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7012B1 - 운지가 용이한 세벌식 한글입력시스템 - Google Patents

운지가 용이한 세벌식 한글입력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7012B1
KR102527012B1 KR1020210063008A KR20210063008A KR102527012B1 KR 102527012 B1 KR102527012 B1 KR 102527012B1 KR 1020210063008 A KR1020210063008 A KR 1020210063008A KR 20210063008 A KR20210063008 A KR 20210063008A KR 102527012 B1 KR102527012 B1 KR 102527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key
phoneme
korean
ke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3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5152A (ko
Inventor
송재원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63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7012B1/ko
Publication of KR20220155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51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7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7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벌식 한글입력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일실시예에 따른 세벌식 한글입력시스템은 초성자음, 중성모음 및 종성자음에 대응되는 22개의 한글 음소 입력키를 포함하고, 여기서 한글 음소 입력키는 1행 내지 2행의 1열 내지 4열에 배치되는 8개의 초성자음 입력키와, 1행 내지 2행의 7열 내지 10열에 배치되는 8개의 중성모음 입력키 및 3행의 3열 내지 8열에 배치되는 6개의 종성자음 입력키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각 음소별 상대 사용 빈도와 음소별 인지용이성을 고려하여 음소별 키 배치를 최적화 배치함으로써, 음소/음절화음키의 운지가 용이하게 한글을 고속으로 입력할 수 있다.

Description

운지가 용이한 세벌식 한글입력시스템{3-LAYER HANGEUL INPUTTING SYSTEM FOR EASY FINGERING}
본 발명은 세벌식 한글입력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지가 용이한 한글 세벌식 음소/음절화음키 컴퓨터 자판에 관한 것이다.
고속으로 글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속기 방식처럼 음절 단위, 즉 음절화음키로 입력해야 하며, 전용 속기 자판이 아닌 일반 컴퓨터 자판 고속입력 방법으로는 한글 세벌식 동시치기 음절화음키 컴퓨터 자판이 있다.
한글 음절은 초성자음/중성모음/(종성자음)의 2~3개 군 음소 조합으로 구성된다. 현재 이러한 특성을 고려한 한글 세벌식 컴퓨터 자판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으나, 음소의 개수가 총 67개로 많아서 기존 일반 컴퓨터 자판(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으로는 구현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키를 조합하는 음소화음키로 단위 키 당 음소 개수를 늘리는 방법이 있다. 음소화음키와 음절화음키의 동시 치기 방법을 한글 세벌식 컴퓨터 자판에 적용한 대표적인 예로는 안마태자판이 있다.
안마태자판은 초성/중성/종성에 각각 10개/10개/10개 총 30개 키를 배당하고 2~3개의 키를 조합하여 단위 키 당 음소 개수를 늘렸으며, 초성은 왼손 집게손가락~새끼손가락으로, 중성은 오른손 집게손가락~새끼손가락으로, 종성은 양손 엄지로 배정되어 있다.
또한, 안마태자판은 초성 및 종성 자음의 경음과 격음 및 복모음을 조합키로 즉 음소화음키로 배정하였으며, 그 결과 2~3개의 키 조합 음소화음키, 2~8개 키 조합 음절화음키를 필요로 하였으며, 이에 따라 음소화음키와 음절화음키의 운지가 쉽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양 엄지로 입력하는 종성의 동시치기 음절화음키의 운지가 매우 어렵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05713호, "전자 기기용 한글 자판의 배열 및 입력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한글 자판 입력 시스템"
본 발명은 한글 음소 입력키의 개수를 22개로 줄이고, 음소별 키 배치를 조정하여 용이하게 운지할 수 있는 세벌식 한글입력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 음소별 상대 사용 빈도와 음소별 인지용이성을 고려하여 음소별 키 배치를 최적화 배치함으로써, 운지가 용이한 음소/음절화음키와 이를 이용하여 고속 입력이 가능한 세벌식 한글입력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벌식 한글입력시스템은 초성자음, 중성모음 및 종성자음에 대응되는 22개의 한글 음소 입력키를 포함하고, 여기서 한글 음소 입력키는 1행 내지 2행의 1열 내지 4열에 배치되는 8개의 초성자음 입력키와, 1행 내지 2행의 7열 내지 10열에 배치되는 8개의 중성모음 입력키 및 3행의 3열 내지 8열에 배치되는 6개의 종성자음 입력키로 구성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초성자음 입력키는 1행의 1열, 2열, 3열, 4열 각각에 배치되는 'ㅂ', 'ㅈ', 'ㅅ', 'ㄹ'의 입력키와, 2행의 1열, 2열, 3열, 4열 각각에 배치되는 'ㄷ', 'ㄱ', 'ㅎ', 'ㅇ'의 입력키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중성모음 입력키는 1행의 7열, 8열, 9열, 10열 각각에 배치되는 'ㅜ', 'ㅗ', 'ㅕ', 'ㅛ'의 입력키와, 2행의 7열, 8열, 9열, 10열 각각에 배치되는 'ㅏ', 'ㅓ', 'ㅣ', 'ㅡ'의 입력키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종성자음 입력키는 3행의 3열, 4열, 5열, 6열, 7열, 8열 각각에 배치되는 'ㅎ', 'ㄴ', 'ㅅ', 'ㄱ', 'ㄹ', 'ㅁ'의 입력키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세벌식 한글입력시스템은 풀어치기 방식, 모아치기 방식 및 동시치기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한글 음소 입력키는 한글 음소 입력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입력키를 동시에 입력하면 기설정된 음소를 출력하는 음소화음키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음소화음키는 한글 음소 입력키 중 어느 하나의 입력키와 어느 하나의 입력키로부터 오른쪽으로 N번째(여기서, N은 1 이상의 양의 정수) 위치에 배치된 입력키를 동시에 입력하면 대응되는 음소를 출력하는 제1 화음키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음소화음키는 한글 음소 입력키 중 어느 하나의 입력키와 어느 하나의 입력키로부터 상단 대각선 위치에 배치된 입력키를 동시에 입력하면 대응되는 음소를 출력하는 제2 화음키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종성자음 입력키는 기설정된 왼쪽 영역에 대응되는 제1 서브블록에 위치하는 입력키와, 기설정된 오른쪽 영역에 대응되는 제2 서브블록에 위치하는 입력키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음소화음키는 제1 서브블록에 위치하는 제1 입력키와, 제2 서브블록에 위치하는 입력키 중 제1 입력키와 가장 근접 배치되거나 가장 멀리 배치된 2개의 입력키를 동시에 입력하면 대응되는 음소를 출력하는 제3 화음키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음소화음키는 제2 서브블록에 위치하는 제2 입력키와, 제1 서브블록에 위치하는 입력키 중 제2 입력키와 가장 근접 배치되거나 가장 멀리 배치된 2개의 입력키를 동시에 입력하면 대응되는 음소를 출력하는 제4 화음키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한글 음소 입력키는 초성자음 및 중성모음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집게손가락 입력키를 포함하고, 여기서, 집게손가락 입력키는 1행의 4열, 1행의 7열, 2행의 4열 및 2행의 7열의 4개 키에만 배치되어 사용자의 양손 집게 손가락의 상하 이동만으로 입력이 가능하여 운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세벌식 한글입력시스템은 한글 음소 입력키의 개수를 22개로 줄이고, 음소별 키 배치를 조정하여 용이하게 운지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세벌식 한글입력시스템은 각 음소별 상대 사용 빈도와 음소별 인지용이성을 고려하여 음소별 키 배치를 최적화 배치함으로써, 음소/음절화음키의 운지가 용이하게 한글을 고속으로 입력할 수 있다. 특히 양 엄지로 6개 키만 담당하여 입력하는 종성의 동시치기 음절화음키의 운지가 매우 쉬울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세벌식 한글입력시스템은 쉬프트키(shift key)를 전혀 사용하지 않아서 운지가 용이하게 한글을 고속으로 입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세벌식 한글입력시스템은 한글의 67개 음소를 모두 배치/표시하여, 초성자음/중성모음/(종성자음)의 군 음소 조합 즉 한글음절 조합원리를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세벌식 한글입력시스템은 한글 음소 입력키의 개수를 22개로 줄여서 영문 쿼티(qwerty) 자판과의 호환성이 매우 높을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세벌식 한글입력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음소별 키배치의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일실시예에 따른 세벌식 한글입력시스템의 단독키 및 음소화음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세벌식 한글입력시스템의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표현들, 예를 들어 "~사이에"와 "바로~사이에" 또는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특허출원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세벌식 한글입력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음소별 키배치의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세벌식 한글입력시스템(100)은 초성자음, 중성모음 및 종성자음에 대응되는 22개의 한글 음소 입력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한글 음소 입력키는 1행(R1) 내지 2행(R2)의 1열(C1) 내지 4열(C4)에 배치되는 8개의 초성자음 입력키와, 1행(R1) 내지 2행(R2)의 7열(C7) 내지 10열(C10)에 배치되는 8개의 중성모음 입력키 및 3행(R3)의 3열(C3) 내지 8열(C8)에 배치되는 6개의 종성자음 입력키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세벌식 한글입력시스템(100)은 초성자음은 왼손 집게 손가락부터 왼손 새끼 손가락, 중성모음은 오른손 집게 손가락부터 오른손 새끼 손가락, 종성자음은 양손 엄지 위치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초성자음과 중성모음을 각각 8개 키로 배정하여 집게 손가락부터 새끼 손가락은 상하로만 이동하고, 종성자음을 6개 키로 배정하여 엄지는 좌우로만 이동하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운지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세벌식 한글입력시스템(100)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기반의 컴퓨터 자판일 수 있으며, 음소의 사용 빈도가 높은 순으로 홈키와 단독키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홈키는 2행(R2)의 1열(C1), 2열(C2), 3열(C3), 4열(C4), 7열(C7), 8열(C8), 9열(C9), 10열(C10) 키와 3행(R3)의 4열(C4), 7열(C7) 키(10개 손가락용 10개 키)에 배치되는 한글 음소 입력키를 의미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한글 음소 입력키는 초성자음 및 중성모음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집게손가락 입력키를 포함하고, 여기서, 집게손가락 입력키는 1행의 4열, 1행의 7열, 2행의 4열 및 2행의 7열의 4개 키에만 배치되어 사용자의 양손 집게 손가락의 상하 이동만으로 입력이 가능하여 운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초성자음 입력키는 1행(R1)의 1열(C1), 2열(C2), 3열(C3), 4열(C4) 각각에 배치되는 'ㅂ', 'ㅈ', 'ㅅ', 'ㄹ'의 입력키와, 2행(R2)의 1열(C1), 2열(C2), 3열(C3), 4열(C4) 각각에 배치되는 'ㄷ', 'ㄱ', 'ㅎ', 'ㅇ'의 입력키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초성자음 입력키는 사용 빈도가 높은 'ㄷ', 'ㄱ', 'ㅎ', 'ㅇ'가 홈키로 배치하되, 경음 및 격음의 인지용이성을 고려하여 'ㄷ' 및 'ㄱ' 음소는 왼쪽 2개의 입력키로, 초성 최고 빈도의 'ㅇ' 음소는 집게손가락 입력키로 홈키의 맨 오른쪽에 최적화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초성자음 입력키는 홈키로 배치된 자음 다음으로 사용 빈도가 높은 'ㅂ', 'ㅈ', 'ㅅ', 'ㄹ'의 배치 순서를 경음 및 격음의 인지용이성을 고려하여 최적화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중성모음 입력키는 1행(R1)의 7열(C7), 8열(C8), 9열(C9), 10열(C10) 각각에 배치되는 'ㅜ', 'ㅗ', 'ㅕ', 'ㅛ'의 입력키와, 2행(R2)의 7열(C7), 8열(C8), 9열(C9), 10열(C10) 각각에 배치되는 'ㅏ', 'ㅓ', 'ㅣ', 'ㅡ'의 입력키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중성모음 입력키는 사용 빈도가 높은 'ㅏ', 'ㅓ', 'ㅣ', 'ㅡ'를 홈키로 배치하되, '딴 ㅣ' 조합을 고려하여 배치 순서를 최적화할 수 있다. 그리고 중성 최고 빈도의 'ㅏ' 음소는 집게손가락 입력키로 홈키의 맨 왼쪽에 최적화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중성모음 입력키는 홈키로 배치된 모음 다음으로 사용 빈도가 높은 'ㅜ', 'ㅗ', 'ㅕ', 'ㅛ'를 'ㅏ', 'ㅓ', 'ㅣ', 'ㅡ' 상단에 배치하되, 복모음 조합 'ㅘ=ㅗ+ㅏ', 'ㅝ=ㅜ+ㅓ'를 고려하여 배치 순서를 최적화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종성자음 입력키는 3행(R3)의 3열(C3), 4열(C4), 5열(C5), 6열(C6), 7열(C7), 8열(C8) 각각에 배치되는 'ㅎ', 'ㄴ', 'ㅅ', 'ㄱ', 'ㄹ', 'ㅁ'의 입력키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종성자음 입력키는 사용 빈도가 높은 'ㄴ', 'ㄹ', 'ㅇ' 음소를 홈키로 최적화 배치하고('ㅇ' 음소는 음소화음키), 그 다음으로 사용 빈도가 높은 'ㅅ', 'ㄱ', 'ㅁ' 음소를 단독키로, 격음생성키 역할의 'ㅎ' 음소를 단독키로 최적화 배치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종성자음 입력키는 기설정된 왼쪽 영역에 대응되는 제1 서브블록에 위치하는 입력키와, 기설정된 오른쪽 영역에 대응되는 제2 서브블록에 위치하는 입력키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서브블록은 종성자음 입력키에 대응되는 'ㅎ', 'ㄴ', 'ㅅ'에 대응되는 입력키를 포함하고, 제2 서브블록은 종성자음 입력키에 대응되는 'ㄱ', 'ㄹ', 'ㅁ'에 대응되는 입력키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세벌식 한글입력시스템(100)은 풀어치기 방식, 모아치기 방식 및 동시치기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풀어치기 방식은 초성, 중성 및 종성을 순차적으로 입력하는 방식으로 일례로 '국'의 경우 'ㄱ' + 'ㅜ' + 'ㄱ'을 순차적으로 입력하는 것을 의미하고, 모아치기 방식은 초성과 중성을 동시에 입력하고 종성을 따로 입력하는 방식으로 일례로 '국'의 경우 '구' + 'ㄱ'을 입력하는 방식을 의미하며, 동시치기 방식은 초성, 중성 및 종성을 동시에 입력하는 방식으로 일례로 '국'의 경우 '국'을 입력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측에 따르면, 한글 음소 입력키는 한글 음소 입력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입력키를 동시에 입력하면 기설정된 음소를 출력하는 음소화음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음소화음키는 제1 내지 제4 화음키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화음키는 한글 음소 입력키 중 어느 하나의 입력키와 어느 하나의 입력키로부터 오른쪽으로 N번째(여기서, N은 1 이상의 양의 정수) 위치에 배치된 입력키를 동시에 입력하면 대응되는 음소를 출력하는 음소화음키일 수 있다.
또한, 제2 화음키는 한글 음소 입력키 중 어느 하나의 입력키와 어느 하나의 입력키로부터 상단 대각선 위치에 배치된 입력키를 동시에 입력하면 대응되는 음소를 출력하는 음소화음키일 수 있다.
또한, 제3 화음키는 제1 서브블록에 위치하는 제1 입력키와, 제2 서브블록에 위치하는 입력키 중 제1 입력키와 가장 근접 배치되거나 가장 멀리 배치된 2개의 입력키를 동시에 입력하면 대응되는 음소를 출력하는 음소화음키일 수 있다.
또한, 제4 화음키는 제2 서브블록에 위치하는 제2 입력키와, 제1 서브블록에 위치하는 입력키 중 제2 입력키와 가장 근접 배치되거나 가장 멀리 배치된 2개의 입력키를 동시에 입력하면 대응되는 음소를 출력하는 음소화음키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초성자음 입력키는 경음/격음이 아닌 남은 음소 'ㅁ'을 'ㅇ' 음소에 대응되는 입력키에 포함되는 제2 화음키로 배치할 수 있고, 'ㄴ'을 'ㅎ' 음소에 대응되는 입력키에 포함되는 제1 화음키로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중성모음 입력키는 이미 배치된 'ㅜ', 'ㅗ', 'ㅕ', 'ㅛ', 'ㅏ', 'ㅓ', 'ㅣ', 'ㅡ' 음소 이외에 나머지 음소 중 4개 조합 음소 'ㅑ', 'ㅠ', 'ㅙ', 'ㅞ'는 각각 'ㅏ', 'ㅜ', 'ㅏ', 'ㅜ'에 대응되는 입력키에 포함되는 제1 화음키로 배치할 수 있고, '딴 ㅣ'의 6개 조합 음소 'ㅟ', 'ㅚ', 'ㅖ', 'ㅐ', 'ㅔ', 'ㅢ'는 각각 'ㅜ', 'ㅗ', 'ㅕ', 'ㅏ', 'ㅓ', 'ㅣ'에 대응되는 입력키에 포함되는 제1 화음키로 배치할 수 있고, 'ㅘ', 'ㅝ', 'ㅒ' 음소는 각각 'ㅏ', 'ㅓ', 'ㅓ'에 대응되는 입력키에 포함되는 제2 화음키로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종성자음 입력키는 2개의 경음 'ㄲ', 'ㅆ'은 각각 'ㄱ', 'ㅅ'에 대응되는 입력키에 포함되는 제1 화음키로 배치할 수 있고, 격음 'ㅋ', 'ㅊ', 'ㅌ', 'ㅍ'은 격음생성키 'ㅎ'에 대응되는 입력키에 포함되는 제1 화음키로 배치할 수 있으며, 사용빈도가 높은 3개의 복자음 종성 'ㄶ', 'ㄻ', 'ㅄ'은 각각 'ㄴ', 'ㄹ', 'ㅅ'에 대응되는 입력키에 포함되는 제1 화음키로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종성자음 입력키는 나머지 복자음 종성인 'ㄼ', 'ㄵ', 'ㄾ', 'ㄽ' 음소는 각각 'ㄴ', 'ㄴ', 'ㅅ', 'ㅅ'에 대응되는 입력키에 포함된 제3 화음키로 배치할 수 있고, 'ㄳ', 'ㄺ', 'ㄿ', 'ㅀ' 음소는 각각 'ㄱ', 'ㄱ', 'ㄹ', 'ㄹ'에 대응되는 입력키에 포함되는 제4 화음키로 배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음소화음키는 이후 실시예 도 2a 내지 도 2d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결국, 일실시예에 따른 세벌식 한글입력시스템(100)은 단독키 음소 22개와 2개 내지 3개의 키 조합 음소화음키를 이용하여 구현되는 45개 음소(옛 한글 포함할 경우 58개), 즉 하기 표1과 같이 총 67개(옛 한글 포함할 경우 80개) 음소를 표현할 수 있다. 표1을 참조하면, 옛 한글 음소로 초성자음 6개, 중성모음 1개, 종성자음 6개, 총 13개를 음소화음키로 추가하였다.
초성 화음
음소
키조합 중성 화음
음소
키조합 종성 화음
음소
키조합
ㅎ+ㅇ ㅏ+ㅓ ㄴ+ㅅ
ㅅ+ㅇ ㅏ+ㅣ ㄴ+ㄱ
ㄱ+ㅎ ㅓ+ㅕ ㄴ+ㄹ
ㄱ+ㅇ ㅓ+ㅣ ㅅ+ㄹ
ㄷ+ㄱ ㅕ+ㅛ ㅎ+ㄴ
ㄷ+ㅇ ㅗ+ㅏ ㅎ+ㄱ
ㅂ+ㅈ ㅗ+ㅕ ㅎ+ㄹ
ㅂ+ㄹ ㅏ+ㅡ ㅎ+ㅁ
ㅅ+ㄹ ㅜ+ㅓ ㄱ+ㄹ
ㅈ+ㅅ ㅜ+ㅗ ㅅ+ㄱ
ㅈ+ㄹ ㅜ+ㅛ ㄴ+ㅅ+ㄱ
ㅅ+ㄱ ㅜ+ㅕ ㄴ+ㄱ+ㄹ
ㅈ+ㅎ ㅣ+ㅡ ㄴ+ㅁ
ㅈ+ㄷ ㅓ+ㅡ ㅎ+ㄴ+ㄱ
Figure 112021056265001-pat00001
ㄹ+ㅎ ㄹ+ㅁ
ㅂ+ㅅ     ㄴ+ㄹ+ㅁ
ㅂ+ㄱ     ㅅ+ㄱ+ㄹ
    ㅅ+ㄹ+ㅁ
    ㄴ+ㅅ+ㄹ
        ㅎ+ㄴ+ㄹ
        ㅅ+ㅁ
        ㄴ+ㅅ+ㅁ
        ㅎ+ㅅ
        ㄱ+ㅁ
       
Figure 112021056265001-pat00002
ㅎ+ㄱ+ㄹ
        ㅎ+ㄹ+ㅁ
        ㅎ+ㄴ+ㅁ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KS표준 한글 두벌식 자판 또는 영어 쿼티 자판의 문장부호 2개 키 즉 ';' 및 ','를 각각 2행 5열 및 2행 6열 키 위치로 이동시킨 것을 볼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d는 일실시예에 따른 세벌식 한글입력시스템의 단독키 및 음소화음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d를 참조하면, 참조부호 210은 각 키 라벨에 대한 표기 범례로 단독키(A)와, 제1 화음키(FEDCB), 제2 화음키(G), 제3 화음키(IH) 및 제4 화음키(HI) 중 적어도 하나의 화음키를 포함하는 한글 음소 입력키를 도시하고, 참조부호 220 내지 240는 제1 내지 제4 화음키를 출력하는 예시를 도시한다.
참조부호 210에 따르면, 제1 화음키(FEDCB)는 한글 음소 입력키 중 어느 하나의 입력키와 어느 하나의 입력키로부터 오른쪽으로 N번째 위치에 배치된 입력키를 동시에 입력하면 대응되는 음소를 출력하는 음소화음키일 수 있다.
또한, 제2 화음키(G)는 한글 음소 입력키 중 어느 하나의 입력키와 어느 하나의 입력키로부터 상단 대각선 위치에 배치된 입력키를 동시에 입력하면 대응되는 음소를 출력하는 음소화음키일 수 있다.
또한, 제3 화음키(IH)는 제1 서브블록에 위치하는 제1 입력키와, 제2 서브블록에 위치하는 입력키 중 제1 입력키와 가장 근접 배치되거나 가장 멀리 배치된 2개의 입력키를 동시에 입력하면 대응되는 음소를 출력하는 음소화음키일 수 있다.
또한, 제4 화음키(HI)는 제2 서브블록에 위치하는 제2 입력키와, 제1 서브블록에 위치하는 입력키 중 제2 입력키와 가장 근접 배치되거나 가장 멀리 배치된 2개의 입력키를 동시에 입력하면 대응되는 음소를 출력하는 음소화음키일 수 있다.
여기서, 'H'는 제1 내지 제2 입력키가 위치한 서브블록과는 다른 서브블록에서 제1 내지 제2 입력키와 인접 배치된 2개의 입력키를 의미하고, 'I'는 다른 서브블록에서 제1 내지 제2 입력키와 멀리 배치된 2개의 입력키를 의미하며, 서브 블록은 제1 서브블록은 'ㅎ', 'ㄴ', 'ㅅ'에 대응되는 입력키를 포함하고, 제2 서브블록은 'ㄱ', 'ㄹ', 'ㅁ'에 대응되는 입력키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참조부호 220에 따르면, 단독키 'ㄷ'에 대응되는 입력키는 입력키 내에서 오른쪽으로부터 첫번째 위치에 배치된 'ㄸ' 음소와, 세번째 위치에 배치된 'ㅌ' 음소를 제1 화음키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첫번째 위치에 배치된 'ㄸ' 음소는 'ㄷ'에 대응되는 입력키와 'ㄷ'에 대응되는 입력키로부터 오른쪽으로 첫번째 위치에 배치된 'ㄱ'에 대응되는 입력키를 동시에 입력하면 출력될 수 있으며(즉, 'ㄷ' + 'ㄱ'), 세번째 위치에 배치된 'ㅌ' 음소는 'ㄷ'에 대응되는 입력키와 'ㄷ'에 대응되는 입력키로부터 오른쪽으로 세번째 위치에 배치된 'ㅇ'에 대응되는 입력키를 동시에 입력하면 출력될 수 있다(즉, 'ㄷ' + 'ㅇ').
마찬가지로, 단독키 'ㄱ'에 대응되는 입력키는 입력키 내에서 오른쪽으로부터 첫번째 위치에 배치된 'ㄲ' 음소와, 두번째 위치에 배치된 'ㅋ' 음소를 제1 화음키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첫번째 위치에 배치된 'ㄲ' 음소는 'ㄱ'에 대응되는 입력키와 'ㄱ'에 대응되는 입력키로부터 오른쪽으로 첫번째 위치에 배치된 'ㅎ'에 대응되는 입력키를 동시에 입력하면 출력될 수 있으며(즉, 'ㄱ' + 'ㅎ'), 두번째 위치에 배치된 'ㅋ' 음소는 'ㄱ'에 대응되는 입력키와 'ㄱ'에 대응되는 입력키로부터 오른쪽으로 두번째 위치에 배치된 'ㅇ'에 대응되는 입력키를 동시에 입력하면 출력될 수 있다(즉, 'ㄱ' + 'ㅇ').
참조부호 230에 따르면, 'ㅏ'에 대응되는 입력키는 입력키 내에서 오른쪽 상단 대각 위치에 배치된 'ㅘ' 음소를 제2 화음키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오른쪽 상단 대각 위치에 배치된 'ㅘ' 음소는 'ㅏ'에 대응되는 입력키와 'ㅏ'에 대응되는 입력키의 오른쪽 상단 대각 위치에 배치된 'ㅗ'에 대응되는 입력키를 동시에 입력하면 출력될 수 있다(즉, 'ㅗ' + 'ㅏ').
마찬가지로, 'ㅓ'에 대응되는 입력키는 입력키 내에서 왼쪽 상단 대각 위치에 배치된 'ㅝ' 음소와, 오른쪽 상단 대각 위치에 배치된 'ㅒ' 음소를 제2 화음키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왼쪽 상단 대각 위치에 배치된 'ㅝ' 음소는 'ㅓ'에 대응되는 입력키와 'ㅓ'에 대응되는 입력키의 왼쪽 상단 대각 위치에 배치된 'ㅜ'에 대응되는 입력키를 동시에 입력하면 출력될 수 있으며(즉, 'ㅜ' + 'ㅓ'), 오른쪽 상단 대각 위치에 배치된 'ㅒ' 음소는 'ㅓ'에 대응되는 입력키와 'ㅓ'에 대응되는 입력키의 오른쪽 상단 대각 위치에 배치된 'ㅕ'에 대응되는 입력키를 동시에 입력하면 출력될 수 있다(즉, 'ㅓ' + 'ㅕ').
참조부호 240에 따르면, 'ㄴ'에 대응되는 입력키는 입력키 내에서 오른쪽 하단의 첫번째 위치에 배치된 'ㄵ' 음소와, 두번째 위치에 배치된 'ㄼ' 음소를 제3 화음키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첫번째 위치에 배치된 'ㄵ' 음소는 제1 서브블록에 위치한 'ㄴ'에 대응되는 입력키와, 제2 서브블록에 위치한 입력키 중 'ㄴ'에 대응되는 입력키와 가장 인접 배치된 2개의 입력키(즉, 'ㄱ' 및 'ㄹ'에 대응되는 입력키)를 동시에 입력하면 출력될 수 있으며(즉, 'ㄴ' + 'ㄱ' + 'ㄹ'), 두번째 위치에 배치된 'ㄼ' 음소는 'ㄴ'에 대응되는 입력키와, 제2 서브블록에 위치한 입력키 중 'ㄴ'에 대응되는 입력키와 가장 멀리 배치된 2개의 입력키(즉, 'ㄹ' 및 'ㅁ'에 대응되는 입력키)를 동시에 입력하면 출력될 수 있다(즉, 'ㄴ' + 'ㄹ' + 'ㅁ').
마찬가지로, 'ㅅ'에 대응되는 입력키는 입력키 내에서 오른쪽 하단의 첫번째 위치에 배치된 'ㄽ' 음소와, 두번째 위치에 배치된 'ㄾ' 음소를 제3 화음키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첫번째 위치에 배치된 'ㄽ' 음소는 제1 서브블록에 위치한 'ㅅ'에 대응되는 입력키와, 제2 서브블록에 위치한 입력키 중 'ㅅ'에 대응되는 입력키와 가장 인접 배치된 2개의 입력키(즉, 'ㄱ' 및 'ㄹ'에 대응되는 입력키)를 동시에 입력하면 출력될 수 있으며(즉, 'ㅅ' + 'ㄱ' + 'ㄹ'), 두번째 위치에 배치된 'ㄾ' 음소는 'ㅅ'에 대응되는 입력키와, 제2 서브블록에 위치한 입력키 중 'ㅅ'에 대응되는 입력키와 가장 멀리 배치된 2개의 입력키(즉, 'ㄹ' 및 'ㅁ'에 대응되는 입력키)를 동시에 입력하면 출력될 수 있다(즉, 'ㅅ' + 'ㄹ' + 'ㅁ').
한편, 'ㄱ'에 대응되는 입력키는 입력키 내에서 왼쪽 하단의 첫번째 위치에 배치된 'ㄳ' 음소와, 두번째 위치에 배치된 'ㄺ' 음소를 제4 화음키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첫번째 위치에 배치된 'ㄳ' 음소는 제2 서브블록에 배치된 'ㄱ'에 대응되는 입력키와, 제1 서브블록에 위치한 입력키 중 'ㄱ'에 대응되는 입력키와 가장 인접 배치된 2개의 입력키(즉, 'ㅅ' 및 'ㄴ'에 대응되는 입력키)를 동시에 입력하면 출력될 수 있으며(즉, 'ㄱ' + 'ㅅ' + 'ㄴ'), 두번째 위치에 배치된 'ㄺ' 음소는 'ㄱ'에 대응되는 입력키와, 제1 서브블록에 위치한 입력키 중 'ㄱ'에 대응되는 입력키와 가장 멀리 배치된 2개의 입력키(즉, 'ㄴ' 및 'ㅎ'에 대응되는 입력키)를 동시에 입력하면 출력될 수 있다(즉, 'ㄱ' + 'ㄴ' + 'ㅎ').
마찬가지로, 'ㄹ'에 대응되는 입력키는 입력키 내에서 왼쪽 하단의 첫번째 위치에 배치된 'ㄿ' 음소와, 두번째 위치에 배치된 'ㅀ' 음소를 제4 화음키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첫번째 위치에 배치된 'ㄿ' 음소는 제2 서브블록에 배치된 'ㄹ'에 대응되는 입력키와, 제1 서브블록에 위치한 입력키 중 'ㄹ'에 대응되는 입력키와 가장 인접 배치된 2개의 입력키(즉, 'ㅅ' 및 'ㄴ'에 대응되는 입력키)를 동시에 입력하면 출력될 수 있으며(즉, 'ㄹ' + 'ㅅ' + 'ㄴ'), 두번째 위치에 배치된 'ㅀ' 음소는 'ㄹ'에 대응되는 입력키와, 제1 서브블록에 위치한 입력키 중 'ㄹ'에 대응되는 입력키와 가장 멀리 배치된 2개의 입력키(즉, 'ㄴ' 및 'ㅎ'에 대응되는 입력키)를 동시에 입력하면 출력될 수 있다(즉, 'ㄹ' + 'ㄴ' + 'ㅎ').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세벌식 한글입력시스템의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세벌식 한글입력시스템(300)은 도 1을 통해 설명한 세벌식 한글입력시스템과 영문 쿼티(qwerty) 자판이 결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일실시예에 따른 세벌식 한글입력시스템(300)와 기존 안마태자판의 성능 비교 결과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세벌식 한글입력시스템(300)에 대하여 국립국어원 2005년 한글 사용 빈도 조사 자료의 음소 상대 사용 빈도 통계를 토대로 산출한 키 입력 무게 노력 지수는 1.59ue(unit effort: 단위 노력 지수)이고, 안마태자판의 경우는 1.92ue으로 나타났다.
또한, 세벌식 한글입력시스템(300)은 각 음소 별 상대 사용 빈도를 고려하고 각 홈키(home key)로부터 손가락 이동 거리를 구한, 무게 이동 거리가 0.37ul(unit length: 단위 거리; 자판상에서 상하 또는 좌우 1칸 거리)로 나타났으며, 안마태자판의 경우는 0.63ul으로 나타났다.
또한, 세벌식 한글입력시스템(300)은 10개 홈키(home key)의 사용 상대 점유율이 68%, 양손 사용의 불균형은 0.2%로 나타났으며, 안마태자판의 경우는 홈키의 사용 상대 점유율이 48%, 양손 사용의 불균형이 6%로 나타났다.
즉, 세벌식 한글입력시스템(300)은 기 공지된 기술 대비 한글 입력에 따른 효율 및 성능이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세벌식 한글입력시스템(300)은 기 공지된 기술과는 달리 쉬프트키(shift key)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한글의 67개(옛 한글 포함할 경우 80개) 음소를 모두 입력할 수 있으며, 속기 자판처럼 음절단위로 한글을 고속으로 입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세벌식 한글입력시스템 R1 내지 R3: 1행 내지 3행
C1 내지 C10: 1열 내지 10열

Claims (12)

  1. 초성자음, 중성모음 및 종성자음에 대응되는 22개의 한글 음소 입력키를 포함하고,
    상기 한글 음소 입력키는,
    1행 내지 2행의 1열 내지 4열에 배치되는 8개의 초성자음 입력키와, 1행 내지 2행의 7열 내지 10열에 배치되는 8개의 중성모음 입력키 및 3행의 3열 내지 8열에 배치되는 6개의 종성자음 입력키로 구성되고,
    상기 한글 음소 입력키는,
    상기 한글 음소 입력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입력키를 동시에 입력하면 기설정된 음소를 출력하는 음소화음키를 포함하며,
    상기 음소화음키는,
    상기 한글 음소 입력키 중 어느 하나의 입력키와 상기 어느 하나의 입력키로부터 오른쪽으로 N번째(여기서, N은 1 이상의 양의 정수) 위치에 배치된 입력키를 동시에 입력하면 대응되는 음소를 출력하는 제1 화음키를 포함하는
    세벌식 한글입력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성자음 입력키는,
    1행의 1열, 2열, 3열, 4열 각각에 배치되는 'ㅂ', 'ㅈ', 'ㅅ', 'ㄹ'의 입력키와, 2행의 1열, 2열, 3열, 4열 각각에 배치되는 'ㄷ', 'ㄱ', 'ㅎ', 'ㅇ'의 입력키를 포함하는
    세벌식 한글입력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성모음 입력키는,
    1행의 7열, 8열, 9열, 10열 각각에 배치되는 'ㅜ', 'ㅗ', 'ㅕ', 'ㅛ'의 입력키와, 2행의 7열, 8열, 9열, 10열 각각에 배치되는 'ㅏ', 'ㅓ', 'ㅣ', 'ㅡ'의 입력키를 포함하는
    세벌식 한글입력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성자음 입력키는,
    3행의 3열, 4열, 5열, 6열, 7열, 8열 각각에 배치되는 'ㅎ', 'ㄴ', 'ㅅ', 'ㄱ', 'ㄹ', 'ㅁ'의 입력키를 포함하는
    세벌식 한글입력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풀어치기 방식, 모아치기 방식 및 동시치기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지원하는
    세벌식 한글입력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소화음키는,
    상기 한글 음소 입력키 중 어느 하나의 입력키와 상기 어느 하나의 입력키로부터 상단 대각선 위치에 배치된 입력키를 동시에 입력하면 대응되는 음소를 출력하는 제2 화음키를 포함하는
    세벌식 한글입력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성자음 입력키는,
    기설정된 왼쪽 영역에 대응되는 제1 서브블록에 위치하는 입력키와, 기설정된 오른쪽 영역에 대응되는 제2 서브블록에 위치하는 입력키를 포함하는
    세벌식 한글입력시스템.
  10. 초성자음, 중성모음 및 종성자음에 대응되는 22개의 한글 음소 입력키를 포함하고,
    상기 한글 음소 입력키는,
    1행 내지 2행의 1열 내지 4열에 배치되는 8개의 초성자음 입력키와, 1행 내지 2행의 7열 내지 10열에 배치되는 8개의 중성모음 입력키 및 3행의 3열 내지 8열에 배치되는 6개의 종성자음 입력키로 구성되고,
    상기 한글 음소 입력키는,
    상기 한글 음소 입력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입력키를 동시에 입력하면 기설정된 음소를 출력하는 음소화음키를 포함하며,
    상기 종성자음 입력키는,
    기설정된 왼쪽 영역에 대응되는 제1 서브블록에 위치하는 입력키와, 기설정된 오른쪽 영역에 대응되는 제2 서브블록에 위치하는 입력키를 포함하고,
    상기 음소화음키는,
    상기 제1 서브블록에 위치하는 제1 입력키와, 상기 제2 서브블록에 위치하는 입력키 중 상기 제1 입력키와 가장 근접 배치되거나 가장 멀리 배치된 2개의 입력키를 동시에 입력하면 대응되는 음소를 출력하는 제3 화음키를 포함하는
    세벌식 한글입력시스템.
  11. 초성자음, 중성모음 및 종성자음에 대응되는 22개의 한글 음소 입력키를 포함하고,
    상기 한글 음소 입력키는,
    1행 내지 2행의 1열 내지 4열에 배치되는 8개의 초성자음 입력키와, 1행 내지 2행의 7열 내지 10열에 배치되는 8개의 중성모음 입력키 및 3행의 3열 내지 8열에 배치되는 6개의 종성자음 입력키로 구성되고,
    상기 한글 음소 입력키는,
    상기 한글 음소 입력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입력키를 동시에 입력하면 기설정된 음소를 출력하는 음소화음키를 포함하며,
    상기 종성자음 입력키는,
    기설정된 왼쪽 영역에 대응되는 제1 서브블록에 위치하는 입력키와, 기설정된 오른쪽 영역에 대응되는 제2 서브블록에 위치하는 입력키를 포함하고,
    상기 음소화음키는,
    상기 제2 서브블록에 위치하는 제2 입력키와, 상기 제1 서브블록에 위치하는 입력키 중 상기 제2 입력키와 가장 근접 배치되거나 가장 멀리 배치된 2개의 입력키를 동시에 입력하면 대응되는 음소를 출력하는 제4 화음키를 포함하는
    세벌식 한글입력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글 음소 입력키는,
    상기 초성자음 및 상기 중성모음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집게손가락 입력키를 포함하고,
    상기 집게손가락 입력키는,
    1행의 4열, 1행의 7열, 2행의 4열 및 2행의 7열의 4개 키에만 배치되어 사용자의 양손 집게 손가락의 상하 이동만으로 입력이 가능하여 운지를 용이하게 하는
    세벌식 한글입력시스템.
KR1020210063008A 2021-05-14 2021-05-14 운지가 용이한 세벌식 한글입력시스템 KR1025270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3008A KR102527012B1 (ko) 2021-05-14 2021-05-14 운지가 용이한 세벌식 한글입력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3008A KR102527012B1 (ko) 2021-05-14 2021-05-14 운지가 용이한 세벌식 한글입력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5152A KR20220155152A (ko) 2022-11-22
KR102527012B1 true KR102527012B1 (ko) 2023-04-28

Family

ID=84236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3008A KR102527012B1 (ko) 2021-05-14 2021-05-14 운지가 용이한 세벌식 한글입력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701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9477B1 (ko) * 2014-07-03 2015-10-12 주식회사 골든키아이티 한글을 이용한 다언어 입력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276B1 (ko) * 2005-12-15 2008-01-21 주식회사 한국스테노 백스페이스기능이 부가된 속기키보드
KR100894382B1 (ko) * 2007-08-06 2009-04-22 이성훈 한글 입력방법 및 한글 키보드
KR20120060732A (ko) * 2010-09-03 2012-06-12 신준 준세벌 한글자판과 새로운 두루자판 시스템
KR101705713B1 (ko) 2015-04-06 2017-02-13 홍우표 전자 기기용 한글 자판의 배열 및 입력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한글 자판 입력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9477B1 (ko) * 2014-07-03 2015-10-12 주식회사 골든키아이티 한글을 이용한 다언어 입력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5152A (ko) 2022-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99459B2 (ja) ユーザの入力をリアルタイムで予測するマンマシンインターフェース
WO2022083753A1 (zh) 新型键位布局的键盘及其应用于电子设备的输入方法
CN103235696A (zh) 一种基于具有触摸感应设备的快速拼音输入法及其实现系统
JP2012085249A (ja) 中国語電子機器の入力方式
KR102527012B1 (ko) 운지가 용이한 세벌식 한글입력시스템
Nakamura et al. A Japanese Bimanual Flick Keyboard for Tablets That Improves Display Space Efficiency.
KR20120088379A (ko) 터치스크린에서 하나의 문자입력키에 여러 문자와 부호 등을 할당하고 문자입력키를 상하좌우, 그리고 좌상, 좌하, 우상, 우하 방향으로 선을 그으면 해당 문자를 입력되도록 하는 선긋기 방식의 문자입력방법
CN101236457B (zh) 音划中文输入法
JP3221749U (ja) 人間工学的キーボード及びポータブルコンピュータ
WO2021057664A1 (zh) 连续字母键盘
KR101828784B1 (ko) 한글 입력 시스템 및 휴대용 한글 자판
CN109189240B (zh) 一种拼音速录方法
KR100390361B1 (ko) 한글 키보드 시스템
KR101445061B1 (ko) 스마트폰의 한글입력버튼 배치구조
JP6346808B2 (ja) 文字入力用キーボード
KR101368718B1 (ko) 터치스크린용 한글 입력패드
KR20090070357A (ko) 한글 입력기 및 한글 입력 방법
KR101850674B1 (ko)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영어입력 자판 및 입력방법
JPH0521247B2 (ko)
KR101927972B1 (ko) 전자 기기의 한글 입력 시스템
JP6482622B2 (ja) アジア言語の高速入力システム
KR10190459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일본어(카나)의 입력자판 및 입력방법
KR20120117711A (ko) 문자 입력을 위한 영어 단짝문자 힐 자판과 한글 가족자음 나이러 자판
McCaul et al. Predictive text entry in immersive environments
KR20130021428A (ko) 만능 배꼽 ㅣ,ㅡ, 키 긋기 자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