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2551A - 문자입력장치 - Google Patents

문자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2551A
KR20080082551A KR1020080022230A KR20080022230A KR20080082551A KR 20080082551 A KR20080082551 A KR 20080082551A KR 1020080022230 A KR1020080022230 A KR 1020080022230A KR 20080022230 A KR20080022230 A KR 20080022230A KR 20080082551 A KR20080082551 A KR 200800825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unit
character
movement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2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의진
Original Assignee
오의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의진 filed Critical 오의진
Publication of KR20080082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25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4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witches operable in different dire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38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limited linear or angular displacement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from a neutral position, e.g. isotonic or isometric joysti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01H25/041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generally flat operating member depressible at different locations to operate different contr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a pointing device, e.g. roller key, track ball, rocker switch or joysti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자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된 제1방향지시위치들 중 하나를 방향누름하는 제1방향입력과, 상기 각 제1방향지시위치에서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 배치되는 제2방향지시위치들 중 하나로 방향이동하는 제2방향입력이 각각 수행가능하게 일체형으로 마련되는 입력부; 상기 제1방향입력을 감지하는 누름감지부; 상기 제2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이동감지부; 및 상기 누름감지부 및 이동감지부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선택된 상기 각 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문자코드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하나의 입력부에서 방향이동입력, 방향누름입력 및 방향조합입력을 통하여 문자, 숫자, 기호 등을 모두 1동작에 의하여 입력할 수 있으므로, 문자입력에 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신속하고 정확한 문자입력이 가능하다. 또한, 각 문자 등을 방향입력 방법에 따라 분할하여 배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입력부의 동작에 쉽게 익숙해질 수 있어 효과적인 문자입력이 가능하다.
문자, 입력, 방향, 기준위치, 음소

Description

문자입력장치{CHARACTER INPUT DEVICE}
본 발명은 문자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하나의 입력부에서 제1, 제2, 제3 및 제4방향입력과 방향조합입력을 통하여 문자, 숫자, 기호 등을 모두 1동작에 의하여 입력할 수 있는 문자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프트웨어와 반도체기술 및 정보처리기술의 발달로 정보기기가 점점 소형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정보기기에서의 문자입력량과 중요도가 날로 커지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정보기기에서 각종 문자나 명령어 입력에 많은 문제점이 드러나고 있다. 예컨대, PC(Personal Computer) 또는 노트북(NoteBook)에 사용되는 키보드와 같은 입력장치는 크기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어 이들 정보기기를 소형화하는데 어려움이 따르고, PDA(Personal Data Assistant)에서 사용하는 터치스크린 방식이나 휴대폰에서 사용하는 키패드 방식에서는 입력속도가 느리고 잘못 입력되는 경우가 많아 불편한 점이 있다.
전술한 PC, 노트북, PDA 또는 휴대폰 등의 정보기기에서 더욱 빠른 속도로 문자, 숫자 또는 기호 등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1회의 입력동작에 1개의 음소(문자)가 입력되는 소위 1타 1 음소입력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고, 이러한 1타 1 음소입력 이 한글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24개 이상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버튼이나 입력 키가 정보기기에 배열될 필요가 있다. 입력의 대상이 되는 언어가 영어나 일본어 또는 기타 외국어인 경우에는 한글의 경우보다 더 많은 버튼이나 입력키를 증설해야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각종 정보기기에서 사용하는 종래의 입력장치는 각각의 입력키에 문자를 할당하고 손가락으로 두드리거나 눌러서 입력하는 방식이므로 입력키의 배열면적이 좁은 휴대폰과 같은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에는 손가락 크기의 입력키를 24개 이상 배열하는 것이 어렵다.
이것이 지금까지 키보드가 소형화되기 어려운 이유였으며, 휴대폰의 경우에는 단지 12개의 버튼으로 24자 이상의 한글 문자를 모두 입력하다 보니 1개의 버튼에 다수개의 문자를 중복 배열하는 것이 불가피하고 이로 인해 하나의 문자(음소)를 입력하기 위해 두 번, 세 번 반복하여 입력하는 반복입력현상이 자주 발생하였다. 따라서, 그만큼 입력이 느려지고 불편한 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천지인과 같이 소정의 문자를 조합하여 입력하는 문자입력방식이 제안되기도 했지만, 이 방식에 의해서도 반복입력현상은 해소되지 못하였다.
또한, 둘둘 말아서 휴대할 수 있는 키보드나, 키보드 자판의 이미지를 바닥에 영사하고 그 위에서 손가락으로 키보드를 입력하는 것과 같은 동작을 취하면 손가락의 위치를 감지하여 입력이 이루어지는 가상레이저 키보드 등의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류의 입력장치는 항상 휴대하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바닥에 놓인 상태에서만 입력이 가능하므로 이동 중에 손으로 들고 입력할 필요가 있는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에는 적용하기가 부적합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입력부에서 제1, 제2, 제3 및 제4방향입력과 방향조합입력을 통하여 문자, 숫자, 기호 등을 모두 1동작에 의하여 입력함으로써, 문자입력에 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신속하고 정확한 문자입력이 가능한 문자입력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된 제1방향지시위치들 중 하나를 방향누름하는 제1방향입력과, 상기 각 제1방향지시위치에서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 배치되는 제2방향지시위치들 중 하나로 방향이동하는 제2방향입력이 각각 수행가능하게 일체형으로 마련되는 입력부; 상기 제1방향입력을 감지하는 누름감지부; 상기 제2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이동감지부; 및 상기 누름감지부 및 이동감지부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선택된 상기 각 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문자코드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문자입력장치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제1방향입력과 제2방향입력을 조합하여 상기 제1방향입력 및 제2방향입력과 다른 문자가 할당되는 방향조합입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2방향입력은 방사상 2방향 이상에 대해 각각 별도의 문자를 입력가능하다.
상기 입력부 전체가 입력부에 대해 방사상으로 배치된 제3방향지시위치로 방 향이동하여 상기 제3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문자를 입력하는 제3방향입력이 수행되며, 상기 제3방향입력을 감지하기 위해 입력부의 일측 또는 입력부의 외부에 전체이동감지부가 더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입력부의 기준위치에는 방향누름과 방향이동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제4방향입력이 수행가능한 중앙입력키가 더 마련되고, 상기 중앙입력키에는, 방향누름을 감지하기 위한 누름감지부와 방향이동을 감지하는 이동감지부 중 하나 이상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는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 이격 배치되는 링형상의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입력부의 기준위치에는 방향누름과 방향이동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제4방향입력을 수행할 수 있는 중앙입력키가 더 마련되고, 상기 중앙입력키에는, 방향누름을 감지하기 위한 누름감지부와 방향이동을 감지하는 이동감지부 중 하나 이상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입력부는 기준위치에 마련된 중앙 영역과, 상기 중앙 영역에 대해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중앙 영역과 탄성을 갖는 리턴부에 의해 연결되는 복수의 주변입력키를 포함하고, 상기 각 주변입력키에는 제1방향지시위치가 마련되어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를 방향누름에 의한 제1방향입력과,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에서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 배치되는 제2방향지시위치들 중 하나로 상기 중앙 영역에 대한 탄성체의 변형으로 방향이동하면서 이루어지는 제2방향입력이 수행된다.
이때 상기 주변입력키에 의한 제2방향입력이 수행되면, 최초 상기 제2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문자 또는 상기 문자와 다른 제2의 문자가 상기 제2방향입력이 수행된 지점을 중심으로 한 이동-제2방향지시위치에 새로이 표시되고, 상기 이동-제2방향지시위치에 대한 제2방향입력에 의해 상기 제2의 문자 중 하나를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변입력키에 대한 제1방향입력, 제2방향입력 및 이동-제2방향입력의 조합에 의해 새롭게 할당된 제3의 문자를 입력하는 방향조합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 전체가 입력부에 대해 방사상으로 배치된 제3방향지시위치로 방향이동하여 상기 제3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문자를 입력하는 제3방향입력이 수행되며, 상기 제3방향입력을 감지하기 위해 입력부의 일측 또는 입력부의 외부에 전체이동감지부가 더 마련된다.
한편, 상기 각 제2방향지시위치에 대한 제2방향입력과 상기 입력부 전체의 방사상 방향이동에 의한 제4방향입력을 구분하기 위하여 각 제1방향지시위치에 대한 손가락의 접촉여부를 감지하는 구분감지부가 더 마련된다.
또한 상기 각 제2방향지시위치에 대한 제2방향입력과 상기 입력부 전체의 방사상 방향이동에 의한 제4방향입력을 구분하기 위하여 기준위치에 대한 손가락의 접촉여부를 감지하는 중앙감지부가 기준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분감지부와 중앙감지부는 3개 이상의 제1방향지시위치 또는 2개이상의 제1방향지시위치와 기준위치에 대해 손가락의 접촉이 감지되면, 상기 제4방 향입력으로 판단하고, 2개 이하의 제1방향지시위치에 대해 손가락의 접촉이 감지되면, 접촉감지된 최선의 제1방향지시위치 주위의 제2방향지시위치에 대한 제2방향입력으로 판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는 상기 제3방향입력 수행 후, 상기 입력부를 원래위치로 복귀하게 하는 리턴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체에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1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1방향입력과, 상기 각 제1방향지시위치에서 원주방향으로 배치된 제2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제2방향입력과, 전체가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된 복수의 제3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제3방향입력이 각각 수행가능하게 마련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의 제2방향입력과 제3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이동감지부; 상기 제1방향입력을 감지하는 누름감지부; 및 상기 이동감지부 및 누름감지부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선택된 상기 각 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문자코드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문자입력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이때 상기 제3방향입력은 상기 각 제3방향지시위치에 따라 상기 입력부의 이동거리를 달리하여 2단 이상의 다단입력이 가능하게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제1방향입력은, 상기 입력부가 상기 각 제1방향지시위치를 향하여 기울어지거나, 상기 입력부에 상기 각 제1방향지시위치에 대응하여 마련된 방향누름버튼을 선택하는 것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수행된다.
또한 상기 제1방향입력은, 상기 입력부의 기울임각도, 상기 방향누름버튼의 누름거리 또는 누름세기에 따라 2단 이상의 다단입력이 가능하게 마련된다.
상기 제2방향입력은 상기 입력부가 상기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좌우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수행된다.
아울러, 상기 입력부는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회전거리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 각각 2단 이상의 다단입력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 전체가 상하방향으로 승강 또는 상기 입력부에 마련된 중앙입력키를 선택하는 것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수행되는 중앙입력이 가능하게 마련된다.
이때 상기 중앙입력은 승강거리의 차이, 상기 중앙입력키의 누름거리 또는 누름압력의 차이에 따라 2단 이상의 다단입력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제2 및 제3방향입력 중 어느 하나에 의해서는 모음문자가 입력되고, 나머지에 의해서 자음문자가 입력될 수 있다.
그리고 문자가 배치되고 남은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 제2방향지시위치 또는 제3방향지시위치에는 모드변경, 기호, 숫자, 엔터, 스페이스 또는 입력취소 등이 할당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는 상기 제3방향입력 수행 후, 상기 입력부를 상기 기준위치로 복귀하게 하는 리턴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입력부 또는 상기 입력부가 장착된 케이스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각 방향입력의 수행시 상기 입력부의 입력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각 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문자가 분할 배치되는 문자표시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방향입력 및 제3방향입력에 의해서는 자음문자가, 상기 제1방향입력에 의해서는 모음문자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감지부는 상기 각 제1방향지시위치에 대응하여 각각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입력부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는 서로 대향하여 마련된 복수의 고정지지부와, 상기 고정지지부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입력부를 따라 회전하며 상기 복수의 고정지지부 중 어느 하나에 접촉되는 회전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감지부는 상기 고정지지부 또는 회전지지부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고정지지부 및 회전지지부의 접촉을 감지한다.
또한 상기 입력부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된 접촉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동감지부는 상기 접촉돌기에 회전경로 상에 마련되어 상기 지지부가 상기 입력부를 따라 회전할 때 상기 접촉돌기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 별도로 정의하지 아니한 모든 기술용어와 과학적인 관련용어는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용되는 통상적인 의미를 나타낸다. 그러나, 아래 용어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명확히 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용어의 정의
1) 본 명세서에서 "제1방향입력(P)"이란, 입력부(10)의 제1방향지시위치에 대한 누름이나 기울이는 동작을 통하여 사용자가 의도한 문자, 숫자 또는 기호를 입력하는 것으로 한다.
방향누름입력(P)은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의 상단에 각 제1방향지시위치(P1, P2, P3, P4)에 대응하여 방향누름버튼(15)을 마련할 수도 있고,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를 각 제1방향지시위치(P1, P2, P3, P4)를 향하여 기울여 수행할 수도 있다.
2) 본 명세서에서 "제2방향입력(M)"이라 함은, 입력부(10)의 제1방향지시위치에 대해 방사상으로 배치된 제2방향지시위치를 접촉하거나 누르는 동작을 통하여 의도한 문자, 숫자 또는 기호를 입력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제2방향입력에는 제1방향지시위치를 기준으로 입력부(10)를 원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에 의해 문자 등을 입력하는 입력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3) 본 명세서에서 "제3방향입력(R)"이라 함은, 본 발명의 문자입력장치에 구비된 입력키(10) 전체를 동일 평면상에서 임의 방향으로 위치이동(수평 또는 슬라이딩 이동)시키거나 또는 조이스틱과 같은 스틱형 입력부를 임의 각도 또는 방향으로 기울이는 등 입력부(10)를 이동시켜 사용자가 의도한 문자, 숫자 또는 기호 등을 입력하는 것으로 한다.
4) 본 명세서에서 "제4방향입력(C)"이라 함은, 중앙입력키(30)에 대하여 방향이동하거나 방향누름을 하는 동작에 의해 사용자가 의도한 문자, 숫자 또는 기호 를 입력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제4방향입력(C)은 중앙입력키(30)에 대해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중앙입력의 한 형태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입력부(10)의 동작형태는 전술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외에도 입력부(10)를 탄성(유동성)이 있는 소재로 제작하고 입력부(10)의 미미한 유동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수단을 마련할 수도 있다.
상기의 경우, 입력부(10)에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힘을 가했을 때 입력부(10)의 전체적인 위치는 이동되지 않더라도 제어부(미도시)에는 입력부(10)가 이동하여 입력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제2방향입력(M)"이란 입력부(10)의 동작 및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입력부(10)를 수평방향 또는 수평에 가까운 횡 방향으로 미는(또는 힘을 가하는) 행위를 포함하여 결과적으로 상기 문자입력장치의 제어부에 입력부(10)이 이동입력 되어진 결과를 가져다주는 모든 동작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5) 본 명세서에서 "모음"이란, 외국어의 경우 발음이 한글모음에 해당하거나 언어학상의 분류기준에 따라 동 외국어의 알파벳을 2종류로 나누었을 때 상대적으로 개수가 적은 알파벳 집단에 속하는 것으로 한다.
6) 한편, 본 명세서에서 "문자"라 함은 한글문자, 영어문자 또는 일본어 문자 등 각국 언어에 따른 좁은 의미의 문자를 의미하는 것 이외에 숫자, 기호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에 의하면, 하나의 입력부에서 제1, 제2, 제3 및 제4방향입력과 방향조합입력을 통하여 문자, 숫자, 기호 등을 모두 1동작에 의하여 입력함으로써, 문자입력에 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신속하고 정확한 문자입력이 가능하다.
또한, 할당하고자 하는 문자의 수에 따라서 각 방향입력과 방향지시위치의 수를 자유롭게 설계변경하여 제작할 수 있으며, 할당되는 문자의 수가 증가하더라도 더 많은 입력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는 각 방향입력마다 입력특성을 가지므로,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의 성격에 따라 각 방향입력에 분할 배치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문자입력장치의 작동에 익숙해질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는,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된 제1방향지시위치들(P1, P2, P3, P4) 중 하나를 방향누름하는 제1방향입력(P)과, 상기 각 제1방향지시위치(P1, P2, P3, P4)에서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P1, P2, P3, P4)를 중심으로 방사상 배치되는 제2방향지시위치들(M1, M2, M3, M4) 중 하나로 방향이동하는 제2방향입력(M)이 각각 수행가능하게 일체형으로 마련되는 입력부(10); 상기 제1방향입력(P)을 감지하는 누름감지부(60); 상기 제2방향입력(M)을 감지하는 이동감지부(50); 상기 누름감지부(60) 및 이동감지부(50) 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선택된 상기 각 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문자코드를 메모리부(미도시)로부터 추출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장치가 장착된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케이스(110)의 일측에는 문자입력장치가 장착되어 있으며, 케이스(110)의 타측에는 문자입력장치에 의해 입력된 문자가 표시되는 표시부(130)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케이스(110)에는 문자입력장치의 입력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전환키(121)와, 엔터, 스페이스, 취소 또는 통화/종료 등의 기능키(123)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장치에서 입력부(10)는 제1방향입력(P)과, 제2방향입력(M), 및 방향조합입력(R)이 각각 수행가능하게 마련된다.
제1방향입력(P)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입력부(10) 상에 마련된 제1방향지시위치(P1, P2, P3, P4)를 누름으로써 수행된다. 상기 제1방향입력(P)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 상에 각 제1방향지시위치(P1, P2, P3, P4)에 대응하여 방향누름버튼(15)이 마련되어 상기 방향누름버튼(15)을 누름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고,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를 해당 방향으로 기울임으로써 수행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방향누름버튼(15)과, 입력부(10)의 기울임을 감지하는 감지수단이 제1방향입력(P)을 감지하는 누름감지부(60)로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제1방향입력(P)은 2단 이상의 다단입력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는데, 전술한 방향누름버튼(15)의 경우에는 누름거리(상하방향)의 차이 또는 누름압력의 세기에 따라 구별하여 입력한다.
또한 제2방향입력(M)은,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입력부(10)에서, 상기 각 제1방향지시위치(P1, P2, P3, P4)에서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 배치되는 제2방향지시위치들(M11,… M21,…, M31,…, M41,…) 중 하나로 방향이동함에 따라 제2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문자를 입력하는 것이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방향입력(M)은 각 제1방향지시위치(P1, P2, P3, P4)에서 내향방향, 외향방향, 좌측 원주방향 및 우측 원주방향으로 이동하여 각 방향에 배치되는 제2방향지시위치(M11,… M21,…, M31,…, M41,…)에 할당된 할당된 문자를 입력한다.
이때 상기 제2방향지시위치(M11,… M21,…, M31,…, M41,…)에는 제2방향입력(M)을 감지하는 이동감지부(50; 도 6의 50a, 50b, 50c, 50d 참조)가 각각 구비된다. 따라서 특정 방향에 배치된 제2방향지시위치로 제2방향입력(M)을 수행하면, 상기 이동감지부(50)가 이러한 이동을 감지하여 상기 제2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문자에 대응하는 문자를 제어부로 입력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2방향입력(M)도 방향이동의 거리에 따라 2단의 다단입력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방향지시위치(M11,… M21,…, M31,…, M41,…)를 향하는 이동 경로상에 위치를 달리하여 2이상의 이동감지부(50)를 배치할 경우에는 제2방향지시위치를 향하는 이동거리에 따라서 1단의 제2방향입력(M), 2단의 제2방 향입력(M)이 가능하다.
한편, 방향조합입력(R)은 제1방향입력(P)과 제2방향입력(M)의 조합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즉, 특정 제1방향지시위치(P1, P2, P3, P4)에서 제1방향입력(P)을 한 상태에서 바로 제2방향입력(M)을 하게 되면 방향조합입력(R)으로 인식되어,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P1, P2, P3, P4)에 할당된 문자 또는 제2방향지시위치(M11,… M21,…, M31,…, M41,…)에 할당된 문자가 입력되는 것이 아니라, 별개의 새로운 문자가 입력 처리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 및 제2방향지시위치는 4방향에 각각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5방향, 6방향, 7방향 및 8방향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만일 입력가능한 문자의 개수가 필요 개수보다 적다면, 상기 입력부(10)를 양벌로 구성하거나, 제1 및 제2방향입력(P, M)과 방향조합입력(R)을 다단으로 구성하여 입력 문자의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는 배열하고자 하는 문자/숫자/기호 등의 수에 따라 각 방향지시위치의 수와 다단입력여부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10)에 의하면,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 4방향에 배치된 제1방향지시위치에 대한 제1방향입력(P)으로 4개의 문자를 입력하고, 각 제1방향지시위치에서 방사상 4개씩 배치되는 제2방향지시위치에 대한 제2방향입력(M)으로 16개의 문자를 입력하며, 상기 방향조합입력(R)으로 16개의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입력부(10)로 총 36개의 문자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한글 24문자(또는 알파벳 26문자)를 모두 배열하고도 기호/숫자/기능키 등을 더 배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방향지시위치는 도 3의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향으로 제2방향입력(M)이 수행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2방향지시위치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방향지시위치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배치되고, 이에 따라 제2방향입력(M)은 각 제1방향지시위치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제2방향지시위치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방향지시위치에 대해 내향방향 및 외향방향으로 배치되고, 이에 따라 제2방향입력(M)은 각 제1방향지시위치로부터 내향방향 또는 외향방향으로 이동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아울러, 제2방향지시위치는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방향지시위치에 대해 경사방향으로 배치되고, 이에 따라 제2방향입력(M)은 각 제1방향지시위치로부터 2개의 경사방향으로 이동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입력부(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면서, 각 제1방향지시위치(P1, P2, P3, P4)가 분할하여 마련될 수도 있다. 즉, 기준위치에 대해 방사상으로 4방향에 이격 배치되는 제1방향지시위치(P1, P2, P3, P4)를 포함한 각 영역이 다른 영역과 구분되어 마련된다. 이 경우 제1방향지시위치(P1, P2, P3, P4)를 포함한 영역은 중앙 영역과 단차를 두고 마련되는 것이 바람 직하다.
그리고 이때에도 제1방향지시위치(P1, P2, P3, P4)를 포함한 각 영역이 서로 분할되어 있을 뿐, 제1방향입력(P), 제2방향입력(M) 및 방향조합입력(R)은 상기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입력부(10)에서의 제1방향입력(P)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리고 제2방향입력(M)은 제1실시예와 유사하게 제1방향지시위치(P1, P2, P3, P4)에 방사상으로 배치된 제2방향지시위치(M11,… M21,…, M31,…, M41,…)로 방향이동함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입력부(10) 전체가 방사상으로 이동가능하고, 이러한 이동에 의해 제3방향입력(A)이 수행될 수 있다. 즉, 제3방향입력(A)은, 입력부(10) 전체가 방사상으로 외향이동하면서 각 방사방향에 배치된 제3방향지시위치(A1, A2, A3, A4)에 할당된 문자를 입력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3방향입력(A)을 감지하기 위해 전체이동감지부(51)가 더 구비된다. 상기 전체이동감지부(51)는 입력부(10)의 일측(도 6의 (a) 참조)이나 입력부(10)의 외부(도 6의 (b) 참조)에 마련되어 입력부(10)의 이동을 감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입력부(10)가 이동가능하므로, 제2방향입력(M)과 제3 방향입력(A)을 구분하기 위하여, 제1방향지시위치(P1, P2, P3, P4)에 누름감지부(60)가 마련될 수 있고, 중앙감지부 또는 구분감지부(65)가 추가로 마련될 수도 있다.
즉, 제2방향입력(M)은 제2방향지시위치로의 이동을 이동감지부(50)가 감지하는 방식과 같이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고, 누름감지부(60)를 누른 상태에서 입력부(10)를 방사방향으로 이동시켜 이러한 이동을 전체이동감지부(51)에서 파악함으로써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제2방향입력(M)이 독립적으로 수행되는 경우에는 손가락의 접촉부위를 감지할 수 있는 중앙감지부(65a) 또는 구분감지부(65b)가 더 마련되어 제2방향입력(M)의 위치를 파악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중앙감지부(65a)와 구분감지부(65b)가 동시에 구비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즉, 상기 구분감지부(65b)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방향지시위치(P1, P2, P3, P4)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중앙감지부(65a)는 기준위치에 구비된다.
따라서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 전체에 손가락을 얹게 되면 중앙감지부(65a) 및 각 구분감지부(65b)에서 손가락의 접촉이 감지됨에 따라, 이 상태에서의 입력부(10)의 이동은 제3방향입력(A)으로 파악하게 된다. 한편,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제1방향지시위치(P1, P2, P3, P4)에서의 제2방향입력(M)을 위해 특정 제1방향지시위치에 손가락을 얹게 되면 상기 특정 제1방향지시위치에 배치된 구분감지부(65b)가 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함에 따라, 이 상태에서의 입력부(10)의 이동은 제2방향입력(M)으로 파악하게 된다.
한편,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 전체에 손가락을 얹게 되면 이를 전체입력모드로 파악할 수도 있다. 이는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제1방향지시위치에 손가락을 얹는 개별입력모드와 대비되는 것으로, 개별입력모드에서의 입력을 전체입력모드 상에서 수행하는 경우 개별입력모드와 다른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개별입력모드상에서 특정 제1방향지시위치에 대한 제1방향입력(P)으로 'ㄱ'이 입력되는 경우, 전체입력모드상에서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에 대한 제1방향입력(P)을 하면 'ㄱ'이 아닌 'ㅏ'가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개별입력모드를 통해 제1방향입력(P), 제2방향입력(M) 및 방향조합입력(R)을 수행할 수 있는 경우, 중앙감지부(65a)와 구분감지부(65b)를 통하여 전체입력모드와 개별입력모드를 구분하도록 하면, 개별입력모드상에서의 입력 동작을 전체입력모드상에서 구현하되, 그 입력 문자를 달리할 수 있으므로, 전체입력모드에서는 개별입력모드상에서 보다 입력용량을 2배로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런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는 하나의 손가락으로 모두 덮을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구비되므로, 특정 제1방향지시위치만을 손가락으로 접촉하는 것이 곤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제1방향지시위치에 손가락의 접촉이 감지되면, 가장 먼저 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한 구분감지부(65)에 대응하는 제1방향지시위치를 중심으로 제2방향입력(M)이 수행되는 것으로 파악한다.
그리고 이러한 구분감지부(65) 대신하여 구분감지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누름감지부(60)는 압력감지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입력부(10) 전체 에 손가락을 얹은 경우에는 각 누름감지부(60)가 눌려지므로, 이 상태에서 입력부(10)를 이동하면 제3방향입력(A)으로 파악하고, 특정 제1방향지시위치의 누름감지부(60)만을 누른 상태에서 입력부(10)를 이동하면 제2방향입력(M)으로 파악한다.
이때 특정 제1방향지시위치의 방사방향으로의 제2방향입력(M)을 하는 경우에는 상기 누름감지부(60)에서 다른 누름감지부(60)에서보다 큰 압력이 감지되므로,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에서 제2방향입력(M)이 수행되는 것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여기서 누름감지부(60)의 압력감지 기능은 압력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입력부(10)가 터치패드 방식으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2방향입력(M)을 감지하기 위하여 터치감지부(57)가 표시부(130)에 나타난 입력부(10)에 마련될 수 있다. 즉, 누름감지부(60) 주변에 다수개의 터치감지부(57)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련하고, 상기 터치감지부(57)에서 손가락의 이동방향을 파악하여 특정 제2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문자가 입력되는 제2방향입력(M)이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1방향지시위치, 제2방향지시위치 및 제3방향지시위치는 방사상 4방향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5방향, 6방향, 7방향 또는 8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만일 입력가능한 문자의 개수가 필요 개수보다 적다면, 상기 입력부(10)를 양벌로 구성하거나, 제1, 제2 및 제3방향입력(P, M, A)을 다단으로 구성하여 입력 문자의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아울러, 입력부(10)가 손가락 범위 안에 포함되므로 상기 입력부(10)가 마우 스 기능을 수행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가 구비되면, 중앙입력키(30)에 대한 방향입력으로 마우스포인트가 이동되게 할 수 있고, 제1방향지시위치에 배치된 스틱 형상의 주변입력키(10a, 10b, 10c, 10d)에 의해 마우스의 좌버튼, 우버튼의 역할을 수행하게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마우스의 드레그나 파일끌기 같은 동시 동작이 수행 가능함은 물론이고 게임에서 구현될 때 캐릭터의 이동과 명령을 동시에 수행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2방향입력(M)과 제3방향입력(A)에 동일한 문자세트가 할당될 수도 있다. 즉, 4방향의 제1방향지시위치에 각각 마련되는 4개의 제2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되는 문자세트와, 4방향의 제3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되는 문자세트가 동일하게 하여, 특정 방향으로의 제2방향입력(M)을 한 후에 바로 제3방향입력(A)을 함으로써, 서로 다른 2개의 제2방향입력(M)을 한 것도 동일한 결과를 달성하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에서 입력부(10)는 제1방향입력(P)과, 제2방향입력(M)과, 제3방향입력(A)이 각각 수행가능하게 마련된다.
제1방향입력(P)은 제1실시예의 제1방향입력(P)과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된다.
즉, 제1방향입력(P)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 상에 각 제1방향지시위치(P1, P2, P3, P4)에 대응하여 방향누름버튼(15)을 마련할 수도 있고,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를 해당 방향으로 기울임으로써 수행할 수 있 다.
이러한 제1방향입력(P)은 2단 이상의 다단입력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는데, 전술한 방향누름버튼(15)의 경우에는 누름거리(상하방향)의 차이 또는 누름압력의 세기에 따라 구별하여 입력한다.
그리고 제2방향입력(M)은 제1실시예의 제2방향입력(M)과 유사한 것으로, 제1방향지시위치(P1, P2, P3, P4)로부터 원주방향으로 배치된 제2방향지시위치(M11,… M21,…, M31,…, M41,…)로 입력부(10)를 이동함으로써 수행된다. 이러한 제2방향입력(M)은, 입력부(10)에서 제1방향입력(P)을 먼저 입력한 후에 해당 위치에서 입력부(10)를 원주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수행될 수도 있다.
한편, 제3방향입력(A)은 제2실시예에서의 제3방향입력(A)과 유사한 것으로, 입력부(10) 전체가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각 방사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3방향지시위치(A1, A2, A3, A4)에 할당된 문자를 입력하는 것이다.
제3방향입력(A)도 입력부(10)의 이동거리에 따라서 2단 이상의 다단입력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기준위치로부터 입력부(10)의 이동경로 상에 위치를 달리하여 2이상의 전체이동감지부(51)를 배치할 경우에는 입력부(10)의 이동거리에 따라서 1단의 제3방향입력(A), 2단의 제3방향입력(A)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제2방향입력(M)이, 입력부(10)에서 제1방향입력(P)을 먼저 입력한 후에 해당 위치에서 입력부(10)를 원주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수행되는 경우에, 제 1방향입력(P)과 제2방향입력(M)을 구분하기 위해서는, 제1방향입력(P)이 수행된 상태에서 연이어 입력부(10)의 이동이 감지되면 제1방향입력(P)은 무시하고 제2방향입력(M)만을 유효하게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방향입력(M)은 입력부(10)의 원주방향 이동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으나,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의 좌우회전(즉, 원주방향 회전)에 의해서도 수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1)를 고정지지부(11b)와 회전지지부(11a)로 구성하여 입력부(10)가 회전할 때 회전지지부(11a)와 고정지지부(11b)의 접촉방향을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입력부(1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좌측의 이동감지부(53)가 이를 감지하고, 입력부(1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우측의 이동감지부(55)가 이를 감지함으로써 제2방향입력(M)을 감지할 수 있다.
또는,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의 일측에 접촉돌기(11c)를 마련하고, 접촉돌기(11c)의 회전반경 안에 이동감지부(50; 53a, 53b, 55a, 55b)를 배치함으로써, 입력부(10)의 회전방향은 물론 회전각도까지 감지하여 다단의 제2방향입력(M)이 수행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입력부(1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우측의 이동감지부(55a)에 접촉되면 이를 1단의 제2방향입력(M)(도 10에서 M11), 입력부(10)를 더 회전시키면 최우측의 이동감지부(55b)에 접촉되어 이를 2단의 제2방향입력(M)(도 10에서 M13)으로 입 력할 수 있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40은 리턴부로서,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제2방향입력(M) 또는 제3방향입력(A)을 수행한 입력부(10)를 원래위치로 복귀하기 위해 마련된다.
그리고 제2방향입력(M)은 전술한 구조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1의 (a) 및 (b)는 본 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장치에서 제1방향입력(P), 제2방향입력(M) 및 제3방향입력(A)을 감지하기 위한 각 감지부의 배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감지부(50) 및 누름감지부(60)는 각 제1방향지시위치및 제2방향지시위치마다 마련될 수도 있고,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감지부(50)는 입력부(10)의 중앙에만 마련될 수도 있다.
도 11의 (a)의 경우, 제3방향입력(A)은 제1방향지시위치를 중심으로 방사방향(또는 반경방향)에 배치된 2개의 이동감지부(50a, 50c)에 의해 감지되며, 제1방향입력(P)은 누름감지부(60)에 의해, 제2방향입력(M)은 상기 방사방향에 직각인 원주방향으로 배치된 2개의 이동감지부(50b, 50d)에 의해 감지된다.
이 경우, 지지부(11)는 각 제1방향지시위치마다 마련될 수도 있다(도 11의 (a) 참조).
도 11의 (b)의 경우,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 배치된 4개의 이동감지부(50a, 50b, 50c, 50d)는 제2방향입력(M)과 제3방향입력(A)을 모두 감지한다.
즉, 각 이동감지부(50a, 50b, 50c, 50d)는 각 방사방향으로의 제3방향입 력(A)을 감지하는 동시에, P1 방향의 제1방향입력(P) 선택 후 제2방향입력(M)을 수행할 때는 도면부호 50b와 50d의 이동감지부(50)가 이를 감지하고, P2 방향의 제1방향입력(P) 선택 후 제2방향입력(M)을 수행할 때에는 도면부호 50a와 50c가 이를 감지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입력(C)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중앙입력(C)은, 입력부(10) 전체가 상하로 승강하면서 수행될 수도 있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의 중앙에 중앙입력키(30)를 마련할 수도 있으며, 상기 2가지 구성을 모두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기준위치에서 중앙입력(C)을 감지하는 중앙입력감지부(7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물론, 중앙입력(C)도 2단 이상의 다단입력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방향지시위치의 수를 더 늘린다면 1동작으로 입력할 수 있는 문자의 수는 무제한으로 확장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는 할당하고자 하는 문자의 수에 따라서 각 방향입력과 방향지시위치의 수를 자유롭게 설계변경하여 제작할 수 있으며, 할당되는 문자의 수가 증가하더라도 더 많은 입력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방향입력(P)을 2단으로, 제2방향입력(M)은 1단으로, 제3방향입력(A)은 2단으로 구성하는 경우에 상기 제2방 향입력(M) 및 제3방향입력(A)에 의해서는 자음문자가, 제1방향입력(P)에 의해서는 모음문자가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방향입력(M) 또는 제3방향입력(A) 중 어느 하나에는 모음문자가 배치되고, 그 나머지 방향입력에는 자음문자가 배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각 방향입력의 다단여부는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전술한 경우에 있어서, 제2방향입력(M)을 2단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는 각 방향입력마다 입력특성을 가지므로(즉, 제1방향입력(P)은 입력부(10)의 기울임 또는 방향누름버튼(15)의 선택, 제2방향입력(M)은 입력부(10)의 방사방향에 직각인 원주방향 이동 또는 입력부(10)의 회전, 제3방향입력(A)은 입력부(10)의 방사방향이동),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의 성격에 따라 배치한다면(즉, 제3방향입력(A)에는 자음문자, 제1방향입력(P)에는 모음문자 등), 사용자는 손쉽게 문자입력장치의 작동에 익숙해질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장치의 예이다.
도 13는 1단의 제1방향입력(P), 1단의 제2방향입력(M), 2단의 제3방향입력(A)과 중앙입력(C)이 조합된 상태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1방향입력(P) 및 중앙압력(C)에 모음문자가 배치되고, 나머지 제2방향입력(M) 및 제3방향입력(A)에는 자음문자가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이동감지부(50) 및 누름감지부(60)의 배치는 전술한 도 3의 두 가지 방식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고'를 입력하고자 한다면, 12시 방향의 1단의 제3방향입력(A) 수행 후 동일한 방향의 제1방향입력(P)을 수행하면 되고, '조'를 입력하고자 할 경우에는 12시 방향의 제1방향입력(P)을 수행한 상태에서 연이어 좌측으로 제2방향입력(M)을 수행하면 'ㅈ'이, 다시 기준위치에서 동일한 방향의 제1방향입력(P)을 수행하면 'ㅗ'가 입력되어 '조'가 입력되게 된다.
제1방향입력(P)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단 입력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의 입력부(10)는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지만,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도 16에 도시된 입력부(10)는 각 방향지시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주변입력키(10a, 10b, 10c, 10d)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각 주변입력키(10a, 10b, 10c, 10d)는 입력부(10) 본체와 분리되지 않고 일체로 형성된다.
이 경우, 제1방향입력(P) 및 제3방향입력(A)을 수행할 때 각 주변입력키(10a, 10b, 10c, 10d)가 입력부(10) 본체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것처럼 사용이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익숙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각 주변입력키(10a, 10b, 10c, 10d)의 상부에는 고무와 같은 미끄럼방지부재를 더 마련하여 보다 정확한 입력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 본체의 일측에 방향누름버 튼(15)도 있으며, 입력부(10) 주위에 기능키(123)를 배치할 수도 있다.
한편, 입력부(10)가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으로 마련되는 경우에는 이동감지부(50)를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주변입력키(10a, 10b, 10c, 10d)에 배치함으로써 제2방향입력(M) 및 제3방향입력(A)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0) 또는 입력부(10)에 각 방향입력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를 표시하는 문자표시부(80)를 더 마련할 수 있다.
문자표시부(80)는 다양한 방법으로 표시될 수 있으나, 각 방향입력 수행시의 입력부(10)의 입력동작에 대응하여 입력되는 문자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0)에는 각 제2방향지시위치에 대응하여 제3방향입력(A)에 의해 입력되는 제1문자(도 13에서 'ㄱ, ㅋ' 등)가 배치되고, 제1문자의 좌우에는 제2방향입력(M)에 의해 입력되는 제3문자(도 13에서 'ㅈ, ㅊ' 등)이 배치되며, 입력부(10)에는 각 제1방향지시위치에 대응하여 제1방향입력(P)에 의해 입력되는 제2문자(도 13에서 'ㅗ' 등)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문자의 배치가 입력동작과 대응하므로 사용자가 입력동작에 쉽게 적응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문자입력장치의 입력부(10)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입력부(10)에는 링형상을 따라 방사상으로 4개의 제1방향지시위치(P1, P2, P3, P4)가 마련되고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를 누름에 의해 제1방향입력(P)이 수행된다.
그리고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P1, P2, P3, P4)의 방사상으로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방향지시위치(M11,… M21,…, M31,…, M41,…)가 4개씩 마련되고 상기 제2방향지시위치로의 이동에 의해 제2방향입력(M)이 수행된다.
또한 상기 링형상의 입력부(10) 전체를 방사상으로 배치된 제3방향지시위치(A1, A2, A3, A4)로 이동시킴에 따라 제3방향입력(A)이 수행된다.
이러한 제1방향입력(P)과 제2방향입력(M) 및 제3방향입력(A)을 각각 감지하는 누름감지부(60), 이동감지부(50) 및 전체이동감지부(51, 도 18의 (c) 및 도 20 참조)는 전술된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것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에는 제2방향입력(M)과 제3방향입력(A)을 구분하기 위하여 구분감지부(65)가 구비된다. 즉, 도 1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 전체에 손가락을 얹으면, 각 제1방향지시위치의 구분감지부(65) 중 3개 이상이 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입력부(10) 전체를 방사상으로 이동하면, 제어부는 이러한 이동이 제3방향입력(A)으로 판단하여 상기 제3방향입력(A)이 수행되는 제3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문자를 추출한다.
한편, 도 1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위치에서 제2방향입력(M)을 수행하기 위해 특정 제1방향지시위치에 손가락을 얹으면, 각 제1방향지시위치의 구분 감지부(65) 중 1개 또는 2개에서 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하게 된다. 이때 1개의 구분감지부(65)에서만 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하면 상기 감지된 구분감지부(65)에 대응하는 제1방향지시위치로부터 제2방향입력(M)이 수행되는 것으로 판단하면 된다.
그런데 만일 2개의 구분감지부(65)에서 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하면 어떠한 구분감지부(65)에 대응하는 제1방향지시위치에서 제2방향입력(M)이 수행되는지를 결정하여야 한다. 이때는 손가락의 접촉을 먼저 감지한 구분감지부(65)에 대응하는 제1방향지시위치를 선택하거나, 제2방향입력(M)을 하기 위해 특정 제1방향지시위치에 압력이 더 가해지므로 이러한 압력을 감지하여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를 선택하여, 그 위치에서 제2방향지시위치가 수행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도, 제2방향입력(M)과 제3방향입력(A)에 동일한 문자세트가 할당될 수도 있다. 즉, 4방향의 제1방향지시위치에 각각 마련되는 4개의 제2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되는 문자세트와, 4방향의 제3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되는 문자세트가 동일하게 하여, 특정 방향으로의 제2방향입력(M)을 한 후에 바로 제3방향입력(A)을 함으로써, 서로 다른 2개의 제2방향입력(M)을 한 것도 동일한 결과를 달성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형상의 입력부(10)의 기준위치에 중앙입력키(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는 상기 중앙입력키(30)에 대해 방사방향으로 제4방향입력(C)을 수행하여 제1, 제2 및 제3방향입력(P, M, A)과는 다른 새로운 문자를 제4방향입력(C)에 의해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4방향입력(C)이란, 방사상 방향이동 또는 방향누름을 수행하는 것을 말하고, 중앙입력(C)의 한 형태이 므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이 경우, 각 제1방향지시위치에서 방사상으로 이동하며 입력하는 제2방향입력(M)과 상기 제4방향입력(C)에 할당된 문자가 같은 문자 세트이면, 중앙입력키(30)에 대해 이동하면서(제4방향입력(C)을 하면서) 링형상의 입력부(10)에 구비된 제1방향지시위치를 누르거나(제1방향입력(P)을 하거나), 반대로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를 누르고(제1방향입력(P)을 하고) 중앙입력키(30)에 대해 이동하여(제4방향입력을 하여) 입력을 수행할 수 있어, 이러한 조합으로 2개 음소의 연속입력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10)에 의하면, 매우 빠르고 편리하게 문자입력이 가능하다.
또한 도 19에 도시된 형태에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방향입력(M)과 제4방향입력(C)에 동일한 문자세트가 할당될 수도 있지만, 제2방향입력(M)과 제3방향입력(A)에 동일한 문자세트가 할당될 수도 있다. 즉, 4방향의 제1방향지시위치에 각각 마련되는 4개의 제2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되는 문자세트와, 4방향의 제3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되는 문자세트가 동일하게 하여, 특정 방향으로의 제2방향입력(M)을 한 후에 바로 제3방향입력(A)을 함으로써, 서로 다른 2개의 제2방향입력(M)을 한 것도 동일한 결과를 달성하게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는 방사상으로 4개의 제1방향지시위치가 배치되고, 각 제1방향지시위치에는 4개의 제2방향지시위치가 배치되어 각 지시위치에서의 입력이 가능하고, 중앙입력키(30) 및 입력부(10) 전체 이동을 통해 4방향의 입력이 가능하다. 그런데 상기 입력부(10)는 방사상 8방향에 제1방향지시위치를 배치하고 각 제1 방향지시위치에 8개의 제2방향지시위치를 배치하여 각 지시위치에서의 입력이 가능함과 아울러, 중앙입력키(30)를 이동하여 8방향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에는, 제1, 제2 및 제4방향입력(P, M, C)의 가짓수가 증가되었으므로, 입력부(10) 전체의 이동에 의한 제3방향입력(A)은 수행되지 않도록 마련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여기서도 제2방향입력(M)과 제4방향입력(C)에 동일한 문자세트를 할당하여 신속한 문자입력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만일 입력가능한 문자의 개수가 필요 개수보다 적다면, 상기 입력부(10)를 양벌로 구성하거나, 제1, 제2 및 제4방향입력(P, M, C)을 다단으로 구성하여 입력 문자의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중앙입력키(30)가 구비되는 경우에, 상기 입력부(10)는 하나의 손가락이 얹어질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구비되므로, 어떠한 입력동작이 각 제2방향지시위치로의 이동인 제1방향입력(P)인지, 제1방향지시위치를 누름에 의한 제2방향입력(M)인지, 입력부(10) 전체의 이동에 의한 제3방향입력(A)인지, 중앙입력키(30)의 방향이동에 의한 제4방향입력(C)인지를 구분하여야 한다. 즉, 손가락을 얹고 입력할 때와 중앙입력키(30)에서만 입력을 수행할 때 각 입력동작이 서로 간섭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키나 터치패드 등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10)가 구현될 때 입력부(10)에 손가락을 얹고 입력할 때 중앙입력키(30)가 간섭될 수 있다.
이러한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중앙입력키(30)와 링형상의 입력부(10)간에 높이차를 두거나, 구분감지 기능을 통하여 손가락을 얹고 입력할 때는 중앙입력키(30)에 의한 제4방향입력(C)은 간섭되더라도 무시하게 할 수 있다.
즉,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입력키(30)를 링형상의 입력부(10)보다 높이 H만큼 낮게 구성하면, 링형상의 입력부(10)에 대하여 제1, 제2 및 제3방향입력(P, M, A)을 수행할 때 중앙입력키(30)에 대한 제4방향입력(C)과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 이때 제4방향입력(C)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손가락을 세우는 등의 방법으로 중앙입력키(30)만을 손가락에 접촉하게 하여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중앙입력키(30)와 링형상의 입력부(10)는 하나의 손가락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분감지 기능을 위하여 각 제1방향지시위치(P1, P2, P3, P4) 및 중앙입력키(30)에 구분감지부(65)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는 중앙입력키(30)에 구비된 구분감지부(65)에서만 손가락의 접촉이 감지되면 중앙입력키(30)에 의한 제4방향입력으로 파악한다. 그리고 각 제1방향지시위치의 구분감지부(65) 중 2개 이상과 중앙입력키(30)에서 손가락의 접촉이 감지되면, 손가락이 입력부(10) 전체에 얹어진 것으로 판단하여 제3방향입력(A)으로 파악한다. 또한 각 제1방향지시위치의 구분감지부(65) 중 1개에서만 손가락의 접촉이 감지되면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에서 제2방향지시위치로 이동하는 제1방향입력(P) 또는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에서의 제1방향입력(P)으로 파악한다.
이와 같이 중앙입력키(30)가 구비된 링형상의 입력부(10)는, 마우스로도 기능할 수 있다. 즉, 중앙입력키(30)를 마우스포인터 이동에 사용하고, 링형상의 입력부(10)를 마우스의 좌버튼, 우버튼 및 상하 스크롤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손가락 접촉면적 범위 안에 중앙입력키(30)가 구비된 링형상의 입력부(10)가 들어오도록 마련해서 중앙입력키(30)의 포인터 이동과 링형상의 입력부(10)의 좌버튼 또는 우버튼을 함께 수행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동작에 의해 파일 끌기나 드래그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된 도면에서 미설명 도면부호 40은 리턴부로서,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제2방향입력(M) 또는 제3방향입력(A)을 수행한 입력부(10)를 원래위치로 복귀하기 위해 마련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입력부(10)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위치에 마련된 중앙 영역과, 상기 중앙 영역에 대해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중앙 영역과 탄성을 갖는 리턴부(40)에 의해 연결되는 복수의 주변입력키(10a, 10b, 10c, 10d)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중앙 영역에는 방향누름과 방향이동 중 하나 이상의 입력을 수행할 수 있는 중앙입력키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의 중앙 영역와 주변입력키(10a, 10b, 10c, 10d)를 포함한 입력부(10)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입력동작이 모두 구현가능하다.
특히, 각 제1방향지시위치에서 제2방향지시위치로 이동하여 입력하는 제2방향입력(M)은, 중앙 영역에 대해 내향 또는 외향입력시 입력부(10) 전체가 이동하며 이루어질 수도 있고, 각 주변입력키(10a, 10b, 10c, 10d)만 리턴부(40)의 탄성력에 의해 상하좌우로 이동하여 입력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주변입력키(10a, 10b, 10c, 10d) 중 하나의 주변입력키(10a)에 의한 제2방향입력(M)이 수행되면(도 22의 (a)에서의 ① 참조), 상기 주변입력키(10a)는 제2방향입력(M)이 수행되는 방향으로 기울어지고, 최초 상기 제2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문자 또는 상기 문자와 다른 제2의 문자가 상기 제2방향입력(M)이 수행된 지점을 중심으로 한 이동-제2방향지시위치(도 22의 (b)에서 10a 참조)에 새로이 표시된다. 이때 이 위치에서 상기 이동-제2방향지시위치에 대한 제2방향입력(M)에 의해 상기 제2의 문자 중 하나를 입력할 수 있다(도 22의 (b)에서의 ② 참조). 이러한 입력동작에 의해 상기 주변입력키(10a)는 도 22의 (b)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이동한다.
이러한 입력방식은, 주변입력키(10a, 10b, 10c, 10d)의 제1방향지시위치를 누름에 의한 제1방향입력(P)을 시작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즉, 제1방향입력(P)을 수행한 상태(도 23의 (a)에서의 ①)에서 제2방향입력(M)을 수행한 후(도 23의 (a)에서의 ②), 다시 제2방향입력(M)을 수행할 수 있다(도 23의 (b)에서의 ③ 참조). 이러한 입력동작에 의해 상기 주변입력키(10a)는 도 22의 (b)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이동한다. 이렇게 제1방향입력(P)이 포함되는 경우에는, 제2방향입력(M)만으로 이루어진 경우와 다른 문자가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연속된 동작으로 각기 다른 3개의 음소를 입력할 수 있어 매우 빠른 문자 입력이 가능해진다.
상기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는 통상적인 입력키 형태로 구 현될 수도 있으나, 터치패드나 터치스크린에서도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터치패드나 터치스크린은 제1, 제2 및 제3방향입력(P, M, A)을 감지할 수 있도록 접촉만이 아닌, 누름과 손가락의 수평방향으로의 가압이동을 감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의 상면은 이동 또는 누름입력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유동가능한 탄성체의 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장치가 장착된 휴대용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장치의 입력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한 변형형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의 입력부의 변형형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장치의 입력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의 제1방향입력, 제2방향입력 및 제3방향입력의 감지방법을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각 방향입력을 구별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장치가 터치패드 상에 구현된 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장치가 마우스로 사용되는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장치의 입력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의 제1방향입력, 제2방향입력 및 제3방향입 력의 감지방법을 도시한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의 평면도로서, 제2방향입력이 입력부의 회전에 의해 입력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문자가 배열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사시도,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18의 (c)는 도 18의 (b)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대한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 중앙입력키와 링형상의 입력부 간의 높이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22 및 도 23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서의 조합입력을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Claims (31)

  1.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된 제1방향지시위치들 중 하나를 방향누름하는 제1방향입력과, 상기 각 제1방향지시위치에서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 배치되는 제2방향지시위치들 중 하나로 방향이동하는 제2방향입력이 각각 수행가능하게 일체형으로 마련되는 입력부;
    상기 제1방향입력을 감지하는 누름감지부;
    상기 제2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이동감지부; 및
    상기 누름감지부 및 이동감지부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선택된 상기 각 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문자코드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입력과 제2방향입력을 조합하여 상기 제1방향입력 및 제2방향입력과 다른 문자가 할당되는 방향조합입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방향입력은 방사상 2방향 이상에 대해 각각 별도의 문자를 입력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 전체가 입력부에 대해 방사상으로 배치된 제3방향지시위치로 방향이동하여 상기 제3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문자를 입력하는 제3방향입력이 수행되며,
    상기 제3방향입력을 감지하기 위해 입력부의 일측 또는 입력부의 외부에 전체이동감지부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의 기준위치에는 방향누름과 방향이동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제4방향입력이 수행가능한 중앙입력키가 더 마련되고,
    상기 중앙입력키에는, 방향누름을 감지하기 위한 누름감지부와 방향이동을 감지하는 이동감지부 중 하나 이상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 이격 배치되는 링형상의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의 기준위치에는 방향누름과 방향이동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제4방향입력을 수행할 수 있는 중앙입력키가 더 마련되고,
    상기 중앙입력키에는, 방향누름을 감지하기 위한 누름감지부와 방향이동을 감지하는 이동감지부 중 하나 이상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기준위치에 마련된 중앙 영역과, 상기 중앙 영역에 대해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중앙 영역과 탄성을 갖는 리턴부에 의해 연결되는 복수의 주변입력키를 포함하고,
    상기 각 주변입력키에는 제1방향지시위치가 마련되어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를 방향누름에 의한 제1방향입력과,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에서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 배치되는 제2방향지시위치들 중 하나로 상기 중앙 영역에 대한 탄성체의 변형으로 방향이동하면서 이루어지는 제2방향입력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입력키에 의한 제2방향입력이 수행되면, 최초 상기 제2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문자 또는 상기 문자와 다른 제2의 문자가 상기 제2방향입력이 수행된 지점을 중심으로 한 이동-제2방향지시위치에 새로이 표시되고, 상기 이동-제2방향 지시위치에 대한 제2방향입력에 의해 상기 제2의 문자 중 하나를 입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입력키에 대한 제1방향입력, 제2방향입력 및 이동-제2방향입력의 조합에 의해 새롭게 할당된 제3의 문자를 입력하는 방향조합입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 전체가 입력부에 대해 방사상으로 배치된 제3방향지시위치로 방향이동하여 상기 제3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문자를 입력하는 제3방향입력이 수행되며,
    상기 제3방향입력을 감지하기 위해 입력부의 일측 또는 입력부의 외부에 전체이동감지부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제2방향지시위치에 대한 제2방향입력과 상기 입력부 전체의 방사상 방향이동에 의한 제4방향입력을 구분하기 위하여 각 제1방향지시위치에 대한 손가락의 접촉여부를 감지하는 구분감지부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제2방향지시위치에 대한 제2방향입력과 상기 입력부 전체의 방사상 방향이동에 의한 제4방향입력을 구분하기 위하여 기준위치에 대한 손가락의 접촉여부를 감지하는 중앙감지부가 기준위치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구분감지부와 중앙감지부는 3개 이상의 제1방향지시위치 또는 2개이상의 제1방향지시위치와 기준위치에 대해 손가락의 접촉이 감지되면, 상기 제4방향입력으로 판단하고, 2개 이하의 제1방향지시위치에 대해 손가락의 접촉이 감지되면, 접촉감지된 최선의 제1방향지시위치 주위의 제2방향지시위치에 대한 제2방향입력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15.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방향입력 수행 후, 상기 입력부를 원래위치로 복귀하게 하는 리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16. 자체에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1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1방향입력과, 상기 각 제1방향지시위치에서 원주방향으로 배치된 제2방 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제2방향입력과, 전체가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된 복수의 제3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제3방향입력이 각각 수행가능하게 마련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의 제2방향입력과 제3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이동감지부;
    상기 제1방향입력을 감지하는 누름감지부; 및
    상기 이동감지부 및 누름감지부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선택된 상기 각 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문자코드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3방향입력은 상기 각 제3방향지시위치에 따라 상기 입력부의 이동거리를 달리하여 2단 이상의 다단입력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입력은, 상기 입력부가 상기 각 제1방향지시위치를 향하여 기울어지거나, 상기 입력부에 상기 각 제1방향지시위치에 대응하여 마련된 방향누름버튼을 선택하는 것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입력은, 상기 입력부의 기울임각도, 상기 방향누름버튼의 누름거리 또는 누름세기에 따라 2단 이상의 다단입력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방향입력은 상기 입력부가 상기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좌우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회전거리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 각각 2단 이상의 다단입력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 전체가 상하방향으로 승강 또는 상기 입력부에 마련된 중앙입력키를 선택하는 것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수행되는 중앙입력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입력은 승강거리의 차이, 상기 중앙입력키의 누름거리 또는 누름압 력의 차이에 따라 2단 이상의 다단입력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24. 제16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방향입력 중 어느 하나에 의해서는 모음문자가 입력되고, 나머지에 의해서 자음문자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25. 제16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문자가 배치되고 남은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 제2방향지시위치 또는 제3방향지시위치에는 모드변경, 기호, 숫자, 엔터, 스페이스 또는 입력취소 등이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26. 제16항, 제17항 또는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방향입력 수행 후, 상기 입력부를 상기 기준위치로 복귀하게 하는 리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2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 또는 상기 입력부가 장착된 케이스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각 방향입력의 수행시 상기 입력부의 입력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각 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문자가 분할 배치되는 문자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문자입력장치.
  28. 제16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방향입력 및 제3방향입력에 의해서는 자음문자가, 상기 제1방향입력에 의해서는 모음문자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2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감지부는 상기 각 제1방향지시위치에 대응하여 각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30.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는 서로 대향하여 마련된 복수의 고정지지부와, 상기 고정지지부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입력부를 따라 회전하며 상기 복수의 고정지지부 중 어느 하나에 접촉되는 회전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감지부는 상기 고정지지부 또는 회전지지부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고정지지부 및 회전지지부의 접촉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3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된 접촉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동감지부는 상기 접촉돌기에 회전경로 상에 마련되어 상기 지지부가 상기 입력부를 따라 회전할 때 상기 접촉돌기의 접촉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KR1020080022230A 2007-03-08 2008-03-10 문자입력장치 KR200800825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2807 2007-03-08
KR20070022807 2007-03-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2551A true KR20080082551A (ko) 2008-09-11

Family

ID=39738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2230A KR20080082551A (ko) 2007-03-08 2008-03-10 문자입력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00026625A1 (ko)
EP (1) EP2119021A4 (ko)
JP (1) JP2010520548A (ko)
KR (1) KR20080082551A (ko)
CN (1) CN101627549A (ko)
WO (1) WO20081086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47202A (zh) * 2008-03-31 2011-05-04 吴谊镇 数据输入装置
US11422695B2 (en) * 2013-03-27 2022-08-2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Radial based user interface on touch sensitive screen
CN112947036B (zh) * 2021-02-01 2022-01-2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可穿戴设备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844575C2 (de) * 1978-10-13 1980-12-04 Rudolf Schadow Gmbh, 1000 Berlin Eingabevorrichtung
JPH0377222A (ja) * 1989-08-17 1991-04-02 Sony Corp 入力装置
US5543588A (en) * 1992-06-08 1996-08-06 Synaptics, Incorporated Touch pad driven handheld computing device
US5808567A (en) * 1993-05-17 1998-09-15 Dsi Datotech Systems, Inc. Apparatus and method of communicating using three digits of a hand
US5483235A (en) * 1994-02-23 1996-01-09 At&T Corp. Stylus-based keyboard key arrangement
US6307942B1 (en) * 1995-09-02 2001-10-23 New Transducers Limited Panel-form microphones
CN1137427C (zh) * 1995-12-28 2004-02-04 株式会社吉姆帝王 字符输入装置
US5945928A (en) * 1998-01-20 1999-08-31 Tegic Communication, Inc. Reduced keyboard disambiguating system for the Korean language
JP3191284B2 (ja) * 1998-06-23 2001-07-23 日本電気株式会社 文字入力装置
JP3597060B2 (ja) * 1998-11-10 2004-12-02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端末用日本語文字入力装置と文字入力方法
JP2000267786A (ja) * 1999-03-16 2000-09-29 Ntt Docomo Inc 情報通信機器
KR100285312B1 (ko) * 1999-03-29 2001-03-15 윤종용 무선 단말기에서 문자입력 방법
US6378234B1 (en) * 1999-04-09 2002-04-30 Ching-Hsing Luo Sequential stroke keyboard
US7286115B2 (en) * 2000-05-26 2007-10-23 Tegic Communications, Inc. Directional input system with automatic correction
AU3406801A (en) * 2000-01-26 2001-08-07 D'agostini Organizzazione S.R.L. Character input device based on a two-dimensional movement sensor
US6593913B1 (en) * 2000-03-14 2003-07-15 Jellyvision, Inc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a displayed character using an input device
JP2001331272A (ja) * 2000-05-24 2001-11-30 Alps Electric Co Ltd 文字入力装置
US6756968B2 (en) * 2000-11-14 2004-06-29 Keybowl, Inc. Ergonomic human-computer input device
US7151525B2 (en) * 2000-11-14 2006-12-19 Keybowl,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data signals
US7262762B2 (en) * 2000-11-14 2007-08-28 Keybowl,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data signals
FI20010227A (fi) * 2001-02-07 2001-06-08 Tapio Saviranta Nopeatoiminen näppäimistö
EP1380927B1 (en) * 2001-04-19 2008-12-31 Asahi Kasei EMD Corporation Pointing device
KR100396518B1 (ko) * 2001-07-27 2003-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원 키 데이터 입력 장치 및 이를 채용한 휴대용 단말기
EP2793101A3 (en) * 2001-11-01 2015-04-29 Immersio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actile feedback sensations
US7075520B2 (en) * 2001-12-12 2006-07-11 Zi Technology Corporation Ltd Key press disambiguation using a keypad of multidirectional keys
KR20030073477A (ko) * 2002-03-11 2003-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
JP2003297172A (ja) * 2002-03-29 2003-10-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機器
JP2004127088A (ja) * 2002-10-04 2004-04-22 Aruze Corp 携帯機器
KR200313336Y1 (ko) * 2003-02-17 2003-05-16 문순성 다중버튼을 갖는 다이얼패드
KR20030036586A (ko) * 2003-04-23 2003-05-09 김홍경 스피드 키 패드
WO2005064804A1 (en) * 2003-12-30 2005-07-14 Jongtae Park Data input apparatus and data input method using the same
KR20050110329A (ko) * 2004-05-18 2005-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 및 그 입력방법
JP2006178755A (ja) * 2004-12-22 2006-07-06 Hitachi Ltd 文字入力方法および文字入力装置
US7710403B2 (en) * 2005-04-26 2010-05-04 Avago Technologies Ecbu Ip (Singapore) Pte. Ltd. Slide pad membrane
KR20060119527A (ko) * 2005-05-20 2006-11-24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에서 슬라이드 방식으로 문자 메시지를입력하는 시스템, 방법 및 무선 단말기
US9182837B2 (en) * 2005-11-28 2015-11-10 Synaptics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implementing modal changes in a device in response to proximity and force indications
US7793228B2 (en) * 2006-10-13 2010-09-07 Apple Inc. Method, system,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text entry with partial word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27549A (zh) 2010-01-13
EP2119021A1 (en) 2009-11-18
JP2010520548A (ja) 2010-06-10
US20100026625A1 (en) 2010-02-04
WO2008108610A1 (en) 2008-09-12
EP2119021A4 (en) 2011-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6370B1 (ko) 데이터입력장치
JP4909355B2 (ja) 文字入力装置
JP5097775B2 (ja) 文字入力装置
US8525779B2 (en) Character input device
JP2010507861A (ja) 入力装置
KR20090059079A (ko) 데이터입력장치
US20100265201A1 (en) Data input device
KR20080010266A (ko) 문자입력장치
JP5124574B2 (ja) 文字入力装置
KR20080050351A (ko) 데이터입력장치
KR20080095811A (ko) 문자입력장치
KR100835337B1 (ko) 문자입력장치 및 그 방법
JP2010518529A (ja) 文字入力装置
KR20080082551A (ko) 문자입력장치
KR100994362B1 (ko) 데이터 입력장치
KR101136367B1 (ko) 입력장치 및 문자입력방법
RU2450318C2 (ru) Устройство ввода символов и способ его применения
KR20080070110A (ko) 문자입력장치
KR20090112196A (ko) 문자입력장치
KR20080075669A (ko) 문자입력장치
KR20090112197A (ko) 문자입력장치
KR20090037651A (ko) 데이터 입력장치
KR20080076860A (ko) 데이터 입력장치
KR20080075675A (ko) 문자입력장치
KR20080099760A (ko) 문자입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