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1227B1 - 어학학습방법 - Google Patents

어학학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1227B1
KR100811227B1 KR1020060128091A KR20060128091A KR100811227B1 KR 100811227 B1 KR100811227 B1 KR 100811227B1 KR 1020060128091 A KR1020060128091 A KR 1020060128091A KR 20060128091 A KR20060128091 A KR 20060128091A KR 100811227 B1 KR100811227 B1 KR 100811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displaying
grammar
sentence
educa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8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순호
Original Assignee
전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순호 filed Critical 전순호
Priority to KR1020060128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12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1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1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09B5/065Combinations of audio and video presentations, e.g. videotapes, videodiscs, televis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리나라 말을 영어 구조의 형식에 맞추어 한글로 나열함으로써 우리나라 말을 읽을 때처럼 영어를 쉽게 해석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하여 단기간에 독해능력을 향상토록 한 어학학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은, 교육용 프로그램과 교육 데이터들이 저장된 저장매체를 구동시켜 교육용 창을 생성하고, 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독해할 문장의 순서에 따라 처음의 영어 단어를 상기 교육용 창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영어 단어에 대한 한글을 해석하여 디스플레이해줌과 동시에 문법을 분석하는 단계와; 분석한 문법에 대한 설명을 교육용 창의 소정 위치에 디스플레이해줌과 동시에 분석한 문법에 대응하게 문장 기본 형식이나 수식어구별로 구분하여 교육용 창의 특정 위치에 디스플레이해주는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어학학습, 이탐어, 영어, 직독직해

Description

어학학습방법{Language teaching metho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학학습 방법이 구현되는 어학학습 장치의 일 실시 예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되는 교육용 창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어학학습 방법의 일 실시 예를 보인 흐름도.
도 4a 내지 도 4y는 본 발명에서 어학학습 과정을 보인 화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어학학습 방법이 구현되는 어학학습 장치의 다른 실시 예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어학학습 방법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키보드
120… 제어장치
130… 디스플레이 장치
151 ..... 데이터베이스(DB)
200… 데이터 제공 서버
300… 인터넷
400… 클라이언트 시스템
470… 통신장치
본 발명은 어학학습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우리나라 말을 영어 구조의 형식에 맞추어 한글로 나열함으로써 우리나라 말을 읽을 때처럼 영어를 쉽게 해석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하여 단기간에 독해능력을 향상토록 한 어학학습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영어학습을 할 경우에는 문법이나 기타 여러 가지의 방법을 통해 번역을 하거나 해석을 함으로써 학습의 능률성을 보장하고, 한편으로는 학습의 능력을 평가하고 있는바, 이러한 기존의 영어해석에 관련한 경우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은 다수의 문제점을 안고 있으므로 보다 효율적으로 영어학습(특히, 독해)을 할 수 있는 방법이 모색되고 있는 실정이다.
기존의 영어를 해석할 경우는 주로 문법에 따른 해석법으로 어순이 뒤틀려 번역을 할 경우는 앞으로 갔다가 뒤로 갔다를 반복함으로써 해석을 하게 되므로 이중 삼중의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듣기 평가인 경우는 도저히 한국말로 정리할 시간적인 여우가 없으며, 결국 영어를 익히는 데 한국어 순서를 따르면 필수요건인 4가지 기능(읽기, 듣기, 쓰기, 말하기)이 모두 유창해지지 못하고 각각 계산을 하여야 하며, 결국은 해석을 하는 과정에서 무슨 내용인지 몰라 영어에 대한 흥미가 떨어져 영어를 싫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근래에는 대입 수학능력시험중 영어 과목에 듣기평가가 도입되어있으며, 듣기평가 도입 이후로는 약간의 구어체 형태가 가미되었으나 여전히 문법위주의 학습방법을 이용하고 있고, 이러한 문법능력이 바로 독해능력을 뜻하는 것이 아니므로 해석도 못하는 문장들을 놓고 문법을 연구하고 배운들 극히 일부 학생들을 제외하고는 독해능력을 갖추기가 쉽지않은 것이 현실이다.
실제로 대학 입학 수학능력시험에서는 독해 문제가 주류를 이루어 전체 문제 중 소수의 듣기평가 문제를 제외하고 나머지 대다수의 문제가 독해능력을 테스트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보더라도 독해능력 향상을 위한 영어 학습방법이 절실히 요구되는바, 전술한 바의 종래 영어 학습방법은 대부분 문법을 위주로 한 학습방법이고 독해하는 방법에 대한 학습방법은 없어 그 외운 단어와 문법을 적절히 배합하여 가르치고 배움으로써 현재 고교재학생 중에 자기 교과서를 시간이 얼마나 걸리든 완전하게 해석하고 이해하는 학생들의 비율이 20%도 채 안 되는 실정으로 이것은 교육이라고 할 수 없을 정도로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또한, 주지한 바와 같이 우리나라 말과 영어는 그 구조 자체가 달라서 문법에 의거하여 분석하는 방법으로 영어를 배워왔으나, 이러한 방법은 영어 문장을 이해하는 데 많은 문제점이 있다. 우선 신속하게 문장을 파악하지 못하고 정확성마저 떨어진다는 데 있다. 더군다나, 문법을 모르면 해석을 하지 못하는 단점을 있다.
결론적으로, 종래의 모든 영어 학습 방법은 문장을 한번 만 읽으면 이해가 되지 못하고, 다시 문법에 맞추어 따져서 이해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 영어 어학학습의 문제점과 직독직해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우리나라 말을 영어 구조의 형식에 맞추어 한글로 나열함으로써 우리나라 말을 읽을 때처럼 영어를 쉽게 해석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하여 단기간에 독해능력을 향상토록 한 어학학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한글과 수학적 기호를 사용하여 영어식으로 표현함으로써, 외국어(특히, 영어)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해석하고 이해하여 원어민 수준에 해당하는 언어 능력을 배양토록 한 어학학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언어의 논리를 수학적으로 표시함으로써 영어 형식으로 생각하고 표현하는 능력을 도모해주고자 한 어학학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영어가 지닌 논리를 정형화함으로써 영어를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습득할 수 있게 하고, 동시에 영어와 우리나라 말 사이의 차이점을 극복함으로써 이중 언어를 자연스럽게 구사할 수 있는 능력을 갖도록 한 어학학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말을 듣는 방식처럼 순서대로 나타나는 단어를 읽으면서 즉각 해석하도록 한 어학 학습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어학학습 방법"의 일 실시 예는,
교육용 프로그램과 교육 데이터들이 저장된 저장매체를 구동시켜 교육용 창을 생성하고, 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독해할 문장의 순서에 따라 처음의 영어 단어를 상기 교육용 창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영어 단어에 대한 한글을 해석하여 디스플레이해줌과 동시에 문법을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분석한 문법에 대한 설명을 상기 교육용 창의 소정 위치에 디스플레이해줌과 동시에 상기 분석한 문법에 대응하게 문장 기본 형식이나 수식어구별로 구분하여 상기 교육용 창의 특정 위치에 디스플레이해주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교육용 창은,
독해 지문을 디스플레이하는 독해 지문 창과; 영어 단어를 디스플레이해주는 영어 단어 창과;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영어 단어를 한글로 해석하여 디스플레이해주는 한글 해석 창과; 상기 문장 기본 형식을 트리 형식으로 디스플레이해주기 위한 트리 디스플레이 창과; 상기 수식어구별로 문장 형식을 디스플레이해주기 위한 문장 형식 창과; 주절에 종속되는 종속절을 표시해주기 위한 종속절 창과; 문법 설명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문법 설명 창과; 다음 단어를 선택하기 위한 넥스트 창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트리 디스플레이 창은 기본 형식을 5형식 트리로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문장 형식에 대응하는 수식어구별은 전치사구, 부정사, 현재분사, 과거분사로 대별되며, 각각은 서로 다른 컬러를 이용하여 달리 표시하고, 상기 종속절은 주절과 구별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컬러로 표시하고, 상기 독해 지문의 디스플레이는 수학적 기호를 사용하여 문법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어학학습방법"은,
하나의 화면에 표시된 단어의 분석이 종료된 후 다음 단어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어학학습방법"의 다른 실시 예는,
교육용 프로그램과 교육 데이터를 인터넷을 통해 제공하는 데이터 제공 서버와, 상기 데이터 서버와 인터넷을 통해 접속하여 교육용 프로그램 및 교육 데이터를 제공받아 어학학습을 도모해주는 통신 장치와 모니터와 디스플레이 장치와 데이터베이스와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시스템을 이용하여 어학을 학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시스템은,
상기 통신 장치를 통해 상기 데이터 제공 서버와 인터넷으로 접속한 후, 상기 교육용 프로그램 및 교육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아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와;
사용자에 의해 상기 데이터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교육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상기 저장한 교육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교육용 창을 생성하고, 이를 화면 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독해할 문장의 순서에 따라 처음의 영어 단어를 상기 교육용 창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영어 단어에 대한 한글을 해석하여 디스플레이해줌과 동시에 문법을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분석한 문법에 대한 설명을 상기 교육용 창의 소정 위치에 디스플레이해줌과 동시에 상기 분석한 문법에 대응하게 문장 기본 형식이나 수식어구별로 구분하여 상기 교육용 창의 특정 위치에 디스플레이해주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어학학습 방법이 적용되는 시스템의 일 실시 예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참조부호 110은 기능을 선택하거나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키보드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120은 어학학습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장치로서, 중앙처리장치(CPU) 또는 마이컴 등으로 구현된다.
참조부호 130은 교육용 창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예를 들어, 모니터)로서,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LCD)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참조부호 140은 CD나 DVD에 저장된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CD/DVD 드라이버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150은 상기 CD/DVD 드라이버(140)에 의해 판독된 교육용 프 로그램이나 교육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151)에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를 나타낸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151)는 EEPROM이나 플래시 메모리 등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매체이면 어느 것이나 사용 가능하다. 참조부호 160은 음성을 송출하기 위한 스피커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어학학습 방법을 보인 흐름도로서, 교육용 창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30)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101)와, 독해할 문장의 영어 단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103)와,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영어 단어를 한글로 해석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영어 단어의 문법을 분석하는 단계(S105)와, 상기 분석한 문법에 대한 설명을 하여 디스플레이하고, 문장 기본 형식이나 수식어구 등을 분석하여 화면에 표시해주는 단계(S107)와, 다음 단어를 선택하는 단계(S109)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어학학습 방법을 첨부한 도면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어학 교육을 위한 교육용 프로그램 및 교육 데이터가 저장된 저장 매체(예를 들어, CD, DVD, 기타 등등)를 구입하여 CD/DVD 드라이버(140)에 삽입하고, 키보드(110)를 통하여 실행을 시키면, 제어장치(120)는 저장 매체에 저장된 교육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교육용 창을 생성하게 되고, 이를 디스플레이 장치(130)에 디스플레이하게 된다(S101).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130)에 디스플레이되는 교육용 창은 도 2와 같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독해 지문을 디스플레이하는 독해 지문 창(131)과; 영어 단어를 디스플레이해주는 영어 단어 창(132)과;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영어 단어를 한글로 해석하여 디스플레이해주는 한글 해석 창(133)과; 상기 문장 기본 형식을 트리 형식으로 디스플레이해주기 위한 트리 디스플레이 창(134)과; 상기 수식어구별로 문장 형식을 디스플레이해주기 위한 문장 형식 창(135)과; 주절에 종속되는 종속절을 표시해주기 위한 종속절 창(136)과; 문법 설명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문법 설명 창(137)과; 다음 단어를 선택하기 위한 넥스트(NEXT) 창(138)이 디스플레이된다.
다음으로, 독해할 문장의 처음 영어 단어를 상기 영어 단어 창(132)에 디스플레이하게 되고(S103), 이후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단어를 한글로 해석하여 한글 해석 창(133)에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문법을 분석하게 된다(S105).
문법 분석이 완료되면 그 분석된 문법에 대해서 문법 설명 창(137)을 통해 설명을 해주게 되고, 그 분석한 문법에 대응하여 문장 기본 형식(주어, 동사, 목적어)을 트리 디스플레이 창(134)에 5 형식 트리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문장 형식(수식어구)을 문장 형식 창(135)에 디스플레이해주게 된다(S107)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하나의 단어에 대한 해석이 완료되면 사용자의 넥스트 키 조작에 대응하여 다음 단어를 선택하여(S109) 상기 영어 단어 창(132)에 표시해주고, 그 이하의 단계를 문장이 종료될 때까지 반복 수행하게 된다.
이때 독해 지문 창(131)에 해석되는 한글을 표시하는 경우 수학적 기호를 사용하여 문법을 표시해줌으로써, 학습자의 독해 학습 효율을 향상시키게 되며, 주절과 종속절을 구별하기 위해서 종속절 창은 주절과는 다른 컬러를 이용하여 디스플 레이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우리나라 말을 영어 구조의 형식에 맞추어 한글로 나열함으로써 우리나라 말을 읽을 때처럼 영어를 쉽게 해석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하여 단기간에 독해능력을 향상이 가능하고, 한글과 수학적 기호를 사용하여 영어식으로 표현함으로써, 외국어(특히, 영어)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해석하고 이해하여 원어민 수준에 해당하는 언어 능력을 배양토록 도모해주며, 아울러 언어의 논리를 수학적으로 표시함으로써 영어 형식으로 생각하고 표현하는 능력을 도모해주며, 영어가 지닌 논리를 정형화함으로써 영어를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습득할 수 있게 하고, 동시에 영어와 우리나라 말 사이의 차이점을 극복함으로써 이중 언어를 자연스럽게 구사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해주며, 말을 듣는 방식처럼 순서대로 나타나는 단어를 읽으면서 즉각 해석하도록 도모해주는 것이다.
도 4a 내지 도 4y는 주지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어학학습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독해할 영어 문장이 "Sant Kabir, a sage of india, says that foolish people cannot distinguish between good and evil."이라고 가정한다.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육용 창이 생성되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영어단어창(132)에 'Sant kabir,'이라는 단어가 디스플레이되면, 문법 설명 창(137)에 'Sant kabir'는 고유명사로 사람 이름을 나타냅니다라는 해설이 디스플레이된다. 이후 사용자가 다음(next) 버튼을 누르게 되면, 도 4b와 같이 한글 해석 창(133)에 '산 카비르'는, 이라는 한글 해석이 디스플레이되고, 문법 설명 창(137) 에는 '고유명사 뒤에 ','쉼표가 찍혔으니까 동사가 아니라 설명이 온다는 뜻입니다. 라는 설명이 디스플레이된다.
이후 다음 버튼을 누르게 되면, 도 4c와 같이 독해 지문 창(131)에 'Sant kabir,'와 그 하단에 산 카비르는,/라는 한글 해석이 디스플레이되고, 문법 설명 창(137)에 '주어를 표시하고, 이탐어로 쓰겠습니다.'라는 설명이 디스플레이됨과 동시에 5 형식 트리 디스플레이 창(134)에 'ⓢ'부분의 색깔이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서 이탐어는 독해 지문 창에 한글 해석과 동시에 기본 형식이나 수식어구 부분에 수학식 기호(예를 들어, '/')를 표시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자가 임의로 정한 용어에 불과합니다.
이후 다음 버튼을 누르게 되면, 도4d와 같이 영어 단어 창(132)에 'a'라는 단어가 표시되고, 동시에 문법 설명 창(137)에 '관사가 나오니까 다음 명사를 만기로 합시다. 관사는 명사 때문에 있는 것이니까요.'라는 설명이 디스플레이된다.
이후 다음 버튼을 누르게 되면, 도 4e와 같이 영어 단어 창(132)에 'a sage'라는 단어가 디스플레이됨과 동시에 문법 설명 창(137)에 '관사+명사의 형태가 되었습니다. 이것은 앞의 고유명사를 설명하는 현재분사의 변형으로 동격을 나타냅니다.'라는 설명이 디스플레이된다.
이후 다음 버튼을 누르게 되면, 도4f와 같이 한글 해석 창(133)에 '한 현인'이라는 한글 해석이 디스플레이되고, 문법 설명 창(137)에 '현명한 사람을 나타냅니다.'라는 설명이 디스플레이된다.
이후 다음 버튼을 누르게 되면, 도4g와 같이 문법 설명 창(137)에 '한 현인 인데라고 설명하는 식으로 해석해도 좋습니다. 이탐어로 쓰겠습니다.'라는 설명이 디스플레이됨과 동시에 독해 지문 창(131)에 'Sant Kabir, a sage'와 한글 해석인 산 카비르는,/ 한 현인인데'라는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됩니다.
이후 다음 버튼을 누르게 되면, 도4h와 같이 영어 단어 창(132)에 'of'라는 단어가 디스플레이되고, 문법 설명 창(137)에 'of는 전치사입니다. 전치사는 다음에 올 명사와 함께 설명하는 표현을 만들려는 것입니다. 명사를 가져오겠습니다.'라는 해설이 디스플레이된다.
이후 다음 버튼을 누르게 되면, 도4i와 같이 영어 단어 창(132)에 'of india'라는 단어가 디스플레이되고, 한글 해석 창(133)에는 '(~의/인도),'라는 해석이 디스플레이되며 동시에 문법 설명 창(137)에는 'india는 고유명사로 인도를 말합니다. ','가 나왔으니 설명이 끝났다는 표시입니다.'라는 해설이 디스플레이된다.
이후 다음 버튼을 누르게 되면, 도4j와 같이 문법 설명 창(137)에는 '이탐어로 옮깁니다. 아직도 동사는 안 나왔습니다.'라는 설명이 디스플레이되고 동시에 독해 지문 창(131)에는 'Sant Kabir, a sage of india,와 산 카비르는,/ 한 현인인데(인도의),'라는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된다.
이후 다음 버튼을 누르게 되면, 도4k와 같이 영어 단어 창(132)에 'says'라는 단어가 디스플레이되고, 동시에 문법 설명 창(137)에 'says라는 동사가 나왔습니다.'라는 설명이 디스플레이된다.
이후 다음 버튼을 누르게 되면, 도4l와 같이 한글 해석 창(133)에 '말한다.' 라는 한글 해석이 디스플레이되고, 동시에 문법 설명 창(137)에 'says는 3인칭 단수 현재를 나타냅니다. 주어는 Sant Kabir입니다.'라는 설명이 디스플레이된다.
이후 다음 버튼을 누르게 되면, 도4m과 같이 문법 설명 창(137)에 '이탐어로 옮깁니다. 동사를 표시합니다.'라는 설명이 디스플레이되고, 5 형식 트리의 트리 디스플레이 창(134)에 'ⓥ'에 색깔이 디스플레이되며, 독해 지문 창(131)에는 'Sant Kabir, a sage of india, says와 산 카비르는,/ 한 현인인데(인도의),/말한다'라는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된다.
이후 다음 버튼을 누르게 되면, 도4m과 같이 영어 단어 창(132)에는 'that'이라는 단어가 디스플레이되며, 동시에 문법 설명 창(137)에는 'that이 나왔습니다. 'that은 '그것을' 이라는 지시대명사이거나 절이 온다는 기호입니다. say는 타동사이니까 목적어가 와야됩니다.'라는 해설이 디스플레이된다.
이후 다음 버튼을 누르게 되면, 도4o와 같이 영어 단어 창(132)에 'that foolish'라는 단어가 디스플레이되고, 동시에 문법 설명 창(137)에 'foolish가 뒤따라옵니다. 따라서 that은 명사절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하면 됩니다. that을 '['로 처리합니다. 절과 목적어를 표시합니다.'라는 설명이 디스플레이되고, 5 형식 트리의 트리 디스플레이 창(134)에 'ⓞ'에 색깔이 디스플레이됩니다.
이후 다음 버튼을 누르게 되면, 도4p와 같이 영어 단어 창(132)에 'foolish people'라는 단어가 디스플레이되고, 동시에 문법 설명 창(137)에는 'foolish가 형용사이니까, 따라나오는 명사를 보기로 하겠습니다. foolish people은 명사절 속에서 주어가 됩니다.'라는 설명이 디스플레이된다.
이후 다음 버튼을 누르게 되면, 도4q와 같이 한글 해석 창(133)에 '어리석은 사람들은'이라는 한글 해석이 디스플레이됨과 동시에 문법 설명 창(137)에는 '주어에는 '은/는/이/가'를 붙이는 것을 잊지 마세요.'라는 설명이 디스플레이된다.
이후 다음 버튼을 누르게 되면, 도4r과 같이 문법 설명 창(137)에 '이탐어로 옮깁니다. 절 표시를 []로 합니다. 여기까지 주절은 3 형식이 됩니다.'라는 설명이 디스플레이됨과 동시에 독해 지문 창(131)에는 'Sant Kabir, a sage of india, says that foolish people와 산 카비르는,/ 한 현인인데(인도의),/말한다[어리석은 사람들은'이라는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서 절의 표시는 주절과 종속절을 구별하기 위해서, 서로 다른 컬러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다음 버튼을 누르게 되면, 도4s와 같이 영어 단어 창(132)에는 'cannot'이라는 단어가 디스플레이되며, 문법 설명 창(137)에는 'cannot은 '할 수 없다.'라는 조동사입니다. 조동사가 오면 뒤에 동사원형이 옵니다. 따라서 본동사가 올 때까지 가겠습니다.'라는 설명이 디스플레이된다.
이후 다음 버튼을 누르게 되면, 도4t와 같이 문법 설명 창(137)에는 '이탐어로 해석합니다.'라는 설명이 디스플레이되고, 동시에 독해 지문 창(131)에는 'Sant Kabir, a sage of india, says that foolish people cannot distinguish와 산 카비르는,/ 한 현인인데(인도의),/말한다[어리석은 사람들은/구별할 수 없다.'라는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된다.
이후 다음 버튼을 누르게 되면, 도4u와 같이 영어 단어 창(132)에는 'between'이라는 단어가 디스플레이되고, 한글 해석 창(133)에는 '(~사이에'라는 해석이 디스플레이되며, 문법 설명 창(137)에는 '전치사 표시를 합니다.'라는 설명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문장 형식(135)에 '전치사구' 부분에 색깔이 표시됩니다.
이후 다음 버튼을 누르게 되면, 도4v와 같이 영어 단어 창(132)에는 'between good'이라는 단어가 디스플레이되고, 한글 해석 창(133)에는 '(~사이에/선'이라는 해석이 디스플레이되며, 문법 설명 창(137)에는 'between 다음 명사가 good이 나왔습니다. between 다음에 나오는 명사는 '둘'인 복수이어야 합니다. good은 셀 수 없는 명사입니다. 또한, 셀 수 없는 명사는 단수 취급을 합니다. 그럼 계속 나가봅시다.'라는 설명이 디스플레이된다.
이후 다음 버튼을 누르게 되면, 도4w와 같이 영어 단어 창(132)에는 'between good and'라는 단어가 디스플레이되고, 한글 해석 창(133)에는 '(~사이에/선과'라는 해석이 디스플레이되며, 문법 설명 창(137)에는 'and가 나왔습니다. '그리고, ~와'이니까 다음에 명사가 나와야겠습니다. 또 계속 나가봅시다.'라는 설명이 디스플레이된다.
이후 다음 버튼을 누르게 되면, 도4x와 같이 영어 단어 창(132)에는 'between good and evil'이라는 단어가 디스플레이되고, 한글 해석 창(133)에는 '(~사이에/선과 악'이라는 해석이 디스플레이되며, 문법 설명 창(137)에는 'evil명사가 나왔습니다. 마침표가 있고 문장이 끝났네요.'라는 설명이 디스플레이된다.
마지막으로 다음 버튼을 누르게 되면, 도4y와 같이 문법 설명 창(137)에는 '이탐어로 옮깁니다.'라는 설명이 디스플레이되고, 동시에 독해 지문 창(131)에는 "Sant Kabir, a sage of india, says that foolish people cannot distinguish between good and evil."과 산 카비르는,/한 현인인데(인도의),/말한다[어리석은 사람들은/구별할 수 없다(사이에/선과 악)' 와 같은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된다.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영어 문장을 처음부터 순서대로 읽어가면서 바로 독해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교육용 프로그램 및 교육 데이터를 저장 매체에 저장한 후, 이를 판독할 수 있는 기기에서 이를 실행시켜 학습을 하는 방법을 설명한 것이며, 이러한 방법 이외에 교육용 프로그램 및 교육 데이터를 인터넷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다운로드 받아 컴퓨터 등에서 학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어학학습 방법의 다른 실시 예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여기서 참조부호 200은 데이터 제공 서버로서, 원격에서 교육용 프로그램 및 교육 데이터를 인터넷(300)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클라이언트 컴퓨터(400)로 제공해주게 된다.
여기서 클라이언트 컴퓨터(400의 구성은 주지한 도 1의 구성과 동일하며, 여기에 인터넷(300)과 접속되어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하기 위한 통신 장치(470)만이 더 부가된다.
본 발명의 어학 학습 방법의 다른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통신 장치(470)를 통해 상기 데이터 제공 서버(200)와 인터넷(300)으로 접속한 후, 상기 교육용 프로그램 및 교육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아 상기 데이터 베이스(451)에 저장하게 된다(S201 ~ S207). 이때 인터넷 접속 후 사용자 인증을 거치는 것은 인터넷 통신이 기본 사항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사용자에 의해 상기 데이터 제공 서버(200)로부터 제공받은 교육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상기 저장한 교육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교육용 창을 생성하고, 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게 된다(S211).
이후 독해할 문장의 순서에 따라 처음의 영어 단어를 상기 교육용 창에 디스플레이하게 되며(S213), 상기 영어 단어에 대한 한글을 해석하여 디스플레이해줌과 동시에 문법을 분석하여(S215), 상기 분석한 문법에 대한 설명을 상기 교육용 창의 소정 위치에 디스플레이해줌과 동시에 상기 분석한 문법에 대응하게 문장 기본 형식이나 수식어구별로 구분하여 상기 교육용 창의 특정 위치에 디스플레이해주게 된다(S217).
다음으로, 다음 단어가 선택되면(S219), 상기 단계 S213으로 이동하여 그 이하의 단계를 문장이 종료될 때까지 반복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우리나라 말을 영어 구조의 형식에 맞추어 한글로 나열함으로써 우리나라 말을 읽을 때처럼 영어를 쉽게 해석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하여 단기간에 독해능력을 향상토록 도모해주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한글과 수학적 기호를 사용하여 영어식으로 표현함으로써, 외국어(특히, 영어)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해석하고 이해하여 원어민 수준에 해당하는 언어 능력을 배양해주는 효과도 있다.
또한, 언어의 논리를 수학적으로 표시함으로써 영어 형식으로 생각하고 표현하는 능력을 도모해주며, 영어가 지닌 논리를 정형화함으로써 영어를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습득할 수 있게 하고, 동시에 영어와 우리나라 말 사이의 차이점을 극복하도록 함으로써 이중 언어를 자연스럽게 구사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해주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말을 듣는 방식처럼 순서대로 나타나는 단어를 읽으면서 즉각 해석할 수 있도록 도모해주는 장점이 있다.

Claims (8)

  1. 삭제
  2. 교육용 프로그램과 교육 데이터들이 저장된 저장매체를 구동시켜 교육용 창을 생성하고, 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독해할 문장의 순서에 따라 처음의 영어 단어를 상기 교육용 창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영어 단어에 대한 한글을 해석하여 디스플레이해줌과 동시에 문법을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분석한 문법에 대한 설명을 상기 교육용 창의 소정 위치에 디스플레이해줌과 동시에 상기 분석한 문법에 대응하게 문장 기본 형식이나 수식어구별로 구분하여 상기 교육용 창의 특정 위치에 디스플레이해주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교육용 창은,
    독해 지문을 디스플레이하는 독해 지문 창과; 영어 단어를 디스플레이해주는 영어 단어 창과;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영어 단어를 한글로 해석하여 디스플레이해주는 한글 해석 창과; 상기 문장 기본 형식을 트리 형식으로 디스플레이해주기 위한 트리 디스플레이 창과; 상기 수식어구별로 문장 형식을 디스플레이해주기 위한 문장 형식 창과; 주절에 종속되는 종속절을 표시해주기 위한 종속절 창과; 문법 설명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문법 설명 창과; 다음 단어를 선택하기 위한 넥스트 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학습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 디스플레이 창은 기본 형식을 5 형식 트리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학습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문장 형식에 대응하는 수식어구별은 전치사구, 부정사, 현재분사, 과거분사로 대별되며, 각각은 서로 다른 컬러를 이용하여 달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학습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독해 지문의 디스플레이는 수학적 기호를 사용하여 문법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학습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하나의 화면에 표시된 단어의 분석이 종료된 후 다음 단어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학습방법.
  7. 삭제
  8. 교육용 프로그램과 교육 데이터를 인터넷을 통해 제공하는 데이터 제공 서버와, 상기 데이터 서버와 인터넷을 통해 접속하여 교육용 프로그램 및 교육 데이터를 제공받아 어학학습을 도모해주는 통신 장치와 모니터와 디스플레이 장치와 데이터베이스와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시스템을 이용하여 어학을 학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시스템은,
    상기 통신 장치를 통해 상기 데이터 제공 서버와 인터넷으로 접속한 후, 상기 교육용 프로그램 및 교육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아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와;
    사용자에 의해 상기 데이터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교육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상기 저장한 교육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교육용 창을 생성하고, 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독해할 문장의 순서에 따라 처음의 영어 단어를 상기 교육용 창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영어 단어에 대한 한글을 해석하여 디스플레이해줌과 동시에 문법을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분석한 문법에 대한 설명을 상기 교육용 창의 소정 위치에 디스플레이해줌과 동시에 상기 분석한 문법에 대응하게 문장 기본 형식이나 수식어구별로 구분하여 상기 교육용 창의 특정 위치에 디스플레이해주는 단계를 수행하되,
    상기 교육용 창은,
    독해 지문을 디스플레이하는 독해 지문 창과; 영어 단어를 디스플레이해주는 영어 단어 창과;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영어 단어를 한글로 해석하여 디스플레이해주는 한글 해석 창과; 상기 문장 기본 형식을 트리 형식으로 디스플레이해주기 위한 트리 디스플레이 창과; 상기 수식어구별로 문장 형식을 디스플레이해주기 위한 문장 형식 창과; 주절에 종속되는 종속절을 표시해주기 위한 종속절 창과; 문법 설명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문법 설명 창과; 다음 단어를 선택하기 위한 넥스트 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학습방법.
KR1020060128091A 2006-12-14 2006-12-14 어학학습방법 KR100811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8091A KR100811227B1 (ko) 2006-12-14 2006-12-14 어학학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8091A KR100811227B1 (ko) 2006-12-14 2006-12-14 어학학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1227B1 true KR100811227B1 (ko) 2008-03-07

Family

ID=39397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8091A KR100811227B1 (ko) 2006-12-14 2006-12-14 어학학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122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2730B1 (ko) * 2008-07-09 2011-02-09 김대현 어학용 강의탁자 시스템
WO2012023831A2 (ko) * 2010-08-20 2012-02-23 Yoon Hyuk Hee 어학학습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308035B1 (ko) 2011-08-19 2013-09-13 윤혁희 어학학습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400987B1 (ko) * 2013-04-11 2014-05-28 최기선 문장 구성 요소의 순차적 표시 및 번역 공식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을 위한 표시 방법
CN109345896A (zh) * 2018-11-05 2019-02-15 西南科技大学城市学院 一种英语翻译学习辅助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4616A (ja) * 1993-05-13 1994-11-25 Casio Comput Co Ltd 学習装置
JP2001183971A (ja) 1999-10-14 2001-07-06 Tadatoshi Okubo 外国語学習教材及び外国語学習器具並びに外国語学習装置及び外国語学習プログラム記憶媒体
KR20010068345A (ko) * 2000-01-04 2001-07-23 문일권 인터넷을 통한 영어 학습 방법
KR20040059136A (ko) * 2002-12-28 2004-07-05 장석 플래쉬 기법을 이용한 언어학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4616A (ja) * 1993-05-13 1994-11-25 Casio Comput Co Ltd 学習装置
JP2001183971A (ja) 1999-10-14 2001-07-06 Tadatoshi Okubo 外国語学習教材及び外国語学習器具並びに外国語学習装置及び外国語学習プログラム記憶媒体
KR20010068345A (ko) * 2000-01-04 2001-07-23 문일권 인터넷을 통한 영어 학습 방법
KR20040059136A (ko) * 2002-12-28 2004-07-05 장석 플래쉬 기법을 이용한 언어학습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2730B1 (ko) * 2008-07-09 2011-02-09 김대현 어학용 강의탁자 시스템
WO2012023831A2 (ko) * 2010-08-20 2012-02-23 Yoon Hyuk Hee 어학학습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WO2012023831A3 (ko) * 2010-08-20 2012-06-21 Yoon Hyuk Hee 어학학습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308035B1 (ko) 2011-08-19 2013-09-13 윤혁희 어학학습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400987B1 (ko) * 2013-04-11 2014-05-28 최기선 문장 구성 요소의 순차적 표시 및 번역 공식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을 위한 표시 방법
CN109345896A (zh) * 2018-11-05 2019-02-15 西南科技大学城市学院 一种英语翻译学习辅助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rciuli Reading as statistical learning
Wallwork English for writing research papers
Mesmer et al. Toward a theoretical model of text complexity for the early grades: Learning from the past, anticipating the future
Chen et al. The role of compound awareness in Chinese children’s vocabulary acquisition and character reading
Leonardi The role of pedagogical translation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From theory to practice
Alarcón The processing of gender agreement in L1 and L2 Spanish: Evidence from reaction time data
Wulff et al. Exploring individual variation in learner corpus research: Methodological suggestions
Jouravlev et al. Stress consistency and stress regularity effects in Russian
Varatharajoo et al. The awareness of morphemic knowledge for young adults’ vocabulary learning
Schulze et al. Intelligent CALL
Abdellah What every novice translator should know
KR100811227B1 (ko) 어학학습방법
Fuchs Facilitative use of grammatical gender in Heritage Spanish
Sénéchal et al. The role of morphology in reading and spelling
Zhang et al. Morphological knowledge in second language reading comprehension: Examining mediation through vocabulary knowledge and lexical inference
Zalbidea et al. Does learner cognition count on modality? Working memory and L2 morphosyntactic achievement across oral and written tasks
Schmalz et al. Quantifying the reliance on different sublexical correspondences in German and English
Ogundokun et al. An android based language translator application
Yang et al. Same or different: Chinese character reading and word reading of young readers with development
Kempe et al. Miniature natural language learning in L2 acquisition research
Mirza et al. The effects of second language literacy instruction on first language literacy: a comparison between Hindi–English and Urdu–English Canadian bilinguals
Lakew et al. Introducing corpus-informed spoken grammar instruction in EFL classrooms: the Ethiopian experience
Laviosa Corpus-based Translation Studies: the theory
RU2479867C2 (ru) Способ работы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ого лингвистического интерфейса
Behzadian The effect of input enhancement and concordance-based activities on Iranian EFL learners' acquisition and retention of phrasal verb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