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4041A - 현대 한국어에서 대표할 수 있는 발음으로 중국 전통 음운학 사호이론에 부합하는 중성자모체계와 한글 합자법을 활용한 중문표기 제공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현대 한국어에서 대표할 수 있는 발음으로 중국 전통 음운학 사호이론에 부합하는 중성자모체계와 한글 합자법을 활용한 중문표기 제공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4041A
KR20180064041A KR1020160164155A KR20160164155A KR20180064041A KR 20180064041 A KR20180064041 A KR 20180064041A KR 1020160164155 A KR1020160164155 A KR 1020160164155A KR 20160164155 A KR20160164155 A KR 20160164155A KR 20180064041 A KR20180064041 A KR 201800640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nese
code
pronunciation
hangul
symb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4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6208B1 (ko
Inventor
주동림
Original Assignee
주동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림 filed Critical 주동림
Priority to KR1020160164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6208B1/ko
Publication of KR20180064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4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6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6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7/214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03Formatting, i.e. changing of presentation of documents
    • G06F40/109Font handling; Temporal or kinetic typograph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대 한국어에서 대표할 수 있는 발음으로 중국 전통 음운학 사호이론에 부합하는 중성자모체계와 한글 합자법을 활용한 중문표기 제공방법 부합하는에 대한 것으로 사용자기기의 입력부를 통하여 주음부호 또는 병음기호에 대응하는 초성으로 이루어진 성모대체부호와 상기 주음부호 또는 상기 병음기호의 운모에 대응하는 중성 또는 중성과 종성으로 이루어진 운모대체부호 또는 상기 성모대체부호, 상기 운모대체부호와 중문성조에 대응하는 성조대체부호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기기의 발음기호생성부를 통하여 상기 성모대체부호와 상기 운모대체부호 또는 상기 성모대체부호, 상기 운모대체부호와 상기 성조대체부호가 조합된 발음기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기기의 데이터검색부를 통하여 상기 발음기호에 매칭되는 중문 1글자를 매칭시키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상기 발음기호, 상기 발음기호와 상기 중문 1글자 또는 상기 중문 1글자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현대 한국어에서 대표할 수 있는 발음으로 중국 전통 음운학 사호이론에 부합하는 중성자모체계와 한글 합자법을 활용한 중문표기 제공방법 및 시스템 {METHOD FOR PROVIDING NOTATION OF STANDARD CHINESE PRONUNCIATION UTILIZING HANGUL BLOCK BUILDING RULES AND HANGUL VOWEL LETTERS WHICH FULFILLING TRADITIONAL FOUR HU THEORY OF CHINESE LANGUAGE AS THEY ARE PRONOUNCED IN MODERN KOREAN HANGUL*LANGUAGE AND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사용자기기에 있어서 편리한 중문표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현대 한국어 발음 및 중국 전통 음운학 사호(四呼)이론과 부합하는 중성자모체계와 한글 합자법을 활용한 발음기호를 통하여 중문표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주음부호(주음기호)는 중화민국에서 중국어를 표기할 때 사용하는 표음문자이다. 주음기호는 청나라 말기에 학자인 장태염(章太炎)이 고안했던 기음자모(記音字母)를 기초로 해서 1913년에 중화민국 교육부에서 주음자모(注音字母)를 정식으로 제정하였고, 1918년에 중화민국 정부에서 발표하였다. 첫 앞글자
Figure pat00001
를 따서 '보포모포'(Bopomofo)라고 부르기도 한다.로마자 표기법인 병음과는 달리 세로쓰기로 쓰는 경우가 많지만, 전산화할 때는 부득이 가로쓰기로 쓴다. 대만에서는 학교에서 국어, 즉 중국어를 가르칠 때, 또 키보드로 중국어를 입력할 때 사용되고 있다. 만화 등에서 효과음을 적을 때도 가끔 사용한다. 중국대륙에서는 한어병음방안이 고안된 이후로 일반적으로는 쓰이고 있지 않으나, 일부 사전 등에는 주음기호가 함께 기재되기도 한다.
주음기호는 일본어의 가타카나의 제자(製字) 원리와 마찬가지로 해서체(楷書體) 한자의 획 일부분을 따다 만들었다. 하지만 문자 체계는 완전히 다르다. 가타카나가 음절 문자(syllabary)로 분류되는 반면 주음부호는 음소 문자(alphabet)로 분류된다. 단 운모(韻母)(국어 음절에서 첫머리의 자음(子音)인 성모(聲母)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 '운두+운복+운미(+성조)'로 구성됨. (예: 'xiang'의 'iang'))의 운복(韻腹) (운모의 운두(韻頭)와 운미(韻尾) 사이의 위치한 부분. 예 'iang'의 'a')과 운미(韻尾)(운모(韻母)의 끝부분. 예:'xiang'의 'ng') 부분을 한 글자로 만드는 점에서는 완전한 음소 문자라기보다 음절 문자의 특성을 일부 포함하고는 있다. 전체적으로 봤을 때 음소 문자(알파벳)에 가깝다는 것일 뿐이다. 가타카나와 주음부호는 한자 획을 줄여 글자를 만들어 발음을 나타낸다는 점 외에는 공통점이 별로 없다. 예를 들어 주음부호
Figure pat00002
는 일본어 가타카나의 "무(ム)"자와 같아 보이지만 사실 ㅆ/쓰(한어병음 s 또는 si)라 읽는다.
이와 비슷하게, 한국에서 전통적으로 한문에 토씨를 달 때(현토) 쓰는 구결 문자에서도 가타카나, 주음부호와 모양이 같은데 발음이 다른 글자들이 몇 가지 있다. 예를 들어 구결 문자로 쓸 때는 矣(의)나 그 축약인 가 '의'나 '으'로 읽힌다(단, 이것은 조선시대 후기 기준이며 그 전 시대에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대만 책을 보면 아동 도서나, 어려운 한자의 발음을 설명할 때는 꼭 주음부호로 적혀 있다. 일본어 한자 토씨(후리가나)와 비슷. 다만 아동 도서처럼 모든 글자에 발음을 표기할 때에는 한자 옆이나 위에 일본어 후리가나처럼 작은 글씨로 주음부호를 달지만, 어쩌다 어려운 한자만 발음을 표기해 주는 경우에는 본문과 동일한 크기의 글씨로 괄호를 치고 주음부호를 다는 경우가 많다. 중국 대륙에서는 주음부호 대신 한어병음으로 발음을 병기할 때 이런 식으로 작은 글씨로 적거나 괄호 안에 써서 발음을 표기한다. 이처럼, 표의문자로서 중문은 중화민국 또는 대만에 있어서도 읽기 어려워, 별도의 중문발음 표기법이 필요하고 중문발음을 쉽고, 정확하게 표현하는데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병음은 중화인민공화국에서 중문의 발음을 표기하는 방식으로 통용되는 방식이다. 현재 컴퓨터 등에서 중문을 입력하는 방식은 문서작성프로그램에서 병음을 입력하고, 해당 병음에 매칭되는 대표글자를 디스플레이 한 이후에 표시되는 대표자를 선택하거나 또는 다른 글자를 선택할 수 있도록 추가적인 키입력을 한 이후에 표시되는 글자 중에서 원하는 글자를 선택하는 방식을 택하고 있다. 병음은 중문(한어 또는 한자)을 로마자로 표기하는 발음부호이다. 한어 병음 자모(중국어 정체: 漢語틈音字母, 병음: Hanyu pinyin zimu)는 현대 표준어인 보통화(普通話) 발음을 로마자 자모로 표기하여 성모(聲母)는 b, p, m, f, d, t, n, l, g, k, h, j, q, x, zh, ch, sh, r, z, c, s 등 21개, 운모(韻母)는 yi(-i), wu(-u), yu(-u ,
Figure pat00003
), a, o, e, ai, ei, ao, ou, an, en, ang, eng, er 등 36개로 되어 있다.
병음(틈音)표기법과 주음부호는 모두 근(近)대 중국어 음운학 이론중에 성모(聲母)/운모(韻母) 이론과 전통 중국어 음운학 이론중에 사호(四呼)이론을 준하여 창제한 것이다.
근(近)대 중국어 음운학 성/운모 이론은 1개 한자가 대표하는 1음절 소리를 성조를 제외하고 성모(聲母)와 운모(韻母)로 나누고 또 운모를 운두(韻頭), 운복(韻腹), 운미(韻尾)로 나눈 것이다. 병음 'xiang'으로 예를 하면, x자모는 성모소리를 대표하고, i는 운두, a는 운복, ng는 운미이다. 모든 운모에 운복은 꼭 들어가 있고 운두와 운미는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다.
현재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사호(四呼)개념은 중국의 청(淸)나라때부터 유행한 개념이다. 아래는 네비어 중국어 사전에서 기록한 현대 중국음운학자들이 사호개념을 상기 운모 개념을 이용하여 병음 자모로 예를 들어 설명한 내용이다.
<사호(四呼)>
중국어에서 발음을 운모에 따라 나눈 '개구호'·'합구호'·'제치호'·'촬구호'의 총칭.
개구호(開口呼).
- [운모(韻母)가 'i'·'u'·'
Figure pat00004
'가 아니거나 운두(韻頭)가 'i'·'u'·'
Figure pat00005
'가 아닌 자음(字音)을 가리킴]
합구호(合口呼).
- [중국 음운학에서 주요 원음(元音)이나 개음(介音)이 'u'인 자음을 가리킴]
제치호(齊齒呼).
- [중국어의 운모(韻母)가 'i'이거나 'i'로 시작되는 발음의 총칭]
촬구호(撮口呼)
- ['四呼'의 일종으로, 운모(韻母)가 '
Figure pat00006
'이거나 혹은 운두(韻頭)가 '
Figure pat00007
'인 자음(字音)]
또 성운학(聲韻學) 개념으로는 하나의 음소(音素)의 특질(特質)에 따라 음소를 자음(子音)과 모음(母音)으로 구별한다. 중국음운학에서는 자음과 모음을 각각 보음(
Figure pat00008
)과 원음(元音)으로 부르지만 여기서는 쉬운 설명을 위하여 한국어에서 사용하고 있는 자음과 모음 같은 개념을 사용하도록 한다.
중국어 보통말 모음은 병음표기법으로 단모음(a/o/e/i/u/
Figure pat00009
), 복(複)모음(이중모음ai/ei/ao/ou/ia/ie/ua/uo/
Figure pat00010
과 삼중모음iao/iou/uai/uei)으로 나눌수 있다.
다음표를 참조 하면, 운모개념으로 상기 복(複)모음의 구조를 분석 해 볼 때 운두+운복구조(ia/ie/ua/uo/
Figure pat00011
)와 운복+운미구조(ai/ei/ao/ou) 와 운두+운복+운미구조(iao/iou/uai/uei) 세가지 로 나눌수 있다.
또 운모를 원음/자음 개념으로 분석 해보면 운두+운복은 1개 이중모음으로 볼 수 있다. 실제 발음 할 때 도 운복과 운미 사이에는 느낄수 있는 분계(分界)가 있지만 운두와 운복 사이에는 느낄수 있는 분계(分界)가 없는 것이다. 1개 실제 발음소리을 대표하는 것 보다, 운두를 대표하는 자모는 운모발음을 시작하는 위치를 표시하는 것이다. 이와 대비하여, 병음으로 예를 들면 운두와 운복을 각각 대표하는 자모가 해당 자모가 대표할 수 있는 단모음을 연속적으로 발음(예, 원음 'i' 발음 + 원음 'a' 발음)한 효과는 운두+운복의 정확한 발음('ia' 대표한 1개 이중모음 발음)과는 차이가 분명하다. 이것은 바로 영어의 'you' 발음을 한글 '유'로 표기 하는 것과 비슷한 것이다. 로마자로 읽을 때는 'you'의 정확한 영어 발음처럼 y(i)발음이 강조가 될수 있지만 한글 '유'를 발음 할 때는 자모ㅠ가 1개 소리로 발음되므로 영어 'you'의 발음으로 듣기는 소리가 너무 짧고 정확하지 않은 것이다.
따라서, 상기 삼중모음의 운두+운복+운미구조(iao/iou/uai/uei)를 운두+운복구조 (ia/io/ua/ue) 더하기 운미(o/u/i/i)로 나누어서 1개의 이중모음 + 1개모음 식으로 발음 할 때 해당 삼중모음의 정확한 중국어 보통말 발음이 나온다. 그러나, 삼중모음'iao'를 'i' 와 'ao'로 분해하여, 1개의 삼중모음을 1개의 모음 + 1개의 이중모음식으로 발음하게되면 본래 삼중모음의 정확한 소리와 일치하지 않는다.
Figure pat00012
주음부호는, 상기 표를 보면, 합하지 않아도 실제 발음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는 운복과 운미를 합하여 1개 자모로 표시하고, 분류하면 정확한 발음 하는데 영향이 되는 운두와 운복을 분류하여 운두를 1개 자모로 표시한다.
이렇게 설계한 이유는 전술한 사호이론을 따라 자모 ①②③를 운두자모로 이용하여 모든 운모를 각자의 사호속성과 맞추어 표시하되, 최대한 적은 자모개수로 한 개 한자음을 표기하기 위한 것이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사호는 분명하게 구별 되지만, 운두와 운복을 1개 이중모음으로 발음해야 하는 것이 자모 단계에서는 불가능 하게 되었고, 따라서 실제로 운모발음을 배울때는 정확한 발음을 하기 위해 운모단위로 많은 연습을 해야 하는 것이다.
중국어 보통말(국어)이 모국어인 사람들에게는 이것이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중국어보통말(국어)이 모국어가 아닌 중국어 보통말(국어) 학습자들에게는 매우 불편 하고 정확한 발음을 습득하는데 어려움을 준다.
한편, 병음은 운두를 'i', 'u', '
Figure pat00013
' 자모로 표시하고 운복과 운미도 각각 독립한 자모로 표시한다. 어러한 설계의 결과는 주음부호와 대비 자유롭게 운두와 운복을 합하여 1개 이중모음으로 발음할수 있다. 하지만 로마자의 특성을 따라 2개 단모음을 대표하는 자모로 표시한 1개 이중모음 자모조합과 2개 단모음자모를 1줄로 배치된 것과 똑 같이 보이기 때문에 중국어 학습자들부터 단모음자모의 시각적인 영향을 받을수 있어서 1개 이중모음으로 발음해야 하는 운두+운복소리에 단모음 발음기술이 참여하여 발음이 정확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은 것이다.
특히 중국어보통말이 모국어가 아닌 중국어 보통말 학습자들한테는 비영어권 국가의 사람이 영어발음을 배울 때 경험하는 어려움과 비슷한 것이다. 예를 들면, 중국어 보통말이 모어인 사람에게 있어서, 영어배울 때, 'gate' 같은 1개의 자모'a'로 1개 이중모음을 표시 할 때는 비교적으로 발음하기 쉽지만 'pain' 같이 두 개의 원음자모로 1개 이중모음을 표시 할 때는 알면서도 'i' 발음이 자꾸 강조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병음은 로마자를 사용하여 'a', 'o', 'e', 'i', 'u', '
Figure pat00014
', 'n', 'g', 'r' 총 9개자모로 모든 운모를 자모조합으로 표시하여 서기방식과 컴퓨터입력방식을 사용하더라도 편리한 이점을 가지고 있지만, 단모음자모의 간단한 조합으로(예: 자모i+a->ia) 운두+운모 발음을 대표 할 때 실제는 1개의 이중모음으로 발음해야 하는 운두+운모 발음이 단모음 발음기술의 영향을 받아 정확하게 발음되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는 단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실제로 중국어 보통말이 모어인 초등학생들도 학교에서 병음을 배울 때 전술한 문제가 있어서 "이중모음은 반드시 1개소리로 발음해야 한다"는 강조교육을 받고 있다.
병음의 두번 째 단점은, 중국어 학습자들의 배경에 따라 로마자원음자모에 대한 고유한 발음방식과 습관이 있다. 따라서, 병음의 서기방식을 배우는데는 서양문화권 배경을 가진 중국어 학습자들이 접근하기 쉽지만 정확한 발음을 습득하는면에서는 새로운 발음방법이 완전히 습관될 때 까지는 이미 뿌리 깊은 고유한 발음습관과 중국어식 발음방법 사이에 계속 판단하고 선택하여 읽어야 하므로 정확한 발음을 습득하는 과정이 어려운 것이다.
주음부호와 병을을 창제한 학자들과 달리 한글을 창제한 조선시대의 학자들은 1개의 한자음을 성조를 제외하고 초성, 중성, 종성으로 나누었다. 그리고 초성, 중성, 종성 자모를 일정한 규칙, 즉 한글의 합자(合字)법을 따라서 조합하여 1개 한자의 외모와 닮은 사각형 글자로 만들었다. 한글의 합자법은 훈민정음 혜례본에서는 "초성은 중성의 위에 놓이거나 왼쪽에 놓인다. 중성 중에 원형 및 가로쓰기 형을 가진자는 초성 밑에 놓이고 세로쓰기 형을 가진 자는 초성의 오른쪽에 놓인다"라고 설명하였다. 그리고 훈민정음에서 언급하지 않았지만 종성은 항상 중성 밑에 위치한다.
한글의 초성은 중국 음운학 개념인 성모와 대응할 수 있고, 중성 또는 중성과 종성이 운모와 대응될 수 있다. 근대 중국음운학에서 운모를 운두, 운복, 운미 세 부분으로 나눈 것 과 대비하여 한글 창제한 학자들은 운두와 운복을 하나의 중성으로 보았던 것이다. 기본중성자모를 이용하여 하나의 이중모음소리를 대표하는것 까지는 병음과 비슷하지만 기본자모들이 일정한 규칙을 따라 합병(合倂)이 되어 새로운 모양을 갖추어서 1개 독립한 자모로 생성되는 것에서는 차이가 많이 나는 것이다. 예를 보면, 'ㅑ' 자모는 한글제자원리를 따라ㅣ와ㅏ의 조합이지만 'ㅣ'와 'ㅏ'를 연서하는 것이 아니라 'ㅣ' 와 'ㅏ' 자모가 합병되어 새로운 모양을 가진 1개 독립한 자모 'ㅑ'로 된 것이다. 자모 'ㅑ' 를 대표하여 발음을 배운 다음에는 사용자는 해당 발음을 'ㅑ' 모양과만 연결하게 된다. 이와 달리, 병음과 유사하게, 'ㅣ'와 'ㅏ'의 연서하여 'ㅑ' 발음을 대표할 때는 그 발음을 'ㅣ+ㅏ'모양과 연결하기 때문에 사용자로부터 단모음을 대표하는 'ㅣ' 또 'ㅏ' 자모의 시각적인 영향을 받아서 단모음 발음기술이 실제발음에 참여 할 가능성이 높다.
'ㅘ' 같은 경우도 'ㅗ' 와 'ㅏ' 자모가 조합되는 것이지만, 두 자모모양이 합병되어 하나 자모의 자리만 차지하는 독립한 1개 자모로 보이기 때문에 'ㅗ'와 'ㅏ '를 각각 대표하는 단모음 발음을 각각 표기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시각적인 영향을 피할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한글 한자음의 모든 이중모음은 독립한 1개 중성자모로 대표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병음과 부음부호 통하여 중국어 보통말 한자음을 발음 할 때 운두+운복 발음을 정확하게 하기 어렵다는 단점은 한글에는 없는 것이다.
이러한 특수한 중성자모구조를 가진 한글로 중국어 보통말을 표기하고자 한 방안들이 있었지만 각각 병음 또 주음부호와 비슷한 문제점을 갖고 있다.
등록특허 10-0867668(출원일자2006년11월27일)를 보면, 1 개 한글식 글자로 1 개 한자를 표음하는 시도를 했지만, 아래 같은 단점이 있어서 실용성이 낮다.
1) 우선 기술방안에서 성조기호가 1개 발음기호에 포함되지 않아서 1개 발음기호로 1개 성조까지 포함된 완전한 중국어 표준말 한자음을 표기하지 못한다;
2) 중국어 병음으로 성모 ai와 uai, 또 성모 ei와 uei(ui)의 발음을 대표하는 자모를 현대 한국어에서도 사용하고 있고 또 실제 발음이 중국어 발음과 차이 많은 중성자모 'ㅐ' 와 'ㅙ', 또 'ㅔ' 와 'ㅞ'로 각각 구성하였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이렇게 설계한 이유대해서 구체적인 설명은 없지만, 발명자 정원수 교수 2007년 한글학회 논문집 제278호 (2007. 겨울) pp. 67-111에서 발표한 "중국어 운모의 한글 표기 방안 연구" 논문에서 이러한 설계대해서, "즉, /ㅔ/의 발음을 [ei]로 한다고 약속하는 것이다"라고 설명하였다. 현대한국어에 실제 사용하고 있는 자모를 그와 다른 또 하나 새로운 발음을 약속한 것은 한국어 자모 독음에 익숙한 중국어학습자들에게는 이렇게 표기한 발음표기를 읽을 때 1개 자모의 한국어식 발음방법과 중국어식 발음방법간에서 새로운 습관을 완전히 받아들이기 전 까지는 주의하여 읽어야 하므로 중국어 발음방법을 습득하는 과정이 어려운 것이다. 이것은 전술한 병음의 로마자 원음자모의 독음이 중국어 학습자들이 학습한 고유한 해당 원음자모에 대한 발음과 다르기 때문에, 정확한 중국어 발음기술을 습득하는 과정이 어려운 것과 같은 단점인 것이다.
등록특허 10-1243754(출원일자 2011년03월08일) 도 한글자모를 이용하여 한자발음을 표음하는 방안이다. 'ㅣ', 'ㅜ', 'ㅟ' 를 운두자모로 사용하고 병음과 같이 운두와 운복, 운미 각각 다른 자모로 표시하였다. 예를 보면, 병음 'ia'로 표시한 운모를 기본중성자모만 이용하여 'ㅣ', 'ㅏ'로 표시하였다. 한글의 기본 중성자모만 이용하고 한글의 독특한 기본중성자모를 합병하여 새로운 독립한 자모가 생성되는 한글 제자원리를 벗어난 이 방안은 운두와 운복을 분류하여 각각 다른 단모음 자모로 표시하여 사용자로부터 단모음의 시각적인 영향을 받아 운두+운복 발음을 하는 데 단모음 발음방법이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정확한 중국어 보통말 발음을 습득하는데 장애가 된다는 점에서는 전술 병음과 같은 단점을 같는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대 한국어 발음 및 중국 전통 음운학 사호(四呼)이론과 부합하는 중성자모체계와 한글 합자(合字)법을 활용한 중문표기 제공방법은 1) 중국어 보통말 발음 표기 제공방법으로 제공한 발음기호에 있어서, 중국어 보통말의 운두+운모 발음을, 단모음을 대표하는 자모의 간단한 조합으로 표기할 때 사용자로부터 해당 자모조합의 일부분인 단모음 자모의 시각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발음기호의 사용자로부터 운두+운모 발음을 할 때 단모음 발음기술이 참여할 가능성이 높는 문제를 해결하고;
2) 중국어 보통말 발음 표기 제공방법으로 제공한 발음기호에 있어서, 중국어 보통말의 운모의 일부분인 운두를 1개 자모로 대표하고 운복과 운미를 통합하여 1개 자모로 대표하는 자모 체계로부터, 주음부호 자모단계에서 중국어 보통말의 운두와 운복을 1개 이중모음 소리로 발음 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고;
3) 중국어 보통말 발음 표기 제공방법으로 제공한 발음기호에 있어서, 다른 언어에서도 사용하고 있는 원음자모를 이용하여 중국어 보통말 운모 발음을 표기 할 때 해당 원음자모가 대표하는 중국어 보통말 실제발음과 해당 언어에서 대표하는 실제발음과 일치하지 않은 문제를 해결하고;
4) 주음부호 또는 병음기호에 대응하는 초성으로 이루어진 성모대체부호와 주음부호 또는 병음부호의 운모에 대응하는 중성 및/또는 종성으로 이루어진 운모대체부호, 그리고 중문성조에 대응하는 성조대체부호를 통하여 발음기호를 생성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1 글자의 발음기호에 해당하는 1 글자의 중문표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한글의 중성자모체계는 모양으로 기본중성자모(ㅏ, ㅓ, ㅗ, ㅜ, ㅡ, ㅣ 등)와 복합중성자모(ㅑ, ㅕ, ㅛ, ㅠ, ㅟ, ㅚ, ㅘ, ㅝ, ㅢ, ㅞ 등)로 구분할 수 있고 또 실제 대표하는 소리기준으로 단모음자모(ㅗ, ㅜ, ㅡ, ㅣ, ㅟ, ㅚ, ㅢ 등)와 복(複)모음자모(ㅑㅕㅛㅠㅘㅝㅞㅢ 등)로 구별할수 있다. 자모'ㅢ'는 단모음으로 발음 할 수도 있고 복모음으로 발음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한글의 복합중성자모는 기본중성자모 모양을 취하되 기본중성자모 모양을 합병하여 1 개 유일한 모양을 가진 중성자모로 생성 된 것이다. 따라서 이런 특징을 가진 복합중성자모로 중국어 보통말의 운두+운복 발음을 대표하면 전술 본 발명이 해결 하고자한 과제에서 설명한 현 기술의 문제점 1)과 2)를 해결 할 수 있다. 그리고 선택한 한글 중성자모들이 한국어에서 대표하는 실제발음과 중국어 보통말 발음기호의 중성자모로 대표할 수 있는 중국어 보통말 실제발음과 일치 한다면 전술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한 과제에서 설명한 현 기술의 문제점 3)까지도 해결이 된다.
하지만 두 언어의 실제 발음만 비교하여 발음기호의 중성자모를 선택한다면 발명자의 중국어 보통말과 한국어 실력에 따라 오차가 생길 수 있으며 1개 중성자모가 대표하는 한국어 발음과 중국어 보통말 발음이 일치 하지 않을 수가 있다. 따라서 일치성을 점검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
앞에서 설명한 중국전통음운학 사호(四呼)이론은 1개 운모소리가 다른 사호 속성인 소리로 전환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병음으로 예를 보면, 'a' 소리는 개구호에 속한다. 발음 방식을 변환하여서 개구호인 'a'소리가 제치호인 'ia'소리로 또 합구호인 'ua'소리로 전환 될 수 있다. 즉 사호이론은 중국어 보통말에 포함한 운모를 운두+운복 부분 발음의 특징으로 구별하여 각 사호 속성에 속하는 운모간에 상호관계를 제시한 것이다. 따라서 한국어와 중국어 보통말 실제 발음에 준하여 선택된 한글 중성자모들을 사호이론을 따라 각 사호속성에 배치하여 상호간의 관계를 확인하면 선택된 한글 자모가 대표하는 중국어 보통말 발음과 한국어 발음간에 일치 여부을 점검할 수 있다.
본 발명자는 현대 한국어와 중국어 보통말 실제 발음을 따라 현대 한글자모와 옛 한글 자모중에서 중국어 보통말 운복 또는 운두+운복 발음을 대표 할 수 있는 중성자모를 선택 한 다음, 중국 전통음운학 이론인 사호이론을 따라 선택된 중성자모들을 각 사호속성에 배치하고 선택된 중성자모들 통하여 제시된 중국어 보통말 운복 또 운두+운복 간에 상호관계를 병음 또 주음기호 통하여 제시된 중국어 보통말 운모 간에 사호이론을 따른 상호관계를 비교하여 상기 선택된 중성자모들이 대표할수 있는 중국어 보통말 운복 또 운두+운복 발음과 현대 한국어에서 실제 대표하는 발음간에 일치 여부을 점검한 다음 일치한 중성자모만 다시 선택하여 본 중문표기방법의 중성자모체계를 다음 표와 같이 확인하였다.
Figure pat00015
따라서 상기 중성자모체계에 포함된 중성자모들로 중국어 보통말 운모의 운복 또 운두+운복을 대표할 때 운두+운복을 단모음 자모의 간단한 조합 대비 기본자모에 합병으로 새로운 모양을 가진 1개 복합중성자모로 대표하게 되고, 또 현대 한국어에 사용한 중성자모들은 각각 대표할 수 있는 중국어 발음과 해당 중성자모가 대표하는 현대 한국어 발음이 일치함으로서,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 1), 2), 3)의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 할 수 있다.
다음은, 상기 본 발명의 목적 1), 2), 3)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상기 중성자모체계를 이용하여 전술 본 발명의 목적 4)를 해결하는 수단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본 발명의 일양상에 따른 현대 한국어 발음 및 중국 전통 음운학 사호(四呼)이론과 부합하는 중성자모체계와 한글 합자(合字)법을 활용한 중문표기 제공방법은 사용자기기의 입력부를 통하여 주음부호 또는 병음기호에 대응하는 초성으로 이루어진 성모대체부호와 상기 주음부호 또는 상기 병음기호의 운모에 대응하는 중성 또는 중성과 종성으로 이루어진 운모대체부호 또는 상기 성모대체부호, 상기 운모대체부호와 중문성조에 대응하는 성조대체부호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기기의 발음기호생성부를 통하여 상기 성모대체부호와 상기 운모대체부호 또는 상기 성모대체부호, 상기 운모대체부호와 상기 성조대체부호가 조합된 발음기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기기의 데이터검색부를 통하여 상기 발음기호에 매칭되는 중문 1글자를 매칭시키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상기 발음기호, 상기 발음기호와 상기 중문 1글자 또는 상기 중문 1글자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표시되는 상기 성모대체부호 및 상기 운모대체부호는 한글 1음절에 대응되도록 표시되고, 상기 성조대체부호는 상기 운모대체부호의 상단 또는 상기 성모대체부호의 하단 여백위치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모대체부호 또는 상기 운모대체부호를 이루는 초성 또 중성 또는 종성 자모는 하기 표에서 선택될 수 있다.
Figure pat00016
또한, 상기 성조대체부호는 1성, 2성, 3성 및 4성에 대하여 각각 -(또는 1), /( 또는 2), ⅴ(또는 。, 또는 3), 및 \(또는 4)로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현대 한국어 발음 및 중국 전통 음운학 사호(四呼)이론과 부합하는 중성자모체계와 한글 합자(合字)법을 활용한 중문표기 시스템은 주음부호 또는 병음기호에 대응하는 성모대체부호와 상기 주음부호 또는 상기 병음기호의 운모에 대응하는 중성 또는 중성과 종성으로 이루어진 운모대체부호 또는 상기 성모대체부호, 상기 운모대체부호와 중문성조에 대응하는 성조대체부호를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성모대체부호와 상기 운모대체부호 또는 상기 성모대체부호, 상기 운모대체부호와 상기 성조대체부호가 조합된 발음기호를 생성하는 발음기호생성부; 상기 발음기호에 매칭되는 중문 1글자를 매칭시키는 데이터검색부; 및 상기 발음기호, 상기 발음기호와 상기 중문 1글자 또는 상기 중문 1글자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대 한국어 발음 및 중국 전통 음운학 사호(四呼)이론과 부합하는 중성자모체계와 한글 합자(合字)법을활용한 중문표기 제공방법은 주음부호 또는 병음기호에 대응하는 초성으로 이루어진 성모대체부호와 주음부호 또는 병음부호의 운모에 대응하는 중성 및/또는 종성으로 이루어진 운모대체부호, 그리고 중문성조에 대응하는 성조대체부호를 통하여 발음기호를 생성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1 글자의 발음기호에 해당하는 1 글자의 중문표기를 제공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문표기제공 방법은, 단모음 자모의 간단한 조합으로 운두와 운모의 발음을 표기하여 사용자로부터 단모음 발음기술의 시각적인 영향을 받을수 있는 현 기술 대비, 현대 한국어 발음과 중국 전통 사호이론과 부합하는 중성자모체계를 활용하여 1개 유일한 모양을 가진 중성자모로 중국어 보통말 1개 한자음의 운두+운복을 대표할수 있는 발음기호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중국어 보통말 학습자들은 본 중문표기제공 방법에서 제공한 발음기호를 통하여 단모음 자모의 시각적인 영향을 피할수있으며 정확한 중국어 보통말 발음을 보다 쉽게 할 수 있다.
1)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문표기제공 방법은, 운복과 운미를 1개 자모로 대표하여 운두+운복을 1개 이중모음으로 발음할수 없는 주음부호 대비, 현대 한국어 발음과 중국 전통 사호이론과 부합하는 중성자모체계를 활용하여, 1개 유일한 모양을 가진 중성자모로 중국어 보통말 1개 한자음의 운두+운복을 대표하는 발음기호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중국어 보통말 학습자들은 본 중문표기제공 방법에서 제공한 발음기호를 통하여 중성자모 단위로 운두+운복을 1개 이중모음으로 발음할 수 있어서 정확한 중국어 보통말 발음을 보다 쉽게 할 수 있다.
2)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문표기제공 방법은, 현대 한국어에서도 사용하고 있는 중성자모를 중국어 보통말 발음기호의 중성자모로 사용할 때 해당자모가 중국어 보통말과 현대 한국어에서 대표하는 실제 발음이 일치함으로서 한국어 배경을 가진자가 고유한 발음방법으로 발음기호의 해당 중성자모를 발음할 수 있는 발음기호를 제공할 수 있으며, 다른 언어에서도 사용하고 있는 원음자모를 이용하여 중국어 보통말 운모 발음을 표기 할 때 해당 원음자모가 대표하는 중국어 보통말 실제발음과 해당 언어에서 대표하는 실제발음과 일치 하지 않은 현 기술 대비, 보다 해당 언어 배경을 가진자가 원음 또 중성자모의 발음방식에 대하여 헷갈리지 않을수 있는 발음기호를 제공 할 수 있따. 따라서 한국어 배경을 가진 중국어 보통말 학습자들은 본 중문표기제공 방법에서 제공한 발음기호를 통하여 이미 익숙한 발음방법을 이용하여 중국어 보통말을 빠르고 정확하게 배울 수 있으며, 또 한국어 배경을 없는 중국어 보통말 학습자들은 이미 습득한 발음기술과 헷갈릴수 없는 완전히 생소한 중성자모포함한 발음기호를 배우기 때문에 병음대비 보다 정확한 발음을 습득할수 있다.
3)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문표기제공 방법은 성조기호까지 포함한 1개 발음기호로 중국어 보통말 1개 한자음의 성조까지 포함한 완전한 발음을 표기할 수 있는 발음기호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성조표기가 1개 발음기호의 포함되지 않은 현 기술 대비 보다 정확한 중국어 발음을 대표 할 수 있는 발음표기를 제공 할 수 있따. 따라서 중국어 보통말 학습자들은 본 중문표기제공 방법에서 제공한 발음기호를 통하여 보다 정확한 중국어 보통말 발음을 할 수 있다.
4)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문표기제공 방법은 전술 한글 합자법(合字法)을 따라서 초성, 중성, 종성자모를 조합하여 발음기호를 제공함으로써 현 기술 대비 보다 한글의 모양과 구조를 닮은 발음기호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한국어 배경을 가진 중국어 보통말 학습자들은 본 중문표기제공 방법에서 제공한 발음기호를 통하여, 발음기호의 구조와 일부 모양이 이미 눈에 익숙하고, 또 중성 자모 대표한 발음도 한국어에서 대표하는 발음과 일치하므로, 중국어 보통말 발음기호 서기방식과 발음기술을 쉽게 배울 수 있으며, 따라서 중국어 보통말을 보다 빨리 배울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글 제자원리를 활용한 중문표기 제공방법을 위한 사용자기기의 시스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글 제자원리를 활용한 중문표기 제공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증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장치", "...디바이스", "...부" 또는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들, 기능 블록들 또는 수단들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하부 구성요소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구성요소들이 수행하는 전기, 전자, 기계적 기능들은 전자회로, 집적회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공지된 다양한 소자들 또는 기계적 요소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 별개로 구현되거나 2 이상이 하나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휴대용 노트북 컴퓨터, 네트워크 컴퓨터,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 온라인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장치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아래에서 설명할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장치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장치에 이용 가능한 메모리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물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장치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장치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기 위한 프로세스를 생성하여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기기 또는 각종 장치라고 함은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스마트폰, PDA, 휴대전화, 게임기 등 데이터를 수집, 판독, 처리, 가공, 저장, 표시할 수 있는 모든 계산 수단을 의미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사용자 기기 또는 각종 장치는 해독 가능한 코드로 작성된 소프트웨어를 실행시킬 수 있으며, 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여 전달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장치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소프트웨어를 자체적으로 저장하기도 하고, 또는 외부로부터 데이터와 함께 읽어 들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사용자 기기 또는 각종 장치에는 위와 같은 데이터 처리 기능뿐 아니라 입력, 출력, 저장 등의 기능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를 위하여 일반적인 컴퓨터 장치들이 갖는 CPU, 메인보드, 그래픽 카드, 하드디스크, 사운드 카드, 스피커, 키보드, 마우스, 모니터, USB, 통신 모뎀 등의 각종 요소들 뿐만 아니라 무선 스마트폰 단말기들이 갖는 CPU, 메인보드, 그래픽 칩, 메모리 칩, 사운드엔진, 스피커, 터치패드, USB 등의 외부 연결 단자, 통신 안테나, 3G, LTE, LTE-A, WiFi, 블루투스 등의 통신을 구현할 수 있는 통신 모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각종 요소들이 단독으로 또는 2 이상이 함께, 또는 각종 요소들의 일부분이 결합되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면이나 상세한 설명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블록으로 표시된 장치 또는 그 일부분들은 위와 같은 사용자 기기 또는 각종 장치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요소들이 단독으로 또는 2 이상이 함께, 또는 각종 요소들의 일부분이 결합되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글 제자원리를 활용한 중문표기 제공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대 한국어 발음 및 중국 전통 음운학 사호(四呼)이론과 부합하는 중성자모체계와 한글 합자(合字)법을 활용한 중문표기 제공방법을 위한 사용자기기의 시스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대 한국어 발음 및 중국 전통 음운학 사호(四呼)이론과 부합하는 중성자모체계와 한글 합자(合字)법을 활용한 중문표기 제공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우선 도 1을 참고하면 사용자기기를 구성하는 시스템은 입력부, 발음기호생성부, 데이터검색부 그리고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대 한국어 발음 및 중국 전통 음운학 사호(四呼)이론과 부합하는 중성자모체계와 한글 합자(合字)법을 활용한 중문표기 시스템은 주음부호 또는 병음기호에 대응하는 초성으로 이루어진 성모대체부호와 상기 주음부호 또는 상기 병음기호의 운모에 대응하는 중성 또는 중성과 종성으로 이루어진 운모대체부호 또는 상기 성모대체부호, 상기 운모대체부호와 중문성조에 대응하는 성조대체부호를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성모대체부호와 상기 운모대체부호 또는 상기 성모대체부호, 상기 운모대체부호와 상기 성조대체부호가 조합된 발음기호를 생성하는 발음기호생성부, 상기 발음기호에 매칭되는 중문 1글자를 매칭시키는 데이터검색부 및 상기 발음기호, 상기 발음기호와 상기 중문 1글자 또는 상기 중문 1글자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는 주음부호 또는 병음기호에 대응하는 초성으로 이루어진 성모대체부호와 상기 주음부호 또는 상기 병음기호의 운모에 대응하는 중성 또는 중성과 종성으로 이루어진 운모대체부호 또는 상기 성모대체부호, 상기 운모대체부호와 중문성조에 대응하는 성조대체부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발음기호생성부는 상기 성모대체부호와 상기 운모대체부호 또는 상기 성모대체부호, 상기 운모대체부호와 상기 성조대체부호가 조합된 발음기호를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검색부는 상기 발음기호에 매칭되는 중문 1글자를 매칭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발음기호, 상기 발음기호와 상기 중문 1글자 또는 상기 중문 1글자를 표시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중문, 중국어, 한자의 표현은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개념에 해당한다.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기기에 성모대체부호, 운모대체부호, 성조대체부호를 입력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대 한국어 발음 및 중국 전통 음운학 사호(四呼)이론과 부합하는 중성자모체계와 한글 합자(合字)법을 활용한 중문표기 제공방법이 구현될 수 있는 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등의 입력수단으로 사용되는 키보드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터치스크린 또는 모바일통신기구의 키패드 등 사용자기기에 상기 부호들을 입력할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든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입력부는 타이핑 방식이 아닌 음성인식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하기에서 살펴볼 수 있듯이, 상기 발음기호는 하나의 음가만을 가지므로, 사용자발음에 의하여 하나의 발음기호만이 입력될 수 있다.
발음기호생성부는 상기 성모대체부호, 운모대체부호 및 성조대체부호를 조합하거나 또는 상기 성모대체부호, 운모대체부호만을 조합하여 발음기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발음기호의 초성, 중성, 종성에 조합는 한글의 합자법을 따라 생성되는 것으로서, 주음기호 또는 병음방안과 비교할 경우, 성모에 대응하는 초성과 운모에 대응하는 중성 또는 중성과 종성을 조합하여 한글과 유사한 구조와 모양으로 생성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검색부는 상기 발음기호와 매칭된 중문 1글자를 검색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발음기호는 성조대체부호를 포함하여 조합된 발음기호 또는 성조대체부호를 제외하여 조합된 발음기호로 구별될 수 있는데, 상기 데이터검색부는 상기 두 조합에 따른 발음기호 각각의 경우에 대응하는 중문 1글자를 검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데이터검색부는 상기에 한하지 않고 중문 1글자에 대응하는 하나의 발음기호를 검색하는 기능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발음기호와 매칭되는 주음부호 또는 병음기호를 검색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데이터검색부는 발음기호, 주음부호, 병음기호 그리고 중문 1글자를 매칭하여 검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부는 발음기호의 입력시, 발음기호 단독으로 디스플레이하거나 발음기호와 중문 1글자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거나 또는 중문 1글자만을 단독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되는 중문 1글자는 상기 발음기호의 입력에 따라 상기 데이터검색부가 검색한 복수로 구비된 한 글자의 중문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글자일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글 제자원리를 활용한 중문표기 제공방법을 설명한다.
사용자기기의 입력부를 통하여 주음부호 또는 병음기호에 대응하는 초성으로 이루어진 성모대체부호와 상기 주음부호 또는 상기 병음기호의 운모에 대응하는 중성 또는 중성과 종성으로 이루어진 운모대체부호 또는 상기 성모대체부호, 상기 운모대체부호와 중문성조에 대응하는 성조대체부호를 입력한다 (S110).
이때, 상기 성모대체부호 또는 상기 운모대체부호를 이루어주는 초성,중성,종성 자모는 하기 표에서 선택될 수 있다.
Figure pat00017
성조는 중문을 발음할 경우 음의 높낮이 변화를 표시한 것으로서, 상기 성조대체부호는 1성, 2성, 3성 및 4성에 대하여 각각 -(또는 1), /(또는 2), ⅴ(또는 。 또는 3), 및 \(또는 4)로 표시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성조의 구분을 표시할 수 있는 적절한 표시로 변형되어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사용자기기의 발음기호생성부를 통하여 상기 성모대체부호와 상기 운모대체부호 또는 상기 성모대체부호, 상기 운모대체부호와 상기 성조대체부호가 조합된 발음기호를 생성한다 (S120). 즉, 발음기호생성부는 필요에 따라 성조대체부호를 제외하거나 포함하여 초성, 중성, 종성 자모를 한글 합자법을 따라 발음기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에 의하여 사용자의 음성이 입력되는 경우, 발음기호생성부는 상기 성조대체부호를 포함하여 발음기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조합된 발음기호에 4가지의 성조대체부호를 적용한 성모대체부호와 운모대체부호의 조합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발음기호를 생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사용자기기의 데이터검색부를 통하여 상기 발음기호에 매칭되는 중문 1글자를 매칭시킨다 (S130). 상기 발음기호는 성조대체부호가 적용되어 생성된 발음기호인 경우 중문의 검색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사용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상기 발음기호, 상기 발음기호와 상기 중문 1글자 또는 상기 중문 1글자를 표시한다 (S140).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표시되는 상기 성모대체부호 및 상기 운모대체부호는 한글 1음절에 대응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 이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성조대체부호는 상기 운모대체부호의 상단 여백위치 또는 상기 성모대체부호의 하단 여백위치에 표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10: 사용자기기
111: 입력부
112: 발음기호생성부
113: 데이터검색부
114: 디스플레이부

Claims (5)

  1. 사용자기기의 입력부를 통하여 주음부호 또는 병음기호에 대응하는 초성으로 이루어진 성모대체부호와 상기 주음부호 또는 상기 병음기호의 운모에 대응하는 중성 또는 중성과 종성으로 이루어진 운모대체부호 또는 상기 성모대체부호, 상기 운모대체부호와 중문성조에 대응하는 성조대체부호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기기의 발음기호생성부를 통하여 상기 성모대체부호와 상기 운모대체부호 또는 상기 성모대체부호, 상기 운모대체부호와 상기 성조대체부호가 조합된 발음기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기기의 데이터검색부를 통하여 상기 발음기호에 매칭되는 중문 1글자를 매칭시키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상기 발음기호, 상기 발음기호와 상기 중문 1글자 또는 상기 중문 1글자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대 한국어에서 대표할 수 있는 발음으로 중국 전통 음운학사호이론에 부합하는 중성자모체계와 한글 합자법을 활용한 중문표기 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표시되는 상기 성모대체부호 및 상기 운모대체부호는 한글 합자법을 따라 한글 1음절에 대응되도록 표시되고,
    상기 성조대체부호는 상기 운모대체부호의 상단 또는 상기 성모대체부호의 하단 여백위치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대 한국어에서 대표할 수 있는 발음으로 중국 전통 음운학 사호이론에 부합하는 중성자모체계와 한글 합자법을 활용한 중문표기 제공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모대체부호를 이루는 중성은 하기 표에서 제시한 중국 전통음운학 사호이론과 부합하는 중성체계에 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대 한국어에서 대표할 수 있는 발음으로 중국 전통 음운학 사호이론에 부합하는 중성자모체계와 한글 합자법을 활용한 중문표기 제공방법.
    [표]
    Figure pat00018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현대 한국어에서 대표할 수 있는 발음으로 중국 전통 음운학 사호이론에 부합하는 중성자모체계와 한글 합자법을 활용한 중문표기 제공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어가 기록된,
    컴퓨터가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5. 주음부호 또는 병음기호에 대응하는 초성으로 이루어진 성모대체부호와 상기 주음부호 또는 상기 병음기호의 운모에 대응하는 중성 또는 중성과 종성으로 이루어진 운모대체부호 또는 상기 성모대체부호, 상기 운모대체부호와 중문성조에 대응하는 성조대체부호를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성모대체부호와 상기 운모대체부호 또는 상기 성모대체부호, 상기 운모대체부호와 상기 성조대체부호가 조합된 발음기호를 생성하는 발음기호생성부;
    상기 발음기호에 매칭되는 중문 1글자를 매칭시키는 데이터검색부; 및
    상기 발음기호, 상기 발음기호와 상기 중문 1글자 또는 상기 중문 1글자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대 한국어에서 대표할 수 있는 발음으로 중국 전통 음운학 사호이론에 부합하는 중성자모체계와 한글 합자법을 활용한 중문표기 시스템.
KR1020160164155A 2016-12-05 2016-12-05 현대 한국어에서 대표할 수 있는 발음으로 중국 전통 음운학 사호이론에 부합하는 중성자모체계와 한글 합자법을 활용한 중문표기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101936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4155A KR101936208B1 (ko) 2016-12-05 2016-12-05 현대 한국어에서 대표할 수 있는 발음으로 중국 전통 음운학 사호이론에 부합하는 중성자모체계와 한글 합자법을 활용한 중문표기 제공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4155A KR101936208B1 (ko) 2016-12-05 2016-12-05 현대 한국어에서 대표할 수 있는 발음으로 중국 전통 음운학 사호이론에 부합하는 중성자모체계와 한글 합자법을 활용한 중문표기 제공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4041A true KR20180064041A (ko) 2018-06-14
KR101936208B1 KR101936208B1 (ko) 2019-01-08

Family

ID=62629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4155A KR101936208B1 (ko) 2016-12-05 2016-12-05 현대 한국어에서 대표할 수 있는 발음으로 중국 전통 음운학 사호이론에 부합하는 중성자모체계와 한글 합자법을 활용한 중문표기 제공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620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2184A (ko) * 2019-05-16 2020-11-25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한글 병음에 기반한 중국어 입력방법 및 그 입력장치
CN113707153A (zh) * 2021-09-06 2021-11-26 北京紫涓科技有限公司 一种会议语音数据处理方法及系统
KR20220167362A (ko) * 2020-09-03 2022-12-20 정진우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에 대한 음성출력장치 및 그 출력방법
KR20220167361A (ko) * 2020-09-03 2022-12-20 정진우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에 대한 운율표시장치 및 그 표시방법
KR20220167359A (ko) * 2020-09-03 2022-12-20 정진우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에 대한 한글입력장치 및 그 입력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42910A1 (ko) * 2011-09-21 2013-03-28 Kim Ho-Sung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334154B1 (ko) * 2012-06-27 2013-11-28 (주)신명시스템즈 중국어 단어 입력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42910A1 (ko) * 2011-09-21 2013-03-28 Kim Ho-Sung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334154B1 (ko) * 2012-06-27 2013-11-28 (주)신명시스템즈 중국어 단어 입력 장치 및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2184A (ko) * 2019-05-16 2020-11-25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한글 병음에 기반한 중국어 입력방법 및 그 입력장치
KR20220167362A (ko) * 2020-09-03 2022-12-20 정진우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에 대한 음성출력장치 및 그 출력방법
KR20220167361A (ko) * 2020-09-03 2022-12-20 정진우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에 대한 운율표시장치 및 그 표시방법
KR20220167359A (ko) * 2020-09-03 2022-12-20 정진우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에 대한 한글입력장치 및 그 입력방법
CN113707153A (zh) * 2021-09-06 2021-11-26 北京紫涓科技有限公司 一种会议语音数据处理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6208B1 (ko) 2019-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bash Introduction to Arabic natural language processing
KR101936208B1 (ko) 현대 한국어에서 대표할 수 있는 발음으로 중국 전통 음운학 사호이론에 부합하는 중성자모체계와 한글 합자법을 활용한 중문표기 제공방법 및 시스템
Littell et al. Indigenous language technologies in Canada: Assessment, challenges, and successes
EP2646932A1 (en) Text conversion and representation system
Dickinson et al. Language and computers
US20130191115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Transcribing or Transliterating to an Iconphonological Orthography
TW202139177A (zh) 明確的自然發音系統
KR101172580B1 (ko) 중국어 발음 한글 표기방법
KR102517021B1 (ko)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에 대한 한글입력장치 및 그 입력방법
KR102517025B1 (ko)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에 대한 음성출력장치 및 그 출력방법
KR20180130743A (ko) 단어 연상 암기 방법 및 시스템
KR101617997B1 (ko) 문장 해부도와 반복적인 외국어 어구 배열 원칙 각인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을 위한 표시 방법
CN116627263A (zh) 一种中小学教学用多功能键盘
KR101831717B1 (ko) 중국어 학습방법 및 그 기록매체
Bédi et al. Using LARA to create image-based and phonetically annotated multimodal texts for endangered languages
Küster Writing beyond the letter
TW201104643A (en) Language teaching system
KR102517024B1 (ko)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에 대한 운율표시장치 및 그 표시방법
Ornan et al. Phonemic conversion as the ideal romanization scheme for hebrew: implications for hebrew cataloging
TWI621105B (zh) 英文發音提示系統及其方法
Milnor A comparison between the development of the Chinese writing system and Dongba pictographs
KR20220030662A (ko) 한국·중국·일본·베트남 등 한자문화권 언어들에 대한 한글입력장치 및 그 입력방법
Glass et al. Language and computers
Egorov et al. The Use of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onnection Between Ancient and Modern Chinese Languages in the Process of Teaching Students Chinese Characters
Nandadasa A Bliss Writ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