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5649B1 - 한글문자입력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한글문자입력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5649B1
KR101785649B1 KR1020160121854A KR20160121854A KR101785649B1 KR 101785649 B1 KR101785649 B1 KR 101785649B1 KR 1020160121854 A KR1020160121854 A KR 1020160121854A KR 20160121854 A KR20160121854 A KR 20160121854A KR 101785649 B1 KR101785649 B1 KR 101785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individual character
input
character area
inpu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1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두업
이경주
Original Assignee
(주)신성이노테크
이경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성이노테크, 이경주 filed Critical (주)신성이노테크
Priority to KR1020160121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56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5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56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9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dedicated keyboard keys or combination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한글문자입력방법에 있어서, 문자입력부는 한글입력부, 기타입력부 또는 보조입력부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문자입력부는 하나 이상의 문자그룹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문자그룹영역은 하나 이상의 개별문자영역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개별문자영역의 중심에는 문자입력중심이 있으며, 상기 개별문자영역에는 문자가 대응되어 있는 단계와, 상기 개별문자영역에 눌림이 감지되면 상기 개별문자영역에 대응되는 문자가 입력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한글입력부는 한글의 단자음『ㄱ,ㄴ,ㄷ,ㄹ,ㅁ,ㅂ,ㅅ,ㅇ,ㅈ,ㅊ,ㅋ,ㅌ,ㅍ,ㅎ』14자와 쌍자음『ㄲ,ㄸ,ㅃ,ㅆ,ㅉ』5자 및 단모음『ㅏ,ㅓ,ㅗ,ㅜ,ㅡ,ㅣ』6자와 복모음 『ㅑ,ㅕ,ㅛ,ㅠ,ㅐ,ㅔ,ㅒ,ㅖ』8자, 총 33자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33자를 상기 한글입력부에 각각 별도로 배치하여, 문자를 거듭치기하거나 길게 누르기, 밀기, 누른 뒤 밀기 등을 하지 않고, 또는 Shift키와 같은 변환키나 기능키를 누르지 않고 상기 문자입력부에 나와 있는 문자를 그대로 한번씩 눌러 한글을 입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문자입력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개별문자영역은 상기 문자그룹영역에서 배열되는 위치에 따라, 좌상개별문자영역, 우상개별문자영역, 좌하개별문자영역, 우하개별문자영역으로 구분하거나 좌상개별문자영역, 우상개별문자영역, 좌하개별문자영역, 우하개별문자영역, 중앙개별문자영역으로 구분하거나 또는 좌상개별문자영역, 우상개별문자영역, 좌하개별문자영역, 우하개별문자영역, 중앙상개별문자영역, 중앙하개별문자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문자입력부는 상기 문자그룹영역을 n×m (n,m은 자연수)의 행렬형태로 배열하여 형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한글문자입력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본 발명은 전자기기에서 한글을 입력함에 있어서, 오타 없이 적은 입력횟수로 직관적이고 효율적이며 빠르고 정확하게 모든 한글을 입력하는 한글문자입력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 태블릿PC, 전자수첩, PDA 등등의 전자기기가 널리 보급되고 일상생활에서 메일과 문자메세지를 주고 받거나, 인터넷정보 검색, 자료 정리, SNS 이용 등의 사용량이 증가하면서 문자입력의 빈도가 높아짐으로 인해 문자입력을 좀 더 효율적으로 하는 방법에 대한 필요가 급증하게 되었다.
현재 한글문자입력방법으로는 2011년 국가표준으로 지정된 천지인문자입력방법, 나랏글문자입력방법, SKY문자입력방법의 세 가지와 Qwerty문자입력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고, 그 외 다양한 방식의 한글문자입력방법이 있으나 상기 4 종류의 문자입력방법의 범주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천지인문자입력방법, 나랏글문자입력방법, SKY문자입력방법의 경우 문자입력부에 배치된 한글의 자음과 모음이 소수개로 한정되어 있어서 한글문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문자버튼을 수 회 눌러야 하고 획추가 또는 쌍자음 등의 기능키를 누르면서 입력해야 하므로 문자입력의 횟수가 매우 많다. 또한 Qwerty 문자입력방법의 경우, 상기 3가지의 문자입력방법보다는 더 많은 한글 자음과 모음이 입력부에 배치되어 있어서 한글 입력 시 입력타수는 줄어드나 (ㄲ, ㄸ, ㅃ, ㅆ, ㅉ)의 쌍자음과 (ㅒ, ㅖ)의 복모음은 상기 자판에 배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상기 쌍자음과 복모음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입력할 때마다 번번이 shift키를 눌러서 변환을 시켜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쿼티문자입력방법은 문자배치에 규칙성이 없어서 문자의 위치를 직관적으로 찾기 어렵고, 많은 문자버튼을 제한된 공간에 배치함에 있어 구조적으로 비효율적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 대신에 인접한 문자를 잘못 누르는 경우가 많아 오타가 빈번히 발생하여 이를 수정하고 다시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상기 4가지의 문자입력방법 외에 기타 한글문자입력방법의 경우,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입력하는 규칙이 일관적이지 않고 복잡하여 사용자가 입력부를 익히고 사용하는 것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도 하고, 거듭치기를 하거나 길게 누르기, 밀기, 누른 뒤 밀기 등을 빈번히 사용하거나 또는 shift키와 같은 변환키나 기능키를 눌러야 하므로 오히려 문자를 입력하는 리듬이 끊어져 문자를 입력하는 속도가 떨어지고 비효율적인 면이 많다.
하지만, 이를 개선하고 대체할만한 한글문자입력방법이 제시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와 같이 기존의 방법이 입력타수가 많으며 오타가 많고 입력방법이 번거로움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그것에 맞추어 오타를 수정해가면서 그 불편함을 감수하고 사용하고 있는 실정인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바를 만족시키기 위한 새로운 입력방식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종래의 한글문자입력방법은 입력타수가 매우 많거나 오타가 자주 발생하여 수정을 여러번 해야하기 때문에 한글을 입력함에 있어서 번거로움이 많은 문제를 갖고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문자를 거듭치기 하거나 길게 누르기, 밀기, 누른 뒤 밀기 등을 하지 않고 또는 shift키와 같은 변환키나 기능키를 누르지 않고 문자입력부에 표출되어 있는 문자를 있는 그대로 한번씩 눌러 모든 한글을 기존의 입력방법보다 적은 타수로 오타 없이 직관적이고 효율적으로 빠르고 정확하게 입력하는 한글문자입력방법 및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한글을 입력함에 있어서 입력타수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이에 꼭 필요한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입력부에 표출시키고 이를 효율적으로 배치함으로써 오타를 최소화하면서도 사용자가 좀 더 빠르고 정확하게 한글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한글문자입력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한글문자입력방법에 있어서, 문자입력부는 한글입력부, 기타입력부 또는 보조입력부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문자입력부는 하나 이상의 문자그룹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문자그룹영역은 하나 이상의 개별문자영역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개별문자영역의 중심에는 문자입력중심이 있고, 상기 개별문자영역에는 문자가 대응되어 있는 단계와, 상기 개별문자영역에 눌림이 감지되면 상기 개별문자영역에 대응되는 문자가 입력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한글입력부는 한글의 단자음『ㄱ,ㄴ,ㄷ,ㄹ,ㅁ,ㅂ,ㅅ,ㅇ,ㅈ,ㅊ,ㅋ,ㅌ,ㅍ,ㅎ』14자와 쌍자음『ㄲ,ㄸ,ㅃ,ㅆ,ㅉ』5자 및 단모음『ㅏ,ㅓ,ㅗ,ㅜ,ㅡ,ㅣ』6자와 복모음『ㅑ,ㅕ,ㅛ,ㅠ,ㅐ,ㅔ,ㅒ,ㅖ』8자, 총 33자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33자를 상기 한글입력부에 각각 별도로 배치하여, 문자를 거듭치기하거나 길게 누르기, 밀기, 누른 뒤 밀기 등을 하지 않고, 또는 shift키와 같은 변환키나 기능키를 누르지 않고 상기 문자입력부에 나와 있는 문자를 있는 그대로 한번씩 눌러 모든 한글을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문자입력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개별문자영역은 상기 문자그룹영역에 배열되는 위치에 따라, 좌상개별문자영역, 우상개별문자영역, 좌하개별문자영역, 우하개별문자영역으로 구분하거나, 좌상개별문자영역, 우상개별문자영역, 좌하개별문자영역, 우하개별문자영역, 중앙개별문자영역으로 구분하거나 또는, 좌상개별문자영역, 우상개별문자영역, 좌하개별문자영역, 우하개별문자영역, 중앙상개별문자영역, 중앙하개별문자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문자입력부는 상기 문자그룹영역을 n×m (n,m은 자연수)의 행렬형태로 배열하여 형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별문자영역에 상기 문자가 대응되는 것은 1개의 개별문자영역에 1개의 문자가 대응되거나, 1개의 개별문자영역에 2개 이상의 문자가 대응되거나, 또는 2개 이상의 개별문자영역에 1개의 문자가 대응될 수도 있다.
사용자가 복수의 개별문자영역을 동시에 눌렀을 경우, 그 눌려진 지점에서 문자입력중심이 가장 가까운 개별문자영역에 대응되는 문자가 입력된다.
본 발명에서는 일 실시예로 9개의 문자그룹영역을 3×3 행렬형태로 배열하여 한글입력부를 구성하되,
(1,1)위치의 문자그룹영역의 경우
좌상개별문자영역에는 『ㅋ』, 우상개별문자영역에는 『ㄱ』,
좌하개별문자영역에는 『ㄲ』, 우하개별문자영역에는 『ㄹ』이 대응되고,
(1,2) 위치의 문자그룹영역의 경우
좌상개별문자영역에는 『ㄴ』, 우상개별문자영역에는 『ㄷ』,
좌하개별문자영역에는 『ㅁ』, 우하개별문자영역에는 『ㅂ』이 대응되고,
(1,3) 위치의 문자그룹영역의 경우
좌상개별문자영역에는 『ㅏ』, 우상개별문자영역에는 『ㅑ』,
좌하개별문자영역에는 『ㅓ』, 우하개별문자영역에는 『ㅕ』가 대응되고,
(2,1) 위치의 문자그룹영역의 경우
좌상개별문자영역에는 『ㅆ』, 우상개별문자영역에는『ㅅ』,
좌하개별문자영역에는 『ㅉ』, 우하개별문자영역에는 『ㅈ』이 대응되고,
(2,2) 위치의 문자그룹영역의 경우
좌상개별문자영역에는 『ㅇ』, 우상개별문자영역에는 『ㅡ』,
좌하개별문자영역에는『ㅎ』,우하개별문자영역에는 『ㅣ』가 대응되고,
(2,3) 위치의 문자그룹영역의 경우
좌상개별문자영역에는 『ㅗ』, 우상개별문자영역에는 『ㅜ』,
좌하개별문자영역에는 『ㅛ』우하개별문자영역에는 『ㅠ』가 대응되고,
(3,1) 위치의 문자그룹영역의 경우
좌상개별문자영역에는 『ㄸ』, 우상개별문자영역에는 『ㅊ』,
좌하개별문자영역에는 『ㅃ』, 우하개별문자영역에는 『ㅌ』이 대응되고,
(3,2) 위치의 문자그룹영역의 경우
좌상개별문자영역에는 『ㅍ』, 우상개별문자영역에는 『마침표(.)』,
좌하개별문자영역과 우하개별문자영역에 걸쳐서 대응되는 기호는『띄어쓰기(스페이스바)』가 대응되고,
(3,3) 위치의 문자그룹영역의 경우
좌상개별문자영역에는 『ㅔ』, 우상개별문자영역에는 『ㅐ』,
좌하개별문자영역에는 『ㅖ』, 우하개별문자영역에는 『ㅒ』가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문자입력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다른 일 실시예로서, 9개의 문자그룹영역을 3×3 행렬형태로 배열하여 한글입력부를 구성하되,
(1,1)위치의 문자그룹영역의 경우
좌상개별문자영역에는 『ㄲ』, 우상개별문자영역에는 『ㅋ』,
좌하개별문자영역에는 『ㄱ』, 우하개별문자영역에는 『ㄴ』이 대응되고,
(1,2) 위치의 문자그룹영역의 경우
좌상개별문자영역에는 『ㄸ』, 우상개별문자영역에는 『ㅌ』,
좌하개별문자영역에는 『ㄷ』, 우하개별문자영역에는 『ㄹ』이 대응되고,
(1,3) 위치의 문자그룹영역의 경우
좌상개별문자영역에는 『ㅏ』, 우상개별문자영역에는 『ㅐ』,
좌하개별문자영역에는 『ㅑ』, 우하개별문자영역에는 『ㅒ』가 대응되고,
(2,1) 위치의 문자그룹영역의 경우
좌상개별문자영역에는 『ㅍ』, 우상개별문자영역에는 『ㅁ』,
좌하개별문자영역에는 『ㅃ』, 우하개별문자영역에는 『ㅂ』이 대응되고,
(2,2) 위치의 문자그룹영역의 경우
좌상개별문자영역에는 『ㅇ』, 우상개별문자영역에는 『ㅡ』,
좌하개별문자영역에는 『ㅎ』, 우하개별문자영역에는 『ㅣ』가 대응되고,
(2,3) 위치의 문자그룹영역의 경우
좌상개별문자영역에는 『ㅓ』, 우상개별문자영역에는 『ㅔ』,
좌하개별문자영역에는 『ㅕ』, 우하개별문자영역에는 『ㅖ』가 대응되고,
(3,1) 위치의 문자그룹영역의 경우
좌상개별문자영역에는 『ㅆ』, 우상개별문자영역에는 『ㅈ』,
좌하개별문자영역에는 『ㅉ』, 우하개별문자영역에는 『ㅊ』이 대응되고,
(3,2) 위치의 문자그룹영역의 경우
좌상개별문자영역에는 『ㅅ』, 우상개별문자영역에는 『마침표(.)』와『쉼표(,)』 좌하개별문자영역과 우하개별문자영역에 걸쳐서 대응되는 기호는『띄어쓰기(스페이스바)』가 대응되고,
(3,3) 위치의 문자그룹영역의 경우
좌상개별문자영역에는 『ㅗ』, 우상개별문자영역에는 『ㅜ』,
좌하개별문자영역에는 『ㅛ』, 우하개별문자영역에는 『ㅠ』가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문자입력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일 실시 예로서 한글문자입력에 있어서,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포함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한글입력부, 기타입력부 또는 보조입력부를 포함하는 문자입력부와; 전자기기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며, 상기 문자입력부로부터 입력된 문자나 기호 등을 화면상에 표시하는 표시부와; 전자기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문자입력부로부터 받은 입력을 인식하여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문자입력부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를 비롯하여 문자입력에 관련된 정보나 자료 등을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문자입력부는 하나 이상의 문자그룹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문자그룹영역은 하나 이상의 개별문자영역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개별문자영역의 중심에는 문자입력중심이 있으며, 상기 개별문자영역에는 문자가 대응되어 있는 단계와, 상기 개별문자영역에 눌림이 감지되면 상기 개별문자영역에 대응되는 문자가 입력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한글입력부는 한글의 단자음『ㄱ,ㄴ,ㄷ,ㄹ,ㅁ,ㅂ,ㅅ,ㅇ,ㅈ,ㅊ,ㅋ,ㅌ,ㅍ,ㅎ』14자와 쌍자음『ㄲ,ㄸ,ㅃ,ㅆ,ㅉ』5자 및 단모음『ㅏ,ㅓ,ㅗ,ㅜ,ㅡ,ㅣ』6자와 복모음『ㅑ,ㅕ,ㅛ,ㅠ,ㅐ,ㅔ,ㅒ,ㅖ』8자, 총 33자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33자를 상기 한글입력부에 각각 별도로 배치하여, 문자를 거듭치기하거나 길게 누르기, 밀기, 누른 뒤 밀기 등을 하지 않고, 또는 변환키나 기능키를 누르지 않고 상기 문자입력부에 나와 있는 문자를 그대로 한번씩 눌러 한글을 입력할 수 있는 제어부를 포함한 한글문자입력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전자기기에서 한글을 입력함에 있어서, 문자를 거듭치기하거나 길게 누르기, 밀기, 누른 뒤 밀기 등을 하지 않고 또는 shift키와 같은 변환키나 기능키를 누르지 않고 입력부에 나와 있는 문자를 있는 그대로 한번씩 눌러 모든 한글을 기존의 입력방법보다 적은 타수로 오타 없이 직관적이고 효율적으로 빠르고 정확하게 모든 한글을 입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의한 한글문자입력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한글입력자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의한 한글입력자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한글입력자판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한글문자입력방법에 따라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한글입력자판에서 기타입력부가 배치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한글입력부와 기타입력부를 배치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숫자입력부를 다른 기타입력부로 변환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같은 면적에 배치된 삼성제품의 한글쿼티자판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글입력자판에서 한글 자음 또는 모음 1글자가 차지하는 면적을 비교한 도면이다.
도 9a와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글문자입력방법에 있어서 통합기능키와 통합기능키에 자료가 등록되어 있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한글문자입력방법에서 상기 통합기능키에 사용자가 신규 자료를 등록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한글문자입력방법에서 상기 통합기능키에 훈민정음 글자와 한글고어가 표출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한글문자입력방법에서 상기 문자입력부에 있는 문자를 변경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3a와 도 1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문자입력방법에서 각 숫자를 0.2초 이상 눌러 숫자자료화면이 표출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문자입력방법에서 통합괄호키를 눌러 괄호기호 화면이 표출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문자입력방법에서 상기 괄호기호화면을 상하좌우로 밀어서 다른 기호화면으로 변환시키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문자입력방법에서 통합괄호키를 눌러 괄호기호를 입력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문자입력방법에서 괄호기호화면에서 괄호기호를 입력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a 내지 도 1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통합괄호키로 다양한 괄호기호를 입력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a 내지 도 1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통합괄호키로 다양한 괄호기호를 연속적으로 입력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a와 도 17b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서 한자기능키를 이용하여 한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대한 예시이다.
도 18a와 도 1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글입력자판에서 보조입력부에 자료를 나타내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a와 도 1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보조입력부에 연산기호를 나타내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함에 있어서,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로 한정하고자 함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이나 기술의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대체물이나 변경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한글문자입력방법 및 장치를 제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의한 한글문자입력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서 한글문자를 입력하기 위하여 제시하는 한글문자입력장치(1)는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포함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한글입력부(11), 기타입력부(12) 또는 보조입력부(13)를 포함하는 문자입력부(10)와; 전자기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며, 상기 문자입력부(10)로부터 입력된 문자나 기호 등을 화면 상에 표시하는 표시부(20)와; 전자기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문자입력부(10)로부터 받은 입력을 인식하여 표시부(20)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30)와; 상기 문자입력부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를 비롯하여 문자입력에 관련된 정보나 자료 등을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저장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문자입력부는 하나 이상의 문자그룹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문자그룹영역은 하나 이상의 개별문자영역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개별문자영역의 중심에는 문자입력중심이 있다.
상기 개별문자영역에는 문자가 대응되어 있는 단계와, 상기 개별문자영역에 눌림이 감지되면 상기 개별문자영역에 대응되는 문자가 입력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한글입력부에 한글의 단자음『ㄱ,ㄴ,ㄷ,ㄹ,ㅁ,ㅂ,ㅅ,ㅇ,ㅈ,ㅊ,ㅋ,ㅌ,ㅍ,ㅎ』14자와 쌍자음『ㄲ,ㄸ,ㅃ,ㅆ,ㅉ』5자 및 단모음『ㅏ,ㅓ,ㅗ,ㅜ,ㅡ,ㅣ』6자와 복모음『ㅑ,ㅕ,ㅛ,ㅠ,ㅐ,ㅔ,ㅒ,ㅖ』8자, 총 33자를 포함하여 한글입력부를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33자를 상기 한글입력부에 각각 별도로 배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문자를 거듭치기하거나 길게 누르기, 밀기, 누른 뒤 밀기 등을 하지 않고, 또는 shift키와 같은 변환키나 기능키를 누르지 않고 상기 문자입력부에 나와 있는 문자를 있는 그대로 한번씩 눌러 모든 한글을 입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문자입력방법 및 그 장치를 제안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한글문자입력장치(1)의 일부인 한글입력자판(2)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의한 한글입력자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한글입력자판(2)은 한글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상기 19자의 한글자음과 14자의 한글모음 총 33자를 포함한 한글입력부(11), 기타입력부(12) 또는 보조입력부(13)를 포함한 문자입력부(10)와 입력된 문자들이 표시되는 표시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문자입력부(10)는 하나 이상의 문자그룹영역(20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문자그룹영역에는 하나 이상의 개별문자영역(210)이 있으며, 상기 개별문자영역(210)의 중심에는 각각 문자입력중심(220)이 있고, 상기 개별문자영역에는 각각 문자가 대응되어 있어서, 상기 개별문자영역에 눌림이 감지되면 상기 개별문자영역에 대응되는 문자가 상기 표시부에 입력될 수 있다.
상기 도 2a와 같이 상기 문자입력부는 하나 이상의 상기 문자그룹영역(200)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개수와 배열방법은 사용자가 사용하는 기기의 종류와 화면의 크기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문자를 입력받기 위한 가장 효율적인 개수와 배열방법으로 얼마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한글입력자판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문자그룹영역(200)의 상기 개별문자영역(210)은 상기 문자그룹영역에서 배열되는 위치에 따라, 도 3a에서와 같이 좌상개별문자영역(211), 우상개별문자영역(212), 좌하개별문자영역(213), 우하개별문자영역(214)으로 구분하거나 또는 도 3b에서와 같이 좌상개별문자영역(211), 우상개별문자영역(212), 좌하개별문자영역(213), 우하개별문자영역(214), 중앙개별문자영역(215)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는 도 3c의 2번에서와 같이 좌상개별문자영역(211), 우상개별문자영역(212), 좌하개별문자영역(213), 우하개별문자영역(214), 중앙상개별문자영역(216), 중앙하개별문자영역(217)로 구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문자그룹영역은 하나 이상의 개별문자영역으로 다양하게 변형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문자입력부는 상기 문자그룹영역(200)을 n×m (n, m은 자연수)의 행렬형태로 배열하여 상기 문자입력부(10)를 형성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개별문자영역에 문자가 대응되는 것을 설명하면, 1개의 개별문자영역에 1개의 문자가 대응되거나, 1개의 개별문자영역에 2개 이상의 문자가 대응될 수도 있으며, 또는 2개 이상의 개별문자영역에 1개의 문자가 대응될 수도 있다.
도 3a를 예를 들어 참조하면, 상기 제(3,2)위치의 문자그룹영역에서 좌상개별문자영역은 1개의 개별문자영역에 1개의 문자, 즉,『ㅍ』자가 대응된 예이며, 제 (3,2)위치의 문자그룹영역에서 좌하개별문자영역과 우하개별문자영역, 이 두 개별문자영역이 하나로 통합되어 여기에 스페이스바 1개가 대응된 예를 볼 수 있다. 이때 스페이스바에는 두 개의 문자입력중심이 배치되어 있다. 이것은 상기 하나로 통합된 개별문자영역이 후에 좌하개별문자영역과 우하개별문자영역으로 분리하여 각각 문자를 배치할 수 있으므로 문자입력중심은 변동 없이 각 개별문자영역의 중심에 그대로 있게 된다. 또한, 도 3c의 1번을 참조하면 상기 좌상개별문자영역은 1개의 개별문자영역에 마침표(.)와 쉼표(,) 2개의 문자가 대응된 예이다.
상기 1개의 개별문자영역에 2개 이상의 문자가 대응될 경우 1회 누르기, 거듭치기, 길게 누르기, 밀기, 누른 뒤 밀기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개별문자영역에 대응된 각 문자를 모두 입력할 수 있다.
도 3c는 상기의 한 문자그룹영역에 다수 개의 상기 개별문자영역을 배치하고 다수 개의 문자를 대응시키는 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c에서와 같이 1개의 문자그룹영역에 6개의 문자를 대응시키는 경우, 1번처럼 상기 좌상개별문자영역과 상기 좌하개별문자영역에 2개 이상의 문자를 대응시키고 우상개별문자영역과 우하개별문자영역에는 각각 1개의 문자를 대응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마침표(.)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좌상개별문자영역을 1회 누르고 쉼표(,)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좌상개별문자영역을 거듭치기하거나 길게 누르거나 밀기 또는 누른 뒤 밀기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사용하여 쉼표를 입력할 수 있다. 또는 도 3c의 2번처럼 상기 문자그룹영역을 6개의 개별문자영역으로 나누어 각각의 개별문자영역에 배치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각 문자를 모두 1회의 누름으로 입력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문자입력부를 구성하는 예를 도 2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에서 보는 바와 같이 9개의 문자그룹영역을 3×3 행렬형태로 배열하여 한글입력부를 구성하되, 한글의 단자음『ㄱ,ㄴ,ㄷ,ㄹ,ㅁ,ㅂ,ㅅ,ㅇ,ㅈ,ㅊ,ㅋ,ㅌ,ㅍ,ㅎ』14자와 쌍자음『ㄲ,ㄸ,ㅃ,ㅆ,ㅉ』 5자 및 단모음『ㅏ,ㅓ,ㅗ,ㅜ,ㅡ,ㅣ』6자와 복모음『ㅑ,ㅕ,ㅛ,ㅠ,ㅐ,ㅔ,ㅒ,ㅖ』8자, 총 33자를 포함하여 한글입력부를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33자를 상기 한글입력부에 각각 별도로 배치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1,1)위치의 문자그룹영역의 경우
좌상개별문자영역에는 『ㅋ』, 우상개별문자영역에는 『ㄱ』,
좌하개별문자영역에는 『ㄲ』, 우하개별문자영역에는 『ㄹ』이 대응되고,
(1,2) 위치의 문자그룹영역의 경우
좌상개별문자영역에는 『ㄴ』, 우상개별문자영역에는 『ㄷ』,
좌하개별문자영역에는 『ㅁ』, 우하개별문자영역에는 『ㅂ』이 대응되고,
(1,3) 위치의 문자그룹영역의 경우
좌상개별문자영역에는 『ㅏ』, 우상개별문자영역에는 『ㅑ』,
좌하개별문자영역에는 『ㅓ』, 우하개별문자영역에는 『ㅕ』가 대응되고,
(2,1) 위치의 문자그룹영역의 경우
좌상개별문자영역에는 『ㅆ』, 우상개별문자영역에는『ㅅ』,
좌하개별문자영역에는 『ㅉ』, 우하개별문자영역에는 『ㅈ』이 대응되고,
(2,2) 위치의 문자그룹영역의 경우
좌상개별문자영역에는 『ㅇ』, 우상개별문자영역에는 『ㅡ』,
좌하개별문자영역에는『ㅎ』 ,우하개별문자영역에는 『ㅣ』가 대응되고,
(2,3) 위치의 문자그룹영역의 경우
좌상개별문자영역에는 『ㅗ』, 우상개별문자영역에는 『ㅜ』,
좌하개별문자영역에는 『ㅛ』 우하개별문자영역에는 『ㅠ』가 대응되고,
(3,1) 위치의 문자그룹영역의 경우
좌상개별문자영역에는 『ㄸ』, 우상개별문자영역에는 『ㅊ』,
좌하개별문자영역에는 『ㅃ』, 우하개별문자영역에는 『ㅌ』이 대응되고,
(3,2) 위치의 문자그룹영역의 경우
좌상개별문자영역에는 『ㅍ』, 우상개별문자영역에는 『마침표(.)』,
좌하개별문자영역과 우하개별문자영역에 걸쳐서 대응되는 기호는『띄어쓰기(스페이스바)』가 대응되고,
(3,3) 위치의 문자그룹영역의 경우
좌상개별문자영역에는 『ㅔ』, 우상개별문자영역에는 『ㅐ』,
좌하개별문자영역에는 『ㅖ』, 우하개별문자영역에는 『ㅒ』가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문자입력방법이 제공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1,1)위치의 문자그룹영역의 좌상개별문자영역(211)을 누르면 좌상개별문자영역에 대응되어 배치된 『 ㅋ 』이 상기 표시부(20)에 입력이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가 '안녕' 이라고 입력하고자 할 경우 (2,2)위치의 좌상개별문자영역을 눌러 'ㅇ' 을 입력하고, (1,3)위치의 좌상개별문자영역을 눌러 'ㅏ' 를 입력하며, (1,2)위치의 좌상개별문자영역을 눌러 'ㄴ' 을 입력하고, 다시 (1,2)위치의 좌상개별문자영역을 눌러 'ㄴ' 을 입력하며, (1,3)위치의 우하개별문자영역을 눌러 'ㅕ' 를 입력하고, (2,2)위치의 좌상개별문자입력영역을 눌러 'ㅇ' 을 입력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전자기기에서 한글을 입력함에 있어서 문자그룹영역과 개별문자영역을 구분하여 배치함으로써 효율적인 공간배치와 운영을 통해 시각적으로 문자를 인지할 수 있는 효과를 높이며 인접문자와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한글을 입력함에 있어서 입력타수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이에 꼭 필요한 한글의 단자음『ㄱ,ㄴ,ㄷ,ㄹ,ㅁ,ㅂ,ㅅ,ㅇ,ㅈ,ㅊ,ㅋ,ㅌ,ㅍ,ㅎ』14자와 쌍자음『ㄲ,ㄸ,ㅃ,ㅆ,ㅉ』5자 및 단모음『ㅏ,ㅓ,ㅗ,ㅜ,ㅡ,ㅣ』6자와 복모음『ㅑ,ㅕ,ㅛ,ㅠ,ㅐ,ㅔ,ㅒ,ㅖ』8자, 총 33자를 문자입력부에 각각 표출시키고, 이 문자들을 배치할 때 사용자가 각 문자의 위치를 직관적으로 쉽게 인지하도록 효율적으로 배치함으로써, 문자를 거듭치기하거나 길게 누르기, 밀기, 누른 뒤 밀기 등을 하지 않고 또는 shift키와 같은 변환키나 기능키를 누르지 않고 자판에 나와 있는 문자를 있는 그대로 한 번씩 눌러 사용자가 오타없이 적은 입력횟수로 좀 더 효율적이며 빠르고 정확하게 모든 한글을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문자입력방법 및 장치인 것이다.
도 2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한글입력자판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9개의 문자그룹영역을 3×3 행렬형태로 배열하여 문자입력부를 구성하되, 한글의 단자음『ㄱ,ㄴ,ㄷ,ㄹ,ㅁ,ㅂ,ㅅ,ㅇ,ㅈ,ㅊ,ㅋ,ㅌ,ㅍ,ㅎ』14자와 쌍자음『ㄲ,ㄸ,ㅃ,ㅆ,ㅉ』5자 및 단모음『ㅏ,ㅓ,ㅗ,ㅜ,ㅡ,ㅣ』6자와 복모음『ㅑ,ㅕ,ㅛ,ㅠ,ㅐ,ㅔ,ㅒ,ㅖ』8자, 총 33자를 포함하여 한글입력부를 구성한 다른 예를 보여준다. 이 때도 역시 상기 33자를 상기 한글입력부에 각각 별도로 배치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1,1)위치의 문자그룹영역의 경우
좌상개별문자영역에는 『ㄲ』 우상개별문자영역에는『ㅋ』
좌하개별문자영역에는 『ㄱ』 우하개별문자영역에는 『ㄴ』이 대응되고,
(1,2) 위치의 문자그룹영역의 경우
좌상개별문자영역에는 『ㄸ』 우상개별문자영역에는 『ㅌ』
좌하개별문자영역에는 『ㄷ』 우하개별문자영역에는 『ㄹ』이 대응되며,
(1,3) 위치의 문자그룹영역의 경우
좌상개별문자영역에는 『ㅏ』 우상개별문자영역에는 『ㅐ』
좌하개별문자영역에는 『ㅑ』 우하개별문자영역에는 『ㅒ』가 대응된다,
(2,1) 위치의 문자그룹영역의 경우
좌상개별문자영역에는 『ㅍ』, 우상개별문자영역에는 『ㅁ』,
좌하개별문자영역에는 『ㅃ』, 우하개별문자영역에는 『ㅂ』이 대응되고,
(2,2) 위치의 문자그룹영역의 경우
좌상개별문자영역에는 『ㅇ』, 우상개별문자영역에는 『ㅡ』,
좌하개별문자영역에는 『ㅎ』 우하개별문자영역에는 『ㅣ』가 대응되며,
(2,3) 위치의 문자그룹영역의 경우
좌상개별문자영역에는 『ㅓ』, 우상개별문자영역에는 『ㅔ』,
좌하개별문자영역에는 『ㅕ』 우하개별문자영역에는 『ㅖ』가 대응된다,
(3,1) 위치의 문자그룹영역의 경우
좌상개별문자영역에는 『ㅆ』, 우상개별문자영역에는 『ㅈ』,
좌하개별문자영역에는 『ㅉ』, 우하개별문자영역에는 『ㅊ』이 대응되고,
(3,2) 위치의 문자그룹영역의 경우
좌상개별문자영역에는 『ㅅ』, 우상개별문자영역에는 『마침표(.)』와『쉼표(,)』
좌하개별문자영역과 우하개별문자영역에 걸쳐서 대응되는 기호는『띄어쓰기(스페이스바)』가 대응되며,
(3,3) 위치의 문자그룹영역의 경우
좌상개별문자영역에는 『ㅗ』, 우상개별문자영역에는 『ㅜ』,
좌하개별문자영역에는 『ㅛ』 우하개별문자영역에는 『ㅠ』가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문자입력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한글문자입력방법에 따라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한글문자가 입력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문자입력부는 상기 문자그룹영역에 상기 개별문자영역으로 구분되어 있고, 각 상기 개별문자영역에는 대응하는 문자가 표시되어 있다.(S301) 사용자가 한글문자를 입력하기 위해서, 상기 문자그룹영역에 있는 개별문자영역을 누른다.(S303) 이때 개별문자영역 중 어느 하나만 눌려졌을 경우(S305), 눌려진 상기 개별문자영역에 대응되는 문자가 입력된다. (S307) 만약, 사용자가 복수의 개별문자영역을 동시에 눌렀을 경우, 눌러진 2개 이상의 상기 개별문자영역 중에서 상기 문자입력중심이 가장 가까운 개별문자영역은 어디인지를 판단하여 (S309), 그 눌려진 지점에서 상기 문자입력중심이 가장 가까운 상기 개별문자영역에 대응되는 문자가 입력된다. (S311)
이 때 도 2a 및 2b에서는 상기 문자입력부에 한글의 자음과 모음, 그리고 한글문자입력에 필요한 기호와 기능키 등을 예를 들어 배치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한글자음 19자와 한글모음 14자, 총 33자를 모두 각각 나열하되, 상기 한글의 자음과 모음, 그리고 한글문자입력에 필요한 기호와 기능키 등의 배치는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한글입력방법에서 상기 한글입력부의 상측, 하측, 좌측, 우측을 포함한 임의의 방향에 기타입력부(12)를 추가로 배치할 수 있다.
상기 기타입력부에는 숫자, 기호, 특수문자, 이모티콘, 기능키, 설정기능키, 편집키를 포함하여 한글문자입력에 필요한 자료 및 신규자료를 배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기타입력부를 그 종류에 따라 숫자입력부(12a), 기호입력부(12b), 특수문자입력부(12c), 이모티콘입력부(12d), 기능입력부(12e), 설정입력부(12f), 편집입력부(12g) 등으로 명명하기로 한다.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한글입력자판에서 기타입력부가 배치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는 상기 기타입력부(12) 중 숫자입력부(12a)가 상기 한글입력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기능입력부(12e)가 상기 한글입력부의 우측에 배치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b는 상기 기타입력부(12) 중 기호입력부(12b)가 상기 한글입력부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기능입력부(12e)가 좌측에 배치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c는 상기 한글입력부의 상측에 특수문자입력부(12c)가 배치되고 우측에 기능입력부(12e)가 배치된 예이다. 도 5d는 상기 한글입력부의 좌측에 상기 기능입력부가 배치되고 하측에 상기 편집입력부(12g)가 배치된 예이다. 도 5e는 상기 한글입력부의 상측에 숫자입력부(12a), 우측에 기능입력부(12e), 좌측에 이모티콘입력부(12d), 하측에 상기 편집입력부(12g)가 배치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한글입력부와 기타입력부를 배치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문자입력부의 중앙에는 한글입력부(10)에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배치하고 좌측은 기호입력부(12b)와 기능입력부를 배치하고 우측은 숫자입력부(12a)를 배치하였으며 양쪽 바깥쪽으로는 이모티콘입력부(12d)를 배치한 예이다. 여기서 양측에 배열된 이모티콘은 상하로 밀거나 좌우로 밀면 다른 이모티콘이 나오게 하여 다양한 이모티콘을 입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한글입력부의 상측, 하측, 좌측, 우측을 포함한 임의의 방향에 숫자입력부(12a), 기호입력부(12b), 특수문자입력부(12c), 이모티콘입력부(12d), 기능입력부(12e), 설정입력부(12f), 편집입력부(12g) 등을 비롯하여 한글문자입력에 필요한 문자나 기호, 기능 등을 다양하게 구성한 기타입력부를 얼마든지 응용하여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기타입력부의 임의의 지점을 누른 뒤 상하좌우를 포함한 임의의 방향으로 밀면 다른 기타입력부로 변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타입력부를 상하좌우를 포함한 임의의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밀면 상기 기타입력부가 변환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숫자입력부(12a)를 누른 뒤 임의의 방향으로 밀어서 다른 기타입력부로 변환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숫자입력부(12a)를 누른 후 상측으로 밀면 기호입력부(12b)로 변환되며, 우측으로 밀면 특수문자입력부(12c)로 변환되고, 좌측으로 밀면 편집입력부(12g)로 변환되며, 하측으로 밀면 이모티콘입력부(12d)로 변환될 수 있다.
또한 도 6의 예에서도 상기 숫자입력부나 상기 기호입력부 등의 기타입력부를 누르고 상, 하, 좌, 우 등 임의의 방향으로 밀면 다른 기호입력부, 다른 숫자입력부 등의 다른 기타입력부로 얼마든지 전환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한글문자를 입력함에 있어서 문자입력에 필요한 다양한 자료들을 한 화면에서 손쉽게 입력할 수 있고 수시로 기타입력부를 간편하게 변환해가면서 다양한 문자와 기능들을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매우 편리하고 효율적인 한글문자입력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기타입력부에 있는 숫자, 기호, 특수문자, 이모티콘, 기능키, 설정기능키, 편집키 등은 사용자가 변경등록하여 기타입력부를 구성한 뒤 사용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기타입력부에 사용자가 만든 자료 또는 신규자료를 등록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다음은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문자입력부 상에 상기와 같이 문자를 배치하는 이유 및 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본 발명의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현재 한글입력자판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천지인 자판, 나랏글 자판, SKY 자판과 Qwerty자판 등 종래의 자판들이 가지고 있는 단점을 보완하여 문자입력의 효율을 상승시키고자 새로운 수많은 한글입력자판들이 개발되어 왔다. 하지만 새로운 한글입력자판들은 상기 네 가지 자판에서 약간의 변형을 주는 정도에 그치거나 입력규칙이 복잡하거나 또는 입력동작이 번거로와 실용성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대다수의 사용자들은 종래의 한글입력자판들이 입력타수가 많고 입력이 번거로우며 입력 오류가 많이 발생함에도 불구하고 불편함을 감수하고 그에 맞추어 한글문자입력을 하고 있는 현실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한글입력자판들의 단점을 보완하여 누구나 손쉽게 효율적으로 빠르고 정확하게 오타없이 한글을 입력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먼저 상기 네 가지의 한글입력자판의 단점은 무엇인지, 그것을 본 발명은 어떻게 효과적으로 보완할 수 있는지를 간단히 비교하고자 한다.
[표 1] 은 천지인자판, 나랏글 자판, SKY 자판, Qwerty자판과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한글입력자판으로 상기 한글의 자음 19자와 상기 한글 모음 14자를 입력할 경우에 필요한 총 입력횟수를 각각 비교하였다. 상기 한글자음 19자와 상기 한글모음 14자를 입력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서는 총 33회가 소요되었다. 이에 비해 상기 천지인자판은 73회가 소요되었으며, 상기 나랏글자판은 68회가, 상기 SKY자판은 61회가, 상기 쿼티자판은 40회가 각각 소요되었다.
Figure 112016503670541-pat00001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한글입력자판에서 상기 한글 자음 19자와 상기 한글 모음 14자의 입력했을 때 상기 기존의 4가지 한글입력자판에 비하여 어느 정도의 입력횟수효율이 있는지를 [표 1] 의 맨 하단에 표시하였다.
이 비교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글입력자판은 천지인 자판에 비하여 55%의 입력횟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나랏글 자판에 대하여는 51.5%를, SKY 자판에 대하여는 46%를, 쿼티형 자판에 대하여는 17.5%의 입력횟수를 줄일 수 있으므로 그만큼 본 발명의 한글문자입력방법이 입력횟수에 따른 입력효율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한글입력자판이 기존의 대표적인 한글입력자판인 상기 4가지 자판에 비해 현저하게 적은 횟수로 한글 자음19자와 모음 14자를 입력할 수 있다는 것을 확실히 알 수 있는 것이다.
다음 [표 2] 는 '엄마 앞에서 짝짜꿍, 아빠 앞에서 짝짜꿍' 이라는 동요를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 예에 의한 한글입력자판과 상기 기존의 4가지 각 한글입력자판으로 입력했을 때 그 입력횟수를 비교한 것이다.
Figure 112016503670541-pat00002
[표 2] 에서의 비교에 의하면 본 발명은 상기 동요를 입력할 때 39회가 소요되었다. 상기 천지인자판은 75회, 나랏글자판은 64회, SKY자판은 59회, 쿼티형자판은 46회가 각각 소요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한글입력자판에서 상기 동요를 입력하는데 소요된 입력횟수는 상기 천지인 자판에 비하여 입력횟수를 48% 감소시킬 수 있으며, 나랏글 자판에 대하여는 39%를, SKY 자판에 대하여는 34%를, 쿼티형 자판에 대하여는 15%의 입력횟수를 줄일 수 있다. 이것으로 보아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글문자입력방법의 입력횟수가 종래의 대표적인 4가지 한글입력자판에 비해 현저히 낮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문자입력방법이 그만큼 입력효율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천지인 자판, 나랏글 자판, SKY 자판의 한글입력자판의 문제점을 각각 짚어 보면 다음과 같다.
천지인 자판의 경우 한글자음『ㄹ,ㅁ,ㅊ,ㅋ,ㅌ,ㅍ,ㅎ』는 2회의 누름으로 입력해야 하고, 『ㄲ,ㄸ,ㅃ,ㅆ,ㅉ』는 3회의 누름으로 입력하여야 하며, 모음의 경우 천지인(ㅣ, ·, ㅡ)를 가지고 모든 모음을 조합해야 하므로 입력 타수가 굉장히 많고, 입력에 시간이 많이 걸리며, 모음을 조합하기 위해 머릿속에서 끊임없이 생각해야 하고 순간적으로 모음의 조합을 잘못했을 경우에는 수정하고 다시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많이 발생한다.
나랏글 자판의 경우 한글의 자음은 『ㄷ,ㅂ,ㅈ,ㅋ,ㅎ』은 『ㄴ, ㅁ, ㅅ, ㄱ, ㅇ』을 누른 뒤 획추가 버튼을 1회씩 더 눌러서 만들고, 『ㅊ, ㅌ, ㅍ』은 『ㅅ, ㄷ, ㅁ』을 누른 뒤 획추가 버튼을 2회 더 눌러서 만들며, 『ㄲ,ㅆ』은 『ㄱ,ㅅ』을 1회 누른 뒤 쌍자음버튼을 1회 눌러서 만들고, 『ㄸ,ㅃ,ㅉ』은 『ㄴ,ㅁ,ㅅ』을 1회 누른 뒤 획추가 버튼을 1회 누르고 쌍자음버튼을 1회 눌러야 만들어진다. 이것은 한글의 자음이나 모음을 입력하기 위해서 그 문자를 1회만 누르면 되는 것이 아니라 손가락을 이동하여 획추가 버튼을 누르거나 쌍자음버튼을 누르거나 또는 획추가버튼을 누른 뒤 다시 쌍자음버튼을 눌러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또, 나랏글 자판에서 한글 모음을 입력하는 경우에는 『ㅏ, ㅗ, ㅡ, ㅣ』만 1회에 입력이 가능하다. 『ㅓ』는 『ㅏ』를 2회 눌러서 입력해야 하며, 『ㅜ』는 『ㅗ』를 2회 눌러서 입력해야 하고 『ㅑ』는 『ㅏ』를 누른 뒤 획추가 버튼을 누르고, 『ㅛ』는 『ㅗ』를 누른 뒤 획추가 버튼을 눌러야 한다. 『ㅕ』는 『ㅏ』를 2번 눌러 『ㅓ』를 만든 뒤 획추가버튼을 눌러서 입력하고, 『ㅠ』는『ㅗ』를 2번 눌러 『ㅜ』로 만든 뒤 획추가버튼을 눌러서 입력한다. 또한 『ㅐ』는 『ㅏ』와 『ㅣ』를 조합해서 입력하고, 『ㅔ』는 『ㅏ』를 2번 눌러 『ㅓ』로 만든 뒤 『ㅣ』를 눌러서 입력한다. 『ㅒ』는 『ㅏ』에 획추가버튼을 눌러 만든 뒤 『ㅣ』를 눌러 입력한다. 『ㅖ』는 『ㅏ』를 2회 눌러 『ㅓ』를 만들고 획추가버튼을 누른 뒤 『ㅣ』를 눌러서 입력한다. 이처럼 나랏글 자판은 모음을 입력함에 있어서 모음을 변형시키고 획추가버튼을 누르거나 ㅣ 모음을 눌러 글자를 조합해서 입력해야 하므로 이 역시 입력타수를 늘리고 손가락 이동 거리가 길어지며 입력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SKY 자판의 경우 한글자음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ㄹ,ㅅ,ㅊ,ㅋ,ㅌ,ㅍ,ㅎ』은 각각 『ㄴ,ㅁ,ㅈ,ㄱ,ㄷ,ㅂ,ㅇ』을 2회 눌러 입력하고, 『ㄲ,ㄸ,ㅃ,ㅆ,ㅉ』은 각각 『ㄱ,ㄷ,ㅂ,ㅅ,ㅈ』을 3회 눌러 입력한다. 모음의 경우 『ㅡ, ㅑ, ㅕ, ㅛ, ㅠ』는 각각 『ㅣ, ㅏ, ㅓ, ㅗ, ㅜ』를 2회 눌러 입력해야 하고, 『ㅐ』는 『ㅏ』와 『ㅣ』를 눌러서 입력하며, 『ㅔ』는 『ㅓ』와 『ㅣ』를 눌러서 입력하고, 『ㅒ』는 『ㅏ』를 2회 눌러 『ㅑ』로 만든 뒤 『ㅣ』를 눌러 입력하며, 『ㅖ』는 『ㅓ』를 2회 눌러 『ㅕ』를 만든 뒤 『ㅣ』를 눌러 입력한다. 이와 같이 SKY 자판 역시 기본적인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입력함에 있어서, 2~3회 이상의 입력타수가 필요하고 사용자가 글자를 만들어서 입력함으로써 입력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즉, 상기 천지인 자판, 나랏글 자판, SKY 자판의 한글입력자판은 한글의 자음과 모음이 한글자판 상에 모두 표출되어 있는 것이 아니고 일부 소수 개의 자음과 모음만을 한정하여 표출하였기 때문에 자판 상에 나와 있지 않은 자음과 모음은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한글의 자음과 모음의 구조를 머릿속에서 끊임없이 분석한 뒤 손가락으로 일일이 눌러서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만들어서 입력해야 하는 구조이다. 이것은 사용자로 하여금 한글을 입력함에 있어서 입력횟수를 증가시키는 것 뿐만 아니라 획추가 버튼이나 쌍자음 버튼을 누르기 위하여 한글입력자판의 여기저기를 움직여야 하므로 운지거리가 멀게 되어 입력이 번거롭고, 입력시간도 많이 걸리게 된다. 또한 머릿속에서 글자를 조합하는 것이 순간적으로 잘못되었거나 그것을 자판에서 만드는 과정에서 잘못 조합하거나 더 많이 친다든지 하면 이를 지우고 다시 입력해야 하는 일이 빈번히 발생하므로 실제로는 입력타수가 굉장히 많아지고 입력시간이 더 오래 걸리게 되는 불필요한 번거로움이 발생하는 것이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의 한글문자입력방법에 의한 한글입력부에서는 한글의 단자음『ㄱ,ㄴ,ㄷ,ㄹ,ㅁ,ㅂ,ㅅ,ㅇ,ㅈ,ㅊ,ㅋ,ㅌ,ㅍ,ㅎ』14자와 쌍자음『ㄲ,ㄸ,ㅃ,ㅆ,ㅉ』5자 및 단모음『ㅏ,ㅓ,ㅗ,ㅜ,ㅡ,ㅣ』6자와 복모음 『ㅑ,ㅕ,ㅛ,ㅠ,ㅐ,ㅔ,ㅒ,ㅖ』8자, 총 33자를 상기 문자입력부 상에 항상 각각 표출시키기 때문에, 문자를 거듭치기하거나 길게 누르기, 밀기, 누른 뒤 밀기 등을 하지 않고 또한 Shift 키와 같은 변환키나 기능키를 누르지 않고 상기 33자를 자판에 나와 있는 문자를 있는 그대로 한번씩 눌러 모든 한글을 입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문자입력방법은 상기 기존의 4가지 한글입력자판에 비해 입력타수가 현저하게 줄어들게 되며, 사용자가 글자를 입력하기 위해서 글자를 조합하여 만드는 번거로운 과정이 최소화되고 이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입력오류가 발생하지 않게 되며, 단순하고 직관적으로 사용하기 쉽고 배우기가 용이하여 문자입력속도가 빠르고 정확하게 한글을 입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점은 현재 나와 있는 다른 한글입력자판들, 예를 들어 문자를 거듭치거나, 길게 누르거나, 밀거나, 누른 뒤 밀거나, 여러 번 단계를 나누어 누르거나 기능키를 이용하여 입력하는 다른 한글입력자판들에 대해서 일일이 나열하지 않아도 본 발명이 입력횟수에 있어서 그 효율이 높다는 것을 유추해서 알 수 있는 것이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글입력자판과 Qwerty자판의 한글입력자판을 비교해 보도록 한다.
Qwerty자판은 한글의 자음『ㄱ,ㄴ,ㄷ,ㄹ,ㅁ,ㅂ,ㅅ,ㅇ,ㅈ,ㅊ,ㅋ,ㅌ,ㅍ,ㅎ』14자와 모음『ㅏ, ㅑ,ㅓ,ㅕ,ㅗ,ㅛ,ㅜ,ㅠ,ㅡ,ㅣ,ㅐ,ㅔ』12자, 총 28자를 상기 문자입력부상에 나열하므로 상기 천지인자판, 나랏글자판, SKY자판에 비하여 입력횟수가 적다. 하지만, Qwerty자판에서 『ㄲ,ㄸ,ㅃ,ㅆ,ㅉ』와 『ㅒ,ㅖ』을 입력할 경우에는 shift에 해당하는 기능버튼을 눌러 일일이 쌍자음이나 복모음으로 전환을 시킨 뒤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Qwerty자판에서는 한글의 자음과 모음의 배열이 규칙성이 없기 때문에 사용자가 각 문자의 위치를 숙지하기가 어려우며 문자의 위치를 숙지하기 전까지는 입력할 때마다 문자의 위치를 찾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그리고 Qwerty자판의 배열이 가지는 가장 큰 단점은 1문자가 차지하는 공간이 작기 때문에 사용자가 어떤 문자를 입력하고자 할 때 원하는 문자에 인접한 문자를 같이 누르게 되어 오타가 나는 경우가 매우 많고 이로 인하여 오타를 지우고 다시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많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Qwerty자판에 비해 쌍자음 『ㄲ,ㄸ,ㅃ,ㅆ,ㅉ』5글자와 복모음『ㅒ,ㅖ』 2글자, 총 7글자가 더 많이 배치되어 있어서 Shift버튼을 누르지 않고도 바로 입력할 수 있기 때문에 이로 인해서 입력타수를 획기적으로 줄 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1문자가 차지하는 공간영역을 Qwerty자판에 비해 훨씬 더 넓게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 부분에 대해서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같은 면적에 배치된 삼성제품의 한글쿼티자판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글입력자판에서 한글 자음 또는 모음 1글자가 차지하는 면적을 비교한 도면이다.
전자기기에서 한글입력자판의 화면크기는 제품에 따라 천차만별이지만, 여기서는 같은 크기의 화면에 배치되었을 경우에 한글의 자음 또는 모음 1글자를 입력하는데 차지하는 영역이 얼마나 되는지를 간략하게 비교해보고자 한다. 그 예로 삼성전자제품 중 쿼티자판이 있는데 자판의 크기가 가로 7.2cm, 세로 5.1cm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글입력자판 역시 가로 7.2cm, 세로 5.1cm의 크기에 맞추어 배치한 뒤 한글의 자음 또는 모음 1문자를 입력하는데 차지하는 영역을 비교하였다. 이 때 조건을 동일하게 맞추기 위하여 숫자와 기능키 등을 모두 동일하게 구성하여 배치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글입력자판에서 1문자가 차지하는 면적의 시각적인 크기는 가로10mm * 세로 6.75mm로서 총 67.5mm2가 된다. 삼성전자 제품의 쿼티자판의 경우 한글 자음 또는 모음 1문자가 배치된 버튼의 시각적인 크기는 가로 5.5mm*세로 6.5mm =35.75mm2 이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글입력자판에서 1문자가 차지하는 면적은, 같은 조건의 상기 삼성제품 한글쿼티자판의 1문자가 차지하는 면적보다, 시각적으로 47%, 거의 2배나 더 넓게 보이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글입력자판이 쿼티형자판에 비해 사용자가 문자를 인지하기가 훨씬 더 용이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글입력자판은 상기 쿼티형 자판보다 자음 5자, 모음 2자 총 7자를 더 배치하여 입력타수를 현저히 줄이고 입력효율을 높이면서도 1 문자가 차지하는 시각적인 면적은 오히려 더 넓게 확보하는 것이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글입력자판과 상기 삼성전자 제품의 쿼티자판의 경우 실제 입력면적을 비교해보고자 한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삼성전자 제품의 쿼티자판의 경우 1문자버튼의 크기는 가로 5.5mm×세로 6.5mm 이며 문자버튼 간의 간격은 좌우로는 1.5mm이고 상하로는 3.5mm이다. 여기서 실제로 그 문자가 입력되는 범위는 좌우로는 인접 문자버튼과의 중간지점까지이고 아래쪽으로 하측에 위치한 문자버튼의 바로 전까지가 그 문자의 입력영역이 된다.
따라서 상기 삼성전자 제품의 쿼티자판의 경우 1문자가 입력되는 실제 영역은 가로로는
(좌측 인접문자버튼과의 간격 1.5mm의 1/2인 0.75mm)+(1문자버튼의 가로폭 5.5mm)+(우측 인접문자버튼과의 간격 1.5mm의 1/2인 0.75mm)
=0.75mm+5.5mm+0.75mm
=70mm이 되며,
세로로는 (1문자버튼의 세로폭 6.5mm)+(하측 인접문자버튼과의 간격 3.5mm)
= 6.5mm+ 3.5mm
= 10mm가 되므로
상기 삼성전자 제품의 쿼티자판의 경우 1문자가 입력되는 실제 영역은 가로×세로= 70mm×10mm=70mm2 가 1문자의 입력면적이 된다.
반면,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글입력자판의 경우, 1개의 문자그룹영역이 차지하는 면적은 가로 20mm×세로 13.5mm로서 상기 1 개별문자영역의 크기, 즉 1 문자버튼의 크기는 가로 10mm×세로 6.75mm이다. 이 때 상기 문자그룹영역 간 간격은 가로 세로 모두 0.5mm이며 1개의 개별문자영역은 가로로는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일방에만 인접한 개별문자영역과 0.5mm의 간격이 있게 되고 세로로는 상측 또는 하측 중 어느 일방에만 인접한 개별문자영역과 0.5mm의 간격이 있게 되므로, 가로 및 세로로 이 간격의 1/2에 해당하는 0.25mm가 각 개별문자영역의 입력면적으로 귀속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한글입력자판의 1개의 개별문자영역 (1문자버튼)의 입력면적은
가로 (1.0mm+0.25mm)×세로 (6.75mm+0.25mm)=10.25mm×7mm= 71.75mm2가 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글입력자판은 쿼티형 자판보다 자음 5자, 모음 2자 총 7자를 더 배치하여 입력타수를 현저히 줄이고 입력효율을 높이면서도 1 문자가 입력되는데 차지하는 실제 면적은 오히려 더 넓게 확보하는 것이다.
또한 Qwerty 자판에서는 문자들이 배치될 때, 문자가 배치된 버튼들이 서로 빗겨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시각적으로 1문자의 영역이 한눈에 들어오지 않고 분산되어 보인다. 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글입력자판에서는 상기 문자그룹영역을 행렬식으로 배치하고 상기 문자그룹영역을 좌상, 우상, 좌하, 우하개별문자영역, 또는 중앙개별문자영역으로 규칙적으로 배치함으로써 같은 면적의 자판일지라도 1문자 당 배치되는 입력영역을 실제적으로도 더 넓게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문자영역을 시각적으로 규칙성 있게 인지하게 하여 직관적으로 문자를 쉽게 인지하게 하므로 오타가 나지 않게 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자판에 배치하는 방법을 비교해 보면, Qwerty형 자판의 경우 제 1행에 (ㅂ,ㅈ,ㄷ,ㄱ,ㅅ), 제 2행에 (ㅁ,ㄴ,ㅇ,ㄹ,ㅎ), 제 3행에 (ㅋ,ㅌ,ㅊ,ㅍ)을 배치하고 있어서 한글 자음이 순차적으로 배열되지 않고 뒤죽박죽으로 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문자의 순서를 익히기가 쉽지 않고 입력 시 문자의 위치를 기억에 의존하거나 일일이 찾아서 입력해야 하므로 입력효율이 떨어진다.
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글입력자판에서는 한글의 자음을 배치할 때 한글의 순차배열을 고려하면서 (ㄱ,ㄲ,ㅋ), (ㄴ,ㄷ,ㄹ,ㅁ,ㅂ), (ㅅ,ㅈ,ㅊ,ㅆ,ㅉ), (ㅇ,ㅎ)와 같이 유사한 모양의 글자를 서로 인접해서 배치하고 한글의 모음 역시 (ㅏ,ㅑ,ㅓ,ㅕ), (ㅗ,ㅛ,ㅜ,ㅠ), (一,ㅣ), (ㅔ,ㅖ,ㅐ,ㅒ)를 인접해서 배치하므로 이로써 사용자가 Qwerty자판을 사용할 경우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글입력자판을 사용할 경우 입력타수를 효율적으로 줄이면서도 시각적으로 문자를 인지하기가 쉽고 더 넓은 면적을 활용하므로 입력오류를 획기적으로 줄임으로써 입력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문자입력부에서 하나 이상의 통합기능키(230)를 더 배치할 수 있다.
상기 문자입력부에 하나 이상의 통합기능키가 있을 수 있고, 사용자가 상기 통합기능키 중 어느 하나를 누르면 자료화면(231)이 표출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자료를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자료화면은 상하 또는 좌우로 스크롤하여 자료를 찾을 수도 있거나 또는 상기 자료화면의 임의의 지점을 상하좌우를 포함한 임의의 방향으로 밀어 또 다른 자료화면으로 변환시킬 수도 있다.
도 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글문자입력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합기능키(230), 설정기능키(240), 통합괄호키(260), 한자기능키(270)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예에서는 상기 문자입력부 내에 상기 통합기능키를 4개를 배치하였다. 이것은 한 예일 뿐 상기 통합기능키를 상기 입력부에 배치함에 있어서 가장 효율적이라고 판단되는 곳이라면 어디든지 응용하여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통합기능키의 숫자도 가감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통합기능키에 문자, 기호, 도형, 그림, 사진, 동영상, 이모티콘, 음성파일, 오디오파일, 연락처, 메모, 상용구 또는 사용자가 만든 자료 등 사용자가 원하는 자료를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a에서는 통합기능키가 4개가 있는데 첫 번째 통합기능키에는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사진을 모두 모아놓고, 두 번째 통합기능키에는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상용구를 등록해 놓으며, 세 번 째 통합기능키에는 사용자가 요즘에 자주 사용하는 이모티콘을 저장해 놓고, 네 번째 통합기능키에는 최근에 메모한 내용을 등록해 놓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사용자는 문자입력을 하는데 있어서 자주 사용하거나 빠르게 찾아야 하는 사진, 문구 등의 자료를 찾을 때 여러 경로를 통해 찾아들어가서 가지고 와야 하는 번거로움을 모두 줄이고 바로 한번에 찾아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홈버튼과 같은 방법에서는 한 군데로 모여 있어서 편리한 것 같지만 분산되어 있는 자료로 각각 찾아 들어가야 하는 단계를 다시 거쳐야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문자입력부상에 표출되어 있는 4개의 통합기능키에 사용자 중심의 자료가 분산되어 등록되어 있기 때문에 필요할 때 여러 단계를 거치지 않고 바로 찾아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요할 때 언제든지 상기 통합기능키를 눌러서 상기 자료 중 원하는 자료를 선택하여 간편하게 입력할 수 있다.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글문자입력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합기능키에 자료가 등록되어 있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통합기능키 중의 어느 하나를 누르면 자료화면(231)이 표출되어 상기 통합기능키에 저장되어 있는 자료들이 도 9b와 같이 나열되고 사용자가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통합기능키에 신규자료를 등록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한글문자입력방법에서 상기 통합기능키에 사용자가 신규 자료를 등록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통합기능키에 신규자료를 등록하는 과정은, 신규자료를 등록하고자 하는 상기 통합기능키를 누르는 단계(S400)와, 상기 통합기능키에서 신규등록모드를 선택하는 단계(S402)와, 상기 자료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40)에 접근하는 단계(S404)와, 상기 저장부에서 사용자가 신규로 등록하고자 하는 자료를 선택하는 단계(S406)와, 상기 선택한 자료를 상기 통합기능키에 저장하는 단계(S408)와 종료하는 단계(S4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문자입력부에서 상기 통합기능키 중 어느 하나의 통합기능키를 누르면 훈민정음의 4글자『 ㆁ,ㆆ,ㅿ,ㆍ』와 『
Figure 112016503670541-pat00003
, ㅱ, ㅸ, ㆄ, ㅹ, ㆀ, ㆅ, ㅥ, ㅳ, ㅶ, ㅷ, ㅺ, ㅻ, ㅼ』등의 한글 고어가 표출되어 훈민정음과 한글고어를 원활하게 입력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한글문자입력방법에서 상기 통합기능키에 훈민정음 글자와 한글고어가 표출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전 세계의 언어들을 비교해 보았을 때 한글과 한국어가 매우 과학적이며 다른 나라들의 언어보다 뛰어나 전 세계 최고의 언어로서 21세기에 가장 이상적인 언어로 각광을 받고 있다. 한글과 한국어는 전 세계의 모든 언어를 거의 있는 그대로 100%에 가깝게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한글' 이라고 말하는 것은 대한민국의 문자를 포괄적으로 통칭하는 것이다. 본래 '한글' 이 안에 '훈민정음' 도 포함되어 있고 '현대한글' 도 포함되어 있다. 지금 현재의 시간값에서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현대한글' 은 '현대 한국어맞춤법으로 정리된 현대한글' 로서 소수의 자음과 모음으로만 이루어진 글자이므로 본래의 '한글' 에 비해 표현의 폭이 굉장히 좁아진 글자이다.
'훈민정음' 만 하더라도 '현대한글' 보다 (ㆁㆆㅿㆍ)등의 글자를 더 사용하면서 훨씬 더 폭넓은 표현이 가능하였다. 한글 고어에서 사용하였던 글자들, 예를 들어 '
Figure 112016503670541-pat00004
Figure 112016503670541-pat00005
Figure 112016503670541-pat00006
' 등의 수많은 한글들을 지금은 사용하고 있지 않지만 이러한 한글 고어의 자음들은 각각 나름대로의 고유한 음을 표현할 수 있었던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 고유의 '한글' 로는, 예를 들어 '
Figure 112016503670541-pat00007
' 등 어떠한 조합의 발음도 표현하는 것이 가능한 글자인 것이며, 실로 매우 방대한 소리를 모두 표현할 수 있는 체계를 가지고 있는 굉장히 훌륭하고 탁월한 글자인 것이다.
하지만 정작 우리는 우리 '한글' 과 '한국어' 의 이러한 탁월함을 모두 축소시키며 사장시켜 버리고 있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지금의 '현대한글' 로는 이러한 폭넓은 표현을 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 예를 들어 '현대한글' 로 영어를 표기할 때
Figure 112016503670541-pat00008
과 [l] 등을 정확하게 구별해서 표현하는 것이 한계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우리가 훈민정음의 4글자(ㆁㆆㅿ·)를 비롯해 본래 '한글' 이 사용하였던 한글 고어들을 다시 복원하여 새롭게 발전된 '한글' 과 '한국어' 를 사용한다면, '한글' 과 '한국어' 는 전 세계의 모든 언어를 거의 있는 그대로 100%에 가깝게 표현할 수 있다.
그렇게 한다면, '한글' 은 모든 나라의 언어를 그대로 보존시켜주면서 완벽하게 표현해줄 수 있다. 예를 들어 '한글' 이 문자가 없는 언어의 새로운 문자가 될 수도 있다. 실례를 들어보면, 인도네시아의 찌아찌아족이 부족의 언어를 표기하는데 한글을 사용하였으며, 태국의 라후족, 네팔의 체팡족, 남미의 아이마라족 들 역시 자신들의 언어를 표기하는 문자로 '한글' 을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한글' 은 언어는 있지만 문자가 없어서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지 못하고 자신들의 문화와 역사를 기록하고 민족의 정체성을 보존하며 전승하지 못하는 민족들에게 훌륭한 매개체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찌아찌아족의 경우 [televisi]와 같은 발음을 표현하기 위해서 '현대한글' 에는 사용하지 않는 순경음비읍 [ㅸ]을 사용해 [
Figure 112016503670541-pat00009
]라고 표기하고 있다. 이와 같이 '현대한글' 로는 모든 소리를 표현하는 것이 부족하지만 '훈민정음' 을 포함한 '한글고어' 를 복원하여 사용한다면 모든 언어를 '한글' 로 표현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새롭게 발전된 '한글' 과 '한국어' 는 짧은 기간 동안 쉽게 배울 수 있고 별도의 발음기호 없이 말하는 대로 적을 수 있으며 모든 소리를 있는 그대로 표현 할 수 있기 때문에 전 세계의 모든 언어를 통합해서 서로 소통을 하게 하는 '발음 기호' 로서 훌륭한 문화의 허브이자 매개체로 사용될 수도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우리가 훈민정음에 있었던 네 글자를 포함하여 한글 고어를 복원하여 새로이 발전된 '한글' 을 가지고 프랑스어를 정확히 받아 적으면 그 '한글' 을 그대로 읽었을 때 러시아 사람이 듣고서 프랑스어를 정확히 알아들을 수가 있고, 일본 사람이 듣고서 프랑스어를 정확히 알아들을 수가 있다. 하지만 프랑스어를 러시아어로 받아 적거나 일본어로 받아 적으면 제 3자가 들었을 때 정확한 프랑스어가 전달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다른 나라의 언어들은 '한글' 과 '한국어' 만큼 여러 나라의 언어의 매개체 역할을 할 수가 없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새로이 발전된 '한글' 이 수많은 언어 사이에서 소통을 할 수 있는 중간 매개체이자 허브 역할을 할 수 있고, 전 세계의 어떤 사람이든 '한글' 로 정확한 표현을 옮겨 적은 것을 읽을 줄 알게 되면, 전 세계인이 서로 외국어를 배우지 않고도 일체 모든 나라와 소통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앞으로 수많은 미래세에 후손들의 교육을 위하고 '한글' 과 '한국어' 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훈민정음' 에 본래로 있었던 네 글자(ㆁㆆㅿ·)를 포함한 한글 고어를 다시 복원하여 새롭게 발전된 '한글' 을 정립해야 한다. 그리고 우리는 전자기기에서 훈민정음을 포함한 한글의 글자를 모두 표현할 수 있는 한글 문자입력방법를 구상하고 실현해 놓아야 한다. 그러한 의미에서 본 발명은 훈민정음과 한글고어를 포함한 한글의 모든 글자를 입력할 수 있는 문자입력방법과 그 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통합기능키를 0.2초 이상 누르면 다른 기능키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통합기능키를 누르는 시간은 사용자가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문자그룹영역의 각 상기 개별문자영역에 대응되는 한글자음이나 한글 모음, 숫자, 기호, 특수문자, 이모티콘, 기능키, 설정기능키, 편집키 등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변경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임의로 만든 자료를 등록하여 상기 문자입력부를 구성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한글문자입력방법에서 상기 문자입력부에 있는 문자를 변경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여기서 '문자' 라 함은 상기 한글 자음이나 한글 모음, 숫자, 기호, 특수문자, 이모티콘, 기능키, 설정기능키, 편집키 등 한글문자를 입력하는 데 필요한 모든 것과 사용자가 임의로 만든 자료를 통칭하여 언급하는 것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기 문자입력부에 있는 문자를 변경하는 방법으로는, 상기 문자입력부에 설정기능키(240)가 있고, 상기 설정기능키를 눌러(S500)상기 문자변경을 선택하는 단계(S502)와, 각 문자그룹영역의 상기 개별문자영역이 문자변경 가능상태로 변환되는 단계(S504)와 사용자가 변경하고자 하는 상기 개별문자영역을 선택하는 단계(S506)와, 상기 개별문자영역에 새로이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단계(S508)와, 문자변경을 종료하는 단계(S51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문자입력부에서 상기 개별문자영역에 대응하는 사항을 변경하여 등록할지라도 상기 문자입력부 내에서는 한글의 단자음『ㄱ,ㄴ,ㄷ,ㄹ,ㅁ,ㅂ,ㅅ,ㅇ,ㅈ,ㅊ,ㅋ,ㅌ,ㅍ,ㅎ』14자와 쌍자음『ㄲ,ㄸ,ㅃ,ㅆ,ㅉ』5자 및 단모음『ㅏ,ㅓ,ㅗ,ㅜ,ㅡ,ㅣ』6자와 복모음『ㅑ,ㅕ,ㅛ,ㅠ,ㅐ,ㅔ,ㅒ,ㅖ』8자, 총 33자를 항상 포함하되 상기 문자입력부에 상기 한글 33자를 모두 각각 표출시켜야 문자를 거듭치기하거나 길게 누르기, 밀기, 누른 뒤 밀기 등을 하지 않고, 또는 Shift키와 같은 변환키나 기능키를 누르지 않고 상기 문자입력부에 나와 있는 문자를 있는 그대로 한번씩 눌러 모든 한글을 오타없이 간편하면서 효율적으로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타입력부에 있는 숫자, 기호, 특수문자, 이모티콘, 기능키, 설정기능키, 편집키 등은 사용자가 변경등록하여 기타입력부를 구성한 뒤 사용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기타입력부에 사용자가 임의로 만든 자료를 등록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글문자입력방법에서 상기 기타입력부에 숫자를 배열할 때 기존의 방법대로 『1,2,3,4,5,6,7,8,9,0』으로 배치할 수도 있고 『0』을 『1』의 앞에 두어 『0,1,2,3,4,5,6,7,8,9』의 순서로도 배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0』과『1』을 인접하게 배치하면 『010』으로 시작하는 전화번호를 누를 때 손가락의 운지거리를 짧게 하여 입력이 용이하며 입력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0』과 『1』을 서로 인접하게 배치하여 응용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기타입력부에 숫자를 배열할 때 『1, 2, 3, 4, 5, 0, 6, 7, 8, 9』 의 순서로 배치하거나, 또는 『0, 1, 2, 3, 4, 5, 6, 7, 8, 9, 0』의 순서로 배치하여 숫자를 편리하게 입력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글문자입력방법에서 상기 기타입력부에 숫자를 배열할 때, 각 숫자를 0.2초 이상 누르면 다수 개의 자료가 등록된 숫자자료화면(250)이 표출되고 사용자는 그 중에서 원하는 자료를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숫자자료화면의 임의의 지점을 누른 뒤 상하좌우를 포함한 임의의 방향으로 밀면 다른 숫자자료화면으로 변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숫자자료화면에 사용자가 자료를 등록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그 방법은 상기 각 숫자를 0.2초 이상 누르면 숫자자료화면(250)이 나오고, 상기 숫자자료화면에서 사용자는 자료를 등록하고자 하는 위치를 선택한 뒤 등록하고자 하는 자료를 상기 저장부(40)에서 불러오기를 하거나 직접 입력하여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원하는 자료를 삭제할 수 있다. 이때 등록키(251)와 삭제키(252)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3a와 도 13b는 상기 기타입력부에서 각 숫자를 0.2초 이상 눌러 자료화면이 표출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3a는 상기 기타입력부에서 숫자를 7을 0.2초 이상 누르는 예이며, 도 13b는 숫자 7에 등록된 자료화면이 표출된 예이다. 사용자는 숫자를 눌러 숫자자료화면이 뜨면 여기서 바로 원하는 자료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래의 방법으로는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하면서 사진을 첨부하려면 사진이 있는 저장부를 열고 사진이 분류된 곳에서 사진을 선택하고 그것을 완료하여 첨부하는 등 여러 단계를 거치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같이 숫자를 0.2초 이상 눌러 사용자가 자주 쓰는 사진이나 자료 등을 상기 숫자자료화면에 등록해 놓으면 사용자는 사진을 첨부하려고 할 때 상기 숫자키를 눌러 이미 등록된 사진이나 자료를 단 1회의 누름으로 빠르고 간편하게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한글입력자판에서 다양한 괄호기호를 입력함에 있어서, 보다 효율적인 방법을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괄호기호는 열림괄호기호와 닫힘괄호기호로 구성된다. 괄호기호들에는 괄호기호 '( )' 를 비롯하여 '
Figure 112016503670541-pat00010
' 등 수많은 괄호기호들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문자입력부에 통합괄호키(260)가 있어서, 상기 통합괄호키를 터치하거나 0.2초 이상 누르면 다양한 괄호가 나열된 괄호기호화면(261)이 표출되어 다양한 괄호기호를 입력할 수 있다.
도 1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문자입력방법에서 통합괄호키를 눌러 괄호기호화면이 표출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통합괄호키를 터치하거나 0.2초 이상 누르면 상기 괄호기호화면이 표출되고 상기 괄호기호화면에서 사용자가 괄호기호를 입력하면 상기 괄호기호화면은 바로 닫힐 수도 있고 또는 상기 괄호기호화면에서 괄호기호를 입력한 뒤에도 상기 괄호기호화면은 그대로 열려있어서 추가의 괄호를 원하는 만큼 연속하여 입력할 수 있다. 이 후 상기 괄호기호 입력을 마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괄호기호화면 이외의 지점을 누르면 상기 괄호기호화면을 닫을 수 있다. 상기 괄호기호화면을 표출시키기 위해 상기 통합괄호키를 터치하는 경우와 0.2초 이상을 누르는 경우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나누어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괄호기호화면은 임의의 지점을 눌러서 상하좌우를 포함한 임의의 방향으로 밀면 다른 기호화면으로 변환될 수 있다. 도 1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문자입력방법에서 상기 괄호기호화면을 밀어서 다른 기호화면으로 변환시키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와 같이 상기 통합괄호키 내의 상기 괄호기호화면을 이용해 다른 기호화면으로 변환시켜 특수문자, 단위기호, 화폐기호, 이모티콘 등 다양한 기호를 배치하여 간편하게 입력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통합괄호키를 이용해 괄호기호 '( )' 를 입력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는 2가지 방법으로 입력하는 예를 제시한다.
첫 번째 경우는 상기 통합괄호키를 1회 누르면 열림괄호기호인 '(' 이 입력되고, 상기 통합괄호키를 다시 1회 누르면 상기 닫힘괄호기호인 ')' 이 입력되어 괄호기호가 완성된다. 괄호기호를 연속적으로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통합괄호키를 1회 눌러 열림괄호기호인 '(' 를 입력한 후 상기 통합괄호키를 거듭치기를 하면 상기 열림괄호기호 '(' 가 연속적으로 입력이 되며 상기 닫힘괄호기호 ')' 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상기 통합괄호키를 1번씩 누르면 상기 닫힘괄호기호 ')' 가 입력되어 괄호기호가 완성된다.
도 1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문자입력방법에서 통합괄호키를 눌러 괄호기호를 입력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첫 번째의 경우와 같이 상기 통합괄호키를 1회 누르면 열림괄호기호인 '(' 이 입력되고, 상기 통합괄호키를 다시 1회 누르면 상기 닫힘괄호기호인 ')' 이 입력되어 괄호기호가 완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괄호기호화면을 표출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통합괄호키를 0.2초 이상 누르면 된다.
두 번째 경우는 상기 통합괄호키를 터치하여 상기 괄호기호화면이 바로 표출되고, 상기 괄호기호화면에서 괄호기호 '( )' 를 입력하는 방법이다. 상기 괄호기호화면에는 다양한 괄호기호들이 열림괄호기호와 닫힘괄호기호가 괄호기호쌍을 이루어 '
Figure 112016503670541-pat00011
' 와 같이 나열된다. 상기 괄호기호화면에서 괄호기호쌍 '( )' 를 1회 누르면 열림괄호기호인 '(' 이 입력되고, 상기 통합괄호키를 다시 1회 누르면 상기 닫힘괄호기호인 ')' 이 입력되어 괄호기호가 완성된다. 괄호기호를 연속적으로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괄호기호화면에서 괄호기호쌍 '( )' 을 1회 눌러 열림괄호기호인 '(' 를 입력한 후 상기 괄호기호쌍 '( )' 을 거듭치기를 하면 상기 열림괄호기호 '(' 가 연속적으로 입력이 되며 상기 닫힘괄호기호 ')' 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상기 통합괄호키를 1번씩 누르면 상기 닫힘괄호기호 ')' 가 입력되어 괄호기호가 완성된다.
도 14d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문자입력방법에서 괄호기호화면에서 괄호기호를 입력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다음은 본 발명에서 상기 통합괄호키를 이용해 다양한 괄호기호를 입력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15a와 도 1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통합괄호키로 다양한 괄호기호를 입력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앞에서 설명한대로 사용자가 상기 통합괄호키를 터치하거나 0.2초 이상 누르면 괄호기호화면이 표출되고, 상기 괄호기호화면에는 다양한 괄호기호들이 열림괄호기호와 닫힘괄호기호가 괄호기호쌍을 이루어 나열된다. 이 중에서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특정 괄호기호쌍을 누르면 그 특정 괄호기호의 열림괄호기호가 입력된다. 도15a는 사용자가 특정 괄호기호쌍 '《 》' 을 누르면 선택한 괄호기호쌍의 열림괄호기호 '《' 가 입력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사용자가 괄호기호 내에 입력하고자 하는 내용을 입력한 뒤 닫힘괄호기호를 완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상기 통합괄호키를 누르면 된다. 그러면 도 15b에서와 같이 앞서 입력된 상기 특정 괄호기호쌍 '《 》' 의 상기 열림괄호기호 '《' 에 대응하는 닫힘괄호기호 ' 》' 가 입력되어 상기 괄호기호쌍 '《 》' 이 완성됨을 알 수 있다.
이때 괄호기호들이 나열된 기호화면은 괄호기호를 선택하면 바로 닫히게 할 수도 있고, 다양한 괄호기호를 더 입력할 수 있도록 상기 문자입력부 상에 계속 열려 있다가 사용자가 상기 기호화면 이외의 지점을 누르면 닫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것은 사용자가 선택하여 얼마든지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가 괄호기호 내부에 괄호기호를 또 입력하는 경우, 상기 다수 개의 괄호기호가 나열된 괄호기호화면에서, 그 중 사용자가 첫 번째로 입력하고자 하는 괄호기호쌍을 1회 누르면 그 괄호기호쌍의 열림괄호기호가 입력되고, 사용자가 두 번째로 입력하고자 하는 괄호기호쌍을 1회 누르면 두 번째 괄호기호쌍의 열림괄호기호가 입력되며, 동일한 방법으로 사용자가 임의의 괄호기호쌍을 1회 눌러 그 열림괄호기호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입력된 열림괄호기호들에 대응하는 닫힘괄호기호들을 입력하고자 할 때, 상기 통합괄호키를 1회 씩 눌러주면 나중에 입력한 괄호기호쌍부터 역순으로 닫힘괄호기호가 입력되어 괄호기호가 완성될 수 있다.
만약 동일한 괄호기호를 연속적으로 입력할 경우에는 상기 괄호기호화면에 표출된 상기 괄호기호쌍을 거듭치기 하여 열림괄호기호를 연속하여 입력하고, 상기 열림괄호기호에 대응하는 닫힘괄호기호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상기 통합괄호키를 1회씩 눌러주면 나중에 입력한 괄호기호쌍부터 역순으로 닫힘괄호기호가 입력되어 괄호기호가 완성될 수 있다.
도 15c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a{3x+y}-b}2' 을 입력하려고 할 때 먼저, 상기 통합괄호키를 터치하거나 0.2초 이상을 눌러 상기 문자입력부 상에 다수 개의 괄호기호가 나열된 괄호기호화면이 표출되게 한다. 그 중 사용자가 첫 번째로 입력하고자 하는 괄호기호쌍 '{ }' 을 1회 누르면 그 괄호기호쌍의 열림괄호기호 '{' 가 입력되고, 사용자가 동일한 괄호기호를 연속적으로 입력할 경우에는 상기 기호화면에 표출된 상기 괄호기호쌍 '{ }' 을 거듭치기 하여 열림괄호기호 '{' 를 연속하여 입력하고, 상기 열림괄호기호에 대응하는 닫힘괄호기호 '}' 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상기 통합괄호키를 1회씩 눌러주면 나중에 입력한 괄호기호쌍부터 역순으로 닫힘괄호기호가 입력되어 괄호기호가 완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6a 내지 도 1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통합괄호키로 다양한 괄호기호를 연속적으로 입력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100[35+{15-20{3+66}}+3.2]라는 수식을 입력할 경우 도 16a와 같이 상기 통합괄호키를 터치하거나 0.2초 이상 누르면 상기 문자입력부 상에 괄호기호화면이 열리고 다양한 괄호기호쌍이 나열되며 여기서 사용자가 첫 번째로 입력하고자 하는 괄호기호쌍인 '[ ]' 를 선택하여 그 열림괄호기호인 '[' 를 입력한다. 이어서 사용자가 두 번째로 입력하고자 하는 괄호기호쌍인 '{ }' 를 선택하면 그 열림괄호기호인 '{' 가 입력되며, 동일한 기호인 '{ }' 를 연속적으로 입력할 때는 '{ }' 를 거듭치기 하여 열림괄호기호인 '{' 를 입력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자가 임의의 열림괄호기호를 선택하여 입력한 뒤, 상기 입력된 열림괄호기호들에 대응하는 닫힘괄호기호들을 입력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도 16b와 같이 상기 통합괄호키를 한번 씩 눌러주면 나중에 입력한 괄호기호부터 역순으로 닫힘괄호기호가 입력되어 괄호기호가 완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수많은 괄호기호를 입력함에 있어서, 괄호기호마다 일일이 열림괄호기호와 닫힘괄호기호를 찾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고 각종 괄호기호를 입력하기 위해 shift키를 누르지 않고 간단한 터치와 입력으로 괄호기호를 간편하게 입력할 수 있으므로 각종 괄호기호입력에 매우 효율적인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의 한글입력자판에서 상기 문자입력부에 한자기능키(270)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글과 한자는 서로 뗄레야 뗄수 없는 관계로서 한국어는 표음문자인 한글과 표의문자인 한자가 함께 병용될 때 그 음과 뜻이 정확하고 완벽하게 전달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문자를 통한 정확하고 깊은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려면 한글과 한문을 같이 써야 한다. 따라서 한글문자입력방법에 있어서 한자를 간편하고 폭넓게 입력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로 한자기능키를 사용하여 한자를 간편하게 입력할 수 있다. 상기 문자입력부에 한자기능키가 있어서, 상기 문자입력부에서 한글을 입력한 뒤 상기 한글 뒤에 커서가 있는 상태 또는 글자를 선택한 상태에서 상기 한자기능키를 누르면, 한자화면(271)이 표출되며, 상기 한글의 음에 해당하는 한자가 모두 나열되고 그 중 사용자가 임의의 한자를 선택하여 바로 입력할 수 있거나, 또는 사용자가 임의의 한자에 전자기기용 펜과 같은 입력기구 또는 손을 갖다 대거나 또는 커서나 화살표를 이동하면, 상기 한자의 해설이 표출되고 사용자가 상기 해설내용을 확인하고 상기 한자를 누르면 상기 한자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7a 와 도 17b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서 한자기능키를 이용하여 한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대한 예시이다. 도 17a를 보면 '대한민국' 이라는 한글을 입력한 뒤 이를 한자로 변환하기 위하여 '대' 라는 글자 뒤에 커서가 있는 상태에서 상기 한자기능키를 눌러 '대' 라는 음에 해당하는 한자가 모두 나열된 모습이다. 여기서 사용자가 '大' 라는 글자에 전자기기용 펜과 같은 입력기구 또는 손을 갖다 대거나 또는 커서나 화살표로 이동하면, 도 17b와 같이 '大' 라는 글자의 해설이 표출된다. 그러면 사용자가 상기 해설 내용을 확인하고 상기 한자를 눌러 상기 한글 '대' 자를 한문 '大' 자로 변환하는 것이다.
또한, '대한민국' 과 같이 한 단어를 한꺼번에 한자로 변환할 수 있다. 변환하고자 하는 단어 뒤에 커서를 놓거나 또는 단어를 선택한 뒤 상기 한자기능키를 누르면 상기 한자화면이 표출되고 상기 단어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한자가 표출되면 사용자는 임의의 한자에 전자기기용 펜과 같은 입력기구 또는 손을 갖다 대거나 또는 커서나 화살표를 이동하면, 상기 한자의 해설이 표출되고 사용자가 상기 해설내용을 확인하고 상기 한자를 누르면 상기 한자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자기능키를 이용하여 한자를 입력할 때 전서, 예서, 해서와 같은 한자의 서체를 선택해서 입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한자기능키를 0.2초 이상 누르면 서체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가 나오고 그 메뉴 중에서 전서, 예서, 해서 등의 서체를 선택하여 한자의 서체를 변경완료할 수 있다. 그렇게 하면 다음에 이와 같은 방법으로 서체를 변경하기 전까지는 선택된 서체로 한자가 입력이 되는 것이다. 상기 저장부에는 각 한자에 대한 자료와 함께 서체에 대한 정보도 저장되어 있어서 상기 한자기능키를 누르고 메뉴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것에 따라 제어부에서 그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한글문자입력에 있어서, 상기 문자입력부(10)에 보조입력부(13)를 더 포함하되, 상기 한글입력부 또는 상기 기타입력부에서 문자를 입력하면, 저장부에서 그 문자와 관련이 있는 이모티콘이나 아이콘, 기호와 같은 자료를 검색하고 추출하여 상기 보조입력부에 상기 입력된 문자와 관련이 있는 이모티콘이나 아이콘, 기호와 같은 자료가 나열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이 나열된 자료 중에서 임의의 자료를 선택하여 입력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보조입력부는 임의의 지점을 눌러서 상하좌우를 포함한 임의의 방향으로 밀면 더 많은 자료가 나열될 수 있다.
도 18a와 도 1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글입력자판에서 보조입력부에 자료를 나타내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를 참조하여 일 실시 예를 설명하면, 사용자가 문자입력부에서 '생일 축하합니다' 라고 입력하는 경우 상기 표시부(20)에 '생일 축하합니다' 라는 문자가 표출되면, 상기 저장부(40)에서 이 문자와 연관된 아이콘이나 이모티콘, 기호와 같은 관련 자료를 검색하고 추출하여 상기 보조입력부(13)로 표출시켜준다. 사용자는 상기 보조입력부에 나타난 이모티콘, 아이콘, 기호 등 중에서 원하는 것을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고 이것이 상기 표시부(20)에 나타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다른 예로는 상기 문자입력부에서 숫자를 입력하면 상기 보조입력부에 『+, -, ×, ÷, ±, = 』와 같은 연산기호가 표시되어 사용자가 선택하여 입력하게 할 수도 있다. 도 19a및 도 1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문자입력자판에서 상기 보조입력부에 연산기호가 표시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와 같이 하면 숫자와 관련된 기호를 입력해야 할 때 별도로 기호를 찾기 위해서 상기 문자입력부를 변경할 필요가 없이 바로 간편하게 입력할 수 있다.
지금까지의 예에서 각 문자그룹영역에 한글의 자음과 모음 및 기호, 기능키, 설정기능키, 편집키, 이모티콘 등과 같이 문자입력에 필요한 자료 등을 각 상기 좌상, 우상, 좌하, 우하, 또는 중앙개별문자영역에 배치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한글의 자음과 모음, 그리고 상기 문자입력에 필요한 기호와 기능키, 설정기능키, 편집키, 이모티콘 등은 추가, 변경 또는 삭제하거나 그 배열을 바꾸어 상기 입력부를 구성할 수도 있다.
아울러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본 발명에서 제안한 다양한 한글문자입력방법을 실행할 수 있는 제어부를 포함한 문자입력장치를 제공함을 명백히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터치방식 또는 홀로그램방식 등 다양한 방식의 문자입력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다양한 문자입력장치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장치로 하여금 본 발명의 문자입력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저장 매체에 기록되고 활용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특히 문자그룹영역의 배열이나 한글의 자음과 모음의 배치, 숫자나 기호의 배치 등을 다양하게 바꾸는 것은 통상적인 지식에 의해서 자유자재로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한글문자입력장치 2: 한글입력자판
10: 문자입력부 11: 한글입력부
12: 기타입력부 13: 보조입력부
12a: 숫자입력부 12b: 기호입력부,
12c: 특수문자입력부 12d: 이모티콘입력부
12e: 기능입력부 12f: 설정입력부
12g: 편집입력부
20: 표시부 30: 제어부 40: 저장부
200: 문자그룹영역 210: 개별문자영역
220: 문자입력중심
211: 좌상개별문자영역 212: 우상개별문자영역
213: 좌하개별문자영역 214: 우하개별문자영역
215: 중앙개별문자영역 216: 중앙상개별문자영역 217: 중앙하개별문자영역
230: 통합기능키 231: 자료화면 240: 설정기능키
250: 숫자자료화면 251: 등록키 252: 삭제키
260: 통합괄호키 261: 괄호기호화면
270: 한자기능키 271: 한자화면

Claims (5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한글입력부, 기타입력부 및 보조입력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문자 입력이 가능한 문자입력부;
    상기 문자입력부로부터 입력된 문자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문자입력부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를 포함하여 문자 입력에 관련된 정보나 자료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문자입력부와 표시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한글문자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문자입력부는 하나 이상의 문자그룹영역으로 이루어지고, 문자그룹영역이 하나 이상의 개별문자영역으로 이루어지며, 개별문자영역에 문자를 배치하고, 개별문자영역에 눌림이 감지되면 개별문자영역에 대응되는 문자가 입력되도록 하며,
    상기 한글입력부는 한글의 단자음 『ㄱ,ㄴ,ㄷ,ㄹ,ㅁ,ㅂ,ㅅ,ㅇ,ㅈ,ㅊ,ㅋ,ㅌ,ㅍ,ㅎ』14자와 쌍자음 『ㄲ,ㄸ,ㅃ,ㅆ,ㅉ』5자, 단모음 『ㅏ,ㅓ,ㅗ,ㅜ,ㅡ,ㅣ』6자 및 복모음『ㅑ,ㅕ,ㅛ,ㅠ,ㅐ,ㅔ,ㅒ,ㅖ』8자를 포함하여 총 33자로 구성되어,
    상기 문자입력부에 표출된 문자가 한 번의 키조작으로 입력되고,
    상기 개별문자영역에 문자입력중심이 형성되어, 개별문자영역간에 인접되어 접촉된 문자의 인식은 상기 문자입력중심으로부터의 거리 또는 접촉 면적을 비교하여 거리가 가깝거나 면적이 큰 개별문자영역의 문자가 인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문자입력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입력부는,
    개별문자영역이 문자그룹영역에 배열되는 위치에 따라 좌상개별문자영역, 우상개별문자영역, 좌하개별문자영역 및 우하개별문자영역으로 구분된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좌상개별문자영역, 우상개별문자영역, 좌하개별문자영역, 우하개별문자영역 및 중앙개별문자영역으로 구분된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좌상개별문자영역, 우상개별문자영역, 좌하개별문자영역, 우하개별문자영역, 중앙상개별문자영역 및 중앙하개별문자영역으로 구분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문자입력장치.
  29. 제27항 또는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입력부는 문자그룹영역을 n×m (n,m은 자연수)의 행렬형태로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 한글문자입력장치.
  30.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입력부는,
    하나의 개별문자영역에 하나 이상의 문자를 배치하거나, 하나 이상의 개별문자영역에 하나의 문자를 배치하며,
    하나의 개별문자영역에 둘 이상의 문자가 배치되면 1회 누르기, 거듭치기, 길게 누르기, 밀기 및 누른 뒤 밀기 중 하나로 개별문자영역에 배치된 각 문자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문자입력장치.
  31. 삭제
  32.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한글입력부는 9개의 문자그룹영역이 3x3 행렬형태로 배열되면,
    (1,1)위치의 문자그룹영역에서 좌상개별문자영역에 좌상개별문자영역에는 『ㅋ』, 우상개별문자영역에는 『ㄱ』, 좌하개별문자영역에는 『ㄲ』, 우하개별문자영역에는 『ㄹ』이 배치되고,
    (1,2) 위치의 문자그룹영역에서 좌상개별문자영역에는 『ㄴ』, 우상개별문자영역에는 『ㄷ』, 좌하개별문자영역에는 『ㅁ』, 우하개별문자영역에는 『ㅂ』이 배치되고,
    (1,3) 위치의 문자그룹영역에서 좌상개별문자영역에는 『ㅏ』, 우상개별문자영역에는 『ㅑ』, 좌하개별문자영역에는 『ㅓ』, 우하개별문자영역에는 『ㅕ』가 배치되고,
    (2,1) 위치의 문자그룹영역에서 좌상개별문자영역에는 『ㅆ』, 우상개별문자영역에는『ㅅ』, 좌하개별문자영역에는 『ㅉ』, 우하개별문자영역에는 『ㅈ』이 배치되고,
    (2,2) 위치의 문자그룹영역에서 좌상개별문자영역에는 『ㅇ』, 우상개별문자영역에는 『ㅡ』, 좌하개별문자영역에는『ㅎ』 ,우하개별문자영역에는 『ㅣ』가 배치되고,
    (2,3) 위치의 문자그룹영역에서 좌상개별문자영역에는 『ㅗ』, 우상개별문자영역에는 『ㅜ』, 좌하개별문자영역에는 『ㅛ』, 우하개별문자영역에는 『ㅠ』가 배치되고,
    (3,1) 위치의 문자그룹영역에서 좌상개별문자영역에는 『ㄸ』, 우상개별문자영역에는 『ㅊ』, 좌하개별문자영역에는 『ㅃ』, 우하개별문자영역에는 『ㅌ』이 배치되고,
    (3,2) 위치의 문자그룹영역에서 좌상개별문자영역에는 『ㅍ』, 우상개별문자영역에는 『마침표(.)』, 좌하개별문자영역과 우하개별문자영역에 걸쳐서 배치되는 기호는『띄어쓰기(스페이스바)』가 배치되고,
    (3,3) 위치의 문자그룹영역에서 좌상개별문자영역에는 『ㅔ』, 우상개별문자영역에는 『ㅐ』, 좌하개별문자영역에는 『ㅖ』, 우하개별문자영역에는 『ㅒ』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문자입력장치.
  33. 제 27에 있어서,
    상기 한글입력부는 9개의 문자그룹영역이 3×3 행렬형태로 배열되면,
    (1,1)위치의 문자그룹영역에서 좌상개별문자영역에는 『ㄲ』, 우상개별문자영역에는 『ㅋ』,
    좌하개별문자영역에는 『ㄱ』, 우하개별문자영역에는 『ㄴ』이 배치되고,
    (1,2) 위치의 문자그룹영역에서 좌상개별문자영역에는 『ㄸ』, 우상개별문자영역에는 『ㅌ』,
    좌하개별문자영역에는 『ㄷ』, 우하개별문자영역에는 『ㄹ』이 배치되고,
    (1,3) 위치의 문자그룹영역에서 좌상개별문자영역에는 『ㅏ』, 우상개별문자영역에는 『ㅐ』,
    좌하개별문자영역에는 『ㅑ』, 우하개별문자영역에는 『ㅒ』가 배치되고,
    (2,1) 위치의 문자그룹영역에서 좌상개별문자영역에는 『ㅍ』, 우상개별문자영역에는 『ㅁ』,
    좌하개별문자영역에는 『ㅃ』, 우하개별문자영역에는 『ㅂ』이 배치되고,
    (2,2) 위치의 문자그룹영역에서 좌상개별문자영역에는 『ㅇ』, 우상개별문자영역에는 『ㅡ』,
    좌하개별문자영역에는 『ㅎ』, 우하개별문자영역에는 『ㅣ』가 배치되고,
    (2,3) 위치의 문자그룹영역에서 좌상개별문자영역에는 『ㅓ』, 우상개별문자영역에는 『ㅔ』,
    좌하개별문자영역에는 『ㅕ』, 우하개별문자영역에는 『ㅖ』가 배치되고,
    (3,1) 위치의 문자그룹영역에서 좌상개별문자영역에는 『ㅆ』, 우상개별문자영역에는 『ㅈ』,
    좌하개별문자영역에는 『ㅉ』, 우하개별문자영역에는 『ㅊ』이 배치되고,
    (3,2) 위치의 문자그룹영역에서 좌상개별문자영역에는 『ㅅ』, 우상개별문자영역에는 『마침표(.)』와『쉼표(,)』 좌하개별문자영역과 우하개별문자영역에 걸쳐서 배치되는 기호는『띄어쓰기(스페이스바)』가 배치되고,
    (3,3) 위치의 문자그룹영역에서 좌상개별문자영역에는 『ㅗ』, 우상개별문자영역에는 『ㅜ』, 좌하개별문자영역에는 『ㅛ』, 우하개별문자영역에는 『ㅠ』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문자입력장치.
  34. 제32항 또는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한글자음 19자와 한글 모음 14자를 포함하는 33자를 모두 배치되고,
    기호 또는 기능키와 함께 배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한글의 자모와 기호 또는 기능키의 배치구조가 변경 가능하도록 한글입력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문자입력장치.
  35.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기타입력부는 숫자, 기호, 특수문자, 이모티콘, 기능키, 설정기능키, 편집키 및 사용자에 의해 제작되거나 업로드된 자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배치되도록 하고, 한글입력부의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 중 하나 이상의 설정된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하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기타입력부의 임의의 지점을 누른 뒤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밀면 다른 기타입력부로 변환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문자입력장치.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기타입력부의 배치구성을 선택하여 등록, 변경 및 삭제가 가능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에 의해 제작되거나 업로드된 자료를 등록하여 사용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문자입력장치.
  37.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입력부는 하나 이상의 통합기능키가 배치되도록 하고, 통합기능키에 눌림이 감지되면 자료가 포함된 자료화면이 표출하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통합기능키의 자료를 선택하도록 문자입력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사용자가 자료화면의 임의의 지점을 누른 뒤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밀면 다른 자료화면으로 변환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문자입력장치.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제작되거나 업로드된 문자, 기호, 도형, 그림, 사진, 동영상, 이모티콘, 음성파일, 오디오파일, 연락처, 메모 및 상용구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신규자료가 등록되도록 문자입력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문자입력부는 통합기능키에 눌림이 감지되면 신규자료 등록을 위한 신규등록모드를 제공하며,
    상기 저장부는 신규자료가 선택되면 선택된 신규자료를 통합기능키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문자입력장치.
  39.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입력부는 통합기능키에 눌림이 감지되면 훈민정음의 4글자『 ㅿ,ㆁ,ㆆ,·』와 한글고어를 포함하는 자료화면을 표출하고, 훈민정음과 한글고어의 입력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문자입력장치.
  40.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입력부는 설정된 시간동안 통합기능키에 눌림이 감지되면 설정된 다른 기능키가 사용이 가능하도록 표출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감지시간을 변경하도록 문자입력부의 감지시간 변경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문자입력장치.
  41.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개별문자영역에 배치되는 한글 자음, 한글 모음, 숫자, 기호, 특수문자, 이모티콘, 기능키, 설정기능키 및 편집키 중 하나 이상을 변경하거나, 사용자에 의해 제작되거나 업로드된 자료가 등록되도록 문자입력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문자입력장치.
  42.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기타입력부는 『0, 1, 2, 3, 4, 5, 6, 7, 8, 9』,『1, 2, 3, 4, 5, 0, 6, 7, 8, 9』및『0, 1, 2, 3, 4, 5, 6, 7, 8, 9, 0』중 하나의 순서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문자입력장치.
  43.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기타입력부는 설정된 시간동안 숫자에 눌림이 감지되면 감지된 숫자에 대응하여 하나 이상의 자료가 등록된 숫자자료화면을 표출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숫자자료화면에서 자료를 선택, 등록, 변경 및 삭제가 가능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가 숫자자료화면의 임의의 지점을 누른 뒤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밀면 다른 숫자자료화면으로 변환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문자입력장치.
  44.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기타입력부는 설정된 시간동안 통합괄호키에 눌림이 감지되면 하나 이상의 괄호가 배치된 괄호기호화면을 표출하고, 괄호에 눌림이 감지되거나 괄호기호화면 이외의 지점에 눌림이 감지되면 괄호기호화면을 닫고,
    사용자가 괄호기호화면의 임의의 지점을 누른 뒤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밀면 다른 괄호기호화면으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문자입력장치.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기타입력부는,
    상기 통합괄호키에 1회 눌림이 감지되면 열림괄호기호인 '(' 이 입력되고, 통합괄호키에 다시 1회 눌림이 감지되면 닫힘괄호기호인 ')' 이 입력되며,
    상기 통합괄호키에 1회 눌림이 감지되어 열림괄호기호인 '(' 이 입력된 후 통합괄호키에 거듭치기가 감지되면 열림괄호기호 '(' 가 연속적으로 입력되며,
    상기 닫힘괄호기호 ')' 를 입력하기 위해서 통합괄호키에 1회 눌림이 감지되면 닫힘괄호기호 ')' 가 입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문자입력장치.
  46.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기타입력부는 괄호기호화면에 열림괄호기호와 닫힘괄호기호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괄호기호쌍이 배치되고, 괄호기호쌍에 눌림이 감지되면 감지된 괄호기호쌍의 열림괄호기호가 입력되며, 통합괄호키에 눌림이 감지되면 괄호기호쌍의 닫힘괄호기호가 입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문자입력장치.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기타입력부는 괄호기호쌍에 눌림이 감지되면 감지된 괄호기호쌍의 열림괄호기호가 입력되고, 다른 괄호기호쌍에 눌림이 감지되면 괄호기호쌍의 열림괄호기호가 입력되며, 통합괄호키에 눌림이 감지되면 나중에 입력한 괄호기호쌍부터 역순으로 괄호기호쌍의 닫힘괄호기호가 입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문자입력장치.
  48. 제46항에 있어서,
    동일한 괄호기호를 연속적으로 입력할 경우,
    상기 기타입력부는 괄호기호쌍에 1회 눌림이 감지되어 열림괄호기호가 입력된 후 괄호기호쌍에 거듭치기 눌림이 감지되면 감지된 괄호기호쌍의 열림괄호기호가 입력되고, 통합괄호키에 눌림이 감지되면 나중에 입력한 괄호기호쌍부터 역순으로 괄호기호쌍의 닫힘괄호기호가 입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문자입력장치.
  4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기타입력부는,
    상기 한글입력부를 통하여 한글이 입력된 후, 한글 뒤에 커서가 위치하고 있는 상태 또는 한글이 선택된 상태에서 한자기능키에 눌림이 감지되면 한자화면을 표출하고,
    상기 한자화면에 한글의 음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한자가 배치되도록 하며,
    상기 한자화면에서 한자의 눌림이 감지되면 감지된 한자가 입력되거나,
    사용자가 전자기기용 펜과 같은 입력기구 또는 사용자의 손을 임의의 한자에 위치시키거나 커서 또는 화살표가 임의의 한자로 이동되면 한자의 해설을 표출하고, 한자의 눌림이 감지되면 감지된 한자가 입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문자입력장치.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기타입력부는 한자기능키에서 전서, 예서 및 해서를 포함하는 한자의 서체의 입력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문자입력장치.
  51.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입력부는 한글입력부 또는 기타입력부의 문자가 입력되면, 입력된 문자와 관련된 이모티콘, 아이콘 및 기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자료가 배치되도록 하고, 자료 입력이 가능한 보조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보조입력부의 임의의 지점을 누른 뒤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밀면 다른 보조입력부로 변환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문자입력장치.
  52.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입력부는 기타입력부를 통하여 숫자가 입력되면 하나 이상의 연산기호가 배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문자입력장치.
  53. 삭제
  54. 삭제
KR1020160121854A 2016-09-23 2016-09-23 한글문자입력방법 및 장치 KR1017856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1854A KR101785649B1 (ko) 2016-09-23 2016-09-23 한글문자입력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1854A KR101785649B1 (ko) 2016-09-23 2016-09-23 한글문자입력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5649B1 true KR101785649B1 (ko) 2017-10-18

Family

ID=60296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1854A KR101785649B1 (ko) 2016-09-23 2016-09-23 한글문자입력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5649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05039B2 (en) Text input
US6741235B1 (en) Rapid entry of data and information on a reduced size input area
CN102483666B (zh) 用于移动装置的压敏用户接口
JP4797104B2 (ja) 電子装置および記号入力のための方法
KR101791929B1 (ko) 다개국어 문자 입력장치
JP4316687B2 (ja) 画面タッチ式入力装置
CN101174190A (zh) 电子设备屏幕上实现复合按键的软件键盘输入的方法
WO2007121673A1 (fr) Procédé et dispositif d'amélioration de la vitesse de saisie de caractères chinois
JP6681518B2 (ja) 文字入力装置
CN1896940A (zh) 触摸屏输入方法
US20130307781A1 (en) Data entry systems
US20120249425A1 (en) Character entry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CN101414213A (zh) 人类语言、文字、符号点划式人机界面
US20210271364A1 (en) Data entry systems
JP2003186613A (ja) 文字入力装置
KR101785649B1 (ko) 한글문자입력방법 및 장치
KR20100025628A (ko) 전기전자기기의 버튼효율 증대방법
KR10106626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1228079B1 (ko) 터치스크린 단말기의 문자입력방법 및 이를 이용한 터치스크린 단말기
TWI295442B (ko)
KR20090119184A (ko) 전기전자기기의 버튼효율 증대방법
CN101632055A (zh) 字符输入设备
TW200926015A (en) System for recognizing handwriting compatible with multiple inputting methods
NZ751167B2 (en) Character input device
KR20080101696A (ko) 전기전자기기의 버튼효율 증대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