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7427Y1 - 축소형 한글 자판부를 갖는 한글 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축소형 한글 자판부를 갖는 한글 입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7427Y1
KR200247427Y1 KR2020010017296U KR20010017296U KR200247427Y1 KR 200247427 Y1 KR200247427 Y1 KR 200247427Y1 KR 2020010017296 U KR2020010017296 U KR 2020010017296U KR 20010017296 U KR20010017296 U KR 20010017296U KR 200247427 Y1 KR200247427 Y1 KR 2002474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onant
basic
code
hangul
vow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72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도상
이수화
김수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언어과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언어과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언어과학
Priority to KR20200100172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74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74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7427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와 같은 축소형 한글 자판부에 발음기관을 상형하여 만든 기본 자음군과, 천(·), 지(ㅡ), 인(ㅣ) 삼재를 상징하는 기본 모음군을 기초로 최소한 자판으로 최대의 글자를 생성하기 위한 한글 입력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목적을 위하여 한글 자음 생성 과정에서는 기본 자음 코드와, 기본자음코드에 병서 코드 및 가획 코드를 조합하여 잔여 자음군을 생성하고, 한글 모음 생성 과정에서는 천지인 제자 원리에 따라 기본 모음군 키버튼으로부터 추출한 천(·), 지(ㅡ), 인(ㅣ)의 기본모음군과 이들의 조합에 의한 잔여모음군을 생성하는 기술구성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축소형 한글 자판부를 갖는 한글 입력 장치{Hangul inputting device with minimizing key button}
본 고안은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와 같은 축소형 한글 자판부에 최소의 자판을 할당하여 최대의 글자수를 생성하기 위한 한글 입력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음기관을 상형하여 만든 기본 자음군과, 천(·), 지(ㅡ), 인(ㅣ) 삼재를 상징하는 기본 모음군을 기초로 최소한의 자판으로 최대의 글자를 생성하기 위한 한글 입력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휴대폰이나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와 같이 제한된 수의 키버튼을 구비한 축소형 한글 자판부를 이용하여 한글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기위해서는 지원하고자 하는 언어의 자모를 키패드 상에 효과적으로 중복배치하거나 기능키 조작에 의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신속하게 원하는 한글 자모를 추출하거나 조합할 수 있어야 한다. 종래에 키패드상에 한글 자모를 생성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 개발이 이루어져 왔으나, 추출방식이나 조합방식이 복잡하여 키패드상의 많은 자판을 이용하여 입력하였기 때문에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게 되었고, 입력속도 또한 느린 문제점을 앉고 있었다.
또한, 자모 배치가 규칙적이지 못하고 인위적으로 혼재되어 있어 자판을숙지하는 데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와 같은 축소형 한글 자판부에 발음기관을 상형하여 만든 기본 자음군과, 천(·), 지(ㅡ), 인(ㅣ) 삼재를 상징하는 기본 모음군을 기초로 최소한 자판으로 최대의 글자를 생성하기 위한 한글 입력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천지인 제자 원리에 기반한 한글 입력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천지인 제자 원리에 기반한 한글 입력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고안의 장치에 바람직한 실시예에 나타낸 기본 개념도,
도 4a는 본 고안의 축소형 한글 자판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4b는 본 고안의 축소형 한글 자판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4c는 본 고안의 축소형 한글 자판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5a는 자음의 생성 원리를 그림으로 나타낸 개념도,
도 5b는 가획/병서 자음 조합부를 구현하기 위한 유한 상태 변환기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모음의 생성 원리를 그림으로 나타낸 개념도,
도 7은 본 고안의 스택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한글 음절을 구성하기 위한 한글 입력 오토마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특징은 각 키버튼에 발음 기관을 상형하여 만든 5개의 자음으로 구성된 기본 자음군과, 천(·), 지(ㅡ), 인(ㅣ) 삼재를 상징하는 모음으로 구성된 기본 모음군을 각각 키입력하기위한 기본 자음군 키버튼과 기본 모음군 키버튼을 소정 형태로 분리하여 배정하고, 상기 기본 자음군에 획을 하나 더하기위한 가획과정과 모음의 재출과정을 입력하기 위한 가획 키버튼과 상기 기본 자음군을 겹쳐 쓰기 위한 병서 키버튼을 배정한 상태에서, 상기 각각의 키버튼을 선택하는키버튼 조작을 인가받음에 따라 해당 키버튼에 배정된 코드를 생성하는 축소형 한글 자판부와 상기 자판부의 입력에 의하여 잔여자음과 모음을 생성하여 글자를 생성하는 프로세서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천지인 제자 원리에 기반한 한글 입력 장치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천지인 제자 원리에 기반한 한글 입력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고안의 장치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키버튼에 발음 기관을 상형하여 만든 5개의 자음으로 구성된 기본 자음군과, 천(·), 지(ㅡ), 인(ㅣ) 삼재를 상징하는 모음으로 구성된 기본 모음군을 각각 키입력하기위한 기본 자음군 키버튼과 기본 모음군 키버튼을 소정 형태로 분리하여 배정하고, 상기 기본 자음군에 획을 하나 더하기위한 가획과정과 모음의 재출과정을 입력하기 위한 가획 키버튼과 상기 기본 자음군을 겹쳐 쓰기 위한 병서 키버튼을 배정한 상태에서, 상기 각각의 키버튼을 선택하는키버튼 조작을 인가받음에 따라 해당 키버튼에 배정된 코드를 생성하는 축소형 한글 자판부(10)와;
상기 축소형 한글 자판부(10)로부터 기본 자음 코드만 입력받아 해당 자음을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기본 자음 코드와 추가적으로 입력되는 병서 코드 및 가획 코드를 조합하여 상기 기본 자음군을 제외한 나머지 잔여 자음군 중의 어느 하나의 자음을 생성하는 가획/병서 자음 조합부(20)와;
상기 축소형 한글 자판부(10)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본 모음 코드를 입력받음에 따라 천지인 제자 원리에 입각하여천(·), 지(ㅡ), 인(ㅣ) 삼재의 조합으로 모음을 생성하는 천지인 모음 조합부(30)와;
상기 가획/병서 자음 조합부(20)와 상기 천지인 모음 조합부(30)로부터 생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음과 모음을 초성, 중성, 종성의 조합 원리에 따라 조합하여 한글 음절을 발생시키는 음절 결합부(40)와;
상기 가획/병서 자음 조합부(20)와 상기 천지인 모음 조합부(30) 및 상기 음절 결합부(40)에서 글자 조합에 실패한 경우, 현재 해당 스캔 코드값을 새로운 글자 조합에 이용하기 위해서 저장하는 입력 스택(50, input stack)과;
상기 천지인 모음 조합부(30)에서 모음을 조합하면서 발생하는 각각의 모음을 저장하기 위한 모음 스택(60, vowelstack); 및
현재까지 조합이 된 글자를 저장하기 위한 음절 스택(70, syllable stack)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축소형 한글 자판부(10」는 「0」에서 「9」까지의 숫자 키버튼과 「*」 및 「#」의 기호/기능 키버튼을 포함하는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에 기본 자음군 키버튼, 기본 모음 키버튼, 가획 키버튼, 병서 키버튼을 소정형태로 배정한 키패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기본 자음군은 「ㄱ, ㄴ, ㅁ, ㅅ, ㅇ」이고, 상기 기본 모음군은 「·」, 「ㅡ」, 「ㅣ」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축소형 한글 자판부(10)는 4행 3열의 키버튼을 구비한 한글 자판부로, 제2열 3개의 키버튼에는 각각 「·」, 「ㅡ」, 「ㅣ」을 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천지인 제자 원리에 기반한 한글 입력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고안의 방법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소형 한글 자판부(10)에 각 키버튼에 발음 기관을 상형하여 만든 5개의 자음으로 구성된 기본 자음군과, 천(·), 지(ㅡ), 인(ㅣ) 삼재를 상징하는 모음으로 구성된 기본 모음군을 각각 키입력하기 위한 기본 자음군 키버튼과 기본 모음군 키버튼을 소정 형태로 분리하여 배정하고, 상기 기본 자음군에 획을 하나 더하기 위한 가획을 위한 가획키버튼과 상기 기본 자음군을 겹쳐 쓰기 위한 병서 키버튼을 배정한 상태에서, 상기 각각의 키버튼을 선택하는 키버튼 조작을 인가받음에 따라 해당 키버튼에 배정된 코드를 생성하도록 설정하는 단계(S10)와;
상기 축소형 한글 자판부(10)를 통해 한글 입력을 위해 동작 모드를 한글 입력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S20)와;
상기 축소형 한글 자판부(10)로부터 기본 자음 코드만 입력받아 해당 자음을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기본 자음 코드와 추가적으로 입력되는 병서 코드 및 가획 코드를 조합하여 상기 기본 자음군을 제외한 나머지 잔여 자음군 중의 어느 하나의 자음을 생성하여 제 1 음절의 초성으로 결정하는 단계(S30)와;
상기 축소형 한글 자판부(10)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본 모음 코드를 입력받음에 따라 천지인 제자 원리에 입각하여천(·), 지(ㅡ), 인(ㅣ) 삼재의 조합으로 모음을 생성하여 상기 제 1 음절의 초성과 조합된 상기 제 1 음절의 중성으로결정하는 단계(S40);
상기 축소형 한글 자판부(10)로부터 기본 자음 코드만 입력받아 해당 자음을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기본 자음 코드와 추가적으로 입력되는 병서 코드 및 가획 코드를 조합하여 상기 기본 자음군을 제외한 나머지 잔여 자음군 중의 어느 하나의자음을 적어도 1회 이상 추출하여 단자음 또는 자음 종성 유형을 벗어나지 않는 복자음을 생성한 후, 상기 제 1 음절의초성 및 상기 제 1 음절의 중성과 조합된 상기 제 1 음절의 종성으로 간주하는 단계(S50); 및
상기 제 1 음절을 조합한 후, 상기 기본 자음군 키버튼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해당 자음 코드가 입력되면, 상기 해당자음 코드로 제 2 음절의 초성으로 결정하는 반면에 상기 기본 모음군 키버튼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해당 모음 코드가입력되면, 상기 제 1 음절의 종성이 단자음인 경우에는 상기 제 1 음절의 종성을 상기 제 1 음절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제2 음절의 초성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 1 음절의 종성이 복자음인 경우에는 상기 제 1 음절 종성의 복자음 중 두번째 자음을 상기 제 1 음절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제 2 음절의 초성으로 결정하는 단계(S60)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본원의 설명에 명확성을 기하기 위해, 기본 자음군, 기본 모음군, 가획, 병서, 초출자, 재출자와같은 용어를 간략하게 정리하면, 기본 자음군은 발음 기관을 상형하여 만든 「ㄱ, ㄴ, ㅁ, ㅅ, ㅇ」을 지칭하는 것이다. 가획(加劃)은 기본 자음에 획을 하나 더하는 것을 말하며, 병서(竝書)는 자음을 겹쳐 쓰는 것을 가리키는 것이다. 예컨데, 자음 「ㄱ」을 병서하면 「ㄲ」이 만들어진다.
기본 모음군은 천(·), 지(ㅡ), 인(ㅣ)을 본 떠서 만든 모음으로, 「·, ㅡ, ㅣ」을 의미한다. 그리고, 초출자 모음은 천(天)+지(地), 천(天)+인(人)으로 이루어지는 「ㅓ, ㅓ, ㅗ, ㅜ」을 지칭하며, 재출자(再出字) 모음은 초출자(初出字) 모음에 기본 모음 중 천(天)에 해당하는 (·)가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모음 「ㅑ, ㅕ, ㅛ, ㅠ」를 지칭하기로 한다.
이상과 같은 용어 정리에 기초하여 본 고안의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장치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 1과 같이, 축소형 한글 자판부(10)와, 가획/병서 자음 조합부(20), 천지인모음 조합부(30) 및 음절 결합부(40)로 구성되는 데, 도 3은 본 고안의 장치에 바람직한 실시예에 나타낸 기본 개념도를도시한 것이다.
축소형 한글 자판부(10)는 제한된 키패드에서 FST(Finite State Transducer), 즉, 가획/병서 자음 조합부(20)와 천지인모음 조합부(30)에 사용되는 입력 단위를 추출하는 모듈이다. 축소형 한글 자판부(10)의 실시예는 다수가 있을 수 있다. 도 4a는 본 고안의 축소형 한글 자판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나타낸 것이고, 도 4b는 도 4a의 천(·), 지(ㅡ), 인(ㅣ)의 배치를 제1행으로 한 것이고, 도 4c는 도 4a의 천(·), 지(ㅡ), 인(ㅣ)을 제 2 행에 배치한 상태를 나타낸 축소형 한글 자판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자판에 필수적인 키버튼의 갯수는 모두 10개이다. 여기에 사이(space) 키버튼를 추가하거나 삭제(delete) 키버튼을 추가할 수 있으며, 더불어, 이동(좌측 이동, 우측 이동) 키버튼 등을 추가적으로 배정할 수도 있으며 키배열의 위치를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축소형 한글 자판부(10)는 키버튼(자판)에서 발생하는 키패드 푸쉬(keypad push) 신호를 스캔 코드(scan code)값으로 가획/병서 자음 조합부(20)나 모음 조합부(30에 전송한다. 표 1은 도 4a에 나타낸 축소형 한글 자판부(10)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키버튼 조작이 발생할시 생성되는 스캔 코드값을 나타낸 것이다.
[표 1]
가획/병서 자음 조합부(20)는 상기 축소형 한글 자판부(10)로부터 기본 자음 코드만 입력받아 해당 자음을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기본 자음 코드와 추가적으로 입력되는 병서 코드 및 가획 코드를 조합하여 상기 기본 자음군을 제외한 나머지잔여 자음군 중의 어느 하나의 자음을 생성한다.
현대 한글에서 초성은 모두 19개이며, 종성은 27개이다. 본 고안에서는 초성을 구성하는 19개의 자음은 자음 생성의 원리에 의해서 모두 입력이 가능하며, 종성은 음절 구성 오토마타에 의해서 자음 입력의 원리에 바탕을 두고 종성을 구성한다. 훈민 정음 제자원리에 따라 기본 자음「ㄱ, ㄴ, ㅁ, ㅅ,ㅇ 」 5개를 설정하고, 이 5개의 기본 자음을 바탕으로 가획, 병서 원리를 적용하여 자음 19개를 생성한다. 기본 자음군(또는 기본 자음)은 자판에 할당되는 자음들로서, 「ㄱ, ㄴ,ㅁ, ㅅ, ㅇ」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기본 자음 5개를 바탕으로 가획과 병서를 통해글자를 조합하도록 한다. 한글 자음 19개는 표 2와 같은 방식으로 조합된다. 도 5a는 이러한 자음의 생성 원리를 그림으로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5b는 가획/병서 자음 조합부(20)를 구현하기 위한 유한 상태 변환기(FST; FiniteState Transducer)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표 2와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획/병서 자음 조합부(20)에서는 기본 자음 중 {ㄱ, ㄴ, ㅁ, ㅅ, ㅇ}에서 가획 키버튼 조작에 의해 {ㅋ, ㄷ, ㅂ, ㅈ,ㅎ}이 생성되고, 이렇게 생성된 자음 중 {ㄷ, ㅂ, ㅈ}에서 가획에 의해 {ㅌ,ㅍ, ㅊ}이 생성된다. 또 {ㄷ,ㅂ,ㅈ}에서 병서 키버튼에 의해 {ㄸ, ㅃ, ㅉ}이 생성된다.
본 자음 중 {ㅇ, ㄱ, ㅅ}에서 병서키버튼 조작에 의해 { ㄹ, ㄲ, ㅆ}이 생성된다.
도 5b에서 상태(state)는 0∼19까지 있으며, 각 상태로 전이될 때마다 자음이 생성된다. 자음 「ㄲ」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기본 입력 단위인 「ㄱ」, 「병서」의 순서로 입력하면 위 FST에서 S0→S1→S2의 순서로 전이하면서 「ㄱ」, 「ㄲ」의순서로 자음이 생성된다.
[표 2]
기존 한글 입력 시스템과의 차이점은 5개의 기본 자음만으로 모든 자음을 생성해 내며, 훈민정음 창제 원리에 기반하여 기본 자음+가획/병서 연산으로 자음을 생성해 낸다는 점이다.
한편, 천지인 모음 조합부(30)는 상기 축소형 한글 자판부(10)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본 모음 코드를 입력받음에따라 천지인 제자 원리에 입각하여 천(·), 지(ㅡ), 인(ㅣ) 삼재의 조합으로 모음을 생성한다. 를 좀 더 상술하기 위해 모음 생성의 원리를 설명하기로 한다. 훈민정음 제자해에 따르면 모음은 삼재(三才)를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삼재(三才)에서 초출자(初出字)가 나오며, 초출자(初出字)에서 재출자(再出字)가 이루어진다. 천지인 모음 조합부(30)에서는 천(·),지(ㅡ), 인(ㅣ) 삼재(三才) 3자를 기본 입력 단위로 삼는다. 다시 말해서, 도 4a의 자판 배열을 기준으로 모음을 생성할 대, 천(·), 지(ㅡ), 인(ㅣ) 3개의 기본 모음 키버튼만으로 한글로 표현할 수 있는 21개의 모든 모음을 생성해 낸다. 도 6은 이러한 모음의 생성 원리를 그림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최종적으로, 음절 결합부(40)는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상기 가획/병서 자음 조합부(20)와 상기 천지인 모음 조합부(30)로부터 생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음과 모음을 초성, 중성, 종성의 조합 원리에 따라 조합하여 한글 음절을 발생시킨다.
도 7은 본 고안의 스택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스택(stack)은 기존 스택 자료 구조를 변형하여 다음과 같은 연산을 스택ADT(Stack Abstract Data Type)에서 사용한다. 본 고안의 스택은 후입선출(LIFO; Last In First Out) 구조를 지원하는 ADT로 푸쉬(PUSH) 연산과 팝(POP) 연산만이 기본연산으로 정의되어 있다. 본 고안에서는 자소 단위의 삭제 연산을 지원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연산을 ADT에서 정의한다.
·PUSH
- 스택(STACK)의 최상위(TOP)에 데이터 엘리먼트(DATA ELEMENT)를 넣는 것.
·POP
- 스택(STACK)의 최상위(TOP)에서 데이터 에리먼트(DATA ELEMENT)를 빼내는 것.
·PEEK
- 스택(STACK)의 최상위(TOP)에 있는 데이터 엘리먼트(DATA ELEMENT)값을 참조하는 것.
·REPLACE
- 스택(STACK)의 최상위(TOP)에 있는 데이터 엘리먼트(DATA ELEMENT)를 새로운 데이터 엘리먼트(DATA ELEMENT)로 대체하는 것.
- PUSH → POP 연산의 조합으로 볼 수 있음.
이와 같은 스택 연산을 사용함에 따라 스택에 대한 대체(REPLACE) 연산과 스택에 대한 상태 추적(state tracking)을 통해자소 단위 삭제를 지원한다.
본 고안의 스택은 입력 스택(50, input stack), 모음 스택(60, vowel stack), 음절 스택(70, syllable stack) 3개를 유지하며 글자를 조합해 나간다.
[표 3]
입력 스택(50)은 FST(Vowel Shift FST, Consonant Shift FST, Syllable Combination FST), 즉, 가획/병서 자음 조합부(20)와 천지인 모음 조합부(30) 및 음절 결합부(40)에서 글자 조합에 실패한 경우, 현재 해당 스캔 코드값을 새로운 글자조합에 이용하기 위해서 저장하는 공간이다. 모음 스택(60, vowel stack)은 모음 조합부(30, Vowel Shift FST)에서 모음을 조합하면서 발생하는 각각의 모음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이며, 음절 스택(70, syllable stack)은 현재까지 조합이 된글자를 저장하기 위한 공간이다.
한편, 한글 음절을 구성하는 한글 입력 오토마타는 내부에서 자음을 구성하는 오토마타와 모음을 구성하는 오토마타를 통해서 각 낱소리를 만들고 글자를 만드는 역할을 한다. 도 8은 한글 음절을 구성하기 위한 한글 입력 오토마타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표 3은 한글 입력 오토마타를 표로 나타낸 것이다.
도 8에서 'V'는 스캔 코드가 모음을 구성하는 경우이고, 'Vt'는 스캔 코드가 모음을 구성하는 경우, 모음 입력 오토마타호출을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Vf'는 모음 입력 오토마타가 실패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고, 'C'는 스캔 코드가 자음인경우를 나타낸 것이며, 'F1∼F5' 는 실패 상태(failed state)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방법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수행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방법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각 키버튼에 발음 기관을 상형하여 만든 6개의 자음으로 구성된 기본 자음군과, 천(·), 지(ㅡ), 인(ㅣ) 삼재를 상징하는 모음으로 구성된 기본 모음군을 각각 키입력하기 위한 기본 자음군 키버튼과기본 모음군 키버튼을 소정 형태로 분리하여 배정하고, 상기 기본 자음군에 획을 하나 더하기 위한 가획 키버튼과 상기기본 자음군을 겹쳐 쓰기 위한 병서 키버튼을 배정한 상태에서, 상기 각각의 키버튼을 선택하는 키버튼 조작을 인가받음에 따라 해당 키버튼에 배정한 축소형 한글 자판부(10)를 이용함은 명백하다.
우선, 단계 S10에서는 상기 각각의 키버튼을 선택하는 키버튼 조작을 인가받음에 따라 해당 키버튼에 배정된 코드를 생성하도록 설정하면, 단계 S20에서는 상기 축소형 한글 자판부(10)를 통해 한글 입력을 위해 동작 모드를 한글 입력 모드로전환한다. 이 과정은 한글 모드만 단독으로 쓰이는 자판 구조에서는 생략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후, 단계 S30에서는 상기 축소형 한글 자판부(10)로부터 기본 자음 코드만 입력받아 해당 자음을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기본 자음 코드와 추가적으로 입력되는 병서 코드 및 가획 코드를 조합하여 상기 기본 자음군을 제외한 나머지 잔여 자음군 중의 어느 하나의 자음을 생성하여 제 1 음절의 초성으로 결정한다.
다음으로, 단계 S40에서는 상기 축소형 한글 자판부(10)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본 모음 코드를 입력받음에 따라 천지인 제자 원리에 입각하여 천(·), 지(ㅡ), 인(ㅣ) 삼재의 조합으로 모음을 생성하여 상기 제 1 음절의 초성과 조합된상기 제 1 음절의 중성으로 결정한다.
이어서, 단계 S50에서는 상기 축소형 한글 자판부(10)로부터 기본 자음 코드만 입력받아 해당 자음을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기본 자음 코드와 추가적으로 입력되는 병서 코드 및 가획 코드를 조합하여 상기 기본 자음군을 제외한 나머지 잔여자음군 중의 어느 하나의 자음을 적어도 1회 이상 추출하여 단자음 또는 자음 종성 유형을 벗어나지 않는 복자음을 생성한 후, 상기 제 1 음절의 초성 및 상기 제 1 음절의 중성과 조합된 상기 제 1 음절의 종성으로 간주한다.
최종적으로, 단계 S60에서는 상기 제 1 음절을 조합한 후, 상기 기본 자음군 키버튼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해당 자음코드가 입력되면, 상기 해당 자음 코드로 제 2 음절의 초성으로 결정하는 반면에 상기 기본 모음군 키버튼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해당 모음 코드가 입력되면, 상기 제 1 음절의 종성이 단자음인 경우에는 상기 제 1 음절의 종성을 상기 제1 음절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제 2 음절의 초성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 1 음절의 종성이 복자음인 경우에는 상기 제 1 음절종성의 복자음 중 두번째 자음을 상기 제 1 음절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제 2 음절의 초성으로 결정하도록 한다(S61, S62,S63, S64, S65).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용어들로써 이는 당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원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것이다.
또한, 본원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고안을 설명했으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인 난이도 측면에서 고려할 때, 당분야에 통상적인 기술을 가진 사람이면 용이하게 본 고안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와 다른 변형을 가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설명에서 사상을 인용한 실시예와 변형은 모두 본 고안의 청구 범위에 모두 귀속됨은 명백하다.
상기의 목적과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르면, 10개의 키버튼에 의하여 천지인 원리에 따라서 규칙성 있게 한글을 생성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혼동을 최소화하여 용이하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어 사용상 편리한 잇점이 있다.

Claims (3)

  1. 각 키버튼에 「ㄱ, ㄴ, ㅁ, ㅅ, ㅇ」의 5개로 이루어진 기본 자음군과, 천(·), 지(ㅡ), 인(ㅣ)의 기본 모음군의 키입력을 위한 키버튼과, 상기 기본 자음군에 획을 하나 더하기 위한 가획 키버튼과 상기 기본 자음군을 겹쳐 쓰기 위한 병서 키버튼을 배정한 상태에서, 상기 키버튼들의 조작을 인가받음에 따라 해당 키버튼에 배정된 코드를 생성하는 축소형 한글 자판부와;
    상기 축소형 한글 자판부로부터 기본 자음 코드만 입력받아 해당 자음을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기본 자음 코드와 추가적으로 입력되는 병서 코드 및 가획 코드를 조합하여 상기 기본 자음군을 제외한 나머지 잔여 자음군 중의 어느 하나의 자음을 생성하는 가획/병서 자음 조합부와;
    상기 축소형 한글 자판부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본 모음 코드를 입력받음에 따라 천지인 제자 원리에 입각하여 천(·), 지(ㅡ), 인(ㅣ) 삼재의 조합으로 모음을 생성하는 천지인 모음 조합부; 및
    상기 가획/병서 자음 조합부와 상기 천지인 모음 조합부로부터 생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음과 모음을 초성, 중성, 종성의 조합 원리에 따라 조합하여 한글 음절을 발생시키는 음절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소형 한글 자판부를 갖는 한글 입력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소형 한글 자판부는,
    제 2 열의 3개의 키버튼에는 각각 「·」, 「ㅡ」, 「ㅣ」을 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소형 한글 자판부를 갖는 한글 입력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가획/병서 자음 조합부는 「 ㅇ 」의 키버튼에 병서 키버튼을 누르게 되면 가획/병서 자음조합부에서는 「 ㄹ 」의 해당코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소형 한글 자판부를 갖는 한글 입력 장치.
KR2020010017296U 2001-06-11 2001-06-11 축소형 한글 자판부를 갖는 한글 입력 장치 KR2002474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7296U KR200247427Y1 (ko) 2001-06-11 2001-06-11 축소형 한글 자판부를 갖는 한글 입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7296U KR200247427Y1 (ko) 2001-06-11 2001-06-11 축소형 한글 자판부를 갖는 한글 입력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7427Y1 true KR200247427Y1 (ko) 2001-10-29

Family

ID=73081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7296U KR200247427Y1 (ko) 2001-06-11 2001-06-11 축소형 한글 자판부를 갖는 한글 입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742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9229B1 (ko) * 2011-10-28 2018-06-19 김민겸 한국어 자모결합글자에서의 좌우나열 또는 상하나열 자모 표기 및 입력방법
KR20190139107A (ko) * 2018-06-07 2019-12-17 구자균 개선된 문자 입력 키보드를 구비한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9229B1 (ko) * 2011-10-28 2018-06-19 김민겸 한국어 자모결합글자에서의 좌우나열 또는 상하나열 자모 표기 및 입력방법
KR20190139107A (ko) * 2018-06-07 2019-12-17 구자균 개선된 문자 입력 키보드를 구비한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02128162B1 (ko) * 2018-06-07 2020-07-09 구자균 개선된 문자 입력 키보드를 구비한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1838B1 (ko) 훈민정음 제자 원리에 기반한 한글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0291839B1 (ko) 천지인 제자 원리에 기반한 한글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0579814B1 (ko) 이동 단말기용 문자 입력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KR200247427Y1 (ko) 축소형 한글 자판부를 갖는 한글 입력 장치
KR200244891Y1 (ko) 축소형 한글자판부를 갖는 한글입력장치
KR20060045101A (ko) 한글 입력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0257092Y1 (ko) 축소형 한글 자판부를 갖는 한글 입력 장치
KR100332389B1 (ko) 축소형 한글 자판을 이용한 특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0702483B1 (ko) 한자 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
JP3259619B2 (ja) 仮名入力装置
KR100388301B1 (ko) 정음 한글/알파벳 입력장치
KR200423637Y1 (ko) 5개의 키를 가진 자판을 사용한 한글 입력 장치
KR20060025256A (ko) 문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
US20030090456A1 (en) Method of mapping linguistic symbols to a sequence of keystrokes and assist memorization with musical notes
KR100450587B1 (ko) 문자데이터 입력장치
KR100777815B1 (ko) 동시 입력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KR20110088311A (ko) 전자기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00392353B1 (ko) 문자데이터 입력장치
KR100457191B1 (ko)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1129687B1 (ko) 속기 겸용 영문 키보드
KR100428691B1 (ko) 한글 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
US7170495B2 (en) Key input device
KR100852020B1 (ko) 문자입력방법
JP2003131793A (ja) 仮名文字入力装置および仮名文字入力方法
KR100422379B1 (ko) 정보통신기기의 한글 입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