하고자 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한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Claims (9)

  1. 터치 방식의 데이터 입력장치에 있어서,
    입력 영역을 포함하는 입력부로서, 상기 입력 영역에서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 이격 배치된 복수의 제1 방향 지시 위치 중 어느 하나가 눌려지는 제1 방향입력, 상기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 이격 배치된 복수의 제2 방향 지시 위치 중 어느 하나로 가압되어 이동되는 제2 방향입력, 상기 입력 영역에 손가락이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 영역에서 상기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 이격 배치된 복수의 제3 방향 지시 위치들 중 어느 하나가 눌러지는 제3 방향입력, 상기 입력 영역에 손가락이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 이격 배치된 복수의 제4 방향 지시 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향해 기울어지는 제4 방향입력 중 하나 이상의 입력이 수행되는, 상기 입력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입력부;
    상기 입력 영역 내에서의 손가락의 접촉 및 무브먼트 동작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데이터 리스트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입력부에서 인지된 상기 방향입력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의 데이터 리스트로부터 추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입력 영역에 손가락이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제2 방향 지시 위치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제5 방향입력, 및 상기 입력 영역에서 상기 기준 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 이격 배치된 상기 제4 방향 지시 위치를 향하여 가압의 정도를 증가시키는 제6 방향입력을 추가로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방향입력과 상기 제2 방향입력의 조합, 상기 제1 방향입력과 상기 제3 방향입력의 조합, 상기 제1 방향입력과 상기 제4 방향입력의 조합, 상기 제1 방향입력과 상기 제5 방향입력의 조합, 상기 제1 방향입력과 상기 제6 방향입력의 조합, 상기 제2 방향입력과 상기 제3 방향입력의 조합, 상기 제2 방향입력과 상기 제4 방향입력의 조합, 상기 제2 방향입력과 상기 제5 방향입력의 조합, 상기 제2 방향입력과 상기 제6 방향입력의 조합, 상기 제3 방향입력과 상기 제4 방향입력의 조합, 상기 제3 방향입력과 상기 제5 방향입력의 조합, 상기 제3 방향입력과 상기 제6 방향입력의 조합, 상기 제4 방향입력과 상기 제5 방향입력의 조합, 상기 제4 방향입력과 상기 제6 방향입력의 조합, 상기 제5 방향입력과 상기 제6 방향입력의 조합에 따른 데이터 입력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손가락의 접촉 및 무브먼트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부; 및
    상기 방향입력에 따라 입력될 데이터를 표시하는 자판 표시부
    를 추가로 포함하는 데이터 입력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2 가지 이상의 방향입력이 조합된 데이터 입력을 처리할 때, 먼저 입력된 방향입력에 따라 이동한 손가락의 위치를 다음에 입력되는 방향입력의 기준 위치로 다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2 가지 이상의 방향입력이 조합된 데이터 입력을 처리할 때, 먼저 입력된 방향입력에 따라 이동한 손가락의 위치를 다음에 입력되는 방향입력의 기준 위치로 다시 설정하고,
    상기 자판 표시부는,
    상기 방향 입력의 기준 위치가 다시 설정되면, 상기 다시 설정된 기준 위치에서의 방향 입력에 따른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다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판 표시부는,
    상기 손가락의 이동 거리 또는 누름 압력 차이에 의하여 다단 입력이 가능하도록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판 표시부는,
    상기 제2 방향입력에 따른 손가락의 가압 이동을 따라 함께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판 표시부는,
    상기 제1 방향입력 내지 제4 방향입력 중 하나의 방향 입력을 통해 문자가 입력되면, 상기 기준 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 이격 배치된 공간에 상기 입력된 문자를 포함하는 단어가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판 표시부는,
    양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
KR1020100076335A 2008-03-06 2010-08-09 데이터 입력장치 KR1010777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1174 2008-03-06
KR20080021174 2008-03-06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9507A Division KR101008581B1 (ko) 2008-03-06 2009-03-06 데이터 입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1148A KR20100091148A (ko) 2010-08-18
KR101077790B1 true KR101077790B1 (ko) 2011-11-07

Family

ID=4105648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9507A KR101008581B1 (ko) 2008-03-06 2009-03-06 데이터 입력장치
KR1020100076335A KR101077790B1 (ko) 2008-03-06 2010-08-09 데이터 입력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9507A KR101008581B1 (ko) 2008-03-06 2009-03-06 데이터 입력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10001718A1 (ko)
EP (1) EP2251770A2 (ko)
JP (1) JP2011515740A (ko)
KR (2) KR101008581B1 (ko)
CN (1) CN101960411A (ko)
WO (1) WO200911076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5921B1 (ko) * 2010-06-22 2011-09-19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터치센서를 이용한 포인팅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포인팅 장치
KR101063100B1 (ko) 2010-07-06 2011-09-07 이주협 데이터 입력장치
KR101739054B1 (ko) * 2010-09-08 2017-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상의 움직임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20068259A (ko) * 2010-12-17 2012-06-27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입력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KR101364151B1 (ko) * 2011-08-17 2014-02-17 이주협 복수 기능의 마우스 입력장치
KR101364120B1 (ko) * 2011-08-17 2014-02-19 이주협 데이터 입력장치 및 그 방법
US9710130B2 (en) * 2013-06-12 2017-07-1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User focus controlled directional user input
KR101422079B1 (ko) 2013-07-19 2014-07-30 이주협 데이터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KR102088966B1 (ko) 2013-12-27 2020-03-13 주식회사 케이티 가상화 터치 포인팅 영역에 기반하여 컴퓨터화 전자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터치 패널 운영 장치 및 터치 패널 운영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5632A (ja) 2004-03-23 2005-10-06 Fujitsu Component Ltd 入力パネル及び入力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7876B2 (ja) * 1990-09-18 1995-12-18 富士通株式会社 ポインティング制御装置
JPH07104913A (ja) * 1993-10-07 1995-04-21 Tec Corp 信号入力装置
JPH09134248A (ja) * 1995-11-08 1997-05-20 Toshiba Corp ポインティング入力装置およびこの入力装置を備えた電子機器
US7151525B2 (en) * 2000-11-14 2006-12-19 Keybowl,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data signals
JP4768143B2 (ja) * 2001-03-26 2011-09-07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入出力装置、情報入出力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466874B1 (ko) * 2004-06-18 2005-01-17 박노수 휴대단말기용 입력장치 및 그 입력방법
US7992102B1 (en) * 2007-08-03 2011-08-02 Incandescent Inc. Graphical user interface with circumferentially displayed search results
KR100835337B1 (ko) * 2006-07-26 2008-06-04 오의진 문자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20080010266A (ko) * 2006-07-26 2008-01-30 오의진 문자입력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5632A (ja) 2004-03-23 2005-10-06 Fujitsu Component Ltd 入力パネル及び入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110769A2 (ko) 2009-09-11
KR101008581B1 (ko) 2011-01-17
EP2251770A2 (en) 2010-11-17
CN101960411A (zh) 2011-01-26
WO2009110769A4 (ko) 2010-07-01
WO2009110769A3 (ko) 2009-12-30
JP2011515740A (ja) 2011-05-19
KR20090096377A (ko) 2009-09-10
KR20100091148A (ko) 2010-08-18
US20110001718A1 (en) 2011-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7790B1 (ko) 데이터 입력장치
AU2007309911B2 (en) Input device
US20100265201A1 (en) Data input device
JP2011516948A (ja) データ入力装置
KR20080010364A (ko) 문자입력장치
KR20080050351A (ko) 데이터입력장치
KR20080095811A (ko) 문자입력장치
EP2592530A2 (en) Data input device
US20100020012A1 (en) Character input device
KR100994362B1 (ko) 데이터 입력장치
KR20080082551A (ko) 문자입력장치
KR20130025306A (ko) 데이터 입력장치
US20100164876A1 (en) Data input device
KR20080076200A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KR20080070110A (ko) 문자입력장치
JP2011529597A (ja) 円形キーパッドの配列を利用した文字入力装置
KR20090125008A (ko) 데이터 입력장치
KR20080075669A (ko) 문자입력장치
KR20080099768A (ko) 데이터입력장치
KR20090112196A (ko) 문자입력장치
KR20090037651A (ko) 데이터 입력장치
KR20050030658A (ko) 휴대용 컴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