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2584A - 한글 입력용 키패드 및 이를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 Google Patents

한글 입력용 키패드 및 이를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2584A
KR20060112584A KR1020050095928A KR20050095928A KR20060112584A KR 20060112584 A KR20060112584 A KR 20060112584A KR 1020050095928 A KR1020050095928 A KR 1020050095928A KR 20050095928 A KR20050095928 A KR 20050095928A KR 20060112584 A KR20060112584 A KR 200601125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ic
consonant
input
key
vow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5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9421B1 (ko
Inventor
히사유키 쿠니기타
조시형
이용호
최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소니컴퓨터 엔터테인먼트 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소니컴퓨터 엔터테인먼트 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소니컴퓨터 엔터테인먼트 코리아
Priority to CN2006800048288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1204019B/zh
Priority to US11/632,679 priority patent/US8669888B2/en
Priority to JP2007556981A priority patent/JP4993751B2/ja
Priority to AT06757531T priority patent/ATE551646T1/de
Priority to PCT/KR2006/001554 priority patent/WO2006115365A1/en
Priority to EP06757531A priority patent/EP1875620B1/en
Publication of KR20060112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25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9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9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글 입력용 키패드 및 이를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 한글 입력용 키패드는 기본 자음과 기본 모음을 키패드에 할당하되, 기본 자음이 할당되는 자음키들의 수가 기본 모음이 할당되는 모음키들의 수보다 적으며, 자음키들과 모음키들은 서로 구분되어 배치되며, 기본 자음을 확장 자음으로 전환하는 전환키는 확장 자음으로 전환이 가능한 기본 자음들이 할당된 자음키들과 이웃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한글 입력 방법은 이러한 한글 입력용 키패드를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용 키패드 및 이를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은 한글을 입력하는 속도를 개선하고, 자음키와 전환키를 함께 조작함에 있어서의 편의성을 제고하고, 사용자가 자모음의 배치를 용이하게 습득하여 한글 입력 방법의 습득의 용이성을 개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키패드, 한글 입력, 전환키, 기본 자음, 기본 모음, 확장 자음, 결합 모음

Description

한글 입력용 키패드 및 이를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Keypad for inputting Hangul and Hangul inputting method using the same}
도 1a 및 1b는 종래 한글 입력용 키패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용 키패드 구성의 실시예들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용 키패드를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고 이를 출력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 방법의 제1 변형예에 있어서 표시 장치의 화면 표시 내용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 방법의 제2 변형예에 있어서 표시 장치의 화면 표시 내용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각종 디지털 장치에 있어서 한글을 입력하는데 있어서 자음이 할당되는 키의 수를 모음이 할당되는 키의 수보다 적게 하고, 키패드에서 기본 자음이 할당된 자음키들과 기본 모음이 할당된 모음키들의 위치를 서로 구분되도록 최 적화하여 배치함으로써 입력 속도 및 입력의 용이성을 개선한 한글 입력용 키패드 및 이를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디지털 장치의 급속한 개발 환경 속에서 이들 장치에서 보다 효율적인 한글 입력 방식에 대한 연구는 계속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방식의 한글 입력 방식들이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
통상 휴대폰이나 휴대폰 기능을 함께 구비하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폰(phone)과 같은 휴대용 디지털 장치에서 한글 입력용 장치로는 한정된 수의 키를 특정한 방식으로 배열한 키패드 형태의 장치가 사용된다. 일반적인 키패드는 10개의 숫자가 각각 배열될 수 있는 10개의 키와 그 외 2개 정도의 기능키를 구비하는 구성을 가진다.
이러한 한정된 수의 키를 구비하는 키패드를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에 있어서는, 키패드에 한글의 자음, 모음, 또는 기능키를 할당하는 방식이나 하나의 키에 복수의 자음 또는 모음이 할당되는 경우에 이들 복수의 자모음을 선택하는 방식 등이 한글 입력의 속도나 입력을 위해 필요한 키 조작 횟수, 입력 방식의 편의성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현재까지 개발된 키패드를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으로 대표적인 것으로, 도 1a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글 제자 원리인 천지인('ㅣ, ㅡ, ㆍ') 방식을 차용한 입력 방법이 있는데, 천지인 방식에 따른 한글 입력 방법은 한글의 모음을 직접 키패드의 키에 할당하는 것이 아니라, 'ㅣ, ㅡ, ㆍ'를 3개의 키에 할당하여 이를 조합하여 모음을 입력하고, 나머지 키들에 자음을 할당한 구성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천지인 방식을 차용한 입력 방법의 경우, 한글의 모음이 그대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모음의 형태를 일차적으로 고려한 후 이에 따라 'ㅣ, ㅡ, ㆍ'를 적절히 조합해야 한다는 점에서 이중 모음을 입력하는데 필요한 키의 조작 횟수가 늘어난다는 문제점과 이러한 입력 방식을 이해하고 익숙해지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대표적인 한글 입력 방법으로 도 1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본 자음들을 각각 하나의 키에, 단모음들은 나머지 키에 할당하고 가획키 또는 쌍자음키와 같은 기능키를 이용하여 확장 자음이나 이중 모음 등을 형성하는 방법 등이 있는데, 한글의 경우 기본이 되는 음소면에서 자음이 모음 보다 많다는 점과, 모음의 경우 가획키와 같은 기능키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변환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이러한 한글 입력 방법에 사용되는 키패드는 모음이 할당되는 키보다 자음이 할당되는 키의 수가 많은 구성을 채택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키패드는 가획키와 같은 기능키를 배치함에 있어서, 키패드 상에서 사용자가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키를 조작함에 있어서의 동선(動線) 등을 고려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위치, 즉 12개의 키를 갖는 키패드의 경우 *키 또는 #키를 기능키로 사용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방법의 경우에는, 자음 또는 모음의 입력을 위해 가획키와 같은 기능키를 사용하는 횟수가 필연적으로 많아진다는 문제점과, 가획키와 함께 사용되는 횟수가 많은 자음 또는 모음 들이 가획키와의 상대적인 위치에서 근접한 위치에 있는 키들에 할당되는 구성이 아님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이 신속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 특히 한 손으로 키패드를 조작하는 경우에 손의 동선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그 결과 입력에 필요한 키 조작 횟수가 증가하고, 입력 속도나 입력의 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본 모음이 할당된 키의 숫자가 기본 자음이 할당된 키의 숫자보다 많으며, 기본 자음을 확장 자음으로 전환시키는 전환키가 확장 자음으로 전환이 가능한 기본 자음들이 할당되는 키와 근접한 위치에 있고, 모음이 할당되는 키와 자음이 할당되는 키를 구분이 되도록 배치된 키패드를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함으로써, 입력 속도, 입력 방법의 편의성, 입력 방법 습득의 용이성 등이 제고되는 한글 입력용 키패드 및 이를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용 키패드는 둘 이상의 기본 자음('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이 할당되는 복수의 자음키들,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본 모음('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이 할당되는 복수의 모음키들 및 상기 기본 자음을 확장 자음('ㅋ, ㅌ, ㅍ, ㅎ, ㅊ, ㄲ, ㄸ, ㅃ, ㅆ, ㅉ')으로 전환시키는 전환키를 포함하며, 상기 전환키에 의해 상기 확장 자음으로 전환이 가능한 기본 자음들이 상기 전환키와 이웃하는 위치에 있는 자음키들에 할당되고, 상기 자음키들과 상기 모음키들은 각각 하나의 그룹으로 구분되어 키패드에 배치되고, 상기 자음키들의 수가 상기 모음키들의 수보다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용 키패드는 줄바꿈 기능을 하는 기능키를 더 포함하고, 4개 또는 5개의 자음키와 6개의 모음키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자음키가 4개인 경우에는 각각 'ㄱ, ㄷ', 'ㅇ,ㅅ', 'ㅂ, ㅈ, ㅁ', 'ㄴ, ㄹ'이 할당되고, 자음키가 5개인 경우에는 각각 'ㄱ, ㄷ', 'ㅇ,ㅅ', 'ㅂ, ㅈ', 'ㄴ, ㄹ', 'ㅁ'이 할당되며, 6개의 모음키에는 각각 'ㅗ, ㅛ', 'ㅏ, ㅑ', 'ㅡ', 'ㅣ', 'ㅜ, ㅠ', 'ㅓ, ㅕ'가 할당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용 키패드의 전환키는 'ㄱ, ㄷ'이 할당된 자음키, 'ㅇ,ㅅ'이 할당된 자음키, 및 'ㅂ, ㅈ, ㅁ'이 할당된 자음키에 의해 둘러싸이는 위치에 배치되거나, 'ㄱ, ㄷ'이 할당된 자음키, 'ㅇ,ㅅ'이 할당된 자음키, 및 'ㅂ, ㅈ'이 할당된 자음키에 의해 둘러싸이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와 같이 함께 조작하는 것이 필요한 키들을 서로 가까운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확장 자음의 입력 조작의 편의성이 제고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용 키패드는 휴대 전화의 키패드와 같이 직접 조작이 가능한 형태이어도 되고, 각종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상에 표시되어 별도의 조작 장치와 함께 사용되는 형태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은 한글 입력용 키패드를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것으로, 상기 기본 자음의 입력은 입력하고자 하는 기본 자음이 할당된 자음키를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자음키에서 상기 입력하고자 하는 기본 자음을 선택함으로써 수행되고, 상기 확장 자음의 입력은 입력하고자 하는 확장 자음에 대응되는 기본 자음이 할당된 자음키를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자음키에서 상기 대응되는 기본 자음을 선택하고, 상기 전환키를 선택함으로써 수행되며, 상기 기본 모음의 입력은 입력하고자 하는 기본 모음이 할당된 모음키를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모음 키에서 상기 입력하고자 하는 기본 모음을 선택함으로써 수행되고, 상기 기본 모음들이 둘 이상 결합하여 생성되는 결합 모음의 입력은 상기 결합 모음을 형성하는 상기 기본 모음들이 할당된 모음키들을 한글의 결합 모음의 필기 순서대로 선택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 방법은 선택된 자음키를 연속적으로 선택함으로써 선택된 자음키에 할당된 기본 자음들이 순서대로 순환적으로 선택되고, 선택된 모음키를 연속적으로 선택함으로써 선택된 모음키에 할당된 기본 모음들이 순서대로 순환적으로 선택되며, 전환키를 연속적으로 선택함으로써 선택된 자음키에 할당된 기본 자음들에 대응되는 확장 자음들이 순서대로 순환적으로 선택되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특히, 확장 자음들은 전환키의 연속적인 선택에 의해 대응되는 기본 자음들의 거센 소리, 된소리의 순서로 순환적으로 선택되거나, 대응되는 기본 자음들의 거센 소리, 된소리, 대응되는 기본 자음들의 순서로 순환적으로 선택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 방법의 변형예에서는, 선택된 기본 자음, 확장 자음, 기본 모음, 및 결합 모음을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표시하는데, 디스플레 이 화면에는 선택된 기본 자음, 확장 자음, 기본 모음, 및 결합 모음을 표시하는 입력창과, 자음키 및 모음키의 선택시에는 자음키 및 모음키에 할당된 기본 자음들 및 기본 모음들을 순서대로 표시하고, 전환키의 선택시에는 전환키에 의해 대응되는 기본 자음으로부터 전환되는 확장 자음들을, 대응되는 기본 자음들의 거센 소리, 된소리의 순서로, 또는 대응되는 기본 자음을 포함하여, 대응되는 기본 자음들, 대응되는 기본 자음들의 거센 소리, 된소리의 순서로 표시하는 입력 후보군 표시창이 구별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 방법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기본 자음의 입력은 입력하고자 하는 기본 자음이 할당된 자음키를 선택하고, 선택된 자음키에서 입력하고자 하는 기본 자음을 선택함으로써 수행되고, 확장 자음의 입력은 입력하고자 하는 확장 자음에 대응되는 기본 자음이 할당된 자음키를 선택하고, 선택된 자음키를 연속적으로 선택하여 입력하고자 하는 확장 자음을 선택함으로써 수행되고, 기본 모음의 입력은 입력하고자 하는 기본 모음이 할당된 모음키를 선택하고, 선택된 모음 키에서 입력하고자 하는 기본 모음을 선택함으로써 수행되고, 기본 모음들이 둘 이상 결합하여 생성되는 결합 모음의 입력은 입력하고자 하는 결합 모음을 형성하는 기본 모음들 중 한글의 결합 모음의 필기 순서상 먼저 위치하는 기본 모음(제1 기본 모음)이 할당된 모음키를 선택하고, 선택된 모음키를 연속적으로 선택하여 입력하고자 하는 결합 모음을 선택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 방법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결합 모음 중 'ㅢ'의 입력은 'ㅣ'가 할당된 모음키를 선택하고, 'ㅣ'가 할당된 모음키를 연속 적으로 선택하여 'ㅢ'를 선택함으로써도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 방법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기본 자음의 입력 및 확장 자음의 입력은 복수의 자음키 중 하나의 자음키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자음키를 연속적으로 선택함으로써 선택된 자음키에 할당된 기본 자음들, 선택된 자음키에 할당된 기본 자음들로부터 전환되는 확장 자음들이 순서대로 순환적으로 선택되고, 기본 모음의 입력 및 결합 모음의 입력은 복수의 모음키 중 하나의 모음키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모음키를 연속적으로 선택함으로써 선택된 모음키에 할당된 기본 모음들, 선택된 모음키에 할당된 기본 모음들이 상기 제1 기본 모음이 되는 결합 모음들이 순서대로 순환적으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기본 자음의 입력 및 상기 확장 자음의 입력에 있어서, 선택된 자음키의 연속적 선택에 따른 순환적 선택의 순서는 선택된 자음키에 할당된 기본 자음들, 할당된 기본 자음들의 거센 소리, 할당된 기본 자음들의 된소리의 순서로 순환적으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 방법의 다른 일 실시예의 변형예에서는, 기본 자음의 입력 및 확장 자음의 입력은 복수의 자음키 중 하나의 자음키를 선택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화면상의 입력 후보군 표시창에 선택된 하나의 자음키에 할당된 기본 자음들 및 할당된 기본 자음들의 대응되는 확장 자음들을, 할당된 기본 자음들, 할당된 기본 자음들의 대응되는 확장 자음들의 순서로 표시하고, 하나의 자음키의 연속적 선택에 따라 입력 후보군 표시창에 표시되는 할당된 기본 자음들 및 할당된 기본 자음들의 대응되는 확장 자음들이 순서대로 순환적으로 선택되어 디스플레이 화면상의 입력창에 표시되고, 기본 모음의 입력 및 결합 모음의 입력은 복수의 모음키 중 하나의 모음키를 선택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화면상의 입력 후보군 표시창에 선택된 하나의 모음키에 할당된 기본 모음들 및 할당된 기본 모음들이 제1 기본 모음이 되는 결합 모음들을, 할당된 기본 모음들, 할당된 기본 모음들이 상기 제1 기본 모음이 되는 결합 모음들의 순서로 표시하고, 하나의 모음키의 연속적 선택에 따라 입력 후보군 표시창에 표시되는 할당된 기본 모음들 및 할당된 기본 모음들이 제1 기본 모음이 되는 결합 모음들이 순서대로 순환적으로 선택되어 디스플레이 화면상의 입력창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ㅣ'가 할당된 모음키를 선택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화면상의 입력 후보군 표시창에 'ㅣ', 및 'ㅢ'를 순서대로 표시하고, 'ㅣ'가 할당된 모음키의 연속적 선택에 따라 'ㅣ', 'ㅢ'가 순서대로 순환적으로 선택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 방법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기본 자음 및, 기본 모음의 입력은 위에 기재된 한글 입력 방법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고, 확장 자음의 입력 및 결합 모음의 입력은 위에 기재된 한글 입력 방법의 일 실시예와 같이 수행될 수도 있고, 위에 기재된 한글 입력 방법의 다른 일 실시예와 같이 수행될 수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용 키패드 및 이를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은 종래보다 자음키를 개수를 줄이고 모음키의 개수를 늘림으로써 종래보다 모음의 입력이 용이해지고, 자음 입력 역시 확장 자음 근처에 배치되는 전환키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전환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한글 입력의 속도 및 입력의 편의성을 제 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용 키패드 및 이를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한글 입력용 키패드의 실시예
도 2a 및 2b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용 키패드의 일 실시예들을 도시하는데, 도 2a 및 2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용 키패드는 3 ㅧ 4 형태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키패드로, 상부 6개의 키, 즉 1 부터 6까지의 숫자가 할당되는 키에 기본 모음 'ㅗ, ㅛ, ㅡ, ㅜ, ㅠ, ㅏ, ㅑ, ㅣ, ㅓ, ㅕ'가 할당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각각 'ㅗ, ㅛ', 'ㅡ', 'ㅜ, ㅠ', 'ㅏ, ㅑ', 'ㅣ', 'ㅓ, ㅕ'가 순차적으로 할당된다.
이러한 기본 모음의 배치는 모음의 형태상 'ㅡ' 계열로 구분할 수 있는 'ㅗ, ㅛ', 'ㅡ', 'ㅜ, ㅠ'를 1, 2, 3에 배치하고, 'ㅣ' 계열로 구분할 수 있는 'ㅏ, ㅑ', 'ㅣ', 'ㅓ, ㅕ'를 4, 5, 6에 배치한 것으로, 특히 동일한 계통의 기본 모음인 'ㅗ, ㅛ', 'ㅜ, ㅠ', 'ㅏ, ㅑ', 'ㅓ, ㅕ'를 각각 하나의 키에 2개씩 할당하고, 'ㅡ'와 'ㅣ'는 별도로 각각 하나의 키에 할당한 구성이다.
이와 같은 모음 형태에 따른 기본 모음의 통일적 배치는 사용자들이 키패드에서의 모음의 위치를 숙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자음은 기본 자음인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을 4개 또는 5개의 키에 할당하는데, 도 2a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숫자 7, 8, 9, 0이 할당되는 키에 각각 'ㄱ, ㄷ', 'ㅇ, ㅅ', 'ㄴ, ㄹ', 'ㅂ, ㅈ, ㅁ'이 순서대로 할당되거나, 도 2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숫자 7, 8, 9, 0 및 #키에 각각 'ㄱ, ㄷ', 'ㅇ, ㅅ', 'ㄴ, ㄹ', 'ㅂ, ㅈ', 'ㅁ'이 순서대로 할당된다.
한편, 자음에는 이러한 기본 자음 외에 이들 기본 자음에서 파생되는 확장 자음들이 있는데, 본 명세서에서는 'ㅋ, ㅌ, ㅍ, ㅊ, ㅎ, ㄲ, ㄸ, ㅃ, ㅆ, ㅉ'을 확장 자음으로 구분하여 사용한다.
도 2a 및 2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용 키패드에는 기본 자음들만이 할당되는 4개 또는 5개의 자음키만이 있고, 확장 자음들이 직접 할당되는 키는 구비되지 않으며, 확장 자음들은 전환키에 의해 기본 자음으로부터 전환되는 형태로 입력된다.
확장 자음과 기본 자음 사이의 대응관계는 아래의 표 1에 도시된다. 아래의 표 1에서는 확장 자음을 구분의 편의상 거센 소리와 된소리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기본자음(9개) 확장 자음(10개)
거센 소리(5개) 된소리(5개)
전환키는 표 1에서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확장 자음으로 전환이 가능한 기본 자음 'ㄱ, ㄷ, ㅇ, ㅅ, ㅂ, ㅈ'이 할당되는 키와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는데, 전환키는 도 2a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ㄱ, ㄷ', 'ㅇ, ㅅ', 및 'ㅂ, ㅈ, ㅁ'이 할당되는 자음키들에 의해 둘러싸이는 위치에 배치되거나, 도 2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ㄱ, ㄷ', 'ㅇ, ㅅ', 'ㅂ, ㅈ'이 할당되는 자음키들에 의해 둘러싸이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전환키와 이를 이용하여 확장 자음으로 전환될 수 있는 기본 자음들이 할당되는 키를 상호 근접한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전환키를 조작함에 있어서의 동선의 길이가 줄어들고, 한 손으로도 이러한 확장 자음으로의 전환 입력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도 2a에서 도시하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용 키패드의 일 실시예에는 한글을 입력하는 과정에서 입력하고 있는 줄을 바꾸는 줄바꿈 기능을 하는 기능키를 더 구비하고 있다.
최근에는 휴대폰과 같은 소형의 모바일 디지털 장치에서도 입력된 한글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한글을 입력함에 있어서 줄바꿈 등을 하여 명확한 한글 문장을 작성하게 될 필요성이 커지고 있는데, 종래의 한글 입력용 키패드에서는 줄을 바꾸기 위해서 커서 이동키를 수회 조작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용 키패드는 1회 조작으로 줄을 바꿀 수 있는 기능키를 더 구비함으로써, 손쉽게 줄을 바꿀 수 있는 한글 입력 환경을 제공하게 된다.
즉, 이러한 줄바꿈 기능키는 컴퓨터의 키보드에서의 엔터키와 같은 기능을 하며, 도 2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키에 키보드의 엔터키에 대응되는 기호가 할당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용 키패드는 위에서 설명하고 있는 바와 같이, 기본 모음들이 할당되는 모음키들과 기본 자음들이 할당되는 자음키들이 키패드 상에서 개별 그룹으로 구분되도록 배치되는 구성을 갖는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용 키패드는 1 부터 6까지의 숫자가 할당되는 키들에 집중적으로 기본 모음들이 할당되고, 숫자 7, 8, 9, 0이 할당되는 키들에 기본 자음들이 집중적으로 할당됨으로써, 키패드 상에서 모음키들로 구성되는 모음키 군(群)과 자음키들로 구성되는 자음키 군(群)이 명확히 구분되는 구성을 구비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용 키패드는 도 2a 및 2b에서 도시하는 형태의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본 모음들이 할당되는 모음키와 기본 자음들이 할당되는 자음키가 서로 구분되도록 배치되고, 기본 자음을 확장 자음으로 전환시키는 전환키는 확장 자음으로 전환이 가능한 기본 자음들이 할당된 키들과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형태의 변형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용 키패드는 직접 조작이 가능한 휴대전화의 키패드와 같은 형태가 될 수도 있으며,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형태가 될 수도 있다.
즉, 휴대 전화 이외의 휴대용 디지털 디바이스(digital device)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상에 도 2a 및 2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용 키패드 형태가 표시되도록 하여 한글을 입력할 수 있고, 사용자는 휴대용 디지털 디바이스의 각종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휴대 전화의 키패드를 누르는 것과 같은 기능을 하는 조작을 통해 한글 입력을 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용 키패드를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한글 입력 방법의 제1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 방법의 제1 실시예에서 기본 자음을 입력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키패드 상에서 입력하고자 하는 기본 자음이 할당된 자음키를 선택하고, 선택된 자음키를 최초 조작하면 자음키에 할당된 기본 자음들 중에서 순서상 앞쪽에 위치하는 자음이 선택, 입력되고, 재차 자음키를 조작하면 다음 순서에 위치하는 자음이 선택, 입력된다.
자음키에 3개의 기본 자음이 할당되는 경우에는, 자음키의 1회 조작으로 가장 앞쪽에 위치하는 자음이 선택되고, 2회 및 3회 조작에 따라 순서대로 자음들이 선택된다.
이와 같은 조작 회수에 따라 순서대로 자음들이 선택되는 동작은 동일한 자음키를 계속적으로 조작하는 경우 순환적으로 자음들의 순차적 선택이 수행된다. 즉, 도 2a 및 2b에 도시된 키패드의 7번 키를 1회 조작하면, 'ㄱ'이 선택되고, 2회 조작하면 'ㄷ'이 선택되며, 3회 조작하면 다시 'ㄱ'이 선택되는 방식으로 자음의 입력을 수행한다.
기본 모음의 입력 방법은 상기한 기본 자음의 입력 방법과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확장 자음을 입력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입력하고자 하는 확장 자음에 대응하는 기본 자음이 할당된 자음키를 선택하여 대응하는 기본 자음을 선택하면, 화면 상에 선택된 기본 자음이 표시되고, 이후 전환키를 선택하여 입력하고자 하는 확장 자음을 선택하여 입력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2a 및 2b에 도시된 키패드의 7번 키를 1회 조작하면, 'ㄱ'이 선택되고, 'ㄱ'이 선택된 상태에서 전환키를 1회 조작하면, 'ㄱ'은 'ㅋ'으로 전환되고, 이어 전환키를 1회 더 조작하면, 'ㅋ'은 'ㄲ'으로 전환된다. 이러한 과정은 전환키의 조작에 따라 순환적으로 반복된다. 즉, 표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확장 자음으로 거센 소리 및 된소리 모두로 전환이 가능한 기본 자음의 경우('ㄱ, ㄷ, ㅂ, ㅈ')에는 전환키의 1회 조작으로 먼저 거센 소리로 전환되고, 계속하여 전환키를 조작하면 된소리로 전환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되고, 거센 소리나 된소리 중 어느 하나로만 전환이 되는 기본 자음의 경우에는 전환키를 수차례 조작하더라도 계속적으로 전환된 하나의 거센 소리 또는 된소리가 입력된다. 다만, 전환되는 순서가 거센 소리, 된소리 순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된소리, 거센 소리 순으로 전환되어도 상관 없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 방법의 일 실시예에서, 전환키의 연속 조작에 따른 자음의 전환 과정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확장 자음인 거센 소리 및 된소리 사이에서의 순환적 전환이 수행될 수도 있으며, 대응하는 기본 자음까지 포함한 순환적 전환이 수행될 수도 있다.
즉, 도 2a 및 2b에 도시된 키패드의 7번 키를 1회 조작하면, 'ㄱ'이 선택되고, 'ㄱ'이 선택된 상태에서 전환키를 1회 조작하면, 'ㄱ'은 'ㅋ'으로 전환되고, 이어 전환키를 1회 더 조작하면, 'ㅋ'은 'ㄲ'으로 전환되며, 재차 전환키를 1회 더 조작하면, 다시 'ㄱ'으로 전환된다. 이러한 전환 과정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순환적으로 반복된다.
이와 같이, 전환키의 조작에 따른 전환 과정이 대응하는 기본 자음까지 포함하여 순환적으로 전환됨으로써, 한글 입력 과정에서 사용자가 실수로 전환키를 조작한 경우라도, 입력된 확장 자음을 삭제하고, 재차 대응하는 기본 자음을 선택할 필요 없이, 전환키의 조작에 의해 곧바로 기본 자음으로 재전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한글 입력 조작의 편의성이 제고된다.
다음으로, 결합 모음, 즉 기본 모음을 2개 이상 조합하여 형성되는 결합 모음을 입력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한글 모음의 필기순대로 기본 모음들을 선택하고, 선택된 기본 모음들의 조합으로 결합 모음이 입력된다.
예를 들어, 'ㅖ'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6번 키를 2회 선택하여 입력한 후('ㅕ'가 입력됨) 5번 키('ㅣ')를 선택하면 되고, 'ㅘ'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1번 키를 1회 선택하여 'ㅗ'를 입력한 후, 4번 키를 1회 선택하여 'ㅏ'를 입력하면 된다. 또한 1번 키를 1회 선택하고, 4번 키를 1회 선택한 후, 5번 키를 선택하면 'ㅙ'가 입력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 방법에 의해 한글이 입력되는 흐름을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는데,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먼저 한글 입력용 키패드(30)의 조작에 따라 특정한 키 입력이 발생된다. 키 입력장치(31)는 아래의 표 2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키 입력장치 처리 테이블로부터 키패드의 숫자키를 조작하여 발생되는 최초 키입력값과 일대일로 대응되는 기본 음소(즉, 기본 자음이나 기본 모음)나 최초 키입력값에 전환키값 또는 추가 입력되는 추가 키 입력값을 더하여 발생되는 키입력값과 일대일로 대응되는 전환된 음소(즉, 확장 자음이나 결합 모음)를 검색한다.
유니코드 변환 장치(32)는 키 입력장치(31)가 검색한 입력된 음소를 대응되는 유니코드로 변환하고, 유니코드 버퍼(33)에 저장되어 있는 이전에 입력된 유니코드 값과 비교하여 입력된 음소가 한글의 초성, 중성, 종성 중 어디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한다. 초성, 중성, 종성에 대응되는 유니코드 값은 아래의 표 2에 기재되어 있다.문자코드 변환 장치(34)는 초성, 중성, 종성의 유니코드 값을 입력 받아 하나의 문자 코드 값으로 변환하여 이를 표시 장치(35)에 출력하고, 표시 장치(35)에서 완성된 하나의 문자가 표시되게 된다. 일반적으로 표시 장치(35)는 문자코드 변환 장치에서 출력되는 문자 코드 값과 대응되는 폰트 이미지 테이블(도시되지 않음)을 구비하는데, 이러한 폰트 이미지 테이블에서 문자 코드 값과 대응되는 폰트 이미지를 검색한 후 이를 화면으로 출력하게 된다.
Figure 112005057605428-PAT00001
한글 입력 방법의 제1 변형예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 방법의 제1 실시예에서 키패드에서 선택된 한글의 자모들은 일반적인 표시 장치의 화면상에 표시되게 되는데,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 방법의 제1 변형예에서는 이러한 표시 장치에 구현되는 화면의 구성면에서 차이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 방법의 제1 변형예에서 사용되는 표시 장치의 화면을 도시하는 것인데, 도 4a 및 4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입력되는 한글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의 화면은 자음키 및 모음키에 할당된 기본 자음 및 기본 모음이나 전환키를 이용하여 전환한 확장 자음이나 기본 모음의 결합에 의한 결합 모음 등이 표시되는 입력창(1)과 입력창(1)의 하부(도 4a) 또는 상부(도 4b)에 위치하는 입력 후보군 표시창(2)으로 구분된다.
입력 후보군 표시창(2)에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용 키패드의 자음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그 선택된 자음키에 할당된 기본 자음들이 표시되게 되고, 모음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그 선택된 모음키에 할당된 기본 모음들이 표시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2a에 도시된 키패드의 숫자 0번 키를 선택하는 경우, 입력창(1)에는 0번 키에 할당된 기본 자음 중 가장 먼저 할당되어 있는 'ㅂ'이 표시되게 되고, 입력 후보군 표시창(2)에는 0번 키에 할당되어 있는 기본 자음들 'ㅂ, ㅈ, ㅁ'이 모두 표시되게 된다.(도 4a 참조)
입력 후보군 표시창(2)에는 현재 입력창(1)에 표시되는 기본 자음의 위치에 선택표지(3, 예를 들면, 커서 또는 사각형의 점멸 표지 등)가 표시되며, 해당 자음키를 연속적으로 선택함에 따라 이러한 선택 표지(3)는 입력 후보군 표시창(2)에 표시되는 기본 자음들로 순차적으로 이동한다. 선택 표지(3)의 이동에 따라, 입력창(1)에 표시되는 기본 자음은 선택 표지(3)가 위치하는 기본 자음으로 변하게 된다.
또한, 자음키의 선택에 따라 특정한 기본 자음이 표시창(1)에 표시되고 있는상태에서, 전환키를 선택하는 경우, 입력 후보군 표시창(2)에는 종전까지 입력창(1)에 표시되고 있던 기본 자음으로부터 전환되는 확장 자음들이 표시되게 되고, 동시에 입력창(1)에는 이러한 확장 자음들 중에서 순서상 먼저 전환되는 확장 자음이 표시된다. 즉, 숫자 0번 키를 선택한 상태에서, 전환키를 선택하는 경우 입력 후보군 표시창(2)에는 'ㅍ, ㅃ'이 표시되며, 선택 표지(3)는 'ㅍ' 위에 위치하고, 동시에 입력창(1)에는 'ㅍ'이 표시된다.(도 4b 참조)
한편, 입력 후보군 표시창(2)은 이러한 확장 자음에 대응되는 기본 자음을 포함하여 표시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기본 자음, 기본 자음의 거센 소리, 및 된소리의 순서로 표시하게 되며, 최초 선택 표지(3)는 기본 자음의 거센 소리 위치에 위치한다. 즉, 숫자 0번 키를 선택한 상태에서, 전환키를 선택하는 경우 입력 후보군 표시창(2)에는 'ㅂ, ㅍ, ㅃ'이 표시되고, 선택 표지(3)는 'ㅍ'에 위치하게 된다.(도 4c 참조)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 방법의 제1 변형예에서는, 사용자가 자음키 및 모음키의 선택에 따른 기본 자음, 기본 모음, 결합 모음의 선택과 전환키의 선택에 따른 확장 자음으로의 전환 선택 과정을 입력 후보군 표시창(3)에서 직접 확인하면서 한글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키패드를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방법에 숙련도가 떨어지는 사용자(예를 들어, 장년층 이상 계층의 사용자)나,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용 키패드에 대한 초기 사용자, 즉 키패드에서의 한글 자모의 배치를 숙지하지 못한 사용자들도 용이하게 한글 입력을 할 수 있게 된다.
아래의 표 3은 도 2a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용 키패드를 사용하여 위에서 설명한 제1 변형예에 따른 한글 입력을 하는 경우, 자음키, 모음키 및 전환키의 선택에 따른 입력 후보군 표시창(2)의 표시 상태를 나타낸다. 표 3에는 전환키를 함께 선택하는 경우에는 ( )로 표시된 자음들이 있는데, 이들 기본 자음들은 입력 후보군 표시창(2)에 표시될 수도 있고, 표시되지 않을 수도 있다.
선택되는 키에 할당된 한글의 자모 입력 후보군 표시창 표시 상태
ㄱ ㄷ ㄱ ㄷ
ㅇ ㅅ ㅇ ㅅ
ㄴ ㄹ ㄴ ㄹ
ㄱ + 전환키 (ㄱ) ㅋ ㄲ
ㄷ + 전환키 (ㄷ) ㅌ ㄸ
ㅇ + 전환키 (ㅇ) ㅎ
ㅅ + 전환키 (ㅅ) ㅆ
ㅂ + 전환키 (ㅂ) ㅍ ㅃ
ㅈ + 전환키 (ㅈ) ㅊ ㅉ
ㅂ ㅈ ㅁ ㅂ ㅈ ㅁ
ㅏ ㅑ ㅏ ㅑ
ㅓ ㅕ ㅓ ㅕ
ㅗ ㅛ ㅗ ㅛ
ㅜ ㅠ ㅜ ㅠ
한글 입력 방법 제2 실시예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용 키패드를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 방법의 제2 실시예 역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 2a 및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용 키패드를 동일하게 사용하며, 한글의 입력 및 출력에 대한 과정은 위에서 설명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글의 입력 및 출력에 대한 과정과 동일한 과정에 의해 수행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기본 자음의 입력 방법은, 입력하고자 하는 기본 자음이 할당된 자음키를 선택하고, 선택된 자음키를 연속적으로 선택함으로써 당해 자음키에 할당된 기본 자음들을 입력하게 된다는 점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한글 입력 방법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에 반해, 확장 자음의 입력은 제1 실시예에 설명된 입력 방법과 상이한 방법으로 수행되는데, 즉, 제2 실시예에서는 기본 자음이 할당된 자음키를 선택한 후, 자음키에 할당된 기본 자음 중 입력하고자 하는 기본 자음을 선택한 후 전환키를 선택하여 그 기본 자음에 대응하는 확장 자음으로 전환되는 제1 실시예와는 달리, 입력하고자 하는 확장 자음에 대응되는 기본 자음이 할당된 자음키를 선택한 후, 이 자음키를 연속적으로 선택함으로써 확장 자음을 입력한다.
예를 들면, 도 2a에 도시된 한글 입력용 키패드의 숫자 7번 키를 1회 선택하면, 'ㄱ'이 선택되며, 2회째 조작하면, 'ㄷ'이 선택되고, 3회째 조작하면 'ㄱ'의 거센 소리인 'ㅋ'이 선택되고, 4회째 조작하면, 'ㄷ'의 거센 소리인 'ㅌ'이 선택되고, 5회째 조작하면, 'ㄱ'의 된소리인 'ㄲ'이 선택되고, 6회째 조작하면, 'ㄷ'의 된소리인 'ㄸ'이 선택되고, 이후 계속적인 선택이 진행되면, 이러한 순으로 순환적으로 기본 자음, 기본 자음의 거센 소리, 기본 자음의 된소리들이 선택된다.
이와 같이, 제2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전환키의 선택 없이도, 입력하고자 하는 확장 자음의 대응되는 기본 자음이 할당된 자음키를 연속적으로 선택함으로써 확장 자음을 입력하게 된다. 즉, 도 2a에 도시된 한글 입력용 키패드를 사용하여 'ㅍ'을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제1 실시예에서는 숫자 7번 키를 1회 선택하고, 그 상태에서 전환키를 1회 선택하여 입력을 수행하며, 제2 실시예에서는 숫자 7번 키를 4회 선택하여 입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자음키의 연속 선택에 따른 기본 자음 및 확장 자음의 선택 순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도 2a에 도시된 한글 입력용 키패드 기준)
숫자 7번 키 : 'ㄱ' → 'ㄷ' → 'ㅋ' → 'ㅌ' → 'ㄲ' → 'ㄸ' → 'ㄱ' (반복 순환됨)
숫자 8번 키 : 'ㅇ' → 'ㅅ' → 'ㅎ' → 'ㅆ' → 'ㅇ' (반복 순환됨)
숫자 9번 키 : 'ㄴ' → 'ㄹ' → 'ㄴ' (반복 순환됨)
숫자 0번 키 : 'ㅂ' → 'ㅈ' → 'ㅁ' → 'ㅍ' → 'ㅊ' → 'ㅃ' → 'ㅉ' → 'ㅂ' (반복 순환됨)
한편, 거센 소리와 된소리의 순서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된소리, 거센소리 순서로 바뀌어도 무관한다.
다음으로, 기본 모음의 입력 방법을 살펴보면, 입력하고자 하는 기본 모음이 할당된 모음키를 선택하고, 선택된 모음키의 연속적 선택에 의해 할당된 기본 모음들 중 입력하고자 하는 기본 모음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는데, 이와 같이 기본 모음의 선택 방법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된다.
제2 실시예에서는 결합 모음의 입력 방법이 제1 실시예와 상이한데, 결합 모음을 구성하는 기본 모음이 할당된 모음키를 결합 모음의 필기 순으로 각각 선택함으로써 결합 모음을 입력하는 제1 실시예와 달리, 제2 실시예에서는, 입력하고자 하는 결합 모음 중 필기 순서상 먼저 나오는 기본 모음이 할당된 모음키를 선택한 후, 선택된 모음키를 연속적으로 선택하여 결합 모음을 입력한다.
예를 들면, 도 2a에 도시된 한글 입력용 키패드의 숫자 6번 키를 1회 선택하면, 'ㅓ'가 선택되고, 2회째 조작하면, 'ㅕ'가 선택되며, 3회째 조작하면, 'ㅔ'가 선택되고, 4회째 조작하면 'ㅖ'가 선택된다. 즉 결합 모음 'ㅔ'는 한글의 필기 순서상 'ㅓ'와 'ㅣ'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결합 모음인데, 2개의 기본 모음 'ㅓ'와 'ㅣ' 중 필기 순서상 먼저 나오는 'ㅓ'가 할당된 모음키를 3회 연속 선택함으로써 결합 모음 'ㅔ'가 선택되는 것이다.
단, 'ㅢ'의 경우에는 필기 순서상 'ㅡ'가 먼저 나오는 것이므로, 'ㅡ'가 할당된 숫자 2번 키를 2회 선택해서 입력하는 것이 원칙적이나, 이 경우에 한해서, 'ㅣ' 할당된 숫자 5번 키를 2회 선택하는 경우에도 'ㅢ'가 선택된다.
이러한 모음키의 연속 선택에 따른 기본 모음 및 결합 모음의 선택 순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숫자 1번 키 : 'ㅗ' → 'ㅛ' → 'ㅘ' → 'ㅚ' → 'ㅙ' → 'ㅗ' (반복순환됨)
숫자 2번 키 : 'ㅡ' → 'ㅢ' → 'ㅡ' (반복순환됨)
숫자 3번 키 : 'ㅜ' → 'ㅠ' → 'ㅝ' → 'ㅟ' → 'ㅞ' → 'ㅜ' (반복순환됨)
숫자 4번 키 : 'ㅏ' → 'ㅑ' → 'ㅐ' → 'ㅒ' → 'ㅏ' (반복순환됨)
숫자 5번 키 : 'ㅣ' → 'ㅢ' → 'ㅣ' (반복순환됨)
숫자 6번 키 : 'ㅓ' → 'ㅕ' → 'ㅔ' → 'ㅖ' → 'ㅓ' (반복순환됨)
한글 입력 방법의 제2 변형예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 방법의 제2 변형예는, 위에서 설명한 제1 실시예의 변형예와 같이, 입력창(1)과 입력 후보군 표시창(2)을 구별하여 표시하는 도 4a 및 4b와 같은 표시 장치의 화면상에 선택된 한글의 자모를 표시할 수도 있다.
특히, 제2 실시예와 같이 하나의 자음키 및 모음키를 연속적으로 선택하여 기본 자음 및 기본 모음 뿐 아니라, 확장 자음 및 결합 모음도 선택할 수 있는 경우에는, 하나의 자음키 또는 모음키 선택에 따른 입력 후보군을 표시하는 입력 후보군 표시창(2)의 필요성이 더 커진다.
제2 변형예에서의 입력창(1)과 입력 후보군 표시창(2)에 표시되는 내용을 살펴 보면, 입력창(1)의 경우에는 제1 변형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선택된 한글의 자모가 표시되며, 입력 후보군 표시창(2)에는 제1 변형예와는 달리 전환키 선택에 따른 표시 내용 대신에, 자음키를 선택하는 경우 각각의 자음키에 할당되는 기본 자음들, 및 이들 기본 자음들로부터 전환되는 확장 자음들이 거센 소리, 된소리 순서로 표시되고, 모음키를 선택하는 경우에도, 각각의 모음키에 할당되는 기본 모음들만이 표시되는 것이 아니라, 이들 기본 모음들과 이들 기본 모음들을 필기 순서상 앞에 두는 결합 모음들을 순서대로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도 2a의 한글 입력용 키패드의 숫자 7번 키를 선택하는 경우, 7번 키에 할당되는 기본 자음인 'ㄱ, ㄷ'뿐 아니라, 이들로부터 전환되는 확장 자음인 'ㅋ, ㅌ, ㄲ, ㄸ'이 거센 소리, 된소리 순으로 입력 후보군 표시창(3)에 표시된다. 이 때, 입력창(1)에는 입력 후보군 표시창(2)에 표시된 자음들 중 가장 앞에 위치하는 'ㄱ'이 표시되며, 입력 후보군 표시창(2)에는 'ㄱ'이 있는 위치에 선택 표지(3)가 위치한다. 도 5는 이와 같이 숫자 7번 키가 1회 조작된 경우의 표시 장치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내용을 도시한다.
아래의 표 4는 도 2a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용 키패드를 사용하여 위에서 설명한 제2 변형예에 따른 한글 입력을 하는 경우, 자음키, 및 모음키 의 선택에 따른 입력 후보군 표시창(2)의 표시 상태를 나타낸다.
선택되는 키에 할당된 한글의 자모 입력 후보군 표시창 표시 상태
ㄱ ㄷ ㄱ ㄷ ㅋ ㅌ ㄲ ㄸ
ㅇ ㅅ ㅇ ㅅ ㅎ ㅆ
ㄴ ㄹ ㄴ ㄹ
ㅂ ㅈ ㅁ ㅂ ㅈ ㅁ ㅍ ㅊ ㅃ ㅉ
ㅏ ㅑ ㅏ ㅑ ㅐ ㅒ
ㅓ ㅕ ㅓ ㅕ ㅔ ㅖ
ㅗ ㅛ ㅗ ㅛ ㅘ ㅚ ㅙ
ㅜ ㅠ ㅜ ㅠ ㅝ ㅟ ㅞ
ㅡ ㅢ
ㅣ ㅢ
한편,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 방법의 제2 실시예 및 제2 변형예에서 한글의 입력 및 출력에 대한 과정은 위에서 설명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글의 입력 및 출력에 대한 과정과 동일한 과정에 의해 수행되며, 표 2에 기재된 제1 실시예에서의 한글의 초성, 중성, 종성의 유니코드값 역시 제2 실시예에서도 동일하게 사용되는 것이나, 확장 자음 및 결합 모음의 입력 키값에서 차이점이 있다.
즉, 'ㅋ'의 경우, 표 2에서는 입력키 값이 기본 자음의 키 입력값 'ㄱ(7)'에 추가입력으로 전환키(*) 키 입력값을 더하여 발생되는 키 입력값에 'ㅋ'이 대응되게 되나, 제2 실시예에서는, 기본 자음의 키 입력값 'ㄱ(7)'을 3회 더한 키 입력값 'ㅋ(777)'에 'ㅋ'이 대응되게 된다. 아래의 표 5는 이러한 제2 실시예에서의 확장 자음 및 결합 모음들의 키 입력값을 나타낸다.
키 입력값
확장 자음 결합 모음
ㅋ(777) ㅘ(111)
ㅌ(7777) ㅚ(1111)
ㄲ(77777) ㅙ(11111)
ㄸ(777777) ㅢ(22, 또는 55)
ㅎ(888) ㅝ(333)
ㅆ(8888) ㅟ(3333)
ㅍ(0000) ㅞ(33333)
ㅊ(00000) ㅐ(444)
ㅃ(000000) ㅒ(4444)
ㅉ(0000000) ㅔ(666)
ㅖ(6666)
한글 입력 방법의 제3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 방법의 제 3실시예는 새로운 한글 자모의 입력 방식이 추가되는 것은 아니며, 기본 자음 및 기본 모음의 입력 방식은 기본적으로 제1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과 동일하나, 확장 자음 및 결합 모음의 입력 방식은 위에서 기재하고 있는 제1 실시예에 기재된 확장 자음 및 결합 모음의 입력 방식으로도 가능하고, 제2 실시예에 기재된 확장 자음 및 결합 모음의 입력 방식으로도 가능한 경우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 방법의 제3 실시예에서는, 도 2a에 도시된 한글 입력용 키패드의 숫자 0번 키를 선택하여 'ㅂ'을 선택한 후, 전환키를 선택함으로써 'ㅍ'을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와 동시에 도 2a에 도시된 한글 입력용 키패드의 숫자 0번 키를 연속적으로 4회 선택함으로써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 방법의 제3 실시예에서는 도 2a에 도시된 한글 입력용 키패드의 숫자 3번 키를 선택하여 'ㅜ'를 선택한 후, 숫자 6번 키를 선택하여 최종적으로 'ㅝ'를 입력하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도 2a에 도시된 한글 입력용 키패드의 숫자 3번 키를 3회 연속 선택함으로써 입력하는 것 역시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용 키패드 및 이를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에 따르면, 자음과 모음이 위치적으로 분리되어 할당되고, 기본 자음을 확장 자음으로 전환하는 전환키가 확장 자음으로 전환이 가능한 기본 자음들이 할당된 자음키들과 근접한 위치에 배치된 한글 입력용 키패드를 사용함으로써 한글의 입력 속도가 개선되고, 키패드 조작의 편의성이 제고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용 키패드는 줄바꿈을 할 수 있는 기능키를 별도로 구비함으로써 용이하게 줄바꿈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용 키패드는 자음과 모음이 위치적으로 분리되고, 모음들이 형태적 유사성을 기준으로 통일적으로 할당되며, 확장 자음으로 전환이 가능한 기본 자음들이 근접한 위치에 집중적으로 할당됨에 따라 사용자가 자모음의 위치를 용이하게 숙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한글 입력 방법을 용이하게 습득하도록 하는 효과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 방법은 전환키의 사용 없이 자음키나 모음키의 연속적 입력에 의해 확장 자음이나 결합 모음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 방법을 숙지한 사용자의 경우, 키패드 조작의 편의성 및 한글 입력 속도가 개선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 방법은 표시 장치의 화면상에 해당되는 자음키 및 모음키, 또는 전환키에 의해 입력가능한 한글의 자모음을 별도의 입력 후보군 표시창에 표시함으로써 키패드에서의 한글 자모의 배치를 숙지하지 못한 사용자나 키패드를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것에 익숙하지 못한 사용자들도 용이하게 한글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23)

  1. 둘 이상의 기본 자음('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이 할당되는 복수의 자음키들;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본 모음('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이 할당되는 복수의 모음키들; 및
    상기 기본 자음을 확장 자음('ㅋ, ㅌ, ㅍ, ㅎ, ㅊ, ㄲ, ㄸ, ㅃ, ㅆ, ㅉ')으로 전환시키는 전환키를 포함하며,
    상기 전환키에 의해 상기 확장 자음으로 전환이 가능한 기본 자음들이 상기 전환키와 이웃하는 위치에 있는 자음키들에 할당되고,
    상기 자음키들과 상기 모음키들은 각각 하나의 그룹으로 구분되어 키패드에 배치되고,
    상기 자음키들의 수가 상기 모음키들의 수보다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용 키패드.
  2. 제1항에 있어서, 줄바꿈 기능을 하는 기능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용 키패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키들을 4개 또는 5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용 키패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 키들을 6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용 키패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4개의 자음키들에는 각각 'ㄱ, ㄷ', 'ㅇ,ㅅ', 'ㅂ, ㅈ, ㅁ', 'ㄴ, ㄹ'이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용 키패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5개의 자음키들에는 각각 'ㄱ, ㄷ', 'ㅇ,ㅅ', 'ㅂ, ㅈ', 'ㄴ, ㄹ', 'ㅁ'이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용 키패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6개의 모음키들에는 각각 'ㅗ, ㅛ', 'ㅏ, ㅑ', 'ㅡ', 'ㅣ', 'ㅜ, ㅠ', 'ㅓ, ㅕ'가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용 키패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키는 상기 'ㄱ, ㄷ'이 할당된 자음키, 'ㅇ,ㅅ'이 할당된 자음키, 및 'ㅂ, ㅈ, ㅁ'이 할당된 자음키에 의해 둘러싸이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용 키패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키는 상기 'ㄱ, ㄷ'이 할당된 자음키, 'ㅇ,ㅅ'이 할당된 자음키, 및 'ㅂ, ㅈ'이 할당된 자음키에 의해 둘러싸이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용 키패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글 입력용 키패드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용 키패드.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키패드를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방법으로,
    상기 기본 자음의 입력은 입력하고자 하는 기본 자음이 할당된 자음키를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자음키에서 상기 입력하고자 하는 기본 자음을 선택함으로써 수행되고,
    상기 확장 자음의 입력은 입력하고자 하는 확장 자음에 대응되는 기본 자음이 할당된 자음키를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자음키에서 상기 대응되는 기본 자음을 선택하고, 상기 전환키를 선택함으로써 수행되며,
    상기 기본 모음의 입력은 입력하고자 하는 기본 모음이 할당된 모음키를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모음 키에서 상기 입력하고자 하는 기본 모음을 선택함으로써 수행되고,
    상기 기본 모음들이 둘 이상 결합하여 생성되는 결합 모음의 입력은 상기 결합 모음을 형성하는 상기 기본 모음들이 할당된 모음키들을 한글의 결합 모음의 필기 순서대로 선택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자음키를 연속적으로 선택함으로써 상기 선택 된 자음키에 할당된 기본 자음들이 순서대로 순환적으로 선택되고, 상기 선택된 모음키를 연속적으로 선택함으로써 상기 선택된 모음키에 할당된 기본 모음들이 순서대로 순환적으로 선택되며, 상기 전환키를 연속적으로 선택함으로써 상기 대응되는 기본 자음들로부터 전환되는 확장 자음들이 순서대로 순환적으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자음들은 상기 전환키의 연속적인 선택에 의해 상기 대응되는 기본 자음들의 거센 소리, 상기 대응되는 기본 자음들의 된소리의 순서로 순환적으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자음들은 상기 전환키를 연속적으로 선택함으로써 상기 대응되는 기본 자음들로부터 전환되는 확장 자음들이 순서대로 순환적으로 선택되되, 상기 대응되는 기본 자음들의 거센 소리, 상기 대응되는 기본 자음들의 된소리, 상기 대응되는 기본 자음들의 순서로 순환적으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기본 자음, 확장 자음, 기본 모음, 및 결합 모음을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표시하는데,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는 상기 선택된 기본 자음, 확장 자음, 기본 모음, 및 결합 모음을 표시하는 입력창과,
    상기 자음키 및 모음키의 선택시 상기 자음키 및 모음키에 할당된 기본 자음 들 및 기본 모음들을 순서대로 표시하고, 상기 전환키의 선택시 상기 전환키에 의해 상기 대응되는 기본 자음으로부터 전환되는 확장 자음들을 상기 대응되는 기본 자음들의 거센 소리, 상기 대응되는 기본 자음들의 된소리의 순서로 표시하는 입력 후보군 표시창이 구별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키의 선택시 상기 입력 후보군 표시창에는 상기 대응되는 기본 자음도 표시되는데, 상기 대응되는 기본 자음들, 상기 대응되는 기본 자음들의 거센 소리, 상기 대응되는 기본 자음들의 된소리의 순서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방법.
  17.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키패드를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방법으로,
    상기 기본 자음의 입력은 입력하고자 하는 기본 자음이 할당된 자음키를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자음키에서 상기 입력하고자 하는 기본 자음을 선택함으로써 수행되고,
    상기 확장 자음의 입력은 입력하고자 하는 확장 자음에 대응되는 기본 자음이 할당된 자음키를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자음키를 연속적으로 선택하여 상기 입력하고자 하는 확장 자음을 선택함으로써 수행되고,
    상기 기본 모음의 입력은 입력하고자 하는 기본 모음이 할당된 모음키를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모음 키에서 상기 입력하고자 하는 기본 모음을 선택함으로써 수행되고,
    상기 기본 모음들이 둘 이상 결합하여 생성되는 결합 모음의 입력은 입력하고자 하는 결합 모음을 형성하는 기본 모음들 중 한글의 결합 모음의 필기 순서상 먼저 위치하는 기본 모음(제1 기본 모음)이 할당된 모음키를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모음키를 연속적으로 선택하여 상기 입력하고자 하는 결합 모음을 선택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모음 중 'ㅢ'의 입력은 'ㅣ'가 할당된 모음키를 선택하고, 상기 'ㅣ'가 할당된 모음키를 연속적으로 선택하여 'ㅢ'를 선택함으로써도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자음의 입력 및 상기 확장 자음의 입력은 상기 복수의 자음키 중 하나의 자음키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자음키를 연속적으로 선택함으로써 상기 선택된 자음키에 할당된 기본 자음들, 상기 선택된 자음키에 할당된 기본 자음들로부터 전환되는 확장 자음들이 순서대로 순환적으로 선택되고,
    상기 기본 모음의 입력 및 상기 결합 모음의 입력은 상기 복수의 모음키 중 하나의 모음키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모음키를 연속적으로 선택함으로써 상기 선택된 모음키에 할당된 기본 모음들, 상기 선택된 모음키에 할당된 기본 모음들이 상기 제1 기본 모음이 되는 결합 모음들이 순서대로 순환적으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자음의 입력 및 상기 확장 자음의 입력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자음키의 연속적 선택에 따른 순환적 선택의 순서는 상기 선택된 자음키에 할당된 기본 자음들, 상기 할당된 기본 자음들의 거센 소리, 상기 할당된 기본 자음들의 된소리의 순서로 순환적으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방법.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자음의 입력 및 상기 확장 자음의 입력은 상기 복수의 자음키 중 하나의 자음키를 선택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화면상의 입력 후보군 표시창에 상기 선택된 하나의 자음키에 할당된 기본 자음들 및 상기 할당된 기본 자음들의 대응되는 확장 자음들을, 상기 할당된 기본 자음들, 상기 할당된 기본 자음들의 대응되는 확장 자음들의 순서로 표시하고, 상기 하나의 자음키의 연속적 선택에 따라 상기 입력 후보군 표시창에 표시되는 상기 할당된 기본 자음들 및 상기 할당된 기본 자음들의 대응되는 확장 자음들이 순서대로 순환적으로 선택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상의 입력창에 표시되고,
    상기 기본 모음의 입력 및 상기 결합 모음의 입력은 상기 복수의 모음키 중 하나의 모음키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상의 상기 입력 후보군 표시창에 상기 선택된 하나의 모음키에 할당된 기본 모음들 및 상기 할당된 기본 모음들이 상기 제1 기본 모음이 되는 결합 모음들을, 상기 할당된 기본 모음들, 상기 할당된 기본 모음들이 상기 제1 기본 모음이 되는 결합 모음들의 순서로 표시하고, 상기 하나의 모음키의 연속적 선택에 따라 상기 입력 후보군 표시창에 표시되는 상기 할당된 기본 모음들 및 상기 할당된 기본 모음들이 상기 제1 기본 모음이 되는 결합 모음들이 순서대로 순환적으로 선택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상의 상기 입력창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ㅣ'가 할당된 모음키를 선택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화면상의 입력 후보군 표시창에 'ㅣ', 및 'ㅢ'를 순서대로 표시하고, 상기 'ㅣ'가 할당된 모음키의 연속적 선택에 따라 'ㅣ', 'ㅢ'가 순서대로 순환적으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방법.
  2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자음의 입력은 상기 입력하고자 하는 확장 자음에 대응되는 기본 자음이 할당된 자음키를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자음키를 연속적으로 선택하여 상기 입력하고자 하는 확장 자음을 선택함으로써도 수행되고,
    상기 결합 모음의 입력은 상기 입력하고자 하는 결합 모음을 형성하는 기본 모음들 중 한글의 결합 모음의 필기 순서상 먼저 위치하는 기본 모음(제1 기본 모음)이 할당된 모음키를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모음키를 연속적으로 선택하여 상기 입력하고자 하는 결합 모음을 선택함으로써도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방법.
KR1020050095928A 2005-04-25 2005-10-12 한글 입력용 키패드 및 이를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KR100679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6800048288A CN101204019B (zh) 2005-04-25 2006-04-25 韩文输入键盘以及使用该键盘的韩文输入方法
US11/632,679 US8669888B2 (en) 2005-04-25 2006-04-25 Hangeul input keypad and method using the same
JP2007556981A JP4993751B2 (ja) 2005-04-25 2006-04-25 ハングル入力用キーパッド及びこれを利用したハングル入力方法
AT06757531T ATE551646T1 (de) 2005-04-25 2006-04-25 Hangeul-eingabetastatur und verfahren zu ihrer verwendung
PCT/KR2006/001554 WO2006115365A1 (en) 2005-04-25 2006-04-25 Hangeul input keypad and method using the same
EP06757531A EP1875620B1 (en) 2005-04-25 2006-04-25 Hangeul input keypad and methods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4176 2005-04-25
KR20050034176 2005-04-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2584A true KR20060112584A (ko) 2006-11-01
KR100679421B1 KR100679421B1 (ko) 2007-02-07

Family

ID=37620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5928A KR100679421B1 (ko) 2005-04-25 2005-10-12 한글 입력용 키패드 및 이를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993751B2 (ko)
KR (1) KR100679421B1 (ko)
CN (1) CN101204019B (ko)
AT (1) ATE551646T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11797A1 (en) * 2007-03-12 2008-09-1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allocating characters and input device u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22119A4 (en) * 2010-01-04 2016-03-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KOREAN INPUT METHOD AND DEVICE HAVING A TOUCH SCREEN AND PORTABLE END DEVICE WITH KEY INPUT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87031A (en) * 1978-03-13 1980-02-05 Yeh Chan H Korean (hangul) electronic typewriter and communication equipment system
CN1127380A (zh) * 1995-05-02 1996-07-24 张锦龙 朝鲜文键盘
JPH0916301A (ja) * 1995-06-29 1997-01-17 Fujitsu Ltd ハングル文字入力用キーボード
CN1348559A (zh) * 1999-07-07 2002-05-08 富士通株式会社 携带式文字输入装置
JP2002373046A (ja) * 2001-04-12 2002-12-26 Shoki Ko 携帯型電子機器
KR100418066B1 (ko) * 2001-12-22 2004-02-14 강훈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방법
KR100728753B1 (ko) * 2002-04-19 2007-06-19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무선단말기의 한글입력방법 및 그 방법을 구현한 문자판
AU2003250638A1 (en) * 2002-07-03 2004-01-23 2012244 Ontario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 of ideographic korean syllables from reduced keyboard
CN1504863A (zh) * 2002-11-29 2004-06-16 傅承武 简明数码韩文输入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11797A1 (en) * 2007-03-12 2008-09-1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allocating characters and input device using the same
US8446369B2 (en) 2007-03-12 2013-05-2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allocating characters and input device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532138A (ja) 2008-08-14
JP4993751B2 (ja) 2012-08-08
ATE551646T1 (de) 2012-04-15
CN101204019B (zh) 2011-11-09
CN101204019A (zh) 2008-06-18
KR100679421B1 (ko) 2007-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2400B1 (ko)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KR100694679B1 (ko) 한글과 아스키 문자를 포함하는 데이터 스트링을 입력하는방법 및 장치
JP3344992B2 (ja) 携帯文字入力装置
KR100679421B1 (ko) 한글 입력용 키패드 및 이를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KR100365284B1 (ko)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EP1875620B1 (en) Hangeul input keypad and methods using the same
KR100702483B1 (ko) 한자 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366806B1 (ko) 제한된 수의 키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장치
KR20130069391A (ko) 소형 일문키보드 및 방법
KR100750634B1 (ko) 한자 입출력 장치
KR100766717B1 (ko) 문자입력방법
KR100371869B1 (ko) 문자확장 버튼을 이용한 문자입력 방법
KR100790550B1 (ko) 터치패널의 문자입력장치
KR100400694B1 (ko) 휴대폰용 중문코드발생 장치
KR100450586B1 (ko) 발음을 이용한 문자데이터 입력장치
KR100971280B1 (ko) 변환키를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JP2012113685A (ja) 入力装置および入力方法
KR100823307B1 (ko) 문자입력방법
KR20030089190A (ko) 통신기기용 중국어 입력장치
JP3109642U (ja) 携帯韓国語入力装置
KR20020012823A (ko) 1개의 문자전환 버튼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20020074240A (ko) 화면용 한글자판의 키배열 방법 및 한글자판의 디스플레이방법
KR200407401Y1 (ko) 한글입력장치
KR200318329Y1 (ko) 숫자 키패드를 통한 한글입력 장치 및 방법
KR100745978B1 (ko) 문자 입력 장치, 이를 구비한 휴대용 장치, 및 입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