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3100B1 - 데이터 입력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 입력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63100B1 KR101063100B1 KR20100065103A KR20100065103A KR101063100B1 KR 101063100 B1 KR101063100 B1 KR 101063100B1 KR 20100065103 A KR20100065103 A KR 20100065103A KR 20100065103 A KR20100065103 A KR 20100065103A KR 101063100 B1 KR101063100 B1 KR 10106310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put
- spaced
- pair
- separation
- reference bloc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4—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witches operable in different direc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mage Input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Description
상기 입력신호로부터 상기 독립적 또는 연속적 선택에 의한 입력을 구분해서 판단하여, 메모리부로부터 상기 판단된 입력신호에 할당된 데이터를 추출하여 입력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입력기준블록부의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엄지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의 굴림이동 범위 내에 위치하여, 상기 입력기준블록부의 각 이격쌍이 손가락 말절부 중앙으로부터 좌측-중앙-우측 형태로 위치인식 되는 한편, 상기 입력기준블록부에 손가락을 얹으면 입력기준블록부의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엄지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내 하나의 입력블록 형태로 인지됨으로써, 상기 입력기준블록부 외부에 배치된 이격쌍의 입력 선택 위치가 상기 입력기준블록부를 기준으로 입력기준블록부 좌측 또는 우측의 각 A-B 형태 이격쌍으로 위치인식되어, 데이터 입력이 독립적 또는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유닛에서 입력 동작은 상기 이격쌍들의 각 입력 선택 위치를 가압하거나 터치하는 형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유닛에서의 입력에는 이격입력과 쌍입력이 조합되는 이격쌍조합입력이 더 포함되고, 상기 이격쌍조합입력에서는 상기 이격쌍들 중에서 어느 1개의 이격지시위치가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이격입력과 1쌍의 A-B이격지시위치의 A이격지시위치와 B이격지시위치가 동시에 선택되는 쌍입력이 순차적으로 조합되는 입력에 의해 해당 이격지시위치에 할당된 데이터와는 다른 새로운 데이터가 입력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격쌍조합입력에서 상기 이격입력과 쌍입력의 입력 동작 순서가 다른 각각의 경우, 상기 제어부는 각 입력시의 감지신호로부터 입력신호를 판단하여 각각의 해당 입력에 할당된 서로 다른 데이터를 입력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부에는 상기 입력기준블록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유닛의 상부에는 입력시 상기 이격쌍들의 각 이격지시위치에 대응되는 위치가 선택되도록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입력선택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유닛의 입력선택부에는 이격홈 또는 돌출 형태의 이격라인이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입력선택부는 상기 이격홈 또는 이격라인에 의해 상기 입력유닛에 마련된 입력기준블록부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 입력선택부-중앙 입력선택부-우측 입력선택부 형태로 각각 구획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유닛의 이격홈 또는 이격라인은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직선형, 곡선형 또는 파형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며,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대칭이나 비대칭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유닛의 입력선택부는 상기 입력유닛에 이격돌기 또는 돌출프레임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유닛은, 상기 베이스에 접촉 및 분리 가능한 거치대에 마련되는 거치대형 인터페이스, 상기 베이스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한 형태로 마련되는 착탈형 인터페이스, 상기 베이스에 유선으로 연결되는 유선형 인터페이스 또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는 베이스에 무선으로 연결되는 무선형 인터페이스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각 인터페이스에는 입력시 해당 입력에 할당된 데이터 입력명령을 연결기기의 베이스와 송수신하는 유선 또는 무선의 송수신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각 인터페이스에는 소정 위치에 하나 이상의 사이드키 또는 기능키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각 인터페이스는 입력시 입력 메뉴창을 조절하는 메뉴창조절기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메뉴창조절기는 입력 메뉴창의 조작 또는 입력 메뉴창의 각 데이터를 포인팅 하거나, 검색, 확대, 축소, 변경, 개시, 정지 또는 이동을 포함한 작업을 수행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각 인터페이스에는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부는 손가락의 접촉이 감지되는 터치스크린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에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표시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각 인터페이스에는 입력 선택시의 접촉에 대응하여 지정된 입력 인식 수단이 작동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유닛에서의 입력에는 쌍교번입력이 더 포함되되, 상기 쌍교번입력에서는 상기 이격쌍들 중 어느 1쌍의 A-B이격지시위치의 A이격지시위치와 B이격지시위치가 순차적으로 연속 선택되거나 또는 그와 반대로 B이격지시위치와 A이격지시위치가 순차적으로 연속 선택되어 데이터 입력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유닛의 쌍교번입력에서, 상기 이격쌍들 중 1쌍의 A이격지시위치와 B이격지시위치의 교번 입력 동작 순서에 의한 2개의 입력신호는 각각 서로 다른 데이터로 입력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력유닛의 디스플레이부에는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모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모드에는 복수의 레이어로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다단 레이어 입력모드가 포함되되, 상기 다단 레이어 입력모드는 문자, 숫자, 방향지시 또는 특수기호가 포함되는 입력모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단 레이어 입력모드에는 하나 이상의 기능키의 기능명령이 할당되고, 상기 입력모드에서는 이격입력, 쌍입력 또는 이격쌍조합입력이 각각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각 이격지시위치를 선택하는 입력유닛의 상부에 손가락의 접촉이 감지되는 터치감지부가 마련되고, 상기 터치감지부는 상기 각 이격지시위치의 손가락 접촉에 대응하여 입력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유닛이 마련된 베이스의 소정 위치에는 하나 이상의 사이드키가 더 포함되어 상기 사이드키 선택에 의한 사이드입력이 수행되고, 상기 사이드입력이 이격입력, 쌍입력, 이격쌍조합입력과 조합되는 경우 상기 사이드입력과 상기 각 입력과의 조합 순서에 따라 서로 다른 데이터가 할당되어 입력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유닛은, 문자, 숫자, 기호, 엔터, 모드 변환 또는 각 기능명령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이격입력 또는 쌍입력으로 수행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유닛의 사이드입력에는 입력모드 변환, 메뉴창 변환, 화면 변환 또는 마우스 기능전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기능이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유닛에는 마우스 기능모드로의 전환기능이 더 포함되며, 상기 마우스 기능모드 전환시 이격쌍조합입력에 의해 마우스 좌우버튼이나 스크롤 또는 드래그 기능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유닛의 사이드키에는 손가락의 접촉이 감지되는 터치감지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어부는 손가락의 접촉이 상기 터치감지부에 소정 시간 이상 감지되면 터치감지부의 감지신호로부터 터치 입력 신호를 무효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유닛에는 조이스틱 기능모드로의 전환기능이 더 포함되며, 이격입력, 쌍입력, 이격쌍조합입력 또는 사이드입력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조이스틱 기능모드로 전환시 게임캐릭터나 아바타의 이동, 게임캐릭터나 아바타의 이동 중 지정방향으로의 상승 또는 하강, 또는 게임캐릭터나 아바타의 지정위치에서의 회전이나 점프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유닛에서 이격입력, 쌍입력, 이격쌍조합입력 또는 사이드입력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문서 모드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 문서 메뉴창 이동, 문서 메뉴창 드래그, 문서 메뉴창 이동 검색, 문서 메뉴창 확대 또는 축소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기능이 각각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유닛이 전자기기 또는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되는 경우, 상기 전자기기 또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을 켜면 마우스 기능 메뉴창과 기본 입력 메뉴창이 상기 단말기에 마련된 디스플레이부에 나타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선택부의 하부에는 압력센서, 접촉센서 또는 터치패드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이격감지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격감지부는 가압에 의한 감지 센서 접촉 후 탄성으로 리턴되는 탄성부재 또는 전도성 탄성부재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장치는, 베이스에 마련되는 입력유닛- 상기 입력유닛은, 손가락 입력 가능 영역 내에서 기준위치인 이격기준점과 상기 이격기준점을 지나는 하나의 이격기준선을 기준으로 상기 이격기준선으로부터 양측으로 분할되는 A이격부와 B이격부에서, 상기 A이격부에 3개의 A이격지시위치 및 B이격부에 3개의 B이격지시위치가 상기 이격기준선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어 맞대응 하는 A-B이격지시위치 배열로 이격기준선을 따라 1쌍씩 각각 배치되는 3개의 A-B 형태 이격쌍으로 된 입력기준블록부가 구비되되, 상기 입력기준블록부는 상기 이격기준점을 중심으로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좌측-중앙-우측 형태로 연속적으로 이웃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이격쌍 중 하나 이상의 이격지시위치에 대한 독립적 또는 연속적 선택에 의한 입력이 감지되고, 상기 독립적 또는 연속적 선택에 의한 입력에 대응되는 입력신호가 발생됨-; 및
상기 입력신호로부터 상기 독립적 또는 연속적 선택에 의한 입력을 구분해서 판단하여, 메모리부로부터 상기 판단된 입력신호에 할당된 데이터를 추출하여 입력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입력기준블록부의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엄지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의 굴림이동 범위 내에 위치하여, 상기 입력기준블록부의 각 이격쌍이 손가락 말절부 중앙으로부터 좌측-중앙-우측 형태로 위치인식 되는 한편, 상기 입력기준블록부에 손가락을 얹으면 입력기준블록부의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엄지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내 하나의 입력블록 형태로 인지되어, 데이터 입력이 독립적 또는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장치는, 베이스에 마련되는 입력유닛- 상기 입력유닛은, 손가락 입력 가능 영역 내에서 기준위치인 이격기준점과 상기 이격기준점을 지나는 하나의 이격기준선을 기준으로 상기 이격기준선으로부터 양측으로 분할되는 A이격부와 B이격부에서, 상기 A이격부에 4개의 A이격지시위치 및 B이격부에 4개의 B이격지시위치가 상기 이격기준선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어 맞대응 하는 A-B이격지시위치 배열로 이격기준선을 따라 1쌍씩 각각 배치되는 4개의 A-B 형태 이격쌍으로 구비되되, 상기 이격쌍에는 상기 이격기준점을 중심으로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좌측-중앙-우측 형태로 연속적으로 이웃하는 입력기준블록부가 포함되어, 상기 이격쌍 중 하나 이상의 이격지시위치에 대한 독립적 또는 연속적 선택에 의한 입력이 감지되고, 상기 독립적 또는 연속적 선택에 의한 입력에 대응되는 입력신호가 발생됨-; 및
상기 입력신호로부터 상기 독립적 또는 연속적 선택에 의한 입력을 구분해서 판단하여, 메모리부로부터 상기 판단된 입력신호에 할당된 데이터를 추출하여 입력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입력기준블록부의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엄지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의 굴림이동 범위 내에 위치하여, 상기 입력기준블록부의 각 이격쌍이 손가락 말절부 중앙으로부터 좌측-중앙-우측 형태로 위치인식 되는 한편, 상기 입력기준블록부에 손가락을 얹으면 입력기준블록부의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엄지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내 하나의 입력블록 형태로 인지됨으로써, 상기 입력기준블록부 외부에 배치된 이격쌍의 입력 선택 위치가 상기 입력기준블록부를 기준으로 입력기준블록부 좌측 또는 우측의 A-B 형태 이격쌍으로 위치인식 되어, 데이터 입력이 독립적 또는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장치는, 베이스에 마련되는 입력유닛- 상기 입력유닛은, 손가락 입력 가능 영역 내에서 기준위치인 이격기준점과 상기 이격기준점을 지나는 하나의 이격기준선을 기준으로 상기 이격기준선으로부터 양측으로 분할되는 A이격부와 B이격부에서, 상기 A이격부에 5개의 A이격지시위치 및 B이격부에 5개의 B이격지시위치가 상기 이격기준선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어 맞대응 하는 A-B이격지시위치 배열로 이격기준선을 따라 1쌍씩 각각 배치되는 5개의 A-B 형태 이격쌍으로 구비되되, 상기 이격쌍에는 상기 이격기준점을 중심으로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좌측-중앙-우측 형태로 연속적으로 이웃하는 입력기준블록부가 포함되어, 상기 이격쌍 중 하나 이상의 이격지시위치에 대한 독립적 또는 연속적 선택에 의한 입력이 감지되고, 상기 독립적 또는 연속적 선택에 의한 입력에 대응되는 입력신호가 발생됨-; 및
상기 입력신호로부터 상기 독립적 또는 연속적 선택에 의한 입력을 구분해서 판단하여, 메모리부로부터 상기 판단된 입력신호에 할당된 데이터를 추출하여 입력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입력기준블록부의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엄지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의 굴림이동 범위 내에 위치하여, 상기 입력기준블록부의 각 이격쌍이 손가락 말절부 중앙으로부터 좌측-중앙-우측 형태로 위치인식 되는 한편, 상기 입력기준블록부에 손가락을 얹으면 입력기준블록부의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엄지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내 하나의 입력블록 형태로 인지됨으로써, 상기 입력기준블록부 외부에 배치된 이격쌍의 입력 선택 위치가 상기 입력기준블록부를 기준으로 입력기준블록부 좌측 및 우측의 각 A-B 형태 이격쌍으로 위치인식 되어, 데이터 입력이 독립적 또는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장치는, 베이스에 마련되며, 손가락 입력 가능 영역 내에서 기준위치인 이격기준점과 상기 이격기준점을 지나는 하나의 이격기준선을 기준으로 상기 이격기준선으로부터 양측으로 분할되는 A이격부와 B이격부에서, 상기 A이격부에 다수의 A이격지시위치들 및 B이격부에 다수의 B이격지시위치들이 상기 이격기준선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어 맞대응 하는 A-B이격지시위치 배열로 이격기준선을 따라 1쌍씩 각각 배치되는 다수의 A-B 형태 이격쌍들로 구비되되, 상기 이격쌍들에는 상기 이격기준점을 중심으로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좌측-중앙-우측 형태로 연속적으로 이웃하는 입력기준블록부가 포함되는 입력부;
상기 이격쌍들 중 하나 이상의 이격지시위치에 대한 독립적 또는 연속적 선택에 의한 입력이 감지되고, 상기 독립적 또는 연속적 선택에 의한 입력에 대응되는 입력신호가 발생되는 이격감지부-; 및
상기 입력신호로부터 상기 독립적 또는 연속적 선택에 의한 입력을 구분해서 판단하여, 메모리부로부터 상기 판단된 입력신호에 할당된 데이터를 추출하여 입력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입력기준블록부의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엄지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의 굴림이동 범위 내에 위치하여, 상기 입력기준블록부의 각 이격쌍이 손가락 말절부 중앙으로부터 좌측-중앙-우측 형태로 위치인식 되는 한편, 상기 입력기준블록부에 손가락을 얹으면 입력기준블록부의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엄지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내 하나의 입력블록 형태로 인지됨으로써, 상기 입력기준블록부 외부에 배치된 이격쌍의 입력 선택 위치가 상기 입력기준블록부를 기준으로 입력기준블록부 좌측 또는 우측의 각 A-B 형태 이격쌍으로 위치인식 되어, 데이터 입력이 독립적 또는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장치는, 베이스에 마련되는 입력유닛- 상기 입력유닛은, 손가락 입력 가능 영역 내에서 기준위치인 이격기준점과 상기 이격기준점을 지나는 하나의 이격기준선을 기준으로 상기 이격기준선으로부터 양측으로 분할되는 A이격부와 B이격부에서, 상기 A이격부에 다수의 A이격지시위치들 및 B이격부에 다수의 B이격지시위치들이 상기 이격기준선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어 맞대응 하는 A-B이격지시위치 배열로 이격기준선을 따라 1쌍씩 각각 배치되는 다수의 A-B 형태 이격쌍들로 구비되되, 상기 이격쌍들에는 상기 이격기준점을 중심으로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좌측-중앙-우측 형태로 연속적으로 이웃하는 입력기준블록부가 포함되어, 상기 이격쌍들 중, 하나 이상의 이격지시위치에 대한 독립적 또는 연속적 선택에 의한 입력, 또는 1개의 이격지시위치와 1쌍의 A-B이격지시위치에 대한 순차적 연속 선택에 의한 이격쌍조합입력이 감지되고, 상기 독립적 또는 연속적 선택에 의한 입력 또는 상기 순차적 연속 선택에 의한 이격쌍조합입력에 대응되는 입력신호가 발생됨-; 및
상기 입력신호로부터 상기 독립적 또는 연속적 선택에 의한 입력 또는 순차적 연속 선택에 의한 이격쌍조합입력을 구분해서 판단하여, 메모리부로부터 상기 판단된 독립적 또는 연속적 선택에 의한 입력 또는 이격쌍조합입력에 할당된 데이터를 추출하여 입력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입력기준블록부의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엄지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의 굴림이동 범위 내에 위치하여, 상기 입력기준블록부의 각 이격쌍이 손가락 말절부 중앙으로부터 좌측-중앙-우측 형태로 위치인식 되는 한편, 상기 입력기준블록부에 손가락을 얹으면 입력기준블록부의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엄지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내 하나의 입력블록 형태로 인지됨으로써, 상기 입력기준블록부 외부에 배치된 이격쌍의 입력 선택 위치가 상기 입력기준블록부를 기준으로 입력기준블록부 좌측 또는 우측의 각 A-B 형태 이격쌍으로 위치인식 되어, 데이터 입력이 독립적 또는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장치는, 베이스에 마련되는 입력유닛- 상기 입력유닛은, 손가락 입력 가능 영역 내에서 기준위치인 이격기준점과 상기 이격기준점을 지나는 하나의 이격기준선을 기준으로 상기 이격기준선으로부터 양측으로 분할되는 A이격부와 B이격부에서, 상기 A이격부에 다수의 A이격지시위치들 및 B이격부에 다수의 B이격지시위치들이 상기 이격기준선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어 맞대응 하는 A-B이격지시위치 배열로 이격기준선을 따라 1쌍씩 각각 배치되는 다수의 A-B 형태 이격쌍들로 구비되되, 상기 이격쌍들에는 상기 이격기준점을 중심으로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좌측-중앙-우측 형태로 연속적으로 이웃하는 입력기준블록부가 포함되어, 상기 이격쌍들 중, 각 이격지시위치에 대한 가압력의 세기 차이에 의해 실행되는 2단 이상의 단계적 선택에 의한 다단 이격입력, 또는 각 쌍의 A-B이격지시위치에 대한 가압력의 세기 차이에 의해 실행되는 2단 이상의 단계적 선택에 의한 다단 쌍입력이 감지되고, 상기 2단 이상의 단계적 선택에 의한 다단 이격입력 또는 다단 쌍입력에 대응되는 2단 이상의 다단 입력신호가 발생됨-; 및
상기 2단 이상의 다단 입력신호로부터 상기 2단 이상의 단계적 선택에 의한 다단 이격입력 또는 다단 쌍입력을 구분해서 판단하여, 메모리부로부터 상기 판단된 다단 입력에 할당된 데이터를 추출하여 입력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입력기준블록부의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엄지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의 굴림이동 범위 내에 위치하여, 상기 입력기준블록부의 각 이격쌍이 손가락 말절부 중앙으로부터 좌측-중앙-우측 형태로 위치인식 되는 한편, 상기 입력기준블록부에 손가락을 얹으면 입력기준블록부의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엄지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내 하나의 입력블록 형태로 인지됨으로써, 상기 입력기준블록부 외부에 배치된 이격쌍의 입력 선택 위치가 상기 입력기준블록부를 기준으로 입력기준블록부 좌측 또는 우측의 각 A-B 형태 이격쌍으로 위치인식 되어, 데이터 입력이 독립적 또는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장치는, 베이스에 마련되는 입력유닛- 상기 입력유닛은, 손가락 입력 가능 영역 내에서 기준위치인 이격기준점과 상기 이격기준점을 지나는 하나의 이격기준선을 기준으로 상기 이격기준선으로부터 양측으로 분할되는 A이격부와 B이격부에서, 상기 A이격부에 다수의 A이격지시위치들 및 B이격부에 다수의 B이격지시위치들이 상기 이격기준선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어 맞대응 하는 A-B이격지시위치 배열로 이격기준선을 따라 1쌍씩 각각 배치되는 다수의 A-B 형태 이격쌍들로 구비되되, 상기 이격쌍들에는 상기 이격기준점을 중심으로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좌측-중앙-우측 형태로 연속적으로 이웃하는 입력기준블록부가 포함되어, 상기 이격쌍들 중 1쌍의 A-B이격지시위치의 A이격지시위치와 B이격지시위치에 대한 순차적 연속 선택에 의한 쌍교번입력이 감지되고, 상기 순차적 연속 선택에 의한 쌍교번입력에 대응되는 입력신호가 발생됨-; 및
상기 입력신호로부터 상기 순차적 연속 선택에 의한 쌍교번입력을 구분해서 판단하여, 메모리부로부터 상기 판단된 입력신호에 할당된 데이터를 추출하여 입력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입력기준블록부의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엄지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의 굴림이동 범위 내에 위치하여, 상기 입력기준블록부의 각 이격쌍이 손가락 말절부 중앙으로부터 좌측-중앙-우측 형태로 위치인식 되는 한편, 상기 입력기준블록부에 손가락을 얹으면 입력기준블록부의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엄지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내 하나의 입력블록 형태로 인지됨으로써, 상기 입력기준블록부 외부에 배치된 이격쌍의 입력 선택 위치가 상기 입력기준블록부를 기준으로 입력기준블록부 좌측 또는 우측의 각 A-B 형태 이격쌍으로 위치인식 되어, 데이터 입력이 독립적 또는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장치는, 베이스에 마련되는 입력유닛- 상기 입력유닛은, 손가락 입력 가능 영역 내에서 기준위치인 이격기준점과 상기 이격기준점을 지나는 하나의 이격기준선을 기준으로 상기 이격기준선으로부터 양측으로 분할되는 A이격부와 B이격부에서, 상기 A이격부에 다수의 A이격지시위치들 및 B이격부에 다수의 B이격지시위치들이 상기 이격기준선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어 맞대응 하는 A-B이격지시위치 배열로 이격기준선을 따라 1쌍씩 각각 배치되는 다수의 A-B 형태 이격쌍들로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의 소정 위치 또는 상기 입력유닛의 입력기준블록부 외부에 한개 이상의 사이드키가 마련되되, 상기 이격쌍들에는 상기 이격기준점을 중심으로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좌측-중앙-우측 형태로 연속적으로 이웃하는 입력기준블록부가 포함되어, 상기 이격쌍들 중 하나 이상의 이격지시위치에 대한 독립적 또는 연속적 선택에 의한 입력 또는 상기 사이드키 선택에 의한 사이드입력이 감지되고, 상기 독립적 또는 연속적 선택에 의한 입력 또는 상기 사이드키 선택에 의한 사이드입력에 대응되는 입력신호가 발생됨-; 및
상기 입력신호로부터 상기 독립적 또는 연속적 선택에 의한 입력 또는 사이드키 선택에 의한 사이드입력을 구분해서 판단하여, 메모리부로부터 상기 판단된 입력신호에 할당된 데이터를 추출하여 입력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입력기준블록부의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엄지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의 굴림이동 범위 내에 위치하여, 상기 입력기준블록부의 각 이격쌍이 손가락 말절부 중앙으로부터 좌측-중앙-우측 형태로 위치인식 되는 한편, 상기 입력기준블록부에 손가락을 얹으면 입력기준블록부의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엄지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내 하나의 입력블록 형태로 인지됨으로써, 상기 입력기준블록부 외부의 입력 선택 위치가 상기 입력기준블록부를 기준으로 위치인식 되어, 데이터 입력이 독립적 또는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유닛은 상기 베이스의 소정 위치에 2개 이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유닛은 상기 베이스의 소정 위치에 2개로 마련되되,
상기 2개의 입력유닛에서는 이격입력, 쌍입력 또는 이격쌍조합입력에 의한 입력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입력이 서로 동일하게 수행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서로 다르게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유닛에는 이격입력, 쌍입력 또는 이격쌍조합입력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서로 다른 기능이 각각 할당되어 데이터 입력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입력유닛 중, 일측의 입력유닛에서는 문자입력이 수행되고, 타측의 입력유닛에서는 기능명령이 수행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유닛은 문자입력과 기능명령이 함께 구성되어 입력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입력유닛은 마우스 기능모드로의 전환기능을 가지며, 상기 마우스 기능모드로 전환시 일측에서는 포인터 이동이 수행되고 타측에서는 포인터 조작 기능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유닛의 A이격부 및 B이격부에는 각 이격지시위치의 입력 선택 위치에 대응되는 수개의 감지 센서가 마련된 이격감지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유닛은 평판형, 다각형, 타원형, 반구형, 전체 또는 부분 원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가 포함되어 형성되거나, 상기 하나 이상의 형상이 조합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유닛은 상기 각 형태에 이격홈, 이격라인, 이격돌기 또는 돌출프레임 중 어느 하나가 더 포함되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유닛은 이격기준점을 관통하는 지지대가 포함되는 사각형 패널로 마련되며, 상기 지지대는 상기 입력유닛의 외측으로 돌기된 형태나 또는 내측으로 수용된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유닛은 소정의 오목부가 형성된 사각형 패널로 마련되거나, 비대칭오목부가 형성된 입체형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유닛은 상기 이격기준선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분할되거나, 오목하게 삽입된 형태 또는 볼록하게 돌출된 형태 중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베이스에는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부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베이스의 일측에 디스플레이부가 마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각 입력시의 감지신호로부터 판독된 입력신호의 해당 데이터 입력명령을 추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입력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이격쌍들의 각 이격지시위치에 할당된 데이터가 표시되고, 사용자의 입력 선택 또는 입력 동작에 따라 해당 입력 내용이 표시되거나, 또는 선택된 입력모드에서 할당된 데이터가 표시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표시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표시부는 다단 레이어 입력모드 형태로 각 레이어별로 구분되어 표시되고, 상기 데이터표시부에는 상기 이격쌍들의 각 이격지시위치에 할당된 문자, 숫자 또는 기호로 된 데이터 또는 각 기능키에 할당된 데이터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표시부는 하나 이상의 입력 메뉴창으로 출력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부가 터치스크린으로 마련되고, 상기 데이터표시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손가락 접촉에 의한 접촉신호 발생지점을 기준으로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유닛에는 다단 레이어 입력모드 형태로 출력되어 표시되는 하나 이상의 입력 메뉴창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유닛은 일체형, 슬라이드형, 태블릿형 또는 착탈형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단말기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장치는, 베이스에 마련되는 2개의 입력유닛- 상기 각 입력유닛은, 기준위치인 이격기준점과 상기 이격기준점을 지나는 하나의 이격기준선을 기준으로 상기 이격기준선으로부터 양측으로 분할되는 A이격부와 B이격부에서, 상기 A이격부에 다수의 A이격지시위치들 및 B이격부에 다수의 B이격지시위치들이 상기 이격기준선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어 맞대응 하는 A-B이격지시위치 배열로 이격기준선을 따라 1쌍씩 각각 배치되는 다수의 A-B 형태 이격쌍들로 구비되되, 상기 이격쌍들에는 상기 이격기준점을 중심으로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좌측-중앙-우측 형태로 연속적으로 이웃하는 입력기준블록부가 각각 포함되어, 상기 이격쌍들 중 하나 이상의 이격지시위치에 대한 독립적 또는 연속적 선택에 의한 입력이 감지되고, 상기 독립적 또는 연속적 선택에 의한 입력에 대응되는 입력신호가 발생됨-; 및
상기 입력신호로부터 상기 독립적 또는 연속적 선택에 의한 입력을 구분해서 판단하여, 메모리부로부터 상기 판단된 입력신호에 할당된 데이터를 추출하여 입력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입력기준블록부의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엄지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의 굴림이동 범위 내에 위치하여, 상기 입력기준블록부의 각 이격쌍이 손가락 말절부 중앙으로부터 좌측-중앙-우측 형태로 위치인식 되는 한편, 상기 입력기준블록부에 손가락을 얹으면 입력기준블록부의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엄지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내 하나의 입력블록 형태로 인지됨으로써, 상기 입력기준블록부 외부에 배치된 이격쌍의 입력 선택 위치가 상기 입력기준블록부를 기준으로 입력기준블록부 좌측 또는 우측의 각 A-B 형태 이격쌍으로 위치인식 되어, 데이터 입력이 독립적 또는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장치는, 베이스에 마련되는 2개의 입력유닛- 상기 각 입력유닛은, 기준위치인 이격기준점과 상기 이격기준점을 지나는 하나의 이격기준선을 기준으로 상기 이격기준선으로부터 양측으로 분할되는 A이격부와 B이격부에서, 상기 A이격부에 3개의 A이격지시위치 및 B이격부에 3개의 B이격지시위치가 상기 이격기준선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어 맞대응 하는 A-B이격지시위치 배열로 이격기준선을 따라 1쌍씩 각각 배치되는 3개의 A-B 형태 이격쌍으로 된 입력기준블록부가 구비되되, 상기 입력기준블록부는 상기 이격기준점을 중심으로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좌측-중앙-우측 형태로 연속적으로 이웃하도록 각각 마련되어, 상기 이격쌍 중, 하나 이상의 이격지시위치에 대한 독립적 또는 연속적 선택에 의한 입력, 또는 1개의 이격지시위치와 1쌍의 A-B이격지시위치에 대한 순차적 연속 선택에 의한 이격쌍조합입력이 감지되고, 상기 독립적 또는 연속적 선택에 의한 입력 또는 상기 순차적 연속 선택에 의한 이격쌍조합입력에 대응되는 입력신호가 발생됨-; 및
상기 입력신호로부터 상기 독립적 또는 연속적 선택에 의한 입력 또는 순차적 연속 선택에 의한 이격쌍조합입력을 구분해서 판단하여, 메모리부로부터 상기 판단된 독립적 또는 연속적 선택에 의한 입력 또는 이격쌍조합입력에 할당된 데이터를 추출하여 입력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입력기준블록부의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엄지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의 굴림이동 범위 내에 위치하여, 상기 입력기준블록부의 각 이격쌍이 손가락 말절부 중앙으로부터 좌측-중앙-우측 형태로 위치인식 되는 한편, 상기 입력기준블록부에 손가락을 얹으면 입력기준블록부의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엄지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내 하나의 입력블록 형태로 인지되어, 데이터 입력이 독립적 또는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장치는, 베이스에 마련되는 2개의 입력유닛- 상기 각 입력유닛은, 기준위치인 이격기준점과 상기 이격기준점을 지나는 하나의 이격기준선을 기준으로 상기 이격기준선으로부터 양측으로 분할되는 A이격부와 B이격부에서, 상기 A이격부에 3개의 A이격지시위치 및 B이격부에 3개의 B이격지시위치가 상기 이격기준선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어 맞대응 하는 A-B이격지시위치 배열로 이격기준선을 따라 1쌍씩 각각 배치되는 3개의 A-B 형태 이격쌍으로 된 입력기준블록부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의 소정 위치 또는 상기 입력유닛의 입력기준블록부 외부에 한개 이상의 사이드키가 마련되되, 상기 입력기준블록부는 상기 이격기준점을 중심으로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좌측-중앙-우측 형태로 연속적으로 이웃하도록 각각 마련되어, 상기 이격쌍 중 하나 이상의 이격지시위치에 대한 독립적 또는 연속적 선택에 의한 입력 또는 상기 사이드키 선택에 의한 사이드입력이 감지되고, 상기 독립적 또는 연속적 선택에 의한 입력 또는 상기 사이드키 선택에 의한 사이드입력에 대응되는 입력신호가 발생됨-; 및
상기 입력신호로부터 상기 독립적 또는 연속적 선택에 의한 입력 또는 사이드키 선택에 의한 사이드입력을 구분해서 판단하여, 메모리부로부터 상기 판단된 입력신호에 할당된 데이터를 추출하여 입력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입력기준블록부의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엄지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의 굴림이동 범위 내에 위치하여, 상기 입력기준블록부의 각 이격쌍이 손가락 말절부 중앙으로부터 좌측-중앙-우측 형태로 위치인식 되는 한편, 상기 입력기준블록부에 손가락을 얹으면 입력기준블록부의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엄지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내 하나의 입력블록 형태로 인지됨으로써, 상기 입력기준블록부 외부의 입력 선택 위치가 상기 입력기준블록부를 기준으로 위치인식 되어, 데이터 입력이 독립적 또는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장치는, 베이스에 마련되며, 이격기준점과 상기 이격기준점을 지나는 이격기준선을 기준으로 상기 이격기준선으로부터 양측으로 분할되는 A이격부와 B이격부에서, 상기 A이격부에 다수의 A이격지시위치들 및 B이격부에 다수의 B이격지시위치들이 상기 이격기준선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어 맞대응 하는 A-B이격지시위치 배열로 이격기준선을 따라 1쌍씩 각각 배치되는 다수의 A-B 형태 이격쌍들로 구비되되, 상기 이격쌍들에는 상기 이격기준점을 중심으로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좌측-중앙-우측 형태로 연속적으로 이웃하는 입력기준블록부가 각각 포함되는 2개의 입력부;
상기 이격쌍들 중 하나 이상의 이격지시위치에 대한 독립적 또는 연속적 선택에 의한 입력이 감지되고, 상기 독립적 또는 연속적 선택에 의한 입력에 대응되는 입력신호가 발생되는 이격감지부-; 및
상기 입력신호로부터 상기 독립적 또는 연속적 선택에 의한 입력을 구분해서 판단하여, 메모리부로부터 상기 판단된 입력신호에 할당된 데이터를 추출하여 입력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입력기준블록부의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엄지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의 굴림이동 범위 내에 위치하여, 상기 입력기준블록부의 각 이격쌍이 손가락 말절부 중앙으로부터 좌측-중앙-우측 형태로 위치인식 되는 한편, 상기 입력기준블록부에 손가락을 얹으면 입력기준블록부의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엄지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내 하나의 입력블록 형태로 인지됨으로써, 상기 입력기준블록부 외부에 배치된 이격쌍의 입력 선택 위치가 상기 입력기준블록부를 기준으로 입력기준블록부 좌측 또는 우측의 각 A-B 형태 이격쌍으로 위치인식 되어, 데이터 입력이 독립적 또는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장치는, 베이스에 마련되어 연속적으로 이웃하게 배치된 3개의 입력유닛- 상기 각 입력유닛은, 기준위치인 이격기준점과 상기 이격기준점을 지나는 하나의 이격기준선을 기준으로 상기 이격기준선으로부터 양측으로 분할되는 A이격부와 B이격부에서, 상기 A이격부에 3개의 A이격지시위치 및 B이격부에 3개의 B이격지시위치가 상기 이격기준선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어 맞대응 하는 A-B이격지시위치 배열로 이격기준선을 따라 1쌍씩 각각 배치되는 3개의 A-B 형태 이격쌍으로 된 입력기준블록부가 구비되되, 상기 입력기준블록부는 상기 이격기준점을 중심으로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좌측-중앙-우측 형태로 연속적으로 이웃하도록 각각 마련되어, 상기 이격쌍 중 하나 이상의 이격지시위치에 대한 독립적 또는 연속적 선택에 의한 입력이 감지되고, 상기 독립적 또는 연속적 선택에 의한 입력에 대응되는 입력신호가 발생됨-; 및
상기 입력신호로부터 상기 독립적 또는 연속적 선택에 의한 입력을 구분해서 판단하여, 메모리부로부터 상기 판단된 입력신호에 할당된 데이터를 추출하여 입력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또한, 상기 입력유닛은, 엄지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의 굴림이동 범위 궤적의 폭 이내에 대응하는 크기 또는 엄지손가락 말절부의 폭에 대응하는 크기로 더욱 소형화 또는 컴팩트화가 가능하므로, 각종 전자기기 또는 휴대용 단말기에 다양한 형태로 적용하여 데이터 입력을 수행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장치가 적용된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장치에서, 다수의 A-B 형태 이격쌍들이 구비된 입력유닛의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굴림이동 범위 내에서, 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의 굴림이동 궤적 및 상기 입력 동작의 접촉영역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유닛에서, 손가락을 얹으면 입력 선택 위치가 입력기준블록부의 중앙을 기준으로 위치인식 되며 그에 따른 손가락 굴림이동 형태 및 입력 동작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유닛 또는 입력부에 마련된 입력기준블록부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기준블록부의 각 입력 선택 위치에서의 손가락 입력접촉영역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기준블록부에서 이격입력시에 각 입력 선택 위치로 이동하는 손가락 굴림이동의 입력 동작 형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기준블록부의 중앙을 기준으로, 손가락 굴림이동으로 각 입력 선택 위치를 가압하는 이격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이격입력, 쌍입력, 쌍교번입력에서의 손가락 굴림이동의 입력 동작 형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이격입력, 쌍입력, 이격쌍조합입력, 쌍교번입력의 각 입력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기준블록부의 중앙을 기준으로 실행되는 다양한 실시예에서의 이격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입력기준블록부의 중앙을 기준으로 실행되는 다양한 실시예에서의 쌍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기준블록부의 중앙을 기준으로 실행되는 다양한 실시예에서의 이격쌍조합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기준블록부의 중앙을 기준으로 실행되는 다양한 실시예에서의 쌍교번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에 의해 출력되는 데이터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의 입력모드에서 입력기준블록부의 중앙을 기준으로 위치인식 되게 할당되어 표시된 데이터의 예시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의 입력모드에서 입력기준블록부의 중앙을 기준으로 위치인식 되게 할당되어 표시된 방향지시 데이터의 예시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입력유닛에서, 각 입력기준블록부의 중앙을 기준으로 위치인식 되게 할당되어 표시된 한글 입력모드의 데이터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입력유닛에서, 각 입력기준블록부의 외측에 1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더 배치된 경우, 상기 각 입력기준블록부의 중앙을 기준으로 위치인식 되게 할당되어 표시된 한글 입력모드의 데이터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입력유닛에서, 각 입력기준블록부의 외측에 1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더 배치된는 경우, 상기 각 입력기준블록부의 중앙을 기준으로 위치인식 되게 할당되어 표시된 일본어문자 입력모드의 데이터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기준블록부에서, 다양한 실시예의 입력모드 중 다단 레이어 입력모드에서 입력기준블록부의 중앙을 기준으로 실행되는 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입력유닛에서, 다양한 실시예의 입력모드 중 다단 레이어 입력모드에서 각 입력기준블록부의 중앙을 기준으로 실행되는 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표시부가 다양한 형태로 전자기기 또는 휴대용 단말기에 표시되는 예시도,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장치가 적용된 다양한 형태의 전자기기 또는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입력유닛 또는 입력부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입력유닛 또는 입력부가 다양한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이격기준선 또는 이격지시위치가 다양한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유닛 또는 입력부가 다양한 형태의 인터페이스로 전자기기 또는 휴대용 단말기에 마련되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 및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A-B 형태의 이격쌍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1)는, 베이스(10)의 소정 위치에 마련되며, 손가락 입력 가능 영역 내에서 기준위치인 이격기준점(104)과 상기 이격기준점을 지나는 이격기준선(106)을 기준으로 상기 이격기준선으로부터 양측으로 분할되는 A이격부(130)와 B이격부(140)에서, 상기 A이격부에 다수의 A이격지시위치(132)들 및 B이격부에 다수의 B이격지시위치(142)들이 상기 이격기준선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어 맞대응 하는 A-B이격지시위치(152) 배열로 이격기준선(106)을 따라 1쌍씩 각각 배치되는 다수의 A-B 형태 이격쌍(150)들로 구비되어, 상기 이격쌍들 중 하나 이상의 이격지시위치(110)에 대한 독립적 또는 연속적 선택에 의한 입력이 감지되고, 상기 독립적 또는 연속적 선택에 의한 입력에 대응되는 입력신호가 발생되는 입력유닛(100)과, 상기 입력신호로부터 상기 독립적 또는 연속적 선택에 의한 입력을 구분해서 판단하여 메모리부로부터 상기 판단된 입력신호에 할당된 데이터를 추출하여 입력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특히, 도 3의 (a) 내지 (c)와 같이, 상기 입력유닛(100) 또는 상기 이격쌍(150)들에는 A이격부(130)에 3개의 A이격지시위치(132) 및 B이격부(140)에 3개의 B이격지시위치(142)가 상기 이격기준점(104)을 지나는 이격기준선(106)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어 맞대응 하는 A-B이격지시위치(152) 배열로 이격기준선(106)을 따라 1쌍씩 각각 배치되는 3개의 A-B 형태 이격쌍으로 마련되되 상기 이격기준점(104)을 중심으로 좌측-중앙-우측 형태로 연속적으로 이웃하는 입력기준블록부(124)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 3 내지 도 7, 도 9, 도 1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기준블록부(124)의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엄지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의 굴림이동 범위 내에 위치하여, 상기 입력기준블록부의 각 이격쌍(150)이 손가락 말절부 중앙으로부터 좌측-중앙-우측 형태로 위치인식 되는 한편, 입력기준블록부(124)에 손가락을 얹으면 입력기준블록부(124)의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엄지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내 하나의 입력블록 형태로 인지됨으로써, 입력기준블록부(124) 외부에 배치된 이격쌍(150)의 입력 선택 위치가 상기 입력기준블록부를 기준으로 입력기준블록부 좌측 또는 우측의 각 A-B 형태 이격쌍(150)으로 위치인식 될 수 있다. 이때 입력기준블록부(124)는 도 12의 (c) 또는 도 13의 (c)와 같이 입력유닛(100) 또는 이격쌍(150)들의 중심부에 마련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입력유닛(100)의 입력 선택 위치가 엄지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내 하나의 입력블록 형태로 인지되는 입력기준블록부(124)를 기준으로 하여 A-B이격지시위치 배열로 배치된 각 A-B 형태 이격쌍(150)으로 위치인식되므로, 사용자는 데이터 입력을 독립적 또는 연속적으로 쉽고 빠르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입력유닛(100)에서 입력시에 발생되는 신호를 감지하는 이격감지부(300)는 압력센서, 터치패드, 터치스크린 또는 촉각센서 중 어느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격감지부(300)는 촉각센서가 포함되는 터치패드나 터치스크린으로 구비되어, 입력 선택시 각 이격지시위치(110)에 가하는 다양한 형태의 압력이 감지될 수도 있다.
여기서, 입력은 이격입력 또는 쌍입력 중 어느 하나에 의해 데이터 입력이 수행되는 것을 말한다. 즉, 이격입력은 입력유닛(100)의 이격쌍(150)들 중 어느 1개의 이격지시위치(110)가 선택되어 해당 이격지시위치에 할당된 데이터가 입력되는 것을 말하며, 쌍입력은 입력유닛(100)의 이격쌍(150)들 중 어느 1쌍의 A-B이격지시위치(152)의 A이격지시위치(132)와 B이격지시위치(142)가 동시에 선택되어 해당 이격지시위치에 할당된 데이터와는 다른 새로운 데이터가 입력되는 것을 입력되는 것을 말한다.
도 3 및 도 11의 (a)를 참조하면, 이격입력은, 입력유닛(100)의 손가락 입력 가능 영역 내에서 이격기준점(104)을 지나는 이격기준선(106)을 기준으로 상기 이격기준선으로부터 양측으로 분할되는 A이격부(130)와 B이격부(140)에서, 상기 A이격부에 다수의 A이격지시위치(132)들 및 B이격부에 다수의 B이격지시위치(142)들이 상기 이격기준선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어 맞대응 하는 A-B이격지시위치(152) 배열로 이격기준선(106)을 따라 1쌍씩 각각 배치되는 다수의 A-B 형태 이격쌍(150)들로 구비되어, 상기 이격쌍(150)들 중 어느 1개의 이격지시위치(110)가 선택되어 해당 이격지시위치(A1, B1, A2, B2, …)에 할당된 데이터가 입력되는 것으로 한다.
그 일례로, 도 11의 (a)와 같이, 입력유닛(100)에서의 이격입력은 이격기준점(104)을 중심으로 1개의 A이격지시위치(132)가 독립적으로 가압(PA)되는 입력 동작에 의해 입력이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 및 도 11의 (b)를 참조하면, 쌍입력은, 입력유닛(100)의 손가락 입력 가능 영역(102) 내에서 이격기준점(104)을 지나는 이격기준선(106)을 기준으로 상기 이격기준선으로부터 양측으로 분할되는 A이격부(130)와 B이격부(140)에서, 상기 A이격부에 다수의 A이격지시위치(132)들 및 B이격부에 다수의 B이격지시위치(142)들이 상기 이격기준선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어 맞대응 하는 A-B이격지시위치(152) 배열로 이격기준선(106)을 따라 1쌍씩 각각 배치되는 다수의 A-B 형태 이격쌍(150)들로 구비되어, 상기 이격쌍(150)들 중 어느 1쌍의 A-B이격지시위치(152)의 A이격지시위치(132)와 B이격지시위치(142)가 동시에 선택되어 해당 이격지시위치(A1, B1, A2, B2, …)에 할당된 데이터와는 다른 새로운 데이터가 입력되는 것으로 한다.
그 예로서, 도 11의 (b)와 같이, 입력유닛(100)에서의 쌍입력은 1쌍의 A-B 형태의 이격쌍(150)을 형성하는 A-B이격지시위치(152)의 A이격지시위치(132)와 B이격지시위치(142)가 동시에 가압(CAB)되는 입력 동작에 의해 입력이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입력이 수행되는 입력유닛(100)에서는 이격쌍(150)들의 이격지시위치(110) 각각의 입력 선택 위치가 손가락 접촉시에 바로 위치인식 되게 배치하여 입력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어부(400)는 손가락의 변위에 따라 달라지는 입력 선택 위치 또는 가압력 세기 차이를 통해 어느 이격지시위치(100)에서 입력이 수행되는지를 구분하여 해당 이격지시위치(110) 또는 입력에 할당된 데이터를 입력처리 할 수 있다.
여기서 도 3 및 도 11의 (d)을 참조하면, 이격쌍조합입력은, 입력유닛(100)의 손가락 입력 가능 영역(102) 내에서 이격기준점(104)을 지나는 이격기준선(106)을 기준으로 상기 이격기준선으로부터 양측으로 분할되는 A이격부(130)와 B이격부(140)에서, 상기 A이격부에 다수의 A이격지시위치(132)들 및 B이격부에 다수의 B이격지시위치(142)들이 상기 이격기준선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어 맞대응 하는 A-B이격지시위치(152) 배열로 이격기준선(106)을 따라 1쌍씩 각각 배치되는 다수의 A-B 형태 이격쌍(150)들로 구비되어, 상기 이격쌍(150)들 중에서 어느 1개의 이격지시위치(110)가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이격입력과 1쌍의 A-B이격지시위치(152)의 A이격지시위치(132)와 B이격지시위치(142)가 동시에 선택되는 쌍입력이 순차적으로 연속 선택되어 조합되는 입력에 의해 해당 이격지시위치(A1, B1, A2, B2, …)에 할당된 데이터와는 다른 새로운 데이터가 입력되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어, 도 11의 (d)와 같이, 입력유닛(100)에서의 이격쌍조합입력은 입력유닛(100) 중심으로부터 1개의 A이격지시위치(132)가 독립적으로 가압(PA)된 후 1쌍의 A-B이격지시위치(152)의 A이격지시위치(132)와 B이격지시위치(142)가 동시에 가압(CAB)되거나, 또는 그 반대로 1쌍의 A-B이격지시위치(152)의 A이격지시위치(132)와 B이격지시위치(142)가 동시에 가압(CAB)된 후 1개의 A이격지시위치(132)가 독립적으로 가압(PA)되는 입력 동작에 의해 입력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400)는 상기 각각의 입력 동작 순서에 따라 발생되는 각각의 신호로부터 입력신호를 판단하여 각각의 해당 입력에 할당된 서로 다른 데이터를 입력처리 할 수 있다.
이러한 이격쌍조합입력에 의해 입력유닛(100)에서 입력의 개수를 확장할 수 있다. 가령, 도 16의 (a), (b) 및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유닛(100)에 3개의 이격쌍이 구비되는 경우, 즉 A이격부(130)에 3개의 A이격지시위치(132) 및 B이격부(140)에 3개의 B이격지시위치(142)가 이격기준점(104)을 지나는 이격기준선(106)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어 맞대응 하는 A-B이격지시위치 배열로 이격기준선(106)을 따라 1쌍씩 각각 배치되는 3개의 A-B 형태 이격쌍(A1-B1, A2-B2, A3-B3)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이격입력, 쌍입력 및 이격쌍조합입력이 수행되면, 총 45개의 서로 다른 데이터가 입력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9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2개의 입력유닛(100, 100')이 베이스(10)의 소정 위치에 마련되어 각각의 데이터 입력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이격입력, 쌍입력 및 이격쌍조합입력이 수행되면, 총 90개의 서로 다른 데이터가 입력 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경우 이격쌍조합입력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마찬가지로, 입력유닛(100)은 이격쌍(150)의 개수가 더 추가됨으로써 입력이 가능한 데이터의 개수를 더욱 확장시킬 수 있다.
도 3은 다수의 A-B 형태 이격쌍(150)들로 마련되는 입력유닛(100) 개념도이다.
여기서, 'A-B'는, 입력유닛(100)에서 기준위치인 이격기준점(104)과 상기 이격기준점을 지나는 하나의 이격기준선(106)을 기준으로 상기 이격기준선으로부터 양측으로 분할되는 소정 이격부(120)의 A이격부(130)와 B이격부(140)에서, 상기 A이격부(130)에 1개의 A이격지시위치(132) 및 B이격부(140)에 1개의 B이격지시위치(142)가 상기 이격기준선(106)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어 맞대응 하는 쌍의 형상 또는 서로 이격되어 맞대응 하는 위치에 따른 쌍의 형태를 임의의 A와 B로 표시한 것이다. 또한, 'A-B 형태'는 상기 1개의 A이격지시위치(132)와 1개의 B이격지시위치(142)가 상기 이격기준점(104)을 지나는 하나의 이격기준선(106)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어 맞대응 하여 이루어진 A-B 형상을 의미하는 것이다. 즉, 'A-B' 또는 'A-B 형태'는 서로 다른 2개의 이격지시위치(A이격지시위치, B이격지시위치)가 이격기준점(104)을 지나는 하나의 이격기준선(106)을 기준으로 상기 이격기준선으로부터 서로 이격되어 맞대응 하는 A-B이격지시위치(152) 배열로 배치된 이격쌍(150)의 형상을 표현한 것이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준위치인 이격기준점(104)은 입력유닛(100)의 손가락 입력 가능 영역(102) 내에서 입력시 입력 선택의 기준위치도 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기준점(104)은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이격기준선(106)은 입력유닛(100)의 손가락 입력 가능 영역(102) 내에서 하나의 이격부(120)를 A이격부(130)와 B이격부(140)로 분할되게 하거나, 또는 A이격부(130)의 A이격지시위치(132)와 B이격부(140)의 B이격지시위치(142)가 서로 이격되어 맞대응 하는 A-B 형태의 A-B이격지시위치(152) 배열로 배치되게 하는데 기준이 되는 하나의 기준선이다.
또한, 입력 선택이 구현되는 이격부(120)는 입력유닛(100)의 손가락 입력 가능 영역(102) 내에서 이격기준점(104)을 지나는 이격기준선(106)을 기준으로 상기 이격기준선으로부터 A이격부(130)와 B이격부(140) 양측으로 분할되는 2개의 입력 선택 영역을 말한다. 이때 이격부(120)에서, 이격지시위치(110)가 이격기준선(106)으로부터 A이격부 영역으로 이격되는 방향을 A이격부 방향(도시된 화살표 A), B이격부 영역으로 이격되는 방향을 B이격부 방향(도시된 화살표 B)으로 각각 정할 수 있으며, 상기 A이격부 방향과 B이격부 방향은 이격기준선(106)을 기준으로 전방과 후방으로 나타낼 수도 있다.
또한, 이격쌍(150)은, 입력유닛(100)의 손가락 입력 가능 영역(102) 내에서, 이격기준점(104)을 지나는 이격기준선(106)을 기준으로 상기 이격기준선으로부터 양측으로 분할되는 A이격부와 B이격부에서 상기 A이격부에 1개의 A이격지시위치(132) 및 B이격부에 1개의 B이격지시위치(142)가 상기 이격기준선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어 맞대응하는 A-B이격지시위치 배열로 배치된 A-B 형태의 A-B이격지시위치(152)를 말하는 것이다. 즉, 1개의 이격쌍(150)은 1쌍의 A-B이격지시위치(152)를 말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입력유닛(100)의 이격지시위치(110)에서는 입력시 가압 또는 접촉이 포함되는 입력 선택에 의해 해당 이격지시위치(110)에 할당된 입력신호가 발생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이격지시위치(110)는 입력유닛(100)에서 입력 선택에 대응하여 입력신호가 발생되는 수단 중 하나이다.
한편, 입력유닛(100)에는 도 3의 (a) 또는 (c)와 같이 입력시 입력 선택 위치인식의 기준이 되는 입력기준블록부(124)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입력기준블록부(124)는 입력유닛(100)에서 3개의 A-B 형태 이격쌍(150)이 이격기준점(104)을 중심으로 상기 이격기준점을 지나는 이격기준선(106)을 따라 1쌍씩 연속적으로 이웃하여 배치된 입력 선택 영역을 말한다.
도 9의 (a) 내지 (g)를 참조하면, 입력기준블록부(124)는 엄지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의 굴림이동 궤적의 폭 이내에 대응되는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도 9의 (e)와 같이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을 기준으로 손가락이 접촉된 상태에서, 손가락 말절부의 짧은 입력 동선의 굴림이동에 의해 A이격부의 3개의 A이격지시위치(132)와 B이격부의 3개의 B이격지시위치(142)에 대응되는 각 입력 선택 위치가 쉽게 선택 될 수 있다.
이로써, 도 9와 같이 입력기준블록부(124)에서는 3쌍의 A-B이격지시위치(152)에 대응되는 모든 입력 선택 위치가 짧은 입력 동선의 엄지손가락 굴림이동에 의해 한번의 입력 동작처럼 쉽게 연속적으로 선택 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입력기준블록부(124)에 손가락 말절부를 얹는 즉시 이격지시위치(110)들의 각 입력 선택 위치가 이격기준점(104)과 이격기준선(106)이 포함되는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을 기준으로 A-B 형태로 위치인식 된다.
즉, 입력기준블록부(124)에서 각 이격지시위치(110)의 입력 선택 위치는 이격기준점(104)이 위치한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중앙-우측 형태의 A-B 형태 선택 위치로 위치인식 된다. 이때 상기 좌측-중앙-우측 형태의 각 A-B 형태 선택 위치는 이격기준선(106)을 기준으로 전방-후방 형태로 위치인식 된다.
따라서, 입력기준블록부(124)에서는 이격기준점(104)이 포함되는 입력기준블록부의 중앙을 기준으로 3개의 A-B 형태 이격쌍(150)의 각 이격지시위치(110)에 대응되는 입력 선택 위치 전체가 위치인식된 상태에서 각 입력을 독립적 또는 연속적으로 쉽고 빠르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입력기준블록부(124)는 짧은 입력 동선의 손가락 굴림이동으로 입력 선택이 가능한 영역 내에 마련됨으로써, 입력 선택 후 손가락의 가압 또는 접촉 해제 즉시 상기 손가락이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심으로 오토리턴 되어 다음 입력 선택 동작을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을 기준으로 연속적으로 빠르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손가락이 오토 리턴(auto return) 되는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심 위치는, 도 9의 (e) 또는 도 10의 (a)와 같이 손가락 말절부가 입력기준블록부(124) 중앙에 위치한 상태의 접촉영역일 수 있으며, 손가락이 위치하는 입력 선택 준비 또는 입력 대기 상태의 접촉영역일 수도 있다.
특히, 입력기준블록부(124)는, 3개의 A-B 형태 이격쌍(150)이 엄지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의 굴림이동 궤적의 폭 이내에 대응되는 크기로 마련됨으로써, 상기 오토리턴이 더욱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입력기준블록부(124)에서는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의 각 입력 선택 위치가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을 기준으로 위치인식된 상태에서, 입력 선택에 따른 각 동작과 동작 사이 또는 연속 입력 동작에서 이루어지는 오토리턴에 의해 순차적 또는 연속적 입력이 빠르고 쉽게 수행될 수 있게 된다.
도 5의 (a) 및 (b)는 입력기준블록(124)부에서 입력 선택 위치로 위치인식된 이격지시위치(110)를 선택하여 입력을 수행하는 이격입력의 예시도이다.
일례로, 도 5의 (a)는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을 기준으로 A1이격지시위치를 선택하는 경우(①→②)로, 입력기준블록부(124) 중앙으로부터 위치인식된 좌측전방을 가압하면 A1이격지시위치가 선택되므로 쉽고 빠른 입력 수행이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도 5의 (b)는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을 기준으로 B3이격지시위치를 선택한 후 B1이격지시위치를 선택하는 경우(③→④)로, 입력기준블록부(124) 중앙을 기준으로 위치인식된 우측후방을 가압하면 B3이격지시위치가 선택되고, B3이격지시위치로부터 굴림이동에 의해 선택을 해제하는 순간 바로 손가락이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심으로 오토리턴 되어 연속적으로 좌측후방을 가압하면 B1이격지시위치가 선택되므로, 상기 위치인식에 의해 익숙한 상태에서의 각 입력 선택으로 빠르고 쉽게 입력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을 기준으로 A이격지시위치에 이어 B이격지시위치를 선택하는 경우,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을 기준으로 위치인식된 전방의 A이격지시위치를 선택(PA)한 후 가압 또는 접촉 해제 즉시 손가락이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심으로 오토리턴되므로, 전방의 A이격지시위치와 후방의 B이격지시위치를 연속적으로 선택하는 입력 동작(PA→PB)이 짧은 입력 동선의 손가락 굴림이동에 의해 마치 한번의 입력 동작처럼 빠르고 쉽게 이루어지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여기서, 상기 입력기준블록부(124)의 각 이격지시위치(110)에서는 입력시 가압 또는 접촉이 포함되는 입력 선택에 의해 해당 이격지시위치(110)에 할당된 입력신호가 발생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입력기준블록부(124)의 각 이격지시위치(110)에 대응되는 입력면(210)에 해당 이격지시위치를 선택하도록 형성되는 입력접촉영역(212)이 더 포함 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기준점(104)과 이격기준선(106)을 기준으로 각 A-B 형태로 배치된 3개의 A-B 형태 이격쌍(150)의 입력 선택 위치가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을 기준으로 위치인식된 상태에서, 상기 이격쌍의 각 이격지시위치(110)에 대응되는 입력접촉영역(212)의 가압(PA1, PB1, PA2, PB2, PA3, PB3)을 통하여 각 입력이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A-B 형태의 이격쌍(150)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1)는, 전자기기 베이스(10)의 소정 위치에 형성되는 손가락 입력 가능 영역(102) 내에서 이격입력이 수행되고 상기 입력에 대응되는 입력신호가 발생되는 입력유닛(100)과, 상기 입력에서 감지된 입력신호를 판독하여 해당 입력에 할당된 입력명령을 입력처리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 10의 (b) 및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격입력은, 입력유닛(100)의 손가락 입력 가능 영역(102) 내에서 이격기준점(104)을 지나는 이격기준선(106)을 기준으로 상기 이격기준선으로부터 양측으로 분할되는 A이격부(130)와 B이격부(140)에서, 상기 A이격부에 다수의 A이격지시위치(132)들 및 B이격부에 다수의 B이격지시위치(142)들이 상기 이격기준선(106)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어 맞대응하는 A-B이격지시위치(152) 배열로 이격기준선(106)을 따라 1쌍씩 각각 배치되는 다수의 A-B 형태 이격쌍(150)들로 구비되어, 상기 이격쌍(150)들 중 어느 1개의 이격지시위치(110)가 선택되어 해당 이격지시위치(A1, B1, A2, B2, …)에 할당된 데이터가 입력되는 것으로 한다.
도 11의 (a)와 같이, 입력유닛(100)에서의 이격입력은 1개의 이격지시위치(110)가 독립적으로 가압(PA)되는 입력 동작에 의해 입력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격입력에서, 도 10의 (a)와 같이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에 위치한 손가락이, 도 10의 (b)와 같이 A이격지시위치(132)에 대응되는 입력 선택 위치로 이동하여 A이격지시위치(132)를 가압(PA)함으로써 A이격지시위치(132)에 할당된 데이터 입력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입력 동작은 이격쌍(150)들의 각 입력 선택 위치를 가압하거나 또는 터치하는 형태가 될 수 있으며, 또한 다양한 형태의 입력 선택 동작이 더 포함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입력유닛(100)에서는, 도 12의 (b) 또는 (c)와 같이 상기 입력기준블록부(124) 외측에 1개 이상의 A-B 형태 이격쌍(150)이 더 배치되는 경우에도, 상기 입력기준블록부(124) 외측 이격쌍의 각 이격지시위치(110)가 손가락이 위치한 입력기준블록부(124)를 기준으로 입력기준블록부 좌측 또는 우측의 각 A-B 형태 선택 위치로 위치인식 된다. 이때 상기 각 A-B 형태 선택 위치는 이격기준선(106)을 기준으로 A이격부 방향과 B이격부 방향의 전방-후방 형태로 위치인식 될 수 있다. 이로써, 입력유닛(100)에서는 이격입력이 빠르게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즉, 다수의 A-B 형태 이격쌍(150)들이 구비되는 입력유닛(100)에서는, 이격입력시 입력기준블록부(124)를 기준으로 위치인식된 이격쌍(150)들 중에서 1개의 이격지시위치(110)가 선택되어 해당 이격지시위치에 할당된 데이터 입력이 수행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유닛(100)은 전자기기 또는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A-B 형태의 이격쌍(150)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1)는, 일체형 단말기(20) 베이스(10)의 소정 위치에 마련되어 손가락 입력 가능 영역(102) 내에서 이격입력이 수행되고 상기 입력에 대응되는 입력신호가 발생되는 입력유닛(100)과, 상기 입력에서 감지된 입력신호를 판독하여 해당 입력에 할당된 입력명령을 입력처리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 12의 (a)와 같은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이격입력은, 입력유닛(100)의 손가락 입력 가능 영역(102) 내에서 이격기준점(104)을 지나는 이격기준선(106)을 기준으로 상기 이격기준선으로부터 양측으로 분할된 A이격부(130)와 B이격부(140)에서, 상기 A이격부에 3개의 A이격지시위치 및 B이격부에 3개의 B이격지시위치(A1, B1, A2, B2, A3, B3)가 상기 이격기준선(106)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어 맞대응 하는 A-B이격지시위치(152) 배열로 이격기준선(106)을 따라 1쌍씩 각각 배치되는 3개의 A-B 형태 이격쌍(150)으로 구비되어, 상기 이격쌍(150) 중 어느 1개의 이격지시위치(110)가 선택되어 해당 이격지시위치(A1, B1, A2, B2, …)에 할당된 데이터가 입력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이격쌍은 이격기준점(104)을 중심으로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좌측-중앙-우측 형태로 연속적으로 이웃하는 입력기준블록부(124)로 마련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입력기준블록부(124)에 손가락 말절부를 얹는 즉시 3개의 A-B 형태 이격쌍(150)에 대응되는 입력 선택 위치 전체가 입력기준블록부의 중앙을 기준으로 각 A-B 형태로 위치인식된다.
다시 말하면, 입력기준블록부(124)에 손가락 말절부를 얹는 즉시 각 이격지시위치(110)에 대응되는 입력 선택 위치 전체가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중앙-우측 형태의 A-B 형태 선택 위치로 위치인식되고, 상기 좌측-중앙-우측 형태의 각 A-B 형태 선택 위치는 이격기준선(106)을 기준으로 전방-후방 형태로 위치인식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위치인식에 의해 입력 선택 위치 전체가 쉽게 익숙해진 상태에서 이격입력을 독립적 또는 연속적으로 빠르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입력기준블록부(124)는 손가락 말절부의 짧은 입력 동선의 굴림이동으로 입력 선택이 가능한 영역 내에 마련됨으로써, 상기 이격입력에서 각 입력 선택 후 손가락의 가압 또는 접촉 해제 즉시 상기 손가락이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심으로 오토리턴 되어 다음 동작을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을 기준으로 연속적으로 빠르게 수행 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하면, 입력기준블록부(124)가 엄지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의 굴림이동 궤적의 폭 이내에 대응되는 크기로 마련됨으로써, 입력기준블록부(124) 중심으로 손가락의 오토리턴이 더욱 자연스럽게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입력기준블록부(124)에서는 3개의 A-B 형태 이격쌍(A1-B1, A2-B2, A3-B3)의 각 입력 선택 위치가 인식된 상태에서, 입력 선택에 따른 각 동작과 동작 사이, 또는 연속 입력 동작에서 즉시 구현되는 입력기준블록부(124) 중심으로의 손가락 오토리턴에 의해 이격입력이 순차적 또는 연속적으로 빠르고 쉽게 수행될 수 있게 된다.
도 9는, 입력기준블록부(124)에 이격기준점(104)을 지나는 이격기준선(106)을 기준으로 상기 A-B이격지시위치 배열로 이격기준선을 따라 1쌍씩 각각 배치된 3개의 A-B 형태 이격쌍(150)의 각 이격지시위치(110)에 대한 입력 선택시,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을 기준으로 엄지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의 굴림이동에 따른 엄지손가락의 변위 및 입력 동작의 형태를 보여주는 일례이다.
도 9의 (e)는 입력기준블록부(124)에 손가락을 얹거나 또는 입력기준블록부(124) 중심으로의 손가락 오토리턴시에 손가락이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에 위치한 상태를 보여준다.
일례로, 도 9의 (b)는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을 기준으로 A2이격지시위치가 선택되는 경우로, 입력기준블록부(124) 중앙으로부터 위치인식된 중앙전방을 손가락 굴림이동으로 가압(PA2)하면 A2이격지시위치(도 9의 b)가 선택되어 입력이 수행된다. 이때, A2이격지시위치에 대응되는 입력 선택 위치에 형성된 입력접촉영역(212)이 가압되어(PA2) 입력이 수행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도 9의 (b) 와 (g)를 참조하여,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을 기준으로 위치인식된 A2이격지시위치와 B2이격지시위치가 선택되는 경우, 입력기준블록부(124) 중앙을 기준으로 전방을 가압하면 A2이격지시위치(도 9의 b)가 대응되어 입력신호가 발생되고, 후방을 가압하면 B2이격지시위치(도 9의 g)가 대응되어 입력신호가 발생되는 것이다. 이때, 각 이격지시위치(A2, B2)에 대응되는 입력 선택 위치에 형성된 입력접촉영역(212)이 가압되어(PA2 또는 PB2) 입력이 수행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도 9의 (a)와 (d)를 참조하여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을 기준으로 위치인식된 A1이격지시위치와 B1이격지시위치가 선택되거나 또는 도 9의 (c)와 (f)를 참조하여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을 기준으로 위치인식된 A3이격지시위치와 B3이격지시위치가 각각 선택되는 경우,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을 기준으로 하여, 좌측 전방을 가압하면 A1이격지시위치(도 9의 a), 좌측후방을 가압하면 B1이격지시위치(도 9의 d), 우측전방을 가압하면 A3이격지시위치(도 9의 c), 우측후방을 가압하면 B3이격지시위치(도 9의 f)가 대응되어 각각의 입력신호가 발생된다. 이때, 각 이격지시위치(A1, B1, A3, B3)에 대응되는 입력 선택 위치에 형성된 입력접촉영역(212)이 가압되어(PA1, PB1, PA3 또는 PB3) 입력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때, 입력기준블록부(124)에 손가락 말절부를 얹는 즉시 각 이격지시위치(110)에 대응되는 입력 선택 위치 전체가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중앙-우측 형태의 A-B 형태 선택 위치로 위치인식 되고, 상기 좌측-중앙-우측 형태의 각 A-B 형태 선택위치는 이격기준선(106)을 기준으로 전방-후방 형태로 익숙하게 위치인식되므로, 입력기준블록부(124)에서의 이격입력이 독립적 또는 연속적으로 빠르고 쉽게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엄지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의 굴림이동은 입력수단이 접촉되는 입력면에 엄지손가락 말절부의 지문영역을 접촉하여 굴리듯이 이동하는 형태이며, 이때 입력기준블록부(124)에서는 손가락이 입력 선택 후 바로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심으로 오토리턴 되어 다음 입력 동작이나 연속 입력이 쉽고 빠르게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도 5의 (b)를 참조하면,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을 기준으로 B3이격지시위치가 선택된 후 B1이격지시위치가 선택되는 경우(③→④),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을 기준으로 위치인식된 우측후방을 가압하여 B3이격지시위치가 선택된 후 바로 손가락이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심으로 오토리턴 되며 이 상태에서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을 기준으로 위치인식된 좌측후방을 가압하여 B1이격지시위치가 선택됨으로써 빠르고 쉽게 입력 수행이 가능하다.
그런데, 오토리턴은 엄지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의 굴림이동 궤적의 폭 이내에 대응하는 크기로 마련되는 입력기준블록부(124)의 형상에 의해 이루어지는 현상일 수 있으며, 입력 선택시 연속 동작이나 빠른 연결 동작에서 사용자가 의식하지 못할 정도로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른 일례로, 도 4는, 손가락 굴림이동 범위 내에서, 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의 굴림이동 궤적 및 그에 따른 각 입력 동작에서의 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의 굴림이동 접촉영역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4의 (a)는 입력유닛(100)의 입력기준블록부(124)에서 손가락 굴림이동시 접촉 가능한 손가락 말절부(910)이며, 입력수단(900)으로는 손가락 중 엄지손가락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 4를 참조하면, 이격기준점(104)을 지나는 이격기준선(106)을 기준으로 3개의 A-B 형태 이격쌍(150)이 배치된 입력기준블록부(124)에 손가락을 얹으면 상기 이격쌍(150)의 각 이격지시위치(110)에 대응되는 입력 선택 위치 전체가 좌측-중앙-우측 형태의 A-B 형태 선택 위치로 위치인식된다. 따라서 상기 입력기준블록부(124)에서는, 일례로 도 4의 (b)와 같이 손가락 말절부 중앙으로부터 A이격부 또는 B이격부의 좌측-중앙-우측 형태(920)로, 다른 일례로 도 4의 (c)와 같이 손가락 말절부 중앙으로부터 A이격부 및 B이격부의 전방-후방 형태(930)로, 또는 다른 일례로 도 4의 (d)와 같이 손가락 말절부 중앙으로부터 A이격부 및 B이격부의 대각방향 형태(940)로, 손가락의 짧은 입력 동선과 상기 위치인식에 따른 입력 동작으로 데이터 입력이 독립적 또는 연속적으로 쉽고 빠르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도 12의 (b) 및 (c)와 같이, 입력유닛(100)에서는 입력기준블록부(124) 외측에 1개 이상의 A-B 형태 이격쌍(150)이 더 배치된 경우에도, 상기 입력기준블록부(124) 외측 이격쌍의 각 이격지시위치(110)가 손가락이 위치한 입력기준블록부(124)를 기준으로 입력기준블록부 좌측 또는 우측의 각 A-B 형태 선택 위치로 위치인식되고, 상기 각 A-B 형태 선택 위치는 이격기준선(106)을 기준으로 전방-후방 형태로 위치인식됨으로써, 도 4와 같은 손가락의 짧은 입력 동선과 상기 위치인식에 따른 익숙한 입력 동작으로 데이터 입력이 독립적 또는 연속적으로 쉽고 빠르게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즉, 다수의 A-B 형태 이격쌍(150)들이 구비되는 입력유닛(100)에서는, 이격입력시 입력기준블록부(124)를 기준으로 위치인식된 이격쌍(150)들 중에서 1개의 이격지시위치(110)가 선택되어 해당 이격지시위치에 할당된 데이터 입력이 수행되는 것이다.
그리고 입력기준블록부(124)는 모바일 기기에 형성되는 경우에 엄지손가락 폭 이하 크기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입력유닛(100)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입력유닛(100)은 이격기준점(104)을 중심으로 3개의 A-B 형태 이격쌍(150)이 좌측-중앙-우측 형태로 연속적으로 이웃하는 입력기준블록부(124)가 마련되고 상기 입력기준블록부 일측 외부에 1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더 마련된 형태로 전자기기 또는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입력유닛(100)은 일체형 단말기 베이스(10)의 소정 위치에 마련되고 손가락 입력 가능 영역(102) 내에서 이격입력이 수행되어 입력신호가 발생되며, 상기 입력유닛에 포함된 제어부(400)는 상기 입력으로부터의 입력신호를 판독하여 해당 입력에 할당된 입력명령을 입력처리 한다.
상기 입력유닛(100)에서 입력기준블록부(124) 외측에 배치된 이격지시위치(110)의 입력시에 각 입력 선택 위치의 위치인식 기준은 입력기준블록부(124)가 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2의 (b)와 같은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이격입력은, 입력유닛(100)의 손가락 입력 가능 영역(102) 내에서 기준위치인 이격기준점(106)과 상기 이격기준점을 지나는 이격기준선(106)을 기준으로 엄지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의 굴림이동이 가능한 크기의 입력기준블록부(124)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입력기준블록부(124) 일측 외부에 1개의 A-B 형태 이격쌍(150)이 더 이격되어 마련된 4개의 A-B 형태 이격쌍 중 어느 1개의 이격지시위치(110)가 선택되어 해당 이격지시위치(110)에 할당된 데이터가 입력되는 것이다.
도 5의 (c)는 입력유닛(100)에서 입력기준블록부(124)를 기준으로 하여 입력기준블록부(124) 우측 외부에 배치된 이격쌍(150)의 이격지시위치(110)가 선택되는 입력의 예이다. 상기 도면과 같이 입력유닛(100)에 마련된 4개의 A-B 형태 이격쌍 중 A4이격지시위치가 선택되는 경우(⑤→⑥), 손가락이 위치한 입력기준블록부(124)를 기준으로 위치인식된 입력기준블록부 우측전방을 가압하면 A4이격지시위치가 선택되므로 입력기준블록부(124) 외측의 각 이격지시위치(110)에서도 빠르고 쉽게 입력 수행이 가능하다.
또한 도 5의 (c)와 다르게, 입력유닛(100)에서 입력기준블록부(124)를 기준으로 하여 입력기준블록부(124) 좌측 외부에 배치된 이격쌍(150)의 이격지시위치(110)가 선택되는 입력의 예를 설명할 수 있다. 도면 12의 (b) 또는 (c)를 참조하여, 4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마련된 입력유닛(100)에서 A1이격지시위치가 선택되는 경우, 손가락이 위치한 입력기준블록부(124)를 기준으로 위치인식된 입력기준블록부 좌측전방을 가압하면 A1이격지시위치가 선택되므로 빠르고 쉽게 입력 수행이 가능하다.
한편, 도 1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입력유닛(100)은 이격기준점(104)을 중심으로 3개의 A-B 형태 이격쌍(150)이 좌측-중앙-우측 형태로 연속적으로 이웃하는 입력기준블록부(124)가 마련되고 상기 입력기준블록부 양측 외부에 2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더 마련된 형태로 전자기기 또는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입력유닛(100)은 일체형 단말기 베이스(10)의 소정 위치에 마련되고 손가락 입력 가능 영역(102) 내에서 이격입력이 수행되어 입력신호가 발생되며, 상기 입력유닛에 포함된 제어부(400)는 상기 입력으로부터의 입력신호를 판독하여 해당 입력에 할당된 입력명령을 입력처리 한다.
상기 입력유닛(100)에서 입력기준블록부(124) 외측에 배치된 이격지시위치(110)의 입력시에 각 입력 선택 위치의 위치인식 기준은 입력기준블록부(124)가 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2의 (c)와 같은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이격입력은, 입력유닛(100)의 손가락 입력 가능 영역(102) 내에서 기준위치인 이격기준점(106)과 상기 이격기준점을 지나는 이격기준선(106)을 기준으로 엄지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의 굴림이동이 가능한 크기의 입력기준블록부(124)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입력기준블록부(124) 양측 외부에 2개의 A-B 형태 이격쌍(150)이 더 이격되어 마련된 5개의 A-B 형태 이격쌍 중 어느 1개의 이격지시위치(110)가 선택되어 해당 이격지시위치(110)에 할당된 데이터가 입력되는 것이다.
즉, 도 12의 (c)를 참조하여, 입력유닛(100)에서 입력기준블록부(124)를 기준으로 하여 입력기준블록부(124) 좌측 및 우측 외부에 각각 배치된 이격쌍(150)의 이격지시위치(110)가 선택되는 입력의 예를 설명할 수 있다. 상기 도면과 같이 5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마련된 입력유닛(100)에서 B1이격지시위치가 선택되는 경우, 손가락이 위치한 입력기준블록부(124)를 기준으로 위치인식된 입력기준블록부 좌측후방을 가압하면 B1이격지시위치가 선택되므로 빠르고 쉽게 입력 수행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A-B 형태의 이격쌍(150)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1)는, 전자기기 베이스(10)의 소정 위치에 형성되는 손가락 입력 가능 영역(102) 내에서 쌍입력이 수행되고 상기 입력에 대응되는 입력신호가 발생되는 입력유닛(100)과, 상기 입력에서 감지된 입력신호를 판독하여 해당 입력에 할당된 입력명령을 입력처리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그리고 도 10의 (c) 및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쌍입력은, 입력유닛(100)의 손가락 입력 가능 영역(102) 내에서 이격기준점(104)을 지나는 이격기준선(106)을 기준으로 상기 이격기준선으로부터 양측으로 분할되는 A이격부(130)와 B이격부(140)에서, 상기 A이격부에 다수의 A이격지시위치(132)들 및 B이격부에 다수의 B이격지시위치(142)들이 상기 이격기준선(106)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어 맞대응 하는 A-B이격지시위치(152) 배열로 이격기준선(106)을 따라 1쌍씩 각각 배치되는 다수의 A-B 형태 이격쌍(150)들로 구비되어, 상기 이격쌍(150)들 중 어느 1쌍의 A-B이격지시위치(152)의 A이격지시위치(132)와 B이격지시위치(142)가 동시에 선택되어 해당 이격지시위치(A1, B1, A2, B2, …)에 할당된 데이터와는 다른 새로운 데이터가 입력되는 것으로 한다.
그 예로서, 도 11의 (b)와 같이, 입력유닛(100)에서의 쌍입력은 1쌍의 A-B 형태의 이격쌍(150)을 이루는 A-B이격지시위치(152)의 A이격지시위치(132)와 B이격지시위치(142)가 동시에 가압(CAB)되는 입력 동작에 의해 입력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쌍입력에서, 도 10의 (a)와 같이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에 위치한 손가락이, 도 10의 (c)와 같이 A-B이격지시위치(152)의 A이격지시위치(132)와 B이격지시위치(142)를 동시에 가압(CAB)하여 누름으로써 A이격지시위치(132)와 B이격지시위치(142)에 할당된 데이터와 다른 새로운 데이터 입력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입력 동작은 각 입력 선택 위치를 가압하거나 또는 터치하는 형태가 될 수 있으며, 또한 다양한 형태의 입력 선택 동작이 더 포함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입력유닛(100)에서는, 도 13의 (b), (c) 등과 같이 상기 입력기준블록부(124) 외측에 1개 이상의 A-B 형태 이격쌍(150)이 더 배치되는 경우에도, 상기 입력기준블록부(124) 외측 이격쌍의 각 이격지시위치(110)의 입력 선택 위치가 손가락이 위치한 입력기준블록부(124)를 기준으로 입력기준블록부 좌측 또는 우측의 각 A-B 형태 선택 위치로 위치인식되고, 상기 각 A-B 형태 선택 위치는 이격기준선(106)을 기준으로 A이격부 방향과 B이격부 방향의 전방-후방 형태로 위치인식 됨으로써, 쌍입력이 빠르게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즉, 다수의 A-B 형태 이격쌍(150)들이 구비되는 입력유닛(100)에서는, 쌍입력시 입력기준블록부(124)를 기준으로 위치인식된 이격쌍(150)들 중에서 1개의 이격지시위치(110)가 선택되어 해당 이격지시위치에 할당된 데이터와는 다른 새로운 데이터 입력이 수행되는 것이다.
그런데, 본 발명에 따른 입력유닛(100)은 전자기기 또는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A-B 형태의 이격쌍(150)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1)는, 일체형 단말기(20) 베이스(10)의 소정 위치에 마련되어 손가락 입력 가능 영역(102) 내에서 쌍입력이 수행되고 상기 입력에 대응되는 입력신호가 발생되는 입력유닛(100)과, 상기 입력에서 감지된 입력신호를 판독하여 해당 입력에 할당된 입력명령을 입력처리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 13의 (a)와 같은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쌍입력은, 입력유닛(100)의 손가락 입력 가능 영역(102) 내에서 이격기준점(104)을 지나는 이격기준선(106)을 기준으로 상기 이격기준선으로부터 양측으로 분할된 A이격부(130)와 B이격부(140)에서, 상기 A이격부에 3개의 A이격지시위치(132) 및 B이격부에 3개의 B이격지시위치(142)가 상기 이격기준선(106)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어 맞대응하는 A-B이격지시위치(152) 배열로 이격기준선(106)을 따라 1쌍씩 각각 배치되는 3개의 A-B 형태 이격쌍(A1-B1, A2-B2, A3-B3)으로 구비되어, 상기 이격쌍(150) 중 어느 1쌍의 A-B이격지시위치(152)의 A이격지시위치(132)와 B이격지시위치(142)가 동시에 선택되어 해당 이격지시위치(A1, B1, A2, B2, A3, B3)에 할당된 데이터와는 다른 새로운 데이터가 입력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이격쌍은 이격기준점(104)을 중심으로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좌측-중앙-우측 형태로 연속적으로 이웃하는 입력기준블록부(124)로 마련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입력기준블록부(124)에 손가락 말절부를 얹는 즉시 3개의 A-B 형태 이격쌍(150)에 대응되는 입력 선택 위치 전체가 입력기준블록부의 중앙을 기준으로 각 A-B 형태로 위치인식된다.
다시 말하면, 입력기준블록부(124)에 손가락 말절부를 얹는 즉시 각 이격지시위치(110)에 대응되는 입력 선택 위치 전체가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중앙-우측 형태의 A-B 형태 선택 위치로 위치인식되고, 상기 각 A-B 형태 선택 위치는 이격기준선(106)을 기준으로 전방-후방 형태로 위치인식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위치인식에 의해 입력 선택 위치 전체가 쉽게 익숙해진 상태에서 쌍입력을 독립적 또는 연속적으로 빠르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입력기준블록부(124)는 손가락 말절부의 짧은 입력 동선의 굴림이동으로 입력 선택이 가능한 영역 내에 마련됨으로써, 상기 쌍입력에서 각 입력 선택 후 손가락의 가압 또는 접촉 해제 즉시 상기 손가락이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심으로 자연스럽게 오토리턴 되어 다음 동작을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을 기준으로 연속적으로 빠르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하면, 입력기준블록부(124)가 엄지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의 굴림이동 궤적의 폭 이내에 대응되는 크기로 마련됨으로써, 입력기준블록부(124) 중심으로 손가락의 오토리턴이 더욱 자연스럽게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입력기준블록부(124)에서는 3개의 A-B 형태 이격쌍(A1-B1, A2-B2, A3-B3)의 각 입력 선택 위치가 인식된 상태에서, 입력 선택에 따른 각 동작과 동작 사이, 또는 연속 입력 동작에서 즉시 구현되는 입력기준블록부(124) 중심으로의 손가락 오토리턴에 의해 쌍입력이 순차적 또는 연속적으로 빠르고 쉽게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즉, 도 10의 (c) 및 도 13의 (a)를 참조하면,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을 기준으로 중앙 좌측 이격쌍 또는 중앙 우측 이격쌍이 선택되는 경우, 입력기준블록부(124) 중앙을 기준으로 위치인식된 좌측을 가압(CAB1)하면 중앙 좌측 이격쌍의 이격지시위치(A1-B1)가 선택되고, 또는 입력기준블록부(124) 중앙을 기준으로 위치인식된 우측을 가압(CAB3)하면 우측 이격쌍의 이격지시위치(A3-B3)가 선택되어 쌍입력이 수행된다. 이때, 입력기준블록부(124)에서는 각 입력 선택 후 바로 손가락이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심으로 원위치되는 오토리턴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사용자는 입력기준블록부(124)에서 각 이격쌍(150)에 대한 연속적인 쌍입력을 마치 하나의 입력 동작처럼 빠르고 쉽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입력에서의 입력 동작은 전술한 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의 굴림이동 형태가 바람직하며, 그 외에 다양한 형태의 입력 동작으로 입력이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런데, 오토리턴은 엄지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의 굴림이동 궤적의 폭 이내에 대응하는 크기로 마련되는 입력기준블록부(124)의 형상에 의해 이루어지는 현상일 수 있으며, 입력 선택시 연속 동작이나 빠른 연결 동작에서 사용자가 의식하지 못할 정도로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입력기준블록부(124)는 모바일 기기에 형성되는 경우에 엄지손가락 폭 이하 크기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입력유닛(100)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입력유닛(100)은 이격기준점(104)을 중심으로 3개의 A-B 형태 이격쌍(150)이 좌측-중앙-우측 형태로 연속적으로 이웃하는 입력기준블록부(124)가 마련되고 상기 입력기준블록부 일측 외부에 1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더 마련된 형태로 전자기기 또는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입력유닛(100)은 일체형 단말기 베이스(10)의 소정 위치에 마련되고 손가락 입력 가능 영역(102) 내에서 쌍입력이 수행되어 입력신호가 발생되며, 상기 입력유닛에 포함된 제어부(400)는 상기 입력으로부터의 입력신호를 판독하여 해당 입력에 할당된 입력명령을 입력처리 한다.
상기 입력유닛(100)의 입력기준블록부(124) 외측에 배치된 이격지시위치(110)의 입력시, 입력 선택 위치의 위치인식 기준은 입력기준블록부(124)가 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3의 (b)와 같은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쌍입력은, 입력유닛(100)의 손가락 입력 가능 영역(102) 내에서 기준위치인 이격기준점(106)과 상기 이격기준점을 지나는 이격기준선(106)을 기준으로 엄지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의 굴림이동이 가능한 크기의 입력기준블록부(124)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입력기준블록부(124) 일측 외부에 1개의 A-B 형태 이격쌍(150)이 더 이격되어 마련된 4개의 A-B 형태 이격쌍 중 어느 1쌍의 A-B이격지시위치(152)의 A이격지시위치(132)와 B이격지시위치(142)가 동시에 선택되어 해당 이격지시위치(110)에 할당된 데이터와는 다른 새로운 데이터가 입력되는 것이다.
즉, 도 10의 (c)와 도 13의 (b)를 참조하여, 입력유닛(100)에서 입력기준블록부(124)를 기준으로 하여 입력기준블록부(124) 우측 외부에 배치된 이격쌍(150)의 A-B이격지시위치(152)가 선택되는 입력의 예를 설명할 수 있다.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유닛(100)에 마련된 4개의 A-B 형태 이격쌍(150) 중 최우측 이격쌍(A4-B4)이 선택되는 경우, 입력기준블록부(124)를 기준으로 위치인식된 입력기준블록부 우측을 가압하면 입력기준블록부 우측 외부에 위치한 최우측 이격쌍(A4-B4)이 선택되므로 빠르고 쉽게 입력 수행이 가능하다. 이와 마찬가지로, 입력유닛(100)에서 입력기준블록부(124)를 기준으로 하여 입력기준블록부(124) 좌측 외부에 1개의 이격쌍이 배치되는 경우에도 상기 입력 동작은 준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입력에서의 입력 동작은 전술한 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의 굴림이동 형태가 바람직하지만, 그 외에 다양한 형태의 입력 동작으로도 입력이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1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입력유닛(100)은 이격기준점(104)을 중심으로 3개의 A-B 형태 이격쌍(150)이 좌측-중앙-우측 형태로 연속적으로 이웃하는 입력기준블록부(124)가 마련되고 상기 입력기준블록부 양측 외부에 2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더 마련된 형태로 전자기기 또는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입력유닛(100)은 일체형 단말기 베이스(10)의 소정 위치에 마련되고 손가락 입력 가능 영역(102) 내에서 쌍입력이 수행되어 입력신호가 발생되며, 상기 입력유닛에 포함된 제어부(400)는 상기 입력으로부터의 입력신호를 판독하여 해당 입력에 할당된 입력명령을 입력처리 한다.
상기 입력유닛(100)에서 입력기준블록부(124) 외측에 배치된 이격지시위치(110)의 입력시에 입력 선택 위치 각각의 위치인식 기준은 입력기준블록부(124)가 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3의 (c)와 같은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쌍입력은, 입력유닛(100)의 손가락 입력 가능 영역(102) 내에서 기준위치인 이격기준점(106)과 상기 이격기준점을 지나는 이격기준선(106)을 기준으로 엄지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의 굴림이동이 가능한 크기의 입력기준블록부(124)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입력기준블록부(124) 양측 외부에 2개의 A-B 형태 이격쌍(150)이 더 이격되어 마련된 5개의 A-B 형태 이격쌍 중 어느 1쌍의 A-B이격지시위치(152)의 A이격지시위치(132)와 B이격지시위치(142)가 동시에 선택되어 해당 이격지시위치(110)에 할당된 데이터와는 다른 새로운 데이터가 입력되는 것이다.
즉, 도 13의 (c)를 참조하여, 입력유닛(100)에서 입력기준블록부(124)를 기준으로 하여 입력기준블록부(124) 좌측 및 우측 외부에 각각 배치된 이격쌍(150)의 이격지시위치(110)가 선택되는 입력의 예를 설명할 수 있다. 상기 도면과 같이 5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마련된 입력유닛(100)에서, 입력기준블록부(124)를 기준으로 위치인식된 입력기준블록부(124) 좌측을 가압(CAB1)하면 최좌측 이격쌍(A1-B1)이 선택되고, 입력기준블록부(124)를 기준으로 위치인식된 입력기준블록부(124) 우측을 가압(CAB4)하면 최우측 이격쌍(A4-B4)이 선택되므로 빠르고 쉽게 입력 수행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입력에서의 입력 동작은 전술한 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의 굴림이동 형태가 바람직하지만, 그 외에 다양한 형태의 입력 동작으로도 입력이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A-B 형태의 이격쌍(150)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1)에 있어서, 입력유닛(100)의 입력기준블록부(124)를 기준으로 전술한 입력 수행에 따른 데이터 생성 개념도이다.
먼저, 도 16의 (a)는 입력기준블록부(124)에서 이격입력에 의한 데이터 생성 예시도이다. 즉, 도 12의 (a)를 참조하여, 입력기준블록부(124)에 마련된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의 각 이격지시위치(A1, B1, A2, B2, A3, B3)가 1회씩 독립적으로 선택되면 총 6개의 데이터가 생성된다.
예를 들어, 이격입력에서 도 12의 (a)와 같이 A1이격지시위치가 독립적으로 선택되면(PA1) 상기 A1이격지시위치에 할당된 'D1' 이라는 데이터가 생성되어 디스플레이부(600)에 표시된다.
도 16의 (b)는 입력기준블록부(124)에서 쌍입력에 의한 데이터 생성 예시도이다. 즉, 도 13의 (a)를 참조하여, 입력기준블록부(124)에 마련된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의 각 이격쌍(A1-B1, A2-B2, A3-B3)이 1회씩 독립적으로 선택되면 총 3개의 데이터가 생성된다.
가령, 쌍입력에서 도 13의 (a)와 같이 우측 이격쌍(A3-B3)이 독립적으로 선택되면(CAB3) A3이격지시위치와 B3이격지시위치에 할당된 데이터(D3, D6)와는 다른 'D23' 이라는 새로운 데이터가 생성되어 디스플레이부(600)에 표시된다.
이때 상기 입력에서의 입력 동작은 전술한 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의 굴림이동이 포함되는 다양한 형태의 입력 동작으로 입력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입력시 제어부(400)는 입력기준블록부(124)의 3개의 A-B 형태 이격쌍 중 어느 1개의 이격지시위치의 독립적 선택에 의해 발생되는 1개의 신호로부터 해당 입력신호를 판단하여 이격입력으로 입력처리하거나, 또는 어느 1개의 이격쌍(150)을 형성하는 A이격지시위치(132)와 B이격지시위치(142)의 동시선택에 의해 발생되는 2개의 신호로부터 해당 입력신호를 판단하여 쌍입력으로 입력처리 할 수 있다.
일례로, 도 10의 (c) 또는 도 11의 (b)를 참조하면, 입력기준블록부(124)에 배치된 3개의 A-B 형태 이격쌍(150) 중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을 기준으로 위치인식된 각 이격쌍(150)의 A-B이격지시위치(152)의 A이격지시위치(132)와 B이격지시위치(142)를 동시에 가압(CAB)하여 2개의 신호가 발생되면, 제어부(400)는 상기 입력신호를 쌍입력으로 판단하여 입력처리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도 10의 (c)와 같이 서로 맞대응 하는 A-B 형태 이격쌍(150)의 A이격지시위치(132)와 B이격지시위치(142)가 손가락의 가압(CAB)에 의해 이격감지부(300)의 감지 센서(330)에 동시접촉되어 동시접촉신호가 발생됨으로써 쌍입력으로 입력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쌍입력에서, 손가락으로부터 가압(CAB)되는 이격쌍(150)의 A이격지시위치(132)와 B이격지시위치(142)가 이격감지부(300)의 감지 센서(330)에 동시접촉되지 아니할 수 있다. 즉, 이격쌍(152)에서 A이격지시위치(132)에 연이어 B이격지시위치(142)가 감지 센서에 접촉되거나, 또는 B이격지시위치(142)에 연이어 A이격지시위치(132)가 감지 센서에 접촉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400)에서는 미리 설정된 시간값에 의해 2개의 순차적 신호를 쌍입력으로 판단하여 입력처리 할 수 있다.
즉, 입력시 이격쌍(150) 선택에서 A이격지시위치(132)의 감지 센서 접촉과 B이격지시위치(142)의 감지 센서 접촉에 따른 접촉신호 발생시점의 시간차이가 신호 발생 순서와 무관하게 미리 설정된 시간값 이내이면 쌍입력으로 입력처리 하는 것이다. 이때 설정시간값의 범위는 0.2초 이내로 할 수도 있고, 통상적인 동시접촉 발생시간 차이를 고려하여 정할 수도 있다. 또한, 이 외에 다양한 방법에 의해 1개의 이격쌍에서 발생되는 서로 다른 2개의 연속신호로부터 해당 입력신호를 판단하여 쌍입력으로 입력처리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입력기준블록부(124)에서 한쌍의 A-B이격지시위치(152)가 연속 선택되어 4개의 연속신호가 발생되는 경우, 제어부(400)는 상기 4개의 연속신호로부터 서로 다른 2개의 연속 2회 신호 여부를 판단하여 해당 입력을 쌍입력에서의 더블입력, 즉 다단 입력으로 입력처리 할 수도 있다. 이때의 입력신호처리는 상기 설정시간값을 준용할 수도 있고, 그 외의 다양한 방법으로 입력처리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쌍입력에서의 입력 동작은 각 이격쌍(150)의 A-B이격지시위치(152)에 대해 가압하거나 또는 터치하는 형태가 될 수 있으며, 또한 다양한 형태의 입력 선택 동작이 더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입력유닛(100)에서는, 상기 입력기준블록부(124) 외측에 1개 이상의 A-B 형태 이격쌍(150)이 더 배치되는 경우에도, 상기 입력기준블록부(124) 외측 이격쌍의 각 이격지시위치(110)의 입력 선택 위치가 손가락이 위치한 입력기준블록부(124)를 기준으로 입력기준블록부 좌측 또는 우측의 각 A-B 형태 선택 위치로 위치인식됨으로써, 쌍입력을 빠르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A-B 형태의 이격쌍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1)는, 전자기기 베이스(10)의 소정 위치에 형성되는 손가락 입력 가능 영역(102) 내에서 이격쌍조합입력이 수행되고 상기 입력에 대응되는 입력신호가 발생되는 입력유닛(100)과, 상기 입력에서 감지된 입력신호를 판독하여 해당 입력에 할당된 입력명령을 입력처리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그리고 도 10의 (b) 내지 (c) 또는 도 11의 (a), (b) 및 (d)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격쌍조합입력은, 입력유닛(100)의 손가락 입력 가능 영역(102) 내에서 이격기준점(104)을 지나는 이격기준선(106)을 기준으로 상기 이격기준선으로부터 양측으로 분할된 A이격부(130)와 B이격부(140)에서, 상기 A이격부에 다수의 A이격지시위치(132)들 및 B이격부에 다수의 B이격지시위치(142)들이 상기 이격기준선(106)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어 맞대응 하는 A-B이격지시위치(152) 배열로 이격기준선(106)을 따라 1쌍씩 각각 배치되는 다수의 A-B 형태 이격쌍(150)들로 구비되어, 상기 이격쌍(150)들 중 1개의 이격지시위치(110)가 선택되는 이격입력과 1쌍의 A-B이격지시위치(152)의 A이격지시위치(132)와 B이격지시위치(142)가 동시에 선택되는 쌍입력이 서로 조합되는 입력에 의해 각 이격지시위치(110)에 할당된 데이터와는 다른 새로운 데이터가 입력되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어, 도 10의 (a) 내지 (c), 또는 도 11의 (d)와 같이, 입력유닛(100)에서의 이격쌍조합입력은 1개의 A이격지시위치(132)를 독립적으로 가압(PA)한 후에 1쌍의 A-B이격지시위치(152)를 동시에 가압(CAB)하거나, 또는 그 반대로 1쌍의 A-B이격지시위치(152)를 동시에 가압(CAB)한 후에 1개의 A이격지시위치(132)를 독립적으로 가압(PA)하는 입력 동작에 의해 입력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입력 동작은 각 입력 선택 위치를 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의 굴림이동으로 가압하거나 또는 터치하는 선택으로 입력 수행이 가능하며, 또한 다양한 형태의 입력 동작이 더 포함되어 입력이 수행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입력유닛(100)에서는, 도 12의 (b) 및 (c), 도 13의 (b) 및 (c) 또는 도 14의 (d) 와 같이 상기 입력기준블록부(124) 외측에 1개 이상의 A-B 형태 이격쌍(150)이 더 배치되는 경우에도, 상기 입력기준블록부(124) 외측 이격쌍의 각 이격지시위치(110)의 입력 선택 위치가 손가락이 위치한 입력기준블록부(124)를 기준으로 입력기준블록부 좌측 또는 우측의 각 A-B 형태 선택 위치로 위치인식되고, 상기 각 A-B 형태 선택 위치는 이격기준선(106)을 기준으로 A이격부 방향과 B이격부 방향의 전방-후방 형태로 위치인식됨으로써, 이격쌍조합입력을 빠르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다수의 A-B 형태 이격쌍(150)들이 구비되는 입력유닛(100)에서는, 이격쌍조합입력시 입력기준블록부(124)를 기준으로 위치인식된 이격쌍(150)들 중에서 1개의 이격지시위치(110)가 선택되는 이격입력과 1쌍의 A-B이격지시위치(152)의 A이격지시위치(132)와 B이격지시위치(142)가 동시에 선택되는 쌍입력이 서로 조합되는 입력에 의해 각 이격지시위치(110)에 할당된 데이터와는 다른 새로운 데이터 입력이 수행되는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A-B 형태 이격쌍(150)들이 구비된 입력유닛(100)에서 이루어지는 이격쌍조합입력의 다양한 예시도이다.
여기서, 도 14의 (a)는, 입력유닛(100)의 입력기준블록부(124)에서 이격입력과 쌍입력이 순차적으로 조합되어 이격쌍조합입력이 수행되는 일례를 보여준다. 즉, 입력기준블록부(124) 중앙을 기준으로 중앙 우측 이격쌍(A3-B3)에서 이격입력과 쌍입력이 순차적으로 조합되는 경우(①→②), 먼저 입력기준블록부(124) 중앙을 기준으로 위치인식된 우측전방을 선택하면(①) A3이격지시위치가 가압(PA3)되어 이격입력이 수행되고, 연이어 입력기준블록부(124) 중앙을 기준으로 위치인식된 중앙 우측 이격쌍을 선택하면(②) A3이격지시위치와 B3이격지시위치(A3-B3)가 동시에 가압(CAB3)되어 쌍입력이 수행됨으로써 각 이격지시위치(110)에 할당된 데이터와는 다른 새로운 데이터가 이격쌍조합입력에 의해 입력된다.
마찬가지로, 도 14의 (b)는, 입력유닛(100)의 입력기준블록부(124) 중앙을 기준으로 B3이격지시위치에서의 이격입력과 중앙 좌측 이격쌍(A1-B1)에서의 쌍입력이 순차적으로 조합되는 경우(①→②)를 보여준다. 즉, 먼저 입력기준블록부(124) 중앙을 기준으로 위치인식된 우측후방을 선택하면(①) B3이격지시위치가 가압(PB3)되어 이격입력이 수행되고, 연이어 입력기준블록부(124) 중앙을 기준으로 위치인식된 중앙 좌측 이격쌍을 선택하면(②) A1이격지시위치와 B1이격지시위치(A1-B1)가 동시에 가압(CAB1)되어 이격쌍조합입력이 수행된다.
그런데, 상기 이격쌍조합입력의 조합 순서와 다르게 이격쌍조합입력이 수행될 수도 있다. 즉, 도 1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①→②), 먼저 입력기준블록부(124) 중앙을 기준으로 위치인식된 중앙 우측 이격쌍을 선택하면 A3이격지시위치와 B3이격지시위치(A3-B3)가 동시에 가압(CAB3)되고, 연이어 입력기준블록부(124) 중앙을 기준으로 위치인식된 중앙전방을 선택하면 A2이격지시위치가 가압(PA2)되어, 쌍입력과 이격입력이 순차적으로 조합되는 이격쌍조합입력이 수행된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입력기준블록부(124)에서는 각 입력 선택 후 바로 손가락이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심으로 원위치되는 오토리턴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사용자는 입력기준블록부(124)에서 각 입력이 조합되는 이격쌍조합입력을 마치 하나의 입력 동작처럼 빠르고 쉽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입력에서의 입력 동작은 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의 굴림이동 형태가 포함될 수 있으며, 그 외에 다양한 형태의 입력 동작으로도 입력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입력기준블록부(124)에 손가락 말절부를 얹는 즉시 각 이격지시위치(132)에 대응되는 입력 선택 위치 전체가 입력기준블록부의 중앙을 기준으로 A-B 형태로 위치인식 된다.
다시 말하면, 입력기준블록부(124)에 손가락 말절부를 얹는 즉시 3개의 A-B 형태 이격쌍(150)의 이격지시위치(132)에 대응되는 각 입력 선택 위치가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중앙-우측 형태의 A-B 형태 선택 위치로 위치인식되고, 상기 각 A-B 형태 선택 위치는 이격기준선(106)을 기준으로 전방-후방 형태로 위치인식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입력 선택 위치 전체가 A-B 형태로 쉽게 익숙해진 상태에서 이격쌍조합입력을 연속적으로 빠르게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력기준블록부(124)는 엄지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의 굴림이동 궤적의 폭 이내에 대응하는 크기로 또는 엄지손가락 말절부의 폭에 대응하는 크기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입력기준블록부(124)가 모바일 기기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엄지손가락 폭 이하 크기로 마련될 수도 있음은 물론,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입력유닛(100)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12의 (b)와 (c), 도 13의 (b)와 (c) 또는 도 14의 (d)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입력유닛(100)은 이격기준점(104)을 중심으로 3개의 A-B 형태 이격쌍(150)이 좌측-중앙-우측 형태로 연속적으로 이웃하는 입력기준블록부(124)가 마련되고 상기 입력기준블록부 일측 외부에 1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더 마련된 형태로 전자기기 또는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의 (d)와 같이, 입력유닛(122)에서 입력기준블록부(124)를 기준으로 하고 상기 입력기준블록부(124) 우측 외부에 1개의 A-B 형태 이격쌍(150)이 더 배치된 4개의 A-B 형태 이격쌍(150)에서 이격입력과 쌍입력이 순차적으로 조합되어 이격쌍조합입력이 수행되는 일례를 보여준다. 즉, 먼저 입력기준블록부(124) 중앙을 기준으로 위치인식된 좌측전방을 선택하면(①) A1이격지시위치가 가압(PA3)되고, 연이어 입력기준블록부(124)를 기준으로 위치인식된 입력기준블록부 우측 이격쌍을 선택하면(②) A4이격지시위치와 B4이격지시위치(A4-B4)가 동시에 가압(CAB4)되어 해당 이격지시위치(110)에 할당된 데이터와 다른 새로운 데이터가 입력되는 이격쌍조합입력이 수행된다.
이 경우, 상기 입력기준블록부(124)에서는 각 입력 선택 후 바로 손가락이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심으로 원위치되는 오토리턴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사용자는 입력기준블록부(124)에서 각 입력이 조합되는 이격쌍조합입력을 마치 하나의 입력 동작처럼 빠르고 쉽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입력에서의 입력 동작은 전술한 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의 굴림이동 형태가 바람직하지만, 그 외에 다양한 형태의 입력 동작으로도 입력이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입력유닛(100)에서 입력기준블록부(124) 외측에 배치된 이격지시위치(110)에 대한 이격쌍조합입력시에 각 입력 선택 위치의 위치인식 기준은 입력기준블록부(124)가 될 수 있다.
한편,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A-B 형태의 이격쌍(150)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1)에 있어서, 입력유닛(100)의 입력기준블록부(124)를 기준으로 전술한 입력 수행에 따른 데이터 생성 개념도이다.
먼저, 도 16의 (a)는 입력기준블록부(124)에서 이격입력에 따른 입력 가능한 데이터 개수를 보여준다. 즉, 입력기준블록부(124)에서는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의 각 이격지시위치(A1, B1, A2, B2, A3, B3)를 1회씩 독립적으로 선택하면 총 6개의 데이터가 생성된다.
또한, 도 16의 (b)는 입력기준블록부(124)에서 쌍입력에 따른 입력 가능한 데이터 개수를 보여준다. 즉, 입력기준블록부(124)에서는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의 각 이격쌍(A1-B1, A2-B2, A3-B3)을 1회씩 독립적으로 선택하면 총 3개의 데이터가 생성된다.
그리고, 도 16의 (d)는 입력기준블록부(124)에서 이격쌍조합입력에 따른 입력 가능한 데이터 개수를 보여준다. 즉, 입력기준블록부(124)에서는 이격입력과 쌍입력의 조합에 의해 총 45개의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이격입력 또는 쌍입력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연속 선택에 따른 조합에 의해 각 이격지시위치 또는 입력에 할당된 데이터와는 다른 새로운 데이터가 생성되므로 데이터 입력 개수는 더욱 확장될 수 있다.
도 12의 (a), 도 13의 (a) 및 도 16의 (d)를 참조하여,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을 기준으로 위치인식된 좌측전방을 선택한 상태에서 우측을 선택하면, 중앙 좌측전방 이격지시위치에 대한 이격입력과 중앙 우측 이격쌍의 A-B이격지시위치에 대한 쌍입력이 조합되어 이격쌍조합입력이 수행된다. 즉,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을 기준으로 중앙 좌측전방 이격지시위치(A1)의 이격입력과 중앙 우측 이격쌍의 A-B이격지시위치(A3-B3)의 쌍입력이 순차적으로 조합되어 이격쌍조합입력이 수행되면, 상기 이격지시위치(A1)의 이격입력에 할당된 데이터 'D1'과 상기 A-B이격지시위치(A3-B3)의 쌍입력에 할당된 데이터 'D23'이 아닌 새로운 데이터 'D1D23'이 생성되어 디스플레이부(600)에 표시된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입력기준블록부(124)에서는 각 입력 선택 후 바로 손가락이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심으로 원위치되는 오토리턴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사용자는 입력기준블록부(124)에서 연속 동작으로 이루어지는 이격쌍조합입력을 마치 하나의 입력 동작처럼 빠르고 쉽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입력에서의 입력 동작은 전술한 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의 굴림이동 형태가 포함되는 다양한 형태의 입력 동작으로 입력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입력유닛(100)에서는, 상기 입력기준블록부(124) 외측에 1개 이상의 A-B 형태 이격쌍(150)이 더 배치되는 경우에도, 상기 입력기준블록부(124) 외측 이격쌍의 각 이격지시위치(110)의 입력 선택 위치가 손가락이 위치한 입력기준블록부(124)를 기준으로 입력기준블록부 좌측 또는 우측의 각 A-B 형태 선택 위치로 위치인식 되고, 상기 각 A-B 형태 선택 위치는 이격기준선(106)을 기준으로 전방-후방 형태로 위치인식됨으로써, 이격쌍조합입력이 빠르게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즉, 다수의 A-B 형태 이격쌍(150)들이 구비되는 입력유닛(100)에서는, 이격쌍조합입력시 입력기준블록부(124)를 기준으로 위치인식된 이격쌍(150)들 중에서 1개의 이격지시위치(110)가 선택되는 이격입력과 1쌍의 A-B이격지시위치(152)의 A이격지시위치(132)와 B이격지시위치(142)가 동시에 선택되는 쌍입력이 서로 조합되는 입력에 의해 해당 이격지시위치(110) 또는 입력에 할당된 데이터와는 다른 새로운 데이터 입력이 수행되는 것이다.
한편, 입력시 제어부(400)는 입력기준블록부(124)의 3개의 A-B 형태 이격쌍(150) 중 어느 1개의 이격쌍(150)에서 A이격지시위치(132)와 B이격지시위치(142)의 선택 조합에 의해 발생되는 3개의 신호로부터 해당 입력신호를 판단하여 이격쌍조합입력으로 입력처리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3개의 신호는 1개의 신호 및 또 다른 2개의 신호가 조합되는 형태로 발생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도 10의 (b) 및 (c)와 같이, 입력기준블록부(124)에 배치된 3개의 A-B 형태 이격쌍(150) 중에서, 어느 1개의 이격쌍의 A이격지시위치(132) 또는 B이격지시위치(142)가 독립적으로 가압되어(PA 또는 PB) 1개의 신호가 발생된 후 연이어 어느 1개의 이격쌍의 A이격지시위치(132)와 B이격지시위치(142)가 동시에 가압되어(CAB) 2개의 신호가 발생되거나, 또는 그 반대로 어느 1개의 이격쌍의 A이격지시위치(132)와 B이격지시위치(142)가 동시에 가압되어(CAB) 2개의 신호가 발생된 후 연이어 어느 1개의 이격쌍의 A이격지시위치(132) 또는 B이격지시위치(142)가 독립적으로 가압되어(PA 또는 PB) 1개의 신호가 발생되면, 제어부(400)는 상기 해당 입력신호를 이격쌍조합입력으로 판단하여 입력처리 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기준블록부(124)의 3개의 A-B 형태 이격쌍(150) 중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을 기준으로 위치인식된 어느 1개의 이격쌍(150)에서 이격입력과 쌍입력이 연이어 수행되어 3개의 신호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신호 발생 순서에 따라 각 입력이 구분되어 입력처리 될 수 있다.
일례로, 도 12의 (a), 도 13의 (a) 및 도 16의 (d)를 참조하여,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을 기준으로 위치인식된 중앙 좌측 이격쌍(A1-B1)에서, 상기 이격쌍의 전방을 가압하면 중앙 좌측전방 이격지시위치(A1)에 대한 이격입력으로 1개의 신호가 발생되고, 연이어 상기 이격쌍을 가압하면 중앙 좌측 이격쌍의 A-B이격지시위치(A1-B1)에 대한 쌍입력으로 2개의 신호가 발생된다. 이때 제어부(400)는 상기 3개의 신호로부터 해당 입력신호를 판단하여 중앙 좌측 이격쌍(A1-B1)의 A1이격지시위치와 B1이격지시위치에 각각 할당된 데이터 'D1' 또는 'D4'와는 다른 'D1D21'이라는 새로운 데이터를 입력처리하게 된다.
이와 다르게, 도 12의 (a), 도 13의 (a) 및 도 16의 (d)를 참조하여, 상기 중앙 좌측 이격쌍(A1-B1)에서, 먼저 상기 이격쌍을 가압하면 중앙 좌측 이격쌍의 A-B이격지시위치(A1-B1)에 대한 쌍입력으로 2개의 신호가 발생되고, 연이어 상기 이격쌍의 전방을 가압하면 중앙 좌측전방 이격지시위치(A1)에 대한 이격입력으로 1개의 신호가 발생된다. 이때 제어부(400)는 상기 3개의 신호로부터 해당 입력신호를 판단하여 중앙 좌측 이격쌍(A1-B1)의 A1이격지시위치와 B1이격지시위치에 각각 할당된 데이터 'D1' 또는 'D4'와는 다른 'D21D1'이라는 새로운 데이터를 입력처리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한개의 이격쌍(150)에서 어느 1개의 이격지시위치(110)가 중복 선택되어 3개의 신호가 발생되는 경우, 제어부(400)는 상기 3개의 신호로부터 이격입력 후 쌍입력 또는 쌍입력 후 이격입력으로 이루어지는 이격쌍조합입력으로 판단하고 각 입력 순서를 구분하여 해당 입력에 할당된 데이터를 입력처리하여 이격쌍조합입력이 수행되게 한다.
그런데, 상기 이격쌍(150)의 각 이격지시위치(110)의 감지 센서 접촉에 따른 3개의 신호 발생에서, 이격입력 후 쌍입력에 의한 이격지시위치(110) 접촉과, 쌍입력 후 이격입력에 의한 이격지시위치(110) 접촉이 동일하게 나타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일례로 도 16의 (d)를 참조하여,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을 기준으로 위치인식된 중앙 좌측 이격쌍(A1-B1)에서 쌍입력시에 동시접촉신호가 발생되지 아니하는 경우, 이격입력 후 쌍입력에 의한 각 이격지시위치의 감지 센서 접촉은 A1이격지시위치→B1이격지시위치→A1이격지시위치와 같은 순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쌍입력 후 이격입력에 의한 각 이격지시위치의 감지 센서 접촉은 A1이격지시위치→B1이격지시위치→A1이격지시위치와 같은 순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입력으로부터 각 이격지시위치(110)의 감지 센서 접촉이 동일한 순서로 발생되는 되는 경우, 제어부(400)는 입력시 서로 다른 각 입력의 조합 순서에 따라 발생되는 3개의 신호로부터, 접촉신호 발생시간 차이가 작은 2개의 연속신호를 설정시간값에 따라 쌍입력으로 판단하고, 상기 쌍입력의 2개의 연속신호를 기준으로 하여 각기 다른 이격쌍조합입력으로 입력처리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도 10 또는 도 11을 참조하여, 상기 중앙 좌측 이격쌍(A1-B1)에서, 제어부(400)는 상기 3개의 신호 중 A1이격지시위치→B1이격지시위치에서의 연속접촉신호 발생시간 차이가 작으면 쌍입력(CAB) 후 이격입력(PA)에 의한 이격쌍조합입력으로, 또는 상기 3개의 신호 중 B1이격지시위치→A1이격지시위치의 연속접촉신호 발생시간 차이가 작으면 이격입력(PA) 후 쌍입력(CAB)에 의한 이격쌍조합입력으로 판단하여 각각 서로 다른 새로운 데이터 입력이 수행되게 있다. 이때 상기 설정시간값의 기준은 0.2초 이내로 할 수도 있고, 통상적인 동시접촉 발생시간 차이를 고려하여 정할 수도 있다.
또는 다른 일례로, 입력기준블록부(124)에 배치된 3개의 A-B 형태 이격쌍(150) 중 어느 1개의 이격쌍(A-B)에서 이격입력과 쌍입력이 조합되어 수행되되 상기 쌍입력시에 동시접촉신호가 발생되지 아니하여 3개의 신호가 연속적으로 발생되는 경우, 쌍입력시에 발생되는 2개의 연속신호값을 쌍입력신호값 데이터베이스로 처리하여 각각의 쌍입력 신호가 입력처리되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이격쌍에서 수행되는 이격입력과 쌍입력으로부터 접촉신호 발생시간 차이가 작은 2개의 연속신호가 감지되면 해당 데이터베이스에서 쌍입력에 해당되는 입력값을 입력처리 하는 것이다. 또한, 이 외에 다양한 방법에 의해 1개의 이격쌍(150)에서 발생되는 3개의 신호로부터 해당 입력신호를 판단하여 이격쌍조합입력으로 입력처리 할 수도 있다.
그런데, 입력기준블록부(124)의 3개의 A-B 형태 이격쌍(150) 중에서 어느 이격쌍의 1개의 이격지시위치와 다른 이격쌍의 1개의 이격지시위치가 순차적으로 선택되어 2개의 신호가 발생되는 경우, 제어부(400)는 상기 2개의 신호로부터 해당 입력신호를 판단하여 이격쌍조합입력으로 입력처리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의 (a)를 참조하면,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을 기준으로 위치인식된 중앙 좌측상단을 선택하면 A1이격지시위치로부터 1개의 신호가 발생되고, 중앙상단을 선택하면 A2이격지시위치로부터 다른 1개의 신호가 순차적으로 발생된다. 이때 제어부(400)는 중앙 좌측 이격쌍과 중앙 이격쌍에서 각각 발생된 2개의 신호로부터 해당 입력신호를 이격쌍조합입력으로 판단하여 'ㅏ'라는 문자입력으로 입력처리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2개의 신호 중, 중앙 좌측 이격쌍으로부터의 신호가 이격입력으로 처리되면 'ㄱ'이 되고 중앙 이격쌍으로부터의 신호가 이격입력으로 처리되면 'ㄷ'이라는 각각의 문자입력으로 입력처리 될 수 있다. 하지만, 연속되는 2개의 자음을 회피하도록 설정하면 상기 2개의 신호는 이격쌍조합입력으로 처리될 수 있다. 즉, 중앙 좌측 이격쌍으로부터의 신호를 이격입력으로 처리하고 연이어 중앙 이격쌍으로부터의 신호를 중복되는 자음을 회피하여 쌍입력으로 처리하면 이격입력과 쌍입력의 조합에 의한 이격쌍조합입력으로 'ㅏ'라는 문자가 입력처리되는 것이다.
이 경우, 입력유닛(100)의 A이격부(130) 또는 B이격부(140)에는 입력 선택 위치 또는 입력선택부(220)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이격지시위치(110) 주변에 수개의 감지 센서(330)가 더 추가되거나 다양한 형태의 이격감지부(300)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여기서, 입력시 입력 동작은 이격지시위치(110) 또는 이격쌍(150)의 A-B이격지시위치(152)에 대해 가압하거나 또는 터치하는 형태가 될 수 있으며, 이 외에 다양한 형태의 입력 선택 동작이 더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입력유닛(100)에서는, 상기 입력기준블록부(124) 외측에 1개 이상의 A-B 형태 이격쌍(150)이 더 배치되는 경우에도, 상기 입력기준블록부(124) 외측 이격쌍의 각 이격지시위치(110)의 입력 선택 위치가 손가락이 위치한 입력기준블록부(124)를 기준으로 입력기준블록부 좌측 또는 우측의 각 A-B 형태 선택 위치로 위치인식 되고, 상기 각 A-B 형태 선택 위치는 이격기준선(106)을 기준으로 전방-후방 형태로 위치인식됨으로써, 이격쌍조합입력이 빠르게 수행될 수 있게 된다.
도 3 및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입력부(200)에는 이격기준점(104)을 중심으로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좌측-중앙-우측 형태로 연속적으로 이웃하는 입력기준블록부(124)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입력기준블록부(124)의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엄지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의 굴림이동 범위 내에 위치하여, 상기 입력기준블록부의 각 이격쌍의 이격지시위치(110)에 대응되는 입력 선택 위치가 손가락 말절부 중앙으로부터 좌측-중앙-우측 또는 또는 좌측전후-중앙전후-우측전후 형태로 위치인식 되는 한편, 상기 입력기준블록부에 손가락을 얹으면 입력기준블록부의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엄지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내 하나의 입력블록 형태로 인지됨으로써, 상기 입력기준블록부 외측에 배치된 이격쌍의 입력 선택 위치가 상기 입력기준블록부를 기준으로 입력기준블록부 좌측 또는 우측의 각 A-B 형태 이격쌍으로 위치인식 되어, 데이터 입력을 독립적 또는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입력기준블록부(124)에 배치된 이격쌍(150)의 각 입력 선택 위치는 쉽게 위치인식 될 수 있다. 즉, 입력기준블록부(124)에 손가락을 얹는 즉시 3개의 A-B 형태 이격쌍(150)에 대응되는 입력 선택 위치 전체가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을 기준으로 위치인식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을 기준으로 중앙 좌측을 선택하면 중앙 좌측 이격쌍(150)의 A-B이격지시위치(A1-B1), 중앙을 선택하면 중앙 이격쌍(150)의 A-B이격지시위치(A2-B2), 중앙 우측을 선택하면 중앙 우측 이격쌍(150)의 A-B이격지시위치(A3-B3), 그리고 각 이격쌍(150)의 A-B이격지시위치(152)의 A이격지시위치(132)와 B이격지시위치(142)는 이격기준선(106)을 기준으로 A-B 형태의 전-후 형태로 익숙하게 위치인식 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입력유닛(100) 또는 입력부(200)의 상부에는 입력시 상기 이격쌍(150)의 각 이격지시위치(110)에 대응되는 위치에 해당 이격지시위치(110)가 선택되도록 형성되는 입력선택부(22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입력선택부(220)는 입력유닛(100) 또는 입력부(200)에 배치되는 각 이격지시위치(110)에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입력수단(900)이 접촉되는 입력면(210)이 입력선택부(220)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입력유닛(100) 또는 입력부(200)의 입력접촉영역(212) 내에 입력선택부(220)가 포함될 수 있다. 또는 입력접촉영역(212)이 도 7과 같은 입력선택부(220)로 마련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입력접촉영역(212)은 입력선택부(220) 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입력유닛(100) 또는 입력부(200)에 이격기준점(104)을 중심으로 3개의 A-B 형태 이격쌍(150)이 좌측-중앙-우측 형태로 연속적으로 이웃하는 입력기준블록부(124)와 입력선택부(220)가 구비되는 경우, 도 10의 (b), 도 11의 (a) 또는 도 12의 (a)를 참조하면, 이격입력은, 입력유닛(100) 또는 입력부(200)의 손가락 입력 가능 영역(102) 내에서 이격기준점(104)을 지나는 이격기준선(106)을 기준으로 상기 이격기준선으로부터 양측으로 분할되는 A이격부(130)와 B이격부(140)에서, 상기 A이격부(130)에 3개의 A이격지시위치(132) 및 B이격부(140)에 3개의 B이격지시위치(142)가 상기 이격기준선(106)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어 맞대응 하는 A-B이격지시위치(152) 배열로 이격기준선(106)을 따라 1쌍씩 각각 배치되는 3개의 A-B 형태 이격쌍(150)으로 구비되어, 상기 이격쌍(150) 중 어느 1개의 이격지시위치(110)가 선택되어 해당 이격지시위치에 할당된 데이터가 입력되는 것이다.
또한, 도 10의 (c), 도 11의 (b) 또는 도 13의 (a)를 참조하면, 쌍입력은, 입력유닛(100) 또는 입력부(200)의 손가락 입력 가능 영역(102) 내에서 이격기준점(104)를 지나는 이격기준선(106)을 기준으로 상기 이격기준선으로부터 양측으로 분할되는 A이격부(130)와 B이격부(140)에서, 상기 A이격부에 3개의 A이격지시위치(132) 및 B이격부에 3개의 B이격지시위치(142)가 상기 이격기준선(106)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어 맞대응 하는 A-B이격지시위치(152) 배열로 이격기준선(106)을 따라 1쌍씩 각각 배치되는 3개의 A-B 형태 이격쌍(150)으로 구비되어, 상기 이격쌍(150) 중 어느 1쌍의 A-B이격지시위치(152)의 A이격지시위치(132)와 B이격지시위치(142)가 동시에 선택되어 해당 이격지시위치에 할당된 데이터와는 다른 새로운 데이터가 입력되는 것이다
또한, 도 10의 (b) 내지 (c) 또는 도 11의 (a), (b) 및 (d)를 참조하면, 이격쌍조합입력은, 입력유닛(100) 또는 입력부(200)의 손가락 입력 가능 영역(102) 내에서 이격기준점(104)을 지나는 이격기준선(106)을 기준으로 상기 이격기준선으로부터 양측으로 분할되어 서로 맞대응 하는 A이격부(130)와 B이격부(140)에서, 상기 A이격부에 다수의 A이격지시위치(132)들 및 B이격부에 다수의 B이격지시위치(142)들이 상기 이격기준선(106)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어 맞대응 하는 A-B이격지시위치(152) 배열로 이격기준선(106)을 따라 1쌍씩 각각 배치되는 다수의 A-B 형태 이격쌍(150)들로 구비되어, 상기 이격쌍(150)들 중 1개의 이격지시위치(110)가 선택되는 이격입력과 1쌍의 A-B이격지시위치(152)의 A이격지시위치(132)와 B이격지시위치(142)가 동시에 선택되는 쌍입력이 순차적으로 조합되는 입력에 의해 각 이격지시위치(110)에 할당된 데이터와는 다른 새로운 데이터가 입력되는 것으로 한다.
이때, 상기 이격쌍조합입력에서 이격입력과 쌍입력의 입력 동작 순서가 다른 각각의 경우, 제어부(400)는 각 입력의 감지신호로부터 입력신호를 판단하여 각각의 해당 입력에 할당된 서로 다른 데이터를 입력처리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입력유닛(100) 또는 입력부(200)의 입력기준블록부(124)에 손가락 말절부를 얹는 즉시 3개의 A-B 형태 이격쌍(150)에 대응되는 입력선택부(220) 전체가 이격기준점(104)과 이격기준선(106)을 포함하는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을 기준으로 A-B 형태로 위치인식된다.
다시 말하면, 입력유닛(100) 또는 입력부(200)에 손가락 말절부를 얹는 즉시 각 입력선택부(220)가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중앙-우측 형태의 A-B 형태 선택 위치로 위치인식 된다. 이때 상기 좌측-중앙-우측의 A-B 형태는 이격기준선(106)을 기준으로 A이격부 방향과 B이격부 방향의 전방-후방 형태로 위치인식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각 입력선택부(220)가 A-B 형태로 쉽게 익숙해진 상태에서 이격입력, 쌍입력 또는 이격쌍조합입력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독립적 또는 연속적으로 빠르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기준블록부(124)는 손가락 또는 엄지손가락 말절부의 짧은 입력 동선의 굴림이동으로 입력 선택이 가능한 영역 내에 마련됨으로써, 상기 입력에서 각 입력 선택 후 손가락의 가압 또는 접촉 해제 즉시 상기 손가락이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심으로 오토리턴 되어 다음 동작을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을 기준으로 연속적으로 빠르게 수행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하면, 입력유닛(100) 또는 입력부(200)가 엄지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의 굴림이동 범위 궤적의 폭 이내에 대응하는 크기로 마련됨으로써, 상기 오토리턴이 더욱 자연스럽게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입력부(200)에서는 3개의 A-B 형태 이격쌍(A1-B1, A2-B2, A3-B3)의 각 입력선택부(220)의 위치가 미리 인식된 상태에서, 입력 선택에 따른 각 동작과 동작 사이, 또는 연속 입력 동작에서 즉시 구현되는 입력기준블록부(124) 중심으로의 오토리턴에 의해 각 입력을 순차적 또는 연속적으로 빠르고 쉽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입력 동작은 각 입력 선택 위치를 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의 굴림이동 형태로 가압하거나 또는 터치하는 형태가 될 수 있으며, 또한 다양한 형태의 입력 선택 동작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유닛(100) 또는 입력부(200)에서는, 상기 입력기준블록부(124) 외측에 1개 이상의 A-B 형태 이격쌍(150)이 더 배치되는 경우에도, 입력시에 상기 입력기준블록부(124) 외측 이격쌍의 각 이격지시위치(110)에 대응되는 입력선택부(220)가 손가락이 위치한 입력기준블록부(124)를 기준으로 입력기준블록부 좌측 또는 우측의 각 A-B 형태 선택 위치로 위치인식 되고, 상기 각 A-B 형태 선택 위치는 이격기준선(106)을 기준으로 A이격부 방향과 B이격부 방향의 전방-후방 형태로 위치인식 됨으로써, 각 입력을 빠르게 수행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입력유닛(100)은 입력부(200)와 이격감지부(300)로 구성될 수 있으며, 입력유닛(100) 또는 입력부(200)에는 입력시 각 이격지시위치(110)에 대응하는 위치에 해당 이격지시위치(110)가 선택되도록 형성되는 입력선택부(220)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도 26의 (a)를 참조하면, 입력선택부(220)는 입력유닛(100) 또는 입력부(200)의 상부에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6의 (a) 내지 (h)를 참조하여 입력선택부(220)는 하나의 입력면(210)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입력유닛(100)이나 입력부(200)에 배치되는 각 이격지시위치(110)에 대응되는 개수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일례로, 입력선택부(220)는, 도 26의 (b)와 같이 2개 이상의 이격홈(230)에 의해 입력유닛(100) 또는 입력부(200)에 마련된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 입력선택부-중앙-입력선택부-우측 입력선택부 형태로 각각 구획되어, 3개의 A-B 형태 이격쌍(150)과 동일한 형태로 위치인식될 수 있다. 즉, 상기 각 입력선택부(220)는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 이격쌍-중앙 이격쌍-우측 이격쌍으로 위치인식 되는 3개의 A-B 형태 이격쌍(150)과 동일한 형태(즉, 좌측 입력선택부-중앙 입력선택부-우측 입력선택부)의 입력 선택 위치로 각각 위치인식 되는 것이다. 또한, 입력선택부(220)는 이격기준선(106)을 따라 마련되는 한개의 이격홈(230)에 의해 A이격부(130)와 B이격부(140)로 구획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때, 이격홈(230)은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직선형, 곡선형, 파형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대칭 또는 비대칭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입력선택부(220)는 이격기준선(106) 위치에서 상기 이격기준선(106)과 동일한 형태로 마련되는 이격홈(230)에 의해 A이격부(130)와 B이격부(140)로 구획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격기준선(106) 또는 상기 입력선택부(220)에 대응되는 이격지시위치(110)들은 도 28의 (a) 내지 (e)와 같이 직선형(도 28의 a), 곡선형(도 28의 c) 또는 파형(도 28의 e)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격기준선(106)은 입력부(200)의 중앙을 기준으로 전체 또는 부분적 대칭 형태로 형성되거나, 또는 직선 비대칭(도 28의 b)이나 곡선 비대칭(도 28의 d)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입력선택부(220)는, 도 26의 (c)와 같이 2개 이상의 돌기 형태의 이격라인(232)에 의해 입력유닛(100) 또는 입력부(200)에 마련된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 입력선택부, 중앙 입력선택부, 우측 입력선택부 형태로 각각 구획되어, 3개의 A-B 형태 이격쌍(150)과 동일한 형태로 위치인식될 수 있다. 즉, 상기 각 입력선택부(220)는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 이격쌍-중앙 이격쌍-우측 이격쌍으로 위치인식 되는 3개의 A-B 형태 이격쌍(150)과 동일한 형태(좌측 입력선택부-중앙 입력선택부-우측 입력선택부)의 입력 선택 위치로 각각 위치인식되는 것이다. 또한 입력선택부(220)는 이격기준선(106)을 따라 마련되는 한 개의 이격라인(232)에 의해 A이격부(130)와 B이격부(140)로 구획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입력선택부(220)는 하나 이상의 이격라인(232)에 의해 2개 이상의 입력선택부로 각각 구획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이격라인(232)은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직선형, 곡선형 또는 파형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대칭 또는 비대칭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입력선택부(220)는 입력유닛(100) 또는 입력부(200)에 소정의 이격돌기(234)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일례로, 입력선택부(220)는 도 26의 (d)와 같이 입력유닛(100) 또는 입력부(200)에 마련된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을 기준으로 3개의 A-B 형태 이격쌍(150)의 각 이격지시위치(110)에 대응되는 개수인 6개의 이격돌기 형태로 해당 입력선택 위치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입력선택부(220)는 입력유닛(100) 또는 입력부(200)에 소정의 돌출프레임(236)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즉, 입력선택부(220)는 도 26의 (e)와 같이 입력유닛(100) 또는 입력부(200)에 마련된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을 기준으로 3개의 A-B 형태 이격쌍(150)의 각 이격지시위치(110)에 대응되는 입력 선택 위치를 따라 소정 폭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입력유닛(100) 또는 입력부(200)에 마련되는 입력선택부(220)는 입력기준블록부(124)의 각 A-B 형태 이격쌍(150) 또는 각 이격지시위치(110)가 독립적으로 선택되도록 하는 각각의 형태를 더 포함하여 마련될 수 있다.
그 일례로, 입력선택부(220)는 입력기준블록부(124)의 각 A-B 형태 이격쌍(150) 또는 각 이격지시위치(110)의 입력 선택 위치에 대응하도록 각각 별도로 마련되는 누름 키, 버튼, 스위치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마련되는 입력선택부(220)는, 상기 이격쌍(150)의 각 이격지시위치(110) 또는 A-B이격지시위치(152)의 입력 선택 위치가 손가락이 위치한 입력기준블록부(124)를 기준으로 A-B 형태로 위치인식 되게 함으로써, 각 입력을 쉽고 빠르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입력선택부(220)의 다양한 형태는 입력 선택이나 입력 동작에서 손가락의 미끄러짐을 억제하거나, 또는 파지와 조작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7을 참조하여, 입력선택부(220)는 입력유닛(100) 또는 입력부(200)의 입력접촉영역(212) 내에 포함되거나, 또는 입력접촉영역(212)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입력선택부(220)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유닛(100) 또는 입력부(200)에서 상기 입력기준블록부(124) 외측에 1개 이상의 A-B 형태 이격쌍(150)이 더 배치되는 경우에도, 상기 입력기준블록부(124) 외측 이격쌍의 각 이격지시위치(110)의 입력 선택 위치가 손가락이 위치한 입력기준블록부(124)를 기준으로 입력기준블록부 좌측 또는 우측의 각 A-B 형태 선택 위치로 위치인식 되고, 상기 각 A-B 형태 선택 위치는 이격기준선(106)을 기준으로 A이격부 방향과 B이격부 방향의 전방-후방 형태로 위치인식 되게 함으로써, 각 입력이 쉽고 빠르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입력유닛(100)은 다양한 형태의 인터페이스가 구비되는 전자기기 또는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9의 (a)와 같이 입력유닛(100, 100')은 베이스(10)에 접촉 및 분리 가능한 거치대(702)에 마련되는 거치대형 인터페이스(700)에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입력유닛 또는 인터페이스에는 입력시에 발생된 입력신호로부터 해당 입력에 할당된 데이터 입력명령을 유선 또는 무선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연결기기의 베이스(10)와 송수신하는 송수신부가 더 포함된다.
또한, 도 29의 (b)와 같이 입력유닛(100, 100')은 베이스(10)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한 형태로 마련되는 착탈형 인터페이스(720)에 포함될 수도 있고, 도 29의 (c)와 같이 입력유닛(100)은 베이스(10)에 유선으로 연결되는 유선형 인터페이스(740)에 포함될 수도 있으며, 도 29의 (d)와 같이 입력유닛(100)은 디스플레이부(600)가 구비된 베이스(10)에 무선으로 연결되는 무선형 인터페이스(760)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각 인터페이스에는 입력시 해당 입력에 할당된 데이터 입력명령을 연결기기의 베이스(10)와 송수신하는 유선 또는 무선의 송수신부가 더 포함되며, 상기 각 인터페이스는 소정의 위치에 기능키(270)가 포함되거나 한 개 이상의 사이드키(290)가 포함되어 입력이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거치대형 인터페이스(700), 착탈형 인터페이스(720), 유선형 인터페이스(740) 또는 무선형 인터페이스(760)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입력시 입력 메뉴창(660)을 조절하는 메뉴창조절기로 이용할 수도 있다.
이때, 메뉴창조절기는 입력 메뉴창(660)의 조작 또는 입력 메뉴창(660)의 각 데이터를 포인팅 하거나, 검색, 확대, 축소, 변경, 개시, 정지, 이동 등이 포함되는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인터페이스(760)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부(6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600)는 이격감지부(300)나 터치감지부(340) 또는 손가락의 접촉이 감지되는 터치스크린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디스플레이부(600)에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표시부(620)가 표시될 수도 있고, 상기 각 인터페이스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입력 선택시의 접촉에 대응하여 지정된 입력 인식 수단이 작동되게 할 수도 있다. 이때 입력 인식 수단은 지정된 음향, 진동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입력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A-B 형태의 이격쌍(150)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1)는, 전자기기 베이스(10)의 소정 위치에 형성되는 손가락 입력 가능 영역(102) 내에서 쌍교번입력이 수행되고 상기 입력에 대응되는 입력신호가 발생되는 입력유닛(100)과, 상기 입력에서 감지된 입력신호를 판독하여 해당 입력에 할당된 입력명령을 입력처리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 10의 (d) 및 도 1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쌍교번입력은, 입력유닛(100)의 손가락 입력 가능 영역(102) 내에서 이격기준점(104)을 지나는 이격기준선(106)을 기준으로 상기 이격기준선으로부터 양측으로 분할되는 A이격부(130)와 B이격부(140)에서, 상기 A이격부에 다수의 A이격지시위치(132)들 및 B이격부에 B이격지시위치(142)들이 상기 이격기준선(106)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어 맞대응 하는 A-B이격지시위치(152) 배열로 이격기준선(106)을 따라 1쌍씩 각각 배치되는 다수의 A-B 형태 이격쌍(150)들로 구비되어, 상기 이격쌍(150)들 중 어느 1쌍의 A-B이격지시위치(152)의 A이격지시위치(132)와 B이격지시위치(142)가 순차적으로 연속 선택되거나 또는 그와 반대로 B이격지시위치(142)와 A이격지시위치(132)가 순차적으로 연속 선택되어 해당 이격지시위치(A1, B1, A2, B2, …)에 할당된 데이터와는 다른 새로운 데이터가 입력되는 것으로 한다. 이때, 상기 A이격지시위치(132)와 B이격지시위치(142)의 순차적 연속 선택시와 B이격지시위치(142)와 A이격지시위치(132)의 순차적 연속 선택시에 각각 서로 다른 데이터 입력이 수행된다.
그 예로서, 도 11의 (c)와 같이, 입력유닛(100)에서의 쌍교번입력은 상기 이격쌍(150)들 중 1쌍의 A-B 형태 이격쌍을 이루는 A-B이격지시위치(152)의 A이격지시위치(132)와 B이격지시위치(142)가 연속하여 교대로 가압(EAB)되는 입력 동작 순서에 의해 각기 다른 데이터 입력이 수행된다.
이때, 쌍교번입력에서, 도 10의 (a)와 같이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에 위치한 손가락이, 도 10의 (d)와 같이 A이격지시위치(132)와 B이격지시위치(142)를 순차적으로 연속 가압함으로써 A이격지시위치(132)와 B이격지시위치(142)에 할당된 데이터와는 다른 새로운 데이터 입력이 수행된다. 이 경우, 입력 동작은 각 입력 선택 위치를 가압하는 형태 외에 터치하는 형태가 될 수도 있으며, 또한 다양한 형태의 입력 선택 동작이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입력유닛(100)에서는, 도 15의 (c)와 같이 상기 입력기준블록부(124) 외측에 1개 이상의 A-B 형태 이격쌍(150)이 더 배치되는 경우에도, 입력기준블록부(124) 외측 이격쌍의 각 이격지시위치(110)의 입력 선택 위치가 손가락이 위치한 입력기준블록부(124)를 기준으로 입력기준블록부 좌측 또는 우측의 각 A-B 형태 선택 위치로 위치인식 되고, 상기 각 A-B 형태 선택 위치는 이격기준선(106)을 기준으로 A이격부 방향과 B이격부 방향의 전방-후방 형태로 각각 위치인식 됨으로써, 쌍교번입력이 빠르게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즉, 다수의 A-B 형태 이격쌍(150)들이 구비되는 입력유닛(100)에서는, 쌍교번입력시 입력기준블록부(124)를 기준으로 위치인식된 이격쌍(150)들 중에서 어느 1쌍의 A-B이격지시위치(152)의 A이격지시위치(132)와 B이격지시위치(142)가 순차적으로 연속 선택되거나 또는 그와 반대로 B이격지시위치(142)와 A이격지시위치(132)가 순차적으로 연속 선택되어 해당 이격지시위치에 할당된 데이터와는 다른 새로운 데이터 입력이 수행되는 것이다.
그런데,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입력유닛(100)은 전자기기 또는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A-B 형태의 이격쌍(150)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1)는, 단말기의 베이스(10)의 소정 위치에 마련되어 손가락 입력 가능 영역(102) 내에서 쌍교번입력이 수행되고 상기 입력에 대응되는 입력신호가 발생되는 입력유닛(100)과, 상기 입력에서 감지된 입력신호를 판독하여 해당 입력에 할당된 입력명령을 입력처리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 15의 (a)와 같은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쌍교번입력은, 입력유닛(100)의 손가락 입력 가능 영역(102) 내에서 이격기준점(104)을 지나는 이격기준선(106)을 기준으로 상기 이격기준선으로부터 양측으로 분할된 A이격부(130)와 B이격부(140)에서, 상기 A이격부에 3개의 A이격지시위치(132) 및 B이격부에 3개의 B이격지시위치(142)가 상기 이격기준선(106)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어 맞대응 하는 A-B이격지시위치(152) 배열로 이격기준선(106)을 따라 1쌍씩 각각 배치되는 3개의 A-B 형태 이격쌍(A1-B1, A2-B2, A3-B3)으로 구비되어, 상기 이격쌍(150) 중 어느 1쌍의 A-B이격지시위치(152)의 A이격지시위치(132)와 B이격지시위치(142)가 순차적으로 연속 선택하거나, 그와 반대로 B이격지시위치(142)와 A이격지시위치(132)가 순차적으로 연속 선택되어 해당 이격지시위치(A1, B1, A2, B2, A3, B3)에 할당된 데이터와는 다른 새로운 데이터가 입력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이격쌍은 이격기준점(104)을 중심으로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좌측-중앙-우측 형태로 연속적으로 이웃하는 입력기준블록부(124)로 마련되는 구성이며, 상기 1쌍의 A-B이격지시위치(152)에서 A이격지시위치(132)와 B이격지시위치(142)의 순차적 연속 선택에 의한 입력신호와 B이격지시위치(142)와 A이격지시위치(132)의 순차적 연속 선택에 의한 입력신호, 즉 교번 입력 동작 순서에 의한 2개의 입력신호는 각각 서로 다른 데이터로 할당되어 입력처리 된다.
또한, 입력기준블록부(124)에 손가락 말절부를 얹으면 3개의 A-B 형태 이격쌍(150)에 대응되는 입력 선택 위치 전체가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을 기준으로 A-B 형태로 위치인식 된다.
다시 말하면, 입력기준블록부(124)가 엄지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의 굴림이동 범위 궤적의 폭 이내에 대응되는 크기로 마련됨으로써, 입력기준블록부(124)에 손가락 말절부를 얹는 즉시 3개의 A-B 형태 이격쌍(150)에 대응되는 입력선택부(220) 전체가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중앙-우측 형태의 A-B 형태 선택 위치로 위치인식 되고, 상기 각 A-B 형태 선택 위치는 이격기준선(106)을 기준으로 전방-후방 형태로 위치인식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위치인식에 의해 입력 선택 위치 전체가 쉽게 익숙해진 상태에서 각 이격쌍에서의 쌍교번입력을 독립적 또는 연속적으로 빠르게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을 기준으로 A2이격지시위치와 B2이격지시위치에서 쌍교번입력을 수행하는 경우, 입력기준블록부(124) 중앙을 기준으로 위치인식된 중앙전방과 중앙후방이 순차적으로 연속 선택(①→②)되면, 중앙전방 A2이격지시위치와 중앙후방 B2이격지시위치에 할당된 데이터와는 다른 새로운 데이터가 입력처리되어 쌍교번입력이 수행된다.
다시 말하면, 도 15의 (a) 및 도 16의 (c)를 참조하면,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을 기준으로 위치인식된 중앙 이격쌍(A2-B2)에서 A2이격지시위치에 연이어 B2이격지시위치가 연속 선택되어 쌍교번입력이 수행되면, 상기 각 이격지시위치에 할당된 'D2' 또는 'D5'가 아닌 'D42'라는 새로운 데이터가 입력처리된다.
그와 반대로, 도 15의 (b) 및 도 16의 (c)를 참조하면, 상기 중앙 이격쌍(A2-B2)에서 B2이격지시위치에 연이어 A2이격지시위치가 연속 선택되어 쌍교번입력이 수행되면, 상기 각 이격지시위치에 할당된 'D5' 또는 'D2'가 아닌 'D45'라는 새로운 데이터가 입력처리된다.
따라서 중앙 이격쌍(A2-B2)에서 입력 선택시의 연속 입력 순서에 따라 'D42' 또는 'D45'라는 서로 다른 새로운 데이터가 각각 입력처리되는 것이다.
그리고, 입력기준블록부(124)는 모바일 기기에 형성되는 경우에 엄지손가락 폭 이하 크기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입력유닛(100)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입력유닛(100)은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외곽으로부터 일측으로 이격배치되는 1개 이상의 이격쌍을 더 포함하여 전자기기 또는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입력유닛(100)의 입력기준블록부(124) 좌측 또는 우측 외부에 1개의 A-B 형태 이격쌍(150)이 더 배치된 4개의 A-B 형태 이격쌍에서, 입력기준블록부(124) 외측에 형성된 각 이격지시위치(110)에 대한 입력 선택 위치인식의 기준은 입력기준블록부(124)가 될 수 있다.
일례로, 도 15의 (c)를 참조하면, 입력기준블록부(124) 외측에 형성된 1개의 최우측 이격쌍(A4-B4)은 입력기준블록부(124)를 기준으로 하여 입력기준블록부 우측 이격쌍(A4-B4)으로 위치인식 되는 것이다.
이때, 도 15의 (c)와 같이 입력유닛(100)의 4개의 A-B 형태 이격쌍(150) 중 입력기준블록부(124)를 기준으로 하여 위치인식된 입력기준블록부 우측 이격쌍(A4-B4)에서 쌍교번입력이 수행되는 경우,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우측 외곽으로부터 더 우측으로 위치인식 된 위치를 연상하여 선택하면 입력기준블록부 우측 이격쌍(A4-B4)이 선택되므로, 입력기준블록부 우측후방(B4이격지시위치)과 입력기준블록부 우측전방(A4이격지시위치)을 순차적으로 연속 선택하는 입력 동작에서(①→②) 쉽고 빠르게 입력 수행을 할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입력유닛(100)에서 입력기준블록부(124)를 기준으로 하여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좌측 외곽으로부터 더 좌측으로 1개의 최좌측 이격쌍이 배치되는 경우에, 또는 도 13의 (c)와 같이 입력기준블록부(124)를 기준으로 하여 입력기준블록부(124) 좌측과 우측 외곽으로부터 더 좌측과 우측으로 각각 1개의 최좌측 및 최우측 이격쌍이 이격배치되는 경우에도, 상기 연속 선택 순서에 따른 쌍교번입력의 입력 동작은 준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입력에서의 입력 동작은 전술한 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의 굴림이동 형태가 바람직하지만, 그 외에 다양한 형태의 입력 동작으로도 입력이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입력시 제어부(400)는 입력기준블록부(124)에서 3개의 A-B 형태 이격쌍(150) 중 어느 1개의 이격쌍(150)을 형성하는 A이격지시위치(132)와 B이격지시위치(142)의 순차적 연속 선택에 의해 발생되는 2개의 연속신호로부터 해당 입력신호를 판단하여 쌍교번입력으로 입력처리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도 10의 (d) 또는 도 11의 (c)를 참조하여, 입력기준블록부(124)에 배치된 3개의 A-B 형태 이격쌍(150) 중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을 기준으로 위치인식된 어느 이격쌍(150)의 A이격지시위치(132)와 B이격지시위치(142)가 순차적으로 연속 가압(EAB)되거나, 또는 이와 반대로 B이격지시위치(142)와 A이격지시위치(132)가 순차적으로 연속 가압(EBA)되는 경우 2개의 연속신호가 발생되며, 제어부(400)는 상기 입력신호를 쌍교번입력으로 판단하여 입력처리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격쌍(150)에서 2개의 연속신호 발생 순서에 따라 각 입력이 구분되어 입력처리 될 수 있다. 즉, 도 16의 (c)와 같이,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 이격쌍(A2-B2)에서 쌍교번입력시,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을 기준으로 위치인식된 중앙 이격쌍(A2-B2)의 A2이격지시위치와 B2이격지시위치가 순차적으로 연속 가압되면 'D42', 그와 반대로 B2이격지시위치와 A2이격지시위치가 순차적으로 연속 가압되면 'D45'라는 서로 다른 각각의 데이터가 입력처리되는 것이다.
여기서, 제어부(400)는 쌍교번입력시 순차적으로 발생되는 2개의 연속신호와 전술한 쌍입력시 동시에 발생되는 2개의 신호로부터 해당 입력신호를 각각 구별하여 쌍교번입력 또는 쌍입력으로 입력처리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기준블록부(124)에 대응되는 이격감지부(300)에 압력센서가 포함되는 경우, 미리 설정된 압력센서의 압력값 차이로 쌍교번입력과 쌍입력을 구별하여 입력처리 할 수 있다. 즉, 입력시 이격쌍(150)의 A이격지시위치와 B이격지시위치 또는 B이격지시위치와 A이격지시위치가 순서대로 이격감지부(300)의 압력센서에 연속 접촉되는 경우, A이격지시위치와 B이격지시위치 또는 B이격지시위치와 A이격지시위치의 연속접촉압력값이 1 내지 3 미만이면 쌍교번입력으로, 3 이상이면 쌍입력으로 구별하여 각 입력에 할당된 데이터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400)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값에 의해 쌍교번입력과 쌍입력을 구별하여 입력처리 할 수도 있다. 즉, 입력시 이격쌍(150)의 A이격지시위치와 B이격지시위치 또는 B이격지시위치와 A이격지시위치가 각각의 순서대로 이격감지부(300)의 감지 센서에 연속 접촉되는 경우, A이격지시위치와 B이격지시위치 또는 B이격지시위치와 A이격지시위치의 각 접촉신호 발생시점의 시간차이가 미리 설정된 시간값 이내이면 쌍입력으로, 초과하면 쌍교번입력으로 각각 구별하여 해당 입력에 할당된 데이터를 입력처리 할 수 있다. 이때 설정시간값 기준은 0.2초로 할 수도 있고, 통상적인 연속 접촉 발생시간 차이를 고려하여 정할 수도 있다.
그런데, 제어부(400)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값에 의해 쌍교번입력과 이격입력을 구별하여 입력처리 할 수도 있다. 즉, 입력시 한개의 이격쌍(150)에서 A이격지시위치와 B이격지시위치 또는 B이격지시위치와 A이격지시위치가 순서대로 이격감지부(300)의 감지 센서에 연속 접촉되는 경우, A이격지시위치와 B이격지시위치 또는 B이격지시위치와 A이격지시위치의 각 접촉신호 발생시점의 시간차이가 미리 설정된 시간값 이내이면 한번의 쌍교번입력으로, 초과하면 연속되는 각각의 이격입력으로 구별하여 해당 입력에 할당된 데이터를 입력처리 할 수 있다. 이때 설정시간값 기준은 0.3초로 할 수도 있고, 통상적인 연속접촉 발생시간 차이를 고려하여 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입력기준블록부(124)에 배치된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의 각 A-B이격지시위치(152) 중 어느 이격지시위치(110)가 2회 연속 선택되어 2개의 연속신호가 발생되는 경우, 제어부(400)는 상기 2개의 연속신호로부터 입력신호를 판독하여 해당 입력을 이격입력에서의 더블입력, 즉 다단 입력으로 입력처리 할 수도 있다. 이때의 입력신호처리는 상기 설정시간값을 준용할 수도 있고, 그 외의 다양한 방법으로 입력처리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입력시 입력 동작은 이격지시위치(110) 또는 A-B이격지시위치(152)에 대해 가압하거나 또는 터치하는 형태가 될 수 있으며, 또한 다양한 형태의 입력 선택 동작이 더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입력유닛(100)에서는, 상기 입력기준블록부(124) 외측에 1개 이상의 A-B 형태 이격쌍(150)이 더 배치되는 경우에도, 상기 입력기준블록부(124) 외측 이격쌍의 각 이격지시위치(110)의 입력 선택 위치가 손가락이 위치한 입력기준블록부(124)를 기준으로 입력기준블록부 좌측 또는 우측의 각 A-B 형태 선택 위치로 위치인식 되고, 상기 각 A-B 형태 선택 위치는 이격기준선(106)을 기준으로 전방-후방 형태로 위치인식됨으로써, 각 입력이 빠르게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입력유닛(100) 또는 입력유닛의 하부에 가압력 세기에 따라 단계별로 대응되도록 탄성부재(240)가 포함되는 이격감지부(300)가 마련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입력유닛(100)에는 3개 이상의 A-B 형태 이격쌍의 각 이격지시위치(110)에 단계별로 접촉 가능한 탄성부재(240)가 소정 위치에 다양한 형태로 할당되어 마련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탄성부재(240)는 접촉시 신호가 발생되는 전도성 재질이 포함될 수 있으며, 입력유닛(100)의 형태 또는 입력 동작에 따라 변형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이격감지부(300)는 압력센서가 포함되는 다양한 감지 센서(330)가 구비되어 2회 이상 연속 신호에 의한 2단 이상의 다단 신호가 발생될 수 있도록 마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입력유닛(100)에서 이격입력시 2단 이상의 단계적 선택에 의한 2회 이상 연속신호에 의해 2단 이상의 다단 입력신호가 발생되는 경우, 제어부(400)는 상기 2단 이상의 다단 입력신호로부터 2단 이상의 단계적 선택에 의한 다단 입력을 판단하여, 메모리부로부터 상기 판단된 다단 입력에 의해 입력유닛(100)의 각 이격지시위치(110)에 할당된 데이터와는 다른 새로운 데이터를 추출하여 다단 이격입력으로 입력처리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유닛(100)의 입력기준블록부(124) 중앙을 기준으로 각 이격지시위치(110)의 입력 선택시 2단으로 구분하여 가압하는 다단 이격입력에서, 제어부(400)는 1단의 이격입력이 수행된 후 소정의 대기시간 설정값에 의해 2단의 이격입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400)는 1단의 이격입력이 수행된 후 상기 대기시간 설정값에 의해 판단하는 시간까지 기다리지 않고 즉시 1단의 이격입력을 처리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대기시간 설정값 이내에 2단의 이격입력이 수행되면 즉시 1단의 이격입력을 취소하고 2단의 이격입력으로 변경시킴으로써, 상기 대기시간 설정값에 의한 판단시간까지 입력 시간이 지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격감지부(300)가 압력센서로 마련되는 경우, 상기 대기시간 설정값 이내에 발생된 최대 압력값으로 입력처리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상기 대기시간 설정값으로 판단하는 시점까지의 기다림없이 1단의 이격입력이 수행되면 즉시 입력처리를 하고, 1단의 이격입력이 해제되면 입력이 결정되게 하여, 1단의 이격입력이 해제되기 전에 2단의 이격입력에 해당하는 감지값이 추가로 감지되면 즉시 1단의 이격입력을 취소하고 2단의 이격입력이 입력처리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입력유닛(100)의 입력기준블록부(124) 중앙을 기준으로 각 이격지시위치(110)의 입력 선택시 2단으로로 구분하여 가압하는 다단 이격입력에서, 제어부(400)는 입력을 감지하는 이격감지부(300)의 감지시간 설정값에 의해 1단의 이격입력 또는 2단의 이격입력을 구분하여 판단할 수도 있다.
그 일례로, 제어부(400)는 이격감지부(300)에서의 입력 감지시간이 0.3초 이하가 되면 1단의 이격입력으로, 0.3초를 초과하면 2단의 이격입력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0)에서 다단 입력에 따른 2단 이상의 다단 입력신호 처리방법은 상기 이격입력 외에, 쌍입력 또는 이격쌍조합입력을 포함하는 각 다단의 입력에서 준용될 수 있으며, 다단 쌍입력 또는 다단 이격쌍조합입력 등의 다단 입력으로 해당 데이터를 입력처리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따른 입력유닛(100)에 마련되는 4개 이상의 A-B 형태 이격쌍(150)에서도 상기 다단 입력신호 처리방법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입력유닛(100)은 기준위치인 이격기준점(104)과 상기 이격기준점을 지나는 이격기준선(106)을 기준으로 3개의 A-B 형태 이격쌍(150)이 마련되는 입력기준블록부(124)의 각 이격지시위치(110)에 도 22와 같이 데이터가 할당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22의 (a)는 입력기준블록부(124)에 배치된 3개의 A-B 형태 이격쌍(150)의 각 이격지시위치(110)에 한글 자음이 각각 할당되어 표시된 다단 레이어 입력모드 예시도이다. 이때, 데이터를 입력시키는 입력모드 중 상기 도면과 같이 복수의 레이어 입력모드로 구성되는 다단 레이어 입력모드에서 별도의 기능키 마련없이 1개 이상의 기능키(270)의 기능명령이 다단 레이어 입력모드(271, 272, 273)에 각각 구분되어 할당될 수 있다.
이 경우, 다단 레이어 입력모드(271, 272, 273)에서는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을 기준으로 이격입력, 쌍입력 또는 이격쌍조합입력이 각각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입력모드에서 이격쌍조합입력 중 제어부(400)가 이격입력 후 쌍입력에 의한 조합 입력신호와 쌍입력 후 이격입력에 의한 조합 입력신호를 동일한 조합 입력신호로 판단하여 입력처리하더라도, 입력기준블록부(124)에서는 총 81개(27개 x 3 레이어 입력모드=81개)의 서로 다른 데이터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도 22의 (d)의 경우, 다단 레이어 입력모드(271, 272, 273)에서는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을 기준으로 이격입력, 쌍입력 또는 이격쌍조합입력이 각각 수행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상기 입력모드에서 이격쌍조합입력 중 제어부(400)가 이격입력 후 쌍입력에 의한 조합 입력신호와 쌍입력 후 이격입력에 의한 조합 입력신호를 동일한 조합 입력신호로 판단하여 입력처리하더라도, 입력기준블록부(124)에서는 총 135개(27개 x 3 레이어 입력모드=135개)의 서로 다른 데이터 입력 수행이 가능하다.
다른 일례로, 도 22의 (b)는 입력기준블록부(124)에 배치된 3개의 A-B 형태 이격쌍(150)의 각 이격지시위치(110)에 한글 모음과 숫자가 각각 할당되어 표시된 다단 레이어 입력모드 예시도이다. 이때 상기 도면과 같이 복수의 레이어 입력모드로 구성되는 다단 레이어 입력모드에서 별도의 기능키 마련없이 1개 이상의 기능키(270)의 기능명령이 다단 레이어 입력모드(271, 272, 273)에 쌍입력으로 각각 구분되어 할당될 수 있다.
이 경우, 다단 레이어 입력모드(271, 272, 273)에서는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을 기준으로 이격입력, 쌍입력 또는 이격쌍조합입력이 각각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입력모드에서 이격쌍조합입력 중 제어부(400)가 이격입력 후 쌍입력에 의한 조합 입력신호와 쌍입력 후 이격입력에 의한 조합 입력신호를 동일한 조합 입력신호로 판단하여 입력처리하더라도, 입력기준블록부(124)에서는 총 72개의 서로 다른 데이터가 입력될 수 있다.
이때 이격쌍조합입력에서는 이격입력과 쌍입력의 조합 순서에 따라 서로 다른 데이터 입력이 수행될 수 있지만, 상기 조합 순서와 무관하게 동일한 데이터가 입력처리되게 할 수도 있다. 즉, 이격입력 후 쌍입력 또는 쌍입력 후 이격입력에 의한 각각의 이격쌍조합입력으로부터 동일한 문자입력이 수행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22의 (c)는 입력기준블록부(124)에 배치된 3개의 A-B 형태 이격쌍(150)의 각 이격지시위치(110)에 알파벳이 각각 할당되어 표시된 다단 레이어 입력모드 예시도이다. 이때 상기 입력모드에서 1개 이상의 사이드키(290)의 기능명령이 다단 레이어 입력모드(271, 272, 273)에 각각 구분 할당되어 상기 입력기준블록부에서의 각 입력이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다단 레이어 입력모드(271, 272, 273)에서는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을 기준으로 이격입력, 쌍입력 또는 이격쌍조합입력이 각각 수행되며, 상기 입력모드에서 이격쌍조합입력 중 제어부(400)가 이격입력 후 쌍입력에 의한 조합 입력신호와 쌍입력 후 이격입력에 의한 조합 입력신호를 동일한 조합 입력신호로 판단하여 입력처리하더라도, 입력기준블록부(124)에서는 총 81개의 서로 다른 데이터 입력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도 19 내지 도 21 또는 도 23을 참조하면, 입력유닛은,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을 기준으로 이격입력, 쌍입력 또는 이격쌍조합입력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양손으로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입력유닛(100)에서는 데이터 입력 용량이 더욱 확대되고, 아울러 사용자는 데이터 입력을 다양한 형태로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입력유닛(100, 100’)은 각 이격기준점(104)과 상기 이격기준점을 지나는 이격기준선(106)을 기준으로 3개의 A-B 형태 이격쌍(150)이 마련되는 입력기준블록부(124)의 각 이격지시위치(110)에 각각의 데이터가 할당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도 23의 (a)와 같이, 2개의 입력유닛(100, 100’)의 각 입력기준블록부(124)에 배치된 3개의 A-B 형태 이격쌍(150)의 각 이격지시위치(110)에 한글 자음과 모음 및 숫자가 각각 할당되어 다단 레이어 입력모드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면과 같이 복수의 레이어 입력모드로 구성되는 다단 레이어 입력모드에서 별도의 기능키 마련없이 1개 이상의 기능키(270, 270')의 기능명령이 좌측 다단 레이어 입력모드(271, 272, 273)와 우측 다단 레이어 입력모드(274, 275)에 각각 구분되어 할당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좌측 다단 레이어 입력모드(271, 272, 273) 및 우측 다단 레이어 입력모드(274, 275)에서는 각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을 기준으로 이격입력, 쌍입력 또는 이격쌍조합입력이 각각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단 레이어 입력모드에서 이격쌍조합입력 중 제어부(400)가 이격입력 후 쌍입력에 의한 조합 입력신호와 쌍입력 후 이격입력에 의한 조합 입력신호를 동일한 조합 입력신호로 판단하여 입력처리하더라도, 상기 2개의 입력유닛(100, 100')의 입력기준블록부(124)에서는 총 122개의 서로 다른 데이터 입력 수행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 23의 (b)와 같이, 2개의 입력유닛(100, 100')의 각 입력기준블록부(124)에 배치된 3개의 A-B 형태 이격쌍(150)의 각 이격지시위치(110)에 알파벳 및 각종 기능키가 각각 할당되어 다단 레이어 입력모드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입력모드에서 1개 이상의 사이드키(290)의 기능명령이 다단 레이어 입력모드에 각각 구분 할당되어 상기 2개의 입력유닛(100, 100')에서의 각 입력이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2개의 입력유닛(100, 100')의 각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을 기준으로, 이격입력, 쌍입력 또는 이격쌍조합입력이 각각 수행될 수 있다. 이때 다단 레이어 입력모드에서 이격쌍조합입력 중 제어부(400)가 이격입력 후 쌍입력에 의한 조합 입력신호와 쌍입력 후 이격입력에 의한 조합 입력신호를 동일한 조합 입력신호로 판단하여 입력처리하더라도, 상기 2개의 입력유닛(100, 100')의 입력기준블록부(124)에서는 총 162개(81개 x 2벌 입력유닛=162개)의 서로 다른 데이터 입력 수행이 가능하다. 이 외에, 본 발명에 따른 입력유닛에는 A-B 형태의 이격쌍(150) 또는 이격지시위치(110)의 개수에 따라 복수의 레이어 입력모드로 구성되는 다단 레이어 입력모드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어 표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한자 또는 일본어 문자와 같이 입력 문자의 음소가 50개 이상 되는 경우에도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는 다단 레이어 입력모드를 통하여 입력을 쉽고 빠르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유닛(100)은 방향지시 입력모드에서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을 기준으로 이격입력, 쌍입력 또는 이격쌍조합입력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데이터 입력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입력유닛(100)의 방향지시 입력모드에서 입력기준블록부(124)에 손가락을 얹는 즉시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중앙-우측의 각 A-B 형태로 위치인식 되는 이격쌍(150)의 이격지시위치(110) 또는 A-B이격지시위치(152)의 각 입력 선택에 의해 방향지시 입력 기능명령이 수행되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방향지시 입력모드에서 각 방향으로의 이동을 더욱 쉽고 빠르게 수행 할 수 있다.
일례로, 도 1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유닛(100)의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중앙-우측 A-B 형태 선택 위치로 각각 위치인식 되는 중앙 좌측이격쌍-중앙이격쌍-중앙 우측이격쌍에, 각각의 방향지시 기능을 할당하여 4방향의 방향이동 입력명령이 수행되게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을 기준으로, 중앙 좌측이격쌍(A1-B1) 선택에 의한 쌍입력으로는 좌방향이동(←), 중앙이격쌍(A2-B2)의 중앙전방(A2) 선택에 의한 이격입력으로는 전방향이동(↑) 또는 중앙후방(B2) 선택에 의한 이격입력으로는 후방향이동(↓), 중앙 우측이격쌍(A3-B3) 선택에 의한 쌍입력으로는 우방향이동(→) 입력명령을 각각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4방향에 다른 4방향을 더 포함하여 4방향 이상의 방향지시에 의한 이동이 수행되게 할 수도 있다. 즉, 도 18의 (b)와 같이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을 기준으로, 중앙 좌측전방(A1) 선택에 의한 이격입력으로는 좌방향 및 전방향의 대각이동(↖), 중앙 좌측후방(B1) 선택에 의한 이격입력으로는 좌방향 및 후방향의 대각이동(↙), 중앙 우측전방(A3) 선택에 의한 이격입력으로는 우방향 및 전방향의 대각이동(↗), 또는 중앙 우측후방(B3) 선택에 의한 이격입력으로는 우방향 및 후방향의 대각이동(↘) 입력명령을 각각 더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일례로, 입력유닛(100)은 방향지시 입력모드에서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을 기준으로 이격입력 또는 쌍입력에 의한 2회 연속 선택의 다단 입력이 가능하게 마련되어 다양한 데이터 입력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18의 (c) 또는 (d)와 같이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을 기준으로 입력이 수행되는 2회 연속 선택의 다단 입력은, 도 18의 (a)와 같은 4방향 또는 도 18의 (b)와 같은 8방향의 방향이동 입력명령이 준용되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8의 (c) 또는 (d)와 같이 방향지시 입력모드에서, 1회 선택 입력은 상기 각 도면에 가늘게 표시된 화살표일 수 있으며, 2회 연속 선택의 다단 입력은 상기 각 도면에 굵게 표시된 화살표일 수 있다. 즉, 1회 선택 입력(가늘게 표시된 화살표)에서 각 입력에 할당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에 2회 연속 선택의 다단 입력(굵게 표시된 화살표)으로 변환하여 이동 속도를 순차적으로 높이거나 또는 급가속을 할 수도 있다. 또한 2회 연속 선택의 다단 입력에서 1회 선택 입력으로, 또는 1회 선택 입력과 2회 연속 선택의 다단 입력을 임의의 순서대로 수행하여 방향이동을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2회 연속 선택의 다단 입력에 의해 다양한 방향이동 입력명령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입력기준블록부(124)에서는 입력 선택 후 바로 손가락이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심으로 원위치되는 오토리턴 상태가 유지되어, 사용자는 입력기준블록부(124)에서 연속 동작으로 이루어지는 각 문자입력을 하나의 연결 동작에서의 입력 동작처럼 빠르고 쉽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입력에서의 입력 동작은 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의 굴림이동 형태가 포함되는 다양한 형태의 입력 동작으로 입력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2개 이상의 입력유닛에서, 상기 각 입력유닛의 입력기준블록부(124) 외측에 1개 이상의 A-B 형태 이격쌍(150)이 더 배치되는 경우에도, 상기 입력기준블록부(124) 외측 이격쌍의 각 입력 선택 위치가 손가락이 위치한 입력기준블록부(124)를 기준으로 입력기준블록부 좌측 또는 우측의 각 A-B 형태 선택 위치로 위치인식되어, 각 입력이나 또는 2단 이상 다단의 입력을 빠르게 수행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사이드키(290)의 선택에 의해 신호가 발생되는 경우, 제어부(400)는 감지된 신호로부터 입력신호를 판독하여 사이드입력으로 입력처리 할 수 있다. 이때 사이드키(290)의 선택에 의한 사이드입력은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고, 이격입력, 쌍입력 또는 이격쌍조합입력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각 입력과 조합되어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이드입력시에 사이드키(290)는 모드 변환, 메뉴창 변환 또는 화면 변환 등을 수행하는 기능키(270)일 수 있다.
일례로, 도 22 또는 도 23을 참조하면, 사이드입력에 의해 모드 변환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즉, 문자입력시 한글 입력모드에서 숫자 입력모드로, 숫자 입력모드에서 알파벳 입력모드로 각각의 기능명령에 의해 입력이 수행되게 할 수 있다.
또는, 사이드입력에 의해 메뉴창 변환이나 화면 변환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즉, 문서 작업시 메인 메뉴창 입력모드에서 서브 메뉴창 입력모드로, 서브 메뉴창 입력모드에서 메뉴창 항목 호출모드로, 메뉴창 항목 호출모드에서 이전 화면으로, 이전 화면에서 메인 메뉴창 입력모드 화면으로 각각의 기능명령에 의해 입력이 수행되게 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사이드입력은 도 11의 (a)와 같은 이격입력, 도 11의 (b)와 같은 쌍입력, 또는 도 11의 (d)와 같은 이격쌍조합입력과 조합되어 입력 수행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이드입력은 상기 각 입력 전이나, 입력 중간 또는 입력 후에 조합되어 수행될 수 있다. 즉, 이격입력 후에 사이드입력이 수행 될 수도 있고, 그 반대로 사이드입력 후 이격입력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때 각 입력 순서에 따라 서로 다른 데이터가 할당되어 입력처리 될 수 있다.
그런데, 사이드키(290)는 베이스(10) 또는 입력유닛(100)의 소정 위치에 지정되어 구비되는 경우에 기능키(270)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도 22 또는 도 23을 참조하면, 사이드입력에는 사이드키(290)에 대한 입력 선택시 2회 이상 연속 선택의 다단 입력신호가 발생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때 사이드키(290)는 각종 모드 변환은 물론 다양한 기능명령을 수행하도록 지정될 수도 있다.
한편, 사이드키(290)에는 손가락의 접촉 또는 접근이 감지되는 터치감지부(320)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사이드키(290)에 터치감지부(320)가 마련되는 경우, 제어부(400)는 손가락의 접촉이 터치감지부(320)에 소정 시간 이상 감지되면 터치감지부(320)의 감지신호로부터 터치입력 신호를 무효로 처리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이드입력시 입력 동작은 손가락으로 사이드키(290)를 가압하거나 터치하는 형태 외에, 다양한 형태의 동작에 의해 입력이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이격감지부(300) 또는 터치감지부(320)는 입력유닛(100) 또는 입력부(200)의 상부에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마련되어, 각 이격지시위치(110)에 대한 손가락의 입력 선택에 대응하여 해당 이격지시위치(110) 또는 입력에 할당된 입력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때 도 10의 (f)와 같이, 입력접촉영역(212)은 손가락의 터치가 구현되는 입력 선택 위치가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입력유닛(100)에서는, 상기 입력기준블록부(124) 외측에 1개 이상의 A-B 형태 이격쌍(150)이 더 배치되는 경우에도, 상기 입력기준블록부(124) 외측 이격쌍의 각 입력 선택 위치가 손가락이 위치한 입력기준블록부(124)를 기준으로 입력기준블록부 좌측 또는 우측의 각 A-B 형태 선택 위치로 위치인식 되어, 독립적으로 또는 각 입력과 조합되는 사이드입력이 빠르게 수행될 수 있다.
일례로, 도 24의 (c)는 태블릿형 단말기(32)의 베이스(10)에 2개의 입력유닛(100, 100')이 마련되어 입력이 수행되는 예시도이다. 그리고, 도 24의 (b)는 슬라이드형 단말기(32)의 베이스(10)에 2개의 입력유닛(100, 100)이 마련되어 입력이 수행되는 예시도이다.
이 경우, 상기 2개의 입력유닛(100, 100')은 이격입력, 쌍입력 또는 이격쌍조합입력이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입력이 서로 동일하게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르게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2개의 입력유닛(100, 100')에서, 입력시에 좌측 입력유닛(100)에서는 이격입력, 쌍입력, 또는 이격쌍조합입력이나 사이드입력이 수행 가능하게 구성되고, 우측 입력유닛(100')에서는 이격입력, 쌍입력, 또는 이격쌍조합입력이나 쌍교번입력이 수행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2개의 입력유닛(100, 100')은 각 입력유닛의 이격부(120)에 배치되는 이격지시위치(110)가 서로 동일한 개수로 구성되거나 또는 각각 다른 개수로 구성될 수 있고, 2개의 입력유닛(100, 100') 중 어느 일측 또는 양측에서 2회 이상 연속 선택에 의한 다단 입력 수행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2개의 입력유닛(100, 100')은 각 입력모드에서 한개 이상의 기능키가 각각 다단의 입력으로 구분 할당되어 별도의 기능키 마련없이 각 기능키의 기능명령을 2단 이상 다단의 입력으로 데이터 입력이 수행될 수도 있으며, 각 입력모드에서 이격입력, 쌍입력 또는 이격쌍조합입력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서로 다른 기능이 각각 할당되어 데이터 입력이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2개의 입력유닛(100, 100') 중 하나 이상은 도 3과 같이 구성 될 수 있다.
도 3의 (c)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에, 2개의 입력유닛(100, 100')에는 각 이격기준점(104)을 지나는 이격기준선(106)을 기준으로 입력기준블록부(124)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을 기준으로 3개의 A-B 형태의 이격쌍(150)의 각 이격지시위치(110)에 할당되는 데이터는 도 19 내지 도 21과 같이 각각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베이스(10)의 소정 위치에 마련된 2개의 입력유닛(100, 100')에서, 도 19와 같이 좌측 입력유닛(100)에는 한글의 자음이, 우측 입력유닛(100')에는 한글의 모음이 각 이격기준점(104)을 지나는 이격기준선(106)을 기준으로 3개의 A-B 형태 이격쌍(150)의 각 이격지시위치(110)에 할당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2개의 입력유닛(100, 100')에서 각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을 기준으로 중앙 좌측-중앙-중앙 우측의 각 A-B 형태로 위치인식 되는 이격쌍(150)의 이격지시위치(110) 또는 A-B이격지시위치(152)의 각 입력 선택 위치를 좌우측 양손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문자입력을 더욱 쉽고 빠르게 수행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2개의 입력유닛(100, 100')에서 이격입력, 쌍입력 및 이격쌍조합입력이 수행되면 총 90개의 서로 다른 데이터가 입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2개의 입력유닛(100, 100')은 도면에 도시된 데이터 이외에 다양한 데이터가 할당되어 입력 수행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9를 참조하여, 2개의 입력유닛(100, 100')에는 이격입력, 쌍입력 또는 이격쌍조합입력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서로 다른 기능이 각각 할당되어 데이터 입력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즉, 2개의 입력유닛(100, 100')에서, 좌측 입력유닛(100)에서는 한글입력이 수행되도록 구성하고, 우측 입력유닛(100')에서는 각종 기능명령이 수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는, 2개의 입력유닛(100, 100')에서 문자입력과 각 기능명령이 함께 구성되어 입력이 수행되도록 마련할 수도 있다.
일례로, 2개의 입력유닛(100, 100')에서, 좌측 입력유닛(100)에서는 한글 문자입력이 수행되고, 우측 입력유닛(100')에서는 Enter, Space, Alt, Del, Ctrl, 방향지시, Conti, 문자변환, Back, Shift, Ins, Caps lock 등이 포함되는 각종 기능명령이 수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는, 2개의 입력유닛(100, 100')에서, 문자입력과 Enter, Space, Alt, Del, Ctrl, 방향지시, Conti, 문자변환, Back, Shift, Ins, Caps lock 등이 포함되는 각종 기능명령이 좌측 입력유닛(100)과 우측 입력유닛(100')에 함께 할당되어 각 입력이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기능명령 모드를 변환시키는 별도의 모드변경키에 대한 입력을 쉽게 할 수 있어, 사용자는 문자입력을 더욱 빠르게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2개의 입력유닛(100, 100')은, 상기 이격입력, 쌍입력 또는 이격쌍조합입력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입력이 1회 선택 입력만으로 수행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2단 이상 연속 선택의 다단 입력으로 수행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입력유닛(100, 100')에서의 각 입력이 다단 레이어 입력모드에서 수행 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 문자, 숫자, 방향지시, 특수문자, 특수기호 등이 포함되는 입력모드에 각종 기능명령이 더 할당되어 데이터가 입력처리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입력유닛(100, 100')에서는 이격입력 및 이격쌍조합입력으로 문자입력이 수행되고, 쌍입력으로 모드변경, 방향지시, 화면변경 등이 포함되는 각종 기능명령이 수행될 수도 있다.
그리고 2개의 입력유닛(100, 100')은 마우스 기능모드로의 전환 기능이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마우스 기능모드 전환시 이격쌍조합입력에 의해 마우스 좌우버튼이나 스크롤 또는 드래그 기능이 포함되는 입력 수행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마우스 기능모드로 전환시 상기 입력유닛의 어느 일측에서는 포인터 이동이 수행되고 다른 일측에서는 포인터 조작 기능이 수행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입력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입력유닛(100, 100')에는 이격기준점(104)을 지나는 이격기준선(106)을 기준으로 A-B 형태 이격쌍(150)들의 각 이격지시위치(110)에 일본문자인 히라가나가 할당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2개의 입력유닛(100, 100')에서 이격입력, 쌍입력 및 이격쌍조합입력이 수행되면 총 152개의 서로 다른 데이터 입력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2개의 입력유닛(100, 100')은 상기 도면에 도시된 데이터 이외에 데이터 입력 용량이 더욱 확장되고 각 입력 선택 위치가 좌우측 양손으로 가능하여, 사용자는 문자입력을 더욱 쉽고 빠르게 수행 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입력기준블록부(124)에서는 입력 선택 후 바로 손가락이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심으로 원위치되는 오토리턴 상태가 유지되어, 사용자는 입력기준블록부(124)에서 연속 동작으로 이루어지는 각 문자입력을 하나의 연결 동작에서의 입력 동작처럼 빠르고 쉽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입력기준블록부(124)에서는 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의 굴림이동 형태가 포함되는 다양한 형태의 입력 동작으로 데이터 입력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입력유닛(100, 100')에서는, 상기 입력유닛(100, 100')의 각 입력기준블록부(124) 외측에 1개 이상의 A-B 형태 이격쌍(150)이 더 배치되는 경우에도, 상기 각 입력기준블록부(124) 외측 이격쌍의 각 입력 선택 위치가 손가락이 위치한 입력기준블록부(124)를 기준으로 입력기준블록부 좌측 또는 우측의 각 A-B 형태 선택 위치로 위치인식 되어, 각 입력을 빠르게 수행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각 입력은 상기 각 입력기준블록부(124)를 기준으로 하여 각 입력 선택 위치를 가압하거나 터치하여 입력이 수행되며,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입력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25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장치(10)에서 베이스(10)의 소정 위치에 3개의 입력유닛이(100, 100', 100")이 각각 마련되며, 상기 각 입력유닛은 연속적으로 이웃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3개의 입력유닛(100, 100', 100")의 각 입력기준블록부(124)는 상기 입력유닛(100, 100', 100")의 각 이격기준점(104)이 포함되는 중심부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각 입력기준블록부(124)에 손가락을 얹으면 연속적으로 이웃하는 3개의 A-B 형태의 이격쌍(150)이 하나의 입력블록 형태로 인지될 수 있다.
또한, 3개의 입력유닛(100, 100', 100")의 중심부에 손가락을 얹으면 중앙에 위치한 입력유닛(100')을 기준으로 상기 입력유닛 각각이 손가락 말절부 중앙으로부터 좌측-중앙-우측 형태의 A-B 형태 이격쌍으로 위치인식(100-100'-100")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3개의 입력유닛(100, 100', 100")은 복수의 레이어 입력모드로 구성되는 다단 레이어 입력모드에서 이격입력, 쌍입력 또는 이격쌍조합입력이 각각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다단 레이어 입력모드에서 별도의 기능키 마련없이 1개 이상의 기능키의 기능명령이 상기 각 레이어 입력모드에 구분되어 할당될 수도 있다.
또한, 도 4 내지 7 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입력유닛(100, 100', 100")의 각 입력기준블록부(124)에서는 상기 이격쌍(150)의 각 이격지시위치(110)에 대응되는 입력 선택 위치가 상기 각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중앙-우측, 중앙 좌측-중앙-중앙 우측, 좌측전후-중앙전후-우측전후 또는 중앙 좌측전후-중앙전후-중앙 우측전후 형태의 A-B 형태 선택 위치로 각각 위치인식 되어, 손가락의 짧은 입력 동선과 상기 위치인식에 따른 익숙한 입력 동작으로 각 입력에서의 데이터 입력을 독립적 또는 연속적으로 쉽고 빠르게 수행 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문자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에 입력되는 데이터 중의 하나이며, 한글, 영어, 일본어, 중국어 등이 포함되고, 세계 각 나라에서 사용되고 있는 문자를 뜻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는 전자기기 또는 전자기기 인터페이스에서 입력과 출력이 되는 숫자, 문자, 기호, 특수기호, 음향, 그림, 영상 등의 정보 또는 자료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도 17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유닛(100)에서 이격기준점(104)을 중심으로 3개의 A-B 형태 이격쌍(150)이 좌측-중앙-우측 형태로 연속적으로 이웃하는 입력기준블록부(124)의 각 이격지시위치(110)에 한글이 할당되어 배치된 예시도이다.
도 17의 (a)와 같은 경우, 한글 문자입력의 일례로 '삶'이라는 입력 수행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입력유닛(100)의 입력기준블록부(124)에 손가락을 얹는 즉시 각 입력 선택 위치가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중앙-우측 A-B 형태로 위치인식된 상태에서, 좌측(①)을 선택하면 'A1-B1이격지시위치'에 대한 쌍입력에 의해 'ㅅ'이입력되고, 좌측전방을 선택한 후 연이어 중앙(②)을 선택하면 'A1이격지시위치'에 대한 이격입력과 'A2-B2이격지시위치'에 대한 쌍입력이 순차적으로 조합되는 이격쌍조합입력에 의해 'ㅏ'가 입력되며, 중앙후방을 선택하면 'A2이격지시위치'에 대한 이격입력에 의해 'ㄹ'이 입력되고, 우측전방을 선택하면 'A3이격지시위치'에 대한 이격입력에 의해 'ㅁ'이 입력되어, '삶'이라는 문자입력이 수행된다.
그런데, 한글 문자입력에서, '응용'이라는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 '응'의 종성인 'ㅇ'과 '용'의 초성인 'ㅇ'이 연속 입력에서 겹치게 된다. 이런 경우, 상기 도 17의 (a)에서 상기 위치인식된 우측(③)에 입력겹침방지 기능을 할당하여 입력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도면에서 위치인식된 중앙(②) 선택에 의한 쌍입력(A2-B2)으로 '응'의 종성인 'ㅇ'이 입력된 후, 우측(③) 선택에 의한 쌍입력(A3-B3)으로 입력겹침방지 신호가 입력된 다음, 중앙(②) 선택에 의한 쌍입력(A2-B2)으로 '용'의 초성인 'ㅇ'이 입력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도 17의 (a)에서 '큰 산'이라는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 상기 위치인식된 우측(③)에 칸띄움 기능을 할당하여 입력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도면에서 위치인식된 좌측후방 선택에 의한 이격입력(B1)으로 '큰'의 종성인 'ㄴ'이 입력된 후, 우측(③) 선택에 의한 쌍입력(A3-B3)으로 칸띄움 신호가 입력된 다음, 좌측 선택에 의한 쌍입력(A1-B1)으로 '산'의 초성인 'ㅅ'이 입력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한글 문자입력시 각 음소 간의 입력겹침방지 또는 칸띄움 기능으로 연속 입력 동작에서 입력이 변경되거나 시간지연 없이 원활하게 입력 수행을 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우측 이격쌍(A3-B3)에 상기한 입력겹침방지 또는 칸띄움 이외 다양한 기능을 할당하여 입력기준블록부(124)에서의 입력을 쉽고 빠르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도 1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파벳 문자입력에서도 상기 한글 문자입력에서의 입력방법이 준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입력기준블록부(124)에서는 입력 선택 후 바로 손가락이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심으로 원위치되는 오토리턴 상태가 유지되어, 사용자는 입력기준블록부(124)에서 연속 동작으로 이루어지는 이격쌍조합입력에 의한 문자입력을 하나의 연결 동작에서의 입력 동작처럼 빠르고 쉽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입력에서의 입력 동작은 전술한 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의 굴림이동 형태가 포함되는 다양한 형태의 입력 동작으로 입력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입력유닛(100)에서는, 상기 입력기준블록부(124) 외측에 1개 이상의 A-B 형태 이격쌍(150)이 더 배치되는 경우에도, 상기 입력기준블록부(124) 외측 이격쌍의 각 입력 선택 위치가 손가락이 위치한 입력기준블록부(124)를 기준으로 입력기준블록부 좌측 또는 우측의 각 A-B 형태 선택 위치로 위치인식 되어, 문자입력을 빠르게 수행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입력유닛(100)에서는 전술한 이격입력, 쌍입력, 이격쌍조합입력, 쌍교번입력 또는 사이드입력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의해 다양한 데이터가 지정되어 입력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입력유닛(100)에는 이격기준점(104)을 중심으로 3개의 A-B 형태 이격쌍(150)이 좌측-중앙-우측 형태로 연속적으로 이웃하는 입력기준블록부(124)가 마련되며, 상기 입력기준블록부(124)에 손가락을 얹는 즉시 상기 입력기준블록부의 각 이격쌍이 손가락 말절부 중앙으로부터 좌측-중앙-우측 형태로 위치인식되고, 입력 선택 위치 전체가 엄지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내 하나의 입력블록 형태로 인지되어, 사용자는 각 입력 선택에 대응되는 독립적 또는 연속적인 데이터 입력을 쉽고 빠르게 수행할 수 있다.
즉, 손가락이 위치한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전후는 A1-B1이격지시위치, 중앙전후는 A2-B2이격지시위치, 그리고 우측전후는 A3-B3이격지시위치로 각 입력 선택 위치가 바로 연상됨으로써 문자입력을 쉽고 빠르게 수행 할 수 있다.
일례로, 도 17의 (c)와 같이,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을 기준으로 10개의 숫자가 각 입력에 할당되어 A-B 형태의 이격쌍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이격입력으로는 좌측전후에 '1'-'2', 중앙전후에 '3'-'4', 우측전후에 '5'-'6'이 각각 할당되고, 쌍입력으로는 좌측에 '7', 중앙에 '8', 우측에 '9'가 각각 할당되며, 이격쌍조합입력으로는 좌측전과 좌측의 조합위치에 '0'이 각각 할당되어 배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전후(1-2)-중앙전후(3-4)-우측전후(5-6) 각각이 이격입력의 각 선택 위치로, 그리고 좌(7)-중(8)-우(9) 각각이 쌍입력의 각 선택 위치로 바로 연상되어 각각의 숫자 입력을 쉽고 빠르게 수행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른 일례로, 도 17의 (d)와 같이,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을 기준으로 4방향의 방향지시 기능이 상기 각 입력에 각각 할당되어 A-B 형태 이격쌍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이격입력으로는 중앙전후에 '↑'-'↓' 와 같은 방향지시 기호가 할당되며, 쌍입력으로는 좌측에 '←', 우측에 '→'와 같은 방향지시 기호가 각각 할당되어 배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입력기준블록부의 중앙을 기준으로, 중앙전후(↑-↓) 각각이 이격입력의 각 선택 위치로, 그리고 좌(←)-우(→) 각각이 쌍입력의 각 선택 위치로 바로 연상되어 각각의 방향지시 기호 입력을 쉽고 빠르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을 기준으로 바로 연상되는 각 A-B 형태 이격쌍(150)의 입력 선택 위치에 손가락을 얹는 즉시 좌측-중앙-우측 또는 좌측전후-중앙전후-우측전후 A-B 형태로 위치인식 함으로써 원하는 데이터 입력을 쉽고 빠르게 수행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입력유닛(100)은 입력기준블록부(124)를 기준으로 상기 입력기준블록부 외측에 1개 이상의 A-B 형태 이격쌍(150)이 더 포함되어 데이터 입력 개수가 증가될 수 있다.
일례로, 도 13의 (b)와 같이 입력유닛(100)에 4개의 A-B 형태 이격쌍(150)이 마련되는 경우, 상기 입력유닛(100)에서 이격입력, 쌍입력 및 이격쌍조합입력이 수행되면 총 76개의 서로 다른 데이터가 입력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도 13의 (c)와 같이 입력유닛(100)에 5개의 A-B 형태 이격쌍(150)이 마련되는 경우, 상기 입력유닛(100)에서 이격입력, 쌍입력 및 이격쌍조합입력이 수행되면 총 115개의 서로 다른 데이터 입력 수행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4개의 A-B 형태 이격쌍(150) 또는 5개의 A-B 형태 이격쌍(150)에서는 각 이격지시위치(110)에 다양한 데이터가 할당되어 입력 수행이 더욱 원활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을 기준으로 바로 위치인식되는 각 이격쌍(150) 또는 각 이격지시위치(110)의 입력 선택 위치가 쉽게 선택됨으로써 데이터 입력이 더욱 빠르게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도 17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A-B 형태의 이격쌍(150)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1)에서, 입력유닛(100)의 기준위치인 이격기준점(104)을 중심으로 3개의 A-B 형태 이격쌍(150)이 좌측-중앙-우측 형태로 연속적으로 이웃하는 입력기준블록부(124)의 각 이격지시위치(110)에 알파벳이 할당되어 배치된 예시도이다.
도 17의 (b)와 같은 경우, 알파벳 문자입력의 일례로 'game'이라는 입력 수행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입력유닛(100)의 입력기준블록부(124)에 손가락을 얹는 즉시 각 입력 선택 위치가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중앙-우측 A-B 형태로 위치인식된 상태에서, 좌측(①)을 선택하면 'A1-B1이격지시위치'에 대한 쌍입력에 의해 'g'가 입력되고, 좌측전방을 선택하면 'A1이격지시위치'에 대한 이격입력에 의해 'a'가 입력되며, 우측전방을 선택한 후 연이어 우측(③)을 선택하면 'A3이격지시위치'에 대한 이격입력과 'A3-B3이격지시위치'에 대한 쌍입력이 순차적으로 조합되는 이격쌍조합입력에 의해 'm'이 입력되고, 우측전방을 선택하면 'A3이격지시위치'에 대한 이격입력에 의해 'e'가 입력되어, 'game'이라는 문자입력이 수행된다.
이와 같이,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을 기준으로 상기 각 입력이 수행되는 경우, 입력 선택 후 손가락의 가압 또는 접촉 해제 즉시 상기 손가락이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심으로 오토리턴 되어 각 문자입력을 하나의 연결 동작에서의 입력 동작처럼 빠르고 쉽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입력에서의 입력 동작은 전술한 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의 굴림이동 형태가 포함되는 다양한 형태의 입력 동작으로 입력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입력유닛(100)에서는, 상기 입력기준블록부(124) 외측에 1개 이상의 A-B 형태 이격쌍(150)이 더 배치되는 경우에도, 상기 입력기준블록부(124) 외측 이격쌍의 각 이격지시위치(110)의 입력 선택 위치가 손가락이 위치한 입력기준블록부(124)를 기준으로 입력기준블록부 좌측 또는 우측의 각 A-B 형태 선택 위치로 위치인식되어, 문자입력을 빠르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입력유닛(100)은, 문자, 숫자, 기호, 엔터, 모드 변환 또는 각 기능명령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이격입력 또는 쌍입력으로 수행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입력유닛(100)은 모드변경 메뉴창(660), 마우스 기능전환 또는 화면 복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기능이 사이드입력에 할당되게 마련할 수도 있다. 이때, 전화통화모드 작동시에는 상기 각 입력이 통화 또는 종료 기능을 수행하도록 지정할 수도 있다.
일례로, 입력유닛(100)은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을 기준으로 3개의 A-B 형태의 이격쌍(150)에서 각 입력에 의해 마우스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마우스 기능모드에서 이격입력 또는 쌍입력에 의해 포인터 이동이 수행될 수 있다.
즉, 도 17의 (d) 또는 도 18의 (a)를 참조하면, 입력기준블록부(124)에 손가락을 얹는 즉시 각 입력 선택 위치가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중앙-우측 A-B 형태로 위치인식된 상태에서, 중앙전방을 선택하여 A2이격지시위치에 대한 이격입력에 의해 포인터가 전방으로 이동되거나, 중앙후방을 선택하여 B2이격지시위치에 대한 이격입력에 의해 포인터가 후방으로 이동되거나, 좌측을 선택하여 A1-B1이격지시위치에 대한 쌍입력에 의해 포인터가 좌측으로 이동되거나, 또는 우측을 선택하여 A3-B3이격지시위치에 대한 쌍입력에 의해 포인터가 우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도 18의 (b)를 참조하면, 입력기준블록부(124)에 손가락을 얹는 즉시 각 입력 선택 위치가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중앙-우측 A-B 형태로 위치인식된 상태에서, 좌측전방을 선택하여 A1이격지시위치에 대한 이격입력에 의해 포인터가 좌측과 전방 사이의 대각 방향으로 이동되거나, 좌측후방을 선택하여 B1이격지시위치에 대한 이격입력에 의해 포인터가 좌측과 후방 사이의 대각 방향으로 이동되거나, 우측전방을 선택하여 A3이격지시위치에 대한 이격입력에 의해 포인터가 우측과 전방 사이의 대각 방향으로 이동되거나, 또는 우측후방을 선택하여 B3이격지시위치에 대한 이격입력에 의해 포인터가 우측과 후방 사이의 대각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마우스 기능모드에서 이격쌍조합입력에 의해 마우스 좌우버튼 또는 스크롤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즉,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 이격쌍(A1-B1) 선택에 의해 마우스 좌측 버튼 기능이 수행되거나, 우측 이격쌍(A3-B3) 선택에 의해 마우스 우측 버튼 기능이 수행되거나, 또는 중앙 이격쌍(A2-B2) 선택과 중앙전방(A2이격지시위치) 또는 중앙후방(B2이격지시위치)의 선택에 의해 스크롤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 중앙 또는 우측 이격쌍 중 어느 1개의 이격쌍(150)이 선택된 후 연이어 좌측전방, 좌측후방, 중앙전방, 중앙후방, 우측전방 또는 우측후방 이격지시위치 중 어느 1개의 이격지시위치(110)가 선택되면, 해당 위치로 마우스 드래그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즉, 입력기준블록부(124)의 3개의 A-B 형태 이격쌍(150) 중 어느 1개의 이격쌍이 이격입력 또는 쌍입력으로 선택된 상태에서, A1이격지시위치, B1이격지시위치, A2이격지시위치, B2이격지시위치, A3이격지시위치 또는 B3이격지시위치 중 어느 1개의 이격지시위치(110)가 이격입력으로 선택되면, 해당 위치로 마우스 드래그 기능이 수행되는 것이다. 이때 드래그 기능에 관한 신호처리는 일반적인 마우스의 신호처리가 준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입력유닛(100)은,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을 기준으로 전술한 이격입력, 쌍입력, 이격쌍조합입력 또는 사이드입력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입력에서 2회 이상 연속 선택의 다단 입력이 수행되는 경우, 마우스 포인터 이동 또는 스크롤 동작에서 속도를 단계별로 구분하여 조절하거나, 또는 가속이나 감속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입력에서 2회 연속 선택의 다단 입력시 입력모드 변환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즉, 사이드입력에서 출력되는 모드 메뉴창(660)을 통하여 각 입력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각 선택모드로 이동하여 입력을 수행 할 수 있게 된다.
일례로,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을 기준으로 이격입력, 쌍입력, 이격쌍조합입력 또는 사이드입력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입력이 수행된 상태에서, 모드 메뉴창(660)에 표시된 한글 입력모드, 숫자 입력모드, 알파벳 입력모드, 히라가나 입력모드, 마우스 기능모드, 기호 입력모드, 특수문자 입력모드 등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입력유닛(100)의 데이터표시부(620)에는, 각 이격지시위치(110)에 본래 할당된 데이터는 안보이게 처리하고 메뉴창(660)에 표시된 각종 입력모드가 표시되게 할 수도 있고, 각 이격지시위치(110)에 본래 할당된 데이터와는 별도의 메뉴창(660)이 각각 표시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표시부(620)에는, 본래 할당된 데이터와 모드 메뉴창(660) 각각을 소정 시간 교번으로 전체 또는 부분적 반투명으로 표시되게 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전체 또는 부분적 반투명으로 표시되게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입력유닛(100)에는 조이스틱 기능모드로의 전환기능이 포함되며,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을 기준으로 이격입력, 쌍입력, 이격쌍조합입력 또는 사이드입력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조이스틱 입력모드로 전환되어 수행되는 경우, 게임캐릭터나 아바타의 이동, 게임캐릭터나 아바타의 이동 중 지정방향으로의 상승 또는 하강, 또는 게임캐릭터나 아바타의 지정위치에서의 회전이나 점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기능이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유닛(100)에서,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을 기준으로 이격입력, 쌍입력, 이격쌍조합입력 또는 사이드입력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문서 모드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 문서 메뉴창 이동, 문서 메뉴창 드래그, 문서 메뉴창 이동 검색, 문서 메뉴창 확대 또는 축소, 지정된 폴더나 파일의 드래그, 파일 내용의 전체 또는 부분 복사, 파일 내용의 전체 또는 부분 끌어오기, 그래픽 대상물의 이동, 그래픽 대상물의 확대나 축소, 그래픽 대상물의 기울임 또는 그래픽 대상물의 지정위치에서의 회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기능이 각각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입력유닛(100)이 적용되는 전자기기 또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전원을 켜면 마우스 기능 메뉴창(660)과 기본 입력 메뉴창(660)이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600) 또는 베이스(10) 소정 위치에 각각 나타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뉴창(660)은 문자 입력 또는 숫자 입력이 포함되는 각종 메뉴창(660)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뉴창(660)에서는, 마우스 기능 메뉴창(660)이 고정되어 나타나게 할 수도 있고, 손가락 접촉에 따라 입력모드 메뉴창(660)이 나타나게 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메뉴창(660)에는, 기본 입력 메뉴창(660)이 지정된 시간 동안 반복적으로 나타나게 할 수도 있고, 각종 입력 메뉴창(660)이 손가락 접촉이나 지정 신호에 따라 기본 입력 메뉴창(660)으로 복귀되어 나타나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메뉴창(660)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전자기기 또는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드키(290)를 이용하여 마우스 기능 메뉴창(660)이 호출되거나, 또는 임의의 입력 지정 메뉴창(660)으로 호출되거나, 또는 기본 입력 메뉴창(660)으로 복귀되어 입력 수행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입력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상기 입력기준블록부(124)에서는 입력 선택 후 바로 손가락이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심으로 원위치되는 오토리턴 상태가 유지되어, 사용자는 입력기준블록부(124)에서 연속 동작으로 이루어지는 각 문자입력을 하나의 연결 동작에서의 입력 동작처럼 빠르고 쉽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입력에서의 입력 동작은 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의 굴림이동 형태가 포함되는 다양한 형태의 입력 동작으로 입력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입력유닛(100)에서는, 상기 입력기준블록부(124) 외측에 1개 이상의 A-B 형태 이격쌍(150)이 더 배치되는 경우에도, 상기 입력기준블록부(124) 외측 이격쌍의 각 이격지시위치(110)의 입력 선택 위치가 손가락이 위치한 입력기준블록부(124)를 기준으로 입력기준블록부 좌측 또는 우측의 각 A-B 형태 선택 위치로 위치인식 되어, 각 모드 또는 각종 기능에 할당된 데이터 입력명령의 입력처리를 빠르게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입력유닛(100) 또는 입력부(200)에는 이격기준점(104)을 지나는 이격기준선(106)을 기준으로 상기 이격기준선으로부터 양측으로 분할되는 A이격부(130)와 B이격부(140)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이격지시위치(110)에 대한 독립적 또는 연속적 선택에 의한 입력이 감지되는 이격감지부(300)가 포함된다.
이 경우, 이격감지부(300)는 손가락 입력 가능 영역(102) 내에서 이격입력, 쌍입력 또는 이격쌍조합입력이 포함되어 수행되는 각 입력의 형태에 대응 가능하도록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을 참조하여, 이격감지부(300)는 베이스(10)와 입력유닛(100) 사이의 소정 위치에서 입력 선택에 의한 입력이 감지되는 압력센서로 마련되거나, 또는 접촉이 감지되는 접촉센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이격감지부(300)는 순차적 입력 선택에 대응 가능하게 마련되어 각 단계별로 2단 이상의 신호가 각각 구분되어 발생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이격감지부(300)는 입력 선택에 의한 가압력 세기 차이에 따라 단계별로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 7과 같이 입력유닛(100) 또는 입력부(200)의 상부에 마련된 입력접촉영역(212)에서 입력 선택에 의해 입력이 수행되거나, 또는 도 26의 (a) 내지 (e)와 같이 입력유닛(100) 또는 입력부(200)에 마련된 입력선택부(220)에서 입력 선택에 의해 입력이 수행되는 경우, 입력접촉영역(212) 또는 입력선택부(220) 하부에 구비되는 압력센서, 접촉센서 또는 터치패드 등이 이격감지부(300)로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이격감지부(300)는, 베이스(10)와 입력유닛(100) 또는 입력부(200) 사이에서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며 가압에 의한 감지 센서 접촉 후 탄성으로 리턴되는 탄성부재(240)일 수도 있고, 자체적으로 수축과 리턴이 반복 수행되는 전도성 탄성부재(240)일 수도 있다. 이때 탄성부재(240)는 입력 선택에 따른 수직방향의 압력은 물론, 경사 방향의 압력에도 대응되도록 부분 또는 전체가 소정의 탄성계수에 의해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이격감지부(300)는 손가락의 입력 선택에 의한 접촉이 감지되는 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터치스크린에는 촉각센서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격감지부(300)는 손가락의 전체 또는 부분 변위가 감지되도록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입력유닛(100) 또는 입력부(200)의 A이격부(130) 및 B이격부(140)에는, 각 입력 선택 위치 또는 입력선택부(220)에 대응하는 각 이격지시위치나 그 주변에 수개의 감지 센서(330)가 더 추가되는 다양한 형태의 이격감지부(300)가 더 마련될 수도 있으며, 이 외에 이격감지부(300)는 손가락 입력 가능 영역(102)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마련되거나 또는 변형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도 10의 (e)를 참조하면, A이격지시위치(132)와 접촉되는 A이격감지부(340)에 수개의 감지 센서(341, 342)와, B이격지시위치와(142) 접촉되는 B이격감지부(350)에 수개의 감지 센서(351, 352)가 각각 마련되어 각 입력 선택의 접촉에 의한 입력신호가 발생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A-B 형태의 이격쌍(150)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1)에서, 입력유닛(100) 또는 입력부(200)는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26의 (a) 내지 (h)는, 입력유닛(100) 또는 입력부(200)의 다양한 형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여기서, 입력유닛(100) 또는 입력부(200)는 손가락이 접촉된 상태에서 손가락의 변위 또는 입력 동작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입력기준블록부(124)가 포함되는 입력유닛(100) 또는 입력부(200)는 엄지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의 굴림이동 범위 궤적의 폭 이내에 대응되는 크기로 마련되거나, 엄지손가락 말절부의 폭에 대응되는 크기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입력유닛(100) 또는 입력부(200)는 평판형, 다각형, 타원형, 반구형, 전체 또는 부분 원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가 포함되어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형상이 조합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입력유닛(100) 또는 입력부(200)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26의 (a)와 같이, 입력유닛(100) 또는 입력부(200)는 평판이 포함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각 형태에는 이격홈, 이격라인, 이격돌기, 돌출프레임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도 26의 (b)와 같이, 입력유닛(100) 또는 입력부(200)는 이격홈(230)이 형성된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입력유닛(100) 또는 입력부(200)의 입력기준블록부(124) 중앙을 기준으로 3개의 A-B 형태 이격쌍(150)의 각 이격쌍 사이에, 즉 좌측 이격쌍과 중앙 이격쌍, 그리고 중앙 이격쌍과 우측 이격쌍 사이에 각각 소정의 이격홈(23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6의 (c)와 같이, 입력유닛(100) 또는 입력부(200)는 이격라인(232)이 형성된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입력기준블록부(124) 또는 입력면(210)의 중앙을 기준으로 3개의 A-B 형태 이격쌍(150)의 각 이격쌍 사이에, 즉 좌측 이격쌍과 중앙 이격쌍, 그리고 중앙 이격쌍과 우측 이격쌍 사이에 각각 소정의 이격라인(23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6의 (d)와 같이, 입력유닛(100) 또는 입력부(200)는 이격돌기(234)가 형성된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즉, 입력기준블록부(124) 또는 입력면(210)의 중앙을 기준으로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의 각 이격지시위치(110)에 대응되는 입력 선택 위치에 6개의 이격돌기(234)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6의 (e)와 같이, 입력유닛(100) 또는 입력부(200)는 돌출프레임(236)이 형성된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즉, 입력유닛(100) 또는 입력면(210)의 중앙을 기준으로 3개의 A-B 형태 이격쌍(150)의 각 이격지시위치(110)에 대응되는 입력 선택 위치를 따라 소정 폭의 외곽면이 돌출되는 돌출프레임(236)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6의 (f)와 같이, 입력유닛(100) 또는 입력부(200)는 지지대(250)가 형성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입력유닛(100) 또는 입력부(200)의 중심부, 즉 이격기준점(104)을 관통하는 지지대(250)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도 26의 (g)와 같이, 입력유닛(100) 또는 입력부(200)는 오목부(280)가 형성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즉, 입력기준블록부(124) 또는 입력면(210)의 중앙을 기준으로 오목부(28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6의 (h)와 같이, 입력유닛(100) 또는 입력부(200)는 비대칭오목입체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입력유닛(100) 또는 입력부(200)의 중앙을 기준으로 비대칭오목부(282)가 형성되는 입체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하지만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입력유닛(100) 또는 입력면(210)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입력유닛(100) 또는 입력부(200)는 손가락 말절부를 얹는 즉시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을 기준으로 각 입력 선택 위치가 A-B 형태로 각각 위치인식 되도록 하는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유닛(100) 또는 입력부(200)의 다양한 형상은 입력 선택시나 입력 동작시에 손가락의 미끄러짐을 억제하거나, 또는 파지와 조작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입력유닛(100) 또는 입력부(200)는 탄성체 또는 비탄성체가 포함되는 다양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그 일례로, 도 27의 (a)는, 입력유닛(100) 또는 입력부(200)가 비탄성재질로 마련되는 경우의 단면도이다.
다른 일례로, 도 27의 (b) 내지 (e)는, 입력유닛(100) 또는 입력부(200)가 탄성재질로 마련되는 경우의 다양한 형태로 구비되는 각 단면도이다.
예를 들어, 도 27의 (b)와 같이, 입력유닛(100) 또는 입력부(200)가 탄성재질로 마련되는 경우에 패널 형태의 탄성부재(240)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27의 (c)와 같이, 입력유닛(100) 또는 입력부(200)는 입력면(210)과 상기 입력면에 대응되는 하단부가 탄성재질로 마련되는 경우, 상부의 입력면(210)과 하부의 패널 형태의 탄성부재(240)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27의 (d)와 같이, 입력유닛(100) 또는 입력부(200)는 입력면(210)과 상기 입력면에 대응대는 하단부가 탄성재질로 마련되는 경우, 상부의 입력면(210)과 하부의 패널 형태의 탄성부재(240)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입력면(210)은,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분할되며, 상기 탄성부재(240)의 상단에 오목하게 삽입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7의 (e)와 같이, 입력유닛(100) 또는 입력부(200)는 입력면(210)과 상기 입력면에 대응되는 하단부가 탄성재질로 마련되는 경우, 상부의 입력면(210)과 하부의 패널 형태의 탄성부재(240)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입력면(210)은 입력기준블록부(124)의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분할되며, 상기 탄성부재(240)의 상단에 볼록하게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2, 도 24, 도 25 또는 도 2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의 베이스(10)에 한개 이상의 디스플레이부(600)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10)의 일측에 디스플레이부(600)가 마련되는 경우, 제어부(400)는 각 입력시의 감지신호로부터 판독된 입력신호의 해당 데이터 입력명령을 추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600)에 표시되도록 입력처리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모드가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부(600)에는, 입력유닛(100)의 각 이격지시위치(110)에 할당된 데이터가 표시되고, 사용자의 입력 선택 또는 입력 동작에 따라 해당 입력내용이 표시되거나, 또는 선택된 입력모드에서 할당된 데이터가 표시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표시부(62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17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데이터표시부(620)에는 각 이격지시위치(110)에 할당된 문자, 숫자, 기호 또는 각종 기능키(270)가 포함되는 다양한 데이터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표시부(620)는 입력모드시에 각종 입력 메뉴창(660)으로 출력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데이터표시부(620)는 도 24와 같이 한개 이상 마련되어 할당된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일례로, 도 24의 (a)와 같이, 2개의 데이터표시부(620)는 디스플레이부(600)에 제1데이터표시부(621), 입력유닛(100) 주변의 베이스(10)에 제2데이터표시부(622)로 각각 마련되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8의 (c) 내지 (d), 도 22 또는 도 23을 참조하면, 데이터표시부(620)는 복수의 레이어 입력모드로 구성되는 다단 레이어 입력모드에서 각 레이어별로 구분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일례로, 도 23의 (b)를 참조하면, 6개의 데이터표시부(620, 620')가 다단 레이어 입력모드로 표시되는 경우, 제1 레이어 입력모드에 제1데이터표시부(621), 제2 레이어 입력모드에 제2데이터표시부(622), 제3 레이어 입력모드에 제3데이터표시부(623), 제4 레이어 입력모드에 제4데이터표시부(624), 제5 레이어 입력모드에 제5데이터표시부(625) 또는 제6 레이어 입력모드에 제6데이터표시부(626)로 각 레이어별로 구분되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런데, 데이터표시부(620)는 하나 이상의 메뉴창(660)으로 출력되어 표시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도 23의 (b)를 참조하여, 6단으로 출력되는 데이터표시부(620, 620')는 6개의 메뉴창(660)일 수 있으며, 메뉴창(660)은 데이터표시부(620)의 다단 레이어 입력모드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일례로, 메뉴창(660)이 다단 레이어 입력모드 형태로 출력되는 경우, 제1 레이어 메뉴창(621)은 문자, 제2 레이어 메뉴창(622)은 숫자, 제3 레이어 메뉴창(623)은 기호 등으로 할당된 각각의 데이터가 레이어별로 구분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3 레이어 메뉴창(660) 중, 사용중인 메뉴창(660)은 화면에 표시되게 하고, 그 외의 메뉴창(660)은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반투명으로 표시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23을 참조하여, 베이스(10)의 소정 위치에 2개의 입력유닛(100, 100')이 마련되는 경우, 복수의 레이어로 출력되어 표시되는 메뉴창(660)은 다양한 형태의 입력모드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입력유닛(100, 100') 중에서, 일측의 메뉴창과 다른 일측의 메뉴창 기능이 연동되어 동일한 입력모드의 데이터가 나누어 표시될 수도 있으며, 일측의 메뉴창은 한글, 그리고 다른 일측의 메뉴창은 알파벳으로 구분되어 표시될 수도 있다. 이때 각 메뉴창(660)의 조작은 전술한 문자입력의 각 입력에 준용하여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표시부(620)는, 입력유닛(100) 또는 입력부(200)의 디스플레이부나 지정된 위치에서 표시되게 할 수도 있으며, 입력 선택시 손가락 접촉에 의한 접촉신호 발생지점을 기준으로 표시되게 할 수도 있다. 이때 입력 선택에 대응되는 이격감지부(300)는 손가락 접촉을 감지하는 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으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입력유닛 또는 입력부에서 복수의 레이어 형태로 메뉴창(660)이 출력되는 경우, 상기 메뉴창(660)은 다양한 형태의 입력모드로 구성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입력유닛(100) 또는 입력부(200)에서는 손가락에 의해 입력이 수행되며, 이 외에 펜이나 스타일러스가 포함되는 다양한 입력수단(900)이 이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입력유닛(100)은 전자기기 또는 전자기기 인터페이스에 다양한 형태로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입력유닛(100)은 도 25의 (a)와 같은 일체형 단말기, 도 24의 (a)와 같은 슬라이드형 단말기, 도 2와 같은 착탈형 단말기 등의 구성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24의 (b) 내지 (c), 도 25의 (b) 내지 (c), 도 29의 (a) 내지 (b) 등과 같이 2개의 입력유닛(100, 100'), 또는 도 25의 (d)와 같이 3개의 입력유닛(100, 100', 100")이 마련되어 적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입력유닛은 휴대형 단말기뿐만 아니라 고정형 전자기기 또는 전자기기 인터페이스에 다양한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입력유닛은 이격입력, 쌍입력 또는 이격쌍조합입력 중 하나 이상이 독립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입력 수행이 되는 입력부(200)와, 상기 입력부의 각 입력이 감지되는 이격감지부(300)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26의 (f)를 참조하면, 입력유닛(100) 또는 입력부(200)에는 중심부, 즉 이격기준점(104)을 관통하는 지지대(25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지지대(250)는 입력유닛(100) 또는 입력부(200) 외측으로 돌기된 형태나, 또는 내측으로 수용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대(250)는 탄성부재(240)로 마련될 수 있으며, 입력시 손가락의 변위나 입력 동작이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소정의 탄성계수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지지대는 입력 수행 후 입력유닛(100) 또는 입력부(200)이 원래의 상태로 복귀되도록 하는 리턴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240)가 전도성 재질로 구비되는 경우에 지지대(250)는 입력 선택에 의해 지정된 신호가 발생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각 단말기에는,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의 일측에 소정의 기능키(27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기능키(270)는 입력모드 변환, 메뉴창 변환, 화면 변환 등의 입력모드 변환이나, 다양한 입력명령을 용이하게 입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기능키(270)는 가압 또는 접촉에 의해 입력 수행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1 : 데이터 입력장치 10 : 베이스
20 : 일체형 단말기 22 : 슬라이드형 단말기
24 : 착탈형 단말기
30 : 2벌식 입력유닛의 일체형 단말기
32 : 2벌식 입력유닛의 슬라이드형 단말기
34 : 2벌식 입력유닛의 태블릿형 단말기
100 (100', 100") : 입력유닛 102 : 손가락 입력 가능 영역
104 : 이격기준점 106 : 이격기준선
110 : 이격지시위치
120 : 이격부 124 : 입력기준블록부
130 : A이격부 132 : A이격지시위치
140 : B이격부
142 : B이격지시위치
150 : 이격쌍 152 : A-B이격지시위치
200 : 입력부
210 : 입력면 212 : 입력접촉영역
220 : 입력선택부 230 : 이격홈
232 : 이격라인 234 : 이격돌기
236 : 돌출프레임 240 : 탄성부재
242 : 접촉단자 250 : 지지대
260 : 통화키 270(270') : 기능키
271 : 제1기능키 272 : 제2기능키
273 : 제3기능키 274 : 제4기능키
275 : 제5기능키 280 : 오목부
282 : 비대칭오목부 290 : 사이드키
300 : 이격감지부 320 : 터치감지부
330 : 센스 340 : A이격감지부
341 : A이격감지부 제1센서 342 : A이격감지부 제2센서
350 : B이격감지부 351 : B이격감지부 제1센서
352 : B이격감지부 제2센서 400 : 제어부
500 : 메모리부 600 : 디스플레이부
620(620') : 데이터표시부 621 : 제1데이터표시부
622 : 제2데이터표시부 623 : 제3데이터표시부
624 : 제4데이터표시부 625 : 제5데이터표시부
626 : 제6데이터표시부 660 : 메뉴창
700 : 거치대형 인터페이스 702 : 거치대
720 : 착탈형 인터페이스 740 : 유선형 인터페이스
760 : 무선형 인터페이스 900 : 입력수단
910 : 손가락 말절부
920 : 제1굴림이동범위(좌측-중앙-우측)
930 : 제2굴림이동범위(전방-후방) 940 : 제3굴림이동범위(대각방향)
Claims (137)
- 베이스에 마련되는 입력유닛- 상기 입력유닛은, 손가락 입력 가능 영역 내에서 기준위치인 이격기준점과 상기 이격기준점을 지나는 하나의 이격기준선을 기준으로 상기 이격기준선으로부터 양측으로 분할되는 A이격부와 B이격부에서, 상기 A이격부에 다수의 A이격지시위치들 및 B이격부에 다수의 B이격지시위치들이 상기 이격기준선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어 맞대응 하는 A-B이격지시위치 배열로 이격기준선을 따라 1쌍씩 각각 배치되는 다수의 A-B 형태 이격쌍들로 구비되되,
상기 이격쌍들에는 상기 이격기준점을 중심으로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좌측-중앙-우측 형태로 연속적으로 이웃하는 입력기준블록부가 포함되어,
상기 이격쌍들 중 하나 이상의 이격지시위치에 대한 독립적 또는 연속적 선택에 의한 입력이 감지되고, 상기 독립적 또는 연속적 선택에 의한 입력에 대응되는 입력신호가 발생됨-; 및
상기 입력신호로부터 상기 독립적 또는 연속적 선택에 의한 입력을 구분해서 판단하여, 메모리부로부터 상기 판단된 입력신호에 할당된 데이터를 추출하여 입력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입력기준블록부의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엄지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의 굴림이동 범위 내에 위치하여, 상기 입력기준블록부의 각 이격쌍이 손가락 말절부 중앙으로부터 좌측-중앙-우측 형태로 위치인식 되는 한편,
상기 입력기준블록부에 손가락을 얹으면 입력기준블록부의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엄지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내 하나의 입력블록 형태로 인지됨으로써, 상기 입력기준블록부 외부에 배치된 이격쌍의 입력 선택 위치가 상기 입력기준블록부를 기준으로 입력기준블록부 좌측 또는 우측의 각 A-B 형태 이격쌍으로 위치인식 되어, 데이터 입력이 독립적 또는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 형태의 이격쌍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유닛은 입력시의 신호가 감지되는 이격감지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 형태의 이격쌍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유닛에서의 입력은 이격입력 또는 쌍입력에 의해 데이터 입력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 형태의 이격쌍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입력은 상기 이격쌍들 중 어느 1개의 이격지시위치가 선택되어 해당 이격지시위치에 할당된 데이터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 형태의 이격쌍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쌍입력은 상기 이격쌍들 중 어느 1쌍의 A-B이격지시위치의 A이격지시위치와 B이격지시위치가 동시에 선택되어 해당 이격지시위치에 할당된 데이터와는 다른 새로운 데이터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 형태의 이격쌍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 삭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감지부는 압력센서, 촉각센서 중 어느 하나가 포함되거나 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이 포함되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 형태의 이격쌍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기준블록부는 엄지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의 굴림이동 궤적의 폭 이내에 대응되는 크기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 형태의 이격쌍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기준블록부에서 각 이격지시위치에 대한 입력 선택시 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의 굴림이동에 의한 입력 동작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 형태의 이격쌍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유닛은 입력시 상기 이격쌍들의 각 이격지시위치가 선택되도록 형성된 입력 가능한 형태의 패널이 포함되고 착탈식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 형태의 이격쌍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유닛은 탄성체 또는 비탄성체 재질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 형태의 이격쌍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유닛에서 입력 동작은 상기 이격쌍들의 각 입력 선택 위치를 가압하거나 또는 터치하는 형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 형태의 이격쌍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유닛에서는, 상기 입력기준블록부 외측에 1개 이상의 A-B 형태 이격쌍이 더 배치되는 경우, 상기 입력기준블록부 외측 이격쌍의 각 이격지시위치의 입력 선택 위치가 손가락이 위치한 입력기준블록부를 기준으로 입력기준블록부 좌측 또는 우측의 각 A-B 형태 선택 위치로 위치인식되고, 상기 각 A-B 형태 선택 위치는 상기 이격기준선을 기준으로 A이격부 방향과 B이격부 방향의 전방-후방 형태로 위치인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 형태의 이격쌍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유닛은 입력 선택 가압력의 세기 차이에 의한 2회 이상의 연속 신호가 발생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 형태의 이격쌍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쌍입력에서 상기 이격쌍들 중 1쌍의 A-B이격지시위치의 A이격지시위치와 B이격지시위치가 감지 센서에 동시접촉되지 아니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에서는 미리 설정된 시간값에 의해 2개의 순차적 신호를 쌍입력으로 판단하여 입력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 형태의 이격쌍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 삭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유닛에서의 입력에는 이격입력과 쌍입력이 조합되는 이격쌍조합입력이 더 포함되고,
상기 이격쌍조합입력에서는 상기 이격쌍들 중에서 어느 1개의 이격지시위치가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이격입력과 1쌍의 A-B이격지시위치의 A이격지시위치와 B이격지시위치가 동시에 선택되는 쌍입력이 순차적으로 조합되는 입력에 의해 해당 이격지시위치에 할당된 데이터와는 다른 새로운 데이터가 입력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 형태의 이격쌍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쌍조합입력에서 이격입력과 쌍입력의 입력 동작 순서가 다른 각각의 경우, 상기 제어부는 각 입력시의 감지신호로부터 입력신호를 판단하여 각각의 해당 입력에 할당된 서로 다른 데이터를 입력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 형태의 이격쌍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쌍조합입력에서 상기 이격쌍들 중 하나의 이격쌍에서 어느 1개의 이격지시위치가 중복 선택되어 3개의 신호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3개의 신호로부터 이격입력 후 쌍입력 또는 쌍입력 후 이격입력으로 이루어지는 이격쌍조합입력으로 판단하고 각 입력 순서를 구분하여 해당 입력에 할당된 데이터를 입력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 형태의 이격쌍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3개의 신호 발생에서 이격입력 후 쌍입력에 의한 이격지시위치 접촉시와, 쌍입력 후 이격입력에 의한 이격지시위치 접촉시에, 상기 제어부는 입력시 서로 다른 각 입력의 조합 순서에 따라 발생되는 3개의 신호로부터, 접촉신호 발생시간 차이가 작은 2개의 연속신호를 설정시간값에 따라 쌍입력으로 판단하고 그 쌍입력의 2개의 연속신호를 기준으로 각기 다른 이격쌍조합입력으로 입력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 형태의 이격쌍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쌍조합입력에서 이격입력과 쌍입력이 조합되어 수행되되 상기 쌍입력시에 동시접촉신호가 발생되지 아니하여 3개의 신호가 연속적으로 발생되는 경우, 상기 쌍입력시에 발생되는 2개의 연속신호값을 쌍입력신호값 데이터베이스로 처리하여 각각의 쌍입력 신호가 입력처리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 형태의 이격쌍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쌍조합입력에서 어느 이격쌍의 1개의 이격지시위치와 다른 이격쌍의 1개의 이격지시위치가 순차적으로 선택되어 2개의 신호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2개의 신호로부터 해당 입력신호를 판단하여 이격쌍조합입력으로 입력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 형태의 이격쌍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유닛은, 상기 이격기준점과 이격기준선을 기준으로 상기 이격기준선으로부터 양측으로 분할된 A이격부에 다수의 A이격지시위치들 및 B이격부에 다수의 B이격지시위치들이 상기 A-B이격지시위치 배열로 이격기준선을 따라 1쌍씩 각각 배치되는 다수의 A-B 형태 이격쌍들로 마련되며 상기 이격쌍들의 각 이격지시위치에 대응되는 입력 선택 위치가 독립적 또는 연속적으로 선택되어 이격입력, 쌍입력 또는 이격쌍조합입력 중 하나 이상이 수행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에서의 각 입력이 감지되는 이격감지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 형태의 이격쌍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에서는, 상기 이격쌍들 중 1개의 이격지시위치가 선택되는 이격입력과, 1쌍의 A-B이격지시위치의 A이격지시위치와 B이격지시위치가 동시에 선택되는 쌍입력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독립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 형태의 이격쌍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 삭제
-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쌍조합입력에서 상기 이격입력과 쌍입력의 입력 동작 순서가 다른 각각의 경우, 상기 제어부는 각 입력시의 감지신호로부터 입력신호를 판단하여 각각의 해당 입력에 할당된 서로 다른 데이터를 입력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 형태의 이격쌍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에는 상기 입력기준블록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 형태의 이격쌍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유닛의 상부에는 입력시 상기 이격쌍들의 각 이격지시위치에 대응되는 위치가 선택되도록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입력선택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 형태의 이격쌍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 삭제
- 삭제
-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선택부에는 이격홈 또는 돌출 형태의 이격라인이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입력선택부는 상기 이격홈 또는 이격라인에 의해 상기 입력유닛에 마련된 입력기준블록부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 입력선택부-중앙 입력선택부-우측 입력선택부 형태로 각각 구획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 형태의 이격쌍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 삭제
-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홈 또는 이격라인은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직선형, 곡선형 또는 파형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며,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대칭이나 비대칭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 형태의 이격쌍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선택부는 상기 입력유닛에 이격돌기 또는 돌출프레임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 형태의 이격쌍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유닛은, 상기 베이스에 접촉 및 분리 가능한 거치대에 마련되는 거치대형 인터페이스, 상기 베이스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한 형태로 마련되는 착탈형 인터페이스, 상기 베이스에 유선으로 연결되는 유선형 인터페이스 또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는 베이스에 무선으로 연결되는 무선형 인터페이스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 형태의 이격쌍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각 인터페이스에는 입력시 해당 입력에 할당된 데이터 입력명령을 연결기기의 베이스와 송수신하는 유선 또는 무선의 송수신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 형태의 이격쌍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각 인터페이스에는 소정위치에 하나 이상의 사이드키 또는 기능키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 형태의 이격쌍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각 인터페이스는 입력시 입력 메뉴창을 조절하는 메뉴창조절기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 형태의 이격쌍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창조절기는 입력 메뉴창의 조작 또는 입력 메뉴창의 각 데이터를 포인팅 하거나, 검색, 확대, 축소, 변경, 개시, 정지 또는 이동을 포함한 작업을 수행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 형태의 이격쌍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각 인터페이스에는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 형태의 이격쌍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손가락의 접촉이 감지되는 터치스크린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 형태의 이격쌍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표시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 형태의 이격쌍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각 인터페이스에는 입력 선택시의 접촉에 대응하여 지정된 입력 인식 수단이 작동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 형태의 이격쌍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유닛에서의 입력에는 쌍교번입력이 더 포함되되, 상기 쌍교번입력에서는 상기 이격쌍들 중 어느 1쌍의 A-B이격지시위치의 A이격지시위치와 B이격지시위치가 순차적으로 연속 선택되거나 또는 그와 반대로 B이격지시위치와 A이격지시위치가 순차적으로 연속 선택되어 데이터 입력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 형태의 이격쌍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쌍교번입력에서, 상기 이격쌍들 중 1쌍의 A이격지시위치와 B이격지시위치의 교번 입력 동작 순서에 의한 2개의 입력신호는 각각 서로 다른 데이터로 입력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 형태의 이격쌍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력유닛의 디스플레이부에는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모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 형태의 이격쌍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모드에는 복수의 레이어로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다단 레이어 입력모드가 포함되되, 상기 다단 레이어 입력모드는 문자, 숫자, 방향지시 또는 특수기호가 포함되는 입력모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 형태의 이격쌍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 레이어 입력모드에는 하나 이상의 기능키의 기능명령이 할당되고, 상기 입력모드에서는 이격입력, 쌍입력 또는 이격쌍조합입력이 각각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 형태의 이격쌍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이격지시위치를 선택하는 입력유닛의 상부에 손가락의 접촉이 감지되는 터치감지부가 더 마련되고, 상기 터치감지부는 상기 각 이격지시위치의 손가락 접촉에 대응하여 입력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 형태의 이격쌍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유닛은 상기 베이스의 소정 위치에 2개 이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 형태의 이격쌍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유닛은 상기 베이스의 소정 위치에 2개로 마련되되,
상기 2개의 입력유닛에서는 이격입력, 쌍입력 또는 이격쌍조합입력에 의한 입력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입력이 서로 동일하게 수행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서로 다르게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 형태의 이격쌍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유닛에는 이격입력, 쌍입력 또는 이격쌍조합입력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서로 다른 기능이 각각 할당되어 데이터 입력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 형태의 이격쌍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입력유닛 중, 일측의 입력유닛에서는 문자입력이 수행되고, 타측의 입력유닛에서는 기능명령이 수행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 형태의 이격쌍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유닛은 문자입력과 기능명령이 함께 구성되어 입력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 형태의 이격쌍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입력유닛은 마우스 기능모드로의 전환기능을 가지며, 상기 마우스 기능모드로 전환시 일측에서는 포인터 이동이 수행되고 타측에서는 포인터 조작 기능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 형태의 이격쌍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 삭제
- 삭제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유닛이 마련된 베이스의 소정 위치에는 하나 이상의 사이드키가 더 포함되어 상기 사이드키 선택에 의한 사이드입력이 수행되고, 상기 사이드입력이 이격입력, 쌍입력, 이격쌍조합입력과 조합되는 경우 상기 사이드입력과 상기 각 입력과의 조합 순서에 따라 서로 다른 데이터가 할당되어 입력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 형태의 이격쌍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 제6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유닛은, 문자, 숫자, 기호, 엔터, 모드 변환 또는 각 기능명령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이격입력 또는 쌍입력으로 수행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 형태의 이격쌍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 제65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입력에는 입력모드 변환, 메뉴창 변환, 화면 변환 또는 마우스 기능전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기능이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 형태의 이격쌍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 제6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유닛에는 마우스 기능모드로의 전환기능이 더 포함되며, 상기 마우스 기능모드 전환시 이격쌍조합입력에 의해 마우스 좌우버튼이나 스크롤 또는 드래그 기능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 형태의 이격쌍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 제65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키에는 손가락의 접촉이 감지되는 터치감지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어부는 손가락의 접촉이 상기 터치감지부에 소정 시간 이상 감지되면 터치감지부의 감지신호로부터 터치 입력 신호를 무효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 형태의 이격쌍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 제6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유닛에는 조이스틱 기능모드로의 전환기능이 더 포함되며, 이격입력, 쌍입력, 이격쌍조합입력 또는 사이드입력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조이스틱 기능모드로 전환시 게임캐릭터나 아바타의 이동, 게임캐릭터나 아바타의 이동 중 지정방향으로의 상승 또는 하강, 또는 게임캐릭터나 아바타의 지정위치에서의 회전이나 점프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 형태의 이격쌍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 제6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유닛에서 이격입력, 쌍입력, 이격쌍조합입력 또는 사이드입력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문서 모드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 문서 메뉴창 이동, 문서 메뉴창 드래그, 문서 메뉴창 이동 검색, 문서 메뉴창 확대 또는 축소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기능이 각각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 형태의 이격쌍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유닛이 전자기기 또는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되는 경우, 상기 전자기기 또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을 켜면 마우스 기능 메뉴창과 기본 입력 메뉴창이 상기 단말기에 마련된 디스플레이부에 나타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 형태의 이격쌍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선택부의 하부에는 압력센서, 접촉센서 또는 터치패드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이격감지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 형태의 이격쌍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감지부는 가압에 의한 감지 센서 접촉 후 탄성으로 리턴되는 탄성부재 또는 전도성 탄성부재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 형태의 이격쌍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 제1항 또는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유닛의 A이격부 및 B이격부에는 각 이격지시위치의 입력 선택 위치에 대응되는 수개의 감지 센서가 마련된 이격감지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 형태의 이격쌍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 제1항 또는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유닛은 평판형, 다각형, 타원형, 반구형, 전체 또는 부분 원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가 포함되어 형성되거나, 상기 하나 이상의 형상이 조합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 형태의 이격쌍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 제7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유닛은 상기 각 형태에 이격홈, 이격라인, 이격돌기 또는 돌출프레임 중 어느 하나가 더 포함되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 형태의 이격쌍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 제7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유닛은 이격기준점을 관통하는 지지대가 포함되는 사각형 패널로 마련되며, 상기 지지대는 상기 입력유닛의 외측으로 돌기된 형태 또는 내측으로 수용된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 형태의 이격쌍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 제7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유닛은 소정의 오목부가 형성된 사각형 패널로 마련되거나, 비대칭오목부가 형성된 입체형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 형태의 이격쌍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 제7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유닛은 상기 이격기준선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분할되거나, 오목하게 삽입된 형태 또는 볼록하게 돌출된 형태 중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 형태의 이격쌍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 제1항 또는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부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 형태의 이격쌍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 제8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디스플레이부가 마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각 입력시의 감지신호로부터 판독된 입력신호의 해당 데이터 입력명령을 추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입력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 형태의 이격쌍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 제8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이격쌍들의 각 이격지시위치에 할당된 데이터가 표시되고, 사용자의 입력 선택 또는 입력 동작에 따라 해당 입력 내용이 표시되거나, 또는 선택된 입력모드에서 할당된 데이터가 표시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표시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 형태의 이격쌍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 제8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표시부는 다단 레이어 입력모드 형태로 각 레이어별로 구분되어 표시되고, 상기 데이터표시부에는 상기 이격쌍들의 각 이격지시위치에 할당된 문자, 숫자 또는 기호로 된 데이터 또는 각 기능키에 할당된 데이터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 형태의 이격쌍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 제8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표시부는 하나 이상의 입력 메뉴창으로 출력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 형태의 이격쌍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 제8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터치스크린으로 마련되고, 상기 데이터표시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손가락 접촉에 의한 접촉신호 발생지점을 기준으로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 형태의 이격쌍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 제1항 또는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유닛에는 다단 레이어 입력모드 형태로 출력되어 표시되는 하나 이상의 입력 메뉴창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 형태의 이격쌍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 제1항 또는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유닛은 일체형, 슬라이드형, 태블릿형 또는 착탈형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단말기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 형태의 이격쌍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 베이스에 마련되는 입력유닛- 상기 입력유닛은, 손가락 입력 가능 영역 내에서 기준위치인 이격기준점과 상기 이격기준점을 지나는 하나의 이격기준선을 기준으로 상기 이격기준선으로부터 양측으로 분할되는 A이격부와 B이격부에서, 상기 A이격부에 3개의 A이격지시위치 및 B이격부에 3개의 B이격지시위치가 상기 이격기준선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어 맞대응 하는 A-B이격지시위치 배열로 이격기준선을 따라 1쌍씩 각각 배치되는 3개의 A-B 형태 이격쌍으로 된 입력기준블록부가 구비되되,
상기 입력기준블록부는 상기 이격기준점을 중심으로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좌측-중앙-우측 형태로 연속적으로 이웃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이격쌍 중 하나 이상의 이격지시위치에 대한 독립적 또는 연속적 선택에 의한 입력이 감지되고, 상기 독립적 또는 연속적 선택에 의한 입력에 대응되는 입력신호가 발생됨-; 및
상기 입력신호로부터 상기 독립적 또는 연속적 선택에 의한 입력을 구분해서 판단하여, 메모리부로부터 상기 판단된 입력신호에 할당된 데이터를 추출하여 입력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입력기준블록부의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엄지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의 굴림이동 범위 내에 위치하여, 상기 입력기준블록부의 각 이격쌍이 손가락 말절부 중앙으로부터 좌측-중앙-우측 형태로 위치인식 되는 한편,
상기 입력기준블록부에 손가락을 얹으면 입력기준블록부의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엄지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내 하나의 입력블록 형태로 인지되어, 데이터 입력이 독립적 또는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 형태의 이격쌍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 베이스에 마련되는 입력유닛- 상기 입력유닛은, 손가락 입력 가능 영역 내에서 기준위치인 이격기준점과 상기 이격기준점을 지나는 하나의 이격기준선을 기준으로 상기 이격기준선으로부터 양측으로 분할되는 A이격부와 B이격부에서, 상기 A이격부에 4개의 A이격지시위치 및 B이격부에 4개의 B이격지시위치가 상기 이격기준선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어 맞대응 하는 A-B이격지시위치 배열로 이격기준선을 따라 1쌍씩 각각 배치되는 4개의 A-B 형태 이격쌍으로 구비되되,
상기 이격쌍에는 상기 이격기준점을 중심으로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좌측-중앙-우측 형태로 연속적으로 이웃하는 입력기준블록부가 포함되어,
상기 이격쌍 중 하나 이상의 이격지시위치에 대한 독립적 또는 연속적 선택에 의한 입력이 감지되고, 상기 독립적 또는 연속적 선택에 의한 입력에 대응되는 입력신호가 발생됨-; 및
상기 입력신호로부터 상기 독립적 또는 연속적 선택에 의한 입력을 구분해서 판단하여, 메모리부로부터 상기 판단된 입력신호에 할당된 데이터를 추출하여 입력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입력기준블록부의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엄지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의 굴림이동 범위 내에 위치하여, 상기 입력기준블록부의 각 이격쌍이 손가락 말절부 중앙으로부터 좌측-중앙-우측 형태로 위치인식 되는 한편,
상기 입력기준블록부에 손가락을 얹으면 입력기준블록부의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엄지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내 하나의 입력블록 형태로 인지됨으로써, 상기 입력기준블록부 외부에 배치된 이격쌍의 입력 선택 위치가 상기 입력기준블록부를 기준으로 입력기준블록부 좌측 또는 우측의 A-B 형태 이격쌍으로 위치인식 되어, 데이터 입력이 독립적 또는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 형태의 이격쌍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 베이스에 마련되는 입력유닛- 상기 입력유닛은, 손가락 입력 가능 영역 내에서 기준위치인 이격기준점과 상기 이격기준점을 지나는 하나의 이격기준선을 기준으로 상기 이격기준선으로부터 양측으로 분할되는 A이격부와 B이격부에서, 상기 A이격부에 5개의 A이격지시위치 및 B이격부에 5개의 B이격지시위치가 상기 이격기준선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어 맞대응 하는 A-B이격지시위치 배열로 이격기준선을 따라 1쌍씩 각각 배치되는 5개의 A-B 형태 이격쌍으로 구비되되,
상기 이격쌍에는 상기 이격기준점을 중심으로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좌측-중앙-우측 형태로 연속적으로 이웃하는 입력기준블록부가 포함되어,
상기 이격쌍 중 하나 이상의 이격지시위치에 대한 독립적 또는 연속적 선택에 의한 입력이 감지되고, 상기 독립적 또는 연속적 선택에 의한 입력에 대응되는 입력신호가 발생됨-; 및
상기 입력신호로부터 상기 독립적 또는 연속적 선택에 의한 입력을 구분해서 판단하여, 메모리부로부터 상기 판단된 입력신호에 할당된 데이터를 추출하여 입력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입력기준블록부의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엄지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의 굴림이동 범위 내에 위치하여, 상기 입력기준블록부의 각 이격쌍이 손가락 말절부 중앙으로부터 좌측-중앙-우측 형태로 위치인식 되는 한편,
상기 입력기준블록부에 손가락을 얹으면 입력기준블록부의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엄지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내 하나의 입력블록 형태로 인지됨으로써, 상기 입력기준블록부 외부에 배치된 이격쌍의 입력 선택 위치가 상기 입력기준블록부를 기준으로 입력기준블록부 좌측 및 우측의 각 A-B 형태 이격쌍으로 위치인식 되어, 데이터 입력이 독립적 또는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 형태의 이격쌍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 베이스에 마련되며, 손가락 입력 가능 영역 내에서 기준위치인 이격기준점과 상기 이격기준점을 지나는 하나의 이격기준선을 기준으로 상기 이격기준선으로부터 양측으로 분할되는 A이격부와 B이격부에서, 상기 A이격부에 다수의 A이격지시위치들 및 B이격부에 다수의 B이격지시위치들이 상기 이격기준선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어 맞대응 하는 A-B이격지시위치 배열로 이격기준선을 따라 1쌍씩 각각 배치되는 다수의 A-B 형태 이격쌍들로 구비되되,
상기 이격쌍들에는 상기 이격기준점을 중심으로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좌측-중앙-우측 형태로 연속적으로 이웃하는 입력기준블록부가 포함되는 입력부;
상기 이격쌍들 중 하나 이상의 이격지시위치에 대한 독립적 또는 연속적 선택에 의한 입력이 감지되고, 상기 독립적 또는 연속적 선택에 의한 입력에 대응되는 입력신호가 발생되는 이격감지부-; 및
상기 입력신호로부터 상기 독립적 또는 연속적 선택에 의한 입력을 구분해서 판단하여, 메모리부로부터 상기 판단된 입력신호에 할당된 데이터를 추출하여 입력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입력기준블록부의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엄지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의 굴림이동 범위 내에 위치하여, 상기 입력기준블록부의 각 이격쌍이 손가락 말절부 중앙으로부터 좌측-중앙-우측 형태로 위치인식 되는 한편,
상기 입력기준블록부에 손가락을 얹으면 입력기준블록부의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엄지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내 하나의 입력블록 형태로 인지됨으로써, 상기 입력기준블록부 외부에 배치된 이격쌍의 입력 선택 위치가 상기 입력기준블록부를 기준으로 입력기준블록부 좌측 또는 우측의 각 A-B 형태 이격쌍으로 위치인식 되어, 데이터 입력이 독립적 또는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 형태의 이격쌍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 베이스에 마련되는 입력유닛- 상기 입력유닛은, 손가락 입력 가능 영역 내에서 기준위치인 이격기준점과 상기 이격기준점을 지나는 하나의 이격기준선을 기준으로 상기 이격기준선으로부터 양측으로 분할되는 A이격부와 B이격부에서, 상기 A이격부에 다수의 A이격지시위치들 및 B이격부에 다수의 B이격지시위치들이 상기 이격기준선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어 맞대응 하는 A-B이격지시위치 배열로 이격기준선을 따라 1쌍씩 각각 배치되는 다수의 A-B 형태 이격쌍들로 구비되되,
상기 이격쌍들에는 상기 이격기준점을 중심으로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좌측-중앙-우측 형태로 연속적으로 이웃하는 입력기준블록부가 포함되어,
상기 이격쌍들 중, 하나 이상의 이격지시위치에 대한 독립적 또는 연속적 선택에 의한 입력, 또는 1개의 이격지시위치와 1쌍의 A-B이격지시위치에 대한 순차적 연속 선택에 의한 이격쌍조합입력이 감지되고, 상기 독립적 또는 연속적 선택에 의한 입력 또는 상기 순차적 연속 선택에 의한 이격쌍조합입력에 대응되는 입력신호가 발생됨-; 및
상기 입력신호로부터 상기 독립적 또는 연속적 선택에 의한 입력 또는 순차적 연속 선택에 의한 이격쌍조합입력을 구분해서 판단하여, 메모리부로부터 상기 판단된 독립적 또는 연속적 선택에 의한 입력 또는 이격쌍조합입력에 할당된 데이터를 추출하여 입력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입력기준블록부의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엄지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의 굴림이동 범위 내에 위치하여, 상기 입력기준블록부의 각 이격쌍이 손가락 말절부 중앙으로부터 좌측-중앙-우측 형태로 위치인식 되는 한편,
상기 입력기준블록부에 손가락을 얹으면 입력기준블록부의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엄지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내 하나의 입력블록 형태로 인지됨으로써, 상기 입력기준블록부 외부에 배치된 이격쌍의 입력 선택 위치가 상기 입력기준블록부를 기준으로 입력기준블록부 좌측 또는 우측의 각 A-B 형태 이격쌍으로 위치인식 되어, 데이터 입력이 독립적 또는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 형태의 이격쌍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 베이스에 마련되는 입력유닛- 상기 입력유닛은, 손가락 입력 가능 영역 내에서 기준위치인 이격기준점과 상기 이격기준점을 지나는 하나의 이격기준선을 기준으로 상기 이격기준선으로부터 양측으로 분할되는 A이격부와 B이격부에서, 상기 A이격부에 다수의 A이격지시위치들 및 B이격부에 다수의 B이격지시위치들이 상기 이격기준선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어 맞대응 하는 A-B이격지시위치 배열로 이격기준선을 따라 1쌍씩 각각 배치되는 다수의 A-B 형태 이격쌍들로 구비되되,
상기 이격쌍들에는 상기 이격기준점을 중심으로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좌측-중앙-우측 형태로 연속적으로 이웃하는 입력기준블록부가 포함되어,
상기 이격쌍들 중, 각 이격지시위치에 대한 가압력의 세기 차이에 의해 실행되는 2단 이상의 단계적 선택에 의한 다단 이격입력, 또는 각 쌍의 A-B이격지시위치에 대한 가압력의 세기 차이에 의해 실행되는 2단 이상의 단계적 선택에 의한 다단 쌍입력이 감지되고, 상기 2단 이상의 단계적 선택에 의한 다단 이격입력 또는 다단 쌍입력에 대응되는 2단 이상의 다단 입력신호가 발생됨-; 및
상기 2단 이상의 다단 입력신호로부터 상기 2단 이상의 단계적 선택에 의한 다단 이격입력 또는 다단 쌍입력을 구분해서 판단하여, 메모리부로부터 상기 판단된 다단 입력에 할당된 데이터를 추출하여 입력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입력기준블록부의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엄지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의 굴림이동 범위 내에 위치하여, 상기 입력기준블록부의 각 이격쌍이 손가락 말절부 중앙으로부터 좌측-중앙-우측 형태로 위치인식 되는 한편,
상기 입력기준블록부에 손가락을 얹으면 입력기준블록부의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엄지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내 하나의 입력블록 형태로 인지됨으로써, 상기 입력기준블록부 외부에 배치된 이격쌍의 입력 선택 위치가 상기 입력기준블록부를 기준으로 입력기준블록부 좌측 또는 우측의 각 A-B 형태 이격쌍으로 위치인식 되어, 데이터 입력이 독립적 또는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 형태의 이격쌍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 베이스에 마련되는 입력유닛- 상기 입력유닛은, 손가락 입력 가능 영역 내에서 기준위치인 이격기준점과 상기 이격기준점을 지나는 하나의 이격기준선을 기준으로 상기 이격기준선으로부터 양측으로 분할되는 A이격부와 B이격부에서, 상기 A이격부에 다수의 A이격지시위치들 및 B이격부에 다수의 B이격지시위치들이 상기 이격기준선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어 맞대응 하는 A-B이격지시위치 배열로 이격기준선을 따라 1쌍씩 각각 배치되는 다수의 A-B 형태 이격쌍들로 구비되되,
상기 이격쌍들에는 상기 이격기준점을 중심으로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좌측-중앙-우측 형태로 연속적으로 이웃하는 입력기준블록부가 포함되어,
상기 이격쌍들 중 1쌍의 A-B이격지시위치의 A이격지시위치와 B이격지시위치에 대한 순차적 연속 선택에 의한 쌍교번입력이 감지되고, 상기 순차적 연속 선택에 의한 쌍교번입력에 대응되는 입력신호가 발생됨-; 및
상기 입력신호로부터 상기 순차적 연속 선택에 의한 쌍교번입력을 구분해서 판단하여, 메모리부로부터 상기 판단된 입력신호에 할당된 데이터를 추출하여 입력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입력기준블록부의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엄지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의 굴림이동 범위 내에 위치하여, 상기 입력기준블록부의 각 이격쌍이 손가락 말절부 중앙으로부터 좌측-중앙-우측 형태로 위치인식 되는 한편,
상기 입력기준블록부에 손가락을 얹으면 입력기준블록부의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엄지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내 하나의 입력블록 형태로 인지됨으로써, 상기 입력기준블록부 외부에 배치된 이격쌍의 입력 선택 위치가 상기 입력기준블록부를 기준으로 입력기준블록부 좌측 또는 우측의 각 A-B 형태 이격쌍으로 위치인식 되어, 데이터 입력이 독립적 또는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 형태의 이격쌍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 삭제
- 베이스에 마련되는 입력유닛- 상기 입력유닛은, 손가락 입력 가능 영역 내에서 기준위치인 이격기준점과 상기 이격기준점을 지나는 하나의 이격기준선을 기준으로 상기 이격기준선으로부터 양측으로 분할되는 A이격부와 B이격부에서, 상기 A이격부에 다수의 A이격지시위치들 및 B이격부에 다수의 B이격지시위치들이 상기 이격기준선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어 맞대응 하는 A-B이격지시위치 배열로 이격기준선을 따라 1쌍씩 각각 배치되는 다수의 A-B 형태 이격쌍들로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의 소정 위치 또는 상기 입력유닛의 입력기준블록부 외부에 한개 이상의 사이드키가 마련되되,
상기 이격쌍들에는 상기 이격기준점을 중심으로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좌측-중앙-우측 형태로 연속적으로 이웃하는 입력기준블록부가 포함되어,
상기 이격쌍들 중 하나 이상의 이격지시위치에 대한 독립적 또는 연속적 선택에 의한 입력 또는 상기 사이드키 선택에 의한 사이드입력이 감지되고, 상기 독립적 또는 연속적 선택에 의한 입력 또는 상기 사이드키 선택에 의한 사이드입력에 대응되는 입력신호가 발생됨-; 및
상기 입력신호로부터 상기 독립적 또는 연속적 선택에 의한 입력 또는 사이드키 선택에 의한 사이드입력을 구분해서 판단하여, 메모리부로부터 상기 판단된 입력신호에 할당된 데이터를 추출하여 입력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입력기준블록부의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엄지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의 굴림이동 범위 내에 위치하여, 상기 입력기준블록부의 각 이격쌍이 손가락 말절부 중앙으로부터 좌측-중앙-우측 형태로 위치인식 되는 한편,
상기 입력기준블록부에 손가락을 얹으면 입력기준블록부의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엄지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내 하나의 입력블록 형태로 인지됨으로써, 상기 입력기준블록부 외부의 입력 선택 위치가 상기 입력기준블록부를 기준으로 위치인식 되어, 데이터 입력이 독립적 또는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 형태의 이격쌍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 삭제
- 삭제
- 베이스에 마련되는 2개의 입력유닛- 상기 각 입력유닛은, 기준위치인 이격기준점과 상기 이격기준점을 지나는 하나의 이격기준선을 기준으로 상기 이격기준선으로부터 양측으로 분할되는 A이격부와 B이격부에서, 상기 A이격부에 다수의 A이격지시위치들 및 B이격부에 다수의 B이격지시위치들이 상기 이격기준선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어 맞대응 하는 A-B이격지시위치 배열로 이격기준선을 따라 1쌍씩 각각 배치되는 다수의 A-B 형태 이격쌍들로 구비되되,
상기 이격쌍들에는 상기 이격기준점을 중심으로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좌측-중앙-우측 형태로 연속적으로 이웃하는 입력기준블록부가 각각 포함되어,
상기 이격쌍들 중 하나 이상의 이격지시위치에 대한 독립적 또는 연속적 선택에 의한 입력이 감지되고, 상기 독립적 또는 연속적 선택에 의한 입력에 대응되는 입력신호가 발생됨-; 및
상기 입력신호로부터 상기 독립적 또는 연속적 선택에 의한 입력을 구분해서 판단하여, 메모리부로부터 상기 판단된 입력신호에 할당된 데이터를 추출하여 입력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입력기준블록부의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엄지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의 굴림이동 범위 내에 위치하여, 상기 입력기준블록부의 각 이격쌍이 손가락 말절부 중앙으로부터 좌측-중앙-우측 형태로 위치인식 되는 한편,
상기 입력기준블록부에 손가락을 얹으면 입력기준블록부의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엄지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내 하나의 입력블록 형태로 인지됨으로써, 상기 입력기준블록부 외부에 배치된 이격쌍의 입력 선택 위치가 상기 입력기준블록부를 기준으로 입력기준블록부 좌측 또는 우측의 각 A-B 형태 이격쌍으로 위치인식 되어, 데이터 입력이 독립적 또는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 형태의 이격쌍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 베이스에 마련되는 2개의 입력유닛- 상기 각 입력유닛은, 기준위치인 이격기준점과 상기 이격기준점을 지나는 하나의 이격기준선을 기준으로 상기 이격기준선으로부터 양측으로 분할되는 A이격부와 B이격부에서, 상기 A이격부에 3개의 A이격지시위치 및 B이격부에 3개의 B이격지시위치가 상기 이격기준선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어 맞대응 하는 A-B이격지시위치 배열로 이격기준선을 따라 1쌍씩 각각 배치되는 3개의 A-B 형태 이격쌍으로 된 입력기준블록부가 구비되되,
상기 입력기준블록부는 상기 이격기준점을 중심으로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좌측-중앙-우측 형태로 연속적으로 이웃하도록 각각 마련되어,
상기 이격쌍 중, 하나 이상의 이격지시위치에 대한 독립적 또는 연속적 선택에 의한 입력, 또는 1개의 이격지시위치와 1쌍의 A-B이격지시위치에 대한 순차적 연속 선택에 의한 이격쌍조합입력이 감지되고, 상기 독립적 또는 연속적 선택에 의한 입력 또는 상기 순차적 연속 선택에 의한 이격쌍조합입력에 대응되는 입력신호가 발생됨-; 및
상기 입력신호로부터 상기 독립적 또는 연속적 선택에 의한 입력 또는 순차적 연속 선택에 의한 이격쌍조합입력을 구분해서 판단하여, 메모리부로부터 상기 판단된 독립적 또는 연속적 선택에 의한 입력 또는 이격쌍조합입력에 할당된 데이터를 추출하여 입력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입력기준블록부의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엄지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의 굴림이동 범위 내에 위치하여, 상기 입력기준블록부의 각 이격쌍이 손가락 말절부 중앙으로부터 좌측-중앙-우측 형태로 위치인식 되는 한편,
상기 입력기준블록부에 손가락을 얹으면 입력기준블록부의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엄지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내 하나의 입력블록 형태로 인지되어, 데이터 입력이 독립적 또는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 형태의 이격쌍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 베이스에 마련되는 2개의 입력유닛- 상기 각 입력유닛은, 기준위치인 이격기준점과 상기 이격기준점을 지나는 하나의 이격기준선을 기준으로 상기 이격기준선으로부터 양측으로 분할되는 A이격부와 B이격부에서, 상기 A이격부에 3개의 A이격지시위치 및 B이격부에 3개의 B이격지시위치가 상기 이격기준선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어 맞대응 하는 A-B이격지시위치 배열로 이격기준선을 따라 1쌍씩 각각 배치되는 3개의 A-B 형태 이격쌍으로 된 입력기준블록부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의 소정 위치 또는 상기 입력유닛의 입력기준블록부 외부에 한개 이상의 사이드키가 마련되되,
상기 입력기준블록부는 상기 이격기준점을 중심으로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좌측-중앙-우측 형태로 연속적으로 이웃하도록 각각 마련되어,
상기 이격쌍 중 하나 이상의 이격지시위치에 대한 독립적 또는 연속적 선택에 의한 입력 또는 상기 사이드키 선택에 의한 사이드입력이 감지되고, 상기 독립적 또는 연속적 선택에 의한 입력 또는 상기 사이드키 선택에 의한 사이드입력에 대응되는 입력신호가 발생됨-; 및
상기 입력신호로부터 상기 독립적 또는 연속적 선택에 의한 입력 또는 사이드키 선택에 의한 사이드입력을 구분해서 판단하여, 메모리부로부터 상기 판단된 입력신호에 할당된 데이터를 추출하여 입력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입력기준블록부의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엄지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의 굴림이동 범위 내에 위치하여, 상기 입력기준블록부의 각 이격쌍이 손가락 말절부 중앙으로부터 좌측-중앙-우측 형태로 위치인식 되는 한편,
상기 입력기준블록부에 손가락을 얹으면 입력기준블록부의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엄지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내 하나의 입력블록 형태로 인지됨으로써, 상기 입력기준블록부 외부의 입력 선택 위치가 상기 입력기준블록부를 기준으로 위치인식 되어, 데이터 입력이 독립적 또는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 형태의 이격쌍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 베이스에 마련되며, 이격기준점과 상기 이격기준점을 지나는 이격기준선을 기준으로 상기 이격기준선으로부터 양측으로 분할되는 A이격부와 B이격부에서, 상기 A이격부에 다수의 A이격지시위치들 및 B이격부에 다수의 B이격지시위치들이 상기 이격기준선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어 맞대응 하는 A-B이격지시위치 배열로 이격기준선을 따라 1쌍씩 각각 배치되는 다수의 A-B 형태 이격쌍들로 구비되되,
상기 이격쌍들에는 상기 이격기준점을 중심으로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좌측-중앙-우측 형태로 연속적으로 이웃하는 입력기준블록부가 각각 포함되는 2개의 입력부;
상기 이격쌍들 중 하나 이상의 이격지시위치에 대한 독립적 또는 연속적 선택에 의한 입력이 감지되고, 상기 독립적 또는 연속적 선택에 의한 입력에 대응되는 입력신호가 발생되는 이격감지부-; 및
상기 입력신호로부터 상기 독립적 또는 연속적 선택에 의한 입력을 구분해서 판단하여, 메모리부로부터 상기 판단된 입력신호에 할당된 데이터를 추출하여 입력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입력기준블록부의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엄지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의 굴림이동 범위 내에 위치하여, 상기 입력기준블록부의 각 이격쌍이 손가락 말절부 중앙으로부터 좌측-중앙-우측 형태로 위치인식 되는 한편,
상기 입력기준블록부에 손가락을 얹으면 입력기준블록부의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엄지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내 하나의 입력블록 형태로 인지됨으로써, 상기 입력기준블록부 외부에 배치된 이격쌍의 입력 선택 위치가 상기 입력기준블록부를 기준으로 입력기준블록부 좌측 또는 우측의 각 A-B 형태 이격쌍으로 위치인식 되어, 데이터 입력이 독립적 또는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 형태의 이격쌍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 삭제
- 베이스에 마련되어 연속적으로 이웃하게 배치된 3개의 입력유닛- 상기 각 입력유닛은, 기준위치인 이격기준점과 상기 이격기준점을 지나는 하나의 이격기준선을 기준으로 상기 이격기준선으로부터 양측으로 분할되는 A이격부와 B이격부에서, 상기 A이격부에 3개의 A이격지시위치 및 B이격부에 3개의 B이격지시위치가 상기 이격기준선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어 맞대응 하는 A-B이격지시위치 배열로 이격기준선을 따라 1쌍씩 각각 배치되는 3개의 A-B 형태 이격쌍으로 된 입력기준블록부가 구비되되,
상기 입력기준블록부는 상기 이격기준점을 중심으로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좌측-중앙-우측 형태로 연속적으로 이웃하도록 각각 마련되어,
상기 이격쌍 중 하나 이상의 이격지시위치에 대한 독립적 또는 연속적 선택에 의한 입력이 감지되고, 상기 독립적 또는 연속적 선택에 의한 입력에 대응되는 입력신호가 발생됨-; 및
상기 입력신호로부터 상기 독립적 또는 연속적 선택에 의한 입력을 구분해서 판단하여, 메모리부로부터 상기 판단된 입력신호에 할당된 데이터를 추출하여 입력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입력기준블록부의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엄지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의 굴림이동 범위 내에 위치하여, 상기 입력기준블록부의 각 이격쌍이 손가락 말절부 중앙으로부터 좌측-중앙-우측 형태로 위치인식 되는 한편,
상기 입력기준블록부에 손가락을 얹으면 입력기준블록부의 3개의 A-B 형태 이격쌍이 엄지손가락 말절부 지문영역내 하나의 입력블록 형태로 인지됨으로써, 상기 3개의 입력유닛의 입력 선택 위치가 3개의 입력유닛 중 중앙에 위치한 입력유닛을 기준으로 좌측-중앙-우측 형태로 위치인식 되어, 데이터 입력이 독립적 또는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 형태의 이격쌍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00065103A KR101063100B1 (ko) | 2010-07-06 | 2010-07-06 | 데이터 입력장치 |
US13/805,771 US9141214B2 (en) | 2010-07-06 | 2011-07-05 | Data input device |
EP11803779.5A EP2592530A4 (en) | 2010-07-06 | 2011-07-05 | DATA ENTRY DEVICE |
CN201180033509.0A CN103370676B (zh) | 2010-07-06 | 2011-07-05 | 数据输入设备 |
PCT/KR2011/004905 WO2012005493A2 (ko) | 2010-07-06 | 2011-07-05 | 데이터 입력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00065103A KR101063100B1 (ko) | 2010-07-06 | 2010-07-06 | 데이터 입력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63100B1 true KR101063100B1 (ko) | 2011-09-07 |
Family
ID=44957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00065103A KR101063100B1 (ko) | 2010-07-06 | 2010-07-06 | 데이터 입력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9141214B2 (ko) |
EP (1) | EP2592530A4 (ko) |
KR (1) | KR101063100B1 (ko) |
CN (1) | CN103370676B (ko) |
WO (1) | WO2012005493A2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122328B2 (en) | 2012-09-28 | 2015-09-01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Detecting and handling unintentional touching of a touch screen |
KR101422079B1 (ko) * | 2013-07-19 | 2014-07-30 | 이주협 | 데이터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
RU2683622C2 (ru) * | 2014-04-23 | 2019-03-29 | Новоматик Аг |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и способ для идентификации отпечатков пальцев |
WO2018126339A1 (en) * | 2017-01-03 | 2018-07-12 | Intel Corporation | Sensor management and reliability |
CN110717168A (zh) * | 2019-09-23 | 2020-01-21 | 联想(北京)有限公司 | 一种生物信息录入方法、电子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4005Y1 (ko) | 2002-11-26 | 2003-02-11 | 김여일 | 6개의 키버튼을 이용한 영문 알파벳 문자 입력 시스템 |
JP2005044122A (ja) * | 2003-07-22 | 2005-02-17 | Itsuo Kumazawa | データ入力装置およびユーザインターフェイス方式 |
US20060181517A1 (en) * | 2005-02-11 | 2006-08-17 | Apple Computer, Inc. | Display actuator |
CN100549922C (zh) * | 2005-01-05 | 2009-10-14 | 安宰佑 | 通过方向输入设备输入字符的方法和装置 |
KR20060119527A (ko) | 2005-05-20 | 2006-11-24 | 삼성전자주식회사 | 터치 스크린에서 슬라이드 방식으로 문자 메시지를입력하는 시스템, 방법 및 무선 단말기 |
US20070188474A1 (en) * | 2006-02-16 | 2007-08-16 | Zaborowski Philippe S | Touch-sensitive motion device |
US8471689B2 (en) * | 2007-05-11 | 2013-06-25 | Philippe Stanislas Zaborowski | Touch-sensitive motion device |
KR20090006807A (ko) * | 2007-07-11 | 2009-01-15 | 오의진 | 손가락의 동작감지를 이용한 데이터입력장치 및 이를이용한 입력변환방법 |
KR101008581B1 (ko) * | 2008-03-06 | 2011-01-17 | 주식회사 오 코스모스 | 데이터 입력장치 |
KR20090110722A (ko) * | 2008-04-18 | 2009-10-22 |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 데이터 입력을 위한 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
-
2010
- 2010-07-06 KR KR20100065103A patent/KR10106310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1
- 2011-07-05 US US13/805,771 patent/US9141214B2/en active Active
- 2011-07-05 WO PCT/KR2011/004905 patent/WO2012005493A2/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1-07-05 CN CN201180033509.0A patent/CN103370676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1-07-05 EP EP11803779.5A patent/EP2592530A4/en not_active Withdra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3370676B (zh) | 2016-11-09 |
CN103370676A (zh) | 2013-10-23 |
US20130100062A1 (en) | 2013-04-25 |
WO2012005493A2 (ko) | 2012-01-12 |
WO2012005493A3 (ko) | 2012-04-12 |
EP2592530A4 (en) | 2015-01-14 |
US9141214B2 (en) | 2015-09-22 |
EP2592530A2 (en) | 2013-05-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909355B2 (ja) | 文字入力装置 | |
KR101391080B1 (ko) |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 |
EP1988444A2 (en) |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 |
US20090262090A1 (en) | Input device | |
EP2203983A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numerals for communication terminal | |
EP3190482B1 (en) | Electronic device, character input module and method for selecting characters thereof | |
JP6620480B2 (ja) | 文字入力方法および文字入力用のプログラムならびに情報処理装置 | |
KR20090059078A (ko) | 문자입력장치 | |
KR101063100B1 (ko) | 데이터 입력장치 | |
EP2413232A2 (en) | Character Input Device | |
KR20080010266A (ko) | 문자입력장치 | |
KR20100091148A (ko) | 데이터 입력장치 | |
KR20080010364A (ko) | 문자입력장치 | |
JP2010525480A (ja) | 文字入力装置 | |
KR100835337B1 (ko) | 문자입력장치 및 그 방법 | |
JP2010518529A (ja) | 文字入力装置 | |
KR20130025306A (ko) | 데이터 입력장치 | |
KR101325653B1 (ko) | 분리형 문자 입력 인터페이스 | |
KR100994362B1 (ko) | 데이터 입력장치 | |
WO2008108610A1 (en) | Character input device | |
KR100570793B1 (ko) |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 |
US10082882B2 (en) | Data input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 |
KR101483170B1 (ko) | 간편 영문 입력 키패드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 |
KR20170022732A (ko) | 웨어러블 스마트 밴드 장치 | |
KR20080070110A (ko) | 문자입력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81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810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15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