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2197A - 문자입력장치 - Google Patents

문자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2197A
KR20090112197A KR1020080037942A KR20080037942A KR20090112197A KR 20090112197 A KR20090112197 A KR 20090112197A KR 1020080037942 A KR1020080037942 A KR 1020080037942A KR 20080037942 A KR20080037942 A KR 20080037942A KR 20090112197 A KR20090112197 A KR 200901121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character
key
unit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7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의진
Original Assignee
오의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의진 filed Critical 오의진
Priority to KR1020080037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12197A/ko
Publication of KR20090112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21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05Lever arrangements for operating keyboard cursor control keys in a joystick-like mann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38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limited linear or angular displacement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from a neutral position, e.g. isotonic or isometric joysti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방향성 입력키를 구비하는 문자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중앙으로부터 4 방사방향으로 상호 균일한 이격거리를 가지며 배치된 4 개의 입력키를 포함하되, 상기 각 입력키는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방향지시위치를 향하여 이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각 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문자를 입력하는 방향이동입력이 수행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4개의 입력키(또는 중앙입력키를 추가하여)로 문자, 숫자, 기호 등을 모두 1동작에 의하여 입력할 수 있으므로, 문자입력에 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신속하고 정확한 문자입력이 가능하다. 또한, 각 입력키에 배열되는 문자를 입력키의 이동방향에 따라 분할하여 배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입력키의 동작에 쉽게 익숙해질 수 있어 효과적인 문자입력이 가능하다.
문자 입력장치

Description

문자입력장치{CHARACTER INPUT DEVICE}
본 발명은 문자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최소한의 입력키로 문자, 숫자, 기호 등을 1 동작에 의하여 입력할 수 있어 문자입력의 효율성을 향상시킨 문자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프트웨어와 반도체기술 및 정보처리기술의 발달로 정보기기가 점점 소형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정보기기에서의 문자입력량과 중요도가 날로 커지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정보기기에서 각종 문자나 명령어 입력에 많은 문제점이 드러나고 있다. 예컨대, PC(Personal Computer) 또는 노트북(NoteBook)에 사용되는 키보드와 같은 입력장치는 크기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어 이들 정보기기를 소형화하는데 어려움이 따르고, PDA(Personal Data Assistant)에서 사용하는 터치스크린 방식이나 휴대폰에서 사용하는 키패드 방식에서는 입력속도가 느리고 잘못 입력되는 경우가 많아 불편한 점이 있다.
전술한 PC, 노트북, PDA 또는 휴대폰 등의 정보기기에서 더욱 빠른 속도로 문자, 숫자 또는 기호 등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1회의 입력동작에 1개의 음소(문자)가 입력되는 소위 1타 1 음소입력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고, 이러한 1타 1 음소입력이 한 글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24개 이상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버튼이나 입력키가 정보기기에 배열될 필요가 있다. 입력의 대상이 되는 언어가 영어나 일본어 또는 기타 외국어인 경우에는 한글의 경우보다 더 많은 버튼이나 입력키를 증설해야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각종 정보기기에서 사용하는 종래의 입력장치는 각각의 입력키에 문자를 할당하고 손가락으로 두드리거나 눌러서 입력하는 방식이므로 입력키의 배열면적이 좁은 휴대폰과 같은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에는 손가락 크기의 입력키를 24개 이상 배열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각각의 입력키가 방향성 입력이 된다면 좁은 공간에서 보다 많은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을 것이고, 이와 관련하여 한국 특허출원 제10-2004-79085호와 같은, 단말기(1)에서 다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키(3)를 구성한 단말기의 슬라이딩 키 장치가 출원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슬라이딩 키 장치는, 휴대폰 키패드의 각각의 입력키가 방향성 입력이 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방향성 입력키가 많을 뿐만 아니라, 종횡방향으로 밀집 배치되어 있어 입력의 정확도가 떨어지고 매우 불편하다. 예를 들어, 1번의 입력키를 북으로 이동입력하고, 8번의 입력키를 남으로 또는 9번의 입력키를 서로 입력할 경우에는 키패드판을 보면서 입력해야 할 뿐만 아니라, 입력하더라도 빠르고 정확한 입력을 수행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손가락 크기의 입력키를 24개 이상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에 배열하기 어려운 점이 지금까지 키보드가 소형화되기 어려운 이유였으며, 휴대폰의 경우에는 단지 12개의 버튼으로 24자 이상의 한글 문자를 모두 입력하다 보니 1개의 버튼에 다 수개의 문자를 중복 배열하는 것이 불가피하고 이로 인해 하나의 문자(음소)를 입력하기 위해 두 번, 세 번 반복하여 입력하는 반복입력현상이 자주 발생하였다. 따라서, 그만큼 입력이 느려지고 불편한 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천지인과 같이 소정의 문자를 조합하여 입력하는 문자입력방식이 제안되기도 했지만, 이 방식에 의해서도 반복입력현상은 해소되지 못하였다.
또한, 둘둘 말아서 휴대할 수 있는 키보드나, 키보드 자판의 이미지를 바닥에 영사하고 그 위에서 손가락으로 키보드를 입력하는 것과 같은 동작을 취하면 손가락의 위치를 감지하여 입력이 이루어지는 가상레이저 키보드 등의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류의 입력장치는 항상 휴대하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바닥에 놓인 상태에서만 입력이 가능하므로 이동 중에 손으로 들고 입력할 필요가 있는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에는 적용하기가 부적합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최소한의 입력키로 문자, 숫자, 기호 등을 1 동작에 의하여 입력할 수 있어 입력에 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하면서도 신속하고 정확한 문자입력이 가능한 문자입력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의 인방향과 아웃방향을 구별가능하여 협소한 면적에서도 정확한 데이터의 입력이 가능한 문자입력장치를 제공함에 있다.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반복입력이 필요하지 않고 스침입력이 가능하여 데이터를 빠르게 입력할 수 있으며, 입력을 위한 이동 범위가 좁아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한 입력의 오작동을 방지하여 데이터를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는 문자입력장치를 제공함에 있다.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협소한 면적 내에서도 많은 양의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고 다양한 정보기기에 적용되어 상기 정보기기의 경량화 및 소형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문자입력장치를 제공함에 있다.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방향성 입력이 가능한 복수의 입력키를 동서남북 4방향 등 방사상 형태로 배치하여 각 입력키로 다양한 문자입력을 수행할 수 있는 문자입력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다수의 방향성 입력키를 구비하는 문자입력장치에 있어서, 중앙으로부터 4 방사방향으로 상호 균일한 이격거리를 가지며 배치된 4 개의 입력키를 포함하되, 상기 각 입력키는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방향지시위치를 향하여 이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각 방향지시위치에 할 당된 문자를 입력하는 방향이동입력이 수행가능하게 마련되는 입력수단을 포함하는 문자입력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입력수단은 입력키에 의해 구현되는 것으로, 스틱타입이나 슬라이딩 버튼타입으로 마련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입력수단은 이하의 실시예에서 입력부로서 설명될 것이다.
상기 방향이동입력은 상기 각 입력키의 이동거리에 따라 2 단 이상의 다단입력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각 입력키는 입력키 전체가 상하로 이동하는 방향누름입력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방향누름입력은 상기 각 입력키의 누름거리 또는 누름압력의 차이 중 어느 하나에 따라 2 단 이상의 다단입력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방향이동입력에 의해서는 자음문자가, 상기 방향누름입력에 의해서는 모음문자가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중앙에 마련되며 상기 방향이동입력 또는 방향누름입력 중 하나 이상이 수행되는 중앙입력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앙입력키는 2단 이상의 다단입력이 수행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4개의 입력키의 방향이동입력에 의해서는 자음문자가, 상기 중앙입력키의 방향이동입력에 의해서는 모음문자가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입력키는 5개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입력키는 상기 중앙으로부터 소정의 반경을 갖는 원에 상호 균일한 이격거리 로 배치되며, 상기 각 입력키가 상기 원의 반경방향으로의 방향이동입력에 의해서는 모음문자가, 상기 반경방향의 가로방향으로의 방향이동입력에 의해서는 자음문자가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입력키는 상기 중앙으로부터 소정의 반경을 갖는 원에 상호 균일한 이격거리로 배치되며, 상기 각 입력키가 상기 원의 반경방향으로의 방향이동입력에 의해서는 자음문자가, 상기 반경방향의 가로방향으로의 방향이동입력에 의해서는 모음문자가 입력될 수 있다.
상기 각 입력키의 전/후 방향으로의 방향이동입력에 의해서는 자음문자가, 좌/우 방향으로의 방향이동입력에 의해서는 모음문자가 입력될 수 있다.
상기 각 입력키의 전/후 방향으로의 방향이동입력에 의해서는 모음문자가, 좌/우 방향으로의 방향이동입력에 의해서는 자음문자가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입력키는 상기 기준위치에서 상기 각 방향지시위치를 향하여 기울임이 가능한 스틱타입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입력키는 상기 기준위치에서 상기 각 방향지시위치를 향하여 수평이동이 가능한 슬라이딩버튼 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입력키가 상기 방향이동입력을 수행한 후 상기 기준위치로 복귀하게 하는 리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입력키 또는 상기 중앙입력키로 구성된 문자입력장치가 좌우 2벌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방향이동입력, 방향누름입력 또는 중앙입력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자음문자가 입력될 수 있다.
상기 방향이동입력은 상기 방사방향으로 2단입력, 상기 방사방향의 가로방향으로 1단입력이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방향누름입력은 2단 입력으로 마련되되, 상기 방향이동입력에 의해서는 자음문자가, 상기 방향누름입력에 의해서는 모음문자가 입력될 수 있다.
상기 방향이동입력은 상기 방사방향의 가로방향으로 1단입력이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방향누름입력은 2단입력으로, 상기 중앙입력은 각 방사방향으로 2단입력이 가능하게 마련되되, 상기 방향누름입력에 의해서는 모음문자가, 상기 방향이동입력 및 상기 중앙입력에 의해서는 자음문자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향이동입력은, 상기 각 입력키를 누른 상태 및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각 입력키의 이동거리에 따라 각각 별도의 2단 이상의 다단입력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각 입력키는 입력키 전체가 상하로 이동하는 방향누름입력이 가능하게 마련된다.
또한 상기 방향누름입력은 상기 각 입력키의 누름거리 또는 누름압력의 차이 중 어느 하나에 따라 2단 이상의 다단입력이 가능하게 마련된다.
상기 중앙에 마련되며 상기 방향이동입력 또는 전체가 상하로 이동하는 방향누름입력 중 하나 이상이 수행되는 중앙입력키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문자입력장치는 신호에 의해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수단, 상기 입력수단의 신호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를 통해 감지되는 신호 중 유효한 신호를 판단하여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문자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은 기준이 되는 제 1 입력부, 및 상기 제 1 입력부의 방사상 방향으로 형성되며 복수열의 배열문자가 배치되는 제 2 입력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 1 입력부 또는 제 2 입력부는 방향이동입력이 가능하고 누름입력이 가능하여 상기 방향이동입력 또는 누름입력을 통해 각각 해당위치의 배열문자에 포함되는 특정 데이터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입력수단, 제 1 입력부 및 제 2 입력부는, 이하에서 설명될 실시예에서는 각각 입력부, 중앙입력키 및 상기 중앙입력키 주위로 배열되는 입력키로서 설명될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입력부 또는 제 2 입력부의 방향이동입력은 각각 서로 구별되는 2가지의 신호에 의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 때 상기 제 2 입력부의 방향이동입력은 짧은 이동거리를 갖는 신호와 긴 이동거리를 갖는 신호로 구별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입력부 또는 제 2 입력부의 누름입력은 각각 서로 구별되는 2가지의 신호에 의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 2 입력부의 방향이동입력은 제 1 입력부를 향한 인(In)방향과 제 1 입력부의 반대방향을 향한 아웃(Out)방향의 구별이 가능하며 상기 인방향과 아웃방향을 근거로 하여 각각 해당위치의 배열문자에 포함되는 특정 데이터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2 입력부의 방향이동입력을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는 자음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 1 입력부의 방향이동입력을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는 모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 입력부는 각각 방사방향의 4가지 신호 중에 상기 인방향과 아웃방향을 제외한 다른 2 방향의 신호를 통해 문자, 숫자 또는 기호와 같은 데이터가 입력되거나 모드변경, 취소, 엔터 또는 스페이스와 같은 기능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 1 입력부 또는 제 2 입력부의 누름입력을 통해 문자, 숫자 또는 기호와 같은 데이터가 입력되거나 모드변경, 취소, 엔터 또는 스페이스와 같은 기능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자입력장치는 상기 제 1 입력부 및 제 2 입력부는 각각 별도의 키로 형성되는 입력키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각각의 키는 디바이스 포인터일 수 있으며, 상기 제 2 입력부는 입력되는 신호의 입력길이를 용이하게 구별하기 위한 돌기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술한 바와 같은 문자입력장치는 상기 입력수단이 터치스크린 상에 구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력수단이 터치스크린 상에 구현할 경우, 상기 입력수단의 제 1 입력부는 스크린 상에 기준을 나타내기 위한 작은 점형태로 구현되며, 상기 제 2 입력부는 상기 제 1 입력부 주변에 방사방향의 일정 영역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입력수단은 스크린 상에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입력수단의 이동은 상기 제 1 입력부 또는 제 2 입력부를 소정시간 내에 두 번 클릭한 후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장치는 스크린의 일측에 상기 제 1 입력부를 옮겨 놓을 수 있는 대기영역이 존재하고, 상기 제 1 입력부를 상기 대기영역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제 2 입력부의 영역은 사라지 며, 상기 제 1 입력부가 대기영역을 벗어나도록 이동시키면 상기 제 2 입력부의 영역이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2 입력부는 투명도의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터치스크린 뿐만 아니라, 터치패드 또는 터치키패드 상에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문자입력장치는 신호에 의해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수단, 상기 입력수단의 신호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를 통해 감지되는 신호 중 유효한 신호를 판단하여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문자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은 기준이 되는 제 1 입력부, 및 상기 제 1 입력부의 방사상 방향으로 형성되며 복수열의 배열문자가 배치되는 제 2 입력부가 일체형인 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입력부 또는 제 2 입력부는 방향이동입력이 가능하고 누름입력이 가능하여 상기 방향이동입력 또는 누름입력을 통해 각각 해당위치의 배열문자에 포함되는 특정 데이터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판은 방사상 방향으로 수평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1 입력부 또는 제 2 입력부의 방향이동입력은 각각 서로 구별되는 2가지의 신호에 의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 1 입력부 또는 제 2 입력부의 누름입력은 각각 서로 구별되는 2가지의 신호에 의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 2 입력부의 방향이동입력은 제 1 입력부를 향한 인(In)방향과 제 1 입력부의 반대방향을 향한 아웃(Out)방향의 구별이 가능하며 상기 인방향과 아웃방향을 근거로 하여 각각 해당위치의 배열문자에 포함되는 특정 데이터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 2 입력부의 신호만 감지될 경우 상기 신호는 아웃방향의 신호로 판단하며, 상기 제 2 입력부의 신호가 감지되고 소정시간 내에 상기 제 1 입력부의 신호가 함께 감지될 경우 상기 신호는 인방향의 신호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 1 입력부의 방향이동입력을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는 모음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2 입력부의 방향이동입력을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는 자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 입력부는 원주방향의 연속적인 신호를 통해 볼륨 조절, 또는 마우스의 스크롤 기능이 수행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입력수단은 상기 제 2 입력부의 주변에 원호방향으로 제 3 입력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에 의하면, 4개의 입력키(또는 중앙입력키를 추가하여)로 문자, 숫자, 기호 등을 모두 1동작에 의하여 입력할 수 있으므로, 문자입력에 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신속하고 정확한 문자입력이 가능하다. 또한, 각 입력키에 배열되는 문자를 입력키의 이동방향에 따라 분할하여 배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입력키의 동작에 쉽게 익숙해질 수 있어 효과적인 문자입력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입력부와 제 2 입력부의 동시 동작을 이용하여 협소한 면적 내에서도 많은 양의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으며, 연속된 입력동작으로 반복동작이 불필요하게 되어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정확한 데이터의 입력이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그리고 본 발명 에 따르면 간단한 구성과 사용방법으로 인해 데이터 입력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으며 다양한 정보기기에 적용가능하여 상기 정보기기의 경량화 및 소형화를 이룰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방향성 입력이 가능한 복수의 입력키를 동서남북 4방향 등 방사상 형태로 배치하여 각 입력키로 다양한 문자입력을 수행할 수 있음으로써, 입력키 자판을 보지 않고서도 각각의 방향성 입력키를 소정의 방향으로 번갈아가며 스치듯이 매우 빠르고 정확한 입력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은, 동서남북의 4방향 또는 상하/좌우의 2방향 등 각각의 방향성 입력키를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 형태로 위치시킴으로써, 1동작 1음소 입력이 가능하도록 개량되고, 빠르고 정확한 문자입력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 별도로 정의하지 아니한 모든 기술용어와 과학적인 관련용어는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용되는 통상적인 의미를 나타낸다. 그러나, 아래 용어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명확히 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용어의 정의
1) 본 명세서에서 "방향이동입력(M, 도 1참조)"이라 함은, 본 발명의 문자입력장치에서의 입력부(1)에 구비된 입력키(10', 도 3 참조) 전체를 동일 평면상에서 임의 방향으로 위치이동(수평 또는 슬라이딩 이동) 시키거나(도 3 내지 도 5 참조) 또는 조이스틱과 같은 스틱형 입력키(10)를 임의 각도 또는 방향으로 기울이는 등(도 1 및 도 2 참조) 입력키(10)를 이동시켜 사용자가 의도한 문자, 숫자 또는 기호 등을 입력하는 것으로 한다.
그러나, 입력키(10)의 동작형태는 전술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외에도 입력키(10)를 탄성(유동성)이 있는 소재로 제작하고 입력키(10)의 미미한 유동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수단을 마련할 수도 있다.
상기의 경우, 입력키(10)에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힘을 가했을 때 입력키(10)의 전체적인 위치는 이동되지 않더라도 제어부(40)에는 입력키(10)가 이동하여 입력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방향이동입력(M)"이란 입력부(10)의 동작 및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입력키(10)를 수평방향 또는 수평에 가까운 횡 방향으로 미는(또는 힘을 가하는) 행위를 포함하여 결과적으로 상기 문자입력장치의 제어부에 입력키(10)이 이동입력 되어진 결과를 가져다주는 모든 동작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2) 본 명세서에서 "방향누름입력(P)"이란, 입력키(10) 전체를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동작을 통하여 사용자가 의도한 문자, 숫자 또는 기호를 입력하는 것으로 한다.
3) 본 명세서에서 "모음"이란, 외국어의 경우 발음이 한글모음에 해당하거나 언어학상의 분류기준에 따라 동 외국어의 알파벳을 2종류로 나누었을 때 상대적으로 개수가 적은 알파벳 집단에 속하는 것으로 한다.
4) 한편, 본 명세서에서 "문자"라 함은 한글문자, 영어문자 또는 일본어 문자 등 각국 언어에 따른 좁은 의미의 문자를 의미하는 것 이외에 숫자, 기호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의 제1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에서 입력부(1)는 중앙으로부터 4 방사방향으로 상호 균일한 이격거리를 가지며 배치된 4개의 입력키(10)를 포함하되, 각 입력키(10)는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방향지시위치(M1, M2, M3, M4, 도 6 참조)를 향하여 이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각 방향지시위치(M1, M2, M3, M4)에 할당된 문자를 입력하는 방향이동입력(M)이 수행가능하게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방향이동입력(M)을 감지하는 이동감지부(61, 도 2 참조)와, 이동감지부(61)의 감지결과에 대응하여, 입력키(10)가 감지된 위치에 대응하는 각 방향지시위치(M1, M2, M3, M4)에 할당된 문자를 메모리부(45)로부터 추출하여 입력하는 제어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40)에 의해 추출된 문자가 표시되는 표시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는 본 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장치에서의 입력부(1)를 도시한 사시도이 다.
도면을 참조하면, 케이스(2)의 중앙에는 중앙입력키(30)가 마련되어 있으며, 중앙입력키(30)를 중심으로 소정의 반경을 갖는 원을 따라 4개의 입력키(10)가 상호 균일한 이격거리를 가지며 배치되어 있다.
입력키(10)는 다양한 모양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입력키(30)를 중심으로 하여 12시방향, 3시방향, 6시방향, 9시방향에 순차적으로 제1입력키(11), 제2입력키(12), 제3입력키(13), 제4입력키(14)가 배열될 수 있다.
입력키(10)는 전술한 방향이동입력(M) 및 방향누름입력(P)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한,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틱타입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버튼 타입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키(10)는 캡(10a)과, 캡(10a)의 내부에 삽입되며 케이스(2)를 향하여 연장되는 지지봉(10b)과, 지지봉(10b)에 지지되어 기울임시 이동감지부(61)에 접촉되는 액츄에이터(10c)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키(10)는 코일스프링과 같은 리턴부재(70)에 의해 케이스(2)에 지지되어 각 방사방향으로 기울임이 가능하게 마련된다.
액츄에이터(10c) 및 이동감지부(61)는 각 방향지시위치(M1, M2, M3, M4)에 대응하여 각 방사위치에 마련되어 있어서, 액츄에이터(10c)와 이동감지부(61)의 접촉된 위치로부터 입력키(10)가 어느 방향으로 기울여졌는지를 알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40)는 접촉이 감지된 위치에 대응하는 방향지시위치(M1, M2, M3, M4)에 할당된 문자코드를 메모리부(45)로부터 추출하여 입력한다.
지지봉(10b)의 하부에는 캡(10a)의 승강을 감지하는 누름감지부(65)가 마련되어 있다. 누름감지부(65)는 방향누름입력(P) 수행시 지지봉(10b)이 하강하여 접촉되면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40)로 검출결과를 송신한다.
전술한 이동감지부(61) 및 누름감지부(65)는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접촉센서 또는 압력센서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방향이동입력(M) 및 방향누름입력(P)은 2단 이상의 다단으로 마련될 수도 있는데, 스틱타입의 경우 이동감지부(61)는 액츄에이터(10c)의 기울임정도를 감지하는 광센서를 마련할 수도 있고, 누름감지부(65)는 누름거리나 누름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로 마련할 수도 있다.
리턴부재(70)는 입력키(10)가 방향이동입력(M)이 수행된 후에 기준위치로 복귀하도록 마련된다.
리턴부재(70)는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스틱타입의 입력키(10)는 리턴부재(70)의 복원력에 의해 방향이동입력(M)이 수행된 후에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입력키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입력키(1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버튼방식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슬라이딩버튼(10a)의 하부에는 슬라이딩버튼(10a)을 케이스(2)로부터 소정간격으로 이격시키는 지지부(10b)가 마련되며, 지지부(10b)의 하부에는 방향누름입력(P)이 수행될 때 케이스(2)에 접촉되어 이를 감지하는 누름감지부(65)가 마련되어 있다. 이 경우, 지지부(10b)는 소정의 탄성을 갖는 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라이딩버튼(10a) 방식의 경우, 방향이동입력(M)을 감지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버튼(10a)의 하부에 터치패드(5)를 마련하고 슬라이딩버튼(10a)과 함께 이동하는 지지부(10b)의 접촉위치를 감지할 수도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0b)의 이동경로 상에 접촉센서와 같은 이동감지부(61)를 마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다단의 방향이동입력(M)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이동경로 상에 2 이상의 이동감지부(61)를 순차적으로 배치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한편, 탄성재질을 포함하고, 지지부(10b)와 케이스(2) 사이에 마련되어 방향이동입력(M)이 수행된 입력키(10')를 기준위치로 복귀하게 하는 리턴부재(7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입력키(10)의 경우, 방향누름입력(P)을 수행하기 위해서 슬라이딩버튼(10a)의 내부에 누름감지부(65)를 마련하고, 슬라이딩버튼(10a)이 승강할 때 지지부(10b)에 접촉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중앙입력키(30)는 전술한 입력키(10 또는 1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입력키(10)의 설명으로 갈음하기로 한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문자입력장치의 변형예이다. 즉, 도 4에서의 각 입력키(10)는 상하좌우 4방향으로 방향이동입력이 가능하지만, 도 7에서의 각 입력키(10)는 내향방향 및 외향방향으로의 방향이동입력이 가능하다. 이때 도 7에서의 각 입력키도 도 4에서와 같이 방향누름입력을 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도 7에서는 입력키가 내향방향 및 외향방향으로의 방향이동입력과 방향누름입력을 하므로, 입력문자의 개수를 늘리기 위하여 양벌로 구비되어 있다.
한편, 각 입력키가 중앙입력키를 중심으로 4방향에 배열되어 있으나, 5방향, 6방향, 7방향 및 8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하에서는,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전술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중앙입력키(30)가 마련되지 않은 경우를 나타낸 것이고, 도 9는 중앙입력키(30)가 마련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입력키(1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로 마련되며, 각각 복수의 방향지시위치(M1, M2, M3, M4)를 갖는다.
각 입력키(10)에 마련된 방향지시위치(M1, M2, M3, M4)의 수 및 방향은 도 8 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가 모두 동일할 수도 있고, 도 8의 (a), (b),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도 8의 (a)는 중앙(C)을 중심으로 각 입력키(10)가 반경방향으로는 1단의 방향이동입력(M)을 원주방향(또는 접선방향)으로는 2단의 방향이동입력(M)이 마련된 경우를 나타낸다.
이 경우, 하나의 입력키(10)에는 6개 (M1, M21, M22, M3, M41, M42)의 문자가 할당될 수 있으므로, 전체적으로 총 24개의 문자(또는 기호, 숫자 등)가 할당될 수 있다.
또한, 각 입력키(10)의 반경방향으로의 이동(도 8의 (a)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부분)에는 모음문자를 할당하고, 원주방향으로의 이동(실선부분)에는 자음문자를 할당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입력키(10)의 입력방향에 따라 자음문자 및 모음문자가 달리 할당되므로 사용자가 입력키(10)의 동작에 쉽게 익숙해질 수 있다.
도 8의 (b)는 도 8의 (a)와 반대로 반경방향으로의 방향이동입력(M)에는 자음문자가 할당되고, 원주방향으로의 방향이동입력(M)에는 모음문자가 할당된 경우를 나타낸다.
한편, 도 8의 (c)처럼, 각 입력키(10)가 4방사방향으로 모두 2단입력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입력키(10)에 할당될 수 있는 총 문자의 수는 8 x 4 의 32개가 된 다. 따라서, 한글문자 24개 및 영어문자 26개를 모두 배열하고도 남으며, 남은 위치에는 기호, 숫자나 엔터, 스페이스, 취소 등의 기능이 할당되게 된다.
또한, 문자입력의 경우에도 세로방향의 방향이동입력(M)에는 모음문자를 할당하고, 가로방향의 방향이동입력(M)에는 자음문자를 할당할 수도 있다.
도 8의 (d)는 방향이동입력(M)에 방향누름입력(P)까지 추가된 경우를 나타낸다.
이 경우, 방향이동입력(M)과 방향누름입력(P)이 모두 적용된 경우에는 전술한 32개에 더하여 8개가 추가되어 총 40개의 문자할당이 가능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도 8의 (d)와 같이, 일부 방향이동입력(M)을 제한하더라도 32개의 문자할당이 가능하므로 한글문자, 영어문자의 할당 이외에도 기호, 숫자, 기능 등을 추가로 할당할 수 있다.
도 9는 중앙입력키(30)가 포함된 경우를 나타낸다.
도 9의 (a)는 중앙입력키(30)가 외부의 입력키(10)와 마찬가지로 4방사방향으로 각각 2단의 방향이동입력(M)이 수행가능하도록 마련된 경우를 나타내고, 도 9의 (b)는 8방사방향으로 1단의 방향이동입력(M)만이 수행가능하도록 마련된 경우를 나타낸다.
여기서, 전술한 입력키(10) 및 중앙입력키(30)는 4방향, 8방향 등 각 방향지시위치(M1, M2, M3, M4)의 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 다단입력의 경우도 자유롭게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4개의 입력키(10)로 1동작에 의해서 입력할 수 있는 총 문자의 수 는, 방사방향의 수, 다단입력의 수, 방향누름입력(P)의 적용여부 및 중앙입력키(30)의 적용여부에 따라 최소 16개에서 최대 50까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에서 입력부(1)를 좌우에 2벌로 마련한다면 입력할 수 있는 문자의 수는 2배로 증가하게 되며, 이 경우 2벌의 입력부(1)에 자음문자와 모음문자를 분할하여 배치할 수도 있고, 기호와 숫자를 분할하여 배치할 수도 있다.
따라서, 문자(한글문자와 영어문자는 중복할당하고 모드전환에 의해 입력) 26개와, 숫자(0~9, *,#) 12개 이외에도, 기능(엔터, 스페이스, 취소 등), 모드전환 특수문자등을 모두 배열할 수 있다.
한편, 중앙입력키로 방향이동입력을 한 상태에서 각 입력키의 방향누름입력을 수행함으로써 새로운 문자를 입력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중앙입력키와 각 입력키의 방향이동입력과 방향이동입력을 조합함은 물론, 중앙입력키에 대한 입력과 입력키에 대한 입력을 조합하여 숫자, 기호 등을 더 입력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중앙입력키와 각 입력키는 한 손가락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한 손가락(예를 들면, 엄지손가락)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문자입력장치를 마우스로 사용할 때, 중앙입력키로 마우스포인터를 이동시키고, 각 입력키로 마우스의 좌버튼, 우버튼, 또는 스크롤 버튼 등의 하나 이상의 명령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유용하다. 이 때, 마우스 포인터를 이동시키며 마우스의 좌버튼이나 우버튼을 함께 조작함으로써 드래그나 파일끌기 등이 가능하므로, 중앙입력키와 각 입력키를 함께 조작할 수 있는 것은 매우 효과적인 성능을 발휘하도록 한다.
아울러, 중앙입력키에 대한 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는 터치감지수단을 추가적으로 구비하고, 상기 터치감지수단에 의해 손가락의 접촉이 감지되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에 각 입력키를 통해 입력할 수 있는 문자를 서로 상이하게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중앙입력키와 각 입력키를 통상적으로 입력할 때는 문자입력을 하고, 손가락을 중앙입력키에 접촉한 상태(터치감지수단에 접촉이 감지된 상태)에서는 마우스로 모드변경 없이 바로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10은 방향이동입력과 방향누름입력이 조합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특히 도 7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10의 (a)에서는, 내향입력과 외향입력을 연속하여 수행함으로써 새로운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도 10의 (b) 및 (c)에서는, 방향누름입력과 내향입력 또는 외향입력을 수행함으로써 새로운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것이며, 도 10의 (d)에서는, 방향누름입력과 내향입력 및 외향입력을 연속하여 수행함으로써 새로운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조합에 의한 문자입력으로, 방향누름입력과 내향입력 및 외향입력만을 하는 경우에 비해 보다 많은 개수의 문자의 입력이 가능하게 된다.
도 11 내지 도 14을 참고로 하여 본 실시예에서의 문자입력장치를 통한 문자 입력방식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도 11 및 도 12는 한글의 문자입력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도 13 및 도 14는 일본어의 문자입력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먼저 한글의 문자입력방식을 설명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입력장치의 입력키(10)에는 각각 방사상으로 4방향 입력(이하 ‘1단 방향이동입력’이라 칭함), 누름입력 2단(이하 ‘1단 방향누름입력’ 및 ‘2단 방향누름입력’이라 칭함) 및 누른 상태에서 방사상으로 4방향 입력(이하 ‘2단 방향이동입력’이라 칭함)이 가능하다. 따라서 하나의 입력키(10)를 통하여 총 10개의 문자의 입력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상으로 배열된 4개의 입력키(10) 각각에서는, 1단 방향이동입력을 통해서 한글 자음이 입력되고, 2단 방향이동입력을 통해서 한글 모음이 입력된다. 또한 하나의 입력키(10)에 배열되는 자음과 모음은, 배열된 자음과 모음의 자판위치를 외우기 쉽도록 동일 어원에서 변형되는 것을 묶어서 배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중앙에 배열된 중앙입력키(30)에 대해서는 ‘ㅇ’, ‘ㅎ’, ‘ㅡ’, ‘ㅣ’가 할당되고, 도 11에서 한글 자음 또는 모음이 할당되지 않은 입력에 대해서는 칸 띄우기, 지우기, 확인, 메뉴 등 기능명령을 배열할 수 있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한글 자음과 모음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벌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좌측의 입력키에는 한글 자음이 배열되고, 우측의 입력키에는 한글 모음이 배열된다. 이때에도 자음 또는 모음이 할당되 지 않은 입력에 대해서는 칸 띄우기, 지우기, 확인, 메뉴 등 기능명령을 배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일본어의 히라가나와 가타카나를 입력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면,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본어는 양벌의 4방향 입력키 또는 한 벌의 8방향 입력키로 구현가능하다.
즉,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4방향 양벌의 각 입력키(10)를 누르는 방향누름입력에 히라가나의 기본 8자(‘あ’, ‘か’, ‘さ’, ‘た’, ‘な’, ‘は’, ‘ま’, ‘ら’)를 배열하고, 상기 각 입력키(10)에 기본자에 대한 파생자(예를 들면, 기본자가 ‘あ’인 경우는, ‘い’, ‘う’, ‘え’, ‘お’)를 방향이동입력에 배열한다. 그리고 중앙입력키(30)에 기본 8자 이외의 나머지 문자(‘や’, ‘ゆ’, ‘よ’, ‘を’, ‘ん’)와 칸 띄우기, 지우기, 확인, 메뉴 등의 기능명령을 배열한다.
이때 도 13에 도시된 히라가나에서 가타카나로의 변환은 상기 기능명령 중 하나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일본어의 히라가나와 가타카나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벌 8방향의 입력키로도 구현될 수 있다. 즉, 8방향의 각 입력키에 기본 8자와 각각의 파생자를 방향누름입력 및 방향이동입력으로 배열한다. 그리고 중앙입력키(30)에는 기본 8자 이외의 문자와 칸 띄우기, 지우기, 확인, 메뉴 등의 기능명령을 배열한다. 이때 상기 중앙입력키(30)에서는 이러한 입력들을 가능하게 하도록 방향누름입력 및 방향이동입력을 각각 2단으로 배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히라가나, 가타카나에서 탁음, 반탁음 및 촉음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각 입력키(10)에 대해 방향누름입력을 한 상태에서 방향이동입력을 하여 해당 문자를 탁음, 반탁음 또는 촉음으로 변환하여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탁음, 반탁음 및 촉음을 입력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입력키(10)를 누르는 횟수에 따라 탁음, 반탁음 및 촉음이 입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입력키(10)에 대해 방향누름입력을 1회 한 후 방향이동입력을 하면 탁음이 입력되고, 입력키(10)에 대해 방향누름입력을 2회 한 후 방향이동입력을 하면 반탁음이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문자의 배열은 한자 및 영어의 알파벳에도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특히 한자의 경우에는 각 입력키의 방향누름입력에 기본자(또는 부수)(예를 들면, ‘人’, ‘口’ 등)를 배열하고, 각 입력키의 방향이동입력을 통해서는 상기 기본 부수로부터 파생되는 한자 또는 부수가 입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특정 입력키의 방향누름입력에 기본자 ‘人’이 배열된 경우, 상기 입력키의 방향이동입력에는 ‘入’,‘卜’ 등의 파생되는 한자 또는 부수가 입력될 수 있고, 기본자 ‘口’가 배열된 경우에는, ‘回’, ‘品’, ‘日’, ‘田’ 등의 파생되는 한자 또는 부수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도 11 내지 도 14에서는 스틱타입의 입력키로 구현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슬라이딩 버튼 타입의 입력키로도 구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터치스크린, 터치패드 또는 터치키패드 상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아 울러, 각각의 입력키에 대한 방향은 4방향 또는 8방향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5방향, 6방향 또는 7방향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의 제3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장치를 통한 문자입력방식을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문자입력장치에서는 입력키(10)가 2방향으로 슬라이딩 버튼 타입으로 구현되고, 방향이동입력과 누른 상태에서의 방향이동입력으로 각각의 입력동작에 할당된 문자가 입력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 입력키(10)를 방향누름입력으로 할당된 문자를 입력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방향이동입력, 누른 상태에서의 방향이동입력 및 방향누름입력 중 하나 이상의 입력을 수행하는 중앙입력키(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입력키(10)의 배열은 4방향 양벌이거나 8방향 한 벌로 구현될 수 있는데, 상기 입력키(10)의 배열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입력키(10)는 슬라이딩 버튼 타입에 한정되지 않고 스틱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고, 본 실시예는 입력키(10)가 아닌 터치스크린, 터치패드 또는 터치키패드 상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구현방식을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도 16의 (a) 내지 (d)는 도 12의 문자입력장치에서의 입력키(10)의 작동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입력키(10)는 원주방향을 따라 상하좌우에 각각 배치되고 각각의 접선방향으로 1방향, 2방향(1방향의 반대방향), 입력키(10)를 누른 상태에서의 1방향, 입력키(10)를 누른 상태에서의 2방향의 방향이동입력이 될 수 있다(각 입력키(10)에 총 4개의 방향이동입력).
또는 도 1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키(10)는 중심으로 비스듬하게(예를 들어, 45도 각도) 배치되고 각각 1방향, 2방향(1방향의 반대방향), 입력키(10)를 누른 상태에서의 1방향, 입력키(10)를 누른 상태에서의 2방향의 방향이동입력이 될 수 있다(각 입력키(10)에 총 4개의 방향이동입력).
그리고 도 1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키(10)는 원주방향을 따라 상하좌우에 각각 배치되고, 각각의 좌우방향으로 1방향, 2방향(1방향의 반대방향), 입력키(10)를 누른 상태에서의 1방향, 입력키(10)를 누른 상태에서의 2방향의 방향이동입력이 될 수 있다(각 입력키(10)에 총 4개의 방향이동입력).
아울러, 도 16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주방향을 따라 상하좌우에 각각 배치되고, 각각의 상하좌우 방향으로 1방향, 2방향(1방향의 반대방향), 3방향 및 4방향(1방향 및 2방향에 직각방향), 입력키(10)를 누른 상태에서의 1방향, 2방향, 3방향 및 4방향의 방향이동입력이 될 수 있다. 이때 각 입력키(10)로 2단 방향누름입력이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각 입력키(10)에 총 8개의 방향이동입력).
따라서 상기 각 입력키(10)에 의한 입력문자수는 도 16의 (a) 내지 (c)의 경우 4개가 되고, 도 16의 (d)의 경우 8개가 된다. 이때 상기 각 입력키(10)에 방향 누름입력이 가능하고, 이러한 방향누름입력이 2단으로 마련된다면, 각 입력키(10)에서 입력 가능한 입력문자수는 각각 2개가 증가된다.
그리고 중앙입력키(30)는 2단 방향누름입력, 및 상하좌우 방향으로 1방향, 2방향(1방향의 반대방향), 3방향 및 4방향(1방향 및 2방향에 직각방향), 중앙입력키(30)를 누른 상태에서의 1방향, 2방향, 3방향 및 4방향의 방향이동입력으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따라서 중앙입력키(30)까지 고려하면, 도 16의 (a) 내지 (c)에서는 34가지(4개의 입력키(10)를 통해 방향이동입력 16가지와 방향누름입력 8가지, 그리고 중앙입력키(30)를 통해 방향이동입력 8가지와 방향누름입력 2가지), 도 16의 (d)에서는 50가지(4개의 입력키(10)를 통해 방향이동입력 32가지와 방향누름입력 8가지, 그리고 중앙입력키(30)를 통해 방향이동입력 8가지와 방향누름입력 2가지)의 문자를 입력 가능하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서 문자입력이 입력키(10)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지만, 터치스크린이나 터치패드 상에서 터치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입력키(10)와 중앙입력키(30)에서 각각의 방향이동입력 4가지를 기본으로 하고 각 입력키(10)와 중앙입력키(30)에서의 방향누름입력은 부수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의 제4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7 내지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입력키(10) 및 중앙입력키(30)는 방향이동입력 또는 방향누름입력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고, 상기 방향이동입력 및 방향누름입력은 각각 구별되는 2가지의 신호를 갖는다.
먼저, 상기 각 입력키(10) 및 중앙입력키(30)의 방향이동입력은 수평방향의 힘이 가해지는 것으로(물론 감지를 위해 수직방향의 힘도 일부 전해진다) 짧은 이동거리를 갖는 신호와 긴 이동거리를 갖는 신호로 나뉘어 질 수 있으며, 수평방향의 가압의 세기에 의해 구별되는 2가지의 신호를 가질 수 있다. 거리 또는 가압의 세기를 이용할 경우, 일정한 거리 또는 압력이 기준이 되며 이하 도면에서 입력방향과 길이 또는 가압의 차이는 편의상 화살표를 통해 나타낼 것이다. 또한, 상기 입력키(10)의 방향이동입력은 중앙입력키(30)를 향한 인(In)방향과 중앙입력키(30)의 반대방향을 향한 아웃(Out)방향의 구별이 가능하며, 상기 인방향과 아웃방향을 근거로 하여 각각 해당위치의 배열문자에 대응되는 특정 데이터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자입력장치는 크게 입력키 타입, 터치스크린 타입 및 원판형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타입은 본 발명의 문자입력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 도 17 내지 도 20에 도시된 문자입력장치는 입력키 타입의 문자입력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 상기 도 17는 중앙에 중앙입력키(30)가 형성되고 상기 중앙입력키(30)의 주변에 원호방향으로 4방향으로 입력키(10)가 구비된 일실시예를 도 시하였으며, 상기 도 17의 (a)는 상기 입력부(1)에서 상기 입력키(10)는 각각 신호의 방향 및 입력길이에 따라 4가지의 신호가 가능함을 나타내며, 상기 도 17의 (b)는 상기 중앙입력키(30)의 입력에 의해 4방향 각각 2가지의 신호가 가능함을 나타내었다.
상기 입력키(10)의 4가지의 신호는 인방향의 제 1 신호인 경우, 상기 아웃방향의 제 1 신호인 경우, 상기 인방향의 제 2 신호인 경우, 상기 아웃방향의 제 2 신호인 경우를 의미하며, 이 때 각각의 신호에 의하여 해당위치의 배열문자에 포함되는 데이터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상기 제 1 신호 및 제 2 신호는 방향이동입력의 이동거리 또는 가압의 세기로 구분되는 2가지의 신호를 뜻한다).
상기 배열문자는 상기 4가지 신호에 의해 최소 4열을 갖을 수 있을 수 있으며, 상기 배열문자는 한글, 영문 등의 문자를 포함하여 기호, 숫자 등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라면 한정됨이 없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입력키(10)의 방향이동입력을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는 자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입력키(10)의 입력시 중앙입력키(30)가 함께 입력이 될 수 있으나, 상기 (누름 및 이동 등의)감지부(61, 65 등)는 입력키(10)가 입력된 후 소정 시간 이내에 상기 중앙입력키(30)가 감지되는 것은 무시하고 상기 입력키(10)의 신호만 처리하도록 하여 근접하게 위치한 중앙입력키(30)의 오입력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입력키(10)는 방사방향의 4가지 신호 중에(서로 수직인 4개의 방향) 상기 인방향과 아웃방향을 제외한 다른 2방향의 신호를 통해 문자, 숫자, 또는 기호와 같은 데이터가 입력되거나 모드변경, 취소 엔터 또는 스페이스와 같은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4열의 배열문자를 포함하여 더욱 많은 가지 수의 데이터를 입력하고자 할 경우, 상기 중앙입력키(30)의 단독적인 신호에 의하여 각각 2열의 데이터를 더 입력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중앙입력키(30)의 신호가 제 1 신호인 경우, 및 상기 중앙입력키(30)가 제 2 신호인 경우를 뜻하며, 4방향에 따라 모두 8개의 데이터가 배열되어 각각 해당위치의 배열문자에 포함되는 데이터가 입력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중앙입력키(30)의 방향이동입력을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는 모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입력키(10)가 상기 중앙입력키(30) 주변에 원호방향에 4개 구비될 경우, 각각 4개의 데이터가 6열로 배열될 수 있으므로 총 24개의 데이터가 입력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방사상의 4방향을 정확히 인식할 수 있으므로 상기 입력키(10)가 상기 중앙입력키(30) 주변에 4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데이터의 종류 및 필요에 따라 상기 입력키(10)의 개수 및 인식가능한 방향의 개수 역시 달라질 수 있다.
상기 도 18은 상기 도 17과 같이 상기 중앙입력키(30) 및 입력키(10)가 각각 별도의 키로 형성된 입력키 타입으로 구비되고, 중앙에 형성된 중앙입력키(30)의 주변에 원호방향으로 6방향의 입력키(10)가 구비된 일례를 도시하였다.
상기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앙입력키(30)의 주변에 원호방향으로 형성되는 입력키(10)의 개수가 늘어날수록 입력가능한 데이터의 양이 많아지므로 여러 종류의 데이터를 모드변환 없이 입력하도록 할 경우에 적합하며, 이 때 상기 입력키(10)는 입력동작에 의해 각각 방해받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문자입력장치는 상기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력키(10)에 입력길이의 확실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돌기부(15)가 더 형성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는 상기 입력키(10)는 스틱타입이 아닌 터치스크린이나 터치패드 타입으로 구현되는 것이 적당하다.
상기 돌기부(15)는 사용자의 스침입력이 불편하지 않을 정도의 높이로 형성되어야 하며 사용자에게 입력이 가능한 영역의 표시를 할 수 있을 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기부(15)는 도 19에서 긴 바(Bar) 형태를 도시하였으나 반원형, 점선 또는 하나의 원형 돌기부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제작가능하다.
상기 도 20은 상기 입력키(10)의 주변에 원호방향으로 외측입력키(20)가 더 형성된 일예를 도시하였다. 상기 도 20은 감지라인의 형태로 상기 입력키(10)의 주변에 6개의 감지라인이 형성된 형태를 도시하였으나 입력되는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개수를 가지는 외측입력키(20)가 형성가능하며 상기 외측입력키(20)는 상기 도 17 내지 도 19에 도시된 중앙입력키(30)와 입력키(10)와 같이 버튼 타입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이 외의 다양한 형태로도 제작가능함은 당연하다.
상기 외측입력키(20)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외측입력키(20)가 감지되거나 상기 입력키(10)와 외측입력키(20)가 소정 시간 이내에 함께 감지될 경우, 해당위 치의 배열문자에 포함되는 데이터가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17 내지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입력부(1)가 별도의 입력키로 형성될 경우, 상기 각각의 키는 디바이스포인터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스틱포인터는 수직방향의 누름입력 뿐만 아니라 수평 또는 수평과 수직방향의 이동이 가능하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이동감을 제공하여 더욱 확실한 입력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것과 같은 스틱포인터 외에도 비슷한 방식인 슬라이딩방식에 의한 입력부(1)가 이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21은 제4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장치의 적용예로 상기 PDA와 같이 터치스크린 상에 구현가능하다. 터치스크린 상에 본 발명의 문자입력장치가 구현될 경우, 상기 중앙입력키(30)는 스크린 상에 기준을 나타내기 위한 작은 점으로 구현되며, 상기 입력키(10)는 상기 중앙입력키(30) 주변에 방사방향의 일정 영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앙입력키(30)가 작은 점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에 상기 점 형태란 원형 및 다각형을 포함하는 용어로서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기준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상기 터치스크린 타입에서 상기 중앙입력키(30)는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작은 점으로 구현되고 상기 중앙입력키(30)가 투명하게 설정가능하여 입력과 동시 에 화면을 확인하도록 하여 입력을 위한 스크린 상의 별도 공간이 필요치 않게 되어 화면을 더욱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1)는 스크린 상에서 이동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의 이동은 특정한 신호를 입력한 후, 상기 입력부(1)를 드래그하여 원하는 지점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때 상기 특정한 신호는 상기 중앙입력키(30) 또는 입력키(10)를 소정시간 내에 두 번 클릭하는 것으로 상기 특정한 신호가 입력된 후 이동가능하도록 하여 일반적인 데이터 입력이 방해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입력장치는 스크린의 일측에 상기 중앙입력키(30)를 옮겨 놓을 수 있는 대기영역이 존재하고, 상기 중앙입력키(30)를 상기 대기영역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입력키(10)의 영역은 사라지며, 상기 중앙입력키(30)가 대기영역을 벗어나도록 이동시키면 상기 입력키(10)의 영역이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입력부(1)가 불필요할 경우, 일반 윈도우 환경과 같이 스크린의 일측에 대기영역이 존재하고 상기 입력키(10)의 영역을 사라지거나 나타나도록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대기영역에서 입력키(10)의 영역은 사라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중앙입력키(30)를 이동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대기영역을 두 번 터치하거나 비비는 동작을 통해 입력키의 영역이 나타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본 발명의 문자입력장치가 구현될 경우, 상기 제 1 신호와 제 2 신호는 입력길이에 의해 구별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감 지부는 입력되는 최초신호와 최종신호의 위치를 분석하여 제 1 신호와 제 2 신호를 구별할 수 있다.
기존의 PDA는 터치입력을 위한 별도의 스크린이 형성되고 상기 스크린에는 입력키(10)와 마찬가지의 버튼 영역이 존재하므로 각각의 버튼을 터치할 때 인접하는 버튼 영역을 함께 터치하게 되어 오입력되는 문제점과 함께 상기 버튼이 형성된 일정 영역은 다른 창을 가리게 되므로 사용이 불편한 단점이 있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최소한의 영역과 투명한 입력키(10)의 영역 설정으로 화면을 가리지 않고도 입력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문자입력장치는 도시한 PDA 외에도 터치스크린을 이용하는 다양한 기기와 상기에서 언급된 방법과 같이 다양한 정보기기에 적용가능한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의 제5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문자입력장치는 원판형의 입력부(1)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예를 도 22에 도시하였다.
본 실시예에서의 원판형의 문자입력장치는 신호에 의해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부(1), 상기 입력부의 신호를 감지하는 감지부(미도시) 및 상기 감지부를 통해 감지되는 신호 중 유효한 신호를 판단하여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문자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1)는 기준이 되는 중앙입력키(30), 및 상기 중앙입력키(30)의 방사상 방향으로 형성되고 복수열을 배열문자가 배치되는 입력키(10)가 일체형인 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중앙입력키(30) 또는 입력키(10)는 방향이동입력이 가능하고 누름입력을 통해 각각 해당위치의 배열문자에 포함되는 특정 데이터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판은 방사상 방향으로 수평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중앙입력키(30) 또는 입력키(10)의 방향이동입력 및 누름입력은 구별되는 2가지의 신호를 갖는다.
상기 입력키(10)의 방향이동입력은 상기 중앙입력키(30)를 향한 인(In)방향과 중앙입력키(30)의 반대방향을 향한 아웃(Out)방향의 구별이 가능하며, 상기 인방향과 아웃방향을 근거로 하여 각각 해당위치의 배열문자에 포함되는 특정 데이터가 입력된다. 이 때, 감지부는 상기 입력키(10)의 신호만 감지될 경우 상기 신호는 아웃방향의 신호로 판단하며, 상기 입력키(10)의 신호가 감지되고 소정시간 내에 상기 중앙입력키(30)의 신호가 함께 감지될 경우 상기 신호는 인방향의 신호로 판단한다.
상기 원판형 타입의 문자입력장치는 원판이동이 가능하도록 중앙에 탄성체(80)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문자입력장치는 상기 탄성체(80) 외에도 상기 원판을 지지하고 상기 중앙입력키(30) 및 입력키(10)가 각각 구별가능한 제 1 신호와 제 2 신호를 갖으며 원판이 수평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라면 다양하게 응용가능하다.
상기 중앙입력키(30)의 제 1 신호와 함께 원판이 이동되어 입력키(10)의 신호가 감지된 경우 및 상기 중앙입력키(30)의 제 2 신호와 함께 원판이 이동되어 입력키(10)의 신호가 감지된 경우, 각각 해당위치의 배열문자에 포함되는 데이터가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입력부(1)가 중앙입력키(30)와 입력키(10)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원판으로 형성될 경우, 상기 제 1 신호와 제 2 신호는 가압에 의해 구별되는 1단 누름입력과 2단 누름입력인 것이 바람직하며, 도 22를 참조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입력키(10)의 신호만 감지되는 1단 누름입력 및 2단 누름입력, 상기 입력키(10)의 신호가 감지되고 소정시간 내에 함께 감지되는 신호가 1단 누름입력 및 2단 누름입력에 의한 것으로 상기 4가지의 신호에 의해 해당위치의 데이터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입력키(30)의 1단 누름입력과 함께 원판이 이동된 경우, 상기 중앙입력키(30)의 2단 누름입력과 함께 원판이 이동된 경우 2가지에 의해서도 각각 해당위치의 배열문자에 포함되는 데이터가 입력될 수 있다.
상기 1단 누름입력 및 2단 누름입력을 이용할 경우 상기 감지부는 사용자의 누름에 의하여 상기 중앙입력키(30)의 이동에 따라 스위칭되는 누름스위치 또는 사용자의 누름에 의하여 가해진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누름입력이 수행된 상기 중앙입력키(30)의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리턴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1단 누름입력은 작은 힘으로 부드럽게 내려가는 것으로 감지되고 보다 센 힘으로 상기 중앙입력키(30)를 누르면 2단 누름입력이 감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1단 누름입력과 2단 누름입력의 차이를 주기위하여 상기 감지부에 메탈돔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탈돔이 더 구비된 경우, 2단 누름입력시에는 메 탈돔이 스위칭되어 사용자에게 클릭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확실히 구별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의 오작동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2단 누름입력 시 1단 누름입력을 거쳐서 입력이 감지되므로 소정의 시간 내에 1단 누름입력, 2단 누름입력이 같이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1단 누름입력에 의한 신호를 무시하고 상기 2단 누름입력에 의한 신호만을 처리하도록 하여 상기 1단 누름입력과 2단 누름입력이 구분 될 수 있으며 각각의 데이터가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4은 상기 도 22에 도시된 문자입력장치의 작동을 설명한 개념도로 도 24의 (a)와 도 24의 (b)에 상기 입력키(10)의 신호가 각각 1단 누름입력과 2단 누름입력에 의한 것으로 아웃방향으로 판단되는 신호를 도시한 것이며, 상기 도 24의 (c)와 도 24의 (d)는 상기 입력키(10)의 신호와 함께 중앙입력키(30)를 향한 신호가 감지됨을 도시한 것으로 각각 상기 중앙입력키(30)를 향한 1단 누름입력과 상기 중앙입력키(30)를 향한 2단 누름입력에 의한 인방향으로 판단되는 신호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상기 도 24의 (e)와 도 24의 (f)는 각각 상기 중앙입력키(30)의 1단 누름입력과 함께 원판이 이동되어 입력키(10) 방향으로 이동된 경우와 중앙입력키(30)의 2단 누름입력과 함께 원판이 이동되어 입력키(10) 방향으로 이동된 경우를 뜻한다.
상기 도 24의 (a) 내지 도 24의 (f)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다양한 형태를 통해 각각 해당위치의 배열문자에 포함되는 데이터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입력부(1)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는 모든 문자 및 기호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입력키(1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가 상기 인방향의 제 1 신호, 상기 아웃방향의 제 1 신호, 상기 인방향의 제 2 신호 및 상기 아웃방향의 제 2 신호로 이루어지는 4가지 신호 또는 상기 도 24의 (a) 내지 도 24의 (d)에 도시한 방법은 상기 신호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는 자음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중앙입력키(30)의 신호가 감지된 후 소정 시간 내에 상기 입력키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가 제 1 신호 및 제 2 신호로 이루어지는 2가지 신호 또는 상기 도 24의 (e) 및 도 24의 (f)에 도시한 방법은 상기 신호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는 모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음이란 외국어의 경우 발음이 한글모음에 해당하거나 언어학상의 분류기준에 따라 동 외국어의 알파벳을 2종류로 나누었을 때 상대적으로 개수가 적은 알파벳 집단에 속하는 알파벳인 것으로 간주한다.
상기 자음은 모음에 비해 그 개수가 많고 사용빈도가 더 높은 편이므로 이동경로가 짧은 전자의 방법을 이용하고 모음은 후자의 방법을 이용하도록 하여 더욱 빠른 입력을 가능하도록 한다.
도 24는 상기 제 1 신호가 1단 누름입력에 의한 것이고 상기 제 2 신호가 2단 누름입력에 의한 것을 나타내었으나 사용자가 손쉽게 구별가능하여 상기 중앙입력키(30)와 입력키(10)의 적절한 조합입력이 가능한 구별가능한 신호라면 설정가능하다.
도 2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장치의 한글 배열상태의 일예를 도시한 개념도로, 상기 도 25는 상기 중앙입력키(30)에 근접하게 원호방향으로 4방향의 입 력키(10)가 형성되고, 상기 입력키(10)에 한글이 6열의 배열상태를 도시하였으나, 사용자의 이용 데이터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배열상태가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입력키(1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가 상기 인방향의 제 1 신호인 경우에 상기 입력키(10)는 각각 “ㄱ, ㄴ, ㄷ, ㄹ”이 입력되고, 상기 입력키(1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가 상기 인방향의 제 2 신호인 경우에 상기 입력키(10)는 각각 “ㅁ, ㅂ, ㅅ, ㅇ”이 입력되며, 상기 입력키(1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가 상기 아웃방향의 제 1 신호인 경우에 “ㅈ, ㅊ, ㅋ, ㅌ”이 입력되고, 상기 입력키(1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가 상기 아웃방향의 제 2 신호인 경우에 “ㅍ, ㅎ, ㅡ, ㅣ”가 입력됨을 도시하였다.
또한, 상기 중앙입력키(30)의 방향이동입력에 의한 신호가 제 1 신호인 경우에 “ㅏ, ㅓ, ㅗ, ㅜ”가 각각 입력되며, 상기 중앙입력키(30)의 방향이동입력에 의한 신호가 제 2 신호인 경우에 “ㅑ, ㅕ, ㅛ, ㅠ”이 입력됨을 도시하였다.
물론 본 발명의 문자입력장치는 상기 입력신호와 연결되는 배열문자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키(1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가 상기 아웃방향의 제 2 신호를 가지는 경우에 모음과 자음이 혼용되어 있으나 상기 2개의 모음은 중앙부의 구별되는 두 가지의 신호를 통해 따로 입력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26의 (a) 내지 (e)는 본 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장치의 입력예를 설명한 개념도로, 상기 도 25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기본으로 “특허”의 입력을 설명한다.
상기 도 26의 (a)의 화살표와 같이 상기 “ㅌ”을 입력하기 위해 상기 “ㅌ”이 배열된 상기 중앙입력키(30)의 우측에 위치한 상기 입력키(10)에서 상기 아웃방향의 제 1 신호를 입력하고 상기 도 26의 (b)의 화살표와 같이 “ㅡ”를 입력하기 위해 상기 “ㅡ”이 배열된 상기 중앙입력키(30)의 하측에 위치한 상기 입력키(10)에서 상기 아웃방향의 제 2 신호를 입력하며, 상기 도 26의 (c)의 화살표와 같이 “ㄱ”을 입력하기 위해 상기 “ㄱ”이 배열된 상기 중앙입력키(30)의 상측에 위치한 상기 입력키(10)에서 상기 인방향의 제 1 신호를 입력하여 “ㄱ”의 입력을 함으로서 “특”의 입력을 완료한다.
아울러, 상기 도 26의 (d)의 화살표와 같이 “ㅎ”이 배열된 상기 중앙입력키(30)의 좌측에 위치한 입력키(10)에서 상기 아웃방향의 제 2 신호를 입력하여 “ㅎ”을 입력하고 상기 도 26의 (e)와 같이 소정시간 내에 상기 중앙입력키(30)는 “ㅓ”가 배열된 상기 중앙입력키(30)의 좌측에 위치한 입력키(10)의 방향으로 제 2 신호를 입력하여 “허”의 입력을 완료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문자입력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이 되는 중앙입력키(30)와 그 주변에 각각 방사상 4방향으로 구비되는 입력키(10)가 구비되어 상기 입력키(10)는 각각 상기 중앙입력키(30)를 향한 인방향의 신호가 구별가능한 2가지의 신호로서 총 8가지의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고, 또한 상기 입력키(10)는 각각 상기 중앙입력키(30)의 반대방향을 향한 아웃방향의 신호가 구별가능한 신호로서 총 8가지의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입력키(10)는 독자적으로 터치/누름 또는 누름 1단/누름 2단과 같은 2가지의 신호로 구별가능하여 총 8가지의 신호를 발생함으로서, 총 24가지의 신호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입력키(10)의 인방향 또는 아웃방향의 구별되는 두 가지 신호는 이동거리, 압력, 변위 등에 의해 구별될 수 있고, 이동 또는 이동과 누름의 동시신호로 구별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문자입력장치는 각 입력키의 수를 줄여 입력부(1)가 구비되는 면적을 줄이면서도 입력방식의 조합으로서 다양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반복동작이 불필요하게 되어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간단한 사용방법으로 데이터 입력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입력키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장치의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입력키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에서 각 입력키의 방향이동입력 및 방향누름입력에 따른 자음문자 및 모음문자의 입력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9는 도 8의 문자입력장치에 중앙입력키가 포함된 경우의 문자입력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에서 각 입력키에 대한 조합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1 및 도 12는 한글의 문자입력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3 및 도 14는 일본어의 문자입력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실시예를 통한 구현방식을 설명하는 구성도,
도 17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21은 도 17 내지 도 20에 도시된 실시예의 적용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24는 도 22에 도시된 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한 개념도,
도 25는 도 22에 도시된 실시예의 한글 배열상태의 일예를 나타낸 개념도,
*도 26은 도 22에 도시된 실시예의 입력예를 설명한 개념도,
도 27은 종래기술에 따른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Claims (51)

  1. 다수의 방향성 입력키를 구비하는 문자입력장치에 있어서,
    중앙으로부터 4 방사방향으로 상호 균일한 이격거리를 가지며 배치된 4 개의 입력키를 포함하되,
    상기 각 입력키는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방향지시위치를 향하여 이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각 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문자를 입력하는 방향이동입력이 수행가능하게 마련되는 입력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이동입력은 상기 각 입력키의 이동거리에 따라 2 단 이상의 다단입력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입력키는 입력키 전체가 상하로 이동하는 방향누름입력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누름입력은 상기 각 입력키의 누름거리 또는 누름압력의 차이 중 어느 하 나에 따라 2 단 이상의 다단입력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이동입력에 의해서는 자음문자가, 상기 방향누름입력에 의해서는 모음문자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에 마련되며 상기 방향이동입력 또는 방향누름입력 중 하나 이상이 수행되는 중앙입력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입력키는 2단 이상의 다단입력이 수행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4개의 입력키의 방향이동입력에 의해서는 자음문자가, 상기 중앙입력키의 방향이동입력에 의해서는 모음문자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키는 5개 이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키는 상기 중앙으로부터 소정의 반경을 갖는 원에 상호 균일한 이격거리로 배치되며,
    상기 각 입력키가 상기 원의 반경방향으로의 방향이동입력에 의해서는 모음문자가, 상기 반경방향의 가로방향으로의 방향이동입력에 의해서는 자음문자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키는 상기 중앙으로부터 소정의 반경을 갖는 원에 상호 균일한 이격거리로 배치되며,
    상기 각 입력키가 상기 원의 반경방향으로의 방향이동입력에 의해서는 자음문자가, 상기 반경방향의 가로방향으로의 방향이동입력에 의해서는 모음문자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입력키의 전/후 방향으로의 방향이동입력에 의해서는 자음문자가, 좌/우 방향으로의 방향이동입력에 의해서는 모음문자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입력키의 전/후 방향으로의 방향이동입력에 의해서는 모음문자가, 좌/우 방향으로의 방향이동입력에 의해서는 자음문자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키는 상기 기준위치에서 상기 각 방향지시위치를 향하여 기울임이 가능한 스틱타입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키는 상기 기준위치에서 상기 각 방향지시위치를 향하여 수평이동이 가능한 슬라이딩버튼 방식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키가 상기 방향이동입력을 수행한 후 상기 기준위치로 복귀하게 하는 리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16. 제1항 내지 제4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입력키 또는 상기 중앙입력키로 구성된 문자입력장치가 좌우 2벌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17. 제1항 내지 제4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이동입력, 방향누름입력 또는 중앙입력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자음문자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1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이동입력은 상기 방사방향으로 2단입력, 상기 방사방향의 가로방향으로 1단입력이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방향누름입력은 2단 입력으로 마련되되, 상기 방향이동입력에 의해서는 자음문자가, 상기 방향누름입력에 의해서는 모음문자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19. 제1항 내지 제4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이동입력은 상기 방사방향의 가로방향으로 1단입력이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방향누름입력은 2단입력으로, 상기 중앙입력은 각 방사방향으로 2단입력이 가능하게 마련되되, 상기 방향누름입력에 의해서는 모음문자가, 상기 방향이동입력 및 상기 중앙입력에 의해서는 자음문자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이동입력은, 상기 각 입력키를 누른 상태 및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각 입력키의 이동거리에 따라 각각 별도의 2단 이상의 다단입력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각 입력키는 입력키 전체가 상하로 이동하는 방향누름입력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누름입력은 상기 각 입력키의 누름거리 또는 누름압력의 차이 중 어느 하나에 따라 2단 이상의 다단입력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23. 제20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에 마련되며 상기 방향이동입력 또는 전체가 상하로 이동하는 방향누름입력 중 하나 이상이 수행되는 중앙입력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24. 제1항에 있어서, 각 입력키에 배열되는 문자는, 외형적으로 서로 유사하거나 어원이 동일한 문자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25. 다수의 방향성 입력키를 구비하고 신호에 의해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수단, 상기 입력수단의 신호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를 통해 감지되는 신호 중 유효 한 신호를 판단하여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문자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은 기준이 되는 제 1 입력부, 및 상기 제 1 입력부의 방사상 방향으로 형성되고 복수열의 배열문자가 배치되는 제 2 입력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 1 입력부 또는 제 2 입력부는 방향이동입력이 가능하고 누름입력이 가능하여(수직 누름입력) 상기 방향이동입력 또는 누름입력을 통해 각각 해당위치의 배열문자에 포함되는 특정 데이터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입력부 또는 제 2 입력부의 방향이동입력은 각각 서로 구별되는 2가지의 신호에 의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입력부 또는 제 2 입력부의 누름입력은 각각 서로 구별되는 2가지의 신호에 의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입력부의 방향이동입력은 제 1 입력부를 향한 인(In)방향과 제 1 입력부의 반대방향을 향한 아웃(Out)방향의 구별이 가능하며 상기 인방향과 아웃방향을 근거로 하여 각각 해당위치의 배열문자에 포함되는 특정 데이터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입력부의 방향이동입력을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는 자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입력부는 각각 방사방향의 4가지 신호 중에 상기 인방향과 아웃방향을 제외한 다른 2 방향의 신호를 통해 문자, 숫자 또는 기호와 같은 데이터가 입력되거나 모드변경, 취소, 엔터 또는 스페이스와 같은 기능(입력)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31.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입력부의 방향이동입력을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는 모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32.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입력부 또는 제 2 입력부의 누름입력을 통해 문자, 숫자 또는 기호와 같은 데이터가 입력되거나 모드변경, 취소, 엔터 또는 스페이스와 같은 기능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33.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입력부의 방향이동입력은 짧은 이동거리를 갖는 신호와 긴 이동거리를 갖는 신호로 구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34. 제25항 내지 제33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입력부 및 제 2 입력부는 각각 별도의 키로 형성되는 입력키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키는 디바이스 포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36. 제25항 내지 제33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은 터치스크린, 터치패드 또는 터치키패드 상에 구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입력부는 입력되는 신호의 입력길이를 용이하게 구별하기 위한 돌기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의 제 1 입력부는 스크린 상에 기준을 나타내기 위한 작은 점형태으로 구현되며, 상기 제 2 입력부는 상기 제 1 입력부 주변에 방사방향의 일정 영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은 스크린 상에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의 이동은 상기 제 1 입력부 또는 제 2 입력부를 소정시간 내에 두 번 클릭한 후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는 스크린의 일측에 상기 제 1 입력부를 옮겨 놓을 수 있는 대기영역이 존재하고, 상기 제 1 입력부를 상기 대기영역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제 2 입력부의 영역은 사라지며, 상기 제 1 입력부가 대기영역을 벗어나도록 이동시키면 상기 제 2 입력부의 영역이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42.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입력부는 투명도의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43. 다수의 방향성 입력키를 구비하고 신호에 의해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수단, 상기 입력수단의 신호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를 통해 감지되는 신호 중 유효한 신호를 판단하여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문자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은 기준이 되는 제 1 입력부, 및 상기 제 1 입력부의 방사상 방향으로 형성되며 복수열의 배열문자가 배치되는 제 2 입력부가 일체형인 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입력부 또는 제 2 입력부는 방향이동입력이 가능하고 누름입력(방향누름입력)이 가능하여 상기 방향이동입력 또는 누름입력을 통해 각각 해당위치의 배열문자에 포함되는 특정 데이터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원판은 방사상 방향으로 수평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입력부 또는 제 2 입력부의 방향이동입력은 각각 서로 구별되는 2가지의 신호에 의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46.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입력부 또는 제 2 입력부의 누름입력은 각각 서로 구별되는 2가지의 신호에 의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47. 제44항 또는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입력부의 방향이동입력은 제 1 입력부를 향한 인(In)방향과 제 1 입력부의 반대방향을 향한 아웃(Out)방향의 구별이 가능하며 상기 인방향과 아웃방향을 근거로 하여 각각 해당위치의 배열문자에 포함되는 특정 데이터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 2 입력부의 신호만 감지될 경우 상기 신호는 아웃방향의 신호로 판단하며, 상기 제 2 입력부의 신호가 감지되고 소정시간 내에 상기 제 1 입력부의 신호가 함께 감지될 경우 상기 신호는 인방향의 신호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49.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입력부의 방향이동입력을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는 모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50. 제25항 또는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입력부는 원주방향의 연속적인 신호를 통해 볼륨 조절, 또는 마우스의 스크롤 기능이 수행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51. 제25항 또는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은 상기 제 2 입력부의 주변에 원호방향으로 제 3 입력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KR1020080037942A 2008-04-23 2008-04-23 문자입력장치 KR200901121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7942A KR20090112197A (ko) 2008-04-23 2008-04-23 문자입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7942A KR20090112197A (ko) 2008-04-23 2008-04-23 문자입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2197A true KR20090112197A (ko) 2009-10-28

Family

ID=41553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7942A KR20090112197A (ko) 2008-04-23 2008-04-23 문자입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1219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7163B1 (ko) * 2015-12-23 2016-07-07 주식회사 온매칭 문자입력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7163B1 (ko) * 2015-12-23 2016-07-07 주식회사 온매칭 문자입력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09355B2 (ja) 文字入力装置
KR101136370B1 (ko) 데이터입력장치
US828125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numerals for communication terminal
US8525779B2 (en) Character input device
US20100265201A1 (en) Data input device
JP2005526303A (ja) 環状配列によるキーパッド
KR20080010266A (ko) 문자입력장치
KR20080010364A (ko) 문자입력장치
KR20080095811A (ko) 문자입력장치
US20100019940A1 (en) Character input device
KR100994362B1 (ko) 데이터 입력장치
KR101136367B1 (ko) 입력장치 및 문자입력방법
US20100026625A1 (en) Character input device
KR20090112197A (ko) 문자입력장치
KR20080070110A (ko) 문자입력장치
KR20100014163A (ko) 원형 자판 배열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KR101483170B1 (ko) 간편 영문 입력 키패드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KR20130025306A (ko) 데이터 입력장치
KR20080075669A (ko) 문자입력장치
KR20080076860A (ko) 데이터 입력장치
KR200329499Y1 (ko)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
KR20080076200A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KR20080075675A (ko) 문자입력장치
KR20090112196A (ko) 문자입력장치
WO2008140228A2 (en) Character inpu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