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7111B1 - 중국어 발음을 표현하기 위한 한글병기 한어병음자모 표기방법에 의해 표기되는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중국어 발음을 표현하기 위한 한글병기 한어병음자모 표기방법에 의해 표기되는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7111B1
KR101857111B1 KR1020160030783A KR20160030783A KR101857111B1 KR 101857111 B1 KR101857111 B1 KR 101857111B1 KR 1020160030783 A KR1020160030783 A KR 1020160030783A KR 20160030783 A KR20160030783 A KR 20160030783A KR 101857111 B1 KR101857111 B1 KR 101857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nese
korean
hangul
mica
charac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0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7185A (ko
Inventor
장오현
장수형
Original Assignee
장오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오현 filed Critical 장오현
Priority to KR1020160030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7111B1/ko
Publication of KR20170107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71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7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7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09B19/08Printed or written appliances, e.g. text books, bilingual letter assemblies, ch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중국어 발음 및 성조를 정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현대 한글 및 옛한글(고어)의 자모를 복합하여 병기한 한글병기 한어병음자모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국어 발음을 표현하기 위한 한글병기 한어병음자모 표기방법에 의해 표기되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한글을 아는 사람이라면 누구라도 쉽고 편리하게 정확한 성조에 의해 중국어를 배울 수 있고, 또한, 중국어 발음 음가에는 있지만 우리 말에는 없는 음가에 대한 새로운 한글 문자를 제공하여 중국어의 발음의 특징인 권설음에 대한 발음을 쉽고 정확하게 학습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한글병기 한어병음자모를 서적, 신문, 정기 간행물 등과 같은 기록 매체에 적용함으로써, 누구나 쉽게 중국어를 접하고 정확하게 발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중국어 발음을 표현하기 위한 한글병기 한어병음자모 표기방법에 의해 표기되는 기록매체{Record medium marking of Hangul stage Hanyu Pinyin alphabet for Chinese pronunciation expression}
본 발명은 중국어 발음 및 성조를 정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현대 한글 및 옛한글(고어)의 자모를 복합하여 병기한 한글병기 한어병음자모를 제공함으로써, 한글을 하는 학습자라면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중국어를 배울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국어 발음을 표현하기 위한 한글병기 한어병음자모 표기방법에 의해 표기되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중국어는 성조어로서, 음절 소리의 고저 차이를 나타내는 1성(음평성), 2성(양평성), 3성(상성), 4성(거성), 경성의 특정한 성조가 있고, 이 음절 소리의 고저 차이가 자음이나 모음과 같이 의미를 구별하며, 중국어 병음 로마자 zh, ch, sh, r로 표기되는 권설음과 중국어 병음 로마자 f로 표기되고 있는 순치음이 있다.
이처럼 중국어에는 우리말에 없는 특정한 성조와 권설음과 순치음으로 인해 학습자가 발음하기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외국인들은 중국어 학습 시에는 특허문헌 1을 참고하면, 표의문자인 중국어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마자로 표기한 병음자모를 사용하여 학습하지만, 중국어의 특성인 성조와 권설음, 순치음으로 인해 중국어를 쉽게 학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중국어를 학습하기 위한 다양한 학습방법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는 중국어 학습법에 관한 선행문헌들의 내용은 아래와 같다.
특허문헌 2는 중국어 성조 학습용 교재에 관한 발명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성+1성', '초성+2성', '초성+3성', '초성+4성', 및 '초성+경성'의 순으로 표시한 성조 학습 표시부(120)에 2음절의 단어('그래'란 단어를 예시하였음)를 이용하여 노래하듯이 운율을 반복하고, 중국어 성조 연음 예시항목(140)에 해당 성조에 해당하는 중국어의 예시를 아래 [표 1]의 내용과 같이 표기하여 성조를 쉽게 익힐 수 있도록 하는 학습방법이 제안되어 있지만, 상기의 방법은 단지 성조의 음율을 쉽게 익히기 위한 방법에만 제한되어 있으므로 중국어의 학습시에는 반드시 성조 부호가 표기된 로마자 병음자모를 보고 성조의 정확한 운율에 의해 중국어를 발음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1성+경성'의 예 '2성+경성'의 예 '3성+경성'의 예 '4성+경성'의 예
Figure 112016024698257-pat00001
Figure 112016024698257-pat00002
Figure 112016024698257-pat00003
Figure 112016024698257-pat00004
그리고, 특허문헌 3은 중국어 학습장치 및 방법에 관한 발명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어병음으로 표현 가능한 중국어 단어, 중국어 문장 등에 대한 보다 정확한 한글식 발음을 제공하여 중국어 학습에 도움을 주도록 한 중국어 학습장치 및 방법이 제안되어 있지만, 상기의 방법은 중국어 자모의 정확한 발음에만 한정되어 있고, 성조 부호가 병기되어있지 아니하여 정확한 성조의 운율을 표현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4는 초급 중국어 학습용 노트 속지에 관한 실용신안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국어를 발음하기 위하여 한글 자모와 함께 성조(∨, ―, \ 등)과 같은 부호를 병기한 초급 중국어 학습용 노트 속지를 사용하여 중국어를 학습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지만, 상기의 방법은 중국어의 학습시 한글 자모 상단에 별도로 표기된 성조 부호를 보고 중국어를 발음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선행문헌 1 내지 4는 공통적으로 중국어를 한글로 표기시에는 성조 부호를 반드시 표기하였고, 성조 자체를 한글로 표기하려는 시도는 없었으며, 중국어와 함께 로마자 및/또는 한글을 병기한 병음자모와 함께 병기된 성조 부호를 반드시 보아야만 성조의 운율에 의해 정확한 중국어의 발음이 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중국어 학습자가 중국어 발음과 성조를 보다 정확히 청취하고 암기하기 쉬운 한글표기가 없기 때문이라는 점을 고려해 볼 때, 이에 대한 새로운 대안이 요구된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38885호(2013년 12월 20일 공개) 중국어 성조 프레임을 활용한 중국어 어휘 학습법 특허문헌 2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42953호(2013년 12월 12일 등록) 중국어 성조 학습용 교재 및 컴퓨터 읽기 가능한 기록매체 특허문헌 3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92541호(2010년 08월 23일 공개) 중국어 학습장치 및 방법 특허문헌 4 :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2-0005066호(2012년 07월 11일 공개) 초급 중국어 학습용 노트 속지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중국어 발음 및 성조를 정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현대 한글 및 옛한글(고어)의 자모를 복합하여 병기한 한글병기 한어병음자모를 제공함으로써, 한글을 하는 학습자라면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중국어를 배울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한글병기 한어 병음자모를 서적, 신문, 정기 간행물 등과 같은 기록 매체에 적용함으로써, 누구나 쉽게 중국어 발음을 표현하기 위한 한글병기 한어병음자모 표기방법에 의해 표기되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삭제
삭제
상기의 과제 해결 수단을 위한 본 발명은 중국어 발음을 표기하기 위한 한어병음자모의 표기방법에 의해 표기되는 기록매체있어서, 상기 중국어는 상단 또는 하단에 로마자를 병기하고, 상기 로마자 하단에 한글을 병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국어 발음을 표기하기 위한 한어병음자모의 표기방법에 의해 표기되는 기록매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상기 한글은 현대 한글 및 옛한글(고어)의 자모를 사용하여 경성 및 1성, 2성, 3성, 4성으로 구성되는 성조 표기를 나타내고, 또한, 상기 1성은 [
Figure 112016024698257-pat00005
(여린히읗)]을 사용하여 표기하고, 상기 2성은 [
Figure 112016024698257-pat00006
(옛이응)]을 사용하여 표기하며, 상기 3성은 [
Figure 112016024698257-pat00007
(아래아)]을 사용하여 표기하며, 상기 4성은 [
Figure 112016024698257-pat00008
(이응아래아)]를 사용하여 표기한다.
그리고 성조가 표기되는 병음 로마자는
Figure 112017022991319-pat00009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한 본 발명은 중국어 발음 및 성조를 정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현대 한글 및 옛한글(고어)의 자모를 복합하여 병기한 한글병기 한어병음자모를 제공함으로써, 한글을 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라도 쉽고 편리하게 정확한 성조에 의해 중국어를 배울 수 있고, 또한, 중국어 발음 음가에는 있지만 우리말에는 없는 음가에 대한 새로운 한글 문자를 제공하여 중국어의 발음의 특징이 권설음에 대한 발음을 쉽고 정확하게 학습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한글병기 한어병음자모를 서적, 신문, 정기 간행물 등과 같은 기록매체에 적용함으로써, 누구나 쉽게 중국어를 접하고 정확하게 발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통상적인 방법인 로마자로 표기한 병음자모를 사용하여 중국어의 성조 프레임을 학습하기 위한 어휘학습법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특허문헌 2의 방법에 의해 이미지 정보와 중국어 단어의 관계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종래의 특허문헌 3의 방법에 의해 한글 자음 기입부와 한글 모음 기입부 및 성조 부호 기입부로 구성된 초급 중국어 학습용 노트 속지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종래의 특허문헌 4의 방법에 의해 중국어 학습을 위한 발음부호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를 나타낸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중국어 발음을 로마자 및 한글 자모를 병기하여 표기한 한어병음자모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중국어 발음을 표현하기 위한 한글병기 한어병음자모 표기방법에 의해 표기되는 기록매체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 및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중국어 관련 출판 및 기록매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중국어 발음을 표현하기 위한 한글병기 한어병음자모 표기방법은, 중국어 발음을 표기하기 위한 한어병음자모의 표기방법에 있어서, 상기 중국어는 상단 또는 하단에 로마자를 병기하고, 상기 로마자 하단에 한글을 병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참고로, ‘한어병음자모’라 함은 한자의 발음을 로마자로 표기하는 발음부호를 의미하지만,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인 ‘한글병기 한어병음자모’라 함은 한자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발음부호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한글병기 한어병음자모 표기에서 사용하는 한글은 현대 한글 및 옛한글(고어)의 자모를 사용하여 경성 및 1성, 2성, 3성, 4성으로 구성되는 성조를 나타낼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옛한글(고어)인
Figure 112016024698257-pat00010
,
Figure 112016024698257-pat00011
,
Figure 112016024698257-pat00012
,
Figure 112016024698257-pat00013
은 한글로서 중국어의 성조를 옛한글(고어)로 나타내기 위해 표기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옛한글(고어)들의 명칭은 '
Figure 112016024698257-pat00014
'는 '아래아'라 칭하고, '
Figure 112016024698257-pat00015
'은 '여린히읗'이라 칭하며, '
Figure 112016024698257-pat00016
'은 '옛이응'이라 칭하며, '
Figure 112016024698257-pat00017
'은 '이응아래아'라 칭한다.
중국어의 병음 체계는 성모(聲母)와 운모(韻母)로 나뉘는데, 성모(聲母)는 한글의 자음에 해당되고 운모(韻母)는 모음에 해당된다. 또한, 중국어는 성조어로서, 음절 소리의 고저의 차이에 의해 자음이나 모음과 같이 의미가 구별된다. 성모는 아래 [표2]의 내용에 기재된 바와 같이 b(ㅃ), p(ㅍ), m(ㅁ) 등과 같은 일반음 16와, zh(즈), ch(츠) 등과 같은 권설음 4개 및 1개으 순치음인 f(프)로 이루어져 있으며, 운모는 경성운모(기본음운모), 1성운모(여린히읗 운모), 2성운모(옛이응 운모), 3성운모(아래아 운모), 4성운모(이응아래아 운모)로 5가지의 운모가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성모와 5가지 운모의 결합으로 완성된다.
Figure 112016024698257-pat00018
한편, 본 발명에서 중국어 발음을 표현하기 위하여 한글을 병기한 한글병기 한어병음자모 표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아래의 내용과 같다.
상기 옛한글(고어)의 자모를 사용하는 성조 표기방법에서,
성조 부호가 붙는 병음 로마자
Figure 112016024698257-pat00019
에 각각 대응되는 운모의 한글 표기에 있어서, 상기 1성운모는 [
Figure 112016024698257-pat00020
(여린히읗)]을 사용하여 표기하고, 상기 2성운모는 [
Figure 112016024698257-pat00021
(옛이응)]을 사용하여 표기하고, 상기 3성운모는 [
Figure 112016024698257-pat00022
(아래아)]를 사용하여 표기하며, 상기 4성운모는 위의 병음 로마자에 대응되는 한글 운모 뒤에 [
Figure 112016024698257-pat00023
(이응아래아)]를 사용하여 표기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현대 한글과 옛한글(고어)을 사용한 한글병기 한어 병음자모를 적용한 성조 표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아래의 내용과 같다.
(1) 경성의 한글 표기
본 발명에서의 경성은 옛한글(고어)를 사용하지 않고, [표 2]의 성모와 경성운모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며 성조가 분리되기 전의 기본음에 해당한다.
예를 들면, 아래 [표 3]에 기재된 내용과 같이
Figure 112016024698257-pat00024
(
Figure 112016024698257-pat00025
)는 성모인 m(ㅁ)와 경성운모인 a(아)로 이루어져 있고, 성모와 경성운모를 결합하면 '마'로 표기되고,
Figure 112016024698257-pat00026
(
Figure 112016024698257-pat00027
)는 성모인 b(ㅃ)와 경성운모인 a(아)로 이루어져 있고, 성모와 경성운모를 결합하면 '빠'로 표기되며,
Figure 112016024698257-pat00028
(
Figure 112016024698257-pat00029
)은 성모인 k(ㅋ)과 경성운모인 an(안)으로 이루어져 있고, 성모와 경성운모를 결합하면 '칸'으로 표기되고,
Figure 112016024698257-pat00030
(
Figure 112016024698257-pat00031
)은 성모인 d(ㄸ)와 경성운모인 e(어)으로 이루어져 있고, 성모와 경성운모를 결합하면 '떠'로 표기된다.
Figure 112016024698257-pat00032
(2) 1성의 한글 표기
본 발명에서의 1성의 한글표기는 [표 2]의 성모와 1성운모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한어병음자모에서는 성조부호표시 운모(
Figure 112016024698257-pat00033
) 위에 1성 성조 부호인 '-'를 사용하여
Figure 112016024698257-pat00034
로 표기한다.
본 발명에서는 1성 성조 부호인 '-'를 사용하지 않고, 1성 한어병음 운모
Figure 112016024698257-pat00035
에 대응 되는 한글 자모에 [
Figure 112016024698257-pat00036
(여린히읗)]을 사용하여 표기한 실시 예를 들면 아래 [표 4]의 내용과 같다. 즉, [표 2]의 성모와 1성운모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문자에서 한글 자모에 [
Figure 112016024698257-pat00037
(여린히읗)]을 사용하여 표기한다.
Figure 112016024698257-pat00038
예를 들면, 상기 [표 4]에 기재된 내용과 같이
Figure 112016024698257-pat00039
(
Figure 112016024698257-pat00040
)의 경우에는 성모인 q(ㅊ)와 1성운모인
Figure 112016024698257-pat00041
(
Figure 112016024698257-pat00042
)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성모(ㅊ)와 1성운모(
Figure 112016024698257-pat00043
)를 결합하여
Figure 112016024698257-pat00044
으로 표기하고,
Figure 112016024698257-pat00045
(
Figure 112016024698257-pat00046
)의 경우에는 성모인 g(ㄲ)와 1성운모인
Figure 112016024698257-pat00047
(
Figure 112016024698257-pat00048
)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성모(ㄲ)와 1성운모(
Figure 112016024698257-pat00049
)를 결합하여
Figure 112016024698257-pat00050
로 표기한다.
또한, 1성은 순치음[f(프)]이나 또는 권설음[zh(즈), ch(츠), sh(스), r(르)]인 경우에도 상기 [표 6]에서 같이 순치음인
Figure 112016024698257-pat00051
(
Figure 112016024698257-pat00052
)의 경우에는 성모인 f(프)와 1성운모인
Figure 112016024698257-pat00053
(
Figure 112016024698257-pat00054
)로 이루어져 있고, 성모(프)와 1성운모(
Figure 112016024698257-pat00055
)를 결합하여
Figure 112016024698257-pat00056
로 표기 하며, 권설음인
Figure 112016024698257-pat00057
(山)의 경우에는 성모인 sh(스)와 1성운모인
Figure 112016024698257-pat00058
(
Figure 112016024698257-pat00059
)으로 이루어져 있고, 성모(스)와 1성운모(
Figure 112016024698257-pat00060
)를 결합하여
Figure 112016024698257-pat00061
으로 표기한다.
(3) 2성의 한글 표기
본 발명에서의 2성의 한글표기는 [표 2]의 성모와 2성운모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한어병음자모에서는 성조부호표시 운모(
Figure 112016024698257-pat00062
) 위에 2성 성조 부호인 '/'를 사용하여
Figure 112016024698257-pat00063
로 표기한다.
본 발명에서는 2성 성조부호인 '/'를 사용하지 않고, 2성 한어병음 운모
Figure 112016024698257-pat00064
에 대응되는 한글 자모에 [
Figure 112016024698257-pat00065
(옛이응)]을 사용하여 표기한 실시 예를 들면 아래 [표 5]의 내용과 같다. 즉 [표 2]의 성모와 2성운모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문자로서 한글 자모에 [
Figure 112016024698257-pat00066
(옛이응)]을 사용하여 표기한다.
Figure 112016024698257-pat00067
예를 들면, 상기 [표 5]에 기재된 내용과 같이
Figure 112016024698257-pat00068
(
Figure 112016024698257-pat00069
)의 경우에는 성모인 m(ㅁ)과 2성운모인
Figure 112016024698257-pat00070
(
Figure 112016024698257-pat00071
)으로 이루어져 있고, 성모(ㅁ)와 2성운모(
Figure 112016024698257-pat00072
)를 결합시켜
Figure 112016024698257-pat00073
으로 표기하고,
Figure 112016024698257-pat00074
(
Figure 112016024698257-pat00075
)의 경우에는 성모인 c(ㅊ)와 2성운모인
Figure 112016024698257-pat00076
(
Figure 112016024698257-pat00077
)로 이루어져 있고, 성모(ㅊ)와 2성운모(
Figure 112016024698257-pat00078
)를 결합시켜
Figure 112016024698257-pat00079
로 표기한다.
또한, 1성과 마찬가지로 2성도 성모가 순치음이거나 또는 권설음일 때도 상기 [표 5]에서와 같이 순치음인
Figure 112016024698257-pat00080
(
Figure 112016024698257-pat00081
)의 경우에는 성모인 f(프)와 2성운모인
Figure 112016024698257-pat00082
(
Figure 112016024698257-pat00083
)로 이루어져 있고, 결합시키면
Figure 112016024698257-pat00084
로 표기되며, 권설음인
Figure 112016024698257-pat00085
(
Figure 112016024698257-pat00086
)의 경우에는 성모인 ch(츠)와 2성운모인
Figure 112016024698257-pat00087
(
Figure 112016024698257-pat00088
)로 이루어져 있고, 결합시키면
Figure 112016024698257-pat00089
로 표기한다.
(3) 3성의 한글표기
본 발명에서의 3성의 한글표기는 [표 2]의 성모와 3성운모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한어병음자모에서는 경성운모(
Figure 112016024698257-pat00090
)위에 3성 성조 부호인 'v'를 사용하여
Figure 112016024698257-pat00091
로 표기한다.
본 발명에서는 3성 성조 부호인 'v'를 사용하지 않고, 한어병음 운모
Figure 112016024698257-pat00092
에 대응 되는 한글 자모에 밑에 [
Figure 112016024698257-pat00093
(아래아)]를 사용하여 표기한 실시 예는 아래 [표 6]의 내용과 같다.
Figure 112016024698257-pat00094
예를 들면, 상기 [표 6]에 기재된 내용과 같이
Figure 112016024698257-pat00095
(
Figure 112016024698257-pat00096
)은 성모인 b(ㅃ)와 3성운모인
Figure 112016024698257-pat00097
(
Figure 112016024698257-pat00098
)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를 결합시키면 3성운모(
Figure 112016024698257-pat00099
)에 사용된 '
Figure 112016024698257-pat00100
(아래아)'가 성모 밑에서 결합되어
Figure 112016024698257-pat00101
으로 표기되며,
Figure 112016024698257-pat00102
(
Figure 112016024698257-pat00103
)는 성모인 j(ㅉ)와 3성운모인
Figure 112016024698257-pat00104
(
Figure 112016024698257-pat00105
)로 이루어져 있고, 이를 결합시키면 3성운모(
Figure 112016024698257-pat00106
)에 사용된 '
Figure 112016024698257-pat00107
(아래아)'가 성모 밑에서 결합되어
Figure 112016024698257-pat00108
로 표기된다.
그리고, 순치음인
Figure 112016024698257-pat00109
(
Figure 112016024698257-pat00110
)의 경우에는 성모인 f(프)와 3성운모
Figure 112016024698257-pat00111
(
Figure 112016024698257-pat00112
)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를 결합하여
Figure 112016024698257-pat00113
으로 표기하며, 권설음인
Figure 112016024698257-pat00114
(
Figure 112016024698257-pat00115
)의 경우에도 성모인 ch(츠)와 3성운모
Figure 112016024698257-pat00116
(
Figure 112016024698257-pat00117
)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를 결합하여
Figure 112016024698257-pat00118
으로 표기한다.
(5) 4성의 한글 표기
본 발명에서의 4성의 한글표기는 [표 2]의 성모와 4성운모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한어병음자모에서는 경성운모(
Figure 112016024698257-pat00119
)위에 4성 성조 부호인 '\'를 사용하여
Figure 112016024698257-pat00120
로 표기한다.
본 발명에서는 4성 성조 부호인 ''를 사용하지 않고, 한어병음 운모
Figure 112016024698257-pat00121
에 해당되는 한글 자모에 뒤에 [
Figure 112016024698257-pat00122
(이응아래아)]를 사용하여 4성운모를 표기한 실시 예는 아래 [표 7]의 내용과 같다.
Figure 112016024698257-pat00123
예를 들면, 상기 [표 7]에서
Figure 112016024698257-pat00124
(
Figure 112016024698257-pat00125
)는 성모인 m(ㅁ)과 4성운모인
Figure 112016024698257-pat00126
(
Figure 112016024698257-pat00127
)로 이루어져 있고 이를 결합하면
Figure 112016024698257-pat00128
가 되고,
Figure 112016024698257-pat00129
(
Figure 112016024698257-pat00130
)는 성모인 z(ㅉ)와 4성운모인
Figure 112016024698257-pat00131
(
Figure 112016024698257-pat00132
)로 이루어져 있고 이를 결합하면
Figure 112016024698257-pat00133
로 표기된다.
그리고, 순치음인
Figure 112016024698257-pat00134
(
Figure 112016024698257-pat00135
)의 경우에는 성모인 f(프)와 4성운모
Figure 112016024698257-pat00136
(
Figure 112016024698257-pat00137
)로 이루어져 있고 이를 결합하여
Figure 112016024698257-pat00138
로 표기하며, 권설음인
Figure 112016024698257-pat00139
(
Figure 112016024698257-pat00140
)의 경우에도 성모인 ch(즈)와 4성운모인
Figure 112016024698257-pat00141
(
Figure 112016024698257-pat00142
)로 이루어져 있고 이를 결합하여
Figure 112016024698257-pat00143
로 표기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한글병기 한어병음자모 표기방법에 따라 한글 성조의 단어를 1성은 [
Figure 112016024698257-pat00144
(여린히읗)], 2성은 [
Figure 112016024698257-pat00145
(옛이응)], 3성은 [
Figure 112016024698257-pat00146
(아래아)], 4성은 [
Figure 112016024698257-pat00147
(이응아래아)]를 사용하여 표기한 도 5의 예를 들어 설명하면 아래의 내용과 같다.
Figure 112016024698257-pat00148
의 경우 로마자 병음인
Figure 112016024698257-pat00149
의 운모 성조가 2성(
Figure 112016024698257-pat00150
) 및 1성(
Figure 112016024698257-pat00151
)이므로
Figure 112016024698257-pat00152
로 표기되고,
Figure 112016024698257-pat00153
의 경우 로마자 병음인
Figure 112016024698257-pat00154
의 운모 성조가 1성(
Figure 112016024698257-pat00155
) 및 4성(
Figure 112016024698257-pat00156
)이므로
Figure 112016024698257-pat00157
로 표기되고,
Figure 112016024698257-pat00158
은 로마자 병음인
Figure 112016024698257-pat00159
의 운모 성조가 1성(
Figure 112016024698257-pat00160
) 및 2성(
Figure 112016024698257-pat00161
)이므로
Figure 112016024698257-pat00162
으로 표기되며,
Figure 112016024698257-pat00163
의 경우에는 로마자 병음인
Figure 112016024698257-pat00164
의 운모가 4성(
Figure 112016024698257-pat00165
) 및 3성(
Figure 112016024698257-pat00166
)이므로
Figure 112016024698257-pat00167
로 표기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한글병기 한어병음자모 표기방법은 상기 (1) 내지 (5)의 방법에 따라 한글 성조의 문장 예문을 나타낸 도 6의 예를 살펴보면,
Figure 112016024698257-pat00168
의 경우 로마자 병음인
Figure 112016024698257-pat00169
의 운모가 4성(
Figure 112016024698257-pat00170
), 1성(
Figure 112016024698257-pat00171
), 3성(
Figure 112016024698257-pat00172
) 및 2성(
Figure 112016024698257-pat00173
)이므로
Figure 112016024698257-pat00174
로 표기되고,
Figure 112016024698257-pat00175
의 경우 로마자 병음인
Figure 112016024698257-pat00176
의 운모가 3성(
Figure 112016024698257-pat00177
), 3성(
Figure 112016024698257-pat00178
), 3성(
Figure 112016024698257-pat00179
) 및 4성(
Figure 112016024698257-pat00180
)이므로
Figure 112016024698257-pat00181
로 표기되며,
Figure 112016024698257-pat00182
의 경우 로마자 병음인
Figure 112016024698257-pat00183
의 운모가 1성(
Figure 112016024698257-pat00184
), 4성(
Figure 112016024698257-pat00185
), 1성(
Figure 112016024698257-pat00186
), 4(
Figure 112016024698257-pat00187
) 및 3성(
Figure 112016024698257-pat00188
)이므로
Figure 112016024698257-pat00189
로 표기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록매체는 상기의 한글병기 한어병음자모 표기방법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표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기록매체'라 함은 본 발명에 따른 중국어 발음을 표현하기 위한 한글병기 한어병음자모 표기방법에 의해 표기되는 매체로서, 서적, 신문, 정기 간행물 등이 포함되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한어병음자모 표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표기되는 기록매체는 한글을 아는 사람이라면 누구라도 쉽고 편리하게 정확한 성조에 의해 중국어를 배울 수 있고, 또한, 중국어 발음 음가에는 있지만 우리 말에는 없는 음가에 대한 새로운 한글 문자를 제공하여 중국어의 발음의 특징인 권설음에 대한 발음을 쉽고 정확하게 학습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한글병기 한어병음자모를 서적, 신문, 정기 간행물 등과 같은 기록 매체에 적용함으로써, 누구나 쉽게 중국어를 접하고 정확하게 발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중국어 발음을 표현하기 위한 한글병기 한어병음자모 표기방법에 의해 표기되는 기록매체를 설명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중국어 발음을 표현하기 위한 한글병기 한어병음자모 표기방법에 의해 표기되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중국어는 상단 또는 하단에 로마자를 병기하고,
    상기 로마자 하단에 한글을 병기하되,
    상기 한글은 현대 한글 및 옛한글(고어)의 자모를 사용하여 경성 및 1성, 2성, 3성, 4성으로 구성되는 성조 표기를 나타내고,
    상기 1성은 성조부호표시 운모(
    Figure 112018027298854-pat00190
    ) 위에 1성 성조 부호인 '-'를 사용하여
    Figure 112018027298854-pat00191
    로 표기하고, 상기
    Figure 112018027298854-pat00192
    운모에 대응되는 한글 자모에 [
    Figure 112018027298854-pat00193
    (여린히읗)]을 사용하여 표기하고,
    상기 2성은 성조부호표시 운모(
    Figure 112018027298854-pat00194
    ) 위에 2성 성조 부호인 '/'를 사용하여
    Figure 112018027298854-pat00195
    로 표기하고, 상기
    Figure 112018027298854-pat00196
    운모에 대응되는 한글 자모에 [
    Figure 112018027298854-pat00197
    (옛이응)]을 사용하여 표기하며,
    상기 3성은 경성운모(
    Figure 112018027298854-pat00198
    )위에 3성 성조 부호인 'v'를 사용하여
    Figure 112018027298854-pat00199
    로 표기하고, 상기
    Figure 112018027298854-pat00200
    운모에 대응 되는 한글 자모에 밑에 [
    Figure 112018027298854-pat00201
    (아래아)]을 사용하여 표기하며,
    상기 4성은 경성운모(
    Figure 112018027298854-pat00202
    )위에 4성 성조 부호인 '\'를 사용하여
    Figure 112018027298854-pat00203
    로 표기하고, 상기
    Figure 112018027298854-pat00204
    운모에 해당되는 한글 자모에 뒤에 [
    Figure 112018027298854-pat00205
    (이응아래아)]를 사용하여 표기하며,
    성조가 표기되는 병음 로마자는
    Figure 112018027298854-pat00206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국어 발음을 표현하기 위한 한글병기 한어병음자모 표기방법에 의해 표기되는 기록매체.
KR1020160030783A 2016-03-15 2016-03-15 중국어 발음을 표현하기 위한 한글병기 한어병음자모 표기방법에 의해 표기되는 기록매체 KR101857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0783A KR101857111B1 (ko) 2016-03-15 2016-03-15 중국어 발음을 표현하기 위한 한글병기 한어병음자모 표기방법에 의해 표기되는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0783A KR101857111B1 (ko) 2016-03-15 2016-03-15 중국어 발음을 표현하기 위한 한글병기 한어병음자모 표기방법에 의해 표기되는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7185A KR20170107185A (ko) 2017-09-25
KR101857111B1 true KR101857111B1 (ko) 2018-05-11

Family

ID=60035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0783A KR101857111B1 (ko) 2016-03-15 2016-03-15 중국어 발음을 표현하기 위한 한글병기 한어병음자모 표기방법에 의해 표기되는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711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9477B1 (ko) * 2014-07-03 2015-10-12 주식회사 골든키아이티 한글을 이용한 다언어 입력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9477B1 (ko) * 2014-07-03 2015-10-12 주식회사 골든키아이티 한글을 이용한 다언어 입력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7185A (ko) 2017-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uehnergard A grammar of Akkadian
McGuinness Early reading instruction: What science really tells us about how to teach reading
JP2000112326A (ja) アルファベットのイメージ音読方法
KR102100811B1 (ko) 일본어 발음을 표현하기 위한 한글병기 표기방법에 의해 표기되는 기록매체
KR20180064041A (ko) 현대 한국어에서 대표할 수 있는 발음으로 중국 전통 음운학 사호이론에 부합하는 중성자모체계와 한글 합자법을 활용한 중문표기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eidler Teaching English spelling and pronunciation
KR102517021B1 (ko)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에 대한 한글입력장치 및 그 입력방법
KR102517025B1 (ko)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에 대한 음성출력장치 및 그 출력방법
Bialek A textbook in Classical Tibetan
KR101857111B1 (ko) 중국어 발음을 표현하기 위한 한글병기 한어병음자모 표기방법에 의해 표기되는 기록매체
Messick Notes on transliteration
Cruttenden Writing systems and phonetics
KR101831717B1 (ko) 중국어 학습방법 및 그 기록매체
KR102624420B1 (ko) 중국어 교재
Hornberger The first workshop on Quechua and Aymara writing
KR102237725B1 (ko) 영어 초보자를 위한 학습 교재 및 이를 이용한 영어 학습 방법
Souzandehfar How to improve pronunciation? An in-depth contrastive investigation of sound-spelling systems in English and Persian
KR101470751B1 (ko) 외국어 발음이 표시된 매체
KR20210090537A (ko) 한글 및 외국어 색상 매칭출력방법 및 그 장치
KR20210090538A (ko) 한글 및 외국어 매칭출력방법 및 그 장치
KR102517024B1 (ko)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에 대한 운율표시장치 및 그 표시방법
KR102385421B1 (ko) 단계별 강세 표기 학습 영역을 포함하는 초보자용 영어 학습 교재 및 이를 이용한 영어 학습 방법
KR102190002B1 (ko) 초보자를 위한 영어 학습 교재 및 이를 이용한 영어 학습 방법
Grimes et al. Several Kru Orthographies
Vitrano-Wilson et al. Tone marks as vowel diacritics in two scripts: repurposing tone marks for non-tonal phenomena in Cado and other Southeast Asian langua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