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2389B1 - 축소형 한글 자판을 이용한 특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축소형 한글 자판을 이용한 특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2389B1
KR100332389B1 KR1020000007056A KR20000007056A KR100332389B1 KR 100332389 B1 KR100332389 B1 KR 100332389B1 KR 1020000007056 A KR1020000007056 A KR 1020000007056A KR 20000007056 A KR20000007056 A KR 20000007056A KR 100332389 B1 KR100332389 B1 KR 100332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consonant
basic
key button
vow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7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9397A (ko
Inventor
정도상
정명종
최운호
Original Assignee
정회선
주식회사 언어과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회선, 주식회사 언어과학 filed Critical 정회선
Priority to KR1020000007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2389B1/ko
Publication of KR20000049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93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2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23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9Special purpos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와 같은 축소형 한글 자판부에 기본 자음군과 기본 모음군을 배정하고, 상기 기본 자음군에 획을 하나 더하기 위한 가획 키버튼과 상기 기본 자음군을 겹쳐 쓰기 위한 병서 키버튼와 상기 기본 모음군에 천(·)을 결합하기 위한 재출 키버튼 및 스페이스를 삽입하기 위한 스페이스 키버튼을 배정한 상태에서, 스페이스 코드를 초기값으로 삼아 연이은 가획 코드 또는 병서 코드의 키입력 횟수를 조합한 복수의 키조작을 인가받음에 따라 해당 코드 조합에 해당하는 특수 문자를 생성하는 특수 문자 생성 기능을 구비한 축소형 한글 자판을 이용한 특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키 배열의 숙지가 쉬운 조작 환경 하에서 별도의 동작 모드 전환을 동반하지 않고도 한글 입력 모드 상에서 신속하면서도 용이하게 특수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축소형 한글 자판을 이용한 특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the Special Characters Using the Compact Korean Keypad}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축소형 한글 자판을 이용한 특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와 같은 축소형 한글 자판부에 기본 자음군과, 기본 모음군을 배치한 상태에서 자음 제자에는 가획 및 병서 원리를 적용하고 모음 제자에는 초출자 및 재출자 원리를 적용하여 한글 음절을 구성하는 한글 입력 시스템에 있어서, 빈칸 키와 가획 키 또는 병서 키의 키입력 횟수를 조합한 키조작을 수행하여 특수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 축소형 한글 자판을 이용한 특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일반적인 유선 통신 서비스의 기술 확대와 더불어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술에 기초한 개인 휴대 통신(PCS;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과 같은 개인 무선 통신 서비스에 대한 기술적인 발전과 가입자수의 비약적인 증가에 힘입어 이에 따른 각종 부가 서비스들이 개발되어 현재 활발하게 서비스되고 있다.
특히, 이와 같은 부가 서비스들 중에서 한글 전송 서비스는 음성 통신용 단말기를 통해 한글 전송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특이성에 기인하여 이용자들의 특별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러한 한글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와 같은 축소형 한글 자판부를 통해 한글을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는 유용한 한글 입력 체계가 필요한 데, 이러한 한글 입력 체계는 한글 자모로 표현할 수 있는 모든 한글 음절을 유일하게 표현할 수 있을 만큼 문자 표현 능력이 풍부하고 사용자가 이와 같은 문자 표현 능력을 직접적으로 재현할 시에 키조작이 간단하며 한글자판의 배열에 대한 숙지가 용이할 것과 같은 종합적인 조작의 편리성 정도가 고도할수록 그 가용성이 뛰어난 바람직한 체계로 인정받고 있다.
축소형 한글 자판부를 이용한 한글 코드 입력 방법을 이용한 응용 분야로는 한글 전송 서비스 외에도 전화를 통해 주식 정보 전화 서비스를 접속한 후, 원하는 회사 이름을 입력하면 시세를 알려주는 주식 정보 서비스에 응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화를 이용한 도서관 장서 안내, 항공권 예약, 무인 114 서비스 등 다양한 전화 음성 정보 검색 서비스 시스템을 그 응용 분야로 들 수 있으며, 또 다른 응용 분야로는 자판수가 적어야 하는 전자 수첩, 팜탑(Palm Top) 컴퓨터 등의 소형 종합 자판 시스템과, 인터넷 TV , 디지털 스틸 카메라 등의 작동 및 입력 장치 대용으로서의 자판 시스템과, 전자 자물쇠, 현금 자동 지급기 등과 같이 유사한 구조와 기능을 지닌 입력 시스템 등을 들 수 있다.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와 같이 제한된 수의 키버튼을 구비한 축소형 한글 자판부를 이용하여 한글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지원하고자 하는 언어의 자모를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 상에 효과적으로 중복배치하거나 기능키 조작에 의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신속하게 원하는 한글 자모를 추출하거나 조합할 수 있어야한다.
이에 따라 이와 같은 기술적인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다양한 한글 입력 체계가 공지되어 있는 데, 본 발명의 출원인도 이러한 문제에 하나의 대안을 제시하고자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99-052648호 '훈민정음 제자 원리에 기반한 한글 입력 장치 및 방법',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99-52650호 '천지인 제자 원리에 기반한 한글 입력 장치 및 방법'을 선출원한 바 있다.
그러나,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99-052648호와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99-52650호는 일반적인 문자 생활에서 빈번하게 사용되는 콜론(;), 세미콜론(:), 물음표(?), 마침표(.), 쉼표(,), 느낌표(!) 등과 같은 특수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기능이 부재하기 때문에 완벽한 한글 문장을 입력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기존에 공지된 한글 입력 시스템들에서는 특수 문자들을 위한 입력 오토마타를 구성하기에 많은 어려움이 있어 특수 문자들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통상, 그래픽 모드에서 방향키를 통해 원하는 특수 문자를 이동·선택하는 방식을 주로 사용하고 있는 데, 이는 키버튼을 조작하는 횟수가 많고 조작이 불편한 바, 특수 문자 입력 시에 불필요하게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와 같은 축소형 한글 자판부에 발음 기관을 상형하여 만든 6개의 자음으로 구성된 기본 자음군과, 천지인 삼재 중에서 지(땅)와 인(사람)을 상징하는 2개의 모음, 그리고 천과 지를 조합한 2개의 모음 및 천과 인을 조합한 2개의 모음으로 구성된 기본 모음군을 축소형 한글 자판부에 배치한 상태에서 키버튼 조작에 의해 기본 자음군 중 어느 하나의 자음을 추출하거나 또는 추출한 자음에 가획과 병서 키버튼 조작을 수행하여 잔여 자음군 중 어느 하나의 자음을 발생시키고, 또 다른 키버튼 조작에 의해 기본 모음군 중 어느 하나의 모음을 추출하거나 또는 추출한 모음에 천(하늘)을 상징하는 모음을 결합하는 재출 키버튼 조작을 수행하여 잔여 모음군 중 어느 하나의 모음을 발생시켜 한글 문자의 구성 원리에 따라 한글 음절을 구성하는 한글 입력 시스템에 있어서, 빈칸키와 가획키 또는 병서키의 키입력 횟수를 조합한 키조작을 수행하여 특수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키 배열의 숙지가 쉬운 조작 환경 하에서 별도의 동작 모드 전환을 동반하지 않고도 한글 입력 모드 상에서 신속하면서도 용이하게 특수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 축소형 한글 자판을 이용한 특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축소형 한글 자판을 이용한 특수 문자 입력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축소형 한글 자판을 이용한 특수 문자 입력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장치에 바람직한 실시예에 나타낸 기본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축소형 한글 자판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5a는 이러한 자음의 생성 원리를 그림으로 나타낸 개념도,
도 5b는 자음 조합부를 구현하기 위한 유한 상태 변환기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모음 조합부를 구현하기 위한 유한 상태 변환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축소형 한글 자판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모음 조합부를 구현하기 위한 유한 상태 변환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특수 문자 조합부를 구현하기 위한 유한 상태 변환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스택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도 11은 한글 음절을 구성하기 위한 한글 입력 오토마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축소형 한글 자판부 20 : 자음 조합부
30 : 모음 조합부 35 : 특수 문자 조합부
40 : 음절 결합부 50 : 입력 스택
60 : 모음 스택 65 : 특수 기호 스택
70 : 음절 스택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축소형 한글 자판을 이용한 특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은, 축소형 한글 자판부에 각 키버튼에 발음 기관을 상형하여 만든 6개의 자음으로 구성된 기본 자음군과, 천(·), 지(ㅡ), 인(ㅣ) 삼재 중에서 지(ㅡ)와 인(ㅣ)을 상징하는 2개의 모음, 그리고 천(·)과 지(ㅡ)를 조합한 2개의 모음 및 천(·)과 인(ㅣ)을 조합한 2개의 모음으로 구성된 기본 모음군을 각각 키입력하기 위한 기본 자음군 키버튼과 기본 모음군 키버튼을 소정 형태로 분리하여 배정하고, 상기 기본 자음군에 획을 하나 더하기 위한 가획 키버튼과 상기 기본 자음군을 겹쳐 쓰기 위한 병서 키버튼과 상기 기본 모음군에 천(·)을 결합하기 위한 재출 키버튼 및 스페이스(space, 빈칸)를 삽입하기 위한 스페이스 키버튼을 배정한 상태에서, 상기 각각의 키버튼을 선택하는 키버튼 조작을 인가받음에 따라 해당 키버튼에 배정된 코드를 생성하면, 한글 자음 생성 과정에서는 기본 자음 코드만 입력받아 해당 자음을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기본 자음 코드와 추가적으로 입력되는 병서 코드 및 가획 코드를 조합하여 상기 기본 자음군을 제외한 나머지 잔여 자음군 중의 어느 하나의 자음을 생성하고, 한편 한글 모음 생성 과정에서는 기본 모음 코드만 입력받아 해당 모음을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기본 모음 코드와 추가적으로 입력되는 재출 코드 및 상기 기본 모음 코드를 조합하여 상기 기본 모음군을 제외한 나머지 잔여 모음군 중의 어느 하나의 모음을 생성하며, 특수 문자 생성 과정에서는 스페이스 코드를 초기값으로 삼아 연이은 가획 코드 또는 병서 코드의 키입력 횟수를 조합한 복수의 키조작을 인가받음에 따라 해당 코드 조합에 해당하는 특수 문자를 생성하며, 최종적으로, 한글 음절 발생 과정에서는 한글 자음 생성 과정과 한글 모음 생성 과정에서 생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음과 모음을 초성, 중성, 종성의 조합 원리에 따라 조합하여 한글 음절을 발생시키는 것이 특징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축소형 한글 자판을 이용한 특수 문자 입력 장치 및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축소형 한글 자판을 이용한 특수 문자 입력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장치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키버튼에 발음 기관을 상형하여 만든 6개의 자음으로 구성된 기본 자음군과, 천(·), 지(ㅡ), 인(ㅣ) 삼재 중에서 지(ㅡ)와 인(ㅣ)을 상징하는 2개의 모음, 그리고 천(·)과 지(ㅡ)를 조합한 2개의 모음 및 천(·)과 인(ㅣ)을 조합한 2개의 모음으로 구성된 기본 모음군을 각각 키입력하기 위한 기본 자음군 키버튼과 기본 모음군 키버튼을 소정 형태로 분리하여 배정하고, 상기 기본 자음군에 획을 하나 더하기 위한 가획 키버튼과 상기 기본 자음군을 겹쳐 쓰기 위한 병서 키버튼과 상기 기본 모음군에 천(·)을 결합하기 위한 재출 키버튼 및 스페이스(space, 빈칸)를 삽입하기 위한 스페이스 키버튼을 배정한 상태에서, 상기 각각의 키버튼을 선택하는 키버튼 조작을 인가받음에 따라 해당 키버튼에 배정된 코드를 생성하는 축소형 한글 자판부(10)와;
상기 축소형 한글 자판부(10)로부터 기본 자음 코드만 입력받아 해당 자음을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기본 자음 코드와 추가적으로 입력되는 병서 코드 및 가획 코드를 조합하여 상기 기본 자음군을 제외한 나머지 잔여 자음군 중의 어느 하나의 자음을 생성하는 자음 조합부(20)와;
상기 축소형 한글 자판부(10)로부터 기본 모음 코드만 입력받아 해당 모음을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기본 모음 코드와 추가적으로 입력되는 재출 코드 및 상기 기본 모음 코드를 조합하여 상기 기본 모음군을 제외한 나머지 잔여 모음군 중의 어느 하나의 모음을 생성하는 모음 조합부(30)와;
상기 축소형 한글 자판부(10)로부터 스페이스 코드를 초기값으로 삼아 연이은 상기 가획 코드 또는 상기 병서 코드의 키입력 횟수를 조합한 복수의 키조작을 인가받음에 따라 해당 코드 조합에 해당하는 특수 문자를 생성하는 특수 문자 조합부(35)와;
상기 자음 조합부(20)와 상기 모음 조합부(30)로부터 생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음과 모음을 초성, 중성, 종성의 조합 원리에 따라 조합하여 한글 음절을 발생시키는 음절 결합부(40)와;
상기 자음 조합부(20)와 상기 모음 조합부(30) 및 상기 음절 결합부(40)에서 글자 조합에 실패한 경우, 현재 해당 스캔 코드값을 새로운 글자 조합에 이용하기 위해서 저장하는 입력 스택(50, input stack)과;
상기 모음 조합부(30)에서 모음을 조합하면서 발생하는 각각의 모음을 저장하기 위한 모음 스택(60, vowel stack)과;
상기 특수 문자 조합부(35)에서 조합된 각각의 특수 문자를 저장하기 위한 특수 문자 스택(65); 및
현재까지 조합이 된 글자를 저장하기 위한 음절 스택(70, syllable stack)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기본 자음군은 「ㄱ, ㄴ, ㅁ, ㅅ, ㅇ, ㄹ」이고, 상기 기본 모음군은 「ㅡ, ㅣ, ㅗ, ㅏ, ㅜ, ㅓ」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축소형 한글 자판부(10)는 4행 3열의 키버튼을 구비한 한글 자판부로, 제1행의 3개의 키버튼에는 각각「ㄱ」,「ㄴ」「ㄹ」을 배정하고, 제2행의 3개의 키버튼에는 「ㅁ」,「ㅅ」,「ㅇ」을 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행의 3개의 키버튼에는「ㅏ/ㅓ」,「ㅗ/ㅜ」,「ㅡ/ㅣ」를 배정하고, 제4행의 3개의 키버튼에는 「가획/재출」,「스페이스」 「병서」를 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가획/재출」키버튼은 자음 코드가 입력된 직후에는 '가획 키버튼'으로 기능하고 모음 코드가 입력된 직후에는 '재출 키버튼'으로 기능한다.
그리고, 제3행의「ㅏ/ㅓ」,「ㅗ/ㅜ」, 「ㅡ/ㅣ」키버튼은 토글(toggle)로 동작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축소형 한글 자판을 이용한 특수 문자 입력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소형 한글 자판부(10)에 각 키버튼에 발음 기관을 상형하여 만든 6개의 자음으로 구성된 기본 자음군과, 천(·), 지(ㅡ), 인(ㅣ) 삼재 중에서 지(ㅡ)와 인(ㅣ)을 상징하는 2개의 모음, 그리고 천(·)과 지(ㅡ)를 조합한 2개의 모음 및 천(·)과 인(ㅣ)을 조합한 2개의 모음으로 구성된 기본 모음군을 각각 키입력하기 위한 기본 자음군 키버튼과 기본 모음군 키버튼을 소정 형태로 분리하여 배정하고, 상기 기본 자음군에 획을 하나 더하기 위한 가획 키버튼과 상기 기본 자음군을 겹쳐 쓰기 위한 병서키버튼와 상기 기본 모음군에 천(·)을 결합하기 위한 재출 키버튼 및 스페이스를 삽입하기 위한 스페이스 키버튼을 배정한 상태에서, 상기 각각의 키버튼을 선택하는 키버튼 조작을 인가받음에 따라 해당 키버튼에 배정된 코드를 생성하도록 설정하는 단계(S10)와;
상기 축소형 한글 자판부(10)를 통해 한글 입력을 위해 동작 모드를 한글 입력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S20)와;
상기 축소형 한글 자판부(10)로부터 스페이스 코드가 인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판단 단계(S21)와;
상기 제 1 판단 단계(S21)의 판단 결과, 상기 스페이스 코드가 인가되면, 상기 스페이스 코드가 입력된 직후에 가획 코드 또는 병서 코드가 적어도 일회 이상 인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판단 단계(S22)와;
상기 제 2 판단 단계(S22)의 판단 결과, 상기 스페이스 코드가 입력된 직후에 가획 코드 또는 병서 코드가 적어도 일회 이상 인가되면, 상기 스페이스 코드를 초기값으로 삼아 연이은 가획 코드 또는 병서 코드의 키입력 횟수를 조합하여 해당 코드 조합에 해당하는 특수 문자를 생성하는 단계(S23)와;
상기 제 2 판단 단계(S22)의 판단 결과, 상기 스페이스 코드가 입력된 직후에 가획 코드 또는 병서 코드가 적어도 일회 이상 인가되지 않으면, 상기 스페이스 코드의 입력 횟수만큼 스페이스(빈칸)를 생성하는 단계(S24)와;
상기 제 1 판단 단계(S21)의 판단 결과, 상기 스페이스 코드가 인가되지 않으면, 상기 축소형 한글 자판부(10)로부터 기본 자음 코드만 입력받아 해당 자음을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기본 자음 코드와 추가적으로 입력되는 병서 코드 및 가획 코드를 조합하여 상기 기본 자음군을 제외한 나머지 잔여 자음군 중의 어느 하나의 자음을 생성하여 제 1 음절의 초성으로 결정하는 단계(S30)와;
상기 축소형 한글 자판부(10)로부터 기본 모음 코드만 입력받아 해당 모음을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기본 모음 코드와 추가적으로 입력되는 재출 코드 및 상기 기본 모음 코드를 조합하여 상기 기본 모음군을 제외한 나머지 잔여 모음군 중의 어느 하나의 모음을 생성하여 상기 제 1 음절의 초성과 조합된 상기 제 1 음절의 중성으로 결정하는 단계(S40)와;
상기 축소형 한글 자판부(10)로부터 기본 자음 코드만 입력받아 해당 자음을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기본 자음 코드와 추가적으로 입력되는 병서 코드 및 가획 코드를 조합하여 상기 기본 자음군을 제외한 나머지 잔여 자음군 중의 어느 하나의 자음을 적어도 1회 이상 추출하여 단자음 또는 자음 종성 유형을 벗어나지 않는 복자음을 생성한 후, 상기 제 1 음절의 초성 및 상기 제 1 음절의 중성과 조합된 상기 제 1 음절의 종성으로 간주하는 단계(S50); 및
상기 제 1 음절을 조합한 후, 상기 기본 자음군 키버튼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해당 자음 코드가 입력되면, 상기 해당 자음 코드로 제 2 음절의 초성으로 결정하는 반면에 상기 기본 모음군 키버튼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해당 모음 코드가 입력되면, 상기 제 1 음절의 종성이 단자음인 경우에는 상기 제 1 음절의 종성을 상기 제 1 음절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제 2 음절의 초성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 1 음절의 종성이 복자음인 경우에는 상기 제 1 음절 종성의 복자음 중 두 번째 자음을 상기 제 1 음절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제 2 음절의 초성으로 결정하는 단계(S60)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축소형 한글 자판을 이용한 특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작용 및 수행 절차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간력하게 살펴보면, 본 발명은 훈민정음의 제자 원리에 기반하여 입력을 위한 자판을 최소화하고 최소의 사용자 노력으로 한글 11,172자 모두를 입력할 수 있도록 고안되어 있다. 기본적으로, 훈민정음의 제자원리는 자음의 제자원리와 모음의 제자원리로 나뉠 수 있다.
자음의 제자 원리는 발음기관을 상형하여 기본 자음 'ㄱ, ㄴ, ㄹ, ㅁ, ㅅ, ㅇ'을 설정하고 이 기본 자음에 가획(加劃)과 병서(竝書)를 통해 소리를 표현하는 글자를 고안한 것이다. 모음의 제자 원리는 하늘, 땅, 사람(天地人) 삼재(三才)를 본 뜬 기본 모음 3개를 바탕으로 소리를 표현하는 글자를 만드는 것을 원리로 한다. 삼재(三才)를 바탕으로 천(天)+지(地), 천(天)+인(人)을 통해 만들어지는 4개의 모음을 초출자(初出字)라고 하며, 'ㅏ, ㅓ, ㅗ, ㅜ'가 이에 해당한다. 초출자(初出字)에 하늘을 상징하는 모음 '·'가 결합해서 이루어진 모음을 재출자(再出字)라고 하는데, 'ㅑ, ㅕ, ㅛ, ㅠ'가 이에 해당한다.
이러한 사실에 기초하여 본원의 설명에 명확성을 기하기 위해, 기본 자음군, 기본 모음군, 가획, 병서, 초출자, 재출자와 같은 용어를 간략하게 정리하면, 기본자음군은 발음 기관을 상형하여 만든 'ㄱ, ㄴ, ㄹ, ㅁ, ㅅ, ㅇ'을 지칭하는 것이다. 가획(加劃)은 기본 자음에 획을 하나 더하는 것을 말하면, 병서(竝書)는 자음을 겹쳐 쓰는 것을 가리키는 것이다. 예컨대, 자음 'ㄱ'을 병서하면 'ㄲ'이 만들어진다.
기본 모음군은 천지인 삼재(三才) 중 땅, 사람(天地人)을 본 떠서 만든 모음으로 'ㅡ, ㅣ'과, 천(天)+지(地), 천(天)+인(人)으로 이루어지는 초출자 모음 'ㅏ, ㅓ, ㅗ, ㅜ'으로 구성된다. 작명의 편의상, 'ㅡ, ㅣ, ㅏ, ㅓ, ㅗ, ㅜ'을 모두를 각각 기본 모음으로 분류하기로 한다. 재출자(再出字) 모음은 초출자(初出字) 모음에 기본 모음 중 천(天)에 해당하는 '·'가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모음 'ㅑ, ㅕ, ㅛ, ㅠ'를 지칭하기로 한다.
이상과 같은 용어 정리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장치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 1과 같이, 축소형 한글 자판부(10)와, 자음 조합부(20), 모음 조합부(30), 특수 문자 조합부(35) 및 음절 결합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데, 도 3은 본 발명의 장치에 바람직한 실시예에 나타낸 기본 개념도를 도시한 것이다.
축소형 한글 자판부(10)는 제한된 키패드에서 FST(Finite State Transducer), 즉, 자음 조합부(20)와 모음 조합부(30) 및 특수 문자 조합부(35)에 사용되는 입력 단위를 추출하는 모듈이다.
축소형 한글 자판부(10)의 실시예는 다수가 있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축소형 한글 자판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자판에 필수적인 키버튼의 갯수는 모두 12개이다. 여기에 삭제(delete) 키버튼, 이동(좌측 이동, 우측 이동) 키버튼 등을 추가적으로 배정할 수도 있다. 축소형 한글 자판부(10)는 키버튼(자판)에서 발생하는 키패드 푸쉬(keypad push) 신호를 스캔 코드(scan code)값으로 자음 조합부(20)나 모음 조합부(30) 그리고 특수 문자 조합부(35)에 전송한다. 표 2는 도 4에 나타낸 축소형 한글 자판부(10)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키버튼 조작이 발생할 시 생성되는 스캔 코드값을 나타낸 것이다.
Key Pad Push Scan Code
Scan Code Value Replace Flag
「ㄱ」 '1'
「ㄴ」 '2'
「ㄹ」 '3'
「ㅁ」 '4'
「ㅅ」 '5'
「ㅇ」 '6'
「ㅏ/ㅓ」 '7' ← 'ㅏ'의 경우'8' ← 'ㅓ'의 경우 REPLACE
「ㅗ/ㅜ」 '9' ← 'ㅗ'의 경우'10'← 'ㅜ'의 경우 REPLACE
「ㅡ/ㅣ」 '11'
「스페이스」 '12'
「가획/재출」 '13'
「병서」 '14'
도 4를 참조할 때, 축소형 한글 자판부(10)에서 모음 'ㅏ/ㅓ', 'ㅗ/ㅜ', 'ㅡ/ㅣ'는 동일한 버튼을 차지하며, 한 번 누르면 'ㅏ', 다시 누르면 'ㅓ'와 같이 스캔 코드값이 변환된다. 표 1에서 교체 플래그(REPLACE flag)는 현재 한글 입력 오토마타에서 현재 구성된 음절의 모음을 오토마타(automata)의 상태 전이 없이 새로운 모음으로 대치하라는 신호로 교체 플래그(replace flag)가 온(ON)으로 설정되는 경우 현재의 스캔 코드값을 자모로 변환하여 한글 입력 오토마타에서는 상태 전이 없이 모음이 교체된다.
자음 조합부(20)는 상기 축소형 한글 자판부(10)로부터 기본 자음 코드만 입력받아 해당 자음을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기본 자음 코드와 추가적으로 입력되는 병서 코드 및 가획 코드를 조합하여 상기 기본 자음군을 제외한 나머지 잔여 자음군 중의 어느 하나의 자음을 생성한다.
현대 한글에서 초성은 모두 19개이며, 종성은 27개이다. 본 발명에서는 초성을 구성하는 19개의 자음은 자음 생성의 원리에 의해서 모두 입력이 가능하며, 종성은 음절 구성 오토마타에 의해서 자음 입력의 원리에 바탕을 두고 종성을 구성한다. 훈민 정음 제자원리에 따라 기본 자음 ㄱ, ㄴ, ㄹ, ㅁ, ㅅ, ㅇ 6개를 설정하고, 이 6개의 기본 자음을 바탕으로 가획, 병서 원리를 적용하여 자음 19개를 생성한다.기본 자음군(또는 기본 자음)은 자판에 할당되는 자음들로서, 「ㄱ, ㄴ, ㄹ, ㅁ, ㅅ, ㅇ」으로 구성된다. 훈민정음 제자해에 따르면 자음은 기본 자음과 가획, 병서를 통해 만들어지는 자음, 그리고 기타 자음이 있다.
자음 입력 방식은 훈민정음 제자해의 원리에 따라 기본 자음(훈민정음 기본 자음 + 기타 자음) 6개를 바탕으로 가획과 병서를 통해 글자를 조합하도록 한다. 한글 자음 19개는 표 3과 같은 방식으로 조합된다. 도 5a는 이러한 자음의 생성 원리를 그림으로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5b는 자음 조합부(20)를 구현하기 위한 유한 상태 변환기(FST; Finite State Transducer)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표 3a 과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음 조합부(20)에서는 기본자음 중 {ㄱ, ㄴ, ㅁ, ㅅ, ㅇ}에서 가획 키버튼 조작에 의해 {ㅋ, ㄷ, ㅂ, ㅈ, ㅎ}이 생성되고, 이렇게 생성된 자음 중 {ㄷ, ㅂ, ㅈ}에서 가획에 의해 {ㅌ, ㅍ, ㅎ}이 생성된다. 또 {ㄷ, ㅂ, ㅈ}에서 병서 키버튼에 의해 {ㄸ, ㅃ, ㅉ}이 생성된다. 본 자음 중 {ㄱ, ㅅ}에서 병서 키버튼 조작에 의해 {ㄲ, ㅆ}이 생성된다.
자음 조합 방식
「ㄱ」
「ㄱ」 + 병서
「ㄴ」
「ㄴ」 + 가획
「ㄴ」 + 가획 + 병서
「ㄹ」
「ㅁ」
「ㅁ」 + 가획
「ㅁ」 + 가획 + 병서
「ㅅ」
「ㅅ」 + 병서
「ㅇ」
「ㅅ」 + 가획
「ㅅ」 + 가획 + 병서
「ㅅ」 + 가획 + 가획
「ㄱ」 + 가획
「ㄴ」 + 가획 + 가획
「ㅁ」 + 가획 + 가획
「ㅇ」 + 가획
한편, 예외적으로, 한글 자음 입력에서 원리상으로 'ㄸ','ㅉ','ㅃ'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표 3b에 열거한 바와 같이, 정상적인 조합 방식외에도 다음과 같은 단축키 조합 방식을 채택할 수도 있다.
자음 정상적인 조합 방식 단축 키 조합 방식
「ㄴ」 + 가획 + 병서 「ㄴ」 + 병서
「ㅅ」 + 가획 + 병서 「ㅅ」 + 병서 + 병서
「ㅁ」 + 가획 + 병서 「ㅁ」 + 병서
도 5b에서 상태(state)는 0∼19까지 있으며, 각 상태로 전이될 때마다 자음이 생성된다. 자음 'ㄲ'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기본 입력 단위인 「ㄱ」, 「병서」의 순서로 입력하면 위 FST에서 S0→S1→S2의 순서로 전이하면서 'ㄱ', 'ㄲ'의 순서로 자음이 생성된다.
기존 한글 입력 시스템과의 차이점은 6개의 기본 자음만으로 모든 자음을 생성해 내며, 훈민정음 창제 원리에 기반하여 기본 자음+가획/병서 연산으로 자음을 생성해 낸다는 점이다.
한편, 모음 조합부(30)는 상기 축소형 한글 자판부(10)로부터 기본 모음 코드만 입력받아 해당 모음을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기본 모음 코드와 추가적으로 입력되는 재출 코드 및 상기 기본 모음 코드를 조합하여 상기 기본 모음군을 제외한 나머지 잔여 모음군 중의 어느 하나의 모음을 생성한다.
이를 좀 더 상술하기 위해 모음 생성의 원리를 설명하기로 한다. 훈민정음 제자해에 따르면 모음은 삼재(三才)를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삼재(三才)에서 초출자(初出字)가 나오며, 초출자(初出字)에서 재출자(再出字)가 이루어진다.
State Scan Code Next State TransducedVowel Operation
S0 「ㅏ」 S1 'ㅏ' PUSH Vowel Stack
「ㅗ」 S9 'ㅗ' PUSH Vowel Stack
「ㅡ」 S19 'ㅡ' PUSH Vowel Stack
「ㅣ」 S21 'ㅣ' PUSH Vowel Stack
S1 「재출」 S2 'ㅑ' PUSH Vowel Stack
「ㅣ」 S4 'ㅐ' PUSH Vowel Stack
「ㅓ」 S5 'ㅓ' PUSH Vowel Stack
S2 「ㅣ S3 'ㅒ' PUSH Vowel Stack
S3 PUSH Input StackInitialize FST
S4 PUSH Input StackInitialize FST
S5 「재출」 S6 'ㅕ' PUSH Vowel Stack
「ㅣ」 S8 'ㅔ' PUSH Vowel Stack
「ㅏ」 S1 'ㅏ' CLEAR Vowel StackPUSH Vowel Stack
S6 「ㅣ」 S7 'ㅖ' PUSH Vowel Stack
S7 PUSH Input StackInitialize FST
S8 PUSH Input StackInitialize FST
S9 「ㅣ」 S11 'ㅚ' PUSH Vowel Stack
「재출」 S10 'ㅛ' PUSH Vowel Stack
「ㅏ」, 「ㅓ」 S12 'ㅘ' PUSH Vowel Stack
「ㅜ」 S14 'ㅜ' PUSH Vowel Stack
S10 PUSH Input StackInitialize FST
S11 PUSH Input StackInitialize FST
S12 「ㅣ」 S13 'ㅙ' PUSH Vowel Stack
S13 PUSH Input StackInitialize FST
S14 「ㅗ」 S9 'ㅗ' CLEAR Vowel StackPUSH Vowel Stack
「재출」 S15 'ㅠ' PUSH Vowel Stack
「ㅏ」, 「ㅓ」 S16 'ㅝ' PUSH Vowel Stack
「ㅣ」 S18 'ㅟ' PUSH Vowel Stack
S15 PUSH Input StackInitialize FST
S16 「ㅣ」 S17 'ㅞ' PUSH Vowel Stack
S17 PUSH Input StackInitialize FST
S18 PUSH Input StackInitialize FST
S19 「ㅡ」 S20 'ㅢ' PUSH Vowel Stack
S20 PUSH Input StackInitialize FST
S21 PUSH Input StackInitialize FST
모음 조합부(30)는 기본 입력 단위를 삼재(三才)로 하는 경우와 삼재(三才)의 지(地)·인(人)에 해당하는 'ㅡ, ㅣ'와 초출자(初出字) 'ㅏ, ㅓ, ㅗ, ㅜ' 6자를 기본 입력 단위로 삼는다.
다시 말해서, 도 4의 자판 배열을 기준으로 모음을 생성하며 4개의 기본 모음군 키버튼인 「ㅏ/ㅓ」, 「ㅗ/ㅜ」, 「ㅡ/ㅣ」와 1개의 모음 생성 기능 키버튼인 재출 키버튼만으로 한글로 표현할 수 있는 21개의 모든 모음을 생성해 낸다. 도 6은 모음 조합부를 구현하기 위한 유한 상태 변환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모음 생성 시의 상태 전환에 사용되는 입력 단위, 즉 상태 전이를 유발하는 스캔 코드값 신호는 { 'ㅏ', 'ㅓ', 'ㅗ', 'ㅜ', 'ㅡ', 'ㅣ', '재출' }이다. 이 7개의 신호로 21개의 모음을 조합해 낸다. 기존 한글 입력 시스템과의 차이점은 훈민정음 제자 원리에 따라 2개의 기본 모음('ㅡ', 'ㅣ')과 4개의 초출자('ㅏ', 'ㅓ', 'ㅗ,' 'ㅜ') 만으로 모음 결합과 '재출'에 의해 21개의 모든 모음을 생성해 낸다는 점이다.
표 4는 모음의 입력을 위한 오타마타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State'는 모음 입력 오토마타의 현재 상태(state)를, 'Scan Code'는 모음 입력 오토마타에 입력된 현재 스캔 코드값을, 'Next State'는 현재 상태(state)에서 스캔 코드값에 따라 전이될 다음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Transduced Vowel'은 현재 상태에서 스캔 코드값에 따라 다음 상태로 전이되면서 변환-생성되는 한글 모음을, 'Operation'은 오토마타 내부에서 상태가 전이되면서 발생하는 연산을 의미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축소형 한글 자판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고,도 8은 모음 조합부를 구현하기 위한 유한 상태 변환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의 본 발명의 축소형 한글 자판부의 다른 실시예는 도 4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동일한 원리에 의해서 고안되었지만, 자판 배열에서 모음의 토글(toggle)을 피하고 기본 자음군 키번튼, 기본 모음군 커버튼, 그리고 기능 키버튼(가획, 병서, 재출)에 대해 각각 고유한 키버튼을 할당해서 스캔 코드값과 키버튼이 1대1로 대응되도록 고안된 것이다.
자판 배열의 기본 원리는 도 7과 같지만, 각 자판의 위치, 그리고 삭제 키버튼, 이동 키버튼 등의 기능 자판의 추가가 가능하고 가획 키버튼과 재출 키버튼은 하나의 자판으로 통합 가능하다. 이에 따른 모음 조합부를 구현하기 위한 유한 상태 변환기의 다른 실시예는 도 8과 같은 데, 이는 「ㅏ」, 「ㅓ」 그리고 「ㅗ」 「ㅜ」가 각각 토글이 아닌 스캔 코드값과의 1대1 대응을 염두에 두고 고안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축소형 한글 자판부(10)는 5행 3열의 키버튼을 구비한 한글 자판부로, 제1행의 3개의 키버튼에는 각각「ㄱ」,「ㄴ」「ㄹ」을 배정하고, 제2행의 3개의 키버튼에는 「ㅁ」,「ㅅ」,「ㅇ」을 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행의 3개의 키버튼에는「ㅏ」,「ㅓ」,「ㅗ」를 배정하고, 제4행의 3개의 키버튼에는 「ㅜ」,「ㅡ」,「ㅣ」를 배정하며, 제5행의 3개의 키버튼에는 가획 키버튼, 재출 키버튼, 병서 키버튼을 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특수 문자 조합부(35)는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축소형 한글 자판부(10)로부터 스페이스 코드를 초기값으로 삼아 연이은 상기 가획 코드 또는 상기 병서 코드의 키입력 횟수를 조합한 복수의 키조작을 인가받음에 따라 해당 코드 조합에 해당하는 특수 문자를 생성한다.
특수 문자 조합 방식
' , ' [스페이스] + [가획]
' . ' [스페이스] + [가획] + [가획]
' : ' [스페이스] + [가획] + [가획] + [가획]
' ; ' [스페이스] + [가획] + [가획] + [가획] + [가획]
' ! ' [스페이스] + [병서]
' @ ' [스페이스] + [병서] + [병서]
' _ ' [스페이스] + [병서] + [병서] + [병서]
' ? ' [스페이스] + [병서] + [병서] + [병서] + [병서]
본 발명의 한글 입력 시스템에서 한글을 입력하는 경우를 제외하면 스페이스 키는 한글의 한 음절을 완성하고 난 직후 입력되거나, 한글을 강제로 완성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한글 입력 오토마타와 별개로, 스페이스 키를 특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초기값으로 선정한 것이고, 그 직후에 연어어 키입력된 가획과 병서키의 키입력 횟수에 각각의 특수 문자를 배정하게 되면 축소형 키패드를 통해 용이하게 특수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예컨대, 표 5에서 특수문자 ' ! '는 「스페이스」와 「병서」가 순차적으로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특수 문자의 생성은 스캔 코드값의 순차적 조합으로 생성되며, 특수 문자 쉬프트 유한 상태 변환기(Shift FST)에 의해서 만들어진다.
본 발명의 특수 문자 입력 시스템은 특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별도의 모드전환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는 점에서 기존 특수 문자 입력 시스템과 차별성이 있다. 다시 말해서, 기존의 특수문자 입력 시스템은 액정화면에서 방향키를 이동해서 입력을 해야 했기 때문에 사용자가 입력키만을 가지고는 특수 문자 입력이 불가능한 반면에 본 발명의 특수 문자 입력 시스템은 한정된 3개의 입력키 조합을 가지고 사용자가 숙지가능할 정도로 많은 특수키를 입력할 수 있다. 도 9는 특수 문자 조합부(35)를 구현하기 위한 유한 상태 변환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스페이스」와 「병서」또는 「가획」의 키조작 횟수의 조합을 통해 이상에서 제시한 특수 문자 외에도 다수의 특수 문자를 입력할 수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실제적으로 입력 가능한 특수 문자의 수는 특수 문자 스택이 지원하는 저장 코드 수만큼의 수많은 특수 문자를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음절 결합부(40)는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상기 자음 조합부(20)와 상기 모음 조합부(30)로부터 생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음과 모음을 초성, 중성, 종성의 조합 원리에 따라 조합하여 한글 음절을 발생시킨다.
도 10은 본 발명의 스택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스택(stack)은 기존 스택 자료 구조를 변형하여 다음과 같은 연산을 스택 ADT(Stack Abstract Data Type)에서 사용한다.
본 발명의 스택은 후입선출(LIFO; Last In First Out) 구조를 지원하는 ADT로 푸쉬(PUSH) 연산과 팝(POP) 연산만이 기본 연산으로 정의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자소 단위의 삭제 연산을 지원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연산을 ADT에서 정의한다.
·PUSH
- 스택(STACK)의 최상위(TOP)에 데이터 엘리먼트(DATA ELEMENT)를 넣는 것.
·POP
- 스택(STACK)의 최상위(TOP)에서 데이터 에리먼트(DATA ELEMENT)를 빼내는 것.
·PEEK
- 스택(STACK)의 최상위(TOP)에 있는 데이터 엘리먼트(DATA ELEMENT)값을 참조하는 것.
·REPLACE
- 스택(STACK)의 최상위(TOP)에 있는 데이터 엘리먼트(DATA ELEMENT)를 새로운 데이터 엘리먼트(DATA ELEMENT)로 대체하는 것.
- PUSH → POP 연산의 조합으로 볼 수 있음.
이와 같은 스택 연산을 사용함에 따라 스택에 대한 대체(REPLACE) 연산과 스택에 대한 상태 추적(state tracking)을 통해 자소 단위 삭제를 지원한다.
본 발명의 스택은 입력 스택(50, input stack), 모음 스택(60, vowel stack), 특수 문자 스택(65), 음절 스택(70, syllable stack) 4개를 유지하며 글자를 조합해 나간다.
입력 스택(50)은 FST(Vowel Shift FST, Consonant Shift FST, SyllableCombination FST), 즉, 자음 조합부(20)와 모음 조합부(30) 및 음절 결합부(40)에서 글자 조합에 실패한 경우, 현재 해당 스캔 코드값을 새로운 글자 조합에 이용하기 위해서 저장하는 공간이다.
CurrentState CurrentScan Character NextState Operation
S0 V S1 Call VST
C S2 PUSH Syllable Stack
S1 VVST(V) = true S1 Replace Syllable Stack
VVST(V) = false F1 PUSH Input Stack
S2 V S3 PUSH Syllable Stack
C F3 PUSH Input Stack
S3 VVST(V) = true S3 PUSH Syllable Stack
VVST(V) = false F2 PUSH Input Stack
S4 V S6 PUSH Syllable Stack
C S5 PUSH Syllable Stack
C F5 PUSH Input Stack(복자음 종성을 구성하지 못하는 경우)
S5 V S7 PUSH Syllable Stack
S6 PUSH Input StackPUSH Input StackInitiate Automata
S7 PUSH Input StackPUSH Input StackInitiate Automata
F1 Initiate Automata
F2 Initiate Automata
F3 Initiate Automata
F4 Initiate Automata
F5 Initiate Automata
모음 스택(60, vowel stack)은 모음 조합부(30, Vowel Shift FST)에서 모음을 조합하면서 발생하는 각각의 모음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이며, 특수 문자 스택(65)은 특수 문자 조합부(35)에서 조합한 각각의 특수 문자를 저장하기 위한 공간이며, 음절 스택(70, syllable stack)은 현재까지 조합이 된 글자를 저장하기위한 공간이다.
한편, 한글 음절을 구성하는 한글 입력 오토마타는 내부에서 자음을 구성하는 오토마타와 모음을 구성하는 오토마타를 통해서 각 낱소리를 만들고 글자를 만드는 역할을 한다. 도 11은 한글 음절을 구성하기 위한 한글 입력 오토마타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표 6은 한글 입력 오토마타를 표로 나타낸 것이다.
도 11에서 'V'는 스캔 코드가 모음을 구성하는 경우이고, 'Vt'는 스캔 코드가 모음을 구성하는 경우, 모음 입력 오토마타 호출을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Vf'는 모음 입력 오토마타가 실패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고, 'C'는 스캔 코드가 자음인 경우를 나타낸 것이며, 'F1∼F5' 는 실패 상태(failed state)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수행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각 키버튼에 발음 기관을 상형하여 만든 6개의 자음으로 구성된 기본 자음군과, 천(·), 지(ㅡ), 인(ㅣ) 삼재 중에서 지(ㅡ)와 인(ㅣ)을 상징하는 2개의 모음, 그리고 천(·)과 지(ㅡ)를 조합한 2개의 모음 및 천(·)과 인(ㅣ)을 조합한 2개의 모음으로 구성된 기본 모음군을 각각 키입력하기 위한 기본 자음군 키버튼과 기본 모음군 키버튼을 소정 형태로 분리하여 배정하고, 상기 기본 자음군에 획을 하나 더하기 위한 가획 키버튼과 상기 기본 자음군을 겹쳐 쓰기 위한 병서 키버튼 및 상기 기본 모음군에 천(·)을 결합하기 위한 재출 키버튼을 배정한 축소형 한글 자판부(10)를 이용함은 명백하다.
우선, 제 1 판단 단계(S21)에서는 상기 축소형 한글 자판부(10)로부터 스페이스 코드가 인가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제 1 판단 단계(S21)의 판단 결과, 상기 스페이스 코드가 인가되면, 제 2 판단 단계(S22)에서는 상기 스페이스 코드가 입력된 직후에 가획 코드 또는 병서 코드가 적어도 일회 이상 인가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제 2 판단 단계(S22)의 판단 결과, 상기 스페이스 코드가 입력된 직후에 가획 코드 또는 병서 코드가 적어도 일회 이상 인가되면, 단계 S23에서는 상기 스페이스 코드를 초기값으로 삼아 연이은 가획 코드 또는 병서 코드의 키입력 횟수를 조합하여 해당 코드 조합에 해당하는 특수 문자를 생성한다.
상기 제 2 판단 단계(S22)의 판단 결과, 상기 스페이스 코드가 입력된 직후에 가획 코드 또는 병서 코드가 적어도 일회 이상 인가되지 않으면, 단계 S24에서는 상기 스페이스 코드의 입력 횟수만큼 스페이스(빈칸)를 생성한다.
상기 제 1 판단 단계(S21)의 판단 결과, 상기 스페이스 코드가 인가되지 않으면, 단계 S10에서는 상기 각각의 키버튼을 선택하는 키버튼 조작을 인가받음에 따라 해당 키버튼에 배정된 코드를 생성하도록 설정하면, 단계 S20에서는 상기 축소형 한글 자판부(10)를 통해 한글 입력을 위해 동작 모드를 한글 입력 모드로 전환한다. 이 과정은 한글 모드만 단독으로 쓰이는 자판 구조에서는 생략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후, 단계 S30에서는 상기 축소형 한글 자판부(10)로부터 기본 자음 코드만 입력받아 해당 자음을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기본 자음 코드와 추가적으로 입력되는 병서 코드 및 가획 코드를 조합하여 상기 기본 자음군을 제외한 나머지 잔여 자음군 중의 어느 하나의 자음을 생성하여 제 1 음절의 초성으로 결정한다.
다음으로, 단계 S40에서는 상기 축소형 한글 자판부(10)로부터 기본 모음 코드만 입력받아 해당 모음을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기본 모음 코드와 추가적으로 입력되는 재출 코드 및 상기 기본 모음 코드를 조합하여 상기 기본 모음군을 제외한 나머지 잔여 모음군 중의 어느 하나의 모음을 생성하여 상기 제 1 음절의 초성과 조합된 상기 제 1 음절의 중성으로 결정한다.
이어서, 단계 S50에서는 상기 축소형 한글 자판부(10)로부터 기본 자음 코드만 입력받아 해당 자음을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기본 자음 코드와 추가적으로 입력되는 병서 코드 및 가획 코드를 조합하여 상기 기본 자음군을 제외한 나머지 잔여 자음군 중의 어느 하나의 자음을 적어도 1회 이상 추출하여 단자음 또는 자음 종성 유형을 벗어나지 않는 복자음을 생성한 후, 상기 제 1 음절의 초성 및 상기 제 1 음절의 중성과 조합된 상기 제 1 음절의 종성으로 간주한다.
최종적으로, 단계 S60에서는 상기 제 1 음절을 조합한 후, 상기 기본 자음군 키버튼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해당 자음 코드가 입력되면, 상기 해당 자음 코드로 제 2 음절의 초성으로 결정하는 반면에 상기 기본 모음군 키버튼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해당 모음 코드가 입력되면, 상기 제 1 음절의 종성이 단자음인 경우에는 상기 제 1 음절의 종성을 상기 제 1 음절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제 2 음절의 초성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 1 음절의 종성이 복자음인 경우에는 상기 제 1 음절 종성의 복자음 중 두번째 자음을 상기 제 1 음절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제 2 음절의초성으로 결정하도록 한다(S61, S62, S63, S64, S65).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용어들로써 이는 당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원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원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인 난이도 측면에서 고려할 때, 당분야에 통상적인 기술을 가진 사람이면 용이하게 본 발명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와 다른 변형을 가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설명에서 사상을 인용한 실시예와 변형은 모두 본 발명의 청구 범위에 모두 귀속됨은 명백하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와 같은 축소형 한글 자판부에 기본 자음군과 기본 모음군을 배정하고, 상기 기본 자음군에 획을 하나 더하기 위한 가획 키버튼과 상기 기본 자음군을 겹쳐 쓰기 위한 병서 키버튼와 상기 기본 모음군에 천(·)을 결합하기 위한 재출 키버튼 및 스페이스를 삽입하기 위한 스페이스 키버튼을 배정한 상태에서, 스페이스 코드를 초기값으로 삼아 연이은 가획 코드 또는 병서 코드의 키입력 횟수를 조합한 복수의 키조작을 인가받음에 따라 해당 코드 조합에 해당하는 특수 문자를 생성하는 특수 문자생성 기능을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르면, 키 배열의 숙지가 쉬운 조작 환경 하에서 별도의 동작 모드 전환을 동반하지 않고도 한글 입력 모드 상에서 신속하면서도 용이하게 특수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7)

  1. 각 키버튼에 발음 기관을 상형하여 만든 6개의 자음으로 구성된 기본 자음군을 각각 키입력하기 위한 기본 자음군 키버튼을 소정 형태로 분리하여 배정하고, 상기 기본 자음군에 획을 하나 더하기 위한 가획 키버튼과 상기 기본 자음군을 겹쳐 쓰기 위한 병서 키버튼 및 스페이스(space, 빈칸)를 삽입하기 위한 스페이스 키버튼을 포함하도록 배정한 상태에서, 상기 각각의 키버튼을 선택하는 키버튼 조작을 인가받음에 따라 해당 키버튼에 배정된 코드를 생성하는 축소형 한글 자판부; 와;
    상기 축소형 한글 자판부로부터 기본 자음 코드만 입력받아 해당 자음을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기본 자음 코드와 추가적으로 입력되는 병서 코드 및 가획 코드를 조합하여 상기 기본 자음군을 제외한 나머지 잔여 자음군 중의 어느 하나의 자음을 생성하는 자음 조합부; 및
    상기 축소형 한글 자판부로부터 스페이스 코드를 초기값으로 삼아 연이은 상기 가획 코드 또는 상기 병서 코드의 키입력 횟수를 조합한 복수의 키조작을 인가받음에 따라 해당 코드 조합에 해당하는 특수 문자를 생성하는 특수 문자 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소형 한글 자판을 이용한 특수 문자 입력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소형 한글 자판부는 천(·), 지(ㅡ), 인(ㅣ) 삼재 중에서 지(ㅡ)와 인(ㅣ)을 상징하는 2개의 모음, 그리고 천(·)과 지(ㅡ)를 조합한 2개의 모음 및 천(·)과 인(ㅣ)을 조합한 2개의 모음으로 구성된 기본 모음군을 각각 키입력하기 위한 기본 모음군 키버튼을 소정 형태로 분리하여 배정하고, 상기 기본 모음군에 천(·)을 결합하기 위한 재출 키버튼을 더 포함하도록 배정한 상태에서, 상기 각각의 키버튼을 선택하는 키버튼 조작을 인가받음에 따라 해당 키버튼에 배정된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축소형 한글 자판부로부터 기본 모음 코드만 입력받아 해당 모음을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기본 모음 코드와 추가적으로 입력되는 재출 코드 및 상기 기본 모음 코드를 조합하여 상기 기본 모음군을 제외한 나머지 잔여 모음군 중의 어느 하나의 모음을 생성하는 모음 조합부; 및
    상기 자음 조합부와 상기 모음 조합부로부터 생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음과 모음을 초성, 중성, 종성의 조합 원리에 따라 조합하여 한글 음절을 발생시키는 음절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소형 한글 자판을 이용한 특수 문자 입력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자음군은,
    「ㄱ, ㄴ, ㅁ, ㅅ, ㅇ, ㄹ」이고, 상기 기본 모음군은 「ㅡ, ㅣ, ㅓ, ㅏ, ㅜ, ㅓ」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소형 한글 자판을 이용한 특수 문자 입력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축소형 한글 자판부는,
    「0」에서 「9」까지의 숫자 키버튼과 「*」 및 「#」의 기호/기능 키버튼을 포함하는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에 상기 기본 자음군 키버튼, 상기 기본 모음 키버튼, 상기 가획 키버튼, 상기 병서 키버튼 및 상기 재출 키버튼을 소정 형태로 배정한 키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소형 한글 자판을 이용한 특수 문자 입력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소형 한글 자판부는,
    제1행의 3개의 키버튼에는 각각「ㄱ」,「ㄴ」「ㄹ」을 배정하고, 제2행의 3개의 키버튼에는 「ㅁ」,「ㅅ」,「ㅇ」을 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소형 한글 자판을 이용한 특수 문자 입력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축소형 한글 자판부는,
    제3행의 3개의 키버튼에는「ㅏ/ㅓ」,「ㅗ/ㅜ」,「ㅡ/ㅣ」를 배정하고, 제4행의 3개의 키버튼에는 「가획/재출」,「스페이스」 「병서」를 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소형 한글 자판을 이용한 특수 문자 입력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축소형 한글 자판부는,
    제3행의 3개의 키버튼에는「ㅏ」,「ㅓ」,「ㅗ」를 배정하고, 제4행의 3개의 키버튼에는 「ㅜ」,「ㅡ」,「ㅣ」를 배정하며, 제5행의 3개의 키버튼에는 가획 키버튼, 재출 키버튼, 병서 키버튼을 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소형 한글 자판을 이용한 특수 문자 입력 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 조합부와 상기 모음 조합부 및 상기 음절 결합부에서 글자 조합에 실패한 경우, 현재 해당 스캔 코드값을 새로운 글자 조합에 이용하기 위해서 저장하는 입력 스택(input stack)과;
    상기 모음 조합부에서 모음을 조합하면서 발생하는 각각의 모음을 저장하기 위한 모음 스택(vowel stack)과;
    상기 특수 문자 조합부에서 조합된 각각의 특수 문자를 저장하기 위한 특수 문자 스택; 및
    현재까지 조합이 된 글자를 저장하기 위한 음절 스택(syllable stack)을 더 포함하여 각 스택에 대한 대체(REPLACE) 연산과 상태 추적(state tracking)을 통해 자소 단위 삭제를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소형 한글 자판을 이용한 특수 문자 입력 장치.
  9. 축소형 한글 자판부에 각 키버튼에 발음 기관을 상형하여 만든 6개의 자음으로 구성된 기본 자음군과, 천(·), 지(ㅡ), 인(ㅣ) 삼재 중에서 지(ㅡ)와 인(ㅣ)을 상징하는 2개의 모음, 그리고 천(·)과 지(ㅡ)를 조합한 2개의 모음 및 천(·)과 인(ㅣ)을 조합한 2개의 모음으로 구성된 기본 모음군을 각각 키입력하기 위한 기본 자음군 키버튼과 기본 모음군 키버튼을 소정 형태로 분리하여 배정하고, 상기 기본 자음군에 획을 하나 더하기 위한 가획 키버튼과 상기 기본 자음군을 겹쳐 쓰기 위한 병서 키버튼 및 상기 기본 모음군에 천(·)을 결합하기 위한 재출 키버튼 및 스페이스(space, 빈칸)를 삽입하기 위한 스페이스 키버튼을 배정한 상태에서, 상기 각각의 키버튼을 선택하는 키버튼 조작을 인가받음에 따라 해당 키버튼에 배정된 코드를 생성하도록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축소형 한글 자판부를 통해 한글 입력을 위해 동작 모드를 한글 입력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와;
    상기 축소형 한글 자판부로부터 스페이스 코드가 인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판단 단계와;
    상기 제 1 판단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스페이스 코드가 인가되면, 상기 스페이스 코드가 입력된 직후에 가획 코드 또는 병서 코드가 적어도 일회 이상 인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판단 단계; 및
    상기 제 2 판단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스페이스 코드가 입력된 직후에 가획 코드 또는 병서 코드가 적어도 일회 이상 인가되면, 상기 스페이스 코드를 초기값으로 삼아 연이은 가획 코드 또는 병서 코드의 키입력 횟수를 조합하여 해당 코드 조합에 해당하는 특수 문자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소형 한글 자판을 이용한 특수 문자 입력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판단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스페이스 코드가 입력된 직후에 가획 코드 또는 병서 코드가 적어도 일회 이상 인가되지 않으면, 상기 스페이스 코드의 입력 횟수만큼 스페이스(빈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소형 한글 자판을 이용한 특수 문자 입력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판단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스페이스 코드가 인가되지 않으면, 상기 축소형 한글 자판부로부터 기본 자음 코드만 입력받아 해당 자음을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기본 자음 코드와 추가적으로 입력되는 병서 코드 및 가획 코드를 조합하여 상기 기본 자음군을 제외한 나머지 잔여 자음군 중의 어느 하나의 자음을 생성하여 제 1 음절의 초성으로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축소형 한글 자판부로부터 기본 모음 코드만 입력받아 해당 모음을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기본 모음 코드와 추가적으로 입력되는 재출 코드 및 상기 기본 모음 코드를 조합하여 상기 기본 모음군을 제외한 나머지 잔여 모음군 중의 어느 하나의 모음을 생성하여 상기 제 1 음절의 초성과 조합된 상기 제 1 음절의 중성으로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축소형 한글 자판부로부터 기본 자음 코드만 입력받아 해당 자음을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기본 자음 코드와 추가적으로 입력되는 병서 코드 및 가획 코드를 조합하여 상기 기본 자음군을 제외한 나머지 잔여 자음군 중의 어느 하나의 자음을 적어도 1회 이상 추출하여 단자음 또는 자음 종성 유형을 벗어나지 않는 복자음을 생성한 후, 상기 제 1 음절의 초성 및 상기 제 1 음절의 중성과 조합된 상기 제 1 음절의 종성으로 간주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음절을 조합한 후, 상기 기본 자음군 키버튼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해당 자음 코드가 입력되면, 상기 해당 자음 코드로 제 2 음절의 초성으로 결정하는 반면에 상기 기본 모음군 키버튼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해당 모음 코드가 입력되면, 상기 제 1 음절의 종성이 단자음인 경우에는 상기 제 1 음절의 종성을 상기 제 1 음절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제 2 음절의 초성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 1 음절의 종성이 복자음인 경우에는 상기 제 1 음절 종성의 복자음 중 두 번째 자음을 상기 제 1 음절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제 2 음절의 초성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소형 한글 자판을 이용한 특수 문자 입력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자음군은,
    「ㄱ, ㄴ, ㅁ, ㅅ, ㅇ, ㄹ」이고, 상기 기본 모음군은 「ㅡ, ㅣ, ㅗ, ㅏ, ㅜ, ㅓ」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소형 한글 자판을 이용한 특수 문자 입력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축소형 한글 자판부는,
    「0」에서 「9」까지의 숫자 키버튼과 「*」 및 「#」의 기호/기능 키버튼을 포함하는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에 상기 기본 자음군 키버튼, 상기 기본 모음 키버튼, 상기 가획 키버튼, 상기 병서 키버튼 및 상기 재출 키버튼을 소정 형태로 배정한 키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소형 한글 자판을 이용한 특수 문자 입력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축소형 한글 자판부는,
    제1행의 3개의 키버튼에는 각각「ㄱ」,「ㄴ」「ㄹ」을 배정하고, 제2행의 3개의 키버튼에는 「ㅁ」,「ㅅ」,「ㅇ」을 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소형 한글 자판을 이용한 특수 문자 입력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축소형 한글 자판부는,
    제3행의 3개의 키버튼에는「ㅏ/ㅓ」,「ㅗ/ㅜ」,「ㅡ/ㅣ」를 배정하고, 제4행의 3개의 키버튼에는 「가획/재출」,「스페이스」 「병서」를 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소형 한글 자판을 이용한 특수 문자 입력 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축소형 한글 자판부는,
    제3행의 3개의 키버튼에는「ㅏ」,「ㅓ」,「ㅗ」를 배정하고, 제4행의 3개의 키버튼에는 「ㅜ」,「ㅡ」,「ㅣ」를 배정하며, 제5행의 3개의 키버튼에는 가획 키버튼, 재출 키버튼, 병서 키버튼을 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소형 한글 자판을 이용한 특수 문자 입력 방법.
  17.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 문자의 생성은,
    ' ,(쉼표) ' 는 [스페이스]와 [가획]의 순차 조합이고,
    ' .(마침표) '는 [스페이스]와 [가획] 및 [가획]의 순차 조합이고,
    ' :(콜론) '은 [스페이스], [가획]과 [가획] 및 [가획]의 순차 조합이고,
    ' ;(세미콜론) '은 [스페이스], [가획], [가획]과 [가획] 및 [가획]의 순차 조합이고,
    ' !(느낌표) '는 [스페이스]와 [병서]의 순차 조합이고,
    ' @ '는 [스페이스]와 [병서] 및 [병서]의 순차 조합이고,
    ' _(under bar) '는 [스페이스], [병서]와 [병서] 및 [병서]의 순차 조합이며,
    ' ?(물음표) '는 [스페이스], [병서], [병서]와 [병서] 및 [병서]의 순차 조합에 의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소형 한글 자판을 이용한 특수 문자 입력 방법.
KR1020000007056A 2000-02-15 2000-02-15 축소형 한글 자판을 이용한 특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0332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7056A KR100332389B1 (ko) 2000-02-15 2000-02-15 축소형 한글 자판을 이용한 특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7056A KR100332389B1 (ko) 2000-02-15 2000-02-15 축소형 한글 자판을 이용한 특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9397A KR20000049397A (ko) 2000-08-05
KR100332389B1 true KR100332389B1 (ko) 2002-04-13

Family

ID=19646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7056A KR100332389B1 (ko) 2000-02-15 2000-02-15 축소형 한글 자판을 이용한 특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23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0193B1 (ko) * 2001-03-31 2003-07-07 박명호 한글 형상에 기반한 글자 배열 자판부 및 입력 방법
KR20010069805A (ko) * 2001-05-12 2001-07-25 김보식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01637128B1 (ko) * 2015-06-18 2016-07-06 김민겸 자음의 입력과 [ㅡ] 또는 [ㅣ] 중 하나의 버튼 2번 누름에 의한 키패드에서의 한국어 글자 입력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9397A (ko) 2000-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1838B1 (ko) 훈민정음 제자 원리에 기반한 한글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050056277A (ko)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KR100332389B1 (ko) 축소형 한글 자판을 이용한 특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0244891Y1 (ko) 축소형 한글자판부를 갖는 한글입력장치
KR100682448B1 (ko) 휴대형 문자 입력 장치
KR100336493B1 (ko) 전화기의 한글 입력용 자판 시스템
KR100366806B1 (ko) 제한된 수의 키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장치
JP3259619B2 (ja) 仮名入力装置
KR200257092Y1 (ko) 축소형 한글 자판부를 갖는 한글 입력 장치
KR20020049830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방법
KR100852946B1 (ko) 휴대단말기 등의 키패드어레이
KR20020074240A (ko) 화면용 한글자판의 키배열 방법 및 한글자판의 디스플레이방법
KR20070071480A (ko) 일본어 입력 방법 및 일본어 입력 장치
KR100436426B1 (ko) 다중문자를 구현하는 자판장치 및 그 입력 방법
KR10037333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한글문자 입력 방법
US20030090456A1 (en) Method of mapping linguistic symbols to a sequence of keystrokes and assist memorization with musical notes
KR20030042272A (ko) 맹인용 휴대폰의 한글입력방법
KR20010108653A (ko) 정음 한글/알파벳 입력장치
KR100372664B1 (ko) 한글입력장치 및 한글입력방법
KR100422379B1 (ko) 정보통신기기의 한글 입력 장치
KR20110088311A (ko) 전자기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00428691B1 (ko) 한글 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112584A (ko) 한글 입력용 키패드 및 이를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KR20040027197A (ko) 소형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CN1326014C (zh) 小型屏幕智能终端设备的智能型词库罗马拼音输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