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0743A - 단어 연상 암기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단어 연상 암기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0743A
KR20180130743A KR1020170066704A KR20170066704A KR20180130743A KR 20180130743 A KR20180130743 A KR 20180130743A KR 1020170066704 A KR1020170066704 A KR 1020170066704A KR 20170066704 A KR20170066704 A KR 20170066704A KR 20180130743 A KR20180130743 A KR 201801307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d
learning
screen
spelling
mot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6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철
Original Assignee
박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철 filed Critical 박종철
Priority to KR1020170066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30743A/ko
Publication of KR20180130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07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 G09B7/04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characterised by modifying the teaching programme in response to a wrong answer, e.g. repeating the question, supplying a further explan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상 단어 암기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모단어 또는 모철자를 화면에 출력하는 제10단계(S10); 화면에서 하나의 모단어 또는 모철자를 선택하는 제12단계(S12); 선택된 모단어 및, 모단어와 유사한 스펠링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파생단어가 화면에 출력되는 제13단계(S13); 또는, 선택된 모철자 및, 이 모철자를 포함한 하나 이상의 파생단어가 화면에 출력되는 제14단계(S14);를 실행하는 단계; 화면에 하나의 파생단어 또는 파생단어에 포함된 하나의 모철자를 선택하는 제16단계(S16);와, 선택된 파생단어를 모단어로 하면서 이 모단어 및, 모단어와 유사한 스펠링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파생단어가 화면에 출력되는 제17단계(S17); 또는, 선택된 파생철자를 모철자로 하면서 이 모철자 및, 모철자를 포함한 적어도 하나의 파생단어가 화면에 출력되는 제18단계(S1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단어 연상 암기 방법 및 시스템{Methode and system for memorizing vocabulary by association}
본 발명은 단어를 연상하여 암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단어 또는 일정 길이의 철자를 기본으로 알파벳, 자음, 모음 또는 다른 철자를 덧붙여 새로운 단어를 파생시켜 암기할 수 있도록 한 단어 연상 암기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어와 영어를 포함하는 언어 능력 향상에 있어서 가장 핵심적인 것 중에 하나가 해당 외국어 단어를 습득하는 것이다. 일례로 영어 학습자들은 영어단어를 학습하기 위해 책 형태의 영어사전, 단어장 등의 학습 도구를 이용한다. 하지만, 학습도구는 영어 학습자에게 영어단어와 함께 해당 영어단어에 대한 뜻을 단순 나열한 형태로 제공하기 때문에 영어 학습자는 단순히 단어장이나 휴대용 사전, 또는 핸드북 등을 가지고 다니면서 계속적인 반복학습을 통해 영어단어를 학습한다. 즉, 영어 학습자들은 영어단어 학습에 대한 다른 대안이 없기 때문에 영어 사전에 기재된 단어를 찾아 노트에 쓰거나, 발음하면서 영어단어를 단순 암기한다.
최근에는, 이동통신단말기가 널리 보급되고,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각종 스마트 디바이스가 급격히 보급되면서, 이동통신단말기나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영어단어 학습 콘텐츠도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공개특허 제10-2011-0048109호(2011년 5월 11일 공개, 발명의 명칭: 휴대전화를 이용한 영어단어 학습 시스템 및 방법), 공개실용신안 제20-2013-0003579호(2013년 6월 17일 공개, 발명의 명칭: 영어단어 학습용으로 스크래블 게임을 수행하는 방법), 공개특허 제10-2011-0100434호(2011년 9월 14일 공개, 발명의 명칭: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영어단어학습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등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1999-0073020호에는 외국어 단어의 다양한 뜻을 쉽고 폭넓게 이해할 수 있고, 암기의 효과를 높인 단어암기 학습교재가 개시된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9-0012971호에는 연상기억법을 적용하되 학습한 내용을 실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연상하여 영어단어를 외울 수 있도록 하고, 독특한 되새김 기억학습법을 적용하여 책 전체의 그림을 쉽게 잊어버리지 않도록 하는 방법이 제시되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단어 습득 방식 또는 어플리케이션은 해당 교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암기 방식을 통해 하나의 외국어 단어를 모국어로 해석한 단어와 연관지어 암기하거나, 실상 또는 특정 상황 또는 그림과 외국어 단어를 연관지어 암기하는 등의 방식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외국어 단어를 떠올리면 모국어 또는 그림 등을 연상해야 하므로, 모국어 또는 그림이 연상해야하는 어려움이 있고, 이들 연산 단어 및 그림이 일치하지 않으면 반드시 특정한 해당 교재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확인 및 재암기해야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60089호(2012.06.11.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140927호(2014.12.10.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74255호(2015.07.02.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14957호(2011.02.14.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52143호(2008.08.13.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76760호(2005.03.17. 공고)
상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어느 하나의 단어 또는 일정 길이의 철자를 기초로 하여 다른 단어, 모음, 자음 또는 철자 등을 빼거나 추가로 연결하여 다른 단어를 파생시키고, 이 파생된 단어를 기초로 또 다른 단어를 파생시켜 암기할 수 있도록 한 단어 연상 암기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라 단어를 연상하여 암기하기 위한 방법에서, 적어도 하나의 모단어 또는 모철자를 화면에 출력하는 제10단계(S10); 화면에서 하나의 모단어 또는 모철자를 선택하는 제12단계(S12); 선택된 모단어 및, 모단어와 유사한 스펠링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파생단어가 화면에 출력되는 제13단계(S13); 또는, 선택된 모철자 및, 이 모철자를 포함한 하나 이상의 파생단어가 화면에 출력되는 제14단계(S14);를 실행하는 단계; 화면에 하나의 파생단어 또는 파생단어에 포함된 하나의 모철자를 선택하는 제16단계(S16);와, 선택된 파생단어를 모단어로 하면서 이 모단어 및, 모단어와 유사한 스펠링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파생단어가 화면에 출력되는 제17단계(S17); 또는, 선택된 파생철자를 모철자로 하면서 이 모철자 및, 모철자를 포함한 적어도 하나의 파생단어가 화면에 출력되는 제18단계(S1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0단계(S10) 이후에 학습자가 학습을 계속하기를 선택하면 제12단계(S12)로 진행되고, 학습자가 학습을 종료하면 학습프로그램이 종료되는 제11단계(S11); 제14단계(S14) 이후에 학습자가 학습을 계속하기를 선택하면 제16단계(S16)로 진행되고, 학습자가 학습을 종료하면 학습프로그램이 종료되는 제15단계(S15);와, 제18단계(S18) 이후에 학습자가 학습을 계속하기를 선택하면 제16단계(S16)로 회귀하고, 학습자가 학습을 종료하면 학습프로그램이 종료되는 제19단계(S19);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한다.
이때, 제11단계(S11), 제15단계(S15) 또는 제19단계(S19)는 학습 프로그램이 구동되는 동안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 일측에 컨텐츠로 출력되어 언제든지 학습의 계속 여부를 선택하도록 구동된다.
한편, 상술된 본 발명의 연상단어 암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학습자가 학습 프로그램을 구동시키고, 학습자의 정보 또는 학습 내용을 입, 출력하도록 이루어진 사용자 단말기; 학습 내용이 저장된 학습DB와 학습자 정보가 저장된 사용자DB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사용자 단말기에서 입력 또는 요청된 학습자 정보 또는 학습 내용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시키거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출력하도록 이루어진 학습서비스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스펠링이 유사한 단어들을 묶어 한번에 보여줌으로써, 쉽게 단어들을 연상하여 암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사 단어들이 묶인 집단에서 어느 하나의 단어를 선택하거나, 단어에 포함된 파생철자를 선택하면, 이들 단어 또는 파생철자가 포함되면서 스펠링이 유사한 다른 단어들이 묶인 다른 집단을 보여줌으로써, 유사한 단어들끼리 묶인 집단들을 옮겨가면서 스펠링이 유사한 단어들을 쉽게 암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스펠링의 유사성을 기초로 하여 지속적으로 단어를 암기하다 보면, 앞서 보았던 단어를 다시 볼 수 있고, 이와 같이 하나의 단어가 반복적으로 노출되므로 재암기 또는 확인할 수 있는 반복 학습의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단어 연상 암기 시스템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a와 도 2b는 도 1의 시스템을 이용하여 단어를 연상하여 암기하는 방법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흐름도이다.
도 3a 내지 도 3e는 도 2의 암기 방법을 이용하여 영어 단어를 암기하는 과정이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e는 도 2의 암기 방법을 이용하여 한글 단어를 암기하는 과정이 도시된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구성>
본 발명은 단어 연상 암기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영어를 포함한 모든 외국어나 한글의 단어를 암기하기 위한 방법과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의 단어 연상 암기 방법의 핵심은 한정된 알파벳이나 자음 및 모음(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알파벳으로 통칭함)을 이용하여 복잡하고 엄청난 양의 단어를 표현해야 한다. 여기서, 수많은 단어들 중 의미는 다르지만 철자가 유사한 단어들을 무수히 볼 수 있다. 즉, 하나의 단어에서 철자를 빼거나 추가 및 교체하여 다른 의미를 갖는 단어를 연상할 수 있다. 일례로, 'bus'와 'bust"와 같이 "bus"에 "t"를 하나 추가함으로써, 철자는 매우 유사하지만 서로 다른 독립된 의미의 단어로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business'에서 'sin'만 추출하면 하나의 단어가 될 수 있고, 'sin'에 철자를 빼거나 추가 및 교체하여 'sing', 'sick' 등과 같은 단어를 연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를 착안하여 '모(母)철자를 포함한 '모(母)단어'와, 이들 모단어 또는 모철자를 포함한 다수의 '파생단어'를 한 화면에 보여줌으로써, 철자가 비슷한 여러 단어를 서로 연상하면서 쉽게 암기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모단어'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알파벳(한글에서는 자음과 모음에 해당한다)이 나열되어 독립된 의미를 갖는 단어로, 거의 모든 단어가 될 수 있다.
또한, '모철자'는 적어도 2개의 알파벳이 나열된 단위로, 특정 의미는 없으나 단어들에서 반복되는 단위로 정할 수 있고, 하나의 단어가 될 수도 있다. 즉, 모단어가 3개의 알파벳 이상인 경우 독립된 의미를 갖는 단어가 모철자가 될 수도 있다.
또 '파생단어'는 모단어 또는 모철자가 포함된 독립된 의미를 갖는 독립된 단어로 정할 수 있고, '파생철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파생단어'는 차기 암기과정에서 모단어가 될 수 있다.
그리고 '파생철자'는 모철자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단지 파생단어에 포함되어 있는 차이만 있다. 이 '파생철자' 역시 차기 암기 과정에서 모철자가 될 수 있다.
일례로, 'bus'는 모단어일 수 있고, 'bu'는 모철자일 수 있다. 모단어를 포함한 'bush'가 파생단어일 수 있고, 'bu'를 포함한 'but'가 파생단어일 수 있다. 또한, 파생단어 'bush'에는 'ush'의 파생철자를 포함한다. 이후, 파생철자 'ush'를 학습자가 선택하면 이 파생철자를 모철자로 하고, 모철자가 포함된 'push'가 새로운 파생단어일 수 있다. 그리고 파생단어 'push'를 학습자가 선택하면 이 파생단어를 모단어로 하고, 모단어가 포함된 'pushcart'가 다른 새로운 파생단어일 수 있다.
<시스템>
이하에서는 상술된 단어 연상 암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어 연상 암기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100)와, 학습서비스서버(110)와 데이터베이스(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학습자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학습서비스서버(110)에 접속한 후 데이터베이스(120)로부터 제공된 로그인/로그아웃 화면이나 학습자 정보 또는, 모단어, 모철자, 파생단어, 파생철자, 숙어 및 문장 등을 포함한 다양한 정보 즉, 학습 내용을 수신하여 화면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 사용자 단말기(100)는 학습자가 입력한 정보를 학습서비스서버(110)로 전송한 후, 그 결과를 수신하여 화면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100)는 본 발명의 암기 방법을 학습자가 선택 및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입력된 통상의 PC, 태블릿, 스마트폰, 넷북 등을 포함한 전자 장치이다. 그리고 학습자는 정보를 입력하거나 화면 출력된 정보를 선택할 때, 마우스, 키보드와 전자 펜 등을 포함한 다양한 전자 수단을 이용할 수 있고, 직접 화면을 터치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100)는 음향 출력과, 마우스 또는 드래그로 화면 전환, 화면 캡쳐 등을 포함하여 PC, 태블릿, 스마트폰, 넷북 등에서 실행 가능한 모든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학습서비스서버(110)는 회원등록, 로그인/로그아웃 화면이나 학습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20)와 송/수신하여 사용자단말기(100)에 제공할 수도 있고, 모단어와 파생단어 등을 포함한 다양한 학습 내용을 데이터베이스(120)와 송/수신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에 제공할 수도 있다. 좀 더 자세하게는, 회원등록, 로그인/로그아웃 등을 포함한 학습자가 입력하는 모든 정보 예를 들어, ID, 비밀번호, 성명, 주민등록번호 또는 대체번호, 휴대폰 번호, 이메일 주소, 유선 전화번호 및 주소 등을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12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회원등록을 위한 정보가 정확한지(예, 실명인증 등) 확인할 수 있고,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된 학습자 정보와 로그인을 위해 입력된 정보를 확인하여 로그인 통과 또는 정보 재입력 등을 요구할 수 있다. 또, 로그인 이후 학습자의 이전 학습 내용 또는 신규 학습 내용에 대해 데이터베이스(120)로부터 송/수신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에 제공함으로써, 학습자가 학습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학습 프로그램을 통해 암기할 단어 즉, 모단어 또는 파생단어 등을 포함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모단어 또는 파생단어에 포함된 모철자 또는 파생철자를 다른 알파벳들과 색깔, 음영, 음/양각 등을 포함한 다양한 방법으로 구별되게 표시하는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학습자가 선택한 모단어, 모철자, 파생단어, 파생철자 또는 숙어 등에 따라 해당하는 다른 파생단어 또는 숙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20)는 통상적으로 학습자가 온라인으로 접속하여 학습프로그램을 통해 학습할 수 있는 과정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저장하고, 학습서비스서버(110)를 통해 입출력하는 곳으로, 학습자의 정보가 저장된 사용자DB(122)와, 학습프로그램이 저장된 학습DB(12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사용자DB(122)는 회원등록 및 로그인을 위해 사용자단말기(100)에서 입력된 학습자의 최초 정보 또는 수정된 정보를 학습서비스서버(110)를 통해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고, 저장된 정보를 학습서비스서버(110)를 통해 사용자단말기(100)에 화면 출력할 수 있도록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학습DB(121)는 모단어 또는 모철자를 기본으로 파생된 파생단어 또는 숙어 등이 일정 규칙을 통해 집단별로 구별되어 저장할 수 있다. 단어 또는 숙어가 포함된 다수의 집단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집단을 학습서비스서버(110)의 요청에 의해 전송하여 사용자단말기(100)에 화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 학습DB(121)에는 한글의 단어와 숙어를 비롯하여 영어를 포함한 외국어 단어와 숙어 등이 언어별로 저장된다. 여기서, '집단'은 수많은 단어들이 상술된 의미의 모단어, 모철자, 파생단어, 파생철자 및 숙어 등을 기초로 하여 관련된 일부 단어와 숙어들을 포함하는 규칙에 따라 단위로 구성된 것을 지칭한다(도 3b 참조). 또한, 이들 각 집단은 적어도 어느 하나의 모단어, 모철자, 파생단어 및 파생절차 등을 통해 상호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어느 하나의 집단에서 어느 하나의 모단어, 모철자, 파생단어 또는 파생철자를 선택하면, 그 해당하는 단어 또는 철자와 연결된 다른 집단으로 이동할 수 있다(도 3b와 도 3d 참조). 이때, 당해 집단의 단어들이 학습서비스서버(110)를 통해 사용자단말기(100)에 화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학습DB(121)는 최초 회원 등록하여 로그인하면, 미리 설정된 모단어들을 사용자단말기(100)에 화면 출력하도록 하여 학습자가 어느 하나의 모단어 또는 모철자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학습DB(121)는 로그아웃 직전의 학습 정보를 기억하고, 추후 로그인하였을 때, 해당 학습 정보(예를 들어 해당 집단의 단어들)를 사용자단말기(100)에 화면 출력할 수도 있다.
<방법>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단어 연상 암기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암기방법은 상술된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회원등록 및 로그인은 통상의 과정을 통해 수행되므로, 본 발명의 특징인 학습프로그램의 운영 과정에 대해 도 1, 도 2a와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 '집단'은 상술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단어 또는 철자를 포함하는 모단어, 모철자, 파생단어, 파생철자 및 숙어 등을 포함한 군(群)을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모단어, 모철자, 파생단어 및 파생철자를 토대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화면 출력'은 사용자 단말기(100)의 화면에 출력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모단어 또는 파생단어에 포함될 수 있는 모철자 또는 파생철자는 다른 스펠링과 구분되도록 색깔, 음영 또는 음/양각 등으로 화면 출력되도록 하고, 모단어, 파생단어, 모철자 및 파생철자 중 어느 하나를 학습자가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먼저, 적어도 어느 하나의 모철자 또는 모단어를 화면 출력한다(S10). 이때, 모단어에 모철자가 포함될 수도 있고, 모철자 단독일 수도 있다. 학습DB(121)에서 미리 설정된 어느 하나 또는 다수의 모단어 또는 모철자를 사용자단말기(100)에 화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회원 등록 후 처음인 경우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모단어(이하, '최초의 모단어'라 함) 또는 모철자를 화면 출력할 수 있고(도 3a 참조), 학습프로그램을 이용 중이라면 최초의 모단어 또는, 최후 학습 내용의 화면을 화면 출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학습을 계속할지를 학습자가 선택하도록 한다(S11). 이때, 학습자가 학습을 중지하는 선택을 하면 학습프로그램이 종료되고, 로그아웃 정보를 화면 출력한다. 학습자가 로그아웃하면 사용자단말기(100)와 학습자서비스서버(110)의 접속이 중단되고, 학습을 중지하였지만 로그인 상태에서 학습을 다시 시작하기 원하면, 최초의 모단어들을 화면 출력하거나 최후 학습내용의 단어 또는 철자를 화면 출력할 수 있다. 이 단계(S11)는 생략할 수 있다.
다음으로, 학습을 계속하기 위해 모단어 또는, 모단어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모철자를 선택한다(S12). 학습자가 학습을 계속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에 화면 출력된 최초의 모단어, 이 최초의 모단어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모철자를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이미 학습 중인 학습자라면 화면에 출력된 집단에서 어느 하나의 단어 또는 철자를 선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모단어를 선택한 경우, 모단어 및, 모단어와 유사한 스펠링을 갖는 하나 이상의 파생단어를 화면 출력한다(S13). 이때, 적어도 어느 하나의 파생단어에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파생철자를 포함할 수 있다(도 3b 참조).
또는, 모철자를 선택한 경우, 모철자와, 모철자를 포함한 하나 이상의 파생단어를 화면 출력한다(S14)(도 3c 참조). 여기서, 단계(S13)와 단계(S14)는 수평적으로 위치하는 것으로, 단계(S13)와 단계(S14)를 동시에 수행할 수 없고, 이들 단계의 화면을 출력하기 위해서는 어느 하나의 단계(S13)를 수행한 후, 이전 단계(S12)로 복귀한 다음 다른 하나의 단계(S14)를 수행할 수는 있다.
다음으로, 학습을 계속할지를 학습자가 선택하도록 한다(S15). 이 선택 과정은 단계(S10) 이후의 과정(S11)과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이 단계(S15)는 생략할 수 있다.
다음으로, 학습을 계속하기 위해 파생단어 또는, 파생단어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파생철자를 선택한다(S16).
다음으로, 파생단어를 선택한 경우, 파생단어를 모단어로 하고, 이 모단어와, 모단어와 유사한 스펠링을 갖는 하나 이상의 파생단어를 화면 출력한다(S17). 이때, 새로 선택된 파생단어에는 적어도 하나의 파생철자를 포함할 수 있다(도 3e 참조).
다음으로, 파생철자를 선택한 경우, 파생철자를 모철자로 하고, 이 모철자와, 모철자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파생단어를 화면 출력한다(S18). 이때, 새로 선택된 파생단어에는 적어도 하나의 파생철자를 포함할 수 있다(도 3d 참조).
끝으로, 학습을 계속할지를 학습자가 선택하도록 한다(S19). 이때, 학습자가 학습을 계속하기를 선택하면, 단계(S16)로 회귀하여 단계(S17) 또는 단계(S18)를 반복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학습자가 학습을 중지하는 선택을 하면 학습프로그램이 종료되고, 로그아웃 정보를 화면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학습자가 로그아웃하면 사용자단말기(100)와 학습자서비스서버(110)의 접속이 중단되고, 로그아웃을 하지 않은 로그인 상태에서 학습을 계속하기 원하면, 단계(S10) 또는 단계(S16)로 회귀하고, 이후 단계를 반복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학습 계속 여부를 묻는 단계(S11,S15,S19)는 모단어, 모철자, 파생단어 또는 파생철자를 화면 출력한 각 단계 이후 반복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고, 이들 단계(S11S15,S19)를 생략할 수도 있다. 또한, 단계(S11S15,S19)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화면 어느 일부위에 지속적으로 화면 출력되도록 하여 학습 중 학습자가 언제든지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실시 예_영어>
이하에서는 상술된 연상 단어 암기 방법의 각 단계에 대해 도 3a 내지도 3e에 예시된 영어를 예로 하여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모단어, 모철자, 파생단어, 파생철자 및 숙어를 암기하고, 일례로 단어와 철자를 암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다음 단계로 진행하기 위한 선택은 학습자가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수행한다. 물론, 각 단어 또는 뜻을 갖는 모철자에 대해 번역된 뜻을 화면에 함께 출력할 수 있다.
도 3a에서와 같이 다수의 모단어를 제시한다(S10). 여기서, 일례로 모단어 'bus'로 하고, 이 모단어에 포함된 모철자를 'bu'로 하여 화면 출력한다. 이때, 모철자는 모단어와 구별되도록 다른 색깔로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학습 계속 여부를 선택하여 종료 또는 학습을 계속한다(S11). 이 선택은 생략할 수 있다.
다음으로, 학습을 계속하기 위해 모단어 또는 모철자를 선택할 수 있다(S12). 도 3a에서 모단어 'bus'를 선택할 수도 있고, 모철자 'bu'를 선택할 수도 있다. 이때, 학습자가 모철자 또는 모단어를 구별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색깔, 음영, 음/양각 등을 포함한 통상의 방식으로 식별하도록 할 수 있고, 터치 후 어느 한 방향으로의 드래그(drag)(일례로, 모단어는 오른쪽 방향으로 드래그, 모철자는 왼쪽 방향으로 드래그 등), 터치 횟수 또는 터치 시간 등을 포함한 통상의 방식으로 구별하여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식별 및 인식은 사용자 단말기(100)와 학습자서비스서버(110)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모단어 'bus'를 선택하면, 도 3b에서와 같이 모단어인 'bus'와, 모단어를 포함하거나 유사한 스펠링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파생단어를 화면 출력한다(S13). 이때, 모단어와 파생단어에는 적어도 하나의 모철자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다음 단계로 설명하기 위해 'bus'에 포함된 모철차 'bus'와, 파생단어 'bush'에 포함된 'ush'를 다른 색깔로 구별하였다.
다음으로, 모철자 'bu'를 선택하면, 도 3c에서와 같이 모철자'bu'를 포함한 적어도 하나의 파생단어를 화면 출력한다(14). 물론, 이 파생단어에는 적어도 하나의 모철자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bus'와 유사한 'busy'는 'bu'를 공통으로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모철자 'bu'에서도 'busy'가 반복으로 화면 출력되고, 이를 통해 학습자가 동일 단어에 대해 반복 암기 및 학습을 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방법을 따라 단어를 암기하다 보면 하나의 단어에 대해 수차례 반복하여 노출되어 반복 암기할 수 있다. 이때, 도 3c의 화면 출력을 위해 도 3a가 출력된 화면으로 복귀한 후 선택할 수도 있고, 도 3b가 출력된 화면에서 선택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학습 계속 여부를 선택하여 학습을 지속할 수 있다(S15). 이 선택은 생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출력된 화면에서 어느 하나의 파생단어 또는, 파생단어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파생철자를 선택한다(S16). 이때 도 3b 또는 도 3c 중 어느 하나의 화면에서 선택할 수 있고, 여기서는 도 3b의 화면에서 선택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도 3b의 모단어 'bus'의 파생단어 'bush'에서 파생철자 'ush'를 선택하면, 도 3d에서와 같이 이 파생철자를 모철자로 하고, 모철자 'ush'와, 이 모철자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파생단어를 화면 출력한다(S17).
다음으로, 학습 계속 여부를 선택(S19)하면, 단계(S13)로 회귀하여 반복 수행한다(S19).
다음으로, 출력된 화면에서 어느 하나의 파생단어 또는, 파생단어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파생철자를 선택한다(S16).
다음으로, 도 3d에서의 파생단어 'push'를 선택하면, 도 3e에서와 같이 이 파생단어를 모단어로 하고, 이 모단어 'push'와, 이 모단어를 포함하거나 모단어와 유사한 스펠링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파생단어를 화면에 출력한다(S18).
끝으로, 학습 계속 여부를 선택하여 종료한다(S19).
<실시 예_한글>
이하에서는 상술된 연상 단어 암기 방법의 각 단계에 대해 일례로 한글을 예로 하여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물론, 한글의 실시 예에 대해 단지 알파벳이 자음과 모음으로 대체되는 언어적 차이만 있을 뿐, 암기 방법의 원리는 동일하다. 따라서, 부수적인 설명에 대해서는 갈음하고, 기본 원리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에서와 같이 다수의 모단어를 화면 출력한다(S10). 일례로, 모단어를 '사랑'으로 하고, 이 모단어에 포함된 모철자를 '사'로 하여 화면 출력한다. 이때, 모철자는 모단어와 구별되도록 다른 색깔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각 단어의 한글 뜻은 처음부터 보여줄 수도 있고, '클릭/터치/드래그' 등을 통해 보여줄 수도 있다. 또한, 당해 과정 및 후술된 과정에서 모단어, 모철자, 파생단어, 파생철자, 숙어 또는 문장 등을 각각 하나씩 화면에 출력할 수도 있고, 도면에서와 같이 연관 단어들을 한 번에 출력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학습 계속 여부를 선택하여 종료 또는 학습을 계속한다(S11). 이 선택은 생략할 수 있다.
다음으로, 학습이 계속되면, 모단어 또는 모철자를 선택한다(S12). 이때, 도 4a에서의 모단어 '사랑' 또는 모철자 '사'를 선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모단어 '사랑'을 선택하면, 도 4b에서와 같이 모단어인 '사랑'과, 모단어를 포함하거나 유사한 스펠링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파생단어를 화면 출력한다(S13). 이때, 다음 단계로 설명하기 위해 '사랑'에 포함된 모철자'사'와, 파생단어 '사양'을 다른 색깔로 구별하였다.
다음으로, 모철자 '사'를 선택하면, 도 4c에서와 같이 모철자'사'를 포함한 적어도 하나의 파생단어를 화면 출력한다(S14). 이때, '사'는 도 4a가 출력된 화면으로 복귀하여 선택할 수도 있고, 도 4b가 출력된 화면에서 선택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학습 계속 여부를 선택하여 학습을 지속할 수 있다(S15). 이 선택은 생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출력된 화면에서 어느 하나의 파생단어 또는, 파생단어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파생철자를 선택한다(S16). 이때, 도 4b 또는 도 4c 중 어느 하나의 화면에서 선택할 수 있고, 여기서는 도 4b의 화면에서 선택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도 4b의 모단어 '사랑'의 파생단어 '사양'을 선택하면, 도 4d에서와 같이 이 파생단어를 모단어로 하고, 모단어 '사양'과, 이 모단어를 포함하거나 유사한 적어도 하나의 파생단어를 화면 출력한다(S17).
다음으로, 학습 계속 여부를 선택(S19)하면, 단계(S16)로 회귀하여 반복 수행한다(S20).
다음으로, 출력된 화면에서 어느 하나의 파생단어 또는, 파생단어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파생철자를 선택한다(S16).
다음으로, 도 4d에서 파생단어 '사향'의 파생철자인 '향'을 선택하면, 도 4e에서와 같이 이 파생철자를 모철자로 하고, 이 모철자가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파생단어를 화면에 출력한다(S18)
끝으로, 학습 계속 여부를 선택하여 종료한다(S19).
한편, 유아, 유치원, 초, 중, 고, 대학 및 일반인의 선택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단어 수 및 단어 난이도 등을 포함한 학습 내용을 구분하여 저장하였다가 학습자의 선택에 따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어린아이들을 위해 게임을 통해 학습 과정을 진행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사용자 단말기
110:학습서비스서버
120:데이터베이스
121:학습DB
122:사용자DB.

Claims (3)

  1. 단어를 암기하기 위한 방법에서,
    적어도 하나의 모단어 또는 모철자를 화면에 출력하는 제10단계(S10);
    상기 화면에서 하나의 모단어 또는 모철자를 선택하는 제12단계(S12);
    상기 선택된 모단어 및, 모단어와 유사한 스펠링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파생단어가 화면에 출력되는 제13단계(S13); 또는, 선택된 모철자 및, 이 모철자를 포함한 하나 이상의 파생단어가 화면에 출력되는 제14단계(S14);를 실행하는 단계;
    상기 화면에 하나의 파생단어 또는 파생단어에 포함된 하나의 모철자를 선택하는 제16단계(S16);와
    상기 선택된 파생단어를 모단어로 하면서 이 모단어 및, 모단어와 유사한 스펠링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파생단어가 화면에 출력되는 제17단계(S17); 또는, 선택된 파생철자를 모철자로 하면서 이 모철자 및, 모철자를 포함한 적어도 하나의 파생단어가 화면에 출력되는 제18단계(S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상 단어 암기 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제10단계(S10) 이후에 학습자가 학습을 계속하기를 선택하면 제12단계(S12)로 진행되고, 학습자가 학습을 종료하면 학습프로그램이 종료되는 제11단계(S11);
    상기 제14단계(S14) 이후에 학습자가 학습을 계속하기를 선택하면 제16단계(S16)로 진행되고, 학습자가 학습을 종료하면 학습프로그램이 종료되는 제15단계(S15);와
    상기 제18단계(S18) 이후에 학습자가 학습을 계속하기를 선택하면 제16단계(S16)로 회귀하고, 학습자가 학습을 종료하면 학습프로그램이 종료되는 제19단계(S19);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1단계(S11), 제15단계(S15) 또는 제19단계(S19)는 학습 프로그램이 구동되는 동안 사용자 단말기(100)의 화면 일측에 컨텐츠로 출력되어 언제든지 학습의 계속 여부를 선택하도록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상 단어 암기 방법.
  3. 제1항의 연상단어 암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학습자가 학습 프로그램을 구동시키고, 학습자의 정보 또는 학습 내용을 입, 출력하도록 이루어진 사용자 단말기(100);
    상기 학습 내용이 저장된 학습DB(121)와 학습자 정보가 저장된 사용자DB(122)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120);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입력 또는 요청된 학습자 정보 또는 학습 내용을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시키거나, 데이터베이스(120)로부터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에 출력하도록 이루어진 학습서비스서버(110);를 포함하는 연상 단어 암기 시스템.
KR1020170066704A 2017-05-30 2017-05-30 단어 연상 암기 방법 및 시스템 KR201801307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6704A KR20180130743A (ko) 2017-05-30 2017-05-30 단어 연상 암기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6704A KR20180130743A (ko) 2017-05-30 2017-05-30 단어 연상 암기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0743A true KR20180130743A (ko) 2018-12-10

Family

ID=64670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6704A KR20180130743A (ko) 2017-05-30 2017-05-30 단어 연상 암기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3074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6433B1 (ko) * 2019-10-02 2020-08-20 변용준 연상기억법을 이용한 문맥 기반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10020756A (ko) * 2019-08-14 2021-02-2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사 의미 어간을 이용한 한국어 학습 도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0756A (ko) * 2019-08-14 2021-02-2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사 의미 어간을 이용한 한국어 학습 도구
KR102146433B1 (ko) * 2019-10-02 2020-08-20 변용준 연상기억법을 이용한 문맥 기반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hu et al. Phonological awareness in young Chinese children
Kubus et al. Word recognition in deaf readers: Cross-language activation of German Sign Language and German
Lyons Language and linguistics
Zhan et al. The role of technology in teaching and learning Chinese characters
Park Learner‐generated noticing of written L2 input: What do learners notice and why?
Yin et al. Unspoken knowledge: kindergarteners are sensitive to patterns in Chinese pinyin before formally learning it
KR101609176B1 (ko) 영어학습 시스템
Raza et al. Google translate in an EFL classroom
KR20180064041A (ko) 현대 한국어에서 대표할 수 있는 발음으로 중국 전통 음운학 사호이론에 부합하는 중성자모체계와 한글 합자법을 활용한 중문표기 제공방법 및 시스템
CN109389873A (zh) 计算机系统和由计算机实现的训练系统
Siong et al. A mobile learning application for Malaysian sign language education
Olmanson et al. The challenge of Chinese character acquisition: Leveraging multimodality in overcoming a centuries-old problem
Gilbert et al. Automating Question Generation and Marking of Language Learning Exercises for isiZulu.
KR20180130743A (ko) 단어 연상 암기 방법 및 시스템
Tian et al. Translanguaging flows in Chinese word instruction: Potential critical sociolinguistic engagement with children's artistic representations of Chinese characters
KR100811227B1 (ko) 어학학습방법
El Ghoul et al. Multimedia Courses Generator for Deaf Children.
EP3799012A1 (en) Device and program for performing new training
KR101080092B1 (ko) 외국어 단어 학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 장치
Farr Unmasking ChatGPT: The Challenges of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for Learning Vocabulary in English as an Additional Language
US20210027008A1 (en) Reading proficiency system and method
KR100491758B1 (ko) 소리원리를 이용한 언어학습방법
Mirza et al. Learning to read in their heritage language: Hindi-English speaking children reading two different orthographies
Holmström et al. “They forget and forget all the time.” The complexity of teaching adult deaf emergent readers print literacy
Kulju et al. Multilayered word structure model for assessing spelling of Finnish children in shallow orthograph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