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4891Y1 - 축소형 한글자판부를 갖는 한글입력장치 - Google Patents

축소형 한글자판부를 갖는 한글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4891Y1
KR200244891Y1 KR2020010017297U KR20010017297U KR200244891Y1 KR 200244891 Y1 KR200244891 Y1 KR 200244891Y1 KR 2020010017297 U KR2020010017297 U KR 2020010017297U KR 20010017297 U KR20010017297 U KR 20010017297U KR 200244891 Y1 KR200244891 Y1 KR 2002448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wel
consonant
basic
code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72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도상
이수화
김수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언어과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언어과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언어과학
Priority to KR20200100172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48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48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4891Y1/ko

Links

Landscapes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와 같은 축소형 한글 자판부에 발음 기관을 상형하여 만든 5개의 자음으로 구성된 기본자음군과, 천지인 삼재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6개의 모음군을 기본으로하는 축소형 한글자판부를 갖는 한글입력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는 한글자판부는 5개의 기본 자음군과 지(땅)와 인(사람)을 상징하는 2개의 모음, 그리고 천과 지를 조합한 2개의 모음 및 천과인을 조합한 2개의 모음으로 구성된 기본 모음군을 축소형 한글 자판부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축소형 한글자판부를 갖는 한글입력장치{ Hangul inputting device with minimizing keypad}
본 고안은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와 같은 축소형 한글 자판부에 발음 기관을 상형하여 만든 5개의 자음으로 구성된 기본자음군과, 천지인 삼재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6개의 모음군을 기본으로하는 축소형 한글자판부를 갖는 한글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글자판부는 5개의 기본 자음군과 지(땅)와 인(사람)을 상징하는 2개의 모음, 그리고 천과 지를 조합한 2개의 모음 및 천과인을 조합한 2개의 모음으로 구성된 기본 모음군을 축소형 한글 자판부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유무선 통신기술의 부가서비스에 문자입력의 필요성이 날로 증대대어져 왔고, 이러한 문자입력 방식에도 많은 연구 개발이 이루어져 왔으나, 종래의 문자입력방식이 인위적으로 지정된 키를 입력함으로써 사용자가 혼동을 일으키고, 입력방식에 규칙성이 부재되어 있기 때문에 문자입력에 어려움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와 같은 축소형 한글 자판부에 발음 기관을 상형하여 만든 6개의 자음으로 구성된 기본 자음군과, 천지인 삼재 중에서 지(땅)와 인(사람)을 상징하는2개의 모음, 그리고 천과 지를 조합한 2개의 모음 및 천과 인을 조합한 2개의 모음으로 구성된 기본 모음군을 축소형 한글 자판부에 배치한 상태에서 병서키버튼과 가획/재출키버튼을 조작하여 잔여자음군과 재출모음군을 생성하도록 하여 최소한의 키버튼으로 간편하게 한글을 입력시키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훈민정음 제자 원리에 기반한 한글 입력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훈민정음 제자 원리에 기반한 한글 입력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고안의 장치에 바람직한 실시예에 나타낸 기본 개념도,
도 4는 본 고안의 축소형 한글 자판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5a는 이러한 자음의 생성 원리를 그림으로 나타낸 개념도,
도 5b는 자음 조합부를 구현하기 위한 유한 상태 변환기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모음 조합부를 구현하기 위한 유한 상태 변환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7는 본 고안의 스택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한글 음절을 구성하기 위한 한글 입력 오토마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각 키버튼에 발음 기관을 상형하여 만든 5개의 자음「ㄱ, ㄴ, ㅁ, ㅅ, ㅇ」으로 구성된 기본 자음군과, 천(·), 지(ㅡ), 인(ㅣ) 삼재를 조합한 6개의 기본모음군을 입력하기 위한 3개의 키버튼과 상기 기본 자음군에 획을 하나 더하기위한 가획 키버튼과 상기 기본 자음군을 겹쳐 쓰기 위한 병서 키버튼 및 상기 기본 모음군에 천(·)을 결합하기 위한 재출 키버튼을 배정한 상태에서, 상기 각각의 키버튼을 선택하는 키버튼 조작을 인가받음에 따라 해당 키버튼에 배정된 코드를 생성하는 축소형 한글 자판부를 갖는 것이며, 상기 키입력에 따라 잔여자음과 잔여모음들을 생성하는 프로세스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훈민정음 제자 원리에 기반한 한글 입력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고안의 장치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키버튼에 발음 기관을 상형하여 만든 5개의 자음「ㄱ, ㄴ, ㅁ, ㅅ, ㅇ」으로 구성된 기본 자음군과, 천(·), 지(ㅡ), 인(ㅣ) 삼재를 조합한 6개의 기본모음군을 입력하기 위한 3개의 키번튼과 상기 기본 자음군에 획을 하나 더하기위한 가획 키버튼과 상기 기본 자음군을 겹쳐 쓰기 위한 병서 키버튼 및 상기 기본 모음군에 천(·)을결합하기 위한 재출 키버튼을 배정한 상태에서, 상기 각각의 키버튼을 선택하는 키버튼 조작을 인가받음에 따라 해당 키버튼에 배정된 코드를 생성하는 축소형 한글 자판부(10)와;
상기 축소형 한글 자판부(10)로부터 기본 자음 코드만 입력받아 해당 자음을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기본 자음 코드와 추가적으로 입력되는 병서 코드 및 가획 코드를 조합하여 상기 기본 자음군을 제외한 나머지 잔여 자음군 중의 어느 하나의자음을 생성하는 자음 조합부(20)와;
상기 축소형 한글 자판부(10)로부터 기본 모음 코드만 입력받아 해당 모음을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기본 모음 코드와 추가적으로 입력되는 재출 코드 및 상기 기본 모음 코드를 조합하여 상기 기본 모음군을 제외한 나머지 잔여 모음군 중의어느 하나의 모음을 생성하는 모음 조합부(30)와;
상기 자음 조합부(20)와 상기 모음 조합부(30)로부터 생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음과 모음을 초성, 중성, 종성의 조합원리에 따라 조합하여 한글 음절을 발생시키는 음절 결합부(40)와;
상기 자음 조합부(20)와 상기 모음 조합부(30) 및 상기 음절 결합부(40)에서 글자 조합에 실패한 경우, 현재 해당 스캔코드값을 새로운 글자 조합에 이용하기 위해서 저장하는 입력 스택(50, input stack)과;
상기 모음 조합부(30)에서 모음을 조합하면서 발생하는 각각의 모음을 저장하기 위한 모음 스택(60, vowel stack); 및
현재까지 조합이 된 글자를 저장하기 위한 음절 스택(70, syllable stack)을포함하도록 구성된다.
5개의 기본 모음군은 3개의 키버튼에 배치하되 「ㅏ/ㅓ」,「ㅗ/ㅜ」,「ㅡ/l」와 같이 배정하여 하나의 키에 의하여 두 개의 모음이 서로 토글되게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훈민정음 제자 원리에 기반한 한글 입력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축소형 한글 자판부(10)에 각 키버튼에 발음 기관을상형하여 만든 5개의 자음으로 구성된 기본 자음군과, 천(·), 지(ㅡ), 인(ㅣ) 삼재 중에서 지(ㅡ)와 인(ㅣ)을 상징하는2개의 모음, 그리고 천(·)과 지(ㅡ)를 조합한 2개의 모음 및 천(·)과 인(ㅣ)을 조합한 2개의 모음으로 구성된 기본 모음군을 각각 키입력하기 위한 기본 자음군 키버튼과 기본 모음군 키버튼을 소정 형태로 분리하여 배정하고, 상기 기본 자음군에 획을 하나 더하기 위한 가획 키버튼과 상기 기본 자음군을 겹쳐 쓰기 위한 병서 키버튼 및 상기 기본 모음군에 천(·)을 결합하기 위한 재출 키버튼을 배정한 상태에서, 상기 각각의 키버튼을 선택하는 키버튼 조작을 인가받음에 따라해당 키버튼에 배정된 코드를 생성하도록 설정하는 단계(S10)와;
상기 축소형 한글 자판부(10)를 통해 한글 입력을 위해 동작 모드를 한글 입력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S20);
상기 축소형 한글 자판부(10)로부터 기본 자음 코드만 입력받아 해당 자음을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기본 자음 코드와 추가적으로 입력되는 병서 코드 및 가획 코드를 조합하여 상기 기본 자음군을 제외한 나머지 잔여 자음군 중의 어느 하나의자음을 생성하여 제 1 음절의 초성으로 결정하는 단계(S30);
상기 축소형 한글 자판부(10)로부터 기본 모음 코드만 입력받아 해당 모음을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기본 모음 코드와 추가적으로 입력되는 재출 코드 및 상기 기본 모음 코드를 조합하여 상기 기본 모음군을 제외한 나머지 잔여 모음군 중의어느 하나의 모음을 생성하여 상기 제 1 음절의 초성과 조합된 상기 제 1 음절의 중성으로 결정하는 단계(S40);
상기 축소형 한글 자판부(10)로부터 기본 자음 코드만 입력받아 해당 자음을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기본 자음 코드와 추가적으로 입력되는 병서 코드 및 가획 코드를 조합하여 상기 기본 자음군을 제외한 나머지 잔여 자음군 중의 어느 하나의자음을 적어도 1회 이상 추출하여 단자음 또는 자음 종성 유형을 벗어나지 않는 복자음을 생성한 후, 상기 제 1 음절의초성 및 상기 제 1 음절의 중성과 조합된 상기 제 1 음절의 종성으로 간주하는 단계(S50); 및
상기 제 1 음절을 조합한 후, 상기 기본 자음군 키버튼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해당 자음 코드가 입력되면, 상기 해당자음 코드로 제 2 음절의 초성으로 결정하는 반면에 상기 기본 모음군 키버튼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해당 모음 코드가입력되면, 상기 제 1 음절의 종성이 단자음인 경우에는 상기 제 1 음절의 종성을 상기 제 1 음절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제2 음절의 초성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 1 음절의 종성이 복자음인 경우에는 상기 제 1 음절 종성의 복자음 중 두번째 자음을 상기 제 1 음절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제 2 음절의 초성으로 결정하는 단계(S60)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훈민정음 제자 원리에 기반한 한글 입력장치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작용 및 수행 절차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를 정의하면 기본 자음군은 발음 기관을 상형하여 만든'ㄱ, ㄴ, ㅁ, ㅅ, ㅇ을 지칭하는 것이고, 가획(加劃)은 기본 자음에 획을 하나 더하는 것을 말하면, 병서(竝書)는 자음을 겹쳐 쓰는 것을 가리키는 것이다. 예컨데, 자음 'ㄱ'을 병서하면 'ㄲ'이 만들어진다. 또한, 기본 모음군은 천지인 삼재(三才) 중 땅, 사람(天地人)를 본 떠서 만든 모음으로 'ㅡ, ㅣ'과, 천(天)+지(地), 천(天)+인(人)으로 이루어지는 초출자 모음 'ㅏ, ㅓ, ㅗ, ㅜ'으로 구성된다. 작명의 편의상, 'ㅡ, ㅣ, ㅏ, ㅓ, ㅗ, ㅜ'을 모두를 각각 기본 모음으로 분류하기로 한다. 재출자(再出字) 모음은 초출자(初出字) 모음에 기본 모음 중 천(天)에 해당하는 '·'가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모음 'ㅑ, ㅕ, ㅛ ㅠ '를 지칭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장치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 1과 같이, 축소형 한글 자판부(10)와, 자음 조합부(20), 모음 조합부(30)및 음절 결합부(40)로 구성되는 데, 도 3은 본 고안의 장치에 바람직한 실시예에 나타낸 기본 개념도를 도시한 것이다.
축소형 한글 자판부(10)는 제한된 키패드에서 FST(Finite State Transducer), 즉, 자음 조합부(20)와 모음 조합부(30)에사용되는 입력 단위를 추출하는 모듈이다.
축소형 한글 자판부(10)의 실시예는 다수가 있을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축소형 한글 자판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자판에 필수적인 키버튼의 갯수는 모두 10개이다. 여기에 삭제(delete) 키버튼, 사이(space) 키버튼, 이동(좌측 이동,우측 이동) 키버튼 등을 추가적으로 배정할 수도 있다. 축소형 한글 자판부(10)는 키버튼(자판)에서 발생하는 키패드 푸쉬(keypad push) 신호를 스캔 코드(scan code)값으로 자음 조합부(20)나 모음 조합부(30)에 전송한다. 표 1은 도 4에 나타낸 축소형 한글 자판부(10)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키버튼 조작이 발생할 시 생성되는 스캔 코드값을 나타낸 것이다.
[표 1]
도 4를 참조할 때, 축소형 한글 자판부(10)에서 모음 ' ㅏ/ㅓ ', 'ㅗ/ㅜ '는 동일한 버튼을 차지하며, 한 번 누르면 'ㅏ', 다시 누르면 'ㅓ '와 같이 스캔 코드값이 변환된다. 표 1에서 교체 플래그(REPLACE flag)는 현재 한글 입력 오토마타에서 현재 구성된 음절의 모음을 오토마타(automata)의 상태 전이 없이 새로운 모음으로 대치하라는 신호로 교체 플래그(replace flag)가 온(ON)으로 설정되는 경우 현재의 스캔 코드값을 자모로 변환하여 한글 입력 오토마타에서는 상태 전이없이 모음이 교체된다.
자음 조합부(20)는 상기 축소형 한글 자판부(10)로부터 기본 자음 코드만 입력받아 해당 자음을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기본 자음 코드와 추가적으로 입력되는 병서 코드 및 가획 코드를 조합하여 상기 기본 자음군을 제외한 나머지 잔여 자음군중의 어느 하나의 자음을 생성한다. 본원에서 기본 자음으로는 ㄱ, ㄴ, ㅁ, ㅅ, ㅇ 5개를 설정하고, 이 5개의 기본 자음을 바탕으로 가획, 병서 원리를 적용하여 자음 19개를 생성한다.기본 자음군(또는 기본 자음)은 자판에 할당되는 자음들로서, ㄱ, ㄴ, ㅁ, ㅅ, ㅇ로 구성된다. 훈민정음 제자해에 따르면 자음은 기본 자음과 가획, 병서를 통해 만들어지는 자음, 그리고 기타자음이 표 2과 같은 방식으로 조합된다. 도 5a는 이러한 자음의 생성 원리를 그림으로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5b는 자음 조합부(20)를 구현하기 위한 유한 상태 변환기(FST; Finite StateTransducer)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표 2]
표2와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음 조합부(20)에서는 기본 자음 중 {ㄱ, ㄴ, ㅁ, ㅅ,ㅇ}에서 가획 키버튼조작에 의해 {ㅋ, ㄷ, ㅂ, ㅈ, ㅎ}이 생성되고, 이렇게 생성된 자음 중 {ㄷ, ㅂ, ㅈ}에서 가획에 의해 {ㅌ, ㅍ, ㅎ}이 생성된다. 또 {o,ㄷ, ㅂ, ㅈ}에서 병서 키버튼에 의해 {ㄹ, ㄸ, ㅃ, ㅉ}이 생성된다. 본 자음 중 {ㄱ, ㅅ}에서 병서 키버튼 조작에 의해 {ㄲ, ㅆ}이 생성된다.
도 5b에서 상태(state)는 0∼19까지 있으며, 각 상태로 전이될 때마다 자음이 생성된다. 자음 'ㄲ'을 생성하기 위해서는기본 입력 단위인 「ㄱ」, 「병서」의 순서로 입력하면 위 FST에서 S0→S1→S2의 순서로 전이하면서 'ㄱ', 'ㄲ'의 순서로자음이 생성된다.
기존 한글 입력 시스템과의 차이점은 5개의 기본 자음만으로 모든 자음을 생성해 내며, 훈민정음 창제 원리에 기반하여기본 자음+가획/병서 연산으로 자음을 생성해 낸다는 점이다.
한편, 모음 조합부(30)는 상기 축소형 한글 자판부(10)로부터 기본 모음 코드만 입력받아 해당 모음을 생성하거나 또는상기 기본 모음 코드와 추가적으로 입력되는 재출 코드 및 상기 기본 모음 코드를 조합하여 상기 기본 모음군을 제외한나머지 잔여 모음군 중의 어느 하나의 모음을 생성한다.
이를 좀 더 상술하기 위해 모음 생성의 원리를 설명하기로 한다. 훈민정음 제자해에 따르면 모음은 삼재(三才)를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삼재(三才)에서 초출자(初出字)가 나오며, 초출자(初出字)에서 재출자(再出字)가 이루어진다.
모음 조합부(30)는 기본 입력 단위를 삼재(三才)로 하는 경우와 삼재(三才)의 지(地)·인(人)에 해당하는 'ㅡ, ㅣ'와 초출자(初出字) 'ㅏ, ㅓ, ㅗ, ㅜ' 6자를 기본 입력 단위로 삼는다.
다시 말해서, 도 4의 자판 배열을 기준으로 모음을 생성하며 4개의 기본 모음군 키버튼인 「ㅏ/ㅓ」, 「ㅗ/ㅜ」, 「ㅡ/ㅣ」와 1개의 모음 생성 기능 키버튼인 재출 키버튼만으로 한글로 표현할 수 있는 21개의 모든 모음을 생성해 낸다. 도6은 모음 조합부를 구현하기 위한 유한 상태 변환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표 3]
모음 생성 시의 상태 전환에 사용되는 입력 단위, 즉 상태 전이를 유발하는 스캔 코드값 신호는 { 'ㅏ', 'ㅓ', 'ㅗ', 'ㅜ', 'ㅡ', 'ㅣ', '재출' }이다. 이 7개의 신호로 21개의 모음을 조합해 낸다. 기존 한글 입력 시스템과의 차이점은 훈민정음 제자 원리에 따라 2개의 기본 모음('ㅡ', 'ㅣ')과 4개의 초출자('ㅏ', 'ㅓ',' ㅗ', 'ㅜ') 만으로 모음 결합과 '재출'에 의해 21개의 모든 모음을 생성해 낸다는 점이다.
표 3은 모음의 입력을 위한 오타마타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State'는 모음 입력 오토마타의 현재 상태(state)를,'Scan Code'는 모음 입력 오토마타에 입력된 현재 스캔 코드값을, 'Next State'는 현재 상태(state)에서 스캔 코드값에따라 전이될 다음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Transduced Vowel'은 현재 상태에서 스캔 코드값에 따라 다음 상태로 전이되면서 변환-생성되는 한글 모음을, 'Operation'은 오토마타 내부에서 상태가 전이되면서 발생하는 연산을 의미하는 것이다.
최종적으로, 음절 결합부(40)는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상기 자음 조합부(20)와 상기 모음 조합부(30)로부터 생성된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음과 모음을 초성, 중성, 종성의 조합 원리에 따라 조합하여 한글 음절을 발생시킨다.
도 7은 본 고안의 스택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스택(stack)은 기존 스택 자료 구조를 변형하여 다음과 같은 연산을 스택ADT(Stack Abstract Data Type)에서 사용한다.
본 고안의 스택은 후입선출(LIFO; Last In First Out) 구조를 지원하는 ADT로 푸쉬(PUSH) 연산과 팝(POP) 연산만이 기본연산으로 정의되어 있다. 본 고안에서는 자소 단위의 삭제 연산을 지원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연산을 ADT에서 정의한다.
·PUSH
- 스택(STACK)의 최상위(TOP)에 데이터 엘리먼트(DATA ELEMENT)를 넣는 것.
·POP
- 스택(STACK)의 최상위(TOP)에서 데이터 에리먼트(DATA ELEMENT)를 빼내는 것.
·PEEK
- 스택(STACK)의 최상위(TOP)에 있는 데이터 엘리먼트(DATA ELEMENT)값을 참조하는 것.
·REPLACE
- 스택(STACK)의 최상위(TOP)에 있는 데이터 엘리먼트(DATA ELEMENT)를 새로운 데이터 엘리먼트(DATA ELEMENT)로 대체하는 것.
- PUSH → POP 연산의 조합으로 볼 수 있음.
이와 같은 스택 연산을 사용함에 따라 스택에 대한 대체(REPLACE) 연산과 스택에 대한 상태 추적(state tracking)을 통해자소 단위 삭제를 지원한다.
본 고안의 스택은 입력 스택(50, input stack), 모음 스택(60, vowel stack), 음절 스택(70, syllable stack) 3개를 유지하며 글자를 조합해 나간다.
입력 스택(50)은 FST(Vowel Shift FST, Consonant Shift FST, Syllable Combination FST), 즉, 자음 조합부(20)와 모음조합부(30) 및 음절 결합부(40)에서 글자 조합에 실패한 경우, 현재 해당 스캔 코드값을 새로운 글자 조합에 이용하기 위해서 저장하는 공간이다. 모음 스택(60, vowel stack)은 모음 조합부(30, Vowel Shift FST)에서 모음을 조합하면서 발생하는 각각의 모음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이며, 음절 스택(70, syllable stack)은 현재까지 조합이 된 글자를 저장하기 위한공간이다.
한편, 한글 음절을 구성하는 한글 입력 오토마타는 내부에서 자음을 구성하는 오토마타와 모음을 구성하는 오토마타를 통해서 각 낱소리를 만들고 글자를 만드는 역할을 한다.
도 8은 한글 음절을 구성하기 위한 한글 입력 오토마타를 나타낸예시도이고, 표 4는 한글 입력 오토마타를 표로 나타낸 것이다.
도 8에서 'V'는 스캔 코드가 모음을 구성하는 경우이고, 'Vt'는 스캔 코드가 모음을 구성하는 경우, 모음 입력 오토마타호출을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Vf'는 모음 입력 오토마타가 실패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고, 'C'는 스캔 코드가 자음인경우를 나타낸 것이며, 'F1∼F5' 는 실패 상태(failed state)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방법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수행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방법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각 키버튼에 발음 기관을 상형하여 만든 5개의 자음으로 구성된 기본 자음군과, 천(·), 지(ㅡ), 인(ㅣ) 삼재 중에서 지(ㅡ)와 인(ㅣ)을 상징하는 2개의 모음, 그리고 천(·)과 지(ㅡ)를 조합한 2개의모음 및 천(·)과 인(ㅣ)을 조합한 2개의 모음으로 구성된 기본 모음군을 각각 키입력하기 위한 기본 자음군 키버튼과 기본 모음군 키버튼을 소정 형태로 분리하여 배정하고, 상기 기본 자음군에 획을 하나 더하기 위한 가획 키버튼과 상기 기본 자음군을 겹쳐 쓰기 위한 병서 키버튼 및 상기 기본 모음군에 천(·)을 결합하기 위한 재출 키버튼을 배정한 축소형한글 자판부(10)를 이용함은 명백하다.
우선, 단계 S10에서는 상기 각각의 키버튼을 선택하는 키버튼 조작을 인가받음에 따라 해당 키버튼에 배정된 코드를 생성하도록 설정하면, 단계 S20에서는 상기 축소형 한글 자판부(10)를 통해 한글 입력을 위해 동작 모드를 한글 입력 모드로전환한다. 이 과정은 한글 모드만 단독으로 쓰이는 자판 구조에서는 생략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후, 단계 S30에서는 상기 축소형 한글 자판부(10)로부터 기본 자음 코드만 입력받아 해당 자음을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기본 자음 코드와 추가적으로 입력되는 병서 코드 및 가획 코드를 조합하여 상기 기본 자음군을 제외한 나머지 잔여 자음군 중의 어느 하나의 자음을 생성하여 제 1 음절의 초성으로 결정한다.
다음으로, 단계 S40에서는 상기 축소형 한글 자판부(10)로부터 기본 모음 코드만 입력받아 해당 모음을 생성하거나 또는상기 기본 모음 코드와 추가적으로 입력되는 재출 코드 및 상기 기본 모음 코드를 조합하여 상기 기본 모음군을 제외한나머지 잔여 모음군 중의 어느 하나의 모음을 생성하여 상기 제 1 음절의 초성과 조합된 상기 제 1 음절의 중성으로 결정한다.
이어서, 단계 S50에서는 상기 축소형 한글 자판부(10)로부터 기본 자음 코드만 입력받아 해당 자음을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기본 자음 코드와 추가적으로 입력되는 병서 코드 및 가획 코드를 조합하여 상기 기본 자음군을 제외한 나머지 잔여자음군 중의 어느 하나의 자음을 적어도 1회 이상 추출하여 단자음 또는 자음 종성 유형을 벗어나지 않는 복자음을 생성한 후, 상기 제 1 음절의 초성 및 상기 제 1 음절의 중성과 조합된 상기 제 1 음절의 종성으로 간주한다.
최종적으로, 단계 S60에서는 상기 제 1 음절을 조합한 후, 상기 기본 자음군 키버튼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해당 자음코드가 입력되면, 상기 해당 자음 코드로 제 2 음절의 초성으로 결정하는 반면에 상기 기본 모음군 키버튼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해당 모음 코드가 입력되면, 상기 제 1 음절의 종성이 단자음인 경우에는 상기 제 1 음절의 종성을 상기 제1 음절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제 2 음절의 초성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 1 음절의 종성이 복자음인 경우에는 상기 제 1 음절종성의 복자음 중 두번째 자음을 상기 제 1 음절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제 2 음절의 초성으로 결정하도록 한다(S61, S62,S63, S64, S65).
상기의 목적과 구성에 따른 본 고안에 따르면, 5개의 기본 자음군과 지(땅)와 인(사람)을 상징하는 2개의 모음, 그리고 천과 지를 조합한 2개의 모음 및 천과인을 조합한 2개의 모음으로 구성된 기본 모음군을 축소형 한글 자판부의 키버튼 10개로 훈민정음의 제자원리에 따른 규칙적으로 한글을 입력할 수 있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한글을 입력할 수 있다.

Claims (3)

  1. 각 키버튼에 발음 기관을 상형하여 만든 5개의 자음「ㄱ, ㄴ, ㅁ, ㅅ, ㅇ」으로 구성된 기본 자음군과, 천(·), 지(ㅡ), 인(ㅣ) 삼재를 조합한 6개의 기본모음군을 입력하기 위한 3개의 키버튼과 상기 기본 자음군에 획을 하나 더하기위한 가획 키버튼과 상기 기본 자음군을 겹쳐 쓰기 위한 병서 키버튼 및 상기 기본 모음군에 천(·)을 결합하기 위한 재출 키버튼을 배정한 상태에서, 상기 각각의 키버튼을 선택하는 키버튼 조작을 인가받음에 따라 해당 키버튼에 배정된 코드를 생성하는 축소형 한글 자판부와;
    상기 축소형 한글 자판부로부터 기본 자음 코드만 입력받아 해당 자음을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기본 자음 코드와 추가적으로 입력되는 병서 코드 및 가획 코드를 조합하여 상기 기본 자음군을 제외한 나머지 잔여 자음군 중의 어느 하나의자음을 생성하는 자음 조합부와;
    상기 축소형 한글 자판부로부터 기본 모음 코드만 입력받아 해당 모음을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기본 모음 코드와 추가적으로 입력되는 재출 코드 및 상기 기본 모음 코드를 조합하여 상기 기본 모음군을 제외한 나머지 잔여 모음군 중의어느 하나의 모음을 생성하는 모음 조합부와;
    상기 자음 조합부와 상기 모음 조합부로부터 생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음과 모음을 초성, 중성, 종성의 조합원리에 따라 조합하여 한글 음절을 발생시키는 음절 결합부와;
    상기 자음 조합부와 상기 모음 조합부 및 상기 음절 결합부에서 글자 조합에 실패한 경우, 현재 해당 스캔코드값을 새로운 글자 조합에 이용하기 위해서 저장하는 입력 스택( input stack)과;
    상기 모음 조합부에서 모음을 조합하면서 발생하는 각각의 모음을 저장하기 위한 모음 스택( vowel stack); 및
    현재까지 조합이 된 글자를 저장하기 위한 음절 스택( syllable stack)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소형 한글자판부를 갖는 한글입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기본 모음군은 ㅏ, ㅓ, ㅗ, ㅜ, ㅡ, ㅣ이며, 상기 기본 모음군에서 「ㅏ/ㅓ」, 「ㅗ/ㅜ」, 「ㅡ/ㅣ」이 각각 하나의 키에 토글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축소형 한글자판부를 갖는 한글입력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자음「 ㄹ 」의 입력은 「 ㅇ 」의 키입력 후에 병서키를 입력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입력장치.
KR2020010017297U 2001-06-11 2001-06-11 축소형 한글자판부를 갖는 한글입력장치 KR2002448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7297U KR200244891Y1 (ko) 2001-06-11 2001-06-11 축소형 한글자판부를 갖는 한글입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7297U KR200244891Y1 (ko) 2001-06-11 2001-06-11 축소형 한글자판부를 갖는 한글입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4891Y1 true KR200244891Y1 (ko) 2001-11-22

Family

ID=73102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7297U KR200244891Y1 (ko) 2001-06-11 2001-06-11 축소형 한글자판부를 갖는 한글입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4891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1545B1 (ko) * 2001-12-04 2004-03-09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한글입력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전화기
KR100484224B1 (ko) * 2002-09-23 2005-04-20 박찬용 소형키패드를 갖는 한글 코드 발생 장치 및 방법
KR100772146B1 (ko) 2006-06-22 2007-11-01 홍원기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 입력장치 및 방법
KR101113960B1 (ko) * 2010-01-14 2012-03-13 매튜 와이. 안 문자 키패드
KR20190139107A (ko) 2018-06-07 2019-12-17 구자균 개선된 문자 입력 키보드를 구비한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1545B1 (ko) * 2001-12-04 2004-03-09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한글입력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전화기
KR100484224B1 (ko) * 2002-09-23 2005-04-20 박찬용 소형키패드를 갖는 한글 코드 발생 장치 및 방법
KR100772146B1 (ko) 2006-06-22 2007-11-01 홍원기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 입력장치 및 방법
KR101113960B1 (ko) * 2010-01-14 2012-03-13 매튜 와이. 안 문자 키패드
KR20190139107A (ko) 2018-06-07 2019-12-17 구자균 개선된 문자 입력 키보드를 구비한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02128162B1 (ko) * 2018-06-07 2020-07-09 구자균 개선된 문자 입력 키보드를 구비한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1838B1 (ko) 훈민정음 제자 원리에 기반한 한글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0244891Y1 (ko) 축소형 한글자판부를 갖는 한글입력장치
US20040105714A1 (en) Arabic-persian alphabet input apparatus
KR100291839B1 (ko) 천지인 제자 원리에 기반한 한글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0332389B1 (ko) 축소형 한글 자판을 이용한 특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0789506B1 (ko) 소형 키패드에서의 알파벳 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200247427Y1 (ko) 축소형 한글 자판부를 갖는 한글 입력 장치
KR100894382B1 (ko) 한글 입력방법 및 한글 키보드
KR200257092Y1 (ko) 축소형 한글 자판부를 갖는 한글 입력 장치
KR100336493B1 (ko) 전화기의 한글 입력용 자판 시스템
KR100366806B1 (ko) 제한된 수의 키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장치
KR101140767B1 (ko) 확장된 한글 표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입력장치와 입력방법
KR100388301B1 (ko) 정음 한글/알파벳 입력장치
KR100432267B1 (ko) 간편한 한글자판
KR100679421B1 (ko) 한글 입력용 키패드 및 이를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KR100659379B1 (ko) 휴대 단말기의 자판 및 그 배열 방법
KR200423637Y1 (ko) 5개의 키를 가진 자판을 사용한 한글 입력 장치
KR10048686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글자판
KR100457191B1 (ko)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US20030090456A1 (en) Method of mapping linguistic symbols to a sequence of keystrokes and assist memorization with musical notes
KR100450587B1 (ko) 문자데이터 입력장치
KR20070000648U (ko) 한글 입력방법 및 한글 키보드
KR100392353B1 (ko) 문자데이터 입력장치
KR100777815B1 (ko) 동시 입력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0428691B1 (ko) 한글 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2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