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2391B1 - 한글 글씨 연습용 교재 - Google Patents
한글 글씨 연습용 교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12391B1 KR101612391B1 KR1020140050626A KR20140050626A KR101612391B1 KR 101612391 B1 KR101612391 B1 KR 101612391B1 KR 1020140050626 A KR1020140050626 A KR 1020140050626A KR 20140050626 A KR20140050626 A KR 20140050626A KR 101612391 B1 KR101612391 B1 KR 10161239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ttern
- writing
- writing unit
- line
- neutr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1/00—Teaching hand-writing, shorthand, drawing, or painting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1/00—Teaching hand-writing, shorthand, drawing, or painting
- G09B11/02—Finger, hand or arm suppor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성 및 중성, 종성의 조합으로 구성된 한글 글씨를 탈네모꼴 글꼴로 연습하기 위한 교재로서, 초성 또는 종성을 구성하는 한글 자음을 일정한 패턴을 통해 안내되는 자음 표기 영역 또는 자음 표기 위치에 필기하도록 하고, 중성을 구성하는 한글 모음을 일정한 패턴을 통해 안내되는 모음 표기 위치에 필기하도록 하며, 자음 표기 안내를 위한 패턴 또는 모음 표기 안내를 위한 패턴을 글씨 연습 수준의 각 단계 별로 변형 구성함으로써, 초성 및 중성, 종성의 위치 및 크기의 균형을 이룬 필체가 되도록 연습자의 글씨 필기 실력을 단계별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한글 글씨 연습용 교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한글 글씨 연습용 교재에 관한 것으로서, 초성 및 중성, 종성의 조합으로 구성된 한글 글씨를 탈네모꼴 글꼴로 연습하기 위한 교재로서, 초성 또는 종성을 구성하는 한글 자음을 일정한 패턴을 통해 안내되는 자음 표기 영역 또는 자음 표기 위치에 필기하도록 하고, 중성을 구성하는 한글 모음을 일정한 패턴을 통해 안내되는 모음 표기 위치에 필기하도록 하며, 자음 표기 안내를 위한 패턴 또는 모음 표기 안내를 위한 패턴을 글씨 연습 수준의 각 단계 별로 변형 구성함으로써, 초성 및 중성, 종성의 위치 및 크기의 균형을 이룬 필체가 되도록 연습자의 글씨 필기 실력을 단계별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한글 글씨 연습용 교재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나 스마트폰, 스마트패드와 같은 디지털 기기의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각종 문서의 작성도 키보드나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을 통해 이뤄지는 추세가 보편화 되고 있다.
이렇게 키보드나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환경이 보편화되면서, 학생들이 손글씨를 이용하여 필기를 하는 빈도나 분량도 감소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학생들의 손글씨 필체가 과거에 비해 상당히 악화되고 있다.
특히, 한글의 경우, 초성 및 중성, 종성으로 이뤄진 문자 특성으로 인해, 자음이나 모음의 모양을 정확하게 필기하는 것 뿐만 아니라, 초성 및 중성, 종성의 각 위치에 따라 자음이나 모음의 크기나 위치도 정확하게 맞추어 필기해야 하며, 이러한 특성은 영어 알파벳 등에 비해서도 손글씨 필체 실력을 향상시키는데 있어서 더욱 큰 제약 요인이 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한글 손글씨 연습을 위한 교재의 구성이 일부 제안된 바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33887호(2008년05월26일 등록)는 악필글씨교정노트를 제안하였다.
상기 종래 기술은 글자간을 구획하기 위하여 종이상에 일정크기로 표시된 정사각 표시선과, 상기 정사각 표시선중 어느 하나의 표시선 내부에 형성되며, 습득하고자 하는 한글 또는 한자등이 인쇄된 예시문자와, 상기 예시문자가 형성된 정사각 표시선과 인접된 일측 정사각 표시선상에 마련되며 예시문자의 자음과 모음 크기와 동일 크기를 결정해 주는 사각화한 블록위치와, 상기 예시문자가 형성된 정사각 표시선과 인접된 정사각 표시선상에 마련되며 블록위치글씨 교정선틀이 마련되는 공란칸과, 상기 각 정사각 표시선 내부에 마련되어 자음글자의 형상과 모양을 잡아주는 두 수직선인 세로획 교정선과, 상기 각 정사각 표시선 내부에 마련되어 모음글자의 크기를 결정해주는 가로획 모음 글자 크기 교정선과, 상기 각 정사각 표시선의 블록위치상에 마련되어 내부를 사분화 시키는 점선과, 상기 예시문자의 자음과 모음의 경사각도와 동일한 경사각도를 나타내기 위한 가로획 경사선으로 이루어진 악필글씨교정노트의 구성을 개시하였다.
그런데,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악필글씨교정노트는 발명자가 제안한 특정 블록 구조에 따라 손글씨 연습을 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연습자들마다 갖고 있는 다양한 개성이 각자의 손글씨 필체로서 표현될 수 있는 여지를 너무 제한한다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악필글씨교정노트는 '초성+중성'으로만 이뤄진 글자, 예를 들어, '가', '구', '노'와 같은 글자와, '초성+중성+종성'을 모두 포함하여 이뤄진 글자, 예를 들어, '강', '굽', '녹'과 같은 글자에 대한 필체를 구성함에 있어서, 초성+중성+종성의 결합에 따른 한글 글자 구성 원리(상하 방향의 무게 중심 위치)를 고려하지 않고 발명자가 임의적으로 제안하는 배치 방식에 따라 초성 및 중성, 종성의 필체를 연습하도록 한다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악필글씨교정노트는 모음의 표기에 있어서도, 모음 기본 글자인 '.', 'ㅡ', 'ㅣ'와, 초출자(모음 기본 글자에 '.'이 한번 더해진 글자)인 'ㅏ', 'ㅓ', 'ㅗ', 'ㅜ'와, 재출자(모음 기본 글자에 '.'이 두번 더해진 글자)인 'ㅑ', 'ㅕ', 'ㅛ', 'ㅠ' 등으로 이뤄진 기본 모음의 표기와, 이들이 조합된 모음(예, 'ㅘ', 'ㅐ', 'ㅞ' 등)의 표기에 있어서도, 모음 구성의 차이를 고려하지 않고 발명자가 임의적으로 제안하는 방식에 따라 모음의 크기나 위치를 연습하도록 한다는 한계가 있었다.
한편, 종래 기술의 또 다른 일예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76852호(2014년03월14일 등록)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종래 기술은 글자의 철자별로 나누어지게 하는 선이나 점을 글자의 철자별로 구분된 영역에 표기하여 철자별로 글씨쓰기의 학습이 이루어지게 하는 글씨쓰기학습교재를 제안하였다.
그런데, 상기 종래 기술은 글자의 철자별로 구분된 영역을 초성 및 중성, 종성의 배치 위치 만을 고려하여 기계적인 배치 구성을 제안함으로써, 초성 및 중성, 종성을 이루는 자음 및/또는 모음 간의 크기의 균형이 실제 손글씨 필체로 사용하기에는 맞지 않는 상태를 이루었고, 초성 및 중성, 종성을 이루는 자음 및/또는 모음의 위치에 있어서도 연습자가 실제 손글씨 필체로 연습하여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상태를 이룬다는 근본적인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도, 모음 기본 글자 및 초출자, 재출자, 조합 모음 등의 다양한 모음 구성의 차이를 고려하지 않고 기계적으로 배치된 영역 내에 모음을 필기하도록 한다는 한계가 있었다.
한편, 상기 손글씨 연습용 교재를 포함한 거의 대부분의 손글씨 연습용 교재는, 소위 '네모꼴' 글꼴을 기준으로 글씨 연습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네모꼴'이란, '초성+중성'으로만 이뤄진 글자, 예를 들어, '가', '구', '노'와 같은 글자와, '초성+중성+종성'을 모두 포함하여 이뤄진 글자, 예를 들어, '강', '굽', '녹'과 같은 글자를 구성하는 각각의 자음, 모음의 조합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한자를 흉내내어 가상의 네모꼴에 맞춰 글자의 외형을 억지로 늘이거나 줄이는 방식으로 만들어진 글꼴이다. 명조체를 비롯한 대부분의 상용화된 글꼴은 모두 '네모꼴' 글꼴을 기준으로 이뤄져 있다.
도 1 및 도 2는 네모꼴에 맞춰 필기된 명조체 글자의 예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이러한 네모꼴 글꼴로 손글씨 연습을 하는 경우, 종성이 있는 경우(도 2의 경우) 또는 없는 경우(도 1의 경우)에 따라 초성 또는 종성을 이루는 자음의 크기와 형상에 다양한 변화를 주어야 하므로, 아직 손글씨에 익숙하지 않은 연습자가 하나의 자음에 대하여도 각각의 글자 특성에 맞추어 다양한 필체 연습을 해야 한다는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네모꼴 글꼴로 손글씨 연습을 하는 경우, 초성을 이루는 자음에 대해서 수많은 위치의 시작점을 모두 기억하거나 체득해야 한다는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초성 및 중성, 종성의 조합으로 구성된 한글 글씨를 탈네모꼴 글꼴로 연습하기 위한 교재로서, 초성 또는 종성을 구성하는 한글 자음을 일정한 패턴을 통해 안내되는 자음 표기 영역 또는 자음 표기 위치에 필기하도록 하고, 중성을 구성하는 한글 모음을 일정한 패턴을 통해 안내되는 모음 표기 위치에 필기하도록 하며, 자음 표기 안내를 위한 패턴 또는 모음 표기 안내를 위한 패턴을 글씨 연습 수준의 각 단계 별로 변형 구성함으로써, 초성 및 중성, 종성의 위치 및 크기의 균형을 이룬 필체가 되도록 연습자의 글씨 필기 실력을 단계별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한글 글씨 연습용 교재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연습자의 글씨 필기 실력을 단계별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한글 글씨 연습용 교재로서, 정사각형의 외형을 갖는 제1 초성 필기부와, 상기 제1 초성 필기부의 하측 소정 거리에 위치한 수평선으로 이뤄진 제1 중성 필기부와, 상기 제1 초성 필기부와 동일한 크기의 정사각형의 외형을 가지며, 상기 제1 중성 필기부의 하측 소정 거리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초성 필기부와 동일한 수직 위치를 갖도록 배치된 제1 종성 필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세로모임꼴 패턴; 및 정사각형의 외형을 갖는 제3 초성 필기부와, 상기 제3 초성 필기부의 우측 소정 거리에 위치한 수직선과 상기 제3 초성 필기부의 하측 소정 거리에 위치하는 수평선으로 이뤄진 제3 중성 필기부와, 상기 제3 초성 필기부와 동일한 크기의 정사각형의 외형을 가지며, 상기 제3 중성 필기부의 수평선의 하측 소정 거리에 위치하며, 상기 제3 초성 필기부보다 더욱 우측으로 편향된 수직 위치를 갖도록 배치된 제3 종성 필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섞인모임꼴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3 초성 필기부를 이루거나 또는 상기 제1 및 제3 종성 필기부를 이루는 정사각형의 선 두께가 상기 제1 및 제3 중성 필기부의 선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된 제1단계 패턴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1 및 제3 초성 필기부를 이루거나 또는 상기 제1 및 제3 종성 필기부를 이루는 정사각형의 선 두께가, 상기 제1단계 패턴의 상기 제1 및 제3 초성 필기부를 이루거나 또는 상기 제1 및 제3 종성 필기부를 이루는 정사각형의 선 두께보다 얇게 형성된 제2단계 패턴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1 및 제3 초성 필기부를 이루거나 또는 상기 제1 및 제3 종성 필기부를 이루는 정사각형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상기 정사각형과 동심을 갖는 원형이 포함되도록 형성되며, 원형의 상부 좌측 위치에 자음 시작점이 표시된 제3단계 패턴을 포함하여 구성된 한글 글씨 연습용 교재가 개시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정사각형의 외형을 갖는 제2 초성 필기부와, 상기 제2 초성 필기부의 우측 소정 거리에 위치한 수직선으로 이뤄진 제2 중성 필기부와, 상기 제2 초성 필기부와 동일한 크기의 정사각형의 외형을 가지며, 상기 제2 초성 필기부의 하측 소정 거리에 위치하며, 상기 제2 초성 필기부보다 더욱 우측으로 편향된 수직 위치를 갖도록 배치된 제2 종성 필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가로모임꼴 패턴;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다.
삭제
삭제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제1단계 패턴의 섞인모임꼴 패턴에서 상기 제3 중성 필기부의 수직선은 2개의 평행한 수직선으로 이뤄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정사각형의 외형을 갖는 제4 초성 필기부와, 상기 제4 초성 필기부의 하측 소정 거리에 위치한 수평선으로 이뤄진 제4 중성 필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제4단계용 세로모임꼴 패턴;과, 정사각형의 외형을 갖는 제4' 초성 필기부와, 상기 제4' 초성 필기부의 우측 소정 거리에 위치한 수직선과 상기 제4' 초성 필기부의 하측 소정 거리에 위치하는 수평선으로 이뤄진 제4' 중성 필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제4단계용 섞인모임꼴 패턴;을 포함하되, 제4 및 제4' 초성 필기부를 이루는 정사각형의 내부에 동심을 갖는 원형이 포함되도록 형성되며, 원형의 상부 좌측 위치에 자음 시작점이 표시된 제4단계 패턴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다.
삭제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수평선으로 이뤄진 제5 중성 필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제5단계용 세로모임꼴 패턴;과, 수평선과 상기 수평선의 우측 상부에 위치한 수직선으로 이뤄진 제5' 중성 필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제5단계용 섞인모임꼴 패턴;을 포함하되, 상기 제5 및 제5' 중성 필기부를 이루는 수평선의 상부 좌측 위치에 자음 시작점이 표시된 제5단계 패턴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수평선과 상기 수평선의 우측 상부에 위치한 수직선으로 이뤄진 제6 중성 필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제6단계용 섞인모임꼴 패턴;으로 이뤄진 제6단계 패턴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초성 및 중성, 종성이 모두 포함된 글자를 필기할 수 있도록 높이 폭이 형성되며, 다수의 글자를 연서할 수 있도록 상기 높이 폭을 갖는 필기 영역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갖는 노트 줄 패턴;으로 이뤄진 제7단계 패턴을 더욱 포함하되, 상기 노트 줄 패턴은, 최상측의 상부 외곽선으로부터 최하측의 하부 외곽선에 이르는 상기 높이 폭을 가상적으로 8등분하는 제1 내지 제7 가상선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 외곽선의 위치에 형성된 기준선과, 상기 상부 외곽선과 상기 제1 가상선 간의 영역에 형성된 초성시작영역과, 상기 제2 가상선의 위치에 형성된 초성 제한선과, 상기 제3 가상선의 위치에 형성된 종성 시작선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초성 및 중성, 종성의 위치 및 크기의 균형을 이룬 탈네모꼴 글꼴의 필체가 되도록 연습자의 글씨 필기 실력을 단계별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연습자의 글씨가 자음과 모음의 위치 및 크기가 균형을 이룬 필체가 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각 연습자들마다 갖고 있는 다양한 개성이 각자의 손글씨 필체로서 표현될 수 있도록 한다는 장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네모꼴에 맞춰 필기된 명조체 글자의 예를 각각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글 글씨 연습용 패턴의 개념 설명을 위한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글 글씨 연습용 패턴 중 제1단계 패턴의 세로모임꼴 패턴(V) 및 섞인모임꼴 패턴(M)의 개념 설명을 위한 모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글 글씨 연습용 패턴 중 제1단계 패턴의 세로모임꼴 패턴(V) 및 섞인모임꼴 패턴(M)의 필기 연습 상태를 예시하기 위한 모식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글 글씨 연습용 패턴 중 제2단계 패턴의 세로모임꼴 패턴(V) 및 섞인모임꼴 패턴(M)의 개념 설명을 위한 모식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글 글씨 연습용 패턴 중 제2단계 패턴의 세로모임꼴 패턴(V) 및 섞인모임꼴 패턴(M)의 필기 연습 상태를 예시하기 위한 모식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글 글씨 연습용 패턴 중 제3단계 패턴의 세로모임꼴 패턴(V) 및 섞인모임꼴 패턴(M)의 개념 설명을 위한 모식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글 글씨 연습용 패턴 중 제3단계 패턴의 세로모임꼴 패턴(V) 및 섞인모임꼴 패턴(M)의 필기 연습 상태를 예시하기 위한 모식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한글 글씨 연습용 패턴 중 제3단계 패턴의 섞인모임꼴 패턴(M) 및 가로모임꼴 패턴(H)의 개념 설명을 위한 모식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글 글씨 연습용 패턴 중 제4단계 패턴의 세로모임꼴 패턴(V) 및 섞인모임꼴 패턴(M)의 개념 설명을 위한 모식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글 글씨 연습용 패턴 중 제4단계 패턴의 세로모임꼴 패턴(V) 및 섞인모임꼴 패턴(M)의 필기 연습 상태를 예시하기 위한 모식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글 글씨 연습용 패턴 중 제5단계 패턴의 세로모임꼴 패턴(V) 및 섞인모임꼴 패턴(M)의 개념 설명을 위한 모식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글 글씨 연습용 패턴 중 제5단계 패턴의 세로모임꼴 패턴(V) 및 섞인모임꼴 패턴(M)의 필기 연습 상태를 예시하기 위한 모식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글 글씨 연습용 패턴 중 제6단계 패턴의 섞인모임꼴 패턴(V)의 개념 설명을 위한 모식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글 글씨 연습용 패턴 중 제6단계 패턴의 세로모임꼴 글씨(V) 및 섞인모임꼴 글씨(M)의 필기 연습 상태를 예시하기 위한 모식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글 글씨 연습용 패턴 중 제7단계 패턴의 개념 설명을 위한 모식도,
도 18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글 글씨 연습용 패턴 중 제7단계 패턴의 세로모임꼴 글씨(V) 및 섞인모임꼴 글씨(M)의 필기 연습 상태를 예시하기 위한 모식도,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글 글씨 연습용 패턴에 다른 종류의 글씨체가 적용된 예를 나타내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글 글씨 연습용 패턴의 개념 설명을 위한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글 글씨 연습용 패턴 중 제1단계 패턴의 세로모임꼴 패턴(V) 및 섞인모임꼴 패턴(M)의 개념 설명을 위한 모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글 글씨 연습용 패턴 중 제1단계 패턴의 세로모임꼴 패턴(V) 및 섞인모임꼴 패턴(M)의 필기 연습 상태를 예시하기 위한 모식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글 글씨 연습용 패턴 중 제2단계 패턴의 세로모임꼴 패턴(V) 및 섞인모임꼴 패턴(M)의 개념 설명을 위한 모식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글 글씨 연습용 패턴 중 제2단계 패턴의 세로모임꼴 패턴(V) 및 섞인모임꼴 패턴(M)의 필기 연습 상태를 예시하기 위한 모식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글 글씨 연습용 패턴 중 제3단계 패턴의 세로모임꼴 패턴(V) 및 섞인모임꼴 패턴(M)의 개념 설명을 위한 모식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글 글씨 연습용 패턴 중 제3단계 패턴의 세로모임꼴 패턴(V) 및 섞인모임꼴 패턴(M)의 필기 연습 상태를 예시하기 위한 모식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한글 글씨 연습용 패턴 중 제3단계 패턴의 섞인모임꼴 패턴(M) 및 가로모임꼴 패턴(H)의 개념 설명을 위한 모식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글 글씨 연습용 패턴 중 제4단계 패턴의 세로모임꼴 패턴(V) 및 섞인모임꼴 패턴(M)의 개념 설명을 위한 모식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글 글씨 연습용 패턴 중 제4단계 패턴의 세로모임꼴 패턴(V) 및 섞인모임꼴 패턴(M)의 필기 연습 상태를 예시하기 위한 모식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글 글씨 연습용 패턴 중 제5단계 패턴의 세로모임꼴 패턴(V) 및 섞인모임꼴 패턴(M)의 개념 설명을 위한 모식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글 글씨 연습용 패턴 중 제5단계 패턴의 세로모임꼴 패턴(V) 및 섞인모임꼴 패턴(M)의 필기 연습 상태를 예시하기 위한 모식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글 글씨 연습용 패턴 중 제6단계 패턴의 섞인모임꼴 패턴(V)의 개념 설명을 위한 모식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글 글씨 연습용 패턴 중 제6단계 패턴의 세로모임꼴 글씨(V) 및 섞인모임꼴 글씨(M)의 필기 연습 상태를 예시하기 위한 모식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글 글씨 연습용 패턴 중 제7단계 패턴의 개념 설명을 위한 모식도,
도 18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글 글씨 연습용 패턴 중 제7단계 패턴의 세로모임꼴 글씨(V) 및 섞인모임꼴 글씨(M)의 필기 연습 상태를 예시하기 위한 모식도,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글 글씨 연습용 패턴에 다른 종류의 글씨체가 적용된 예를 나타내기 위한 모식도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제1, 제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한글 글씨 연습용 교재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제1단계 내지 제7단계 패턴이 각 단계별 페이지에 인쇄되어, 일반 필기구를 이용하여 글씨 연습을 할 수 있는 교재로 이해될 수 있다. 교재의 형태는 일반적인 연습용 노트의 형태로 이뤄질 수 있으며, 교재 자체가 특정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단계 내지 제7단계 패턴은 연습자의 연령이나 학습 수준에 따라서 다양한 크기로 교재의 페이지에 인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치원생용은 다소 큰 크기로 인쇄되고, 초등학생이나 중학생용은 다소 작은 크기로 각 패턴이 인쇄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페이지의 다수의 패턴이 규칙적인 배열 형태(예, 다수의 행과 열이 배치된 형태)로 인쇄되어 다수의 글씨를 하나의 페이지를 통해 연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한글 글씨 연습용 교재는, 초성 및 중성, 종성의 조합으로 구성된 한글 글씨를 탈네모꼴 글꼴로 연습하기 위한 교재이다.
'탈네모꼴'이란, '초성+중성'으로만 이뤄진 글자, 예를 들어, '가', '구', '노'와 같은 글자와, '초성+중성+종성'을 모두 포함하여 이뤄진 글자, 예를 들어, '강', '굽', '녹'과 같은 글자를 구성하는 각각의 자음, 모음의 조합 특성을 고려한 글꼴로 이해될 수 있으며, 상술한 '네모꼴'과 반대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탈네모꼴'은 한자를 흉내내어 가상의 네모꼴에 맞춰 글자의 외형을 억지로 늘이거나 줄이는 '네모꼴' 글꼴과 달리, '초성+중성'으로만 이뤄진 글자, 예를 들어, '가', '구', '노'와 같은 글자와, '초성+중성+종성'을 모두 포함하여 이뤄진 글자, 예를 들어, '강', '굽', '녹'과 같은 글자의 '초성+중성' 부분만의 크기가 대략 동일한 크기와 위치로 형성되도록 하고, '종성'을 그 하부에 배치하는 글꼴 형태를 갖는다. 이를 다른 관점에서 보면, '초성+중성'으로만 이뤄진 글자, 예를 들어, '가', '구', '노'와 같은 글자는 종성 위치를 여백으로 두는 것과 같이 이해될 수도 있다.
이러한 '탈네모꼴' 글꼴로 한글 글씨 연습을 하는 경우, 자음, 모음의 조합 특성에 따라 글자(특히, 초성 자음)의 크기나 위치가 매번 변형될 필요가 없으므로, 글자의 크기가 항상 균일하고 상하 위치가 일관된 글씨체를 갖도록 연습하기에 적합하다.
본 실시예의 한글 글씨 연습용 교재는, 초성 또는 종성을 구성하는 한글 자음을 일정한 패턴을 통해 안내되는 자음 표기 영역 또는 자음 표기 위치에 필기하도록 하고, 중성을 구성하는 한글 모음을 일정한 패턴을 통해 안내되는 모음 표기 위치에 필기하도록 하며, 자음 표기 안내를 위한 패턴 또는 모음 표기 안내를 위한 패턴을 글씨 연습 수준의 각 단계 별로 변형 구성함으로써, 초성 및 중성, 종성의 위치 및 크기의 균형을 이룬 필체가 되도록 연습자의 글씨 필기 실력을 단계별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한글 글씨 연습용 교재의 제1단계 내지 제7단계 패턴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글 글씨 연습용 패턴의 개념 설명을 위한 모식도이다.
본 실시예의 한글 글씨 연습용 패턴은, 한글 글자의 종류에 따라, '세로모임꼴', '가로모임꼴', '섞인모임꼴'로 분류된다.
'세로모임꼴'은 예를 들어, '몸', '문', '음'과 같이 초성 아래 쪽에 중성이 있고, 그 아래 쪽에 종성이 있는 모양을 갖는 글꼴로 이해될 수 있다.
'가로모임꼴'은 예를 들어, '가', '각', '액'과 같이 중성을 이루는 모음이 초성의 아래쪽에 위치하지 않는 모양을 갖는 글꼴로 이해될 수 있다.
'섞인모임꼴'은 예를 들어, '과', '곽', '왝'과 같이 초성 아래쪽과 우측에 복모음이 결합되는 글꼴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한글 글씨 연습용 패턴은, 각 단계별로 '세로모임꼴', '가로모임꼴', '섞인모임꼴'이 각각 포함되어, 해당 글꼴을 연습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실질적으로 '섞인모임꼴' 패턴을 통해 '가로모임꼴'에 해당하는 글자를 함께 연습할 수도 있으므로, 각 단계별로 '가로모임꼴'을 별도로 구성하지 않고 '섞인모임꼴'만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해의 편의 상, 각 단계별 패턴 및 필기부를 제1, 제2와 같은 구분용 표현을 부가하는 방식으로 더욱 구분하여 이해할 수도 있다.
일예로, 제1 내지 제3 단계 패턴은 세로모임꼴/가로모임꼴/섞인모임꼴 패턴을 각각 포함하고, 세로모임꼴 패턴은 제1 초성/중성/종성 필기부를 포함하고, 가로모임꼴 패턴은 제2 초성/중성/종성 필기부를 포함하고, 섞인모임꼴 패턴은 제3 초성/중성/종성 필기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제4 단계 패턴은 제4 단계용 세로모임꼴/섞인모임꼴 패턴을 각각 포함하고, 제4 단계용 세로모임꼴 패턴은 제4 초성/중성 필기부를 포함하고, 제4 단계용 섞인모임꼴 패턴은 제4' 초성/중성 필기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제5 단계 패턴은 제5 단계용 세로모임꼴/섞인모임꼴 패턴을 각각 포함하고, 제5 단계용 세로모임꼴 패턴은 제5 중성 필기부를 포함하고, 제5 단계용 섞인모임꼴 패턴은 제5' 중성 필기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제6 단계 패턴은 제6 단계용 섞인모임꼴 패턴을 포함하고, 제6 단계용 섞인모임꼴 패턴은 제6 중성 필기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해의 편의 상, 각 단계별 패턴 및 필기부를 제1, 제2와 같은 구분용 표현을 부가하는 방식으로 더욱 구분하여 이해할 수도 있다.
일예로, 제1 내지 제3 단계 패턴은 세로모임꼴/가로모임꼴/섞인모임꼴 패턴을 각각 포함하고, 세로모임꼴 패턴은 제1 초성/중성/종성 필기부를 포함하고, 가로모임꼴 패턴은 제2 초성/중성/종성 필기부를 포함하고, 섞인모임꼴 패턴은 제3 초성/중성/종성 필기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제4 단계 패턴은 제4 단계용 세로모임꼴/섞인모임꼴 패턴을 각각 포함하고, 제4 단계용 세로모임꼴 패턴은 제4 초성/중성 필기부를 포함하고, 제4 단계용 섞인모임꼴 패턴은 제4' 초성/중성 필기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제5 단계 패턴은 제5 단계용 세로모임꼴/섞인모임꼴 패턴을 각각 포함하고, 제5 단계용 세로모임꼴 패턴은 제5 중성 필기부를 포함하고, 제5 단계용 섞인모임꼴 패턴은 제5' 중성 필기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제6 단계 패턴은 제6 단계용 섞인모임꼴 패턴을 포함하고, 제6 단계용 섞인모임꼴 패턴은 제6 중성 필기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글 글씨 연습용 패턴 중 제1단계 패턴의 세로모임꼴 패턴(V) 및 섞인모임꼴 패턴(M)의 개념 설명을 위한 모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글 글씨 연습용 패턴 중 제1단계 패턴의 세로모임꼴 패턴(V) 및 섞인모임꼴 패턴(M)의 필기 연습 상태를 예시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본 실시예의 세로모임꼴 패턴(V)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정사각형(12)의 외형을 갖는 초성 필기부(10)가 형성된다.
상기 초성 필기부(10)의 하측 소정 거리에 위치한 수평선(22)으로 이뤄진 중성 필기부(20)가 형성된다.
상기 초성 필기부(10)와 동일한 크기의 정사각형(32)의 외형을 가지며, 상기 중성 필기부(20)의 하측 소정 거리에 위치하며, 상기 초성 필기부(10)와 동일한 수직 위치를 갖도록 배치된 종성 필기부(30)가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섞인모임꼴 패턴(M)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정사각형(12')의 외형을 갖는 초성 필기부(10')가 형성된다.
상기 초성 필기부(10')의 우측 소정 거리에 위치한 수직선(24')과 상기 초성 필기부(10')의 하측 소정 거리에 위치하는 수평선(22')으로 이뤄진 중성 필기부(20')가 형성된다.
상기 초성 필기부(10')와 동일한 크기의 정사각형(32')의 외형을 가지며, 상기 중성 필기부(20')의 수평선(22')의 하측 소정 거리에 위치하며, 상기 초성 필기부(10')보다 더욱 우측으로 편향된 수직 위치를 갖도록 배치된 종성 필기부(30')가 형성된다.
특히, 본 실시예의 제1단계 패턴은, 상기 초성 필기부(10,10') 또는 종성 필기부(30,30')를 이루는 정사각형(12 또는 12',32,32')의 선 두께가 중성 필기부(20,20')의 선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이러한 패턴 형상을 통해, 가장 초급 단계의 글씨 연습자가 두껍게 형성된 초성 필기부(10,10') 또는 종성 필기부(30,30')의 선을 따라 자음의 위치를 잡는 연습을 가장 초기 단계의 연습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즉, 가장 초기 단계의 연습이므로, 수평 또는 수직선 형태의 획의 정교함보다는 자음의 위치를 정확하게 잡는 연습을 하는 것에 제1단계 패턴의 주안점이 있다. 연습자는 도 5와 같이 초성 필기부(10,10') 또는 종성 필기부(30,30')를 이루는 정사각형(12 또는 12',32,32')의 선 위에 연습하고자 하는 자음을 필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단계 패턴의 섞인모임꼴 패턴(M)에서 상기 중성 필기부(20')의 수직선(24')은 2개의 평행한 수직선(24a',24b')으로 이뤄진다.
이러한 패턴 형상을 통해, '맥', '웩'과 같이 복모음을 포함하는 글자의 경우, 모음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연습할 수 있게 된다. 복모음의 수직선의 위치는 예를 들어, 도 5와 같이 연습될 수 있다.
가로모임꼴 패턴(H)에 대해서는 제3단계 패턴에 대한 설명 시에 도 10을 참조하여 별도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글 글씨 연습용 패턴 중 제2단계 패턴의 세로모임꼴 패턴(V) 및 섞인모임꼴 패턴(M)의 개념 설명을 위한 모식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글 글씨 연습용 패턴 중 제2단계 패턴의 세로모임꼴 패턴(V) 및 섞인모임꼴 패턴(M)의 필기 연습 상태를 예시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본 실시예의 제2단계 패턴은, 초성 필기부(10,10') 또는 종성 필기부(30,30')를 이루는 정사각형(12 또는 12',32,32')의 선 두께가, 상기 제1단계 패턴의 상기 초성 필기부(10,10') 또는 종성 필기부(30,30')를 이루는 정사각형(12 또는 12',32,32')의 선 두께보다 얇게 형성된다.
이러한 패턴 형상을 통해, 제1단계에서 연습한 자음의 위치를 잡는 단계에서 더욱 나아가 자음의 선의 획의 두께나 방향 등의 정교함까지 고려한 필기 연습을 할 수 있다.
연습자는 초성 필기부(10,10') 또는 종성 필기부(30,30')를 이루는 정사각형(12 또는 12',32,32')의 내부에 자음을 필기할 수 있다.
특히, 본 제2단계부터는, 자음의 위치는 정사각형의 가이드를 받아 필기하되, 그 내부 공간에 연습자의 개성을 고려한 다소 간의 변형을 둔 글씨체를 필기해도 되므로, 정확한 자음의 위치와 선을 잡으면서도 연습자의 개성을 다소 고려한 글씨 연습이 이뤄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글 글씨 연습용 패턴 중 제3단계 패턴의 세로모임꼴 패턴(V) 및 섞인모임꼴 패턴(M)의 개념 설명을 위한 모식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글 글씨 연습용 패턴 중 제3단계 패턴의 세로모임꼴 패턴(V) 및 섞인모임꼴 패턴(M)의 필기 연습 상태를 예시하기 위한 모식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한글 글씨 연습용 패턴 중 제3단계 패턴의 섞인모임꼴 패턴(M) 및 가로모임꼴 패턴(H)의 개념 설명을 위한 모식도이다.
본 실시예의 제3단계 패턴은, 초성 필기부(10,10') 또는 종성 필기부(30,30')를 이루는 정사각형(12 또는 12',32,32')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상기 정사각형(12 또는 12',32,32')과 동심을 갖는 원형(12a 또는 12a')이 포함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패턴 형상을 통해, 자음의 위치를 상기 원형(12a 또는 12a')의 내부 공간을 중심으로 더욱 정확하게 잡는 연습을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단계 패턴에 포함된 원형(12a 또는 12a')의 상부 좌측 위치에 자음 시작점(SP)이 표시된다.
이러한 패턴 형상을 통해, 자음의 시작점을 일관된 위치가 되도록 연습할 수 있으므로, 연습자는 본 제3단계 패턴을 통해, 자음의 위치를 더욱 정확하게 하고, 그 시작점도 더욱 일관성을 가지도록 연습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모든 자음이 상기 자음 시작점(SP)을 고려해서 연습이 이뤄지는 것은 아니며, 자음 중에서 특히, 'ㄱ,ㄴ,ㄷ,ㄹ,ㅁ,ㅂ,ㅈ,ㅌ,ㅍ'가 자음 시작점(SP)을 고려해서 연습하기에 적합하다. 다른 자음들은 자음 시작점(SP)을 반드시 고려해서 연습할 필요는 없다.
한편, 도 10을 참조할 때, 본 실시예의 가로모임꼴 패턴(H)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정사각형(12'')의 외형을 갖는 초성 필기부(10'')가 형성된다.
상기 초성 필기부(10'')의 우측 소정 거리에 위치한 수직선(24'')으로 이뤄진 중성 필기부(20'')가 형성된다.
상기 초성 필기부(10'')와 동일한 크기의 정사각형(32'')의 외형을 가지며, 상기 초성 필기부(10'')의 하측 소정 거리에 위치하며, 상기 초성 필기부(10'')보다 더욱 우측으로 편향된 수직 위치를 갖도록 배치된 종성 필기부(30'')가 형성된다.
한편, 도 8 내지 도 9에서는 초성 필기부(10,10')를 이루는 정사각형(12 또는 12')만 내부에 원형(12a,12a')이 포함되도록 형성되고, 종성 필기부(30,30')를 이루는 정사각형(32,32')은 내부에 별도의 원형 표시가 없도록 패턴이 형성되었는데, 이는 종성 필기부(30,30')에서는 자음의 위치나 크기를 다소 자유롭게 필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초성 필기부(10,10')에서 자음 시작점(SP)에 의지해서 연습자가 연습하였지만, 더욱 나아가서 종성 필기부(30,30')에서는 보조선이나 자음 시작점(SP)의 도움 없이 자음 필기를 연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다른 예로서, 도 10과 같이, 종성 필기부(30,30')를 이루는 정사각형(32'',32''')의 내부에도 원형(32a'',32a''')이 포함되도록 패턴이 형성되어, 종성을 이루는 자음도 더욱 정확한 위치가 되도록 연습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글 글씨 연습용 패턴 중 제4단계 패턴의 세로모임꼴 패턴(V) 및 섞인모임꼴 패턴(M)의 개념 설명을 위한 모식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글 글씨 연습용 패턴 중 제4단계 패턴의 세로모임꼴 패턴(V) 및 섞인모임꼴 패턴(M)의 필기 연습 상태를 예시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본 실시예의 제4단계 패턴은, 정사각형(12)의 외형을 갖는 초성 필기부(10)와, 상기 초성 필기부(10)의 하측 소정 거리에 위치한 수평선(22)으로 이뤄진 중성 필기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 세로모임꼴 패턴(V)을 구비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제4단계 패턴은, 정사각형(12')의 외형을 갖는 초성 필기부(10')와, 상기 초성 필기부(10')의 우측 소정 거리에 위치한 수직선(24')과 상기 초성 필기부(10')의 하측 소정 거리에 위치하는 수평선(22')으로 이뤄진 중성 필기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 섞인모임꼴 패턴(M)을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본 실시예의 제4단계 패턴은, 초성 필기부(10,10')를 이루는 정사각형(12,12')의 내부에 동심을 갖는 원형(12a,12a')이 포함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패턴 형상을 통해, 제4단계 패턴을 연습하는 연습자는 종성을 이루는 자음의 위치나 크기를 초성 필기부(10,10')와 중성 필기부(20,20')의 위치만을 고려하여 별도의 가이드 라인이 없이도 더욱 정확하게 필기하는 연습을 할 수 있게 된다. 즉, 이전 단계에 비해서 연습자가 가이드 라인이 없이 연습하는 부분의 비중을 더욱 높인 형태가 된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4단계 패턴에 포함된 원형(12a,12a')의 상부 좌측 위치에 자음 시작점(SP)이 표시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글 글씨 연습용 패턴 중 제5단계 패턴의 세로모임꼴 패턴(V) 및 섞인모임꼴 패턴(M)의 개념 설명을 위한 모식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글 글씨 연습용 패턴 중 제5단계 패턴의 세로모임꼴 패턴(V) 및 섞인모임꼴 패턴(M)의 필기 연습 상태를 예시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본 실시예의 제5단계 패턴은, 수평선(22)으로 이뤄진 중성 필기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 세로모임꼴 패턴(V)을 구비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제5단계 패턴은, 수평선(22')과 상기 수평선(22')의 우측 상부에 위치한 수직선(24')으로 이뤄진 중성 필기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 섞인모임꼴 패턴(M)을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본 실시예의 제5단계 패턴은, 상기 중성 필기부(20,20')를 이루는 수평선(22,22')의 상부 좌측 위치에 자음 시작점(SP)이 표시된다.
이러한 패턴 형상을 통해, 제5단계 패턴을 연습하는 연습자는 초성을 이루는 자음의 크기와, 종성을 이루는 자음의 위치나 크기를 중성 필기부(20,20')의 위치만을 고려하여 별도의 가이드 라인이 없이도 더욱 정확하게 필기하는 연습을 할 수 있게 된다. 즉, 이전 단계에 비해서 연습자가 가이드 라인이 없이 연습하는 부분의 비중을 더욱 높인 형태가 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글 글씨 연습용 패턴 중 제6단계 패턴의 섞인모임꼴 패턴(V)의 개념 설명을 위한 모식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글 글씨 연습용 패턴 중 제6단계 패턴의 세로모임꼴 글씨(V) 및 섞인모임꼴 글씨(M)의 필기 연습 상태를 예시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본 실시예의 제6단계 패턴은, 수평선(22)과 상기 수평선(22)의 우측 상부에 위치한 수직선(24)으로 이뤄진 중성 필기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 섞인모임꼴 패턴(M)을 구비한다.
이러한 패턴 형상을 통해, 제6단계 패턴을 연습하는 연습자는 초성을 이루는 자음의 위치나 크기와, 종성을 이루는 자음의 위치나 크기를 중성 필기부(20)의 위치만을 고려하여 별도의 가이드 라인이 없이도 더욱 정확하게 필기하는 연습을 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세로모임꼴 패턴(V) 및 섞인모임꼴 패턴(M)의 구분 없이 하나의 패턴으로만 연습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이전 단계에 비해서 연습자가 가이드 라인이나 패턴 구분 없이 연습하는 부분의 비중을 더욱 높인 형태가 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글 글씨 연습용 패턴 중 제7단계 패턴의 개념 설명을 위한 모식도, 도 18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글 글씨 연습용 패턴 중 제7단계 패턴의 세로모임꼴 글씨(V) 및 섞인모임꼴 글씨(M)의 필기 연습 상태를 예시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본 실시예의 제7단계 패턴은, 일반적인 공책 라인에 맞추어 연습할 수 있도록 연습자를 더욱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의 제7단계 패턴은, 초성 및 중성, 종성이 모두 포함된 글자를 필기할 수 있도록 높이 폭이 형성되며, 다수의 글자를 연서할 수 있도록 상기 높이 폭을 갖는 필기 영역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갖는 노트 줄 패턴(L)의 형태를 갖는다.
상기 노트 줄 패턴(L)은, 최상측의 상부 외곽선(50)으로부터 최하측의 하부 외곽선(60)에 이르는 상기 높이 폭을 가상적으로 8등분하는 제1 내지 제7 가상선(51~57)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 외곽선(50)의 위치에 형성된 기준선과, 상기 상부 외곽선(50)과 상기 제1 가상선(51) 간의 영역에 형성된 초성시작영역과, 상기 제2 가상선(52)의 위치에 형성된 초성 제한선과, 상기 제3 가상선(53)의 위치에 형성된 종성 시작선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기준선의 경우, 이 선을 초성이 넘지 않도록 필기해야 하며, 또한 가로모임꼴과 섞인모임꼴의 경우 중성 모음이 이 선 위로 넘지 않도록 필기해야 한다.
상기 초성시작영역의 경우, 이전 단계의 자음 시작점을 공간의 형태로 변형한 것에 해당한다. 바람직하게는, 초성시작영역의 정중앙에서 초성이 시작되도록 필기하면 된다.
상기 초성 제한선의 경우, 이전 단계에서 자음의 크기를 일정하게 필기하는 연습을 많이 했으므로, 그에 준하여 초성 제한선을 넘지 않도록 자음의 크기를 균일하게 쓸수 있도록 연습하기 위한 선이다.
상기 종성 시작선의 경우, 종성을 필기할 때에 그 시작 위치를 표시하는 선이다. 하부에 위치한 다음 노트 줄 패턴(L)의 기준선을 침범하지 않도록 종성의 무게 중심을 상측으로 수렴하도록 연습한다.
이러한 패턴 형상을 통해, 제7단계 패턴을 연습하는 연습자는 횡방향의 선만을 기준으로 초성을 이루는 자음의 위치나 크기와, 종성을 이루는 자음의 위치를 잡는 연습을 하게 되므로, 이전 단계에 비해서 더욱 정교한 연습자의 필기 수준을 배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7단계 패턴을 연습하는 연습자는, 낱글자 연습 단계를 넘어서 어절 단위별로 연습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어절 단위의 필기 연습을 통해 글자 하나 하나의 정확함에서 더욱 나아가, 글자와 글자 사이의 간격을 균일하게 필기하여 '낱글자->어절->문장'에 이르는 전체 한글 글씨 쓰기 연습을 완성하는 수준에 이를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1단계 내지 제7단계 패턴에 따라 연습자가 연습을 함에 따라, 연습자는 탈네모꼴 글씨체를 기준으로 자음의 위치를 잡는 초보 단계에서 자음의 크기와 선의 정교함을 높이는 단계로 발전하고, 최종적으로는 일반 공책 라인에 맞추어 탈네모꼴 글씨체를 능숙하게 필기하는 단계로 발전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이러한 연습 과정에서 자음의 형태 자체를 특정 선(자음이나 모음의 형태를 구체적으로 정의하는 선)에 맞추도록 강요하는 방식이 아니므로, 연습자는 자음의 위치와 크기만 일관성 있게 연습하고, 그 세부 형태는 본인의 개성을 살려서 쓰는 연습을 하게 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글 글씨 연습용 패턴에 다른 종류의 글씨체가 적용된 예를 나타내기 위한 모식도이다.
상기 도 4 내지 도 18에서는 특정 글씨체를 기준으로 글씨 연습을 예시하였지만, 도 19와 같이 다른 형태의 다양한 글씨체도 본 실시예의 한글 글씨 연습용 패턴에 따라 연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
10,10': 초성 필기부
20,20': 중성 필기부
30,30': 종성 필기부
V: 세로모임꼴 패턴
H: 가로모임꼴 패턴
M: 섞인모임꼴 패턴
20,20': 중성 필기부
30,30': 종성 필기부
V: 세로모임꼴 패턴
H: 가로모임꼴 패턴
M: 섞인모임꼴 패턴
Claims (13)
- 연습자의 글씨 필기 실력을 단계별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한글 글씨 연습용 교재로서,
정사각형의 외형을 갖는 제1 초성 필기부와,
상기 제1 초성 필기부의 하측 소정 거리에 위치한 수평선으로 이뤄진 제1 중성 필기부와,
상기 제1 초성 필기부와 동일한 크기의 정사각형의 외형을 가지며, 상기 제1 중성 필기부의 하측 소정 거리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초성 필기부와 동일한 수직 위치를 갖도록 배치된 제1 종성 필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세로모임꼴 패턴; 및
정사각형의 외형을 갖는 제3 초성 필기부와,
상기 제3 초성 필기부의 우측 소정 거리에 위치한 수직선과 상기 제3 초성 필기부의 하측 소정 거리에 위치하는 수평선으로 이뤄진 제3 중성 필기부와,
상기 제3 초성 필기부와 동일한 크기의 정사각형의 외형을 가지며, 상기 제3 중성 필기부의 수평선의 하측 소정 거리에 위치하며, 상기 제3 초성 필기부보다 더욱 우측으로 편향된 수직 위치를 갖도록 배치된 제3 종성 필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섞인모임꼴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3 초성 필기부를 이루거나 또는 상기 제1 및 제3 종성 필기부를 이루는 정사각형의 선 두께가 상기 제1 및 제3 중성 필기부의 선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된 제1단계 패턴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1 및 제3 초성 필기부를 이루거나 또는 상기 제1 및 제3 종성 필기부를 이루는 정사각형의 선 두께가, 상기 제1단계 패턴의 상기 제1 및 제3 초성 필기부를 이루거나 또는 상기 제1 및 제3 종성 필기부를 이루는 정사각형의 선 두께보다 얇게 형성된 제2단계 패턴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1 및 제3 초성 필기부를 이루거나 또는 상기 제1 및 제3 종성 필기부를 이루는 정사각형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상기 정사각형과 동심을 갖는 원형이 포함되도록 형성되며, 원형의 상부 좌측 위치에 자음 시작점이 표시된 제3단계 패턴을 포함하여 구성된 한글 글씨 연습용 교재.
- 제1항에 있어서,
정사각형의 외형을 갖는 제2 초성 필기부와,
상기 제2 초성 필기부의 우측 소정 거리에 위치한 수직선으로 이뤄진 제2 중성 필기부와,
상기 제2 초성 필기부와 동일한 크기의 정사각형의 외형을 가지며, 상기 제2 초성 필기부의 하측 소정 거리에 위치하며, 상기 제2 초성 필기부보다 더욱 우측으로 편향된 수직 위치를 갖도록 배치된 제2 종성 필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가로모임꼴 패턴;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한글 글씨 연습용 교재.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제1단계 패턴의 섞인모임꼴 패턴에서 상기 제3 중성 필기부의 수직선은 2개의 평행한 수직선으로 이뤄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글씨 연습용 교재.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정사각형의 외형을 갖는 제4 초성 필기부와,
상기 제4 초성 필기부의 하측 소정 거리에 위치한 수평선으로 이뤄진 제4 중성 필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제4단계용 세로모임꼴 패턴;과,
정사각형의 외형을 갖는 제4' 초성 필기부와,
상기 제4' 초성 필기부의 우측 소정 거리에 위치한 수직선과 상기 제4' 초성 필기부의 하측 소정 거리에 위치하는 수평선으로 이뤄진 제4' 중성 필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제4단계용 섞인모임꼴 패턴;을 포함하되,
제4 및 제4' 초성 필기부를 이루는 정사각형의 내부에 동심을 갖는 원형이 포함되도록 형성되며, 원형의 상부 좌측 위치에 자음 시작점이 표시된 제4단계 패턴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한글 글씨 연습용 교재.
- 삭제
- 제9항에 있어서,
수평선으로 이뤄진 제5 중성 필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제5단계용 세로모임꼴 패턴;과,
수평선과 상기 수평선의 우측 상부에 위치한 수직선으로 이뤄진 제5' 중성 필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제5단계용 섞인모임꼴 패턴;을 포함하되,
상기 제5 및 제5' 중성 필기부를 이루는 수평선의 상부 좌측 위치에 자음 시작점이 표시된 제5단계 패턴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한글 글씨 연습용 교재.
- 제11항에 있어서,
수평선과 상기 수평선의 우측 상부에 위치한 수직선으로 이뤄진 제6 중성 필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제6단계용 섞인모임꼴 패턴;으로 이뤄진 제6단계 패턴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한글 글씨 연습용 교재.
- 제12항에 있어서,
초성 및 중성, 종성이 모두 포함된 글자를 필기할 수 있도록 높이 폭이 형성되며, 다수의 글자를 연서할 수 있도록 상기 높이 폭을 갖는 필기 영역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갖는 노트 줄 패턴;으로 이뤄진 제7단계 패턴을 더욱 포함하되,
상기 노트 줄 패턴은,
최상측의 상부 외곽선으로부터 최하측의 하부 외곽선에 이르는 상기 높이 폭을 가상적으로 8등분하는 제1 내지 제7 가상선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 외곽선의 위치에 형성된 기준선과,
상기 상부 외곽선과 상기 제1 가상선 간의 영역에 형성된 초성시작영역과,
상기 제2 가상선의 위치에 형성된 초성 제한선과,
상기 제3 가상선의 위치에 형성된 종성 시작선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글씨 연습용 교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50626A KR101612391B1 (ko) | 2014-04-28 | 2014-04-28 | 한글 글씨 연습용 교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50626A KR101612391B1 (ko) | 2014-04-28 | 2014-04-28 | 한글 글씨 연습용 교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24157A KR20150124157A (ko) | 2015-11-05 |
KR101612391B1 true KR101612391B1 (ko) | 2016-04-14 |
Family
ID=54600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50626A KR101612391B1 (ko) | 2014-04-28 | 2014-04-28 | 한글 글씨 연습용 교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1239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389881A (zh) * | 2017-08-04 | 2019-02-26 | 谢义华 | 一种用于学生书写体的小田格练字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15979B1 (ko) * | 2007-02-12 | 2008-03-24 | 박재덕 | 악필교정용 단계별 맞춤학습 교재 |
JP2009180900A (ja) | 2008-01-30 | 2009-08-13 | Shosha Shodo Kyoiku Kenkyusho:Kk | 文字練習教材、文字練習システム、および、文字練習プログラム |
KR101376852B1 (ko) * | 2013-07-04 | 2014-03-20 | 최영환 | 글씨쓰기 학습방법 및 학습교재 |
-
2014
- 2014-04-28 KR KR1020140050626A patent/KR10161239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15979B1 (ko) * | 2007-02-12 | 2008-03-24 | 박재덕 | 악필교정용 단계별 맞춤학습 교재 |
JP2009180900A (ja) | 2008-01-30 | 2009-08-13 | Shosha Shodo Kyoiku Kenkyusho:Kk | 文字練習教材、文字練習システム、および、文字練習プログラム |
KR101376852B1 (ko) * | 2013-07-04 | 2014-03-20 | 최영환 | 글씨쓰기 학습방법 및 학습교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24157A (ko) | 2015-11-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80131852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teaching proper letter and character formation | |
US20090066074A1 (en) | Letter guide sheet | |
US20160358499A1 (en) | Tactile spelling totems | |
US20060084040A1 (en) | Transitional paper and educatioal system and method | |
JP5249059B2 (ja) | 漢字演習ノート | |
KR101612393B1 (ko) | 한글 글씨 연습용 교재 글꼴 패턴 제공방법 및 장치, 그 기록매체 | |
JP5740224B2 (ja) | 書き方学習シート及び書き方学習シートセット、並びにそれらを表示し記入可能な装置 | |
KR101612391B1 (ko) | 한글 글씨 연습용 교재 | |
US20030162153A1 (en) | System and method for teaching writing | |
KR102160938B1 (ko) | 유아 한글쓰기 학습용 교구 | |
KR101559477B1 (ko) | 한글을 이용한 다언어 입력시스템 | |
KR100833887B1 (ko) | 악필글씨교정노트 | |
KR101264087B1 (ko) | 부수에 대응되는 그림을 이용한 한자 학습 교재 | |
KR101777545B1 (ko) | 기본필획을 이용한 한자 입력 키보드 | |
KR200472467Y1 (ko) | 영유아 및 장애인용 영어 학습교재 | |
KR100815979B1 (ko) | 악필교정용 단계별 맞춤학습 교재 | |
KR102237725B1 (ko) | 영어 초보자를 위한 학습 교재 및 이를 이용한 영어 학습 방법 | |
KR20090000350U (ko) | 영어학습교재 | |
US20160071427A1 (en) | System and method for teaching handwriting | |
Cook | Knowledge of writing | |
KR100733484B1 (ko) | 영어 교육용 블럭 세트 | |
JP3175080U (ja) | 中国語学習ノート | |
KR102602103B1 (ko) | 한글 쓰기 연습용 교재 | |
KR101049065B1 (ko) | 한자학습교재 | |
US5797751A (en) | Method for training students to write evenly spaced word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