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9477B1 - 한글을 이용한 다언어 입력시스템 - Google Patents

한글을 이용한 다언어 입력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9477B1
KR101559477B1 KR1020140083091A KR20140083091A KR101559477B1 KR 101559477 B1 KR101559477 B1 KR 101559477B1 KR 1020140083091 A KR1020140083091 A KR 1020140083091A KR 20140083091 A KR20140083091 A KR 20140083091A KR 101559477 B1 KR101559477 B1 KR 101559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w
input
key
column
chine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3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골든키아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골든키아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골든키아이티
Priority to KR1020140083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94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9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9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Abstract

본 발명은 한글을 이용한 다언어 입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3행 10열로 구성된 한글을 이용한 다언어 입력 시스템으로서, 1열 1행, 2열 1행, 3열 1행, 4열 1행, 및 5열 1행, 그리고 1열 2행, 2열 2행, 3열 2행, 4열 2행, 및 5열 2행에 초성 자음이 배치되고, 또한, 6열 1행, 7열 1행, 8열 1행, 9열 1행, 및 10열 1행, 그리고 6열 2행, 7열 2행, 8열 2행, 9열 2행 및 10열 2행에는 중성 모음이 배치되고, 3행의 1 내지 10열에는 종성 자음이 배치되고, 쿼티 영문 2벌식과 초성, 중성, 종성 입력의 한글 3벌식을 지원하고, 키의 다양한 위치에 다른 언어 입력을 위한 자모와 기호(성조)를 배치한다.

Description

한글을 이용한 다언어 입력시스템{System for Inputting Multilingual Using Hangul}
본 발명은 한글을 이용한 다언어 입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의 초성 예컨대, 자음 10자와 모음 10자로 모든 언어의 입력을 가능하도록 하고 종성 및 성조의 버튼을 다르게 정의하고, 입력하고자 하는 해당 언어는 컴퓨터 운영체제에서 바탕화면의 상태표시줄에서 "입력 도구함"으로 간단한 설정 변경을 함으로써 그 언어의 정해진 규칙의 소리대로 초성/중성을 입력한 후 종성과 성조를 입력하면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의해 그 언어의 코드에 맞게 문자 코드화함으로써 하나의 키보드로 한 워드 파일 혹은 동일한 윈도우에서 한국어를 포함하여 다수의 언어로 문서작업을 할 수 있는, 한글을 이용한 다언어 입력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두벌식 한국어 표준자판은 자음과 받침을 따로 두지 않아 입력 시에 "도깨비불 현상"이라고 하는 시각적인 혼선을 가져올 수 있고, 두벌식으로 입력되지만 컴퓨터 시스템 내에서는 프로그램에 의해 내부적으로 세벌식으로 변환하여 모아진 글자를 출력하는 체계에 의해, 다른 언어보다도 가장 많은 문자 코드 공간을 차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세종대왕의 훈민정음 창제 당시의 옛 글자가 모두 사라져서 1933년 이전의 문헌 입력이 불가능하며 자음과 종성을 모두 왼손으로 입력해야 하므로 한 손만이 집중적으로 사용되어 힘의 고른 분배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또한 현재의 표준 자판으로는 언어의 음을 충분히 적을 수 없는 한계가 있고, 두벌식으로 입력하므로 동시 치기가 불가능하다.
1993년에 자모 코드를 국제기구에 등록해두었지만, 두벌식 입력으로 현대 한국어의 완성형 글자만을 찾아오므로 외국어 표기가 제대로 안 되고, 한글 처리의 첫 단계인 자판에서 비과학적으로 입력하기에 문서 인식, 음성 인식, 음성 합성 등 여러 가지 인공지능 분야 개발의 장애요소가 되고 있다. 또한 양손의 불균형이 심하다는 등의 문제가 있다.
상형문자권의 대표적인 언어인 중국어를 제1 언어로 사용하는 나라로는 중화인민공화국, 중화민국(대만), 마카오, 홍콩, 싱가포르 등이 있고, 중국어를 제2 언어로 사용하는 나라로는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등이 있고, 대부분 동남아 국가에는 화교들이 많이 거주하고 있으므로 중국어를 사용하는 인구가 아주 많다. 화교는 전 세계 대부분 국가에 널리 거주하는데 예를 들어 캐나다, 미국, 호주, 뉴질랜드, 유럽 등에 많으며 이들도 대부분 중국어를 사용한다.
중국어는 성조어이다. 음절소리의 고저의 차이가 자음이나 모음과 같이 의미를 구별하고 있다. 이것을 성조라고 한다. 예를 들면 표준 중국어에는 [ma]라고 하는 형태소는 경성도 포함해서 19개나 있다. 하지만 음평성(陰平聲), 양평성(陽平聲), 상성(上聲), 거성(去聲)의 4개의 성조와 경성이 있어서 모든 것이 같은 발음은 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중국어의 성조는 도 6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즉, 중국어는 같은 [ma]라도 도 6에서 보듯이 1성으로 발음하느냐, 2성으로 발음하느냐, 3성으로 발음하느냐, 4성으로 발음하느냐, 또는 경성으로 발음하느냐에 따라 그 뜻이 천차만별로 된다.
그런데 현재 중국에서는 중국어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전문 훈련을 받아서 사용하는 오필법 외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입력법은 로마자를 사용하는 병음법(Pinyin)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병음법은 발음기호를 일일이 외워서 입력하는 것으로 매우 어렵고 익숙해지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때로는 입력 시간이 많이 걸리고 불편한 문제가 있다. 또한 하나의 키보드 상에서 불어, 독일어, 스페인어 등과 같은 로마자 계열의 언어를 입력하는 것은 윈도우 사이의 설정 변경이 복잡하고 에러를 범하기 쉬운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는 병음법에 의해 문자를 입력하는 대부분의 상형문자권의 나라에 동일하게 있다. 예컨대 베트남, 터키, 이집트 등등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재 한글을 이용한 중국어 자판의 배열에서는 4성을 3행 1열에서 4열까지 배치하고 있어 항상 왼손 엄지손가락을 이용하여 입력해야 하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하면 엄지손가락에 충격을 주어 통증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배경 하에서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초성 예컨대, 자음 10자와 모음 10자로 모든 언어의 입력을 가능하도록 하고 종성 및 성조의 버튼을 다르게 정의하고, 입력하고자 하는 해당 언어는 바탕화면의 상태표시줄에서 "입력 도구함"으로 간단한 설정 변경을 함으로써 그 언어의 정해진 규칙의 소리대로 초성/중성을 입력한 후 종성과 성조를 입력하면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의해 그 언어의 코드에 맞게 문자 코드화함으로써 하나의 키보드로 하나의 워드 파일 혹은 동일한 윈도우에서 한국어를 포함하여 다수의 언어로 문서작업을 할 수 있는 한글을 이용한 다언어 입력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한글을 이용한 다언어 입력시스템은, 3행 10열로 구성된 한글을 이용한 다언어 입력 시스템으로서, 1열 1행, 2열 1행, 3열 1행, 4열 1행, 및 5열 1행, 그리고 1열 2행, 2열 2행, 3열 2행, 4열 2행, 및 5열 2행에 초성 자음이 배치되고, 또한, 6열 1행, 7열 1행, 8열 1행, 9열 1행, 및 10열 1행, 그리고 6열 2행, 7열 2행, 8열 2행, 9열 2행 및 10열 2행에는 중성 모음이 배치되고, 3행의 1 내지 10열에는 종성 자음이 배치되고, 쿼티 영문 2벌식과 초성, 중성, 종성 입력의 한글 3벌식을 지원하고, 키의 일측에 중국어, 키의 다른측에 베트남어, 키의 또다른측에 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또는 상형 문자권의 다른 언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를 배치하고 상형문자권의 각국의 언어 입력을 위한 워드 프로그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1열 1행, 2열 1행, 3열 1행, 4열 1행, 및 5열 1행의 상기 초성 자음의 배치는 "ㅁ" "ㅅ", "ㄴ" "ㄹ", "ㅎ"로 되고, 1열 2행, 2열 2행, 3열 2행, 4열 2행, 및 5열 2행의 초성 자음의 배치는 "ㅂ", "ㅈ" , "ㄷ", "ㄱ", "ㅇ"로 되고, 상기 중성 모음의 배치는 "ㅕ", "ㅑ", "ㅡ", "ㅛ", "ㅠ", "ㅓ", "ㅏ", "ㅣ", "ㅗ", "ㅜ"로 되고, 상기 종성 자음의 배치는 "ㅈ", "ㄷ", "ㅂ", "ㄱ", "ㅇ", "ㅅ", "ㄴ", "ㅁ", "ㄹ", "ㅎ"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ㅋ", "ㅊ", "ㅌ", "ㅍ"의 격음 입력은 "ㄱ+ㅎ", "ㅈ+ㅎ", "ㄷ+ㅎ", "ㅂ+ㅎ"을 누름으로써 입력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ㄲ", "ㄸ", "ㅃ", "ㅆ", "ㅉ"의 쌍자음 입력은 해당 자음 바로 오른쪽의 키를 누르면 입력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ㅅ" 키의 상단 우측에는 반치음 "ㅿ"이 배치되고, "ㅇ" 키의 상단 우측에는 옛이응 "ㆁ"가 배치되고, "ㅎ" 키의 상단 우측에는 여린 히읗 "ㆆ"이 배치되고, "ㅏ" 키의 상단 우측에는 아래아 "ㆍ"가 배치되어 고어 입력이 가능하도록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사용빈도가 소정의 기준이상인 자모들 "ㅂ", "ㅈ", "ㄷ", "ㄱ", "ㅇ", "ㅓ", "ㅏ", "ㅣ", "ㅗ", "ㅜ"을 2행에 배치하고, 유사한 자모끼리 가까이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언어 입력 시스템은 문장부호 다음, 그리고 접속사 다음에 스페이스가 자동입력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언어 입력 시스템은 풀어치기 방식, 모아치기 방식 및 동시치기 방식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3행 10열로 구성된 한글을 이용한 다언어 입력 시스템으로서, 1열 1행, 2열 1행, 3열 1행, 4열 1행, 및 5열 1행, 그리고 1열 2행, 2열 2행, 3열 2행, 4열 2행, 및 5열 2행에 초성 자음이 배치되고, 또한, 6열 1행, 7열 1행, 8열 1행, 9열 1행, 및 10열 1행, 그리고 6열 2행, 7열 2행, 8열 2행, 9열 2행 및 10열 2행에는 중성 모음이 배치되고, 3행 1열 내지 10열에 중국어의 4성키, 중국어의 4성키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을 이용한 다언어 입력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4성키는 3행 3열, 4열, 5열, 6열에 성조 기호 "-", "′", "ˇ", "`"를 각각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한글을 세벌식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여 힘의 고른 분배가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글자의 입력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풀어치기, 모아치기 및 동시치기가 가능하도록 하여 숙련도의 향상에 따라 글자의 입력 속도가 더욱 향상된다.
한글의 고어를 포함하는 28개의 자모를 이용하거나 초성을 조합하여 입력이 어려운 중국어를 포함한 상형문자의 한글 음가 발음기호를 이용하여 손쉽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낱말 단위의 중국어 데이터베이스를 확립하여 중국어의 입력이 용이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언어 입력시스템의 자판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글자 입력 방식의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국어 입력 시스템의 다국어 설정 방식과 키캡(keycap)에 표시될 해당 언어의 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중국어와 베트남어를 입력하기 위한 3행 3열의 키캡((keycap)을 개략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국어 입력용 정음 글판의 개략적 레이아웃을 도시한다.
도 6은 중국어의 성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종래 기술의 중국어 입력용 정음 글판의 레이아웃을 도시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을 이용한 다언어 입력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 전체에 걸쳐서 동일 또는 유사의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의 도면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언어 입력시스템의 자판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언어 입력시스템의 자판이 도시되는데, 도시한 바와 같이, 알파벳 26자의 배치는 종래와 같다.
그러나 쿼티(qwerty) 2벌식 자판에서는, 1열 1행, 2열 1행, 3열 1행, 4열 1행, 및 5열 1행, 그리고 1열 2행, 2열 2행, 3열 2행, 4열 2행, 및 5열 2행에 한글의 초성 자음이 배치된다.
또한, 6열 1행, 7열 1행, 8열 1행, 9열 1행, 및 10열 1행, 그리고 6열 2행, 7열 2행, 8열 2행, 9열 2행 및 10열 2행에는 중성 모음이 배치된다. 상기 중성 모음의 배치는, "ㅕ", "ㅑ", "ㅡ", "ㅛ", "ㅠ", "ㅓ", "ㅏ", "ㅣ", "ㅗ", "ㅜ"의 순서로 배치된다.
한편, 1열 1행, 2열 1행, 3열 1행, 4열 1행, 및 5열 1행의 자음의 배치 순서는 "ㅁ" "ㅅ", "ㄴ" "ㄹ", "ㅎ"으로 되고, 1열 2행, 2열 2행, 3열 2행, 4열 2행, 및 5열 2행의 자음의 배치 순서는 "ㅂ", "ㅈ" , "ㄷ", "ㄱ", "ㅇ"으로 된다. 그리고 "ㅅ"의 상단 우측에는 반치음 "ㅿ"이 배치되고, "ㅇ"의 상단 우측에는 옛이응 "ㆁ"가 배치되고, "ㅎ"의 상단 우측에는 여린 히읗 "ㆆ"이 배치되고, "ㅏ"의 상단 우측에는 아래아 "ㆍ"가 배치된다. 즉, 고어 "ㅿ", "ㆁ", "ㆆ", "ㆍ"는 시프트키를 사용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국어 입력 시스템은 첫소리(초성) 한 벌, 가운뎃소리(중성) 한 벌, 끝소리(종성) 한 벌을 다른 글쇠 자리에 나누어 놓은 세벌식 한글 자판을 채용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안음세벌식(줄여서 "안세벌"이라고 한다)이라고 한다. 도면에 110으로 도시된 영역이 초성 영역이고, 120으로 도시된 영역이 중성영역이고, 130으로 도시된 영역이 종성 영역이다. 이를 위해 3행의 1 내지 10열에는 종성으로서, "ㅈ", "ㄷ", "ㅂ", "ㄱ", "ㅇ", "ㅅ", "ㄴ", "ㅁ", "ㄹ", "ㅎ"이 배치되고,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ㅇ"의 상단 우측에는 옛이응 "ㆁ"가 배치되고, "ㅅ"의 상단 우측에는 반치음 "ㅿ"이 배치되고, "ㅎ"의 상단 우측에는 여린 히읗 "ㆆ"이 배치된다.
그리고 쌍자음 즉 경음 "ㅆ", "ㄲ", "ㄸ", "ㅉ", "ㅃ"의 입력을 위해서는 해당 자음 옆의 오른쪽 키를 동시에 눌러서 입력한다. 즉, "ㅆ", "ㄲ", "ㄸ", "ㅉ", "ㅃ"는 "ㅆ = ㅅ + ㄴ", "ㄲ = ㄱ + ㅇ", "ㄸ = ㄷ + ㄱ", "ㅉ = ㅈ + ㄷ", "ㅃ = ㅂ + ㅈ"을 누르면 입력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 되어 있다.
거센소리 즉, 격음의 입력을 위해서는 "ㅍ", "ㅊ", "ㅌ", "ㅋ"은 "ㅎ"을 동시에 누르면 입력되도록 되어있다.
즉, 첫 소리 자음(초성)의 'ㅍ', 'ㅊ', 'ㅌ', 'ㅋ'은 첫 소리의 'ㅂ', 'ㅈ', 'ㄷ', 'ㄱ'과 'ㅎ'을 같이 눌러서 입력하고, 받침 즉 종성은 3행에 있는 역시 받침의 자모를 눌러주어야 거센소리를 입력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되어있다.
즉, 다음과 같이 된다. "ㅍ=ㅂ+ㅎ", "ㅊ=ㅈ+ㅎ", "ㅌ=ㄷ+ㅎ", "ㅋ=ㄱ+ㅎ".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특징은 사용 빈도가 소정의 기준이상으로 높은 자모들 즉, "ㅂ", "ㅈ", "ㄷ", "ㄱ", "ㅇ", "ㅓ", "ㅏ", "ㅣ", "ㅗ", "ㅜ"를 2행에 배치하고, 유사한 자모끼리 가까이에 배치하였다. 사용빈도는 예를 들면, 일반적인의 문서에서 문장을 작성하는 데에 사용되는 각 자모의 평균 사용 빈도를 의미할 수 있다.
".", ", ", "?" 와 같은 부호 다음, "그리고", "또한", "왜냐하면" 등과 같은 접속사 다음에는 자동으로 스페이스가 입력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되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풀어치기 방식, 모아치기 방식 및 동시치기 방식을 모두 지원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글자를 음소 단위로 하나씩 쳐서 입력하는 방식인 풀어치기 방식, 예를 들면, "국"의 경우 "ㄱ+ㅜ+ㄱ"을 입력하는 것을 말한다. 글자를 초성과 중성을 함께 치고 종성을 따로 입력하는 방식인 모아치기 방식, 예를 들어 "국"의 경우 "구+ㄱ"을 입력하는 방식을 말한다. 글자를 한 음절을 동시에 쳐서 입력하는 방식인 동시치기 방식, 예를 들면 "국 = 국"을 말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글자 입력 방식의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오른쪽 하단의 망치 모양을 아이콘을 클릭하면 상단의 풀어치기, 모아치기, 및 동시치기의 항목이 펼쳐지는데, 풀어치기(바이엘)는 음소 하나씩을 입력하는 방식이며, 모아치기(체르니)는 초성과 중성을 동시에 치고, 종성과 성조는 따로 입력하는 방식이며, 동시치기(소나타)는 음절의 초성, 중성과 종성 및 성조를 한 번에 동시치기가 가능한 것을 명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어린이들의 피아노 학습의 단계를 모방하여 위와 같이 바이엘, 체르니, 소나타로 명명하였는데, 이는 본 발명에서 임의로 명명한 것이므로 사용하는 사람에 따라 다르게 명명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국어 입력 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www.ahnmatae.com" 또는 "www.goldenkeyit.com" 사이트에 방문하여 기기 번호 등을 입력하고 사용하고자 하는 다수의 언어의 조합에 맞는 프로그램을 골라서 다운받아 설치하여 사용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시스템 사용의 숙련도에 따라 1단계(초성/중성 풀어치기), 2단계(초성/중성 모아치기), 3단계(초성/중성/종성 및 성조 동시치기) 등으로 단계를 높여가면 된다.
입력하는 손의 위치는 도 1을 참조하면, 네 개의 왼손가락의 기본 자리는 'ㅂ', 'ㅈ', 'ㄷ', 'ㄱ' 이다. 네 개의 오른손가락의 기본 자리는 'ㅏ', 'ㅣ', 'ㅗ', 'ㅜ' 이다. 양손의 엄지손가락은 맨 아랫줄에 있는 받침 자모와 성조의 어느 위치에 있던지 무관하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국어 입력 시스템의 다국어 설정 방식과 키캡(keycap)에 표시될 해당 언어의 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안마태 정음 글판에서 오른쪽의 "입력 도구함"에 도시한 불어, 영어, 중국어, 베트남어, 태국어 등의 메뉴에서 하나를 선택한다.
만일에 중국어를 선택한 경우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국어의 입력시 3행 6열의 영문 "N"과 안세벌식 한글 전환시의 한글 "ㅅ"의 예를 들면, N 하단에 성조 4성 "`"을 설치하고, 전면 측면에는 예를 들면 "베트남어", "태국어" 등에 해당하는 키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여, 다수의, 바람직하게는 5개국의 언어, 더욱 바람직하게는 그 이상의 언어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중국어의 성조 "-"에 베트남어 성조 1성 "-"가 측면에 도시된 것을 볼 수 있다. 각 행들의 키를 "키캡(keycap)"이라 한다. 이 키캡은 주문하는 언어에 따라 키값은 변경될 수 있다.
도 5는 중국어 입력용 정음 글판의 개략 레이아웃을 도시한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국어의 종성 "ㄹ", "ㅇ", "ㄴ"을 한글 글판의 "ㄹ", "ㄷ", "ㄴ"과 같은 키캡에 배치했으며, 중앙에는 중국의 4성 성조 기호 "-", "′", "ˇ", "`"를 좌측부터 차례대로 배치했다.
이 중국어 입력에 있어서는 자음 소리값, 모음 소리값 그리고 4성 표시를 동시치기를 하면 같은 음가와 성조를 가진 글자가 나열되게 되는데, 이 중에서 원하는 글자를 선택하면 된다. 본 발명은 음소단위가 아니라 낱말 단위로 65,000여개의 단어가 수록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鄧小平"을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중국어의 한글 음가인 "덩샤오핑"을 입력하면 디스플레이에 "鄧小平"이 표시되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한글을 세벌식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여 힘의 고른 분배가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글자의 입력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풀어치기, 모아치기 및 동시치기가 가능하도록 하여 숙련도에 따라 글자의 입력 속도가 더욱 향상된다.
한글의 고어를 포함하는 28개의 자모를 이용하거나 자음 조합으로 입력이 어려운 중국어를 포함한 상형문자의 한글 음가 발음기호를 이용하여 손쉽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낱말 단위의 중국어 데이터베이스를 확립하여 다언어의 입력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형문자권 나라의 언어 특성 특히 종성/성조 수나 종류에 따라 3행의 배열을 달리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을 이용한 다언어 입력시스템 및 그의 입력방법을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와 같은 설명은 예시 목적이지 전술한 바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이라기보다는 이하의 부속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특정되어 지며, 이러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는 그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 형태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한글입력 영역 110: 초성 영역
120: 중성 영역 130, 130': 종성 영역

Claims (10)

  1. 3행 10열로 구성되어, 쿼티 영문 2벌식과 초성, 중성, 종성 입력의 한글 3벌식 한국어 입력을 지원하고, 키의 일측에 중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및 중국어의 4성 성조 기호를 배치하고, 중국어의 한글 음가 및 성조 기호를 입력함으로써 중국어 입력을 지원하는 워드 프로그램을 구비한 한글을 이용한 다언어 입력 시스템으로서,
    상기 중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및 중국어의 4성 성조 기호는:
    1열 1행, 2열 1행, 3열 1행, 4열 1행, 및 5열 1행에는 "ㅁ" "ㅅ", "ㄴ" "ㄹ", "ㅎ"의 초성 자음이 배치되고, 그리고 1열 2행, 2열 2행, 3열 2행, 4열 2행, 및 5열 2행에는 "ㅂ", "ㅈ" , "ㄷ", "ㄱ", "ㅇ"의 초성 자음이 배치되고,
    또한, 6열 1행, 7열 1행, 8열 1행, 9열 1행, 및 10열 1행에는 "ㅕ", "ㅑ", "ㅡ", "ㅛ", "ㅠ"의 중성 모음이 배치되고, 그리고 6열 2행, 7열 2행, 8열 2행, 9열 2행 및 10열 2행에는 "ㅓ", "ㅏ", "ㅣ", "ㅗ", "ㅜ"의 중성 모음이 배치되고,
    3행의 1 내지 10열에는 "ㅈ", "ㄷ", "ㅂ", "ㄱ", "ㅇ", "ㅅ", "ㄴ", "ㅁ", "ㄹ", "ㅎ"의 순서로 종성 자음이 배치되고,
    3행 3열, 3행 4열, 3행 5열 및 3행 6열에는 중국어의 4성 성조 기호 "-", "′", "ˇ", "`"가 배치되고, 3행 2열, 3행 7열 및 3행 9열에는 중국어의 종성 자음 "ㅇ", "ㄴ", "ㄹ"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을 이용한 다언어 입력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키의 일측에 상기 중국어, 키의 다른측에 베트남어, 키의 또다른측에 태국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 또는 상형 문자권의 다른 언어 입력을 위한 한글 자모를 배치하고, 상기 워드 프로그램에서 상태 표시줄에서 해당 언어를 선택한 후 해당 언어의 한글 음가를 입력함으로써 해당 언어 입력을 지원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을 이용한 다언어 입력 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ㅋ", "ㅊ", "ㅌ", "ㅍ"의 격음 입력은 "ㄱ+ㅎ", "ㅈ+ㅎ", "ㄷ+ㅎ", "ㅂ+ㅎ"을 누름으로써 입력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을 이용한 다언어 입력시스템.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ㄲ", "ㄸ", "ㅃ", "ㅆ", "ㅉ"의 쌍자음 입력은 해당 자음과 바로 오른쪽의 키를 누르면 입력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을 이용한 다언어 입력시스템.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ㅅ" 키의 상단 우측에는 반치음 "ㅿ"이 배치되고, "ㅇ" 키의 상단 우측에는 옛이응 "ㆁ"가 배치되고, "ㅎ" 키의 상단 우측에는 여린 히읗 "ㆆ"이 배치되고, "ㅏ" 키의 상단 우측에는 아래아 "ㆍ"가 배치되어 고어 입력이 가능하도록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을 이용한 다언어 입력시스템.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사용빈도가 소정의 기준이상인 자모들 "ㅂ", "ㅈ", "ㄷ", "ㄱ", "ㅇ", "ㅓ", "ㅏ", "ㅣ", "ㅗ", "ㅜ"을 2행에 배치하고, 유사한 자모끼리 가까이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을 이용한 다언어 입력시스템.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다언어 입력 시스템은 문장부호 다음, 그리고 접속사 다음에 스페이스가 자동입력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을 이용한 다언어 입력시스템.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다언어 입력 시스템은 풀어치기 방식, 모아치기 방식 및 동시치기 방식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을 이용한 다언어 입력시스템.
  9. 삭제
  10. 삭제
KR1020140083091A 2014-07-03 2014-07-03 한글을 이용한 다언어 입력시스템 KR101559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3091A KR101559477B1 (ko) 2014-07-03 2014-07-03 한글을 이용한 다언어 입력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3091A KR101559477B1 (ko) 2014-07-03 2014-07-03 한글을 이용한 다언어 입력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9477B1 true KR101559477B1 (ko) 2015-10-12

Family

ID=54347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3091A KR101559477B1 (ko) 2014-07-03 2014-07-03 한글을 이용한 다언어 입력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947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7111B1 (ko) * 2016-03-15 2018-05-11 장오현 중국어 발음을 표현하기 위한 한글병기 한어병음자모 표기방법에 의해 표기되는 기록매체
KR20200132184A (ko) * 2019-05-16 2020-11-25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한글 병음에 기반한 중국어 입력방법 및 그 입력장치
KR20220155152A (ko) * 2021-05-14 2022-11-2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운지가 용이한 세벌식 한글입력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안마태, '안마태 소리글판의 한글과 중국어 입력방식', 나라사랑 제117집, 2010.03.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7111B1 (ko) * 2016-03-15 2018-05-11 장오현 중국어 발음을 표현하기 위한 한글병기 한어병음자모 표기방법에 의해 표기되는 기록매체
KR20200132184A (ko) * 2019-05-16 2020-11-25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한글 병음에 기반한 중국어 입력방법 및 그 입력장치
KR102238987B1 (ko) 2019-05-16 2021-04-09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한글 병음에 기반한 중국어 입력방법 및 그 입력장치
KR20220155152A (ko) * 2021-05-14 2022-11-2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운지가 용이한 세벌식 한글입력시스템
KR102527012B1 (ko) * 2021-05-14 2023-04-2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운지가 용이한 세벌식 한글입력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92768B1 (en) Method for converting non-phonetic characters into surrogate words for inputting into a computer
US8200865B2 (en) Efficient method and apparatus for text entry based on trigger sequences
US5187480A (en) Symbol definition apparatus
US5903861A (en) Method for specifically converting non-phonetic characters representing vocabulary in languages into surrogate words for inputting into a computer
US8977535B2 (en) Transliterating methods between character-based and phonetic symbol-based writing systems
KR101036903B1 (ko) 한글을 이용한 다언어 문자 입출력 장치
US6604878B1 (en) Keyboard input devices, methods and systems
KR101559477B1 (ko) 한글을 이용한 다언어 입력시스템
CN101334692B (zh) 连连看拼音输入法
CN103488426A (zh) 一种基于触摸屏的虚拟键盘及输入法
KR20210058291A (ko) 쉬운 일문용 로마자 배열을 갖는 일문 입력 시스템 및 방법
WO201115391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chinese characters
JP2004523034A (ja) 文字生成システム
CN105260124B (zh) 六按键汉字及英文触摸屏滑行输入方法
WO200004386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inese character text input
CN106201007A (zh) 集拼音和字形编码多种方式于一体的汉字输入系统
KR20100135340A (ko) 터치스크린 등을 이용한 중국어 및 한자 입력 시스템 및 방법
CN101526856A (zh) 一种阿拉伯语输入系统及输入方法
CN101071337B (zh) 一种拼音字母、数字的汉字输入法及键盘和屏幕的显示方法
CN105404402A (zh) 一种适用于触摸屏的汉字输入法
KR101249329B1 (ko) 키조합 방식의 자판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CN110806835A (zh) 一种用于触摸屏的英文和拼音拼形输入键盘
CN101952790A (zh) 适用于中文教学的汉字输入方法
CN102141844B (zh) 带声、韵、调读音的汉字内码输入法
CN105373235B (zh) 一种输入变音符号字母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