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2196A - 문자입력장치 - Google Patents

문자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2196A
KR20090112196A KR1020080037937A KR20080037937A KR20090112196A KR 20090112196 A KR20090112196 A KR 20090112196A KR 1020080037937 A KR1020080037937 A KR 1020080037937A KR 20080037937 A KR20080037937 A KR 20080037937A KR 20090112196 A KR20090112196 A KR 200901121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direction input
unit
input unit
charac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7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의진
Original Assignee
오의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의진 filed Critical 오의진
Priority to KR1020080037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12196A/ko
Publication of KR20090112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21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05Lever arrangements for operating keyboard cursor control keys in a joystick-like mann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자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된 복수의 제1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1방향입력이 수행가능하게 마련된 제1방향입력부; 상기 제1방향입력부의 외부에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2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2방향입력이 수행가능하게 마련된 제2방향입력부; 상기 제1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제1방향입력감지부; 상기 각 제2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제2방향입력감지부; 및 상기 제1방향입력감지부 및 제2방향입력감지부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문자코드를 추출하여 입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방향입력이 가능한 제1방향입력부의 외부에 복수의 제2방향입력부를 마련함으로써 문자입력에 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하면서도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각 문자를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다.
문자입력장치

Description

문자입력장치{CHARACTER INPUT DEVICE}
본 발명은 문자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방향입력이 가능한 제1방향입력부의 외부에 복수의 제2방향입력부를 마련함으로써 문자입력에 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하면서도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각 문자를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는 문자입력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소프트웨어와 반도체기술 및 정보처리기술의 발달로 정보기기가 점점 소형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정보기기에서의 문자입력량과 중요도가 날로 커지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정보기기에서 각종 문자나 명령어 입력에 많은 문제점이 드러나고 있다. 예컨대, PC(Personal Computer) 또는 노트북(NoteBook)에 사용되는 키보드와 같은 입력장치는 크기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어 이들 정보기기를 소형화하는데 어려움이 따르고, PDA(Personal Data Assistant)에서 사용하는 터치스크린 방식이나 휴대폰에서 사용하는 키패드 방식에서는 입력속도가 느리고 잘못 입력되는 경우가 많아 불편한 점이 있다.
전술한 PC, 노트북, PDA 또는 휴대폰 등의 정보기기에서 더욱 빠른 속도로 문자, 숫자 또는 기호 등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1회의 입력동작에 1개의 음소(문자) 가 입력되는 소위 1타 1 음소입력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고, 이러한 1타 1 음소입력이 한글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24개 이상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버튼이나 입력 키가 정보기기에 배열될 필요가 있다. 입력의 대상이 되는 언어가 영어나 일본어 또는 기타 외국어인 경우에는 한글의 경우보다 더 많은 버튼이나 입력 키를 증설해야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각종 정보기기에서 사용하는 종래의 입력장치는 각각의 입력 키에 문자를 할당하고 손가락으로 두드리거나 눌러서 입력하는 방식이므로 입력 키의 배열면적이 좁은 휴대폰과 같은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에는 손가락 크기의 입력 키를 24개 이상 배열하는 것이 어렵다.
이것이 지금까지 키보드가 소형화되기 어려운 이유였으며, 휴대폰의 경우에는 단지 12개의 버튼으로 24자 이상의 한글 문자를 모두 입력하다 보니 1개의 버튼에 다수개의 문자를 중복 배열하는 것이 불가피하고 이로 인해 하나의 문자(음소)를 입력하기 위해 두 번, 세 번 반복하여 입력하는 반복입력현상이 자주 발생하였다. 따라서, 그만큼 입력이 느려지고 불편한 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천지인과 같이 소정의 문자를 조합하여 입력하는 문자입력방식이 제안되기도 했지만, 이 방식에 의해서도 반복입력현상은 해소되지 못하였다.
또한, 둘둘 말아서 휴대할 수 있는 키보드나, 키보드 자판의 이미지를 바닥에 영사하고 그 위에서 손가락으로 키보드를 입력하는 것과 같은 동작을 취하면 손가락의 위치를 감지하여 입력이 이루어지는 가상레이저 키보드 등의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류의 입력장치는 항상 휴대하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바닥에 놓인 상태에서만 입력이 가능하므로 이동 중에 손으로 들고 입력할 필요가 있는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에는 적용하기가 부적합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문자입력에 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하면서도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각 문자를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는 문자입력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PDA, 노트북,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 등 각종 휴대용 전자기기에서 제1방향입력부와 제2방향입력부를 조작하여 문자, 숫자, 기호 등 키보드자판의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문자입력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좁은 공간에 최대의 데이터 배열을 가능하도록 하여 1신호당 1개씩의 완전한 형태의 문자를 배열할 수 있는 문자입력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손가락 하나로 제1방향입력부와 제2방향입력부에 대한 입력을 함께 수행할 있는 문자입력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은,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된 복수의 제1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1방향입력이 수행가능하게 마련된 제1방향입력부; 상기 제1방향입력부의 외부에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2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2방향입력이 수행가능하게 마련된 제2방향입력부; 상기 제1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제1방향입력감지부; 상기 각 제2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제2방향입력감지부; 및 상기 제1방향입력감지부 및 제2방향입력감지부의 감 지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문자코드를 추출하여 입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문자입력장치를 통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방향입력부 중 하나 이상은 2단 이상의 다단입력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방향입력부는 양벌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방향입력부 전체가 상하방향으로 승강 또는 상기 제1방향입력부에 마련된 중앙입력키를 선택하는 것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수행되는 중앙입력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입력을 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또는 제2방향입력을 수행하는 경우, 이에 할당된 새로운 문자코드가 입력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또는 제2방향입력을 한 상태에서 상기 중앙입력을 수행하는 경우, 이에 할당된 새로운 문자코드가 입력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방향입력과 상기 제2방향입력을 중복하여 수행하는 경우, 상기 중복 수행에 할당된 문자코드가 입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복 수행에 할당된 문자코드는, 상기 제1 및 제2방향입력 순서에 따라 서로 상이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방향입력부는 상기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제1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향하여 수평이동하여 상기 제1방향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방향입력부는 하단이 상기 기준위치에 지지된 스틱형상으로 마련되어 상단이 상기 복수의 제1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로 기울어지며 상기 제1방 향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방향입력부는 원판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1방향입력부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1방향입력부가 상기 각 제1방향지시위치들을 향하여 기울임이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방향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방향입력부에는 상기 각 제1방향지시위치에 대응하여 복수의 방향누름키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방향입력부, 상기 제2방향입력부 또는 중앙입력 중 하나 이상은 2단 이상의 다단입력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방향입력부, 제2방향입력부 또는 중앙입력 중 하나 이상에는 손가락의 접촉 또는 근접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기능이 추가될 수 있다.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 또는 제2방향지시위치 중 어느 하나에는 문자가 할당되며, 다른 하나에는 기호, 숫자 또는 엔터, 스페이스, 취소, 모드전환 등의 기능이 할당될 수 있다.
복수의 제2방향입력부는 상호 연결되어 일체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방향입력부 및 복수의 제2방향입력부는 하나의 손가락으로 상기 제1방향입력과 제2방향입력 중 하나의 입력을 수행한 상태에서 상기 손가락을 떼지 않고 다른 하나의 입력을 수행 가능할 수 있도록 상호 근접하여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제2방향입력부는 상호 일체로 연결된 링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의 제2방향입력부는 상호 일체로 연결된 다각형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중앙입력키, 제1방향입력부 및 제2방향입력부는 돌출높이가 순차적으로 낮아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방향입력부의 제1방향입력 및 제2방향입력부를 이용하여, 마우스(Mouse) 또는 조이스틱(JoyStick)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마우스 또는 조이스틱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제1방향입력부 또는 제2방향입력부 중 어느 하나에 의해서는 마우스 포인터 또는 캐릭터의 이동이 수행되고, 다른 하나에 의해서는 마우스 좌우버튼 또는 캐릭터의 조작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2방향입력부는 이동기능을 수행할 때, 미끄러지면서 연속조작이 가능하도록 상호 연결된 일체형의 링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는, 상기 중앙입력키에 마련되어 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하는 중앙터치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앙터치감지부에서 손가락의 접촉이 소정시간 이상 감지되는 경우, 상기 중앙터치감지부의 감지결과를 무시하여 상기 중앙터치감지부에 대한 터치입력이 수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입력키에 마련되어 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하는 중앙터치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앙터치감지부에서 손가락의 접촉에 의한 중앙터치 감지신호와 상기 제1방향입력의 수행에 따른 상기 제1방향입력감지부의 감지신호가 동시에 수신되는 경우와, 상기 제1방향입력감지부의 감지신호만이 수신 되는 경우를 구별하여 서로 다른 문자를 입력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에 의하면, 방향입력이 가능한 제1방향입력부의 외부에 복수의 제2방향입력부를 마련함으로써 문자입력에 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하면서도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각 문자를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입력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어 제품을 소형화, 슬림화할 수 있으므로 PDA, 노트북,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 등 각종 휴대용 전자기기에의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좁은 공간에 최대의 데이터 배열을 가능하도록 하여 1신호당 1개씩의 완전한 형태의 문자를 배열할 수 있음으로써, 키보드와 같이 1동작 1음소 입력이 가능하여 상당히 빠르고 편한 문자입력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하면, 손가락 하나로 제1방향입력부와 제2방향입력부에 대한 입력을 함께 수행할 있어, 보다 신속한 입력이 가능하고, 데스크탑 PC에서 수행하는 키보드나 마우스의 기능을 각종 휴대용 전자기기에서도 하나의 손가락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여러 제1방향입력부(10)들 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실시예로서, 본원 출원인이 2006년 12월 1일자로 출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6-0120368호 '문자 및 데이터 입력장치 및 그 방법'에 개시된 모든 형태의 제1방향입력부(10)에 적용이 가능함을 미리 밝혀둔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1)는, 기준위치(S)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된 복수의 제1방향지시위치(P11, P12, P13, P14, …)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1방향입력이 수행가능하게 마련된 제1방향입력부(10); 상기 제1방향입력부(10)의 외부에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2방향지시위치(P21, P22, P23, P24, …)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2방향입력이 수행가능하게 마련된 제2방향입력부(50); 상기 제1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제1방향입력감지부(61); 상기 제2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제2방향입력감지부(65); 및 제1방향입력감지부(61)와 제2방향입력감지부(65)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방향지시위치(P1, P2)에 할당된 문자코드를 추출하여 입력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1)는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케이스(110) 일측에 마련될 수 있으며, 케이스(110)의 타측에는 문자입력장치(1)에 의해서 입력된 각종 문자, 숫자, 기호 또는 명령 등이 표시되는 표시부(130)가 마련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장치(1)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1방향입력부(10)는 케이스(110)에 마련된 소정의 입력반경에서 각 제1방향지시위치(P11, P12, P13, P14, …)를 향하여 수평이동이 가능하게 마련된다.
제1방향입력부(10)는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마련될 수 있거나, 또는 사각형 또는 중앙에 공동부가 형성된 링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제1방향지시위치(P11, P12, P13, P14, …)는 제1방향입력부(10)의 기준위치(S, 도 3 참조)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1방향지시위치(P11, P12, P13, P14, …)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8방향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4방향으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12방향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물론, 그 이외에 다양한 수로 마련될 수도 있다.
각 제1방향지시위치(P11, P12, P13, P14, …)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문자가 할당된다. 즉, 제1방향지시위치(P11)에는 한글 모음 'ㅏ'가 배치되며, 제1방향지시위치(P16)에는 한글 모음 'ㅛ'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할당되는 상기 문자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으며, 한글 자음이 배치될 수도 있고, 영어 자음 또는 모음이 배치될 수도 있으며, 그 이외에 숫자, 기호나 엔터, 스페이스, 취소 등의 기능이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제1방향입력부(10)가 2단 이상의 다단입력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경우에는 각 제1방향지시위치(P11, P12, P13, P14, …)에 2이상의 문자가 중복하여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방향입력부(10)의 이동거리의 차이에 따라 2단의 다단입력이 가능한 경우에는, 각 제1방향지시위치(P11, P12, P13, P14, …)에는 서로 다른 2개의 문자가 중복하여 할당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방향입력부(10)의 다단입력은 예를 들어, 제1방향입력부(10)의 이동경로 상에 기준위치(S)로부터 거리를 달리하여 순차적으로 2개의 제1방향입력감지부(61)를 마련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제1방향입력감지부(61)를 보조 입력장치인 마우스에 사용하는 통상의 광센서로 마련함으로써, 제1방향입력부(10)가 기준위치(S)로부터 이동한 변위량에 따라 다단입력을 구별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다단입력은 변위량이 아닌, 제1방향입력부(10)에 가해지는 압력의 값을 구분하여 그 압력의 차이로 수행될 수도 있다.
한편, 제1방향입력부(10)의 외주연을 따라 상호 소정의 이격거리를 유지하며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된 복수의 제2방향지시위치(P21, P22, P23, P24, …)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2방향입력이 수행가능하게 마련된 복수의 제2방향입력부(50)가 마련되어 있다.
제2방향입력부(50)의 제2방향지시위치(P21, P22, P23, P24, …)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수로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각 제2방향지시위치(P21, P22, P23, P24, …)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문자가 할당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제2방향지시위치(P21)에는 한글 자음 'ㄱ'이 배치되며, 다른 하나의 제2방향지시위치(P22)에는 한글 자음 'ㄴ'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2방향입력부(50)는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버튼 방식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터치방식으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누름압력을 감지하는 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각 예에서 2단 이상의 다단입력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도 있으며, 전술한 2종 이상의 방식을 혼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2의 제2방향입력부(50)의 제2방향지시위치(P21)에서 제2방향입력감지부(65)를 터치센서와 누름접촉센서를 모두 사용하는 경우, 손가락의 터치에 의해서는 'ㄱ'이 입력되고, 누름에 의해서는 'ㅈ'이 입력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누름거리의 차이에 따라 2단입력으로 마련하는 경우에는, 누름 1단에 의해서는 'ㄱ'이, 누름 2단에 의해서는 'ㅈ'이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1방향지시위치(P11, P12, P13, P14, …)의 수와 제2방향지시위치(P21, P22, P23, P24, …)의 수는 상호 동일하게 마련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르게 마련될 수 있다.
한편, 각 제1방향지시위치(P11, P12, P13, P14, …)와 제2방향지시위치(P21, P22, P23, P24, …)에는 다양한 방법으로 문자가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방향지시위치(P11, P12, P13, P14, …)에는 한글 모음을 할당하고, 제2방향지시위치(P21, P22, P23, P24, …)에는 한글 자음을 할당하여, 제1방향입력부(10)의 제1방향입력에 의해서는 한글모음을, 제2방향입력부(50)의 제2방향입력에 의해서는 한글자음이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반대로 제1방향지시위치(P11, P12, P13, P14, …)에는 한글 자음을 할당하고, 제2방향지시위치(P21, P22, P23, P24, …)에는 한글 모음을 할당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1)는 중앙입력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도 있다.
중앙입력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방향입력부(10)의 중앙에 마련된 중앙입력키(30)를 선택하거나, 제1방향입력부(10) 전체를 상하로 승강시켜 수행되는 펌핑입력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중앙입력은 2단 이상의 다단입력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중앙입력에는 문자, 숫자, 기호 또는 기능 등 다양한 명령어가 할당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문자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될 수 있는 문자의 수는, 상기 제1방향입력부(10)를 통해 8개, 상기 제2방향입력부(50)를 통해 8개로서 한 벌의 경우 총 16개의 문자가 입력될 수 있다. 따라서 문자입력장치(1)가 양벌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1방향입력부(10)의 제1방향지시위치(P11, P12, P13, P14, …) 및 제2방향입력부(50)의 제2방향지시위치(P21, P22, P23, P24, …)에 문자를 1개씩 배열하여 총 32개의 문자를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P11, P12, P13, P14, …)와 제2방향지시위치(P21, P22, P23, P24, …)의 개수는 8개로 한정되지 않고 4개 또는 12개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P1) 및 제2방향지시위치(P2)를 각각 4개씩 배열하고, 각 방향지시위치(P1, P2)에서 제1방향입력부(10) 및 제2방향입력부(50)가 각각 2단으로 방향입력을 할 수 있다면, 상기 제1방향입력부(10) 및 제2방향입력부(50)를 통해서는 16개의 문자(각 제1방향입력부(10) 및 제2방향입력부(50)에서 각각 2개의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따라서 제1방향입력부(10) 및 제2방향입력부(50)가 양벌로 마련된다면, 총 32개의 문자의 입력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P1)와 제2방향지시위치(P2)가 각각 8개씩 구비되고, 각 제1방향입력부(10) 및 제2방향입력부(50)가 2단 입력이 가능하다면, 한 벌의 제1방향입력부(10) 및 제2방향입력부(50)만으로 총 32개의 문자의 입력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를 통한 문자입력장치(1)에서 입력할 수 있는 문자의 수는 32개 이상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한글 또는 알파벳을 1음소씩 상기 제1방향지시 위치(P1) 및 제2방향지시위치(P2)에 배열하여 1동작 1음소를 실현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장치(1)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장치(1)는 제1방향입력부(10)가 기준위치(S)에 고정된 상태에서 각 제1방향지시위치(P11, P12, P13, P14, …)를 향하여 제1방향입력부(10) 전체가 기울여지면서 방향입력이 수행된다.
즉, 도 4를 참조하면, 제1방향입력부(10)가 지지부(11)에 지지된 상태에서 왼쪽(도 1에서는 A 방향 또는 P11 방향지시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기울여지면서 제1방향입력감지부(61)에 접촉되어 제1방향지시위치(P11)에 할당된 'ㅏ'가 입력되는 것이다.
또는,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방향입력부(10)의 상단에 각 제1방향지시위치(P11, P12, P13, P14, …)에 대응하여 누름버튼을 마련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2방향입력부(50)들은 상호 연결되어 일체로 마련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장치(1)에서 한글문자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제2방향입력부(50)의 제2방향지시위치(P21, P22, P23, P24, …)를 선택하여 한글 자음을 입력하고, 연이어 제1방향입력부(10)를 해당 제1방향지시위 치(P11, P12, P13, P14, …)를 향하여 기울여(또는 해당 제1방향지시위치(P11, P12, P13, P14, …)에 마련된 누름버튼을 선택함으로써) 한글 모음을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제1방향입력부(10)에 누름버튼이 형성된 경우, 상기 누름버튼과 제2방향입력부(50)는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각각 터치 1단 만으로, 또는 누름 1단/ 터치 1단 및 누름 1단/ 누름 1, 2단/ 터치 1단, 누름 1,2단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방향입력부(10)가 8개의 제1방향지시위치(P11, P12, P13, P14, …)를 가지며, 각 누름버튼이 터치, 누름 1단, 누름 2단의 총 3단 입력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경우에는 제1방향입력부(10) 만으로 24개의 문자입력이 가능하므로, 제1방향입력부(10)의 각 제1방향지시위치(P11, P12, P13, P14, …)에 3개씩 총 24개의 문자를 배열하고, 제2방향입력부(50)의 각 제2방향지시위치(P21, P22, P23, P24, …)에는 그 외의 숫자, 기호 또는 엔터, 스페이스, 취소 또는 모드변경 등의 기능을 할당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장치를 나타낸 부분단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1방향입력부(10)는 원판 형상으로 마련되고, 그 내부에 중앙입력키(30)를 선택 가능하게 배치할 수 있다.
이 때, 제1방향입력부(10)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와 동일하게 기준위치(S)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된 각 제1방향지시위치(P11, P12, P13, P14, …)들 중 어느 하나를 향하여 기울어지며 선택하는 제1방향입력을 수행한다.
한편, 제2방향입력부(50)는 상호 연결되어 링형상의 일체형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일체형으로 마련된 제2방향입력부(50)는, 각 제2방향지시위치(P21, P22, P23, P24, …)에 할당된 문자를 입력한 후, 제2방향입력부(50)에서 손가락을 떼지 않고 미끄러지도록 하여 연이어 다른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두 손가락을 이용하여 한글 문자 '가'를 입력하는 경우, 제1손가락으로 제2방향지시위치(P21)에 할당된 한글 자음 'ㄱ'을 입력한 후, 제2손가락으로 제1방향지시위치(P11)에 할당된 한글 모음 'ㅏ'를 입력함으로써 문자 조합을 완성한다.
연이어, 한글 문자 '나'를 입력하는 경우, 일체형의 제2방향입력부(50)로부터 제1손가락을 떼지 않고 제2방향지시위치(P22)로 미끄러지듯이 이동시켜 연이어 제2방향지시위치(P22)에 할당된 한글 자음 'ㄴ'을 입력한 후, 제2손가락으로 제1방향지시위치(P11)에 할당된 한글 모음 'ㅏ'를 입력함으로써 문자 조합을 완성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장치(1)를 나타낸 부분단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따른 문자입력장치(1)의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1)의 제1방향입력부(10) 및 제2방향입력부(50)는 링형상의 일체형으로 마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방향입력부(10)는 각 제1방향지시위치(P11, P12, P13, P14, …)에 할당된 문자를 입력한 후, 제1방향입력부(10)에서 손가락을 떼지 않고 미끄러지도록 하여 연이어 다른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한글 문자 '가'를 입력하기 위해서, 두 손가락 중 제1손가락으로 제2방향지시위치(P21)에 할당된 한글 자음 'ㄱ'을 입력한 후, 제2손가락으로 제1방향지시위치(P11)에 할당된 한글 모음 'ㅏ'를 입력함으로써 문자 조합 '가'를 완성한다.
연이어, 한글 문자 '너'를 입력하기 위해서, 제1손가락을 일체형의 제2방향입력부(50)로부터 떼지 않고 미끄러지듯이 이동시켜 제2방향지시위치(P22)에 할당된 한글 자음 'ㄴ'을 입력한 후, 제2손가락을 제1방향입력부(10)로부터 떼지 않고 제1방향지시위치(P13)에 할당된 한글 모음 'ㅓ'를 입력함으로써 문자 조합을 완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중앙입력키(30)는, 하단이 중앙입력감지부(32) 에 접촉되고 하강하면서 펌핑운동에 의해 중앙입력키(30)에 할당된 문자코드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중앙입력키(30)는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봉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다양한 단면적 및 높이를 가지고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중앙입력키(30), 제1방향입력부(10) 및 제2방향입력부(50)는 순차적으로 높이가 낮아지도록 높이를 달리하여 마련된다. 예를 들어, 중앙입력감지부(32)로부터 중앙입력키(30)의 높이(t3) > 제1방향입력감지부(61)로부터 제1방향입력부(10)의 높이(t2) > 제2방향입력감지부(65)로부터 제2방향입력부(50)의 높이(t1)로 마련되어, 중앙입력키(30), 제1방향입력부(10) 또는 제2방향입력부(50)간에 각각의 입력을 수행할 때 서로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즉, 제2방향입력부(50)의 높이는 제1방향입력부(10) 또는 중앙입력키(30)의 높이보다 낮으므로 간섭을 받지 않은 상태에서 제2방향지시위치(P21, P22, P23, P24, …)에서 제2방향입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1방향입력부(10)는 제2방향입력부(50)의 높이보다 높고 중앙입력키(30)의 높이보다 낮으므로 간섭을 받지 않은 상태에서 제1방향지시위치(P11, P12, P13, P14, …)에서 제1방향입력을 수행할 수 있고, 중앙입력키(30)는 제2방향입력부(50) 또는 제1방향입력부(10)의 높이보다 높으므로 간섭을 받지 않은 상태에서 중앙입력키(30)의 하강을 통해 중앙입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예와 역순으로, 제2방향입력감지부(65)로부터 제2방향입력부(50) 의 높이(t1) > 제1방향입력감지부(61)로부터 제1방향입력부(10)의 높이(t2) > 중앙입력감지부(32)로부터 중앙입력키(30)의 높이(t3)로 마련되어, 제2방향입력부(50), 제1방향입력부(10) 및 중앙입력키(30)간에 각각의 입력을 수행할 때 서로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으며, 제2방향입력부(50), 제1방향입력부(10) 또는 중앙입력키(30)의 높이를 같이 마련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장치(1)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장치(1)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이 케이스(110)에 지지되고 상단이 각 제1방향지시위치(P11, P12, P13, P14, …)를 향하여 기울임이 가능한 스틱형상으로 마련된다.
제1방향입력부(10)는 예를 들어, 봉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다양한 단면적 및 높이를 가지고 마련될 수 있다.
제1방향입력부(10)가 상대적으로 큰 높이를 가지고 마련되는 경우에는 문자입력장치(1) 자체의 부피가 커질 수 있으므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0) 내부로부터 돌출이 가능할 정도로만 마련될 수도 있다.
제1방향입력부(10)가 기울임 방식으로 마련되는 경우에도 각 제1방향지시위치(P11, P12, P13, P14, …)에 터치입력기능을 마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터치입력기능은 상기 제1방향입력부(10), 제2방향입력부(50) 또는 중앙입력 중 하나 이상에 제한없이 적용이 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장치(1)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장치(1)가 터치패널(69)에 구현된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터치패널(69)의 중앙 일측에는 제1방향입력부(10)에 대응하는 입력위치가 할당되어 있고, 제1방향입력부(10)의 외부에는 복수의 제2방향지시위치(P21, P22, P23, P24, …)에 각각 대응하는 제2방향입력부(50)가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는 2이상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제1방향입력부(10) 및 제2방향입력부(50)를 조작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가운데 손가락을 이용하여 방향입력을 수행하는 동시에 검지나 약지를 이용하여 제2방향입력부(50)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장치(1)는 손으로 들고 입력하는 것이 아닌, 테이블이나 받침대 등에 놓고 입력할 때 더욱 효과적으로 문자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장치(1)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다른 문자입력장치(1)는 제1방향입력부(10)의 입력반경 및 제2방향입력부(50)의 배열면적이 하나의 손가락으로 모두 선택할 수 있도록 상호 근접하여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제1방향입력부(1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틱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제2방향입력부(50)는 누름버튼식 또는 터치감지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방향입력부(10)의 상단에 엄지 또는 검지의 중앙부를 얹은 후에 원하는 방사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손가락을 각 제2방향입력부(50)를 향하여 기울여 접촉 또는 누름으로써 방향입력과 외부입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제1방향입력부(10) 및 복수의 제2방향입력부(50)는,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손가락으로 상기 제1방향입력과 제2방향입력 중 하나의 입력을 수행한 상태에서 상기 손가락을 떼지 않고 다른 하나의 입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호 근접하여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방향입력부(10)와 제2방향입력부(50)가 하나의 손가락 범위 내에 들어오도록 구성하여, 스틱 형상의 제1방향입력부(10)에 (엄지)손가락으로 특정방향으로 제1방향입력을 수행한 후, 상기 손가락을 상기 제1방향입력부(10)에 얹은 상태에서 제2방향입력부(50)에 대한 제2방향입력을 자유롭게 실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방향입력을 수행해도 (엄지)손가락으로 접촉가능한 면적이 제2방향입력부(50) 전체를 감싸고 있어서 어느 방향으로의 제1방향입력을 수행한 상태에서도 제2방향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2방향입력부(50)는 케이스(110)면보다 융기하도록 형성하거나(도 16 참조), 또는 제1방향입력부(10)와 제2방향입력부(50) 사이에 홈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도 17 및 도 18 참조) 상기 제2방향입력부(50)는 손가락이 제1방향입력부(10) 에 얹혀진 상태에서도 누름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홈이 형성된 형태(도 17 및 도 18 참조)에서는, 상기 제2방향입력부(50)가 상기 제1방향입력부(10)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방향입력부(10)는 슬라이딩이나 스틱 등의 부동식(압력센서)뿐만 아니라, 손가락의 미동을 감지함으로써 입력이 수행될 수 있는 다른 방식, 예를 들면, 광센서 방식 또는 터치 방식 등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문자입력장치에서 제2방향입력부(50)의 터치감지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문자입력장치(1)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형으로 마련되는 경우에는 제2방향입력부(50)의 선택시 2이상의 제2방향입력부(50)가 동시에 선택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터치감지부(67a, 67b, …)를 각 제2방향입력부(50)에 2이상의 복수개로 마련하거나, 터치패드와 같은 방식으로 마련함으로써 감지면적 또는 감지 개수가 제일 많은 제2방향입력부(50)에 할당된 문자만을 유효한 것으로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방향입력부(50)는,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제2방향입력부(50)가 상호 일체로 연결된 링 형상이나 판 형태로 구비되어, 감지면적에 따라 제2방향입력이 결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링 형상이나 판 형태로 이루어진 제2방향입력부(50)의 구체적인 형태는 원형이나 다각형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를 통하여 입력가능한 문자의 개수는, 제1방향입력부(10) 및 제2방향입력부(50)의 개수와 각 제1방향입력부(10) 및 제2방향입력부(50)의 다단 입력을 통하여 의도하는 수로 마련할 수 있다.
그 외에 본 실시예를 통해서는 제1방향입력부(10)를 누름에 의한 중앙입력, 제1방향입력부(10)의 이동에 의한 제1방향입력 및 제2방향입력부(50)의 누름 또는 터치에 의한 제2방향입력을 조합하여 보다 많은 수의 문자가 입력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즉,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입력(①)을 한 상태에서 제1방향입력(②)을 하는 경우에, 상기 2개의 중복 입력에 할당된 새로운 문자코드가 입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방향입력(②) 대신에 제2방향입력(③)이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제1방향입력(②)을 한 상태에서 중앙입력(①)을 하는 경우에, 상기 2개의 중복 입력에 할당된 새로운 문자코드가 입력될 수도 있다. 이때도, 상기 제1방향입력(②) 대신에 제2방향입력(③)이 수행될 수 있다.
아울러, 제1방향입력(②)을 한 상태에서 제2방향입력(③)을 하거나, 제2방향입력(③)을 한 상태에서 제2방향입력(②)을 하는 경우에, 각각 상기 2개의 중복 입력에 할당된 새로운 문자코드가 입력될 수 있다.
특히, 이때에는, 특정 방향으로의 제1방향입력이 이루어지면, 제2방향지시위치(P2)에 할당된 문자는 상기 제1방향입력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즉, 도 1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12시 방향으로 제1방향입력을 하는 경우, 상기 제2방향지시위치(P21, P22, P23, P24, …)에는 각각 ‘ㄱ’, ‘ㄴ’, ‘ㅋ’, ‘ㄷ’, ‘ㄲ’, ‘ㄸ’, ‘ㄹ’, ‘ㅌ’이 배열될 수 있다. 한편, 도 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시 방향으로 제1방향입력을 하는 경우, 상기 제2방향지시위치(P21, P22, P23, P24, …)에는 ‘ㅁ’, ‘ㅅ’ ‘ㅂ’, ‘ㅈ’ ‘ㅍ’, ‘ㅆ’, ‘ㅃ’, ‘ㅊ’이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의도하는 문자가 할당된 제2방향지시위치(P21, P22, P23, P24, …)에 대해 제2방향입력을 함으로써 해당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반대로, 특정한 제2방향지시위치(P21, P22, P23, P24, …)에 대해 제2방향입력을 하게 되면, 제1방향입력에 할당되는 문자가 상기 제2방향입력에 의해 변경될 수도 있다. 즉, 도 1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12시에 위치한 제2방향지시위치(P2)에 대해 제2방향입력을 하면, 각 제1방향입력에는 ‘ㄱ’, ‘ㄴ’, ‘ㅋ’, ‘ㄷ’, ‘ㄲ’, ‘ㄸ’, ‘ㄹ’, ‘ㅌ’가 배열될 수 있다. 한편, 도 1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시에 위치한 제2방향지시위치(P2)에 대해 제2방향입력을 하면, 각 제1방향입력에는 ‘ㅁ’, ‘ㅅ’ ‘ㅂ’, ‘ㅈ’ ‘ㅍ’, ‘ㅆ’, ‘ㅃ’, ‘ㅊ’이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방향입력을 수행하면 배열된 문자 중에서 의도하는 문자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중앙입력, 제1방향입력 및 제2방향입력을 모두 수행하여 새로운 문자코드를 입력할 수도 있다. 이때는 중앙입력, 제1 또는 제2방향입력, 제1 또는 제2방향입력을 하거나, 제1 또는 제2방향입력, 중앙입력, 제1 또는 제2방향입력 순으로 입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일련의 입력으로 인해 소정의 문자에서 파생되는 파생문자나 단어 또는 숫자, 기호 등을 확장하여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입력(①)을 하게 되면, 제2방향지시위치에 ‘기호’, ‘부가정보’, ‘인터넷접속’, ‘검색’ 등의 명령어들이 배열된다. 이때 중앙입력을 한 상태에서 ‘기호’가 배열된 방향으로 제1방향입력(②)을 하게 되면, 다시 제2방향지시위치에는 상기 ‘기호’에 속하는 ‘@, #, $, %, ...’등이 배열되므로, 상기 기호 중 ‘@’을 선택하기 위하여 ‘@’가 배열된 제2방향지시위치에 대해 제2방향입력(③)을 하여 상기 ‘@’를 입력 처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도 15에 도시된 ‘화면설정’에 포함된 ‘대기화면’이나 ‘기능화면’ 등의 설정도 가능하다.
그리고 중앙입력, 제1방향입력 및 제2방향입력의 조합에 의해 일본어의 히라가나와 가타카나 또는 한자와 같이 문자의 개수가 32개를 넘는 경우에도 모든 문자를 배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속하게 입력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1방향입력을 가이드하기 위한 구성이 문자입력장치(1)에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문자입력을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스틱 타입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제1실시예 내지 제5실시예에서의 문자입력장치(1)를 통해서도 동일하게 적용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의 제7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방향입력부(10) 및 제2방향입력부(50)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이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제1방향입력부(10) 및 제2방향입력부(50)의 회전각도에는 제한이 없는 바, 예를 들어, 각 방향입력부(10, 50)가 1회전 이상 가능할 수도 있고, 소정 각도 이내에서만 회전이 가능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제1방향입력부(10) 및 제2방향입력부(50)의 회전입력에 의해서는 각종 기능명령 또는 별도로 할당된 문자 등의 데이터입력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방향입력부(10)와 제2방향입력부(50)의 회전입력을 이용하여 터치휠과 같이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방향입력부(10) 및 제2방향입력부(50)의 상단에 터치감지수단을 마련하여, 각 방향입력부(10, 50) 자체는 회전하지 않지만 상단부에서 손가락을 터치하여 회전함으로써 상기 회전입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하는 각도(또는 거리)에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된 문자를 선택하는 스크롤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
이상에서 설명한 문자입력장치(1)는 문자입력 뿐 아니라, 마우스 또는 조이스틱과 같은 보조 입력장치로 사용할 수도 있다.
즉, 단말기(100)에 장착된 기능키(123) 또는 전환키(121)를 이용하여 문자입력모드에서 마우스모드로 전환한 후에는, 제1방향입력부(10)를 마우스의 포인터와 같이 사용하고, 제2방향입력부(50)는 마우스의 좌우측 선택버튼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스틱 형태의 제1방향입력부(1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1방향입력부(10)를 마우스의 포인터와 같이 사용하면서, 제1방향입력부(10)에 대한 중앙입력을 마우스의 좌측 선택버튼으로 하거나, 제2방향입력부(50)에 좌우측 선택버튼을 배치하여 선택적으로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조이스틱 모드에서는 제1방향입력부(10)를 조이스틱처럼 사용하여, 게임수행시 캐릭터의 이동 등을 구현하고, 제2방향입력부(50)를 이용하여 다른 명령어 등을 입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3D 입체형상의 컨트롤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1)를 사용할 수도 있다. 즉, 제1방향입력부(10)에 대한 제1방향입력을 통해 3D 객체의 이동을 수행하고, 제2방향입력부(50)에 대한 제2방향입력을 통해 그 제2방향입력에 상응하는 방향으로 3D 객체의 회전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1)를 통하여 원주방향으로의 입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특정 방향으로의 제1방향입력을 한 후 제1방향입력부(10)를 원주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 이동시킨 상태에서 제1방향입력을 해제하면, 상기 제1방향입력부(10)가 기준위치로 복귀하기 전 또는 최종 제1방향입력이 종료되기 전의 제1방향지시위치(P1)에 할당된 문자가 입력되도록 처리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제1방향입력부(10)를 스틱 형태로 마련하는 경우에는, 제1방향입력 후 상기 제1방향입력부(10)를 원주방향으로 회전 이동시킴으로써 상기에서 언급 한 3D 객체의 평면 회전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방향입력부(10)에 대한 회전 이동의 강도에 따라 상기 3D 객체가 회전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1)에는, 상기 제1방향입력부(10)의 중앙에 마련되어 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하는 중앙터치감지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앙터치감지부는, 중앙입력키(30)로의 접근 또는 접촉을 감지하여, 상기 중앙입력키(30)에 중복 할당된 다른 문자를 입력하는 터치 입력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상기 중앙입력키(30)에 손가락을 얹은 채로 제1방향입력을 하는 것과, 상기 제1방향입력을 단독으로 수행하는 경우를 구별하여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는 손가락을 중앙입력키(30)에 접촉시켜 중앙터치감지부에서 중앙 터치 감지신호가 발생된 상태에서 손가락을 이동시켜 제1방향입력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A’문자를 입력하고, 손가락을 중앙입력키(30)에 얹지 않고 제1방향입력만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B’문자를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중앙터치감지부에서 손가락의 접촉이 소정시간 이상 감지되는 경우, 중앙터치감지부에서의 감지결과를 무시하여 터치입력이 수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중앙터치감지부는, 도 3에 도시된 중앙입력감지부(32)가 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게 마련된다면, 상기 중앙입력감지부(32)에 의해 그 역할을 수행 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가 장착된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장치를 도시한 부분단면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작동도로서, 도 1의 A-A' 부분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장치를 도시한 부분단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장치를 도시한 부분단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장치의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장치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문자입력장치에서 제2방향입력부의 터치감지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서 문자입력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서 문자입력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Claims (25)

  1.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된 복수의 제1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1방향입력이 수행가능하게 마련된 제1방향입력부;
    상기 제1방향입력부의 외부에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2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2방향입력이 수행가능하게 마련된 제2방향입력부;
    상기 제1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제1방향입력감지부;
    상기 각 제2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제2방향입력감지부; 및
    상기 제1방향입력감지부 및 제2방향입력감지부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문자코드를 추출하여 입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방향입력부 중 하나 이상은 2단 이상의 다단입력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방향입력부는 양벌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입력부 전체가 상하방향으로 승강 또는 상기 제1방향입력부에 마련된 중앙입력키를 선택하는 것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수행되는 중앙입력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입력을 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또는 제2방향입력을 수행하는 경우, 이에 할당된 새로운 문자코드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방향입력을 한 상태에서 상기 중앙입력을 수행하는 경우, 이에 할당된 새로운 문자코드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입력과 상기 제2방향입력을 중복하여 수행하는 경우, 상기 중복 수행에 할당된 문자코드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복 수행에 할당된 문자코드는, 상기 제1 및 제2방향입력 순서에 따라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입력부는 상기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제1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향하여 수평이동하여 상기 제1방향입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입력부는 하단이 상기 기준위치에 지지된 스틱형상으로 마련되어 상단이 상기 복수의 제1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로 기울어지며 상기 제1방향입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입력부는 원판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1방향입력부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1방향입력부가 상기 각 제1방향지시위치들을 향하여 기울임이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방향입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입력부에는 상기 각 제1방향지시위치에 대응하여 복수의 방향누 름키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13. 제4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입력부, 상기 제2방향입력부 또는 중앙입력 중 하나 이상은 2단 이상의 다단입력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입력부, 제2방향입력부 또는 중앙입력 중 하나 이상에는 손가락의 접촉 또는 근접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기능이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 또는 제2방향지시위치 중 어느 하나에는 문자가 할당되며, 다른 하나에는 기호, 숫자 또는 엔터, 스페이스, 취소, 모드전환 등의 기능이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16. 제4항에 있어서,
    복수의 제2방향입력부는 상호 연결되어 일체형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17. 제1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입력부 및 복수의 제2방향입력부는 하나의 손가락으로 상기 제1방향입력과 제2방향입력 중 하나의 입력을 수행한 상태에서 상기 손가락을 떼지 않고 다른 하나의 입력을 수행 가능할 수 있도록 상호 근접하여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복수의 제2방향입력부는 상호 일체로 연결된 링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복수의 제2방향입력부는 상호 일체로 연결된 다각형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입력키, 제1방향입력부 및 제2방향입력부는 돌출높이가 순차적으로 낮아지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입력부의 제1방향입력 및 제2방향입력부를 이용하여, 마우 스(Mouse) 또는 조이스틱(JoyStick)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마우스 또는 조이스틱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제1방향입력부 또는 제2방향입력부 중 어느 하나에 의해서는 마우스 포인터 또는 캐릭터의 이동이 수행되고, 다른 하나에 의해서는 마우스 좌우버튼 또는 캐릭터의 조작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방향입력부는 이동기능을 수행할 때, 미끄러지면서 연속조작이 가능하도록 상호 연결된 일체형의 링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2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입력키에 마련되어 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하는 중앙터치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앙터치감지부에서 손가락의 접촉이 소정시간 이상 감지되는 경우, 상기 중앙터치감지부의 감지결과를 무시하여 상기 중앙터치감지부에 대한 터치입력이 수행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2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입력키에 마련되어 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하는 중앙터치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앙터치감지부에서 손가락의 접촉에 의한 중앙터치 감지신호와 상기 제1방향입력의 수행에 따른 상기 제1방향입력감지부의 감지신호가 동시에 수신되는 경우와, 상기 제1방향입력감지부의 감지신호만이 수신되는 경우를 구별하여 서로 다른 문자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KR1020080037937A 2008-04-23 2008-04-23 문자입력장치 KR200901121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7937A KR20090112196A (ko) 2008-04-23 2008-04-23 문자입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7937A KR20090112196A (ko) 2008-04-23 2008-04-23 문자입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2196A true KR20090112196A (ko) 2009-10-28

Family

ID=41553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7937A KR20090112196A (ko) 2008-04-23 2008-04-23 문자입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1219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09355B2 (ja) 文字入力装置
AU2007309911B2 (en) Input device
US8525779B2 (en) Character input device
US20100265201A1 (en) Data input device
KR101077790B1 (ko) 데이터 입력장치
KR20080010266A (ko) 문자입력장치
KR20080010267A (ko) 문자입력장치
KR20080095811A (ko) 문자입력장치
JP2010518529A (ja) 文字入力装置
JP2010518530A (ja) 文字入力装置
KR20080082551A (ko) 문자입력장치
KR101136367B1 (ko) 입력장치 및 문자입력방법
KR20090112196A (ko) 문자입력장치
KR20080070110A (ko) 문자입력장치
US20100164876A1 (en) Data input device
KR20080076200A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KR20080075669A (ko) 문자입력장치
KR20090112197A (ko) 문자입력장치
KR20080075675A (ko) 문자입력장치
KR20090037651A (ko) 데이터 입력장치
KR20100014163A (ko) 원형 자판 배열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WO2008140228A2 (en) Character input device
KR20080099760A (ko) 문자입력장치
KR20100039777A (ko) 데이터 입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