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1929B1 - 다개국어 문자 입력장치 - Google Patents

다개국어 문자 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1929B1
KR101791929B1 KR1020170008893A KR20170008893A KR101791929B1 KR 101791929 B1 KR101791929 B1 KR 101791929B1 KR 1020170008893 A KR1020170008893 A KR 1020170008893A KR 20170008893 A KR20170008893 A KR 20170008893A KR 101791929 B1 KR101791929 B1 KR 101791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character
symbol
input
key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8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두업
이경주
Original Assignee
(주)신성이노테크
이경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성이노테크, 이경주 filed Critical (주)신성이노테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1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1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06F17/2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9Special purpos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5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chord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8Programmabl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40Processing or translation of natural language

Abstract

본 발명은 다개국어 문자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소프트웨어적으로 선택된 나라의 문자 음소로 변환하여 키에 표출하고, 표출된 문자 음소가 선택 입력되는 키보드부; 입력된 문자를 화면으로 출력하는 표시부; 문자음소, 자료목록 및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부 및 상기 키보드부와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키보드부는, 상단에 배치된 숫자와 기호를 표출하는 숫자/기호키부; 상기 숫자/기호키부 다음에 배치되어 기능, 문자 또는 설정된 기능을 표출하며 복수개의 키가 추가될 수 있는 F키부; 상기 F키부 다음에 각 언어의 기본음소를 표출하는 문자키부 및 상기 문자키부 내에 변형음소 또는 설정된 기호를 표출할 수 있는 복수의 추가키를 포함하여, 언어변환 시에 상기 문자키부의 음소수를 초과하는 언어는 상기 F키부와 복수의 추가키에 배정하여 해당 문자 음소를 모두 표출하여 언어별 문자를 한 번의 키조작으로 입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개국어 문자 입력장치{Integrated keyboard for inputting multiple languages}
본 발명은 다개국어 문자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언어별 음소가 모두 표출되도록 자판 변환을 하여 각 언어의 문자를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입력할 수 있는 문자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인쇄 문자 입력장치는 키보드에 한 가지 또는 두 가지 언어가 고정 인쇄되어 있기 때문에 키보드에 인쇄되어 있지 않은 언어를 입력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키보드에서는 각 언어의 기본문자와 변형문자들을 키보드 상에 모두 나타낼 수 없는 경우가 많아 각 언어의 문자를 완전하게 입력하기 위해서는 키보드 상에 나타나 있지 않은 기본문자, 변형문자, 특수문자들은 Shift키나 Alt키 등의 누름전환 기능키를 사용하여 입력해야 하기 때문에, 입력의 흐름을 끊고 오타발생의 원인이 되어 입력의 속도와 효율성을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고정 인쇄식 키보드 외에 전기식 디스플레이로 버튼에 표시되는 음소를 변환하여 다국어를 입력할 수 있는 기술이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제시되어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적으로 터치스크린에 자판이 생성되어 터치식으로 문자가 입력되는 스마트 기기가 상용화되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키보드 배열이 도 1과 같이 알파벳 순서나 음소의 특성에 무관하고 규칙성도 없는 종래의 수동식 타자기의 QWERTY 배열을 관행적으로 적용되고 있고, 101 ~ 106 개의 키로 제한되어 있어 전세계의 모든 언어 문자를 표출하는데 한계가 있다.
로마자로 표기하는 언어의 음소수는 표 1과 같이 알파벳 26자에 변형문자를 추가하면 26 ~ 46자이며, 키릴문자어는 표 2와 같이 30~42자이고, 표 3은 기타언어로 24 ~ 76자까지 다양하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문자버튼부(E)는 알파벳 26개의 키와 부호용 키 7개등 33개의 키로 구성되어, 각 나라의 언어문자를 표현하기 위해서 키수가 부족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수동 타자기 시대의 자판 배열을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디지털 시대에 적합하도록 자판을 재배열하고 확장성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Figure 112017006433558-pat00001
Figure 112017006433558-pat00002
Figure 112017006433558-pat00003
1. 한국실용신안등록 제20-0298234호 2. 한국실용신안등록 제20-0448924호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프트웨어적으로 규칙성과 확장성을 부여하여 전세계의 모든 언어를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입력할 수 있는 다개국어 문자 입력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개국어 문자 입력장치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선택된 나라의 문자 음소로 변환하여 키에 표출하고, 표출된 문자 음소가 선택 입력되는 키보드부; 입력된 문자를 화면으로 출력하는 표시부;문자음소, 자료목록 및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부 및 상기 키보드부, 표시부 및 저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키보드부는, 상단에 배치된 숫자와 기호를 표출하는 숫자/기호키부; 상기 숫자/기호키부 다음에 배치되어 기능, 문자 또는 설정된 기능을 표출하며 복수개의 키가 추가될 수 있는 F키부; 상기 F키부 다음에 각 언어의 기본음소를 표출하는 문자키부 및 상기 문자키부 내에 변형음소 또는 설정된 기호를 표출할 수 있는 복수의 추가키를 포함하여, 언어변환 시에 상기 문자키부의 음소수를 초과하는 언어는 상기 F키부와 복수의 추가키에 배정하여 해당 문자 음소를 모두 표출하여 언어별 문자를 한 번의 키조작으로 입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1개의 키보드 상에 각 나라의 언어별로 기본문자와 변형문자를 모두 표출할 수 있게 하여, 종래의 Shift키나 Alt키 등을 사용하여 누름 전환을 하지 않고도 각 언어의 문자를 빠르고 완전하게 입력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키보드의 한 예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문자입력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보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버전 키보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어버전 키보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영어 버전 키보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어변환키와 언어목록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키 설정화면에서 F+α키를 누르는 횟수와 그에 따른 F키를 설정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F+α키를 누르는 횟수에 따라 F키가 활성화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추가키에 편집기능을 배치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U키부 설정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b와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숫자/기호키부에서 숫자와 기호를 입력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한글(훈민정음)버전 키보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마자로 표기하는 언어를 사용하는 각국의 키보드의 도면이다.
도 11a 내지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키릴문자, 그리스문자, 일본어문자 등 로마자로 표기하는 언어 외의 각국의 키보드의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키보드에서 마침표'.'와 쉼표','를 배치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보드에서 대소문자변환키를 사용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키보드에서 제1통합괄호키를 눌러 괄호기호를 입력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키보드에서 제1통합괄호키를 눌러 괄호기호를 연속적으로 입력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키보드에서 제2통합괄호키를 눌러 괄호기호를 입력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키보드에서 제2통합괄호키를 눌러 괄호기호를 연속적으로 입력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a와 도 1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통합괄호키 또는 제2통합괄호키로 다양한 괄호기호를 입력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a와 도 1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통합괄호키 또는 제2통합괄호키로 다양한 괄호기호를 연속적으로 입력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보드에서 통합기호키를 눌러 기호화면이 표출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보드에서, 통합화폐키와 화폐단위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a와 도 1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번역키설정화면과 번역키를 눌러 번역이 완성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보드에서 원방각(○□△)키 중 원(○)키에 자료를 등록하고 삭제할 수 있는 자료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보드에서 원방각(○□△)키 중 방(□)키를 눌렀을 때 자료화면이 나타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보드에서 원방각(○□△)키 중 원(○)키와 방(□)키를 같이 눌렀을 때 자료화면이 나타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보드에서 중국어를 입력함에 있어서, 번체간체변환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키보드에서 사전 설정하는 예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개국어 문자 입력장치의 블록 구성도로서, 소프트웨어적으로 선택된 언어의 문자 음소로 변환하여 키에 표출하고, 표출된 문자 음소가 선택 입력되는 키보드부(10), 입력된 문자를 화면으로 출력하는 표시부(20), 프로그램과 자료를 저장한 저장부(30) 및 상기 키보드부, 저장부 및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소프트웨어적이라 함은 각 언어별 문자 음소를 키보드의 개별키에 대응하여 표출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되어 변환키의 조작에 따라 제어부의 명령으로 대응키에 표출하거나, 목록이나 기능을 등록 또는 삭제 등 편집할 수 있는 사전 설정 기능을 의미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부(10)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의 좌측부(A)에 해당한다. 키보드부는 숫자/기호키부(110), F키부(120), U키부(123), 문자키부(130), 기능키부(140)를 포함하며, 문자키부(130)에는 추가키부(131)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키는 터치스크린상에 구획된 영역 또는 LCD, LED 또는 광섬유를 구비하여 문자 음소를 표출하는 버튼이 될 수 있다.
종래의 키보드 배열과 다른 특징은 F키부(120)를 문자키부(130)와 숫자/기호키부(110) 사이에 배치하고, 문자키부(130)에 복수 개의 추가키로 이루어진 추가키부(131)를 배치하는 것이다. 이러한 배치는 언어별로 음소들의 개수가 다르기 때문에 각 언어의 문자가 모두 표출될 수 있도록 F키부나 추가키부에 문자나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각 언어의 음소들을 모두 표출할 수 있다.
따라서 선택된 언어의 문자가 모두 표출되므로 종래의 Shift키 또는 Alt키를 누르거나 별도의 기능키를 누르지 않고도 선택된 문자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입력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Shift키 또는 Alt키 등의 기능키는 문자 외에 기호나 기능을 입력하는데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새롭고 획기적인 문자입력장치를 통해서 자신의 아이디어와 정보를 다양하고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개국어 문자입력장치를 '아이디어와 정보를 다양하고 자유롭게 표현하기 위한 편리한 키보드'라는 뜻의 CEI(Convenient keyboard to express an idea and information diversely and freely)키보드로 칭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한글버전 키보드(100)을 예시한 도면이며, 도 4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영어버전 키보드(101)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4c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한글-영어버전 키보드(102)를 예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변환키 또는 기능키를 사전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이다.
도 5는 사전 설정 기능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어변환키와 언어목록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언어변환키를 0.2초 이상 길게 누르거나 거듭치기를 하면 표시부(20)에 언어목록화면(151)이 나타나고, 언어목록화면에는 사용자 언어목록(152)과 전세계 언어목록(153)이 있을 수 있다.
사용자 언어목록에 언어가 등록되는 것은 키보드의 생산자가 초기에 등록해 놓거나 사용자가 직접 사용자 언어목록에 언어를 등록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사용자 언어등록 방법은 전세계 언어목록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언어명을 선택하고 등록버튼(154)을 눌러 사용자 언어목록에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언어목록에서 언어명을 선택하고 삭제버튼(155)을 누르면 사용자 언어목록에서 언어명을 삭제할 수 있다. 사전 설정 기능은 사용자가 키보드부에 표출되는 언어를 변환할 때 전세계 언어목록에서 일일이 찾지 않고 바로 언어를 선택하여 간편하게 변환할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용자 언어목록에 있는 언어명을 선택하면 키보드부에 해당 언어의 문자 음소가 표출된다. 또한 사용자 언어목록에 등록된 언어명 중에서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언어변환키를 1번씩 누를 때마다 선택된 언어명에 해당되는 문자가 순차적으로 변환되어 키보드부에 표출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사용자 언어목록에 등록된 언어 중에서 한국어, 영어, 중국어, 독일어가 선택되어 있다. 이 경우 키보드부에 표출되어 있는 언어는 한국어이며, 언어변환키를 1회 누르면 키보드부에는 영어가 표출되며, 언어변환키를 1회 더 누르면 중국어가 키보드부에 표출되고, 언어변환키를 1회 더 누르면 독일어가 키보드부에 표출되고, 언어변환키를 1회 더 누르면 다시 한국어가 키보드부에 표출이 된다.
도 5의 경우 사용자가 사용자 언어목록에서 한국어 및 영어 2개를 선택했다면, 키보드부에 표출되어 있는 언어는 한국어이며 언어변환키를 1회 눌렀을 때 키보드부에 영어가 표출되며, 언어변환키를 1회 더 누르면 키보드부에 한국어가 다시 표출된다.
도 5에서 사용자 언어목록에 있는 한글-영어를 선택하면 도 4c에서와 같이 키보드부에 한글과 영어가 함께 표출될 수 있다. 이 예는 한글과 영어 2가지 언어를 동시에 배치하여 종래의 기계식 키보드 등에서 사용하는 것과 같이 2개 국어를 변환시켜가면서 입력할 수 있는 키보드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F키나 추가키의 수를 늘이거나 줄이는 사전 설정기능이 있다. 추가키부(131)와 F키부(120)의 키의 수는 전세계 언어를 통합적으로 입력하는데 필요한 개수의 키를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6개의 추가키와 기존의 F1~F12까지의 F키에 F13~F16까지 4개의 F키를 추가로 배치한 키보드를 제시한다. 이때 F1~F12키는 본래의 기능과 같을 수 있고, F13~F16까지는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추가키와 F키의 개수는 상황과 용도에 따라 추가하거나 줄일 수 있고 배열하는 위치도 변경할 수 있다.
F키부는 F+α키와 복수개의 F키로 이루어진다. F+α키를 누르지 않아 활성화되지 않았을 때는 F키들은 본래 설정된 기능들이 표출된다. 또한 F+α키를 눌러 복수개의 F키들에 표출되는 문자나 기능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연속으로 눌러 변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F+α키를 누르지 않아 활성화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F키들은 본래의 기능키로 사용할 수 있다. F+α키를 1회 눌렀을 때는 F키들에 키부에 표출되는 언어의 변형문자, 특수문자 또는 기호들이 표출될 수 있고, F+α키를 2회 눌렀을 때는 F키들은 제2 의 기능들이 표출될 수 있으며, F+α키를 3회 눌렀을 때는 F키들에 또 다른 변형문자, 특수문자 또는 기호들이 표출되어 입력할 수 있다.
F+α키를 몇 회 누르는지와 그 때 각 F키에 어떤 문자나 기능이 표출되고 작동될 것인지는 변경 가능하다.
F+α키를 누르는 횟수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으며, F키들에 문자나 기능들을 등록하거나 삭제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F+α키를 0.2초 이상 길게 누르면 표시부에 F키 설정화면이 나타나고 F키 설정화면에서 F+α키를 누르는 횟수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다. F+α키를 n회 (n은 0과 자연수)눌렀을 때 각 F키에는 어떤 문자 또는 기능이 표출되는지를 F키 설정화면에서 등록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F키 설정화면에서 F+α키를 누르는 횟수와 그에 따른 F키를 설정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에서 참조하는 바와 같이 F+α키를 누르는 횟수를 0,1,2,3,4 등으로 늘리거나 줄일 수 있으며, F+α키를 누르는 횟수에 따라 F키에 나타나는 문자나 기능들이 무엇인지를 등록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이 때 등록키 또는 삭제키를 사용할 수 있다. F키 설정화면에서 각 키에 등록할 위치를 선택한 후,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자료를 불러오기를 하여 등록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자료를 직접 입력할 수 있다.
또한, F키부에 복수개의 F키를 추가할 수 있다. 이때, 추가된 F키에는 문자나 기능이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언어번역, 언어사전, 사진 촬영, 동영상 촬영 등의 기능에 바로 연결되도록 하는 등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기능의 단축키로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여러 가지 기호가 정리되어 있거나, 사용자가 등록한 상용구 모음, 이모티콘 모음, 이모지 모음, 캐릭터 모음, 사진 모음, 메모 모음 등으로 바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는 사용자 폴더를 만들어 자기만의 파일을 정리하여 보관하고 연결하여 사용하는 등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얼마든지 연결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F키 설정화면에서 F+α키를 누르는 순서를 지정하면 그 순서대로 F키부가 활성이 되어 표출되며, F+α키를 누르는 순서가 지정되지 않은 F키부는 비활성으로 되어 표출되지 않는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F+α키를 누르는 횟수에 따라 F키가 활성화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만약 사용자가 도 6b와 같이 F+α키를 누르는 횟수를 제1 행에 0, 제3 행에 2, 제4 행에 1을 입력하였다면 F+α키를 누르지 않았을 때는 제1 행의 F키들이 F키에 표출이 되어 본래의 기능키로 작동되고, F+α키를 1회 누르면 제4 행의 F키가 활성화되어 F키에 표출이 되며, F+α키를 2회 누르면 제3 행의 F키가 활성화되어 F키에 표출이 되는 방식인 것이다. 여기서 F+α키의 제2 행에는 숫자가 입력되지 않았으므로 비활성이 되어 F+α키를 거듭치기 하여 F키를 변환시킬 때 F키 상에 표출되지 않게 된다.
도 6b에서 사용자가 F+α키를 누르는 순서를 바꾸어 입력하면 F+α키를 연속적으로 눌렀을 때 F키부에 나타나는 문자나 기능이 새로 입력한 순서에 따라 변경되어 배치된다.
F키부에 사용자가 필요한 문자나 기능을 얼마든지 추가하여 활용할 수 있다. F+α키를 원하는 만큼 거듭치기하여 F키부에 표출되는 문자나 기능을 계속 변환시켜 가면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1개의 키보드를 가지고 다양한 문자를 입력할 수 있고 다양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키보드를 각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최적화시킨 사용자 중심의 키보드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추가키부(131)에는 해당 언어의 기본문자, 변형문자 또는 특수문자를 우선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만약 이러한 문자들을 배치하고도 추가키가 남을 경우에는 문서작성에 필요한 문자나 기호, 부호, 그림, 사진 또는 기능키와 같이 문자입력에 필요한 사항을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추가키에, 전체선택 기능, 복사하기 기능, 저장하기 기능, 붙이기 기능, 자르기 기능, 되돌리기 기능의 편집기능 중 어느 하나를 배치하여 Ctrl키를 누르지 않고도 추가키를 누르면 편집기능을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많은 사람들이 키보드 상에서 전체선택, 복사하기, 저장하기, 붙이기, 자르기, 되돌리기 등의 편집기능을 Ctrl키를 이용하여 단축키로 사용하고 있다. Ctrl키와 A키를 함께 누르면 문서편집에서 전체선택 기능이 실행되며, 마찬가지로 Ctrl키+C는 복사하기 기능, Ctrl키+S는 저장하기 기능, Ctrl키+V는 붙이기 기능, Ctrl키+X는 자르기 기능, Ctrl키+Z는 되돌리기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추가키의 각각에 편집기능 중 어느 하나를 배치하여 Ctrl키를 누르지 않고 추가키만 눌러도 문서편집에 필요한 기능이 바로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추가키 Ctrl+A(132)는 전체선택 기능(=Ctrl+A), 추가키 Ctrl+C(133)는 복사하기 기능(=Ctrl+C), 추가키 Ctrl+S(134)는 저장하기 기능(=Ctrl+S), 추가키 Ctrl+V(135)는 붙이기 기능(=Ctrl+V), 추가키 Ctrl+X(136)는 자르기 기능(=Ctrl+X), 추가키 Ctrl+Z(137)는 되돌리기 기능(=Ctrl+Z)을 바로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Ctrl키를 누르지 않고도 편집기능이 바로 실행되도록 하는 것은 상기에 언급한 추가키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키보드부의 임의의 키에 배치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추가키에 편집기능을 배치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와 같이 하면 문서를 편집할 때 Ctrl키를 누르지 않고 바로 추가키만 눌러 편집기능을 실행하므로 매우 간편하게 작업할 수가 있다. 또한, 편집기능을 수행하는 추가키 및 임의의 키를 0.2초 이상 길게 누르면 또 다른 기능이 실행될 수도 있다.
Ctrl키를 누르지 않고도 편집기능이 바로 실행되는 키에 문자 또는 기호가 함께 배치되었을 경우, 키를 1회 누르면 문자 또는 기호가 입력되고 키를 0.2초 이상 길게 누르면 Ctrl키를 누르지 않고도 편집기능이 바로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 중의 하나는 고정된 문자키나 기능키 외에 사용자정의키(123)(이하 'U키'라 통칭함.)를 배정하는 것이다. F키부의 추가된 F키와 숫자/기호키부 중 숫자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복수 개의 키를 U키부(123)라 하며, U키부에 사용자가 원하는 자료를 등록하여 사용할 수 있되, 자료는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자료는 문자, 기호, 부호, 사진, 상용구, 수식, 이모티콘, 캐릭터 등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키보드를 통하여 입력하고자 하는 것을 통칭하도록 한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U키부 설정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F키부의 추가된 F키는 F13~F16으로 4개의 키가 추가되어 있고, 숫자/기호키부 중 숫자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3개의 (-,ㆍ), (+, =), (÷,×) 키가 배치되어 있다. 사용자가 F13~F16키와 숫자/기호키부의 3개 키에 할당된 기호를 고정해서 사용하기보다는 각 사용자의 직업이나 기능에 따라서 많이 사용하는 자료를 미리 작업 전에 세팅을 해 놓았다가 필요할 때마다 사용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U키부에 자료를 등록하는 방법은, U키부의 임의의 키 중 2개를 동시에 누르면 표시부에 U키부설정화면(124)이 나타나고, U키부설정화면에서 각 키에 복수 개의 자료를 등록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먼저 U키부 설정화면에서 각 키에 등록할 위치를 선택한 후,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자료를 불러오기 하여 등록할 수 있거나 사용자가 자료를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 각 키에 등록하는 자료의 수는 10~20개 정도가 바람직하지만 더 추가할 수 있다.
또한, U키부에 자료가 표출되도록 하는 방법은, U키부 중 어느 한 키를 0.2초 이상 길게 누르고 있으면, 키에 등록된 복수 개의 자료가 순차적으로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변환되며, 사용자가 키에서 원하는 자료가 나타나 누름을 해제하면 그 자료가 키에 표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일정한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0.3초에서 1초 이내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U키부에 사용자가 원하는 자료의 조합을 빠르게 선택할 수 있게 된다.
U키부 중에서 숫자/기호키부 중 숫자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복수 개의 키는 F+α키가 활성화되었을 때도 U키부로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숫자/기호키부 중 숫자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복수 개의 키에는 1개의 자료가 등록되거나 또는 2개의 자료가 상하로 등록될 수 있고, 그 중 상하로 2개의 자료가 배치되었을 경우 상측에 배치되는 자료는 Shift키를 눌러 입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키보드를 사용하기 전에 U키부의 각 키를 세팅해 놓으면 사용자의 전문적인 직업이나 기능에 맞게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서 자주 쓰는 자료를 빠르게 입력할 수 있고, 간편하게 바로바로 원활하게 변경하여 입력할 수 있기 때문에 각 사용자중심의 최적화된 키보드를 사용할 수 있다.
U키에 미리 등록되어 있는 자료는 각 키마다 때로는 모두 동일할 수도 있고 때로는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더 많이 등록하거나 서로 다르게 등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숫자/기호키부에서 0~9까지 숫자와 기호가 상하로 배치된 10개의 숫자/기호키는 본 발명의 취지대로 Shift키나 Alt키 등의 기능키를 누르지 않고 숫자나 기호를 바로 입력할 수 있다.
도 8b의 (1)에서와 같이 숫자/기호키부에서 0~9까지의 숫자는 하측에 배치되고, 기호는 상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숫자는 바로 눌러서 입력할 수 있고 기호는 누름전환키인 Shift키를 눌러서 입력하게 된다. 10개의 숫자/기호키 중 임의의 키를 0.2초 이상 길게 누르면 숫자와 기호의 위치가 변환되어 도 8b의 (2)와 같이 상측에 숫자가 나열되고, 하측에 기호가 나열된다. 그러면 기호들을 Shift키나 Alt키 등의 기능키를 누르지 않고 바로 입력할 수 있게 된다. 10개의 숫자/기호키 중 임의의 키를 다시 0.2초 이상 길게 누르면 도 8b의 (3)과 같이 다시 숫자와 기호의 위치가 바뀌어 10개의 숫자/기호키의 하측에 모두 숫자가 배치되므로 Shift키나 Alt키 등의 기능키를 누르지 않고 숫자를 바로 입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숫자/기호키부에서 숫자나 기호를 입력할 때 임의의 키를 0.2초 이상 길게 누르는 간단한 방법으로 Shift키나 Alt키 등의 기능키를 누르지 않고 숫자나 기호를 바로 입력할 수 있다.
언어에 따라 숫자/기호키부에도 문자를 배치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숫자/기호키부를 0.2초 이상 눌러서 숫자와 기호 또는 문자의 위치를 바꾸면 해당 숫자나 기호 또는 문자를 입력할 때 Shift키나 Alt키 등의 기능키를 누르지 않고 바로 입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숫자/기호키부에 숫자나 기호 또는 문자가 고정적으로 인쇄되어 있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보드부 상측에 기호 또는 문자, 하측에 숫자가 고정적으로 인쇄되어 있더라도 10개의 숫자/기호키 중 임의의 키를 0.2초 이상 길게 누르면 숫자와 기호의 위치가 내부적으로 변환되어 shift키 등의 기능키를 누르지 않고 기호를 입력할 수 있다. 다시 숫자/기호키 중 임의의 키를 0.2초 이상 길게 누르면 숫자를 바로 입력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숫자/기호키부에 숫자/기호변환키(125)를 별도로 배치하여, 숫자나 기호 또는 문자를 입력할 때 Shift키나 Alt키 등의 기능키를 누르지 않고 바로 입력할 수 있다. 도 8c의 (1)과 같이 숫자/기호변환키를 누르지 않았을 때는 10개의 숫자/기호키에는 상측에는 기호 또는 문자, 하측에는 숫자가 나열되어 숫자는 바로 입력할 수 있고 기호 또는 문자는 shift키를 같이 눌러서 입력하게 된다.
도 8c의 (2)와 같이 숫자/기호변환키를 1회 누르면 10개의 숫자/기호키에 숫자와 기호 또는 문자의 위치가 바뀌어 상측에는 숫자, 하측에는 기호 또는 문자가 나열되어 기호 또는 문자를 Shift키나 Alt키 등의 기능키를 누르지 않고 바로 입력할 수 있다.
도 8c의 (3)과 같이 숫자/기호변환키를 다시 1회 누르면 10개의 숫자/기호키에는 상측에는 기호 또는 문자, 하측에는 숫자가 나열되어 숫자를 바로 입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숫자나 기호 또는 문자를 입력할 때 Shift키나 Alt키 등의 기능키를 누르지 않고 간편하게 바로 입력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일반적인 키보드에서는 우측에 별도의 숫자키를 배치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보드에서도 우측에 별도의 키를 배치하게 되면 숫자/기호키부에 있는 숫자를 쓸 필요가 현저히 줄어들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숫자/기호키부를 상하로 변환시켜가면서 숫자 또는 기호를 Shift키나 Alt키 등의 기능키를 누르지 않고 바로 입력할 수 있도록 사용한다면 사용자가 숫자 또는 기호를 더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입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한글버전 키보드의 배열은 구성은 다음과 같다.
한글의 자음 기본 음소는 ㄱ(牙音), ㄴ(舌音), ㅁ(脣音), ㅅ(齒音), ㅇ(喉音)이다. 나머지 자음들은 이 5개의 기본 음소를 바탕으로 획을 하나씩 더해서 만든다.
ㄱ->ㅋ
ㄴ->ㄷ->ㅌ
ㅁ->ㅂ->ㅍ
ㅅ->ㅈ->ㅊ
ㅇ->ㅎ
또한 우리말 자음에는 평음(平音:예사소리), 격음(激音:거센소리), 경음(硬音:된소리)의 구별이 있으며, 평음을 나타내는 글자에 획을 하나 더하여 격음을 나타내는 글자가 되고, 평음을 나타내는 글자를 옆으로 나란히 2개를 써서 경음을 나타내는 글자가 된다.
ㄱ->ㅋ->ㄲ
ㄷ->ㅌ->ㄸ
ㅂ->ㅍ->ㅃ
ㅅ->ㅆ
ㅈ->ㅊ->ㅉ
본 발명에서는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배열할 때 한글의 창제원리에 따라 같은 원리에 해당하는 자음끼리 또는 모음끼리 서로 인접하여 배치하며 동시에 한글 자음과 모음의 순서도 같이 고려하여 배치함으로써 한글을 아는 사람이면 자판을 외우지 않더라도 누구나 키보드 상에서 직관적으로 한글 자음과 모음의 위치를 파악하여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ㄱ,ㅋ,ㄲ), (ㄴ,ㄷ,ㅌ,ㄸ,ㄹ), (ㅁ,ㅂ,ㅍ,ㅃ), (ㅇ,ㅎ), (ㅅ,ㅈ,ㅊ,ㅆ,ㅉ)
(ㅏ,ㅑ), (ㅓ,ㅕ), (ㅗ,ㅛ), (ㅜ,ㅠ), (ㅡ,ㅣ), (ㅐ,ㅒ),(ㅔ,ㅖ)
또한, 한글 자음과 모음의 순차배열과 닮은꼴을 고려하여 배치한 것이므로 한글을 모르는 사람이라도 한글 자음과 모음의 위치를 별도로 외울 필요 없이 직관적으로 문자를 찾아서 입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배열할 때 사용빈도를 고려하여 배치함으로써 입력의 효율성을 최대한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KAIST 인공지능연구센터의 1997년도 약 1억2천만자의 자모분석수치에 따르면 한글의 각 자음과 모음의 빈도수는 표 4와 같다.
Figure 112017006433558-pat00004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빈도수가 높은 자음 'ㄱ,ㄴ,ㄷ,ㄹ,ㅁ,ㅂ,ㅅ,ㅇ,ㅈ,ㅎ'과 빈도수가 높은 모음'ㅏ,ㅣ,ㅡ,ㅗ'를 제1 행과 제2 행의 중앙 쪽에서부터 우선적으로 배치하여 입력의 효율을 높이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에서는 한글자음 19자와 한글모음 14자, 총 33자를 키보드부에 모두 각각 표출시킴으로써 한글을 입력할 때 쉬프트키나 다른 기능키들을 누르지 않고 바로 입력할 수 있으며, 한글자음과 모음의 순차배열과 사용빈도를 고려하여 배치하였기 때문에 누구나 한글 자음과 모음의 위치를 용이하게 숙지하여 빠르고 효율적으로 입력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키보드에서 한글을 입력할 때, 한글 자음 19자와 한글 모음 14자, 총 33자를 모두 각각 나열하되, 그 배치는 다양하게 변형하여 배치할 수 있다.
키보드의 문자입력부에 한글자음 19자 'ㄱ,ㄴ,ㄷ,ㄹ,ㅁ,ㅂ,ㅅ,ㅇ,ㅈ,ㅊ,ㅋ,ㅌ,ㅍ,ㅎ,ㄲ,ㄸ,ㅃ,ㅆ,ㅉ'와 한글 모음 14자 'ㅏ,ㅑ,ㅓ,ㅕ,ㅗ,ㅛ,ㅜ,ㅠ,ㅡ,ㅣ,ㅐ,ㅒ,ㅔ,ㅖ'의 총 33자를 모두 각각 나열하되, 문자키부의 제1 행 좌측에 'ㅆ, ㅅ, ㅇ, ㅁ, ㄷ, ㄱ'을 배치하고 제1 행 우측에 'ㅏ,ㅑ,ㅓ,ㅕ'를 배치하며, 제2 행의 좌측에 'ㅉ,ㅊ,ㅈ,ㅎ,ㅂ,ㄹ,ㄴ'을 배치하고 제2 행의 우측에 'ㅡ,ㅣ,ㅗ,ㅜ,ㅔ'를 배치하고, 제3 행의 좌측에 'ㄲ,ㅋ,ㅍ,ㅃ,ㄸ,ㅌ'을 배치하고 제3 행의 우측에 'ㅐ,ㅒ,ㅛ,ㅠ,ㅖ'를 각각 배치하여 자음 19자와 모음 14자, 총 33자를 쉬프트키나 다른 기능키를 사용하지 않고 키보드부에서 곧바로 입력할 수 있다.
종래의 키보드에서는 한글 자음과 모음의 배치는 순차배열이 아니고 규칙성 없이 배열되어 있어 사용자가 키보드 상에서 한글의 자음과 모음의 위치를 숙지하기가 어려워 입력 시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한글버전 키보드는 키보드부에 한글 자음과 모음을 배치할 때 순차배열과 사용빈도를 고려하여 배치한 것으로서 누구나 키보드 상에서 한글 자음과 모음의 위치를 용이하게 숙지하여 빠르고 효율적으로 입력할 수 있다.
쌍자음 또는 복모음 'ㄲ,ㄸ,ㅃ,ㅆ,ㅉ,ㅒ,ㅖ'를 입력할 때 종래의 키보드는 Shift키를 누른 상태에서 'ㄱ,ㄷ,ㅂ,ㅅ,ㅈ,ㅐ,ㅔ'를 눌러야 하는데, 이 때 쉬프트키를 잘못 눌러서 오타가 발생하면 수정하고 다시 입력해야 하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한글의 쌍자음 'ㄲ,ㄸ,ㅃ,ㅆ,ㅉ'과 복모음 'ㅒ,ㅖ'을 키에 별도로 배치함으로써 'ㄲ,ㄸ,ㅃ,ㅆ,ㅉ,ㅒ,ㅖ'를 입력할 때 쉬프트키를 누르지 않고 바로 입력할 수 있기 때문에 훨씬 빠르고 간편하게 한글을 입력할 수 있다.
'한글'은 훈민정음 창제시의 '훈민정음'과 현대 한국어맞춤법으로 정리된 '현대한글'을 포함하는 대한민국의 문자를 포괄적으로 통칭한다.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현대한글'은 소수의 자음과 모음으로만 이루어진 글자이므로 본래의 '훈민정음'에 비해 표현의 폭이 굉장히 좁아진 글자이다.
'훈민정음'만 하더라도 '현대한글'보다 'ㆁㆆㅿㆍ'의 글자를 더 사용하면서 훨씬 더 폭넓은 표현이 가능하였다. 한글 고어에서 사용하였던 글자들, 예를 들어 '
Figure 112017006433558-pat00005
'등의 수많은 한글들을 지금은 사용하고 있지 않지만 이러한 한글 고어의 자음들은 각각 나름대로의 고유한 음을 표현할 수 있었던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 고유의 '한글'로는, 예를 들어 '
Figure 112017006433558-pat00006
' 등 어떠한 조합의 발음도 표현하는 것이 가능한 글자인 것이며, 실로 매우 방대한 소리를 모두 표현할 수 있는 체계를 가지고 있는 굉장히 훌륭하고 탁월한 글자인 것이다.
지금의 '현대한글'로는 이러한 폭넓은 표현을 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 예를 들어 '현대한글'로 영어를 표기할 때
Figure 112017006433558-pat00007
, [r]과 [l] 등을 정확하게 구별해서 표현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하지만 우리가 훈민정음의 4글자 'ㆁㆆㅿㆍ'를 비롯해 본래 '한글'이 사용하였던 한글 고어들을 다시 복원하여 새롭게 발전된 '한글'과 '한국어'를 사용한다면, '한글'과 '한국어'는 전세계의 모든 언어를 거의 있는 그대로 100%에 가깝게 표현할 수 있다.
'한글'이 문자가 없는 언어의 새로운 문자가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인도네시아의 찌아찌아족이 부족의 언어를 표기하는데 한글을 사용하였으며, 태국의 라후족, 네팔의 체팡족, 남미의 아이마라족 들 역시 자신들의 언어를 표기하는 문자로 '한글'을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한글'은 언어는 있지만 문자가 없어서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지 못하고 자신들의 문화와 역사를 기록하고 민족의 정체성을 보존하며 전승하지 못하는 민족들에게 훌륭한 매개체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찌아찌아족의 경우 [televisi]와 같은 발음을 표현하기 위해서 '현대한글'에는 사용하지 않는 순경음비읍 'ㅸ'을 사용해 '텔레ㅸㅣ시'라고 표기하고 있다. 이와 같이 '현대한글'로는 모든 소리를 표현하는 것이 부족하지만 '훈민정음'을 포함한 '한글고어'를 복원하여 사용한다면 모든 언어를 '한글'로 표현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훈민정음'버전 키보드(103)를 도시한 한 것으로서, 언어변환키를 눌러 '한글(훈민정음)'을 선택하면, 한글의 자음 19자와 모음 14자, 총 33자를 포함하여 훈민정음의 4글자 'ㆁㆆㅿㆍ'와 한글 고어가 표출되어 모든 고어 한글을 보다 원활하게 입력할 수 있는 통합키보드장치가 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문자키부에는 한글의 자음과 모음 33자가 배치되고, F키부에 훈민정음 4글자 'ㆁㆆㅿㆍ'와 한글 고어가 나열된다. F+α키를 눌러 F키부를 변환시킬 때 다양한 한글 고어가 나오도록 세팅해 놓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사용자는 F+α 키를 1번씩 눌러가면서 F키부가 변환될 때 다양한 한글 고어가 표출되어 모든 한글을 쉽고 빠르게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키보드에서 영어를 포함한 로마자로 표기하는 언어를 입력함에 있어서, 키보드부에 언어의 알파벳의 자음과 모음을 QWERTY형으로 배치하거나, 언어의 알파벳의 자음과 모음을 순차적으로 배치하거나,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배치하거나, 또는 어떤 배치이든지 다양하게 적용하여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키보드에서는 영어를 포함한 로마자로 표기하는 언어를 입력함에 있어서, 언어의 알파벳의 자음과 모음을 순차적으로 배열하여 사용자가 문자의 위치를 용이하게 인지하고 효율적으로 입력할 수 있는 문자입력방법을 바람직하게 제안한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마자로 표기하는 언어를 사용하는 각국의 키보드의 도면으로 로마자의 자음과 모음을 순차적으로 배열할 수 있다.
영어 버전 키보드는 앞서 도 4b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알파벳의 자음과 모음이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배치하면 QWERTY형으로 배치할 때보다 사용자가 알파벳의 위치를 쉽게 숙지하여 효율적인 입력을 할 수 있다.
도 10a는 프랑스어 버전 키보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1)프랑스어 버전1 키보드는 F키부에 변형문자를 배치하고 추가키부에는 각 편집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키를 배치한 것이다. (2)프랑스어 버전2 키보드는 추가키부에 변형문자를 일부 배치하고 F키부에 나머지 변형문자 및 기호들을 배치한 예이다. 두 버전 모두 프랑스어의 각 문자들을 입력할 때 Shift키나 Alt키 등 별도의 기능키를 사용하지 않고 한 번에 모든 프랑스어문자를 바로 입력할 수 있으므로 프랑스어를 매우 효율적으로 입력할 수 있다.
(1)프랑스어 버전1에서 편집기능을 수행하려면 추가키들을 1회 누르면 편집기능이 수행되고, (2)프랑스어 버전2에서는 편집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추가버튼부에 문자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추가키를 1회 누르면 문자나 기호가 입력되고 추가키를 0.2초 이상 길게 누르면 편집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도 10b는 (1)포르투칼어 버전1과 (2)포르투칼어 버전2의 키보드를 도시한 예이며, 도 10c는 (1)독일어 버전1과 (2)독일어 버전2의 키보드를 도시한 예이고, 도 10d는 (1)스페인어 버전1과 (2)스페인어 버전2의 키보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각 버전 별로 입력이 실행되는 것은 (1)프랑스어 버전1 및 (2)프랑스어 버전2와 동일하게 수행된다.
임의의 나라의 언어를 구성하는 문자가 문자키부와 F키부 및 추가키부로도 부족하여 배치하지 못한 문자가 있을 경우에는 F+α 키를 눌러 F키부를 변환해가면서 나머지 문자들을 배치할 수 있다. 사용자는 빈도수가 많은 문자를 F키부에 바로 보이도록 배치하고 빈도수가 낮은 문자들은 F+α키를 눌렀을 때 F키 상에 표출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키보드에서는 로마자로 표기하는 언어 외에 키릴문자, 그리스문자, 일본어문자, 아랍문자 등 그 밖의 언어를 입력함에 있어서, 문자키부에 해당 언어를 구성하는 문자를 종래의 순서대로 배치하거나, 해당 언어를 구성하는 문자를 순차적으로 배치하거나,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종래의 QWERTY형 자판으로 상호 전환할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키릴문자, 그리스문자, 일본어문자 등 로마자로 표기하는 언어 외 그 밖의 언어의 키보드의 도면이다.
도 11a에는 (1)러시아어 버전 키보드와 (2)그리스어 버전 키보드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1b에는 (1)중국어 병음버전(본토) 키보드와 (2)중국어 병음버전(대만) 키보드 및 (3)일본어버전 키보드에 배정할 수 있다.
키보드에서 문자를 입력함에 있어서 키보드를 원활하게 사용하는 사용자는 오른손과 왼손을 키보드의 문자입력부 제2 행에 두고 이를 기본적인 위치로 하여 약간의 이동만 하면서 손가락을 움직여 문자를 입력하게 된다. 또한 각 키보드에서 문자의 배치를 이미 숙지하고 있는 사용자는 굳이 키보드를 보지 않고도 모니터를 보면서 입력하는 경우가 많다.
마침표 '.'와 쉼표 ','는 각 언어의 문자를 입력하여 문장을 구성하는데 필수적으로 사용되는데 기존의 키보드에서 마침표 '.'와 쉼표 ','는 오른쪽 하단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오른손을 문자키부의 제2 행인 기본적인 위치에서 떼어서 키보드의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마침표'.'와 쉼표','를 입력하고 다시 오른손을 제2 행에 두고 입력을 진행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대부분의 사용자는 시선을 모니터에서 키보드로 옮겨서 보았다가 다시 모니터를 보게 되므로 입력을 진행하는 흐름이 끊기게 된다. 따라서 마침표 '.'와 쉼표 ','를 제1 행의 중앙키에 배치함으로써 시선은 키보드를 보지 않고 모니터에 고정해 둔 상태에서 손의 위치를 제2 행에서 멀리 움직이지 않고 떼지 않고도 마침표 '.'와 쉼표 ','를 입력할 수 있게 되므로 전체적으로 문자입력의 흐름을 끊지 않고 더 효율적으로 입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마침표 '.'와 쉼표 ','를 문자키부 제1 행의 중간에 상하로 각각 배치하거나, 좌우로 나란히 배치하거나, 한 개의 키에 상하 또는 좌우로 배치하거나, 한 개의 키에 마침표'.'와 쉼표',' 중 어느 하나만을 배치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키보드에서 마침표 '.'와 쉼표 ','를 키보드 문자입력부 제1 행의 중앙키(160, 161)에 배치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는 언어의 체계상 대문자와 소문자가 있는 경우의 변환은 대소문자변환키(170)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기본적으로 소문자로 입력을 하다가 대문자로 변환해야 되는 글자만 대소문자변환키를 눌러 변환시키면 되는 것이다.
대소문자를 변환하는 종래의 방법으로는 Caps Lock키를 누르는 방법이 있다. 예를 들어 소문자로 입력을 하다가 대문자로 변환하고자 할 경우에는 Caps Lock키를 눌러 키보드에 배치된 문자들을 모두 대문자로 변환한 뒤 대문자를 입력하고 Caps Lock키를 다시 눌러 키보드에 배치된 문자를 소문자로 변환을 하게 한 후 입력을 계속 진행한다.
대소문자를 입력하는 기존의 또 다른 방법으로는 쉬프트키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소문자로 입력을 하는 중에 쉬프트키를 누른 상태에서 소문자를 누르면 대문자가 입력이 되고, 대문자로 입력을 하는 중에 쉬프트키를 누른 상태에서 대문자를 누르면 소문자로 입력이 된다. 이는 쉬프트키를 동시에 눌러야 하기 때문에 쉬프트키가 순간적으로 떼어지면 원하는 대로 대문자나 소문자가 입력되지 않게 되어 수정을 하고 다시 입력을 해야 하므로 입력의 흐름이 끊겨 효율적인 입력방법이라고 할 수가 없다
본 발명에서는, 소문자로 입력된 문자나 단어 뒤에 커서가 있는 경우에는 대소문자변환키를 1회 누르면 문자나 단어가 대문자로 변환된다. 이 때 공백이 입력되기 전의 문자나 단어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그대로 소문자로 남아있게 된다. 또한 대문자로 입력되거나 변환된 문자나 단어 뒤에 커서가 있는 상태에서 대소문자변환키를 1회 누르면 문자나 단어가 소문자로 변환되며, 이때도 마찬가지로 공백이 입력된 후의 문자나 단어에만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소문자로 입력한 내용에 대해 문자, 단어, 문단, 페이지 등 변환범위를 선택했을 경우에는 대소문자변환키를 누르면 공백에 상관없이 변환범위 모두 대문자로 변환될 수 있으며, 또는 대문자로 입력되거나 변환된 내용에 대해 문자, 단어, 문단, 페이지 등 변환범위를 선택했을 경우에는 대소문자변환키를 누르면 공백에 상관없이 모두 소문자로 변환된다.
대소문자변환키를 거듭치기하면 커서가 있는 행에서 커서의 앞에 입력된 문자나 단어 전체가 대문자는 소문자로, 소문자는 대문자로 변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대문자와 소문자를 변환하기 위하여 Caps Lock키나 쉬프트키를 눌러야하는 번거로움을 없애고자 한다. 대소문자변환키(170)을 활용하면 대문자와 소문자를 변환하기 위하여 문자키부의 문자를 모두 대문자로 바꾸었다가 다시 모두 소문자로 바꿀 필요가 없고 문자를 입력해가는 중에 필요한 문자나 단어를, 소문자를 대문자로 또는 대문자를 소문자로 바로바로 바꿀 수 있기 때문에 문자를 입력하는 흐름을 끊지 않고 대문자와 소문자를 변환하면서 문자를 입력하는데 매우 효율적인 장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키 상에 표출되는 문자를 모두 대문자로 변환시키고자 할 경우 대소문자변환키를 0.2초 이상 길게 누르면 키보드부에 표출되는 문자 전체가 모두 대문자로 변환될 수 있다. 이 때 키보드부에 표출되는 문자를 다시 모두 소문자로 나타나게 하려면 대소문자변환키를 다시 한번 0.2초 이상 길게 누르면 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보드에서 대소문자변환키를 사용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의 (a)를 참조하면, 'korea'라는 단어를 소문자로 입력한 뒤 단어 뒤에 커서가 있는 상태에서 대소문자변환키를 1회 누르면 단어가 대문자 'KOREA'로 변환된다. 역으로 'APPLE'이라는 단어를 대문자로 입력한 뒤 이 단어 뒤에 커서가 있는 상태에서 대소문자변환키를 1회 누르면 소문자 'apple'로 변환이 된다. 사용자는 변환하고자 하는 부분을 선택한 뒤 대소문자변환키를 눌러 대문자로 또는 소문자로 변환시킬 수 있다.
도 13의 (b)를 참조하면 'have a nice day'라는 문장이 입력되어 있을 때 이 문장 뒤에 커서가 있는 상태에서 대소문자변환키를 거듭치기하면 'HAVE A NICE DAY'와 같이 커서가 있는 행의 앞에 입력된 문자나 단어 전체가 대문자로 변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대문자로 입력된 내용이 있을 때 대소문자변환키를 거듭치기하면 커서가 있는 행에서 커서의 앞에 입력된 문자나 단어 전체가 소문자로 변환될 수 있다.
기존의 Caps Lock키를 이용하여 대소문자를 변환시키는 방법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대소문자변환키를 이용하여 대소문자를 변환시키는 방법을 비교해보고자 한다.
예를 들어 'The New Science of Exercise'라는 문구를 입력할 때 Caps Lock키를 이용하는 방법은 대문자와 소문자가 바뀌는 시점마다 Caps Lock키를 눌러주어야 한다. 예를 들어 Caps Lock키를 1회 눌러 대문자입력상태로 전환한 뒤 'T'를 입력하고 다시 Caps Lock키를 1회 눌러 소문자입력상태로 전환하여 'he'를 입력한다. 다시 Caps Lock키를 1회 눌러 대문자입력상태로 전환한 뒤 'N'을 입력하고 Caps Lock키를 1회 눌러 소문자입력상태로 전환한 뒤 'ew'를 입력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S', 'E'를 누르기 전과 누르고 난 후에 Caps Lock키를 눌러주어야 한다. 따라서 위 문구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Caps Lock키를 총 8회 눌러주어야 한다.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대소문자변환키를 이용하는 방법은, 소문자로 입력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므로 먼저 't'를 입력한 뒤 대소문자변환키를 1회 누르면 'T'로 변환된다. 그 다음은 키보드부가 대문자입력상태로 모두 바뀌는 것이 아니고 그대로 소문자입력상태가 유지되므로 별다른 조작없이 'he'와 'n'을 입력한다. 그 다음에 대소문자변환키를 1회 누르면 'n'이 'N'으로 변환된다. 이 때 대소문자변환키는 공백이 입력된 후의 문자나 단어에 해당하여 작동하며 공백이 입력되기 전의 문자나 단어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그대로 소문자로 남아있게 된다. 그 다음은 'ew'와 's'를 누르고 대소문자변환키를 1회 누르면 's'가 'S'로 변환된다. 그 다음은 'cience of'와 'e'를 누르고 대소문자변환키를 1회 눌러 'e'를 'E'로 변환시킨다. 그 다음은 'xercise'를 마저 입력하면 된다. 따라서 위 문구를 입력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대소문자변환키를 활용하면 총 4번의 누름을 가지고 위 문구를 완성하게 된다.
대소문자를 변환하기 위해서 기존의 Caps Lock키를 누를 때보다 본 발명의 대소문자변환키를 이용하면 대소문자를 변환하기 위해서 키를 누르는 횟수를 절반으로 줄일 수 있으므로 매우 획기적이며 효율적인 입력방법이라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방법에서는 문자를 입력해나가는 과정 중에서 필요한 문자만 대문자로 바꿔가면서 문자입력의 흐름을 끊지 않고 계속 진행해 나갈 수 있다. 또한 문자의 수에 상관없이 여러 가지 방법으로 문자나 단어를 한꺼번에 대문자로 바로바로 변환시켜줄 수 있으므로 훨씬 더 간편하게 소문자를 대문자로, 대문자를 소문자로 변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각종 괄호기호를 간편하게 입력하는 통합괄호키(180)이다.
종래의 키보드에서는 열림괄호기호 '('와 닫힘괄호기호 ')'가 2개의 키에 별도로 배치되어 있으며 괄호기호 '( )' 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쉬프트키를 누른 상태에서 열림괄호기호 '('를 입력하고 또 쉬프트키를 누른 상태에서 닫힘괄호기호 ')'를 각각 눌러주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열림괄호기호 '('와 닫힘괄호기호 ')' 및 각종 괄호기호를 통합하여 제1통합괄호키(180)으로 배치함으로써 키보드 상에서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고 쉬프트키를 누르지 않고도 괄호기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가 제1통합괄호키(180)을 1회 누르면 열림괄호기호 '('가 입력되고 사용자가 괄호기호 안에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를 입력한 후 제1통합괄호키를 다시 1회 누르면 닫힘괄호기호 ')'가 입력되어 괄호기호가 완성될 수 있다.
도 1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키보드에서 제1통합괄호키를 눌러 괄호기호를 입력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제1통합괄호키를 1번 누르면 열림괄호기호인'(' 가 입력된다. 사용자가 열림괄호기호 뒤에 'Good morning'이라는 문자를 입력한다. 사용자가 닫힘괄호기호 ')'를 완성하기 위해서 제1통합괄호키를 다시 한번 누르면 닫힘괄호기호인 ')' 가 입력되어 괄호기호가 완성될 수 있다.
키보드에서 괄호기호를 연속적으로 입력해야할 경우에는 제1통합괄호키를 1회 눌러 열림괄호기호인 '('를 입력한 후, 제1통합괄호키를 거듭치기하면 열림괄호기호가 '(('와 같이 연속적으로 입력이 되며, 닫힘괄호기호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제1통합괄호키를 열림괄호기호를 입력한 횟수만큼 1번씩 누르면 닫힘괄호기호 ')'가 입력되어 괄호기호가 완성될 수 있다.
도 1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키보드에서 제1통합괄호키를 눌러 괄호기호를 연속적으로 입력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a(3x+y)-b)'을 입력할 경우 제1통합괄호키를 1회 눌러 열림괄호기호인 '('를 입력한 후, 'a'를 입력하고, 제1통합괄호키를 거듭치기 하면 열림괄호기호가 연속적으로 입력이 되며, '3x+y'를 입력한 뒤 닫힘괄호기호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제1통합괄호키를 열림괄호기호를 입력한 횟수만큼 1번 씩 누르면 닫힘괄호기호 ')'가 입력되어 괄호기호가 완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각종 괄호기호를 간편하게 입력하는 방법으로 제2통합괄호키(181)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키보드의 키보드부에 제2통합괄호키가 있고, 제2통합괄호키는 '( )', '{ }', '[ ]', '< >'의 4개의 괄호키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괄호키를 1회 누르면 각 괄호의 열림괄호기호가 입력되고 각 괄호키를 다시 한번 누르면 먼저 입력된 열림괄호기호의 대칭이 되는 닫힘괄호기호가 입력이 되어 괄호기호가 완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키보드에서 제2통합괄호키를 눌러 괄호기호를 입력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통합괄호키는 '( )'키, '{ }'키, '[ ]'키, '< >'키로 이루어져 있다. 4개의 괄호기버튼은 도 14c와 같이 상하좌우로 배치될 수도 있고 다른 형태로 변형되어 배치될 수 있다. 4개의 괄호키 중 '( )'가 입력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겠다. '( )'키 1번 누르면 열림괄호기호인'(' 가 입력된다. 사용자가 열림괄호기호 뒤에 'Good morning'라는 문자를 입력한다. 사용자가 닫힘괄호기호 ')'를 완성하기 위해서 '( )'키를 누르면 닫힘괄호기호인 ')' 가 입력되어 괄호기호가 완성될 수 있다.
제2통합괄호키에서 '{ }', '[ ]', '< >'을 입력하는 방법도 동일한 과정을 거친다. 예를 들어 '{ }'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 }'키를 1번 누르면 열림괄호기호인 '{'가 입력된다. 사용자가 열림괄호기호에 입력하고자 하는 내용을 입력한뒤 닫힘괄호기호인 '}'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상기'{ }'키를 다시 한 번 누르면 닫힘괄호기호 '}'가 입력되어 '{ }'괄호기호가 완성된다.
이와 같이 하면 '( )', '{ }', '[ ]', '< >'을 입력하기 위해서 shift키를 누를 필요 없이 단 2회의 누름으로 각 괄호기호를 간단하게 완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키보드에서 제2통합괄호키에서 '( )', '{ }', '[ ]', '< >'의 4개의 괄호키 중 임의의 괄호키를 연속하여 입력하고자 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괄호키를 1회 눌러 열림괄호기호를 입력한 후, 괄호키를 거듭치기를 하면 열림괄호기호가 연속적으로 입력이 되며 괄호키를 1번씩 누르면 먼저 입력된 열림괄호기호의 대칭이 되는 닫힘괄호기호가 입력이 되어 괄호기호가 완성될 수 있다.
도 1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키보드에서 제2통합괄호키를 눌러 괄호기호를 연속적으로 입력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a(3x+y)-b]'을 입력할 경우 제2통합괄호키 중에서 '[ ]'을 1회 눌러 열림괄호기호인 '['를 입력한 후, 'a'를 입력하고, '( )'키를 1회 눌러 열림괄호기호인 '('를 입력한다 이후 '3x+y'를 입력한 뒤 닫힘괄호기호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 )'키를 1회 누르면 ')'가 입력된다. 이후 '-b'를 입력한 뒤 '[ ]'키를 1회 누르면 ']'가 입력된다.
'(a(3x+y)-b)'을 입력할 경우 제2통합괄호키 중에서 '( )'을 1회 눌러 열림괄호기호인 '('를 입력한 후, 'a'를 입력하고, '( )'키를 거듭치기 하면 열림괄호기호가 연속적으로 입력이 되며, '3x+y'를 입력한 뒤 닫힘괄호기호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상기'( )'키를 열림괄호기호를 입력한 횟수만큼 1번 씩 누르면 닫힘괄호기호 ')'가 입력되어 괄호기호가 완성될 수 있다.
종래의 키보드에서는 '[', ']', '{', '}', '<', '>' 의 괄호기호가 다른 키에 각각 인쇄되어 있다. 사용자가 '{', '}', '<', '>'의 괄호기호를 입력하고자 할 경우에는 쉬프트키를 누른 상태에서 해당 기호가 배치된 키를 동시에 눌러주어야만 한다. 또한 자판에 인쇄되어 있지 않은 괄호기호의 경우에는 문자표 등에서 입력하고자 하는 열림괄호기호를 찾아 선택하여 입력하고 문자를 입력한 후 다시 문자표 등에서 닫힘괄호기호를 찾아 선택하여 입력해야 하므로 그 과정이 번거롭고 오랜 시간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괄호기호와 마찬가지로 수많은 괄호기호들은 열림괄호기호와 닫힘괄호기호가 1쌍으로 입력되게 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 점을 감안하여 여러 괄호기호들을 제1통합괄호키(180) 또는 제2통합괄호키(181)에 모두 통합할 수 있다. 이것은 여러 괄호기호들을 찾기 쉽게 하고 쉬프트키를 누르지 않고도 간단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며 키보드상에서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수 있게 하는 것이다. 사용자가 임의의 괄호기호를 입력하고자 할 경우 제1통합괄호키 또는 제2통합괄호키를 0.2초 이상 길게 누르면 표시부 상에 다양한 괄호기호가 나열된 괄호기호화면(182)이 표출된다. 괄호기호화면에는 다양한 괄호기호들이 열림괄호기호와 닫힘괄호기호가 괄호기호쌍을 이루어 나열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특정 괄호기호쌍을 선택하면 그 특정 괄호기호의 열림괄호기호가 입력된다. 이때 각 괄호기호쌍에 번호가 부여되어 있을 경우에는 번호를 입력하여도 괄호기호쌍의 열림괄호기호가 입력된다. 여기서 제2통합괄호키는 '( )'키, '{ }'키, '[ ]'키, '< >'키를 아무 곳이나 0.2초 이상 길게 누르면 된다. 이하 제2통합괄호키를 누른다는 것은 '( )'키, '{ }'키, '[ ]'키, '< >'키의 임의의 지점을 누른다는 것이다.
도 15a와 도 1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통합괄호키 또는 제2통합괄호키로 다양한 괄호기호를 입력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a는 사용자가 임의의 괄호기호를 입력하기 위하여 제1통합괄호키 또는 제2통합괄호키를 0.2초 이상 길게 누르면 다양한 괄호기호가 나열된 괄호기호화면이 표출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사용자가 특정 괄호기호쌍, 예를 들어 '《 》'을 누르면 '《 》'의 열림괄호기호인 '《'가 입력된다. 사용자가 괄호기호 '《 》' 내에 입력하고자 하는 내용을 입력한 뒤 닫힘괄호기호 '》'를 완성하기 위해서는 제1통합괄호키 또는 제2통합괄호키를 누르면 된다. 그러면 앞서 입력된 '《 》'의 열림괄호기호 '《'에 대응하는 닫힘괄호기호 '》'가 입력되어 괄호기호쌍 '《 》'이 완성됨을 알 수 있다. 도 15b는 제1통합괄호키 또는 제2통합괄호키를 눌러 닫힘괄호기호 '》'를 완성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와 같이 하면 수많은 괄호기호를 입력함에 있어서, 괄호기호마다 일일이 열림괄호기호와 닫힘괄호기호를 찾는 번거로움을 줄이고 모든 괄호기호를 완성할 때는 제1통합괄호키 또는 제2통합괄호키를 눌러 완성할 수 있으므로 문자입력에 매우 효율적인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괄호기호 내부에 또 다른 괄호기호를 입력할 수 있다. 먼저 제1통합괄호키 또는 제2통합괄호키를 0.2초 이상 길게 누르면 표시부 상에 복수 개의 괄호기호가 나열된 괄호기호화면이 표출되며, 그 중 사용자가 첫 번째로 입력하고자 하는 괄호기호쌍을 1회 누르면 그 괄호기호쌍의 열림괄호기호가 입력되고, 사용자가 두 번째로 입력하고자 하는 괄호기호쌍을 1회 누르면 그 괄호기호쌍의 열림괄호기호가 입력된다.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사용자가 임의의 괄호기호쌍을 1회 눌러 열림괄호기호를 입력할 수 있다. 입력된 열림괄호기호들에 대응하는 닫힘괄호기호들을 입력하고자 할 때는 제1통합괄호키 또는 제2통합괄호키를 1회 씩 눌러주면 나중에 입력한 괄호기호쌍부터 역순으로 닫힘괄호기호가 입력되어 괄호기호가 완성될 수 있다.
만약 동일한 괄호기호를 연속적으로 입력할 경우에는 괄호기호화면에 표출된 괄호기호쌍을 거듭치기하여 열림괄호기호를 연속하여 입력하고, 열림괄호기호에 대응하는 닫힘괄호기호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제1통합괄호키 또는 제2통합괄호키를 1회씩 눌러주면 나중에 입력한 괄호기호쌍부터 역순으로 닫힘괄호기호가 입력되어 괄호기호가 완성될 수 있다.
도 16a와 도 1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통합괄호키 또는 제2통합괄호키로 다양한 괄호기호를 연속적으로 입력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100《35+〔15-20〔3+66〕〕+3.2》라는 수식을 입력할 경우 도 16a와 같이 제1통합괄호키 또는 제2통합괄호키를 0.2초 이상 길게 누르면 괄호기호화면 상에 다양한 괄호기호쌍이 나열되며 여기서 사용자가 첫 번째로 입력하고자 하는 괄호기호쌍인 '《 》'를 선택하여 그 열림괄호기호인 '《' 를 입력한다. 이어서 사용자가 두 번째로 입력하고자 하는 괄호기호쌍인 '〔 〕'를 선택하면 그 열림괄호기호인 '〔'가 입력되며, 동일한 기호인 '〔 〕'를 연속적으로 입력할 때는 '〔 〕'를 거듭치기 하여 열림괄호기호인 '〔'를 입력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자가 임의의 괄호기호쌍을 선택하여 그 열림괄호기호를 입력한 뒤, 입력된 열림괄호기호들에 대응하는 닫힘괄호기호들을 입력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도 16b와 같이 제1통합괄호키 또는 제2통합괄호키를 한번 씩 눌러주면 나중에 입력한 괄호기호부터 역순으로 닫힘괄호기호가 입력되어 괄호기호가 완성될 수 있다.
또한 제1통합괄호키 또는 제2통합괄호키를 0.2초 이상 길게 눌러 괄호기호화면이 열리면 사용자는 괄호기호화면에서 특정 괄호기호쌍을 마우스로 좌클릭하거나 손 또는 전자기기용 펜 등으로 터치하여 그 상태를 유지한 채 괄호기호화면 외부의 표시부로 이동한 뒤 클릭 또는 터치를 해제하면 괄호기호쌍의 열림괄호기호와 닫힘괄호기호가 동시에 완성되어 표시부에 입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사용자는 필요한 괄호기호를 바로 표시부에 끌어옴으로써 간편하게 괄호기호를 완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괄호기호화면에서 '< >'쌍을 클릭 또는 터치한 상태에서 표시부로 이동한 뒤 클릭을 해제하면 표시부에 '< >'가 입력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커서가 '<|>'와 같이 열림괄호기호 '<'와 닫힘괄호기호 '>'사이에 자동으로 위치하게 하여 사용자가 괄호기호 '< >'안에 문자를 바로 입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괄호기호화면이 열린 상태에서 사용자가 필요한 괄호기호들을 한꺼번에 표시부에 옮겨놓고 작업을 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하면 괄호기호를 입력하기 위해서 괄호기호를 일일이 찾고 각각 선택하여 여러 번의 동작을 거쳐서 괄호기호를 입력하는 번거로움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수많은 괄호기호를 키보드 상의 키에 일일이 나열할 필요가 없이 제1통합괄호키 또는 제2통합괄호키 하나로 통합하면 키보드상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닫힘기호를 입력하기 위해 일일이 찾아서 입력하는 번거로움을 없애고 제1통합괄호키 또는 제2통합괄호키를 눌러 바로 닫힘괄호기호를 완성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키보드에서 입력하는 방법보다 휠씬 더 효율적으로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키보드에서는 각종 기호를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입력할 수 있다.
키보드에서 문서를 편집하면서 다양한 기호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몇 단계를 거쳐서 문자표를 열어 기호를 찾은 뒤 선택하여 입력한다. 본 발명에서는 키보드에 통합기호키(190)가 있고, 통합기호키를 누르면 표시부에 기호화면(191)이 표출되며, 기호화면에는 기호목록(192)과 기호목록에 따른 복수 개의 기호들이 나열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원하는 기호를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다. 또한 기호목록을 변경하면 그에 따른 기호들이 다양하게 변경되어 나타나게 되어 그 중 사용자가 원하는 기호를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다.
종래의 방법으로 다양한 기호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기호가 저장되어 있는 소프트웨어프로그램을 실행시키거나 다양한 경로로 문자표 등을 찾아들어가서 기호를 선택하여 입력해야만 했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는 통합기호키를 1번 눌러서 기호화면을 바로 열수 있고 거기서 즉시 기호를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기호를 빠르고 간편하게 효율적으로 입력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보드에서 통합기호키를 눌러 기호화면이 표출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에서는 기호목록에 단위기호가 선택되어 있으며 그에 따라 여러 가지 단위들이 나타나 있으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단위를 바로 선택해서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기호화면에서 기호목록을 변경하면 그에 따른 기호들이 변경되어 배치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다양한 기호를 간편하게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통합기호키를 이용하면 각종 기호, 각종 특수문자, 각종 도형, 각종 단위기호, 각종 화살표, 각종 문장부호, 각종 원문자 등의 기호들을 매우 간편하게 바로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각국의 화폐기호를 간편하게 입력할 수 있다. 화폐기호는 각 나라마다 고유한 화폐기호를 사용한다. 따라서 키보드 상에 표출되는 언어가 변환되면 그 나라에서 사용하는 화폐기호로 바뀌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키보드에 있어서, 키보드부에 통합화폐키(200)가 있으며, 언어변환키를 눌러 언어를 선택하면, 통합화폐키에 선택된 언어에 해당하는 화폐단위가 나타나고, 통합화폐키를 1회 누르면 화폐단위를 입력할 수 있다. 통합화폐키를 0.2초 이상 길게 누르거나 거듭치기하면 표시부에 화폐단위화면(201)이 나타나면서 모든 화폐단위가 나열되고 그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화폐단위를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키보드에 있어서, 통합화폐키와 화폐단위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통합화폐키를 사용하면 사용자는 자국의 화폐단위뿐만 아니라 여러 나라의 화폐단위를 빠르고 간편하게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키보드부에 번역키(210)이 있어서, 문자를 입력한 후 단어, 문장, 문단, 또는 페이지 등 번역될 범위를 선택한 뒤 번역키를 누르면 다른 언어로 번역이 될 수 있다.
번역키를 길게 눌렀을 때 표시부에 번역키설정화면(211)이 표출된다. 번역키설정화면에는 현재 언어, 번역될 언어, 전세계 언어목록이 있을 수 있다. 현재 언어 항목에는 현재 키보드부에 표출된 언어가 표시되며, 번역될 언어 항목에는 번역키를 눌렀을 때 번역될 언어가 표시된다. 사용자는 전세계 언어목록에서 언어명을 선택하여 번역될 언어항목에 등록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사용자가 먼저 번역될 언어를 등록해 놓은 뒤 번역키를 누르면 현재 언어에서 번역될 언어로 번역이 되는 것이다. 이것은 사용자가 번역될 언어를 변경하여 등록하기 전에는 계속 유효하게 유지되므로 사용자는 문자를 입력하고 번역키만 누르면 번역될 언어에 등록된 언어로 바로 번역이 완성된다.
도 1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번역키설정화면과 번역키를 눌러 번역이 완성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문자를 입력하고 한 번에 여러 나라의 언어로 동시에 번역할 수도 있다. 이 기능은 여러 나라의 언어를 학습하는 사람이나 한 번에 여러 나라의 언어로 동시에 번역하는 사람이 활용할 수 있다. 번역키설정화면의 번역될 언어에 복수 개의 언어명을 등록해놓은 뒤 사용자가 문자입력 후 번역될 범위를 지정하고 번역버튼을 누르면 복수 개의 언어로 번역이 되어 나타나며, 이 때 상기 번역될 언어에 등록된 순서대로 번역이 된다.
도 19b는 번역키를 눌러 여러 언어로 동시에 번역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키보드부에 원(○)키(221), 방(□)키(222), 각(△)키(223)을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이하 '원방각키'로 통칭한다.) 원방각키 중 하나를 누르면 자료화면(224)이 열리면서 자료목록과 자료명, 그에 따른 자료 또는 기능이 나열되어 사용자가 바로 선택해서 입력할 수 있다. 원방각키를 이용하면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자료를 선택하여 입력할 때 여러 경로를 거치지 않고 한 번에 바로 찾아서 간편하게 입력할 수 있는 것이다.
언어를 입력하기 위한 문자뿐만 아니라 전문적인 표현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키보드 사용자가 물리 관련 문서를 작성하는 경우에는 물리공식을 입력해야 하는 경우가 있고, 화학 관련 문서를 작성하는 경우에는 화학공식을, 수학 관련 문서를 작성하는 경우에는 수학공식을 입력해야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 물리공식, 화학공식, 수학공식을 일일이 입력한다는 것은 매우 번거롭고 많은 시간을 요하게 되므로 물리공식, 화학공식, 수학공식이 이미 입력되어 있는 것 중에서 자신이 입력하고자 하는 공식과 가장 유사한 공식을 선택하여 불러 온 뒤 자신의 필요에 맞게 수정하여 입력한다면 입력시간을 짧게 단축시키고 훨씬 간편하게 입력할 수 있다.
원방각키에 물리공식, 화학공식, 수학공식이 100개든, 200개든 미리 입력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바로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다. 공식들은 키보드가 제작될 당시 처음부터 등록이 되어있을 수도 있고, 사용자가 원방각키에 자기가 원하는 공식을 추가로 등록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또한 사용빈도가 많은 공식을 위쪽에 배치되게 할 수도 있다.
또는 원방각키 중 어느 하나에 물리공식, 화학공식, 수학공식 뿐만 아니라 다른 자료들도 분류별로 모아서 자료화면에 나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방각키에 전문적인 의학용어가 나열되어 있어서 의학용어를 일일이 입력할 필요 없이 선택해서 입력할 수 있다. 또는 음악에 관련된 음표, 기호, 강약표시 등이 나열되어 있을 수도 있고, 요리에 필요한 레시피나 화학에서 많이 쓰이는 주기율표가 저장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다.
또는 원방각키에 사용자가 지정한 사진이나 동영상이 저장되어 있거나 자주 쓰는 상용구가 저장될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창작한 기호, 부호, 도형 등을 배치할 수도 있다. 여기서는 사용자가 키보드를 통하여 입력하고자 하는 이러한 모든 것을 '자료'라고 통칭하기로 한다.
도 2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키보드에서 원방각(○□△)키 중 원(○)키에 자료를 등록하고 삭제할 수 있는 자료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원(○)키를 누르면 자료화면(224)이 나타나고 자료목록(225)과 자료목록에 있는 여러 가지 자료명 중에서 선택된 자료명인 수학공식에 해당하는 자료가 나열되어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공식을 직접 선택하여 입력한다. 각 공식에 번호가 부여되어 있을 경우에는 그 번호를 입력하여 공식을 입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사용자는 수학공식을 입력할 때 여러 경로를 거치지 않고 굉장히 빠르게 한 번에 바로 입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20a와 같이 자료명과 그에 따른 자료는 키보드 제작 시에 기본적으로 세팅이 되어 있을 수도 있고 사용자가 추가로 등록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자료목록에서 임의의 자료명을 선택하면 자료화면에 그에 따른 자료가 나열되며, 자료목록에서 자료명을 다른 것으로 선택하면 자료화면에 변경된 자료명에 따른 자료가 나열된다. 도 20a에서는 수학공식이 선택되어 있기 때문에 자료화면에 수학공식이 나열된다. 만약 사용자가 화학공식을 선택하면 자료화면에 화학공식들이 나열된다. 다음번에 원(○)키를 눌러서 자료화면을 열면 바로 화학공식들이 나열되어 바로 입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원방각키에 자료를 등록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원방각키 중 어느 하나를 누르면 자료화면(224)이 열리면서 자료목록과 자료명 및 그에 따른 자료들이 나열된다. 사용자는 자료목록에 하나 이상의 자료명을 등록하거나 삭제할 수 있고 자료명에 따른 자료 또는 기능을 등록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자료명에 따른 자료를 등록할 때는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자료를 불러오기 하여 등록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뒤 등록할 수 있다. 이때 등록키(225)를 눌러서 등록할 수도 있다. 또한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자료는 삭제키(226)를 눌러서 삭제할 수 있다.
자료목록에 하나 이상의 자료명이 있을 경우 활성 또는 비활성을 구분하여 등록해 놓을 수 있다. 이 경우, 원방각키를 1회씩 누를 때마다 자료목록 중 활성으로 구분되어 등록된 자료명과 그에 따른 자료가 순차적으로 나타나게 된다.
도 20b에서는 방(□)키를 눌렀을 때 자료화면이 나타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b에서 보면 자료목록 중에서 물리공식, 화학공식 및 주기율표가 활성으로 등록되어 있다. 따라서 방(□)키를 1회 누르면 물리공식의 자료화면이 나타나고, 방(□)키를 1회 더 누르면 화학공식의 자료화면이 나타나며, 방(□)키를 1회 더 누르면 자료화면에 주기율표가 나타나고, 방(□)키를 1회 더 누르면 다시 물리공식이 나열된 자료화면이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은 원키 및 각키도 마찬가지로 작동된다.
또한 원방각키 중에서 원(○)키+방(□)키, 방(□)키+각(△)키, 원(○)키+각(△)키와 같이 두 개를 동시에 누르거나 또는 원(○)키+방(□)키+각(△)키 이와 같이 세 개를 동시에 누르는 조합에도 사용자가 원하는 자료를 등록하거나 기능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키+방(□)키, 이 두 개의 버튼을 동시에 눌렀을 때 동영상들이 모인 자료화면이 나타날 수 있다. 도 20c는 원(○)키+방(□)키를 같이 눌렀을 경우 동영상이 모인 자료화면이 나타난 예이다. 자료화면에 나열된 복수 개의 동영상 중에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동영상을 바로 선택하여 플레이시키는 등의 작업을 한 번에 매우 간편하게 할 수 있다.
원(○)키+각(△)키 이 두 개의 버튼을 동시에 눌렀을 때 음악파일이 모여 있는 자료화면이 나타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음악을 실행시킬 때 여러 경로를 거치지 않고 바로 음악파일을 실행시킬 수 있다. 원(○)키+각(△)키를 동시에 누르면 사진이 나열된 자료화면이 나와 바로 사진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원방각키는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자료를 등록하거나 기능을 연결하여 사용자가 필요할 때 여러 경로를 거치지 않고 원방각키를 눌러 곧바로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사용자마다 각자 자신의 고유하고 특수한 필요에 따라서 키보드를 구성할 수 있으므로 각 사용자들은 사용자 중심의 최적의 키보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중국어를 입력할 때, 키보드부에 번체간체변환키(230)가 구비하여 번체자로 입력된 문자 뒤에 커서가 있는 상태에서 번체간체변환키를 1회 누르면 문자가 간체자로 변환되고, 간체자로 입력된 문자 뒤에 커서가 있는 상태에서 번체간체변환키를 1회 누르면 문자가 번체자로 변환될 수 있다. 번체간체변환키를 누르면 입력된 내용 전체가 번체자는 간체자로, 간체자는 번체자로 변환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키보드에서 중국어를 입력함에 있어서, 번체간체변환키를 도시한 도면이다. 번체간체변환키를 누르는 것에 따라 중국어가 입력될 때 번체로 입력될 수도 있고 간체로 입력될 수도 있다. 번체간체변환키가 '번체'로 설정되어 있으면 번체로 입력이 되고, 번체간체변환키가 '간체'로 설정되어 있으면 간체로 입력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는 사용자 맞춤형 키보드로서, 키보드부의 각 키에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제2 의 자료나 기능을 각 키에 사전에 등록해 놓고 필요할 때 각 키를 길게 눌러 바로 입력하거나 실행시킬 수 있다. 여기서 자료란 문자, 기호, 부호, 그림, 이모티콘, 사진, 동영상, 음악파일과 같이 사용자가 문자입력장치를 통해 입력할 수 있는 것을 통칭한다.
상기 키보드부의 각 키를 1회 누르면 언어변환키에 따라 표출된 음소나 기호가 입력되거나 설정된 기능이 실행되고, 상기 키보드부의 각 키를 길게 누르면 사전 설정된 제 2의 자료가 입력되거나 기능이 실행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키보드부의 각 키에 제2 의 자료나 기능을 사전설정하는 도면이다. 먼저 키보드설정화면(240)을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Esc키를 길게 누르면 키보드설정화면이 디스플레이되게 할 수 있다. 제1 설정은 언어변환키에 따라 표출된 음소나 기호 또는 기능이다. 사용자가 설정하고자 하는 키를 선택하여 제2 설정에 자료나 기능을 등록한다. 바람직하게는 1개의 키에 10~20개의 자료나 기능을 미리 번호순으로 등록해놓는다. 키를 길게 눌렀을 때는 (1)번 위치에 등록된 자료가 입력되거나 기능이 실행된다. 키를 길게 눌렀을 때 다른 자료나 기능이 나오게 하려면 (1)번 위치에 다른 자료나 기능을 설정하면 된다. 이렇게 미리 10개 ~ 20개의 자료나 기능을 설정해 놓으면 필요할 때 다시 일일이 등록하지 않고 이미 등록된 자료나 기능 중에서 필요한 것을 (1)번 위치로 바꾸어주기만 하면 된다.
도 22의 예를 보면 키보드 사전설정화면에서 'U'를 선택하고 제2 설정에 '(1)※ (2)♡ (3)01.mp3 (4)01.jpg (5)01.AVI (6)인터넷 연결 기능 (7)메일 연결 기능 (8)사진 촬영기능 (9)언어사전기능 (10)음성 녹음기능을 등록한다. 'U'키를 1회 누르면 'U'가 입력되고 'U'키를 길게 누르면 (1)번 위치에 있는 '※'가 입력된다. 이와 같이 하면 사용자가 '※'를 자주 사용할 경우 'U'키를 길게 누름으로써 간단하게 입력할 수 있는 것이다.
만약 (1)번 위치에 '01.mp3'의 음악파일을 등록해놓으면 'U'키를 1회 누르면 'U'가 입력되고 'U'키를 길게 누르면 (1)번 위치에 있는 '01.mp3'의 음악파일이 입력된다. 또는 'U'키를 길게 누르면 등록된 음악파일이 재생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제2 설정된 자료나 기능은 키보드에 제1 설정된 문자나 기호와 함께 표출되게 할 수도 있고 제1 설정된 문자나 기호만 표출되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문자, 기호, 그림, 사진, 이모티콘, 음악파일, 동영상과 같이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자료나 기능을 사전에 등록해서 사전설정된 키를 길게 누름으로써 간단하게 바로 입력하거나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기능을 연결해서 바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키를 길게 눌러 사진 촬영을 하거나, 'D'키를 길게 눌러 언어사전을 열거나 'E'키를 길게 눌러 인터넷에 연결하고, 'M'키를 길게 눌러 메일을 열 수도 있다. 'P'키를 길게 눌러 인쇄작업을 실행시킬 수도 있고 'R'키를 길게 눌러 음성녹음을 하거나, 'S'자를 길게 눌러 스캔작업을 하거나 'V'키를 길게 눌러 동영상촬영을 하는 등 사용자 맞춤으로 다양한 기능을 신속하게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상기 키보드부의 언어변환을 하지 않고 1개의 언어가 고정되어 있거나 또는 2개의 언어만 고정되어 변환되는 키보드에서도 활용할 수 있다.
10: 키보드부
11: 키부 12: 기타입력부 13: 보조입력부
20: 표시부 30: 제어부 40: 저장부
110: 숫자/기호키부
120: F키부 121: F+α키 122: F키설정화면
123: U키부 124: U키부 설정화면
130: 문자키부 131: 문자키부 중 추가키부
140: 기능키부
150: 언어변환키 151: 언어목록화면 152: 사용자 언어목록
153: 전 세계 언어목록 154: 등록버튼 155: 삭제버튼
160: 마침표키 161: 쉼표키
162: 물음표키 163: 느낌표키
170: 대소문자변환키
180: 제1통합괄호키 181: 제2통합괄호키 182: 괄호기호화면
190: 통합기호키 191: 기호화면 192: 기호 목록
200: 통합화폐키 201: 화폐단위화면
210: 번역키 211: 번역키설정화면
220: 원방각(○□△)키
221: 원(○)키 222: 방(□)키 223: 각(△)키
224: 자료화면 225: 자료목록 226: 등록키 227: 삭제키
230: 번체간체변환키 240: 키보드설정화면

Claims (34)

  1. 언어별 문자 음소로 변환하여 키에 표출하고, 표출된 문자 음소가 선택 입력되는 키보드부;
    입력된 문자를 화면으로 출력하는 표시부;
    문자 음소, 자료목록 및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부 및
    상기 키보드부, 표시부 및 저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다개국어 문자 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부는,
    상단에 배치된 숫자와 기호를 표출하는 숫자/기호키부;
    상기 숫자/기호키부 다음에 배치되어 기능이나 문자 또는 설정된 기능을 표출하며 복수개의 키가 추가될 수 있는 F키부;
    상기 F키부 다음에 각 언어의 기본음소를 표출하는 문자키부 및
    상기 문자키부 내에 변형음소 또는 설정된 기호를 표출할 수 있는 복수의 추가키를 포함하여,
    상기 키보드부의 언어변환키를 통하여 언어변환 시에, 상기 문자키부의 음소수를 초과하는 언어는 상기 F키부와 복수의 추가키에 배정되어 해당 문자의 모든 음소가 표출되어, 언어별 문자를 한 번의 키조작으로 입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개국어 문자 입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부의 변환키 또는 기능키는 기능 또는 자료를 사전에 등록하고 삭제할 수 있는 사전 설정기능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개국어 문자 입력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부의 언어변환키를 길게 누르거나 거듭치기를 하면 상기 표시부에 언어목록이 디스플레이되어, 전세계 언어목록에서 사용자 언어목록에 등록 또는 삭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개국어 문자 입력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언어목록이 복수일 경우 언어변환키를 1번씩 누를 때마다 사용자 목록의 언어 음소가 순차적으로 키보드에 표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개국어 문자 입력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F키부는 F+α키와 복수의 F키로 구성되어,
    F+α키가 활성화되지 않으면 복수의 F키 고유 기능이 표출되고,
    F+α키를 누르는 횟수에 따라 추가된 기능의 F키나 문자 음소가 순차적으로 표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개국어 문자 입력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F+α키를 길게 누르면 설정화면이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어 각 F키에 표출되는 기능이나 문자를 등록 또는 삭제할 수 있고,
    표출되는 순서를 지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개국어 문자 입력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추가키는 기본문자, 변형문자, 특수문자, 기호, 부호, 그림, 사진이 입력될 수 있거나 기능키설정 또는 전체선택, 복사, 저장, 붙여넣기, 자르기 및 되돌리기의 편집 기능키로도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개국어 문자 입력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추가키를 1회 누르면 기본문자, 변형문자, 특수문자, 기호, 부호, 그림, 사진이 입력되거나 기능키가 실행되고, 상기 복수의 추가키를 길게 누르면 편집기능키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개국어 문자 입력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숫자/기호키부는 숫자 또는 기호가 바로 입력될 수 있고,
    숫자/기호키 중 임의의 키를 길게 누르면 숫자/기호키부 전체를 대상으로 숫자가 기호로 전환되거나 기호가 숫자로 전환되어 표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개국어 문자 입력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숫자/기호키부에 토글 기능의 숫자/기호변환키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개국어 문자 입력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F키부와 숫자/기호키부는 기본키외에 추가키로 구성되어,
    사전에 사용자가 자료를 등록하고 삭제할 수 있는 사용자정의키가 배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개국어 문자 입력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정의키는 임의의 키 중 2개를 동시에 누르면 표시부에 설정화면이 디스플레이되어, 각 키에 표출되는 자료를 복수개 등록 또는 삭제할 수 있고,
    각 키를 길게 누르면 사전등록된 복수의 자료가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변환되어 누름을 해제하는 순간의 자료가 각 키에 표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개국어 문자 입력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한글 입력 키보드는,
    문자키부에 자음 19자 'ㄱ,ㄴ,ㄷ,ㄹ,ㅁ,ㅂ,ㅅ,ㅇ,ㅈ,ㅊ,ㅋ,ㅌ,ㅍ,ㅎ,ㄲ,ㄸ,ㅃ,ㅆ,ㅉ'와 모음 14자 'ㅏ,ㅑ,ㅓ,ㅕ,ㅗ,ㅛ,ㅜ,ㅠ,ㅡ,ㅣ,ㅐ,ㅒ,ㅔ,ㅖ'를 모두 표출하되,
    사용빈도수와 한글의 순서를 고려하여
    문자키부의 제1 행 좌측에 'ㅆ,ㅅ,ㅇ,ㅁ,ㄷ,ㄱ'를 배치하고 우측에 'ㅏ,ㅑ, ㅓ,ㅕ'를 배치하고,
    문자키부의 제2 행 좌측에 'ㅉ,ㅊ,ㅈ,ㅎ,ㅂ,ㄹ,ㄴ'를 배치하고 우측에 'ㅡ,ㅣ,ㅗ,ㅜ,ㅔ'를 배치하고,
    문자키부의 제3 행의 좌측에 'ㄲ,ㅋ,ㅍ,ㅃ,ㄸ,ㅌ'를 배치하고 우측에 'ㅐ,ㅒ,ㅛ,ㅠ,ㅖ'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개국어 문자 입력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언어변환키로 한글 '훈민정음'을 선택하면.
    한글의 자음 19자와 모음 14자 및 훈민정음의 4글자 'ㆁㆆㅿㆍ'와 한글 고어가 표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개국어 문자 입력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언어별로 각 언어의 구성 음소의 순서대로 배열한 것과 종래의 QWERTY형 자판으로 상호 전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개국어 문자 입력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부의 제1행 중앙에 마침표와 쉼표를 배치하되,
    2 개의 키로 상하 또는 좌우로 배치하거나,
    1 개의 키에 상하 또는 좌우로 배치하거나,
    1 개의 키에 어느 하나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개국어 문자 입력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부에 대소문자변환키를 포함하여,
    대소문자변환은 문자가 입력된 후 상기 대소문자변환키를 누르면 공백이 입력된 후의 문자가 대소문자변환되거나,
    블록을 선택한 후 상기 대소문자변환키를 눌러 변환하거나,
    또는 문자가 입력된 후 상기 대소문자변환키를 거듭치기하면 커서 앞의 문자나 단어 전체가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개국어 문자 입력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부에 열림괄호와 닫힘괄호 기능을 통합한 통합괄호키를 포함하여,
    상기 통합괄호키를 1회 누르면 열림괄호가 입력되고,
    상기 통합괄호키를 다시 1회 누르면 대칭인 닫힘괄호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개국어 문자 입력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연속적인 열림괄호의 입력 시에는 상기 통합괄호키가 거듭치기로 입력되고,
    1회씩 상기 통합괄호키를 누르면 열림괄호에 상응하여 닫힘괄호가 역순으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개국어 문자 입력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괄호키는 하나의 키로 이루어지거나,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되어 각 구획된 영역에 서로 다른 괄호기호를 배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개국어 문자 입력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괄호키를 길게 누르면 다양한 괄호기호의 괄호목록이 표시부에 디스플레이 되어, 괄호기호를 선택하면 열림괄호기호가 차례로 입력되거나,
    연속적인 동일한 열림괄호의 입력시에는 괄호기호를 거듭치기로 입력하고,
    1회씩 상기 통합괄호키를 누르면 열림괄호기호에 상응하는 닫힘괄호기호가 역순으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개국어 문자 입력장치.
  22. 제 21항에 있어서 ,
    상기 괄호목록에서 괄호기호를 마우스로 클릭하거나 손 또는 전자기기용펜으로 터치하여 상기 괄호목록 밖으로 이동한 뒤 클릭 또는 터치를 해제하면 상기 괄호기호의 열림괄호기호와 닫힘괄호기호가 동시에 완성되어 상기 표시부에 입력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개국어 문자 입력장치.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부에 통합기호키를 포함하여,
    상기 통합기호키를 누르면 상기 표시부에 기호목록과 그에 따른 다수의 기호들이 디스플레이되어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개국어 문자 입력장치.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부에는 통합화폐키를 포함하여,
    상기 통합화폐키는 언어변환키와 연동되어 언어변환이 되면 해당 화폐기호가 표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개국어 문자 입력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화폐키를 길게 누르거나 거듭치기 하면 상기 표시부에 각국의 화폐기호가 디스플레이되어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개국어 문자 입력장치.
  2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부에는 문자를 입력한 후 번역될 범위를 선택하여 다른 언어로 번역하는 번역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개국어 문자 입력장치.
  2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부에는 키부에 원방각(○,□,△)키를 배치하고,
    상기 원방각키 중 어느 하나를 누르면 자료목록과 자료가 디스플레이되어,
    상기 자료를 바로 선택해서 입력하거나 또는 자료에 부여된 번호를 입력하여 자료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개국어 문자 입력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원방각키는 자료목록에 자료명과 자료를 등록하거나 삭제할 수 있고,
    자료는 저장부에 저장된 것을 사용하거나 직접 입력으로 등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개국어 문자 입력장치.
  2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자료명이 복수일 경우, 상기 원방각키를 1번씩 누를 때마다 자료가 순차적으로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개국어 문자 입력장치.
  30.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3개의 원방각키 중 2개 또는 3개의 키를 동시에 눌러 자료를 등록하거나 기능을 연동시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개국어 문자 입력장치.
  3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부에는 번체간체변환키를 포함하여,
    중국어 문자가 입력된 후 커서 앞의 문자 또는 입력된 문자 전체가 상기 번체간체변환키에 의하여 간체는 번체로 번체는 간체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개국어 문자 입력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중국어 입력 시에는 번체간체변환키에 의하여 전환된 문자체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개국어 문자 입력장치.
  3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부의 각 키에 사전에 제2의 자료나 기능을 설정하고,
    상기 키를 길게 누르면 제2의 자료 또는 기능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개국어 문자 입력장치.
  3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에서 언어변환을 하지 않고 1개의 언어가 고정되어 있거나 또는 2개의 언어가 고정되어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개국어 문자 입력장치.
KR1020170008893A 2016-09-23 2017-01-18 다개국어 문자 입력장치 KR1017919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1855 2016-09-23
KR20160121855 2016-09-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1929B1 true KR101791929B1 (ko) 2017-10-31

Family

ID=60301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8893A KR101791929B1 (ko) 2016-09-23 2017-01-18 다개국어 문자 입력장치

Country Status (26)

Country Link
US (2) US10503272B2 (ko)
EP (1) EP3518083A4 (ko)
JP (1) JP6667049B2 (ko)
KR (1) KR101791929B1 (ko)
CN (1) CN109844696B (ko)
AU (2) AU2017330138B2 (ko)
BR (1) BR112019004974B1 (ko)
CA (1) CA3036952C (ko)
CL (1) CL2019000657A1 (ko)
CO (1) CO2019002367A2 (ko)
DO (1) DOP2019000065A (ko)
EA (1) EA201990727A1 (ko)
EC (1) ECSP19018298A (ko)
IL (1) IL265395B (ko)
JO (1) JOP20190047A1 (ko)
MA (1) MA46289A (ko)
MX (1) MX2019003014A (ko)
NI (1) NI201900022A (ko)
NZ (1) NZ751190A (ko)
PE (1) PE20191226A1 (ko)
PH (1) PH12019500539A1 (ko)
SA (1) SA519401325B1 (ko)
SG (1) SG11201901952PA (ko)
TN (1) TN2019000090A1 (ko)
WO (1) WO2018056752A1 (ko)
ZA (1) ZA20190170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82157A (zh) * 2018-12-04 2019-04-05 陈功 快捷键控制方法及终端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90755S1 (en) 2018-06-05 2020-07-21 Razer (Asia-Pacific) Pte. Ltd. Keyboard
USD881190S1 (en) 2018-06-05 2020-04-14 Razer (Asia-Pacific) Pte. Ltd. Keyboard
US10885273B2 (en) * 2018-08-06 2021-01-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simplifying the input of symbols used as a pair within a user interface
US10955877B2 (en) * 2018-12-11 2021-03-23 Intel Corporation Physical keyboards for multi-display computing devices
US11567584B2 (en) * 2019-10-25 2023-01-31 John I. M. Choate Powered communication system for treatment of carpal tunnel syndrome
CN111124148B (zh) * 2019-11-22 2023-08-15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输入法中大写输入模式的切换控制方法及显示设备
US11705115B2 (en) * 2020-06-29 2023-07-18 William KROSSNER Phonetic keyboard and system to facilitate communication in English
CN111831128B (zh) * 2020-07-01 2021-11-09 黑龙江数米科技有限公司 扩展键盘
CN113126774B (zh) * 2021-03-17 2023-03-28 华能秦煤瑞金发电有限责任公司 一种按键内容可改变的键盘及键盘接口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8234Y1 (ko) * 2002-09-14 2002-12-20 김민정 다국어용 키보드
KR101373552B1 (ko) * 2013-02-14 2014-03-12 주식회사 한국스테노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속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10689A (en) * 1990-12-28 1993-05-11 Semantic Compaction Systems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electing among a plurality of input modes
US5661476A (en) * 1996-02-23 1997-08-26 General Wireless Communications, Inc. Keyboard for personal information device
KR100390361B1 (ko) 2000-09-22 2003-07-07 안, 매튜 와이. 한글 키보드 시스템
KR200299428Y1 (ko) 2002-10-05 2002-12-31 김종득 키버튼에 액정표시장치를 탑재한 키보드
US20150261429A1 (en) * 2014-01-02 2015-09-17 Benjamin Firooz Ghassabian Systems to enhance data entry in mobile and fixed environment
CN1645297A (zh) * 2003-04-25 2005-07-27 张阳 实现日语平假名、片假名和汉字混合输入的系统
US7477165B2 (en) * 2006-04-06 2009-01-13 Research In Motion Limited Handhel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learning contextual data during disambiguation of text input
CN101093417B (zh) * 2006-06-22 2010-05-12 舒从如 中文标准键盘及千字文置换输入法
US9329753B2 (en) * 2006-11-10 2016-05-03 Blackberry Limited Handheld electronic device having selectable language indicator and menus for language selection and method therefor
US20080165035A1 (en) * 2007-01-10 2008-07-10 Bhella Kenneth S Method and System for Customizing Keyboard Map Variants
KR100874010B1 (ko) * 2007-03-12 2008-12-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자모 할당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입력 장치
KR100878191B1 (ko) * 2007-10-27 2009-01-13 주식회사 자코드 통신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US9176665B2 (en) * 2008-01-30 2015-11-0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Flexible user input device system
CN101419503A (zh) * 2008-11-18 2009-04-29 任文 一种计算机键盘新式布局法
KR100961390B1 (ko) * 2009-08-14 2010-06-07 박현일 다중 문자용 키보드 장치와 그 시각 표시 절환 방법
KR200448924Y1 (ko) 2009-08-17 2010-06-07 이일영 다언어 입력이 가능한 키보드
JP2013520878A (ja) * 2010-02-18 2013-06-06 スレイマン アルカジ, 構成可能多言語キーボード
KR101599227B1 (ko) * 2010-11-22 2016-03-03 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글과 영문 등의 문자 입력이 용이한 터치 스크린용 면촉 자판
KR20130006861U (ko) * 2012-05-21 2013-11-29 강태영 노인 및 장애우들을 위한 쉽게 조작하는 키보드
WO2014139173A1 (en) * 2013-03-15 2014-09-18 Google Inc. Virtual keyboard input for international languages
KR102006231B1 (ko) * 2013-11-20 2019-08-01 서숙희 영문자와 같은 다른 언어, 옛한글, 기호, 부호들을 자판 모드 변환 없이 바로 입력할 수 있는 키보드
KR20150083173A (ko) * 2014-01-08 2015-07-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휴대 단말의 텍스트 편집 장치 및 그 방법
FR3023394B1 (fr) * 2014-07-02 2017-12-29 Adn Access Data Networks Dispositif permettant de faciliter l'enseignement de la langue amharique et d'en normaliser l'ecritur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8234Y1 (ko) * 2002-09-14 2002-12-20 김민정 다국어용 키보드
KR101373552B1 (ko) * 2013-02-14 2014-03-12 주식회사 한국스테노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속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82157A (zh) * 2018-12-04 2019-04-05 陈功 快捷键控制方法及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18083A4 (en) 2020-08-19
IL265395A (en) 2019-05-30
US20190235638A1 (en) 2019-08-01
AU2017330138B2 (en) 2019-05-23
DOP2019000065A (es) 2019-05-31
JP2019530101A (ja) 2019-10-17
US10990192B2 (en) 2021-04-27
US20200057510A1 (en) 2020-02-20
ZA201901707B (en) 2019-12-18
NZ751190A (en) 2020-03-27
JOP20190047A1 (ar) 2019-03-14
BR112019004974A2 (pt) 2019-06-04
CA3036952C (en) 2020-03-10
PE20191226A1 (es) 2019-09-11
EP3518083A1 (en) 2019-07-31
TN2019000090A1 (en) 2020-07-15
AU2017330138A1 (en) 2019-04-18
BR112019004974B1 (pt) 2024-03-12
JP6667049B2 (ja) 2020-03-18
CN109844696B (zh) 2021-08-10
IL265395B (en) 2021-08-31
CN109844696A (zh) 2019-06-04
CA3036952A1 (en) 2018-03-29
ECSP19018298A (es) 2019-04-30
SA519401325B1 (ar) 2021-01-20
MX2019003014A (es) 2019-07-01
WO2018056752A1 (ko) 2018-03-29
CO2019002367A2 (es) 2019-05-10
CL2019000657A1 (es) 2019-06-07
EA201990727A1 (ru) 2019-08-30
SG11201901952PA (en) 2019-04-29
NI201900022A (es) 2019-05-23
AU2019204790B2 (en) 2021-04-01
US10503272B2 (en) 2019-12-10
AU2019204790A1 (en) 2019-07-25
MA46289A (fr) 2019-07-31
PH12019500539A1 (en) 2019-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1929B1 (ko) 다개국어 문자 입력장치
JP5199459B2 (ja) ユーザの入力をリアルタイムで予測するマンマシンインターフェース
CA3036940C (en) Device with character input user interface
KR20140018436A (ko) 단어예측을 통한 정보입력시스템 및 정보입력방법
JP4133523B2 (ja) キャラクター入力装置
JP2012003705A (ja) 記録媒体及び情報処理装置
JP3223652B2 (ja) 日本語入力手段を有する装置
KR101785649B1 (ko) 한글문자입력방법 및 장치
JP3612351B2 (ja) 文書処理装置
JP2000357041A (ja) キー入力装置
KR20050115792A (ko) 스마트 중문자 입력법
JP5357066B2 (ja) 学習装置、学習帳登録方法及び学習帳登録プログラム
CN111240492A (zh) 一种中文双拼输入键盘
NZ751167B2 (en) Character input device
KR20080085669A (ko) 키보드 및 멀티 펑션키를 이용한 문자정보처리 시스템
KR20200034229A (ko) 스마트폰 한손 자판 화면 배치 방법 및 문자 입력 방법
KR20090119184A (ko) 전기전자기기의 버튼효율 증대방법
OA19225A (en) Character input device.
JPH04130959A (ja) 文書処理装置および文字変換装置
JP2011141845A (ja) 学習装置、学習帳表示方法及び学習帳表示プログラム
JP2010027022A (ja) 拡張漢字出力方式
JPS63316258A (ja) 言語変換方法とその方法に使われる辞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