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6518B1 - 원 키 데이터 입력 장치 및 이를 채용한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원 키 데이터 입력 장치 및 이를 채용한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6518B1
KR100396518B1 KR10-2001-0045323A KR20010045323A KR100396518B1 KR 100396518 B1 KR100396518 B1 KR 100396518B1 KR 20010045323 A KR20010045323 A KR 20010045323A KR 100396518 B1 KR100396518 B1 KR 100396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nput
center
guide member
input devic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5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0400A (ko
Inventor
김기현
송현명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5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6518B1/ko
Priority to US10/207,719 priority patent/US7068259B2/en
Publication of KR20030010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0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6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65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38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limited linear or angular displacement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from a neutral position, e.g. isotonic or isometric joysti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는 원 키 데이터 입력 장치와, 이를 채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이 개시된다. 개시된 원 키 데이터 입력 장치는 본체 상단 소정 위치에 제공된 리세스; 상기 리세스에 놓여 중심으로부터 상하 및 상기 중심으로부터 방사 방향 및 상기 중심으로부터 외주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센터 키; 및 상기 센터 키와 결합되어 함께 이동하며, 선택된 데이터의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발생용 가이드 부재와, 상기 가이드 부재의 하측으로 밀착되게 배치되어 슬라이딩운동을 하는 수직이동 부재와, 상기 수직이동 부재 하측으로 배치되어 상기 수직이동 부재가 상기 신호발생용 가이드 부재와 밀착하는 힘을 제공하는 제1탄성체와, 상기 제1탄성체와 신호발생용 가이드 부재를 지지하며, 발생된 신호를 메인 인쇄회로기판에 전달하는 베이스를 포함하는 데이터 입력 어셈블리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원 키 데이터 입력 장치 및 이를 채용한 휴대용 단말기{ONE KEY DATA INPUTTING DEVICE AND PORTABLE TELEPHONE THEREWITH}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체에 손가락의 미는 동작과 당기는 동작 및 누름 동작의 연속에 의해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원-키 데이터 입력 장치 및 이를 채용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는 외관상으로 바-형(bar-type), 플립-형(flip-type), 폴더-형(folder-type) 단말기 등으로 구분하고, 착용 위치에 따라서 손목착용-형(wrist-type) 또는 목걸이 착용-형(neck wearable-type) 단말기 등으로 구분된다. 달리는 기능상에 따라서 음성 통신용, 영상 통신용 또는 인터넷 통신용 단말기 등으로 구분된다. 현재는 외관상 바-형이나, 플립-형 또는 폴더-형 단말기가 보편화된 상태이다. 그러나, 향후 착용 편리성에 따라서 보다 다양한 착용 방식을 채택한 단말기가 주류를 이룰 것으로 예상된다.
폴더-형 단말기를 예를 들어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폴더-형 단말기는 메인 하우징과, 폴더와, 메인 하우징과 폴더를 연결시켜
통화각도까지 개폐시키는 힌지 수단으로 대별된다. 물론, 메인 하우징에 데이터입력 수단이 위치하고, 폴더에 데이터 출력 수단이 위치한다. 또한, 메인 하우징에 마이크 장치가 위치하고, 폴더에 스피커가 위치하는 구조이다.
보편화된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 수단은 다수 개의 키들로 구성된 키패드 어셈블리가 사용되며, 데이터 출력 수단은 엘씨디 모듈이 사용된다. 한편, 데이터 입력 수단으로 터치 스크린 또는 음성인식 수단 등을 이용하여 원하는 데이터를 입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데이터 입력 수단 중, 특히, 키패드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데이터 입력을 수행하는 구조가 가장 보편적으로 상용화된 상태이다. 이러한 키패드 어셈블리는 하나 하나의 키를 눌러주는 직접입력방식으로서, 선택된 손가락 누름동작으로 데이터 입력이 가능한 구조이다.
종래의 키패드 어셈블리는 영문, 숫자, 한글을 각각 선택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키들과, 통화, 종료, 메뉴 등의 기능 키들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를 감안하여 적어도 15개 이상의 키들을 필요로 한다. 특히 현재에는 인터넷 통신 등을 위하여 키의 사용이 더 필요해짐에 따라서 20개의 키가 요구된다.
그러나, 현재의 휴대용 단말기는 경량화 및 소형화되는 추세이지만, 휴대용 단말기 본체가 소형화되면 동시적으로 엘씨디와 키패드가 소형화되어야 하며, 엘씨디가 소형화되면, 디스플레이된 데이터 확인이 쉽지 않으며, 키패드가 소형화되면 손가락의 누름 동작으로 인한 데이터 입력 동작이 쉽지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기술적 난점이 현재의 휴대용 단말기의 소형화에 제약이 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더욱이,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에 데이터 입력 수단으로 적용되는 키패드 어셈블리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첫 번째로, 종래의 키패드 어셈블리는 적어도 15개 이상의 키 배열을 요구하기 때문에 본체 소형화에 역행하는 문제가 있다. 즉, 각각의 키들은 사용자의 손가락 누름동작으로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식이며, 이러한 손가락 누름 동작을 고려하여 키 사이즈의 소형화에 한계가 발생하여, 키패드 어셈블리의 소형화에도 한계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두 번째로,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원하는 키들을 손가락으로 각각 눌러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이러한 번거로운 키 누름 동작은 정확하게 데이터를 입력해는데 있어서 장애가 될 요인이 있다. 특히 다 수의 키들의 누름 동작을 반복하다 보면, 정확한 키 누름동작이 실행되지 않고, 원치 않는 키를 누르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는 키 누름 동작이 매우 번거롭기 때문에 기인한다.
세 번째로, 종래의 키패드 어셈블리는 다수의 키 배열을 요구하기 때문에 휴대용 단말기의 외관 특히, 본체를 디자인하는데 있어서 제약이 된다. 디자이너는 키패드 어셈블리때문에 자유스러운 본체 디자인을 할 수 없는 부담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 소형화에 유리한 원-키 데이터 입력 장치를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엘씨디 모듈의 크기를 최대화시켜서 본체에 장착할 수 있는 원-키 데이터 입력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데이터 입력 동작이 간단한 원-키 데이터 입력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디자인적 관점에서 본체 외관을 구현하는 디자인의 자유성을 제공할 수 있는 원-키 데이터 입력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체를 소형화함과 아울러 엘씨디를 대형화를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원-키 데이터 입력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 장치에 있어서,
본체 상단 소정 위치에 제공된 리세스;
상기 리세스에 놓여 중심으로부터 상하 및 상기 중심으로부터 방사 방향 및 상기 중심으로부터 외주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센터 키; 및
상기 센터 키와 결합되어 함께 이동하며, 선택된 데이터의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발생용 가이드 부재와, 상기 가이드 부재의 하측으로 밀착되게 배치되어 슬라이딩운동을 하는 수직이동 부재와, 상기 수직이동 부재 하측으로 배치되어 상기 수직이동 부재가 상기 신호발생용 가이드 부재와 밀착하는 힘을 제공하는 제1탄성체와, 상기 제1탄성체와 신호발생용 가이드 부재를 지지하며, 발생된 신호를 메인 인쇄회로기판에 전달하는 베이스를 포함하는 데이터 입력 어셈블리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입력된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는 와이드 엘씨디;
상기 와이드 엘씨디 하측에 형성된 리세스;
상기 리세스의 중심에 놓여 상기 중심으로부터 상하 방향, 상기 중심으로부터 방사 방향 및 상기 중심으로부터 외주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한 센터 키; 및
상기 센터 키의 이동 후에 누름 동작으로 신호발생하여 원하는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데이터 입력 어셈블리로 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원 키 데이터 입력 장치가 적용된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원 키 데이터 입력 장치가 본체에 장착된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원 키 데이터 입력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신호발생용 가이드 부재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 6은 도 5의 라인 X-X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신호발생용 가이드 부재를 복원시키는 토션 스프링의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센터 키의 이동 후에 누르면 디스플레이되는 데이터들을 나타내는 예시도로서, 센터 키의 상단에 마킹되는 숫
자나 기호들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신호발생용 가이드 부재의 저면을 나타내는 평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원 키 데이터 입력장치가 적용된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원 키 데이터 입력장치가 적용된 휴대용 단말기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에 순차적으로 장착된 안테나 장치(10), 이어 피스(11), 와이드 엘씨디(12), 원-키 데이터 입력 장치(13), 마이크 장치(14)를 포함한다. 상기 안테나 장치(10)는 전파의 송수신을담당하고, 상기 이어 피스(11)는 스피커(미 도시됨)를 구비하여 수화부 역할을 하고, 상기 마이크 장치(14)는 송화부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와이드 엘씨디(12)는 입력된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원 키 데이터 입력 장치(13)는 손가락의 밀거나 당기는 동작과 누름 동작으로 데이터 입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원 키 데이터 입력 장치(13)의 센터 키(133)는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원 키 데이터 입력 장치(13)는 손가락의 미는 동작, 당기는 동작 및 누름 동작에 의해 상기 센터 키(133)가 이동함으로써, 원하는 데이터 입력 동작이 수행된다.
상기 와이드 엘씨디(12)는 입력된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원-키 데이터 입력 장치(13)는 화살표 방향으로 센터 키(133)를 이동시켜서 원하는 데이터를 입력하는 장치이다. 그리고, 상기 본체 상단(100a)에는 상기 센터 키(133)의 화살표 방향으로의 이동을 위하여 소정 형상의 함몰된 리세스(100b)(recess)가 형성된다. 상기 리세스(100b)는 센터 키(133)의 형상에 대응하여 센터 키(133)의 이동을 위하여 원형으로 구현된다.
도 3,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원 키 데이터 입력 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 키 데이터 입력 장치(13)는 상기 본체(10)에 형성된 리세스(100b)의 하측에 장착된다. 상기 원 키 데이터 입력 장치(13)는 센터 키(133)와, 상기 센터 키(133)와 결합되는 데이터 입력 어셈블리(134)로 구성된다. 상기 센터 키(133)와 데이터 입력 어셈블리(134)가 결합되면, 상기 센터 키(133)는 본체(10) 외부로 노출되고,상기 데이터 입력 어셈블리(134)는 본체 내부로 위치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원 키 데이터 입력 장치(13)는 데이터 입력 어셈블리(134)가 본체(10)에 조립된 후, 최종적으로 상기 센터 키(133)를 데이터 입력 어셈블리(134)에 수직방향으로 조립시켜서 본 발명에 따른 원 키 데이터 입력 장치(13)의 조립이 수행된다.
상기 데이터 입력 어셈블리(134)는 케이스(131)와, 상기 케이스(131)에 조립되는 베이스(132)로 외곽이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31)는 데이터 입력 어셈블리를 지지하고 보호하기 위한 하우징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베이스(132)는 상기 본체(100)에 내장된 메인 인쇄회로기판(15)에 접속되어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케이스(131)를 하측에서 지지하기 위한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베이스(132)는 인쇄회로기판(15)으로 구성된다.
상기 데이터 입력 어셈블리(134)는 센터 키(133)에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상기 센터 키(133)의 이동방향에 따라서 함께 이동하는 신호전달용 가이드 부재(135)와, 상기 가이드 부재(135)의 이동에 따라서 발생된 신호를 베이스(132)에 전달하는 도전성 부재(136)와, 상기 도전성 부재(136)를 베이스(132)와 멀어지는 방향, 구체적으로 상기 신호발생용 가이드 부재(135)와 밀착하는 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하는 제1탄성체(139)와, 상기 베이스(132)와 도전성 부재(136) 사이에 제공된 제2탄성체(137)로 구성된다. 부가적으로 상기 데이터 입력 어셈블리(134)의 신호발생용 가이드 부재(135)는 제3탄성체(140)를 제공받아 원위치(센터)로 복귀하는 힘을 항시 제공받으며, 아울러 상기 도전성 부재(136)는 케이스(131) 내벽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134a)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만 이동하도록 지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도전성 부재(136)는 상부쪽으로 신호발생용 가이드 부재(135)와 밀착하여 접촉하는 제1돌출부(136a)와, 상기 제2탄성체(137)쪽으로 연장된 제2돌출부(136b)를 구비한다. 상기 제1돌출부)136a)의 단은 상기 신호발생용 가이드 부재(135)와의 슬라이딩이동을 위하여 반구형으로 구현되고, 상기 제2돌출부(136b)는 센터 키(133)가 눌러진 경우, 상기 제2탄성체(140)를 누르는 역할을 담당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탄성체(139)는 압축코일 스프링으로 구현되고, 상기 제2탄성체(137)는 메탈 돔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메탈 돔(137)이 눌려진 경우에, 상기 신호발생용 가이드 부재(135)에서 발생된 신호를 도전성 부재(136)를 경유하여 베이스(132)에 전달하기 위한 접점부(138)가 메탈돔(137)과 베이스(132) 사이에 제공된다.
도 5,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신호발생용 가이드 부재(135)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신호발생용 가이드 부재(135)는 상면(135f)과 하면(135e)을 구비하며, 상기 상면(135f)에는 체결부(135c)가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하면(135e)에는 센터를 중심으로 방사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부(G)가 제공된다. 상기 가이드부(G)는 상기 하면(135e)에서 소정의 폭으로 함몰된 홈을 의미한다. 상기 가이드부(G)는 파도의 물결과 같은 형상으로 돌출부(135a)와 오목부(135b)가 번갈아 가면서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부(G)는 센터부를 중심으로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었다고 기술한 바, 도 5에는 센터를 중심으로 방사 방향으로 각각 8방향 연장된 가이드부(G)의 구성이 도시되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부(G)의 형성
방향에 따라서 도 4의 도전성 부내(136)는 가이드부(G)와 긴밀하게 슬라이딩이동을 수행한다. 도 5, 도 6에는 센터에 형성된 오목부를 제외하면, 하나의 가이드부(G)에 두 개의 돌출부(135a)와, 상기 두 개의 돌출부(135a) 사이에 위치하는 두 개의 오목부(135b)가 보여진다. 그러나, 상기 돌출부(135a)와 오목부(135b)는 각각 두 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오목부(135b)에는 신호발생부(142)가 각각 제공된다. 상기 신호발생부(142)는 신호발생용 가이드 부재의 제1돌출부와 접촉하면 신호를 발생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즉, 상기 제1돌출부가 신호발생부(142)와 접촉하고 상기 센터 키가 눌러진 경우, 상기 발생된 신호는 도전성 부재(136)를 경유하여 접점부 및 베이스에 전달된다. 그러나, 별도의 신호검출을 위한 센서가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신호발생부는 신호 검출을 위한 단자로 구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3탄성체(140)의 구성 및 장착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호발생용 가이드 부재(135)는 가이드부(G)가 제공되어 8방(센터를 중심으로 45도의 각도 차이이도 방사 방향으로 연장)으로 센터 키가 이동가능하게 하는 방향을 제시함과 아울러 상기 센터 키의 이동에 따른 신호발생을 위하여 오목부에 각각 대응하는 신호발생부, 구체적으로 신호검출용 단자가 제공된다고 이미 설명하였다. 이때, 상기 신호발생용 가이드 부재(135)는 4개의 제3탄성체(140)에 의해 지지되어 센터로 복귀하려는 탄성력을 제공받는다. 상기 4개의 제3탄성체(140)는 각각 케이스 천정면(131a) 모서리에 형성된 돌기에 고정단(140a)이 고정되고, 그의 양자유단(149b)은 상기 신호발생용 가이드 부재(135)의 측벽(135d)쪽으로 연장되어 접촉된 상태로 배치된다. 즉, 상기 4개의 제3탄성체(1400는 신호발생용 가이드 부재(135)를 중심으로 대칭으로 장착된다. 상기 신호발생용 가이드 부재(135)의 대각선 방향쪽으로 토션 스프링의 고정단(140a)이 위치하고, 상기 신호발생용 가이드 부재(135)의 상하 좌우 방향쪽으로 상기 토션 스프링의 단(140c)이 위치한다.
상기 토션 스프링(140)은 고정단(140a)과, 상기 고정단(140a)에서 소정의 각도로 연장되어 서로 가까워지려는 힘을 보유한 양 자유단(140b)으로 구성된다. 상기 각각의 토션 스프링(140)은 양 자유단(140b) 중, 하나의 자유단(140b)은 신호발생용 가이드 부재의 측벽(135d)에 접촉된 상태로 슬라이딩이동을 하고, 상기 토션 스프링의 다른 하나의 자유단(140b)은 신호발생용 가이드 부재의 또 다른 이웃하는 측벽(135d)에 접촉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을 한다. 물론, 상기 슬라이딩 이동은 상기 신호발생용 가이드 부재(135)의 이동에 따라서 발생한다.
상기 신호발생용 가이드 부재(135)는 4개의 측벽(135d)에 상기 토션 스프링의 양 자유단(140b)이 접촉된 상태로 자체적으로 보유한 탄성을 제공하기 때문에 강제적인 힘이 가해지지 않는 한, 항시 센터에 위치할려는 힘을 제공받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신호발생용 가이드 부재(135)의 이동에 따라서 발생하는 슬라이딩 이동이 원할하도로 상기 토션 스프링의 단(140c)은 휘어진 형상으로 구현하며, 상기 토션 스프링의 휘어진 부분(140c)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하게 휘어진 형상을 한다. 상기 토션 스프링의 단(140c)이 휘어진 형상을 하기 때문에 측면(135d)과의 슬라이딩 운동이 원할하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센터 키의 이동에 따른 데이터 입력 동작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사용자가 "9498"이라는 번호를 입력하고 싶으면, 사용자는 손가락을 이용하여 센터 키를 45°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난 후 눌러주고, 눌러준 힘을 제거하면 상기 센터 키는 센터로 복귀한다. 이어서 상기 센터 키를 180°방향으로 한 번 이동시키고 난 후 눌러주고, 이어서 눌러준 힘을 제거한다. 이어서, 센터로 복귀한 센터 키를 다신 45°방향으로 한 번 이동시키고 난 후 한 번 눌러준고, 눌러준 힘을 제거한다. 그리고, 센터로 복귀한 센터 키를 90°방향으로 한 번 이동시키고 난 후 한 번 눌러준다. 이러한 동작은 상기한 "9498"의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동작이다.
즉, 원하는 위치로 센터 키를 이동시킨 다음에, 눌러주면 원하는 데이터의 입력 동작이 수행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원 키 데이터 입력장치의 신호발생용 가이드 부재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터 키의 이동을 제시하는 가이드부가 원주 방향으로 더 구비된 것을 도시하였다. 즉, 상기 신호발생용 가이드 부재의 가이드 부가 방사 방향으로 향하는 가이드부(G)뿐만 아니라, 원주 방향으로 향하는 가이드부(G1)가 형성되어 짐으로써, 보다 간단한 동작으로 원하는 데이터 입력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새로이 추가된 원주 방향 가이드부(G1)도 다수 개 형성되며, 특히, 상기 다수의 신호발생부(142)간을 원주방향으로 연결시키도록 형성된다. 상기 원주 방향 가이드부(G1)도 돌출부(135g)와, 상기 돌출부(135g) 사이에 배치된오목부(135h)를 구비하며, 상기 오목부(135h)에 신호발생부 바람직하게 신호검출용 단자(142)가 위치한다.
도 9에 도시된 신호발생용 가이드 부재를 사용하여 숫자 데이터 "9498"의 입력동작에 대해서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9498"이라는 번호를 입력하고 싶으면, 사용자는 손가락을 이용하여 센터 키를 45°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난 후 눌러주고, 눌러준 힘을 제거하면 센터 키는 중심으로 복귀한다. 이어서 상기 센터 키를 180°방향으로 한 번 이동시키고 난 후 눌러주고, 이어서 눌러준 힘을 제거한다. 이어서, 센터로 복귀한 센터 키를 다시 45°방향으로 한 번 이동시키고 난 후 한 번 눌러주고, 원주 방향 가이드부를 따라서 8번 위치로 이동시킨 다음에 한번 눌러줌으로서 원하는 데이터 입력 동작이 완료된다. 이러한 동작은 상기한 "9498"의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동작이다.
즉, 원하는 위치로 센터 키를 이동시킨 다음에, 눌러주면 원하는 데이터의 입력 동작이 수행되며, 원하는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하여 센터 키는 가장 단거리의 경로를 파악하여 센터 키의 이동을 수행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원 키 데이터 입력 장치는 하나의 손가락으로 원하는 데이터 입력이 간단하게 수행되며, 아울러, 입력된 데이터 확인하기 위한 엘씨디를 확장시킬 수 있게 되었으며, 자유스럽게 본체 디자인도 가능하게 되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예를 들어,본체의 소형화가 요구되는 휴대용 단말기는 본 발명에 따른 원 키 데이터 입력 장치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 키 데이터 입력 장치는 독립적으로 하나의 장치로 구성하여 본체에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고, 휴대가능한 타입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 키 데이터 입력 장치는 분리형 및 리모트형으로 구현하여 적용될 수 있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한 개의 센터 키로 원하는 데이터 입력동작이 가능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의 본체에서 키가 차지하는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었고, 아울러 엘씨디를 보다 크게 확장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본 발명은 보다 큰 엘씨디를 본체에 장착할 수 있게 되어 디스플레이 면적이 확장됨으로써, 다양한 인터넷 환경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게 되었다. 또한, 사용자의 한 손가락만으로 원하는 데이터 입력 동작이 가능하게 되었다.

Claims (29)

  1. 휴대용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 장치에 있어서,
    본체 상단 소정 위치에 제공된 리세스;
    상기 리세스에 놓여 중심으로부터 상하 및 상기 중심으로부터 방사 방향 및 상기 중심으로부터 외주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센터 키; 및
    상기 센터 키와 결합되어 함께 이동하며, 선택된 데이터의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발생용 가이드 부재와, 상기 가이드 부재의 하측으로 밀착되게 배치되어 슬라이딩운동을 하는 수직이동 도전성 부재와, 상기 수직이동 부재 하측으로 배치되어 상기 수직이동 도전성 부재가 상기 신호발생용 가이드 부재와 밀착하는 힘을 제공하는 제1탄성체와, 상기 제1탄성체와 신호발생용 가이드 부재를 지지하며, 발생된 신호를 메인 인쇄회로기판에 전달하는 베이스를 포함하는 데이터 입력 어셈블리로 구성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원 키 데이터 입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발생용 가이드 부재는 하면에 상기 센터 키의 이동방향을 가이드하기 위한 적어도 다수 개의 가이드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 키 데이터 입력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신호발생용 가이드 부재의 중심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원 키 데이터 입력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신호발생용 가이드 부재의 중심에서 외주 방향으로 연장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원 키 데이터 입력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신호발생용 가이드 부재의 중심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방사 방향 및 외주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방사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부와, 외주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부는 서로 연결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원 키 데이터 입력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단면이 파도와 같은 형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원 키 데이터 입력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목부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원 키 데이터 입력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신호발생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신호발생부는 상기 오목부의 바닥에 제공되어 별도의 부재가 접촉하는 경우에 신호발생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 키 데이터 입력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이동 부재와 베이스 사이에 제2탄성체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 키 데이터 입력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탄성체는 메탈돔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원 키 데이터 입력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이동 부재의 수직이동을 측방에서 지지하여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힘을 제공하는 제3탄성체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 키 데이터 입력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탄성체는 상기 데이터 입력 어셈블리의 각각의 모서리에 배치되는 고정단과, 상기 고정단에서 소정의 각도로 연장된 양 자유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양 자유단은 서로 가까워지려는 탄성을 보유하여 상기 신호발생용 가이드 부재의 측면과 접촉되는 구성임을 특징으로 하는 원 키 데이터 입력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탄성체는 대칭으로 장착되며, 적어도 두 개 이상 장착되는 구성임을 특징으로 하는 원 키 데이터 입력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양 자유단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휘어진 형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원 키 데이터 입력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탄성체는 상기 신호발생용 가이드 부재를 중심으로 대각선 방향으로 고정단이 위치하고, 그의 측면과, 상기 측면과 이웃하는 다른 측면에 각각의 자유단이 위치하게 장착되는 구성임을 특징으로 하는 원 키 데이터 입력 장치.
  16. 본체;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입력된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는 와이드 엘씨디;
    상기 와이드 엘씨디 하측에 형성된 리세스;
    상기 리세스의 중심에 놓여 상기 중심으로부터 상하 방향, 상기 중심으로부터 방사 방향 및 상기 중심으로부터 외주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한 센터 키; 및
    상기 센터 키의 이동 후에 누름 동작으로 신호발생하여 원하는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데이터 입력 어셈블리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입력 어셈블리는
    상기 센터 키와 결합되어 함께 이동하며, 선택된 데이터의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발생용 가이드 부재;
    상기 가이드 부재의 하측으로 밀착되게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 부재와 슬라이딩운동을 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의 이동에 따라서 상하이동하는 수직이동 부재;
    상기 수직이동 부재 하측으로 배치되어 상기 수직이동 부재가 상기 신호발생용 가이드 부재와 밀착하는 힘을 제공하는 제1탄성체; 및
    상기 제1탄성체와 신호발생용 가이드 부재를 지지하며, 발생된 신호를 메인 인쇄회로기판에 전달하는 베이스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발생용 가이드 부재는 하면에 상기 센터 키의 이동방향을 가이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신호발생용 가이드 부재의 중심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방상 방향 및 외주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방사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부와, 외주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부는 서로 연통하는 구성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단면이 파도와 같은 형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목부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신호발생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신호발생부는 상기 오목부의 바닥에 제공되어 별도의 부재가 접촉하는 경우에 신호발생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이동 부재와 베이스 사이에 제2탄성체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탄성체는 메탈돔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5.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이동 부재의 수직이동을 측방에서 지지하여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힘을 제공하는 제3탄성체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3탄성체는 상기 데이터 입력 어셈블리의 각각의 모서리에 배치되는 고정단과, 상기 고정단에서 소정의 각도로 연장된 양 자유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양 자유단은 서로 가까워지려는 탄성을 보유하여 상기 신호발생용 가이드 부재의 측면과 접촉되는 구성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3탄성체는 대칭으로 장착되며, 적어도 두 개 이상 장착되는 구성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양 자유단의 단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휘어진 형상으로 구현하여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9.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3탄성체는 상기 신호발생용 가이드 부재를 중심으로 대각선 방향으로 고정단이 위치하고, 그의 측면과, 상기 측면과 이웃하는 다른 측면에 각각의 자유단이 위치하게 장착되는 구성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2001-0045323A 2001-07-27 2001-07-27 원 키 데이터 입력 장치 및 이를 채용한 휴대용 단말기 KR100396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5323A KR100396518B1 (ko) 2001-07-27 2001-07-27 원 키 데이터 입력 장치 및 이를 채용한 휴대용 단말기
US10/207,719 US7068259B2 (en) 2001-07-27 2002-07-29 Key data input de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5323A KR100396518B1 (ko) 2001-07-27 2001-07-27 원 키 데이터 입력 장치 및 이를 채용한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0400A KR20030010400A (ko) 2003-02-05
KR100396518B1 true KR100396518B1 (ko) 2003-09-02

Family

ID=19712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5323A KR100396518B1 (ko) 2001-07-27 2001-07-27 원 키 데이터 입력 장치 및 이를 채용한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068259B2 (ko)
KR (1) KR1003965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124523A1 (en) * 2004-06-18 2005-12-29 No-Soo Park Data input method and apparatus for pda thereby
WO2008100088A1 (en) * 2007-02-13 2008-08-21 Eui Jin Oh Character input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59105B2 (en) * 2000-04-03 2003-05-06 The Lubrizol Corporation Lubricant compositions containing ester-substituted hindered phenol antioxidants
US6756968B2 (en) * 2000-11-14 2004-06-29 Keybowl, Inc. Ergonomic human-computer input device
US8487872B2 (en) 2000-11-14 2013-07-16 Blue Orb,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data signals
EP1593112A4 (en) * 2003-02-14 2007-07-25 Mattel Inc PORTABLE INTERACTIVE ELECTRONIC DEVICE
US20080062015A1 (en) * 2005-07-27 2008-03-13 Bowen James H Telphone keypad with multidirectional keys
US7855715B1 (en) 2005-07-27 2010-12-21 James Harrison Bowen Switch with depth and lateral articulation detection using optical beam
DE602006014066D1 (de) * 2005-08-05 2010-06-17 Niles Co Ltd Multidirektionale Eingabevorrichtung
KR20070050306A (ko) * 2005-11-10 2007-05-15 오의진 정보기기용 입력장치 및 문자입력방법
JP4674167B2 (ja) * 2006-01-25 2011-04-20 ホシデン株式会社 スライド操作式スイッチ
KR100827621B1 (ko) * 2006-04-27 2008-05-07 삼성전기주식회사 입력장치
AU2007277526B2 (en) * 2006-07-26 2011-04-21 Eui-Jin Oh Character input device and its method
KR20080010267A (ko) * 2006-07-26 2008-01-30 오의진 문자입력장치
KR100816713B1 (ko) * 2006-09-20 2008-03-27 삼성전기주식회사 입력장치
JP2010507861A (ja) * 2006-10-23 2010-03-11 ウィジン オ 入力装置
EP2119021A4 (en) * 2007-03-08 2011-04-20 Ocosmos Co Ltd CHARACTER INPUT DEVICE
CN101312102B (zh) * 2007-05-25 2012-08-22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键盘组件及装设有该键盘组件的便携式电子装置
DE102007050177B4 (de) * 2007-06-12 2012-04-12 Lg Electronics Inc. Eingabevorrichtung, mit einer solchen ausgestattetes mobiles Endgerät sowie Benutzerschnittstelle desselben
TW200919514A (en) * 2007-10-19 2009-05-01 Avermedia Information Inc Six-direction button
JP4863969B2 (ja) * 2007-11-12 2012-01-25 富士通東芝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US8525779B2 (en) 2007-12-05 2013-09-03 Eui Jin OH Character input device
EP2245520A2 (en) * 2007-12-31 2010-11-03 Eui Jin Oh Data input device
KR100958285B1 (ko) 2008-07-08 2010-05-19 정세운 키 입력 유닛을 구비한 디지털 처리 장치 및 키 입력 방법
KR100931065B1 (ko) * 2009-04-23 2009-12-11 주식회사 에스엘 휴대폰 단말기의 키패드 조립구조
TWM392647U (en) * 2010-06-18 2010-11-21 Sentelic Corp Input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1499614B1 (ko) * 2012-12-27 2015-03-09 정다운 이중 자석과 볼 베어링을 이용하여 미세처짐과 오타를 방지하는 슬라이드 입력장치.
USD893447S1 (en) * 2019-01-29 2020-08-18 Shure Acquisition Holdings, Inc. Wireless bodypack
CN110750181A (zh) * 2019-10-16 2020-02-04 南昌黑鲨科技有限公司 遥控终端及遥控终端的操纵控制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023U (ko) * 1998-09-08 2000-04-06 윤종용 슬라이딩 타입 키 다이얼링장치를 갖는 휴대폰
JP2000235822A (ja) * 1999-02-15 2000-08-29 Snk Corp 多方向スイッチ装置及びこの多方向スイッチを用いた携帯用電子機器
JP2000285767A (ja) * 1999-03-31 2000-10-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イッチ装置およびそのスイッチ装置を用いた携帯端末装置
KR200218539Y1 (ko) * 2000-11-01 2001-04-02 휴먼센스주식회사 이동전화기의 다이얼 장치
KR20020021569A (ko) * 2000-09-15 2002-03-21 이형찬 조이스틱형 전화 다이얼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034166A1 (de) * 1990-10-26 1992-04-30 Cherry Mikroschalter Gmbh Cursorvorrichtung mit nullpunktrueckstellung
EP0810544B1 (en) * 1996-05-29 2003-04-16 Fujitsu Takamisawa Component Limited Pointing device for moving and positioning a pointer on a display of a computer
SE510596C2 (sv) * 1996-11-27 1999-06-07 Nassko Telecom Ab Kopplingsanordning
JP3732380B2 (ja) * 2000-03-09 2006-01-05 ホシデン株式会社 ポインティング装置
US6441753B1 (en) * 2000-10-25 2002-08-27 Motorola, Inc. Multi-function key assembly for an electronic device
DE60128308T2 (de) * 2000-10-31 2008-01-10 Hosiden Corp., Yao Schiebeschalt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023U (ko) * 1998-09-08 2000-04-06 윤종용 슬라이딩 타입 키 다이얼링장치를 갖는 휴대폰
JP2000235822A (ja) * 1999-02-15 2000-08-29 Snk Corp 多方向スイッチ装置及びこの多方向スイッチを用いた携帯用電子機器
JP2000285767A (ja) * 1999-03-31 2000-10-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イッチ装置およびそのスイッチ装置を用いた携帯端末装置
KR20020021569A (ko) * 2000-09-15 2002-03-21 이형찬 조이스틱형 전화 다이얼
KR200218539Y1 (ko) * 2000-11-01 2001-04-02 휴먼센스주식회사 이동전화기의 다이얼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124523A1 (en) * 2004-06-18 2005-12-29 No-Soo Park Data input method and apparatus for pda thereby
WO2008100088A1 (en) * 2007-02-13 2008-08-21 Eui Jin Oh Character inpu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068259B2 (en) 2006-06-27
KR20030010400A (ko) 2003-02-05
US20030020694A1 (en) 2003-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6518B1 (ko) 원 키 데이터 입력 장치 및 이를 채용한 휴대용 단말기
KR10081026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슬라이딩 모듈 및 그의 연성 회로
KR100313144B1 (ko) 와치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
US6495784B2 (en) Step keys, step key assembly, and terminal having the step key assembly
EP1528761B1 (en) Slide type mobile terminal and sliding mechanism thereof
US6226501B1 (en) Radiotelephone having a primary keypad and a movable flip cover that contains a secondary keypad
KR100337786B1 (ko) 와이드 키패드 및 정전기 방지용 와이드 키패드 결합구조
KR20080040915A (ko)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결합 구조
KR19990000037A (ko) 양방향으로 플립커버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KR100283185B1 (ko) 출몰식 스피커 장치
KR10090954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결합장치
KR100677364B1 (ko)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467900B1 (ko) 슬라이드타입의 액정화면을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200210172Y1 (ko) 슬라이딩 타입 키 다이얼링장치를 갖는 휴대폰
KR100383616B1 (ko) 가변성 및 착탈성 기능 커버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JPWO2003012918A1 (ja) アンテナ切替装置および携帯機器
KR101126380B1 (ko)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
KR100640458B1 (ko) 와치 타입 텔레폰의 배터리팩 접속장치
KR200372899Y1 (ko) 슬라이딩 클릭장치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KR200348924Y1 (ko) 플립에설치된보조키입력장치
KR10120190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장치
KR20100116817A (ko) 휴대 단말기용 키 패드 어셈블리
KR20050010373A (ko) 마이크로 폰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스타일러스 펜
KR20060030273A (ko) 단말기의 슬라이딩 키 장치
KR20060102643A (ko) 휠 키를 구비하는 키패드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