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0915A -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결합 구조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결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0915A
KR20080040915A KR1020060108884A KR20060108884A KR20080040915A KR 20080040915 A KR20080040915 A KR 20080040915A KR 1020060108884 A KR1020060108884 A KR 1020060108884A KR 20060108884 A KR20060108884 A KR 20060108884A KR 20080040915 A KR20080040915 A KR 200800409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pad
front case
rubber
hook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8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4633B1 (ko
Inventor
위종천
김홍배
김재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8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4633B1/ko
Priority to US11/935,247 priority patent/US7579561B2/en
Publication of KR20080040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0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4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4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9Flexible integral part of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3/00Casings
    • H01H2223/01Mounting on appliance
    • H01H2223/014Mounting on appliance located in rece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9/00Manufacturing
    • H01H2229/022Modular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프론트 케이스의 상면에 적층으로 결합되는 키패드부를 구성한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결합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 걸이부가 구비된 프론트 케이스와,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상면에 구비되는 다수의 돔 스위치를 구비한 연성회로와, 상기 연성회로의 상면에 구비되는 키패드 러버와, 상기 키패드 러버의 상면에 구비되고, 상기 걸이부에 걸려 결합됨과 아울러 누름에 따라서 눌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하고, 상기 키패드 러버와 상기 돔 스위치가 서로 접촉되어 클릭감을 제공하는 키패드부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라, 키패드부를 프론트 케이스의 상면에서 결합하여 키패드의 조립공정을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프론트 케이스의 배면 결합시 제공되던 고정용 리브가 필요없어 단말기를 슬림화 및 소형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부품수를 줄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걸이부, 프론트 케이스, 후크부, 키패드부.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결합 구조{KEYPAD COUPLING STRUCTURE FOR MOBILE PHONE}
도 1은 종래의 휴대 단말기 중에서 바-형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키패드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결합 구조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결합 구조의 결합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결합 구조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A-A' 선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결합 구조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도.
도 7은 도 5의 A-A' 선단면도.
도 8은 도 7의 A부 확대 측단면도.
도 9는 도 7의 A부 확대 측단면도로서,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결합 구조의 작동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결합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 단말기의 프론트 케이스의 상면에 적층으로 결합되는 키패드부를 구성한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결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통신 장치"라 함은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상대방과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휴대용 통신 장치로는 HHP, CT-2 셀룰라 폰, 디지털 폰, PCS 폰 및 PDA등를 칭하며, 외형상으로 여러 타입으로 분류된다. 예를 들어, 무선 단말기는 외형에 따라 바-형(bar-type), 플립-형(flip-type) 또는 폴더-형(folder-type) 무선 단말기로 분류된다. 상기 열거한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들은 필수적으로 안테나 장치, 데이터 입출력 장치, 데이터 송수신 장치를 구비하게 된다. 물론, 상기 데이터 입력장치는 주로 손가락 누름 동작으로 데이터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가 보편적으로 사용된다.
데이터를 입력을 위해 사용되는 키패드는 다수 개의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키패드 및 액정표시부를 구비한 바-형 휴대 단말기의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같이, 단일 하우징(1)에 키패드(2) 및 액정표시부(3)를 구비하고, 액정표시부(3)의 상부에 스피커 장치(4)를 구비하고, 키패드(2)의 하부 에 마이크 장치(5)가 구비된다.
상기 단일 하우징(1)은 프론트 케이스(1a)와 리어 케이스(1b)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이크 장치(5)는 상기 단일 하우징(1)내에 구비되는 인쇄회로기판(6)에 납땜되어 구비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6)에는 다수의 돔 스위치(6a)가 구비된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1a)와 리어 케이스(1b)에는 상기 마이크 장치(5)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공간(7)이 구비된다.
도 2와 같이, 상기 키패드(2)는 상기 프론트 케이스(1a)에 형성된 고정용 리브(1c)에 상기 프론트 케이스(1a)의 배면으로 끼워 결합됨과 동시에 프론트 케이스(1a)에 형성된 키홀(1d)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상기 키패드(2)는 상기 고정용 리브(1c)에 의해 고정된다.
그러나, 종래의 키패드는 단말기내에 구비된 인쇄회로기판의 돔 스위치 위에 다수개의 키들로 이루어진 키패드와, 키 러버를 순차적으로 프론트 케이스의 배면으로 장착되는 구조이므로, 상기 다수개의 키들이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키홀에 노출되기 위해서는 키들을 삽입하여 조립해야 함으로 단말기의 두께가 커져 슬림화 및 소형화에 역행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키패드를 고정시키는 고정용 리브가 구비되어야 함으로 부품수가 많아 단말기의 조립공정 시간이 증가하고, 제조원가가 상승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단말기의 프론트 케이스의 상면에 적층으로 결합되는 키패드부구성함으로써, 키패드부를 프론트 케이스의 상면에서 결합하여 키패드의 조립공정을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결합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 단말기의 프론트 케이스의 상면에 적층으로 결합되는 키패드부를 구성함으로써, 프론트 케이스의 배면 결합시 제공되던 고정용 리브가 필요없어 단말기를 슬림화 및 소형화할 수 있도록 한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결합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 단말기의 프론트 케이스의 상면에 적층으로 결합되는 키패드부를 구성함으로써, 프론트 케이스의 배면 결합시 제공되던 고정용 리브가 필요없고, 이로 인해 부품수를 줄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결합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결합 구조에 있어서,
걸이부가 구비된 프론트 케이스;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상면에 구비되는 다수의 돔 스위치를 구비한 연성회로;
상기 연성회로의 상면에 구비되는 키패드 러버; 및
상기 키패드 러버의 상면에 구비되고, 상기 걸이부에 걸려 결합됨과 아울러 누름에 따라서 눌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하고, 상기 키패드 러버와 상기 돔 스위치가 서로 접촉되어 클릭감을 제공하는 키패드부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도 4 및 도 5와 같이,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결합 구조(10)는 프론트 케이스(20)와, 연성회로(30)와, 키패드 러버(40)와, 키패드부(50)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프론트 케이스(20)는 후술하는 키패드부(50)와 걸려 결합되도록 걸이부(2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연성회로(30)는 다수의 돔 스위치(31)를 구비하고, 상기 키패드부(50)를 누름에 따라서 상기 키패드 러버(40)의 접촉 돌기(41)와 상기 돔 스위치(31)가 접촉되도록 상기 프론트 케이스(20)의 상면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키패드 러버(40)는 상기 키패드부(50)를 누름에 따라서 상기 키패드 러버(40)의 접촉 돌기(41)도 함께 눌려짐과 아울러 상기 돔 스위치(31)와 접촉되도록 상기 연성회로(30)의 상면에 구비되어 있다.
도 6, 도 7 및 도 8과 같이, 상기 키패드부(50)는 상기 걸이부(21)에 걸려 결합됨과 아울러 누름에 따라서 눌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이동에 따라서 상기 키패드 러버(40)의 접촉 돌기(41)와 상기 돔 스위치(31)가 서로 접촉됨과 아울러 클릭감을 제공하도록 상기 키패드 러버(40)의 상면에 구비되어 있다.
도 7 및 도 8과 같이, 상기 프론트 케이스(20)의 양일단에는 상기 키패드부(50)에 형성된 후크부(51)를 삽입시킴과 아울러 상기 걸이부(21)에 걸리게 하도록 삽입부(2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부(22)에는 상기 키패드부(50)와 결합시 상기 후크부(51)와 걸려 상기 키패드부(50)를 상기 프론크 케이스(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걸이부(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부(22)에는 상기 키패드부(50)를 누름에 따라서 눌린방향으로 상기 후크부(51)도 함께 이동하여 상기 키패드부(50)에 클릭감을 제공하도록 클릭 공간(22a)이 형성되어 있다.
도 6과 같이, 상기 키패드부(50)는 상기 프론트 케이스(20)의 상면에 상기 연성회로(30) 및 상기 키패드 러버(40)를 적층으로 구비하고, 이 상태에서, 상기 키패드 러버(40)의 상면에 적층으로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도 8 및 도 9와 같이, 상기 키패드부(50)의 양일단에는 상기 걸이부(21)에 끼워 결합되도록 후크부(5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후크부(51)의 일단에는 상기 키패드부(50)를 상기 프론트 케이스(20)의 삽입부(22)에 결합시 결합을 용이하게 하도록 곡률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키패드부(50)의 양일단면에는 상기 키패드부(50)를 눌려질 수 있게 지지하도록 상기 프론트 케이스(20)의 양끝단과 접촉되는 접촉면(52)이 형성되어 있다.
도 6과 같이, 상기 키패드부(50)의 상단면에는 상기 키패드부(50)를 눌질 수 있도록 다수의 누름공간(5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결합 구조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더욱 상 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도 4 및 도 5와 같이,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결합 구조(10)는 걸이부(21)가 구비된 프론트 케이스(20)와, 연성회로(30)와, 키패드 러버(40)와, 키패드부(50)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20)의 상면에 다수의 돔 스위치(31)를 구비한 상기 연성회로(30)를 구비하고, 상기 연성회로(30)의 상면에 키패드 러버(40)를 구비하고, 상기 키패드 러버(40)의 상면에 키패드부(50)를 구비한다.
이때, 도 6 및 도 7과 같이, 상기 프론트 케이스(20)의 걸이부(21)에 상기 키패드부(50)의 후크부(51)를 끼워 결합한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20)의 걸이부(21)는 상기 삽입부(22)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후크부(51)를 상기 삽입부(22)에 삽입함과 동시에 상기 걸이부(21)에 상기 후크부(51)가 걸려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도 8 및 도 9와 같이, 사용자가 키패드부(50)의 상면을 누르면, 상기 키패드부(50)는 눌린방향으로 이동하고, 이때, 상기 후크부(51)도 함께 이동한다, 상기 삽입부(22)에는 상기 키패드부(50)를 누름에 따라서 눌린방향으로 상기 후크부(51)도 함께 이동하여 상기 키패드부(50)에 클릭감을 제공하는 클릭 공간(22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후크부(51)는 상기 클릭 공간(22a)으로 이동하여 상기 키패드부(50)를 눌려진다. 상기 키패드 러버(40)도 함께 눌려지고, 상기 키패드 러버(40)에 형성된 접촉돌기(41)는 상기 돔 스위치(31)와 접촉되어 클릭감을 제공한다.
도 9와 같이, 상기 키패드부(50)를 누르면, 상기 키패드부(50)의 후크부(51)를 이동시킬 수 있게 클릭 공간(22a)이 제공되고, 상기 후크부(51)는 상기 걸이 부(21)에 의해 상기 프론트 케이스(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키패드부(50)의 양일단면에는 상기 키패드부(50)를 눌려질 수 있게 지지하도록 상기 프론트 케이스(20)의 양끝단과 접촉되는 접촉면(5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키패드부(50)에는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부(50)의 상면을 누를 경우 상기 키패드부(50)를 눌려질 수 있게 하는 다수의 누름 공간(53)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휴대 단말기의 프론트 케이스의 상면에 적층으로 결합되는 키패드부를 구성함으로써, 키패드부를 프론트 케이스의 상면에서 결합하여 키패드의 조립공정을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프론트 케이스의 배면 결합시 제공되던 고정용 리브가 필요없어, 단말기를 슬림화 및 소형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결합 구조는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휴대가 가능한 모든 단말기에 적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결합 구조에 의하 면,
휴대 단말기의 프론트 케이스의 상면에 적층으로 결합되는 키패드부를 구성함으로써, 키패드부를 프론트 케이스의 상면에서 결합하여 키패드의 조립공정을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프론트 케이스의 배면 결합시 제공되던 고정용 리브가 필요없어 단말기를 슬림화 및 소형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부품수를 줄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결합 구조에 있어서,
    걸이부가 구비된 프론트 케이스;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상면에 구비되는 다수의 돔 스위치를 구비한 연성회로;
    상기 연성회로의 상면에 구비되는 키패드 러버; 및
    상기 키패드 러버의 상면에 구비되고, 상기 걸이부에 걸려 결합됨과 아울러 누름에 따라서 눌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하고, 상기 키패드 러버와 상기 돔 스위치가 서로 접촉되어 클릭감을 제공하는 키패드부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결합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양일단에는 상기 키패드부에 형성된 후크부를 삽입시킴과 아울러 상기 걸이부에 걸리게 하는 삽입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에는 걸이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결합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에는 상기 키패드부를 누름에 따라서 눌린방 향으로 상기 후크부도 함께 이동하여 상키 키패드부에 클릭감을 제공하는 클릭 공간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결합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부는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상면에 상기 연성회로 및 키패드 러버를 적층으로 구비하고, 상기 키패드 러버의 상면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결합 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부의 양일단에는 상기 걸이부에 끼워 결합되는 후크부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결합 구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의 일단에는 곡률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결합 구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부의 양일단면에는 상기 키패드부를 눌려질수 있게 지지하도록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양끝단과 접촉되는 접촉면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결합 구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부에는 상기 키패드부를 눌려질 수 있게 하는 다수의 누름공간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결합 구조.
  9.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결합 구조에 있어서,
    프론트 케이스; 및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상면에 결합됨과 아울러 누름에 따라서 클릭감을 제공하고, 그 내측으로 다수의 돔 스위치를 구비한 연성회로와 키패드 러버를 구비하는 키패드부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결합 구조.
KR1020060108884A 2006-11-06 2006-11-06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결합 구조 KR1008346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8884A KR100834633B1 (ko) 2006-11-06 2006-11-06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결합 구조
US11/935,247 US7579561B2 (en) 2006-11-06 2007-11-05 Keypad coupling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8884A KR100834633B1 (ko) 2006-11-06 2006-11-06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결합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0915A true KR20080040915A (ko) 2008-05-09
KR100834633B1 KR100834633B1 (ko) 2008-06-02

Family

ID=39358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8884A KR100834633B1 (ko) 2006-11-06 2006-11-06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결합 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579561B2 (ko)
KR (1) KR1008346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90388A1 (en) 2011-11-07 2013-05-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Keypad coupling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94047B2 (ja) * 2005-08-05 2010-01-06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キーフレームおよび押釦スイッチ用カバー部材
US7964808B2 (en) * 2006-10-23 2011-06-21 Lg Electronics Inc. Button apparatus and mobile appliance having the same
US9653228B2 (en) * 2007-09-21 2017-05-16 Apple Inc. Cosmetic dome switch
WO2009094804A1 (en) * 2008-01-24 2009-08-06 Panasonic Corporation Key switch and electronic device
CN101741946A (zh) * 2008-11-17 2010-06-16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便携式电子装置
US8723062B2 (en) 2009-02-26 2014-05-13 Blackberry Limited Key assembly for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having a one-piece keycap
US8242390B2 (en) * 2009-05-26 2012-08-14 Apple Inc. Dome switch array
US8232485B2 (en) * 2009-09-28 2012-07-31 Research In Motion Limited Key assembly for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multi-character keycap
US8183478B2 (en) * 2009-10-26 2012-05-22 Research In Motion Limited Key assembly for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onnected keycap
CN102054614B (zh) * 2009-10-28 2015-04-22 淮南圣丹网络工程技术有限公司 键盘结构
CN202168287U (zh) * 2011-06-17 2012-03-14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电子装置外壳
US9040850B2 (en) 2011-12-05 2015-05-26 Blackberry Limited Assembling a keypad to a mobile device
KR101929879B1 (ko) * 2012-04-09 2019-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6850A (en) * 1976-06-04 1978-01-03 Ncr Corporation Keyboard switch assembly having interchangeable cover plate, indicating layer and actuator switch assembly in any operative combination
US4092527A (en) * 1977-01-31 1978-05-3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Calculator with interchangeable keyset
US5510953A (en) * 1994-11-21 1996-04-23 Compaq Computer Corporation Concealed locking assembly for a removable portable computer keyboard
US6259044B1 (en) * 2000-03-03 2001-07-10 Intermec Ip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with tactile keypad-overlay
US6495784B2 (en) * 2000-05-16 2002-12-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tep keys, step key assembly, and terminal having the step key assembly
JP4084582B2 (ja) * 2001-04-27 2008-04-30 俊司 加藤 タッチ式キー入力装置
US7173606B2 (en) * 2003-09-12 2007-02-06 Motorola, Inc. Removable keypad for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KR101065039B1 (ko) * 2004-03-02 2011-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푸시버튼 구조
KR100768269B1 (ko) * 2004-03-11 2007-10-18 (주)지엔씨 버튼이 일체화된 개인휴대단말기의 전면 케이스 및 이를 구비한 개인휴대단말기
TWI264931B (en) * 2005-04-29 2006-10-21 Benq Corp Keytop module for cellular phones
TWI296810B (en) * 2005-12-23 2008-05-11 Asustek Comp Inc Electronic device and keyborad thereof
US7463480B2 (en) * 2006-11-20 2008-12-09 Inventec Corporation Foldable keyboar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90388A1 (en) 2011-11-07 2013-05-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Keypad coupling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579561B2 (en) 2009-08-25
US20080105526A1 (en) 2008-05-08
KR100834633B1 (ko) 2008-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4633B1 (ko)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결합 구조
KR100810314B1 (ko) 휴대 단말기의 키 입력 장치
US6495784B2 (en) Step keys, step key assembly, and terminal having the step key assembly
KR100938055B1 (ko) 휴대용 통신 장치의 키 입력 장치
KR100313144B1 (ko) 와치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
CN100446636C (zh) 具有防静电装置的移动终端
US7547857B2 (en) Keypad assembly for portable terminal
CN100527755C (zh) 移动通信终端的侧键开关及其防震装置
KR100703317B1 (ko) 휴대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US8772652B2 (en) Keypad assembly for portable terminal
US8100719B2 (en) Electronic device with grounding mechanism
CN101473392B (zh) 用于暴露在电路板边缘上的触点的侧面开关
US20090301853A1 (en) Side key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060097035A1 (en) Size effective keypad switching and backlighting scheme
KR100810375B1 (ko) 슬림형 휴대 단말기의 보강 장치
KR101126380B1 (ko)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
JP4436292B2 (ja) 電子機器
KR100819282B1 (ko) 슬림형 휴대 단말기
KR100584423B1 (ko) 가변형 무선 단말기
JP4545693B2 (ja) 携帯電子機器
KR101085757B1 (ko)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
KR100690828B1 (ko) 투피씨비형 휴대폰
US8344273B2 (en) Keyboard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8227717B2 (en) Key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20060119644A (ko) 다단접점을 갖는 돔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