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9760A - 문자입력장치 - Google Patents

문자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9760A
KR20080099760A KR1020070046300A KR20070046300A KR20080099760A KR 20080099760 A KR20080099760 A KR 20080099760A KR 1020070046300 A KR1020070046300 A KR 1020070046300A KR 20070046300 A KR20070046300 A KR 20070046300A KR 20080099760 A KR20080099760 A KR 200800997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unit
center
character
s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6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의진
Original Assignee
오의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의진 filed Critical 오의진
Priority to PCT/KR2008/00262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8140228A2/en
Publication of KR20080099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97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자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입력영역이 마련된 베이스; 상기 입력영역 내에서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배치된 복수의 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방향입력이 이루어지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의 중앙에 마련되어 누름에 의해 중앙입력이 수행되는 중앙입력키; 상기 방향입력을 감지하는 방향입력감지부; 상기 중앙입력을 감지하는 중앙입력감지부; 및 상기 방향입력감지부 및 중앙입력감지부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각 방향지시위치 및 중앙입력키에 할당된 제1문자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입력하며, 상기 중앙입력과 동시에 상기 방향입력이 이루어지는 중앙조합입력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각 방향지시위치에 중복할당된 제2문자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입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방향입력과 중앙입력을 각각 단독으로 수행하거나, 방향입력과 중앙입력을 조합하여 입력함으로써 한정된 입력공간에서 입력용량을 극대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문자입력장치{CHARACTER INPUT DEVICE}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의 구성블록도,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의 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장치가 장착된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입력부의 확대 단면사시도,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방향입력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작동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부 측 요부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가 2세트로 마련된 상태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문자입력장치에서 일실시예 따른 입력부 측 요부도
도 6은 본 발명의 방향입력이 2단으로 수행되기 위한 입력부의 구성예를 도시한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문자입력장치 10 : 입력부
11 : 지지부 15 : 문자표시부
30 : 중앙입력키 35 : 누름부
40 : 탄성부재 51 : 방향입력감지부
55 : 중앙입력감지부 60 : 제어부
65 : 메모리부 100 :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
110 : 베이스 121 : 모드전환키
123 : 기능키 S : 기준위치
D : 방향입력 D(1) : 1단의 방향입력
D(2) : 2단의 방향입력 C : 중앙입력
M : 중앙조합입력
본 발명은 문자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방향입력과 중앙입력을 단독으로 수행하거나, 방향입력과 중앙입력을 조합하여 입력함으로써 한정된 입력공간에서 입력용량을 극대화할 수 있는 문자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프트웨어와 소프트웨어와 반도체기술 및 정보처리기술의 발달로 정보기기가 점점 소형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정보기기에서의 문자입력량과 중요도가 날로 커지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정보기기에서 각종 문자나 명령어 입력에 많은 문제점이 드러나고 있다. 예컨대, PC(Personal Computer) 또는 노트북(NoteBook)에 사용되는 키보드와 같은 입력장치는 크기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어 이들 정보기기를 소형화하는데 어려움이 따르고, PDA(Personal Data Assistant)에서 사용하는 터치스크린 방식이나 휴대폰에서 사용하는 키패드 방식에서는 입력속도가 느리고 잘못 입력되는 경우가 많아 불편한 점이 있다.
전술한 PC, 노트북, PDA 또는 휴대폰 등의 정보기기에서 더욱 빠른 속도로 문자, 숫자 또는 기호 등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1회의 입력동작에 1개의 음소(문자)가 입력되는 소위 1타 1 음소입력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고, 이러한 1타 1 음소입력이 한글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24개 이상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버튼이나 입력 키가 정보기기에 배열될 필요가 있다. 입력의 대상이 되는 언어가 영어나 일본어 또는 기타 외국어인 경우에는 한글의 경우보다 더 많은 버튼이나 입력 키를 증설해야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각종 정보기기에서 사용하는 종래의 입력장치는 각각의 입력 키에 문자를 할당하고 손가락으로 두드리거나 눌러서 입력하는 방식이므로 입력 키의 배열면적이 좁은 휴대폰과 같은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에는 손가락 크기의 입력 키를 24개 이상 배열하는 것이 어렵다.
이것이 지금까지 키보드가 소형화되기 어려운 이유였으며, 휴대폰의 경우에는 단지 12개의 버튼으로 24자 이상의 한글 문자를 모두 입력하다 보니 1개의 버튼에 다수개의 문자를 중복 배열하는 것이 불가피하고 이로 인해 하나의 문자(음소)를 입력하기 위해 두 번, 세 번 반복하여 입력하는 반복입력현상이 자주 발생하였다. 따라서, 그만큼 입력이 느려지고 불편한 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천지인과 같이 소정의 문자를 조합하여 입력하는 문자입력방식이 제안되기도 했지만, 이 방식에 의해서도 반복입력현상은 해소되지 못하였다.
또한, 둘둘 말아서 휴대할 수 있는 키보드나, 키보드 자판의 이미지를 바닥에 영사하고 그 위에서 손가락으로 키보드를 입력하는 것과 같은 동작을 취하면 손가락의 위치를 감지하여 입력이 이루어지는 가상레이저 키보드 등의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류의 입력장치는 항상 휴대하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바닥에 놓인 상태에서만 입력이 가능하므로 이동 중에 손으로 들고 입력할 필요가 있는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에는 적용하기가 부적합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원 출원인은 1개의 입력부를 통하여 방향이동입력, 방향누름입력 및 중앙입력을 수행함으로써 최소한의 입력공간으로 원하는 모든 문자를 1동작으로 입력할 수 있는 문자입력장치를 제안한바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상기 방향이동입력 또는 방향누름입력과 상기 중앙입력을 조합하는 새로운 입력동작을 추가함으로써 한정된 입력공간에서 입력용량을 극대화할 수 있는 문자입력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입력영역이 마련된 베이스; 상기 입력영역 내 에서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배치된 복수의 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방향입력이 이루어지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의 중앙에 마련되어 누름에 의해 중앙입력이 수행되는 중앙입력키; 상기 방향입력을 감지하는 방향입력감지부; 상기 중앙입력을 감지하는 중앙입력감지부; 및 상기 방향입력감지부 및 중앙입력감지부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각 방향지시위치 및 중앙입력키에 할당된 제1문자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입력하며, 상기 중앙입력과 동시에 상기 방향입력이 이루어지는 중앙조합입력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각 방향지시위치에 중복할당된 제2문자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입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문자입력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방향입력은 상기 입력부가 상기 각 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로 슬라이딩되며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방향입력은 상기 입력부가 상기 각 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향하여 기울임이동되며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방향입력은 상기 입력부가 상기 각 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향하여 기울여져 입력될 수 있다.
상기 방향입력은 상기 입력부에 상기 각 방향지시위치에 대응하여 마련된 누름부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입력될 수 있다.
상기 방향입력 또는 중앙입력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입력부의 이동거리, 기울임이동 또는 기울임의 각도, 누름부의 누름거리, 또는 중앙입력키의 누름거리에 따라 2단 이상의 다단입력이 수행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방향입력은 1단입력으로 마련되고, 상기 중앙입력은 2단입력으로 마련되는 경우, 상기 방향지시위치에는, ① 상기 방향입력, ② 상기 방향입력과 1단의 상기 중앙입력의 조합, ③ 상기 방향입력과 2단의 상기 중앙입력의 조합에 각각 대응하여 서로 다른 3개의 문자세트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방향입력은 2단입력으로 마련되고, 상기 중앙입력은 1단입력으로 마련되는 경우, 상기 방향지시위치에는, ① 1단의 상기 방향입력, ② 2단의 상기 방향입력, ③ 1단의 상기 방향입력과 중앙입력의 조합 및 ④ 2단의 상기 방향입력과 중앙입력의 조합에 각각 대응하여 서로 다른 4개의 문자세트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방향입력 및 중앙입력이 모두 2단으로 마련되는 경우, 상기 방향지시위치에는, ① 1단의 상기 방향입력, ② 2단의 상기 방향입력, ③ 1단의 상기 방향입력과 1단의 상기 중앙입력의 조합, ④ 1단의 상기 방향입력과 2단의 상기 중앙입력의 조합, ⑤ 2단의 상기 방향입력과 1단의 상기 중앙입력의 조합, ⑥ 2단의 상기 방향입력과 2단의 상기 중앙입력의 조합에 각각 대응하여 서로 다른 6개의 문자세트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문자세트들 중 어느 하나에 모음문자가 할당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 중앙입력키, 방향입력감지부 및 중앙입력감지부는 상기 입력영역에 각각 2 개씩 마련되어 2 개의 입력세트로 분할되며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각 입력부에서 수행되는 상기 방향입력 또는 중앙입력 중 하나 이상은 2 단이상의 다단입력이 수행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2개의 입력세트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는 자음문자가 입력되고, 나머지 하나에 의해서는 모음문자가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중앙조합입력에 의해서는 엔터, 스페이스, 취소 등의 기능입력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중앙조합입력에 의해서는 한글문자, 영어문자, 숫자, 기호 등의 입력모드의 전환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각 방향지시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입력부의 상단이나 상기 각 누름부, 또는 상기 중앙입력키 중 하나 이상에는 손가락의 접근 또는 접촉을 감지하는 터치감지부가 마련되어, 상기 각 방향입력 및 중앙입력에 더하여 터치입력이 수행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제어부에 의해 추출된 입력명령이 표시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표시부에는 각 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문자가 표시되는 자판표시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또는 입력부 중 어느 하나에 상기 각 방향지시위치에 대응하여 마련되어, 상기 각 방향지시위치별로 상기 방향입력 또는 중앙조합입력에 할당된 문자가 표시되는 문자표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문자표시부는 상기 각 방향지시위치에 복수의 문자세트가 배치되는 경우, 사용자의 입력동작에 따라 선택된 문자입력세트로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1)는, 입력영역이 마련된 베이스(110)와; 입력영역 내에서 기준위치(S)로부터 기준위치(S)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배치된 복수의 방향지시위치(D1, D2, D3, D4)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방향입력(D)이 이루어지는 입력부(10)와; 입력부(10)의 중앙에 마련되어 누름에 의해 중앙입력(C)이 수행되는 중앙입력키(30)와; 방향입력(D)을 감지하는 방향입력감지부(51); 중앙입력(C)을 감지하는 중앙입력감지부(55)와; 방향입력감지부(51) 및 중앙입력감지부(55)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각 방향지시위치(D1, D2, D3, D4) 및 중앙입력키(30)에 할당된 제1문자를 메모리부(65)로부터 추출하여 입력하며, 중앙입력(C)과 동시에 방향입력(D)이 이루어지는 중앙조합입력(M)이 수행되는 경우 각 방향지시위치(D1, D2, D3, D4)에 중복할당된 제2문자를 메모리부(65)로부터 추출하여 입력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한다.
이하, 구성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1)가 장착된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문자입력장치(1)는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베이스(110) 일측에 마련되며, 베이스(110)의 타측에는 문자입력장치(1)에서 수행된 각종 입력명령 및 기능이 디스플레이되는 표시부(130)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표시부(130)에는 각 방향지시위치(D1, D2, D3, D4)에 할당된 문자가 표시되는 자판표시부(74)가 마련될 수 있다.
자판표시부(74)에는 사용자의 입력동작에 따른 입력내용 또는 선택된 입력모드에서 할당된 문자가 표시될 수 있으며, 각 방향지시위치(D1, D2, D3, D4)에 중복할당된 모든 문자가 동시에 표시될 수도 있고, 특정 문자세트만이 표시될 수도 있다.
한편, 자판표시부(74)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사라지게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베이스(110)의 타측에는 통화/취소 등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복수의 기능키(123) 및 통화모드/문자입력모드 등의 모드전환을 수행하기 위한 모드전환키(121)가 마련될 수 있다.
입력부(10)는 베이스(110)에 마련된 입력영역 내에서 방향입력(D)이 이루어지도록 마련된다.
방향입력(D, 도 1a 참조)은 기준위치(S)로부터 기준위치(S)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배치된 복수의 방향지시위치(D1, D2, D3, D4)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을 말한다.
방향입력(D)은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2b 및 도 2c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가 방향지시위치(D1, D2, D3, D4)들 중 어느 하나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이 경우, 입력부(10)의 하부에는 필요에 따라 입력부(10)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11)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방향입력(D)이 슬라이딩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 베이스(110)에 마련되어 입 력부(10)의 이동을 감지하는 방향입력감지부(51)가 마련될 수 있다.
방향입력감지부(51)는 입력부(10)의 각 이동경로에 마련되어, 입력부(10)의 이동이 감지되면 감지결과를 제어부(60)로 전송한다.
여기서, 방향지시위치(D1, D2, D3, D4)는 다양한 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4방향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8방향 또는 12방향 등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는, 방향입력(D)은 도 2c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가 소정의 방향지시위치(D1, D2, D3, D4)를 향하여 기울임이동되며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기울임이동'이란 입력부(10) 전체가 소정 방향을 향하여 기울어지면서(또는, 지지부(11)와 동시에) 이동되는 것으로, 도 2c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가 지지부(11)에 대하여 기울어지는 것과는 다른 개념이다.
방향입력(D)은 도 2c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가 방향지시위치(D1, D2, D3, D4들 중 어느 하나를 향하여 기울여지며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입력부(10)와 베이스(110)사이에는 입력부(10)를 임의방향으로 기울임이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11)가 마련되어 있어서, 입력부(10)가 방향지시위치(D1, D2, D3, D4 )들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해당 방향지시위치(D1, D2, D3, D4 )에 할당된 문자를 입력하도록 마련된다.
또는, 방향입력(D)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에 각 방향지시 위치(D1, D2, D3, D4 )에 대응하여 마련된 누름부들(35)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수행될 수도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입력부(10) 상단에 각 방향지시위치(D1, D2, D3, D4)에 대응하여 누름부(35)이 마련되며, 제어부(60)는 방향입력감지부(51)로부터 감지결과를 수신받아 선택된 누름부(35)에 할당된 문자를 메모리부(65)로부터 추출하여 입력한다.
여기서, 전술한 각 방향입력(D)은 2단 이상의 다단입력이 수행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향입력(D)이 슬라이딩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 방향입력감지부(51)를 입력부(10)의 이동경로상에 2 이상으로 배치하여, 입력부(10)의 이동거리에 따라 다단으로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의 연부에 마련된 탄성부재(40) 또는 입력부(10) 자체에 각 방향지시위치(D21, D22, D23, D24)에 대응하여 돌출길이가 서로 다른 제1접촉부(27a) 또는 제2접촉부(27b)를 마련할 수 있다. 이 경우, 입력부(10)의 이동정도에 따라 상대적으로 긴 제1접촉부(27a)가 먼저 베이스(110)에 접촉되고, 다음으로 제2접촉부(27b)가 베이스(110)에 접촉된다.
이 경우, 접촉부(27a, 27b)는 탄성이 있는 전도성부재로 마련될 수 있다.
또는, 방향입력(D)이 기울임이동 또는 기울임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 방향입 력감지부(51)가 입력부(10)의 기울임정도 또는 기울임압력을 감지하도록 하여 다단입력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의 하부 연부를 따라 단차를 형성하고, 1단의 기울임에 의해서는 하부의 방향입력감지부 51a가 먼저 베이스(110)에 접촉되고, 2단의 기울임에 의해서는 상부의 방향입력감지부 51b가 베이스(110)에 접촉되게 할 수 있다.
또는,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의 하부에 마련된 탄성부재(40) 또는 입력부(10) 자체에 각 방향지시위치(D21, D22, D23, D24)에 대응하여 돌출길이가 서로 다른 제1접촉부(27a) 또는 제2접촉부(27b)를 마련할 수 있다. 여기서, 접촉부(27a, 27b)는 마찬가지로 탄성이 있는 전도성부재로 마련될 수 있다.
방향입력(D)이 제2방향누름입력(D3)으로 마련되는 경우에는 각 누름부(35)의 하부에 마련된 방향입력감지부(51)에서 누름압력 또는 누름거리를 감지하여 다단입력이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여기서, 다단입력시의 제어부(60)의 신호처리방법의 일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2단의 방향입력(D)의 경우 2단입력을 수행할 때에는 1단입력이 먼저 수행되는 바, 제어부(60)는 1단의 제1방향입력(D)이 수행된 후에 소정의 대기시간 내에 2단의 방향입력(D)이 수행되는지 여부를 기다려 2단입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어부(60)는 일단 1단의 방향입력(D)이 수행되면 상기 대기시간을 기다리지 않고 바로 1단입력을 처리하되, 상기 대기시간 내에 2단입력이 수행되면 1단입력을 취소하고 2단입력으로 변경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대기시간동안 입력이 지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소정시간의 경과여부 대신에 1단 입력의 해제여부(예를 들어, 방향입력(D)이 수행된 후 기준위치(S)로 복귀했는 지 여부, 또는 1단 입력 감지신호가 해제(off)될 때)에 따라 1단입력의 변경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즉, 1단 입력이 해제될 때 최종입력결정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면, 1단 입력이 수행되면 바로 입력처리가 되고, 1단 입력을 해제하면 입력결정이 되지만, 대기시간에 관계없이 1단 입력을 수행한 상태에서 해제하지 않고 더 진행하여 2단 입력이 수행되면 1단 입력이 취소되고 2단 입력으로 변경된다.
상기의 신호처리방법은 2단 입력 수행시 잘못된 입력으로 인하여 1단 입력이 처리되었을 때, 1단 입력을 취소한 뒤에 2단 입력을 수행할 필요없이 1단 입력처리된 상태에서 바로 2단 입력을 더 수행하여 상기 1단 입력을 2단 입력으로 변경할 수 있어 보다 빠른 입력처리가 가능하다.
또는, 방향입력감지부(51)를 압력센서로 마련할 경우에는 상기 대기시간내에 발생된 최대 압력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방향입력감지부(51)가 입력부(10)를 감지한 감지시간에 기초하여 1단입력 및 2단입력을 구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감지시간이 0.5초 미만이면 1단입력으로 하고, 0.5초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2단입력으로 판단할 수 있다.
압력센서의 경우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1단 입력이 수행되면 바로 입력처리를 하고, 1단 입력이 해제되면 입력결정되도록 하여 1단입력이 해제되기 전에 2단입력에 해당하는 감지값이 추가로 감지되면 1단입력을 취소하고 2단입력이 입력결정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다단입력에 관한 제어부(60)의 신호처리에 관하여는 방향입력(D) 이외에 중앙입력(C), 중앙조합입력(M)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한편, 전술한 각 경우에 있어서, 입력부(10)는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반경방향의 이동뿐 아니라, 원주방향의 이동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0)는 기준위치를 벗어나 소정의 방향입력(D)을 수행한 뒤에 기준위치로 복귀하기 전에 원주방향으로 이동하여 또다른 방향입력(D)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입력부(10)는 다양한 크기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하나의 손가락으로 각 방향입력(D)을 수행할 수 있는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입력부(10)의 일측에는 슬라이딩 이동 또는 기울임시 손가락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요철 또는 러버재질을 갖는 미끄럼방지부가 마련될 수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중앙입력키(30)는 입력부(10)의 중앙에 누름에 의해 중앙입력(C)이 수행가능하게 마련된다.
중앙입력키(30)는 입력부(10)와 별도로 상하로 승강하면서 중앙입력(C)을 수행한다. 중앙입력키(30)에는 문자/기호/숫자 등이 할당되어 중앙입력(C)이 단독으로 수행되는 경우, 중앙입력감지부(55)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60)에서 할당된 문자/기호/숫자등을 메모리부(65)로부터 추출하여 입력하도록 한다.
또는, 중앙입력키(30)를 통하여 입력모드의 변경 등 각종 기능명령을 수행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중앙입력(C)은 도 2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가 베이스(110)에 대하여 승강하면서 수행될 수도 있다.
중앙입력(C) 또한 중앙입력키(30)에 가해지는 누름압력의 세기 또는 중앙입력키(30)의 누름거리에 따라 2단 이상의 다단입력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여기서, 방향입력감지부(51) 및 중앙입력감지부(55)는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압력센서, 광센서 또는 접촉센서 등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감지센서가 입력반경 전체에 분포된 터치패드로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1)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방향입력(D) 및 중앙입력(C)이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가능함과 동시에 방향입력(D)과 중앙입력(C)이 상호 조합되는 중앙조합입력(M)이 가능하게 마련된다.
여기서, 중앙조합입력(M)이란 중앙입력키(30)가 선택된 상태(즉, 중앙입 력(C)이 수행된 상태에서)에서 방향입력(D)이 수행되는 것을 의미한다.
즉, 방향입력(D)에 제1문자 및 제2문자가 중복 할당되어 있는 경우에, 제어부(60)는 방향입력(D)이 단독으로 수행되는 경우 상기 제1문자(도 1a의 D1 등)를 입력하고, 방향입력(D)과 중앙입력(C)이 조합되는 경우(즉, 중앙조합입력(M)이 수행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2문자(도 1a의 M1 등)가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각 방향입력(D) 및 중앙입력(C)은 1단 또는 다단으로 수행될 수 있으므로, 중앙조합입력(M)은 이에 따라 다양한 수로 마련될 수 있다.
이하,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중앙조합입력(M)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중앙조합입력(M)의 가장 간단한 형태인 1단의 방향입력(D)과 1단의 중앙입력(C)의 조합은 전술한 도 1a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한다.
다음, 도 3a는 방향입력(D)이 2단으로 마련되고, 중앙입력(C)이 1단으로 마련된 경우를 나타낸다.
이 경우, 방향입력(D)과, 중앙조합입력(M)에 의해서 입력할 수 있는 문자세트는, ① D(1) : 1단의 방향입력(D),
② D(2) : 2단의 방향입력(D),
③ M(1) : 1단의 방향입력(D(1))과 중앙입력(C)의 조합,
④ M(2) : 2단의 방향입력(D(2))과 중앙입력(C)의 조합
에 각각 대응하여 총 4개가 가능하다.
도면을 참조하면, 베이스(110)의 일측에는 각 방향지시위치(D1,.., D8)에 대응하여 각 방향입력(D) 및 중앙조합입력(M)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가 표시된 문자표시부(15)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문자표시부(15)는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표시내용을 변경할 수 있는 LCD창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방향지시위치(D1,.., D8)에 복수의 문자세트가 배치될 때에는 사용자의 입력동작에 따라 선택된 문자세트만이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다.
문자표시부(15)의 좌측하단에 표시된 문자는 1단의 방향입력(D(1))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를, 좌측상단에 표시된 문자는 2단의 방향입력(D(2))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가 표시되며, 우측에 표시된 문자는 1단의 방향입력(D(1))과 중앙입력(C)의 조합에 의해 수행되는 중앙조합입력(M(1))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를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입력부(10)를 12시 방향으로 1단 방향입력(D(1))을 하면 'ㄱ'이 입력되며, 2단 방향입력(D(2))을 수행하면 'ㅋ'이 입력되고, 1단의 방향입력(D(1))과 중앙입력(C)을 조합하면 'ㅏ(M(1))'가 입력된다. 물론, 중앙입력(C)을 단독으로 수행하는 경우에는 'ok'를 입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1)는 방향지시위치(D1,.., D8)가 8개 로 마련되는 경우에는, 1단 및 2단 방향입력(D)에 의해서 16개, 중앙입력(C)에 의해 1개 그리고 중앙조합입력(M)에 의해서 8개, 총 25개의 문자입력이 가능해진다.
도 3b는 방향입력(D)이 1단으로 구성되고, 중앙입력(C)이 2단으로 마련된 경우를 나타낸다.
이 경우, 방향입력(D)과, 중앙조합입력(M)에 의해서 입력할 수 있는 문자세트는, ① D(1) : 1단의 방향입력(D),
② M(1) : 1단의 방향입력(D(1))과 1단의 중앙입력(C(1))의 조합,
③ M(2) : 1단의 방향입력(D(1))과 2단의 중앙입력(C(2))의 조합
에 각각 대응하여 총 3개가 가능하다.
도면을 참조하면, 방향입력(D) 1단에 의해서는, 'A, E, I, O, U,..'등의 모음이 입력되고, 중앙조합입력(M) 1단 (즉, 방향입력(D) 1단과 중앙입력(C)의 조합) 및 중앙조합입력(M) 2단(즉, 방향입력(D) 2단과 중앙입력(C)의 조합)에 의해서는 영문 자음이 입력된다.
한편, 중앙입력(C) 단독으로는 1단에 의해, 'Y', 2단에 의해서는 'Z'가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c는 방향입력(D)도 2단으로 구성되고, 중앙입력(C)도 2단으로 구성된 경우를 나타낸다.
이 경우, 방향입력(D)과, 중앙조합입력(M)에 의해서 입력할 수 있는 문자세 트는, ① D(1) : 1단의 방향입력(D),
② D(2) : 2단의 방향입력(D),
③ M(1) : 1단의 방향입력(D(1))과 1단의 중앙입력(C(1))의 조합,
④ M(2) : 1단의 방향입력(D(1))과 2단의 중앙입력(C(2))의 조합
⑤ M(3) : 2단의 방향입력(D(2))과 1단의 중앙입력(C(1))의 조합
⑥ M(4) : 2단의 방향입력(D(2))과 2단의 중앙입력(C(2))의 조합
에 각각 대응하여 총 6개가 가능하다.
이 경우, 중앙조합입력(M)은 각 방향입력(D)에 대하여 중앙입력(C) 1, 2단이 조합되므로, 총 4 단입력(즉, M(1), M(2), M(3), M(4))이 가능해진다.
즉, 1단의 중앙조합입력(M(1))은 1단의 방향입력(D(1))과 1단의 중앙입력(C(1))의 조합에 의해, 2단의 중앙조합입력(M(2))는 1단의 방향입력(D(1))과 2단의 중앙입력(C(2))의 조합에 의해, 3단의 중앙조합입력(M(3))은 2단의 방향입력(D(2))과 1단의 중앙입력(C(1))의 조합에 의해, 4단의 중앙조합입력(M(4))은 2단의 방향입력(D(2))과 2단의 중앙입력(C(2))의 조합에 의해 수행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 방향지시위치(D1,...)를 12개로 마련하는 경우, 2단의 방향입력(D)에 의해 24개, 4단의 중앙조합입력(M)에 의해 48개, 중앙입력(C)에 의해 2개, 총 72개의 문자입력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여기서, 남는 방향지시위치(D1,...)에는 기호, 숫자, 기능 등이 더 배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각 방향입력(D) 및 중앙조합입력(M)에 의해 할당되는 문자는 그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향입력(D) 또는 중앙조합입력(M) 중 어느 하나에 의해서는 모음문자가 입력되고, 나머지 하나에 의해서는 자음문자가 입력될 수 있다. 여기서, 자음 또는 모음이 할당되고 남은 자리에는 각종 기능명령, 숫자 또는 기호 등이 더 할당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입력(D)에는 한글자음이 배치되고, 중앙조합입력(M)에는 한글모음이 배치될 수도 있고,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입력(D)에는 영문모음이 배치되고, 중앙조합입력(M)에는 영문자음이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입력(D) 1단과 이에 따른 중앙조합입력(M)에 의해서는 한글문자를 입력하고, 방향입력(D) 2단과 이에 따른 중앙조합입력(M)에 의해서는 영어문자가 입력되도록 배치할 수도 있다.
또는, 전술한 각 실시예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문자세트에만 모음문자가 배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중앙조합입력(M)에 의해서는, 엔터, 스페이스, 취소 등의 기능입력이 수행될 수도 있고, 한글문자, 영어문자, 숫자, 기호 등의 입력모드의 전환이 수행될 수도 있으며, 커서이동 등의 방향지시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자음과 모음의 조합으로 구성된 한글문자, 영어문자 또는 일본어 문자 등을 입력할 때, 자음과 모음이 무분별하게 섞여 배열되는 경우에는 각 입력동작에 따라 입력되는 문자를 기억해서 입력해야 하므로 입력이 용이하지 않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1)에서와 같이, 자음문자와 모음문자를 각 입력동작의 특성에 따라 분할하여 배치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입력동작과 연관하여 할당된 문자를 쉽게 입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1)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 중앙입력키(30), 방향입력감지부(51) 및 중앙입력감지부(55)는 입력영역에 각각 2개씩 마련하여 2개의 입력세트(I1, I2)로 분할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각 입력세트(I1, I2)는 상호 동일한 방향입력(D) 및 중앙조합입력(M)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구성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즉, 일측의 입력부(10)는 4개의 방향지시위치(D1, D2, D3, D4)를 가지며, 타측의 입력부(10')는 8개의 방향지시위치(D1, D2, D3, D4)를 가질 수 있다.
또는, 전술한 각 경우에 있어서, 각 입력세트(I1, I2)에 배치되는 문자는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상이하게 마련될 수도 있다.
즉, 2개의 입력세트(I1, I2) 중 좌측의 입력세트(I1)를 통하여는 모음문자가 입력되도록 할 수도 있고, 우측의 입력세트(I2)를 통하여는 자음문자가 입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2개의 입력세트(I1, I2) 중 어느 일측에는 숫자를 배치하고, 다른 한쪽에는 기호등을 배치할 수도 있다.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1)를 마우스 또는 조이스틱으로 사용할 수도 있는 바, 이 경우, 2개의 입력세트가 마련될 때에는 어느 하나의 입력부(10)는 마우스포인터 기능을 수행하고, 다른 하나의 입력부(10)는 각종 기능명령의 입력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각 방향지시위치(D1, D2, D3, D4)에 대응하는 입력부(10)의 상단이나 각 누름부(35), 또는 중앙입력키(30) 중 하나 이상에는 손가락의 접근 또는 접촉을 감지하는 터치감지부(미도시)가 마련되어, 각 방향입력(D) 및 중앙입력(C)에 더하여 터치입력이 수행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1)는 전술한 실시예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방향입력(D)의 다단여부, 중앙입력(C)의 다단여부 및 입력세트(I1, I2)의 수를 자유롭게 변경 및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혀둔다.
따라서, 전술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에 의하면, 방향입력과 중앙입력을 단독으로 수행하는 것 이외에, 방향입력과 중앙입력을 조합하여 입력하게 함으로써 한정된 입력공간에서 입력용량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각 입력동작의 특성에 따라 입력되는 문자를 구분하여 배치할 수 있으 므로 사용자가 쉽고 적응할 수 있으며, 신속하고 정확한 입력이 가능해진다.

Claims (18)

  1. 입력영역이 마련된 베이스;
    상기 입력영역 내에서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배치된 복수의 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방향입력이 이루어지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의 중앙에 마련되어 누름에 의해 중앙입력이 수행되는 중앙입력키;
    상기 방향입력을 감지하는 방향입력감지부;
    상기 중앙입력을 감지하는 중앙입력감지부; 및
    상기 방향입력감지부 및 중앙입력감지부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각 방향지시위치 및 중앙입력키에 할당된 제1문자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입력하며, 상기 중앙입력과 동시에 상기 방향입력이 이루어지는 중앙조합입력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각 방향지시위치에 중복할당된 제2문자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입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입력은 상기 입력부가 상기 각 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로 슬라이딩되며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입력은 상기 입력부가 상기 각 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향하여 기울임이동되며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입력은 상기 입력부가 상기 각 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향하여 기울여져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입력은 상기 입력부에 상기 각 방향지시위치에 대응하여 마련된 누름부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입력 또는 중앙입력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입력부의 이동거리, 기울임이동 또는 기울임의 각도, 누름부의 누름거리, 또는 중앙입력키의 누름거리에 따라 2단 이상의 다단입력이 수행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입력은 1단입력으로 마련되고, 상기 중앙입력은 2단입력으로 마련 되는 경우,
    상기 방향지시위치에는, ① 상기 방향입력, ② 상기 방향입력과 1단의 상기 중앙입력의 조합, ③ 상기 방향입력과 2단의 상기 중앙입력의 조합에 각각 대응하여 서로 다른 3개의 문자세트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입력은 2단입력으로 마련되고, 상기 중앙입력은 1단입력으로 마련되는 경우,
    상기 방향지시위치에는, ① 1단의 상기 방향입력, ② 2단의 상기 방향입력, ③ 1단의 상기 방향입력과 중앙입력의 조합 및 ④ 2단의 상기 방향입력과 중앙입력의 조합에 각각 대응하여 서로 다른 4개의 문자세트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입력 및 중앙입력이 모두 2단으로 마련되는 경우,
    상기 방향지시위치에는, ① 1단의 상기 방향입력, ② 2단의 상기 방향입력, ③ 1단의 상기 방향입력과 1단의 상기 중앙입력의 조합, ④ 1단의 상기 방향입력과 2단의 상기 중앙입력의 조합, ⑤ 2단의 상기 방향입력과 1단의 상기 중앙입력의 조합, ⑥ 2단의 상기 방향입력과 2단의 상기 중앙입력의 조합에 각각 대응하여 서로 다른 6개의 문자세트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문자세트들 중 어느 하나에 모음문자가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 중앙입력키, 방향입력감지부 및 중앙입력감지부는 상기 입력영역에 각각 2 개씩 마련되어 2 개의 입력세트로 분할되며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입력부에서 수행되는 상기 방향입력 또는 중앙입력 중 하나 이상은 2 단이상의 다단입력이 수행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입력세트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는 자음문자가 입력되고, 나머지 하나에 의해서는 모음문자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14. 제1항, 제6항, 제11항 또는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조합입력에 의해서는 엔터, 스페이스, 취소 등의 기능입력이 수행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15. 제1항, 제6항, 제11항 또는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조합입력에 의해서는 한글문자, 영어문자, 숫자, 기호 등의 입력모드의 전환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16. 제1항 내지 제6항, 제11항 또는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방향지시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입력부의 상단이나 상기 각 누름부, 또는 상기 중앙입력키 중 하나 이상에는 손가락의 접근 또는 접촉을 감지하는 터치감지부가 마련되어, 상기 각 방향입력 및 중앙입력에 더하여 터치입력이 수행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제어부에 의해 추출된 입력명령이 표시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표시부에는 각 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문자가 표시되는 자판표시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또는 입력부 중 어느 하나에 상기 각 방향지시위치에 대응하여 마련되어, 상기 각 방향지시위치별로 상기 방향입력 또는 중앙조합입력에 할당된 문자가 표시되는 문자표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문자표시부는 상기 각 방향지시위치에 복수의 문자세트가 배치되는 경우, 사용자의 입력동작에 따라 선택된 문자입력세트로 변경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KR1020070046300A 2007-05-09 2007-05-14 문자입력장치 KR200800997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8/002629 WO2008140228A2 (en) 2007-05-09 2008-05-09 Character inpu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4984 2007-05-09
KR20070044984 2007-05-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9760A true KR20080099760A (ko) 2008-11-13

Family

ID=40286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6300A KR20080099760A (ko) 2007-05-09 2007-05-14 문자입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9976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40303B2 (ja) データ入力装置
JP5278259B2 (ja) 入力装置、入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330760B1 (ko) 기호 입력을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1636705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JP4909355B2 (ja) 文字入力装置
EP2400373A1 (en) Inputting symbols into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touch-screen
KR20090059078A (ko) 문자입력장치
KR20080097114A (ko)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080010266A (ko) 문자입력장치
JP5124574B2 (ja) 文字入力装置
KR20080095811A (ko) 문자입력장치
KR100835337B1 (ko) 문자입력장치 및 그 방법
JP2010518529A (ja) 文字入力装置
EP2400372B1 (en) Inputting symbols into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touch-screen
KR100994362B1 (ko) 데이터 입력장치
KR101136367B1 (ko) 입력장치 및 문자입력방법
KR20080082551A (ko) 문자입력장치
KR20080099760A (ko) 문자입력장치
KR20100033879A (ko) 문자입력장치
KR20080070110A (ko) 문자입력장치
JP7211481B2 (ja) 情報入力方法及び携帯端末装置
WO2008140228A2 (en) Character input device
KR20080075675A (ko) 문자입력장치
KR20080099768A (ko) 데이터입력장치
KR20080075669A (ko) 문자입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