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1569A - 조이스틱형 전화 다이얼 - Google Patents
조이스틱형 전화 다이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0021569A KR20020021569A KR1020000054346A KR20000054346A KR20020021569A KR 20020021569 A KR20020021569 A KR 20020021569A KR 1020000054346 A KR1020000054346 A KR 1020000054346A KR 20000054346 A KR20000054346 A KR 20000054346A KR 20020021569 A KR20020021569 A KR 2002002156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d
- joystick
- dial
- disc
- sensing plat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a pointing device, e.g. roller key, track ball, rocker switch or joystick
Landscapes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유면적이 작으면서도 다이얼링이 신속하고 간편한 조이스틱형 다이얼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조이스틱형 전화 다이얼(210)은 시침반과 유사하게 구성된 번호판(220)과 이 번호판(220)의 중앙에 배치된 조작버튼(240)을 포함하고, 번호판(220)은 원주를 12등분하여 각각의 위치에 0 부터 9 까지의 10 개의 숫자 및 '*'와 '#'의 기호가 표기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12시 방향에 0이 표기되어 있고, 1시 방향에서 9시 방향까지 1부터 9까지의 숫자가 순서대로 각각 하나씩 표기되어 있으며, 10시 방향에는 *표 기호가 표기되어 있고, 11시 방향에는 #표 기호가 표기되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화 다이얼에 관한 것이며, 좀더 자세하게는 점유면적이 작으면서도 다이얼링이 신속하고 간편한 조이스틱형 전화 다이얼에 관한 것이다.
본래 다이얼이라는 용어는 시계나 나침반 등과 같은 계측기의 원형 문자반을 의미하는 것이었는데, 기계식 다이얼링을 하는 전화기에서 가장자리를 따라 10개의 삽지 구멍을 천공해 두고 각각의 구멍에 대해 0 부터 9 까지의 번호를 부여한 원반형 다이얼링 도구가 보편화 되면서, 형상에 무관하게 모든 전화기의 다이얼링 도구를 지칭하는 일반적인 용어로 그 의미가 확대되었다.
여기에서 사용하는 "다이얼" 이라는 용어는 달리 언급이 없는 한 그렇게 확대된 의미의 다이얼로 이해해야 한다.
기계식 다이얼링을 하는 전화기에서는 다이얼링을 하는 숫자를 기계적 운동량에 의해 인식했으므로, 원하는 숫자에 관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운동량을 누구나 동일하게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한 회전식 원반형 다이얼이 다이얼링 도구로서의 채용빈도에 있어서 오랫동안 독점적으로 지위를 유지해 왔다.
그러나, 전자식 다이얼링을 하는 전화기가 보급되면서, 종래의 회전식 원반형 다이얼의 대신에 키패드형 다이얼이 사용되고 있다. 이 것은 전자식 다이얼링을 하는 전화기에서는 숫자를 인식하기 위한 신호로서 정해진 기계적 운동량이 아닌 정해진 전기적 신호를 요구하기 때문이다. 즉, 전자식 다이얼링을 하는 전화기에서는 운동량이 전혀 없이도 정해진 전기적 신호를 제공할 수만 있다면 다이얼링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키패드형 다이얼의 보편적인 형상은, 도 1에 보이듯이, 12개의 버튼이 3열 4행을 이루게 배열된 것이다. 이러한 키패드형 다이얼(110)은 탁상 전화기에서는 전화기의 상면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되며, 핸드셋(100)에서는 핸드셋의 전면, 즉, 스피커 및 마이크로폰이 배열되어 있음으로써 통화시에 이용자의 뺨에 닿는 면의 적절한 위치에 설치된다.
여기에서 사용하는 "핸드셋" 이라는 용어는 현재의 이동전화기나 'IMT2000'이라고 지칭되는 미래형 이동전화기는 물론이고, 유선전화기의 코드리스 익스텐션(codeless extension)인 핸드셋을 포함한 포괄적인 의미의 휴대폰으로 이해해야 한다.
키패드형 다이얼의 12개의 버튼의 이면 쪽에는 12개의 스위치가 배열되어 있고, 어느 하나의 버튼을 누르면 해당 스위치가 접속된다. 이러한 12개의 스위치는 접속시에 0 부터 9 까지의 숫자 및 '*'와 '#'의 기호를 나타내는 12 종류의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한편 보편적인 핸드셋의 전면에는 앞서 설명한 12개의 버튼 외에,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SEND'버튼과, 통화를 종료하기 위한 'END'버튼과, 이미 입력된 내용을 소거하기 위한 'CLR'버튼과, 핸드셋에 내장된 각종 기능의 목록, 즉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MENU' 버튼과, 그러한 기능의 선택을 확인하기 위한 '확인'버튼 등이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3열 4행의 12개의 버튼이 점유하는 면적은 상당히 넓어, 버튼의 크기를 축소시키면 이러한 점유면적이 감축되는 것은 사실이지만, 버튼의 크기가 너무 작고 버튼과 버튼 사이의 간격이 너무 좁은 경우에는, 이용자가 손가락으로 원하는 버튼을 누를 때 의도하지 않은 인접버튼이 함께 눌리게 됨으로써 다이얼링 에러(dialing error)를 범할 우려가 있게된다.
그러므로, 키패드형 다이얼에서는 각각의 버튼이 적정한 수준 이상의 크기를 갖거나, 인접한 버튼과 버튼 사이의 간격이 적정한 수준 이상으로 유지되어야 한다. 즉, 이러한 키패드형 다이얼에서는 키패드가 점유하는 면적이 일정한 수준 이상으로 유지되어야 한다는 제한이 있으며, 이러한 제한은 핸드셋의 소형화 및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을 제한하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버튼을 누르기 위해서는 핸드셋의 몸체를 지탱해야 하며, 한 손으로 이러한 지탱과 버튼 누르기를 동시에 하는 것이 불편한 경우가 있게된다.
또한, 키패드형 다이얼에서는 중간에 배치된 버튼, 즉 숫자 5 를 생성시키기 위한 버튼의 표면에 작은 돌기를 형성시켜 둠으로써 사용자가 각각의 버튼의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하지 않고도 손가락으로 더듬어서 원하는 버튼을 찾아 누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이러한 돌기를 갖는 버튼을 손가락으로 더듬어서 찾는 것이 가능하다고 할지라도, 이러한 버튼을 기준으로 삼아 육안으로 관측하지 않은 채로 다른 버튼을 누르는 경우에는, 원하는 버튼을 누르기 위해 손가락을 들어서 옮기는 과정에서, 이용자가 이러한 기준위치를 망각하고, 원하지 않는 위치의 버튼을 누를 우려도 있게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정황을 감안하여 이루진 것으로서, 핸드셋을 한 손으로간편하고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으며, 점유하는 면적을 작게하여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을 할 수 있는 조이스틱형 전화 다이얼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키패드형 다이얼을 구비한 핸드셋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조이스틱형 다이얼을 구비한 핸드셋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조이스틱형 다이얼을 구성하기 위해 이용되는 조작버튼과 그 작동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조작버튼의 정단면도이며,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조이스틱형 다이얼을 구성하기 위해 이용되는 감지판을 도 4에 도시된 조작버튼의 구성요소와 함께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이스틱형 다이얼에서 이용하는 감지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종래 핸드셋 110 : 키패드형 다이얼
200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드셋
210 : 조이스틱형 다이얼 220 : 번호판
240 : 조작버튼 260 : 표시장치
위에서 설명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화기의 다이얼에 있어서, 감지판 및, 상기 감지판의 중앙부분에 배치된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로드는 상기 감지판의 중앙부분으로부터 어느 방향으로나 변위가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로드의 변위에 따라 상기 감지판이 적어도 10 종류 이상의 디지털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 디지털신호의 어느 하나가 0부터 9까지의 정수 중의 어느 하나를 표현하는 신호로 이용되게 구성된 조이스틱형 전화 다이얼이 제공된다.
상기 조이스틱형 전화 다이얼은 시침반과 유사하게 구성된 번호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드의 상부에는 손가락을 접촉시켜 밀 수 있게 구성된 제1 원반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양호하다.
상기 로드는 그 하부에 고정된 제2 원반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제2 원반은 지지면 상에 상대 운동시의 마찰계수가 거의 제로인 구조로 지탱되어 있고, 상기 제2 원반의 둘레에는 3개 이상의 탄성스프링이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원반을 밀면, 상기 탄성스프링이 변형되면서 상기 제1 원반과 상기 제2 원반 및 상기 로드가 동시에 이동하게 구성되는 것이 양호하다.
상기 제2 원반이 접촉하는 위치에 따라 디지털신호를 발생시키는 원환형 스커트를 갖는 감지판을 포함하는 것이 양호하다.
상기 감지판이 그 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형성된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슬롯은 상기 로드의 운동방향을 안내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이 양호하다.
또다른 예에서는, 상기 조이스틱형 전화 다이얼이 방사형으로 배열된 적어도 10 개 이상의 슬롯을 갖는 감지판을 포함하고, 이때, 상기 감지판은 상기 로드가 진입하는 것을 감지하여 디지털신호를 발생시키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로드가 원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원반을 일정시간 이상 누르고 있으면 디지털신호를 발생시키게 구성되어 있는 것이 양호하다.
또다른 예에서는, 상기 로드의 하단부가 상기 로드의 스윙이 가능한 피봇구조로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과 관련한 아래의 설명으로부터 좀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몇몇 양호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겠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조이스틱형 전화 다이얼을 채택한 핸드셋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 핸드셋(200)의 정면에는 본 발명에 따른 조이스틱형 전화 다이얼(210)이 핸드셋(200)의 하부절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부절반부에는 액정표시장치(260)가 배치되어 있고, 다이얼(210)과 표시장치(260)의 사이에는 SEND 버튼(271)과, END 버튼(272)이 배치되어 있다. MENU 버튼이나 확인버튼을 포함한 기타의 버튼들도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210)은 시침반과 유사하게 구성된 번호판(220)과이 번호판(220)의 중앙에 배치된 조작버튼(240)을 포함한다.
번호판(210)은 원주를 12등분하여 각각의 위치에 0 부터 9 까지의 10개의 숫자 및 '*'와 '#'의 기호가 표기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12시 방향에 0이 표기되어 있고, 1시 방향에서 9시 방향까지 1부터 9까지의 숫자가 순서대로 각각 하나씩 표기되어 있으며, 10시 방향에는 *표 기호가 표기되어 있고, 11시 방향에는 #표 기호가 표기되어 있다. 이렇게 널리 익숙해져 있는 시침반의 방향을 번호판으로 하는 배치를 통해 간편하고 용이하게 방향 선택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도 3에는 이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210)의 조작버튼(240)과 그 작동부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조작버튼(240)의 정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보이듯이, 조작버튼(240)은 비교적 직경이 큰 대경원반(241)과, 비교적 직경이 작은 소경원반(242) 및 그러한 대경원반(241)과 소경원반(242)을 연결하는 연결로드(243)를 포함한다. 대경원반(241)과 소경원반(242) 및 연결로드(243)는 중심축이 서로 일치되게 배치되어 있다.
조립상태에서, 이러한 조작버튼(240)은 그 대경원반(241)의 아래쪽에서 조작버튼(240)을 지탱하는 지지면(도시 안됨) 상에 배치되며, 지지면과 대경원반(241)의 사이는 상대운동시의 마찰을 극소화 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고, 대경원반(241)의 둘레에는 3개의 탄성스프링(231, 232, 233)이 120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탄성스프링(231, 232, 233)의 한 단부는 지지앵커(234, 235, 236)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며, 다른 단부에는 조작버튼(240)의 대경원반(241)의 둘레를 감싸는 호형 지지부(237, 238, 239)가 부착되어 있다.
조작버튼(240)의 소경원반(242)의 상면에는 가장자리로부터 중앙을 향해 가면서 점진적으로 깊어지는 오목부(244)가 형성되어 있다.
조립상태에서, 조작버튼(240) 및 그 지지부와 작동부의 대부분은 핸드셋(200)의 내부에 배치되며, 소경원반(242)의 상면을 포함한 단지 일부만 핸드셋(200)의 외부에 노출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지되고 지탱된 조작버튼(240)은 소경원반(242)의 상면에 손가락을 대고 밀면, 반경방향의 어디로나 이동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방향에서 조작버튼(240)의 소경원반(242)에 손가락을 대고 12시 방향으로 밀면, 대경원반(241)의 가장자리부분이 12시 방향에 배치된 호형지지부(237)를 밀어내며, 그에 따라 해당 탄성스프링(231)이 압축되면서 조작버튼(240)이 전체적으로 12시 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조작버튼(240)의 소경원반(242)에 손가락을 대고 2시 방향으로 밀면, 12시 방향에 배치된 탄성스프링(231)과 4시 방향에 배치된 탄성스프링(232)이 변형되면서 조작버튼(240)이 전체적으로 2시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조작버튼(240)은 반경방향의 어디로나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조작버튼(240)의 연결로드(243)의 운동을 살펴보면, 마치 조이스틱이 반경방향으로 이동되는 것과 유사하며, 이 것이야말로 본 발명의 다이얼을 조이스틱형 다이얼이라고 명명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도 5에는 이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210)의 감지판(221)을 조작버튼(240)과 함께 도시하고 있다. 도 5에서 감지판(221)의 형상은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으며,조작버튼(240)의 대경원반(241)의 형상은 파선(dashed line)원으로 도시되어 있고, 소경원반(242)의 형상은 이점쇄선원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연결로드(243)의 형상은 흑점으로 도시되어 있다. 감지판(221)의 중심을 통과하는 일점쇄선은 매시 정각의 방향을 나타내고, 이점쇄선은 매시 30분의 방향을 나타낸다.
감지판(221)의 중앙부분에는 중심으로부터 매시 정각의 방향으로 배치된 슬롯(222)이 형성되어 있으며, 감지판(221)의 가장자리(231)에서는 도 4에서 지면의 아래쪽으로 연장된 스커트(도시 안됨)가 감지판(221)의 가장자리(223)를 따라 원환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조작버튼(240)을 12시 31분 내지 1시 29분 방향으로 밀면, 도 5에 보이듯이, 연결로드(243)는 1시 방향으로 형성된 슬롯(222) 속으로 들어가며, 계속 진행시키면, 조작버튼(240)의 대경원반(241)의 가장자리가 감지판(221)의 스커트에 닿고, 이 때, 스커트는 숫자 1에 대응하는 디지털신호를 발생시킨다.
동일한 방식으로, 연결로드(243)가 12시 방향으로 형성된 슬롯(222) 속으로 들어가면, 스커트는 숫자 0에 대응하는 디지털신호를 발생시키며, 연결로드(243)가 2시 방향으로 형성된 슬롯(222) 속으로 들어가면, 스커트는 숫자 2에 대응하는 디지털신호를 발생시키며, 동일하게 연결로드(243)가 3시 내지 9시 방향으로 형성된 슬롯(222) 속으로 들어가면, 스커트는 숫자 3 내지 9에 대응하는 디지털신호를 발생시키며, 연결로드(243)가 10시 방향으로 형성된 슬롯(222) 속으로 들어가면, 스커트는 *표 기호에 대응하는 디지털신호를 발생시키며, 연결로드(243)가 11시 방향으로 형성된 슬롯(222) 속으로 들어가면, 스커트는 #표 기호에 대응하는 디지털신호를 발생시킨다.
연결로드(243)가 슬롯(222) 속으로 들어가는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도 6에 도시된 또다른 실시예에서는 감지판(221)의 슬롯(222)의 입구가 확산되어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는 것은 아니지만, 도면에 도시된 내용 및 위에서 설명한 내용과는 다소 달라질 수 있는 있음직한 변형예들을 열거해 본다.
본 발명에 따른 조이스틱형 다이얼(210)은 핸드셋(200)의 하부절반부 뿐만 아니라 점유공간의 확보가 가능한 어느 위치에나 배치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결로드(243)가 12개의 슬롯(222) 중 어느 하나로 들어갈 때에 발생되는 12 종류의 디지털신호 외에, 연결로드(243)가 중앙에 배치된 상태에서, 조작버튼(240)을 일정시간 이상 누르고 있으면 발생하는 제13의 디지털신호를 발생시키게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제13의 디지털신호는 직전의 한 조작 또는 다수의 이전조작의 적어도 일부를 취소시키는 클리어신호(clear signal)로 이용될 수도 있고, 입력되어 표시장치(260) 상에 표시된 번호로 다이얼링 또는 전송할 것을 지시하는 디지털신호(SEND 버튼의 기능)로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종래의 키패드형 다이얼에서 채택하고 있는 기능의 대부분을 본 발명에 따른 조이스틱형 다이얼에서도 채택할 수 있다. 즉, 키패드형 다이얼에서 어느 한 버튼을 일정시간 이상 누르고 있으면 해당 번지에 입력된 전화번호로 다이얼링을 하는 단축다이얼의 기능은, 본 발명에 따른 조이스틱형 다이얼에서는 12개의 슬롯(222) 중 어느 하나의 슬롯의 방향으로 조작버튼(242)을 일정시간 이상 누르고 있으면 해당 번지에 입력된 전화번호로 다이얼링을 하게 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핸드셋과 마찬가지로, 핸드셋(200)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된 기능키를 이용하면, 조작버튼(240)에 의해 발생되는 12 또는 13 종류의 디지털신호를 숫자 또는 부호를 표기하기 위한 신호로서 뿐만 아니라, 각종 문자를 표기하기 위한 신호로 이용할 수도 있다
대경원반(241)이 스커트에 닿으면, 그 접촉위치에 따라 스커트가 디지털신호를 발생시키는 구성의 대신에, 슬롯(222)이 감지수단을 구비하여 연결로드(243)가 진입한 것을 감지하고 해당 디지털신호를 발생시키게 구성될 수도 있다.
조작버튼(240)은, 대경원반(241)이 없이, 소경원반(242) 및 로드(243)를 포함하며, 로드(243)의 하단부가 360도 방향의 어느 방향으로나 스윙이 가능한 피봇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로드(243)의 운동양태가 조이스틱의 운동양태와 동일하다.
대경원반(241)의 둘레에 배열되는 탄성스프링(231, 232, 233)의 수는 3개로 한정되지 아니 하며 3개 이상 몇 개의 탄성스프링이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소경원반(242)의 상면에는 형성된 오목부는 생략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는 손가락과의 마찰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수단, 즉 다수의 볼록 돌기 등이 형성될 수도 있다.
감지판(221)에 슬롯이 형성함이 없이, 단지 스커트 만을 형성해 두고, 연결로드(243) 및 대경원반(241)이 360도 방향의 어디로나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방치해 둔 상태에서, 대경원반(241)이 스커트에 닿는 접촉위치에 따라 적절한 디지털신호를 발생시키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이 때, 발생시켜야 할 신호의 선택을 정확히 하기 위하여, 적절한 신호를 선택하는 것을 보조하는 퍼지식 판단루틴을 실행하는 소프트웨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들이 첨부도면을 참조해서 설명되고, 구성요소의 명칭 뒤에 도면에 표기된 인용부호를 병기하고 있을지라도, 이 명세서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것은 단지 예시적인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자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도 다양한 변화, 부가 및 대체가 가능함을 알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정하는 첨부된 청구범위는 그러한 변화, 부가 및 대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이스틱형 다이얼을 이용하면, 전화기에서 다이얼이 점유하는 공간을 현저하게 감축시킬 수 있어 상대적으로 표시장치의 크기를 증가시켜 다량의 정보가 한 번에 표시 가능하게되며, 또한 다양한 형태의 핸드셋을 디자인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조작이 매우 용이하고 정확도도 높게된다.
Claims (9)
- 전화기의 다이얼에 있어서,감지판 및, 상기 감지판의 중앙부분에 배치된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로드는 상기 감지판의 중앙부분으로부터 어느 방향으로나 변위가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로드의 변위에 따라 상기 감지판이 적어도 10 종류 이상의 디지털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 디지털신호의 어느 하나가 0부터 9까지의 정수 중의 어느 하나를 표현하는 신호로 이용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형 전화 다이얼
- 청구항 1에 있어서, 시침반과 유사하게 구성된 번호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형 전화 다이얼.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로드의 상부에는 손가락을 접촉시켜 밀 수 있게 구성된 제1 원반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형 전화 다이얼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로드는 그 하부에 고정된 제2 원반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원반은 지지면 상에 상대운동시의 마찰계수가 거의 제로인 구조로 지탱되어 있고, 상기 제2 원반의 둘레에는 3개 이상의 탄성스프링이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원반을 밀면, 상기 탄성스프링이 변형되면서 상기 제1 원반과 상기 제2 원반 및 상기 로드가 동시에 이동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형 전화 다이얼.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원반이 접촉하는 위치에 따라 디지털신호를 발생시키는 원환형 스커트를 갖는 감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형 전화 다이얼.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감지판이 그 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형성된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슬롯은 상기 로드의 운동방향을 안내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형 전화 다이얼.
- 청구항 4에 있어서, 방사형으로 배열된 적어도 10 개 이상의 슬롯을 갖는 감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판은 상기 로드가 진입하는 것을 감지하여 디지털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형 전화 다이얼.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로드의 하단부가 상기 로드의 스윙이 가능한 피봇구조로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형 전화 다이얼.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가 원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원반을 일정시간 이상 누르고 있으면 디지털신호를 발생시키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형 전화 다이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54346A KR20020021569A (ko) | 2000-09-15 | 2000-09-15 | 조이스틱형 전화 다이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54346A KR20020021569A (ko) | 2000-09-15 | 2000-09-15 | 조이스틱형 전화 다이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21569A true KR20020021569A (ko) | 2002-03-21 |
Family
ID=19688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0054346A KR20020021569A (ko) | 2000-09-15 | 2000-09-15 | 조이스틱형 전화 다이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0021569A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96518B1 (ko) * | 2001-07-27 | 2003-09-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원 키 데이터 입력 장치 및 이를 채용한 휴대용 단말기 |
WO2005064804A1 (en) * | 2003-12-30 | 2005-07-14 | Jongtae Park | Data input apparatus and data input method using the same |
WO2006118431A1 (en) * | 2005-05-04 | 2006-11-09 | Ji Ho Kim | Input device for electronic equipment requiring input and output of letters/numerals/symbols |
KR100749805B1 (ko) * | 2005-12-01 | 2007-08-17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방향선택 입력기를 이용한 키입력 장치 및 그 방법 |
WO2008130209A2 (en) * | 2007-04-24 | 2008-10-30 | Eui Jin Oh | Character input device |
-
2000
- 2000-09-15 KR KR1020000054346A patent/KR2002002156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96518B1 (ko) * | 2001-07-27 | 2003-09-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원 키 데이터 입력 장치 및 이를 채용한 휴대용 단말기 |
WO2005064804A1 (en) * | 2003-12-30 | 2005-07-14 | Jongtae Park | Data input apparatus and data input method using the same |
WO2006118431A1 (en) * | 2005-05-04 | 2006-11-09 | Ji Ho Kim | Input device for electronic equipment requiring input and output of letters/numerals/symbols |
KR100765218B1 (ko) * | 2005-05-04 | 2007-10-09 | 김지호 | 문자/숫자/기호의 입력과 출력을 요하는 전자기기의입력장치 |
KR100749805B1 (ko) * | 2005-12-01 | 2007-08-17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방향선택 입력기를 이용한 키입력 장치 및 그 방법 |
WO2008130209A2 (en) * | 2007-04-24 | 2008-10-30 | Eui Jin Oh | Character input device |
WO2008130209A3 (en) * | 2007-04-24 | 2008-12-18 | Eui Jin Oh | Character input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653338B1 (en) | Mobile information terminal | |
US8294670B2 (en) | Optically based input mechanism for a handheld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 |
KR101328132B1 (ko) | 작동 모드 전환장치와 작동 모드 전환장치를 구비한 휴대단말기 및 작동 모드 전환방법 | |
EP2073508B1 (en) | A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and a method of controlling a user interface thereof | |
KR20030076402A (ko) | 회전 조작형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 기기 | |
JPH05265618A (ja) | 英数字キーボード | |
JP2004070654A (ja) | 携帯用電子機器 | |
GB2329094A (en) | Roller key with soft key functionality for a telephone handset | |
US20090023478A1 (en) | Navigational tool with drag-based tactile feedback on a handhel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 |
US7705838B2 (en) | Movable user interface | |
US20080080919A1 (en) | Three row qwerty keyboard layout for compact landscape portable handheld messaging devices | |
US20020044155A1 (en) |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EP2073509B1 (en) |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KR20020021569A (ko) | 조이스틱형 전화 다이얼 | |
US7970431B2 (en) | Removable trackball for a handhel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 |
KR100632114B1 (ko) | 이동통신단말기용 방향입력장치 | |
EP1895382A1 (en) | Three row qwerty keyboard layout for compact landscape portable handheld messaging devices | |
US7264170B2 (en) | Inpu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 |
EP1524587A1 (en) | Device having a joystick keypad | |
JP3616538B2 (ja) | 入力装置 | |
EP2017698B1 (en) | Navigational tool with drag-based tactile feedback on a handheld wireless communicaton device | |
KR20090111541A (ko) | 전자제품용 복합 버튼 | |
JP2001312944A (ja) | キー操作装置とこれを用いた携帯電話機及び電子機器 | |
EP1182852A1 (en) |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with improved selection device | |
EP1895381A1 (en) | Hybrid portrait-landscape handheld device with trackball navigation and qwerty hide-away keyboar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