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5127B1 - 컴퓨터의 쉬운 한글 키보드 자판 - Google Patents
컴퓨터의 쉬운 한글 키보드 자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75127B1 KR100675127B1 KR1020050045378A KR20050045378A KR100675127B1 KR 100675127 B1 KR100675127 B1 KR 100675127B1 KR 1020050045378 A KR1020050045378 A KR 1020050045378A KR 20050045378 A KR20050045378 A KR 20050045378A KR 100675127 B1 KR100675127 B1 KR 10067512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keyboard
- consonants
- hangul
- key
- comput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10000003254 palat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3
- 210000000078 claw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41000446313 Lamell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3443 Unconsciousnes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9—Special purpose key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Description
1 : 글쇠 ㄱㄲ 2 : 글쇠 ㅋ
3 : 글쇠 ㄴ 4 : 글쇠 ㄷ, ㄸ
5 : 글쇠 ㅌ 6 : 글쇠 ㄹ
7 : 글쇠 ㅁ 8 : 글쇠 ㅂ, ㅃ
9 : 글쇠 ㅍ 10 : 글쇠 ㅅ, ㅆ
11 : 글쇠 ㅇ 12 : 글쇠 ㅈ, ㅉ
13 : 글쇠 ㅊ 14 : 글쇠 ㅎ
15 : 글쇠 ㅏ 16 : 글쇠 ㅑ
17: 글쇠 ㅓ 18 : 글쇠 ㅕ
19 : 글쇠 ㅗ 20 : 글쇠 ㅛ
21 : 글쇠 ㅜ 22 : 글쇠 ㅠ
23 : 글쇠 ㅡ 24 : 글쇠 ㅣ
25 : 글쇠 ㅐ, ㅒ 26: 글쇠 ㅔ, ㅖ
27 : 컴퓨터 키보드
종래의 컴퓨터 키보드의 키 배열은 한글의 습득 과정과 사용 습관 및 한글 창조의 개념보다는 사용 빈도를 우선시 하였고 한글의 순서에 따른 배열이 되지 않아 컴퓨터 키보드(자판)를 처음 대하는 사람은 컴퓨터 키보드의 한글자판 배열순서를 익히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컴퓨터를 자주 사용하지 않는 사람들은 컴퓨터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키보드의 한글 자판 배열을 다시 한번 숙지하여야 하기 때문에 , 컴퓨터의 한글 자판 배열에 대한 이해와 습득에 어려움과 많은 시간과 노력이 들어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컴퓨터 키보드의 한글 입력 방법에 있어서 한글의 자음과 모음의 배열 순서 및 한글 창조의 기본원리를 적용하여 컴퓨터 키보드의 자판을 배열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ㄴ은 한글자음의 두 번째 자음으로 글쇠 ㄱ, ㄲ(1) 아래 글쇠(3)에 배치하여 한글자음 순서에 따라 글쇠 ㄱ, ㄲ글쇠(1) 아래에 위치함으로써 글쇠 ㄴ(3)의 위치를 쉽게 습득토록 하였다.
ㄷ은 한글자음의 세 번째 자음으로 글쇠(4)에 배치하고 ㄷ,ㄸ,ㅌ중 같은 입천장소리에 속하는 ㄸ은 글쇠 ㄷ(4)의 상부에 같이 배치하고, ㅌ은 글쇠 ㄷ, ㄸ(4)과 같은 열의 하단부 글쇠(5)에 배치함으로써, 한글의 창제원리인 입천장소리에 속한 자음으로 같은 글쇠 열에 위치함으로써 글쇠 ㄷ,ㄸ(4), 글쇠 ㅌ(5)의 위치 습득을 쉽게 했다.
ㄹ은 한글자음의 네 번째 자음으로 글쇠 ㄷ, ㄸ(4)의 하부글쇠(6)에 배치하여 한글 자음배열의 세 번째 자음 ㄷ의 다음 글자라는 한글 자음 배열순서에 따라 배치하여 글쇠 ㄹ(6)의 위치 습득을 용이하게 하였고,
ㅁ은 한글의 다섯 번째 자음으로 글쇠 ㄹ(6)의 우측 글쇠(7)에 배치하여 글쇠 ㄹ(6)의 다음 글자라는 인식이 되도록 한글자음 배열 순서에 따라 배치함으로써 글쇠 ㅁ(7)의 위치 습득을 쉽게 하였다.
ㅂ은 한글자음의 여섯 번째 자음으로 글쇠 ㅁ(7)의 상부글쇠(8)에 배치하고, ㅂ,ㅃ,ㅍ 중 ㅃ, ㅍ 은 ㅂ과 같은 입술소리에 속하므로, ㅃ은 글쇠 ㅂ(8)의 상부에 같이 배치하고, ㅍ은 글쇠 ㅂ, ㅃ(8)과 같은 열의 하단부 글쇠(9)에 배치하여 한글자음의 창제 원리인 같은 입술소리에 속한 자음으로 같은 글쇠 열에 배치하여 글쇠 ㅂ, ㅃ(8), 글쇠 ㅍ(9)의 위치 습득을 쉽게 하였다.
ㅅ은 한글 일곱 번째 자음으로 한글 자음배열 순서에 따라 글쇠 ㅂ,ㅃ(8)의 우측 글쇠((10)에 배치하고, ㅆ은 ㅅ과 같은 잇소리에 속한 글자로 글쇠 ㅅ(10)의 상단부에 같이 배치하여 글쇠 ㅅ, ㅆ(10)의 위치 습득을 쉽게 하였다.
ㅇ은 한글자음 여덟 번째 자음으로 한글 자음 배열 순서에 따라 글쇠 ㅅ,ㅆ(10)의 아래 글쇠(11)에 배치하여 글쇠 ㅇ(11)의 위치습득을 쉽게 하였다.
ㅈ은 한글자음 아홉 번째 자음으로 글쇠 ㅇ(11) 우측 상부에 배치하고, 한글자음 ㅈ,ㅉ,ㅊ 중 ㅉ,ㅊ은 ㅈ과 같은 된 잇소리로, ㅉ은 글쇠 ㅈ(12)의 상부에 같이 배치하고, ㅊ은 글쇠 ㅈ,ㅉ(12)의 같은 글쇠 열에 가까운, ㅍ(9) 글쇠 우측에 배치하여 한글자음의 창제 원리와 순서를 적용하여 배치함으로서 글쇠 ㅈ,ㅉ(12)와 글쇠 ㅊ(13)의 위치습득을 쉽게 하였다.
ㅎ은 한글 자음의 끝 글자로 글쇠 ㅇ(11) 우측 글쇠(14)에 배치함으로써 한글 자음의 형태가 가장 유사한 것을 배치하도록 하였으며,
겹모음 ㅑ, ㅕ, ㅛ는 각각 ㅑ는 ㅏ, ㅕ는 ㅓ, ㅛ는 ㅗ와 같은 계열이므로, 겹모음 ㅑ를 글쇠 ㅏ(15)의 상부 글쇠(16)에, 겹모음 ㅕ를 글쇠 ㅓ(17)의 상부 글쇠(18)에, 겹모음 ㅛ를 글쇠 ㅗ(19)의 상부 글쇠(20)에 각각 배치함으로써 자연스럽게 모음 ㅏ, ㅑ, ㅓ, ㅕ, ㅗ, ㅛ의 글쇠순서가 익혀지게 된다.
모음 ㅜ, ㅠ, ㅡ는 한글의 글자구성상 글자의 하부에 위치하는 구성하여, 한국인의 무의식 잠재의식 속에는 아래에 위치하는 모음으로 머리 속에 자리 잡고 있어, 모음 ㅜ, ㅠ, ㅡ는 컴퓨터 한글 키보드 사용시 모음부 글쇠판의 아래쪽에 위치한다는 것을 자연스럽게 익혀질 수 있도록 모음 ㅜ, ㅠ는 모음글쇠부의 하단 좌측 글쇠부터 모음 ㅜ를 모음부 좌측 하단 글쇠(21)에, 겹모음 ㅠ를 글쇠 ㅜ(21) 우측 글쇠(22)에, 모음 ㅡ를 글쇠 ㅠ(22)의 우측 글쇠(23)에 각각 배치하고, 복 겹자음 ㅐ, ㅒ를 글쇠 ㅛ(20)의 우측 글쇠(25)에 같이 배치하되, ㅐ를 하부, ㅒ를 상부에 각각 배치하고, 복 겹자음 ㅔ, ㅖ를 글쇠 ㅐ, ㅒ(25)의 우측 글쇠(26)에 같이 배치하되, ㅔ를 하부에 ㅖ를 상부에 배치하여 모음 글쇠배치를 하여 영문글쇠에 한글 글쇠를 각각 Q-ㄱ과 ㄲ, W-ㄷ과 ㄸ, E-ㅂ과 ㅃ, R-ㅅ과 ㅆ, T-ㅈ과 ㅉ, Y-ㅑ, U-ㅕ, I-ㅛ, O-ㅐ와 ㅒ, P-ㅔ와 ㅖ, A-ㄴ, S-ㄹ, D-ㅁ, F-ㅇ, G-ㅎ, H-ㅏ, J-ㅓ , K-ㅗ, L-ㅣ, Z-ㅋ, X-ㅌ, C-ㅍ, V-ㅊ, B-ㅜ, N-ㅠ, M-ㅡ가 위치하도록 하여 이루어진 컴퓨터 키보드의 쉬운 한글 자판 배열방법을 이룬 것이다.
즉, 한글의 자음 중에서 같은 계열의 자음 어금니 소리글쇠(ㄱ, ㄲ과 ㅋ), 입천장소리 (ㄷ, ㄸ과 ㅌ), 입술소리 (ㅂ, ㅃ과 ㅍ), 잇소리 (ㅅ, ㅆ), (ㅈ, ㅉ과 ㅊ)을 각각 자음 순서대로 같은 열 자음 글쇠판에 배치하고, 같은 계열의 단자음과 겹자음 ㄱ과ㄲ, ㄷ과ㄸ, ㅅ과ㅆ, ㅂ과ㅃ, ㅈ과ㅉ 글쇠는 각각 자음 순서대로 자음 글쇠판 1행의 좌측에 배치하고, 같은 계열의 파열음 ㅋ, ㅌ, ㅍ, ㅊ 글쇠는 자음 순서대로 자음글쇠판 3행 좌측에 배치한다.
ㄴ, ㄹ, ㅁ, ㅇ은 단독 자음으로 컴퓨터 한글 자판 글쇠의 중앙부의 좌측 글쇠부터 우측 글쇠로 즉 자음 글쇠판 2행 1,2,3,4열에 ㄴ, ㄹ, ㅁ, ㅇ순으로 연관자음이 없는 단독 자음만을 한글자음 순서에 의하여 배치한다. ㅎ은 자음 글쇠판 3행 좌측에 파열음 ㅋ, ㅌ, ㅍ, ㅊ으로 배열됨을 감안하여 2행 5열 자음 글쇠판에 배치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한글 글쇠판을 배치함으로서 한글 글쇠판 1열 글쇠에 ㄱ, ㄲ, ㅋ과 ㄴ, 2열 글쇠에 ㄷ, ㄸ, ㅌ과 ㄹ, 3열 글쇠에 ㅁ, ㅂ,ㅃ과 ㅍ, 4열 글쇠에 ㅅ, ㅆ과 ㅇ, 5열 1행 글쇠에ㅈ, ㅉ, 4열 3행 글쇠에 ㅊ이 위치하고, 5열 2행 글쇠에 ㅎ이 위치하여 자연스럽게 같은 계열의 자음별로 배열됨과 동시에 자음 순서대로 배열된다.
단, ㅁ과 ㅂ, ㅃ 글쇠는 순서에 의하여 배열하면 ㅁ 글쇠는 3열 1행, ㅂ과 ㅃ은 3열 2행에 배치되어야 하지만 사용자들이 글쇠 위치를 습득할 때 같은 계열로서 습득하도록 ㅂ과 ㅃ은 같은 계열로 3열 1행에, ㅁ 글쇠는 3열 2행에 위치한다.
상기한 컴퓨터 키보드 자판배열은 컴퓨터, 타자기, 노트북 컴퓨터,노래방 기기의 노래제목 입력 장치의 한글자판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자음과 모음이 조합 되어 한 글자를 이루는 순서와 한글자음 모음의 창제 원리를 적용하고 한글 사용자의 한글의 입문학습 과정과 한글을 사용하는 한국인의 잠재의식 속에 한글은 문장 작성 시 좌측에서 우측으로 사용되고 있다는 것과 한글의 한글자의 구성은 자음이 좌측 모음이 우측 내지는 하(아래)측 이라는 것 등이 종합적으로 적용되면서 무의식중에 손가락으로 전달된다는 점들을 착안하여 이를 적용한 방식이므로 한글의 자음, 모음의 순서를 숙지하고 있는 사용자라면 누구나 단어 및 문장을 간편하게 입력할 수 있게 되므로 자판배열을 익히기 위하여 별도의 시간을 소비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컴퓨터 키보드와 유사한 타자기, 노트북 컴퓨터,노래방 기기의 노래 제목 입력 장치에서도 상기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 컴퓨터용 키보드 자판에 있어서,상기 키보드의 자판은 한글 구성에 따라서 자음은 좌측에 모음은 우측에 배열하고,키보드 자판의 상단 1행의 좌측으로부터 겹자음이 있는 자음인 ㄱ, ㄷ, ㅂ, ㅅ, ㅈ을 각각의 겹자음인 ㄲ, ㄸ, ㅃ, ㅆ, ㅉ과 같은 글쇠에 배치하여 한글 자음 순서대로 배열하고,상기 키보드 자판의 2행의 좌측으로부터 겹자음이 없는 자음인 ㄴ, ㄹ, ㅁ, ㅇ, ㅎ을 상기 1행에 배열한 쌍자음과 지그재그 형식으로 한글 자음 순서대로 배열하고,상기 키보드 자판의 3행의 좌측으로부터 파열음인 ㅋ, ㅌ, ㅍ 과 ㅊ을 상기 순서에 따라 배열하며,상기 키보드 자판의 상단 1행의 자음 우측에는 겹모음인 ㅑ, ㅕ, ㅛ, ㅐ, ㅔ를 한글 순서에 따라 배열하고, 복모음인 ㅒ는 ㅐ와 ㅖ는 ㅔ와 동일한 글쇠의 우측상부에 배치하고,상기 키보드 자판의 2행의 자음 우측에는 단모음인 ㅏ, ㅓ, ㅗ, ㅣ를 한글 순서에 따라 배열하며,상기 키보드 자판의 3행의 자음 우측에는 ㅜ, ㅠ, ㅡ를 한글 순서에 따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키보드의 한글 자판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키보드 자판은 같은 계열의 자음인 어금니 소리글쇠 ㄱ, ㄲ을 ㅋ과, 입천장소리 ㄷ, ㄸ을 ㅌ과, 입술소리 ㅂ, ㅃ을 ㅍ과, 잇소리 ㅅ, ㅆ 및 ㅈ, ㅉ을 ㅊ과 같은 열 자음 글쇠판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키보드의 한글 자판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컴퓨터 키보드 자판은 컴퓨터, 타자기, 노트북 컴퓨터, 노래방 기기의 노래 제목 입력 장치의 한글자판에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키보드의 한글 자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45378A KR100675127B1 (ko) | 2005-05-30 | 2005-05-30 | 컴퓨터의 쉬운 한글 키보드 자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45378A KR100675127B1 (ko) | 2005-05-30 | 2005-05-30 | 컴퓨터의 쉬운 한글 키보드 자판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15233U Division KR200404032Y1 (ko) | 2005-05-30 | 2005-05-30 | 컴퓨터의 쉬운 한글 키보드 자판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60048A KR20050060048A (ko) | 2005-06-21 |
KR100675127B1 true KR100675127B1 (ko) | 2007-01-30 |
Family
ID=37252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45378A Expired - Fee Related KR100675127B1 (ko) | 2005-05-30 | 2005-05-30 | 컴퓨터의 쉬운 한글 키보드 자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75127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74010B1 (ko) | 2007-03-12 | 2008-12-17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자모 할당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입력 장치 |
KR101665374B1 (ko) * | 2014-07-29 | 2016-10-13 | 강윤기 | 키보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
-
2005
- 2005-05-30 KR KR1020050045378A patent/KR100675127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60048A (ko) | 2005-06-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80062016A1 (en) | Interactive Sequential Key System to Input Characters on Small Keypads | |
KR890000961A (ko) | 워드 타자기용 키이보오드 | |
KR100675127B1 (ko) | 컴퓨터의 쉬운 한글 키보드 자판 | |
EP2407857A2 (en) | The method of data inputting into digital devices, stationary and mobile and the keyboard for data inputting into digital devices, stationary and mobile | |
KR20200001936U (ko) | 음각 글자가 형성된 한글쓰기 글자판 | |
KR200404032Y1 (ko) | 컴퓨터의 쉬운 한글 키보드 자판 | |
KR200440957Y1 (ko) | 컴퓨터의 한글 자판 | |
JP3899337B2 (ja) | 文字入力システム、文字入力方法、文字入力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 |
KR100768696B1 (ko) | 한글자판 및 이를 이용한 한글 입력장치 | |
KR101140767B1 (ko) | 확장된 한글 표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입력장치와 입력방법 | |
KR101129687B1 (ko) | 속기 겸용 영문 키보드 | |
KR101612391B1 (ko) | 한글 글씨 연습용 교재 | |
KR200289761Y1 (ko) | 컴퓨터용 키보드의 자판배열 구조 | |
JP3466306B2 (ja) | キー入力装置 | |
KR20020012823A (ko) | 1개의 문자전환 버튼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 |
KR200419119Y1 (ko) | 한글 입력용 키패드 | |
JP2909967B2 (ja) | コンピューター・キーボード | |
JP2006293794A (ja) | 日本式キーボード | |
JPS6247724A (ja) | 片手打ちワ−ドプロセツサ | |
KR200292595Y1 (ko) | 한글용 키보드 | |
JPH1139076A (ja) | キーボードの形と、その文字配列 | |
JP2781703B2 (ja) | 和語に対する省略打鍵入力方式 | |
WO2013176389A1 (ko) | 컴퓨터 ·스마트폰 ·전자사전 키보드 영어 알파벳 자모 및 각종 키의 배열 | |
KR20070075381A (ko) |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 |
JP3466313B2 (ja) | キー入力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5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7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06100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08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10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1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1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1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1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109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1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21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1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4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