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5978B1 - 문자 입력 장치, 이를 구비한 휴대용 장치, 및 입력 방법 - Google Patents

문자 입력 장치, 이를 구비한 휴대용 장치, 및 입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5978B1
KR100745978B1 KR1020050094069A KR20050094069A KR100745978B1 KR 100745978 B1 KR100745978 B1 KR 100745978B1 KR 1020050094069 A KR1020050094069 A KR 1020050094069A KR 20050094069 A KR20050094069 A KR 20050094069A KR 100745978 B1 KR100745978 B1 KR 1007459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button
input
assigned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4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동경
이영범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4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59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5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59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자 입력 장치, 이를 구비한 휴대용 장치, 및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형으로 배열된 입력 장치의 두개의 버튼을 효율적으로 조합하여 보다 편리하게 문자를 입력하도록 하는 문자 입력 장치, 이를 구비한 휴대용 장치, 및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는 하나 이상의 문자 단위가 할당된 포인트 버튼과, 상기 포인트 버튼의 둘레에 하나 이상의 문자 단위가 할당된 다수의 네비게이션 버튼을 포함하는데, 상기 포인터 버튼, 및 상기 네비게이션 버튼을 이용하여 소정 문자 입력 시 기본 문자가 할당된 버튼을 1차 선택한 후, 확장 문자가 할당된 버튼을 2차로 선택한다.
포인트 버튼, 네비게이션 버튼, 버튼 방향, 문자 단위

Description

문자 입력 장치, 이를 구비한 휴대용 장치, 및 입력 방법{Letter input device, portable device comprising the same and input method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장치의 내부 블럭도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에 숫자가 할당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에 한글이 할당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에 알파벳이 할당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에 일본어가 할당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메뉴 항목을 선택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의 다양한 배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0 : 휴대용 장치 200 : 문자 입력 장치
300 : 디스플레이 패널 110 : 신호 입력부
120 : 모드 설정부 130 : 판단부
140 : 문자 조합부 150 : 저장부
160 : 디스플레이부 170 : 제어부
210 : 포인트 버튼 220 : 네비게이션 버튼
230 : 조그셔틀 버튼 240 : 특수 기능 버튼
본 발명은 문자 입력 장치, 이를 구비한 휴대용 장치, 및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형으로 배열된 입력 장치의 두개의 버튼을 효율적으로 조합하여 보다 편리하게 문자를 입력하도록 하는 문자 입력 장치, 이를 구비한 휴대용 장치, 및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통신기술이 급격하게 발전됨에 따라 개인이 이동 중에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전화, PDA, 포켓 PC, 인터넷 단말기 등의 통신용 단말기가 개발되어 널리 보급되고 있다.
특히, 일반적인 개인 무선 통신 서비스에 대한 기술적인 발전과 가입자 수의 비약적인 증가에 힘입어 이에 따른 각종 부가 서비스들이 개발되어 현재 활발하게 서비스되고 있다. 이와 같은 부가 서비스들 중에서 문자 전송 서비스는 음성 통신용 단말기를 통해 문자 전송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특이성에 기인하여 이용자들의 특별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러한 문자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전자식 키패드와 같은 축소형 문자 자판부를 통해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는 유용한 문자입력 방법 및 장치가 필요하다.
축소형 문자 자판부를 응용한 분야로는 자판수가 적어야 하는 팜탑(Palm Top) 컴퓨터 등의 소형 종합 자판 시스템과, 인터넷 TV, 디지털 스틸 카메라, PDA, 전자수첩 등의 자판 입력 장치 대용으로서의 자판 시스템과, 공공 건물이나 기타 안내를 필요로 하는 곳에서 설치된 안내 키오스크, 전자 자물쇠, 현금 자동 지급기 등과 유사한 구조와 기능을 지닌 입력 시스템 등을 들 수 있다.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와 같이 제한된 수의 키 버튼을 구비한 축소형 문자 자판부를 이용하여 문자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지원하고자 하는 언어의 자음/모음을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 상에 효과적으로 중복 배치하거나 기능키 조작에 의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신속하게 원하는 문자의 자음과 모음을 조합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인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한글 입력 체계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지만,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를 이용한 한글 코드 입력 방법과 관련된 이전의 기술들은 해당 키패드의 자음과 모음의 배치가 혼재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들이 자판을 숙지하는 데 불편함이 있었으며, 하나의 문자에 대한 조합이 완료되는 시점마다 종료 표시 문자를 입력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현재 PCS 등에서 사용되고 있는 코드표 상의 X 좌표식, XY 좌표식, 연속 푸쉬 한글 입력 방식은, 사용자들이 별도의 모드 변환 버튼을 사용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좌우 화살표 키 버튼 등의 기능 버튼을 별도로 구비해야 하고, 키 버튼 조작 횟수가 상대적으로 많으며, 자판의 좌표를 판독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불편함이 발생되었다.
이상에서 열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은, 일반적인 워드 프로세서에서 제공하는 문자 입력 체계와 극히 상이하여 사용자 친화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하나의 키 버튼에 복수의 자모를 배정할 경우, 아무리 정연한 규칙성을 갖는 키 배열 구조를 이용하더라도 사용자들이 이를 숙지하는 데 많은 노력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키 조작이 숙달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일본공개특허(2000-148358)는 중심 위치로부터 원주상의 균등한 간격으로 배치된 12개의 위치 중 하나로 이동될 수 있는 스틱 포인터를 포함하는 방향 지시부 를 구비하고, 상기 스틱 포인터의 위치를 검출하여 대응하는 코드를 출력하고 메모리상에 일본어 50음도 등이 저장된 문자 세트를 참고하여 문자 코드를 발생시켜 문자를 입력하는 문자 입력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나, 이는 원주상에 배치된 12개의 위치로 이동 가능한 스틱 포인터를 검출하여 일본어 문자를 입력하는 것으로, 본원과 같이 문자 단위가 할당된 버튼의 조합을 통해 소정 문자를 입력하는 방식은 전혀 개시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원형으로 배열된 문자 입력 장치의 두개의 버튼을 효율적으로 조합하여 보다 편리하게 문자를 입력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형으로 배열된 문자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소정 문자 입력 시 선택된 버튼의 방향을 기초로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 단위를 검색 및 체크하여 해당 문자를 디스플레이해주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는 하나 이상의 문자 단위가 할당된 포인트 버튼과, 상기 포인트 버튼의 둘레에 하나 이상의 문자 단위가 할당된 다수의 네비게이션 버튼을 포함하는데, 상기 포인터 버튼, 및 상기 네비게이션 버튼을 이용하여 소정 문자 입력 시 기본 문자가 할당된 버튼을 선택한 후, 확장 문자가 할당된 버튼을 선택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장치는, 하나 이상의 문자 단위가 할당된 포인트 버튼과, 상기 포인트 버튼의 둘레에 하나 이상의 문자 단위가 할당된 다수의 네비게이션 버튼을 포함하는 문자 입력 장치와, 상기 문자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창 및 소정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발생된 문자 입력 장치의 버튼 선택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버튼 신호가 문자 입력 버튼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문자 입력 버튼 신호인 경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버튼의 방향 및 상기 선택된 버튼에 할당된 문자 단위를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체크된 문자 단위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문자 입력 장치, 이를 구비한 휴대용 장치, 및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또는 처리 흐름도에 대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장치(100)는 문자 입력 장치(200) 및 디스플레이 패널(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휴대용 장치(100)는 핸드폰, PDA, MP3 플레이어,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휴대용 게임기, 및 e-Book 등으로 이해될 수 있다.
문자 입력 장치(200)는 하나 이상의 문자 단위가 할당된 포인트 버튼(210), 포인트 버튼(210)의 둘레에 하나 이상의 문자 단위가 할당된 다수의 네비게이션 버튼(220), 문자 입력을 위한 입력 창 및 소정 메뉴 화면을 호출하는 특수 기능 버튼(240) 및 메뉴 화면에 제공된 소정 메뉴 항목을 선택하는 조그셔틀 버튼(23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문자 단위는 음소, 음절, 및 숫자를 말한다.
또한, 특수 기능 버튼(240)는 앵커 버튼(241), 스페이스 버튼(242), 및 클릭 버튼(243)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앵커 버튼(241)은 메뉴를 호출하는 기능 및 문자 입력의 시작할 때 이용되며, 스페이스 버튼(242)은 문자 입력 시 공백 입력을 할 때 이용되며, 클릭 버튼(243)은 전화를 걸고 끌 때 이용된다. 또한, 조그셔틀 버튼(230)은 화면 스크롤이나 동영상 및 음악 검색 시 이용된다.
또한, 문자 입력 장치(200)는 포인터 버튼(210), 및 네비게이션 버튼(220)을 이용하여 소정 문자 입력 시 기본 문자가 할당된 버튼을 1차로 선택한 후, 확장 문자가 할당된 버튼을 2차로 선택함으로써,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기본 문자는 단어를 구성하는 음소 및 음절들 중 소정 음소 및 음절을 대표하는 것을 말하며, 확장 문자는 기본 문자에서 확장되어 사용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이하, 도 3 내지 도 8에서 입력 장치(200)를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디스플레이 패널(300)은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창 및 소정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300)은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버튼에 할당된 문자 단위에서 확대될 수 있는 문자들의 배치 정보를 제공하는 문자 가이드 판을 디스플레이한다. 이하, 도 7에서 문자 가이드 판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장치의 내부 블럭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장치(100)는 신호 입력부(110), 모드 설정부(120), 판단부(130), 문자 조합부(140), 저장부(150), 디스플레이부(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 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신호 입력부(110)는 사용자의 버튼 선택에 따라 발생된 버튼 신호를 입력 받는다.
모드 설정부(120)는 휴대용 장치(100)의 문자 입력 모드를 설정하는 것으로, 여기서, 문자 입력 모드의 종류는 한글 입력 모드, 알파벳 입력 모드, 일어 입력 모드, 및 숫자 입력 모드로 이해될 수 있다.
즉, 모드 설정부(120)는 사용자의 소정 문자 입력 모드 선택에 따라 휴대용 장치(100)의 문자 입력 모드를 설정한다.
판단부(130)는 신호 입력부(110)로부터 입력된 버튼 신호가 문자 입력 버튼 신호인지, 특수 기능을 요청하는 버튼 신호인지를 판단한다. 또한, 판단부(130)는 입력된 버튼 신호가 문자 입력 신호인 경우, 모드 설정부(120)를 체크하여 현재 휴 대용 장치(100)에 설정되어 있는 입력 모드의 종류가 무엇인지를 판단한다.
문자 조합부(140)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복수의 버튼에 할당된 문자 단위를 조합하여 소정의 문장(또는 단어)을 생성한다.
저장부(150)는 문자 단위와 그에 대응되는 버튼의 위치(즉, 방향)를 기록한 맵핑 테이블을 저장한다. 여기서, 저장부(150)는 각 종류별 문자 단위의 맵핑 테이블을 저장한다(도 3 내지 도 8 참조).
디스플레이부(160)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창 및 소정 메뉴 항목을 제공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며, 사용자의 버튼 선택에 따라 입력된 문자들을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300)은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버튼에 할당된 문자 단위에서 확대될 수 있는 문자들의 배치 정보를 제공하는 문자 가이드 판을 디스플레이한다.
제어부(170)는 휴대용 장치(100)를 구성하는 각 기능성 블록들(110 내지 160)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버튼의 방향 및 위치를 체크하고, 체크된 버튼에 할당된 문자 단위를 저장부(150)에서 검색하여 해당 문자 단위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에 숫자가 할당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 입력 장치(200)의 포인트 버튼(210) 및 네비게이션 버튼(220)에 하나의 숫자가 각각 할당되며, 특수 기능 버튼(240)에는 특 수 기호(*, 및 #) 및 숫자가 할당된다. 여기서, * 기호가 할당된 앵커 버튼(241)은 모드 설정 화면 및 문자 입력 창 호출과, 북마크 기능을 수행하며, # 기호가 할당된 클릭 버튼(243)은 전화를 걸고 끊는 동작을 수행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150)에는 숫자와 그에 대응되는 버튼의 방향 및 소정 버튼에 할당된 기능이 맵핑 테이블 형태로 저장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문자 입력 장치(200)를 이용하여 전화 번호를 입력하거나, 문자 입력 시 소정의 숫자를 입력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소정의 전화 번호를 입력한 후, # 기호가 할당된 특수 기능 버튼(243)을 선택하면, 입력된 전화 번호로 호 신호가 전송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에 한글이 할당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 입력 장치(200)의 포인트 버튼(210) 및 네비게이션 버튼(220)에 하나 이상의 기본 문자와 확대 문자가 각각 할당되며, 도 4b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150)에는 문자 단위와 그에 대응되는 버튼의 방향이 맵핑 테이블 형태로 저장된다. 여기서, 문자 단위는 음소로써, 즉 자음(대표 자음, 및 추가 자음), 경음, 격음 및 모음을 말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소정 단어를 입력하고자 할 경우 네비게이션 버튼(220)을 이용하여 기본 문자가 할당된 버튼을 1차로 선택한 후, 확장 문자가 할당된 버튼을 2차로 선택함으로써,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기본 문자는 단어를 구성하는 음소들 중 대표 자음(예를 들어, ㄱ, ㄴ, ㅁ, ㅅ 및 ㅈ)을 말하며, 확장 문 자는 기본 문자에서 확장되어 사용될 수 있는 추가 자음(예를 들어, ㄹ, ㄷ, ㅂ, 및 ㅇ), 경음(ㄲ, ㄸ, ㅃ, ㅆ, 및 ㅉ), 및 격음(ㅋ, ㅌ, ㅍ, ㅎ, 및 ㅊ)을 말한다.
또한, 기본 문자인 'ㄱ'군에는 대표 자음인 'ㄱ'과 추가 자음인 'ㄹ'과, 경음인 'ㄲ'과, 격음인 'ㅋ'이 포함되며, 'ㄴ'군에는 대표 자음인 'ㄴ'과 추가 자음인 'ㄷ'과, 경음인 'ㄸ'과, 격음인 'ㅌ'이 포함되며, 'ㅁ'군에는 대표 자음인 'ㅁ'과 추가 자음인 'ㅂ'과, 경음인 'ㅃ'과, 격음인 'ㅍ'이 포함되며, 'ㅅ'군에는 대표 자음인 'ㅅ'과 추가 자음인 'ㅇ'과, 경음인 'ㅆ'과, 격음인 'ㅎ'이 포함되며, 'ㅈ'군에는 대표 자음인 'ㅈ'과 경음인 'ㅉ'과, 격음인 'ㅊ'이 포함되며,
도 4a의 1을 통해 나타낸 바와 같이, 대표 자음 5개(ㄱ, ㄴ, ㅁ, ㅅ, 및 ㅈ)는 네비게이션 버튼(220)의 방향인 ↙, ↘, ↖, ↗, 및 ↑에 차례로 할당된다. 또한, 추가 자음(ㄹ, ㄷ, ㅂ, 및 ㅇ)은 대표 자음이 할당된 버튼을 선택한 후, 네비게이션 버튼(220)의 아래 방향의 자음 버튼(↙, ↘,)을 추가적으로 선택한다. 이때, 두개의 아래 방향 중 대표 자음과 가까운 쪽을 버튼을 선택한다. 또한, 경음(ㄲ, ㄸ, ㅃ, ㅆ, 및 ㅉ)은 대표 자음이 할당된 버튼을 선택한 후, 위 방향의 자음 버튼(↖, ↗)을 추가적으로 선택한다. 이때, 두개의 위쪽 방향 중 대표 자음과 가까운 쪽을 버튼을 선택한다. 또한, 격음(ㅋ, ㅌ, ㅍ, ㅎ, 및 ㅊ)은 대표 자음이 할당된 버튼을 선택한 후, 위 방향의 정가운데 버튼(↑)을 추가적으로 선택한다. 이때, 'ㅈ'의 격음의 경우는 버튼이 중복 되므로, 'ㅉ'은 (↗)을, 'ㅊ'은 (↖)을 선택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대표 자음(ㄱ,ㄴ,ㅁ,ㅅ,ㅈ)의 경우는 뒤에 모음이 올 경우는 한 번만 선택하면 되나, 자음이 올 때는 같은 버튼을 두 번 선택하는 것으 로 입력한다.
따라서, 문자 입력 장치(200)의 한글 모드에서 모든 자음은 2번의 버튼 선택으로 입력될 수 있다.
한편, 한글 모드에서 모음은 천지인 방식으로 세 개의 버튼(즉, ㆍ, →, 및 ↓)에 할당된다.
또한, 문자 입력 시 공백(스페이스)을 입력할 경우, 특수 기능 버튼(240)의 스페이스(■) 버튼을 선택하고, 입력된 문자를 삭제하는 백스페이스 기능은 네비게이션 버튼(220)의 좌측 방향(즉, ←)버튼에 할당하였다. 또한, 특수 기능 버튼(240)의 앵커 버튼을 이용하여 특수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영화'라는 단어를 입력하기 위해서, 네비게이션 버튼(220)의 ↗↗방향을 선택하여 자음 'ㅇ'을 입력하고, 포인트 버튼(221)(즉, ㆍㆍ) 및 네비게이션 버튼(220)(즉, ↓)을 선택하여 모음 'ㅕ'을 입력하고, 네비게이션 버튼(220)의 ↗↗방향을 선택하여 자음 'ㅇ'을 입력하고, 네비게이션 버튼(220)의 ↗↑방향을 선택하여 자음 'ㅎ'을 입력하고, 포인트 버튼(221)(즉, ㆍ) 및 네비게이션 버튼(220)(즉, ↓)을 선택하여 모음 'ㅗ'를 입력하고, 네비게이션 버튼(220)(즉, ↓) 및 포인트 버튼(221)(즉, ㆍ) 을 선택하여 모음 'ㅏ'를 입력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영화'라는 단어를 입력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에 알파벳이 할당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 입력 장치(200)의 포인트 버튼(210) 및 네 비게이션 버튼(220)에 하나 이상의 기본 문자와 확대 문자가 각각 할당되며, 도 5b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150)에는 문자 단위와 그에 대응되는 버튼의 방향이 맵핑 테이블 형태로 저장된다. 여기서, 문자 단위는 음소로써, 즉 자음, 모음을 말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소정 단어를 입력하고자 할 경우 네비게이션 버튼(220)을 이용하여 기본 문자가 할당된 버튼을 1차로 선택한 후, 확장 문자가 할당된 버튼을 2차로 선택함으로써,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기본 문자는 단어를 구성하는 음소들 중 대표 모음 및 자음(예를 들어, A, I, U, E, O 및 T)을 말하며, 확장 문자는 대표 모음(또는, 대표 자음)에 대한 획의 유사성을 기초로 한 알파벳(예를 들어, A, I, U, E, O 및 T를 제외한 모든 알파벳)을 말한다. 여기서, 대표 모음(또는, 대표 자음)에 대한 획의 유사성을 기초로 한 확장 문자는 도 5a의 2에를 통해 나타낸 바와 같다.
또한, 기본 문자인 'A'군에는 대표 모음인 A와, 대표 모음에 대한 획의 유사성을 기초로 한 알파벳인 S, 및 Z가 포함되며, 'I'군에는 대표 모음인 I와 대표 모음에 대한 획의 유사성을 기초로 한 알파벳인 B, J, K, L, M, 및 N이 포함되며, 'U'군에는 대표 모음인 U와 대표 모음에 대한 획의 유사성을 기초로 한 알파벳인 V, 및 W가 포함되며, 'E'군에는 대표 모음인 E와 대표 모음에 대한 획의 유사성을 기초로한 알파벳인 F가 포함되며, 'O'군에는 대표 모음인 O와 대표 모음에 대한 획의 유사성을 기초로 한 알파벳인 C, D, G, Q, 및 R이 포함되며, 'T'군에는 대표 자음인 T와 대표 자음에 대한 획의 유사성을 기초로 한 알파벳인 H, 및 P가 포함된다.
도 5a의 1을 통해 나타낸 바와 같이, 기본 문자 6개(A, I, U, E, O 및 T)는 네비게이션 버튼(220) 및 포인트 버튼(210)에 각각 할당되어 있다. 즉, 소정 방향 방향(예를 들어, ↙, ↓, ↘, →, ㆍ, 및 ↑)으로 차례로 할당된다.
또한 대표 모음(또는, 대표 자음)에 대한 획의 유사성을 기초로 한 확장문자는 다음과 같이 입력된다. 즉 S, Z는 둘 다 획에서 ↙ 요소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대표 모음인 A를 나타내는 ↙를 누른 다음, 각각 ↘, →를 눌러서 입력하도록 하여 기억을 쉽게 하였다. 마찬가지로, J, N, L, K, M, B는 대표 모음인 I를 나타내는 ↓를 누른 후 모양에 따라 각각 ↙, ↘, →, ㆍ, ↗, ↑을 눌러서 입력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X, Y, V는 ↘ 다음에 각각 ↙, ↓ ↗, ↑를 누르며, F는 → 다음에 ↓를 누르고, G, D, Q, C, R은 ㆍ다음에 ↙, ↓, ↘, →, ↗을 누르고, P, H는 ↑ 다음에 ㆍ,→를 누르면 된다(여기서 ㆍ는 O 모양을 나타낸다고 생각하면 된다).
한편, 문자 입력 시 공백(스페이스)을 입력할 경우, 특수 기능 버튼(240)의 스페이스(■) 버튼을 선택하고, 입력된 문자를 삭제하는 백스페이스 기능은 네비게이션 버튼(220)의 좌측 방향(즉, ←)버튼에 할당하였다. 또한, 특수 기능 버튼(240)의 앵커 버튼을 이용하여 특수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cinema'라는 단어를 입력하기 위해서, 포인트 버튼(210) 및 네비게이션 버튼(220)(즉, ㆍ→)을 선택하여 'c'를 입력하고, 네비게이션 버튼(220)(즉, ↓↓)을 선택하여 'i'를 입력하고, 네비게이션 버튼(220)(즉, ↓↘)을 선택하여 자음 'n'을 입력하고, 네비게이션 버튼(220)(즉, →→)을 선택하여 'e'를 입력하고, 네비게이션 버튼(220)(즉, ↓↑)을 선택하여 'm'를 입력하고, 네비게이션 버튼(220)(즉, ↙↙)을 선택하여 'a'를 입력함으로써, 최종적으로 'cinema'라는 단어를 입력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에 일본어가 할당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 입력 장치(200)의 포인트 버튼(210) 및 네비게이션 버튼(220)에 하나 이상의 기본 문자와 확대 문자가 각각 할당되며, 도 6b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150)에는 문자 단위와 그에 대응되는 버튼의 방향이 맵핑 테이블 형태로 저장된다. 여기서, 문자 단위는 음절로써, 즉 오십음도를 말한다.
일본어는 오십 음 중 실지로 입력해야 하는 문자가 46개이므로, 단(段)에 따라 5행(行)을 모두 가진 아(あ), 가(か), 사(さ), 타(た), 나(な), 하(は), 마(ま), 및 라(ら)의 8단(段)을 ←, ↙, ↓, ↘, →, ↖, ↑, 및 ↗ 방향의 버튼 선택을 통해 입력하고, 나머지 야(や), 및 와(わ) 단(段)은 추가적인 버튼 선택을 통하여 입력된다.
또한, 아(あ), 이(い), 우(う), 에(え), 및 오(お)의 5행(行)은 ↙, ↓, ↘, →, 및 ↗ 방향의 버튼 선택을 통해 입력하는데, 오(お)를 제외하고는 영어의 모음 입력과 같은 입력 버튼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일본어는 요음, 촉음, 탁음, 및 반탁음이 있으므로 ㆍ 버튼을 통해 입력한다.
예를 들어, 일본어를 실제 입력할 경우 기본적으로 두 번의 버튼 입력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먼저 단(段)을 입력하고 다음에 행(行)을 입력하는 방식이다. 즉 , 아(あ), 가(か), 사(さ), 타(た), 나(な), 하(は), 마(ま), 및 라(ら)의 8단(段)을 먼저 입력한 후에 아(あ), 이(い), 우(う), 에(え), 및 오(お)의 5행(行)을 추가적으로 입력하는 것으로서 40음을 표현한다.
한편, 야(や), 유(ゆ), 요(よ), 와(わ), 오(を), 및 ㅇ(ん)의 6음은 네비게이션 버튼(220)(즉, ←←)를 연속으로 선택한 후에 ↖, ↑, ↗와, ↙, ↓, ↘ 방향의 버튼 선택을 통해 입력한다.
한편, 한자 변환을 위해서는 네비게이션 버튼(220)의 ← 방향을 선택한 후에 네비게이션 버튼(220)의 ↖방향을 선택하며, 스페이스는 ■ 버튼, 백스페이스는 좌측 방향(즉, ←)버튼 선택 후, 스페이스는 ■ 버튼을 선택하여 동작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えいが'라는 단어를 입력하기 위해서, 네비게이션 버튼(220)(즉, ←→)을 선택하여 'え'를 입력하고, 네비게이션 버튼(220)(즉, ←↓)을 선택하여 'い'를 입력하고, 네비게이션 버튼(220)(즉, ↙↙) 및 포인트 버튼(210)(즉, ㆍ)을 선택하여 자음 'が'을 입력함으로써, 최종적으로 'えいが'라는 단어를 입력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휴대용 장치(100)에 구비된 문자 입력 장치(200)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할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300)의 소정 위치에 문자 가이드 판(310)이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서, 문자 가이드 판(310)은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버튼에 할당된 문자 단위에서 확대될 수 있는 문자들의 배치 정보를 제공한 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안녕, 잘 지내고 있지?"라는 문장을 입력하고자 할 경우, "안녕, 잘 지내고"까지 입력하고, '있'이라는 단어를 입력할 때, 사용자는 문자 입력 버튼(200)에서 'ㅅ'을 누르면, 디스플레이 패널(300)에 문자 가이드 판(310)이 활성화 된다.
즉, 사용자가 'ㅅ' 버튼이 할당된 네비게이션 버튼(220)(즉, ↗)을 선택함으로써, 문자 가이드 판(310)에는 기본 문자 'ㅅ'의 확대 문자인 'ㅇ', 'ㅆ', 및 'ㅎ'의 방향 및 모음(즉, 천지인)의 방향이 표시된다. 이에, 사용자는 문자 가이드 판(310)에 표시된 'ㅇ'의 위치에 대응되는 네비게이션 버튼(220)(즉, ↘)을 선택하고, 모음 'l'가 할당된 네비게이션 버튼(220)(즉, ↓)을 선택한다. 여기서, 자음입력이 끝나거나 또는 모음이 처음으로 입력되면, 문자 가이드 판(310)은 기본 문자가 표시된다.
그 다음,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패널(300)에 활성화된 문자 가이드 판(310)을 참조하여 경음 'ㅆ'을 입력하기 위해 'ㅅ' 버튼이 할당된 네비게이션 버튼(220)(즉, ↗)을 선택하고, 문자 가이드 판(310)에는 기본 문자 'ㅅ' 확대 문자인 'ㅇ', 'ㅆ', 및 'ㅎ'이 표시되면 네비게이션 버튼(220)(즉, ↖)을 한번 더 눌러서 'ㅆ'을 입력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있' 단어가 입력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메뉴 항목을 선택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문자 입력 장치(200)에서 특수 기능 버 튼(240)의 앵커 버튼을 선택하여 메뉴 화면을 호출한다. 이에, 디스플레이 패널(300)에는 문자 입력 버튼(200)과 대응되는 형태로 메뉴 항목들이 디스플레이된다. 그 다음, 사용자가 선택을 원하는 메뉴 항목에 대응되는 문자 입력 버튼(200)(즉, ↓)을 선택하면, 디스플레이된 메뉴 항목 중 콜(call) 메뉴 항목이 선택된다.
그 다음, 디스플레이 패널(300)에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콜 메뉴 항목의 하부 메뉴들이 디스플레이 되고, 사용자가 문자 입력 버튼(200)을 이용하여 선택을 원하는 하부 메뉴 항목에 대응되는 문자 입력 버튼(200)(즉, →)을 선택하면, 하부 메뉴 항목들 중 폰 북(phone book) 메뉴 항목이 선택된다.
이에, 디스플레이 패널(300)에는 폰 북(phone book)의 세부 내용이 디스플레이된다.
따라서, 문자 입력 버튼(200)의 배치와 동일하게 메뉴 항목을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사용자는 직관적인 배치를 통해 소정 정보를 찾고 이용하는데 소요되는 노력 및 시간을 최소할 수 있다.
도 8b는 사용자가 문자 입력 장치(200)에서 특수 기능 버튼(240)의 앵커 버튼을 선택하여 메뉴 화면을 호출한다. 이에, 디스플레이 패널(300)에는 문자 입력 버튼(200)과 대응되는 형태로 메뉴 항목들이 디스플레이된다.
그 다음, 사용자는 문자 입력 장치(200)를 통해 이용을 원하는 메뉴 항목(예를 들어, 폰 북)을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디스플레이 패널(300)에는 폰 북(phone book)의 세부 내용이 디스플레이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문자 입력 버튼(200)을 통해 이용을 원하는 메뉴 항목을 직접 입력함으로써, 빠르게 원하는 메뉴 항목의 내용을 확인 및 검색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의 다양한 배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 입력 버튼(200)은 하나 이상의 문자 단위가 할당된 포인트 버튼(210)이 중앙에 위치되고, 포인트 버튼의 둘레에 하나 이상의 문자 단위가 할당된 다수의 네비게이션 버튼(220)이 위치되며, 네비게이션 버튼(220)의 외측면의 상하좌우에 소정의 메뉴 항목을 선택하는 조그셔틀 버튼(230)이 위치된다.
또한, 문자 입력을 위한 입력 창 및 소정 메뉴 화면을 호출하는 특수 기능 버튼(240)은 상기 포인트 버튼(210), 네비게이션 버튼(220), 및 조그셔틀 버튼(230)의 하측에 위치된다. 여기서, 특수 기능 버튼(240)의 위치는 다른 영역에 위치될 수도 있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 입력 버튼(200)은 하나 이상의 문자 단위가 할당된 포인트 버튼(210)이 중앙에 위치되고, 포인트 버튼(210)의 둘레에 하나 이상의 문자 단위가 할당된 다수의 네비게이션 버튼(220)이 위치된다. 여기서, 네비게이션 버튼(220)은 회전 가능하며, 이에 조그셔틀 버튼의 기능을 대신 수행한다.
또한, 문자 입력을 위한 입력 창 및 소정 메뉴 화면을 호출하는 특수 기능 버튼(240)은 상기 포인트 버튼(210), 및 네비게이션 버튼(220)의 우측에 위치된다. 여기서, 특수 기능 버튼(240)의 위치는 다른 영역에 위치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문자 를 입력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사용자로부터 발생된 문자 입력 장치의 버튼 선택 신호가 입력되면(S1000), 판단부(130)는 입력된 버튼 신호가 문자 입력 버튼 신호인지, 특수 기능을 요청하는 버튼 신호인지를 판단한다(S1010).
판단 결과 문자 입력 버튼 신호인 경우, 판단부(130)는 현재 휴대용 장치(100)에 설정되어 있는 문자 입력 모드의 종류가 무엇인지를 체크한다. 여기서, 문자 입력 모드의 종류는 한글 입력 모드, 알파벳 입력 모드, 일어 입력 모드, 및 숫자 입력 모드로 이해될 수 있다.
그 다음, 제어부(170)는 저장부(150)에서 사용자로부터 1차 선택된 버튼의 방향을 체크하고, 체크된 버튼 방향에 할당된 문자 단위를 검색한다(S1020, S1030). 그 다음, 제어부(170)는 사용자로부터 2차 선택된 버튼의 방향을 체크하고, 체크된 버튼 방향에 따른 문자 단위를 검색한다(S1040, S1050). 여기서, 1차 선택은 기본 문자를 선택하는 것이고, 2차 선택은 확장 문자를 선택하는 것으로, 최종적인 입력되는 문자는 1차에 선택된 기본 문자에 따른 확장 문자의 버튼 방향에 따라 결정된다.
그 다음, 제어부(140)는 검색된 문자 단위를 디스플레이부(160)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300)에 디스플레이 한다(S1060).
예를 들어, 현재 설정된 문자 입력 모드의 종류가 한글 입력 모드라고 가정하고, 사용자로부터 1차 선택된 네비게이션 버튼(220)의 방향이 ↙이고, 2차 선택된 네비게이션 버튼(220)의 방향이 ↖인 경우,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1차 선택 시 기본 문자 'ㄱ'을 선택함을 검색하고, 이 후 2차 선택 시 'ㄱ'의 경음인 'ㄲ'을 선택함을 체크한다. 이로써, 최종적으로 'ㄲ'이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로부터 하나 이상의 문자 단위가 선택될 경우, 문자 조합부(140)를 통해 조합된 문자를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판단 결과 특수 기능을 요청하는 버튼 신호인 경우(S1010), 제어부(170)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특수 기능 버튼(240)에 할당된 기능이 동작되도록 한다(S1070).
따라서, 사용자는 문자 입력 장치의 키 조합을 통해 입력을 원하는 문자를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으며, 문자 입력 장치가 원형으로 배열되어 문자 입력 시 버튼의 선택하는 동선의 길이가 짧아 빠르게 원하는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문자 입력 장치, 이를 구비한 휴대용 장치, 및 입력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원형으로 배열된 문자 입력 장치에서 두개의 버튼을 효율적으로 조합하여 보다 편리하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으며, 문자 입력 장치의 크기가 작으므로 사용자 의 엄지 손가락의 접근 영역에 모두 포함되므로, 문자 입력 시 동선의 길이가 짧아 빠르게 원하는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문자 입력 버튼의 배치가 문자의 모양 및 글자를 쓰는 방식과 관련 있게 배치되어 있으며, 문자 입력 시 직관적으로 알아볼 수 있는 문자 가이드 판이 활성화되어 사용자의 문자 입력에 도움을 줌으로써, 문자 입력을 용이하게 하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문자 입력 버튼의 배치를 원형으로 함에 따라 메뉴를 보다 대폭 간소화되고, 직관적으로 구성되어 정보를 찾고 이용하는데 걸리는 노력 및 시간을 최소화하도록 하여 소유비용 (total cost of ownership)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문자 입력 버튼의 크기가 작아 휴대용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고, 디자인적인 측면에서도 높은 상품성을 가질 수 있으며, 휴대폰, PDA, MP3 플레이어, PMP, 리모컨, 게임기 등의 다양한 휴대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16)

  1. 하나 이상의 문자 단위가 할당된 포인트 버튼; 및
    상기 포인트 버튼의 둘레에 하나 이상의 문자 단위가 할당된 다수의 네비게이션 버튼을 포함하는데,
    상기 포인트 버튼, 및 상기 네비게이션 버튼을 이용하여 소정 문자 입력 시 기본 문자가 할당된 버튼을 선택한 후, 확장 문자가 할당된 버튼을 선택하는 문자 입력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입력을 위한 입력 창 및 소정 메뉴 화면을 호출하는 특수 기능 버튼; 및
    상기 메뉴 화면에 제공된 소정 메뉴 항목을 선택하는 조그셔틀 버튼을 더 포함하는 문자 입력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단위는 음소, 음절, 및 숫자 중 어느 하나인 문자 입력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문자는 단어를 구성하는 음소 및 음절들 중 소정 음소 및 음절을 대표하는 문자이고, 확장 문자는 상기 기본 문자에서 확장되어 사용될 수 있는 문자인 문자 입력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네비게이션 버튼은 상기 포인트 버튼의 둘레에 원형으로 형성된 문자 입력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사용자로부터 발생된 문자 입력 장치의 버튼 선택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버튼 신호가 문자 입력 버튼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문자 입력 버튼 신호인 경우,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버튼의 방향 및 상기 선택된 버튼에 할당된 문자 단위를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체크된 문자 단위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는 문자 입력 시 기본 문자가 할당된 버튼을 선택한 후, 확장 문자가 할당된 버튼을 선택하는 문자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문자는 단어를 구성하는 음소 및 음절들 중 소정 음소 및 음절을 대표하는 문자이고, 확장 문자는 상기 기본 문자에서 확장되어 사용될 수 있는 문자인 문자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버튼에 할당된 문자 단위에서 확대될 수 있는 문자들의 배치 정보를 제공하는 문자 가이드 판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문자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
KR1020050094069A 2005-10-06 2005-10-06 문자 입력 장치, 이를 구비한 휴대용 장치, 및 입력 방법 KR1007459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4069A KR100745978B1 (ko) 2005-10-06 2005-10-06 문자 입력 장치, 이를 구비한 휴대용 장치, 및 입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4069A KR100745978B1 (ko) 2005-10-06 2005-10-06 문자 입력 장치, 이를 구비한 휴대용 장치, 및 입력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5978B1 true KR100745978B1 (ko) 2007-08-06

Family

ID=38601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4069A KR100745978B1 (ko) 2005-10-06 2005-10-06 문자 입력 장치, 이를 구비한 휴대용 장치, 및 입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597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2790A (ko) * 2002-04-18 2003-10-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제어기를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
KR20050058843A (ko) * 2003-12-12 2005-06-17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방향키를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KR20050110329A (ko) * 2004-05-18 2005-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 및 그 입력방법
KR20060056606A (ko) * 2004-11-22 2006-05-25 (주)싸이버뱅크 단말기의 네비게이션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2790A (ko) * 2002-04-18 2003-10-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제어기를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
KR20050058843A (ko) * 2003-12-12 2005-06-17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방향키를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KR20050110329A (ko) * 2004-05-18 2005-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 및 그 입력방법
KR20060056606A (ko) * 2004-11-22 2006-05-25 (주)싸이버뱅크 단말기의 네비게이션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41235B1 (en) Rapid entry of data and information on a reduced size input area
US7487147B2 (en) Predictive user interface
KR100377432B1 (ko) 문자/단어 생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정보통신 서비스 방법
US7719521B2 (en) Navigational interface providing auxiliary character support for mobile and wearable computers
KR100478020B1 (ko) 화면표시식키이입력장치
US6864809B2 (en) Korean language predictive mechanism for text entry by a user
US8117540B2 (en) Method and device incorporating improved text input mechanism
US20080291171A1 (en)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US20100302163A1 (en) Data entry system
WO2003029952A1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key assignment in enhanced user interface
KR20120006503A (ko) 개선된 텍스트 입력
TWI397001B (zh) 電子裝置之注音輸入系統與方法
KR20080097114A (ko)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JP4504571B2 (ja) 表意文字言語および非表意文字言語用テキスト入力システム
KR101791930B1 (ko) 문자입력 장치
JP2008059568A (ja) 数字キーを用いる文字入力装置及び文字入力方法
KR101216840B1 (ko) 일본어 자판 및 일본어 입력 시스템
KR100745978B1 (ko) 문자 입력 장치, 이를 구비한 휴대용 장치, 및 입력 방법
EP2668554A2 (en) Improved data entry systems
KR20100045617A (ko) 멀티 터치 인식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JP4659047B2 (ja) 文字入力装置及び該文字入力装置における文字入力方法
Chakraborty et al. BlindGuide: An audio based eyes-free caller guide for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KR20100110072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한글문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
TWI468986B (zh) 電子裝置、其輸入方法與電腦程式產品
KR100846042B1 (ko) 전기전자기기의 버튼효율 증대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