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0938B1 - 유아 한글쓰기 학습용 교구 - Google Patents

유아 한글쓰기 학습용 교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0938B1
KR102160938B1 KR1020190014557A KR20190014557A KR102160938B1 KR 102160938 B1 KR102160938 B1 KR 102160938B1 KR 1020190014557 A KR1020190014557 A KR 1020190014557A KR 20190014557 A KR20190014557 A KR 20190014557A KR 102160938 B1 KR102160938 B1 KR 1021609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ldren
shape
writing
learn
wr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4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7145A (ko
Inventor
장선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놀작에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놀작에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놀작에듀
Priority to KR1020190014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0938B1/ko
Publication of KR20200097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71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0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09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1/00Teaching hand-writing, shorthand, drawing, or pai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린 아이들이 한글 쓰기 감각을 익히기 위하여 제공되는 학습용 교구에 관한 기술로서, 어린 아이들이 기본적인 선의 쓰기 감각을 쉽게 익히며, 또한 모양자가 사물이나 동물의 형상으로 구성됨에 따라 아이들이 흥미를 갖고 보다 자연스럽게 글자를 쓰고 인식하며, 글자를 하나의 큰 도형으로 인식하지 않고, 다수의 획이 모여 이루어진 문자라는 사실을 인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 획순에 맞추어 한글쓰기 연습을 할 수 있는 유아 한글쓰기 학습용 교구에 관한 기술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은, 직선과 곡선 및 사선 등의 선홈이 새겨져 형성되고, 아이들이 선의 쓰기 학습을 하는 선자와; 사물이나 동물의 형상으로 구성되는 한편 자음홈이 새겨져 형성되며, 아이들이 한글 자음의 쓰기 학습을 하는 모양자;를 포함하여 구현된다.

Description

유아 한글쓰기 학습용 교구 {Young children's writing learning parish}
본 발명은 어린 아이들이 한글 쓰기 감각을 익히기 위하여 제공되는 학습용 교구에 관한 기술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직선과 곡선 또는 사선과 곡선이 새겨져 홈을 따라 쓰는 선자와, 사물이나 동물의 형상을 갖고 초성 자음이 새겨져 홈을 따라 쓰는 모양자로 구성됨으로써, 어린 아이들이 기본적인 선의 쓰기 감각을 쉽게 익히며, 또한 모양자가 사물이나 동물의 형상으로 구성됨에 따라 아이들이 흥미를 갖고 보다 자연스럽게 글자를 쓰고 인식하며, 글자를 하나의 큰 도형으로 인식하지 않고, 다수의 획이 모여 이루어진 문자라는 사실을 인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 획순에 맞추어 한글쓰기 연습을 할 수 있는 유아 한글쓰기 학습용 교구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유아기의 한글 학습에서 특히, 쓰기 영역은 신체적인 발달 정도와 상관관계가 깊고, 반복적인 학습이 필요하기 때문에 "말하기" "듣기" 와는 달리 교수자의 보조가 있어야만 학습이 가능하며, 흔히 쓰기 학습은 정사각의 모눈 눈금이 있는 노트에 반복적으로 쓰기 연습을 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학습을 하는 아이의 내적 동기를 유발하기 어려우므로, 한글 쓰기는 학습을 시작하는 아이들에게 ‘뛰어넘어야 하는 산’으로 여겨질 만큼 어렵고, 인내가 필요한 과정으로 인식되고 있다.
아이들이 한글 쓰기를 어려워 하는 이유는 글자라는 것 자체가 어려워서이기도 하지만 그 이전에, 쓰기 학습에 필요한 신체 능력이 채 발달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효과적인 한글 학습을 위해서는 한글 쓰기에 필요한 신체 활동능력인 양 손 조작능력, 운필력, 눈 손 협응력 등을 키울 수 있도록 지원해줄 필요가 있다.
또한 이미 한글을 쓸 줄 아는 아이들의 경우에도 글자를 바른 형태로 쓸 수 없거나 각 글자의 정확한 획 순을 익히는 데는 상당한 시간이 걸리므로 올바른 한글 쓰기 학습을 위해서는 단순히 각 음가에 해당하는 문자를 익히고 쓸 줄 아는 것을 넘어서 한글 쓰기의 규칙과 바른 글자의 형태에 대한 감각을 키워주어야 한다.
따라서, 종래 아이들이 한글의 기본 글자를 쉽게 쓰고, 기억하기 위한 대표적인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98356호(한글쓰기 연습장)가 제시된 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쓰기대상의 자모는 점선이나 연한 색으로 표시하여 학습자가 그 위에 연필로 채워 써서 낱자를 완성하고, 낱자 전체를 쓰는 것보다 이에 앞서 모음만 쓰거나 자음만 쓰거나 받침만 써 봄으로써, 자모의 음가를 정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종래 아이들의 한글 학습을 시각적으로 진행하기 위한 대표적인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90027호(한글 학습 팝업판지 및 그 팝업판지를 이용한 한글 학습 팝업책)가 제시된 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상부나 하부가 연결된 전방지와 후방지로 구성되고, 중앙의 수직 절첩부를 통해 양측 전면이 밀착되게 접혀지는 이중판지와; 상기 전방지의 중앙 상부에 절개부를 통해 형성되고, 양측이 전방지와 절첩부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이중판지를 펼치는 과정에서 중앙이 전방으로 접혀져 돌출되는 자음 형상부와; 상기 자음 형상부의 우측에 형성되는 우측 모음 표시부와; 상기 자음 형상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 모음 표시부;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또한 종래 아이들이 글씨 쓰기 연습을 하기 위한 대표적인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91108호(입체형 글씨체가 각인된 글씨 쓰기 연습용 교재)가 제시된 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교재를 이루는 종이의 일측 표면에 종ㆍ횡방향으로 등간격을 이루며 구획되고, 한글, 숫자, 영문 및 한자 등의 예시문자가 표시된 인쇄부와; 상기 인쇄부에 표시된 예시문자와 상응되는 형태를 이루도록 각인되며, 음각문자가 각인되게 이루어진 글씨 쓰기 연습용 교재에 있어서, 상기 음각문자는 각인된 음각형태의 요홈이 2중 구조로 이루어지고, 표면에는 다양한 색상을 갖도록 칼라층이 형성된 구성이다.
그러나, 종래 선행기술들은 신체 기능과 인지력이 발달하지 못한 아이들이 직선, 사선, 선의 꺽임, 이음 등의 쓰기 학습에 어렵고, 특히 집중하는 시간이 매우 짧은 아이들이 놀이 도구로서 좋아하거나 흥미를 갖지 못하므로, 쓰기 학습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고, 쓰기 감각과 인지력의 발달이 효과에 못미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9110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3780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90027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98356호.
본 발명은 종래 한글 쓰기 연습용 교재의 선행기술에서 아이들이 좋아하거나 흥미를 갖지 못하고, 쓰기 학습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직선과 곡선 또는 사선과 곡선이 새겨져 홈을 따라 쓰기 학습을 하는 선자와, 사물이나 동물의 형상을 갖고, 그 사물이나 동물 이름의 초성 자음이 새겨져 홈을 따라 쓰기 학습을 하는 모양자로 구성된 유아 한글쓰기 학습용 교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아이들이 기본적인 선의 쓰기 감각을 쉽게 익히고, 모양자가 아이들이 좋아하고 흥미를 갖는 사물이나 동물의 형상으로 구성됨으로써, 아이들이 흥미를 갖고 보다 자연스럽게 글자를 쓰고 인식할 수 있으며, 특히 아이들의 양 손 조작능력, 운필력, 눈 손 협응력 등의 신체 기능 발달을 지원하는 유아 한글쓰기 학습용 교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아이들이 글자를 하나의 큰 도형으로 인식하지 않고, 다수의 획이 모여 이루어진 문자라는 사실을 인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동시에 획순에 맞추어 한글쓰기 연습을 할 수 있는 유아 한글쓰기 학습용 교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직선과 곡선 또는 사선과 곡선의 선홈이 새겨져 형성되고, 아이들이 선의 쓰기 학습을 하는 선자와; 사물이나 동물의 형상으로 구성되는 한편 자음홈이 새겨져 형성되며, 아이들이 한글 자음의 쓰기 학습을 하는 모양자;를 포함하여 구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선자는 전체적인 형상이 연필 모양으로 구성되고, 그 내측에 선홈이 새겨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모양자는 사물이나 동물의 형상으로 구성되고, 그 사물이나 동물 이름의 초성 자음이 자음홈으로 새겨져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초성 자음 중 "ㄷ" 이나 "ㄹ" 및 "ㅁ" 등과 같이, 다수의 획으로 이루어진 자음의 경우, 각각의 획들을 모두 소정의 거리로 떨어지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직선과 곡선 또는 사선과 곡선이 새겨진 선자가 연필 모양으로 구성됨에 따라 아이들이 흥미를 갖고 기본적인 선의 쓰기 감각을 쉽게 익힐 수 있으며, 또한 사물이나 동물의 형상을 갖는 모양자를 이용하여 아이들이 자연스럽게 글자를 쓰고 인식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모양자가 아이들이 좋아하고 흥미를 갖는 사물이나 동물의 형상으로 구성되고, 그 사물이나 동물 이름의 초성 자음이 새겨져 구성됨에 따라 아이들이 놀이 도구로서 흥미를 갖고 보다 자연스럽게 쓰기 학습을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수의 획으로 이루어진 자음의 경우, 각각의 획들을 모두 소정의 거리로 떨어지게 구성하여 아이들이 문자를 도형이 아닌 다수의 획으로 이루어진 문자로 인식하고, 획의 순서를 인지하여 바르게 쓰게 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아이들의 신체능력(양손 조작능력, 운필력, 눈 손 협응력)이 발달하여 글자를 더욱 정확하게 쓸 수 있으며, 각 신체능력에 대한 구체적인 효과는 다음과 같다.
① 양손 조작능력 - "쓰기" 를 위해서는 한 손으로 종이를 고정하고, 다른 한 손으로 글자를 쓸 수 있어야 한다. 성인에게 있어 이것은 너무나도 당연한 능력이지만 아이들에게 있어 양손 조작 능력은 쉬운 것이 아니며, 아이들의 경우 약 2~3세가 되어야 양손 동시 조작이 가능해지고 양손 사용에 익숙해지며, 3~5세가 되어야 비로소 한 손으로 종이를 고정하고, 다른 한 손으로 색칠이나 글을 쓸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아이가 활동을 하기 위해 두 손으로 각각 자를 고정하고, 연필을 잡아야 하므로, 자연스럽게 양손 조작능력을 키울 수 있다.
② 운필력 - 운필력은 말 그대로 아이가 필기도구를 쥐고 힘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하며, 글자를 쓰기 위해서는 길고 짧은 선, 선의 꺾임 등을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쓰기 학습을 위해서는 아이가 스스로 필기도구를 쥘 수 있어야 함은 물론이고, 선을 곧게 그을 수 있는 힘을 키워야 한다. 본 발명은 모양자를 제공하여 아이가 자신감을 갖고 힘을 주어 선을 그을 수 있도록 도와주며, 홈을 따라 글자를 쓰면서 학습하게 된다.
③ 눈 손 협응력 - 아이들은 눈에 보이는 글자를 그림과 같이 따라 그리며 첫 한글쓰기를 시작한다. 눈을 통해 아이들은 선의 위치와 선의 길이에 대한 정보를 얻게 되며, 이 훈련이 필요한 능력이므로 눈으로 얻게 된 정보와 같은 형태의 글자 쓰기가 가능할 수 있도록 반복적인 훈련을 통해 손을 조작하는 능력을 키워야 한다. 아이들의 손 기능 발달은 크게 "팔(어깨) → 손목(손) → 손가락" 순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 발달 순서에 맞게 반복 훈련을 하는 것이 좋으며, 본 발명은 모양자를 통해 아이가 자신이 눈으로 보고 있는 형태를 그대로 따라 손으로 그리는 활동을 반복하도록 도와준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선자를 나타낸 실시예 사진.
도 2는 본 발명에서 선자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사진.
도 3은 본 발명에서 모양자를 나타낸 실시예 사진.
도 4는 본 발명에서 모양자를 나타낸 실시예 사진.
도 5는 본 발명에서 모양자를 나타낸 실시예 사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요 구성을 살펴보면, 직선과 곡선 또는 사선과 곡선의 선홈(11)(12)(13)(14)이 새겨져 형성되고, 아이들이 선의 쓰기 학습을 하는 선자(10)와; 사물이나 동물의 형상으로 구성되는 한편 자음홈(21)이 새겨져 형성되며, 아이들이 한글 자음의 쓰기 학습을 하는 모양자(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선자(10)는 아이들이 기본적인 선의 쓰기 학습을 하는 기능으로서, 상기 선자(10)는 도면에서 도 1 및 도 2와 같이, 전체적인 형상이 연필 모양으로 구성되고, 그 내측에 직선과 곡선 또는 사선과 곡선으로 선홈(11)(12)(13)(14)이 새겨져 형성된다.
상기에서 선자(10)는 얇은 판지나 또는 합성수지(플라스틱)로 제작될 수 있으며, 적색, 녹색 등의 다양한 색상으로 인쇄할 수 있고, 또한 상기에서 선홈(11)(12)(13)(14)은 대략 2~5mm의 폭으로 관통 형성되고, 또한 직선, 곡선, 사선, 꺽임선 등으로 새겨져 형성된다.
한편 선자(10)는 어린 아이들에게 무해한 도료와 재질로 제작됨이 바람직하고, 아이들이 손이나 피부에 상처를 입지 않도록 연필 모양의 가장자리 둘레와 선홈(11)(12)(13)(14)의 끝 부분 및 이음 부분을 라운드로 형성한다.
따라서, 선자(10)는 전체적인 형상이 연필 모양으로 구성됨에 따라 어린 아이들이 놀이 도구로서 흥미를 가질 수 있으며, 학습용 노트 위에 선자(10)를 올려놓은 다음, 연필이나 기타 필기구로 선홈(11)(12)(13)(14)을 따라 쓰기 학습을 하여 기본적인 선의 쓰기 감각을 쉽게 익힐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모양자(20)는 아이들이 한글 자음의 쓰기 학습을 하는 기능으로서, 상기 모양자(20)는 도면에서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아이들이 좋아하고 흥미를 갖는 사물이나 동물의 형상으로 다양하게 구성되고, 그 내측에 한글 자음의 형태로 자음홈(21)이 각각 새겨져 형성된다.
상기에서 모양자(20)는 얇은 판지나 또는 합성수지(플라스틱)로 제작될 수 있으며, 또한 적색, 녹색, 황색 등의 다양한 색상으로 인쇄할 수 있고, 상기 자음홈(21)은 대략 2~5mm의 폭으로 관통 형성되고, 한글 자음의 "ㄱ" 에서 "ㅎ" 까지 새겨져 형성된다.
한편 모양자(20)는 어린 아이들에게 무해한 도료와 재질로 제작됨이 바람직하고, 아이들이 손이나 피부에 상처를 입지 않도록 사물이나 동물 형상의 가장자리 둘레와 자음홈(21)의 끝 부분 및 꺽임 부분을 라운드로 형성한다.
모양자(20)는 사물이나 동물의 형상으로 구성됨에 따라 어린 아이들이 놀이 도구로서 좋아하거나 흥미를 갖을 수 있으며, 학습용 노트 위에 모양자(20)를 올려놓은 다음, 연필이나 기타 필기구로 자음홈(21)을 따라 쓰기 학습을 하여 한글 자음을 쓰고 익히게 된다.
여기서, 모양자(20)는 사물이나 동물의 형상으로 구성되고, 그 사물이나 동물 이름의 초성 자음이 새겨져 구성됨으로써, 아이들이 흥미를 갖고 보다 자연스럽게 쓰기 학습을 하여 한글 자음을 인지하게 된다.
즉, 도면에서 도 3과 같이, 모양자(20)를 아이들이 좋아하고 흥미를 갖는 "공룡" 의 형상으로 구성하면, 공룡의 초성 자음인 "ㄱ" 을 자음홈(21)으로 새겨서 아이들이 한글 자음을 쉽게 쓰고 인지하게 된다. 같은 원리로 나무는 "ㄴ" 으로, 달팽이는 "ㄷ" 으로, 리본은 "ㄹ" 로, 물고기는 "ㅁ" 으로, 별은 "ㅂ" 으로 모양자(20)에 자음홈(21)을 새겨서 아이들이 쉽게 한글 자음을 쓰고 익히게 된다.
또한 모양자(20)는 "ㄷ" 이나 "ㄹ" 및 "ㅁ" 등과 같이, 다수의 획으로 이루어진 초성 자음의 경우, 도면에서 도 3과 같이, 각각의 획들이 모두 소정의 거리(22)로 떨어져 자음을 구성한다. 즉, "ㄷ"의 경우 가로형의 직선 획 "ㅡ"과 "ㄴ" 형태의 두 번째 획 사이에 일정 공간이 있으며, "ㄹ" 의 경우 "ㄱ" 형태의 첫 번째 획과 가로형의 직선 획 "ㅡ" "ㄴ" 형태의 세 번째 획이 각각 일정 크기의 공간을 두고 떨어져 있다.
한글을 이루는 획은 항상 위에서 아래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써야 하는 규칙을 가지고 있다. 글자를 이루는 각 획들 간에 공간을 둔 도안은 아이들이 글자를 쓸 때, 위와 같은 규칙을 무시한 채 다수의 획을 한 번에 이어서 쓰는 행동을 제한한다. 때문에 아이들은 글자를 하나의 큰 도형으로 인식하지 않고, 다수의 획이 모여 이루어진 문자라는 사실을 인지하고 획순에 맞추어 한글쓰기 연습을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직선과 곡선 또는 사선과 곡선이 새겨진 선자가 연필 모양으로 구성됨에 따라 아이들이 흥미를 갖고 선의 쓰기 감각을 쉽게 익힐 수 있으며, 한편 사물이나 동물의 형상을 갖는 모양자를 이용하여 아이들이 자연스럽게 한글 자음을 쓰고 인식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모양자가 아이들이 좋아하고 흥미를 갖는 사물이나 동물의 형상으로 구성되고, 그 사물이나 동물 이름의 초성 자음이 새겨져 구성됨으로써, 아이들의 흥미를 더욱 유발하여 집중력과 학습력 및 인지력을 보다 높이게 된다.
또한 모양자는 "ㄷ" 이나 "ㄹ" 및 "ㅁ" 등과 같이, 다수의 획으로 이루어진 자음의 경우, 각각의 획들이 모두 소정의 거리로 떨어져 자음을 구성하며, 이러한 특징은 아이들이 글자를 하나의 큰 도형으로 인식하지 않고, 다수의 획이 모여 이루어진 문자라는 사실을 인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동시에 획순에 맞추어 한글쓰기 연습을 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 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선자 11: 선홈
12: 선홈 13: 선홈
14: 선홈 20: 모양자
21: 자음홈 22: 거리

Claims (4)

  1. 직선과 곡선 또는 사선과 곡선의 선홈(11)(12)(13)(14)이 새겨져 형성되고, 아이들이 선의 쓰기 학습을 하는 선자(10)와; 사물이나 동물의 형상으로 구성되는 한편 자음홈(21)이 새겨져 형성되며, 아이들이 한글 자음의 쓰기 학습을 하는 모양자(20);를 포함하고,
    상기 모양자(20)는 사물이나 동물의 형상으로 구성되며, 그 사물이나 동물 이름의 초성 자음이 자음홈(21)으로 새겨져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한글쓰기 학습용 교구.
  2. 제1항에 있어서,
    선자(10)는,
    전체적인 형상이 연필 모양으로 구성되고, 그 내측에 선홈(11)(12)(13)(14)이 새겨져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한글쓰기 학습용 교구.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모양자(20)는,
    다수의 획으로 이루어진 초성 자음의 경우, 각각의 획들이 모두 소정의 거리(22)로 떨어져 자음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한글쓰기 학습용 교구.
KR1020190014557A 2019-02-07 2019-02-07 유아 한글쓰기 학습용 교구 KR1021609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4557A KR102160938B1 (ko) 2019-02-07 2019-02-07 유아 한글쓰기 학습용 교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4557A KR102160938B1 (ko) 2019-02-07 2019-02-07 유아 한글쓰기 학습용 교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7145A KR20200097145A (ko) 2020-08-18
KR102160938B1 true KR102160938B1 (ko) 2020-10-06

Family

ID=72291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4557A KR102160938B1 (ko) 2019-02-07 2019-02-07 유아 한글쓰기 학습용 교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09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6426B1 (ko) 2020-11-26 2021-11-12 김대웅 기초 한글 교육용 교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4482B1 (ko) 2021-01-27 2021-11-10 조혜영 학습용 한글 교구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947451B (it) * 1971-05-14 1973-05-21 Riepe Werk Sagoma da disegno o da scrittura
US4931017A (en) * 1986-04-08 1990-06-05 Grosset & Dunlap, Inc. Stencil book
JPH03227299A (ja) * 1990-02-02 1991-10-08 Nippon Filcon Co Ltd クリップ付き字消し定規及びその製造方法
JP3055252U (ja) * 1998-06-24 1999-01-12 クロバー株式会社 ステンシルプレート
KR20000003531U (ko) * 1998-07-16 2000-02-25 구동진 어린이용 글자 교습판
KR200198356Y1 (ko) 2000-04-14 2000-10-02 박형준 한글쓰기 연습장
KR100491108B1 (ko) 2004-04-27 2005-05-24 이금경 입체형 글씨체가 각인된 글씨 쓰기 연습용 교재
KR101537802B1 (ko) 2014-12-24 2015-07-17 주식회사 아소비교육 유아용 한글 교재
KR101890027B1 (ko) 2016-06-23 2018-08-20 권성자 한글 학습 팝업판지 및 그 팝업판지를 이용한 한글 학습 팝업책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참고문헌]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03-227299호(1991.10.8. 공개) 1부.*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0-0003531호(2000.2.25. 공개) 1부.*
일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3055252호(1999.1.12. 발행) 1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6426B1 (ko) 2020-11-26 2021-11-12 김대웅 기초 한글 교육용 교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7145A (ko) 2020-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enner et al. The multisemiotic resources of biliterate children
US6669478B2 (en) Method and device for multi-sensory learning
US7819433B2 (en) Letter guide sheet
JP5307413B2 (ja) 文字練習教材
KR102160938B1 (ko) 유아 한글쓰기 학습용 교구
KR101042596B1 (ko) 한글교습도구
US20030162153A1 (en) System and method for teaching writing
JP5337321B2 (ja) 文字練習教材
US654403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inting characters using a template
US1286157A (en) Educational apparatus.
Saracho Developmental sequences in three‐year‐old children's writing
JP6608243B2 (ja) 文字学習用教材
ES2370204B1 (es) Aparato para la enseñanza de la lectura y escritura basado en trazos ranurados de caracteres.
KR200472467Y1 (ko) 영유아 및 장애인용 영어 학습교재
RU206862U1 (ru) Пиксельный тренажер для групповых коррекционно-развивающих занятий и тренировки зрительно-пространственной памяти и мелкой моторики
KR101612391B1 (ko) 한글 글씨 연습용 교재
CN106652653A (zh) 一种练字工具
KR101794029B1 (ko) 자기주도 학습서
RU2206128C2 (ru) Способ обучения каллиграфическому письму и коррекции почерка
Hinviset Techniques in Teaching Reading and Writing Thai Braille To Visually Impaired Kindergarten 3 Students
JP3204225U (ja) 対話型教材装置
KR100855202B1 (ko) 한자 습득용 속독책자
Lippincott Ideas for teaching handwriting to children with dysgraphia
Kizi THE ROLE AND IMPORTANCE OF CALLIGRAPHY IN THE DEVELOPMENT OF THINKING
US20100092928A1 (en) System and method for teach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