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0072A - 이동통신단말기의 한글문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의 한글문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0072A
KR20100110072A KR1020090028459A KR20090028459A KR20100110072A KR 20100110072 A KR20100110072 A KR 20100110072A KR 1020090028459 A KR1020090028459 A KR 1020090028459A KR 20090028459 A KR20090028459 A KR 20090028459A KR 20100110072 A KR20100110072 A KR 201001100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vowel
key
button
ke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8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5360B1 (ko
Inventor
윤기섭
Original Assignee
윤기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기섭 filed Critical 윤기섭
Priority to KR1020090028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5360B1/ko
Publication of KR20100110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00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5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53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한글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복수개의 키를 가지는 키패드입력부; 상기 키패드입력부의 입력에 따른 자소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키패드입력부의 입력에 대응되는 자소를 미리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자소를 한글문자로 조합하여 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공하는 한글문자완성부; 및 상기 구성부들에 접속되어 상기 구성부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키패드입력부는, '0' 내지 '9'로 구분되는 숫자키와 '*'과 '#'으로 구분되는 기능키들이 3×4 매트릭스를 가지며, 상기 숫자키 중 '1' 내지 '6'에 자음을 입력하기 위해 배열되는 복수개의 자음버튼; 상기 숫자키 중 '7' 내지 '9' 및 상기 기능키 중 '*' 또는 '#' 중 어느 하나에 모음을 입력하기 위해 배열되는 복수개의 모음버튼; 상기 숫자키 중 '0'에 다음 글자 위치로 커서 이동 및 빈칸 입력 기능을 위해 배열되는 스페이스버튼; 및 상기 기능키 중 모음입력을 위한 모음버튼이 배치되지 않은 '*' 또는 '#' 중 어느 하나에 특수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배열되는 특수문자버튼을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한글문자 입력장치가 제공된다.
이동통신단말기, 핸드폰, 한글, 문자, 자음, 모음, 키패드, 자판, 천지인, 나랏글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의 한글문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Korean language input device of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한글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한 손으로 휴대전화, PDA 등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한글문자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한글문자의 자음 입력시 운지거리를 최소화하고 모음 입력시 버튼 조작횟수를 최소화하며 복모음 입력시 순서에 관계없이 문자가 완성되도록 하여 한 손 사용에 최적화된 키패드 배열을 가질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한글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휴대전화나 PDA 및 문자메시지 서비스의 보급과 더불어 휴대용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한글을 입력하는 빈도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들이 보다 쉽게 익숙해지며 또한 입력을 위한 버튼 조작 횟수를 최소화하는 한글문자 입력장치 또는 입력방법 등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사용자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휴대용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한글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 및 입력 방법의 간단한 인지를 위한 버튼 배열 방식이 제시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이동통신단말기가 급속히 보급되면서 삼성전자, LG정보통신, SKT 및 모토롤라 등 이동통신단말기 생산업체들은 독자적으로 한글문자 입력방식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있다. 현재, 이동통신단말기에 적용되는 한글문자 키패드는 크게 자음의 기본자가 'ㄱ','ㄴ','ㄷ','ㅂ','ㅅ','ㅈ','ㅇ'과 모음의 기본자가 'l','ㅇ','ㅡ' 인 천지인 방식, 그리고 자음의 기본자가 'ㄹ','ㅇ','ㅁ','ㄱ','ㄴ','ㅅ'과 모음의 기본자가 'ㅏ','ㅗ','ㅡ','l'인 나랏글 방식 등이 대표적이다.
도 1a 내지 도 1d는 각각 삼성전자의 천지인 방식 키패드 배열, 엘지정보통신의 나랏글 방식 키패드 배열, 에스케이 스카이 단말기의 키패드 배열 및 모토롤라 단말기의 키패드 배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지인 방식의 한글문자 입력방식은 모음을 상단 3개의 'l','ㅇ','ㅡ' 키(Key)에 할당하고, 자음을 그 아래 7개의 'ㄱㅋ','ㄴㄹ','ㄷㅌ','ㅂㅍ','ㅅㅎ','ㅈㅊ','ㅇㅁ' 키에 각각 할당한 후 자음 14자, 모음 10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천지인 방식의 한글문자 입력방식은 자음을 입력할 때에는 입력할 자음이 배치된 버튼을 1회 내지 3회 눌러 입력하는 멀티탭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ㄱ'과 'ㅋ'이 배치된 4번 버튼에 있어서, 상기 4번을 한번 누르면 'ㄱ', 두 번 누르면 'ㅋ' 및 버튼에 표기되지 않지만 세 번 누르면 'ㄲ'이 입력된다. 또한, 모음을 입력할 때에는 글을 쓰듯이 버튼을 눌러 입력하면 되기 때문에 모음 자판을 따로 외울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으나, 모음을 획으로 분리하여 입력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ㅙ'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총 5회의 버튼을 눌러 입력해야 되므로 타수가 늘어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랏글 방식의 한글문자 입력방식은 초성에 3타 문자의 비율이 높아서 오타율이 높고, 중성은 1타 문자부터 6타 문자까지 분포되어 있어 3타이상은 오타율도 높고 입력능률이 떨어져 어쩔 수 없이 변칙형을 써서 타수를 줄일 수 밖에 없다. 단지, 종성에서만 ㅁ,ㄴ,ㄹ이 1타로 입력되므로 타수를 줄일 수 있을 뿐이다. 이와 같이, 나랏글 방식에서도 자음과 모음의 입력시 많은 타수가 사용되므로 입력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모음 ㅑ,ㅕ,ㅛ,ㅠ입력의 경우 ㅏ,ㅓ,ㅗ,ㅜ와 기능키 (*)를 조합하여 입력시키기 때문에 입력시 연상이 잘 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카이 방식의 한글문자 입력방식은 12개의 키패드 중 모음에 많은 수의 키를 할애하여 자음부분이 무척 취약해지는 문제점이 있고, 이로 인하여 자음 입력시 많은 타수가 요구되어 입력 속도가 느린 문제점이 있다.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토롤라 방식의 한글문자 입력방식은 모음 ㅑ,ㅕ,ㅛ,ㅠ입력의 경우 상기 나랏글 방식과 유사하게 ㅏ,ㅓ,ㅗ,ㅜ와 기능키(#)를 조합하여 입력시키므로 입력시 연상이 잘 되지 않는 단점이 있고, 자음의 경우 많은 자음이 2타 이상의 입력이 요구되어 입력속도가 느린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한글문자 입력방식은, 3ㅧ4 키패드 배열에 있어서, 자음과 모음의 배열이 상기 천지인 방식에서는 1 내지 3번에 모음이 배치되고 4 내지 0번에 자음이 배치되며, 상기 나랏글 방식에서는 3,6,9 및 0번에 모음이 배치되고 나머지에 자음이 배치되며, 상기 스카이 방식에서는 2,3,6,7번 및 기능키(#)에 모음이 배치되고 나머지에 자음이 배치되며, 상기 모토롤라 방식에서는 3 내지 6번에 모음이 배치되고 나머지에 자음이 배치되는 등 각각의 방식을 따르고 있으며, 상기와 같은 한글문자 입력 방식들은 모두 양손으로 키패드를 사용하는 경우 최적의 한글문자가 입력되도록 하는 키패드 배열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한글의 입력은 자음의 초성, 모음의 중성, 자음의 종성의 입력 순으로 이루어지고 통상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는 사용자의 한 손에 의해 파지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경우 사용자의 손에 의하여 키패드의 하부가 가려지는 경우가 많고, 특히, 자음의 경우 14개의 자소가 적은 숫자의 키패드에 배열되어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자음버튼을 한 눈에 주시하기가 불편하고 이로 인하여 상기와 같은 키패드의 자음과 모음의 배열은 매우 사용이 불편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키패드 한글문자 입력방식들은, 자음과 모음 입력을 위하여 0 내지 9번의 숫자키를 할당하고, 단자음의 쌍자음 변환 또는 단모음의 복모음 변환을 위하여 상기 번호키 이외의 기능키(*,#)까지 모두 할당하여 단모음과 단자음의 입력 이외에 단모음의 복모음 변환 또는 단자음의 쌍자음 변환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때문에, 한글문자 입력을 위한 자소들의 키패드 점유율이 높아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의 모든 배열에 따른 기능을 습득해야 한글 입력이 가능한 문제점이 있고, 또한, 한 손으로 키패드 사용시 사용자가 조작하기 힘든 위치의 키패드까지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 등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키패드 한글문자 입력방식들은, 한 개의 버튼을 연속 반 복 사용시 발생되는 자음충돌을 방지하는 띄어쓰기 기능을 위하여 상기 키패드에 구비된 번호키와 기능키(*,#) 이외에 이동통신단말기의 방향전환키 등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한 손으로 키패드 사용시 키패드 이외의 구성부 사용으로 인하여 운지거리가 증가하게 되고 상기 방향전환키 등의 사용후 다시 키패드의 사용시 한글문자의 연속입력이 방해되어 신속한 문자 입력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키패드 한글문자 입력방식들은, 10개의 기본모음 자소, 'ㅏ','ㅑ','ㅓ','ㅕ','ㅗ','ㅛ','ㅜ','ㅠ','ㅡ','ㅣ'의 입력이 모두 2번 이내에 이루어지지 않고 경우에 따라 3타 입력까지 요하는 경우가 발생하며, 복모음 자소, 'ㅐ','ㅔ','ㅘ','ㅚ','ㅝ','ㅟ','ㅖ','ㅢ','ㅞ','ㅒ','ㅙ'의 입력시 복모음의 획순대로 입력되지 않을 경우 예를 들면, 복모음 'ㅙ'의 경우 순서대로 'ㅗ','ㅏ','l' 또는 'ㅗ','ㅐ'를 입력해야만 하기 때문에, 상기 복모음 'ㅙ'를 순서대로 입력하지 않고 'ㅏ','l','ㅗ' 또는 'ㅐ','ㅗ' 등으로 입력할 경우 오타가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키패드 이외의 이동통신단말기의 방향전환키나 취소 또는 지움(Clear)키를 조작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한글의 획순서에 대한 인지능력이 낮은 어린이나 노인 또는 외국인 사용자의 경우 한글문자 입력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음을 키패드의 상단부에 배열하고 모음을 키패드의 하단부에 배열하여 사용자가 자음버튼을 한 눈에 주시하도록 하여 한 손으로도 간편하게 한글문자 입력을 가능하도록 최적화된 키패드 배열을 가지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한글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사용하는 손에 따라 조작하기 힘든 위치에 한글문자 입력을 위한 자소들의 키패드 점유율을 낮추어 사용자가 키패드의 배열에 대한 습득과 키패드의 사용을 간단히 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한글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한글문자의 입력시 다음 글자 위치로 커서 이동 및 빈칸 입력 기능을 가지는 기능키가 키패드의 번호키에 구비되어 운지거리를 최소화하고 신속한 문자 입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한글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10개의 기본모음 자소, 'ㅏ','ㅑ','ㅓ','ㅕ','ㅗ','ㅛ','ㅜ','ㅠ','ㅡ','ㅣ'의 입력이 모두 2번 이내에 이루어지도록 하여 타수를 줄이고 신속한 문자 입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한글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모음 자소, 'ㅐ','ㅔ','ㅘ','ㅚ','ㅝ','ㅟ','ㅖ','ㅢ','ㅞ','ㅒ','ㅙ'의 입력시 복모음의 획순대로 입력되지 않아도 자동으로 해당 복모음이 완성되도록 하여 문자 입력을 간편히 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한글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 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한글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복수개의 키를 가지는 키패드입력부; 상기 키패드입력부의 입력에 따른 자소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키패드입력부의 입력에 대응되는 자소를 미리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자소를 한글문자로 조합하여 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공하는 한글문자완성부; 및 상기 구성부들에 접속되어 상기 구성부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키패드입력부는, '0' 내지 '9'로 구분되는 숫자키와 '*'과 '#'으로 구분되는 기능키들이 3×4 매트릭스를 가지며, 상기 숫자키 중 '1' 내지 '6'에 자음을 입력하기 위해 배열되는 복수개의 자음버튼; 상기 숫자키 중 '7' 내지 '9' 및 상기 기능키 중 '*' 또는 '#' 중 어느 하나에 모음을 입력하기 위해 배열되는 복수개의 모음버튼; 상기 숫자키 중 '0'에 다음 글자 위치로 커서 이동 및 빈칸 입력 기능을 위해 배열되는 스페이스버튼; 및 상기 기능키 중 모음입력을 위한 모음버튼이 배치되지 않은 '*' 또는 '#' 중 어느 하나에 특수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배열되는 특수문자버튼을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한글문자 입력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복수개의 자음버튼은, 상기 숫자키 '1'에 자음 'ㄱㅋ'이 배치되어 누르는 횟수에 따라 'ㄱ','ㅋ' 및 'ㄲ'이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숫자키 '2'에 자음 'ㄴㅂㅍ'이 배치되어 누르는 횟수에 따라 'ㄴ','ㅂ','ㅍ' 및 'ㅃ'이 입력되도록 하며, 상기 숫자키 '3'에 자음 'ㄷㅌ'이 배치되어 누르는 횟수에 따라 ' ㄷ','ㅌ', 및 'ㄸ'이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숫자키 '4'에 자음 'ㄹㅁ'이 배치되어 누르는 횟수에 따라 'ㄹ','ㅁ', 및 'ㄻ(받침의 경우)'이 입력되도록 하며, 상기 숫자키 '5'에 자음 'ㅇㅅ'이 배치되어 누르는 횟수에 따라 'ㅇ','ㅅ', 및 'ㅆ'이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숫자키 '6'에 자음 'ㅈㅎㅊ'이 배치되어 누르는 횟수에 따라 'ㅈ','ㅎ','ㅊ' 및 'ㅉ'이 입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자음버튼은, 상기 숫자키 '2' 또는 '6'의 1회 입력 후 상기 숫자키 '5'가 1회 입력되고 이후 다시 숫자키 '2' 또는 '6'이 1회 입력되는 경우 'ㅃ' 또는 'ㅉ'이 입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모음버튼은, 상기 숫자키 '7'에 모음 'ㅏㅓ'가 배치되어 누르는 횟수에 따라 'ㅏ', 'ㅓ'가 표기되도록 하고, 상기 숫자키 '8'에 모음 'ㅗㅜ'가 배치되어 누르는 횟수에 따라 'ㅗ','ㅜ'가 표기되도록 하며, 상기 숫자키 '9'에 모음 'ㅣㅡ'가 배치되어 누르는 횟수에 따라 'ㅣ','ㅡ','ㅢ'가 표기되도록 하고, 상기 기능키 '*' 또는 '#' 중 어느 하나에는 모음 'ㅕㅠ'가 배치되어 누르는 횟수에 따라 'ㅕ','ㅠ'가 표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한글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복수개의 키를 가지는 키패드입력부, 상기 키패드입력부의 입력에 따른 자소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키패드입력부의 입력에 대응되는 자소를 미리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자소를 한글문자로 조합하여 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공하는 한글문자완성부 및 상기 구성부들에 접속되어 상기 구성부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한글문자 입력방법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입력부는, '0' 내지 '9'로 구분되는 숫자키와 '*'과 '#'으로 구분되는 기능키들이 3×4 매트릭스를 가지며, 상기 숫자키 중 '1' 내지 '6'에 자음을 입력하기 위해 배열되는 복수개의 자음버튼; 상기 숫자키 중 '7' 내지 '9' 및 상기 기능키 중 '*' 또는 '#' 중 어느 하나에 모음을 입력하기 위해 배열되는 복수개의 모음버튼; 상기 숫자키 중 '0'에 다음 글자 위치로 커서 이동 및 빈칸 입력 기능을 위해 배열되는 스페이스버튼; 및 상기 기능키 중 모음입력을 위한 모음버튼이 배치되지 않은 '*' 또는 '#' 중 어느 하나에 특수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배열되는 특수문자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숫자키 '1','3','4','5'의 1회 입력시 각각 'ㄱ','ㄷ','ㄹ','ㅇ'을 출력하고, 2회 입력시 각각 'ㅋ','ㅌ','ㅁ','ㅅ'을 출력하며, 3회 입력시 각각 'ㄲ','ㄸ','ㄻ(받침의 경우)','ㅆ'을 출력하고, 상기 숫자키 '2','6'의 1회 입력시 각각 'ㄴ','ㅈ'을 출력하고, 2회 입력시 각각 'ㅂ','ㅎ'을 출력하며, 3회 입력시 각각 'ㅍ','ㅊ'을 출력하고, 4회 입력시 각각 'ㅃ','ㅉ'을 출력하며, 상기 자음버튼 중 동일키의 단일 또는 복수 입력에 이어 연속적으로 복수키가 단일 또는 복수 입력되는 경우 받침자음(이중자음)을 출력하는 제1 단계; 상기 숫자키 '7' 내지 '9' 및 기능키 '*' 또는 '#' 중 어느 하나의 1회 입력시 각각 'ㅏ','ㅗ','ㅣ','ㅕ'를 출력하고, 2회 입력시 각각 'ㅓ','ㅜ','ㅡ','ㅠ'를 출력하며, 상기 숫자키 '9'의 3회 입력시 'ㅢ'를 출력하고, 상기 숫자키 '7' 내지 '9' 및 기능키 '*' 또는 '#' 중 동일키의 단일 또는 복수 입력에 이어 연속하여 복수키가 반복 입력되는 경우 복모음을 출력하는 제2 단계; 상기 숫자키 '0'의 입력시 다음 글자 위치로 커서 이동 및 빈칸 입력 기능이 실행되는 제3 단계; 및 상기 모음 버튼이 배치되지 않은 기능키 '*' 또는 '#' 중 어느 하나의 1회 입력시 '?'를 출력하고, 2회 입력시 '.'를 출력하며, 3회 입력시 특수문자모음 윈도우 창을 출력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한글문자 입력방법이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한 손으로 휴대전화, PDA 등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한글문자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한글문자의 자음 입력시 운지거리를 최소화하고 모음 입력시 버튼 조작횟수를 최소화하며 복모음 입력시 순서에 관계없이 문자가 완성되도록 하는 한 손 사용에 최적화된 키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키패드의 상측에 자음버튼을 구비하고 하측에 모음버튼을 구비하여, 한 손으로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시 손가락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 부분에 자음입력을 위한 자음버튼이 위치되도록 하여 자판을 외우지 못한 사용자가 빠르게 자음 자소를 찾을 수 있도록 하여 한글문자 입력을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사용하는 손에 따라 조작하기 힘든 위치에 한글문자 입력을 위한 자소들이 위치되는 것이 방지되어 사용자가 키패드의 배열에 대한 습득과 키패드의 사용을 간단히 할 수 있다.
또한, 한글문자의 입력시 다음 글자 위치로 커서 이동 및 빈칸 입력 기능을 가지는 스페이스버튼이 키패드의 숫자키 '0'에 구비되어 운지거리를 최소화하고 신속한 문자 입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10개의 기본모음 자소, 'ㅏ','ㅑ','ㅓ','ㅕ','ㅗ','ㅛ','ㅜ','ㅠ','ㅡ','ㅣ'의 입력이 모두 2번 이내에 이루어지도록 하여 타수를 줄이고 신속한 문자 입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복모음 자소, 'ㅐ','ㅔ','ㅘ','ㅚ','ㅝ','ㅟ','ㅖ','ㅢ','ㅞ','ㅒ','ㅙ'의 입력시 복모음의 획순대로 입력되지 않아도 자동으로 해당 복모음이 완성되도록 하여 문자 입력을 간편히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한글문자 입력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고, 도 3a와 도 3b는 각각 도 2의 한글문자 입력장치에 있어서 오른손 사용자와 왼손 사용자의 키패드입력부의 키패드의 배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한글문자 입력장치는, 한글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복수개의 키를 가지는 키패드입력부(110), 키패드입력부(110)의 입력에 따른 자소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20), 키패드입력부(110)의 입력에 대응되는 자소를 미리 저장된 데이터베이스(DB)로부터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자소를 한글문자로 조합하여 이를 디스플레이부(120)에 제공하는 한글문자완성부(130) 및 상기 구성부들에 접속되어 상기 구성부들을 제어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키패드입력부(110)는, '0' 내지 '9'로 구분되는 숫자키(N)와 '*'과 '#'으로 구분되는 기능키(F)들이 3×4 매트릭스를 가지며, 상기 숫자키(N) 중 '1' 내지 '6'에는 자음을 입력하기 위한 복수개의 자음버튼(S)이 배치되고, 상기 숫자키(N) 중 '7' 내지 '9' 및 상기 기능키(F) 중 '*' 또는 '#' 중 어느 하나에는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복수개의 모음버튼(V)이 배치되며, 상기 숫자키(N) 중 '0'에는 다음 글자 위치로 커서 이동 및 빈칸 입력 기능을 위한 스페이스버튼(SP)이 배치되고, 상기 기능키(F) 중 모음입력을 위한 모음버튼(V)이 배치되지 않은 '*' 또는 '#' 중 어느 하나에는 특수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특수문자버튼(SC)이 배치된다.
상기 복수개의 자음버튼(S)은, 숫자키(N) '1'에는 자음 'ㄱㅋ'이 배치되어 누르는 횟수에 따라 'ㄱ','ㅋ' 및 'ㄲ'이 입력되도록 하고, 숫자키(N) '2'에는 자음 'ㄴㅂㅍ'이 배치되어 누르는 횟수에 따라 'ㄴ','ㅂ','ㅍ' 및 'ㅃ'이 입력되도록 하며, 숫자키(N) '3'에는 자음 'ㄷㅌ'이 배치되어 누르는 횟수에 따라 'ㄷ','ㅌ', 및 'ㄸ'이 입력되도록 한다. 또한, 숫자키(N) '4'에는 자음 'ㄹㅁ'이 배치되어 누르는 횟수에 따라 'ㄹ','ㅁ', 및 'ㄻ(받침의 경우)'이 입력되도록 하고, 숫자키(N) '5'에는 자음 'ㅇㅅ'이 배치되어 누르는 횟수에 따라 'ㅇ','ㅅ', 및 'ㅆ'이 입력되도록 하며, 숫자키(N) '6'에는 자음 'ㅈㅎㅊ'이 배치되어 누르는 횟수에 따라 'ㅈ','ㅎ','ㅊ' 및 'ㅉ'이 입력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복수개의 자음버튼(S)에 의해 입력되는 자음자소를 표 1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표 1 복수개의 자음버튼에 의한 자음자소의 입력방식]
자음 자소 (오른손, 왼손 사용자에게 모두 동일함)
자소 숫자키 입력방법 누름횟수 구분
1 1 단자음
(기본자음+격음)
2 1
3 1
4 1
44 2
22 2
55 2
5 1
6 1
666 3
11 2
33 2
222 3
66 2
111 3 쌍자음(경음)
333 3
2222 또는 252 4 또는 3
555 3
6666 또는 656 4 또는 3
444 3 받침자음(이중자음)
155 3
26 2
266 3
41 2
422 3
455 3
433 3
4222 4
466 3
2255 4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복수개의 자음버튼(S)에 의하면, 총 30개의 자음자소를 총 6개의 숫자키(N)만을 이용하여 모두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음자소의 쌍자음 중 'ㅃ'과 'ㅉ'의 경우 각각 숫자키(N) '2'와 '6'을 총 4회 입력도록 하고 있으나, 입력횟수를 줄이기 위하여 상기 숫자키(N) '5'를 쌍자음 변환을 위한 변환키 기능을 가지도록 하여 예를 들면, 숫자키(N) '2' 또는 '6'의 1회 입력 후 상기 숫자키(N) '5'가 1회 입력되고 이후 다시 숫자키(N) '2' 또는 '6'이 1회 입력되는 경우 상기 'ㅃ' 또는 'ㅉ'이 입력되도록 하여 총 3회 이하의 키입력을 통하여 모든 단자음과 쌍자음이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음버튼(S) 중 숫자키(N) '4'가 3회 입력되는 경우 종성이 입력될 상황에서는 'ㄻ'이 입력되고 초성이 입력될 상황에서는 'ㄹ'이 입력되도록 하여 한글문자 입력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개의 모음버튼(V)은, 숫자키(N) '7'에는 모음 'ㅏㅓ'가 배치되어 누르는 횟수에 따라 'ㅏ', 'ㅓ'가 표기되도록 하고, 숫자키(N) '8'에는 모음 'ㅗㅜ'가 배치되어 누르는 횟수에 따라 'ㅗ','ㅜ'가 표기되도록 하며, 숫자키(N) '9'에는 모음 'ㅣㅡ'가 배치되어 누르는 횟수에 따라 'ㅣ','ㅡ','ㅢ'가 표기되도록 하고, 기능키(F) '*' 또는 '#' 중 어느 하나에는 모음 'ㅕㅠ'가 배치되어 누르는 횟수에 따라 'ㅕ','ㅠ'가 표기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복수개의 모음버튼(V)에 의해 표기되는 모음자소를 표 2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표 2 복수개의 모음버튼에 의한 모음자소의 입력방식]
모음 자소
자소 키패드 숫자키 또는 기능키 입력방법 누름횟수 구분
왼손 사용자 오른손 사용자
7 7 1 기본모음
7# 7* 2
77 77 2
# * 1
8 8 1
8# 8* 2
88 88 2
## ** 2
99 99 2
9 9 1
79 79 2 복모음
(조합모음)
779 779 3
87 87 2
89 89 2
887 887 3
889 889 3
#9 *9 2
999 999 3
8879 8879 4
7#9 7*9 3
879 879 3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복수개의 모음버튼(V)에 의하면, 3개의 숫자키(N)와 1개의 기능키(F)만을 이용하여 모음자소가 모두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음자소의 복모음 중 'ㅑ'와 'ㅛ'의 경우 각각 입력횟수를 줄이기 위하여 상기 기능키(F) '*' 또는 '#' 중 모음 'ㅕㅠ'가 배치된 버튼을 복자음 변환을 위한 변환키 기능을 가지도록 하여 예를 들면, 숫자키(N) '7' 또는 '8'의 1회 입력 후 기능키(F) '*' 또는 '#' 중 모음 'ㅕㅠ'가 배치된 버튼이 1회 입력되는 경우 상기 'ㅑ' 또는 'ㅛ'가 입력되도록 하여 총 2회 이하의 키입력을 통하여 10개의 기본모음 자소, 'ㅏ','ㅑ','ㅓ','ㅕ','ㅗ','ㅛ','ㅜ','ㅠ','ㅡ','ㅣ'가 모두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스페이스버튼(SP)은, 상기 숫자키(N) 중 '0'에 배치되어, 한글문자 입 력을 위한 자음 또는 모음의 자소 입력시 상기 숫자키(N) '0'이 입력되는 경우 글자를 입력 중인 상황에서는 자음 충돌 방지를 위해 빈칸 입력 없이 다음 글자 위치로 커서를 이동하며, 글자를 입력 중인 상황이 아니면 빈칸 입력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한글문자를 입력 중인 경우 빈칸을 띄우려면 스페이스 버튼(SP)을 2회 입력해야 하는데, 먼저, 스페이스를 1회 눌러 현재 글자에서 바로 다음 글자 위치로 커서를 옮긴 다음 다시 스페이스를 눌러 빈칸을 띄워야 한다. 상기와 같이 글자 입력 중 스페이스 누름이 바로 빈칸을 입력하지 않고 다음 글자로 이동만 하는 이유는 멀티탭 입력방식에서 발생되는 자음충돌을 피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상기 멀티탭 입력방식에서는 '국가'라는 한글문자의 입력시 '국'을 입력한 후 연속하여 '가'를 입력할 경우 '구카'로 입력되는데, 상기 자음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국'을 입력한 후 상기 스페이스 버튼(SP)을 1회 입력하여 커서를 다음 글자 위치로 이동시킨 후 '가'를 입력하면 '국가'로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스페이스버튼(SP)에 의하면, 다음 글자 위치로 커서 이동 및 빈칸 입력 기능을 가지는 버튼이 키패드입력부(110) 상의 숫자키(N) '0'에 구비됨으로써, 한글문자 입력 중 다음 글자 위치로 커서 이동 및 빈칸 입력 기능을 위하여 상기 키패드입력부(110) 이외에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의 방향전환키(미도시) 등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어 운지거리를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한글문자 입력을 연속적으로 가능하게 하여 즉, 키패드를 입력하다 다음 글자로 커서 이동 및 빈칸 입력 기능을 위하여 키패드를 벗어난 위치의 방향전 환키를 누른 후 다시 키패드로 원위치하는 과정 없이 바로 키패드 상에서 띄어쓰기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신속하게 한글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문장을 입력한 후 문장 중간에 새로운 내용을 추가 입력하는 경우, 천지인, 나랏글 등에서는 빈칸을 입력하는 것이 어렵지만, 본 발명은 방향키와 스페이스 버튼을 사용하여 빈칸 입력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특수문자버튼(SC)은, 기능키(F) 중 모음입력을 위한 모음버튼(V)이 배치되지 않은 '*' 또는 '#' 중 어느 하나에, 특수문자 '?.'가 배치되어 누르는 횟수에 따라 1회 입력시 '?', 2회 입력시 '.'가 표기되고 3회 입력시 '특수문자' 윈도우가 오픈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특수문자버튼(SC)에 의하면, 특수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기능을 가지는 버튼이 키패드입력부(110) 상의 기능키(F) '*' 또는 '#'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버튼의 입력에 따라 사용빈도가 높은 '?' 또는 '.'이 직접 입력되도록 함으로써, 한글문자 입력 중 특수문자 입력을 위하여 상기 키패드입력부(110) 이외에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의 특수문자 기능키를 이용하여 특수문자 윈도우를 오픈하지 않아도 되어 한글문자 입력을 신속적으로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능키(F) 중 '*' 또는 '#'은, 사용자가 왼손을 주로 이용하는 경우 상기 '*'에는 특수문자버튼(SC)이 배치되고 상기 '#'에는 모음버튼(V)이 배치되며, 사용자가 오른손을 주로 이용하는 경우 상기 '*'에는 모음버튼(V)이 배치되고 상기 '#'에는 특수문자버튼(SC)이 배치되어, 해당 손가락이 근접하기 쉬운 위치에 사용빈도가 높은 모음이 배치되도록 하여 보다 용이한 한글문자 입력이 가능하 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키패드입력부(110) 숫자키(N)와 기능키(F)의 입력에 대응되는 자음버튼(S), 모음버튼(V), 스페이스버튼(SP) 및 특수문자버튼(SC)의 배열과 입력횟수와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20)에 표기되는 자소의 실시예를 표 3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표 3 키패드입력부의 배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자소의 실시예]
버튼명/입력횟수 1회입력 2회입력 3회입력 4회입력 기타 기능
1
2
3
4 ㄻ(받침의 경우)
5 버튼 2 또는 6의 1회 입력, 버튼 5의 1회 입력 후 버튼 2 또는 6의 1회 입력시
‘ㅃ’ 또는 ‘ㅉ’ 변환 기능키
6
7
8
9
* 오른손 버튼 7 또는 8의 1회 입력 후 1회 입력시
‘ㅑ’ 또는 ‘ㅛ’변환 기능키
왼손 ? . 특수문자
0 빈칸 입력 글자 입력 중이 아닐때
다음글자 위치로 커서 이동 빈칸 입력 글자 입력 중일때
(자음충돌 방지)
# 오른손 ? . 특수문자
왼손 버튼 7 또는 8의 1회 입력 후 1회 입력시
‘ㅑ’ 또는 ‘ㅛ’변환 기능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키패드입력부(110)에 의하면, 상기 복수개의 자음버 튼(S)은 키패드입력부(110)의 상측 즉, 숫자키(N) 중 '1' 내지 '6'에 배열되고 상기 복수개의 모음버튼(V)은 키패드입력부(110)의 하측 즉, 숫자키(N) 중 '7' 내지 '9' 및 기능키(F) 중 '*' 또는 '#' 중 어느 하나에 배열됨으로써, 한 손으로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시 손가락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 부분에 자음입력을 위한 자음버튼(S)이 위치되도록 하여 자판을 외우지 못한 사용자가 빠르게 자음 자소를 찾을 수 있도록 하여 한글문자 입력을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조작하기 힘든 위치에 한글문자 입력을 위한 자소들이 위치되는 것이 방지되어 즉, 사용빈도가 높은 모음이 사용자가 주로 사용하는 손에 따라 기능키(F) 중 '*' 또는 '#'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배치되어 사용자가 키패드의 배열에 대한 습득과 키패드의 사용을 간단히 할 수 있다.
또한, 한글문자의 입력시 다음 글자 위치로 커서 이동 및 빈칸 입력 기능을 가지는 스페이스버튼(SP)이 키패드의 숫자키(N) '0'에 구비되어 키패드 이외에 구성된 이동통신단말기의 방향전환키 등을 사용하지 않아 운지거리를 최소화하고 신속한 문자 입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10개의 기본모음 자소, 'ㅏ','ㅑ','ㅓ','ㅕ','ㅗ','ㅛ','ㅜ','ㅠ','ㅡ','ㅣ'의 입력이 모두 2번 이내에 이루어지도록 하여 타수를 줄이고 신속한 문자 입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20)는, 키패드입력부(110)로부터 입력되는 한글문자가 출력되기 위한 공지의 LCD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수단으로써, 이동통신단말기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한글문자완성부(130)는, 키패드입력부(110)의 입력에 대응되는 자소를 미리 저장된 데이터베이스(DB)로부터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자소를 한글문자로 조합하여 이를 디스플레이부(120)에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데이터베이스(DB)에는 표 1 내지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키패드입력부(110)의 입력에 대응되는 자음자소입력, 모음자소입력, 다음 글자 위치로 커서 이동 및 빈칸 입력, 특수문자입력, 'ㅃ' 또는 'ㅉ' 변환입력 및 'ㅑ' 또는 'ㅛ'변환입력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데이터가 저장되고, 사용자에 의해 키패드입력부(110)로부터 발생되는 입력에 따라 자음, 모음, 다음 글자 위치로 커서 이동 및 빈칸 입력, 특수문자 및 변환입력 등을 조합하여 해당 한글문자를 완성하고 이를 디스플레이부(120)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한글문자완성부(130)는, 상기 키패드입력부(110)의 모음버튼(V)의 입력 중 복모음 자소, 'ㅐ','ㅔ','ㅘ','ㅚ','ㅝ','ㅟ','ㅖ','ㅢ','ㅞ','ㅒ','ㅙ'에 해당하는 키 입력시, 상기 표 2에서와 같이 해당 복모음이 획순대로 입력되지 않아도 자동으로 해당 복모음으로 완성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DB)에는 복수개의 모음버튼에 의한 모음자소 중 복모음의 자동완성을 위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종래의 한글문자 표기방식에서는 상기 표 2에서와 같이, 복모음 'ㅙ'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숫자키(N) '8','7','9'의 연속 입력에 따라 'ㅗ','ㅏ','ㅣ'가 연속 입력되어 'ㅙ'로 조합되어야 하지만, 본 발명의 한글문자완성부(130)에 의하면, 복모음 'ㅙ'의 입력시, 숫자키(N) '8','7','9'의 연속 입력 이외에도, 숫자 키(N) '8','9','7'이 연속 입력되어 'ㅗ','ㅣ','ㅏ'가 연속 입력되거나, 또는, 숫자키(N) '9','8','7'이 연속 입력되어 'ㅣ','ㅗ','ㅏ'가 연속 입력되거나, 또는, 숫자키(N) '9','7','8'이 연속 입력되어 'ㅣ','ㅏ','ㅗ'가 연속 입력되거나, 또는, 숫자키(N) '7','8','9'가 연속 입력되어 'ㅏ','ㅗ','ㅣ'가 연속 입력되거나, 또는 숫자키(N) '7','9','8'이 연속 입력되어 'ㅏ','ㅣ','ㅗ'가 연속 입력되어도, 모두 복모음 'ㅙ'로 조합 완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한글문자완성부(130)에 의하여 복모음이 획수의 순서대로 입력되지 않아도 해당 복모음으로 자동 완성되는 실시예를 표 4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표 4 한글문자완성부에 의한 복모음의 자동완성 실시예 ]
복모음 자소순서 키패드입력 복모음 자소순서 키패드입력
ㅏㅣ 79 ㅜㅓㅣ 8879
ㅣㅏ 97 ㅜㅣㅓ 8897
ㅓㅣ 779 ㅣㅓㅜ 9778
ㅣㅓ 977 ㅣㅜㅓ 9887
ㅗㅏ 87 ㅓㅣㅜ 7798
ㅏㅗ 78 ㅓㅜㅣ 7789
ㅗㅣ 89 ㅑㅣ 오른손 7*9
왼손 7#9
ㅣㅗ 98 ㅣㅑ 오른손 97*
왼손 97#
ㅜㅓ 887 ㅗㅏㅣ 879
ㅓㅜ 778 ㅗㅣㅏ 897
ㅜㅣ 889 ㅣㅗㅏ 987
ㅣㅜ 988 ㅣㅏㅗ 978
ㅕㅣ 오른손 *9 ㅏㅗㅣ 789
왼손 #9
ㅣㅕ 오른손 9* ㅏㅣㅗ 798
왼손 9#
ㅣㅣㅣ 999
따라서 상기와 같은 한글문자완성부(130)에 의하면, 복모음 자소, 'ㅐ','ㅔ','ㅘ','ㅚ','ㅝ','ㅟ','ㅖ','ㅢ','ㅞ','ㅒ','ㅙ'의 입력시 복모음의 획순대로 입력되지 않아도 자동으로 해당 복모음이 완성되도록 하여 문자 입력을 간편히 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한 손 사용에 최적화된 키패드 배열을 가지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한글문자 입력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한글문자 입력방법을 나타낸 제어흐름도이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이동통신단말기의 해당 기능키를 통하여 한글문자 입력을 위한 모드로 진입한 상태에서 키패드입력부(110)로부터 해당 자소가 입력된다(S100).
이후, 한글문자완성부(130)에 의해 상기 단계에서 입력된 자소가 자음인지 여부가 판단된다(S105).
상기 S105 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입력된 자소가 자음이면, 한글문자완성부(130)에 의해 상기 자소 문자 다음에 격음기능, 경음기능 및 받침기능을 위한 동일키의 연속 입력 또는 복수키의 연속 입력이 발생되는지 판단된다(S110).
이후, 상기 S110 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자소 문자 다음에 격음기능, 경음기능 및 받침기능을 위한 동일키 또는 복수키의 연속입력이 발생되면, 한글문자완성부(130)에 의해 상기 입력된 자소의 격자음 또는 경자음 또는 받침자음이 디스플레이부(120)에 출력되고(S115), 그렇지 않으면, 한글문자완성부(130)에 의해 상기 입력된 자소에 대응되는 기본자음이 디스플레이부(120)에 출력된다(S120).
다시 말해서, 한글문자완성부(130)는 자음버튼(S) 중 숫자키(N) '1','3','4','5'의 1회 입력시 각각 'ㄱ','ㄷ','ㄹ','ㅇ'을 출력하고, 2회 입력시 각각 'ㅋ','ㅌ','ㅁ','ㅅ'을 출력하며, 3회 입력시 각각 'ㄲ','ㄸ','ㄻ(받침의 경우)','ㅆ'을 출력한다. 또한, 한글문자완성부(130)는 자음버튼(S) 중 숫자키(N) '2','6'이 각각 1회 입력되고 연속하여 숫자키(N) '5'가 1회 입력된 후 연속하여 숫자키(N) '2','6'이 각각 1회 입력되는 경우 각각 'ㅃ','ㅉ'을 출력하고, 숫자키(N) '2','6'의 1회 입력시 각각 'ㄴ','ㅈ'을 출력하고, 2회 입력시 각각 'ㅂ','ㅎ'을 출력하며, 3회 입력시 각각 'ㅍ','ㅊ'을 출력하고, 4회 입력시 각각 'ㅃ','ㅉ'을 출력한다. 또한, 한글문자완성부(130)는 자음버튼(S) 중 동일키의 단일 또는 복수 입력에 이어 연속적으로 복수키가 단일 또는 복수 입력되는 경우 받침자음(이중자음)을 출력한다.
한편, 상기 S105 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입력된 자소가 자음이 아니면, 한글문자완성부(130)에 의해 상기 입력된 자소가 모음인지 여부가 판단된다(S125).
상기 S125 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입력된 자소가 모음이면, 한글문자완성부(130)에 의해 상기 자소가 복수개의 키 입력에 의한 조합 자소인지 여부가 판단된다(S130).
이후, 상기 S130 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자소가 복수개의 키 입력(기능키(F) 입력 예외)에 의한 조합자소 즉 복모음이면, 한글문자완성부(130)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키 입력에 대응되는 조합모음이 출력되고(S135), 그렇지 않으면, 한글문자완성부(130)에 의해 상기 입력된 자소에 대응되는 모음이 출력된다(S140).
다시 말해서, 한글문자완성부(130)는 모음버튼(V) 중 숫자키(N) '7' 내지 '9' 및 기능키(F) '*' 또는 '#'의 1회 입력시 각각 'ㅏ','ㅗ','ㅣ','ㅕ'를 출력하고, 2회 입력시 각각 'ㅓ','ㅜ','ㅡ','ㅠ'를 출력하며, 숫자키(N) '9'의 3회 입력시 'ㅢ'를 출력한다. 또한, 한글문자완성부(130)는 숫자키(N) '7' 또는 '8'의 1회 입력 후 기능키(F) '*' 또는 '#'이 1회 입력되는 경우 상기 'ㅑ' 또는 'ㅛ'가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한글문자완성부(130)는, 모음버튼(V) 중 숫자키(N) '7' 내지 '9' 및 기능키(F) '*' 또는 '#' 중 동일키의 단일 또는 복수 입력에 이어 연속하여 복수키가 반복 입력되는 경우 상기 표 2와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합모음 즉, 복모음을 출력하게 한다.
한편, 상기 S125 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입력된 자소가 모음이 아니면, 한글문자완성부(130)에 의해 상기 입력된 자소가 스페이스인지 여부가 판단된다(S145).
상기 S145 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입력된 자소가 스페이스면, 한글문자완성부(130)에 의해 한글 문자의 조합(다시 말해서, 초성의 자음과 중성의 모음 및 종성의 자음이 하나의 문자로 조합되기 위한 입력) 중인지 여부가 판단되고(S150), 상기 S150 단계의 판단결과 한글 문자가 조합 중이면 자음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음 글자로 커서가 이동되고(S155 단계), 상기 S150 단계의 판단결과 한글 문자가 조합 중이 아니면 빈칸이 입력된다(S160 단계).
다시 말해서, 한글문자완성부(130)는 숫자키(N) '0' 이 입력되면 현재 작성 중인 한글문자 입력 모드의 문자 작성창에서 문자가 조합 중이면 다음 글자로 커서를 이동시키고, 한글 문자의 조합이 완료된 상태이면 빈칸 입력(띄어쓰기)을 수행 한다.
한편, 상기 S145 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입력된 자소가 스페이스가 아니면, 한글문자완성부(130)에 의해 상기 입력된 자소가 특수문자로 판단되고, 한글문자완성부(130)에 의해 해당 특수문자가 출력된다(S165).
다시 말해서, 한글문자완성부(130)는 모음 버튼이 배치되지 않은 기능키(F) '*' 또는 '#' 중 어느 하나의 1회 입력시 '?'를 출력하고, 2회 입력시 '.'를 출력하며, 3회 입력시 특수문자모음 윈도우 창을 출력한다.
상기와 같은 한글문자 입력방식과 종래의 한글문자 입력방식에 있어서 같은 문장을 입력할 때의 실시예를 표 5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표 5 본 발명의 한글문자 입력방식과 종래의 한글문자 입력방식에서의 문장 작성 비교]
한글입력방 식 문장 키패드입력 타수 총 타수
천지인
한글입력방 식
사랑해 812 55120 88121 13 93
지금전화해줘 91 4300 9215 882312 88121 93221 26
늦을꺼같으니깐조금만기다려줘 539 0355 44421 41266 03 51 444125 923 4300 00125 41 612 55221 93221 54
나랏글
한글입력방 식
사랑해 73 438 8*39 9 80
지금전화해줘 7*9 105 7*332 8*63 8*39 7*663 24
늦을꺼같으니깐조금만기다려줘 207* 804 1#33 132** 80 29 1#32 7*6 105 532 19 2*3 433* 7*663 47
스카이
한 글
입 력
방 식
사랑해 773 5530 0032 11 78
지금전화해줘 *2 1227 *65 0093 0032 *#6 20
늦을꺼같으니깐조금만기다려줘 522* 02255 1116 1344 022 52 11135 *9 1227 735 12 43 5566 *#6 47
모 토
롤 라
한 글
입 력
방 식
사랑해 83 530 0039 9 82
지금전화해줘 *9 19922 *332 0063 0039 *663 23
늦을꺼같으니깐조금만기다려줘 299* 0995 11133 1344 099 29 11132 *6 19922 2232 1943 533# *663 50

발명의
한글입력방 식
사랑해 557 475 6679 10 81
지금전화해줘 69 19944 6772 6687 6679 6887 23
늦을꺼같으니깐조금만기다려줘 2996 5994 11177 1733 599 29 11172 68 19944 4472 19 37 4* 6887 48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한 손 사용에 최적화된 키패드 배열을 가지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한글문자 입력방법은, 상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한글문자 입력방식에 비하여 비교적 적은 타수로 신속하게 한글문자 입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한 손으로 휴대전화, PDA 등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한글문자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한글문자의 자음 입력시 운지거리를 최소화하고 모음 입력시 버튼 조작횟수를 최소화하며 복모음 입력시 순서에 관계없이 문자가 완성되도록 하는 한 손 사용에 최적화된 키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키패드의 상측에 자음버튼을 구비하고 하측에 모음버튼을 구비하여, 한 손으로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시 손가락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 부분에 자음입력을 위한 자음버튼이 위치되도록 하여 자판을 외우지 못한 사용자가 빠르게 자음 자소를 찾을 수 있도록 하여 한글문자 입력을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조작하기 힘든 위치에 한글문자 입력을 위한 자소들이 위치되는 것이 방지되어 사용자가 키패드의 배열에 대한 습득과 키패드의 사용을 간단히 할 수 있다.
또한, 한글문자의 입력시 다음 글자 위치로 커서 이동 및 빈칸 입력 기능을 가지는 스페이스버튼이 키패드의 숫자키 '0'에 구비되어 운지거리를 최소화하고 신속한 문자 입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10개의 기본모음 자소, 'ㅏ','ㅑ','ㅓ','ㅕ','ㅗ','ㅛ','ㅜ','ㅠ','ㅡ','ㅣ'의 입력이 모두 2번 이내에 이루어지도록 하여 타수를 줄이고 신속한 문자 입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복모음 자소, 'ㅐ','ㅔ','ㅘ','ㅚ','ㅝ','ㅟ','ㅖ','ㅢ','ㅞ','ㅒ','ㅙ'의 입력시 복모음의 획순대로 입력되지 않아도 자동으로 해당 복모음이 완성되도록 하여 문자 입력을 간편히 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도 1a 내지 도 1d는 각각 삼성전자의 천지인 방식 키패드 배열, 엘지정보통신의 나랏글 방식 키패드 배열, 에스케이 스카이 단말기의 키패드 배열 및 모토롤라 단말기의 키패드 배열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한글문자 입력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3a와 도 3b는 각각 도 2의 한글문자 입력장치에 있어서 오른손 사용자와 왼손 사용자의 키패드입력부의 키패드의 배열을 나타낸 도면; 및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한글문자 입력방법을 나타낸 제어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키패드입력부 120 : 디스플레이부
130 : 한글문자완성부 140 : 제어부
N : 숫자키 F : 기능키
S : 자음버튼 V : 모음버튼
SP : 스페이스버튼 SC : 특수문자버튼

Claims (14)

  1. 한글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복수개의 키를 가지는 키패드입력부(110);
    키패드입력부(110)의 입력에 따른 자소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20);
    키패드입력부(110)의 입력에 대응되는 자소를 미리 저장된 데이터베이스(DB)로부터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자소를 한글문자로 조합하여 이를 디스플레이부(120)에 제공하는 한글문자완성부(130); 및 상기 구성부들에 접속되어 상기 구성부들을 제어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하며,
    상기 키패드입력부(110)는,
    '0' 내지 '9'로 구분되는 숫자키(N)와 '*'과 '#'으로 구분되는 기능키(F)들이 3×4 매트릭스를 가지며,
    상기 숫자키(N) 중 '1' 내지 '6'에는 자음을 입력하기 위해 배열되는 복수개의 자음버튼(S);
    상기 숫자키(N) 중 '7' 내지 '9' 및 상기 기능키(F) 중 '*' 또는 '#' 중 어느 하나에는 모음을 입력하기 위해 배열되는 복수개의 모음버튼(V);
    상기 숫자키(N) 중 '0'에는 다음 글자 위치로 커서 이동 및 빈칸 입력 기능을 위해 배열되는 스페이스버튼(SP); 및
    상기 기능키(F) 중 모음입력을 위한 모음버튼(V)이 배치되지 않은 '*' 또는 '#' 중 어느 하나에 특수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배열되는 특수문자버튼(S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한글문자 입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자음버튼(S)은,
    상기 숫자키(N) '1'에 자음 'ㄱㅋ'이 배치되어 누르는 횟수에 따라 'ㄱ','ㅋ' 및 'ㄲ'이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숫자키(N) '2'에 자음 'ㄴㅂㅍ'이 배치되어 누르는 횟수에 따라 'ㄴ','ㅂ','ㅍ' 및 'ㅃ'이 입력되도록 하며,
    상기 숫자키(N) '3'에 자음 'ㄷㅌ'이 배치되어 누르는 횟수에 따라 'ㄷ','ㅌ', 및 'ㄸ'이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숫자키(N) '4'에 자음 'ㄹㅁ'이 배치되어 누르는 횟수에 따라 'ㄹ','ㅁ', 및 'ㄻ(받침의 경우)'이 입력되도록 하며,
    상기 숫자키(N) '5'에 자음 'ㅇㅅ'이 배치되어 누르는 횟수에 따라 'ㅇ','ㅅ', 및 'ㅆ'이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숫자키(N) '6'에 자음 'ㅈㅎㅊ'이 배치되어 누르는 횟수에 따라 'ㅈ','ㅎ','ㅊ' 및 'ㅉ'이 입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한글문자 입력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자음버튼(S)은,
    상기 숫자키(N) '2' 또는 '6'의 1회 입력 후 상기 숫자키(N) '5'가 1회 입력되고 이후 다시 숫자키(N) '2' 또는 '6'이 1회 입력되는 경우 'ㅃ' 또는 'ㅉ'이 입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한글문자 입력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모음버튼(V)은,
    상기 숫자키(N) '7'에 모음 'ㅏㅓ'가 배치되어 누르는 횟수에 따라 'ㅏ', 'ㅓ'가 표기되도록 하고,
    상기 숫자키(N) '8'에 모음 'ㅗㅜ'가 배치되어 누르는 횟수에 따라 'ㅗ','ㅜ'가 표기되도록 하며,
    상기 숫자키(N) '9'에 모음 'ㅣㅡ'가 배치되어 누르는 횟수에 따라 'ㅣ','ㅡ','ㅢ'가 표기되도록 하고,
    상기 기능키(F) '*' 또는 '#' 중 어느 하나에 모음 'ㅕㅠ'가 배치되어 누르는 횟수에 따라 'ㅕ','ㅠ'가 표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한글문자 입력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모음버튼(V)은,
    상기 숫자키(N) '7' 또는 '8'의 1회 입력 후 모음버튼(V)이 배치된 기능키(F) '*' 또는 '#' 중 어느 하나가 1회 입력되는 경우 'ㅑ' 또는 'ㅛ'가 입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한글문자 입력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문자버튼(SC)은, 특수문자 '?.'가 배치되어 누르는 횟수에 따라 1회 입력시 '?', 2회 입력시 '.'가 표기되고 3회 입력시 '특수문자' 윈도우가 오픈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한글문자 입 력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글문자완성부(130)는,
    상기 키패드입력부(110)의 모음버튼(V)의 입력 중 복모음 자소, 'ㅐ','ㅔ','ㅘ','ㅚ','ㅝ','ㅟ','ㅖ','ㅢ','ㅞ','ㅒ','ㅙ'에 해당하는 키 입력시, 해당 복모음이 획순대로 입력되지 않아도 자동으로 해당 복모음으로 완성되도록 상기 데이터베이스(DB)에 복수개의 모음버튼에 의한 모음자소 중 복모음의 자동완성을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한글문자 입력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입력부(110)는,
    '0' 내지 '9'로 구분되는 숫자키(N)와 '*'과 '#'으로 구분되는 기능키(F)들이 3ㅧ4 매트릭스를 가지며,
    상기 숫자키(N) 중
    어느 하나에 단모음 'ㅏㅓ'가 배치되어 누르는 횟수에 따라 'ㅏ', 'ㅓ'가 표기되도록 하고,
    다른 하나에 단모음 'ㅗㅜ'가 배치되어 누르는 횟수에 따라 'ㅗ','ㅜ'가 표기되도록 하며,
    또 다른 하나에 단모음 'ㅣㅡ'가 배치되어 누르는 횟수에 따라 'ㅣ','ㅡ','ㅢ'가 표기되도록 하고,
    또 다른 하나에 복모음 'ㅕㅠ'가 배치되어 누르는 횟수에 따라 'ㅕ','ㅠ'가 표기되도록 하며,
    'ㅑ'는 상기 'ㅏㅓ'버튼 1회 입력과 상기 'ㅕㅠ'버튼 1회 입력을 통해 표기되도록 하고,
    'ㅛ'는 상기 'ㅗㅜ'버튼 1회 입력과 상기 'ㅕㅠ'버튼 1회 입력을 통해 표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한글문자 입력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입력부(110)는,
    오른손 사용자일 경우 상기 '*'에는 모음버튼(V)이 배치되고 상기 '#'에는 특수문자버튼(SC)이 배치되고,
    왼손 사용자일 경우 상기 '*'에는 특수문자버튼(SC)이 배치되고 상기 '#'에는 모음버튼(V)이 배치되도록 하며,
    상기 조건은 선택적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한글문자 입력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숫자키(N) 중 '0'에 배열된 스페이스버튼(SP)은,
    한글문자의 조합시 자음충돌 방지를 위해 다음 글자 위치로 커서 이동시키고,
    한글문자의 조합완료시 빈칸을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한글문자 입력장치.
  11. 한글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복수개의 키를 가지는 키패드입력부(110), 키패드입력부(110)의 입력에 따른 자소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20), 키패드입력부(110)의 입력에 대응되는 자소를 미리 저장된 데이터베이스(DB)로부터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자소를 한글문자로 조합하여 이를 디스플레이부(120)에 제공하는 한글문자완성부(130) 및 상기 구성부들에 접속되어 상기 구성부들을 제어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한글문자 입력방법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입력부(110)는, '0' 내지 '9'로 구분되는 숫자키(N)와 '*'과 '#'으로 구분되는 기능키(F)들이 3×4 매트릭스를 가지며, 상기 숫자키(N) 중 '1' 내지 '6'에 자음을 입력하기 위해 배열되는 복수개의 자음버튼(S); 상기 숫자키(N) 중 '7' 내지 '9' 및 상기 기능키(F) 중 '*' 또는 '#' 중 어느 하나에 모음을 입력하기 위해 배열되는 복수개의 모음버튼(V); 상기 숫자키(N) 중 '0'에 다음 글자 위치로 커서 이동 및 빈칸 입력 기능을 위해 배열되는 스페이스버튼(SP); 및 상기 기능키(F) 중 모음입력을 위한 모음버튼(V)이 배치되지 않은 '*' 또는 '#' 중 어느 하나에 특수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배열되는 특수문자버튼(SC)을 포함하며,
    상기 숫자키(N) '1','3','4','5'의 1회 입력시 각각 'ㄱ','ㄷ','ㄹ','ㅇ'을 출력하고, 2회 입력시 각각 'ㅋ','ㅌ','ㅁ','ㅅ'을 출력하며, 3회 입력시 각각 'ㄲ','ㄸ','ㄻ(받침의 경우)','ㅆ'을 출력하고,
    상기 숫자키(N) '2','6'의 1회 입력시 각각 'ㄴ','ㅈ'을 출력하고, 2회 입력시 각각 'ㅂ','ㅎ'을 출력하며, 3회 입력시 각각 'ㅍ','ㅊ'을 출력하고, 4회 입력시 각각 'ㅃ','ㅉ'을 출력하며,
    상기 자음버튼(S) 중 동일키의 단일 또는 복수 입력에 이어 연속적으로 복수키가 단일 또는 복수 입력되는 경우 받침자음(이중자음)을 출력하는 제1 단계;
    상기 숫자키(N) '7' 내지 '9' 및 모음버튼(V)이 배치된 기능키(F) '*' 또는 '#' 중 어느 하나의 1회 입력시 각각 'ㅏ','ㅗ','ㅣ','ㅕ'를 출력하고, 2회 입력시 각각 'ㅓ','ㅜ','ㅡ','ㅠ'를 출력하며, 숫자키(N) '9'의 3회 입력시 'ㅢ'를 출력하고,
    상기 숫자키(N) '7' 내지 '9' 및 기능키(F) '*' 또는 '#' 중 동일키의 단일 또는 복수 입력에 이어 연속하여 복수키가 반복 입력되는 경우 복모음을 출력하는 제2 단계;
    상기 숫자키(N) '0'의 입력시 다음 글자 위치로 커서 이동 및 빈칸 입력 기능이 실행되는 제3 단계; 및
    상기 모음버튼(V)이 배치되지 않은 기능키(F) '*' 또는 '#' 중 어느 하나의 1회 입력시 '?'를 출력하고, 2회 입력시 '.'를 출력하며, 3회 입력시 특수문자모음 윈도우 창을 출력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한글문자 입력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숫자키(N) '2','6'이 각각 1회 입력되고 연속하여 숫자키(N) '5'가 1회 입력된 후 연속하여 숫자키(N) '2','6'이 각각 1회 입력되는 경우 각각 'ㅃ','ㅉ'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한글문자 입력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숫자키(N) '7' 또는 '8'의 1회 입력 후 모음버튼(V)이 배치된 기능키(F) '*' 또는 '#' 중 어느 하나가 1회 입력되는 경우 상기 'ㅑ' 또는 'ㅛ'가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한글문자 입력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숫자키(N) '7' 내지 '9' 및 기능키(F) '*' 또는 '#' 중 동일키의 단일 또는 복수 입력에 이어 연속하여 복수키가 반복 입력되는 경우 복모음의 획수에 관계없이 해당 복모음을 자동 완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한글문자 입력방법.
KR1020090028459A 2009-04-02 2009-04-02 이동통신단말기의 한글문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101045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8459A KR101045360B1 (ko) 2009-04-02 2009-04-02 이동통신단말기의 한글문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8459A KR101045360B1 (ko) 2009-04-02 2009-04-02 이동통신단말기의 한글문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0072A true KR20100110072A (ko) 2010-10-12
KR101045360B1 KR101045360B1 (ko) 2011-06-30

Family

ID=43130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8459A KR101045360B1 (ko) 2009-04-02 2009-04-02 이동통신단말기의 한글문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536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5281B1 (ko) * 2011-05-27 2012-06-18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한글 입력 방법
KR101368718B1 (ko) * 2012-02-17 2014-03-03 오은주 터치스크린용 한글 입력패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0759A (ko) * 2006-09-01 2008-03-06 박승민 문자 및 기호 입력장치
KR20080092138A (ko) * 2007-04-11 2008-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KR20080005341A (ko) * 2007-12-24 2008-01-11 김승환 원 터치 문자입력방식
KR100900087B1 (ko) * 2008-03-31 2009-06-01 박병진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버튼 확장형 문자 입력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5281B1 (ko) * 2011-05-27 2012-06-18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한글 입력 방법
KR101368718B1 (ko) * 2012-02-17 2014-03-03 오은주 터치스크린용 한글 입력패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5360B1 (ko) 2011-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4115B1 (ko) 키입력장치
US858344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isual indication of character ambiguity during text entry
KR101045360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한글문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
CN1795661B (zh) 利用小型键盘输入字母的设备和方法
KR100365284B1 (ko)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KR10076842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037042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
KR20080024571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아랍어 및 이란어 문자 입력 방법
KR100659379B1 (ko) 휴대 단말기의 자판 및 그 배열 방법
JP3110695B2 (ja) キー入力装置
KR20030053971A (ko)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
KR100738902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0428691B1 (ko) 한글 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1075708A (ja) キー入力装置および日本語入力方法
WO2002065267A1 (en) Global text input apparatus
KR20020012823A (ko) 1개의 문자전환 버튼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200318329Y1 (ko) 숫자 키패드를 통한 한글입력 장치 및 방법
KR100738901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JP4500353B2 (ja) 文字入力装置
KR200407401Y1 (ko) 한글입력장치
KR10063165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및 그를 이용한 일본어 입력방법
KR20040082760A (ko)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 및 그 방법
JP2002049460A (ja) 文字入力装置
JP2009187519A (ja) キー入力装置
KR20060010626A (ko) 축소형 글자판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및 축소형 한글 글자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